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람을 지칭하는 1음절 접미한자어 연구

        조교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examines detailed semantic functions of monosyllabic sino-Korean suffixals referring to person. By comparing elements with similar semantic functions, I showed what differences can be found among each element. Chapter 1 sets the objects of this study from the suffix lis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focusing on the semantic function rather than the grammatical status of monosyllabic sino-Korean suffixals. Suffixals selected were those defined as ‘adding meanings of person, group, crowd, etc.’, making it difficult to differentiate their semantic functions. This chapter also adds that the semantic functions of monosyllabic sino-Korean suffixals will be identified by reviewing what words each suffixal has formed in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Chapter 2 reviews the concept of ‘Function Unit’. Function unit is a concept that classifies sino-Korean words according to their a functional aspects rather than focusing on morphological analysis. This study considers these function units as its object. Using the concept of function unit, allows to focus on the semantic functions of monosyllabic sino-Korean suffixals without judging their grammatical status. And the semantic function can be examined only when these are used as elements of Korean grammar. Chapter 3 reviews the semantic functions of function unit ‘家, 團, 徒, 輩, 士, 師, 手, 員, 人, 者, 族, 陣, 層, 派, 漢,’ and ‘會’. The words formed by each function unit are examin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eaning of their base,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ses and function units. In the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function units referring to ‘individuals’ often express the meaning of ‘occupation’, while those referring to ‘groups’ mostly convey the meaning of ‘characteristics’. Chapter 4 compares five pairs of function units: ‘員/人, 人/者, 士/師, 團/會,’ ​​and ‘族/派’. First, ‘員’ refers to a personnel who belong to a group or organization, while ‘人’ refers to persons who belong to a certain region or period. The replacement of ‘人’ with ‘者’ or vice versa is mostly allowed when combined with an action noun. Additionally, while ‘士’ can represent both ‘knowledge-focused expertise’ and ‘technology-focused expertise,’ ‘師’ only represents ‘technology-focused expertise.’ Next,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團’ means a group of many people, and ‘會’ means an organization with a certain system. Lastly, while ‘族’ refers to groups that show a tendency for a new way of thinking or behavior, ‘派’ is used to classify people based on preferences or tastes. Chapter 5 the discussion by summarizing the contents, and examin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본 연구는 접미사의 성격을 띠면서 사람을 지칭하는 1음절 한자어의 구체적인 의미기능을 살폈다. 그리고 의미기능이 유사한 요소들을 비교하면서 각 요소 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혔다. 1장에서는 1음절 한자어의 문법적 지위가 아닌 의미기능에 중점을 두고 공신력 있는 사전인 《표준국어대사전》의 접미사 목록에서 연구 대상을 설정하였다. 이때 ‘사람, 집단, 무리’ 등의 의미를 더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의미기능의 차이를 알기 어려운 것들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으로 삼은 1음절 한자어가 형성한 단어를 《표준국어대사전》의 목록에서 확인하여 각 1음절 한자어의 의미기능을 파악할 것을 밝혔다. 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이 되는 ‘기능소’의 개념을 확인하였다. 기능소는 한자어를 형태 분석적 차원이 아니라 기능적 차원에서 분류한 개념이다. 한국어의 한자어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2자어가 기본 형식이 된다. 즉, 한자어는 대부분 2음절 형식이 하나의 기능 단위나 의미 단위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2자어에 주로 결합하는 1음절 한자어 중 접미사의 성격을 띠는 것을 접미기능소라 한다. 다시 말해, 접미기능소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접사와 어근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본고는 연구 대상을 접미기능소로 취급하였다. 접미기능소의 개념을 활용하면 1음절 한자어의 문법적 지위를 판단하지 않고 의미기능에 집중할 수 있다. 그리고 1음절 한자어가 한국어 문법의 요소로 쓰이는 경우로만 한정하여 의미기능을 살필 수 있다. 3장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설정한 접미기능소 ‘家, 團, 徒, 輩, 士, 師, 手, 員, 人, 者, 族, 陣, 層, 派, 漢, 會’의 의미기능을 검토하였다. 각 접미기능소가 형성한 단어의 목록을 《표준국어대사전》에서 확인하고, 이를 결합하는 어기의 의미에 따라 분류하여 어기와 접미기능소 사이에 나타나는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인’을 지칭하는 접미기능소는 대개 ‘직업’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고, ‘집단’을 지칭하는 접미기능소는 대부분 ‘특성’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비슷한 의미기능을 보이는 접미기능소를 비교하여 그 차이를 밝혔다. 비교 대상은 ‘員/人, 人/者, 士/師, 團/會, 族/派’ 총 다섯 쌍의 접미기능소였다. 먼저 ‘員’은 ‘어떤 집단이나 단체에 속한 사람’을 지칭한다면 ‘人’은 ‘어떤 지역이나 시기에 속한 사람’을 지칭하였다. 그리고 ‘人’과 ‘者’의 교체는 대부분 행위를 나타내는 서술성 명사와 결합할 때 허용된다는 특징이 있었다. 또한 ‘士’는 ‘지식 중심 전문성’과 ‘기술 중심 전문성’을 모두 나타낼 수 있다면, ‘師’는 ‘기술 중심 전문성’만 나타낼 수 있었다. 이어서 ‘團’은 ‘여러 사람이 모인 무리’를 의미하고, ‘會’은 ‘일정한 체계가 있는 조직’을 뜻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族’은 사회적으로 새로운 사고방식이나 행동의 경향성을 보이는 집단을 지칭한다면, ‘派’는 기호나 선호에 따라 사람을 구분할 때 쓰였다. 5장에서는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점검하며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 한-중 한자어에 대한 연구 : 역순어를 중심으로

        리련 숭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과 중국의 한자들을 대비해 보면 같은 한자로 조성되어 있지만 그 결합의 순서가 다른 것들이 있다. 즉, 한자 역순어를 말한다. 이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하는 한국 한자 역순어와 중국 한자 역순어에 대한 변화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통사?의미론적 원인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이들 역순어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서, 구체적인 양상에 따라 분류하여 이에 따른 의미상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제1장은 본 연구를 시행하는 목적, 연구범위와 방법을 제시하고 선행연구도 함께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 한자어의 역사를 알아보고 한-중 양국의 언어문자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한-중 한자 역순어를 비교하는데 있어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제3장은 한-중 한자 역순어를 그 구체적인 양상에 따라 2음절어, 3음절어, 4음절어로 분류하여, 이에 따른 이들 字의 통사적인 관계를 중심으로 그 조어 양상을 살펴서, 이를 중국어와 비교하여 고찰할 것이다. 제4장은 한-중 한자 역순어를 의미대응 관계의 관점에서 의미가 완전히 일치하는 유형, 부분적으로 일치하는 유형, 같다고 볼 수 없는(불일치) 유형으로 구분하여 구체적인 단어의 예를 들어 그 의미 변화 양상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제5장은 본 논문의 결론으로 앞장의 내용들을 종합하여 정리하였다. 한자어 사용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한국 한자어의 문제가 여러 각도에서 논의 되면서 이에 대한 연구도 그만큼 증대되었다. 하지만 한국과 중국의 한자 역순어 어휘의 대비연구는 다른 어학연구 분야에 비해 매우 미미한 편이다. 때문에 이 논문이 한-중 양국의 한자 역순어를 비교 이해하는데 다소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Comparing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and Chinese, we will find the words are formed with the same characters but their order is different. We call them Reverse Order Words. This research has classified the change pattern of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and Chinese language and it aims to find out its syntactic and semantic reason. In this research, we try to find out the reason of the occurrence of Reverse Order Words, and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concrete aspect to inquire into semantic cause. In Chapter 1, we have presented the object, method and scope of this research with readjusting previous studies. In Chapter 2, in order to help with understanding th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Reverse Order Words, we have presented the history of the Chinese characters used in Korean and the connections between language and characters used in China and Korea. In Chapter 3, we have classified the Korean-Chinese Reverse Order Words into two-syllable words, three-syllable words, and four-syllable words. And based upon them, we have inspected their word formation aspect around the syntactic relationship between their characters, and review it by comparing with Chinese language. In Chapter 4, at the counter meaning point of view, we have separated the Korean-Chinese Reverse Order Words by the completely-corresponded type, partially-corresponded type, totally different type, and we will inquire into semantic change aspect with some examples. Chapter 5, a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t synthetically has readjusted the foregoing contents. Along with emphasis on the usage of Chinese characters and the problem about Chines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is being discussed in several aspects, the research on this field has been increased. However, the comparative study on Korean-Chinese Reverse Order Words is much more insignificant than any other language study field. So we hope this research can make an offer to understanding the Korean-Chinese Reverse Order Words.

      • 현대 한·중·일 同形 한자어의 의미비교 : 2자 한자어를 중심으로

        李日仙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현대 한·중·일 3국의 동형한자어(同形漢字語)의 어휘에 대한 조사와 2자 한자어의 의미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본고는 한·중·일 3국 동형한자어 어휘를 살펴보기 위한 필자의 기초적인 연구로 이번 고찰을 통하여 한·중·일 3국의 동형한자어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규명하여 동형한자어의 올바른 활용과 주의할 부분에 대해 명확히 하고자 하는 논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현대 한·중·일 3국의 동형한자어를 고찰대상으로 일본 국립국어연구소의 『分類語彙表』(2004)를 기본 자료로 삼는 방법을 택하였다. 나아가 『分類語彙表』의 명사(56,151개)를 고찰대상으로 한·중·일 3국 동형한자어인 단어만 추출한 결과 그 단어 수는 2,893개이다. 추출한 한·중·일 3국의 동형한자어의 의미비교를 진행하기 위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한국 국립국어원에서 발행한 『표준국어대사전』, 중국의 『現代漢語辭典』(第五版)과 일본의 『大辞泉』(1995) 등과 같은 사전을 이용하여 의미와 용례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한·중·일 3국의 동형한자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는데 앞에 제시한 사전에 실린 의미나 용례를 수집하여 비교할 것을 기준으로 정하여 진행하였다. 본론에서 동형한자어에 대하여 크게 3 가지로 분류하여 연구를 구체적으로 진행하였고 나아가 그 의미와 용례를 분석하였다. 예를 들자면 同形同義語에는 「間諜」, 「惡人」등이 있고, 同形異義語에는 「工夫」「景況」, 同形類義語에는 「故障」,「火力」,「大事」등이 있다. 본 논문은 위에 제시한 자료를 기준으로 한·중·일 3국의 사전을 참고하여 동형한자어의 어휘의 양적인 어수와 각 나라의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중점을 두고 살펴보았다.

      • 韓·中 漢字語 意味 對比 硏究

        문연희 成均館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고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논문을 쓰게 된 동기와 목적, 선행 연구에 대한 검토, 연구 방향과 범위에 대해 언급했다. 제2장에서는 우선 ?n???h俚?Z의 수용 과정을 힛???r덜, 멕???r덜, 날?r?r덜, ?_뺏퍅 鹿遜로 나누어 기술했고 문헌 자료를 통해 기원적 계보를 중국을 통해 수입된 것, 일본을 통해 수입 된 것, 한국 고유 한자어 등으로 나누어 정리했다. 다음 ?h?Z ?Z??의 변천 과정을 ?h뮴?r퍅, ?球??r퍅, 櫓뮴?r퍅, 쐤뮴?r퍅, 쐤덜?r퍅, 쐤덜鹿遜로 나누어 개괄적으로 기술했다. 제3장은 본고의 핵심 부분으로 ?n․櫓 ?h俚?Z를 동형어와 이형어로 나누어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대비․분석했다. 3.1.에서는 ?n․櫓 谿近?Z를 谿近 谿?x?Z와 谿近 ???x?Z로 나눈 후 谿近 谿?x?Z는 동형 완전 동의어와 동형 부분 동의어로, 谿近 ???h?Z는 동형 완전 이의어와 동형 부분 이의어로 각각 나누어 적절한 예문과 함께 그 의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대비 분석했고, 3.2.에서는 형태는 다르지만 의미가 같은 ??近 谿?x?Z를 谿羹 쾀?? 谿?x?Z, 寧겹 ??近 谿?x?Z, 페儉 谿?x?Z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대비 분석했다. 특히 谿羹 쾀?? 谿?x?Z에서는 한국과 중국에서 谿羹 쾀?? 谿?x?Z가 생기게 된 원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했고, 寧겹 ??近 谿?x?Z에서는 네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형태소‘B’와‘C’의 관계에 대해서도 분석해보았다. 제4장에서는 한․중 한자어의 의미 변화로 인한 차이를 대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자어의 의미 변화 원인을 언어적인 원인, 사회적 원인, 심리적 원인, 역사적 원인 등 네 가지로 나누어 그 의미 변화의 원인을 밝혔다. 5장은 본고의 결론으로 본고의 논의를 정리함과 동시에 본 논문에서 간과된 부분이나 문제점, 부족한 점 등에 대해 지적하고 앞으로의 대안 및 추후의 과제 등을 제시했다.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 한자어 위계화 연구 : 생각과 감정 어휘를 중심으로

        류이천 서울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의미로 분류한)한국어·중국어 학습사전』 및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에서 나타난 생각과 감정의 한자어를 의미적·형태적인 분석하고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위계화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한자어 위계화 연구를 통해 향후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재를 개발할 때 도움이 되길 바란다. 한자어는 한국어 어휘에서 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한자어가 없이는 일상생활의 의사소통이 거의 불가능하다. 전문 분야뿐만 아니라 삶의 여러 가지 영역에서 한자어의 흔적을 쉽게 찾을 수 있다. 어휘교육에서 한자어 교육을 중요시해야 하고 중국어권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해서 더 실용적인 어휘목록을 선정하기 위해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위계화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의미로 분류한) 한국어·중국어 학습사전』에서 생각과 감정 어휘를 선정하여 한·중 비교분석을 통해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의 관계를 유형화하여 양 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한자어 습득 난이도 예측하는 연구를 했다. 예측한 습득 난이도를 검증하기 위해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대상은 모두 122명이고 초급, 중급, 고급 학습자로 나뉘었다. 설문조사는 총 12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개인적인 상황, 한국 한자어에 대한 인식, 유형별로 분류한 한자어의 의미를 추측가능 여부의 내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한 결과는 예측한 한자어 습득 난이도하고 동일했다. 외국어 교육·학습에 있어서 교재는 아주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분석을 통해 발견된 문제점을 대하여 개선책을 제시했다. 외국인 학습자들이 의사소통에 있어서 의식주 범주의 어휘를 잘 습득해야 생활에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지만 외국생활을 적응하기 위해서는 자기의 생각과 감정을 정확하게 잘 표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세대, 고려대 및 서울대의 중급과 고급 교재를 선정하여 교재에서 나타난 생각과 감정 어휘의 비중과 그의 표기 방법 및 기술 양상을 살펴보았다. 교재 분석을 통해 검증된 한자어 습득 난이도가 교재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도 보았다. 또한, 발견된 문제점을 대하여 3가지 개선책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어 중급 및 고급 교재에서 생각과 감정 어휘의 한자어가 더 늘어야 한다. 특히 완전 동형동의 한자어가 늘려야한다. 둘째, 한국어 교재에서 완전 동형동의 한자어만 한자 제시할 필요가 있다. 다른 한자어의 유형도 한자를 함께 제시한다면 중국어권 학습자들에게 오히려 혼돈을 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셋째, 검증이 된 한자어 학습 난이도의 특성을 따라 교재의 활용 유형이 다양해져야 한다. 본 연구는 대조 분석, 설문조사 및 교재분석을 통해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습득 난이도를 예측하고 교재의 문제점을 대하여 개선책을 제시하려는 시도 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한자어 습득 난이도를 예측하는 것이 향후에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재 개발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의미도 있다. 또한, 앞으로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어휘 선정 및 편정에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 한·중 동소 한자어 비교 연구

        WANG XINLE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한·중 동소 한자어 비교 연구 WANG XINLE(왕효준) 본고에서는 한국어 기초어휘 목록에 있는 2700개 단어 중에 중국 한자어와 동소인 한자어 1055개를 연구 대상으로 삼고, 유형과 사전 의미 차이에 따라 분류를 해서 한·중 동소 한자어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한·중 양국 언어 학습자들이 한·중 한자어의 의미 차이를 정확히 알고 사용하여 오류를 최소화하고, 학습자가 한·중 양국 언어를 좀 더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데 목적을 둔다. 2장에서는 한국 한자어와 중국 한자어를 개관하였다. 주로 한국 한자어와 중국 한자어 각각의 기원 및 형성, 계통별 분류, 특징에 대해 간단하게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동소 동순어를 대상으로 하여 사전 의미를 기준으로 동소 동순 동의어와 동소 동순 이의어로 나누었다. 동소 동순 이의어는 다시 동소 완전 이의어와 동소 부분 이의어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의미를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동시에 한·중 동소 동순 이의어 의미 차이의 유형에 대해 분류해 보았다. 4장에서는 한·중 동소 역순어를 동소 역순 동의어와 동소 역순 이의어로 나누었는데, 사전 의미를 기준으로 동소 역순 이의어는 또 다시 동소 역순 완전 이의어와 동소 역순 부분 이의어로 나누었다. 그리고 구체적인 예문을 들어서 그들의 의미를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동시에 동소 역순 이의어 의미 차이의 유형에 대해 분류해 보았다. 5장은 결론으로서 본고의 논의를 간략히 정리한 뒤, 본고의 논의에서 미처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대해서 알아보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제어: 한자어, 한·중 동소 한자어, 동소 동순어, 동소 역순어, 동소 동순 동의어, 동소 동순 이의어, 동소 역순 동의어, 동소 역순 이의어

      • 한자어 조어법의 특성 연구

        왕온음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佔據韓國語半數以上的漢字詞成為一般人理解韓國語詞彙體系的重要要素。本稿以一名漢語為母語學習并使用的中國留學生的觀點來瞭解在韓國被使用的漢字詞以及造詞法的特性。 第一章提到研究對象,研究目的以及研究範圍和方法,又對先行研究進行了備查。 第二章主要察看了漢字詞的概念和特性。本稿中所說的漢字詞是以漢字作為材料創造的語言,在這個範圍里,他的起源除了中國或者其他國家流入的一些(漢字詞)以外,還包括韓國創造的一些(漢字詞)。這樣的漢字詞在韓國語體系內時間久遠,但是沒有被韓國語完全同化,還保持著中國的漢語屬性。複合語的形成當中保持著中國漢語的語順體系為其特征之一。其中語言切割現象是在日常生活中具有頗大的生產性。漢字詞用具有的現代國語意思的多樣性,通史的多樣性,意思的代表性等連同突出的造詞力,在現代國語中也生產了很多的新詞。 在第三章展開了漢字詞造詞法特性的研究。漢字詞首先分為單純詞和複合語,然後單純語又分為一字單純語和多字單純語。複合語分為派生詞,合成詞,重疊詞,縮略詞。漢字詞與固有詞不同,在漢字詞里能否設定派生接辭的問題是另一個重要的難題。因為構成漢字詞的各要素都是具有固有意味的詞幹,所以構成一個詞匯之後很難分辨出哪個是詞幹,哪個是接辭。 第四章對漢字詞的接辭設定基準展開研究。參考很多關於漢字詞接辭設定標準的研究,考察了在韓國語上漢字詞的實際功能。還有考察其用例和意味上的差距的基礎上導出了設定接辭的必要性的結論。而且通過對於和漢語里接辭體系的比較,確認了和韓國語的固有詞不同,和漢語的接辭也不同的韓國語漢字詞接辭的獨特體系。 還有《朝鮮語大辭典》,《我們的話大辭典》,《國語大辭典》,《新國語辭典》,四個辭典登載的漢字詞里用兩個以上的用法選出寫的東西,把漢字詞分為:1,接頭辭-名詞 2,接頭辭-慣型詞 3,接頭辭-慣型詞-名詞 4,慣型詞-名詞 5,接尾辭-名詞 6,慣型詞-接尾辭 7,接頭辭-接尾辭 8,接頭辭-接尾辭-名詞等八類,掌握漢字詞的特性。 第五章綜合歸納全文研究內容的基礎上再次確認本研究所具有的意義。 한국어 어휘의 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는 일반 언중들에게 있어 한국어의 어휘 체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본고에서는 한어를 모어로 배우고 사용해 온 한 중국 유학생의 관점으로 한국에서 쓰이고 있는 한자어의 및 그 조어법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제1장에서는 연구 대상 및 목적을 쓰고 연구 범위, 방법에 대해 언급했으며 선행 연구에 대해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자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에서 말하는 한자어는 한자를 재료로 하여 만들어진 언어이며, 그 범위에 있어, 그 기원이 중국이나 기타 나라로부터 유입된 것 외에 한국에서 만들어진 것도 포함하였다. 이러한 한자어는 한국어 체계 내에서 오랜 세월이 흘렀으나, 한국어로 완전 동화되지 못하고 중국의 한어적인 속성을 그대로 유지하는 경우를 보인다. 복합어 형성에 있어 중국 한어의 어순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이 한 특징이며, 절단 현상 등으로 인쇄물의 지면에서 활발한 생산성을 보인다. 또한 한자어가 지닌 의미의 다양성, 통사적 다양성, 의미의 대표성 등으로 뛰어난 조어력을 지녀 현대 국어에서도 수많은 신조어를 생산해 내고 있다. 제3장에서는 한자어의 조어법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자어의 단어 형성을 우선 단일어와 복합어의 유형으로 나눈 다음 단일어를 다시 일자 단일어와 다자 단일어로 나누었고 또 복합어를 파생어, 합성어, 중첩어, 수략어로 하위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고유어에서는 그 파생접사의 기준을 어디까지로 잡느냐의 문제를 논의의 대상으로 하나 한자어의 경우는 파생접사를 한자어에서 과연 설정할 수 있을 것인가의 문제에서 부딪히게 된다. 한자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이 각기 고유의 의미를 갖는 어근이므로 단어를 형성했을 때 어느 것이 어근이고 접사인지를 구별하는 일이 매우 어렵기 때문이다. 제4장에서는 한자어의 접사 설정 기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한자어에서의 접사 설정 기준에 대한 많은 연구 학자들의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설정 기준에 대하여서 알아보면서 한국어 속에서 한자어의 실제 기능을 바탕으로 그 용례와 함께 의미적 차이도 함께 반영하여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 한어에서의 접사와의 체계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한국어의 고유어와도 다르고, 한어의 접사와도 다른 한국어 한자어의 접사만의 독특한 체계를 확인하였다. 또 『조선어 대사전』, 『우리말 큰사전』, 『국어 대사전』, 『새국어 사전』 등 네 사전에 등재된 한자어 가운데서 두 가지 이상의 용법으로 쓰이는 것들을 선정하고 그 한자어들을 1)접두사-명사, 2)접두사-관형사, 3)접두사-관형사-명사, 4)관형사-명사, 5)접미사-명사, 6)관형사-접미사, 7)접두사-접미사, 8)접두사-접미사-명사 등 여덟 가지로 분류하여 한자어 접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제5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내용을 종합하고 정리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를 재확인하였다. Sino-Korean words composing more than half of Korean vocabulary are the important way by which normal people try to understand Korean language. This article will elaborate the features of the Sino-Korean words used in Korean and their word formation from the angle of a Chinese student whose native language is Chinese. The first chapter gives a description of the subject, the objective, and the scope and methods of the study, as well as a brief review of the previous researches. The second chapter mainly explains the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Sino-Korean words. The Sino-Korean words in this article refer to the languages derived from Chinese characters, to which extent, their sources also include Chinese characters created in Korea in addition to those flowing into Korea from China or other countries. Although such Sino-Korean words have been incorporated into Korean language for long, they still keep the features of Chinese characters. As one of the features, the compound words keep smoothness during their formation. The severability of languages generates a productivity-enhancing effect in daily life. The Sino-Korean words also derive plenty of new words in the modern Korean language due to their word-building ability. The third chapter analyses the features of the word formation of the Sino-Korean words. Sino-Korean words comprise simplex words and compound words. The simplex words comprise one-word simplex words and several-word simplex words, while the compound words are divided into derivational words, composite words, reduplicative words and abbreviation words. The Sino-Korean words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Korean words. It is a problem whether affix words could be set in the Sino-Korean words. Since the parts composing Sino-Korean words are all word stems which have their inherent meanings, it is hard to distinguish word stems from affixes of the Sino-Korean words. The fourth chapter analyses the standards of setting affix words in the Sino-Korean words, explore their utility functions by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es, and reaches the conclusion of necessity to set affix words based on the analysis. On the basis of comparison with the system of affix words in Chinese characters, it has been ascertained that the setting of affix words of Sino-Korean words is a unique system different from both Chinese characters and original Korean words. Furthermore, in the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Our Words Dictionary, the National Language Dictionary, and the New National Language Dictionary, the Sino-Korean words are divided into eight types as follows: (1) prefix-noun, (2) prefix-determiner, (3) prefix-determiner-noun, (4) determiner-noun, (5) postfix-noun, (6) determiners-postfix, (7) prefix-postfix, and (8) prefix-postfix-noun. The fifth chapter reconfirm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on the foundation of summarizing the content of this article.

      • 한·중 한자어의 대조 연구 : 「新標準韓國語」를 중심으로

        장위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과 한국은 예전부터 지리적으로 서로 접해 있어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따라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뿐만 아니라 언어에서도 서로에 대해 많은 영향을 미쳤다. 특히 중국은 당시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주변 국가들이 고유문자를 갖지 못하고 있던 시기에 이미 한자를 만들어 사용했으며, 이를 통해 이룩한 문명을 중심으로 국가를 유지하고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중국의 문화는 한국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쳐 왔는데, 특히 중국 문명의 기반이 된 한자는 한반도를 거쳐 일본까지 흘러감으로써 한·중·일 세 나라를 아우르는 동양문화의 중심을 이루었다. 이것이 바로 한·중·일이 형성한 한자문화권이다. 중국이 발전함에 따라 중국어를 배우는 한국 사람이 많아지고, 또 한류와 한국 기업의 영향으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사람도 많아졌다. 한국어, 그 중에서도 한자어와 중국어는 한자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음운, 구성, 단어 형성 규칙, 문법 특징에서는 차이가 크다. 게다가 한자어의 의미와 문장의 구성 방식도 중국어와 같지는 않다. 이 때문에 오해가 생기고, 양국 언어 간의 학습 난이도 역시 높아진다. 외국인 학습자는 문법을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단어만을 가지고 의사소통하려는 경향이 있다. 외국어 학습에서는 단어의 효용 가치가 매우 높다. 특히 한국어와 중국어에 한자라는 공통점이 있는 이상, 이 두 언어 간의 외국어 학습에서는 단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진다. 그렇기에 어휘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한국어와 중국어의 연계를 위해서는 한자어의 대비 연구가 특히 더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중국 학원에서 제일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재 「新標準韓國語」를 선택하여 「新標準韓國語」 초·중급에 나오는 한자어를 분석함으로써 중국 한자와 한국 한자는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본다. 한국 한자어와 중국어 어휘를 대조하여 의미 차이에 따라 동형동의어, 동형이의어, 이형동의어 3가지를 분류하고 대조·분석한다. 그 다음에는 오수벨(David Ausubel)의 유의미 학습 이론의 선행 조직자를 바탕으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중 한자어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한 교육 방안이 중국인 한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우고 이해하는 데 도움을 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 한자어 및 베트남 한자어 비교 연구 : 양국의 한자어휘 및 한자음운체계를 중심으로

        팜티옥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개념, 도입역사, 언어적 비중 등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조사하여 살펴봤다. 한국과 베트남은 문자가 없었을 때 중국 문자인 한자를 (漢字) 차용해서 사용했다는 견해를 제시한 바 있다. 한자어가 양국 국어 체계의 일부이며 이는 배제할 수 없을 정도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많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라 한자어의 도입 시기는 한국과 베트남에서 다소 상이하지만, 양국 국어 한자음의 근원은 당나라(唐)의 한어(漢語)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진다고 설명하였다. 또한 어원적으로 한어(漢語)를 비롯해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한자어가 양국 국어에서 60~70%정도 차지하며, 이를 기인하여 양국 국어의 한자음이 많이 유사한다고 제시하였다. 양국 한자어에 관해서 많은 연구를 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 양국 한자어에 가운데 한자어휘 및 음운체계를 중심으로 해서 비교&#8729;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했던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음운체계를 통해 양국 국어의 음운 체계를 잘 살펴볼 수 있고 대응 관계를 많이 찾아낼 수 있었다. 양국 한자어의 초성, 중성, 종성 체계를 제시하였고 비교도 진행하였다. 한국어 초성은 국어 자음 19개 중 경음인 ‘ ㄸ, ㅃ, ㅉ’ 및 음가가 없는 ‘ㅇ’을 제외하면 15개만 초성으로 사용된다고 설명했다. 중성은 ‘ㅒ’만 제외하면 모든 모음들이 한자어에서 중성으로 나타난다고 조사했다. 그리고 국어의 종성은 7개 기본음 중 ‘ㄷ’ 을 제외하면 6개 ‘ㄱ’, ‘ㄴ’, ‘ㄹ’, ‘ㅁ’, ‘ㅂ’, ‘ㅇ’ 만 한자어의 종성으로 사용된다고 제시했다. 베트남어는 초성체계가 단자음과 복자음(이중모음 및 삼중모음)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베트남어 초성의 22개 자음 중 r (&#656;), g, gh(&#611;) 을 제외하면 20 자음이 베트남 한자어의 초성에서 나타난다고 제시했다. 중성 체계는 부모음 (-u-, -o-) 및 정모음이 있고 부모음이 고유어와 한자어에 많이 들어가고 정모음이 16개 중 ‘e’ 과 ‘&#432;a’ 를 제외하면 15개 정모음이 베트남 한자어에서 나타난다고 견해를 했다. 베트남 한자어의 종성 체계는 ‘zero’음을 제외하면 8개가 종성이 있는데 이 중에 /m, n, ŋ, p, t, k/ 6대 자음이 및 반모음 2개 /-w, -j/가 있다고 밝혔다. 한국어와 달리 베트남어는 성조언어라서 성조체계도 제시하고 정음의 위나 아래에 성조를 표시하는데 성조에 따라 어휘 의미가 달라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고음성조나 저음성조가 모두 베트남 고유어와 베트남 한자어에 나타난다고 밝혔다. 즉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의 초성, 중성, 종성의 수가 다소 상이하지만 많은 대응 관계를 비교&#8729; 조사를 통해 본 연구에서 다수의 사례를 찾아낼 수 있었다. 이 대응 관계를 통해 많은 양국 한자어의 어휘 및 음가가 어떻게 유사한가에 대하여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본다. 양국 한자어가 바로 중국어의 어원에서 비롯하여 각 시기에 걸쳐 변경됨에 따라 각 나라마다 상이한 한자어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어원적인 요소를 여전히 다수 가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어휘와 음가에 있어서 유사점도 보인다고 언급하였다. 중국어를 어원으로 하여 이루어진 양국 한자어의 초성, 중성, 종성의 결합 제한이 있는 것을 보면 각 시기에 따라 결합 제한이 다르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天가 소리는 중세 한국어 시기에 ‘텬’ 이였는데, 근대 한국어 시기에 구개음화가 일어나 ‘쳔’으로 변이하며, 현대 한국어에 이르는 과정에서 ‘천’ 이 된 것이다. ‘田’자 도 마찬가지로 ‘뎐’이었는데 근대에 이르러서는 ‘젼’이 되며 현대 한국어에서는 ‘전’으로 표현된다. 베트남 한자어에서도 이러한 결합 제한이 각 시기에 따라 다른 점을 다수 찾아낼 수 있다. 이제까지 한국 한자어와 베트남 한자어에 관한 연구들이 많은 언어학자에 의해서 수행된 바 있으나, 양국 한자어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비교&#8729;연구한 사례는 아직 없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 양국 한자어를 음운체계를 바탕으로 하여 비교&#8729;연구를 진행하는 목적은 양국의 한문적 (漢文)인 요소들을 이해하고자 하는 취지와 함께, 양국 한자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해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 결과는 양국 한자어에 대한 관심을 지니고 있는 많은 베트남인 및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참고할만한 학습 자료로써 이용되며, 양국의 국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Scrutinizing the history and related aspects of Chinese derived words in the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this thesis tries to come up with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Words of Chinese Origins in the Korean and Vietnamese“. The thesis shows that before having their own writing systems, the Korean and the Vietnamese peoples borrowed Chinese characters to write. Therefore, the Chinese characters are an indispensably integral part of the two mentioned languagues.While the time of naturalization of Chinese words in the Korean and Vietnamese may be different, the words share a lot of similarities since they were mostly “imported” from Tang Dynasty. Accordingly, the Chinese originated words account for 60% and 70% of the Korean and Vietnamese languages respectively. Through phonological structure of Sino- Korean and Sino- Vietnamese which is presented in thesis not only embraced phonological structure in Korean and Vietnamese and but also found the many corresponded relations in phonological structure of two countries’s language. The thesis’s study concretely presented about initial sounds (initial consonants), medials (vowels) and final consonants of words Chinnese origin in two countries’s language. The initial consonant has 15 consonants without 3 fortis consonants ‘ ㄸ, ㅃ, ㅉ’ and ‘ ㅇ’ which is consonant without sound. According to study let us see almost vowels except ‘ㅒ’ appear with as medial in Sino- Korean. And the final consonants of Sino- Korean consisted of 6 consonants whichs are ‘ㄱ’, ‘ㄴ’, ‘ㄹ’, ‘ㅁ’, ‘ㅂ’, ‘ㅇ’ in 7 basic final consonants of Korean without ‘ㄷ’. In Vietnamese initial sounds system are composed of single consonants and compound consonants and have 20 consonants excluding r (&#656;), g, gh(&#611;) appear with as initial sounds of Sino- Vietnamese. The medial system of Vietnamese has almost pretonal vowels and main vowels, among them pretonal vowels appear almost in native Vietnamese and Sino-Vietnamese but main vowel has only 15 main vowels appear in Sino-Vietnamese except two vowels whichs are ‘e’ and ‘&#432;a’. The final sounds system of Sino-Vietnamese has 6 consonants /m, n, ŋ, p, t, k/ and 2 semivowel /-w, -j/ . Vietnamese language is different to Korean because Vietnamese is a tonal language, where the meaning of vocabulary will be changed following the position of the tone which is indicated up or down on the main vowel. High-pitch tone and low-pitched tone appear almost in Vietnamese itself and also in Sino-Vietnamese words. In short, the thesis attempts to compare the Sino &#8211; Korean and Sino- Vietnamese, thus to better understand them and the link between them. Words Chinnese origin in 2 countries’s language have origin is began from Chinese and through changes of history stage , each country has had also different characteristic of words Chinnese origin but because having the many similar about origin so there are the many words Chineses origin and Chinese phonology in Korea and Vietnamese whichs are very similar. There are limitation about combination of initial sounds (initial consonants), medials (vowels) and final consonants in Sino- Korean and Sino &#8211; Vietnamese so we can find different limitation about this combination in the each history stage. Example, in the Middle Ages 天 was used to be ‘텬’ but there was palatalization so it was became ‘쳔’ in the Modern time and reached to present time it was ‘천’. ‘田’ was similar that, it was changed from ‘ 뎐’ to ‘젼’ in the Korean of Modern time and it was became ‘전’ in the present time. In the Sino- Vietnamese we can find too combinating limitation in the each history stage like that. Until these days, there are several studies on Sino- Korean and Sino- Vietnamese but none of those has studied the similarities of the Chinese originated words in the Korean and the Vietnamese.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ll out this blank by analyzing the phonetic systems of the two languag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not completed, and I intend to extend it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