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황산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수준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수술실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경기도와 서울 소재 2개의 종합병원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130명을 편의표집 하였고 2013년 11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자료수집 하여 조사, 분석 하였다. 연구도구는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AHRQ)에서 환자안전에 관련된 병원의 조직과 문화에 대한 의료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설문지를 김정은 등(2004)이 번안한 36문항으로 구성된 것을 사용하였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이금옥(2009)이 개발한 도구를 수정 , 보안한 22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백분율과 빈도, 평균값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39(±0.36)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4.27(±0.29)점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 인식정도는 연령(F=8.925, p=.000), 학력(F=19.176, p=.000), 결혼상태(F=-7.018, p=.000), 직위(F=7.606, p=.001), 근무시간(F=3.385, p=.020), 급여만족(F=2.973, p=.045), 안전교육(F=3.987, p=.00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연령(F=6.844, p=.000), 학력(F=46.994, p=.000), 직 위(F=14.878, p=.000), 근무경력(F=4.252, p=.007), 근무시간(F=12.202, p=.000), 안전교육(F=2.438, p=.01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r=.321, p<.05)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상관관계에서 직속상관/관리자태도(r=-.243, p<.05)는 음의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사고보고의 빈도(r=.622, p<.05)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회귀 분석에서 가장 영향을 미친 변수는 환자안전문화 하부영역인 사고보고의 빈도(p=.001)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직속상관/관리자태도(p=.019)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문화 인식을 더 높이기 위하여 병원분위기와 근무환경의 개선을 위한 병원차원의 시스템적 접근이 요구되며, 관리자와 구성원들 간의 활발한 의사소통, 반복적인 안전교육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모든 분야가 중요하지만 본 연구에서 수행정도가 비교적 낮았던 감염관리, 낙상, 장비점검 분야에 대해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교육과 평가를 통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본 연구는 추후 수술실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기반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추후 환자안전간호활동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operating nurses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The purpose of the descriptive study is to correlation the activeness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o that the data can be used for the patient safety nursing in operating room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30 operating nurses working at two general hospitals in Seoul and Kyung Ki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studied, and analyzed from November 1, 2013 to December 30, 2014.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36 questions, which was created by AHRQ and translated by Kim Jung Eun (2004)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cal professionals on the patient safety culture and organization in hospital, were used. In order to examine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the method developed by Lee Geum Ok (2009) was edited and used.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by SPSS Version 21.0 Program and analyzed into percentage,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main analysis. 1) The average perception score of the operating nurses on patient safety culture was shown to be average with the score of 3.39(±0.36) out of 5. Howeve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level of operating nurses was shown to be high with the average score of 4.27(±0.29) out of 5. 2) Perception level of patient safety culture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order of age(F=8.925, P=.000), education level(F=19.176, P=.000), marital status(F=-7.018, P=.000), work position(F=7.606, P=.001), work hour(F=3.385, P=.020), income satisfaction(F=2.973, P=.045), safety education(F=3.987, P=.000). As the result of examination of patient safety nursing based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order of age (F=6.844, P=.000), education level(F=46.994, P=.000), work position(F=14.878, P=.000), experience level(F=4.252, P=.007), working hour(F=12.202, P=.000), safety education(F=2.438, P=.016).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nursing (r=.321, p<.05). Patient safety management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attitude of direct manager/manager (r=-.243, p< .05) while it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frequency of incident report (r=.622, p<.05). 4) The variable that had greatest effect on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that affect activity of patient safety nursing of operating nurses was the frequency of incident reports (P=.001), which was a sublevel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the following order, attitude of direct boss/manager(P=.019) from patient safety culture sublevel also had effect on activity of patient safety nursing of operating nurses.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operating nurses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In order to increas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ystematic approach by hospital is needed to improve hospital atmosphere and working environment. In addition,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managers and members and repeated safety education are needed. Even though every field i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is important, variables that showed relatively low performance level such as infection management, falling accident, and equipment checkup should be improved through continuous education and evaluation. The study is expected not only to provide the base for the future patient safety management of operating nurses but to be basic resource to develop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promotion program.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지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구인숙 예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51

        Regarding this research,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s of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of the nurse at the general hospital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t had been attempted in order to provide a basic material for the promotion of the patient safety. Regarding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193 nurses who had been working at 2 general hospitals that are located in the J City had been the subjects. And the time period of the collection of the data had been from January 12, 2022 until January 30, 2022. Regarding the research tools, as for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 tool regarding which Jeong-eun Kim et al. (2007) had adapted a survey questionnaire(2004) for the confirmation of the recognition of the medical personnel regarding the hospital organization and the hospital culture that are related to the patient safety in the AHRQ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in the United States had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As for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a tool regarding which Chung, Soo-gyeong (2010) had adapted the knowledge questions regarding the safety practical affairs and the guidelines of Probest, Brubaker (2001), Neal, Griffin, and Hart(2000) had been revised and supplemented. And, as for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t had been measured with the tool of Sohn, Yeong-shin(2018), which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tool of Park, So-jeong(2009). Regard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by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they had been analyzed by applying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the following: 1)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of the subjects, from the total score of 5 points, the average was 3.34±0.34 points.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from the total score of 5 points, the average was 3.72±0.45 points. And,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from the total score of 5 points, the average was 4.75±0.34 points. 2)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resulting from the ordinary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ag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ppeared in relation to the gender, the position, and the working hours per week. And, from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 age, the marital status, and the education level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3) Regard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t appeared that there were no correlations of a significant amount with the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r=.214, p=.004) and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r=.369, p<.001). 4) Regarding the factor that gives an influence on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it appeared as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β=0.316, p<.001).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16.5% (F=6.15,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improve and promote the level of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the nurse at a general hospital,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 mediation program that can strengthen the patient safety knowledge on the level of the hospital is needed.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지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환자안전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대상은 J시 소재 종합병원 2곳에 근무하는 간호사 19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1월 12일부터 1월 30일까지였다. 연구 도구로 환자안전문화인식은 미국 AHRQ(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에서 환자안전에 관련된 병원 조직과 병원문화에 대한 의료인들의 인식을 확인하기 위해 개발한 설문지(2004)를 김정은 등(2007)이 번안한 도구, 환자안전지식은Probest, Brubaker(2001), Neal, Griffin과 Hart(2000)의 안전실무와 지침에 대한 지식 문항을 정수경(2010)이 번안한 도구, 환자안전관리활동은 박소정(2009)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손영신(2018)의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은 3.34±0.34점, 환자안자안전지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2±0.45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5점 만점에 평균 4.75±0.3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자안전지식은 성별, 직위, 주당 근무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서 연령, 결혼상태, 학력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214, p=.004), 환자안전지식 (r=.369,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환자안전지식 (β=0.316, p<.001)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16.5%였다(F=6.15, p<.001).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수준을 향상시키고 증진하기 위하여 병원 차원에서 환자안전지식을 강화할 수 있는 교육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증진 방안에 대한 연구 :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문숙 가톨릭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미국 국립의학원(IOM)의 ‘To err is human’이라는 환자안전 현황과 시스템 구축에 관한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환자안전은’은 우리사회에 중요한 아젠다로 부각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종현이 사건과 메르스 사태로 환자안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간호의 질 향상 및 환자안전문화 구축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11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 실시하였고, 조사대상자는 경기 소재, 300병상 이상의 2개 병원, 직접간호에 참여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자가 작성하도록 하였고, 그 중 회수된 설문지는 249부로 회수율 99.6%로 자료작성 상태가 부실한 19부를 제외한 23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t-test와 ANOVA, 다중회귀분석 통계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에 대한 평균값 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평균 4.25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환자안전관리 규칙 4.10점, 자기효능감 3.94점, 환자안전문화 인식 3.59점 순으로 조사되었다. 분석결과 간호사들은 환자안전관리를 위한 환자 확인, 의료진간 의사소통, 고위험 약물 관리, 수술시술의 정확한 확인, 감염 또는 낙상 예방 등의 활동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상호 독립적으로 구성된 두 집단 간 평균의 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의 여부를 분석한 결과 집단에 따른 환자안전관리 활동은 총 임상 경력에 따라 정확한 환자 확인, 의료진간 의사소통, 고위험 약물관리, 감염예방 활동에서, 근무부서에 따라 정확한 환자 확인에서, 1년간 환자안전 교육 받은 경험 유무에 따라 정확한 환자 확인, 고위험 약물관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독립변수 ‘자기효능감’,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관리 규칙’와 종속변수 ‘환자안전관리 활동’의 영향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 ‘환자안전관리 규칙’(β= .516)이 종속변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기효능감’(β= .213), ‘환자안전문화 인식’(β= .097)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병원 간호사들은 환자안전관리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안전관리 지침과 평가기준, 규칙에 대한 이해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병원의 환자안전관리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러한 다양한 기준과 지침에 대한 적용과 이해 교육을 우선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강제적 규정의 이해보다는 기본적인 의료기관 인증제의 지침이나 JCI 지침 등의 바탕 위에 간호사들에게 자율관리적인 규칙 설계 등의 환자안전문화가 정착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안전문화 인식 정착을 위한 병원 내 리더십 확보 및 의사소통 채널 구축이 가장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실무향상 교육 및 대인관계 교육, 동기부여 프로그램 등을 활용하여 자기효능감과 업무성과를 높이고 간호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병원의 행정적인 정책 추진을 통한 인적자원 관리의 뒷받침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주제어 : 병원 간호사, 자기효능감, 환자안전문화 인식, 환자안전관리 규칙, 환자안전관리 활동 Patient safety has emerged as an important agenda in our society as a report on patient safety status and system construction called 'To err is human'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IOM) has been announced. In Korea, the importance of patient safety is emphasized due to Jonghyun incident and MERS accid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the hospital nurs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nursing and constructing the safety culture of pati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rveyed nurses working in hospital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 2016 to November 10, 2016.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wo hospitals with more than 300 beds, and nurses participating in direct nursing. 250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self-written. Among the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249 copies and the recovery rate was 99.6%. A total of 230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except for 19 copies of which were in poor condi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valu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was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hich was 4.25, which was the highest. Patient Safety Management Rules 4.10, Self-efficacy 3.94,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3.59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nurses recognized that they were faithfully carrying out activities such as patient identification, patient - centered communication, high-risk drug management, accurate confirmation of surgical procedures, infection prevention or fall prevention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econd, we analyze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are independent of each oth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the group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such as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ersonne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and high-risk drug management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re was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education for one year in accurate patient identification according to the departments of work. Thir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Self-efficacy',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Patient Safety Management Rules', and dependent variabl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Respectively. The independent variable 'Patient Safety Management Rules'(β= .516) had the greates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Self-efficacy'(β= .213) and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β= .097) in the order of the following or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hospital nurs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various safety management guidelines, evaluation standards, and rules in perform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patient safety management of hospitals, And that the application and understanding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Based on the guidelines of the basic medical institution certification system and JCI guidelines, rather than comprehension of compulsory regulations, nurses should be encouraged to create an atmosphere where patient safety culture such as autonomous management rule design can be settled. And communication channels are the most important. Finally, it is important to support the human resources management through administrative policy promotion of the hospital so as to improve the self-efficacy and the work performanc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nursing by utilizing practical improvement education, interpersonal education and motivation program. Key words: Hospital Nurse, Self-efficacy,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Patient Safety Management Rul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 종합병원 간호사의 안전문화인식과 피로가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임은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5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is to identify general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fatigue,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is study is implemented to offer basic data in establishing strategies to promot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articipants and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230 nurses who are currently working at C general hospital in G city.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ed survey. The data collection period is from 17th, July to 23th, July of 2018. The collected data are analyzed by using SPSS PC+24.0 for Windows an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ll of the survey questions consist of 5-point Likert scale. The mean score of general hospital nurses' fatigue degree was 3.17,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3.12, and the mean scor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4.39. The fatigue degree was differed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individual features; working duration(F=6.53, 𝘱<.001) and subjective health condition(F=24.13, 𝘱<.00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department(F=3.27, 𝘱=.022). Th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ere also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the department(F=5.15, 𝘱=.002).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fatigue(r= -0.176, 𝘱= 0.008),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r= 0.213, 𝘱= 0.001).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researcher implemented a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ollowing factors; fatigue an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hich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place of work which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general features.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most essential predictive factor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place of work (β= 0.230, 𝘱<0.001), followed by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β= 0.217 ,𝘱=0.001), and fatigue(β= -0.155, 𝘱=0.014). On the performanc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 total explanation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11.7%. Conclu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fatigue, and place of work affect general hospital nurses' performance of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erefore in establishing strategies to promote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each department's features should be first considere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nd, fatigue should be considered and reduced through appropriate working hours, breaks, and work schedules. Strategic plans and activities are also required to enhance the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Key word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Fatigue, Place of work,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목적: 본 연구는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인식, 피로도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해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연구대상은 G시 소재 C종합병원에 재직하고 있는 간호사 230명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7월 17일부터 7월 23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C+24.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피어슨의 상관관계,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설문지 모두 5점 척도로 종합병원 간호사의 피로도는 3.17점, 환자안전문화인식은3.12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4.39이었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피로도는 근무경력(F=6.53, 𝘱<.001),주관적 건강상태(F=24.13, 𝘱<.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은 근무부서(F=3.27, 𝘱=.022)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 역시 근무 부서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5.15, 𝘱=.002).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피로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 -0.176, 𝘱= 0.008). 환자안전관리활동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 0.213, 𝘱= 0.001).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인 피로, 안전문화 인식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난 변수인 근무지를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한 결과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가장 주요한 예측 요인은 근무지(β= 0.230, 𝘱<0.001)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환자안전문화 인식(β= 0.217 ,𝘱=0.001), 피로(β= -0.155, 𝘱=0.014)이었다. 이들 변인들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수행 정도에 대한 설명력은 11.7%이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피로, 근무지등이 종합병원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수행 정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져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키는 전략을 개발할 때 부서 특성에 맞는 환자안전관리활동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을 높이는 노력으로 적정근무시간에 적당한 휴식 및 업무분담으로 피로를 낮추고, 환자안전문화인식을 높이도록 근무지 차원에서 전략적인 계획과 활동이 필요하다. 주제어: 환자안전문화인식, 피로도, 근무지, 환자안전관리활동

      •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

        김지은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51

        환자 안전은 환자의 건강과 생명에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로써 의료의 기본원칙이며 의료의 질을 결정하는 구성요소인 동시에 의료의 질의 기준이 된다. 암환자는 진단부터 수술, 항암화학치료, 방사선치료, 표적치료 등 다양하고 복잡한 치료과정을 경험하며, 타 질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중증도가 높아, 예기치 못하게 발생한 환자안전사고가 치명적인 결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 간호사는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통해 의료현장에서 환자안전관리자로서 환자안전사고를 최소화하기 위한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환자안전의 핵심적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따라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암환자의 안전을 위해 중요하므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환자안전관리활동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환자안전관리활동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B광역시 소재 3개 상급종합병원의 입원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 1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월20일부터 동년 3월20일까지였다. 자료 수집 전 K대학교 B병원의 생명연구윤리 심의위원회(IRB No. KUGH 2017-11-047-001)의 심의와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KU IRB 2017-0106-01)의 추인을 받았다. 자료수집방법은 B광역시 소재 3개 상급종합병원의 간호부서를 방문하여 과(부)장과 수간호사에게 연구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그리고 대상자 선정기준에 맞는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설문내용을 충분히 설명한 후 서면동의를 받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작성케 한 후 회수하였다. 연구도구로 환자안전문화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AHRQ(2004)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조사도구(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를 김정은 등(2007)이 한글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사건보고태도와 사건보고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김기경 등(2006)이 개발한 사건보고태도와 지식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측정하기 위해 조윤주(2012)가 개발한 환자안전관리활동 측정도구를 장희은(2013)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특별한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된 도구인 AHRQ(2004)에서 개발한 환자안전문화 조사도구(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외 모든 측정도구는 개발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Statistics 21.0 program을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소값과 최대값, t-test, ANOVA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환전안전문화인식 정도는 평균 141.30±12.82(도구범위: 43-215), 평균평점 3.46±0.32(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태도 정도는 평균 43.36±5.03(도구범위: 13-65), 평균평점 3.34±0.39(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지식 정도는 평균 14.73±2.87(도구범위: 4-20), 평균평점 3.68±0.72(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평균 243.52±20.74(도구범위: 56-280), 평균평점 4.33±0.40(척도범위: 1-5)로 나타났다. 2. 대상자 제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F=4.065, p=.01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 관련특성에서 현 근무병동(t=-2.362, p=.01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는 근무관련 특성에서 총 임상 근무경력(F=6.024, p=.003)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안전관련 특성에서는 환자안전사고의 발생 후 보고를 하지 않은 경험(t=-3.54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사건보고태도 정도는 근무관련 특성에서 근무형태(t=2.134, p=.03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안전관련 특성에서는 최근 1년간 환자안전사고경험(t=-2.088, p=.038)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사건보고지식 정도는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 연령(F=6.298, p=.002)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관련 특성에서는 총 임상 근무경력(F=7.636, p=.001), 현 병동 근무경력(F=7.671, p=.001), 현 근무병동(t=-2.207 p=.029), 근무 시 담당 환자 수(t=-2.210, p=.02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환자안전문화인식 하부영역 지난 1년간 환자안전사고보고 경험(t=1.988, p=.04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r=.377, p<.001)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태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r=.229, p=.005)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사건보고지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중간정도 강한 양의 상관관계(r=.438, p<.001)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건보고지식(β=.371, p<.001)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는 환자안전문화인식(β=.293, p<.001)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설명력은 26.3%이었다. 결론적으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전안전문화인식 정도는 중간정도, 사건보고태도 정도는 중간정도, 사건보고지식 정도는 중간보다 약간 높게,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중간보다 높게 나타났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연령과 현 근무병동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있고, 대상자의 사건보고태도와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미약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상자의 사건보고지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는 중간정도 강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관리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건보고지식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환자안전문화인식이었다. 따라서 암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증진을 위해서는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사건보고지식을 향상시키는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할 것이다.

      • 치과병원 종사자들의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선경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에서는 치과병원 종사자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수준을 파악하고,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상관관계를 파악하며,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 11개 치과대학병원, 6개 서울 소재 종합병원 내 치과, 4개 개인치과병원(치과의원 포함)에 근무하는 치과병원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3월 17일부터 4월 1일까지 약 3주간이었다. 배포된 설문지 803부 중 713부(89%)가 회수되었다. 그 중 환자안전관리활동에 해당사항 없음이 하나라도 체크가 된 설문은 폐기하고 총 42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SAS(ver. 9.2)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단변량 분석(t검정, 분산분석, 단순상관관계분석)과 다변량 분석(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과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평균 3.25점으로 보통으로 나타났다. 하부영역별로는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가 3.46점으로 가장 높았고, 의사소통 절차와 과정이 2.86점으로 가장 낮았다. 환자안전관리활동 수행 정도의 평균은 2.75점이었으며, 하부영역별로는 정확한 환자확인이 3.57점으로 가장 높았고, 수혈 시 안전간호활동이 1.92점으로 가장 낮았다. 둘째, 근무부서환경과 화재안전관리활동과의 관계는 r=.237(p=.001)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와 충분한 설명과의 관계는 r=.213(p=.000)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의사소통 절차와 과정과 의료기기예방점검 활동과의 관계는 r=-.258(p=.001)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 특히 환자안전수준에 대한 인식 영역에서 감염관리활동이 가장 상관성이 높았다(r=.293, p<.001). 셋째, 본 연구에서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 중 정확한 환자확인, 충분한 설명, 낙상예방활동에서 해당병원 근무부서 경력으로 5-10년간 근무한 종사자(p<.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근무부서는 구강악안면외과가 정확한 환자확인에서 3.75점(p<.0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낙상예방활동은 직종에서 치과의사가 2.45점(p<.0001)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대부분의 환자안전관리활동 수행정도에서 제일 높은 점수를 받은 직종은 간호사였다. 또한 환자안전문화 하위영역 중 ‘병원환경(p<.05)’이 대부분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관리활동을 활발히 수행하게 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환자에게 보다 더 안전한 환경을 제공해 주는 낙상예방활동, 감염관리활동, 화재안전관리활동, 의료기기예방점검활동, 응급상황 발생 대비 활동 등이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므로 치과병원의 특성에 맞는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교육을 실시하며 환자안전의 날 등 다양한 환자안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활동하며 경영진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있을 때 환자안전관리활동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용어: 환자안전, 환자안전문화, 환자안전관리활동

      • 중환자실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

        김영신 아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간호사가 인지하는 환자안전문화,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환자안전관리활동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월 15일부터 2018년 1월 19일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일개 대학병원에서 12개월 이상 경력이 있으며 직접 간호를 제공하는 중환자실간호사 157명이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이순교(2015)가 국내 보건의료환경과 문화를 고려하여 개발한 한국형 환자안전문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조직의사소통만족은 Downs와 Hazen(1977)이 개발하여 홍은미(2007)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이금옥(2009)이 개발하고 이유정(2011)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다. 1. 대상자가 인지하는 환자안전문화인식점수는 5점 만점에 평균 3.40±0.31점이었으며, 조직의사소통만족 평균 3.15±0.40점, 환자안전관리활동 평균 4.15±0.48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관리활동(r=.325, p<.001), 조직의사소통만족과 환자안전관리활동(r=.256, p=.001)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한 결과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10.3%의 설명력을 나타냈고, 이 중 환자안전문화인식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β=.26, p= .004).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병원에서는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환자안전문화인식을 확립하기 위해 사고발생에 대한 구성원들의 부정적인 인식을 개선하고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격려할 수 있는 지속적인 교육과 피드백이 요구된다. 또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마련하여 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만족 정도를 높이고 안전관련 전략을 마련함으로써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핵심어: 중환자실간호사, 환자안전관리활동, 환자안전문화, 조직의사소통만족

      • 치과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감염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최은미 2015 국내석사

        RANK : 250750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patient safety by analyzing the effect of dental hygienists’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Methods: The cross-sectional study was based on a survey on a total of 377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dental setting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setting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setting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for Windows version 20.0, and p<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Results: dental Hygienist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dental settings for a longer period were more active in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dental care settings, general (university) hospitals had a higher number of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than that of dental clinics, and dental clinics than network dental clinics. The dental settings that had a higher number of dental hygienists conducted mor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In addition, when dental settings adopted a patient safety policy across hospital units, there was more feedback and openness of communication for patient safety. Moreover,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and procedures for patient safety and stricter manager responses to error tended to improve th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Conclusions: In order to enhance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dental settings need a large work force comprising experienced dental hygienists who can be entrusted with promoting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In addition,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universities and the Korea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need to reinforce education on patient safety and infection control. Moreover, in order to engage the interest and elicit support of the hospital management and staff for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infection control activity programs that include periodic reinforcement of infection control education and regular monitoring of infection control activities should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이 연구는 치과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의 환자안전증진을 목적으로 의료기관 특성을 고려한 치과위생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이 감염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 경기 · 인천 소재 1· 2· 3차 치과 의료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를 2015년 3월 2일부터 3월 27일까지 약 4주간 설문지를 배부하여 377명을 최종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의 구성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기 위해 미국 질 관리 보건기구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치의학 분야의 환자안전문화 국내 연구자가 한국어로 번역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한 10개영역 38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감염관리활동은 의료기관평가인증원의 치과병원 인증조사 지침서, 보건복지부의 치과진료감염방지 기준, CDC의 치과 감염관리 문항을 사용하여 10개 영역 105문항으로 5점척도로 구성하였다. 통계분석은 PASW statistics 20.0 (SPSS Inc, Chicago, USA)을 이용하였다. 일반적, 근무기관 특성은 빈도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고, 일반적, 근무기관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와 감염관리활동 간의 차이는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시행하였다. 일반적, 근무기관 특성, 환자안전문화가 감염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일반적, 근무기관특성, 환자안전문화 등의 독립변수들과 종속변수인 감염관리활동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3개의 모형에 의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활동에 유의한 변수로는 현재 근무기관 내에서 근무경력이 높을수록 감염관리활동이 높았다. 기관별로는 치과의원보다는 종합(대학)병원이, 네트워크 치과의원보다는 치과의원이 감염관리활동이 높았으며 치과위생사의 수가 많은 근무지에서 일하는 치과위생사가 감염관리활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그리고 병원 내에서 기관 전체의 환자안전정책이 갖추어질수록, 환자안전에 대한 의사소통의 피드백이 높고, 환자안전을 위한 체계와 절차가 마련되어 있는 근무지이며 병원 경영진들이 환자안전을 중요하게 생각할수록 감염관리활동이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감염관리활동 향상을 위해서는 충분한 인력확보가 필요하며, 현재 근무기관 경력이 높은 치과위생사를 감염관리활동 담당자로 임명하여 근무기관 내 감염관리활동의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각 대학 교육기관과 대한치과위생사협회에서 환자안전 및 감염관리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병원 경영진이 감염관리활동에 있어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보일 수 있도록 감염관리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정기적인 감염관리 교육 및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한다.

      •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팀워크와 의사소통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강민정 공주대학교 일반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50

        국 문 초 록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팀워크와 의사소통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강 민 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간호학전공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팀워크와 의사소통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 광역시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와 의사 110명이었다. 자료 수집은 일반적 특성, 팀워크, 의사소통, 환자안전관리활동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χ2-test, ANCOVA,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는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78±0.51점, 의사소통은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40±0.41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96±0.45점이었다. 수술실 의사의 팀워크는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84±0.64점, 의사소통은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58±0.56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은 5점 만점 중 평균평점 3.69±0.73점이었다. 2.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 간의 환자안전관리활동(F=6.80, p=.010)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팀워크와 의사소통은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팀워크의 차이는 성별, 연령, 임상경력, 의사소통교육 경험, 환자안전문제 경험, 환자안전교육 이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의 차이는 연령(F=4.86, p=.003), 임상경력(F=5.08, p=.008), 환자안전문제 경험(t=-2.83, p=.006)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차이는 성별(t=-2.68, p=.009), 연령(F=4.74, p=.004), 의사소통교육 경험(t=3.33, p=.001), 환자안전교육 이수(t=2.22, p=.029)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6.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팀워크, 의사소통, 환자안전관리활동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팀워크와 환자안전관리활동(r=.57, p<.001), 의사소통과 환자안전관리활동(r=.47, p=.001)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7.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팀워크(β=.45, p<.001), 성별(β=.26, p=.002), 연령(β=.24, p=.011), 의사소통(β=.22, p=.018), 환자안전교육 이수(β=-.16, p=.031)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요인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52.0%이었다(F=13.45, p<.001).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팀워크, 성별, 연령, 의사소통, 환자안전교육 이수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의 환자안전관리활동 향상을 위한 전략을 수립할 때는 간호사와 의사의 개인적 특성인 성별과 연령, 환자안전교육 이수 여부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고, 수술실 간호사와 의사 간의 팀워크 증진과 의사소통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 수술실간호사의 안전통제감, 환자안전관리활동 및 간호업무성과의 관계

        정혜민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50

        본 연구는 수술실간호사를 대상으로 안전통제감, 환자안전관리활동 및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수술실간호사의 역량강화와 수술간호 실무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B 광역시에 소재한 2개 상급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수술실간호사이며, 수술실 근무경력이 12개월 미만인자, 간호관리자, PA(Physician Assistant) 간호사를 제외한 13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11월 6일부터 12월 11일까지이었으며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도구는 Anderson이 개발한 안전통제감 도구를 정수경이 병원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번안 수정한 도구, 이금옥이 개발한 환자안전관리활동 도구를 김수정이 수술실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 고유경 등이 개발한 간호업무성과 도구를 문현숙이 수술실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0.92±7.09세, ‘여성’이 112명(83.0%), ‘미혼’이 89명(65.9%), 종교는 ‘없음’이 98명(72.6%)이었다. 최종학력은 ‘학사이상’이 116명(85.9%), 수술실 근무경력은 평균 7.06±6.59년, 주당 평균 근무시간은 43.97±3.53시간이었으며,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95명(70.4%)이었다. 환자안전관련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128명(94.8%), 환자안전사고경험이 있는 경우가 116명(85.9%)이었고, 인증평가 경험이 있는 경우가 101명(74.8%) 이었다 2. 안전통제감 전체 평균은 3.76±0.56점(5점 만점)이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전체 평균은 4.56±0.47점(5점 만점)이었다. 그리고 간호업무성과의 전체 평균은 3.25±0.40(4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통제감은 연령(F=6.04, p=.002), 성별(t=-2.00, p=.047), 결혼유무(t=-3.01, p=.003), 수술실 근무경력(F=3.91, p=.022), 인증평가경험 유무(t=3.64,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관리활동은 환자안전관련 교육경험 유무(t=2.36, p=.019)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연령(F=7.62, p=.001), 결혼(t=-3.89, p<.001), 학력(t=-2.24, p=.033), 수술실 근무경력(F=7.04, p=.001), 주당 평균근무시간(F=4.63, p=.011), 직위(t=-2.74, p=.007), 환자안전관련 교육경험(t=6.87, p<.001), 인증평가 경험유무(t=4.25,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안전통제감, 환자안전관리활동 및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에서 환자안전관리활동(r=.40, p<.001)과 간호업무성과(r=.47, p<.001)는 안전통제감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환자안전관리활동과 간호업무성과(r=.52, p<.001)사이에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안전통제감이 높아지면 간호업무성과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환자안전관리활동을 잘 수행 할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간호사의 안전통제감과 환자안전관리활동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한다면 보다 높은 간호업무성과를 통해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