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 헬스클럽이용자의 몸만들기와 삶의 질

        주상욱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헬스클럽이용자의 몸만들기 과정을 살펴보고 몸만들기와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속적으로 헬스트레이닝을 하고 있는 60세 이상의 남성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적용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문서자료 등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Strauss & Corbin(2001)의 근거이론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또한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헬스클럽이용자의 몸만들기 과정은 최종적으로 120개의 개념과 39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14개의 하위범주는 '신체활동을 꾸준히 갈망', '노인 신체상에 거부감', '신체상의 지향점 형성', '여생을 위한 노력', '몸만들기 돌입', '변화하려 애씀', '헬스에 의한 몸의 변화', '몸 장악', '나에게 적합한 몸만들기 방식', '몸만들기에 심취', '나 홀로 몸만들기', '몸만들기 중단', '예전과는 다른 몸만들기', '운동의 가치를 전파'의 단계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헬스클럽이용자의 몸만들기는 삶의 질의 사회적인 측면, 심리적인 측면, 생리적인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헬스클럽이용자의 몸만들기 과정에 따라서 나타난 삶의 질의 요소들은 다음과 같다. '나를 버린 사회'에서는 사회적 측면의 삶의 질(노후의 경제상황 걱정, 사회가 나를 무시해, 젊은세대들과의 마찰, 사람을 만나기가 두려워, 부인과의 코드가 달라짐)과 심리적 측면의 삶의 질(무엇이라도 해야 한다, 결단력이 없어짐, 가장으로서 권위상실의 슬픔)이 도출되었다. '헬스트레이닝을 통한 또 다른 시작'에서는 사회적인 측면의 삶의 질(지도자에 대한 신뢰, 지도자와 관계형성, 회원들과 상호작용, 트레이닝을 매개로 관계형성시도, 운동통한 사회적 관계 어려움 극복, 재취업에 신체자본 활용, 새로운 경제활동 계획)과 심리적 측면의 삶의 질(운동통한 심리적 효과, 일상 스트레스 극복, 당당한 남성 성 획득, 당당한 자세로 문제해결능력 증가)이 도출되었다. '달라지는 삶'에서는 사회적인 측면의 삶의 질(퇴직 후 경제활동 지속)과 심리적 측면의 삶의 질(새로운 스포츠에 도전, 다른 스포츠를 헬스트레이닝에 적용, 정신건강의 중요성 인식, 감정조절을 잘함, 노인 같지 않은 신체상의 자부심, 몸에 대한 친구, 가족, 주변인들의 인정)이 도출되었다. '행복한 노년기'에서는 심리적인 측면의 삶의 질(지속적인 신체활동 욕구, 노인이 길 부정하지만 그래도 나는 노인, 지금 생활에 만족)과 생리적인 측면의 삶의 질(운동상해에 대한 관심, 건강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 processing of aged health club user's body shaping a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shaping body & quality of lif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ged men over than 60 years old who is under continuous health-training is fixed on a participant in this study & I investigated qualitative research applied grounded theory research to study method. First, I collected all materials by inner-view, non-participant observation & documents. And then, analyzed the collected materials through Strauss & Corbin(2001)'s grounded theory research. Also, verified a reliability & validity of the research during the processing of material collection &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summarized case by case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processing of aged health club user's body shaping is coming out from 120 concepts, 39 sub-categories & 14 categories. The 14 categories are 'eager desire for sport activity', 'aversion to aging', 'aim to be a perfect body', 'efforts for their remaining years', 'trying to make a body', 'eager for changing body shape', 'body shaping by health training', 'taking power about themselves', 'best suitable way of body shaping', 'enthusiastic admiration of body shaping', 'body shaping alone', 'quit body shaping', 'different way of body shaping as usual' & 'propagating the value of sport activity'. Secondly, aged health club user's body shaping have an effect on all side of society, psychology & physiology. The factors of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ged health club user's body shaping are as following. In the society which get rid of oneself, it comes out quality of life (Economic situation anxiety for their old age, disregarding themselves by the society, trouble with young generation, andophobia, discontinuity between their wife) in social side & quality of life (what they should do, lack in decision, the loss of patriarch's authority) in psychological side. In category of the initiative by health training, it comes out quality of life (reliability for a physical director, making a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director, interaction among members, trying to make a relationship through health training, overcoming obstacles of social relation by sport activity, using body-source by job replacement, planning new economic activity) in social side & quality of life (psychological effect by sport activity, overcoming ordinary stress, being a young blood, good problem-solving skills) in psychological side. In category of changing life, it draws of quality of life (economic activity after retirement) in social side & quality of life (trial of new sport activity, application health training to other activity, importance of emotional health, mind-control, strong body self-confidence compared with general old people, receiving much recognition from friends, family, neighbors) in psychological side. Lastly, in category of happy old-age, it draws of quality of life (longing continuous activities, dening the aged but still be the aged, satisfactory of current life) in social side & quality of life (concerning about injury case from sport activity, effort to recover their healthy life) in psychological side.

      • 헬스케어 산업생태계 분석에 관한 연구

        이창운 차의과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According to the model of behavioral psychologist Abraham Maslow, the healthcare industry has the most basic, social infrastructure, and public good characteristics that can satisfy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safety needs. And, according to Michael, G. Jacobides, the present is the era of the Ecosystem Economy. In the mid to long term, the fate of individual companies in the ecosystem may change depending on the outcome of wars between ecosystems. However, since the conceptual definition and scope of the ecosystem differ from person to person and there is no advantage in comparing them with each other, this study examines the ecosystems of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ame criteria and compares them with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1)As i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indicators of Industry ecosystems are defined by Moore, J. F. and Iansiti, M. and Levien, R. 2)The scope and unit of the Industry ecosystem were set as 23 industries(medium classification) of the 10th KSIC Manufacturing(large classification). 3)The research data of the Industry ecosystem was prepared based on the same standards for all industries, and the statistical data with reliability of the data were selected, while the analysis results using time series data for more than 10 years including the recent year for trend comparison are as follows. First, when compared with 23 industries by indexing niche creation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niche creation_input_R&D investment ranks in the top 5, niche creation_process_patent ranks in the top 11th, niche 9creation_process_intellectual property ranks in the top 5, niche creation_output_export ranks in the top 31st out of 64 SITC items. Second, when compared with 23 industries by indexing the robustness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robustness_Input_new entrants ranked in the top 22, robustness_process_surviving companies ranked in the top 22nd, and robustness_process_exit companies ranked in the top 2nd, robustness_output_sales are in the top 18th position. Third, when compared with 23 industries by indexing the productivity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productivity_input_gross value-added to total assets is in the top 12, productivity_process_total factor productivity is in the top 4, and productivity_output_ROA is in the top 3. In conclusion, when 23 Industry ecosystems based on the KSIC we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research data, niche creation_input_R&D investment(top 5), niche creation_process_intellectual property(top 5), robustness_process_exit companies(top 2), productivity_process_total factor productivity(top 4), and productivity_output_ROA(top 3) sectors are judged to be competitive in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and niche creation_process_patent(top 11), niche creation_output_export(top 31/64), and productivity_process_total factor productivity(top 12) occupy an intermediate position.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judge the competitiveness of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Robustness_input_new entrants(top 22nd), robustness_process_surviving companies(top 22nd), and robustness_output_sales(top 18th) sectors are judged to require expansion of competitiveness in the healthcare Industry ecosystem. 전 세계가 코로나 팬데믹에서 경험했던 바와 같이 사람들은 안전이 확보된 이후에야 사회경제적 활동을 위해 움직일 수 있다는 점에서 헬스케어 산업의 사회적 가치는 시간이 갈수록 커질 것이고,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서는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을 갖춰 나가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단기적으로는 개별 기업 단위의 성장이나 경쟁력 확보도 가능하고 중요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생태계 간 전쟁의 결과에 따라 생태계에 속한 개별 기업의 운명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헬스케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서는 중장기적인 생태계 경제(Ecosystem Economy) 관점에서 살펴보고 다른 산업들과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생태계의 개념 정의와 범위가 사용하는 사람마다 달라 이를 서로 비교하는 이점이 없으므로, 본 연구는 동일한 기준과 잣대로 산업들의 생태계를 들여다보고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와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1)선행 연구들과 같이 산업생태계의 개념과 평가 지표는 Moore, J. F.와 Iansiti, M. and Levien, R.의 정의에 따르고 2)산업생태계의 범위와 단위는 제10차 한국표준산업분류 제조업(대분류)의 23개 산업(중분류)으로 설정하여 비교 기준의 통일성을 확보하였으며 3)산업생태계의 연구 데이터 역시 전체 산업에 대해 동일한 기준과 잣대로 작성되고, 데이터의 신뢰성도 담보된 법정 통계 자료들을 선택하는 한편 중장기적 추세 비교를 위하여 최근 연도를 포함한 10년 이상의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하였고, 분석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혁신성은 R&D투자는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특허권 확보나 수출 확대로는 이어지지 못하고 있다. 헬스케어 산업의 특허는 튼실한 기초연구가 토대가 되어야 가능하고, 헬스케어 분야가 사람의 생명을 다루는 극히 보수적인 분야이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임상을 거쳐 안정성이 확보된 이후에야 의료기관들이 자유롭게 채택, 사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볼 때 혁신성 있는 제품이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국내외 판매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둘째, 산업생태계의 신규진입기업 수는 한 나라의 출생률(Birth Rate)과, 퇴출기업 수는 사망률(Death Rate)과, 존속기업 수는 경제활동인구(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와 개념과 의미가 비슷하며, 저 출산과 고령화로 15세~64세의 경제활동인구의 비율이 급속도로 줄어드는 인구절벽(Demographic Cliff) 현상으로 전 세계가 고민하고 있다.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강건성을 살펴보면 인구절벽과 비슷한 현상을 겪고 있으며,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헬스케어 기업들의 매출 역시 상대적으로 저조하다. 전 세계가 인구절벽 현상을 타개하기 위해 인간을 대체할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로봇 등의 기술개발에 역량을 집중하듯, 헬스케어 산업과 기업의 육성 및 기술개발에 필요한 마중물 역할을 할 수 있는 정부의 중장기적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기업들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생산성이 필요하고,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강건성이 필요하며, 기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혁신성이 필요하다. 즉 생존, 지속가능성 및 성장에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은 생산성이라고 할 수 있다.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생산성은 투자된 총자본이 1년 동안 어느 정도의 부가가치를 창출하였는가를 나타내는 자본생산성(Productivity of capital)은 평균 수준이지만 생산과정의 전반적인 효율성 향상을 나타내는 총요소생산성(Total Factor Productivity or Multifactor Productivity)과 총자산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손실을 만들어 냈는지를 나타내는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은 상대적으로 우수하다. 결론적으로 23개 산업생태계를 기준과 잣대가 통일된 연구 데이터로 상대 비교하였을 때 혁신성_Input_R&D투자(상위 5번째), 혁신성_Process_지식재산_산업재산권 보유/활용(상위 5번째), 강건성_Process_퇴출기업(상위 2번째), 생산성_Process_생산성(상위 4번째), 생산성_Output_수익성(상위 3번째) 부문은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되며, 혁신성_Process_지식재산_특허권 보유/활용(상위 11번째), 혁신성_Output_수출(상위 31번째/64개), 생산성_Input_생산요소 투자(상위 12번째) 부문은 중간 위치를 점하고 있어 헬스케어 산업생태계의 경쟁력 유무를 판단하기에 무리가 있으며, 강건성_Input_신규진입기업(상위 22번째), 강건성_Process_존속기업(상위 22번째), 강건성_Output_매출(상위 18번째) 부문은 헬스케어 산업생태계 경쟁력의 확충이 필요하다.

      • 가상현실 기반 스마트 스피닝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정재형 세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헬스케어 산업은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용 증가 및 경제 성장 부진 등을 대비하기 위하여 질병예방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고 있으며, 가상환경에서의 재활치료 콘텐츠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출시된 콘텐츠는 단일 디스플레이 혹은 다중 디스플레이 기준으로 설계되어있어, 시선에 자유를 갖춘 헬스케어 콘텐츠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환경을 기반으로 게임성 및 건강관리 기능을 갖춘 장치 구동형 스마트 스피닝 플랫폼과 이에 적용 가능한 가상현실 기반 3D 콘텐츠를 개발함에 있어, 기초 설계부터 실제 제작 및 구현 까지 전 과정에 대한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몰입도 증진을 위해 전시박람회에 참가해 시스템을 시연 하며 사용자들의 실제 만족도와 요구 및 추가개발사항 등을 피드백 받아 개발에 반영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건강관리를 도울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연구개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가상현실 기반 스마트 스피닝 시스템은 시간과 공간의 구애 없이 자기스스로가 운동량을 체크하고 시스템과 연동된 장치들을 통해 통합관리 및 간편한 제어들이 가능한 가상현실 콘텐츠와 헬스케어 시스템을 결합한 장치 구동 형 플랫폼을 의미한다. 헬스사이클에 아두이노센서를 부착해 사용자의 동작정보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데이터화하고, 가상현실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운동에 대한 몰입도를 높이고, HMD를 통한 콘텐츠와의 동기화 및 연동으로 흥미를 동반한 효율적인 가상현실 체험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모든 데이터관리 및 콘텐츠와 정보 콘트롤에 대한 부분은 웨어러블 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통합 관리가 가능하도록 가상현실 기반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미래지향적 개인 가상현실 기반 헬스케어 및 다양한 사용자들이 함께 즐기는 헬스케어 시스템 구축이 가능해 질 것이다.

      • 글로벌 헬스 케어 산업 종사자의 직무역량이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의료관광 코디네이터 업무 위주로

        박수진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on effects of Job Competency of worker on Healthcare Industry to Perceived Risk of Medical tourist -Focusing on the work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 Soojin Park Department of Medical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Kyunghee University Under the guidance of Professor Sang-Man Kim The global health care industry continues to grow due to the aging of the global popul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medical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number of people moving to receive high-quality medical services is increasing due to the change in perception of quality of life, along with the continued economic growth in Asia, including China. As a result, the size of the global health care industry and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is growing rapidly. Along with the growth of this global health care industry, Korea, which has strengths such as quality medical service levels and short waiting times, is steadily growing as an emerging country in medical tourism. As a result of fostering and supporting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over the past decade,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has become a high value-added industry. However, there was a continuous need for research between medical tourism professionals and satisfaction of foreign patients. Medical tourism products are part of high-quality professional services, The more professional the service, the more consumers feel the higher perceived risk of purchasing and using the product. The Medical Tourism Coordinator serves to continuously produce the quality of service of medical institutions and medical tourist sites in the service interface with medical tourists. Accordingly, the medical tourism coordinator wan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n the perceived risk of foreign tourists based on the job competency. For patients who have experienced medical services in Korea, this study aims to study whether the job competency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is positive or negative related to the perceived risks of foreign patients. First, the job competency of the coordinator and the degree of risk of patient tardiness were measured for patients who had already experienced medical services and were under post-care through the messeng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Subsequently, the purpose of the patient's visit was to determine how much beauty the coordinator's job competency and the perceived risk of foreign patients, and whether the patient's intention to visit the hospital served as a control variable. To measure this, the job competency of the medical tourism coordinator was supplemented and developed in the preceding study, and the perceived risk of foreign patients was constructed using the scale of the preceding study. Based on this, quantitative data were collected by conducting a survey on patients in charge of China of the china team of the medical institu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job competency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the negative(-) related they are to perceived risks of foreign patients.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capacity, medical knowledge capacity, non-medical knowledge capacity, and service mind capacity, the lower the perceived performance-related risk awareness of foreign patients. Second, the adjustment effect of beauty purpose intent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competency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 and perceived risk of foreign patients. This can be said to b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rejection of the Korean Medical Tourism Selection Properties in the preceding study on the properties of Chinese tourists' choice of Korean medical tourism (Kim Myung-joo, 2011), This can be inferred that the intention to visit Korean beauty clinics and the satisfaction level after medical service are difficult to measure from exactly one intention of beauty and treat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visible direction was presented in the vocational competency education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The higher the job competency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the lower the perceived risk of foreign pati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suggest specific directions for training in developing the competency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Second, medical institutions should actively and specifically utilize the job competency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so that they can serve as educators within international medical centers in hospitals. The higher the job competency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s, the more perceived risks of foreign patients have a negative impact. This reduces the perceived risk of foreign patients to medical tourism, a high-risk perceptual service product, depending on the coordinator's job competency. This medical tour coordinator in accordance with the job competences of, attracting foreign patients may have made his reputation as a medical institution foreign earnings to be a stepping stone in patient care. Third, the role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 as a leader in the global health care industry has been specified. The role of medical tourism coordinator should not be a simple interpreter, but an understanding of the areas that patients feel as risks, the areas of value pursued by medical institutions, and constantly assist in the communication of patients and medical institutions. We also want to make use of our expertise in both medical and tourism areas to confirm that we have to lead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by serving as a lubricant to the entire medical tourism process of foreign patients. As a result, the medical tourism coordinator educational institution's education direction and job expertise at the site where the medical tourism coordinator is active will be visualized, paving the way for the promotion of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全球保健行业的职员职业素质对医疗旅客者感知风险的影响研究 -专注于医疗旅游协调员工作 朴守珍 庆熙大学研究生院 医疗经营专业 指导教授 Sang-Man Kim 由于全球人口老龄化和融合医疗技术的发展,全球医疗保健产业持续增长。特别是,由于生活质量观念的变化,移动接受高质量医疗服务的人数正在增加, 同时,包括中国在内的亚洲经济持续增长。因此,全球保健产业和医疗服务产业规模正在迅速增长。随着这一全球医疗产业的成长,拥有优质医疗服务水平和短候时间等优势的韩国作为医疗观光新兴国家正在稳步发展。近十年来,由于培育和支持医疗旅游产业,医疗旅游产业成为高附加值产业。然而,医疗旅游职员素质与外国患者满意度之间却存在持续的研究需求。医疗旅游产品是优质专业服务的一部分, 这项服务越专业,消费者就越感到购买和使用该产品的风险。医疗旅游协调人负责与医疗游客的服务界面中不断生产医疗机构,医疗旅游场所的服务质量。因此,医疗观光协调员希望根据工作能力了解对外国游客感知风险的影响。此次研究针对在国内曾有过医疗服务经验的患者,旨在研究医疗旅游协调员的职业能力与外国患者所感知到的风险是正还是负。首先,对已经体验过医疗服务,正在接受医疗服务后护理的患者,通过医疗机构的微信,对协调员的职业素质以及顾客迟缓的风险程度进行了测量。随后,该顾客来访的目的在于确定医疗协调员的职业素质以及海外医疗旅游顾客所感知到的风险有多大,以及该顾客是否打算去医院就面诊起到了控制变量的作用。为了衡量这一点,在前项研究中,补充和发展了医疗旅游协调员的职业素质,并利用前项研究的规模,构建了外国患者感知到的风险。在此基础上,对医疗机构中国组负责职员进行了调查,收集了定量数据。 这项研究的主要结果如下: 首先,医疗旅游协调职员的职业素质越高,它们与感知外国患者的风险相关的负(-)。沟通能力,医学知识能力,非医学知识能力,服务心理能力越高, 医疗旅游协调员的职业能力越低,外国患者所感知到的与业绩有关的风险意识就越高。 其次,美容目的的调整效应在医疗旅游协调员的职业能力与外国患者感知风险的关系上并不显著。 这可以说与中国游客选择韩国医疗观光的属性(2011年金明柱)之前的研究结果一致。这可以推断出,从美容和治疗的意图来看,很难准确判断出韩国美容诊所的意向和医疗服务后的满意度。 这项研究的影响如下。 首先,在医疗旅游协调员的职业素质教育中,提出了一个可见的方向。医疗旅游协调员的职业能力越高,外国患者所感知的风险就越低。根据这项研究的结果,我想提出发展医疗旅游协调员的能力方面的培训的具体方向。 其次,医疗机构应积极,具体地利用医疗旅游协调员的岗位能力,使他们在医院的国际医疗中心内担任教育工作者。医疗旅游协调员的职业素质越高,外国患者所感受到的风险就越低,就会产生负面影响。这降低了外国患者对医疗旅游的感知风险,这一高风险感性服务产品取决于协调员的职业能力。根据协调员的职业能力而定。这位根据工作素质,吸引外国旅客的医疗旅游协调员,可能使他在医疗机构的海外收入成为顾客护理的垫脚石。 第三,明确了医疗旅游协调职员作为全球医疗保健行业领导者的作用。医疗旅游协调员的角色不应是一个简单的翻译,而是了解顾客觉得有风险的领域,医疗机构追求的价值领域,并不断帮助顾客与医疗机构沟通。 我们还想利用我们在医疗和旅游两个领域的专门知识,确认作为外国患者整个医疗旅游过程的润滑剂,必须引领医疗旅游产业。 因此,医疗观光协管员教育机构在医疗观光协管员活动现场的教育方向和就业专门知识将实现形象化,为医疗观光产业的发展铺平了道路。 글로벌 헬스 케어 산업 종사자의 직무역량이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업무 위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의료경영전공 박수진 세계적인 인구의 고령화 현상과 융·복합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한 글로벌 헬스 케어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의 지속적인 경제 성장과 더불어 삶의 질에 대한 인식 변화로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받기 위해 이동하는 인구가 늘고 있다. 이로써 글로벌 헬스 케어 산업 및 의료서비스 산업의 규모는 급속하게 성장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글로벌 헬스 케어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양질의 의료서비스 수준, 길지 않은 대기 시간 등의 강점을 가진 우리나라도 의료관광 국가의 신흥국으로 꾸준히 성장 중이다. 지난 10여년동안 의료관광 산업을 육성 지원한 결과, 의료관광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자리매김 하였으나, 지속적으로 의료관광 전문인력과 외국인 환자의 만족도 사이의 연구 필요성이 제언되었다. 의료관광 상품은 고 전문 서비스에 속하며, 고 전문 서비스 일수록 소비자는 상품 구매와 이용에 있어, 높은 지각된 위험을 느낀다. 의료관광 코디네이터는 의료관광객과의 서비스 접점에서 지속적으로 의료기관과 의료관광지의 서비스 품질을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에 따라 외국인 관광객의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의료서비스를 경험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이 외국인 환자의 인지된 위험에 정(+),부(-)적 관련이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의료서비스를 이미 경험하고, 의료기관의 메신저로 사후 관리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과 환자가 지각한 위험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이어서 환자의 내원 목적이 미용성을 얼마나 두고 있는지를 측정하여, 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과, 외국인환자의 지각된 위험에 있어, 환자의 내원의도가 조절변수의 역할을 하는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 의료 관광 코디네이터의 직무 역량은 선행연구에서 보완하여 개발하고,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위험은 선행연구의 척도를 활용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의료기관의 해외사업팀 중국담당자 환자에게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양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이 높을수록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위험에 부(-)적 관련이 있다.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의 하부 요인인 커뮤니케이션 역량, 의료지식역량, 의료외적지식역량, 서비스마인드 역량이 높을수록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성과관련 위험인식이 낮아졌다. 둘째, 의료 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과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위험 간의 관계에서 미용 목적 의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선행연구인 중국 관광객의 한국의료관광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에서 미용성형의향이 한국의료 관광 선택 속성에서 기각된 결과와 일치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김명주, 2011) 이는 한국 미용병원을 이용할 때, 내원 할 때의 의도와 의료서비스 후의 만족도가 미용과 치료 사이에서 정확하게 한 가지 의도로 측정되기 힘든 특성임을 추측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 교육에 가시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이 높을수록 외국인 환자의 인지된 위험을 낮추는 부(-)적 관계이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직무 역량 개발 교육에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둘째, 의료기관에서는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을 적극·구체적으로 활용하여, 병원 내 국제 진료 센터 내의 교육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직무 넓이를 넓혀 주어야 한다. 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이 높을수록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위험은 부(-)의 영향을 미친다. 이는, 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에 따라 고위험 지각 서비스 상품인 의료관광에 대한 외국인 환자의 지각된 위험이 낮아진다. 이로써 의료관광 코디네이터의 직무역량에 따라, 외국인 환자 유치 의료기관으로써의 명성을 쌓을 수 있으며 해외 환자 진료 수익성에 발판이 마련될 수 있음이 제언하고자 한다. 셋째, 글로벌 헬스 케어 산업의 선도자로써의 의료관광코디네이터 역할을 구체화하였다. 의료관광코디네이터의 역할은 단순통역이 아니라, 환자가 위험으로 느끼는 영역, 의료기관이 추구하는 가치의 영역을 이해하여, 끊임없이 환자와 의료기관의 의사소통을 도와야 한다. 또한 의료의 영역과 관광의 영역 두 영역의 전문성을 살려, 외국인 환자의 의료 관광 전체 과정에 윤활유 역할이 됨으로써 의료관광산업을 선도해 나아가야하는 존재임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로써, 의료관광코디네이터 교육기관의 교육방향과 의료관광코디네이터가 활동하는 현장에서의 직무 전문성을 가시화하여, 의료관광 산업의 활성화 도모에 발판이 마련하고자한다.

      •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참여동기와 운동중독의 관계

        김정동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참여동기와 운동중독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의 차이,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운동중독의 차이,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참여동기가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8년 현재 G도 G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헬스클럽을 이용하는, 만 20세 이상의 남성들 350명을 무선 표집법(cluster random sampli ng)의 방법을 이용하여 324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통계처리는 SPSS 14.0의 한글판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일원변랑분석(one-way ANOVA), 단순회귀분석, t-검증 등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은 Scheffe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인 연령, 학력, 직업은 참여동기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참여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개인적 특성의 하위요인인 연령, 결혼유무, 학력, 직업은 운동중독 하위요인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헬스클럽 이용자들의 참여동기의 하위요인인 사회적요인, 인지적요인, 휴식적요인은 운동중독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적요인은 운동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혈압 자가관리 앱세서리 구현을 위한 행동변화 단계별 중재 알고리즘 설계

        김유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단기적으로 병이 진행되기 때문에 치료가 중심이었던 ‘급성질환’에서 장기적인 치료 및 관리가 중요한 ‘만성질환’으로 질병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만성질환은 합병증의 위험이 높기 때문에 평소 식이, 운동 등 건강생활실천을 통해 일상생활에서 관리해야할 요소가 많은 질병이다. 특히 만성질환 중 고혈압은 다른 만성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특성이 있어 지속적인 질병관리가 중요한 질병이다. 현재 스마트 폰 보급의 증가와 바이오 센서 기술의 발전으로 만성질환을 관리하기 위한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출시가 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의 분석 결과, 고혈압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경우 외부 측정기기를 통해 혈압을 측정 후 혈압 데이터만 어플리케이션에 입력해야하는 기술적 한계로 실질적인 건강관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또한 헬스케어 앱세서리의 경우 아직 개발 초기단계라 디바이스들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서 언제어디서나 들고 다니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미래의 비용효과적인 의료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헬스케어 어플리케이션 및 앱세서리의 성장에 따라 스마트폰을 통한 건강관리에 접근성이 높은 30-40대 직장인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일과 중에도 언제 어디서든 손쉽게 자신의 혈압을 자가관리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앱세서리의 형태를 디자인하였다. 그리고 행동변화 단계별 운동 중재 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연동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였다. 또한 혈압 자가관리 앱세서리를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동기부여’의 강화를 통해 대중화를 이끌어내는 심리학적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액세서리 중 가장 대중화되어있는 스마트폰 케이스의 고리를 활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들고 다닐 수 있는 소형의 센싱 앱세서리를 디자인하였다. 둘째, 범이론적 모형 중 행동변화의 5단계를 활용하여 맞춤형 운동 중재에 초점을 맞춘 행동변화 단계별 운동 중재 알고리즘을 설계하였다. 셋째, 헬스케어 앱세서리와 어플리케이션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① 비교군 제시 ② 스마트폰 센서 활용 ③ 게이미피케이션(gamification) ④ 리워드 앱과 같이 사용자들의 ‘동기부여’를 강화시켜 활성화를 이끌어내는 방안들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스마트폰 케이스를 활용한 소형의 센싱 앱세서리 디자인은 내 손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 언제 어디서든 들고 다니기 편할 것이다. 이는 지속적인 혈압 측정 및 관리를 유도하고, 앱세서리만으로도 혈압 데이터를 자동으로 계측하므로 입력형의 기술적 한계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인의 동기·인지 요인을 고려한 행동변화 단계별 맞춤형 운동 중재알고리즘을 설계하여 운동에 대한 동기·인지상태에 따라 적절한 운동을 시도함으로써 꾸준히 운동행위를 이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동기부여를 강화시켜 활성화를 이끌어내는 방안들로 헬스케어 앱세서리가 활성화되기 위한 전략적 기반이 되어 시장의 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는 현재의 개발 현황과 동향을 살펴보고 현 시장의 문제점을 도출하여 최근 주목받고 있는 ICT와 헬스케어 융합 산업에 사용자 중심의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향후 이 모델에 대한 경제성 평가 및 사용성 평가 등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제품의 유용성과 임상적 효과를 밝혀 혈압 자가관리에 대한 접근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는 대안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노약자를 위한 행동인식 기반의 능동형 헬스케어 시스템

        고설린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령화 사회의 도래로 노인 문제에 대한 대책이 커다란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의식에 의한 자신의 신체를 제어할 수 없는 노인을 보호하는 또 다른 직업군이 필요로 한 시점에 이르고 있다. 본 연구는 자제력이 없는 노인을 무인으로 감시하고 보호하는 능동적 헬스케어 시스템(Healthcare System)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에 목적을 둔다. 그 방법으로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노약자들의 상체 기울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노약자들의 자세와 행동을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정상적 행위에 벗어나는 이상 행동을 포착하고 돌발 사태에 대비하는 능동적인 보호 장비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노약자가 항상 몸에 지니고 있을 센서 모듈(무선 송신 부 포함), 센서로부터 무선으로 기울기 데이터를 전송받아 분석하는 헬스케어 서버 모듈을 구현하였다. 헬스케어 서버 모듈은 데이터 수신 부분과 수신된 데이터를 가공하여 자세 및 행동을 추정하는 행동 판단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구현된 센서 모듈은 피 실험자에게 부착한 후 실제 기울기 데이터를 전압 값으로 헬스케어 서버 모듈에 전송한다. 서버 모듈은 행동 판단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전송된 데이터로부터 자세와 행동 정보를 추출한다. 추가적으로 노약자에게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욕창 방지 기능 및 빈혈 혈압에 의한 쓰러짐 관리 기능을 개발한 후 시스템에 적용하여 상황을 신속히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센서 모듈은 노약자가 항상 몸에 지녀야 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필수 조건이다. 또한 시스템은 노약자와 헬스케어 서버 사이에서 능동적인 정보 전달을 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노약자에게 부담을 주지 않기 위해 센서 모듈의 소형화, 경량화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또한 병원, 실버타운과 같은 서비스 산업에 직접 적용될 수 있도록 실용성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간호인이 다수의 노약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사용자 친화적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는 것에도 초점을 두었다. 병원, 실버타운과 같은 서비스 산업은 노약자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야할 의무가 있다. 사생활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노약자의 행동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면 이 정보를 활용하여 더욱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ntroduces a system which analyzes postures, and behaviors of the elderly based on the tilt data collected in a hospital and silver town using a tilt sensor. The sensor module including RF(Radio Frequency) transmitter module, which is always attached on the elderly' body, and the health-care server module, which receives the tilt data, and analyzes it from sensor module, have been actualized. Actualized sensor module sends the measured tilt data to the health-care server module after it is attached on subject's body and the server module analyzes out postures and behaviors from the data sent by behavior inference application. In addition, after it analyzes specific behaviors of the elderly, it is applied to the system so that it can be detected. Miniaturization, and lighter-weight are necessary to the sensor module in this paper because it is supposed to get attached on the elderly's body all the time. Furthermore, the system should transfer the right information actively from the elderly to the server module. In this paper, especially miniaturizing and making the sensor module lighter-weight are focused for the elderly'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of the system is improved, in order that it can be directly applied to service industry, such as a hospital and silver town that are responsible for offering a high quality service to the elderly. If the system is able to get the behavior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out invading their privacy, they can offer a higher quality service.

      • 뷰티헬스케어행위가 지각된 상호작용과 삶의 질의 관계에 미치는 연구

        진추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몇 년간 단순히 외형적인 아름다운뿐만 아니라 내면의 아름다움에 오르면서 건강과 운동에 대한 중요성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외모에 대한 관심은 자신의 이상적인 외모를 아름답게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뷰티와 헬스에 대한 케어는 증가하고 새로운 미적 욕구를 위해 뷰티헬스케어관련 산업이 빠른 추세로 발전하고 다양한 소비층이 형성되었다. ‘홈 트레이닝(Home Training)’이라는 신조어가 생겼다. 본 연구는 중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홈 트레이닝 관련 행위특성 파악의 일환으로 사용자 뷰티와 건강 투 분야 중심으로 앱을 통해서 지각된 상호작용및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따라서 본 연구는 뷰티헬스케어에 대한 행위하위요소로 뷰티관리, 뷰티관심, 건강관리, 건강관심, 그리고 연결성이 되고 추가로 건강지식, 영양지식으로 독립변수 넣었다. 그리고 뷰티헬스케어에서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홈 트레이닝 특성이 지각된 상호작용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실사는 비교적 짧은 시간에 SNS를 사용하는 중국인을 대상으로 중국 설문조사 전문 사이트 问卷星wenjuanxing(https://www.wjx.cn/)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 399부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 처리 방법으로 SPSS 245.0 통계프로그램과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 하였다. 빈도분석, 측정 요인별 측정변수에 대한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뷰티헬스케어행위중에 뷰티관심,뷰티관리,건강관심,겅강관리,그리고 건강지식과 영양지식이 자각된 사용자간의 상호작용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뷰티관리가 지각된 사용자와 플랫폼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예상했는데, 유익 확율이 0.054(>0.01)로 기각되었다. 셋째, 가설8-17은 다 채택된다는 것으로 나타나고 검증결과를 살펴보며, t값이 거의 차이가 크지 않게 비슷하게 나왔고, 표준화 계수도 0.1-0.27 사이에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홈 트레이닝 서비스 기업은 뷰티와 건강을 복합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홈 트레이닝을 운동의 목표로 사용하지만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으로 사용되기를 희망한다. 홈 트레이닝 은 ‘운동은 헬스장에서 해야 한다’라는 고정관념을 벗어나 언제 어디에서나 어떠한 도구도 제약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간편한 운동법으로 건강에 더욱 관심이 높아진 현대인에게는 익숙해져야 한다. 오프라인 헬스 전문장으로 가지 않고도, 앱을 이용해서 홈 트레이너의 역할을 잘 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이를 통해 뷰티헬스케어산업의 경쟁력 강화 및 프로그램개발과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는데 실질적인 기초자료로 제공하는 방안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importance of health and exercise has been rapidly increasing in recent years, rising not just to the outward beauty but also to the inner beauty. In an effort to beautifully change one's ideal appearance, care for beauty and health has increased and beauty healthcare-related industries have developed rapidly for new aesthetic needs and various consumers have formed. The term "Home Training" was coine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perceived interaction and self-respect and relationship of quality of life through the app focusing on user beauty and health two areas as part of identifying behavi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home training that are popular in China.Therefore, this study is linked with beauty management, beauty care, health care, health care, and additional independent variables as well as health knowledge and nutrition knowledge as behavioral factors for beauty health care. And the various home training characteristics used in beauty health care were investigated for the effects on perceived interactions and self-esteem and verified how they affect the quality of life. The due diligenc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Chinese people using SNS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by 问卷星wenjuanxing (https://www.wjx).cn/) was used, and section 399 of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the final analysi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statistical processing using the SPSS 245.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AMOS 24.0 Statistical Program.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f measurement variables by measurement fact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distribut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earch results show that among beauty health care activities, beauty care, beauty care, health care, thistle management, and health knowledge and nutrition knowledge all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actions between conscious users. Second, it was expected that beauty management would affect the interaction between perceived users and platforms, with the benefit probability rejected as 0.054 (>0.01). Third, hypothesis 8-17 appears to be all adopted and,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the t values were similar, with little difference, and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between 0.1 and 0.27.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home training service companies should be designed to support beauty and health in a combination. It also uses home training as a goal for exercise, but hopes to continue to be used by users Home training should go beyond the stereotype of "exercise must be done in the gym" and become familiar to modern people who are more interested in their health with a simple exercise method that allows them to use any tool anytime, anywhere. Instead of going to the offline gym, you should use the app to help them play a good role as home trainers. Through this process, we hope it will be a measure that will be provided as practical basic data in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beauty healthcare industry, developing programs and exploring various ways.

      • 뷰티헬스 1인 멀티샵의 선호 결정요인 탐색

        김도경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A beauty and health multi-shop is a place that provides professional management related to two or more beauty and health, and is divided into a multi-person multi-shop and a single-person multi-shop where multiple managers manage user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jectively and in-depth explore how the determinants of preference of beauty health single-person multi-shop users are composed. The first open-type survey was conducted as a research method, and based on this, preliminary questions were form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e second closed-type survey was conducted.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on 95 adults who had experience using beauty health single-person multi-shop, and the second survey surveyed 212 final questionnaires with the same experience. Afterward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derive the final preference determinants. According to the content analysis method, the determinants of preference for beauty and health single-person multi-shops were divided into internal areas, external areas, and other areas, centering on the contents of the original data. Therefore, it was classifie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raw data and implied into 17 sub-components, 6 components, and 1 other facto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irst identified internal preference determinants were three factors: manager expertise factor, customer management environmental factor, and economic factor. As customer management environmental factors, individual management, intensive management, procedure explanation, hygiene management, etc. were identified as sub-components. Sub-components as economic factors were cost reduction, exclusion of unnecessary management, and time saving. Second, there were three determinants of preference in external areas: diversity factor, convenience factor, and member retention service factor. Diversity of programs and information provision was confirmed in sub-components of diversity factors. Reservation convenience and facility use convenience were found in the sub-components of convenience factors, and the sub-components of member retention services consisted of membership and event services. Currently, the beauty and health industry is based on the health industry, and as the beauty industry is mixed and converged, a new demand is created in connection with health, culture, emotion, and aesthetic pursuits. has reached The birth of a beauty and health one-person multi-shop is a driving force for one-person startups who prefer a personal space where they can work freely and comfortably due to changes in lifestyle, and those who want to manage for themselves without being disturbed by others in their own space. It is based on consumer need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operation plan and program development of various beauty health one-person multi-shops in the future. 뷰티헬스 멀티샵은 두 개 이상의 뷰티와 헬스에 관련한 전문적 관리를 하는 곳으로써 여러 명의 관리자가 이용자를 관리하는 다인 멀티샵과 1인 멀티샵으로 구분되고 있다. 본 연구는 뷰티헬스 1인 멀티샵 이용고객의 선호 결정요인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객관적이며 심층적인 탐색을 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1차 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내용분석을 통한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2차 폐쇄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차 설문조사는 뷰티헬스 1인 멀티샵 이용 경험이 있는 성인 95명에 대하여 실시하고 2차 설문조사는 동일한 경험이 있는 최종 212매의 설문지를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 선호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뷰티헬스 1인 멀티샵의 선호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내용분석 방법에 따라 원자료 내용을 중심으로 내적 영역과 외적 영역 기타 영역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나타난 하위구성요인을 확인하여 구성요인으로 구분하였다. 대표적인 원자료를 기준으로 분류하여 17개 하위 구성요인과 6개의 구성요인 및 1개의 기타 요인으로 함축되었다. 연구 결과로써 첫 번째로 확인된 내적 선호 결정요인은 관리자 전문성 요인, 고객관리 환경적 요인, 경제성 요인 등 세 가지로 나타났으며 고객관리 환경 요인으로써 개인관리, 집중관리, 절차설명, 위생관리 등이 하위 구성요인으로 확인되었고 경제성 요인으로써 하위 구성요인은 비용절감, 불필요한 관리의 배제, 시간 절약 등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확인된 외적 영역의 선호 결정요인은 다양성 요인, 편리성 요인, 회원 유지 서비스 요인 등의 세 가지였으며, 다양성 요인의 하위 구성요인에서는 프로그램과 정보제공의 다양성이 확인되었고 편리성 요인의 하위 구성요인에서는 예약 편리성, 시설 이용 편리성이 나타났으며 회원 유지 서비스의 하위 구성은 회원권과 이벤트 서비스로 구성되었다. 현재 뷰티헬스산업은 건강산업을 기반으로 하여 뷰티산업이 혼재되어 융합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보건, 문화, 감성, 미적 추구와 연결되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여 최근에는 뷰티헬스 1인 멀티샵이 등장하는 추세에 이르렀다. 뷰티헬스 1인 멀티샵의 탄생은 생활양식의 변화로 인해 자유롭고 편하게 근무할 수 있는 개인적인 공간을 선호하는 1인 창업이 원동력이 되고 있으며, 나만의 공간에서 타인에게 방해받지 않으며 자신만을 위한 관리를 하고자 하는 소비자 욕구에 밑바탕을 두고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향후 다양한 뷰티헬스 1인 멀티샵의 운영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