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래지능형 홈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편의성에 기반한 구축 방안 연구

        채승근 高麗大學校 工學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신축아파트나 주상복합, 리모델링 아파트 및 오피스텔 등을 대상으로 꾸준하게 구축의 폭을 넓혀가고 있어 우리는 진화를 거듭하면서 매일 새로운 일상을 지내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존재한다.”는 유비쿼터스와 만나면서 생활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고 미래를 예측하기 보다는 현재의 생활을 진일보하게 지낼 수 있다. 이와 같은 현대사회의 요구는 머지않아 더 많은 형태로 홈네트워크에 관심이 높아져 집안의 모든 가전기기를 지능형 서비스 기술로 네트워크를 연결해 데이터를 주고받아 조작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것은 물론 통신 인프라가 고도화되어 가면서 기기끼리의 연결이나 웹과 웹의 연결이 간편화 되는 통신 인프라가 발달되었기 때문이다. 초고속 인터넷, 와이파이, 블루투스가 가능하고 스마트폰에서도 손쉽게 연결되어진다. 게다가 모든것이 디지털화 되어 가면서 지능형 홈네트워크 구성도 편리해 졌으며, 더 많은 기기가 연결 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2008년 8월 15일 새로운 국가발전 비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선포하였다. 녹색성장이란 경제성장 패턴을 환경 친화적으로 만들어 에너지소비 감소뿐만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 감소를 동시에 실현시키고, 이 과정에서 개발된 기술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 기회를 확보하자는 것이다. 즉, 환경과 경제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 양자의 시너지를 극대화하여 이를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삼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녹색성장은 에너지와 환경 이외에도 관련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냄으로서 새로운 성장 동력과 기후 변화에 대응해 나가는 종합적인 국가 비전이다. 이것은 친환경 흐름인 홈네트워크 기술을 통한 스마트한 생활을 발전시킬 수 있는 밑거름이 될 것이다. 시장 규모는 매년 2008년 이후 20%대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특히 세계 홈네트워크 • 정보가전 시장과 PC와 네트워크 미디어 주변기기 가전은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이 형성될 것이 전망된다. 이는 도어록, 비디오폰, 전동커튼과 같은 단순제어 중심의 제품 출시가 많아지고 있으며, 지식경제부는 에너지 절감형 홈 가이드라인, u-City 연계형 가이드라인, 실감형 홈 가이드라인을 목표로 “지능형 홈네트워크 산업 기반 조성 사업”을 시행중에 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초고속건물인증제도와 연계하여 홈네트워크 건물 인증 제도를 시행중이며, 또한 국토해양부, 지식경제부, 방송통신위원회와 공동으로 지능형 홈네트워크 설비 설치 및 기술기준을 마련하여 2009년 3월부터 시행중에 있으며, “주택법 시행령“과 주택법시행규칙”에 이를 반영하여 지능형 홈 인프라 구축 활성화를 추진 중에 있다. 미국의 경우는 사업 명으로 AwareHouse AwareHouse : 추진기관 Georgia Tech. 가족 간 유대감제공, 생활편의, 위급상황 대처 등 노약자를 위한 스마트 홈모델 (전자액사서비스, 잃어버리기 쉬운 물건 위치추적 서비스 제공) ,PlaceLab PlaceLab : 추진기관 MIT. 거주자 행동을 인식하여 가전기기를 제어하는 거주자 맞춤형 미래주택 모델(센싱 기반 맞춤형 홈오토메이션, 헬스 케어, 위치추적 서비스제공) 가 있으며 독일은 inHaus inHaus : 추진기관 프라운호퍼연구소. 주거환경 내에 있는 모든 시스템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미래 지능형 홈모델 가 있고, 일본은 DreamHouse DreamHouse : 추진기관 Toyota. 지능적 홈환경 제어로 거주자의 풍요로움을 두 배로 만들어 주는 스마트 홈모델 제시(거주자 및 환경 정보를 통하여 실내공기와 조명, 에너지 등을 자동 제어하는 서비스) 가 있다.[1] 이와 같은 정보화 사회에서 지능형 홈네크워크 시스템은 국내외 회사별로 독자적 구축방식이나 형태 별로 발전하고 있으며 주변기기나 가전기기 등도 제조사 별로 다양하게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독자적 또는 다양한 형태의 발전은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서비스 제공 및 구축 후 유지관리를 수행함에 있어서 비효율적이고 또한 사용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즉 각각 다른 형태의 주변기기에 대한 조작방법과 이해를 하기가 어려우며, 설치나 시공에 있어서도 기술자들의 이해부족을 초래하는 등 홈네트워크 시장의 활성화를 저해하고 있는 실정이다. 위와 같은 기술적 문제점과 아울러 세계화의 추세 또한 홈네트워크 설비 구축 및 서비스가 점차 확대 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제도적 근거는 미비하다. 홈네트워크 제품관련 생산 회사와 국토해양부 등의 정부기관과 연계하여 산업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 및 기기에 대한 품질 향상, 호환성 확보를 위한 대책도 필요하다.[2] 이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 소비자의 정확한 만족도와 선호도 조사가 선행되어 미래 지능형 홈네트워크 서비스 구축을 위한 주변기기의 추가적인 기능을 제시하는 것이다.

      • RFID를 이용한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설계

        김태훈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tarting point of home network services is the time to attempt to make telecommuting possible by establishing a communication service environment such as office, as internet-enabled home appliances have appeared, high-speed networks users have exploded and multiple computers penetration rate in the households has been growing, The home network technology which has been growing in the last ten years draws attention to activating ubiquitous information technology propelled aggressively with the national support and to the various home network services sectors. Home network services are interlinked with all home appliances through mobile and wireless networks and it develops to the services enabling to receive distance education, home automation, remote inspection and a wide range of entertainment services. The intelligent home network services are peppered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fuzzy logic on the basis of such home networking system and to pursue the change of the housing system in order to make human life convenient, safe, pleasant and flourishing by intellectualizing the home system and its functions. Also, offering a variety of customized services for the residents and delivering the information with no location restrictions are the center of the attention. However, users want more services for the differentiated living environment and the need of home network service is required which is able to provide the home users with personalized environment in an efficient way. Individual tastes, habits, lifestyles and the differentiation for the home network services must be separately applied to provide the optimum home network services suitable for the individual tastes of family members, but in fact, the current services has some problems. This thesis is to design the intelligent home network system utilizing RFID as an alternative proposal and suggest a home network application system which is easy to provide more differentiated home network services to every user than the existing method and directly applicable to the individuals for them to realize the quality of the services. 홈네트워크의 출발은 인터넷 정보가전기기의 등장과 초고속망 이용자의 폭발적인 증가, 가정 내에 복수의 PC를 보유하게 되면서 사무실과 같은 통신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여 재택근무를 가능하도록 시도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과거 10여년 전부터 성장한 홈네트워크 기술은 국가지원 아래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 활성화로, 다양한 홈네트워크 서비스 분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홈네트워크의 서비스는 가정내의 모든 가전기기가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언제 어디서나 원격 교육, 홈오토메이션, 원격 검침,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등의 컨텐츠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서비스로 진화 하고 있다. 지능형 홈네트워크 서비스도 이러한 홈네트워크에 인공지능 및 퍼지이론이 가미되어 가정 내 시스템 및 기능을 지능화해 인간의 삶을 편리, 안전하고 즐거우며 윤택하게 만들 수 있도록 주거 시스템의 변화를 추구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 맞춤형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과 장소에 제약받지 않고 자유롭게 정보전달을 제공하는 방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지만 사용자는 보다 차별화된 생활환경에 대한 서비스를 원하고 있으며 댁내 거주자에게 개별화된 환경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가정 구성원 각자의 성향에 적합한 최적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성향, 습관, 생활방식 및 홈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차별화를 각각 적용해야 하지만 현재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로써는 다소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의 하나로서 RFID를 활용한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설계하여, 기존의 방식에 비해 사용자 마다 차별화된 홈네트워크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고, 서비스 체감 또한 사용자 마다 차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능형 홈네트워크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 홈네트워크산업 활성화의 장애요인과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 정책과 제도를 중심으로

        유인목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growth of home networking industry, which has been built up on the development of wire & wireless network technology and HA-equipped apartments, is now grounded on the top high-speed internet access rates in the world and the supply of new housings mostly by apartment buildings. Home network is a fusion industry of IT industry and Non-IT industry mixed up with the housing industry and the home information system and devices as well as the tele-broadcasting network, which has a keen coordination with the high-end industry cultivation policy of each country. The government also has selected the home network as a newly growing dynamic industry, and carries out its execution expecting the production effect of 120 billion dollars and value-added effect of 80 billion dollars by 2010.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some obstacles in the market activation in initial stage, even though there are facing tasks to trigger the domestic industry and to secure the market with competitiveness to advance into overseas by earlier agreement and fruition in the viewpoint that home networking industry can ensur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tandardization of its technolog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look into the obstacles in the government policy and legal system that has hindered in the activation of its industry, while the government had selected home network a newly growing dynamic industry of next generation and prepared various policy and systems for it, and to suggest the activation plan for the growth of home networking industry in full swing. To achieve the objective, this study has reviewed the literature of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home network, forecast of the industry in home and overseas markets, driving policies in major countries and enterprises, also indicated the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the government's policy and legal system after analyzation of the existing controversial points in it that has been driving forward by the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ome network policies that had been driven in aspect of the government, by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and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 Energy, following the necessity of each ministry, have provided the opportunity and support for its market acceleration, however, it is also the reality that they have added up some confusion and burdens to the enterprises. To attain the joint goal of activating the home networking industry, therefore, it is required to move forward with swift supplementation and improvement of all sorts of the systems by operating an integrated organization for close discussion and roll-sharing with each other in order to collect the industry opinions and to secure the reliability and consistency of the government policy, which also is the first priority of the future policy. As for the improvement of regulation and system, the system supplementation is necessary for the promotion of its system & service development that requires huge amount of initial investment. It must be considered to support construction companies, who are the main body of its popularization in the initial market place, for the promotion and distribution of the high quality home networking systems. It will make the catalyst to the construction companies, who are the main body for its spread in the initial market place, to soften the restrictions and to enhance or preserve the profit of them when they adopt home networking systems in new housings, rebuilding, and remodeling. In addition, it is requested to legislate the fusion law and enforcement ordinance of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and the operation of integrated organization in early stage, because the IP-TV is going to spread actively, which is surfacing up as a representative service using the built-in home networking system, also it is desirable to activate the remote medical service to prepare for the aging society by abolition of the restrictions for remote medical services. 유무선 네트워크기술의 발달과 아파트 첨단화로 형성된 홈네트워크산업은 세계 최고의 초고속 인터넷 사용율과 아파트 위주의 신축주택 공급이라는 성장기반을 갖추고 있다. 홈네트워크는 정보가전과 통신?방송 네트워크 등의 IT산업과 주택산업의 비IT 산업이 결합된 융복합산업으로 각국의 첨단산업 육성정책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정부 역시 홈네트워크를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선정하고 2010년까지 110조 원의 생산효과와 73조원의 부가가치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측하여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홈네트워크산업은 기술표준화를 통한 국제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다 빠른 합의와 결실을 통해 국내산업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해외진출의 경쟁력과 시장확보를 해야하는 당면과제가 있음에도 시장초기 활성화에 상당한 장애요인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정부가 홈네트워크를 차세대 신성장동력산업으로 선정하여 다양한 정책추진과 제도를 준비해왔음에도 산업활성화가 되지 못하는 정책과 법?제도 측면의 장애요인을 살펴보고, 홈네트워크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홈네트워크의 산업적 특성, 국내외 산업전망, 주요 국가 및 기업의 추진현황을 살펴보고 정부가 추진해온 정책과 법?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으며, 이에 따른 정책과 법?제도의 보완 및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정부측면에서 정통부,건교부,산자부 등이 각 부처별 필요성에 따라 추진해온 홈네트워크 정책이 기업들에게 시장촉진의 기회와 지원도 있으나 혼선과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홈네트워크산업 활성화에 대한 공동의 목표를 위해 통합기구를 운영하여 긴밀한 협의와 역할 분담을 하므로서, 업계의 의견수렴과 정책추진에 신뢰성과 일관성을 확보하고 각종 제도의 신속한 보완과 개선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향후 정책의 우선순위이기도 하다. 법과 제도측면의 개선에 있어서는 초기 투자가 막대한 시스템과 서비스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시장 초기 보급 주체인 건설사의 고품질 홈네트워크 시스템 보급촉진을 위해 지원 정책이 고려되어야 한다. 신축 주택, 재건축, 리모델링 주택에 대해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시 규제 완화 및 수익성을 제고 또는 보전해주는 것이야 말로 시장초기 보급 주체인 건설사에 대한 촉매제가 될 것이다. 나아가 홈네트워크산업은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한 대표적인 서비스로 부상하고 있는 IP-TV를 통해 본격적인 활성화가 예상되는 바, 방송?통신융합법 제정이후 시행령의 조기 제정과 통합기구 운영이 필요하며, 또한 원격의료에 대한 제한 규정을 철폐하여 고령화시대를 대비하여 원격의료를 활성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네트워크 사업자의 홈 네트워크 실용화 모델 연구

        안병수 건국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디지털 시대로 변화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을 좀더 편리하게 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비쿼터스 시스템의 가장 선두에 있는 기술이다. 사람이 가장 편안함을 느끼는 집을 자동화 함으로써 집에서의 보다 편리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집 이외의 어느 장소이건 관계 없이 집안의 가스·TV 등 일상 생활에 사용되는 것들을 제어 할 수 있게 되었다. 원격에서 집안 가전 제품들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전기·수도·가스 등의 사용량 또한 원거리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제는 여러 시스템을 통합하여 간단한 공공기관의 민원 서비스를 집안에서 처리 하도록 시스템이 향상되고 있다. 홈 네트워크 이전 세대인 홈 오토메이션 시대에서는 아파트 관리실과 세대간의 통화기능 그리고 외부로 외출을 할 때 방법의 기능을 해주는 것이 대부분 이였다. 하지만 현재는 사용자 편의를 위한 UI(User Interface) 기능을 도입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생성하여 새로운 시스템으로 도약한 것이다.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하나의 기술이 아닌 여러 기술들이 복합적으로 합쳐져서 마들어진 융합 기술이다. 향후 새로운 IT 기술이나 기기가 개발되더라도 시스템적인 융합이 가능하다. 현재는 위치기반 시스템을 홈 네트워크에 접목 시켰다. 이 기술은 사람의 위치를 확인하여 엘리베이터 자동으로 동작하게 하는 방법과, 자녀의 학교 도착 유무를 문자 발송 서비스를 통하여 알려주는 방법으로 활용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모든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국내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보급은 새롭게 건축되는 신축 주상복합 아파트나 대규모 U-City 단지에만 사용하기 위해 집을 부수고 새로 지을 수도 없다. 하나의 집이 사용하기에는 엄청난 부담의 시스템 구성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유선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이 보급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원격의 서비스나 컨테츠 등을 활용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 또한 비용 부담이 크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고 일반 가정 즉 단독주택이나 빌라 등 국내 가장 많이 보급된 주택 형태에 적용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역할이 필요하다. 네트워크 사업자가 홈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200년 초반에 인터넷 보급이 급속도록 이루어진 것과 같은 형태의 보급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댁내에 보급되어진 HFC / xDSL 모뎀 등에 무선 홈 네트워크에서 활용 되는 기술인 ZigBee 통신 방식의 조종자 모듈 기능을 추가하여 댁내를 무선환경으로 변환하고 원격 제어 및 컨텐츠 서비스 부분을 IDC(Internet Data Center)를 활용하여 서비스를 한다면 좀더 빠르게 유비쿼터스 환경이 구축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Home network system is the leading technic which is a way to make people' lives more convenient in digital generation. This technic made it enable to live in more comfortable ways by controlling our houses automatically the place we can feel relaxed in, That made us enable to control any things including gas, boiler, television and other home applicances from not only houses but also any other places. We can check the condition of home appliances by remote control and we can check the amount of usage of electricity, water system and gas system with remote control. Now combining several systems altogether made us to unable to deal with some simple public service from a public institution at home. Prior to Home network generation, in Home automation generation, just it was possible to call between apartment secure office and household and to other floor and secure system when they go out, But now User Interface function was adapted for user's convenience and jump into new system making various service. Home network system is not a just one technic but combinational system combining lots of technics complexly. In case new IT technic or equipment appears, merger between Home network and new ones is possible,

      •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가전의 기능 제어에 대한 연구

        김기성 홍익대학교 정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홈네트워크(Home Network) 환경에서 정보가전(Information Alliance)의 기능적 역할은 기존에 가정내에서 사용자가 신체적인 동작과 제어를 통해서 가전기기들을 사용했던 물리적인 방식에서, 인터넷과 다양한 흠네트워킹 기술을 접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하고, 신체적인 제어에서 보다 자동화된 제어로 변환시키는데 있다. 이러한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가전의 기능을 제어관리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필수적인 하드웨어 요소와 소프트웨어적인 플랫폼들이 필요하게 되는데, 이러한 플랫폼들은 궁극적으로 사용자가 정보가전에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되기 때문에, 플랫폼 설계는 사용자의 요구 측면을 중심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와 정보가전의 전반적인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정보가전의 사례를 분석하여, 홈네트워크 환경에서 정보가전의 기능을 제어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측면의 제어프로그램 구성 과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능제어 측면 위주에서 사용자 측면의 기능을 제시하여, 보다 사용자 중심의 제어프로그램이 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The functional roles of Information Appliance in Home Network environment are to provide multimedia information for user and to change from physical control to automatical control in combination with Internet and various Home Networking technologies from the existing ways of using many appliances through user physical operation and management in the home. In order to control and manage the functions of Information Appliances in Home Network Environment, various hardware components and software platforms are necessary to network configuration and these platforms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side of user's needs rather than developer's intention on platform design because these platforms are user interfaces that user can access to Information Appliance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overall definition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Home Network and Information Appliance and to inquire into the process of implementation of management program as side of software which controls and manages the function of Information Appliance in Home Network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study of Information Appliance. As the result of study, the improvements and considerations on the design implementation were suggested and a simple functional ideas of a side of user's convenience were illustrated. These were to examine a possibility of management program of a side of user's convenience.

      • 홈네트워크를 위한 MoIP Wall-Pad 플랫폼 구현

        정용국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고성능 Dual Core Processor를 사용하여 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MoIP 플랫폼을 구현하기 위한 논문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중요 구성 요소인 월패드가 임베디드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출시되고 있지만 멀티미디어 처리 및 영상과 음성을 동시에 주고받는 영상통화 기능에서는 성능이 부족한 경우가 있다. 그 이유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임베디드 프로세서가 MoIP 통화 기능과 다양한 홈네트워크 기능을 동시에 지원할 만큼의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는 점이 크게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Dual Processor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가격이 높아지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홈오토메이션 기능과 영상통화 기능을 ARM 11 Processor를 기반으로 한 Dual Core Processor를 사용하여 해결하고 그에 따라 보드 설계비용 절감, 부품비용 절감, 성능향상을 갖춘 MoIP 월패드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하고 구현한 플랫폼은 Ethernet 망 환경에서 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주고받을 수 있는 MoIP 동작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is to implement MoIP platform to send and receive video and audio at the same time by using high-performance Dual Core Processor. Even if Wall-Pad key component of a home network system is released by using embedded processors, it’slacking of performance in terms of multimedia processing and feature of video telephony through which video and voice are exchanged simultaneously. The main reason could be that embedded processors currently being used do not provide enough performance to support both MoIP call features and various home network features simultaneousl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Dual processor could be used, but in the other hands it brings another disadvantage of high cost. Therefore, this study is to solve the home automation features and video telephony features by using Dual Core Processor based on ARM 11 Processor,and implement the MoIP Wall-Pad which can reduce the board design costs and component costs, and improve performance. The platform designed and implemented in this paperverified performance of MoIP to exchange the video and voice at the same time under the situation of Ethernet network.

      • 무선 환경의 홈네트워크를 위한 홈게이트웨이 기능 설계 및 구현

        정상훈 동명정보대학교 정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로는 홈서버/홈게이트웨이 기술, 유·무선 홈네트워크 기술, 미들웨어 기술이 있으며 각 기술들마다 관련 표준들이 매우 다양하고 각 분야별로 표준화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 홈네트워크 기술 동향을 보면 기존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는 PC 중심의 파일공유, 프린터 등 주변기기를 Ethernet, HomePNA, PLC 등의 유선 기술을 이용하여 공동으로 사용 또는 제어하는 단순한 형태의 홈오토메이션 서비스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유선환경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새로운 배선 공사의 요구, 배선의 길이에 따른 용량의 저하 및 간섭에 의한 불완전한 동작, 많은 선으로 인한 미관상의 불편함 등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사용의 편리성을 추구하려는 소비자의 요구에 의해 Bluetooth, WLAN, ZigBee, UWB 등의 무선 환경의 시스템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환경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서도 각각의 기술(Bluetooth, WLAN, Zigbee, UWB 등)마다 다양한 전송특성이 존재하고, 가정 내 장애물에 의한 음영지역의 발생, 송·수신이 안정적이지못하며 비전문가의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들을 안고 있으며, 또한 소비자가 홈네트워크를 통해 사용하고 싶어하는 새로운 전용 서비스(Killer Application)의 부재도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 제어 미들웨어 중의 하나인 UPnP를 이용하여 가정 내 디바이스를 자동으로 검색, 관리하고, ZigBee(802.15.4)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가정에서 장애물에 의한 음영 지역을 해소하며, 이동 단말기(PDA)를 통해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WLAN(802.11g)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트리밍 서비스가 가능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홈게이트웨이를 설계 및 구현한다. There are homeserver/homegateway, wired·wireless homenetworking and homenetwork Middleware techniques which compose Homenetwork system. There are various standards between every each techniques and standardization is advanced actively in each field. According to homenetwork technology trends, simple forms of pc based file sharing and homeautomation services that use or control peripherals such as printer, in public using Ethernet, HomePNA and PLC, are popular in existing homenetwork system. But now it is prefered to use wireless homenetwork system such as Bluetooth, WLAN, ZigBee, UWB rather than wired to solve need of new wiring construction, inperfect operation by interference, decrease of the capacity by length of wiring and to need about convenience of use by the demand of consumers. But there are many problems which is various transfer features, shade area due to an obstacle, non-stability of transfer, difficulty of management and absence of new killer applications in wireless homenetwork system. In this paper, to search and to manage home devices automatically, weuse UPnP that is one of the homenetwork middleware. Also to solveproblem of shade area due to an obstacle using ZigBee(802.15.4) interface,to control the devices by PDA and to enable streaming services usingWLAN(802.11b/g) interface, we design and implement the embedded basedmobile environment homegateway

      •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한 가구디자인 연구 : 유비쿼터스 환경을 중심으로

        이웅모 홍익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21st century where we are now living can be called the 'Information age(the age in which the value and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ranging to the whole social structure such as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are rising)' centering on Information Revolution designated as the 3rd wave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the computer and IT technology. As the most important concept which is the background of the information age, Internet, Mobile and Ubiquitous of the network system as the symbols of the computer and IT technology can be exemplified. While 'the 1st Digital Revolution' made the world focus the computer and Internet, 'the 2nd Digital Revolution' will accomplish the development of home networking based on Information Appliances in which the computer and Internet are intensified to one and the changes to the digital culture such as quick movability and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because mobile technology will put concrete effects to physical space and move up the evolution of our housing and face the final Ubiquitous age. The future's residential space where the digital technology becomes part of our life will be an Intelligent Housing type in which the home networking system is linked with all the electronic goods and furniture and convergence of electronic goods and furniture will make each other's border ambiguous. In this connection, this study is going to suggest the background of the rise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and to which direction Information Appliances develop and are combined according to the changes of residential spa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urniture suggested in Chapter 4 shows a method which operates as part of the system not as electronic goods similar to furniture nor furniture similar to electronic goods. Even though its basic type takes a furniture type, because a home gateway and RFID chipset are installed, it can be called the furniture of the Ubiquitous environment which enables link to the home network system and operation on the spot. When Internet is linked to the home gateway built in furniture and immediate control of the system by the mobile device becomes enabled, Ubiquitous at home will be part of life. Furniture design tried to express advanced technology with traditional emotion and the image of the network system which may be stiffened by the use of familiar wood materials was tried to be alleviated. From now on, technology development should be unfolded in another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present. The age in which only simple control such as a gas valve or crime prevention function was focused has passed. Image control such as lighting direction control or curtain control should be centered and even in design while the present development has been focused on engineers, henceforth the participation and ability of designers will be more demanded and this will be more prominent in the field of furniture design.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는 컴퓨터 및 IT기술의 발달로, 산업혁명 이후 제3의 물결이라 칭해지는 정보혁명(Information Revolution)을 주축으로 하는 ‘정보화 시대(Information-Age-정치·경제·문화 등 사회구조 전반에 걸쳐 정보와 지식의 가치와 비중이 높아지는 시대)’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화 시대에 들어서서 배경이 되는 가장 중요한 개념으로 컴퓨터 및 IT기술의 상징인 인터넷(Internet)과 모바일(Mobile), 네트워크 시스템인 유비쿼터스(Ubiquitous)를 들 수 있다. ‘1차 디지털 혁명’이 컴퓨터와 인터넷을 중심으로 세상을 만들어 놓았다면 ‘2차 디지털 혁명’은 컴퓨터와 인터넷이 하나로 집약된 정보 가전을 중심으로 한 홈네트워킹의 발전을 이루게 할 것이며, 모바일 기술에 의한 빠른 이동성과 정보의 확산 등 디지털 문화로의 변화는 물리적 공간에도 구체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어 우리 주택의 진화를 앞당기게 될 것이고, 궁극적인 유비쿼터스의 시대를 맞게 할 것이다. 디지털 기술이 생활화 된 미래의 주거공간은 인터넷을 중심으로 한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모든 전자제품 및 가구와 연결 되어 있는 지능형 주택의 형태가 될 것이며 전자제품과 가구의 컨버전스화는 서로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환경이 대두된 배경과, 주거공간의 변화에 따라 정보가전과 가구가 어떠한 방향으로 발전하고 결합할 수 있을지를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물로서 제4장에서 제안한 가구들은 가구를 닮은 전자제품이나, 전자제품을 닮은 가구가 아닌 시스템의 일부로써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기본적인 형태는 가구의 형태를 취하고 있지만 홈게이트웨이와 RFID 칩셋이 심어져 있어 홈네트워크 시스템에의 연결과 작동이 앉은 자리에서 가능한 유비쿼터스 환경의 가구라 할 수 있다. 가구에 내장된 홈게이트웨이에 인터넷이 연결되어 모바일 기기에 의한 즉각적인 시스템의 제어가 가능해지면 가정에서의 유비쿼터스는 이미 일상적인 일이 될 것이다. 가구의 디자인은 첨단의 기술을 전통적인 정서를 담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친근한 목재소재를 이용하여 자칫 경직되기 쉬운 네트워크 시스템의 이미지를 완화하고자 하였다. 앞으로의 기술 개발은 이제까지와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가스밸브나 방범기능 같은 단순 제어에만 초점을 맞추던 시대는 지나갔다. 조명 연출 제어나 커튼제어 등의 이미지 컨트롤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디자인에 있어서도 지금까지의 개발이 엔지니어 중심이었다면 이제부터는 감성적인 디자이너들의 참여와 역량이 더욱 요구되며 이는 가구디자인 분야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다.

      •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여부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아파트를 대상으로

        임효묵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선진국을 중심으로 주거문화는 기존의 기본적인 주거기능의 요구에서 편리성, 안전성, 친환경성 등의 다양한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는 ‘홈네트워크 주거문화’로 변화하고 있다. 2000년대 초기에 고급 아파트와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에서 시작된 홈네트워크 서비스는 최근에는 주택 건설사의 고급화 및 차별화 전략으로 일반 아파트에서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또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과 1·2인 가구의 증가로,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이 가능하도록 만들어주는 홈네트워크건물의 보급은 더욱더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주거문화의 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정부는 기존의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정보통신부, 1999)’와 함께, 2007년 1월 1일부터 ‘홈네트워크건물 인증제도’를 신설하고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와 연계하여 통합 시행을 하고 있다. 홈네트워크건물은 초고속인프라를 기반으로 원격에서 가스, 조명, 난방, 출입통제 등의 홈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일정 기준 이상의 홈네트워크용 배관/배선, 장비 설치 공간 등을 갖춘 건축물을 말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여부가 아파트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홈네트워크건물 인증제도, 공동주택 관련 인증제도, 공동주택 가격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방송통신위원회의 인증 업무 처리지침 등을 조사하여 인증제도와 인증현황에 대해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여부가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헤도닉 가격모형을 활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은 크게 2가지로 나눠지며, 공동주택 관련 인증제도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성북구의 공동주택 83개 단지(260개 평형)를 분석 대상으로 정하였으며,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등급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기 위해서는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자료가 공개된 2009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의 서울시 공동주택 65개 단지(129개 평형)를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성북구 공동주택의 경우에는 친환경건축물 인증과 홈네트워크건물 인증은 아파트 가격에 양(+)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울시의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 1등급 이상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연구한 두 번째의 경우에는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등급 간에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했다. 이는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등급 구분의 실효성에 문제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는 홈네트워크건물 인증 등급을 다르게 받았다고 하더라도 이것이 수요자가 주택을 구매하거나 거주하는데 필요한 동기를 변화시키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홈네트워크건물 인증제도의 등급을 조정하고, 정부 차원에서 홈네트워크건물 인증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last decad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and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require implementation of a Home Network apartment as a new paradigm of housing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clear the present condition of Home Network apartment and examines the Home Network Building Certification effect for apartment price. Using Hedonic Price Model,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Home Network Building Certification on apartment price.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generally, Domestic apartment price is influenced of apartment feature factor such as an area and space for parking per household. Specially, the effect of Home Network Building Certification is influencing in apartment price. These results enhance that Home Network Building Certific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factor of apartment price. But the effect of each rating of Home Network Building Certification is not influencing in apartment pr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