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 전략 연구

        이은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Korean reading strategies inventory for people who lear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to explore the usage patterns of reading strategies by Korean learners in a multi-layered manner to propose principles and programs for Korean reading strategy education. The purpose of designing a Korean reading program by identifying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by Korean learners in Korean language reading education is as follows. Reading strategy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reading performance, and there is a need for learner-centered Korean reading education programs. Furthermore, theoretical and practical grounds for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for Korean learners must be established. While discussions on reading strategies have continued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tudies were limited to specific reading strategies and studies proposing reading education methods at hypothetical levels. In addition,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a valid reading strategy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usage patterns of reading strategies by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few have provided basic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different aspects of reading strategies in multiple layers. As such, there was a lack of practical data on reading strategies by learner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reading education, and therefore there were limitations in developing programs. Reading abilit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can improve the learners' linguistic and cultural knowledge, and it can be a powerful source of understanding. In addition, learners' reading skills can be a good measurement for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since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reading transfers to other functions and is used for communication. One useful way to improve the learners' Korean reading skills is to use a reading strategy. Therefore, this study started with the idea that in order to realize more learner-oriented active reading in Korean reading education, the principles and programs for Korean reading strategy education will be needed to support it. To achieve this, a Korean language reading strategy evaluation tool that can measure the usage patterns of reading strategies by Korean language learners was developed. Based on this, different aspect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reading strategies were scrutinized, analyzing their usage by reading process, and subfactors and differences were validated by setting the main learner as the variable. Also,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Korean reading strategies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as verified by reviewing, measuring, and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Korean read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are a major medium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were analyzed to discern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reading strateg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se analyses and discussions, this research proposes principles and programs for reading strategy education to support Korean learners' reading education. This study includes the main contents as follows. Chapter II considers the differences in the nature of reading and the conceptual differences between reading strategies, as well as reading techniques and reading strategies, in a theoretical manner. It also explores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the reading process of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by dividing them into cognitive, definitive,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is study, the theoretical exploration constructs the cognitive factors of reading superiority as influencing factors of reading strategy, the definitive factors of reading are motivation and anxiety. The physical environment of reading and the interaction environment of reading are the environmental factors. Chapter III presents research procedures, subjects, evaluation tools, data collection, and methods used to conduct this study. The study targeted 389 Korean learners in Busan, Seoul, Ulsan, and Daegu, with 94 beginners, 189 intermediate, and 106 advanced learners. Based on the existing evaluation tools and literature related to reading strategies in chapter II, a final Korean reading strategy evaluation tool was developed by verifying the validity through reviews and opinions from Korean education professionals, learner feedback, and questions reviews by Korean instructors. Additionally, an evaluation tool to measure the influencing factors in Korean language reading was created. Chapter IV discusses the practical use of reading strategies by Korean learners with research using the Korean reading strategy evaluation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This can be specifically divided into the usage patterns of reading strategi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and the usage patterns of reading strategies according to different subfactors, which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learner's main variables. In addition,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reading strategies was conducted and discussed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prioriti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the influencing factors of Korean reading strategy were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age of the reading strateg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was validated. It was establish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f th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strategy and influencing factors, and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reading strategy and influencing factors was verified through a bootstrapping analysis. This helped derive the reading strategy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and it was used to create educational principles and programs. Chapter V analyzes the reading section of Korean textbooks and as a continuation of chapter IV, and examines the present status of Korean reading strategy education. This chapter also discusses its limitations as well as the direction forward. Chapter VI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strategy usage for learners of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nd proposes principles and programs for reading strategy education to support the improvement of the reading ability for Korean learners. This study develops a reading strategy evaluation tool for Korean learners that has previously not been implemented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eld, and it provides practical data based on an overall multi-layered analysis of reading strategies through large-scale learner sampling. Based on this, reading strategy education principles and programs were suggested to strengthen the public discourse on Korean language reading strategy, an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improvement of reading skills for Korean learners is expected. 본 연구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읽기 전략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다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읽기 전략 교육의 원리와 프로그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의 실제를 파악하여 읽기 프로그램을 설계하려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읽기 전략의 사용은 읽기 성취와 높은 관련이 있고 둘째,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 중심의 읽기 교육을 지원하는 한국어 읽기 전략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셋째, 이를 위해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에 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근거가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읽기 기능은 학습자의 언어적, 문화적 지식을 향상시키고, 그 자체로 강력한 이해 자료이면서 동시에 수단이 된다. 또한 읽기로부터 얻은 정보는 다른 언어 기능으로 전이되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학습자의 읽기 능력은 곧 한국어 능력의 척도로 여겨진다. 이러한 학습자의 한국어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용한 방법 가운데 하나는 읽기 전략을 활용하는 것이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한국어 읽기 전략에 대한 이론적이고 실제적인 토대를 바탕으로 교육 원리와 교육 프로그램이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읽기 전략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실제적 정보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동안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도 특정 읽기 전략에 대한 교육적 유용성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 방안을 제안하는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전략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전문가 집단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가 기존에 수행된 적이 거의 없으며,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을 다층적이고 세밀하게 탐색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의 특성을 도출하거나,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인과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교수-학습의 원리를 밝히는 거시적인 관점의 연구가 매우 부족했다. 즉,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에 관한 기초적이고 실제적인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에 읽기 전략과 관련된 교육 원리나 체계적인 읽기 전략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이는 한국어 읽기에서 읽기 전략 교수가 필요함을 인정하면서도, 한국어 읽기 교수-학습 현장에서 교수자가 외국인 학습자에게 어떤 전략을 가르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여 학습자에게 읽기 전략 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을 측정할 수 있는 한국어 읽기 전략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양상을 다층적이고 세밀하게 탐색하여 읽기 과정별, 읽기 전략의 하위 요인별로 학습자 변인에 따른 읽기 전략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또한 한국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고, 한국어 읽기 전략 사용과 영향 요인의 인과적 관계를 검증하여 한국어 읽기 전략 사용의 특성과 교육 원리를 도출하였다. 한편, 현재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의 읽기 전략의 비중과 범위를 살펴보기 위하여 한국어 교재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읽기 전략 교육의 한계점을 논의하고 한국어 읽기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분석과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읽기 전략 교육의 원리와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읽기의 본질과 읽기 전략, 읽기 전략과 읽기 기술의 개념적 차이를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본 연구에서 읽기 전략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읽기 전략과 관련된 요인들을 인지적, 정의적,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탐색을 통해 한국어 읽기 전략의 영향 요인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인지적 요인으로 읽기 상위인지, 정의적 요인으로 읽기 동기 및 읽기 불안, 환경적 요인으로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 환경을 선정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절차, 연구 대상, 검사 도구의 제작 및 타당성 검증, 자료 수집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연구 절차는 검사 도구 제작, 예비 검사, 본 검사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부산, 서울, 울산, 대구 지역의 총 389명의 한국어 학습자이며, 이 중 초급 학습자가 94명, 중급 학습자가 189명, 고급 학습자가 106명이고 여성 학습자가 229명, 남성 학습자가 160명이다. 검사 도구는 국내·외 읽기 전략 관련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전문가 집단의 평정과 의견 수렴 및 학습자 의견 수렴을 거쳐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이는 다시 한국어 교사의 문항 검토와 학습자 피드백을 통하여 최종 한국어 읽기 전략 검사 도구를 완성하였다. 이와 더불어 한국어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함께 제작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한국어 읽기 전략 검사 도구를 바탕으로, 대규모 표집의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을 측정하여 이를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이는 구체적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과정에 따른 읽기 전략의 사용 양상, 한국어 읽기 전략의 하위 요인에 따른 읽기 전략의 사용 양상, 초·중·고급 수준별 우선순위 읽기 전략에 관한 논의이다. 이러한 분석과 논의를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한국어 읽기 전략과 한국어 읽기 전략의 영향 요인인 한국어 읽기 동기, 한국어 읽기 불안, 한국어 읽기 환경의 인과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분석과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함께 실시하여 직접적인 영향 관계와 간접적인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 매개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는 Ⅵ장의 한국어 읽기 전략 교수 학습 원리의 기반이 되었다. Ⅴ장에서는 한국어 교재의 읽기 전략을 분석하였다. 읽기 과정별 읽기 전략의 포함 양상, 학습자 수준별 읽기 전략의 제시와 교수-학습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현재 한국어 읽기 교육의 한계점을 밝혔다. 이는 Ⅳ장의 분석 결과와 연계하여 논의하였으며, 앞으로의 한국어 읽기 전략 교수 학습이 나아갈 방향을 제언하였다. Ⅵ장에서는 Ⅳ장 및 Ⅴ장에서 논의한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의 특성을 정리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신장을 지원하는 읽기 전략 교육의 원리와 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읽기 전략의 교육 원리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의 읽기 과정을 고려한 원리, 학습자의 읽기 전략의 하위 요인을 고려한 원리, 학습자의 수준과 그에 따른 우선순위 전략을 고려한 원리, 학습자 변인의 차이를 고려한 원리, 한국어 읽기 전략의 영향 요인을 고려한 원리이다. 이와 같은 교육 원리를 바탕으로 한국어 읽기 전략의 교수 학습 프로그램 모형을 5단계로 제안하였다. 이는 읽기 전략 환경 조성하기 단계, 읽기 전략에 대한 설명과 시범보이기 단계, 상호 협력적 읽기 전략 사용 단계, 독립적 읽기 전략 사용 단계, 정리 단계이다. 본 연구는 그동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수행되지 않았던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읽기 전략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대규모 학습자 표집을 통해 읽기 전략에 대해 다층적이고 총체적인 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실제적인 학습자 정보를 도출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전략 사용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한국어 읽기 전략과 영향 요인과의 관계를 인과적으로 검증하여 한국어 읽기 전략 교수 학습 원리를 제안하고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읽기 전략에 관한 담론을 심화하고, 한국어 학습자의 읽기 능력 신장에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하여 한국어 읽기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 상황학습 기반 은유표현 교육 방법 연구

        박은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황학습 이론 기반의 은유표현 교육 방법 제시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지향하는 목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이 실제 상황에서 한국인들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한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하는 은유표현에 대해 반드시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은유는 특별한 효과를 얻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여겼다. 그러나 은유를 보는 인지언어학의 새로운 관점이 나타났는데 인지언어학자들은 은유란 일상생활에서 별다른 노력 없이 누구나 사용하는 언어 표현으로 보았다. 즉 은유표현은 시적·수사적인 특수한 언어 표현이 아니라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보편적인 언어 표현이다. 이 연구는 광범위한 은유표현 범위 중에서 신체 관련 은유표현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신체는 누구나 가장 흔히 경험할 수 있는 대상이므로 우리가 추상적이거나 설명이 어려운 표현을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신체의 일부를 사용하여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서로 다른 문화권이거나 언어권이라고 하더라도 신체는 누구나 동일하게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신체와 관련된 은유표현은 보편적으로 공유될 수 있다. 그러나 은유표현에는 그 언어권의 사회문화적인 배경과 맥락에 따라 상대적인 요소도 내재되어 있으므로 한국어 학습자가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하는 교육 항목으로 설정되어야 한다. 은유표현 교수·학습의 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상황학습 이론을 적용하고자 한다. 상황학습 이론의 적용은 학습자에게 한국인이 은유표현을 사용하는 실제 상황을 노출시켜 학습에 관심과 흥미를 가지게 하고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단순히 교실 수업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 상황에서 학습자가 실제적으로 사용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상황학습과 은유표현의 앞선 연구들의 고찰을 통해 본 연구의 필요성과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과 그 방법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상황학습 이론을 한국어 은유표현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에서 은유표현 교수·학습의 위상과 목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은유표현의 교육적 기제로서 상황학습 이론의 개념과 원리를 살펴보았다. 이를 종합하여 상황학습을 적용한 은유표현 교수·학습의 유용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대상으로 삼은 신체 관련 은유표현의 교육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매개물인 교재 5종 총 45권에서 신체 관련 은유표현이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교재별 은유표현 목록을 추출하여 빈도별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교사들의 은유표현에 대한 인식과 은유표현 교육의 필요성 및 은유표현 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은유표현 의미 이해 능력과 사용 능력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체 관련 은유표현의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설정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2장에서 설정한 상황학습 기반의 은유표현 교수 원리에 따라 은유표현 교육 모형을 구성하였다. ‘상황 인지하기 – 상황 탐색하기 – 실제적 과제 조직하기 – 정리하기’의 4단계로 구성하고 단계별 연습 유형을 제시하여 실제 수업에서의 활용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상황학습 기반 은유표현 교육의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전체 논의를 정리하여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황학습 기반의 한국어 은유표현 교육 내용과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두고 있으며 이를 더 확장시킨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상황학습 기반의 은유표현 교수·학습 방법을 연구하여 교육적 효용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은유표현 교육 방법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고 한국어 교육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외국인 승무원 대상 한국어 교재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기존 교재분석과 요구조사를 중심으로

        손영복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국어 교육의 발전은 다양한 학습자 집단을 양성하였으며 그 중 항공 산업의 발전으로 국내의 외국인 승무원 집단은 한국어교육의 새로운 대상이자 수요자로 부상하였다. 그러나 점차 증대되고 있는 외국인 승무원에 대한 한국어교육은 실질적으로 한국어교육이 제대로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집단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업무 수행을 위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해 외국인 승무원들이 사용하는 기존 한국어 교재의 분석과 요구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체계를 위하여 직업 목적 한국어의 개념과 교재 구성 원리를 검토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교육의 개념과 업무 분석을 통해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의 특징을 정의하였다. 둘째,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을 마련하기 위한 두 번째 연구로 현재 외국인 승무원들이 사용하는 기존 교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현재 시중에 출간되어 있는 직업 목적의 한국어 교재 두 권을 선정하여 현재 외국인 승무원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재와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외국인 승무원들을 대상으로 면접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면접 및 설문조사의 대상은 K항공사에서 근무 중인 외국인 승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Ver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각 항목을 측정하기 위해 응답 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방법을 실행하였다. 연구 절차에 기초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의 내적 구성 측면으로 의사소통상황, 언어 기능, 영어 번역의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외국인 승무원의 의사소통상황으로는 2장의 업무 분석 과정에서 외국인 승무원들의 한국어 사용 환경이 다른 직업 목적의 한국어와 의사소통 주제와 차별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도출된 주제의 중요도를 조사한 결과 약 20개의 의사소통상황을 선정할 수 있었다. 외국인 승무원들에게 필요한 언어 기능으로는 4가지 언어 기능 중 말하기와 듣기 기능이 읽기와 쓰기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재 단원 내의 영어 번역에 대한 도움 자료로는 단원 구성 전체에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 승무원 교재의 외적 구성의 측면으로는 100페이지 분량의 B5 크기 정도로 휴대가 간편하고 교재 색채의 구성은 컬러와 단색이 적절히 조화된 것으로서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실제 그림이나 자료가 함께 제시된 구성을 요구하였고 교재와 관련된 구성물로는 휴대할 수 있는 단어장과 발음을 포함한 듣기 활동을 할 수 있는 도움 자료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마련하고 교재 개발을 위한 기존 교재의 분석과 외국인 승무원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외국인 승무원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을 마련하였다. 나아가 이를 바탕으로 외국인 승무원을 위한 한국어교육이 더욱 발전해 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 쓰기 영역 개선 방안 연구 : 논설문을 중심으로

        신중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고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의 효율적인 논설문 쓰기 학습을 위해서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사용되고 있는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설문은 고급 단계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쓰기 장르이고 논설문 쓰기 교육을 통해 논리적인 표현 강화, TOPIK 시험 대비, 표현의 고급화와 정확성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회문화적인 맥락과 상황 맥락을 고려하는 논설문 쓰기를 통해 한국어 담화공동체가 요구하는 글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본고는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포괄하여 독자를 설득하는 능력을 길러내는 논설문이 연구의 가치가 높다고 판단하여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선행 연구들을 통해 한국어 교육에서 논설문에 대해 분석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어 쓰기 교육의 흐름에 따라 논설문이 하나의 장르로 학습자들에게 인식되어야 하며 각 쓰기 지도 접근법의 장점을 살려 과정과 장르가 통합된 논설문 쓰기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도출했다. 또한 이러한 관점이 한국어 교재에도 반영되어야 학습자들의 효율적인 논설문 쓰기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관점으로 연구를 수행했다. Ⅱ장에서는 쓰기 지도 접근법과 논설문의 이론을 살폈다. 쓰기 지도 접근법은 결과 중심에서 과정 중심, 과정 중심에서 장르 중심 접근법으로 시대에 따른 변화의 과정이 있었고 이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도 반영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시하고자 하는 과정과 장르 통합 쓰기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하여 교재 개선 방안의 기초 도구로 삼았다. 또한 논설문은 이견이 있는 독자를 설득하기 위해 논거가 뒷받침되는 주장이 제시되고, 이를 위해 논증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논설문의 특징을 반영한 장르 지식의 교수 또한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Ⅲ장에서는 한국의 대학 기관에서 출판하고 실제로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합형 고급 단계 한국어 교재 5종을 분석하였다. 각 교재별로 논설문 장르를 학습할 수 있도록 수록된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을 면밀히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분석한 내용 중에서 교재의 한계점들을 보완하고 Ⅱ장에서 살핀 이론들을 반영하여 실제 단원 구성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고는 분석한 교재들이 소홀히 다루었던 한국어 논설문 쓰기를 오롯이 학습할 수 있도록 교재를 구성하였다. 이어서 과정과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을 동시에 고려하여 학습자들이 글을 써 나가는 과정에서 장르 지식의 습득과 맥락 고려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기존 교재의 취약점이었던 쓰기 전과 후 단계의 학습 내용과 학습 활동을 보완하였으며, 글의 맥락과 장르 지식을 더 풍성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개선을 시도하였다. 그리고 동료 학습자와 교사와의 협력을 통해 처음 논설문을 접하는 학습자들의 불안을 낮추고 진입장벽을 낮추려는 의도를 반영하였다. 교재는 학습자와 교사가 가장 많이 의존해야 하는 제 1의 학습 매체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중요성이 높은 교재에서 제대로 다루지 못한 논설문 쓰기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실제 논설문 쓰기 수업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교재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재와 기존 연구에서 비중이 낮았던 논설문 장르에 대해 고민한 점과 효율적인 논설문 학습을 위해 과정과 장르 중심 쓰기 접근법의 이점을 통합하여 교재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의의이다. 실제 수업을 통한 실효를 검증하지 못 했다는 한계는 후속 과제로 남기고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교재와 쓰기 교육에서 논설문 장르에 대한 중요성이 더 제고되기를 기대한다.

      •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활용한 한국어 기본문형 교육 방안 연구

        임윤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교육에서 기본문형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본문형 교 육 방안을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 과 유창성을 발달시키는 데에 있다.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 문형 교육은 문장의 기본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어의 격 틀을 중심으로 통사적 체계를 반영한 교육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한국어 교육에 서의 문형 교육은 개별 문법 항목으로써 문형을 학습하는 것에 그치며, 의미와 기능을 강조한 유창성 발달에 학습의 중심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학습자는 말하기 능력은 갖출 수 있으나 한국어의 문장 전반을 이해하는 능력을 기르기가 어려 우며 문장 사용의 오류를 양산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한국어 기본문형을 주요 논의의 대상으로 삼고 체계적인 교육 방 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본문형은 한국어의 기본적인 문장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가 장 핵심적인 요소이며 서술어를 중심으로 격 교체 현상을 반영하기 때문에 보다 문장 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교육 되어야하고, 의 사소통능력의 발달까지 연결되어야 한다. 기본문형의 형태·통사적인 특성을 보다 효과 적으로 교육할 수 있고, 학습자의 문법 습득과 의사소통 능력을 동시에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이라 보았고 이를 통해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 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Ⅱ장 이론적 배경에 서 교육 방안의 중심이 된 이론인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과 기본문형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았다. 외국어 교육에서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등장은 유창성 중 심의 의사소통 교수 중심에서 문법적 정확성을 동시에 함양하고자 한데서 기인하였다. 이러한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의 기법을 입력과 출력 중심 그리고 암시적 또는 명시적 기법인지를 기준으로 기본문형 교육 방안에 활용할 기법을 분류하였다. 이렇게 분류한 기법들을 교육 방안을 제언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삼았다. 본 연구는 한국어 기본문형을 통사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본문 형을 설정하였다. 서술어의 품사와 논항구조를 기준으로 삼아 기본문형을 18가지로 설 정하였다. 다음으로 기본문형 교육의 실태를 교재를 통해서 분석하였는데, 한국어의 문 형을 개별항목으로 제시한 경우가 많았고 문법 설명 방식에서는 한국어 문형의 통사 적인 체계에 대한 설명이 깊이 있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문형의 연습 및 과 제 활동이 유창성 중심의 활동 위주로 문형에 대한 다양한 활동이 제공되지 않는 점 을 관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활용하여 기본문형을 교육하기 위한 효과 적인 교수 방안을 설계하였다. 습득 가설에 기반을 둔 교수 모형을 통해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입력 강화를 통해 문형에 대해 학습자들이 암시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 록 하였으며 문형의 명시적인 규칙을 제시하고, 한국어 문장의 통사적인 체계를 드러 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연습과 과제 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기능 전 반을 사용하여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기본문형의 중요성을 지적하고 문법 교육적으로 접근하였다는 데 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기본문형 교육 방안을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통해 다양 한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이를 통해 학습자가 한국어 기본문형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여 문법적 정확성을 높이고, 형태 초점 의사소통 교수법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들이 의사소통 능력의 고른 발달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한국어 기본문형을 효과적으로 교수할 수 있는 교수법 및 교구 개발 등의 연구가 더욱 풍성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연음 교육 방안 연구

        최진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aison error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and suggest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for them. The pronunciation is an indicator of language skills. No matter how much vocabulary and grammar knowledge a learner may have, if the learner mispronouncing it, they may be undervalued in general linguistic skills. Therefore, an education of the pronunciation is required prior to beginning any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liaison is a general and essential rule in Korean pronunciation. An intermediate level Korean learner who has an extensive vocabulary and speaking skills, has many opportunities to access to vocabulary that has phonological processes. Therefore, the education of Korean liaison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learning further phonological process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Korean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learners. In addition, there is no solid research on the effective education method of Korean phonological processes and liaison. The liaison appears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from the liaison of final consonants to the liaison with other phonological processes. The basic rule of Korean liaison is simple, but its rule applies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they are combined with full morpheme, formal morpheme or other phonetic rules. Since liaison does not exist in the Vietnamese language, applying liaison will be the challenge for Vietnamese learn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ducate Korean liaison effectively with Vietnam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In order to improve the pronunciation of liaison for Vietnamese learner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he effect of native tongue interferences and the circumstances and patterns of liaison errors. The liaison education plan should include distinctive and common errors that Vietnamese learners may commit.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for Vietnamese intermediate Korean learners. Ten Korean learners from northern Vietnam who studying at a university located in Korea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 total 56 vocabulary in 28 liaison environment were selected in the survey. A survey analysis on the pronunciation of the Korean liaison of Vietnamese learners was taken by three Korean instituters who specializ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The following problems were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survey. Firstly, due to the native tongue interferences,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liaison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Learners pronounced the vocabulary by each syllable, not liaison it correctly. Secondly, learners felt more difficulty in pronouncing liaison of the double consonants in the final than liaison of the simple consonant. Thirdly, the error in Korean segmental sound leads to the error of the liaison. Lastly, learners were un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liaison and phonological processes so it is quite difficult to apply the right rule. Upon examination of the types of errors in the above, Vietnamese Korean learners have a lack of understanding of liaison and faces native tongue interference. The liaison error could affect the communication and also make difficulty in pronouncing other phonological process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contents of educational method were selected, and presented effective model of instruction by using PPP model. In the actual education, it is difficult to teach pronunciation for whole class time, therefore, the educational method was made for extra curriculum activities and compensatory learning courses. The most frequent type of error of Vietnamese Korean learners made is consonant ‘ㄱ’ in the final, and ‘neutralization’ in the phonological process. The teaching methods are based on those types of error.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Korean liaison and suggested the teaching method for an intermediate level Korean learner. 발음은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고 원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언어 능력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 학습자가 아무리 많은 어휘와 문법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올바르게 발음하지 못한다면 유창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며 전반적인 언어 능력을 낮게 평가받을 수 있다. 따라서 발음 교육은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교육되어야 한다. 한국어의 발음 중에서도 연음은 필수적이고도 보편적인 규칙이다. 한국어 학습자가 연음을 이해하지 못하고 잘못 발음한다면 원래 전하고자 하는 의미와 다른 의미가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어느 정도의 어휘력과 말하기 능력을 갖춘 중급 이상의 학습자는 음운 현상이 포함된 어휘를 접할 기회가 많으므로 연음 규칙에 대한 이해는 더욱 선행되어야 한다. 베트남 학습자의 수는 증가하는 데 비해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음 발음 교육을 심도 있게 다룬 연구가 없다. 연음은 단순한 받침의 연음부터 다른 음운 현상과 함께 나타나는 것까지 다양한 환경에서 나타난다. 연음 규칙은 간단하지만, 실질 형태소나 형식 형태소와의 결합이냐에 따라, 혹은 음운 규칙의 적용에 따라 다르게 실현되기 때문에 헷갈리기 쉽다. 고립어인 베트남어에는 연음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어를 학습하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에게 연음을 적용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를 학습하는 중급 수준의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연음을 효과적으로 교육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어 학습자의 연음 발음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모국어 간섭의 영향과 학습자의 발음 오류가 많이 나타나는 환경과 그 오류 양상을 파악해야 한다. 베트남인 학습자의 경우 한국인 화자와 달리 연음에 대한 직관이 없기 때문에 연음 규칙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교육해야 한다. 그리고 연음 규칙에 대한 기초적인 설명을 넘어서서 베트남인 학습자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오류를 파악하여 이에 근거하여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학습자의 음소별 연음 오류율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고 오류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베트남인 학습자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인 한국어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연음 발음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북부 베트남어를 사용하는 한국어 학습자 10명이며 한국에 있는 대학교에서 학습하고 있는 20대의 학생이다. 조사에 사용된 연음 어휘는 받침이 연음되는 경우와 연음과 혼동하기 쉬운 음운 현상을 포함하고 있으며 총 28개의 연음 환경에 해당한다. 환경별로 각 두 개의 어휘가 22개의 문장에 포함되었고 조사 대상자가 두 번씩 낭독하고 이를 녹음하였다. 조사 분석은 발음 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 두 명과 연구자가 듣고 전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모국어 간섭으로 인해 연음 규칙의 이해가 부족하고 끊어 읽는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둘째, 홑받침과 쌍받침의 연음보다 겹받침의 연음에 대한 규칙의 이해가 부족하다. 셋째, 분절음 발음의 오류가 연음의 오류로까지 이어진다. 넷째, 학습자들은 음운 현상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연음과 음운 현상을 구별하지 못하여 올바른 규칙을 적용하는 데 상당한 어려움을 느낀다. 이상에서 서술한 오류 유형을 살펴본 결과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모국어 간섭과 규칙 인식 부족이 연음 오류를 나타내는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연음 오류는 발화의 의미 전달에 영향을 미치고 다른 음운 현상을 실현하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교육 방안에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연음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 PPP 모형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발음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실제 한국어 교육 과정상 정규 수업의 일부에서 발음 교육만을 위한 시간을 할애할 수 없기 때문에 특별활동 및 보충 학습의 일부로 교수·학습될 수 있도록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수업 모형은 학습자의 오류가 가장 많이 나타난 받침 ‘ㄱ’과 음운 현상 중 연음과 관련이 있는 ‘중화’에 대한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고 그에 대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으나 연음 교육은 초급 단계부터 체계적으로 교수·학습되어야 할 것이다.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발음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한국어 교육의 초기부터 발음 교육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어휘 학습 전략 기반 한국어 관용어 교육 방안 연구

        서영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들이 관용어를 학습할 때 효과적인 어휘 학습 전략을 밝히고, 어휘 학습 전략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한국어 관용어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있다. 이에 따라 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통합 교재들이 관용어 교육 내용으로 적절한 어휘 학습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또한 관용어 교육과 어휘 학습 전략의 상관 관계에 대해 밝히고자 한 연구들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관용어 학습에 긍정적인 어휘 학습 전략의 목록을 제시하고 이를 교재 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 대부분의 한국어 통합 교재에서 학습자들이 관용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어휘 학습 전략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활동들을 포함하고 있지 않았으며, 이에 따라 관용어 학습이 그 중요성에 비해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의미 발견 전략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한국어 통합 교재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관용어마다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는 학습 전략을 판단하여 적용할 수 있을 뿐, 특정 학습 전략을 명시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길잡이 질문이나 연습 활동을 제시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기억 강화 전략의 경우 어휘를 포함하여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보는 전략 어휘가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필수적인 연습 활동으로서 모든 교재들이 해당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하고 있는 점에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그러나 비슷한 표현이나 반대되는 표현과 함께 공부하는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은 분석 대상 교재에서 모두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관용어는 그 특성상 어휘의 확장성이 뛰어나고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기 때문에, 이러한 관용어를 학습할 때 해당 전략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활동을 포함하여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교사는 학습자들이 관용어에 따라 적절한 의미 발견 전략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체적인 길잡이 질문이나 연습 활동들을 제시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본고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교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어휘 학습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한국어 신체 관용어의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휘 학습 단계에 따른 어휘 학습 전략을 정리하고 어휘 학습 단계를 P-P-P 모형에 대응하여 수업안을 고안하였다. 본 연구는 어휘 학습 전략의 연구 분야에서 학습자의 특성이 아닌 특정 어휘 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어휘 학습 전략을 관용어 교육에 적용하고자 하였다는 점, 구체적인 단계별 활동을 포함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고안한 수업안을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본 연구가 제시한 교육 방안의 실효성을 검증하지 못하였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이다. 다양한 어휘 유형에 대해서 어휘 학습 전략을 활용한 교육 방안 연구는 후속 연구로 남겨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effectiv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when Korean learners learn idioms, and to prepare a method for teaching Korean idioms using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ly, we analyzed whether the integrated textbooks currently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e activities that can utilize appropriat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s idiom education contents.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tudie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idiom education and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a list of positiv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for idiom learning was presented and compared with the textbook analysis. As a result of Korean textbook analysis, most Korean textbooks did not include activities that enable learners to use a variety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learning idioms. Turned out to be. In the meaning-finding strategy, most Korean integrated textbooks can learn and apply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appropriate for each idiom, and suggest guided questions or practice activities to explicitly use specific learning strategies. In case of memory reinforcement strategy, a strategy to make a new sentence including vocabulary is an essential exercise activity to accurately know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vocabulary is used. Was done. However, not all activities in the text that are analyzed can be used to study strategies with similar or opposite expressions. Because idioms have excellent vocabulary and are us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context, they intended to provide educational plans including activities that can fully utilize the strategies when learning these idioms. The teacher also attempted to develop a teaching plan focused on presenting specific guidance questions and practice activities that enable learners to use appropriate semantic strategies based on idio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textbook analysis, a specific educational plan of Korean physical idioms was proposed to apply appropriate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his study devised a vocabulary learn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vocabulary learning stage and devised a lesson plan for the vocabulary learning stage corresponding to the P-P-P mode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apply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to idioms education, focusing on vocabulary types in the field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and suggests educational methods including specific step-by-step activities. Howeve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method suggested by this study could not be verified by applying the designed class to the actual class. The use of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for various vocabulary types is left as a follow-up study.

      • 독일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김기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A Study on Teaching Korean Taste Adjectives for German Speaking Learners Kim, Gib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aste is one of the human five senses. And taste word is the expression of feelings of taste words and any kind of language contains more or lees a certain amount of words, which express the senses of taste. Because of the same feeling, so different nations haver the same taste and taste words, an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so that different ethnic and cultural meaning of the word given to tast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f what 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exact comprehension and use of the basic and extension meaning between Korean and German vocabularies {sweet}, {sour}, {salty}, {bitter}, {spicy} and {astringency}, and also know about how would it be used in daily life. Then help German Speaking learne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This thesis consists of 5 chapters. Chapter 1 described the purpose and need of the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aste adjectives and sensory adjectives, and discussed the contents and methods covered in this study. Chapter 2 present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taste adjectives using the concepts and semantic change of taste adjectives. The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importance of cultural factors i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aste adjectives between Korean and German. In this chapter, the seman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ste adjectives of Korean and German were compared. Also compared the factors of semantic extension appearing in taste adjectives of Korean and German. In Chapter 4, the Korean taste adjectives for educational purpose were selected using the pattern of semantic change for German speaking leaners based on the comparison made in Chapter 3.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education for Korean using the taste adjectives were presente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semantic change appearing in Korean and German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meaning of Korean taste adjective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a significant way, as the present study, in particular,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in semantic change of Korean taste adjectives and presente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meaning of Korean taste adjectives by extending its scope to the comparative study with German,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 in terms of culture and language. Eine Studie zum Lehren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für deutschsprachige Lernende Kim, Gib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Zusammenfassung Der Geschmack ist einer der fünf menschlichen Sinne. Und Geschmackswort ist Ausdruck von Gefühlswünschen, und jede Art von Sprache enthält mehr oder eine bestimmte Menge an Wörtern, die die Geschmackssinne ausdrücken. Aufgrund des gleichen Gefühls haben so unterschiedliche Nationen dieselben Geschmacks- und Geschmackswörter und wegen kultureller Unterschiede, so dass unterschiedliche ethnische und kulturelle Bedeutung des Wortes anders geschmeckt werden. Der Zweck dieser Arbeit ist es, zu untersuchen, welche Unterschiede und Gemeinsamkeiten im genauen Verständnis und in der Verwendung der Grund- und Erweiterungsbedeutung zwischen koreanischen und deutschen Vokabeln(süß, sauer, salzig, bitter, scharf und herb) bestehen und wissen auch, wie sie im täglichen Leben eingesetzt werden würde. Dann helfen Sie den deutschsprachigen Lernenden durch die vergleichende Analyse. Aufbau und Inhalt von dieser Arbeit sind wie folgt. Diese Arbeit besteht aus 5 Kapiteln. Kapitel 1 beschrieb den Zweck und die Notwendigkeit der Studie, stellte die Richtung der Studie dar, indem sie frühere Studien zu Geschmacks- und sensorischen Adjektiven durchging und die in dieser Studie behandelten Inhalte und Methoden erörterte. Kapitel 2 präsentierte die pädagogischen Implikationen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anhand der Konzepte und semantischen Geschmacksadjektiven. Die Implikationen wurden durch die Bedeutung kultureller Faktoren für den Sprachunterricht gezogen. In Kapitel 3 wurden die Merkmale der Geschmacksadjektive zwischen Koreanisch und Deutsch verglichen. In diesem Kapitel wurden die semantischen und morphologischen Merkmale der Geschmacksadjektive von Koreanisch und Deutsch verglichen. Verglichen wurden auch die Faktoren der semantischen Erweiterung, die in Geschmacksadjektiven von Koreanisch und Deutsch vorkommen. In Kapitel 4 befanden sich die koreanischen Geschmacksadjektive zu Bildungszwecken ausgewählt nach dem Muster des semantischen Wandels für deutschsprachige Leaner auf der Grundlage des in Kapitel 3 durchgeführten Vergleichs. Darüber hinaus wurden die Komponenten der koreanischen Schulung anhand der Geschmacksadjektive vorgestellt. Die vorliegende Studie konzentrierte sich auf die Unterschiede im Muster des semantischen Wandels in Koreanisch und Deutsch, um die Bedeutung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zu vermitteln. Diese Studie unterscheidet sich in bedeutender Weise von früheren Studien, da insbesondere die vorliegende Studie die Merkmale des Musters beim semantischen Wandel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zusammenfasste und die Lehrmethoden für die Bedeutung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präsentierte vergleichende Studie mit Deutsch, die sich in Kultur und Sprache deutlich von Korea unterscheidet. 독일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김기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요약 본 논문의 목표는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인 ‘달다, 짜다, 시다, 쓰다, 맵다, 떫다’의 기본 의미를 비교⦁대조하고 더 나아가 비유적 의미를 비교⦁분석하여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비유적 의미의 한국어 미각형용사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미각형용사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미각형용사의 개념 과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또한 미각형용사의 특징을 기술하기 전에 한국어와 독일어의 형용사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 형용사 중에서도 미각형용사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를 대조하였다. 한국어 미각형용사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형태적 측면을 먼저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독일어는 기본적으로 그 뿌리가 서로 다른 만큼 독일어 형용사는 한국어 형용사가 가지고 있는 형태적인 특성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전제에서 그 특성을 살펴본 다음 두 언어의 미각형용사의 형태적으로 비교⦁대조 하였다. 한국어 미각형용사 ‘달다, 시다, 짜다, 쓰다, 맵다, 떫다’에 대응되는 독일어 미각형용사를 제시하였으며, 의미적으로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기본 의미를 제시하고 대조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본 의미에 그치지 않고 비유적 의미 즉, 의미가 전이 되어 공감각적 전이를 표와 예문으로 제시하였다. 앞서 제시한 형태적, 의미적, 그 안에서의 기본 의미와 비유적 의미를 토대로 형태 및 의미를 대조 분석하여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알아본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의 특징들을 가지고 독일어에는 없는 한국어 미각형용사의 비유적 의미 즉, 의미 전이가 된 2차적 의미를 가지는 한국어 미각형용사를 교육용 미각형용사 목록을 먼저 제시했다. 그 후 이 교육용 미각형용사 목록에 있는 미각형용사를 어떻게 교육 할 것인가에 대해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거기에 따른 기본 의미 교육 방안과 비유적 의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과 일본인 학습자들에 비해 독일어권 학습자들은 많지는 않지만 확실히 다른 문화권이기 때문에 다른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를 올바르게 알아보고 어떠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결하게 제시하여 독일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서 어떠한 미각형용사를 어려워하며 독일어권 학습자의 모국어에 없는 미각형용사의 비유적 의미를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 한국어 교육에서 전래 동요 활용 방안 연구

        윤주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한국어 교육에서 전래 동요 활용 방안 연구 윤주은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을 학습하고자 하는 외국인들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한국 전래 동요가 갖고 있는 언어적, 문학적, 문화적 특성을 이용하여 반응 중심 교수 학습 방법과 대화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의 목적이 다양화 되어 단순한 의사소통에만 만족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문형과 문법 중심의 교육 내용에서 문학 교육의 도입이 요청되고 있다. 한국문학의 각 장르 별 작품 내용을 중심으로 교수 학습 방법을 개발하여 교육 시 적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어 전래 동요에 관한 교수 학습 방법 활용 연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금까지 한국어 교육의 전래 동요 활용에 관한 연구에서 문학적 측면의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래 동요 내용에 관한 기존 연구 결과를 정리하고, 한국어 교육에서 한국 전래 동요를 활용하는 반응, 대화 중심 교수 학습 방법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한국 전래동요의 개념과 연구사, 기능과 분류에 관한 논의를 하였다. 전래 동요의 개념은 첫째 아동의 민요이다. 둘째는 성인이 자식에 대한 사랑을 표현하기 위해 부르는 노래이다. 셋째 성인들이 정치적인 의도에서 아동들에게 가르쳐 주는 동요가 있다. 한국 전래 동요의 그동안 연구는 민요의 연구에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국 민요 연구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점은 1930년대부터 이다. 한국 전래 동요 연구의 특징은 한국 민요 연구와 함께한다는 것이다. 민요 중에 전래 동요가 포함되어 있다는 전제 아래 전래 동요에 관한 학술적 접근이 이루어져 왔다. 민요와 전래 동요의 구분이 분명하지 않아 한국 전래 동요의 갈래에 관한 분명한 이론은 아직 정립하지 못하고 있다. 한국 전래 동요의 기능적인 측면도 민요의 기능, 창곡, 가사 중 기능적인 측면을 원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까지 전래 동요를 분류한 방식을 정리하여 표로 제시하였다. 전래 동요를 기능요와 비기능요로 구분하고, 기능요에는 놀이, 말놀이, 일 동요 등으로 분류하였고, 비기능요로는 자연 현상, 동물, 식물 동요 등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한국 전래동요의 운율, 구성 방식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외형적 측면에서 전래 동요의 표현 형식면은 의인법의 구사와 의성어, 의태어의 활용, 반복법, 문답법, 대구법의 구성 형식을 이루고 있다. 전래 동요의 운율은 음수율 측면에서 기본형이 4·4조 이지만 4·3조, 3·3조, 3·4조 등이 사용되었다. 음보율 측면에서 전래 동요는 2음보격이 중심 율격 형식이라 할 수 있다. 한국 전래 동요와 외국의 전래 동요를 비교하는 연구 작업은 5개국 전래동요를 비교한 연구 결과가 주목 받고 있다. 이외에는 일본 전래 동요가 한국 전래 동요로 둔갑하여 한국 아동들에게 공급되고 있는 사실을 중점적으로 연구한 성과물도 있다. 한국과 외국의 전래 동요를 주제면에서 비교하면 한국 전래동요는 동물이나 식물, 인간관계를 소재로 하였고, 인간관계를 나타낸 동요에서는 효심과 형제애를 강조한 작품이 많았으나, 외국 전래 동요는 사물을 묘사한 사물 동요가 많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한국어교육에서 문학교육의 필요성과 문학 교육 방안 제시에 대하여도 논의하였다. 한국어 교육에서 문학교육에 관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시, 소설, 전래 동화 등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전래 동요를 활용하는 연구가 미흡함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한국 전래 동요가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교수 자료로서의 가치는, 첫째, 전래 동요는 전통 문화를 함유하고, 계승하며,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가치를 계승한다. 그러므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한국 문화를 학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전래 동요는 정선된 구성과 표현, 반복을 바탕으로 한 리듬과 운율을 통해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글의 특성 및 한글 운문의 심미적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셋째, 전래 동요는 놀이와 노래가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한국의 놀이와 노래 문화를 경험하는 과정에서 한국 전통 문화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어 교육에서 전래 동요를 활용할 때 정전으로 활용할 전래 동요 작품을 초등학교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제시하고, 한국 전래 동요를 활용할 교수 학습 방안으로 로젠블래트의 반응 중심 교수 학습 방법과 대화 중심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는 각 교수 학습 방법에서 학습자 수준에 따라 초급, 중급, 고급으로 구분해 각 교수 학습 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주제어 : 교수학습방법, 독자반응접근, 문학교육, 전래동요, 한국어교육

      • 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요구분석 연구 :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유영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고는 국내 거주 이민자를 평생교육 관점의 한국어교육이 필요한 학습자로 보고 이들이 가진 한국어 학습 요구를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통해 국내 거주 이민자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평생교육의 관점에서 설계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를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국내 거주 이민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결혼이민자 대상 연구가 증가하고 사회통합프로그램의 교육과정과 교재도 개편되었다. 그러나 초기 적응을 마친 중급 이상의 이민자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민자들은 전 생애에 걸쳐 한국어 학습을 지속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에서 다른 목적의 학습자들과는 학습 요구가 다르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민자들이 가진 요구를 평생교육적 관점에서 살펴 보았다. 기존의 한국어 교육내용과 평생교육의 6대 영역을 종합하여 이민자의 한국 생활에 필요한 40개의 한국어 교육내용과 24개 수업목록을 작성하여 학습자 대상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이민자의 기본 배경과 현재 필요한 교육영역, 한국 거주 기간별로 필요한 교육내용, 앞으로 듣고 싶은 수업 내용, 원하는 수업의 시수와 형태를 살피는 내용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이민자 교수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학습자의 요구와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이민자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한국어로 배우고 싶은 내용을 다루는 교육과정을 이민자의 한국 거주 기간에 따라 장기적으로 설계하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 관점의 한국어교육 요구를 가진 이민자를 별도의 학습자 집단으로 보고 이들의 한국어 학습 요구를 폭넓은 내용에서 통시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를 통해 이민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한국어 교육과정이 다양하게 마련되고 학습자의 삶을 발전시키는 한국어교육으로 나아가는 데에 일조하기를 희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