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에 관한 협력 방안 연구

        송종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0

        이 연구는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지역주민의 교육에 대한 욕구충족과 지역교육발전을 위해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의 교육에 관한 실효성 있는 연계협력 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시․도청 및 시․도교육청과 시․도의회의 각종자료 수집 및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병행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현재까지 실행된 교육청과 지방자치단체간의 교육협력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현재까지의 연구가 구호적이거나 비실용적인 부분이 다소 있다고 판단하고 보다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해 내기 위해 연구내용을 시․도청 및 시․도교육청의 교육협력에 관한 조직 구성 현황과 시․도의 자체적인 교육관련 조직 구성 현황 및 업무분장 분석과, 교육협력관제도의 인식조사 및 현황을 파악하여 분석하며, 교육에 관한 조례 제정 현황 분석 등으로 정하고 보다 체계적이고, 실효성 있는 교육협력 형태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위와 같은 연구내용 및 목적을 가지고 교육자치, 재정, 교육협력에 관한 논문 및 학술지에 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시․도청의 교육협력 또는 지원관련공무원, 시․도교육청의 교육협력부서 공무원과, 시․도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시․도의원과 교육전문위원실의 전문위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일부 시․도청 및 교육전문위원실을 방문하여 면담조사도 아울러 실시하였다. 교육협력에 대한 각종 현황 및 분석과 논의 편에서 시․도교육청 및 시․도청의 교육협력에 관한 조직 구성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하였으며, 시․도청의 교육협력관련 부서 업무분장내역을 통해 중복업무와 인력낭비 요소는 없는지 조사, 분석하였다. 교육협력관제도를 운영 중인 5개 시․도교육청의 개요 및 운영 실적을 조사하였고, 광역지방단체의 교육지원에 관한 조례 제정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질적 교육지원방안을 강구하였다. 2010. 6. 2 지방선거에서 광역자치단체장의 교육에 관한 공약을 분석하여 교육재정 투입 상황을 교육의 특수성에 비추어 보았다. 또, 시․도별 교육행정협의회 구성현황을 분석하고, 실효성 확보방안에 대하여도 탐색하였다. 교육협력에 대한 관계자의 의식조사 및 분석 편에서는 교육위원회 소속 시․도의원, 교육협력 또는 지원 관련 시․도청직원 , 교육협력관련 시․도교육청직원 , 교육전문위원실 전문위원 등에 대하여 교육협력 및 교육협력관제도에 관한 인식조사,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의 교육 공약에 관한 인식 조사, 교육지원조례 및 교육행정협의회에 대한 인식 조사, 교육의원 제도 및 교육전문위원실에 대한 인식 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육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5.3%가 필요하다고 답하였으며, 교육협력관제도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84%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이 양 기관의 교육협력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아래와 같은 네 가지의 교육협력증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협력관제도의 확대 설치 및 기구의 법제화 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교육전문위원실’을 ‘교육협력전문위원실’로 하여 교육협력통합창구화하는 방안도 제시하였다. 셋째, 실효성 있는 교육행정협의회 운영을 위하여 교육행정협의회의 조속한 구성을 제언하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집단의 참여와 관련 공무원간의 정보공유 및 유대강화를 위한 합동워크숍 개최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 전국 광역자치단체에서 제정하여 운영하는 각종 교육지원에 관한 조례를 좀 더 실효성 있게 정비하여 교육재정이 보다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마련을 제언하였다.

      • 남북한의 효율적인 경제연계를 위한 항공운송 협력방안 연구 : 남북한 항공사간 협력을 중심으로

        손낙술 연세대학교 경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27

        통일에 대비하여 남북한의 경제연계를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남북 교통망 연결이 필수 요건이다. 남북은 1992년의 합의서 19조에서 "남과 북은 끊어진 도로와 철도를 연결하고 해로, 항로를 개설한다."고 하였으나, 항공부문은 아직까지 실질적인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정부의 항공협력 정책도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남북한의 항공운송부문 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도 미흡한 상태에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독일의 경우를 보면, 통일 16년 전인 1984년부터 정부차원이 아닌 민간 항공사간의 상무협정 등을 통하여 꾸준한 항공운송 협력을 시도해온 것이 1990년 동·서독 통일 전 후의 본격적인 항공노선 망 구축에 큰 도움이 되었다. 이를 고려하면 남북한간의 항공운송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와 논의가 늦은 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 남북한 정부의 합의하에 철도와 도로 등 육상 교통망을 연결하고 있으나 여기에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 될 것이며 현재의 북한 사정으로 보아 대부분을 우리가 부담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에 비하여 항공교통망이나 해운교통망은 별도의 투자비용이 소요되지 않고 남북한 정부 당국간의 제도적인 합의에 의해 쉽게 연결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항공교통망을 이용하는 항공운송 수단은, 북한 지역이 대부분 산악 지역으로 되어 있어 타 운송 수단에 비하여 그 효용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남북한 교류의 내용과 진전속도에 따라서는 향후 남북한간의 항공운송부문의 협력이 남북한의 시급한 과제로 떠오를 가능성이 크다. 위와 같은 상황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남북한의 항공운송 협력 방안을 제시하는데 주제를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논의를 통하여 연구주제에 관한 결론을 맺고자 한다. 먼저, 제2장에서는 남북한의 공항시설 및 항공운송 전반을 비교 분석하고 북한의 항공운송 인프라의 구축 실태를 파악하여 봄으로써 남북한 항공운송 협력 방안 도출을 위한 기본자료로 활용하려한다. 제3장에서는 남북교통망 연결계획을 기초로 북한의 육상교통시설 투자비용의 규모를 살펴봄으로써, 타 운송수단과 대비한 항공운송수단의 우위여부를 경제적 관점에서 판단하려하며, 남북한 교류 시나리오별로 남북한간의 항공운송 수요를 전망하고 남북한의 항공운송 협력정책의 방향과 과제를 도출하려한다. 제4장에서는 도출된 항공운송정책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항공운송협력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특히 독일 등 분단국, 비수교국간의 항공운송 협력 사례의 분석과, 항공사간의 제휴에 관한 일반 이론과 제휴 사례 등을 토대로 남북한의 상황에 적절한 협력방안을 정부차원의 협력 방안과 민간차원의 협력 방안으로 구분하여 제시하려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 부분인 제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요약·정리하면서 본 논문의 주제에 대한 결론이 내려 질 것이다. Traffic network is the most indispensable mean for an effectiv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s part of the preparation for reunification. In the 1992 Agreement, Article 19 states, South Korea and North Korea shall connect the disconnected roads and railways, and open airway and seaway. However, as far as the airway is concerned, there has not been any accomplishment so far. Not much study has been done on the air transportation cooperation issue, and the government has only come to the point of framing the basic direction of air cooperation policy. In the case of Germany, civil air carriers of East and West Germany have constantly tried to form a cooperative mood through commercial convention since 1984, and this was of great help in establishing air transportation network throughout the country after reunification in 1990. Considering that, it's already late for South and North Korea to start studying and discussing air transportation cooperation system. Recently, govern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 have agreed on connecting ground transportation network such as railways and roads. However, this requires tremendous time and cost, and the cost will be inevitably the responsibility of South Korea considering the financial status of North Korea. On the other hand, the air transportation or the maritime transportation network does not require any investment cost, but only an institutionalized agreement between the two governments. Considering the mountainous geographical feature of North Korea, the air transportation is highly preferable compared to the others. Therefore, depending on the contents and rate of interchange between South and North, the possibility of air transportation issue becoming an imminent task for both countries may rise. Based on the knowledge of such background above, this study is devoted to presenting measures to accomplish a cooperative system of air transpor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In chapter 2, airport facilities and the aviation industries of the two countries are analyzed and compared. This analysis and comparison will be the base data in deriving cooperation measure. Chapter 3 reviews the investment cost of ground transportation network to make it clear how air transportation network is financially preferable compared to ground. Also, the air transportation demands of different interchange scenarios will be viewed, and the direction and tasks of the cooperation system will be derived. Chapter 4 presents air transportation cooperation measures to realize the direction and tasks derived in Chapter 3. Based on case studies including Germany's air transportation cooperation and general principle of air carrier partnership, governmental measures and civil measures appropriate for the South-North situation are presented separately.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what's been discussed, and gives conclusion to the subject of this thesis.

      • 하이난성과 한국 간의 관광과 전시컨벤션산업에서의 협력증대방안

        장몽금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27

        하이난은 관광자원이 풍부하고 전시컨벤션산업의 잠재력이 큰 지역이다. 한국은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 분야에서 전문인력과 운영경험측면에서 하이난 성에 비하여 앞서 있다. 따라서 두 국가 간에 두 산업에서의 협력을 도모하면 시너지 효과(synergy effect)를 확보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본 논문은 전시컨벤션산업과 관광산업이 산업집적(industrial cluster)을 형성할 수 있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하이난성과 한국의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에 SWOT분석, 마케팅믹스 전략, 국제협력전략을 사용하여 협력증대방안을 도출하였다. SWOT측면에서 하이난성과 한국은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에서 틈새시장을 확보할 가능성을 발견하였고, 이 같은 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전략과 공공정책을 이 분야의 인적자원개발과 관리와 산업인프라구축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 마케팅믹스전략차원에서는 제품개발과 판매촉진분야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분야에서 하이난성과 한국은 보다 체계적인 시장조사와 제품포트폴리오를 발전시킬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다. 국제협력자원에서는 이미 출범한 하이나-제주-오끼나와현과의 협력은 실질적으로 동북아와 동남아를 연결시키는 교량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고, 2013년에 와서 합의점을 찾기는 쉽지는 않지만 한중일간의 자유무역협정의 모색은 하이난성과 한국과의 관광산업과 전시컨벤션산업에서 보다 안정적인 총공급망과 핵심고객에 대한 고객관리기법을 효과적으로 동시에 구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리라고 예상된다. Hainan is famous for its abundant tourism resources and such an endowment may be fully utilized for developing exhibition convention industry. Korea is far ahead to Hainan in both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nfra-structure. This dissertation has demonstrated the possible synergistic effect for launching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se two regions in the realms of tourism and exhibition convention industry by adopting the SWOT, marketing mix strateg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odel. The SWOT analysis demonstrates that it is required for both regions to concentrate o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scheme and the build-up of infrastructure as effective means of capturing potential niche markets for the tourism and exhibition convention industries. An analysis on the marketing mix strategy emphasizes the imperative need to develop a systematic marketing survey for facilitating product development and promotion activities.

      • 韓·中·日 電子商去來 協力方案에 관한 硏究

        이상준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14

        최근 인터넷과 정보통신의 급속한 발달은 인터넷을 통한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의 출현뿐만 아니라 통신과 방송의 융합 등 일상적인 패러다임의 변환 시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전자상거래는 분명 새로운 경제 성장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현재의 전자상거래는 특정지역이나 특정 국가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그 거래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기존의 국내 문제로만 여겨왔던 여러 가지 문제들이 전 세계적인 문제로 확대되고 있으며 점차 세계 경제가 글로벌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동북아지역이 미국, 유럽과 함께 세계의 무역중심국으로 부상하면서 동북아 지역 내 주축을 이루고 있는 한·중·일 3국의 협력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의 목적은 동북아 지역 내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해서 3국의 전자상거래 협력 필요성을 알아보고 한·중·일 각국의 전자상거래 현황을 분석하여 한·중·일 전자상거래협력 구축에 따른 문제점과 협력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조사방법을 채용했으며, 이를 근거로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협력방안을 제시했다. 본 논문에서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협력방안을 정치·외교적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기술·제도적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치·외교적 측면에서는 정치와 경제의 이원화를 통한 ‘경제의 정치화’를 해결해야 하며, 중국의 지속적인 대외개방정책과 한·중·일 3국간 다자간안보대화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서 동북아 지역 내 지역불안정 요소를 제거하고, 평화와 번영 이라는 '지역 공동선' 창출을 위해 다자간 협력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한·중·일 3국이 역사에 대한 공통인식과 공동운명체적 인식을 확대해 나갈 때 한·중·일 3국은 완전한 형태의 전자상거래협력 뿐 아니라 경제협력을 이룰 수 있다. 셋째, 기술·제도적 측면에서는 먼저 한·중·일 3국은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법률과 제도를 제정해야 하며, 한·중·일 중심의 전자상거래협력사업의 전개를 통해서 3국의 전자상거래 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협력경로 확보와 한·중·일 3국간에 존재하고 있는 전자상거래 정보격차해소사업의 진행도 필요하며, 전자상거래 거래과정의 재설계를 통한 거래모델의 개발과 전자상거래 기술 관련 표준화체제구축, 전자상거래결제 모델의 개발, 전자상거래의 안전성 제고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한다. 21세기 세계경제는 정보화와 지식경제라는 새로운 패러다임(Paradigm)속에 글로벌리즘(Globalization)의 보편화, 지역주의(Regionalism)의 확산, 중국 경제의 부상 등 20세기와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더불어 동북아시대의 도래를 말하는 논자들이 늘고 있는 시점에서 동북아 지역 내 한·중·일 3국의 전자상거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 방안 연구 : 목포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권남익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13

        School libraries have evolved into digital libraries, media centers, and teaching-learning materials centers in terms of appearance in the midst of improvement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informatization of education for the last several years spurred by the arrival of knowledge-based society and lifelong learning society. They're also placed in the middl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emphasizes the students' data utilization abilities and problem solving skills in order to attain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increasing their self-directed learning capacity. Devised to support those changes was the "General Plan to Activate School Libraries." This study reviewed the policy research data around the four major projects to make school libraries better, which were part of the General Plan to Activate School Libraries sugges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o research the cooperation plans between schoo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Using the related literature, the cooperation plans between the two types of libraries were investigated. In an attempt to make the research questions with respect to the cooperation plans more specific, the current state of 30 school libraries(20 in Mokpo, 5 in Shinan, and 5 in Wando) was analyzed which were supported by the Mokpo Public Library in terms of traveling librarians. In addition, the teachers in charge of libraries were interviewed and surveyed.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ncrease professionalism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basic facilities and books established as part of the project to activate school libraries, to resolve the shortage of human resources at school libraries through the dispatch of traveling librarians, and to search for the ways of mutual cooperations by forming a cooperation system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so that they could make a contribution to active services to users. Thus the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e of cooperations between the Mokpo Public Library and the school libraries and searched for the ways of better cooperation. As a result, there were four areas of cooperations, which were uses of data, educational supports, activation of the libraries, and job sharing and exchanges of librarians among the libraries. First, the cooperations in the area of uses of data were examined. Considering that the school libraries couldn't afford to make up for lacking data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at the public libraries had relatively more books than the school ones, the more active uses of the public libraries' data should be encouraged through the cooperations between them. Concrete ideas include mutual lending, group lending, electronic books, and books related to the subjects. Second, the area of educational supports was taken into account. Most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libraries were regular teachers with no certificate of a librarian. Therefore, traveling librarians dispatched from the public libraries can help with the operation of the school libraries by providing the user education(the faculty and students) and assistant education(the book clubs and parents). Even the computerization of a school library cannot guarantee the desirable uses of the book management program since the teachers in charge are replaced too often and the assistants don't remain the same year after year. Thus the public libraries should offer education about the book management program to promote cooperations between the school libraries and them. Third, the cooperation plans were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activation of libraries. The activation of both the school and public libraries can be expected through mutual visits based on the latter's "One-Day Experiential Study" program, the promotion of the programs run by the latter, and the networking of book programs between the former and the latter. And fourth, the cooperation plans were examined in the area of job sharing and exchanges of librarians among the libraries. Lists of recommended books and regular and irregular exchanges can be great ideas to promote cooperations between the school and public libraries. Understanding the reading skills and interests of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ir developmental stages and connecting the results to appropriate data, the librarians of the public libraries can work together with those(or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school libraries, who are accustomed to the curriculums, in selecting and recommending good books and distributing the lists to school and community libraries. The lists will be of great help to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in choosing a book. When there are exchanges between the public and school libraries in the level of librarians, it's possible to search for more specific cooperative measures and accordingly to induce higher-level cooperations between the librarie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된 기본시설과 장서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성을 제고하고 순회사서 지원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인적자원 부족 문제를 일부나마 해소하고 적극적인 이용자 봉사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협력 체제를 구축하여 상호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시한 학교도서관 활성화 종합방안의 하나인 좋은 학교도서관 만들기 4대 중점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정책연구 자료를 검토하였다. 따라서 이와 관련된 문헌을 토대로 두 기관의 협력 방안을 연구하였다. 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문제를 구체화하기 위해 목포공공도서관에서 순회사서 지원을 하는 30개 학교도서관(목포 20개교, 신안 5개교, 완도 5개교) 현황분석과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면담과 설문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포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 간의 협력현황을 분석하여 보다 나은 협력방안을 모색하였고, 자료이용, 교육지원, 도서관활성화, 도서관 업무분담 및 사서간 교류 등네 가지 방안을 마련하였다. 첫째, 자료 이용상의 협력면에서 학교도서관의 부족한 자료를 단시일 내에 확충할 수 없는 현실과 공공도서관의 장서량이 학교도서관보다 상대적으로 많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양 도서관의 협력을 통하여 우선 공공도서관의 자료를 이용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상호대차, 단체대출, 전자책 제공, 교과관련도서비치 등이 있다. 둘째, 공공도서관의 순회사서지원을 통해 학교도서관의 이용자(교직원 및 학생) 및 도우미(도서반, 학부모)교육을 실시함으로써 학교도서관 운영에 도움이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전산화가 이루어진 학교도서관이라 하더라도 담당교사의 잦은 교체와 도우미 인력이 매년 동일하지 않아 도서관리프로그램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의 도서관리프로그램에 대한 교육기회의 제공을 통해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셋째, 도서관 활성화 협력면에서 살펴보면 공공도서관의 ‘일일체험학습’이란 프로그램을 통한 상호방문, 공공도서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홍보 및 독서관련 프로그램을 연계해서 운영한다면 양 도서관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도서관 업무분담 및 협력체제 구축 측면에서 살펴보면 권장도서목록제공, 정기적?비정기적 교류를 통한 협력이다.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따른 독서능력과 흥미를 이해하고 이를 적절한 자료와 연결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의 사서와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교육과정에 익숙한 학교도서관의 사서(담당교사)가 함께 권장도서의 목록을 선정하여 학교 및 지역의 도서관에서 제공한다면 학생 및 학부모들의 도서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사서간 교류를 통해 체계적인 협력체제를 구축하여 보다 구체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한다면 더 높은 수준에서의 도서관 협력도 이루어 질 수 있다.

      • 장로주의 교회관에서 바라본 지역교회와 선교단체의 협력방안 연구

        서진상 安養大學校 神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812

        본 논문은 지역교회와 선교단체의 협력방안을 절대 절명의 과제로 삼고있다. 교회가 사회에 대해 그 어떤 영향력도 줄 수 없다면 이미 교회로서 실패하고 있는 것이다. 주님이 우리는 세상의 빛이요, 세상의 소금이라고 했는데, 세상 사람들이 빛을 보고도 여전히 어두움 속에서 행하던 대로 행하며 살고 있다면, 이미 그 빛은 빛이 아니며, 소금이 소금으로서의 그 맛을 내지 못하면 그 본연의 성질을 상실한 것이기에 주님이 엄히 말씀하셨듯이 밖에 버리워서 지나다니는 사람들에게 밟혀야 한다. (1)평신도의 역할 극대화 종교개혁 당시의 대 전제였던 만인제사장주의를 진정으로 회복해야 한다. 그렇다고 그것을 극단적으로 적용하여 교회의 교직제도를 부정하고 모두 다 형제요, 자매라는 식으로 흘러가서는 안되겠지만, 목회자와 평신도의 구분이 그 직능에 의한 구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신분은 동일한 성도이지만 그 기능, 임무, 직분, 사역이 다르다는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선교단체에서 평신도들이 자비량으로 선교현지로 직접 찾아 들어간 것은 대단히 바람직한 선교전략이라고 생각된다. 선교현장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재정적인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그 삶속에서 하는 업(業)으로 통해서 복음의 산 증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은 전략 중에 전략이다. 성경의 인물 가운데 사도행전 18장에 나오는 브리스가 부부도 장막을 만드는 일을 통해서 시대적인 전도자인 바울을 실제적으로 돕고 로마서 16장의 인물로 기록이 되어져 있다. 이런 평신도의 역할의 극대화는 선교단체의 강한 장점이다. 간사제도가 교회의 교직제도가 아니지만 평신도들에게 그에 걸맞는 호칭을 주고 일할 수 있는 일터를 제공하여 복음을 위해 헌신 할 수 있는 장(場)을 제공한 것은 대단히 바람직한 것이다. (2)적극적인 사회참여 굳이 개인구원과 사회구원에 대한 논쟁을 하지 않더라도 우리 개혁교회들이 사회문제에 대해 무관심한 것은 어떤 핑계를 말한다고 해도 비난을 면할 길이 없다고 생각된다. 구원받은 우리 개인이 이 사회 속에서 하나님의 구체적인 통치가 실현되는 곳으로 변화시켜야 하는 것은 우리의 의무이자 책임이다. 이것을 위해 칼빈은 제네바에서 이미 그런 일을 보임으로 우리들에게 나아가야 할 바를 시사해 주고 있다. 예를 들자면, 현재 논란이 되고 있는 "체세포 복제를 통한 베아줄기 세포 연구"에 대해 그 부당성을 적극적으로 알리고 성경적 입장에서 우리 인류 전체가 죄악된 길로 가는 것을 막아야 하고, “체세포 복제”를 대체할 수 있는 "성체세포" 연구쪽으로 나아가도록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행동을 해야 한다. (3)선교의 네트워킹 사회가 발전하고 시대의 변화 속도가 굉장히 빠른 오늘날 어느 한 개인과 단체가 세계선교를 감당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실제로 교회와 선교단체의 바람직한 관계는 서로 배타적인 관계가 아닌 보충하고 보완하는 관계가 되어야 한다. 그래서 선교단체들은 복음전도를 통해 그리스도를 영접한 이들을 지역교회에 보내서 다양한 경험과 배경에서 훈련받아 온전한 신자로 헌신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그리고 기성교회는 선교단체들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후원을 아끼지 말아야하고 선교단체들의 지도자들을 인정해주고 격려하며 서로 아름다운 인격관계를 유지하면서 복음전파의 효율성을 기하는데 최선을 다해야 한다. 결국 기성교회는 선교단체를 위해 물심양면으로 돕되 개척교회나 선교사를 파송하여 선교사업을 하는 것과 같이 책임을 가지고 적극적인 후원으로 이들에게 지역교회와 깊은 유대를 가지고 세계 선교에 동참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이라 생각한다. 한편 선교단체들은 교회를 돕는 일을 할 뿐만 아니라 교회로 하여금 젊은 교회가 되도록 대학부를 활성화하는데 힘써서 교회와 상호 보완관계에 대한 인식을 가지도록 하며, 아울러 창조적인 관계가 계속 유지되도록 노력함이 바른 관계 정립의 지름길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의 전제가 되는 것은 같은 교리와 신앙고백과 교회의 정치원리가 일치가 될 때 가능한 것이다. 단순히 복음을 증거하고 예수 믿게 하는 것을 넘어서서 성경의 교리와 신앙고백의 일치를 추구하고 정치원리를 실천해 가는 것은 지역교회가 중심이 되어야 가능하다. 특별히 본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인 지역교회는 현재 선교단체의 현실을 감안하고 인정해야 할 것은 인정하지만 우리의 믿는 바 신앙의 표지를 바르게 교육하고 가르쳐서 같은 믿음의 색깔과 신학사상을 가지고 주님의 지상명령을 따라 간다면 얼마나 아름다운 일이 되겠는가? 이런 것들이 이상적인 안이 되겠지만 현실을 감안하여 지역교회들이 연합하고, 선교단체들이 연합하고, 더 나아가 이런 연합체들이 모여 하나의 선교적 공동체를 구성하여 선교훈련 프로그램을 공유하고 선교사를 후원하고 실제적인 선교가 이루어지도록 서로 협력하는 선교 네트워킹을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일련의 일들을 통해서 우리는 세계 도처에 교회를 세워가야 한다. 하지만 아무 교리도 없고, 아무런 신학도 없고, 그냥 예수님 믿는 정도의 교회를 세워가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적어도 우리가 믿고 우리가 확신하는 바 가장 성경적이고 가장 주님이 기뻐하신다고 확신되는 개혁주의적 장로주의 교회를 세워가야 한다. 단순히 예수 믿는 무리를 모아 둔 교회를 세우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이 우리에게 교훈하고 있는 대로, 즉 성경적 정치원리 위에 교회를 세우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 정치원리가 살아 있어, 그 정치원리에 따라 교인의 대표를 선출하고 선출된 그 사람에게 기꺼이 치리를 받고자 하는 그런 교회를 세우고자 하는 것이다. 하나님의 말씀이 살아서 역사하고 성례를 비롯한 하나님의 은혜의 방편이 있고 성경적 정치원리가 살아 있는 그런 교회를 우리는 지향해야 한다.

      • 中國의 環境汚染과 關聯한 外國 事例考察 및 環境協力方案 硏究

        서상운 西江大學校 公共政策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812

        중국은 1978년 개혁개방이래 오늘날 급속한 공업화로 인해 오염물질의 배출이 급속히 증가하여 한국에 대한 피해가 가중되고 있다. 대기오염물질은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데, 특히 중국은 각종 오염물질로 주변국가들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반도를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에 대한 오염물질의 배출과 기류이동에 따른 장거리 이동 및 그에 따른 환경오염에 대해 연구, 조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필자는 중국의 환경오염과 관련되는 외국의 사례들을 살펴보고 동북아 환경 협력방안 연구에 맞추었다. 그것은 중국이 우리나라와 지리적으로 가장 밀접한 관계에 있어 중국에서 발생된 오염물질이 기류나 해류를 타고 우리나라의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연구는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의 문제에 대해 보다 효과적인 정책적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관련이론, 협력사례 및 중국의 대기환경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경제성장과 환경오염에 관한 Grossman과 Krueger의 가설에 의하면, 대기오염은 일인당 GDP 4,000불 내지 5,000불을 기준으로 그 이전에는 경제성장에 따라 증가하는 반면, 그 이후가 되면 감소한다. 이를 토대로 중국의 대기 오염이 개선되기 시작하리라고 여겨지는 시기를 추정해 본다면 2022년이 도출되었다. 다시 말하면, 적어도 이 시기까지는 중국의 대기 오염은 증가한다는 것이다. 둘째, 산성비 문제와 관련된 기존의 타 지역의 국제 협력, 특히 유럽의 협력은 성공적이었다고 평가되고 있는데 그 주요한 요인은 단계적 협력방안이었다. 초기에는 구속력이 다소 떨어지는 공동감시, 측정을 위주로 하고 협력 후기에는 의정서 합의 및 실천적인 피해 보상에 주력하는 2단계 접근이 주효했던 것이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에너지 사용에 따른 대기오염(특히 아황산가스) 배출량을 비교해 본 결과 1990년 한국이 157만 7천톤, 중국 2404만 4천톤(한국의 15배)인 것이 2025년에는 각각 494만톤, 10788만톤(한국의 22배)으로 변화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한국의 연료 소비구조가 저황 연료로 대체되고 있음을 고려할때 위의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 한,중간의 환경협력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되는데 그 형태는 피해자 부담위주의 공동감시, 조사 단계와 오염자 부담원칙 위주의 의정서 작성 및 국제 규제 단계의 2단계로 진행될 것이 요구된다. 그 주요한 이유로는 첫째, 한국의 능력배양 시기 확보의 필요성, 둘째, 국제 환경문제의 특성상 피해자 부담 원칙부터 시작해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지적할 수 있다. 그리고, 동북아환경협력 활성화와 한반도의 환경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중국으로부터의 공해대책은 기본적으로 동북아 환경협력의 틀 안에서 논의되고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국의 오염방지 임무를 위하여 오염방지시설의 지속적인 확장건설, 공업 오염물의 처리능력 제고 등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충분한 투자가 어렵기 때문에 이를 위해 국제환경보호 차원에서 환경개선차관 제공 등이 적극 고려되어야 하겠으며, 낙후한 환경오염 방지기술의 진보를 위해 선진국들의 과감한 투자 등 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산성비에 대한 대책은 우선적으로 스모그, 오존농도 상승 등 오염 감소방안과 맥락을 같이하여 추진되는 것이 타당하며, 대기오염물질의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국의 경제발전 단계와 가용한 에너지원을 고려해 볼 때 앞으로도 석탄연소에 의한 산성비 원인물질의 배출이 크게 증가할 전망이다. 따라서 동북아지역의 대기오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관련 국가간 환경협정 체결이 바람직하다. 결국 중국의 오염물질 배출감소를 위한 기술 및 재원의 제공 또는 확보를 위한 메카니즘이 제시되지 않으면 대기오염물질의 배출감소는 어려울 전망이다. 중국의 배출감소는 중국의 오염을 줄이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한국의 대기오염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므로 정부 차원에서 적절한 정책 결정이 필요하다고 본다. 배출 감소의 緩急은 우리나라에의 영향과 국내 환경산업의 능력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이 타당하며 환경보호와 국가간 친선을 도모하는 계기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保障體系爲主進入第二階段. 第三, 根據中韓兩國對資源的使用, 對大氣汚染(特別是亞黃酸氣體) 物的排出量相比較的結果爲 1990年 韓國 157萬 7千?, 中國 2404萬 4千?(韓國的15倍). 豫測到 2025年, 分別變爲494萬?, 10788萬?(韓國的22倍). 但韓國將考慮以環境型燃料取代而之時, 以上的差距會越來越大. 以上硏究結果被視爲韓,中兩國間環境協力中有待解決的急需課題, 其形態爲對被害者負擔爲主的共同監視, 調査階段與對汚染者的負擔原則爲主的協定書制定及按國際規則的要求進行第二階段. 其主要事由: 一, 爲確保韓國的能力培養時期而需要的必要性. 二, 在國際環境問題的特性上, 可持出以被害者負擔的原則開始, 方能得到其效果的事實. 之后, 爲防止東北亞環境協力的活性化與韓半島環境汚染, 開始把中國環境的基本公害對策納入東北亞環境協力的?架之中, 從而進行討論硏究使之得到促進. 再者, 爲防止中國汚染的任務, 與防止汚染設施的急速擴張建設, 工業汚染物的處理能力提高等問題相比, 更要求其相應的積極性措施. 但是, 隨着中國經濟狀況的惡化, 爲改善環境的充分資金問題難以得到解決. 爲次, 國際環境保護組織應織極考慮祭供對環境改善的措施, 而且爲了提高落後的防止汚染技術, 需先進國家付出相應投資等方面的努力. 酸性雨的對策而言, 優先考慮將廢氣,臭?濃度的上昇等汚染減少方案與其相關 “脈絡” 共同促進, 這樣才爲妥當. 然而, 正確評價大氣汚染物所帶來的影響是非常重要的. 考慮到中國經濟的發展階段與家用性資源, 不難想象在今後因煤的燃燒導致酸性雨物質的排出量會不斷增價. 隨着, 爲減少東北亞地區的大氣汚染, 國家間應確立相關的環境協定體制. 總之, 不具備減少中國汚染物排出量的技術及資源的提供或爲確保的協定書的狀況下, 得難減少大氣汚染物的排出量. 中國汚染物的排除不?對其本身有益, 而且會間接的減少韓國汚染物的排出量有所幇助, 所以政府有必要確立與之可行的相應政策. 對緩急減少汚染物排出量以國內的影響與生産環境能力進行考慮較爲妥當, 幷通過國家間的親善友好方式對其環境保護進行靈活性促進.

      • 제주해군기지 건설과정의 갈등과 그 치유를 위한 협력방안 연구

        한옥진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11

        제주해군기지가 위치한 서귀포시 강정마을은 지난 2007년부터 현재까지 제주해군기지 관련 갈등으로 마을공동체가 찬성과 반대로 양분되어 11년 이상 대립하면서 회복하기 힘들 정도로 손상되었다. 그 과정에서 마을 주민들이 겪었던 고통과 아픔은 현재까지도 쉽게 치유되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해군기지 건설과정에서 발생한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치유를 위해 각 이해관계자 간 어떻게 협력해야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도출된 협력방안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을 적용해야하는지 정책적으로 제언하고자하였다. 제주해군기지 관련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지역 언론의 신문 기사를 시간과정에 따라 분석하였고, 제주해군기지 갈등관련 주요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도 실시하였다. 신문과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갈등의 주요 원인과 각 이해관계자들이 서로에게 요구하는 사항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각 이해관계자별로 어떻게 협력해야하는지 그 방안을 도출하여 정리하였다. 첫째 정부차원의 협력방안은 강정 지역주민 중 형사처벌 된 사람들에 대한 사면 복권과 지역발전계획사업을 정상적으로 추진하고 강정마을 공동체회복사업관련 예산을 원활이 지원하는 것이다. 둘째 강정 지역주민 차원의 협력방안은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스스로 갈등해결하려는 자세를 가지는 것, 민ㆍ군 갈등해소를 위한 상생협의체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 공동체회복사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부족한 소요를 발굴하여 제주도에 요구하는 것이다. 셋째 제주도 차원의 협력방안은 강정마을 공동체회복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민ㆍ군 갈등해결을 위해 적극적인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는 것 그리고 강정마을 미래사업인 크루즈 관광벨트 구축사업을 사전 준비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해군 차원의 협력방안은 강정 지역주민과 소통ㆍ화합을 위해 적 극적으로 노력하는 것, 민ㆍ군 교류활동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활동을 확대하고 강화하는 것이다. 협력방안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방법을 수립하기 위해 갈등해결에 성공한 사례들과 갈등관련 제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협력적 거버넌스 개념을 적용한 다자간협의체를 구성하여 협력방안을 추진하는 것을 정책으로 제안하였고, 다자간협의체의 활동을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기 위해 제주도에서 관련 조례나 규칙을 제정하는 것도 포함하였다. 추가적으로 갈등을 치유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주해군기지 건설과정과 강정마을의 역사를 객관적으로 기록한 자료들을 모아 타임캡슐을 제작하는 것도 제안하였다. Gangjeong town in Seogwipo city where Jeju Naval Base located, A town community has separated by two part of positive and negative about Naval Base since 2007. It was damaged what can not be recover while 11 years. The suffering and pain that people in Gangjeong have experienced in process of Jeju Naval Base construction, is not easily healed until now. For that reason, This study want to know what is main cause of conflict about Jeju Naval Base and how to cooperate each parties for cure the conflict. also the author wants suggestions for policy that how to apply the cooperation methods effectively which was already deduced. For understanding about the conflict of Jeju Naval Base, the author analyzed local newspaper's opinion by time follows and conduct interview with the person who associated with Jeju Naval Base conflict. As a result of analyzing newspaper and interview, the author would grasps about the major cause of conflict and the mutual requirement of each parties. Based on this, author could have set up the method that how to cooperate each parties. First, cooperation methods by government. That is a particular pardoning of Gangjeong people whom was sentences a criminal punishment. And proceeding local development plan about Gangjeong normally. Also, positively supporting what plan of recovering about community of Gangjeong village by budgeting. Second, cooperation methods of Gangjeong dwellers. Having attitude about solving the conflict by own centered on local residents. Positively participating the conference for mutual prosperity about solving citizen-military conflict. And people of Gangjeong requiring to Jejudo about the plan of Gangjeong village community recovering which was continually examined by the Gangjeong dwellers. Third, cooperation methods of Jejudo. Positively drives recovering plan of community about Gangjeong village and carry out the positive arbitrator role for solving citizen-military conflict. Also, preparing the building project about cruise tourism which is future business of Gangjeong town Finally, cooperation methods of Navy. Positive effort for communication and concord with local people in Gangjeong. And magnify the activity about exchanging citizen-military assets and boosting local economies. Establish a way to effectively promote cooperation methods, the author analyzed case study of conflict which is successfully managed, but also the rules associate with conflict. As a result author made suggestions for policy that carry out the cooperation methods via multilateral conference with concept of collaborative governance. That involves making the regulation from Jeju local assembly for guaranted of multilateral conference's activities. Additionally, the method of healing the conflict about Jeju Naval Base. the author made suggestion for policy about making a time capsule, which involves the objective history of Gangjeong town and the objective history of Jeju Naval Base construction process.

      • 한국과 몽골의 통상협력 증진방안에 관한 연구

        나랑후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97

        1990년 이후 체제전환과 대외개방을 추진한 몽골경제는 체제전환 초기(1990-1995)와 경제구조조정 가속기(1996-1999)를 거치면서 2000년 이후 안정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몽골경제는 동유럽 국가들을 제외하고는 가장 빠른 개혁속도와 성과를 보여 성공적인 체제전환을 이룩한 국가로 평가받고 있다. 몽골은 체제전환국가 가운데 경제적 충격을 비교적 적고 짧게 받았고, 회복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으로 체제전환에 성공한 몽골 경제는 풍부한 자연자원, 민간부문의 성장,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등을 배경으로 2000년 이후 성장속도를 높여 가고 있다. 1990년 수교 이후 한국과 몽골은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인종적, 문화적, 언어적 유사성 및 경제구조의 상호보완성을 바탕으로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에서 협력관계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켜왔다. 2006년 노무현 대통령의 몽골방문은 정치, 경제, 문화 등의 모든 분야에서 우호와 협력을 확대하고, 상호공동 이익을 도모하였으며, 양국 관계의 한 단계 격상, 성공적인 에너지 및 자원외교 등의 면에서 큰 의미와 함께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어 양국 간의 발전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보여 진다. 최근 몽골경제의 긍정적 요인을 통해서 한국과 몽골의 통상협력 증진방안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몽골경제는 최근 경제성장이 호조를 보이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안정되는 등 경제구조 전반이 개선되고 있다. 그리고 경제성장과 더불어 경제활동인구 및 경제활동 참가율이 향상되고 있으며, 생산가능인구가 증가하는 등 인구구조가 개선되고 있다. 또한 몽골정부와 기업, 일반 국민 모두가 경제성장에 대한 의지가 강하면서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점차 정착하는 모습이며, 적극적인 개방정책으로 대외거래 및 교역조건이 개선되고, 외국인투자가 증가하는 등 대외적인 측면에서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최근 금융시장이 활발한 모습이 보이고 있으며, 민간경제의 유동성을 제공함으로써 실물경제의 성장을 돕고 있다. 몽골은 10대 자원부국으로 일컬어질 정도로 자연자원 부존량이 풍부하여 향후 성장 잠재력이 높은 나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몽골의 경제성장을 위한 긍정적 요인을 바탕으로 한국과 몽골의 통상협력 관계 증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몽골의 통상협력 증진방안으로서, 장기적인 시장잠재력을 도출해 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다양한 산업분야로의 진출을 확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보상무역을 활용하여 교역증대를 높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한국과 몽골의 투자협력 증진방안으로서, 상호보완을 통한 투자협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민간과 외국인투자기업 확대를 위해서 행정적 지원을 적극 강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양국은 전략적 파트너로써 상생협력을 강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한국과 몽골의 정부간협력 증진방안으로서, 양국 간 협력을 위한 중점분야를 선정하여 우선적으로 협력하고, 정부 간 상호보완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노동환경 개선 및 민간교류의 확대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몽골과의 경제협력은 각종 경제적인 특성과 우리나라의 상호보완성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단순히 무역중심의 협력뿐만 아니라 무역이외의 자원 및 기술을 매개로 하는 상생적(win-win)인 다양한 형태의 투자협력을 병렬적, 복합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과 몽골간의 통상협력 증진을 위해서는 현재의 상황을 고려할 때 단기적인 성과를 기대하기 보다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실질적이고 적극적 교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Since 1990 system conversion and market opening has been growing the Mongolian economy after smooth system conversion early (1990-1995) and economic restructuring acceleration(1996-1999) has reached a stable period. Especially, the Mongolian economy is evaluated to be a country that has accomplished successful system conversion because of the fastest innovation speed and performance, except the Eastern European countries. Mongolia has suffered relatively short economic shocks among the system conversion countries, and the recovery speed has been fast. The Mongolian economy that has been successful in system conversion has been heightening the growth rate since 2000, thanks to natural resources, the growth in the private sector, rising foreign direct investments, etc. Korea and Mongolia have developed cooperative relations greatly in several fields such as the economy and culture, based on economic complementarity and despite the short period since racial, cultural and linguistic similarities, the amity in 1990. In 2006, President Roh Moo-hyun´s visit to Mongolia expanded friendship and cooperation in all fields of politics, economy, culture etc., and enhanced mutual profit through cooperation of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be improved more gaining substantial outcome, in terms of an upgrade of two countries´ relation, successful energy resource diplomacy etc. Let's examine a possible cooperation plan for improving trade between Korea and Mongolia through positive factors of the latest development in the Mongolia economy. The Mongolia economy has been showing smooth growth recently, and inflation is stabilized and the entire economic structure is improving. It's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and economic activity participation rate have been improving along with economic growth, and it's production possibility population has increased and the structure of population has improved. Also, the Mongolian government business and all citizens have a strong desire for capitalism, and thus settling down gradually, with strong economic growth, and foreign transactions and the terms of trade have improved by active market-opening´, and is showing stability in the balance of payments, involving increases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The latest financial market boom is proving sufficient liquidity to the real sector, thereby helping economic growth. Because Mongolia has rich natural resources, ranking among the ten largest resource-rich countries, it's growth potential is reckoned high. Thus, the proposals for improving trade relationship are as follows. First, a trade-cooperation promotion plan of Korea and Mongolia, will have to extract a long-term market potential. And we should expand our cooperation to various industrial sectors. Furthermore, we have to utilize compensation trade to increase trade volumes. Second, an investment cooperation promotion plan of Korea and Mongolia, has to strengthen investment cooperation through our economic complementarity. we have to provide active administrative support to the private sector in order to expand the number of foreign invested companies in our economics. Moreover, two countries are expected to strengthen win-win cooperation as strategic partners. Finally, a cooperation promotion plan between the governments of Korea and Mongolia, has to involve a primary cooperation by selecting key areas of cooperation between two countries, and develop a complementary program between the governments. We also have to try improvement in work environment and an expansion of nongovernmental cooperation.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Mongolia and Korea has to proceed to maximize th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the two countries. For this purpose, we have to make various investment cooperation through natural resources and technology transfer as well as trade, in a parallel and multifaceted way to increase synergy effects. Therefore, considering the present circumstances for cooperation promotion in trade and commerce between Korea and Mongolia, it is desirable, to have a long-term perspective on effective and mutually beneficial collaberation, rather than expecting a short-term outc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