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국제협력단(KOICA) 사업을 중심으로

        염건이 동신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많은 NGO단체에서 해외자원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지만 한국국제협력단의 해외봉사단과 같이 대규모 인원과 정기적인 파견을 실시하는 곳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정부의 국제협력사업을 총괄하고 있는 한국국제협력단에서 주력사업으로 실시되고 있는 해외봉사단사업은 많은 비용과 시간이 투입되기에 더욱 많은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해외자원봉사활동에 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미흡하고 부족한 실정에서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단 관련연구는 전무하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국제협력단 해외봉사단(KOV) 귀국자를 대상으로 해외자원봉사활동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또한, 한국국제협력단을 비롯한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관련한 정확한 정보가 미흡하고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많은 해외자원봉사활동 관심자들이 정보부족으로 인해 봉사활동의 기회를 갖지 못하고 있다. 이에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해외자원봉사활동의 실태와 프로그램별 활동을 조사하고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해외자원봉사활동 관심자들이 정보를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해외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은 크게 정부의 국제협력사업, 일반기관 및 NGO단체, 선교단체의 3가지로 분류하였다. 총 15개 기관의 18개 프로그램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프로그램별 특징 및 파견규모, 파견지역, 지원자격조건 등 해외자원봉사활동 관심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해외자원봉사프로그램의 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배경요인, 환경적 배경요인, 대인관계요인의 3가지 변수를 독립변수로 구분하였고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를 종속변수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개인적 배경요인, 환경적 배경요인, 대인관계요인의 결과가 긍정적이면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을 가지고 진행하였으며 해외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용외국어, 현지 업무와 봉사단원과의 적절성, 현지 업무의 인식도, 한국국제협력단과의 관계, 동료 자원봉사자와의 관계, 기타 관련인과의 관계 등이 종속변수에 유의한 영향을 주어 연구가설에 일부 지지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 증진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해외자원봉사활동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범람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정보로 구성된 자료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잘못된 정보에 의한 피해발생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해외자원봉사활동 통합모집센터나 해외자원봉사에 관한 모음자료가 발간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많은 단체에서 봉사활동자를 모집시 봉사자에게 비용을 전가하는 것은 해외자원봉사활동 발전에 가장 큰 걸림돌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해외자원봉사활동은 봉사자들의 이타심에 호소하기보다는 연구결과에 드러났듯이 봉사자의 해외자원봉사 활동경험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각 단체의 프로그램 예산이 증액되어 봉사자가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생각된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국제공용어 구사능력의 향상이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그만큼 봉사단원이 국제공용어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반증일 것이다. 이에 해외봉사단에서는 현지 언어교육 뿐 아니라 지속적인 국제공용어 교육을 진행하여 봉사단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결과에 드러났듯이 해외봉사단원의 현지담당업무와 봉사단원이 기대했던 업무에서 괴리가 발생할 경우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는 현저히 떨어진다. 이에 해외자원봉사활동 파견시에는 봉사단원의 욕구에 맞는 파견기관과 업무를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오랜 기간 해외현지에서 거주하므로 해외봉사단원의 국내 가족 및 친지와의 지속적인 교류는 해외자원봉사활동 만족도에 유의한 결과를 미치므로 한국국제협력단에서는 해외봉사단원과 국내거주 친지들과의 교류를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classified and conducted to find out the actual condition of Oversea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KOICA 1. Research on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The programs of oversea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have been increased constantly since 2000. The lack of correct information related to this program and previous research, however, cannot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y for the people who are interested in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This research contains actual conditions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that is being executed and investigates program activities to make it easier for volunteers to approach the informations about the activity.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nstitutions that dispatch the volunteering service organization regularly, not the ones that limit dispatching the service as a temporary thing such as college service group.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program is classified by three: the governmental international cooperation fledgling, general institution and NGO group, missionary work group. By investigating 18 programs of 15 serving institutions, serve the informations on program characteristic and dispatch scale, dispatch areas, supporter rhythm supplies, which are necessary to the volunteers, and purpose to help the develop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programs 2.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Many NGOs spread actual conditions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but there is no institution that do regular dispatch with large scale number of people like KOICA korea overseas volunteers. Specially, this volunteering service, which is main project of KOICA that is charge of Government's International Cooperation Achievement, needs a lot of time and expense, and it requires more research. Scientific and systematic research about foreign countries volunteerism activity, however, is insufficient and actually, previous research reports don't exist. This research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service activity by surveying KOICA's overseas volunteers. Divided 3 variable of investigation target person's private fact, environmental fact, personal relations fact by arg by leading person who influence in satisfaction. Divided satisfaction of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by dependent variable, this research h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hypothesis, 'If private truth, environmental truth, and personal relationship with others are affirmative, it is going to affect affirmative satisfaction of volunteerism activity'. The research showed the partial support that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the relation of local business and the volunteer's skill, awareness of local business, relation with KOICA bundle, with colleague volunteer, and other affiliated people affect dependent variable significantly. With such result, can do following offer for actual conditions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and the satisfaction improvement. First, much informations about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are overflowing, but data that is based on systematic information are deficient. It is thought that data about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ervice activity integration recruitment center of foreign countries volunteering should be drawn to prevent damage generated by wrong information. Also, imputing expense to volunteers when they enroll the service activity may be one of the biggest obstacles in foreign actual condi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y development. As detected in the study, volunteers are the most part of the service activity. Rather than depend on servants' altruism, each organization's budget should be increased for volunteers to join more conveniently. Second, one of the satisfaction factors, international official language, shows that many volunteers are very interested in the language. This result should affect the organizations to help volunteers learn not only local language but also international language constantly. Third, in case foreign countries service unit's local business is different from the work which volunteers expect, the satisfaction is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dispatching the foreign service activity, the organizations and the volunteers should be more careful to choose the right servants or the right activity. Finally, because inhabit in foreign countries for a long period, persistent interaction with korean overseas volunteers' domestic households and acquaintance i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the satisfaction of the work. To solve the problem KOICA should find out various ways to support the connection between the volunteers and their family.

      • 해외자원봉사활동이 대학생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강혜라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look into how international volunteering affects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nd to provide the effective pla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ctivities through the international volunteering. Th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in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before and after international volunteering? 2. Is there a difference in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college students, who have completed international summer volunteering program, organized by university, which each participants are attending. The study used self-administered survey, convenience sampling(N=158) and one-group pretest-posttest research design.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the study used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frequencies, percentiles, means, standard deviations,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s, univariate analyse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es,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gard to multicutural acceptability before and after the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in global citizenship.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have mor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after the participation of international volunteering. Second,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by volunteering program length, working hour of volunteering in global citizenship or muticultural acceptabilit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gender, grade, and major, but not by religion and income levels, in global citizenship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 implication of the study is that it has shown the empirical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s' international volunteer work. The study’s findings could be used as a guide to a future international volunteering program.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effectiveness between long-term and short-term international volunteering. 최근 대학생의 해외자원봉사활동 참여가 급속도로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해외자원봉사활동에 대한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발전방향을 논의하기 위하여 대학생들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을 조사하여 이들의 해외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과 후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 특성에 따라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차이가 있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소재 4개 대학교와 지방소재 2개 대학교를 선정하고, 민간단체를 통해 해외자원봉사활동 파견을 확정지은 2개의 팀도 포함하여 해외자원봉사활동 전과 후의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의식을 측정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설문조사 중 최종적으로 158부를 자료 분석에 사용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통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연구문제에 따라 대응 표본 t-검정(Paired t-Test)과 다변량분산분석(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을 실시하였고, 이를 보충하기 위한 방법으로 각 종속변수 별로 일원분산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과 후의 세계시민의식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다문화수용성의 경우에는 사전보다 사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수용성의 하위변인 중에서 보편성차원과 관계성차원에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다양성차원에서는 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기간 및 시간에 따른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개인 활동과 집단 활동에 따른 차이는 개인 활동으로 응답한 참가자가 1명에 그쳐 분석이 불가능 하였다. 한편, 현지인과의 교류 여부에 따라 다문화수용성 중 고정관념 및 차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봉사단체 내에서 교류한 그룹보다 현지인과 교류를 한 그룹이 다문화수용성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세계시민의식과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전공으로 나타났지만, 종교와 소득수준에 따른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갖는다. 첫째, 대학생 대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에 관해 실증적 연구를 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세계화 시대를 이끌어갈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세계시민의식 및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단기해외자원봉사의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추후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발전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 전후 세계시민의식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결과는 프로그램에 세계시민교육 내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파견국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사전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셋쩨, 해외자원봉사활동이 다문화수용성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냈다. 이는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효과성이 확보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대학생들이 다문화 사회에 건전한 세계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우리 사회의 책임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는 다음과 같은 한계를 가지며, 이를 토대로 한 제언은 아래와 같다. 첫째, 편의표집 사용으로 일반화의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학이 아닌 민간기관이나 기업에 참여한 대학생들을 광범위하게 표집하여 연구결과를 전체 대학생 해외자원봉사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기간을 장기와 단기로 나누지 않아 기간상의 차이점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낼 수 없었다. 후속 연구에서는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경험하고자 하는 단기 해외자원봉사활동과 달리 생활적 요소가 함께 하는 장기 해외자원봉사의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진다면 심도 있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해외자원봉사활동 내용을 8가지로 구분하였으나 실제 진행된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복합적이고 중복적인 내용을 다루지 못하였다. 추후 명확한 분류체계를 제시하여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도록 설문조사를 실시해야할 필요가 있다.

      •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소규모 해외봉사활동 기관을 중심으로

        김형도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해외자원봉사에 대한 관심과 공적, 사적 단체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다. 현재까지 해외자원봉사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대규모로 해외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는 단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소규모로 해외봉사활동을 진행하는 단체들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가운데 본 연구는 해외원조단체협의회에 등록이 되지 않는 소규모 단체들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현황을 연구하여 그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를 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해외자원봉사 파견기관의 일반적인 사항, 해외자원봉사자 홍보 및 모집, 출국 전 해외자원봉사자 사전교육 프로그램, 해외자원봉사자 현지 관리 및 지도 감독, 해외자원봉사 평가, 귀국이후 해외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 교육 및 보상의 여섯 단계로 구분하여 현황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조사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 현황을 파악하는 부분에서 기관의 홍보 및 모집 단계를 제외한 선발 및 업무배치과정, 해외자원봉사 교육 및 훈련, 해외자원봉사자 지도 감독, 평가 및 인정, 보상단계는 보통의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나 해외자원봉사자 사후 관리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조사기관이 해외봉사활동 파견 업무를 지속적으로 하는 기관으로 감안하였을 때 국내자원봉사자에 대한 관리 수준보다 낮게 해외자원봉사 파견기관의 관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조사대상기관은 해외자원봉사자의 파견까지를 기관의 주요업무로 보고, 파견 이후의 활동들은 자원봉사자 개인의 능력과 현지기관에 달려있다고 보고 있다. 이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해외봉사활동 진행을 저해하는 요인으로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라 볼 수 있다. 셋째, 해외봉사활동 기간이 끝난 후 활동에 대한 평가 및 봉사자들에 대한 사후 관리가 미흡하기에 귀국 단원들을 활용한 국제사회복지 교육이나, 보상 프로그램이 전혀 진행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나타났다. 이는 참가자들의 국제경험, 지식, 기술을 국내 자원봉사 분야나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하지 못 하는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해외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참가자들을 해외 현지에 파견한 후에 현지 기관이나 참가자들과 지속적인 연락망 구축을 위한 온라인, 오프라인 상의 네트워크를 과학적, 조직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둘째, 해외자원봉사 활동에 참가를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채널을 통해서 접근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셋째, 해외봉사 활동 프로그램은 봉사활동 국가가 개발도상국이거나 후진국인 점을 감안하여 가장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넷째, 구체적으로 관리적 측면에서 ‘지원금 유치 및 기금 마련’ 등 재정적인 지원이 가장 필요하다. 이를 위한 행정 처리의 신속성과 봉사활동 수혜국가의 확대가 필요하다. 다섯째, 해외봉사 파견기관은 해외자원봉사자들을 한번 파견하면 끝나는 관계가 아닌 조금 더 책임감을 가지고 자원봉사 관리자로서 교육, 종결, 사후관리까지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한다. 여섯째, 국내 자원봉사 분야의 경우 해외자원봉사 활동 분야의 경우와 다른 점이 있기에 이러한 해외자원봉사 경험자들을 향후 국내의 자원봉사 활동과 연계시킬 때 국내의 자원봉사 활동도 더욱 다양화 전문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일곱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경우 파견 국가에서의 자원봉사자 활동이 한국의 이미지를 좌우하는 민간외교관의 역할을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모집, 선발, 파견 등 관리 등의 전반적인 과정에 대한 적절한 관리가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해외봉사활동이 양적으로 팽창하고 있는 이 시점에서 질적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발전을 위해서는 해외자원봉사자를 파견하는 기관들에 대한 법적 체계와 지원이 필요하고 파견기관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중심조직이 필요하다.

      • 청소년의 해외자원봉사 참여동기가 역량증진과 참여인식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재범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해외봉사활동에 대한민국청소년자원봉사단(KYVP)으로 참여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참여동기가 역량증진과 참여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참여동기, 역량과 참여인식도의 차이는 어떠한가를 분석한다. 둘째, 청소년해외자원봉사에 참여하기 이전과 이후의 참여동기와 역량의 차이는 어떠한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참여동기가 역량과 참여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를 분석한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청소년해외봉사활동 참가자의 사전조사와 사후조사를 실시했으며, 자료 수집은 각 나라별(라오스 44명, 필리핀 88명, 미얀마 45명, 베트남 41명, 인도네시아 52명) 참가한 청소년해외봉사활동자 270명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참가자 전원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봉사활동 참여동기의 2요인(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를 활용하여 봉사활동 동기가 봉사활동을 통한 개인성장의 역량이라는 요소에 영향을 얼마나 미치는지와 함께 더 나아가 동기요인에 따른 참여인식의 변화가 실제적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적용된 통계적 기법은 ANOVA분석, 해외봉사활동 참여사전과 사후비교를 위한 t-분석, 참여동기가 역량 및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력분석은 회귀분석 등의 기법을 적용하였다. 데이터 분석 시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으며, 분석을 통하여 제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봉사활동 참여동기 요인의 문항 타당화를 위하여 참여동기 요인을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요소로 구분하였고 내재적 동기는 호기심, 능력, 자기결정, 성취감, 도전 등의 요인을 내재적 동기요인으로 선택하였고, 외재적 동기는 보상, 인정 등의 요소를 동기요인으로 규정하여 총 30문항으로 선택하였다. 둘째, 봉사활동 인식도는 요인분석을 통해서 만족감, 중요성, 연계성, 타인인식, 진로성과 등 5개요인 2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셋째, 청소년활동역량은 전체 문항을 32문항으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는데 범주는 자아역량, 갈등조절역량, 문제해결역량, 대인관계역량, 리더십역량, 시민성역량 등으로 구성하였다. 성별에 따른 내재적 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역량과 참여인식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외재적 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여자청소년이 남자청소년보다 외재적 동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별에 따른 역량의 하위변인에서는 갈등조절역량, 문제해결역량, 대인관계역량과 시민성역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자청소년이 여자청소년에 비하여 갈등조절역량, 대인관계역량과 시민성역량은 높은데 반해 문제해결역량은 낮았다. 해외봉사활동 경험 유무에 따른 내재적 동기, 외재적 동기, 역량과 참여인식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국내봉사활동 경험 유무에 따른 역량의 하위변인인 갈등조절역량과 문제해결역량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해외봉사활동 경험이 있는 청소년들이 갈등조절역량은 높은데 반해 문제해결역량은 낮았다. 해외자원봉사에 참여한 이들은 이전보다 이후에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수준이 더 향상되었다. 해외자원봉사활동을 통해 지식획득과 성취지향과 같은 형태의 내재적 동기와 외부 요인을 통한 외재적 동기가 더 높아졌다. 참여동기의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 모두 역량, 참여인식도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높을수록 역량과 참여인식도 역시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참여동기인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역량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역량증진에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내재적 동기가 외재적 동기에 비해 역량에 더 큰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청소년해외봉사활동의 향후 청소년해외자원봉사활동의 긍정적 성과를 이루기 위한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소년해외자원봉사활동은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자발적이고 참여적 욕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각각의 활동을 통해서 개인의 역량을 증진시키는데 큰 의미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해외자원봉사활동을 단지 활동의 참여와 효과에만 국한함이 아닌 개인역량증진의 효과적 의미가 있음을 세분화하여 청소년들에게 알리는 노력을 강화했으면 한다. 둘째, 청소년들이 참여하는 해외봉사활동은 참여자의 역량증진에 효과성이 명확한 만큼 해외봉사활동의 참여 제공처를 더욱 다변화하여 동남아지역 이외에 아프리카 등지까지 더욱 안전하게 확장해 줌으로써 청소년들의 다양한 역량개발의 기회로 활용하도록 정책적 지원이 확장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해외봉사활동의 가치에 대한 효과성을 청소년활동에 국한하여 분석해 본 연구결과를 일반 해외봉사활동, 대학생 등 대상을 차별화하여 효과성을 분석하여 차이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서 각각의 활동에 대한 성과를 널리 알리는 연구의 다양성이 제기될 필요가 있다. 넷째, 해외봉사활동의 효과성 측정에 대한 실효성을 놓이는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좀 더 많은 변인을 고려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해외봉사의 효과를 인식하는 계기가 필요가 있다. 다섯째, 많은 지자체, 정부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는바 각 해외봉사 활동영역까지 포괄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여섯째, 해외 봉사활동의 유형, 형태, 방법이 다양하므로 이러한 외적 유형이나 전문가의 운영방식 등의 관점도 포괄적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research on the effect of competency and participation recognition to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Korea Youth Volunteer Programme(KYVP). First, analyzed that how difference between participation motivation by demographic feature and competency and participation recognition. Second, analyzed that how difference of participation motivation and competency that before and after participated in youth overseas volunteer. Finally, analyzed that how participate motivation have an effected on competency and participation recognition. As a method of study,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pre-survey and post-survey by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youth overseas volunteer was carried out, and for collect research data, distribute the survey to each countries(44 Laos, 88 Philippines, 45 Myanmar, 41 Vietnamese, 52 Indonesian) 270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youth overseas volunteer, and all of participa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by analyze. The analysis of the data was to use two factors of volunteer participation motivation(intrinsic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to see how much the volunteer motivation affects the competency of individual growth through volunteer activity, and further to see the change of participation recognition was actually affects the factors. For this study, statistics techniques which ANOVA analysis, t-analysis for the comparison between before and after participated in overseas volunteer were applied, and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analysis of participate motivation affect to competency and awareness. When analyze the data, The SPSS 23.0 program was used,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05, and the results that presented through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rationalize the questions of motivation factors for participating in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the factors for motivation were divided into intrinsic motivations and external motivations, and the factors such as curiosity, ability, self-determination,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hallenge were selected as intrinsic motivators, and external motivations were defined as motivational factors, with a total of 30 questions. Second, the awareness of volunteer activity was consisted of five factors and 20 questions which consist of satisfaction, importance, connection, awareness of others, and career performance through factor analysis. Third, the competency of youth activity was presented overall question which consisted of 32 questions, and these categories were consisted of self-regulation, conflict control, problem-solving, interpersonal, leadership, and civil sexual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intrinsic motivation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petency and participation recognition,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ternal motivations. In other words, female teenagers external motivations level was more motivated than male teenage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lict control capabilities, problem-solving capabilities, interpersonal capabilities, and civil gender capabilities in the sub-variates of competence by gender. Male teenagers had higher conflict control, interpersonal and civil skills compared to female teenagers, while their problem-solving skills were low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rinsic motivation, external motivation, competence and participation awareness depending on whether they had experience in overseas volunteer work.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flict control and problem-solving capabilities, which were sub-variates of competence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domestic volunteer work. Youth who experienced in overseas volunteer had high capacity to control conflicts, while their ability to solve problems was low. Youth who participated in overseas volunteer improved their intrinsic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levels after participated in overseas volunteer than before. Through overseas volunteer activity, internal motivations such as knowledge acquisition, achievement orientation and external motivations through external factors were increased. Both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s of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showed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competency, participation recognition. Thi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intrinsic and external motivations, the higher the capacity and the awareness of participation. The intrinsic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which were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d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static effect on competency, which showed that intrinsic motivation and external motivation were helpful for capacity advancement. In particular, it had been shown that intrinsic motivation was a greater influence on competence than external motivation.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would like to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order to achieve positive results of youth overseas volunteer activity. First, the youth overseas volunteer activity was suggested that most participants participate in the program based on voluntary and participatory desires. In addition, given that each activit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enhancing the individual's capabilities, we hope to strengthen efforts to inform the youth by subdividing the fact that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have an effective meaning of personal competency enhancement, not just particip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activities. Second, as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involving teenagers are clearly effective in enhancing participants' capabilities, policy support should be expanded so that they can be used as opportunities to develop various capabilities for teenagers by diversifying the providers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and expanding them more safely to Africa and other areas besides Southeast Asia. Thir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diversity of research that analyzes the effectiveness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only for youth activities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results by differentiating the subjects, such as general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and college students, to present differences and to publicize the performance of each activ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easure of effectiveness in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asurement tools that take into account more variables to recognize the effectiveness of overseas volunteer work. Fifth, since there are various programs such as many local governments and governments,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at to cover each field of overseas volunteer activity. Sixth, since the types, forms, and methods of overseas volunteer activties are various, so the perspective of these external types and the way experts operate also needs comprehensive study.

      • 해외자원봉사단체의 자원봉사자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선미 서울시립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Overseas volunteering intends to solve problems through outsourcing organization which provides recruitment, placement, and management so on for volunteers rather than solving the problems through the discussion with local volunteering agency when the problems occurred during the volunteering work as most of activities places are occurred in overseas. In this process, quitting rate of volunteers may reduce depending on how managers in overseas volunteering well manage their volunteers and sustainable volunteering activities will be possible. Managers in overseas volunteering different from ones in domestic volunteering perform a medium role to volunteers and local organization which the volunteers were placed in and solve difficulties which the volunteers undergone in different environment of culture and language. Hence, managers in overseas much closely related with volunteers than managers in domestic volunteering. According to this, this paper clarifies main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manage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based on a research that management activities of overseas volunteering exert a crucial effect on the volunteering activities of volunteers in overseas. Based on the analytic resul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mote effective manage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as examining the vitaliza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which have been focused on the outsourcing organization and the overseas volunteers as searching the reformation for the management and to reinforce factors which positively influence on the volunteers in terms of the management. Survey performed email research for managers of overseas volunteering who fully or incidentally take a charge in outsourcing organization and used analysis of 85 examples.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for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 command of a local language factor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nage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factors for overseas managers are working period, a number of overseas volunteer group, ability of international common language and ability of local language. Second, management activities of overseas volunteer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fluenced as a participation ratio of education related to the volunteering which the managers take is higher and as the volunteering work by the volunteers is positively helpful is recognized. Third, a relationship with co-workers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s to the management activities which the working environment factors of the manger are relationship with senior managers, reputation and treatment for the managers and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as conducting the variance analysis. Fourth,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terest for organization leader in the organization characteristics, the manage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Fifth, factors influenced on the manage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which came from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it has a positive effect to the management as the organization leader has higher interest on the management, working period of the manager is longer, awareness of volunteering activities which performed by the overseas volunteers is higher, the relationship with senior manager is better and the training hours related the volunteering is higher. Sixth, management status regarding the mangers of overseas volunteering got average 3.20 score as ‘pretty much yes’ from the six stages of planning and task design, PR and recruitment, selection and placement, education and training, guiding and supervision. This result h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management level which got 2.69 marks from study of Sung, Min-Jeong (2006) in terms of overseas volunteers. In a perspective of managers of overseas volunteering, it was evaluated management level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verseas volunteers and the managers of the overseas volunteering is existed even the management is mo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from 2010 since 2006.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ocial welfare consensus is suggested as following. First, in the management process of overseas volunteering, there was severe opinion difference between the volunteers and the managers regarding selection, placement and guiding and supervision of the volunteers. However, in the study of Sung, Min-Jeong (2006), selection, placement, guidance and supervision of overseas volunteering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o the satisfaction degree of the volunteers compared with other stages. Outsourcing organization of overseas volunteering should dispatch the volunteers’nations and tasks which personal demands are fit with through the adequate discussion and adjustment as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 for instance, personal career, ages, gender and religion so on. And, outsourcing organization located in domestic gives continuous interest to the volunteers and actively participates when problems are occurred to prepare the communication path even after they have been dispatched various countries. Second, mangers of volunteering should be strengthened their professionalism and management capacity as items of selection, placement, and guidance supervision of the volunteers indicated low level. The reasons why the mangers required more professionalism are the managers perform various activities, hence, it requires ability which properly adjust demands of volunteering program needed from the percipients who wish to involve the overseas volunteering, which provide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volunteers, which guide and supervise, which continuously unify the volunteers. Thir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management was an interest of organization leader in this paper. Hence, establishment for clear philosophy and ideology has to be specified and developed regarding dispatch of overseas volunteers as principles in each stage of business such as recruitment, selection, education, and training in the progress of business implementation and standard set by leader’s intention are changed. Therefore, developmental management for volunteering should be established with specified vision and goal so on in a perspective of organization and the managers of overseas volunteering. Fourth, there were numerous opinions that it has been experienced difficulties to recruit the volunteers with capacity of overseas volunteering.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PR to secure various base of support as enhancing the globalization consciousness and refresh the meaning of volunteering to the people not only focus on the people for recruitment and selection for PR. Fifth, dispatched volunteering activities in overseas is a profitable business not only for self-realization and self-development through the volunteer work but also providing a direct benefits to the people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is point, the managers’ role of overseas volunteering who directly manage the volunteers has significant meaning. As the number of volunteers for overseas volunteering is increased, numerous researches and supports are required being enhanced and reinforced the capacity and ability of policy management. Key words: overseas volunteering, activities of overseas volunteering, management of overseas volunteering, managers for volunteering, role of volunteering managers 해외자원봉사는 대부분의 활동 장소가 외국이기 때문에 봉사활동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경우 현지의 자원봉사 활동기관과의 협의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보다는 자원봉사자를 모집, 배치, 관리 등을 제공하는 해외자원봉사 파견기관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 과정에서 해외자원봉사관리자가 해외자원봉사자를 어떻게 관리하는가에 따라 자원봉사자의 중도 탈락률을 낮추고 지속적인 봉사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해외자원봉사관리자는 국내자원봉사관리자와는 달리 자원봉사자와 자원봉사자가 배치된 현지기관과의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고 문화와 언어가 다른 환경에서 겪는 자원봉사자의 어려움까지 해결해야하기 때문에 국내 자원봉사관리자보다 자원봉사자와의 관계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자원봉사활동의 관리활동이 해외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를 근거로 하여 해외자원봉사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해외자원봉사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들은 더욱 강화하고 나아가 해외자원봉사관리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그동안 해외자원봉사자 파견기관과 해외자원봉사자 스스로에 초점을 맞추었던 해외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해외자원봉사관리측면에서 살펴봄으로서 효과적인 해외자원봉사관리를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는 해외자원봉사활동 파견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해외자원봉사활동관리자들 가운데서 전담을 하거나 혹은 부수적으로 해외자원봉사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해외자원봉사관리자를 대상으로 E-mail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85개의 사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개인특성요인인 근무기간, 관리중인 해외봉사단원 수, 국제공용어 구사능력, 파견 국가 현지어 구사능력 중 파견 국가의 현지어 구사능력 요인만이 해외자원봉사활동 관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자원봉사관련 요인 중 자원봉사관련 교육에 많이 참여할수록, 해외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이 기관에 도움이 된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해외자원봉사 관리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직무환경요인인 직장상사와의 관계,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위상이나 대우, 직장동료와의 관계에 따라 해외자원봉사관리활동에 차이가 있는지 분산분석을 한 결과 직장동료와의 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관특성 요인에서는 기관 리더의 관심도에 따라 해외자원봉사관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회귀분석결과 해외자원봉사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기관장이 해외자원봉사활동관리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을수록,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근무기간이 오래될수록, 해외자원봉사자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이 좋을수록, 직장상사와의 관계가 우호적일수록, 자원봉사관련 교육시간이 많을수록 해외자원봉사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해외자원봉사관리자에 대한 관리 현황은 프로그램 기획 및 업무설계, 홍보 및 모집, 선발 및 업무배치, 교육 및 훈련, 지도·감독 총 6단계에서 평균 3.20으로 ‘매우 그렇다’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민정(2006년)의 연구에서 해외자원봉사자 입장에서 살펴본 관리자의 수준(2.69)와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입장에서 관리수준을 평가하였고, 4년 후인 2010년 현재 해외자원봉사활동 관리가 더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역할에 대해 해외자원봉사자와 해외자원봉사 관리자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위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회복지적 함의를 제한한다. 첫째, 해외자원봉사 관리과정 중 선발 및 업무배치, 해외자원봉사자 지도감독에 대한 해외자원봉사자와 해외자원봉사 관리자간에 의견 차이가 심하였는데 성민정(2006)의 연구에서 선발 및 업무배치, 해외자원봉사자 지도감독이 다른 단계보다 특히 해외자원봉사자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자원봉사 파견기관은 자원봉사자를 파견하는데 있어 개별상담을 통해 개인의 경력, 연령, 성별, 종교 등 개인적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고 충분한 협의, 조정을 통해 개인의 욕구에 맞는 국가와 업무로 자원봉사자를 파견해야하며, 해외자원봉사자 파견 후에도 국내의 파견기관은 지속적으로 자원봉사자에게 관심을 보이고 의사소통 통로를 마련하여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적극적으로 개입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선발 및 업무배치, 해외자원봉사자 지도감독 등에 대한 항목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자원봉사 관리자들의 전문성 및 관리역량을 강화해야 함을 보여준다. 해외자원봉사관리자는 해외자원봉사를 원하는 참가자들과 이들을 필요로 하는 봉사 프로그램의 요구를 적절히 조종하는 능력과 함께, 해외자원봉사자들에게 교육, 훈련을 제공하는 능력, 지도감독을 하는 능력, 해외 자원봉사자들을 지속적으로 동기화시키는 능력 등 다양한 분야의 활동들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전문성이 더욱 요구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해외자원봉사관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기관 리더의 관심으로 밝혀졌는데 사업수행 과정에서 모집·선발·교육·훈련 등 각 사업단계별로 원칙이나 기준이 리더의 의도에 따라 변화하는 만큼 해외 봉사자 파견에 대한 명확한 철학 및 이념의 수립을 기관차원과 해외자원봉사관리자 차원의 다각적인 노력으로 비전, 목표 등을 보다 구체화하여 발전적인 자원봉사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해외자원봉사관리자들의 기타의견에서 역량 있는 해외자원봉사자를 모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홍보를 모집, 선발에 중점을 둔 대상자 중심으로만 하지 말고 국민들에게 봉사의 의미를 환기하고 국제화 의식을 제고하면서 다양한 지지층의 확보를 위한 홍보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다섯째, 해외자원봉사 파견은 개발도상국 국민들에게 직접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봉사활동을 통한 자신의 자아실현과 개인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는 유익한 사업이다. 이러한 점에서 해외자원봉사자를 직접 관리하는 해외자원봉사 관리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해외자원봉사자의 수가 해마나 늘어나는 만큼 해외자원봉사관리자의 역량과 정책관리 능력이 강화되고 선진화 될 수 있도록 많은 연구와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해외봉사활동은 왜 실패하지 않는가 : 필리핀 마닐라 톤도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유인선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seeks to explain the reason why overseas volunteering that has been emerging recently in South Korean society does not fail as highlighting ‘success only’ discourse.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on the issue, this study adopted the methodologies of ethnography including participant observation in Korean overseas volunteerism activities conducted in Tondo, Manila, Philippine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participants-Korean volunteers, and beneficiaries-local people who are engaged in the activiti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implications of present successes in the overseas volunteerism through investigating discourses of success circulating among subjects as well as  peculiarities  in the process of such discourse production.      In general, participants of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experience poverty without any ethical responsibilities by fluctuating the ambiguous boundary between  volunteers and graduates of global citizenship. On the basis of  limited personal experiences, they consider that local poverty can be endurable as long as the local people seem happy to live with. This allow them to acquire certain values by regarding the life of the people in poverty as a kind of successful resistances against mammonism and capitalism. In order to complete a successful discourse production about the participation of volunteers, the volunteers’ contribution to a community in poverty should gain the social recognition of success. However, the successful performance is derived from the tendency of participants which positions themselves higher than local people in global economic hierarchy tend to evaluate. Indeed, this success is being structurally possible through strategies of suspension and evasion of social recognition under contradiction between volunteerism and hierarchy. The beneficiaries of overseas volunteering have slightly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success discourses, which are based on their experience, roles and relationships with participants. As the agencies of overseas volunteering provides the financial supports to Z community center, the beneficiaries seek to the meaning of the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as a stable financial resource for the center, while residents in community joining homestay programs for overseas volunteers expect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ir young children from their visitors or the Z center. In fact, the ultimate success for residents in the volunteering programs is to acquire educational sponsors which are not generally available in their neighbourhood. According to young people in the community, they consider the activities of overseas volunteers meaningful as they could accumulate cultural capital with foreign contacts. However, they have to acknowledge inevitable circumstances that force them to pursue  communal aims such as economic stability and sustainability, while they are also consistently objectified as aid-receivers by overseas volunteers. This complex situation makes them to internalize repressive habitus containing neo-liberalism ideology. In the end, it generates the crisis of their identity and the forfeiture of their subjectivity as local resident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success discourse about overseas volunteering, I argue that present Korean overseas volunteering is structurally impossible to fail as following reasons: first, the success is not achieved by the success of the local people but that of participants in overseas volunteering as the subjectivity of the local people is limited to seek financial supports from overseas volunteers; second, there are no subjects willing to disclose failure that can threat the success of volunteering. In this regard, the production of a discourse related to failure is practically impossible. Considering the existing structure of overseas volunteering based on dominant global economic hierarchy, this research suggests the re-evaluation of the prevailing success discourses. Overseas volunteering programs should not be limited to self-satisfactory success discourses but they should open critical eyes on valuable failures in order to advance.   Key Words : Overseas Volunteering, Discourse, Success and Failure, Poverty, Recognition, Economic Hierarchy, Philippines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 범람하고 있는 해외봉사활동 관련 담론들이 성공스토리에 점철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해외봉사활동의 담론 속에서 왜 한국의 해외봉사활동은 실패하지 않는가의 의문을 풀고자 연구자는 필리핀 마닐라 톤도 Z센터에서 벌어지는 한국의 단기 해외봉사활동에 참여 관찰을 실시하였고 활동의 참가자와 현지인들의 심층 인터뷰하였다. 해외봉사활동이 실패하지 않는 이유를 찾기 위하여 해외봉사활동의 주체들이 이야기하는 성공담론이 무엇인지 찾고, 성공담론의 생산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들을 교차 분석하였다. 해외봉사활동의 참가자들은 ‘봉사자’와 ‘세계시민교육을 받는 사람’이라는 두 개의 자리를 넘나들며 타인에 대한 윤리적 책임 결여가 정당화되는 조건에서 가난을 체험한다. 참가자들은 가난에 대한 제한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행복하니 가난해도 괜찮다’의 담론을 만들어내는데 그들에게 있어 이는 자본주의, 물질만능주의 사회에 대한 성공적인 저항으로 간주되어 가치를 획득한다. 해외봉사활동을 수행하는 시혜자로서의 헌신과 기여에 대한 인정 획득은 참가자들이 성공담론을 생산하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허나 참가자들의 행위에 대한 성패 판단이나 평가는 현지인들보다 경제적 위계의 상위에 위치하는 참가자들 자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인정의 유예와 회피의 전략을 통해 구조적으로 보장되고 있다. 해외봉사활동 수혜자들의 성공담론은 해외봉사활동에서 맡은 역할, 참가자와의 관계, 경험의 성격에 따라 다소 상이하게 나타난다. 해외봉사활동이 수반하는 경제적 이익에 직접적인 이해 관계를 맺고 있는 Z센터 소속의 사람들의 경우, 센터 운영을 위한 경제적인 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 할 수 있다는 데에 해외봉사활동의 의미를 찾고 있다. 동네 주민들은 해외봉사활동을 통해 자녀들의 교육 후원자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었는데 그 가능성의 실현은 주민들 입장에서 획득할 수 있는 최대치의 성공을 의미하고 있었다. 동네 청년들은 문화자본 축적이라는 측면에서 해외봉사활동이 그들 자신에게도 유의미한 경험이라고 이야기한다. 그러나 경제적 안정이라는 공동체의 목표에 순응해야 하는 상황과 이에 따른 일방적인 대상화에 장시간 노출되면서 청년들 사이에는 신자유주의적 사고가 내재된 억압적인 아비투스(habitus)가 생성되었다. 이는 정체성의 상실, 나아가 주체성의 상실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해외봉사활동이 생산하는 성공담론을 분석한 결과, 해외봉사활동은 실패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실패할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첫 번째 이유는 참가자의 성공을 담보로 현지인의 성공이 달성되는 해외봉사활동의 지배 구조에서 찾을 수 있다. 구조적으로 현지인들은 생존과 연관되어 있는 그들의 목표, 곧 경제적 자원 확보를 위해 무조건적으로 참가자들의 요구에 호응해야하는 위치에 자리하고 있다. 두 번째 이유는 실패를 말할 수 없는 해외봉사활동 주체들의 특수성에 있다. 해외봉사활동의 이해관계자 어느 누구도 자신의 성공을 위협하는 실패에 대하여 이야기하려 하지 않으며 따라서 이는 실패의 담론 생산 자체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요소가 된다. 경제적인 위계를 바탕으로 구축된 지배 이데올로기를 내재한 한국의 해외봉사활동 구조를 감안할 때, 현재 우리가 이야기하는 해외봉사활동의 성공은 진정한 의미의 성공으로 평가될 수 없다는 것이 연구자의 견해이다. 실패를 선택할 수 있는 자유가 부재한 상태에서 달성된 자기만족적인 성공에 대한 비판적인 성찰을 통해 앞으로 해외봉사활동이 성공보다 가치 있는 실패와 조우하고 변화되어야 함을 연구는 시사하고 있다.

      • 국제개발협력으로서 해외교육봉사프로그램의 실천과 현장의 역동성

        윤희주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최근 국제개발협력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를 포스트식민 맥락에서 이해하고 현장(field)에서의 지리적 역동성을 고찰하려는 시도이다. 오늘날 빈곤과 저개발의 문제는 특정 국가가 처한 문제적 상황이며 이들 국가들의 경제·사회적 개발을 지원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는 명제가 통용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남북으로 나뉜 빈곤의 지리적 분포에서 살펴 볼 수 있듯 빈곤의 지리는 식민주의 시기와 그 이후에 지속되어 온 경제적 착취와 종속, 신자유주의적 글로벌화라는 일련의 역사적 과정이 누적되어 구성된 지리적 상호연결성의 결과이다. 또한 빈곤국을 구분하기 위해 제시하는 국민 총생산과 같은 수치 지표는 내부의 불평등 문제나 삶의 방식들을 드러내지 못한다. 곧, 빈곤과 불평등의 문제는 현장의 시공간적 맥락과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파악할 수 없을뿐더러 근본적인 해결책 또한 제시할 수 없다. 본 연구는 국제개발협력에서 현장에 대한 지리적 사고와 공간의 관계적 인식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자는 2016년 KOICA의 「대학교 국제개발협력 이해증진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A대학교의 해외봉사활동을 사례로 포스트식민 맥락에서 해외봉사활동 현장에 작동하는 개발 담론과 재현 방식 그리고 이에 따른 실천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관계적 공간으로서 현장이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문화기술지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본 연구자는 이해증진사업의 제도적 문화기술지 분석 및 해외봉사활동의 계획, 실시, 후속작업 전 과정에 걸친 참여관찰 그리고 참가학생, 현지 청소년센터 직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해외봉사활동 현장에 작동하는 개발 담론과 재현 방식 그리고 이에 따른 실천 양상을 파악하였다. A대학의 봉사팀원들은 글로벌 불평등 또는 라오스 내의 지리적 불평등보다는 라오스 전체를 낙후되고 후진적이며 자연적인 공간으로 상상하였다. 이는 해외봉사활동 프로그램, 특히 교육 프로그램의 계획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B청소년센터에 소속된 활동가들의 경우 라오스를 전통적인 모습이 살아있고 아름다운 곳이지만 자본주의의 급속한 유입으로 인한 빠른 변화로 인해 문제에 처한 장소로 재현했다. 마을사람들의 경우 자신들이 거주하는 마을이 개발에 뒤쳐져있다는 인식 하에 서구화와 같은 방식으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각 행위자들은 공간을 상이한 방식으로 규정하고 재현하고 있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상이한 실천을 수행하고 있었다. 두 번째로 관계적 공간으로서 현장이 구성되는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공간의 인식 방식과 실천은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는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 현장은 저개발과 빈곤이라는 특정한 방식으로 인식되고 있었고, 현지 주민들은 개발의 주체가 아닌 설명되어야 하는 존재였고 결핍과 결여를 수반한 개입의 대상으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인식하에 학생들은 교육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현장은 다양한 지리, 사회, 문화적 궤적들이 교차하며 언제나 구성 중에 있다. A대학 학생들은 현장에서 상이한 언어, 문화, 지식 체계 등과 마주하며 자신들의 활동을 재구성할 수밖에 없었고, 이 과정에서 현장에 대한 풍부한 지리적, 맥락적 지식을 가지고 있는 토착정보원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는 노동 현장에서도 발견되는데 노동에 대한 경험이 전무한 도움을 주러 온 학생들의 위치가 오히려 도움을 받는 위치로 뒤바뀌기도 하고, 수동적인 주체로 상정되는 마을 주민들은 자신들의 숙원사업을 해결하기 위해 외국에서 온 학생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적극적인 행위 주체로 부각되기도 한다. 현장의 비대칭적인 권력 관계는 일방적으로 흐르지 않고 주체들의 이해와 행위가 맞물려 역동적으로 구성되고 있었다. 요컨대 현장은 개발이 일어나는 표면이나 배경이 아니라 차이와 다양성이 맞부딪히는 곳이다. 모든 현장은 자연적 요소와 인문적 요소의 상이한 마주침을 통해 구성되어 왔기 때문에 고유성과 특수성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의 상이한 궤적과 마주침을 통해 형성된 지리적 특수성을 반영한 국제개발의 실천이 요구된다. 또한 현장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주변의 타자들을 어떻게 대할 것인가에 관한 윤리적이고 정치적인 측면에 대한 질문을 야기하는 책임의 지리를 이끄는 장이다. 그렇기 때문에 현장의 내부와 외부를 구분하기 보다는, 현장과 마주하는 우리 모두가 공간의 변화 과정에 항상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책임 의식 하에 국제개발의 행위주체로서 실천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 國際 觀光振興을 爲한 海外廣告活動에 關한 硏究

        이성수 京畿大學校 大學院 1989 국내석사

        RANK : 248701

        Today, Korea marks a turning point to the tourism business development causing by inner and external change in tourism. At this tim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tourism products, improvement of service and survey on the actual structure and tourism propaganda are required to promote international tourism business in Korea. Moreover, it is very important for increasing inbound to inform our country uprightly to overseas and for this, positive sales promotion activities are required under the long range plan. But Korea is very weak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because this country is far from the international tourism market, limited tourism resources, and has a negative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Therefore tourism advertisement as a tourism marketing to promote tourism demand is very important from points of view to earn foreign currency and intensification of international competitive power which are ultimate goal by increasing inbound. Bu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current overseas advertisement activities in Korean tourism business, the problems which are limited sales promotio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limit of overseas advertising activities by limited budget, limited tourism products and lack of new tourism products development, poor study and materials because of limited professional man power, impossibility of long-dated policy establishment by incomplete estimate after the fact, division of related administrative organization, poor advertising business and negative attitude, lack of close cooperation agencies and official and private affairs and so on are founded. The plan to solve the problems is correct understanding for the importance of tourism advertising activity, qualitative improvement of managers, planning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mprovement, new tourism products' development and image advancement by geographical specialization, training of professional man power, establishment of study and estimate organization related to the tourism advertising activities, simplification and cooperation of administrative business and positive attitude for advertising business and performance of efficient and effective advertising activities through the agencies an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lated to tourism and so on. Tourism advertisement should be understood to promote tourism business establishment of fundamental plan for further overseas tourism advertising activities plan to maximize advertising effect through continuous and scientific examination and survey for the problems mentioned the above, and also establishment of long-dated policy will be uprightly carried out.

      • 해외파병활동과 한·미 관계

        오병석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한․미 동맹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한․미의 협력체제하의 동맹관계에서 한국의 역할과 이와 관련된 부수적인 주요 현안들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한국이 얻을수 있는 국익을 연구하는 것이다. 특히 PKO 및 이라크 파병활동을 통한 한․미동맹 관계를 고찰해 보고 이를 통하여 한국이 얻을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 것이다. 동맹은 국가의 생존이나 국익의 보호와 같은 국가 목표를 자국의 힘으로만 달성할 수 있는 국가는 거의 없다고 하여 국가의 생존과 국익 보호를 위해 강대국들과 동맹관계를 수립하는 것이 하나의 대안으로 고려되었다. 하지만 동맹은 어떠한 조건과 배경, 그리고 관련 국가들의 의도에 따라 동맹이 형성되든, 한 국가는 동맹에 참여함으로써 바라던 이익을 취함과 아울러 그에 대한 대가로서 비용도 치루게 된다. 모든 국가들은 이러한 비용을 사전에 충분히 평가하여 동맹 참여의 득(得)과 실(失)을 따져보고 참여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다. 미국은 한국을 6․25전쟁이후 적극적으로 미국 봉쇄정책의 수단으로 사용하려고 하지는 않았지만, 범세계적 냉전전략의 틀 속에서 자신의 세계전략 또는 대 아시아 전략의 효과적 추진을 위해 한국과의 동맹을 체결하게 되었고, 한국은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는 북한의 군사적 재도발을 억제하고 국제사회로부터 외교적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미국과의 동맹이 필요했던 것이다. 이러한 동맹관계가 한국의 경제발전과 국제관계의 영향력 증가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주한미군의 관계변천을 살펴보면 확인할 수 있다. 주한미군의 철수와 감축은 주로 미국의 국내상황과 세계전략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과거에는 미국의 일방적인 통보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2000년 이후 초강대국의 위상이 9․11 테러와 아프카니스탄 전쟁과 이라크 전쟁을 치루면서 미국도 동맹국의 지원을 적실히 실감하며 일방적인 통보가 아닌 세계질서와 안보환경을 고려하기 시작한 것이다. 하지만 아직도 한․미 양국간의 안보 전략적 인식과 판단에 차이가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속에서 미국의 대외정책은 힘에 기초한 평화구축 전략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공세적 현실주의에 기초한 힘을 통한 평화 전략’이라는 새로운 안보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테러와의 전쟁을 선언으로 테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과 대량살상무기의 확산을 억제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또한 미국은 최근의 전쟁에서 동맹관계의 변화를 중시하여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이는 아프카니스탄 전과 이라크 전을 통하여 ‘군사적 승리보다 평화의 회복이 더 멀고 험난하다’는 교훈을 얻었으며, 이에 따라 동맹 및 우방국의 책임 분담은 물론 국제적 다자주의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내용을 가장 잘 반영한 것이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정책변화를 보여주는 『4년 주기 국방태세점검』(QDR: Quadrennial Defense Review)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9․11테러이후 2001년 발표된 QDR이 미국의 힘에 의한 평화전략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지만 이제는 국제환경을 고려하여 2006년 QDR을 발표하였다 2006년 QDR의 특징과 주요 내용을 알아보면 이번 QDR은 지난 4년간의 반테러전 경험과 교훈이 반영되고, 향후 미군의 전반적 군사태세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2006 QDR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현재 미국이 처한 상황인식과 목표에서 잘 드러난다. QDR은 향후 미국의 국익에 대한 주된 위협이 과거와 같은 국가가 아니라 극단적 테러 네트워크라고 정의하고 테러와의 전쟁을 ‘장기전(long war)’으로 규정하였다. 이 위협의 본질은 단일한 성격의 것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것이라서 국방부와 타 정부 부처와의 협력은 물론 동맹국들과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안보환경의 불확실성과 불가 예측성이 QDR 상황인식의 근간이 되고 있는 것이다. 미국 외교정책의 변화가 의미하는 바는 한미동맹이 과거와 같은 형태를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고, 현재 진행 중인 동맹 재조정이 더욱 추진력을 얻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전략적 유연성은 동맹의 성격이 변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미국의 동북아 정책도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북한 핵 문제에 대한 강력한 제재 조치나 다자회담을 통한 핵문제 포기활동, 또한 주한미군의 재배치 등은 한․미 동맹관계의 재편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해외파병은 과거에도 주변국의 요청에 의해 시작되었다. 이는 우리민족의 적극적 의지라기보다는 주변국과의 관계를 고려한 어쩔수 없은 선택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집권층은 대외명분과 국익을 전제로 피해를 최소화 하면서 국가의 위상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현대에 와서 베트남의 파병은 우리의 국익을 위해 집권층의 노력이 있었다. 한․미 동맹관계의 발전을 추구하면서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최대한의 성과를 요구하였다. 하지만 60년대 한․미 관계는 제한된 모습으로 발전되었다. 이후 걸프전, 동티모르 등의 파병은 우리의 역사를 재조명하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고양시켰고, 일방적인 한․미 관계를 동반자적인 협력관계로 발전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또한 1993년부터 시작된 다양한 PKO 활동은 한반도의 안보문제와 한․미 관계, 한국의 국제사회 인식 등이 변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PKO 역사를 통해서 PKO가 변화해 온 추세는 크게 6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PKO의 양적 증가이며, 둘째, PKO 임무의 질적 변화이다. 셋째, PKO 재정지출의 폭발적 증가, 넷째, UN의 기능 강화 추세이다. 다섯째, 강제집행 조치의 허용확대 추세이다. 마지막으로 PKO 상시준비체제(PKO stand- by arrangements) 구축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국제사회의 평화유지활동도 유엔을 통한 국제사회의 입김이 강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PKO 활동은 15여년 지난 지금 11개 지역 13개국 3,500여명이 활동중이다. 1996년 9월에는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에 선출되는 등 국제사회에서의 한국의 지위나 국가이미지가 발전되고 있으며, 한국의 국가경쟁력이 증가되고 있다는 결과이다. 한․미 관계의 발전도 이러한 이익과 득실속에서 발전되었고, 우리는 물리적인 군사력의 지원인 해외파병활동이라는 다양한 형태의 제공으로 동맹관계를 유지하였다. 이는 우리의 국가이익과 안보현실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시점에서의 다양한 PKO 활동과 특히,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이라크 파병은 우리의 국익과 한․미 동맹관계 발전에 크게 기여한 부분이다. 우리의 이라크 파병은 크게 4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첫째, 한 ․ 미 동맹 공고화를 통한 한반도 안보를 제고한다. 둘째, 중동지역 경제 진출 보장을 통하여 중 ․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한다. 셋째, 이라크 평화 정착 및 재건지원을 통한 국가 이미지를 제고하여 향후 국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넷째, 중동지역 정세 안정으로 석유자원의 원활한 공급을 보장받아 에너지 수급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목적 아래 파병시 다양한 활동으로 ‘아르빌의 천사’라는 별명을 부여받았고, 다양한 지원활동 및 민사작전은 동맹군의 모델이 되었고, 이라크 북부지역의 현지 지방정부는 파병연장 동의안 제출시 한국정부에 적극적인 파병연장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또한, 정부에서는 향후 국가 기업의 진출을 통하여 제 2의 중동붐을 고려하여 이라크 파병 범정부 파병지원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운용하였고, 현지에서 건설교통부, 해외건설협회, 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등은 직접 담당자를 파견하여 민사협조본부(CIMIC)와 함께 재건지원활동을 지원하였다. 국제사회의 해외파병활동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더욱 적극적이고 열성적이다. 일본은 자신들의 ‘PKO 협력법’, ‘테러대책 특조법’ 등 법률을 개정하면서까지 이라크에 자위대를 파병하여 미국과의 관계를 증가시키며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노력하였다. 이는 자국의 영향력 확대와 이익을 위해서 어떠한 법적 조치도 취할수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호주는 미국과의 동맹으로 미국의 2006년 QDR 발표시 미국의 동맹국중 모델이라고까지 하였다. 호주는 최근 소리 없이 국제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으며 중동에서 아시아, 남태평양까지 여러 분쟁 지역에 병력을 파견해 입지를 넓혀 가는 중이다. 풍부한 자원과 넓은 국토에 걸맞은 국제적 지위를 확보하는 게 목표로 보인다. 이처럼 호주도 자신들의 동맹관계를 효율적으로 활용으로 국제사회에서의 인지도를 증가시키고 국가이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의 발전된 국가이미지, 국제위상은 다양한 PKO 활동과 해외 파병을 통하여 극대화 시켜야 하며, 종국에는 북한의 현실적인 위협을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한․미 관계도 협력적 동반자로 역할이 전환되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