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음악 전문 채널 STATION ID의 표현 연구 : 한국 문화 특성의 표현을 중심으로

        김효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의 예술과 디자인은 그 나라에서 오랫동안 쌓여진 역사와 문화 특성에 의해서 비롯된 것이다. 그 나라의 전통과 국민들의 의식 구조가 역사적 배경에 의해서 문화를 형성하고, 따라서 문화는 그 시대의 흐름을 지닌다. 역사적인 배경 없이는 문화가 탄생할 수 없다. 예술이나 디자인에 있어서도 그 나라의 문화적 기질의 바탕 없이 이미지가 탄생되지 않는다. 특히 디자인에서는 그 성격이 목적을 지닌 표현물로서 아름다움의 상징인 예술적 표현과는 차이가 있으며, 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당대의 흐름이나 경향을 더욱더 잘 반영한다. 디자인은 우리의 모든 생활에 적용 가능하다. 생활의 시작에서부터 모든 것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이 효과적으로 디자인 되었을 때 더욱더 그 목적과 아름다움의 실용성을 드러낼 수 있다. 또한 디자인은 그 자체로 나라의 역사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고 있다. 24시간 동안 음악 관련 프로그램만을 방송하는 음악 전문 채널은 재즈, 소울, 리듬 앤 블루스뿐만 아니라 포크, 컨트리, 전통 락, 얼터너티브 락, 랩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 프로그램을 편성하는 전략으로 음악에 관련된 많은 정보 등을 청소년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게 제공함으로서 그들의 폭넓은 호응을 얻고 있다. 또한 음악과 함께 영상을 전달하기 때문에 음악에 대한 개념을 ‘듣는 것’에서 ‘듣고 보는 것’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청각적 즐거움과 함께 시각적 즐거움을 함께 제공하고 있다. 앞으로 시각적 즐거움은 음악을 듣는 것을 이미지화 시켜 더욱 강조될 요소이며 더욱 체계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분야이다. 음악이 더 이상 듣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사례로 채널 디자인(channel design)을 들 수 있다. 채널 디자인은 흔히 station ID라고 지칭한다. 여기서 station ID는 채널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부각시켜 채널의 차별성을 알리고 채널의 개성을 드러낸다. 음악에 맞는 채널의 이미지 혹은 채널 정체성 홍보를 목적으로 디자인된 표현은 그 시대 젊은이들의 유행이나 의식코드를 반영한다. 따라서 station ID는 채널의 정체성을 넘어서 한국의 미디어 문화의 매체로 활용되고 있으며 나라의 역사적 배경, 전통, 문화, 의식구조, 조형의식을 반영한 차별화 된 시각적 영상물로 분류될 수 있다. 하지만 station ID에 대한 이론적 연구가 없어서 그 결과가 비체계적이고 정의된 개념도 없고, 시각적 영상 제작물은 인식없이 단지 시각적 자극을 위한 표현물로만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음악 전문 채널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station ID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특성을 도출시켜 한국 음악 전문 채널 station ID의 표현을 분석하여 station ID의 문화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한국의 문화 특성이 station ID에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으며 문화적 특성에 의한 station ID의 표현을 다시 정리해 볼 수 있다. 이로써 staion ID의 개념을 정의하고 그 차별성을 모색할 수 있다. 연구 과정을 통해서 현재의 staion ID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제시로서 필자의 의식이 담겨 있는 한국의 음악 전문 채널을 가지고 문화적 특성을 지닌 station ID의 이상적인 방향을 제시한다. 기본 의식은 한국의 문화 특성에서 비롯되며 현시대의 유행과 시대의 흐름에 맞춰진 시각적 영상 제작물로써 수용자들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차별화된 station ID 작품의 제시이다. 향후 본 작품은 한국 음악 전문 채널의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실제 station ID 제작 과정에서 부족한 station ID의 개념을 확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내용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2장에서는 station ID의 전반적인 이해를 위하여 이론적인 부분을 설명한다. Station ID제작진이 정의하는 station ID의 개념을 정리하고, 현재 한국 음악 전문 채널의 현황을 살펴본다. station ID란 무엇이고, 그 역할과 필요성을 무엇인지 또 station ID를 구성하는 시각적 조형 요소는 무엇인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다음 3장에서는 한국의 조형의식에 내재된 문화 특성을 살펴본다. 문화 특성이 시각 언어로서 어떤 상징을 지녔는지 대표적인 특성과 그에 따른 분류를 조사한다. 다음으로 4장에서는 현재 한국 음악 전문 채널의 station ID가 문화적 특성에 의한 표현인지를 살펴본다. 국내 음악 전문 채널 m.net과 KMTV의 station ID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여 station ID의 문화적 특성을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그 중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다음 5장에서는 본 연구를 통해 수립된 station ID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분석, 한국의 문화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의 문화 특성에 따른 음악 전문 채널 station ID를 제작하여 한국적 채널로써 이상적인 station ID를 제시하고 이를 실무에 적용시켜 검증받고자 한다. The modern art and design in a certain country are originated from the history and cultural characters accumulated for a long period. The tradition and consciousness structure of the country constitute the culture through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culture reflects of the times. In art and design can not exist without the basic of the culture. Especially, in their characteristics, the designs as expressions their self-purpose, represents trend of the times and culture more than artistic features. The Korean television music channels only for music, which is operated for all the day, provide various kinds of music and further informations about them to the young. The music channels give images with music through their specialized media and then they change the concept of music from 'listen' to 'listen and see' and provide their audiences with not only their 'listening' pleasure but also their visual pleasure. PR's for image and character of the music channel reflect the contemporary fashion and structure of consciousness of the young people. Therefore the Station ID's are regarded as visual products which reflect tradition, fashion, consciousness structure and formative sense of the country and reveal the korean culture beyond the character of channel. Nevertheless there is no theoretical and systematical study on the relation and effect of culture on visual products such as the Station ID's so far. As a result, the station ID's of korean music channels are produced without any systematic knowledge and concept on the cultural influence. Now, works on culture expressed in Station ID's are necessary for identity of korean visual product.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Station ID's of korean music channel will be analyzed with the focus on the cultural influence. Then the concepts imaged in station ID's will be understood and defined. The problems in the present station ID's will be found as well. This study can help apprehend how the culture make effect on the station ID's. Finally, the ideal direction of representing the culture and identifying channels in the Station ID's will be proposed, these proposals are expected to be a guide of korean music channels in the future.

      • Violoncello의 한국음악적 특수연주기법 연구

        김다연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re have been more off-shoots in contemporary music than in other period. New musics are sought in contemporary music. Among new musics in contemporary music it is important to search not new sounds which are from instruments but also sounds which are from natural sources that are noises, machine sounds and so on. Contemporary composers have started to create, change and extend various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to make new, innovative acoustics. They are composing many opuses that players can not perform with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are made not only through creating, changing, or extending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but also through combining western performance techniques with korean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Contemporary korean composers are creating many opuses, applying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to them. A lot of players are concerned of the new opuses, forcing them to constantly study and update their skills. In this treatise, first you must understand the meaning and concept of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to comprehend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Secondly I elaborate on how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of stringed instruments have been extended or changed and how new performance techniques of them have been created. To demonstrate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four opuses have been choosen among the opuses which Young-jo Lee, Jong-chan Lee and Yung-sik Kim except Isang Yun have composed over twenty six years. The opuses selected will be those that demonstrate tradition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And with these four opuses, we will focus on the musical scores so that we can identify the korean instrumental nonghyon, executions, tone colors and characteristics. I overlook on a whole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that these composers have used. In Isang Yun <Glissees pour Violoncelle seul> appear nonghyon technique, playing komun'go by a plectrum, pizz. of the komun'go, hitting the board of the komun'go, effects of playing haegum without finger board, playing ajaeng with bow stick. Specially he can express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that western music does not have the capacity to do by applying nonghyon to lots of performance techniques. and he makes bridges between western culture and asian culture by combining korean performance techniques with the cello which create new sound tones. This increases potential of new performances. In Young-jo Lee <Dodri for Cello and Janggu> appear nonghyon technique, pizz. of the komun'go, hitting the board of the komun'go, pizz. of the kayagum, tones of the haegum, playing ajaeng with horse hair bow. he uses mainly effects of korean instrumental tones. In Jong-chan Lee <"[mt]" for Clarinet and Violoncello> appear nonghyon techniques, playing komun'go with a plectrum, pizz. of the komun'go, hitting the board of the komun'go, effects in playing haegum without finger board, playing ajaeng with horse hair bow. In spite of Isang Yun's influences he creates new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by his composing techniques, expresses sounds of korean instruments in terms of applying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to western performances techniques for presentation korean instruments. And in Yung-sik Kim <'Erinnerung' fu&#776;r Sopran. Flo&#776;te. und V.Cello> appears nonghyon and very kinds of yosong can be expressed in main terms of playing the cello with yosong techniques. Through this treatise players can understand rightly special performance techniques of korean musics and comprehend composer's intention in them. So this treatise will be the base for admirable performances. 현대음악은 그 어느 시대보다 음악적 단절이 컸고 미학적으로는 새로운 음악을 추구한 시대이다. 현대음악이 추구한 새로움은 여러 가지가 있었지만 그 중에서 전통적 의미의 악기 소리나 인성(人聲)의 범위를 벗어난 일상적 소리, 소음, 기계소리 등을 소리의 재료에 포함시킨 재료의 새로움이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현대의 작곡가들은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하여 전통적인 연주기법을 변화시켜 새롭고 혁신적인 음향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새로운 연주기법, 즉 다양한 특수연주기법들을 확장, 변형, 창조하기 시작하였고 현대의 연주자도 전통적인 연주기법으로는 연주할 수 없는 많은 곡들이 창작되고 있다. 이러한 특수연주기법들에는 서양식의 전통적인 연주기법을 확장, 변형, 창조한 것 외에도 비서양식의 특수연주기법, 특히 한국음악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서양식 연주기법에 접목시킨 것이 있다. 이러한 현대의 한국 작곡가들은 한국음악적 특수연주기법을 적용하여 작곡을 계속하고 있고, 한국음악적 요소가 접목된 특수연주기법에 대한 연주자들의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상황에서 한국음악적 특수연주기법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먼저 특수연주기법의 의미와 개념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이론적 배경으로 서양의 현악기 연주에서 사용된 특수연주기법이 확장·변형된 전통적인 연주기법과 새롭게 창조된 연주기법으로 나누어서 정리하였다. 그리고 첼로 곡에 나타난 한국음악적 특수연주기법을 분석하기 위해서 작곡가 윤이상을 제외한 최근 26년 동안 이영조, 이종찬, 김영식이 작곡한 작품 중 한국음악적 요소가 도입된 작품 1곡씩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위 4개의 첼로 곡들을 작품별로 나누어서 분석하되 한국음악의 농현이 응용된 예, 한국악기의 주법, 음색, 악기적인 특성이 응용된 예에 대한 악보를 제시하여 분석하였다. 위 작곡가들이 이용한 한국음악적 특수연주기법을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윤이상의 <Glissees pour Violoncelle seul>에서는 농현적 기법, 거문고를 술대로 연주한 효과, 거문고를 뜯는 효과, 거문고 바닥을 치는 효과, 해금의 음자리 없는 효과, 아쟁을 나무활대로 연주한 효과들이 나타났는데 무엇보다도 한국음악의 농현을 여러 연주기법에 접목하여 서양음악이 할 수 없는 한국음악적인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고, 한국악기적인 요소를 서양악기인 첼로에 적용시킴으로써 동양과 서양이라는 서로 다른 세계의 문화를 연결하는 가교적인 역할을 하여 새로운 음색 창조와 새로운 연주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이영조의 <첼로와 장고를 위한 도드리>에서는 농현적 기법, 거문고를 뜯는 효과, 거문고 바닥을 치는 효과, 가야금을 뜯는 효과, 해금적인 음색 효과, 아쟁을 말총활로 연주한 효과들이 나타났는데 다양한 한국음악적인 요소를 표현하기 위해서 한국악기의 음향효과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이종찬의 <클라리넷과 첼로를 위한 "멋">에서는 농현적 기법, 거문고를 술대로 연주한 효과, 거문고를 뜯는 효과, 거문고 바닥을 치는 효과, 해금의 음자리 없는 효과, 아쟁을 말총활로 연주한 효과들이 나타났는데 윤이상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에도 자신만의 작곡기법으로 한국음악적인 새로운 특수연주기법을 창조하였고, 한국악기를 서양악기로 표현하려는 의도로 서양의 다양한 주법들을 적용하여 한국악기의 특징적인 음색을 잘 표현하였다. 그리고 김영식의 <소프라노, 플룻, 첼로를 위한 회상>에서는 농현적 기법이 나타났고 특히 요성적 기법에만 주목하여 다양한 형태의 요성을 첼로로 가능하게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서 연주자들이 현대음악 작품에 도입한 한국음악적 특수연주기법을 테크닉적으로 올바르게 이해하고 한국음악적 특수연주기법을 이용한 작곡가의 의도를 잘 파악하여 훌륭한 연주를 할 수 있는 기초가 되었으면 한다.

      • 계정식의 『한국음악(Die Koreanische Musik)』에 관한 연구 : 오선악보로 소개, 해석된 17악곡에 기하여

        김성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usical significance of Korean music research by Dr. Keh. Ch. S., a Korean-born classical musician in the 1930s, which have not been much illuminated by Korean music academia. In this study, I explore Keh’s life and his research works on Korean music with a primary focus on his doctoral dissertation,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 examin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ic perceived by western musicians; and analyze his research methodologies to introduce at that time very little known Korean music to the western world. First, Keh was born in Pyongyang in 1904 and was highly talented in music. He studied violin in Japan and Germany and earned a doctorate degree from Universität Basel, Switzerland in 1934 with a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was actively involved in various musical activities as a violinist, composer, conductor and educator, and became a pioneer of Western music in Korea. Although major in Western music, he displayed a deep affection for 1930s Korean music. Besides his doctoral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he played <Bang-a Taryeong> and <Chwitaepyeongjigok> arranged in classical music on his recitals. Second, Keh’s doctoral dissertation, which covers almost everything on Korean music,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as well as Korea among Europeans. He offered an outline of Korean history and culture and presented a general overview and main features of Korean music, on which the Europeans at that time had very little knowledge. He also provided musical transcriptions and analyses of seventeen Korean musical pieces by referring to gramophone records and precedent music books, allowing the readers to have a firsthand appreciation of the music he presented. Keh explained that Korea has its own distinctive culture since Gojoseon and unlike China, displays a theological perspective on musical philosophy. Korean music employs a five-tone scale without semitones. Performers of Korean music were large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urt musicians, government-employed musicians or privately-employed musicians, troubadours or wandering musicians and gisaeng, and each group played different genres of music. In his dissertation, Keh added detailed explanations on how to play Haegeum(a Korean musical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and Janggu(an accompanying instrument in Korean music). Korean music roughly comprises two major genres—court music and folk music, and these two are played in very different manners. While court music is played in a refined manner with little display of emotions, folk music is characterized by its rhythmical and dramatic expressions. In particular, he noted the unique aspect of Korean music where even the same piece of music can be played and delivered very differently depending on performers. Keh included seventeen musical pieces in his dissertation, two of which are court music, the other two are Buddhist music and the rest thirteen are folk music. Out of thirteen folk music pieces, he included <Bamyot(Taryeong)>—the song of taffy sellers touting on the streets and <Bumoeundeokga>—the early 20th century's newly composed song. Although Keh did not reveal the sources of recordings of the five pieces—<Bamyot(Taryeong)>, <Ipal Cheongchunga>, <Dambaguya>, <Daeyangga> and <Bumoeundeokga>, I identify the sources of those five pieces by referring to the scores from Lee Sang-jun’s Music Book and André Eckardt’s 『Koreanische Musik』(1930). I also found out that Keh took the melody of Haegeum as the main melody when transcribing ensemble pieces such as <Mannyeonjanghwanjigok>. In addition to this confirmation, based on literature review it can be inferred that Keh also transcribed the Haegeum-Piri duets such as <Bang-a Taryeong>, <Yangsando>, <Young-byun Ga> and <San-yeombul> with Haegeum as the primary melody, even though the recordings of those four pieces were lost. Moreover, he analyzed history, lyrics, scales, melodies and rhythms of each seventeen pieces, and even translated lyrics and Confucian names of folk songs into German, in order to enhance appreciation of these musical pieces. Third, I assess the importance of Keh’s work from four different aspects: the academic value of 『Die Koreanische Musik』, application of comparative musicology methodologie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and violin-interpreted Korean music. 『Die Koreanische Musik』 has a significant academic value as Keh advanced the previous research which were only presented with simple introductions and music books, by conducting musical analyses as well as musical transcriptions on seventeen pieces. Moreover, 『Die Koreanische Musik』 is not only the first foreign language publication on the Korean music published by a Korean in Europe, but the first doctorate dissertation on Korean music in Korean musicology academia. Highly influenced by comparative musicology while studying in Germany and Switzerland, Keh adopted comparative musicological methods for his dissertation, as a means to better introduce Korean music to the Europeans. Comparing with other Asian countries, Keh highlighted Korea’s identity and uniqueness, analyzed the features of Korean music from the Western angle and defined “improvisation” as the most distinctive attribute of Korean music. It is noteworthy that Keh attempted to transcribe Korean music from gramophone records onto five-line staff notation. Seventeen scores of Korean music in five-line staff notation in his dissertation are invaluable resources of indirect information on Korean music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Keh’s utilization of gramophone recordings as a primary source for his study as well as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into five-line staff notation and analyses on scores not only opened a new chapter and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but demonstrat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recording and transcribing Korean music. When introducing Korean music to Europe, Keh as a violist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order to enhance Europeans’ understanding on Korean music by expressing it with their familiar instrument. As the Haegeum is a Korean instrument similar to the violin, Keh added the explanation on Haegeum and only included the Korean ensemble pieces accompanied by Haegeum. For example, Keh’s notating <Bakyeon Pokpo> and <Yangsando> in two or three melody lines implies his intention to play the pieces in a violin duet or a trio arrangement. He also displayed his own style and interpretation of the musical pieces when rearranging the Korean music for violin. After returning to Korea, Keh played <Chwitaepyeongjigok> and <Bang-a Taryeong> on the violin. This study addresses that the scores from Keh’s 『Die Koreanische Musik』 were interpreted for playing the pieces on the violin as well as that playing and rearranging Korean music into Western instrument was groundbreaking both in Korea and in Europe. The scores of Korean music in Keh’s dissertation enabled the Europeans to play the music even though they had little knowledge on Korean music. Judging from the existing research and documents, Keh is the first musician in Europe, who interpreted and played Korean music on the violin. In conclusion, Keh’s 『Die Koreanische Musik』, is of great academic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Korean musicology for the reasons stated above, and has also greatl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음악학계에서 조명받지 못했던 계정식의 한국음악 연구, 즉 그의 박사학위 논문인 『Die Koreanische Musik-Einführung und Besprechung von 17 zum ersten Mal in die europäische Notenschrift übertragenen Kompositionen(한국음악-유럽식 기보로 역보(譯譜)된 17개 악곡들에 대한 최초의 소개 및 논평)』(이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구명(究明)한 것이다. 이에 본고는 계정식의 생애 및 그의 한국음악 연구 행적과 박사학위 논문인 『한국음악』을 총체적으로 아우르고, 서양음악가의 관점에서 본 한국음악은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당시 서구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던 한국의 음악을 서구인들에게 어떠한 방법론을 가지고 연구를 전개하였는지 등 분석을 통해 계정식 논문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밝혔다. 첫째, 계정식은 1904년 평양 출생으로 음악적 재능이 매우 뛰어난 인물이었다. 일본과 독일에서 바이올린을 전공했으며, 1934년 스위스에서는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그는 바이올린 연주자, 교육자, 작곡가, 지휘자 등 다양한 분야에서 왕성히 활동한 우리나라 서양음악의 선구자이다. 그는 서양음악가임에도 1930년대 한국음악에도 애정을 보였다. 단연 대표적인 것은 그의 박사학위 논문 『한국음악』이며, 이외에 그의 연주회에서 선보인 서양식 편곡 <방아타령>과 <취태평지곡>이 있다. 둘째, 계정식의 논문 『한국음악』은 서구에 편찬된 한국음악서로, 한국음악과 관련한 모든 것들을 총망라하였다. 서구인들에게는 미지의 나라인 한국의 이해도를 높이고자 한국이라는 나라의 개괄부터 한국음악의 전반적 지식과 특징을 제시하였다. 이후 이를 독자들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그는 한국음악의 특징을 비교적 잘 담고 있는 곡, 또는 그도 알고 있거나 당시 사람들이 많이 불렀던 곡들 중 유성기 음반과 선행 악보집을 토대로 17악곡을 선별하여 채보 및 분석하였다. 그는 한국이 기원전 고조선 건국 이래로 고유의 문화를 지니며, 음악철학에 있어서도 중국의 세계관과 달리 신학적인 관점을 취한다고 설명한다. 그리고 한국음악의 음 체계는 무반음 5음으로 구성되며, 한국음악의 연행자를 궁중악사, 관아 또는 민간음악가, 떠돌이 가수, 기생으로 구분하였고, 이들이 담당하는 음악은 각기 달랐다고 기술한다. 그는 한국악기의 연주방법에 관해서 본인의 전공인 바이올린과 유사한 해금과 반주 악기인 장구만을 소개하였는데, 이 중 장구의 맨손 연주법은 지금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정악은 높은 격조를 지닌 음악으로 감정을 절제하는 반면에 민속악은 경쾌하며 선율의 단락이 분명히 나누어진다는 그의 설명을 통해 그가 한국음악의 장르별 음악적 특징을 인지하고 있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계정식은 한국음악의 경우 같은 곡이라 하더라도 연주자에 따라 그 느낌이 달라진다고 덧붙였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17악곡은 궁중음악 2곡, 풍류음악 2곡, 민속악 13곡이다. 계정식은 민속악에 엿장수가 호객하는 소박한 거리 외침인 <밤엿(타령)> 또한 음악으로 간주하여 포함하였으며, 가슴을 파고드는 가사를 노래하는 20세기 초 새롭게 작곡된 창작곡 <부모은덕가>도 실었다. 17곡 중 출처가 불분명한 곡은 <밤엿(타령)>, <이팔청춘가>, <담바구야>, <대양가>, <부모은덕가> 총 다섯 곡이다. 연구자는 이상준의 악보집 및 안드레 에카르트(André Eckardt) 신부의 『Koreanische Musik』(1930) 등에 수록된 악보 등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위 다섯 곡의 명확한 출처를 밝혔다. <만년장환지곡>을 통해서 계정식이 합주곡을 채보할 때, 해금 선율을 위주로 채보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해금과 피리 이중주의 <방아타령>과 <양산도>, <영변가>, <산염불가>의 음원은 현재 구할 수 없으나, 이 곡들 또한 선행연구 등을 바탕으로 그가 해금을 주선율로 채보한 곡이라 추정된다. 계정식은 17개 악곡 각각의 역사와 가사, 출현음, 선율, 리듬 등을 다루었으며, 아명과 성악곡의 가사까지도 독일어로 번역하여 악곡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셋째, 계정식의 『한국음악』의 한국음악학적 의의를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 그리고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 네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에서는, 그의 논문은 단편적인 개론서와 악보집 등 종전의 저술과는 차원이 다른 진일보한 연구로서 17악곡의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소개하고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인이 서구에서 외국어로 편찬한 최초의 한국음악서이자, 기존 발굴된 연구보다 앞선 한국음악학계 학술적 연구물로, 한국음악을 주제로 한 한국음악학계 최초의 박사학위 논문임을 명시하였다.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에서는, 독일과 스위스에서 유학하던 계정식은 당시 신생 음악학 분야인 비교음악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음악』을 집필하였으며, 이러한 비교음악학 방법론은 그가 한국음악을 서구인에게 소개하는데 가장 적합한 연구방법임을 서술하였다. 따라서 그는 한국음악에 비교음악학 방법론을 적용한 장본인으로, 한국을 다른 아시아권 나라들과 비교함으로써 한국이라는 나라의 독자성과 고유성을 부각하고, 서양음악 관점에서 한국음악을 분석하여 우리 음악 고유의 특징을 “즉흥성”이라고 정의하였다. 한국음악의 악보화에서는, 당시 유성기 음반에 취입된 한국음악을 오선악보로 채보하였던 계정식의 시도 자체는 높이 평가될 가치가 충분하다는 점을 조명하였다. 『한국음악』에 실린 오선악보로 기보된 17악곡의 한국음악은 20세기 전반 우리나라 음악을 간접적으로 알려주는 귀중한 연구자료이다. 계정식은 유성기 음반을 그의 논문의 원자료로 적극 활용하여 오선악보로의 채보와 분석을 통해 본격적인 한국음악학의 포문을 연 동시에 발달을 초래하였으며, 한국음악의 기록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한국음악과 바이올린의 접목은 바이올린을 전공하던 계정식이 서구인에게 친숙한 방식과 악기로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연주하고자 하였음을 서술하였다. 그가 『한국음악』에 해금을 소개하고, 합주곡 중 해금이 편성된 곡들만을 취한 까닭은 해금과 유사한 바이올린에 접목하기 위해서이며, 두, 세 가지 선율을 제시한 <박연폭포>와 <양산도>는 이중주 또는 삼중주를 위한 곡으로 풀이된다. 그가 참고한 악보와는 다르게 논문에 기보한 부분은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기 위하여 그만의 스타일을 더해 해석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귀국 후, 논문에 수록한 <취태평지곡>과 <방아타령>을 바이올린 음악으로 편곡하여 직접 사람들에게 연주를 선보였다. 이를 통해 그의 『한국음악』에 실린 악보는 바이올린 연주를 위하여 해석된 것이며, 한국음악을 편곡하여 서양 악기로 연주한 것은 당시 국내뿐 아니라 서구권에서도 획기적인 것임을 밝혔다. 『한국음악』에 수록된 오선악보는 한국음악에 낯선 서양음악가들도 연주할 수 있도록 가교역할을 하였으며, 20세기 초 서구권에서 계정식이 한국음악을 바이올린에 접목한 시도는 현재까지 발굴된 자료 가운데 최초라 하겠다. 이상으로 계정식의 『한국음악』은 우리 한국음악학계에 있어서 한국음악의 학술적 연구와 비교음악학 방법론의 적용, 한국음악의 악보화와 한국음악의 바이올린 접목 등의 큰 의의를 지니며, 이후 한국음악학의 발달을 초래하였기에 음악학적으로 그 가치가 충분하다.

      • 韓·中 음악교육에서의 민족음악교육의 현황과 수용 : 초등음악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임미정 용인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문화는 인간의 삶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각 집단이나 사회, 그리고 민족이나 인종에 따라 각기 고유하면서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렇게 각기 독특하면서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 문화는 오늘날 세계사회의 변화로 다양한 문화가 함께 공존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실은 다양한 문화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다문화적 이해는 다양한 문화의 이해교육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다양한 문화와 민족의 이해를 위한 교육으로 다문화적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다문화 이해 교육은 여러 가지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다민족 교육으로, 그 형태는 각 나라와 민족별로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런 여러 나라들의 민족음악 교육 중 중국은 다수의 소수민족으로 구성된 국가로 다문화적 특성이 뚜렷하고, 민족 교육정책의 방향성이 강한 나라로 한국과는 큰 차별성과 차이점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하고 뚜렷한 민족적 특성을 가진 중국과 한국의 초등 음악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그 차이점과 특성을 통하여 한국 민족음악교육을 고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양국의 민족음악교육은 모두 세계 타민족들의 음악과 자국 내 민족음악의 두 가지 양상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중국에서는 세계의 타민족들의 음악이, 한국에서는 자국의 민족음악인 전통음악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국 교과서 내에서 세계 민족음악 교육은 주로 유럽의 음악에 편중되어 다양한 민족들의 음악이 수용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한국에서 그 편차가 더욱 크게 나타남으로 인해 한국에서의 민족음악교육은 유럽의 음악과 전통음악이라는 양분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한국은 교육적 방안으로 교육과정 내 다양한 특수성과 문화를 가진 국가나 민족들의 음악을 수용한 다양한 민족음악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다양한 활동과 유형들의 민족음악 교육을 통해 세계의 다양한 음악문화 양식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것이다. 또한 한국의 민족음악인 전통음악 역시 세계 민족음악 교육의 일환으로써 다루어져 아이들에게 더욱 넓고 시야를 갖도록 도와주고, 넓은 시야 위의 우리의 민족음악을 재조명 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민족음악 교육들을 통해 각 민족과 세계의 다양성과 가치를 알고, 이러한 바탕 속에서 우리 민족의 정서가 잘 반영된 한국의 음악을 배우고 이해했을 때, 우리의 민족음악은 더욱 더 주체적이고 세련된 모습으로 세계의 무대 위에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다. As an important element of determining human life culture is expressed in various proper forms according to a group or society and a people or race. Likewise, the cultures in various peculiar forms coexist by today's change in world society, which requires people to understand the various cultures. Also, multicultural understanding requires th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Education for understanding various cultures and peoples attaches importance to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understanding education can take various forms. One of them is multiethnic education, which takes various forms by countries and peoples. China among the various countries which provide ethnic music education is a country composed of a number of minorities with remarkable multicultural characteristics and with a strong direction in ethnic education policy, which makes it very different from Korea. This study, hereupon, tried to compare and analyse the primary music curricula of China and Korea with various clear ethnic characteristics and investigate Korean ethnic music education through the differences and characteristics. The study showed that ethnic music education by both countries assumed both aspects such as music by other peoples in the world and ethnic music in the countries and that China stressed the former and Korea the latter. Also, the textbooks in both countries indicated that world ethnic music education mainly biased against European music did not accept various ethnic music and that a greater difference in Korea divided Korean ethnic music education into European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s an educational plan, hereupon, Korea will have to provide various ethnic music education by accepting music of countries or peoples with various particularities and cultures in the curriculum, and help to open possibilities of experiencing various modes of musical culture in the world through ethnic music education of diverse activities and types. Also, traditional music as Korean ethnic music which is dealt with as part of world ethnic music education will have to help children to have a broader mental vision and ability to reexamine Korean ethnic music. When we knew variety and value of each people and the world through the ethnic music education and learnt and understood Korean music reflecting well the sentiment of Korean people based on it, Korean ethnic music which is much more subjective and refined will establish itself on the world stage.

      • 이영조의《다섯 개의 한국 춤 모음곡》의 분석을 통하여 본 한국전통음악적 요소와 서양음악적 요소의 연구

        박초이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Since the western music is introduced into Korea in 1884, Korea’s western music have been developed making transition by composers of several generation. The music added the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the frame of western music has became in fashion since 1980’s. The Korean western music composers made up Korean style sentimental western music, harmoniously combining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lements with the western music elements. <Five Korean Dance Suite>, analyzed in this paper is one of the piano pieces of Young Jo Lee, representative of the 3rd generation of Korean music coposer grown up with upper-background-times. It is well harmonized piece with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and western music, and composed of 5 dance musics <Heaven Dance>, <Children’s Dance>, <Lovers Dance>, <Buddhist Dance> and <Peasant Dance>. At the body of this paper, it shows major element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beat, a pentatonic scale, Seaya scale, Korean traditional Ornament and call and responsorial form, and searched how does those elements appeared at <Five Korean Dance Suite>. Also analyzed the elements of western music in order to studied how two different musical elements could harmonized. 1884년에 서양음악이 한국에 처음 들어온 이래로, 우리나라의 서양음악은 여러 세대 작곡가들에 의한 과도기를 거치며 발전하고 있다. 1980년대부터는 서양음악의 틀에 한국전통음악적 요소를 가미한 음악이 한국작곡가들 사이에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의 서양음악 작곡가들은 그들의 작품에 한국전통음악적 요소와 서양음악적 요소를 조화롭게 접목시켜서 한국적 정서가 묻어나는 서양음악을 작곡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배경을 바탕으로 성장한 제3세대의 대표적 작곡가인 이영조의 피아노 작품 중 《다섯 개의 한국 춤 모음곡》을 분석하였다. 이 작품은 한국전통음악적 요소와 서양음악적 요소가 이질감 없이 조화를 이뤄낸 작품인데 <하늘 춤>, <아이들의 춤>, <사랑 춤>, <승무>, <농무> 등 5개의 춤곡으로 구성되어있다. 본 논문의 본론에서는 《다섯 개의 한국 춤 모음곡》의 분석에 앞서 주요 한국전통음악적 요소인 장단, 오음음계, 새야화현, 시김새, 메기고 받는 형식 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요소들이 《다섯 개의 한국 춤 모음곡》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찾아보았다. 또한 서양음악적 요소도 함께 분석하여 다른 성향의 두 음악적 요소가 어떻게 조화를 이루는지 연구하였다.

      •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내용비교분석을 통한 효율적인 수업방안연구 :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인태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통하여 음악 개념을 이해하는 포괄적이고 연계성 있는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한국 음악과 서양 음악의 내용에 대한 비교분석을 제시하고, 또한 이에 따른 효율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해 봄으로써 효과적인 교육방법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분석·연구하였다. 첫째, 교과서에 수록된 음악사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음악사와 서양 음악사를 제시해보았으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음악사와 서양 음악사를 비교분석해 보았다. 둘째, 교과서에 수록된 악기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악기와 서양 악기를 분류해보았으며, 그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악기와 서양 악기를 비교해 보고, 음색이 비슷한 악기를 찾아 비교해 보았다. 셋째, 교과서에 수록된 음악의 연주형태에 관한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 음악의 연주형태와 서양 음악 연주형태를 비교해 보았다. 넷째, 한국 음악과 서양 음악 중 극음악인 판소리와 오페라, 종교 의식 음악인 범패와 그레고리오 성가의 내용을 제시하고 비교한 후 효율적인 수업방안을 제시하고 예시 학습지도안을 연구하였다. 판소리와 오페라는 협동학습 방법으로, 범패와 그레고리오 성가는 ICT활용 학습 방법으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의 내용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한국 음악과 서양 음악의 비교분석을 통한 수업은 다양한 시대와 문화권의 음악을 통하여 음악 개념을 이해하는 포괄적이고 연계성 있는 수업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한 예시 지도안은 교수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교사가 음악 교과서라는 매개체의 내용을 가지고 학생들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가르치는가에 따라 학생들이 받는 교육의 질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는데, 비교분석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은 이에 부응하는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될 것이다. 따라서 한국 음악과 서양 음악의 비교분석을 통한 다양한 음악과 교수-학습 방법은 지속으로 연구·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be helpful to effective education method by suggesting the comparison about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and Western basis of comprehensive and connective 7th music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efficient lesson scheme to be based on it. Thus, in this researcher analyzed and studied following contents. First, this researcher tried to suggest Korean music history and Western music history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of music history recorded in textbooks and compared Korean music history and Western music history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Second, this researcher tried to classify Korean instrument and Western instrument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about instrument recorded in textbooks, and tried to compare Korean instrument and Western instrument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and find the instrument that tone quality is similar and compared them. Third, this researcher tried to arranged the performance form of korean music and the performance form or Korean music and that of Western music on basis of contents about the performance form of music recorded in textbook and tried to compare the performance form of Korean music and that of Western music on the basis of it. Fourth, after suggesting and comparing pansori and opera to be dramatic music, bumpe to be religious ceremony music, and the Gregorian chants out of Korea music and Western music, this researcher suggested efficient lesson scheme, and studied study-guiding-plan with cooperating study method about pansori and opera and with ICT-utilizing-study method about bumpe and Gregorian chants. Conclusion obtained with this contents is as follows: Lesson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will be comprehensive and connective lesson to understand music concept through diverse the music of periods it will be helpful to teaching-stud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 is decided according as how teachers teach students with the contents of medium to be music textbook. Then, teaching-study method through comparison may be effective education methods of music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music and Western music will have to be studied and developed continuously.

      • 한국 음악 산업의 매니지먼트 변화과정 :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스타 뮤지션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훈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1999년 이후 음반 시장의 불황에도 불구하고 스타 연예인이 창출하는 경제적, 문화적 파급효과는 더욱 커졌고 연예 매니지먼트사, 특히 음반 제작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는 한국 음악 산업의 매니지먼트 역할이 중요해지기 시작한 1980년대부터 시작하여, 2000년대까지 스타 뮤지션의 사례를 중심으로 차별화된 매니지먼트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1980년대를 대표하는 스타 뮤지션 조용필은 한 앨범에 다양한 계층을 겨냥하여 발라드, 트로트, 댄스, 민요 등 다양한 장르의 곡을 수록하는 앨범 기획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1990년대 초반 ‘서태지와 아이들’의 매니저 정현철(서태지)은 앨범의 기획 및 제작의 모든 과정을 혼자서 진행하였고, 앨범 홍보 활동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매니지먼트하는 천재성을 보여주었다. 그는 매 앨범마다 새로운 장르와 새로운 리듬의 음악을 기획하고, 새로운 패션을 과감하게 선보였으며, 가사에 있어서 한국 대중음악의 큰 주제였던 ‘사랑’에서 벗어나, 사회적인 문제들을 시기적절하게 다룸으로써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대중음악 가사의 영역을 넓혀 주었다. 또한 ‘앨범 발표- 활동- 활동 중단- 다음번 앨범 제작- 활동 복귀’라는 가수 활동의 새로운 사이클(Cycle)을 정립하였다. 1990년대 중반, ‘H.O.T’의 매니저 이수만은 철저한 시장 조사를 통해 당시 상품의 수요자로 부각된 10대를 위한 10대 맞춤형 가수를 기획하여 프로젝트 가수의 시대를 열었다. ‘'H.O.T'는 ‘Singing Entertainer’를 표방하였고, 팀의 이름부터 ‘H.O.T’(High-five Of Teenager), 10대들의 승리라고 짓고 10대들의 구미에 맞는 미소년 5명을 발굴하여, 각각의 개성에 맞는 캐릭터를 부여하고 10대들을 대변하는 노래를 부르게 하여 10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얻어냈다. 1990년대 후반, 조성모의 매니저 김광수는 영상 세대의 기호에 맞게 발라드 음악에 스토리가 있는 한편의 영화 같은 뮤직비디오를 기획하여, 발라드 음악을 듣는 음악에서 보는 음악으로 변화시켰다. 또한 음반이 히트할 때까지 가수를 대중에게 공개하지 않음으로써,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신비주의 전략을 통해 가수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켰다. 또한 적절한 시기에 가수를 공중파 방송의 연예오락 프로그램에 출연시켜, 가수의 이미지를 상승시키고 홍보 효과를 거두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매니지먼트 업계는 만능 엔터테이너를 요구하게 되었고 이런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비’는 노래와 춤, 연기, 모두가 가능한 가수로 기획되었다. 음악은 기존 한국 대중음악보다 앞서가는 음악으로 차별화하였고, 공연과 드라마. 영화 출연, 다양한 CF 출연 등을 통해 수익을 거두었다. 또한 드라마의 인기를 바탕으로 아시아에 진출하여 차별화된 대형 콘서트를 기획함으로써 큰 성공을 거둘 수 있었으며, 프로듀서 박진영의 도움으로 미국 시장에 진출, 콘서트를 성공리에 개최하여 월드 스타의 칭호를 얻게 되었다. 한국 음악 산업의 매니지먼트는 해외 음악의 계속적인 공격과 유통구조와 매체의 급속한 변화 속에서도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해 오며 한국 문화 산업 안에서 큰 역할을 감당해 왔다. 매니지먼트사들은 아시아와 세계 시장을 공략하며 점차적으로 대형화, 전문화, 시스템화 되고 있고, 수익을 증대시키기 위해 춤, 노래, 연기, 모두 가능한 가수를 기획하고 있다. 또한 다양하고 차별화된 공연을 기획하고 있으며, 대중의 다양한 취향을 고려하여 비주류 음악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앞으로도 한국 음악 산업의 매니지먼트에 대한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연구가 더 깊이 진행되어 한국 대중문화 발전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Western Composers’ Encounter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 With a Focus on Compositional Aspects and Aesthetics of Music in the Global Era

        손민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동양과 서양, 중심국과 주변국, 자문화와 타문화의 상호작용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글로벌 시대! 한국은 작은 영토를 지녔지만, 문화 강국으로 성장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한국 전통음악에 관한 관심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서양인들이 한국 연주자와 함께 앙상블을 조직하여 집단창작을 하거나, 한국 전통음악과 악기를 배워서 직접 연주하기도 한다. 특히 국제 페스티벌과 콩쿠르에서 서양 작곡가들이 한국음악을 활용한 창작 작품을 선보이면서 화제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서양 작곡가들이 왜 한국에 관심을 두고 창작에 활용한 것일까? 이들은 한국음악의 어떤 요소에 주목했으며, 음악 작품에서 재현된 한국은 과연 무엇인가? 본 논문은 21세기 서양 예술음악에서 한국음악적 요소를 활용한 작품을 탐구한 것으로 작품에 드러난 문화 혼종 양상과 이에 따른 미적 함의를 고찰한 연구이다. 많은 서양의 작곡가들은 한국인 연주자들에게 한국 음악의 이론적 원리를 배우면서 악기와 음조를 익히기도, 장단의 미세한 박절적 차이까지 인지하여 창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모습은 그간 한국의 창작계가 서양음악에 영향을 받아온 것에서 이제는 역으로 서양의 작곡가들이 한국의 문화예술에 영향을 받는 시대적 흐름을 새롭게 반영된 양상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에서는 한국을 동아시아 문화권의 일부로 받아들이거나 주변 국가인 중국과 일본의 연관성에서 접근하고 있어 서양 작곡가들의 한국 음악 활용에 대해 충분히 논의되지 못해왔다. 또한 그간 20세기 중반의 전후(戰後) 상황과 냉전 시기의 시대적 맥락이 아닌, 21세기 새로운 글로벌 시대의 관점에서 창작을 둘러싼 과정과 양상을 조명하는 작업이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오늘날에 한국 내부로 들어가 그 나라의 개별적이고 고유한 가치를 탐색하는 움직임은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지닐 수밖에 없다는 문제의식을 전제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고는 한국을 주제로 한 구미(歐美)권 작곡가들의 작품을 약 100여 곡 이상 폭넓게 수집하고 실제 음악적 내용을 분석하여 그 구체적 양상과 미학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고는 글로벌 시대 문화 간 역동적 교류 속에서 서구 주체의 탈중심화의 흐름에 따라 문화와 예술 음악계에서의 중심과 주변, 주체와 타자의 변화를 조명하였다. 서구 주체는 그간 서구 중심적 시야로 인한 근대성의 재고 및 타 문화 전유의 문제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면서 그 문화적 역학관계는 점차 변화되었다. 이러한 탈중심화는 사회문화의 영역 뿐만 아니라 예술 음악의 영역에서도 침투하고 있었으며, 서구 주체가 타문화를 피상적으로 재현하는 이국주의를 거쳐, 점차 타자의 존재를 인정하는 의식으로 향하고 있었다. 글로벌 시대 작곡가들의 변화된 의식 속에서 본 연구는 21세기 서양 작곡가들이 한국 연주자들과 상호문화적으로 교류하는 환경에서 서구 작곡가들의 한국음악 수용과 창작 연유를 조사했다. 작곡가들은 전통음악 특유의 소리에 매료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 문화적인 영향을 받기도 하였다. 이는 해외에서의 한국음악 공연 활성화와 한국인 음악가들과의 협업, 그리고 학술적 상호교류 증진을 그 원인으로 꼽을 수 있었다. 이러한 서구의 한국음악 수용은 반세기 전부터 동아시아(중국, 일본)을 경유해서 탐색이 이뤄지거나, 일찍이 국제 무대에 진출한 윤이상, 황병기와 같은 한국 음악가들의 문화교류 및 전파로 진행이 되어왔다. 작품 연구에서는 서양 작곡가들이 현대 예술 작품 속 한국음악적 요소의 활용양상을 표제, 악기, 주법, 음 단위로 제시하고 이를 혼종 방식에 따라 문화적 표제를 참조한 경우, 이중문화적 악기를 교차하고 대결한 경우, 전통 주법을 현대적으로 변용한 경우, 그리고 전통 형식을 선율과 음 단위로까지 해체한 경우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특히 각 유형의 마지막 항목에 제시된 대표작들은 자문화와 상대 문화의 배치 및 구상에서 창작자의 심도 있는 의식과 예술적인 효과를 선명하게 보여준다. 본고에서 고찰한 서양 현대음악에서의 한국적 요소 활용의 핵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표제를 운용한 경우, 한국의 문학 작품을 비롯한 음악 외적인 이야기나 시각적 형상물과 같은 한국 전통문화를 참조하는 경향으로, 한국적 요소 활용 중 가장 많은 비중으로 드러났다. 서양이 활용한 전통문화는 지역 내부 영역으로의 탐색 뿐만 아니라, 장기간 체류하면서 잘 알려지지 않은 문화까지 발굴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한국이 과거의 상상 속 아시아풍으로 구현되거나 중국과 일본의 다원주의의 맥락에서 재현된 것과는 달리 작품 구조의 중추가 되어 발현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대표작 네덜란드 출신 독일 작곡가 마이어링(Cord Meijering)의 타악기 솔로 심포니를 위한 <마르시아스>(Marsyas, 2018/19)의 경우, 그리스 신화 「마르시아스」와 한국의 3.1운동 역사를 참조하였고, 이를 한국 악기가 포함된 동·서양 타악기 50여 가지를 사용하여 90여 분간의 대곡으로 그려내었다. 작곡가는 한국의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 한국인 타악 연주자와 지속적인 소통 및 대화를 나눴고, 기미독립선언문 전문을 자발적으로 찾아 이를 면밀히 해석하였다. 한국인들의 정의와 평화에 입각한 자주독립의 정신을 깨달은 그는, 드럼의 교향적 다성음악(symphonic polyphony), 기미독립선언문 전문 텍스트 낭독, 샤머니즘 무악(巫樂) 발성, 카타르시스적 음향 연출을 네 악장에서 풀어 내었고, 동·서양 타악의 입체적 음향을 통해 강렬한 서사극을 만들어내었다. 둘째, 서양 작곡가가 한국적 요소를 활용할 때 이중문화적 악기의 교차 및 대결이 나타난 양상을 보였다. 이 유형은 이질적인 두 문화적 악기를 결합한 것으로 한국과 서양의 문화 혼종적 양상을 가장 직설적으로 드러내는 특징을 갖는다. 두 악기는 차이를 좁히는 방향으로서의 상호 화합과 조화의 모습도 있지만, 이질적인 두 세계를 형성하여 악기 간의 긴장과 대립 관계도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과거에 한국악기를 서양악기로 환원하여 연주한 것과는 달리, 한국 악기의 고유한 어법과 용례에 대한 심층적 탐색이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었다. 대표작 미국 작곡가 워맥(Donald R. Womack)의 가야금, 비올라, 장구를 위한 <Intertwined>(2016)의 경우, 한국과 서양 현악기, 그리고 한국 타악기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각 악기가 보유한 현들의 교차와 엇갈림을 통해 선들의 뒤얽힌 모습을 역동적으로 그려내었다. 각 문화적 악기는 종류별로 음색적으로 독립적인 정체성을 지니지만, 한국과 서양 악기 사이, 혹은 한국 악기 내부에서 다층적 음향층을 형성하여 각 영역을 보완, 대조, 수렴의 방식으로 상호교차 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이중문화적 악기 소리의 흥겨운 배합을 통해 특유의 ‘소리 그물망’을 직조하였다. 미국 하와이에서 초연한 이 작품은 초연 당시 작곡가가 장구를 직접 연주하여 국제적으로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셋째, 서양 작곡가들은 한국 악기의 고유한 주법과 상세한 연주 지시사항에 주목하여 이를 작품에 다각적으로 투영하기도 하였다. 이들은 농현, 시김새 등 본래의 전통 주법뿐만 아니라, 실험적인 주법을 사용하기도, 혹은 아방가르드적으로 응용하여 다채로운 음색을 시도했다. 또한, 한국과 서양 악기 주법에 인간의 신체가 개입되어, 구체적인 동작 지시를 통해 악기와 몸소리의 경계가 어우러지기도 했다. 이러한 변용은 기보법의 기호 형태나 오선보에 변화를 주기도 하였다. 대표작 미국 작곡가 존 유(Jon Yu)의 앙상블을 위한 <목구멍 없이 흥얼거리는 척추>(The Spine With Throatless Hum, 2019)의 경우, 한국과 서양 악기 ‘주법’에 집중하여 인간의 인성 및 신체 소리가 덧입혀져 사물과 유기체의 경계를 넘나드는 시도를 한 작품이다. 불규칙적인 진동의 비브라토, 대금 악기에 유성음/무성음의 인성이 도입된 음향 뿐만 아니라, 활의 보잉의 방향을 지시하거나 활을 누르는 압력의 정도를 단계화한 주법이 사용되었고 악보에는 기존의 오선보에 통용되지 않았던 생소한 기호가 즐비해 있다. 이는 한국과 서양의 악기 결합으로 인해 흔히 예상할 수 있는 동·서양의 만남의 소리에 대한 작곡가의 비판의식이 담지된 것으로, 각 악기 주법의 미묘한 차이를 인식하고 상대악기와의 복잡한 배합을 통해 융합이나 병치와는 다른 차원의 소리를 창출하였다. 넷째, 서양 작곡가가 한국적 요소를 활용할 때 한국음악의 전통 형식을 선율과 음 단위까지 해체한 양상을 조명할 수 있었다. 이 경향은 20세기 후반 유럽에서 발발한 뉴컴플렉시티의 사조를 비롯한 복잡하고 급진적인 실험적인 환경에서 진행되기도 했으며, 해체 작업으로 인한 파편구들은 조합과 재배치의 과정을 거쳐 전체와 연관 관계를 맺으며 작동하기도 했다. 음 작은 단위로의 분절에 집중되지만, 한국음악의 고유한 분위기는 전체 맥락 속에 잔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대표작 독일 작곡가 클라렌(Sebastian Claren)의 민속악 대금을 위한 <오늘 나는 아무것도 쓰지 않았다>(Today, I Wrote Nothing (Vol.1), 2016)의 경우, 서용석의 대금 산조를 근간으로 각 음의 매개변수를 치밀하게 계산하여 전통 소리의 가능성을 탐색한 작품이다. 특히 작곡가는 서용석의 직속 제자인 유홍에게 직접 개인지도를 받기까지 하였고, 산조의 연속적인 흐름을 아주 미세한 단위로 해체하여 각 조각을 추출 및 재배열하였다. 산조 연음의 길이, 트릴의 개수, 미분음, 농음의 미세한 떨림까지 정확하게 계산하여 사보(transcription) 할 정도로 창작자의 천재적인 면이 두드러지었고, 전통의 소리를 정교하게 재현한 것이다. 그간 서구 예술작품에서 타 문화권의 음악을 활용할 경우, 과정과 문화적 차이를 다루는 양상에서 독창성이나 현대성의 고갈이라는 의구심과 비평이 존재해왔지만, 클라렌의 재현은 충실성을 토대로 전통 산조의 고유성을 보유하면서도, 현대음악의 맥락에서도 생동할 가능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러한 창작 양상을 바탕으로, 서구 현대음악에서 한국 음악적 요소를 활용한 작품은 글로벌 시대의 흐름과 연계하여 소리, 창작, 정신의 세 측면에서 미학적 의의를 갖는다. 먼저, 문화적 소리의 측면은 한국과 서양음악의 본질적인 관용적 선율과 박절 차이 등이 나타나면서, 양립 불가능한 소리의 틈새를 드러나고 있었다. 이 틈새는 서양이 단순히 한국 음악과의 손쉬운 결합에서 나타난 산물이 아닌, 서양 전통음악에서의 서양성에 대한 고찰과 거리두기를 통해 음악의 기본 구성 요소를 변용하거나 제어하는 등 복잡한 양상으로 나타난 점에서 차별화된다. 이는 어떤 이질감이나 어긋남 등의 청각적 불일치가 오히려 새로운 소리의 도래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독특한 사이 공간의 미감을 제시한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다룬 작품들은 창작 원리의 측면에서 헤테로포니 텍스처의 미적인 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여러 선율들의 짜임 관계를 의미하는 헤테로포니는 유니즌과 폴리포니와는 달리, 이질성과 동질성, 공존과 긴장을 통한 독특한 장력 관계를 보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미적 감각을 창출한다. 게다가 헤테로포니 선율은 한국 연주자의 우연적 제스처가 현대음악에 상호적으로 움직이면서 ‘혼종성의 미학’을 제시하고 있었다. 이는 서양 작곡과 한국 연주의 쌍방향적 문화적 대화가 뒷받침되며, 더 나아가 창작과 연주, 기보와 실제, 아티스트 개인 간의 상호교차와 번역을 통해 다양하고 개성적인 소리 이야기를 창조적으로 꾸려 나가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다룬 음악은 정신의 층위에서 미적인 의미가 발현되고 있었고, 이를 포스트식민주의의 미학으로 해석하였다.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 논의에 대한 비평적인 대응인 포스트식민주의는 제국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전복시키는 서구의 변화된 움직임으로, 동·서양의 이분법적 서열 관계에 의문을 제기하여 권력 관계에 의해 침묵 되어온 주변부 타자의 목소리의 발굴을 시도한다. 21세기 서구 작곡가들은 그간 서구가 동양을 향해 통제하고 지배했던 행위에서 나타난 문제 현실들을 직면하면서, 스스로 행위를 고민하고 반성하는 의식이 이들 음악에 내재해 있었다. 논의를 종합하여, 서양 작곡가들의 타 문화 재현에 변화되는 모습은 궁극적으로 반성적 세계화(Reflexive Globalization)의 흐름으로 향하고 있음을 제언한다. 이는 기존 글로벌리즘에서 단순히 힘의 차이로 인해 문화가 위에서 아래로 흐른다는 서구 의식 관행을 성찰한 것으로, 지역 및 주변의 정체성이 국제 및 세계와의 소통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다. 서구의 한국 탐색 여정은 때때로 관습이 올라오거나 장벽에 마주하기도 했지만, 오인의 범주를 줄여 나가는 고행과 몸부림이 내재해 있었다는 점에서 변화되는 시대정신을 조명하는 데에 궁극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요컨대 본고는 21세기 변화되는 문화적 상호관계 가운데 현대음악 속 한국 음악을 활용한 창작의 양상을 심도 있게 조명하고 그에 따른 미적 함의를 정초하는데 중요한 함의를 갖는다. The 21st century has seen a proliferation of Western composers’ works with Korean musical elements, and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se compositions, their cultural-hybridity and aesthetic connotations. In addition to collaboration with Korean performers, several Western composers have learned Korean traditional music, its principles, and the use of Korean instruments, leading to the appreciation of subtle differences in performance techniques. In comparison with earlier studies, which have accepted Korea as part of East Asia, this study explores the works that reflect the distinctiveness of Korean musical elements, through musical analysis of 102 pieces dating from the new global era of the 21st century.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examine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Western Self amidst its reconsideration of modernity and appropriation of other cultures, leading to cultural changes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the Self and the Other in the field of art music. From a musical exoticism that superficially represented the cultural Other, these works display a gradual shift towards a consciousness of acknowledging the value or existence of Others. I investigate such motives for the acceptance of Korean elements in Western compositions, and suggest that composers were not only fascinated by the unique sounds of Korean traditions, but also a variety of sociocultural factors that may have led to performance of Korean music abroad, collaboration with Korean musicians, and academic exchanges. The use of Korean musical elements in contemporary works can be found in extra-musical elements, instruments, playing methods, and the sonic unit of compositions, and I classify the key characteristics into four different types: references to Korean culture, alignment of cross-cultural instrumentations, transformation of traditional playing methods, and deconstruction of melodies and forms. First, Western composers most commonly referred to Korean literature and visual material, or local traditions, unlike earlier works that referred to general ideas of Asia, or China and Japan. Second, by combining two disparate cultural instruments, these works created tension and confrontation as well as mutual harmony and conformity while exploring the unique usage of Korean instruments. Third, in addition to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nonghyeon (vibrato) and sigimsae (ornamentation), Western composers employed experimental techniques, application of an avant-garde style, involvement of the human body, which led to a change in symbols of the Western staff notation and more sophisticated instructions of the notation method. Fourth, Korean traditional forms are deconstructed into melodies and sonic units, sometimes accompanied by complex and radical experiments, as found in New Complexity music. Considering these compositional aspects, I focus on three significant aesthetic meanings in Western contemporary works that utilize Korean musical elements: sound, composition, and attitude regarding the current global era. First, I identify the space between incompatible sounds and “In-between-ness” caused by the encounter of Korean and Western music, and suggest a unique aesthetic sense of interstice that enabled the advent of a new sound. Next, analysis of the works revealed a heterophonic texture in terms of compositional principle, demonstrating an “aesthetic of hybridity” in performance practices. Finally, I interpret the attitude of composers as the aesthetics of post-colonialism, questioning the dichotomous relationship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by excavating the silenced voices of cultural others. This study of Western compositions with Korean elements suggests changing attitudes in the representation of other cultures which may ultimately lead towards a reflexive globalization. In spite of the power dynamics of existing globalism, in which culture flows from top to bottom, I argue that the identity of the local and region has established a communication system with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world. Western exploration of Korea has encountered customs or cultural barriers but strived to reduce misunderstanding, ultimately revealing a changed spirit of the times. In short, in addition to proposing new aesthetic meaning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for viewing a musical representation of Korea by illumin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est-Korea cultural exchanges and musical works of the 21st century.

      • 미디어의 발전이 한국대중음악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

        김현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혁명이라고 말해도 손색이 없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는 한국 대중음악 산업에도 예외 없이 큰 변화를 주었다. 급속도로 발전하는 미디어가 한국 대중음악에 미친 영향은 형언 할 수 없을 정도의 파급력을 지님으로써 대중음악 산업의 구조자체를 변화시키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대중음악 분야에 미치고 있는 영향력과 파급력을 생각해 볼 때 한국 대중음악 산업 발전을 위하여 디지털 기술을 분석하고 그에 기반하여 제반 정책과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시급하다고 본다. 미디어의 발전으로 인하여 한국 대중음악 산업의 극심한 침체의 주원인으로 불리고 있는 P2P 시스템 peer to peer system : 인터넷에서 개인과 개인이 직접 연결되어 파일을 공유하는 것은 온라인에서 개인의 콘텐츠를 소유의 개념(所有槪念,possession concept)에서 공유의 개념(共有槪念,common concept)으로 전환시켜 버렸고, MP3(MPEG Audio Layer-3)플레이어는 콘텐츠의 휴대와 보관의 용이함을 한층 발전시켰으나, 무단복제의 편의성 또한 동시에 제공함으로써 결론적으로는 대중들로 하여금 구매와 소장의 의미를 상실시켜 버린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이동통신회사들이 대중음악 산업의 뿌리인 음원 시장까지 침투하는 현실에서 모바일은 벨소리와 컬러링 다운로드 순위에서 인기가 검증되면 방송 출연 섭외에서부터 음반 판매 촉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로 인하여 발생된 인터넷의 다운로드와 MP3, P2P시스템, 스트리밍서비스 그리고 모바일 등이 한국 대중음악 산업의 제작 및 유통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을 하고 한국 대중음악 산업의 진흥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한국대중음악 산업의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내 대중음악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포괄적인 정책 방향을 도출함으로써 보다 일관되고 체계적인 전략방향의 구축을 시도하였다. There is no doubt that we can say multimedia has brought us new forms of Korean popular music industry. When we consider this huge impact, it is necessary to set up new plans, strategies, policy and even law in order to develop and analyse the technology as well as prevent illegal file copying. New technology development, however, led serious collapse of the music industry of Korea. The idea of personal contents belong to one individual on the net completely changed from possession to sharing. One of the salient examples is a P2P(peer-to-peer) computer network, a file is shared among participants in a network. Another example is an MP3 file. It helps people easy listen to music by carrying and storing in its player as well as makes counterfeit, illegal file resources. Eventually, it lacks of purchase and possessions of music CDs. In addition, Korean mobile networks become showing interest on the sound source market, the basis of music industry. For example, once it is hit by ringtone and dialing tone chart, it affects on casting singers for TV shows and album sales. Upon this fact, I researched the Internet downloading statistics to see how it influences the market. Moreover, I aimed to figure out how the media, such as MP3 files, P2P network, streaming service, mobile networks and etc., has led manufacturing and distribution system of the music industry for its reconstruction. I tried to suggest setting consistent and systematic policy and law by adopting inclusive strategies based on the latest data of facts and matters in Korean popular music industry.

      • 한국의 정치적 지형에 따른 서양 대중가요의 유입에 대한 분석 : 1910년부터 1987년까지의 번안가요를 중심으로

        박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번안가요란 타국에서 이미 창작된 곡을 바탕으로 가사만을 자국 언어로 변환한 가요를 의미한다. 타국의 음악은 대게 자국의 언어로 번안된 번안가요를 통해 정착된다. 가사가 자국의 언어로 변환됨으로써 언어의 장벽이 허물어지고 대중들이 수용하기 용이해지기 때문이다. 현대 사회와 같이 매스미디어를 통해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기 이전에 국가들 간의 음악적 교류는 번안가요를 통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경우를 살펴보면, 1987년 저작권 협회 가입 이전까지 번안가요가 다량으로 발매되었다. 한국 상업음악 시장 속 번안가요는 서구권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의 대중음악을 한국으로 정착시키는 동시에 한국 대중음악 장르의 다양화를 촉진시켰다.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1960년대 포크와 락 장르의 시작도 번안가요에 의한 것이었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바와 달리 번안가요의 역사는 한국 대중가요의 시작점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6년 발매된 첫 대중가요인 <사의 찬미>는 <다뉴브 강의 잔물결>을 원곡으로 하여 번안한 것이다. 이 작품은 레코드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이끌었던 동시에 한국 음악계에 대중가요의 형식의 도입을 가능케 했다. 이처럼 번안가요는 한국 대중가요의 시초였으며, 이후 서양 대중가요 유입의 지표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중요한 역할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번안가요는 1차 저작물이 아닌 2차 저작물이라는 점에 있어서 연구의 필요성이 간과되어 왔다. 대부분의 창작가요가 번안가요를 통해 유입된 다른 국가의 대중가요를 기반으로 발전되었음에도 아직까지 한국 대중음악사는 창작가요를 기반으로 기술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학계에서 번안가요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연구가 활발히 되기 시작했으나, 음악내적 요소에 대한 분석 혹은 혼종적 정체성에 대한 분석에서 그쳤다. 한국 대중음악사 속 번안가요의 중요성은 번안가요가 생산될 수 있었던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러한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서는 그 당시의 제도적 장치에 접근해야 할 것이다. 흔히 대중음악의 제도적 장치라 함은 저작권법을 가리키는데, 한국 사회 속에서 저작권법이 1957년에 정식으로 제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번안가요가 지속적으로 생산되었던 것은 그와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지 않았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시 말해, 번안가요의 생산 과정에는 저작권법이 아닌 더 큰 힘을 기반으로 한 제도적 장치가 작용되었던 것이다. 그렇기에 번안가요는 정치적 맥락을 기반으로 분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서 번안가요의 중요성에 대한 정당한 이유뿐만 아니라 한국 대중음악의 정착부터 여러 전환점까지 한국대중음악사의 전체적 맥락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본문에서는 1910년부터 1987년까지 3 개의 시기로 분류하여 정치적 맥락에서 번안가요를 해석하였다. 일제강점기(1910-1945), 미군정기와 이승만 정부 시기 (1945-1961), 박정희 정부와 전두환 정부 시기 (1961-1987)로 나누었고, 각각의 기간은 정책기관의 변화에 따라 세분화했다. 일제강점기의 경우 조선총독부가 실시한 조선 교육령에 따라 4 개의 시기로, 미군정기와 이승만 정부시기는 정책에 따라 3 개의 시기로, 마지막으로 박정희 정부와 전두환 정부 시기는 정책기관에 따른 3 개의 시기로 분화했다. 분석에 사용된 1차 자료는 각 기간별 발매된 번안가요였으며, 1차 자료를 바탕으로 번안가요를 통해 유입된 서양대중가요의 형태를 분석했다. 각각의 목록에 기초하여 연도별 생산 수치 그래프와 장르별 분포 비율 그래프를 작성하였고 이러한 통계자료에 대한 분석을 상세히 서술했다. 이 자료들을 통해 정책과 번안가요의 긴밀한 연관성을 밝히고자 했다. 1910년부터 1987년까지 분석을 행한 결과 번안가요를 통한 서양 대중가요 유입의 형태는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했다. 우선, 번안가요의 연도별 통계 수치 분석을 통해 정권의 정책의 방향에 따른 서양대중가요 유입량의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각기 다른 정권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공통적으로 번안가요 생산에 대한 장려정책과 검열정책이 있었으며, 이에 따른 유입량의 변화가 발생했던 것이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장려정책에 대한 분석을 함으로써 번안가요가 하나의 저작물로 인정될 수 있었던 요인이 있었음을 명확히 하였다. 두 번째로 원곡의 장르별 분포 비율은 서양 대중가요에 대한 정권의 접근 방식 혹은 작용방식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일제강점기 초기부터 서구권 제국의 음악 수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있었던 반면, 후반기에는 전쟁을 거치면서 ‘재즈’를 중심으로 한 서구권 음악 금지 정책이 펼쳐짐에 따라 유입된 장르의 비율에 변화가 일어났다. 해방 이후 반공이데올로기와 미군의 선전정책은 대중들로 하여금 서양대중가요를 수용해야 하는 음악으로 인식하게 하였으며, 1960년대 이후 서양대중가요 장려정책의 기반을 마련했다. 그러나 1975년 포크, 락 과 같은 특정장르를 ‘역문화’, ‘반정부적’인 음악으로 해석함에 따라 발매된 번안가요의 원곡 장르 비율 분포에서 큰 변화가 발견된다. 이처럼 번안가요를 통해 유입된 서양 대중가요의 특정장르들은 정권의 접근방식에 따라 장려 혹은 검열되면서 정치적 지형에 따른 장르별 분포가 다른 양상을 띄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발매된 번안가요는 한국 대중음악사에 여러 변화를 야기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당시 대중가요 장르인 재즈송이, 1950년대 이후에는 스탠다드 팝이, 1960년대 이후에는 포크송, 락, 댄스 등이 번안가요를 통해 한국사회로 흘러들어오면서 새로운 장르의 정착을 가능하게 하였다. 번안가요는 한국 대중가요사 속 타국 음악의 정착과 동시에 전환점을 일으키는데 큰 영향력을 미쳤던 것이다. 번안가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밝혔듯이, 대중가요는 정치적 사회적 산물이며 지배 계층에 의해 정치적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대중가요는 음악이기 전에 하나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큰 영향력을 가진다는 점에 있어서 사회의 질서를 마련하고 사회를 통제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번안가요가 한국 대중가요사에서 큰 흐름을 형성한다는 점에 있어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 대중음악의 역사적 흐름 또한 정치적 움직임에 따라 형성되었음을 입증하는 동시에 대중가요가 순수한 그 자체의 음악으로만 해석되기보다도 정치적 맥락을 통해서 분석되어야 하는 현상임을 주장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Popular Music-Translation using political background of Korean society. Definition of Popular Music-Translation is a popular music that changed only lyrics into its own language based on songs that are already created in other countries. Lyrics are changed in order to adapt into different countries’ society. This music also help a foreign society or foreign listeners to easily accept them.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s been produced in Korean Society from 1910 to 1987, which was before Korea’s participation in the WTO TRIPS agreement, and this music have influenced Korean popular music market in many aspects, for example, diversifying popular music genre and played as a bridge that connected Korean society and Foreign popular music. Interestingly, history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longer. This music had existed at the very beginning of Korean popular music market. In 1926, <Hymn of Death(Sa eu Chanmi)> was released, which was based on Invanovici’s <Donau Wellen Walzer>. <Hymn of Death> was the first Korean popular music and also the first Popular Music – Translation in Korean society. This piece vitalized Korean Popular music market, settling standard form of popular music. As this example illustrates,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not only the indicator of inflow of foreign popular music but also a large body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from the beginning. In spite of this importance, Popular music – translation’s empirical researches were not done vigorously because it was ‘remake of existing song’ which is not an ‘original song’. However,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 in research. Some are focused on lyrical or rhythmic changes comparing Popular music – translation and an original song, and others have demonstrated ‘Modernity’ through examining popular music – translation due to their origination - mostly from Western countries – which have led into dichotomous discussion. These recent studies might have been able to dig up the fact that had not been covered by former Korean popular music studies but still they are not effective enough to make comprehensive perspective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As known by the explanations from recent studies,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a root for variety of genres in Korean popular music market. Analysis on this kind of music equals to analysis on every aspect of Western music that has played a major role in the popular music industry from 1910 to 1987. More importantly, in order to play a major role in the industry their existence had to be in the same position as the original works. What were the key component that made them possible to remain in the same position as the original work? Although Korean copyright law has existed since 1957, this law was not strictly applied to remake songs at the time. This means that more tremendous power had been applied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And the ‘more tremendous power’ are assumed to be closely related to governments’ institutional devices, which had changed based on political topographical changes. Based on the main question, this thesis will use political background in order to analyze Popular music – translations in Korea. According to Korean political topography, the duration from 1910 to 1987 could be divided into 3 separate time lines,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USAMGIK and Presidency of Syngman Rhee (1945-1961), and Presidency of Junghee Park and Duhwan Jeong (1961-1987). For more detailed analysis, each duration is also divided based on the institutional changes made by each government. The samples for this study were based on different sources for each political era due to difference of social aspect and technical background - ‘Korean Sp Archive’ for the first part, News Archive for the middle, and ‘KBS Music Archive’ for the last part of this study. The list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s for each designated time were organized according to the timeline. Yearly released rate and genre proportion based on the list were suggested and analysis were done at the point where unusual rates or the outliers were found on the graph. These analysis were done in order to find the relation of political background and Popular music – translation. As a result, production of Korean popular music – translation was either increased or decreased based on the political aim of each time line, which means that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music was controlled by government. In Japanese Colonial Era, from 1910 to 1938 government led society to synchronize with Western music which resulted in increase of production rate. However after 1938 dramatical decrease was found due to prohibition of Western music by government. From 1945 to 1961, AFKN and US 8th army show led popular society to get familiar with the American culture and also, the anti-communism - which was main ideology of the government at the time- had provoked society to accept the Western liberal counties’ culture. This era functioned as a base for the adaptation of Western music afterwards. From 1961 to 1987, Park and Jeon’s presidency’s graph also looks similar to Japanese colonial era, production rate increased until 1975 and dramatical decrease after 1975. At first, Park’s regime was positive about the translated popular music but after 1966 there were several attempts made by government to control the popular music which is reflected on the decrease of production rate. and After 1975, when the highest level of inspection was applied to popular culture, production rate has more decreased due to the continuing censorship done by both regime. The yearly production graphs had proved that the political aim and production rate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ve a strong correlation, also meaning that the popular music industry was effected by the institutional device. This institutional devices were based on political ideology which had shown changes in governments’ attitudes toward Western popular music over the period. Because of these changes made by the government,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d been constantly repositioned in music industry time to time, from alternative to main and from main to minor stream. By looking at the proportion of Genre, the changes had occured whenever government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Western music. In Japanese colonial era, government prohibited Jazz genre music after 1938 where the proportion of Western popular music genre decreased compared to the former time. Also, after 1975, when government framed Folk and Rock genre as ‘anti-government’ music in order to control the protest movement, Folk and Rock genres’ propotion had decreased compared to 1960s. This demonstrates that Popular music - translation genre and political aim were strongly connected. Analysis on Popular music – translation has revealed several important facts and also captured significant moments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And as this study has proved through Popular music – translation, popular music is not only art but also a political and social product due to the relationship of society and popular music, which exhibited strong bond between popular music and society. And most importantly, by the method using political background and statistical information of Popular music – translat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history of Korean popular music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hanges of political topography as Popular music – translation represents large part of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