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합기도 연구동향 분석 및 발전방향(2012 - 2022)

        이은오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합기도 관련 연구 동향의 변화를 분석하여 합기도 관련 후속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2023년 6월 5일 한국교육학술정보원(www.riss.kr)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검색 등록된 학위논문과 학술지에 등재된 87편의 논문을 선정하고 분석하였으며, SPSS 18.0을 이용하여 합기도와 관련된 연구현황, 합기도와 관련된 학위논문 현황, 합기도와 관련된 학술지 논문 현황, 합기도와 관련된 학위논문 대학별 현황, 합기도와 관련된 연구 대상별 현황, 합기도와 관련된 연구 주제별 현황, 합기도 연구와 관련된 연구 분석 방법별 현황, 합기도와 관련된 연구의 체육학 분야 연구영역 분석현황의 산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합기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동윤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합기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apkido Training on the Living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체육학과 박 동 윤 지도교수 박 준 동 아동기의 체육 활동 참여는 건강한 신체 구성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사회성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합기도 수련이 초등학생의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다.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합기도체육관에서 수련중인 남, 여 초등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9.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Analysis), 요인분석(FactorAnalysis),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 A)을 실시하였고,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 로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생활태도의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생활태도 요인 중 남자가 여자보다 학교생활태도, 일상생활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에서 여자보다 평균이 높게 나왔으며, 여자는 학교규칙준수에서 남자보다 평균이 높게나왔다. 둘째, 학년에 따른 생활태도의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단, 학교규칙준수에서는 유의수준에 유의하지는 않지만 저학년의 경우 고학년보다는 합기도 수련이 학교규칙준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련기간에 따른 생활태도의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학교규칙준수, 교우관계에서 2년 이상 수련한 초등학생이 1년 미만과 1년 이상 2년 미만 수련생보다 평균이 높게 나왔다. 넷째, 주당 합기도 참여횟수에 따른 생활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사례수가 3회 미만이 12명 5.3%, 3회 이상이 213명 94.7%이어서 통계적 의미가 없다. 다섯째, 일일 수련시간에 따른 생활태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사례수가 1시간 30분미만이 209명 92.9%, 1시간 30분 이상이 16명 7.1%이어서 통계적 의미가 없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학년에 따른 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난다. 그래서 합기도 수련 참여시기는 저학년에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합기도 수련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태도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합기도수련을 지도하는 지도자는 학년별, 수련기간에 따른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합기도 수련교육 프로그램을 정립하여 초등학생의 올바른 생활태도 형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합기도, 초등학생, 학교생활태도, 일상생활태도

      • 합기도수련이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

        배기석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합기도수련이 다중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7년 현재 서울 ․ 경기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합기도장에서 수련 중인 초등학생 2~6학년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뒤, 집락무선표집법을 통해서 총 4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불성실하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56부를 제외한 총 344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독립변인인 합기도수련에 관한 질문과 종속변인인 다중지능에 관련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사용한 설문지는 선행연구에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인정받은 척도로서, 합기도수련은 합기도수련생의 일반적 특성, 합기도 수련 참가정도, 합기도 수련생의 선호프로그램, 합기도장에서의 중점 교육 프로그램으로, 다중지능 설문지는 김현진(1999)의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와 김정희(2004)의 ‘초등학교 학생의 가정환경과 다중지능간의 관계’에서 사용한 다중지능검사(K-MIDAS; K-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al Assessment Scales)로 구성하였다. 작성된 설문지는 연구대상에게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응답하게 하였으며, 응답이 끝난 설문지를 회수하여 통계프로그램 SPSS 12.0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합기도수련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에 있어서, 일반적 특성중 성별에 따라 음악지능, 공간지능, 논리수학지능에서, 학년에 따라 음악지능, 언어지능에서, 수련동기에 따라 자연탐구지능, 신체운동지능, 공간지능, 대인관계지능에서, 타 학원등록 수에 따라 논리-수학지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합기도 수련 참가정도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에 있어서, 수련 참가 기간에 따라 공간지능, 논리-수학지능에서, 참가실력(단급)에 따라 논리-수학지능에서, 참가 흥미와 즐거움에 따라 다중지능의 모든 하위변인 즉, 음악지능, 개인이해지능, 자연탐구지능, 신체운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대인관계지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합기도 수련생의 선호프로그램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에 있어서, 선호프로그램에 따라 신체지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선호프로그램 중 낙법 및 기계체조를 선호할수록 신체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기도수련생의 선호프로그램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1순위에서는 학교체육(축구, 농구, 줄넘기, 뜀틀, 훌라후프 등), 2순위에서는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게임), 3순위에서는 호신술 프로그램의 순으로 선호하고 있었다. 넷째, 합기도장에서의 중점 교육 프로그램인식에 따른 다중지능의 차이에 있어서, 중점교육프로그램 인식에 따라 언어지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점교육프로그램인식 중 발표력이 중점이 된다고 인식하는 수련생이 언어지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합기도장에서의 중점 교육 프로그램인식에 대한 순위 빈도분석 결과, 1순위에서는 인성교육이, 학교체육(축구, 농구, 줄넘기, 뜀틀, 훌라후프 등), 사회성프로그램(게임, 레크리에이션 봉사활동 등)순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 of Hapkido training on multiple intelligence. For this, 344 children of Hapkido training who are dwelling in Seoul, Kyonggi-do were sampled an example using clust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method of inquiry was a questionnaire.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referred to the previous of Kim(1999) and Kim(2004)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 collected data was enforced the analysis of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one way ANOVA using the SPSS Ver 15.0. Therefore, it has got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training degree. Third,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Hapkido preferring programs. Firth, there was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Hapkido important programs.

      • 합기도 사상에 내재된 단전호흡수련의 비교 연구

        이우재 명지대학교 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한국 합기도의 단전호흡수련에 있어서 방법과 특성이 각 단체별로 상이점이 있다는 것에 문제의식을 두고, 합기도 단체들간의 수련방법이 다른 이유가 무엇인지 원인을 규명하여 합기도의 올바른 기술수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를 통해 각 유파의 사상과 단전호흡수련법을 분석한 후 이를 토대로 각 유파의 수련법의 특성을 정리하여 공통점과 상이점을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의 합기도는 민족 경전인 삼일신고(三一神誥)에 기본을 두고 민족사상인 한 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천, 지, 인 삼원사상을 근본으로 삼고, 지감, 조식, 금촉을 수행의 근본으로 하여, 원방각을 수련 원리로 원, 유, 화를 단련의 원리로 하는 무술로 그 중심에는 기운용을 위한 단전호흡이 있다. 단전호흡은 각 유파별로 조금씩의 차이는 있으나 단전호흡의 실제 수련에서 같은 명칭을 사용하면서 기술적인 통일성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단체별로 발전과정에서 시간과 공간에 따라 가변성이 있어야 하는 무술이 가지고 있는 창조성으로 볼 수 있다. 이는 무술이 가지고 있는 자연스러운 본질적인 특성이다. 그러나 합기도를 수련하는 수련생 측면에서 볼 때 가변성이 지나치면 합기도라는 본질이 훼손될 우려가 있으므로 되도록 일관성을 유지는 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각 유파별 사상과 단전호흡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현재 우리나라 합기도 단전호흡수련의 효과와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첫째, 단전호흡수련법에서 사상과 결합된 동작을 표현 명칭에 대한 명확성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합기도의 삼원사상을 중심으로 한 단전호흡 수련방식의 체계성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단전호흡 수련방식의 난해함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한 확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발전과제로 제시한다. 합기도는 스포츠가 아니고 무술이기에 무술이 가지고 있는 본질 즉 합기도가 가지고 있는 본질에 충실한 방향으로 발전되어야 바람직한 변화이며 무엇보다도 합기도 수련자 입장에서 단전호흡수련이 왜 필요한지 그 의미와 목적이 수련자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은 현대 합기도의 사회적 책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be aware of the problem that the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have different methods and characteristics in the training of Danjeon breathing in Hapkido, Korea. It aims to provide basic data. To this end, after analyzing each group's ideology and Danjeon breathing train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data,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s training method were summarized and the results of deriving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are as follows. Hapkido in Korea is based on the national scripture Sam-ilsingo (三一神誥), based on the national ideology, Hansasang, based on the thoughts of Cheon, Ji, and In, and Jigam, Josig, and Geumchog as the basis of meditation. , Won, Bang, Gag as a training principle and Won, Yu Hwa as a training principle, and at the center of it is Danjeon breathing for Ki management. Danjeon breathing is slightly different for each group, but it means that there is no technical unity while using the same name in the actual training of Danjeon breathing, which can be seen as creative variability according to time and space in the process of Hapkido development. This is a natural intrinsic characteristic of martial arts. However, from the standpoint of trainees who train Hapkido, if the variability is excessive, the essence of Hapkido may be damaged, so it is better to maintain consistency as much as possibl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houghts and Danjeon breathing by each group, the effect and quality improvement of Danjeon breathing training in Hapkido in Korea is currently blinded. First, it is necessary to clearly secure the expression and description of thoughts and combined movements in Danjeon breathing pract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ystematicity of the Danjeon breathing training method centered on Hapkido's ideology. Third,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secure a method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the Danjeon breathing training method. Since Hapkido is not a sport, it is a martial art, so it is a desirable change that must be developed in a direction that is faithful to the essence of martial arts, that is, the essence of Hapkido. Most importantly, it i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modern Hapkido that why Danjeon breathing training is necessary from the standpoint of Hapkido practitioners, and that its meaning and purpose must be properly conveyed to the practitioners.

      • 초등학생 합기도 수련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사회성발달 및 생활태도와의 관계 연구

        이승철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학생 합기도 수련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사회성발달 및 생활태도와의 관계 연구 이 승 철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생활체육교육학과 지도교수 김 희 연 본 연구는 초등학생 합기도 수련자의 신체적 자기개념과 사회성발달 및 생활태도와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를 포함한 6개의 합기도 도장의 초등학생 남·녀를 모집단으로 선정한 다음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총350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하거나 미 응답한 자료 22부를 제외하고 328부의 본 연구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설문지의 타당도는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검증되었다. 설문지의 신체적 자기개념의 신뢰도 계수는 ɑ=.702∼.851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ɑ=.909로 나타났다. 사회성발달의 신뢰도 계수는 ɑ=.742∼.871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ɑ=.927로 나타났다. 생활태도의 신뢰도 계수는 ɑ=.751∼.887로 나타났으며, 전체 신뢰도 계수는 ɑ=.921로 나타났다. 통계처리방법은 SPSS 21.0프로그램을 활용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은 근력, 외모, 체지방, 지구력, 스포츠 유능감이 남자가 여자보다 높다. 학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은 외모, 체지방, 유연성, 자기존중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참여기간에 따라 신체적 자기개념은 유연성, 신체활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둘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사회성발달은 사교성, 활동성이 남자가 여자보다 높다. 학년에 따라 사회성발달은 학년이 오를수록 성취성과 정서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다. 기간에 따라 사회성발달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 셋째,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라 생활태도는 학교규칙준수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다. 학년에 따라 생활태도는 교우관계, 교사관계, 학교생활태도, 학교규칙준수, 일상생활태도에서 학년이 오를수록 유의한 차이가 있다. 기간에 따라 생활태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다. 넷째, 신체적 자기개념에 따라 사회성발달의 차이를 보면 신체적 자기개념의 근력은 사회성발달의 정서성, 활동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의 외모는 사회성발달의 정서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유연성은 사회성발달의 자율성, 책임성, 성취성, 정서성, 활동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자기개념의 지구력은 사회성발달의 책임성과 성취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적 자기개념의 스포츠유능감은 사회성발달의 사교성, 정서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신체적 자기개념의 자기존중감은 사회성발달의 사교성, 자율성, 책임성, 성취성, 정서성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체적 자기개념의 하위요인인 유연성과 자기존중감이 사회성발달의 하위요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적 자기개념에 따라 생활태도의 차이를 보면 신체적 자기개념의 근력은 생활태도의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의 지구력은 생활태도의 교사관계와 일상생활태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기개념의 유연성과 자기존중감은 생활태도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가장 많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탔으며, 유연성과 자기존중감이 높으면 생활태도 또한 높아진다. 여섯째, 사회성발달에 따라 생활태도의 차이를 보면 사회성발달의 사교성과 자율성은 생활태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성발달의 책임성은 생활태도의 학교생활태도와 일상생활태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성발달의 정서성은 생활태도의 교우관계, 교사관계, 일상생활태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성발달의 활동성은 생활태도의 교사관계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성발달의 하위요인인 사교성과, 자율성이 높으면 생활태도 또한 높아진다. 합기도, 신체적 자기개념, 사회성발달, 생활태도

      • 합기도 원형술기의 이해를 위한 사상적 고찰

        이재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합기도 원형술기의 태생적 성립과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사상적 원리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한국 합기도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할 수 있는 한국합기도에 대한 올바른 역사의식과 합기도에 내재한 사상적 가치를 이해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합기도의 역사적 사실과 관련된 인물 그리고 배경을 탐색하여 한국합기도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계기로 마련할 것이다. 둘째, 한국합기도 원형술기의 태생적 성립과 과정 그리고 구성원리를 사상적 차원의 관점에서 논의하여 술기의 이론적 기반을 체계화할 것이다. 셋째, 원형술기의 구성원리를 과학적으로 해석하여 기술 전수에 이해를 돕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다. 넷째, 원형술기의 예법, 수련 방법, 수련 과정, 수련 원리를 체계적으로 문서화하여 이론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달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합기도 원형술기의 태생적 근원과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합기도의 역사에서 어떠한 인물이 있는가?, 셋째, 합기도 원형술기의 종류와 형태를 원리와 기법에 따라 구분할 수 있는가?이다. 이를 위한 주요 연구 방법적 토대는 문헌연구이다. 한국합기도와 관련된 다양한 문헌자료를 토대로 문헌 연구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해 진행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합기도의 역사적 가치를 대표할 수 있는 전문가 2인의 자문을 통해 최종적인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첫째, 한국합기도의 성립 배경과 근원은 천지인 삼재의 합일사상과 무위자연의 노장사상, 중용의 공자사상, 중도와 공(空), 자비의 불교사상 등 동아시아적 철학을 바탕으로 성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점은 기존에 합기도와 철학사상과의 관련을 밝힌 선행연구들보다 좀 더 심도 깊은 사상적 연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사상적 원리는 합기도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가 되며, 여기서 다루는 이론들은 합기도의 정신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합기도의 기술적인 측면과 호흡법, 수련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합기도의 기원을 신라 시대 대동류의 신라삼랑원의광에서부터 찾을 수 있었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이미 밝혀진 것으로 한국합기도사에 있어 고정화된 역사적 사실로 인정하고 있다. 그리고 대동류인 신라삼랑원의광을 시작으로 현재의 한국합기도의 역사적 시기를 태동기, 보급기, 성장기, 전환기, 정착기(현재)로 구분하여 그 시기별 주요 인물을 분류할 수 있었다. 현재의 정착기로 변화 발전해 오기까지 중요한 곡점, 즉 시기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그 시기를 시작인 태동기에서 오늘날의 정착기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각 시기별 주요한 인물들의 역사적 사실과 업적 등을 고찰하여 분류하였다. 셋째, 한국 기도의 사상적 원리와 과학적 원리, 기법적 체계를 바탕으로 원형술기를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합기도의 원리와 기법에 따른 원형술기의 종류와 형태를 각 기술별로 동작의 사진, 동영상 등을 통해 상세히 분석 분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합기도의 원형과 정체성을 복원하고 합기도의 심층적인 구조를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과정은 합기도 70년 역사 속에 합기도 고유의 술기를 찾아서 체계적으로 정립하고 이론화시켰다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지난 세월 합기도의 무분별한 단체의 성립으로 인하여 본질적인 기술이 많이 왜곡되고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원형술기의 정립은 일선 지도자들이 올바른 가치관을 성립하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술기의 이치를 깨닫고 고유의 술기를 보존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여 진다. 한국합기도는 신라삼랑원의광을 시조로 전해 내려온 대동류합기유술에 최용술 도주로부터 창시되어 제자들에게 전승된 실용적이고 무도성을 조화시킨 전통무도로서 사상적 원리와 과학적인 원리, 기법적인 체계적으로 구성된 정교한 무술이다. 한국에서 최용술도주가 독창적으로 정형화되고 체계화된 무도이다. 한국합기도는 고유의 전통무도로서의 본질적 요소인 전통성ㆍ대중성ㆍ지속성ㆍ고유성ㆍ현재성 등에 부합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합기도의 원형술기를 이해하기 위해 그 속에 내재된 사상적 고찰, 즉 성립배경과 근원, 그리고 역사적 인물들을 살펴보고 이를 더 확고히 하는 과정은 한국합기도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정임은 틀림없다. 또한 다양한 원형술기를 사상적 원리와 과학적, 기법적 체계를 근거로 분류하고 제시하였다는 것은 지금까지 이론적으로 제시한 것을 증명했다는 것이고, 이는 실제로 한국합기도의 원형술기가 그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성립되었음을 밝히는 계기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연구는 그동안 변형되었거나 잘못 알고 있던 술기들의 난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형술기의 근본적 원리와 구조를 밝히고 이를 통해 분류함으로써 한국합기도의 원형과 정체성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합기도의 탄생적 배경을 한국 고유의 무술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한국합기도의 정체성이라는 논제는 이미 오래전의 것이다. 다시 말해 이제는 한국합기도는 분명 한국 고유의 무술이며 무예라는 것이다. 다시 말해 한국합기도와 일본 아이기도와의 비교 대조하는 것은 무의미한 것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합기도의 탄생적 배경을 한국 고유의 무술을 통해 고찰하는 것이 매우 의미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한국합기도가 현재에 이르는 과정 속에 많은 합기도인들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매우 제한적인 인물을 통해 한국 합기도사를 고찰 조명하였다. 차후에는 보다 더 확장한 많은 합기도인을 통해 한국 합기도사를 조명한다면 오늘날의 합기도가 존립하는 근거를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한국합기도의 원형술기는 매우 다양하고 복층적인 단계로 구성되어있으며, 이를 살펴보면 원형술기는 초급에서 중급, 상급, 고급, 무기술에 이르기까지 총 3,608수이며, 본술기가 1,000여수이고, 나머지는 변화수이다. 변화술기는 본술기의 원리에서 파생되어 이루어지는 술기로 구성된다. 변화술기는 상황에 따른 방향과 순간판단에 따라 복합적인 조합으로 구성된다. 변화술기의 기준은 입체적, 반사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본술기 과정인 초급, 중급, 상급기술인 145술기에 대하여 분류하고 그 종류와 형태를 구분 제시하였다. 이는 일반인이 합기도에 입문하여 각 도장에서 수련할 수 있는 보편적인 술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차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외된 나머지 고급, 무기술 등의 술기를 사상적 원리, 과학적 원리, 기법적 체계를 근거로 하여 분류 제시하는 연구가 이어진다면 한국합기도의 원형술기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라는 측면에서 매우 의미 있는 과정이 될 것으로 보여 진다. This research studied to examination the establishment and change of original HAP KI DO technique and considered the ideological principle of HAP KI DO. First, the legitimacy and identity of Korean HAP KI DO were re-established by historical facts. Second,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change, and construction principles of original HAP KI DO techniques were discussed for systematization of theoretical basis. Third, it will provided an opportunity to help understanding of techniques transfer by scientifically interpreting the principle. Fourth, it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theorize by systematically documenting the etiquette, training method, training process, and training principle of original techniques.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question. What is the origin and background of the original HAP KI DO technique? Second question. What kind of person is there in the history of HAP KI DO? Third, can the types and forms of the original HAP KI DO technique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The establishment of Korean HAP KI DO was based on the East Asian philosophies such as hab-il ideas, no-jang ideas, gong ja ideas, jungdo and gong and Buddhism. These ideological principles form the basis of identity of HAP KI DO,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theories was closely related not only to the spirit of HAPKID, but also to the practical technical, breathing and training methods. Second, the origin of Korean HAP KI DO was founded from sinlasamlang-won-uigwang at Silla period. In addition, starting with Silla Samrangwonuigwang, the history of Korean HAP KI DO was classified to period of birth, dissemination, growth, transition, and setting period (present). The setting period was divided to 5 class by 4 important points (issues). The historical facts and achievements of major figures in each periods were considered and classified. Third, the original HAP KI DO techniques was classified by ideological principle, scientific principle, and system of HAP KI DO. The principle of HAP KI DO and types and forms of original HAP KI DO techniques was classified through pictures and videos. Through this process, the origin and identity of Korean HAP KI DO was restore and confirm the deep structure of HAP KI DO. This process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has systematically established and theorized HAP KI DO techniques in the 70-year histor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establishment of original techniques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values for front-line leaders. In addition, it is believed that it will contribute to realizing the rationale of the technique and preserving the original technique. Korean Hapkido is a traditional martial art that sophisticated martial art that is systematically composed of ideological principles, scientific principles, and techniques. Korean HAP KI DO was satisfied the essential elements of traditional martial arts such as tradition, popularity, continuity, uniqueness, and presentness.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al technique of Korean HAP KI DO, it is undoubtedly important process for the history of Korean HAP KI DO to examine the ideological considerations inherent in it, background, origins, and historical figures of its establishment and further solidify. In the end, this study presented the origin and identity of Korean HAP KI DO by revealing the fundamental principles and structure of original techniques and classifying them through thi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cattering of techniques that have been modified or misunderstood. First, it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Korean HAP KI DO through Korea's unique martial arts. The issue of the identity of Korean HAP KI DO is a thing of the past. In other words, Korean HAP KI DO is clearly a Korean martial art. Again, comparing and contrasting Korean HAP KI DO with Japanese Aikido is meaningless. In this respect, it seems very meaningful to consider the background of the birth of Korean HAP KI DO through Korean martial arts. Second, there were many Hapkido practitioners in the process of Korean HAP KI DO to the present. This study examines and illuminates Korean HAP KI DO through very limited figures. In the future, if we illuminate Korean HAP KI DO through more expanded Hapkido practitioners, we can see the basis for the existence of HAP KI DO. Third, the original technique of Korean HAP KI DO is very diverse and consists of multiple stages. There are a total of 3,608 original techniques ranging from beginner to advanced, and the main technique is about 1,000, and the others are is changed from main techniques. The changed technique derived from the principle of the main technique. The changed technique is composed of a complex combina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and momentary judgment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 standard of changed technique appears three-dimensionally and reflectively. However, in this study, basic, intermediate, and advanced 145 skills, which are basic main courses, are classified and their types and forms are presented separately. These skills are universal technique that ordinary people can practice entering HAP KI DO. Therefore, if research continues in the future that classifies and presents the remaining advanced and martial arts techniques about weapon excluded from this study based on ideological principles, scientific principles, and technical systems, it will be very meaningful in terms of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original techniques of Korean HAP KI DO.

      • 합기도 경기의 기술유형 및 득점 분석 연구

        정승철 명지대학교 기록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합기도 경기에서 나타나는 기술유형 및 득점에 관하여 참가선수의 경기기록을 중심으로 합기도의 경기력 향상과 경기운동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대학 합기도 연맹이 주최하는 제1회 전국 춘계 대학 합기도 선수권대회에 참가한 고등부와 대학일반부 남?녀 선수들을 대상으로 기술시도와 득점성공률은 어떠하며, 기술시도 차이와 득점성공률의 차이는 있는가 라는 문제를 가지고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합기도 선수들의 기술시도유형은 대련부문에 참여한 선수 총 405명의 인원 중에 각각의 기술 찍어차기, 던지기, 뒷차기, 하단차기, 방족술, 앉아 돌아차기, 기타기술 순으로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술시도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서는 찍어차기, 던지기, 하단차기 등의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별에서는 전 부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학일반부 학년별에서는 방족술, 고등부 학년별에서는 뒷차기, 기타기술 등의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별에서는 찍어차기, 뒷차기 등의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급별에서는 찍어차기 기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련기간별에서는 찍어차기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합기도 선수들의 득점성공률은, 방족술이 가장 높은 득점성공률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으로 던지기, 찍어차기, 앉아돌려차기, 뒷차기, 기타기술, 하단차기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득점성공률의 차이를 보면, 성별에서는 기타기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별에서는 뒷차기, 하단차기 등의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일반부 학년별에서는 찍어차기 기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고등부 학년별에서는 방족술 기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신장별에서는 찍어차기, 뒷차기, 하단차기 등의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체급별에는 찍어차기, 뒷차기, 던지기, 방족술 등의 기술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기간에서 는 방족술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선수들은 찍어차기를 훈련 시 공격과 수비에 좀 더 많은 비중을 두고 훈련에 임해야하며, 안면공격 허용, 일선 지도자의 체계적?과학적인 지도법 개발, 심판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대회기간 조정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하겠다. This study is to get useful data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from technical type and the marks obtained in participator's record . The investigator got following results which are technique attempt and rate of the marks obtained in "1st national autumn university Hapkido tournament". 1. Hapkido player's technical type is the fact that it attempted with following technique order roundhouse kick, throwing, back kick, roundhouse kick, cover kick skill, other techniques. 2. There are a few different frequencies between male and female in roundhouse kick, throwing, roundhouse kick and so on, however, there is no different frequency between high school player and university player. Each grade of university has different frequencies about cover kick skill, each part of height has different frequencies about roundhouse kick, back kick, each part of weight has different frequencies about roundhouse kick, and the period training also has it. 3. cover kick skill is shown the marks obtained success rate which cover kick skill is the highest of them all, it appeared throwing, roundhouse kick, low spin heel kick, back kick, other techniques in order. 4. In the difference of the marks obstained success rate, there is a few different frequencies about other techniques. Each grade of university has different about roundhouse kick, each grade of high school has different about cover kick skill. Each part of height has different about roundhouse kick, back kick, roundhouse kick, each part of weight has different about roundhouse kick, back kick, throwing, cover kick skill. The period of training has different about cover kick skill. So players need more training about attack and defence of roundhouse kick. We have to attack competitor's face, teach scientific, systematic and develop a program for referees' qualitative improvement.

      • 합기도 체육관의 무도마케팅믹스 만족도가 관원만족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

        강현수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in increasing the number of trainees and improve satisfaction for Hapkido gymnasiums by positively investigating the effects on trainee satisfaction and post-purchase behaviors in order to improve perceptions of Hapkido leaders, an area neglected within business marketing sectors and overcome the difficulties faced by Hapkido Gymnasiums.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is study, 30 gymnasiums were randomly selected from the gyms registered within the Chungnam Hapkido Council of Sports for All organization where a total of 400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used for analysis. Data processing involved the coding of responses, which were then analyzed using SPSS/PC version 17.0. Frequency analysis and percentages were recorded for every question on the survey while reliability analysis, t-test to verify differences according to sex, one-way ANOVA to test differences by grade and sec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Martial Arts Marketing Mix satisfaction, trainee satisfaction and post-purchasing behaviors. Based on such processes and data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gathered. First, within Martial Arts Marketing Mix satisfac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differential analysis according to sex showed differences in product and price satisfaction, differential analysis according to grade showed differences in leader satisfaction while differential analysis according to section showed differences in product, location, price and leader satisfaction. Second, the variable through which Martial Arts Marketing Mix satisfaction affects trainee satisfaction was shown to be the product and leader. Third, the variable through which Martial Arts Marketing Mix satisfaction affects post-purchasing behaviors was shown to be the leader. Fourth, trainee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an effect on post-purchasing behaviors. 본 연구는 합기도 체육관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경영마케팅부분에 소홀한 합기도지도자의 인식개선을 위해 관원만족 및 구매 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합기도체육관의 관원증가와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대상은 국민생활체육 충남합기도연합회 등록된 체육관중 연구자가 무작위로 30곳의 합기도 체육관을 대상으로 총 400명을 배부하여 수집된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각 응답 내용을 코드화 한 후 SPSS/PC version 1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지 각 문항에 대한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실시하였고 각문장간의 내적합기도를 위한 신뢰도분석, 성별에 대한 차이검증은 T-test, 학년과 현단에 대한 차이검증은 일원배치분산분석, 무도마케팅믹스만족도와 관원만족 및 구매후행동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자료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특성에 따른 무도마케팅믹스 만족도에서는 성별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제품 및 가격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년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지도자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현단에 따른 차이검증에서는 제품, 장소, 가격, 지도자만족도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도마케팅믹스만족도가 관원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제품 및 지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도마케팅믹스만족도가 구매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지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매 후 행동에 관원만족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합기도장의 공간분포와 입지특성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 한국과 독일을 중심으로

        최방호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시설업 중에서 도장업을 대상으로 하는 합기도장의 발달과정과 공간분포 패턴을 우리나라와 독일을 사례로 합기도장의 지리학적 입지 특성 및 수련생들의 선택 형태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가장 큰 한계점으로 선행연구의 부재 특히 본 연구와 같이 시간과 공간적 특성을 고려한 합기도장의 입지특성과 수련생의 행태특성은 전무한 실정이었다. 그리고 분석한 필요한 우리나라와 독일의 지역별 통계자료는 공식적인 집계나 기존 보고자료에서도 구할 수 없는 관계로 본 연구자가 장기간 다양한 자료수집방법 즉, 면담조사, 설문조사, 인터넷 주소검색, 각 지역별 협회 또는 합기도 관장에 대한 전화조사 등을 이용하여 최초로 구축하였다. 독일의 경우 본 연구자가 오랜기간 거주하고 합기도를 직접 교육시키면서 쌓은 경험과 독일의 협회와 지인(합기도 사범)들에 대한 전화, 인터뷰 자료를 바탕으로 구축하였다. 또한 구축된 자료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지도화와 통계분석을 실시하고 분석된 결과를 우리나라와 독일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합기도장의 수요·공급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와 독일의 합기도 관장과 수련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마찬가지로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합기도에 대한 연구는 합기도란 전통 고유무술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수준과 대중성에 비해 양적 또는 질적으로 매우 저조하며 본 연구의 목적과 같이 보다 다양한 관점에서 합기도의 문제점 파악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나라와 독일의 합기도장 분포특성을 살펴본 결과 지역적 차이를 다소 나타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합기도장은 꾸준한 지역별 증가를 나타내고 있다. 세째, 합기도장의 공급적 특성을 살펴보면 주거단지와 학교와의 거리 등 수련생의 유치에 따른 공간적 입지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며 합기도장의 입지요인으로 거리관계, 지가(임대료)등이 중요하게 고려되었다. 네째, 합기도의 수요적 특성을 살펴보면 독일의 경우 한국에 비해 보다 다양한 연령층의 직업을 가진 수련생의 특성을 보였으며 이들은 저렴한 시설이용료와 개인여가시간을 활용하여 합기도를 수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렴한 이용료와 발달된 사회복지정책으로 개인의 신체적 건강과 여가활동 위주의 수련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양무술의 신비로움도 또한 중요한 합기도 체험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합기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하여 합기도의 분포와 확산과정을 우리나라와 독일을 사례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합기도장에 대한 자료가 전무한 상황에서 연구자의 나름대로 기초 통계자료를 구축하고 특성을 지역별로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향후 합기도장의 발전과 대중화에 필요한 자료로서 수요·공급적 특성을 분석하여 밝힌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보다 구체적인 수요·공급적 자료분석은 합기도의 발전과 저변확대, 그리고 경쟁 무술 또는 스포츠와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으며 정부의 스포츠 확대 정책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usion processes and spatial distribution of Hapkido in Korea and Germany. Along with this, this paper also compared and analyzed Hapkido gymnasiums location features and trainee status quo of the two countries. For the thorough analysis, this thesis constructed highly original statistical materials since there's no precedential references on Hapkido studies. Also, the analysis showed temporal and spatial features of Hapkido gymnasiums. For this, survey materials for Hapkido instructors and trainees are included to compare and analyze supply and demand features in the two countries. Following is the analysis result. First of all, previous researches on Hapkido is very scarce compared to the high popularity, wide generalization and long tradition of Hapkido for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Secondly, after thoroughly studying temporal and spatial expansion of Hapkido gymnasiums in Korea and Germany, both countries show steady and qualitative increase of Hapkido gymnasiums with minor differences on local features. Thirdly, Hapkido gymnasiums in Korea show certain location features as of close distance to residential areas and school areas to attract more trainees. The location factors were distances and land prices(rental fees) Fourth, Germany shows high variety on Hapkido gymnasiums users due to low membership price and social emphasis on physical health. The training purpose is centered to physical training and leisure time spending that meet Germany's social welfare policy. Compared to Germany, Korea shows purpose-oriented training (to be mastered in Hapkido), and the users are centered to certain age. Further study on supply and demand features of Hapkido and Hapkido gymnasiums will contribute to expand and to strengthen the base of Hapkido development. This will aid Hapkido to gain dominant position in the competition of martial arts and sports industry. The earned researches will be also utilized in the governmental policy on sports industry.

      • 합기도 도장의 활성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 연구

        박인숙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합기도 도장 경영의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중요 자료를 제공하여 합기도 도장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에 위치한 합기도 도장을 무작위로 선정한 후, 비확률 표본 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여 200명을 표집하여 본 연구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한 통계 분석 기법은 빈도 분석 및 교차 분석 (x²)분석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합기도 지도자의 일반적 배경변인의 특성의 평균을 살펴보면 연령은 33.74이며, 지도경력은 9.25년, 유치부 관원 수는 10.07명, 초등부 관원 수는 40.89명, 중고등부 관원 수 20.40명, 일반 관원 수는 9.55명으로 나타났으며, 합기도 도장의 규모는 56.16평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합기도장의 위치는 2층, 시설은 청결상태 및 매트 상태 양호, 교육프로프램은 기본기술 프로그램, 인성 교육 프로그램, 예절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으며, 홍보방식은 구전광고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도자에 관한 질문에서는 근면, 성실성, 대외 관계, 행동 신뢰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합기도 지도자의 연령에 따라 연고자 입관 촉진, 지도자활동, 신체적 이득 변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합기도 지도자의 지도경력에 따라 정신프로그램 변인에서만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합기도 지도자의 소득수준에 따라 홍보방법, 재 가입 유도방법, 신체적 이득 변인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sent a method to activate Hapkido gymnasium by supplying useful reference resources required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for efficient management of Hapkido Gym. As the subjects for this survey, Hapkido gymnasiums located at Daegu City in Gyeongbuk were selected randomly, and 200 participants were sampled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the resulting data were analyzed accordingly.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that included questionnaire and the statistical-analytical method used in the research works were Frequency Analysis, Crosstab Analysis, and (χ2)Chi-Square Test.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above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results from examination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ackground variables of Hapkido masters in average showed that their age was 33.74, career of couching and guiding was 9.25 years, number of juvenile trainee was 10.07, number of elementary-level trainee was 40.89, number of secondary-level trainee was 20.40, number of adult trainee was 9.55, and the size of the gym was 56.16 pyeong. Second, results from survey revealed that the location of Hapkido Gym was 2nd floor, and that the state of cleanliness of the training facilities and of mat were good, and that training program comprised basic skill program, class for humanity education, and class for education in propriety, and that as to method of publicity, they relied mostly upon word of mouth promotion, and that regarding questions about characteristics of masters, factors such as diligent, sincerity, interrelations, and behavioral reliability were regarded as higher quality. Third, results from analysis indica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promotional activities by persuading or attracting people around to join Hapkido training program, activities to fulfill the role as a leader, the variable relative to benefits of physical activity according to the age of masters. Fourth, results from analysis exhibit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only in the variable relative to mental program according to the coaching or teaching career of Hapkido master. Fifth, results from analysi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method of publicity, method to induce rejoining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variable relative to benefit of physical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