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캄보디아의 관광한국어교육 실태 조사 연구

        진형우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and to find ways of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Cambodia – a popular destination among Korean tourist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Cambodia's tourism industry and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for its touris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local and Korean tour guides, as well as teachers in Siem Reap Tourism Office and University of Cambodia. Furthermore, to develop Cambodi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students of Siem Reap Tourism office’s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 the only Korean language program for tourism in Cambodia.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 methods,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s presented. With these goals,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the first chapter, Korea and Cambodia’s active human resource exchange was divided into 3 major categories and among them,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which focuses on tourism industry’s human resources, is discussed. And through prior research about exis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methods and Cambodia’s tourism industry, the direction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In the second chapter, prior studies focusing on specialized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re discussed, in which results are used to divid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to three areas: subject, object, and medium. Also, through these studie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s contents are further classified into Korean-based, tourism-based, and specialized knowledge, respectively. In addition, concrete educational contents are also examined in this chapter. In the third chapter, the current sta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in Cambodia, especially in the case of universities and tourism offices, is investigated. It shows that first,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has not been introduced at the University of Cambodia. And through interviews conducted with the university's Korean language teachers, 5 reasons for its absence are identified. Second, among Cambodia's 3 tourism offices, Siem Reap branch is the sole office that offers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The motive for th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iem Reap's Korean language training program are also explored in this portion. In the fourth chapter, the survey and interview methods done are explained in detail. And based on their results, specific development method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tourism are proposed by dividing the design guidelines of the curriculum into education system and facilities, trainees, contents and methods of education, and teaching materials. In the fifth chapter,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Moreover, few suggestions are made regarding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paths for future research.

      •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기본어휘 선정 연구 : 한국어 교육과정의 생활 한국어를 중심으로

        김정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의 생활 한국어 실력 향상을 위하여 한국어 교육과정에 제시된 어휘목록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필요와 인지적 수준을 고려하여 생활 한국어 기본 어휘를 재선정하고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제시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의 효과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이유와 목적을 밝히고, 구체적인 연구 내용과 방법을 기술하였다. 2장에서는 다문화 가정 학생의 개념과 현황을 중심으로 다문화교육에서의 언어교육과 한국어교육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한국어교육과 국어교육에서 이루어진 기본어휘 선정과 관련된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기술하고 본 연구의 연구방법에 참고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 한국어 어휘가 학습자의 필요와 인지적 수준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선정되었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교급별로 제시된 어휘목록과 주제목록을 비교·검토한 후, 초등학교 수준으로 조정될 수 있는 어휘 144개를 포함하여 한국어 교육과정 내 어휘목록에서 재분류한 805개의 어휘에 주제 범주별로 누락된 어휘 347개를 추가하여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생활 한국어 기본어휘 1,152개를 선정하였다. 본고에서 선정한 기본어휘는 실질 어휘 중에서도 명사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주제별로 누락된 어휘는 한국어기초사전과 연세초등국어사전, 한국어교재를 참고하여 추가하였다. 4장에서는 한국어교육과정에 제시된 생활 한국어 주제목록을 주제의 유사성 및 상·하위 관계에 맞게 범주화시켜 제시하기 위하여 국제통용 한국어교육 표준모형 및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주제 목록과의 비교를 통해 주제 목록을 수정·보완한 후 현직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주제 범주를 대주제 6개, 중주제 22개, 소주제 59개로 새롭게 설정하였다. 본고에서 새롭게 범주화시킨 주제 목록에 따라 3장에서 선정한 기본어휘를 주제·상황별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끝으로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밝힘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생활 한국어의 실질 어휘를 학습자의 필요와 인지적 수준에 맞게 재선정하고 이를 주제별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기본어휘는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을 위한 교재 집필 및 어휘 교육, 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을 위한 전래동화 활용 방안 연구

        김성미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에 전래동화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데에 목적이 있다. 전래동화는 내용과 구성 면에서 학습자의 흥미 유발이 용이하고 학습자에게 한국의 언어는 물론 전통적인 문화를 가르치기에도 적합한 제재이다. 또한 전래동화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딜레마적 상황을 교수·학습에 적용한다면 학습자에게 전래동화의 내용은 물론 바람직한 가치에 대한 교육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 활용도가 높다. 한국의 인지도와 국가 위상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급속도로 늘고 있다. 그리고 2000년대부터는 한국의 남성과 결혼하여 한국에 정착하여 살게 된 여성결혼이민자가 급격히 증가하여 한국어 학습자로서 큰 위치를 차지하게 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는 학문 목적을 가지고 한국어를 공부하는 학습자들과는 달리 한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한국 사회의 일원이 되는 사람들이다. 이들이 한국에 정착하면서 다문화 가정과 관련된 사회 문제가 심각해지자 국가적 차원의 지원 노력이 활발해지고는 있으나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지원은 부족한 실정이다.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어를 듣고 말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읽고 쓰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 기능의 습득은 여성결혼이민자의 안정적인 한국 생활을 가능하게 하기도 하지만 자녀 교육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부분이다. 그리고 도시 생활을 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 보다는 농촌 생활을 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데, 농촌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시부모를 모시고 사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남편과 둘이 사는 사람들에 비해 시부모와 함께 사는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의 생활 또는 정신문화 요소에 대해 더욱 많이 알아야 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한국의 언어와 문화 학습을 위해 이 두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전래동화라는 교육적 제재를 활용하는 것은 매우 적합하다고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해 적합한 전래동화의 목록을 선정하였고 이 중 두 편을 활용하여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전래동화의 선정을 위하여 제 7차 초등 국어 교육과정에 실린 전래동화와 한국어 교재에 수록된 전래동화의 목록을 비교하였고, 외국 이야기 중 한국의 전래동화와 유사한 줄거리를 가진 이야기도 참고하였다. 전래동화를 교육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몇 가지 적용해야 할 원리들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에는 딜레마 요소의 활용 방안, 재구성 방안, 기능 통합교육 방안, 문화상대주의 원리의 적용 방안 등이 포함되었다. 이와 같은 원리들을 적용하여 <금도끼 은도끼>, <시아버지를 살찌우는 며느리> 이야기를 텍스트로 구성하는 한편 실제 교수·학습 방안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전래동화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한국의 언어 및 문화 교육은 물론 가치 교육의 가능성도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안의 효과성을 입증하기 위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를 통해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교육 개선을 위한 사회적 관심과 교육계의 연구 활동이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 한국어교육지도사 교육 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이세화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Recently, Korea has encou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Especially, multi-cultural families including female married immigrants, their spouse and children have increased. Support as well as settling them down in Korean society have became a very important national issue. However, problems such as rising divorce rate grows as female married immigrants increase which means they need to have smooth communication skills to adapt well to Korean socie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condition that the private Korean tutors assist the multi-cultural families by teaching the family members Korean effectively and practically. However many studies show that there is a problem with the proficiency in the Korean teaching system. The system for training instructors has not been arranged in the correct way. This reflects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is not sufficient for teaching the tutors that will go on to teach the multi-cultural families the ways in which to adjust to the Korea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n the first chapter,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are clarified, and the study related to private Korean tutor education and study of Korean language tutor is examined. I reviewed the research focused on immigrant married women and the education they received while in Korea. The second chapter covered the business of home-visit Korean Language tutoring. The third chapter dealt with the regulation for Korean Language tutors, and the awareness andthoughts of the tutors and learners of the Korean Language tutor’s role and qualification. Specifically, I did a survey targeting Korean Language tutors and female married immigrants.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former said that Korean Language tutors should have counseling ability which is the most difficult trait among their roles. According to them, sociability also takes priority over professional Korean knowledge. Sociability is important because Korean Language tutors help female married immigrants not only in communication with their Korean family, but in getting used to Korean society through these tutoring sessions. Female married immigrants also hope to learn more about child-rearing and ways to communicate with their husbands. For such reasons, Korean Language tutors are instructors who teach these immigrants the Korean language as well as the methods on how to survive and have a fulfilling life in Korean society. In other words, these instructors have many different roles: consultant, mentor, and a guide for Korean life rather than just a Korean language tutor. This is why Korean Language Tutors need to have masterful and qualified knowledge in Korean, sociability, integrity and belief in volunteer work, open mindedness, endurance, and multicultural IQ. The fourth chapter is about Korean language tutors’ want for curriculums in which they strive to learn more and problems of current educational program. I suggested alternatives to these problems and made a curriculum for the educational program for Korean language instructors. I differentiated this thesis from the educational curriculum for the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and placed emphasi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 My purpose is accomplished if Korean language instructors can do one to one lessons well, and also help female married immigrants communicate well with their parents and children. I also provided ways that instructors could educate on parenting, child rearing and ways in which teachers could counsel family members. Practical ways are presented other than theoretical ways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a short space of time on the spot. Lastly, the fifth chapter carried a summary, clarifying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Korean private language tutor should educate female married immigrants not only Korean language but parenting, married couple trai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I am emphasizing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used as a resource in which the language can be intertwined in being used efficiently for other teachings as well .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보조사의 양태성 연구 : 교육적 분류와 활용을 중심으로

        박주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국어 교육의 목적은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더불어 정확성과 유창성이 확보된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조사와 어미는 모국어에 조사 체계가 없는 학습자들에게 어려운 문법 항목이다. 조사에 대한 지시적인 이해를 갖춰도 상황과 맥락에 따른 조사의 선택은 한국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 학습자들에게는 혼동을 주기 쉽다.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조사 항목을 교수-학습함에 있어서 사용의 효율성과 실용성을 높이기 위해 개별 조사의 기능과 의미에 초점을 둔 형태 중심 교육은 학습 단계가 높아질수록 세분화되는 의미를 충분히 설명하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자는 상대방의 의미를 바르게 파악하고, 자신의 의견을 상황에 맞게 전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양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보고, 그 중 보조사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2장에서는 양태성 보조사의 개념을 정립하고, 보조사 양태 기능의 범주를 분류하기 위한 이론적인 배경을 정리했다. 양태는 범언어적으로 명제나 사건에 대한 화자의 심리적 태도나 입장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다양한 양태 요소를 가진 한국어 가운데 몇몇 특징적인 보조사들이 문장에 명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화자의 태도를 표현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를 양태성 보조사로 정의한다. 3장에서는 대표적인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재에서 문법 항목으로 제시되는 보조사 가운데 의미와 기능에 따라 양태성 보조사를 가려내고, 교재의 문법 설명 양상을 살펴봤다. 그리고 양태 기능 범주 분류를 통해 양태성 보조사는 주로 인식 범주 양태와 평가 범주 양태에 속해있으며, 하나의 보조사가 의미에 따라 평가&#8228;인식 중첩 범주 양태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음을 보였다. 4장에서는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상황에서 보조사에 대한 문법 지식과 함께 화용 능력을 높일 수 있는 양태성 보조사의 제시 순서와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이제까지 양태 연구에 있어 크게 주목받지 못한 보조사의 의미 분석을 통해 양태성 보조사를 가려내고 양태 기능에 따른 범주 분류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들이 보조사 문법 지식과 함께 양태성을 활용한 화용 능력을 높일 수 있도록, 양태성 보조사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과 교육 방안에 대한 발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teach language learners speak the language freely with mother tongue speakers based on proficiency and fluency. Postpositional particles and ending of words in Korean grammar education are difficult to comprehend for foreign language learners whose countries do not have such grammatical structure. Choosing appropriate postpositional particles in certain situations and contexts can be confusing to language learners who are not familiar with Korean language even though they understand deictic relation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In today’s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postpositional particle teaching-study focuses on individual functions and meanings in order to enhance efficiency and practicality of postposition usage. Such education, however, certainly has a limit to deliver diversified meanings of postpositional particles as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improves. I consider that understanding modality is important to accurately understand others saying and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to the extent that learners deliver their opinions properly in a given situation. Thus, I decided to study auxiliary particles. Chapter 2 describes the concept of formative auxiliary particles and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 to classify the range of such functions. Modality is related to speaker’s attitude and position on certain situation and incident regardless of languages. Specific auxiliary particles that have multi-modal factors in Korean language can express speaker’s positions even though speakers’ positions are not explicitly appeared on spoken sentences. I define such particles as auxiliary particle with modality. Chapter 3 distinguishes certain auxiliary particl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s as grammatical items depending on meanings and functions and studies the patterns of grammar explanations. In this chapter, the study shows that auxiliary particles fall into both category of perception and evaluation modalities and an auxiliary particle often overlaps in evaluation and attitude ranges. Chapter 4 provides presentation order and teaching-study method of auxiliary particles with modality that can enhance grammatical knowledge as well as usage in dialogue. Previously, auxiliary particles did not get much attention in modality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distinguishes auxiliary particles with modality from meaning analysis and categorizes such particles by functions. Further studies on analysis and educational methods of auxiliary particles with modality are required in order to help foreign students who study Korean language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with auxiliary particles along with grammatical knowledge.

      • 한국어 교육에서의 보조사 ‘요’의 교육 내용 연구

        이소정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상대 높임법을 주요한 문법 범주로 보는 한국어 교육에서 높임을 실현하는 보조사 ‘요’는 한국어 학습자가 정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문법 항목이다. 그럼에도 한국어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보조사 ‘요’의 교육 내용은 문제가 있어 보인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문법서의 ‘요’의 제시 양상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한국어 학습자에게 유용한 보조사 ‘요’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해 2장에서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보조사 ‘요’의 분포와 기능에 대해 정리했다. 종결어미와 결합하는 ‘요’와 그 외의 형태소와 결합하는 ‘요’로 나누어 분포 양상을 살피고 기능에서는 청자 존대 기능과 휴지 기능, 청자의 주의를 끄는 기능에 대해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문법서에서의 ‘요’의 기술 내용과 분포에 대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는 ‘요’를 개별 형태소로 다루기보다는 해요체의 구성 요소로 보아 서술어로 종결되지 않은 문장 끝의 ‘요’와 반말에서 삭제될 때의 ‘요’에 대한 설명이 충분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한국어 교재에서의 ‘요’의 분포를 분석해 현대 구어 말뭉치에서의 ‘요’의 분포와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밝혀냈다. 한국어 문법서에서는 ‘요’를 청자 존대의 보조사로 분류, 종결어미와 결합할 때와 그 외의 형태소와 결합할 때로 나누어 용법을 설명한다. 또한, 문중 ‘요’의 기능에 대한 기술도 제시하고 있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문법서의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에게 제공되어야 하는 교육 내용을 제시했다. 종결어미와 결합하는 ‘요’: ‘-어요’, 서술어로 종결되지 않은 문장에서의 ‘요’, ‘요’의 삭제와 반말, 문중 ‘요’의 담화적 기능의 순으로 학습의 순위를 정했다. 그에 따른 교육 내용은 의미와 용법, 형태 정보, 사용 제약, 문법 연습으로 구성하여 한국어 학습자에게 바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서 ‘요’를 해요체의 실현 요소로 보는 시각에서 벗어나 독립된 형태소로 ‘요’의 실현 양상을 살핀 것과 이를 통해 한국어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auxiliary particle 'yo' that realizes the politeness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 grammatical item which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must understand correctly. Nevertheless, the contents of education of auxiliary particle 'yo' provided to Korean learners seem to hav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contents of 'yo' which is useful for Korean learners by analyzing the description and problems of 'yo'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grammar books. In Chapter 2, in order to prepare the contents of education, this thesis summarized the distribution and functions of 'yo'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distribution pattern is divided into 'yo' which is combined with final endings and 'yo' which is combined with other morpheme. In the functions, functions of politeness to the listener, functions of hedge, and function of attracting attention of listener were described. In Chapter 3,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s and distribution of 'yo'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grammar book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Korean textbook regarded 'yo' as a constituent element of 해요체 rather than treating it as a separate morphem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enough explanation about 'yo' at the end of the sentence that was not combined with final ending and 'yo' when it was deleted from ‘반말’. In addition, this thesis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yo' in the Korean textbooks and compared them with the distribution of 'yo' in the modern spoken corpus. In the Korean grammar books, 'yo' is classified as a auxiliary particle of politeness to the listener. The usage is divided into 'yo' which is combined with final ending and 'yo' which is combined with other morpheme. They also provides a description of the function of 'yo' in the sentence. In Chapter 4,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Korean textbooks and the Korean grammar, this thesis presented the contents of education that should be provided to Korean learners. The order of learning was ranked in the order of 'yo' combined with the final ending: ‘어요’, 'yo' in the sentence not ending with the predicate, deletion of 'yo' and ‘반말’, and discourse function of 'yo'. The contents of education were composed of meaning and usage, form information, usage constraints, and grammar exercises so that they can be provided to Korean learners. In this paper, it is meaningful to look at the realization aspect of 'yo' as an independent morphemes, and to prepare necessary contents for Korean learners.

      • 공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 방안 연구 : 중등학교의 다문화 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주경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중등학교의 다문화 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하는 공교육에서의 한국어 교육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중등학교에서의 한국어교육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한국어 교육 방안이라는 목표를 세우고 먼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알아보았다.또한 현재 공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중등학교의 한국어교육의 실제를 통해 파악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중등학교에서의 한국어 교육 발전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 네 가지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해결방안에 대해 언급하였다.

      • 노랫말을 활용한 초급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총체적 언어 접근법 기반 수업을 중심으로

        이정훈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법 개발을 위해서 언어 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총체적 언어 접근법과 학습자가 재미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노랫말을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보고 교육에 활용할 노래와 교수·학습 방법과 구성 방안의 연구를 통해서 총체적 언어 접근법을 방법과 한국어 노랫말의 내용으로 한국어 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육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초급 학습자들은 한국어를 학습할 때 학습자는 언어의 기능(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의 영역을 따로 배운다면 학습해야 하는 것이 많아서 학습에 대한 부담을 느끼게 되고 그런 학습에 대한 부담으로 인해서 한국어 학습을 어려워한다. 이러한 어려움은 학습자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 부여와 재미를 느끼는 데 방해를 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초급 학습자가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를 따로 배우는 것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며 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부여하고 나아가 학습에 대한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방법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먼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 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육할 수 있는 총체적 언어접근법과 학습자에게 동기와 흥미를 부여하며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할 수 있는 노래를 활용하는 교육의 연구 결과와 한계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총체적 언어 접근법과 언어 교육에서 노래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한 참고 문헌 연구를 통해서 총체적 언어 접근법의 개념과 특성, 원리, 효과와 언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노래의 종류와 특징, 언어 교육에서의 노래 활용의 가치와 효과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서 총체적 언어 접근법이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와 같은 언어의 기능을 통합적으로 교육하고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실제 생활에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육 방법이라는 사실과 노래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에게 동기와 흥미를 유발하고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하는 방법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해서 한국어 교육에서 사용할 노래를 선정하기 위해서 교육에서 사용할 노래를 선정할 때의 기준 4가지를 제시하고 그 기준에 맞게 10곡의 노래를 선정하였으며 선정한 노래의 노랫말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 교육 내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 교수·학습 활동 18가지와 이런 활동을 수업으로 구성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3차시 수업에 대한 교수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출된 교육 방안을 수업을 실제로 학생들에게 적용하지 못한 한계점이 있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말하기, 듣기, 읽기,쓰기와 같은 언어의 기능 학습에 부담과 어려움을 가지며 그로 인해서 동기와 흥미와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초급 학습자들을 위한 교육 방법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 키워드 : 초급 학습자, 한국어 기능 통합 교육, 노래 활용, 교육 방법 개발 방안 * 이 논문은 2022년 2월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한중 언어문화 교육내용 대조 연구

        조정순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831

        오늘날 외국인이 한국어를 학습하고 사용한다는 것은 한국어 자체뿐만 아니라 한국어에 내포된 문화적 배경, 곧 한국인들의 가치 체계와 행동 양식까지 함께 익히고 이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를 일반문화와 언어문화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학자들마다 정의 하는 바가 조금 씩 다르다. 이에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이 정의 한다. 일반 문화는 한 나라만이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가시적인 모든 문화적 유산이며, 언어문화는 목표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들의 민족의식에서 비롯되는 언어의식과 문화심리가 행동양식으로 드러나는 비가시적인 언어적 요소이다. 흔히 한국어만 학습하면 문화는 부차적으로 학습된다고 믿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언어교육에서 문화는 부차적인 것이 아니라 동반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목표언어 사용자의 가치체계, 행동양식, 태도, 관습 같은 심층적인 행위문화에 논의의 근간을 두면서 목표언어 학습은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와 비교, 대조를 통해서 한국어의 언어문화를 인지해야 한다. 이와 같이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언어문화를 중시해야 하는 당위성을 밝히며, 다양한 문화 범주를 어떻게 설정하고, 학습자에게 교육 할 문화 내용은 무엇인지 밝힐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언어문화 요소들을 추출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 단계에 맞추고자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한국어 교재를 통해서 언어문화 교육의 현황을 알아보고 본 논문의 언어문화 범위와 구성요소를 제시했다. 이에 심혜령(2010)의 일반문화, 언어문화, 문학 등의 분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문화 항목도 앞의 세 분류에 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는 재한 교사와 재중 교사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설문 의도는 한국어 교육 현장의 교사들의 요구가 무엇인지, 반드시 배워야 하고, 배워야 하지만 배우기 어려운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문항을 토대로 학습자들의 요구를 파악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분석은 통계분석 SPSS를 이용하여 개별 항목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에서는 재한, 재중 교사에게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있었으며 그렇지 않은 것도 있었다. 공통적으로 높은 응답률을 보인 것은 한중 언어의 차이와 의식주 및 언어심리에 의한 사유방식(문화 오해에서 비롯된 갈등)이었다. 둘째, 교수자들의 분석을 토대로 학습자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습자 요구 조사에서도 교사 요구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와 비슷한 퍼센트 통계 결과가 나왔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개별 항목 분석을 하여 학문 목적의 학습자에게 대학 생활에서의 교제를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 호칭법이라는 결과가 밝혀졌다. 그러므로 각 대학교에서 한국어를 목표언어로 학습하고 있는 중국인 학습자가 한국 대학생과의 원만한 인간관계로 서로 원활한 상호 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교수-학습에서 대학생 호칭법이 반드시 다루어져야 한다. 교재 구성에 대학생활 문화를 소개하면서 호칭법을 자연스럽게 노출시켜 주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언어가 사상을 전달하고 체현하는 수단으로, 인간교제의 수단으로 될 수 있는 것은 언어와 사유가 상호 유기적인 작용을 하기 때문에 언어 없이는 사유할 수 없고 사유 없이는 언어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과 풍부함이란 있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한중 문화 대조적 접근에서의 언어문화 교육 내용에서 한중 일반문화 및 언어문화 대조를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제시 했다. 한중 언어문화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에서 대명사, 조사, 동사, 사동, 피동을 대조하였으며, 한중 의미 관련 언어문화에서 숫자, 색깔, 소리 및 모양 등에 대하여 비교, 대조했다. 따라서 효과적인 언어문화 교육의 실제를 위해서 본 연구의 통계 분석과 한중 대조적 접근에서의 언어문화 교육의 한중 언어문화 교육 내용 대조 연구는 언어문화의 교육적 가치를 갖으며 현장의 교사들에게 언어문화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고자 한다. Recently many foreigners learn and use Korean language. It means understanding not only Korean language itself but also the Korean culture background - its behavior patterns and Korean’s value systems. Typicall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can be classified as general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But every scholar has different way of defining these categories. This thesis defines them thusly. General culture has a distinctive and visible culture heritage, which each country has. While language culture has invisible elements of language through which students learn the national consciousness as it reveals itself through the cultural psychology and behavior patterns which make the language what it is. People often believe that if you study Korean, then naturally you will get a sense of the culture. Yet in language culture is not a fringe benefit, but a partner equal in importance to the language's vocabulary and syntax. Through discussion in the target language, learners get to know the value systems, behavior patterns, attitudes, and customs of the community of speakers of the target language. We must compare and contrast these beliefs and practices with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the community of speakers of the learners' mother tongue, in this case, Chinese. Accordingly, we must decide how to set up categories of culture education and what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should be, so that we can extract the essential elements of language culture in the education setting. To this end, this thesis examines the contents of certain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teaching textbook and found out the boundaries and compositional elements in the material. Working from the framework of Shim Hye-ryeong's classification (2012) of general culture, language culture, and literary culture, I carried out a survey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South Korea and mainland China. I sought to determine what the teachers required of their students, what specifically they are expected to learn, and what parts of the mission were most difficult. The aim was to grasp what the students neede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teachers' responses. I used the statistics-analyzing program called SPSS to tabulate and assess the results in an itemized manner. The results show that there are both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enc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in South Korea and China. The section with the most similar responses were in difficulties arising from differences between the non-Korean students' culture and the Korean culture. The most cited aspects were those of language, of basic living-eating customs, dress, housing, and of language-psychology. Working from the foundation of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responses, I then carried out an analysis of what was required of the students. The results for students in South Korea and in China were similar; the students needed to learn the terms of address and titles for the people they encounter and with whom they interact in student life so that they are able to cultivate friendships and maintain good relations with their fellows. Therefore, the Chinese students who study Korean must learn titles in order to have seamless interaction with Korean students. To advance this, when language education introduces university culture in the curriculum, it must expose the students to the appellations that Koreans use naturally. By conveying and personifying thoughts and ideas and providing a basis for socialization, language and thought work in tandem, forming a mutually beneficial symbiosis. Because of this, we can say that without language, there effectively can be no thought, and, without thought, language loses all of its various abilities and treasures. In this thesis I compare and contrast the conflicting elements of Korean and Chinese general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in mainland China. In terms of class content, I contrasted the use of pronouns, postpositions, verbs, causative verbs, and the passive voice in the respective languages of Korean and Chinese. In terms of language culture and the relation with the meanings of words, I contrasted basic elements like numbers, colors, sounds, and shapes. From the data and the analyses, for effective and fruitful language education, I conclude that an analytic study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cultures is helpful in that it can act as a guide for classroom teachers as they seek out effective curricula and strategies and teaching methods and I expect my thesis to be that very same help.

      •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 교수설계 분석 :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이윤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needs to be considered for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and for the development of improvement methods by analyzing the instructional design of Korean cultural contents for the Korean education by e-learning, centering on Kemp’s instructional design model. Therefore, some suggestion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contents development for cultural education based on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on e-learning Korean education websites. In Chapter 1, the necessity of an instructional design analysis on Korean cultural contents by e-learning Korean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discussed. Some previous studies were researched divided into studies on e-learning Korean education websites, studies to which the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were applied in e-learning Korean education, and studies on cultural education utilizing multi-media or the Web.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e-learning and Korean education, of Korean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nd of systemic instructional design were dealt with. In Chapter 3, seven websites that presented culture separately from e-learning Korean education were selected as the target of the analysis, and the analysis items and standard were provided by dividing the components of Kemp’s instructional design model into instructional planning and teaching learning support systems. In Chapter 4, the Korean cultural contents of e-learning Korean education was analyzed centering on Kemp’s instructional design model,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structional planning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learners’ characteristics, the suggested instructional goals, the systematization of the contents, evaluation tools, etc. were analyzed. Of the seven target websites, four websites, ‘Nuri-Sejong Hakdang,’ ‘Multi-cultural Family e-Learning Campaign,’ ‘Bareun Korean,’ and ‘Learning Korean’ presented detailed instructional goals which served as the evaluation standard. The desirabl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was to include cultural items in a systematic, diverse manner, but the contents were actually composed so as to fit learner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urposes of each website. As the ‘Multi-cultural Family e-Learning Campaign’ was produced targeting female immigrants for marriage, it consisted of cultural items suitable to multi-cultural families. As ‘Study Korean’ was produced for Korean nationals abroad, it dealt chiefly with Korean history and the achieved culture for the purpose of fostering ethnic identity. Looking into the evaluation tools of each website, the evaluation outcomes were provided in the contents produced in the form of WBI but were not provided in the form of videos or animations. Second, as for the type, quantity and language of the contents, which are instructional materials provided as a method of teaching Korean culture, videos, WBI and animations were chiefly adopted as types of the contents. For ‘Dynamic Korean Exciting hallyu,’ the cultural education contents were produced utilizing dramas, K-POP, etc. in order to develop contents in such a way to induce a practical, empirical learning and to raise learners’ interest. The quantities of the contents mostly required a ten-to-fifteen-minute play, and there were videos as short as three to five minutes and as long as about one hour. As for the languages, the contents were being delivered mostly in English or in Korean; ‘Nuri-Sejong Hakdang’ and ‘First-step Korean’ were captioned in various languages, and the Korean culture of ‘Multi-cultural Family e-Learning Campaign’ was produced in seven languages. As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interactions between a learner and an instructor and between learners were being made mostly through replies on the noticeboards. For strategies to motivate people to be engaged in learning, ‘Nuri-Sejong Hakdang’ was offering character emoticons based on accumulated points after lessons, while ‘First-step Korean’ was giving a certificate when a learner completed a course. Third, to support learners’ learning in the method to implement the teaching learning support system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Click Korean’ provided a role-play function and ‘Frist-step Korean’ provided a Hangul-letters practicing program. To support mobile learning, ‘Nuri-Sejong Hakdang’ and ‘First-step Korean’ provided mobile applications, and ‘Bareun Korean’ provided contents linked to SNS in order to enhance mobile accessibility. In most websites, learners were supposed to check the My Page or Lesson Complete boxes so that the learning history and progress status could be inspected intuitively. The learning materials could be downloaded by MP3 or PDF so that the learners could perform a review or a repetitive learning. ‘Study Korean’ and ‘First-step Korean’ had a system in which some video contents could be partially downloaded. The continuous update of the contents was checked through the resource management in the project management domain; new contents we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and provided in ‘Nuri-Sejong Hakdang’ and ‘Study Korean.’ Also, whether the interacting functions were being properly utilized and managed by managing the delivery system, was looked into, and it turned out that ‘Nuri-Sejong Hakdang,’ ‘Bareun Korean,’ ‘First-step Korean,’ and ‘Study Korean’ had been managing them continuously. For information management, whether the information on learning and learners was being managed was examined, and it turned out that ‘Nuri-Sejong Hakdang,’ ‘Bareun Korean,’ ‘First-step Korean,’ and ‘Study Korean’ had been utilizing the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members, the number of learners’ visits and learning hours as PR instruments or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Finally, in Chapter 5, a summary of the analysis and the study results were provided; the limits of the study were presented;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as to follow-up studi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able to be used as basic study materials on instructional design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Korean cultural contents for e-learning Korean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 교수설계를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한국문화 콘텐츠의 교수설계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검토하고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에 e-러닝 한국어교육 사이트의 한국문화 콘텐츠 분석을 통해서 얻은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문화교육 콘텐츠 개발에 대한 제안 사항을 제시하였다. 1장에서는 e-러닝 한국어교육에서 한국문화 콘텐츠 교수설계 분석의 필요성과 연구의 목적을 살펴보고, e-러닝 한국어교육에서 교수설계 이론을 적용한 연구, 멀티미디어나 웹을 활용한 문화 교육에 관한 연구로 나누어 선행 연구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e-러닝과 한국어교육, 한국어교육과 문화 교육, 체제적 교수설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다루었다. 3장에서는 분석의 대상으로 e-러닝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분리하여 제시하고 있는 7개 사이트를 선정하고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의 구성요소를 교수 기획과 교수 방법 및 교수 학습 지원체제의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 항목과 분석 기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를 Kemp의 교수설계 모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문화 콘텐츠의 교수 기획에서는 학습자 특성, 교수 목표 제시, 내용의 계열화, 평가 도구 등을 분석하였다. 7개 분석 대상 사이트 중에 교수 목표를 명시적으로 제시한 ‘누리-세종학당’,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 ‘바른 한국어’, ‘Learning Korean’ 4개의 사이트 중에서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과 ‘Learning Korean’은 평가의 준거가 되는 구체적이고 상세한 교수 목표를 제시하였다. 학습 내용의 구성은 각 사이트의 학습자의 특성과 제작 목적에 따라 문화 항목이 구성되었다.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은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제작된 사이트여서 다문화 가정에 맞는 문화 항목으로 구성되었고 ‘Study Korean’은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제작된 사이트여서 민족 정체성 함양이라는 목적으로 역사와 성취문화를 비중 있게 다루었다. 각 사이트의 평가 도구를 살펴보면 WBI 방식으로 제작된 콘텐츠에서는 평가를 제시하였지만 동영상이나 애니메이션 방식에서는 평가가 제시되지 않았다. 둘째, 한국문화 교수 방법으로 제시되는 교수 자료인 콘텐츠의 유형과 분량, 구성 언어를 살펴본 결과 콘텐츠의 유형으로는 주로 동영상과 WBI,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었다. ‘Dynamic Korean Exciting hallyu’는 실제적이고 경험적인 학습을 유도하고 학습자의 흥미를 높이는 콘텐츠를 개발하기 위해 드라마나 K-POP 등을 활용한 문화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였다. 콘텐츠의 분량은 10-15분 정도 소요되는 콘텐츠가 대부분이었는데 3-5분 정도의 짧은 동영상도 있었고 30분 또는 1시간 분량의 콘텐츠도 있었다. 콘텐츠의 구성 언어는 대부분 영어나 한국어로 제시하였는데 ‘누리-세종학당’과 ‘First step Korean’은 다양한 언어로 자막을 제공하였고, ‘다문화 가정 e-배움 캠페인’의 한국문화는 7개 언어로 제작되었다. 교수 전략으로 학습자와 교수자, 학습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은 대부분의 콘텐츠가 게시판의 댓글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다. 학습 동기부여 전략으로 ‘누리-세종학당’에서는 학습 후 마일리지를 모아 캐릭터 이모티콘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고 ‘First step Korean’에서는 학습을 마치면 수료증을 준다. 셋째, 한국문화 콘텐츠의 교수 학습 지원 체제를 구현하는 방식에서 학습자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서 ‘Click Korean’에서는 Role Play 기능을, ‘First step Korean’에서는 한글자모연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모바일 학습 지원으로 ‘누리-세종학당’과 ‘First step Korean’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 ‘바른 한국어’는 모바일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서 SNS로 연계하여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의 사이트에서 학습 상황 점검이 가능하도록 My Page가 있고 학습 완료가 자동으로 체크 표시되어 직관적으로 학습 이력과 진도 상황을 알 수 있게 하였다. 학습 자료는 복습이나 반복학습을 할 수 있도록 MP3나 PDF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었고 ‘Study Korean’과 ‘First step Korean’에서는 부분적으로 동영상 콘텐츠도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였다. 프로젝트 관리 영역에서 자원 관리로 콘텐츠의 업데이트 지속성을 살펴보았는데 ‘누리-세종학당’과 ‘Study Korean’에서는 꾸준히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달체제의 관리로 상호작용의 기능을 제대로 활용하여 관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누리-세종학당’, ‘바른 한국어’, ‘First step Korean’, ‘Study Korean’은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 관리로 학습 및 학습자의 정보를 관리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는데 ‘누리-세종학당’, ‘바른 한국어’, ‘First step Korean’, ‘Study Korean’은 회원 수와 학습자의 방문 수 학습 시간 등의 정보를 관리하여 홍보의 도구로 사용하기도 하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도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분석에 대한 전체적인 요약과 연구 결과를 논의하고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상의 연구는 향후 e-러닝 한국어교육의 한국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교수설계의 기초 연구 자료로 사용될 것을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