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환경소양 함양을 위한 디자인교육방안

        안나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환경문제의 심각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두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관심으로 환경관련 국제기구가 설립되고 환경단체에서도 환경보호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에도 환경오염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않거나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근본적인 환경에 대한 인간의 사고와 태도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고와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과 주변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가치관을 확립하는 청소년기에 환경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이 현 교육제도 내에서도 이루어져야 하나 학교교육 내에서 환경교육은 거의 지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학교라는 공간적 제약이 있어 자연을 감상하거나 체험하기가 어렵고 정해진 수업시간이 있기 때문에 학교 외부로 나가 환경교육을 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그러나 환경교육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교육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는 학교 공간 내에서 환경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환경교육이 우리나라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전개되어 왔는지에 대해 알아보면서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환경미술에서 환경은 어떤 방법으로 표현이 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면서 환경미술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술에서의 환경교육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정리하면서 환경미술교육의 가치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셋째, 환경미술교육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다. 넷째,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환경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고자 수록된 도판을 정리하였으며 어떠한 환경미술활동이 제시되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는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동영상과 사진을 활용하여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시켜주고자 하였다. 실생활에서 환경보호를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업사이클에 대한 개념을 알려주고 직접 업사이클을 체험해봄으로써 환경에 대한 인식 고취와 조형적 표현 능력을 발달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학교 내에서 진행이 가능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많이 만들어져 학생들이 환경소양을 함양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has long been on the rise, and with our interest in i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 have been established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re also attemp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the face of such activities, people are not properly 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or that such activities had little effect. This is because there is no fundamental change in human thinking and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To alter these thinking and attitudes,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environmental literacy in adolescence, when youths’ attention to themselves and the environment around them increases and their values are established. Education to foster environmental literacy should be conducted with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but environmental education is rarely guided within the school education. Also, the spatial constraints of school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appreciate or experience nature while at the same time the fixed class schedule of school makes it burdensome for teachers to take students out of schoo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ut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dispensable to our liv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so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conducted within the space of schools with limited time and space. This study sought effective measures i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we inquired into the need and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identifying how it has been developed in our country. Second, I wan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rt by looking at how the environment was expressed in environmental art. Also, I wanted to establish the valu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by summarizing the meaning and val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rt. Third, I classified the types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nd found out about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s that are actually underway in our country. Fourth, to analyze the environment-related lesson units with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we organized the contained illustrations and looked at what environmental art activities were presented. Fifth, I developed a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various video clips and pictures, the program intended to make students aware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It also attempted to promote their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ir capability of modeling expression by teaching them the concept of up-cycle as one of the ways to protect the environment in real life and letting them experience it on their ow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of practical help on the school site, and that many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s will be created to be feasible within the school so that students can cultivate environmental literacy.

      • 키네틱 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교육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이혜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류는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부작용으로 인류는 전 지구적 환경문제에 직면하게 되었으며 환경과의 연결성을 상실하였다. 최근 이러한 심각성을 인식하고 환경 보호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자 환경미술교육이 학교 현장에서 활발히 실시되고 있다. 환경미술교육은 학습자에게 인간과 환경의 속성, 관계에 대한 인지적 지식과 함께 자연환경을 미적으로 체험하면서 감수성과 책임감을 습득하도록 한다. 이러한 교육은 환경 파괴로 인해 전 지구적 재난이 닥친 현시점에서 의미 있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서도 환경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이와 같은 교육을 시행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을 주요소로 하는 키네틱 아트를 활용하여 중학생 대상으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키네틱 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교육의 의의와 가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바람의 힘, 물의 흐름, 중력과 같은 환경의 근본적 동력은 움직임을 통해 직관적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환경의 성질과 특성을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키네틱 아트는 작품의 전체 혹은 일부분이 움직이는 것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손쉽게 이끌 수 있고 정지된 오브제보다 더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며 깊은 호소력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키네틱 아트는 3차원 덩어리에 시간의 개념을 결합한 조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는 환경을 표현할 수 있는 적합한 소재이다. 환경미술은 환경의 정의에 따라 세 가지로 나뉜다. 이러한 환경미술의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작품 주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으며 환경미술의 주제와 키네틱 아트의 움직임을 잘 연결할 수 있도록 지도하였다. 연구를 통해 환경과 키네틱 아트를 결합한 수업 사례와 작품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먼저, 수업 사례로는 경기학교예술창작소의 ‘환경미술 프로젝트’가 있었다. 이 수업에서는 자연환경에서 체험한 움직임, 질감 등을 모빌로 만들어 표현하는 수업을 하였다. 다음으로, 트레셋의 ‘멸종위기 동물 로봇 만들기’가 있었다. 이 수업은 테오 얀센의 기계 메커니즘을 활용하여 이미 멸종된 호랑이의 움직임을 재현하는 로봇 만들기를 목표로 하였다. 대표 작품으로는 키네틱 아티스트 조병철의 환경 파괴에 대한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담아낸 키네틱 작업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은 선행연구를 참고하고 응용하여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6차시로 구성되며 체험, 표현, 감상 영역별로 고르게 분배하였다. 환경과 나의 관계를 생각하며 잊힌 관계를 다시 회복하고 환경 속 움직임을 관찰하여 자연환경의 근본 속성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진다. 그다음, 키네틱 아트로 이러한 움직임을 구현할 방안을 생각해보고 조별로 작업을 시행한다. 평가는 교사의 실기평가,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실시하여 반영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은 기존의 수업 사례를 참고하여 움직임과 환경이라는 주제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을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학생들에게 전달하였고 키네틱 작가들이 동력을 활용하여 환경적 메시지를 드러낸 과정을 관찰하여 자기 작품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프로그램은 현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미적 감수성과 창의·융합 능력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본 수업을 통해 환경 보호에 대한 바람직한 태도를 기르고 일상에서 자연환경의 소중함을 깨닫는 태도를 함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도 환경미술 및 다양한 분야와 예술 영역이 창의적으로 융합되어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후속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Advanced technologies have undoubtedly brought convenience to our lives, but they have also led to unintended consequences, including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a growing disconnection from the natural environment. In response, there has been an increased awarenes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coupled with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need for more proactive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schools.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llows learners to develop sensitivity and responsibility while experiencing natural environments aesthetically. It also provides cognitive knowledge ab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the environment. In the face of global environmental degradation, this type of education becomes crucial and meaningful.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incorporate environmental education into school curricula to address these environmental need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by utilizing kinetic art and specifically design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is program can be conceptualized as follows: Firstly, kinetic art can intuitively express the fundamental forces of the environment, such as the power of wind, the flow of water, and gravity. By incorporating movement, learners can effectively understand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kinetic art, which involves moving artwork, has a greater potential to capture learners' interest and convey messages more effectively compared to stationary objects. Its dynamic nature brings deeper appeal and engagements. Lastly, kinetic art is well-suited for representing the constantly changing environment over time. By combining the concept of time with three-dimensional sculptures, it offers a unique way to express the evolving nature of the environment. The environment can be conceptualiz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and programs are designed to help students freely choose subjects from these different categories. They are also guided in making connections between the subjects of environmental art and kinetic art. The following are examples of works and lessons that combine environmental and kinetic elements : The Gyeonggi School Art Creation Studio conducted a lesson in which students created mobiles that expressed the movements and textures experienced through natural environments. Second, in Tresart's "Making Endangered Animal Robots," students used Theo Jansen's machine mechanisms to replicate the movements of endangered tigers into the robot form. Additionally, kinetic artist Cho Byung-chul has presented kinetic works that hold social and political meanings with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This program consists of a total of six sessions, equally divided into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reas. It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how individuals form a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allowing them to restore forgotten connections and observe the environment to understand its fundamental properties. Participants then explore ways to incorporate these experiences into kinetic art and collaborate on group projects. Peer evaluation, as well as self-evaluation, is conducted and reflected upon during the evaluation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derived from this study delivered methods and ideas to students to connect the topics of movement and environment by referring to existing class cases. In addition, kinetic artists have been observing the process of unveiling environmental messages and applying them in their works.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students will develop their aesthetic sensibility and creative and integrative abilities by experiencing and expressing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kinetic art.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emerge with a more desirable attitude toward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an increased awareness of the preciousn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in their daily lives. Lastly, future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viding students with diverse experiences and knowledge through inter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environmental art and various other art fields.

      • 메타버스 플랫폼 젭(ZEP)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환경미술교육 방안

        박민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Through the industrialization society of the 18th century and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of the 20th century, we are currently living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where digital technologies connect various fields. Moreover, amidst the ongoing knowledge revolution, we are progressing into another dimens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However, this development, on the one hand, is accelerating environmental pollution due to indiscriminate development on Earth. In response, schools are making multifaceted efforts to cultivate students' abilities to cope with future situations, and in art education, continuous research and curriculum revisions reflect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viewed at the current juncture of switching to the 2022 revised curriculum, lacks content on environmental art at the high school level, and research for developing digital competence is also inadequate.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ways to enhanc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providing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ntemplate the environment continuously throughout the program and thereby fostering ecological sensitivity.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familiarize students with the new digital environment highlighted in the digital age and develop digital competence through the use of metaverse during classes. To achieve this, the program was designed for students to create and appreciate environmental art using digital representation tools in the learning environment of the metaverse platform, ZEP.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Chapter I outlined the necessity and objectives of the study, presenting the content, method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Chapter II provided a theoretical background on the metaverse and environmental art education related to the topic of the paper, discussing its values and directions in education. In Chapter III,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as analyzed, focusing on its background and emphases, and the value of environmental art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was discussed by examining the current textbook content o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Chapter IV, a high school-level environmental art program using the metaverse platform ZEP,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current textbooks, has been developed. The program comprises seven sessions, including environmental experiences through the metaverse, artistic expression using digital tools, and appreciation of metaverse environmental art exhibitions.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is program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main points. First, it can enhance the digital competence of students. It helps students adapt to the metaverse environment and cultivate abilities to contribute to creating future culture. Second, it can cultivate ecological sensitivity, perceiving the environment aesthetically. Students will be able to analyze the interrelation between art and the environment, allowing for the assessment of their values. Third, the cultivation of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Students can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through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This study has proposed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a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through the metaverse platform. In the advancing digital era, the metaverse is anticipated to expand, requiring more extensive research to integrate education further. Furthermore, continuous attention to the global environment is crucial to preserve the changing natural environment. We look forward to an in-depth discussion on effectiv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which both the process and results are consistent with environmental art. 18세기 산업화 사회와 20세기 정보화 사회를 거쳐 현재 우리는 다양한 분야와 디지털 기술이 연결된 4차 산업혁명시대를 살고 있다. 또한 계속되는 지식 혁명을 거치며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학습을 통한 또 다른 차원의 발전 진행 과정 속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전이 한편으론 지구 환경에 대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해 환경오염이 가속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대해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미래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미술교육에서도 꾸준한 연구와 교육과정 개정을 통해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 현재 2022 개정 교육과정으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바라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고등학생 수준에서의 환경미술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며, 디지털 역량 개발을 위한 연구 또한 미흡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생 수준의 환경미술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환경에 대해 고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생태 감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메타버스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디지털 시대에서 주목하고 있는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디지털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프로그램은 메타버스 플랫폼 젭의 학습 환경에서 디지털 표현 도구를 활용하여 환경 조형 작품을 제작하고 감상하는 활동으로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장은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연구의 내용과 방법, 그리고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Ⅱ장은 본 논문의 주제와 관련된 메타버스와 환경미술교육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서술하고 그 가치와 교육의 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Ⅲ장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개정배경 및 강조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현행 교과서가 담고 있는 환경미술교육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한 환경미술의 가치에 대해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과서의 분석을 토대로 도출한 지식을 활용하여 메타버스 플랫폼 젭을 활용한 고등학생 대상 환경미술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 7차시로 구성되며 활동은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환경 체험, 디지털 도구를 이용한 작품 표현, 메타버스 환경미술 전시 감상 활동의 3단계로 이루어져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본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는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학생들의 디지털 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며, 메타버스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여 미래 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 둘째, 환경을 미적으로 인식하는 생태 감수성을 기를 수 있으며 미술과 환경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며 그 가치를 판단할 수 있다. 셋째,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며 자기 평가 및 동료평가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기를 수 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발전하는 디지털 시대에서 메타버스는 더욱 확장될 것으로 예상되어 교육과 연계한 더욱 폭넓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변화하는 자연환경을 보존하기 위해 지구환경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과정과 결과가 모두 환경미술과 부합하는 효과적인 환경미술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전개되기를 기대한다.

      • 1인1나무 환경미술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영향

        홍기정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1인1나무 환경미술교육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한 집단의 전후 환경소양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4년 4월 1주부터 4월 4주까지 약 4주에 걸쳐 국어, 통합교과,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에 환경미술교육 활용 수업안을 12차시분 작성하여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에는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하지 않고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과 내용을 중심으로 전통적인 환경수업을 적용하였다. 실험설계는 사전사후통제집단설계법을 이용하였다. 환경소양 측정도구는 윤주영(2010)이 개발한 환경소양 측정문항을 연구자가 이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한 수업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후검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SPSS PASW Statistics 18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 수준은 .05와 0.1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와 함께 학습자의 다양한 생각의 변화와 구체적 행동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내용분석, 행동관찰, 면담의 방법을 통해 수집․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저학년에 대한 환경미술교육을 적용한 결과, 실험집단의 환경소양이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하여 수업을 실시한 결과 지식 영역에서 사전검사 결과보다 사후검사결과 점수가 높았다. 셋째, 내용 분석, 행동 관찰, 면담 등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환경을 소중히 여기고 환경보호 활동에 앞장서는 태도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을 활용하고 앞으로 후속 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환경소양의 지식영역에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는 문항이 있었고, 정성적인 분석에서도 자연에 관심을 갖고 환경보호에 참여하는 등 환경미술교육의 가능성을 보았으므로 좀 더 심층적인 환경미술프로그램의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환경미술교육을 활용한 수업이 환경소양을 기르는 데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므로 다른 학년이나 학교에 확대 실시하여 보다 많은 학습현장에서 이 방식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셋째, 연구가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학생이 쉽게 만날 수 있는 자연친화적인 공간이 필요하므로 학교 숲을 좀 더 많은 학교에 조성하거나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자연친화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적․제도적 장치 등이 보완되어야 한다. 주요어 : 1인1나무, 학교 숲, 환경미술, 환경미술교육, 환경소양 * 본 논문은 2014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환경미술교육의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미술교육 종사자의 딜레마 연구

        이성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미술교과는 교과 내에서 환경을 다룸으로써 환경을 애호하는 지식, 가치관, 태도를 함양하기에 적합한 과목이면서도 물리적인 재료와 매체를 통한 물성 탐구와 조형 활동이 이루어지는 점에서 환경을 파괴하는 양가적 측면을 가지고 있다. 환경을 위해 실천하는 행동이 오히려 환경을 파괴하는 현상을 리바운드 현상이라고 한다.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부족한 인식은 환경미술교육의 목적을 흐리고 결과물만을 추구하는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환경문제 극복에 대한 잘못된 인식과 태도를 심어줄 우려가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지속가능발전교육을 실천하는 데 걸림돌이 될 것이다. 미술교육이 환경교육으로서 올바른 인식과 가치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토대로 이를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미술수업에서 나타나는 리바운드 현상을 최소화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은 제 Ⅰ장에서 상세히 검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이론적 접근을 통해 지속가능발전과 환경교육의 연계성을 탐색하고, 환경미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미술의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리바운드 현상의 정의를 토대로 미술계에서 일어나는 리바운드 현상의 사례를 분석하여 그 개념을 명확히 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환경미술교육에서 리바운드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실천적인 대안을 살펴보았다. 교육 분야와 미술계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고 환경미술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미술과 교육과정이 학교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미술교과서가 학교 미술교육의 주된 교재인 점에 근거하여 교과서에 수록된 환경미술교육 단원의 활동 내용을 분석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를 통해 미술교과서에서 다루는 환경미술교육 활동에서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유의 사항 및 평가관점을 제시하는 것이 학생들의 환경문제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지속가능발전 태도를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환경미술교육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미술교육 종사자들과의 면담을 통해 그들의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인식과 경험, 내면의 사고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제 Ⅵ장에서는 위의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첫째, 미술교과는 표현 과정에서 매체를 사용하는 특성이 있어 리바운드 현상을 완전히 극복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지만 환경미술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인식과 태도를 바꿀 수 있다면 그것으로 교육적 가치를 갖는다. 둘째, 리바운드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수업 사례를 공유하며 미술교육 종사자가 자신의 수업을 보완·발전시킬 수 있도록 소통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미술교육 종사자와 예비 미술교육 종사자는 리바운드 현상을 미리 예상하고 고민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이나 연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넷째, 미술교과서는 미술수업의 주된 교재로서 환경미술교육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리바운드 현상에 대한 안내와 정보를 수록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본 연구는 환경미술활동에서 발생할 수 있는 리바운드현상에 대해 고민하는 모든 교육 종사자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바라며, 미술교육이 지속가능발전교육으로서 실천적인 의미를 지니도록 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art subject is suitable for cultivating knowledge, values, and attitudes that love the environment by dealing with the environment within the subject, but it also shows the ambivalent aspect of destroying the environment in that physical properties and formative activities are conducted through physical materials and media. The rebound phenomenon is a phenomenon in which actions taken for the environment actually destroy the environment. Insufficient awareness of the rebound phenomenon can obscure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nd cause a purpose displacement phenomenon that only pursues results. In addition, there is a risk of planting wrong perceptions and attitudes about overcoming environmental problems in learners. As a result, this will be an obstacle to implement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order for art education to convey the right perception and value as environmental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minimize it based on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 rebound phenomen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to realize the valu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by minimizing the rebound phenomenon that appears in environmental art classes.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tudy were reviewed in detail in Chapter I. Chapter Ⅱ. The link betwee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education was explored through a theoretical approach,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nvironmental art was examined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art. Finally, based on the definition of the rebound phenomenon, the concept was clarified by analyzing the case of the rebound phenomenon occurring in the art world. Chapter Ⅲ. Practical alternatives that can minimize the rebound phenomenon i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ere examined. Specific ca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 art world were examined, and measures that could be applied to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ere explored. Chapter Ⅳ. In that the art curriculum presents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in schools,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art textbooks are the main textbooks for school art education, the activities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units contained in textbooks were analyzed and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this, it was suggested that presenting precautions and evaluation perspectives on the rebound phenomenon i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ctivities covered in art textbooks will help students develop a correct percep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an attitude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Chapter V. Through interviews with art education workers who have experience i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their perceptions, experiences, and inner thoughts of the rebound phenomenon were analyzed. Chapter Ⅵ.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erived based on research were presented. First, art subjects are almost impossible to completely overcome the rebound phenomenon because they use media in the expression process, but they have educational value if they can change students' perceptions and attitudes through environmental art education. Second, a place for communication should be provided so that art education workers can supplement and develop their classes by sharing class cases to overcome the rebound phenomenon. Third, art education workers and prospective art education workers should be given an opportunity to anticipate and consider the rebound phenomenon in advance. Fourth, art textbooks should be improved to include guidance and information on rebound phenomena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s the main textbook for art class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all educational workers who are concerned about the rebound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environmental art activities. In addition, it is hoped that art education will help to have a practical meaning as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 지역사회와 연계한 생태미술교육 사례연구 : 도림천 생태미술프로젝트를 중심으로

        김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대 미술교육은 미술 안의 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미술을 통한 교육, 삶을 위한 미술교육으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범세계적으로 직면한 환경•경제•사회분야의 외부적 문제와 함께 미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함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흐름 속에 미술교육에서 환경적인 주제들은 기상이변, 자원고갈, 환경오염과 같은 생태학적인 이슈들로 인하여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한편, 미술 교육은 미술이 지닌 예술적 감성과 창작 과정이 제공하는 경험적 특성으로 인하여 학습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자발적인 탐구를 이끌어 내는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이에 따라 생태계 보호, 환경 오염, 기후 변화와 같은 환경문제가 오늘날 범세계적 도전과제라면 이것은 미술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교육되고 실천될 수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자연환경을 주제로 하는 미술교육에서 생태론적 사고의 전환과 지역 주민단체 협력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한다. 연구자는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이루어지는 환경미술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자 생태론을 바탕으로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도림천 생태미술프로젝트는 학습자의 주거지와 인접한 도시 하천에서 진행되었으며 지역에서 15년 동안 하천보호 활동을 지속해 온 주민단체와 협력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미술학습이 환경교육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 창조에 기여하는 미술교육이 진행되는지, 환경미술교육이 지역사회 공동체와 연계하여 이루어질 때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의 목표는 첫째, 생명존중, 상생의 정신, 자연과 인간의 상호 유기적 관계에 대한 인식을 내포한 생태적 세계관으로의 사유의 전환이다. 둘째, 자유롭게 상상하고 표현하는 미술활동을 통한 미적 감수성의 발달이다. 셋째, 도림천의 생태 회복을 위한 건전한 지역 예술 문화 형성이다. 교육활동은 총 5회로 이루어진다. 1회는‘생태적 감수성’활동, 2회는‘야생동물에 대한 윤리적 신뢰와 상호책임의식’활동, 3회는‘건강한 하천의 모습 이해하기’활동, 4회는 ‘인간과 자연의 공생적 관계’ 활동, 5회는‘지역사회와 미술로 소통하기’활동이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프로젝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도림천의 자연환경과 다양한 생물의 소중함’을 깨닫게 되었으며‘자신의 삶과 도림천의 공생적 관계’를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지역사회 구성원과 소통과 협력’을 통해 성취감과 연대감을 느꼈으며 지역에서 이루어지는 ‘환경 활동에 참여’하고자 다짐하였다. 셋째, 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환경 단체와 연계하여 이루어짐에 따라 교육 내용에 지역 주민의 입장을 반영할 수 있었으며, 문제초점적 시각에서 벗어나 도림천의 아름다움과 소중함에 주목할 수 있었다. 넷째, 본 프로젝트는 교실 안 교육에 머무르지 않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지역 축제인 ‘도림천문화제’에 미술 작품을 전시하고 지역주민과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환경미술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환경미술교육은 생태적 관점에서 학습자의 삶과 관련된 자연환경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또한 주민단체와 예술가, 정부기관과 파트너십을 구축하여 보다 장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환경미술교육이 궁극적으로 지역사회 교육의 활성화, 지역문화 계발, 환경 변화를 위한 기폭제가 되길 기대한다.

      • 교과통합 수업을 통한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4학년을 대상으로

        이예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일상생활 및 경험에 밀접한 ‘소비와 환경 문제’를 주제로 미술 교과를 비롯하여 국어, 사회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교과통합 수업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어 ‘역량’을 갖춘 지식인을 필요로 하는 시대적 요구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목표로 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한다. 먼저 문헌 연구의 방법으로 선행 연구 자료를 고찰하여 미술 교과와 타 교과의 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 및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술 교과와 타 교과 통합수업의 사례,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의 사례, 미술을 통한 환경교육의 사례 등을 탐색하였다. 이와 같은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자료 분석을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 교과의 관련 단원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지도 방법 및 평가의 방법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본격적인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의 수준 및 흥미를 고려하여 그림책 감상을 통한 주제 탐색, 글과 그림 구성을 통한 그림책 표현 활동, 완성된 작품 감상 활동까지 이어지는 10차시의 프로그램 수업을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는 과정 중심 평가의 방식에 따라 수업 중 관찰 평가, 활동지와 수업 결과물을 통한 포트폴리오 평가를 종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융·통합적 인재 양성을 위한 방법으로써 하나의 주제로 세 교과를 통합하여 교과통합 수업을 개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 및 수업 결과물을 통한 평가를 종합한 결과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이 미술 교과를 비롯하여 국어, 사회과의 관련 단원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프로그램 수업을 통해 연구에 참여한 4학년 학생들이 연구 주제에 알맞은 그림책을 창작할 수 있었고 표현 및 감상 활동을 통해 창의융합능력, 자기주도적 미술 학습능력과 같은 미술 교과의 역량이 강화되었다. 넷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표현 및 감상 활동 과정에서 프로그램 수업의 주제인 ‘소비와 환경 문제’에 대한 인지를 바탕으로 평소 생활 모습을 반성하고, 지속가능한 소비에 대하여 실천 의지를 다질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 4학년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교과통합 그림책 창작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연구자가 예상한 대로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론과 제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와 같이 미술 교과와 타 교과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한 주제 중심 통합수업이 보편화되고 체계적인 발전을 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미술교육이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하는 교육과정 및 시대의 요구에 따라 발전될 수 있도록 여러 교과와 통합하는 교육적 시도가 많아지고, 다양한 학년을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 수업이 더욱 많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 미술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에 대한 교과통합 수업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통합 수업을 개발하여 그 효과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많은 연구자와 교사들은 교과 간 단절성을 극복하여 적극적인 교육과정 재구성을 시도하고, 학생의 삶과 경험에 기반한 다양한 주제를 탐색하고 이와 접목할 수 있는 교과와 단원을 찾아 엮을 수 있는 안목과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교과를 통합하여 교육과정 재구성한 수업이 활성화되기 위하여 교사에게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연수, 수업시간 확보, 다양한 연구자료 등의 환경적 여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현 교육과정이 강조하는 인재상에 비추어 교과 융·통합의 의미를 충분히 분석하여 수업을 설계하였으며, 주제 중심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수업을 진행하고 과정 중심 평가의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시사한 통합 미술교육의 가능성을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미술교육이 다양한 교과와 여러 가지 주제와 함께 엮어 적극적으로 재구성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 that reconstruct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including art courses. The themes of this program is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 daily lives and experiences of 4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designed to cross the boundaries of traditional learning and to foster creative students with the need for intellectuals with 'competence'. The process of conducting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prior research materials were considered as a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Specifically,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need and trend for integrated education in art and other subjects. Also, integrated classes of art and other subjects, education using picture books,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art were explored and referenced. Second, specific guidance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particular, the focus was on integrating the achievement criteria of each subject. Third, the researchers conducted actual classes for students. The actual class was conducted for students. 26 4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searchers considered their level and interest. their level and interest were taken into account. The program lasted a total of 10 hours. Through the appreciation of picture books, students searched for the theme of the program, made stories, and drew pictures. The students appreciated and evaluated each other's completed picture books. The results of the program's execution were derived in accordance with the method of 'process-driven evaluation'. Specifically, the researchers conducted the assessment through teacher observations and portfolio methods during class.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ntegrated classes could be developed under one theme. This is one of the ways to foster 'integrated talent'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cond, it was shown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could achiev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including art courses. Third, through the program, students were able to create picture books suitable for the theme. In addition, students' artistic abilities such as creative convergence skills and self-directed art learning skills were strengthened. Fourth, there was a change in the perception and emotion of the environment among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Whil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y reflected on their daily lives on 'consumption and environmental issues' and pledged to practice sustainable consumption. As a result of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were confirmed as expected. For the further systematic development of this program,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re should be more educational attempts to integrate art education and various subjects, and more classes should be developed for various grades. Second, integrated art classes on various themes should be developed. In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under the theme of 'environment'. I hope that more researchers and teachers will try to actively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ry to develop integrated programs. Third,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necessary for the revitalization of curriculum restructuring. It includes training for teachers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flexible time planning, and various research materials. Based on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art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art education will be reorganized with various subjects under various themes.

      • 환경의식 고취를 위한 업사이클링 아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박경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환경오염 문제를 겪고 있다. 빠른 경제성장을 위해 자연을 훼손시키고 에너지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서 환경은 더 이상 자연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또한 대량생산과 소비문화의 확대로 매일 수많은 물건들이 사용되고 그로 인한 폐기물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다양한 분야에서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며, 환경오염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되고 있다. 그 중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으로 쓸모를 다하고 버려진 물건을 재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업사이클링(Up-Cycling)’이 등장하였다. 업사이클링에서 디자인적 요소는 미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많은 현대 미술가들이 재활용품을 활용한 업사이클링 아트 작품을 통해 환경보호의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업사이클링 아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해봄으로써 미래사회를 이끌어 갈 초등학생들에게 올바른 환경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업사이클링 아트를 체험, 표현, 감상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환경의식 고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둘째, 학생들이 주변의 폐기물이나 재활용품에 관심을 가지고 생활 속에서 미술을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업사이클링 아트 특성을 이해하고 적용하여 창의적으로 업사이클링 아트 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지 연구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먼저 환경교육과 환경의식의 기본 개념, 환경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알아보고 환경교육을 위한 미술 교과의 역할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업사이클링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정의 및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고, 현대미술에서 다양한 업사이클링 아트의 사례를 살펴보면서 업사이클링 아트의 가치와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환경의식의 영역 3가지, 업사이클링 아트 특성 6가지를 정의 내리고 이후 총 8차시의 업사이클링 아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초등학교 3학년 학생 16명으로 2020년 11월부터 2021년 2월까지 연구가 진행되었다. 수업 시작 전 사전 설문지를 통해 학생들의 환경의식 정도에 대해 조사하고, 환경문제와 업사이클링에 대한 이해교육과 업사이클링 아트 체험교육을 실시하였다. 그 후 개별로 작품 계획서를 작성하고 학생들이 직접 준비한 재활용품과 폐기물을 사용하여 업사이클링 아트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전시회와 감상 활동까지 마무리된 후 사후 설문지와 비공식 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환경의식 고취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이 환경문제의 심각성과 환경보호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환경친화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학생들은 쓰레기로 인한 환경문제의 실태와 원인에 관심을 가지고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구체적 실천을 생활화하고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등 지식적, 가치적, 행동적 측면에서 환경의식이 고취되었다. 둘째, 학생들이 생활 주변의 폐기물이나 재활용품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생활 속에서 미술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양한 업사이클링 아트 작가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직접 모은 재활용품과 폐기물로 업사이클링 아트 작품을 만들어 보면서 쓰임을 다 한 재활용품이나 폐기물들의 새로운 가치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서 쏟아져 나오는 수많은 재활용품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일회용품 사용에 대한 경각심, 재활용품을 버리는 방법, 재활용품의 다양한 활용법 등을 생각하게 되었다. 이런 과정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미술을 환경과 관련지어 인지하고, 환경보호를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업사이클링 아트를 생활 속에서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학생들이 업사이클링 아트의 6가지 특성을 살려 창의적으로 작품을 제작하고 성취감을 느끼게 되었다. 업사이클링 아트라는 새로운 장르의 작품을 제작하면서 환경보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었고, 과정과 결과에서 만족감을 느꼈다. 본 연구는 업사이클링 아트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생들의 환경의식 고취에 미치는 영향과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도 우리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다양한 교육에서 지속적으로 업사이클링 아트를 활용한 수업 방안이 연구되어야 한다.

      • 유아미술교육 환경으로서의 아뜰리에와 아뜰리에 교사에 대한 의미 탐색

        이경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Educational potentiality in various areas was acknowledged in the 20th century art education with holistic education through art, which requires infant education institutions to equip art educational space construction and professional art teachers. However, as for art education status in art educational institution in Korea, educational environment is not sufficient yet. In that sense, it needs to find out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al meaning for art activity, and to seek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infant art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at figuring out the value of art educational environment in educational field. For this purpose, it examined how atelier space in Reggio educational field which might give proper implication was utilized in art education, and how atelier teachers played a role in art education for infants. As for the study methodology,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contacting teachers and infants in atelier of Reggio educational institution for qualitative study. In the process of collecting data, it utilized effective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 in observing, describing and analyzing the field situation. The observation took between Sep. 19, 2011 and Dec. 23, 2011 on 3 times per week and 120 minutes per time basis. To get specific data on atelier environment, this study observed various situations in atelier by field recording, computing and photo shooting. As a result, atelier space in an educational institution was used as a space with rich media and tools for artistic experience, freedom space, free selecting space and enlarging thinking space. In a physical space with such meaning, atelier teachers played a role in proving rich opportunities as a mediator of space utilization, support of various media and tools, communication partner, functional guidance and recorder of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Atelier space enabled infants to express aesthetic idea in a free environment and active work and it is utilized as an exploring space with practical value where infants experienced stimulation in their idea. Atelier teachers can be said as an important social art environment in giving growth and change to art education for infants, and improved their roles in considerate mind, recording and studying to give value meaning to infants’ experie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