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가족의 구조변화와 대응방안

        이영주 한영신학대학교 기독상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전통적인 한국의 가족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가족의 특성과 변화요인을 분석함으로써 다양한 가족구조의 형태를 파악하며 현실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한국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한국가족구조의 변화 형태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한국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해 발생한 문제에 대한 대응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문헌적인 조사연구방법’을 중심으로 국내ㆍ외의 많은 학자들이나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및 관련연구소, 민간단체의 여러 가지 자료들을 활용했다. 변화하고 있는 가족구조에 대한 원인파악과 현황 및 사회변화에 관한 통계는 보건복지부, 통계청, 여성가족부, 한국청소년연구원 등의 통계자료와 각종 학술지, 인터넷 자료, 신문 등을 활용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가족구조를 변화시키는 요인으로는 사회적요인, 가치관적 요인, 인구학적 요인, 개인적 요인 및 가족요인을 들 수 있다. 둘째, 한국가족구조의 변화는 크게 세 가지로 나타난다. 가족규모의 축소, 가족세대의 단순화, 비정형적인 가족형태의 출현으로 인한 구조적 변화를 들 수 있다. 셋째, 가족구조의 변화와 그에 따른 문제점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상담학적접근, 사회복지적 접근, 가족정책적 접근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제는 가족의 기능이나 구조뿐만 아니라 가족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가치와 태도, 신념도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유형의 증가는 이들 가족의 적응문제로 이어지기도 하므로 다양한 가족을 포괄하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미래적인 예측과 해결방안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했다.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 variables of the Korean family system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family system,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varied forms of family and to come up with practical countermeasures to deal with problems arising out of the family system. The concrete subjects are as follows: Subject 1: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the changes in the Korean family system? Subject 2: What are the forms of the family system changes? Subject 3: What are some possible measures to address the issues that arise out of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This study used the approach of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ook advantage of various materials and data that come from scholars domestic and abroad,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es and civic organizations. The causes of familial changes and the statistics about social changes stem from the statistical data of Health and Welfare Ministry, Statistical Office, Female and Family Ministry and Korean Adolescent Institute, and from journals, the Internet and newspapers. Research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societal factors, value-related factors, demographic factors, individual factors and familial factors were found to have caused familial changes in Korea. Second, there were three kinds of familial forms: reduction of family size, simplification of households and emergence of abnormal family forms. Third, in response to those changes, counselling approach and social welfare approach were suggested to counter the changes in the family system. Now, the changing trend comprises not only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amily system but also the values, attitude and belief people have regarding the family. In addition, the increase of the forms of the family system leads to the problems of adaptation to the new forms. In this connection, it is suggested that some posi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order that we may find some ways to comprehensively cope with the various forms of the family structure and to have a futuristic perspective with a view to solving the problems.

      • 한국 가족관계 속에서 효 분석 : 보웬의 이론을 중심으로

        전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금까지 한국 가족의 가족구조와 그 가족구조의 기본이 되는 효 사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보웬의 자아분화 이론을 가지고 한국 가족이 가지고 있는 가족관계의 문제점을 파악해보고 대안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였다. 앞에서 언급한 것처럼 한국의 가족구조는 유교문화를 기본이념으로 하는 전통적인 가족형태이다. 전통적인 가족의 특징은 첫 번째, 모든 것이 가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가장을 중심으로 가족의 일치와 단결을 중시하고 조상을 숭배하며 같은 조상 아래 맺어진 혈연관계를 중요시 한다. 두 번째, 전통적인 가족은 남성중심으로 모든 것이 이루어진다. 집안의 일이나 상속에 있어서도 항상 남성이 먼저이고 중심이며 여자들은 그 남자들에게 아내로, 딸로, 며느리로 예속되어 있다. 세 번째, 집 중심의 가족구조이다. 집이라는 것은 단순히 건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한 개인과 가족전체의 집단의식과 관계를 의미한다. 이 집은 가족 구성원들의 정신적, 심리적, 정서적, 문화적 차원의 집단의식을 반영하는 단어이다. 집안에서는 상하 대인관계, 지배와 복종이란 주종관계, 부자라는 혈연관계를 기초로 하는 윤리관과 가치체계를 강조한다. 이러한 한국의 가족관계를 지탱시켜 가는 것이 바로 효 사상이다. 이 효는 한국 가족 관계를 유지하고 지탱하는데 굉장히 긍정적인 역할을 해왔다. 효는 자녀가 부모를 섬기고, 부모가 자녀를 사랑하고, 형제끼리 우애를 지키는 것을 강조하면서 가족 구성원간의 유대를 끈끈히 하고 돈독히 하여왔다. 현재까지도 이 전통적인 효 사상은 많은 가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그러나 또한 전통적인 효 사상이 자식들에게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방향으로 흘러가면서 적지 않은 수의 가정에서 가정의 행복을 파괴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 또한 사실이다. 어느 한쪽이 일방적으로 희생해야하는 부정적인 효 사상 하에서는 고부간의 갈등, 부부간의 갈등, 부모와 자녀간의 갈등은 필연적으로 생겨날 수밖에 없는 것이다. 효의 정신이 아무리 좋고 그 효를 실천하면 가족의 유대가 강화되고 행복해진다고 하더라도 한쪽이 일방적으로 희생해서 이루어지는 관계는 바람직한 관계라고 할 수 없다. 보웬의 이론으로 본다면 이런 효는 ‘미분화된 효’이기 때문에 그 효는 항상 문제를 안고 있다. 현재 한국 가족이 안고 있는 문제들 중의 많은 부분이 바로 이 효가 분화되지 못한 형태를 띠고 있기 때문에 생겨나는 것들이다. 이런 가족문화와 체계 하에서 자란 두 사람이 만나 결혼을 하면서 필연적으로 겪게 되는 갈등이 있다. 결혼한 부부는 결혼을 한 순간부터 원가족으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가족의 모습을 형성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결혼한 배우자들은 결혼하기 전에 각자 그들 부모와의 애착관계로부터 결혼한 이후에는 배우자와의 애착관계로 정서적 애착순위를 바꾸어야 한다. 이러한 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많은 부부들에게 다양한 문제가 생겨난다. 이러한 문제의 형태는 확대가족 삼각관계의 구조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관계상 누가 일순위에 위치하는가? 누가 누구의 말을 듣는가? 에 따라서 시부모와 며느리, 장인장모와 사위간의 중대한 갈등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갈등의 대부분은 각자의 부모와의 미해결된 갈등이 배우자에게 대치되어 나타난 것들이다. 흔히 볼 수 있는 예로 아들들이 결혼하면서 자연스럽게 어머니를 아내에게로 양도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부부 두 사람 모두가 원가족의 부모가 갈등적이고 과도하게 통제적이었을 때, 부모로부터 극적인 거리두기를 하여 결혼을 부모로부터의 도피처와 보호막으로 삼으려 한 경우에 나타난다. 특별히 부부갈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양가 식구들과의 인척간 삼각관계 유형에는 세 가지 하위유형이 있는데 (1) 결혼선물 삼각관계, (2) 충성심의 우선순위 삼각관계, (3) 지배적인 장인-시부와 관련된 삼각관계들이다. 보웬의 자아분화이론의 관점으로 봤을 때 이런 문제들은 각 가족 구성원들의 자아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에서 발생한다고 본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원 가족간에 얽혀 있는 문제 현상만 보고 그 속에서 원인과 결과를 찾아서 치료하기보다는 결혼한 부부의 자아분화 수준을 높여줌으로써 이들이 겪고 있는 갈등을 해결해야 한다. 이것은 효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다. 한국 가족구조 속에서 효가 건강성을 유지하면서 가족관계에 좋은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보웬이 말하는 자아분화 이론을 한국의 전통적인 효의 개념에 잘 적용시켜서 한국의 전통적인 효의 장점도 살려내고 각 개인이 부모로부터 잘 분화할 수 있는 장점도 살려내는 ‘분화된 효’의 개념을 잘 살려내야 할 것이다. 가족의 문제는 오늘날 더 심각하고 복잡해져서 그로 인해 상처를 입는 가족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 하에서 현대의 교회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이제 교회에서도 각 가족의 문제를 그 가족만의 문제로 인식하지 말고 가족문제를 교회 전체의 하나의 확대 가족의 문제로 인식을 하여서 적절한 목회적 돌봄을 해야할 것이다.

      • 한·중 대학생의 가족가치관에 대한 비교 연구

        저윤평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과 중국은 비교 문화적으로 유사한 부분이 많아 예전부터 한·중 비교문화적인 측면에서의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이는 그만큼 한·중 양국이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뜻이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가족주의 가치관을 중심으로 청소년이나 세대별, 혹은 결혼이나 자녀양육 그리고 노부모부양 등의 측면으로 국내에서만 이루어져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가정을 형성할 대학생들의 가정에 대한 능동적인 설계의식 및 가치관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중 대학생들의 가족가치관을 이해하기 위해 양국 가족에 대한 사회적, 문화적인 가치관의 변화를 고찰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학생들의 결혼가치관, 자녀가치관, 부모부양가치관, 양성평등가치관 그리고 가족주의가치관의 차이점들을 비교하고,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양국 대학생들의 가치관의 차이를 연구문제로 삼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서울과 중국 북경에 있는 수도권 소재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400명(한국N=200, 중국N=200)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용한 조사척도는 김혜환(2008), 조은수(2007), 송근자(2004)의 자녀관, 결혼관, 양성평등가치관, 노부모부양가치관, 그리고 가족주의가치관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test, ANOVA분석 그리고 Scheffe 사후검증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대학생의 가족가치관은 차이가 있다. 특히, 자녀가치관과 양성평등가치관 그리고 가족주의가치관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결혼가치관과 부모부양가치관이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경우, 자녀가치관이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자녀가치관의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대생보다 남대생이 자녀의 필요성이나 자녀양육에 대해서 더 높은 가치관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양성평등가치관에 있어서는 여대생이 남대생의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가족주의가치관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둘째, 중국의 경우, 부모부양가치관과 양성평등가치관이 차이가 있다. 모두 보통수준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대생이 남대생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결혼가치관, 자녀가치관 그리고 가족주의가치관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연령과 부모님의 교육정도를 제외한 나머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한 중 대학생의 가족가치관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한국과 중국의 가족가치관의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더 바람직한 가족가치관의 형성과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한국의 경우 대학생뿐만 아니라 어렸을 때부터 가족가치관에 대한 교육과정의 개설이 더 보완할 필요가 있다. 가족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있는 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중국의 경우 정부로부터 가족에 대한 전문적인 지원정책이나 가족을 더 이해하고 한국처럼 전문적인 지원센터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촉진시켜야 한다. 더 나아가 문화교류의 층면에서 더 건강한 가족을 만들기 위해서 한국과 중국은 가족연구 활동을 더 활성화를 시켜야 한다.

      • 한국 가족문화 교육방법 연구 : 중국인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수지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After the 21st century, the glob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have been proceeding more quickly. As the global positioning of Korea is also raised, there is growing influx of foreigner. Finally, the name of single-race nation does no longer fit for Korea. Among the foreigner coming to Korea for various reasons, for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learning about Korean family culture is firstly required. Since they need further adaptation for Korean family culture as well as common adaptation for general immigrant. Especially, the number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is the largest in Korea. Moreover, there are many similarities between Korea and China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due to the geological proximity hence, the culture education is of great value for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ho got the culture not only similar to Korea but also different. Consequently, this study research and suggest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 of Korean family cultur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crease cultural competence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nd finally make them adapt to Korea well and realize their happy life. To achieve the aims of this study, in chapter 2, we are going to look into the book『The Korean with marriage immigrant women』and see how it shows the family culture. Then, based on the result of book analysis, we are going to find out how much marriage immigrant women understand Korea family culture by in-depth interview. In chapter 3, based on the result of book analysis and in-depth interview in chapter 2, we are going to present the contents of family culture education. Examining this family culture of Korea and China separately is followed by defining something in common and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China. We are going to design culture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Korean family culture(defined in chapter 3)effectively and propose the reality of the education in chapter 4. In chapter 5, we are going to identify the limitations b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hink about the further study.

      • Satir 의사소통이론의 한국가족치료에의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신혜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87

        현대 사회는 급속한 산업화 및 경제성장과 과학적인 지식, 정보의 급증 등과 같은 현상으로 인해 사회 구조 전체에 크나큰 변화가 생겼다. 이와 같이 급변하는 현대사회는 가정으로 하여금 많은 어려움과 문제를 갖도록 하여 전통적인 가정이 무너지고 위기에 직면한 가정들이 늘어나기 시작했다. 가족의 형태도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변화되어 가족의 크기, 역할분담, 가족의 기능 등의 변화와 함께 여러 가지 가족문제들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해 가족관계는 해체의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러한 가족 해체의 요소로는 비행청소년 문제, 아동문제, 노인문제, 부부간의 갈등, 이혼, 부모 자녀간의 갈등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가족문제를 가져오는 주된 요인 중 상당 부분이 가족구성원간의 의사소통에 있다. 가족구성원들이 서로 어떠한 의사소통을 하느냐에 따라서 가족관계가 약화될 수도 있고, 강화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직장인들의 가족의사소통의 실태와 척도를 조사함으로써 많은 직장인들이 가정에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가지 가족문제들을 제거하고 가족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해결책으로 본 연구자는 의사소통을 통한 가족 상호작용에 관심을 두고 가족을 치료하는 Satir의 의사소통이론을 제시하였다. Satir는 가족 상호간 의사소통을 방해하는 역기능적 의사소통유형을 회유형, 비난형, 초이성형, 혼란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이 4가지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유형은 우리가 생존 위협을 느낄 때 사용하는 생존 유형이다. 이런 역기능적인 의사소통을 순기능적인 의사소통으로 바꿀 때 가족치료가 이뤄지고 가족관계가 강화될 수 있으며, 가족의사소통 유형을 순기능적 의사소통 유형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성숙과 자존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Satir의 의사소통이론은 핵가족의 가족구조와 개인지향적인 측면들을 바탕으로, 솔직한 감정과 의견을 표현하는 것에 가치를 둔 서양문화를 배경으로 하여 발전하였다. 반면 한국의 가족은 직계가족이며 가부장제 가족으로, 현재는 표면상으로 많은 가족들이 핵가족의 형태 속에서 살고 있지만 일상생활과 관, 혼, 상, 제 시의 부모, 형제, 친척과의 관계를 볼 때 한국인은 아직도 실제적 확대가족의 의식구조 속에서 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의사소통이론은 한국의 가치관, 정서, 가족문화에서 상충되는 부분들도 있지만, 가족구성원 전체를 하나의 체계로 보고 가족을 중시하여 가족을 돕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하는 관점은 한국의 가족치료 관점에서도 일치하는 것으로써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Satir의 접근은 올바른 의사소통을 통한 문제의 해결과 예방을 동시에 가르치기 때문에 특히 예방차원에서 앞으로 보다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사회 내의 사회기관들은 이러한 지식과 기술들을 주민들을 위하여 활용하는 봉사의 장을 만들어서 일상생활 속의 가족생활교육과 훈련으로 연결시켜 나아가야 할 것이다.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surg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data and other phenomena have caused great changes to the overall social structure of modern society. Such rapid social changes in modern society have given rise to a number of difficulties and problems within the families. This has caused the breakdown of traditional families and has brought about an increase of families in crises. The extended family structure has changed to a nuclear family. Along with these changes, the family size, the role of its members and function of the family, and various problems have arisen within the family. Due to these problems, family relationships are faced with the crisis of disorganization. Some of the factors for family disorganization include juvenile delinquency, problems related to children and the elderly, conflict within couples, divorce, and conflict between the parent and child. Among the major factors that cause such family problems,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plays a pivotalrole. Family relations can be weakened or strengthened depending on how member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the survey conducted on office workers, we examined the realityand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ies of these workers. In this survey we found out that many of them have experienced difficulties with communications within their families. As a solution for eliminating the many family problems that arise from communication difficulties, and to strengthen family relations, I took interest in the interaction of families through communication and presented Satir's communication theory as a way for treating the family. Satir classified the dysfunctional types of communications that obstruct communication within the family into four categories: placate, blame, super-reasonable, and confusion. These four dysfunctional types of communication are used when we feel threatened by our survival. When such dysfunctional communication skills are changed to a functional type, family therapy can occur thus, strengthening family relations. In order to make this conversion, it is vital to enhance the level of maturity and self-existence of the family members. Satir's communication theory developed based on the nuclear family structure and individual-oriented tendency and on the background of western culture that places value in expressing one's honest emotions and opinions. Contrary to this, Korean families emphasize the direct lineage of a family and its patriarchal system. Currently on the surface, many families live in the form of nuclear families. Yet when we observe their daily life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parents, siblings, and relatives on ceremonial occasions, we can see that Koreans still live within the frame of mind of that of an extended family. In this way, communication theory do in some ways conflict with the Korean value system, sentiments, and family culture. Yet in terms of its view of seeing all the family members as one system, and attempts to help the family and solve problems based on its emphasis on the family, we can see that it conforms to the viewpoint of family treatment in Korea, thus implying the possibility for its application. Satir's approach teaches us to solve problems and prevent them through the correct mode of communication. In regards to prevention, this can be widely used in the future. Social organizations within the local community should create opportunities to serve its citizens by utilizing such knowledge and skills. It should also connect these endeavors towards education and training on family life in the daily lives of the citizens.

      • 韓國家族企業에 관한 硏究

        박기동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0 국내박사

        RANK : 248687

        This is a study of the family business from the standpoint of enterprises. The study of family business has not been made sufficiently before. So, the definition of the family business is rather important in this study. The definitions generally recognized are as follows: A company is considered a family business when it has been closely identified with at least two generations of a family and when this link has had a mutual influence on company policy and on the interests and the objectives of the family. Such a relationship is indicated when one of more of the following conditions exists: 1) Family relationship is a factor, among others, in determining management succession. 2) Wives or sons of present or former chief executives are on the board of directors. 3) The important institutional values of the firm are identified with a family, either in formal traditions of the organization. 4) The actions of a family member reflect on or are thought to reflect on the reputation of the enterprise, regardless of this formal connection to management. 5) The relatives involved feel obligated to hold the company stock for more than financial reasons, especially when losses are involved. 6) The postion of the family member in the firm influences his standing in the family. 7) A family member must come to terms with his relationship to the enterprise in determining his own career. 8) Nepotism, which is defined as favoritism granted on the basis of family relationship. The family businesses which belong to the above category of the definition are so many in Korea. It has a large share of 85.4% in the field of manufacturing. So,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business is so great that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methods for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family business. The approach to the exploration of the methods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to examine the bearing of family business of the growth of a firm, degree of family relationship is given as dependent variable, Y and growth factor of a firm, as X. For the growth factors of firm, net soles, capital, gross selling profit and number of employees are given X_(1), X_(2), X_(3), and X_(4) as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ly, and Y=a+bx_(1)+cx_(2)+dx_(3)+ex_(4)+E is made. By the above formula equations are obtained as follows: ∑Y=n.a+b∑x_(1)+c∑x_(2)+d∑x_(3)+e∑x_(4) ∑x_(1)Y=a∑x_(1)+b∑x^(2)_(1)+c∑x_(1)x_(2)+d∑x_(1)x_(3)+e∑x_(1)x_(4) ∑x_(2)Y=a∑x_(2)+b∑x_(1)x_(2)+c∑x^(2)_(2)+d∑x_(2)x_(3)+e∑x_(2)x_(4) ∑x_(3)Y=a∑x_(3)+b∑x_(1)x_(3)+c∑x_(2)x_(3)+d∑x(^2)x_(3)+e∑x_(3)x_(4) ∑x_(4)Y=a∑x_(4)+b∑x_(2)x_(4)+c∑x_(2)x_(4)+d∑x_(3)x^(2)_(4)+e∑x^(2)_(4) When the above equation is again computerized according to Gauss □hidle's formula, the following simple regression can be obtained. 1) Simple regression. Y=-.0044746+(.0920702)*X 2)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Y=27.9030903+(.0000321)*X_(1)+(.0009929)*X_(2)+(.0000646)*X_(3)+(.0000938)*X_(4) (1) Determine coefficient .26 (2)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51 From the above equation, It is reveal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family relationship and growth of a firm is 0.52. This evidently show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Second, to find out the proper time of transformation of a family business, the stages of growth of a firm is analyzed according to Alfred D. Chandle's "five stages of growth" on the basis of multiple correlation analysis. The formula and the result obtained are as follows: *Group (step 1)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Y=19.1766611+(-.0122437)*X_(1)+(.0071608)*X_(2)+(.0427960)*X_(3)+(.0223121)*X_(4) (1) Determine coefficient .09 (2)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30 *Group (step 2)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Y=27.3052689+(.0000175)*X_(1)+(.0008483)*X_(2)+(.0014486)*X_(3)+(-.0023880)*X_(4) (1) Determine coefficient .18 (2)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42 *Group (step 3)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Y=37.2122122+(-.0000058)*X_(1)+(.0003513)*X_(2)+(-.0003599)*X_(3)+(-.0013668)*X_(4) (1) Determine coefficient -.14 (2)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37 *Group (step 4)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Y=41.3394460+(-.0000157)*X_(1)+(.0003864)*X_(2)+(.0002511)*X_(3)+(-.0024598)*X_(4) (1) Determine coefficient .24 (2)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49 *Group (step 5)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Y=36.6845827+(.000038)*X_(1)+(.0005801)*X_(2)+(.0000167)*X_(3)+(-.0000978)*X_(4) (1) Determine coefficient .19 (2)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43 From the abov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in case of small business the greater the family relationship is, the greater the growth degree is and in case of big business the opposite is true. Third, the proper scale of a business at the time of transformation of a family business is as follows: Net soles: 20,135,123,000 Won. Capital: 2,406,00,000 Won. Gross sailing profit: 2,343,075,000 Won. Number of employees: 428 persons. In the context it is recognized from this study that a family business is not necessarily unsuccessful of insolvent, but the above methods taken into full consideration, family business can be improvement meas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