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물의 형상과 캔버스의 물리적 공간을 이용한 한계상황의 표현

        이겨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인물의 형상과 캔버스의 물리적 공간을 이용하여 한계상황을 어떻게 시각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이다. 인간은 종종 스스로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다고 느끼는 한계상황에 마주치고는 한다. 나는 물리적인 한계상황과 심리적인 한계상황은 인지적으로 상호관계에 있으며, 한계상황은 그 상황에 부닥친 인간이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다르게 환기될 수 있으리라는 가정 아래 작품을 제작하였다. 한계상황에 대한 문제설정은 나의 어릴 적 수술로 인한 시각적 한계경험에서 동기를 찾을 수 있다. 나의 일상적인 시각적 한계경험은 다른 대상의 한계에 대한 관심으로 연결되었다. 특히 한계상황의 인식은 작가로서의 내가 밀접하게 접하는 캔버스를 한계를 가진 대상의 관점에서 바라보도록 유도하였다. 이미지를 그리는 공간으로만이 아니라 한계영역을 가진 물리적 대상으로 함께 바라보게 된 것이다. 나의 작업에서는 캔버스(이미지의 공간)에 그려진 인물의 상태에 의미가 부여되는 은유적 한계상황과 캔버스(물리적 공간)라는 실제 물리적 영역에 의해 규정되는 한계지점이라는 두 가지 양상이 함께 드러난다. 동시에 그 캔버스 자체는 크기와 무게와 부피와 질감을 가진 물질이어서 당연히 물리적 조건과 제약을 드러낸다. 때문에 나의 그림은 또한 사물이나 건축 공간의 물리적 상태 그대로를 지시하기도 한다. 나는 이미지의 공간과 물리적 공간을 ‘이용하고 조합하는’ 입장에서 작품을 제작한다. 두 공간 사이에서 인식의 교차를 일으키는 장치를 통해 관객이 작품에 몰입하는 한편 작품과 거리 두기를 할 수 있도록 도우며 관객에게 한계상황 인식의 경험을 돕기를 원한다. 나는 주로 인물이 무언가에 매달리거나, 무언가를 밀거나, 피하는 자세를 그린다. 이러한 자세는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고, 그 인물이 단지 수동적인 상태가 아니라 자신에게 주어진 그 영역을 이용하거나 대항하려는 의지 또한 포함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나의 그림에서 이미지의 공간은 배경이 구체적으로 묘사되어서 형성된 것은 아니다. 단지 캔버스의 표면이거나 물감이 균일하게 발라진 상태에서 인물이 그려지고, 그것이 캔버스의 틀에 의해 제한됨으로써 특정 공간의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영역이다. 따라서 이 공간은 화면에 배치되는 인물의 상태와 캔버스 영역과의 만남에 의해 의미가 규정된다. 그리기 방식의 경우 나는 날렵한 붓질과 낮은 채도의 색상으로 쉽게 사라져버리거나 부서져버릴 것처럼 보이는 사람들의 모습을 그려 넣는다. 이러한 붓질은 인물을 실체감 없고 가벼운 모습으로 보이도록 만든다. 이는 한계상황에 처한 사람들의 허무감, 덧없음, 무기력함 등을 반영하며 나의 시각적 한계가 반영된 표현으로 볼 수 있다. 나의 작품은 설치 방식에 따라 작품들 상호간의 관계가 부각되기도 하고 건축 공간의 물리적 상태를 드러내기도 한다. 여러 그림을 한 공간에 걸거나 두 개 이상의 캔버스를 서로 이어 붙여 관객이 작품 사이의 관계를 의식하도록 배치하였다. 그리고 작품이 실제 전시되는 건축 공간을 적절히 이용하여 그림 자체뿐만이 아니라 제한된 특정 공간 내에서의 한계상황의 이야기로 의미가 확장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 인간의 한계상황과 희망

        김진희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2

        본 논문은 그동안 목회 현장에서 간과되어 온 희망의 중요성을 환기시키며, 희망의 관점에서 자신의 한계상황을 바라보고 미래에 대한 새로운 기대를 가능 케 하는 희망의 목회신학과 그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첫째, 인간이 넘을 수 없는 벽으로 존재하는 한계상황 과 외상으로 인한 육체적, 정신적 상처 즉, 트라우마에 대해 살펴보고, 트라우마 속에서 축적된 한국인의 독특하고도 대표적인 정서인 한에 대하여 다루었다. 둘째, 한계상황과 트라우마의 상황에서 희망이 왜 중요한가와 아울러, 그렇다 면 어떻게 하면 절망에서 희망으로의 전환이 가능한가에 대해 설명하였다. 셋째, 상황을 관조할 수 있는 초월의 힘은 의식의 확장과 공동체 의식을 통해 강화된다. 실존의 한계상황에 대한 인식은 결국 인간을 공동체적 책임과 연대로 나아가게 하며, 이는 서로를 주시하고 환대하는 공동체성으로 성숙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희망이 공동체적인 명제가 될 때, 더욱 강력해지고 보존적으로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넷째, 희망의 목회신학을 제안하였다. 목회의 중요한 책임과 특권은, 희망을 북돋워 주고 절망에 맞서 싸우는 일이다. 상처를 입어 치유가 필요할 때, 당황스 런 실의에 격려가 필요할 때, 소원해져 화해가 필요할 때, 덫에 걸려 해방이 필 요할 때, 희망은 심리학적, 신학적인 중요 원동력이 된다. 희망의 목회신학은 특 히 트라우마 상황에 처한 그리스도인들에게 좋은 대안적 목회신학이 될 수 있다. 다섯째, 세 개의 문학작품과 두 가지 사건의 기록물들, 그리고 한 가지 상담 사례를 통해 희망의 목회 돌봄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성과 와 한계에 대해 논하고, 앞으로의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 AEBS 관련 교통사고 데이터 분석과 AEBS 작동 한계상황 연구

        탁영수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차량이 첨단화되고 있음에 따라 AEBS를 장착한 차량이 많이 생산되고 있다. AEBS는 전방추돌이 감지되는 상황에서 단계적으로 제동을 해주는 시스템이지만, 차량과 보행자를 정상적으로 감지하기 어려운 조건이 있다. 따라서 교통사고 데이터를 활용해 AEBS의 대표적 한계상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 한계상황으로는 차선변경, 곡선도로, 교차로, 보행자 한계상황으로 4가지가 도출되었다. 이렇게 도출된 한계상황에서 사고유형, 노면상태, 운전자 차종, 차량 속도, AEBS 성능 등으로 나눠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차선변경 한계상황에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대상차량의 속도, 목표차량의 감속도, 레이더 각도, 제동설정시간이었다. 곡선도로 한계상황에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대상 차량 속도, 목표차량 감속도, 제동설정시간이었다. 교차로 한계상황에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대상차량의 속도, 레이더 각도였다. 마지막으로 보행자 한계상황에서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대상차량 속도, 레이더 각도였다. 이중에 사고 발생에 영향을 가장 미치는 인자인 레이더 각도와 긴급제동시점을 조정하여 AEBS의 성능을 개선하였다. 레이더 각도는 29°로 설정하였고, 긴급제동시점은 TTC값이 1.6초 보다 작을 때 작동하도록 설정하였다. 개선된 AEBS의 시뮬레이션 결과 모든 대표적 한계상황에서 사고를 회피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AEBS-equipped vehicles are being produced in recent years as vehicles are advanced. AEBS is a system that provides braking step by step in a situation where a forward collision is detected, but there is a condition that it is difficult to normally detect vehicles and pedestrians. A study was conducted on the typical limitations of AEBS using traffic accident data. Four typical limiting situations were derived from lane changes, curved roads, intersections, and pedestrian limits. Factors affecting the accident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accident types, road conditions, driver's vehicle type, vehicle speed, and AEBS performance.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ident in the lane change limit situation were the speed of the ego vehicle, the deceleration of the target vehicle, the radar angle, and the braking setting time. Factors affecting the accident in the curved road limit situation were the ego vehicle speed, target vehicle deceleration, and braking tim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ident at the intersection limit situation were the speed of the ego vehicle, the radar angle. Finally,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ident in the pedestrian limit situation were the ego vehicle speed and radar angle. Among them, the performance of AEBS was improved by adjusting the radar angle and the emergency braking point, which are the factors that most affect the occurrence of the accident. The radar angle was set to 29 °, and the emergency braking time was set to operate when the TTC value was less than 1.6 seconds. As a result of the improved simulation of AEBS, it was confirmed that accidents are avoided in all representative limitations.

      • Karl Jaspers의 哲學에 있어서 限界狀況의 體驗을 통한 實存開明에 관한 硏究

        박선정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논문은 야스퍼스의 철학에 있어서 한계상황의 체험을 통한 실존개명의 과정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야스퍼스는 오늘날의 시대적 상황을 날카롭게 비판하면서 인간의 '본래적 자기(本來的 自己)'에의 복귀를 부르짖고 있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현대는 기술과 기계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고, 그 결과로 두 가지 현상이 일어났다. 하나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정복과 그것으로 말미암은 문화 및 문명의 발달임과 동시에 인간생활의 편리의 현상이며, 다른 하나는 인간의 물상화(物象化) 및 비인간화이다. 이러한 두 가지 현상 가운데서 후자의 현상은 오늘날 인간의 삶을 그 근본에 있어서 파국으로 몰아넣고 있다. 예컨대 대량생산, 대중매체 등에 의한 인간의 개성의 상실 및 인간의 현존재의 획일화는 바로 인간을 단순한 즉물적(卽物的) 존재로 격하시키고 동시에 인간의 생존체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적 상황으로부터 인간의 진정한 자기에의 복귀는 지극히 당연한 과제이며 이것은 현대라는 시대의 역사적 과제일 뿐만 아니라 인간 자신의 필연적인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우선 야스퍼스가 말하는 한계상황의 개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좌절하고 절망하는 인간정신의 내면적 체험을 살펴 볼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인간 현존재의 좌절과 절망을 통해 초월자의 암호를 해독하는 과정과 동시에 그 순간에 실존이 개명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인간존재 자신은 상황 내 존재요 동시에 상황 가운데서도 인간 자신의 한계의식을 야기시키는 극한상황에 필연적으로 당면하지 않을 수 없다. 바로 이 주된 상황을 야스퍼스는 '한계상황'이라 하는데, 이 한계상황 앞에서 인간의 현존재는 난파(難破)하지 않을 수 없고, 따라서 이 난파를 통해서 인간은 진정한 자기존재, 즉 실존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한계상황을 이처럼 자기존재의 일상성을 뛰어넘어서는 계기로 삼을 경우 인간은 초월자 앞에 나서게 된다. 초월자 앞에 선 인간 자신은 바로 일체의 세상성을 벗어난 본래적 자기로서 현실적 실존을 획득한다. 야스퍼스는 초월이란 대상적인 것에서 비대상적인 것으로 넘어가는 것이라 했고, 초월자란 대상적인 현존재와 비대상적인 실재의 존재근거가 되는 궁극적 포괄자라 했다. 이러한 초월자는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나, 지성으로서는 분명한 표현과 깨달음이 불가능하며, 어떠한 이론도 전개할 수 없다. 어디까지나 초월자는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가능적 실존을 체험함으로서 계시되는 그러한 존재이지 논증되어지는 존재자가 아니다. 오로지 초월자의 궁극적인 암호가 되는 것은 현존재가 한계상황 내에서 소멸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계상황을 체험하는 것은 초월자의 현현(顯現)을 체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계상황 앞에서 인간의 일상적 현존재가 난파하고 좌절하여 절망함으로써 인간은 그 절망성이 지시하는 포괄자로서의 초월자의 암호에 직면하게 되고, 그리하여 연간의 일상성에서의 해방과 가능적 실존에의 비약을 감행한다. 실존의 비약이야말로 한계상황의 피안으로 들어가는 하나의 현상이다. 이와같이 인간은 죽음, 고뇌, 투쟁, 죄책 등의 한계상황 앞에서 자신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깨닫는 체험을 하게되며, 한계의 저편에서 들려오는 초월자의 암호에 의해 인간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극복하여 초월자 앞으로 나아감으로서 실존으로 비약하게 된다. 즉 한계상황의 체험을 통하여 실존 개명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existence-illumi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boundary situation in Jaspers' philosophy. Karl Jaspers insists on human return to his authentic self criticiz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cutely. According to his views, there are two phenomena of modern society. One is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civilization with convenience and comfort of human life due to human desire to conquer nature. while the other is the phenomenon of dehumanization and alienation of human being. The latter forces human life to fall into radical destruction. For example, the loss of individuality and uniformity of human existence rising from mass production and mass media is trying to threaten human existential life. In this respect, human being return to his authentic self is not only a natural and historical matter but also a necessary task for modem men. This task is necessary because human existence itself is being within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can't help coping with the extreme situation which may give rise to a consciousness of limitation under the conditions. Jaspers calls this a boundary situation, where the present existence of human being can't but be wrecked and can return to his authentic self through this wreckage. In case that he transcends his daily life in this boundary situation, he stands in front of transcendental being. He himself gets an Existenz as his authentic self escaping from all worldly matters. Jaspers defines transcendence as transferring from object to non-object and transcendental being as an ultimate being of comprehension based upon the objective present Existenz and the non-objective reality. This transcendental being don't use human language, hence man can't realize it, nor express clearly any theory of it. The transcendental being is realized by experiencing a possible Existenz in the boundary situation. Only ultimate Chiffre of transcendental being is that the present existence disappears in the boundary situation. Therefore, to experience the boundary situation means to experience the epiphany of transcendental being as being of comprehension and attempts to deliver from human daily life and to leap into a possible Existenz. Leaping into existence is a phenomenon entering the other world in the boundary situation. Human being experiences the realization of his limitation and inauthenticity in the specific boundary situation such as death, suffering, struggle and guilt, and leaps into existence by stepping forward transcendental being after overcoming his limitation and inauthenticity through Chiffre of transcendental being which is heard from the other side of limitation.

      • Jaspers에 있어서 교제의 교육적 의미에 관한 연구

        김용국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652

        본 논문은 Jaspers의 실존조명과 함께 특히, 그의 교제(Kommunikation) 사상에서 전인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찾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인간이란 때로 교제 속에서 이루어지는 타인과의 상호소통에서 자아가 분명해지며 상호만남의 순간에 일어나는 피할 수 없는 선택과 결단을 통하여 급격히 변화하고 성장한다는 것을 생각할 때에 Jaspers의 교제이론에서 인간교육의 교육철학적 가치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Jaspers의 인간론을 포괄자로서의 인간, 한계상황에서의 인간, 가능적 실존으로서의 인간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그의 인간론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Jaspers는 실존이란 포괄자의 모든 양식에 생명을 부여하고 기반이 된다고 하였으며, 포괄자의 제 양식인 현존재, 의식일반, 정신, 실존, 세계와 초월자로부터 교제를 파악하였다. 모든 진리가 본래적으로 참되기 위해서는 친밀한 교제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Jaspers의 입장이다. Jaspers는 상호간 의식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공동체관계에 의해서만 우리는 비로소 우리들 자신이 될 수 있고 또한 개별자로서 홀로 있는 인간은 인간일 수 없다고 봄으로써 교제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Jaspers에 의하면, 우리의 현상적 객관적 존재 양식들, 즉 현존재, 의식 일반, 정신 등이 우리들의 현실 존재를 나타내는 데 반하여 실존은 우리가 그렇게 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실존은 이미 주어져 있는 현실로서가 아니라 가능성 또는 과제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Kierkegaard적인 실존은 神을 매개로 해서 자기 자신만의 실존을 중심주제로 삼는다. 그러나 Jaspers에게 있어서의 실존은 자기 자신의 존재뿐만 아니라 타자의 존재, 즉 타자의 실존을 염두에 두고 있다. 한계상황에서의 인간은 세계 내 존재일 뿐이라고 Jaspers는 생각했다. 인간은 세계에서 인식하고 세계와 이야기하고 세계와 관계하면서 인간존재는 대결하고 투쟁하는 이율배반적 관계를 가지게 된다. 우리는 언제나 우리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는 불가피한 상황에 직면할 가능성을 가지고 살아가고 있다. 인간은 죽음, 고뇌, 투쟁, 죄책 등의 한계상황 앞에서 자신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깨닫는 체험을 하게 되며, 한계의 저편에서 들려오는 초월자의 암호에 의해 인간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극복하여 초월자 앞으로 나아감으로써 실존으로 비약하게 된다. 둘째, 교제의 구조와 역할에 있어서는 현존재적 교제와 실존적 교제로 구분하여 자유와 한계상황에 있어서 어떤 기능을 가지고 이들과 관련되어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Jaspers에 의하면 인간은 타자와 교제하는 존재이며, 자아의 형성은 타자와의 교제적 관계에 있어서 가능할 뿐이므로 교제는 실존개념만큼이나 그의 철학의 중심적인 개념이다. 가능적 실존으로서의 타자는 자아존재에 대하여 외적으로 나타나는 세계존재일 뿐 아니라, 이 외적 세계존재에 본래적으로 속하기 때문에 자아존재는 타자에 대한 상호관계 없이는 생각될 수 없다. Jaspers는 교제의 근거로서 실존, 사랑, 이성을 제시하였으며, 실존적 교제는 사랑과 이성에 의해서 적극적인 것이 된다는 것을 이야기하고 있다. Jaspers가 말하는 실존적 교제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고독, 동등한 인격적 만남, 사랑하면서의 투쟁(Liebender Kampf)이 필요하다. 고독한 존재로서의 실존은 다른 실존과의 교제를 실현함으로서만 실존적 요구가 만족되는 것이다. 이러한 교제는 역사적 결단에 있어서 고립된 자아존재를 지양하고 상호 창조를 통해 자아 존재를 획득하게 함으로써 자아실현을 이룩하게 한다. 셋째, 교제와 사회적 실존에 있어서는 교제, 이성적 실존과 사회적 실존, 사회적 실존의 존재양식, 교제의 사회적 기능과 관련하여 살펴보고 이를 고찰하였다. 실존적 교제 즉 진실한 인간 상호간의 관계는 서로에게 물음을 허용함으로써 나를 열어젖히고 상대방을 열어젖히는 개방의 과정이다. 사회적 실존은 삶의 실존적 조건의 성취를 위해 소통하는 실존, 현존재적 관계맺음의 방식을 비판하면서 실존적 관계맺음을 지향하는 실존으로서 현대사회가 요청하는 인간형이다. 여기에서는 인간의 단독성, 개별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공동체, 연대의 문제를 놓지 않아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 진정한 자기 자신임으로써 사회를 발전시키는 인간 즉 ‘나인 채로 사회속의 나’인 인간상에 관심을 둔다. 교제의 사회적 기능에서는 서로가 마음의 문을 열고 나눈 진실한 대화와 교제의 내적 행위가 이루질 때 이상적인 공동체가 실현되고, 인간들과의 교제와 神에 대한 신앙으로 실존으로서의 나를 만들어 갈 수 있다. 사회적 실존에게는 상대방이 현존재적 차원에서 행위 하더라도 사랑하면서의 투쟁 즉, 상대방의 발전을 독려하는 투쟁의 태도가 요구된다. 사회적 실존은 사회 안에서 사회를 넘어서는 인간형으로서 나임을 유지하면서도 사회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당하지 않고 현존재의 조건을 비판할 수 있는 인간형이다. 사회적 실존은 실존적 자각을 기반으로 한 사회비판을 할 수 있는 인간형이라는 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넷째, Jaspers 교제 개념의 교육적 의미에서 실존적 교육의 개념, 교제의 교육적 방법, 교제의 교육적 적용, 교제의 교육적 의미 등을 분석 고찰하였다. 실존적 교육철학은 현대사회의 비인간적인 사회체제에 의해 소외되어진 인간성을 교육의 인간화룰 통해 자율적으로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전인적인 존재가 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둔다. 실존적 교육은 자기존재를 각지(覺知)시키고자하는 노력이며 교제를 통해서 가능한 것이며, 학생과 교사가 예속적 관계가 아닌 각자의 자유로운 근원에서 무조건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Jaspers의 교제 교육이란 실존적 교제의 특성들이 교육적인 상황 속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의 교제 개념에서 전인교육은 교육적 적용으로서의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인간은 그 본질에서 ‘교제 내 존재’(In-Kommunikation-Sein)이며 교제는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근본조건이다. 그에 의하면, 교제는 인간의 전반적인 본질일 뿐만 아니라 실존을 실존되게 하는 실존의 근원이다. 그리고 역사성의 개념과 함께 실존의 중요한 본질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어떤 형태의 교육이든지 교사와 학생 사이의 교제적 관계의 형성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교제의 교육적 의미로서 자아의 각성, 인격교육, 전인교육, 자아실현 등과 관련하여 교제를 분석하였다. 실존주의는 진정한 교육이란 인간과 인간과의 인격적인 만남의 계기를 통해서 성립된다고 본다. 실존적 교제의 교육적 의미는 전인적인 인간을 향한 성장으로 이해되며, 단지 내적인 것에만 초점을 두지 않고 인간과 연관되어 있는 삶의 모든 영역을 통합하는 과정에 초점을 둔다고 볼 수 있다. Jaspers의 교제 교육은 지적이고 영적인 것뿐만 아니라, 정서적이고 행위적인 것, 즉 인간의 전체 잠재력을 성장시키는 과정 모두에 관심을 둔다. 그러므로 Jaspers의 교제로서의 교육은 현대 문명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방향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오늘의 우리 교육이 지식·기술 위주로 진행됨으로써 파생되고 있는 위기를 극복하고 전인교육을 향한 방향 전환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educational meaning of the whole person education in Jaspers' concept of existence, especially, his theory of communication. Human beings can establish their ego only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and they grow and change drastically by inevitable choices and determination occurring in the moment of social interaction. So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value of Jaspers' theory of communication in education.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in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aspers' theory of human being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uman beings as an embracer(das Umgreifende), human beings as functional existence, and human beings as critical situation. Jaspers said existence vitalize every aspect of an embracer which includes presence, general consciousness, spirit, existence, the world, and transcendence. It is also the fundamental factor of an embracer and Jaspers found communication from them. He thought we can be ourselves only through conscious reciprocal understanding in community. Human beings as a lonely individual cannot be human beings. According to Jaspers, our objective existence, that is, presence, general consciousness, spirit, represent our real presence but existence means that we have a possibility. In other words, existence means not our reality but possibility or a task. Kierkegaard's existence focuses on one's own existence through the medium of God. However, Jaspers' concept of existence consider others' existence as well as my own existence. Human beings live harmoniously in the world but at the same time, they struggle and conflict with others to create antinomy. Human beings always live with a possibility to face an inevitable situation beyond their abilities. They experience their limitation and unnaturalness such as death, agony, strife, guilt in a critical situation. Human beings can overcome their limitation and unnaturalness by the cipher of transcendence and it makes them approach the embracer that leads to the existence. Second, the aspect of structure and role of communication, it can be divided into communication of presence and existential communication. Let's examine how they function in freedom and critical situation. According to Jaspers, human beings communicate with others. Formation of ego is possible only by the communication with others. Therefore we can say communication is the concept as important as existence. Others as possible existence represent world existence of ego so it is impossible to think of self without considering others. Jaspers suggested existence, love, and reason as evidence of communication. Love and reason make existential communication possible. In Jaspers' existential communication, solitude, equality, loving struggle is needed. Lonely existence of individual can be real existence only through communication with others. Communication helps isolated ego to achieve self-fulfillment. Third, how reasonal existence, social existence and social beings are related to social existence and its relationship in the functional aspect of society is studied. Social existence is communicating existence pursuing existential relationship. It is the required existence in modern society. Without damaging independence, individuality, the idea of community and solidarity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the social function of communication, when people open their hearts and communicate each other, ideal community will be realized and also, through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religious belief toward God, people can fulfill themselves. Human beings shoul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that is, 'I' as a part of a society as well as 'I' as an individual. For social existence, even though others act as presence, they need loving struggle, that is, the struggle to encourage others' development. 'I' as a social existence is included in the society and exists beyond the society as well, criticizing the conditions of presence. Social existence has a meaning when they can criticize society on the base of existential realization. Fourth, in the educational meaning of Jaspers' communication, the concept of existential education, how to apply to education and its application for communication, and the educational meaning are considered here. Existential education focuses on changing human beings who are isolated in the inhumane society into someone who has free will through education. Existential education is a way of letting others know of one's existence through communication. Existential education is performed based on one's own free origin. In education, Jaspers' communication tries to apply these characteristics of existential communication to the various educational situations. Educating people as a whole person is the key in his concept of communication. Human beings are the beings of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is the essence that makes humans real humans. According to him, communication is not only the essence of human beings but the root of existence. Therefore, in any forms of education, it is very importa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to form a communicational relationship. Awakening of ego, character building, whole person education, self-fulfillment in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are also analyzed here. True education in existentialism will be completed through serious meeting between persons. Educational meaning of communication should be understood as a way to a whole person, and it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unifying every aspect of life. Education in Jaspers' existential communication is concerned about emotional aspects as well as intellectual and spiritual aspects,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developing potential powers of human beings. Therefore, we can say that Jaspers' existential communication suggests a direction to how to overcome the crisis of modern society and to how to solve the problems derived from modern education which places priority on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o how to change our education toward whole person education.

      • 1950년대 오상원 소설 연구

        최은자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651

        본 연구는 오상원의 1950년대 소설을 중심으로 작품 속 인물들의 삶을 통하여 작가가 드러내는 현실인식의 양상을 고찰하고 그 의미를 밝힌 것이다. 오상원(1930-1985)은 평북 선천에서 태어나 16세에 해방을 맞으면서 비로소 한글을 배울 수 있었다. 또한 해방 정국의 혼란을 경험하고 월남한 후 고교에서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대학에서 불문학을 전공하면서 서구에서 발현한 실존주의 사상과 문학에 심취하였다. 대학 재학 중 체험한 6.25전쟁은 오상원의 삶에 매우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그의 문학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는 실존주의적 현실인식과 새로운 창작 기법으로 1955년 등단 이후, 해방기의 혼돈과 갈등, 그리고 전쟁과 전후(戰後)의 상실감과 그에 대한 극복 의지를 작품으로 형상화하는 데 주력하였다. 문학 작품은 작품이 생산된 시대의 상황과 깊은 연관을 맺는다. 이에 작품 분석에 앞서 50년대 전후문학의 전개 양상과 함께 이 시대 문학의 중요한 담당자인 신세대 작가들의 작품 경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쳐 특징적 문학 경향을 형성하는 데 일조한 서구 실존주의의 전개 양상과 실존주의가 우리나라에 유입하게 된 배경, 실존주의 문학론의 전개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과 함께 전후 신세대 작가인 오상원의 삶과 문학관을 살핀 후 작품 분석에 임하였다. 작품 분석은 시대에 따른 이념이나 기존의 연구에 의한 선입견 없이 작품 자체가 지닌 미학적 가치에 중점을 두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구체적이고 세밀한 분석을 통하여 오상원이 그의 50년대 소설들을 통해 드러내는 현실인식의 양상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오상원의 작품 속 인물들이 처한 시・공간을 전체적으로 ‘극한상황(極限狀況)’으로 설정하고, 세부적으로 ‘한계상황’, ‘폭력적 상황’, ‘부조리 상황’의 세 가지로 나누어, 인물과 인물이 처한 상황과의 관계를 중시하여 작품을 분석한다. 오상원의 소설에서 상황은 인물의 삶을 형상화하고 주제를 제시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오상원은 그의 소설을 통하여 인간 존재의 의미를 찾는 데 주력하였다. 그는 해방 후 정쟁(政爭)과 전쟁의 극한상황에 처한 인물들의 삶을 실존의식을 바탕으로 형상화하였다. 특히 무의미하게 희생되는 생명과 피폐화된 삶을 통해 허무주의적 인식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허무주의는 전후문학 속에 담겨있는 주된 성격으로 논의되면서도 문학이 절망적 상황에서도 낙관적 전망을 제시해야 한다는 관념에 따라 그 동안 매우 부정적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러나 허무주의는 실존주의를 낳게 한 근원이 되면서 또한 허무주의를 극복하려는 행동주의로 나아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물질만능의 사회에서 갈등과 소외의 삶을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인간 실존에 대한 물음을 제기하고 성찰하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줌으로써 의미있는 삶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이에 허무주의를 오상원의 작품이 드러내는 중요한 인식적 경향의 하나로 보고 긍정적인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극한상황(極限狀況)은 인물들로 하여금 존재의 의미를 상실케 하는 한편, 무의미한 삶을 인식하고 그들이 처한 상황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행동을 유발한다. 여기에서 행동이란 무의미하다고 인식한 삶에서 의미를 회복하는 것이며 보다 나은 삶을 지향하는 행위이다. 오상원은 비정한 삶의 현장에서 인간 존재의 무의미함에서 비롯되는 허무주의적 정조를 드러냄과 동시에 여기서 좌절하지 않고 저항함으로써, 존재의 참된 의미를 파악하고 인간으로서의 위치를 지키고자 하는 인물들을 통해 행동주의적 현실인식을 드러낸다. 오상원 소설에서 극한상황은 주체의 의지를 잠시 꺾을 수는 있지만 영원히 그 의지를 꺾을 수는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오상원은 비인간적 정치 조직에 가담하게 된 인물들을 통하여 이데올로기를 거부하고 인간적 정이 있는 집으로 회귀하게 함으로써 인간성 회복을 추구한다. 또한 전쟁의 폭력적 위력으로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죽음 앞에 놓인 인물과 전쟁으로 순수를 상실한 후 자신에 대한 저주와 증오 속에서 살아가는 인물들이 자신이 처한 상황을 이겨내고 벗어나기 위해 부단히 저항하게 함으로써 행동주의적 현실인식을 드러내면서, 전후 모순된 상황에 대한 고발과 증언으로써 시대의 강력한 증인이 되고자 한다. 오상원이 그의 작품들에서 보이는 가장 두드러진 문학적 지향은 전후 혼란한 사회의 인간들의 삶에 대한 증언과 인간을 절망에서 구하고 인간성을 회복하려는 휴머니즘 정신이다. 전쟁터에서 전투에 임하고 있는 군인들을 주인공으로 하는 소설에서 인물들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적군을 죽여야 하는 상황에 놓여있다. 또한 이데올로기의 선택을 강요받거나 자신을 포함한 아군을 위해 평범한 시민을 죽여야 하는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오상원은 비인간화를 유발하는 전쟁의 부조리한 상황에 처한 인물들을 통해, 실존에 대한 의미를 탐색하면서 휴머니즘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드러낸다. 오상원은 전쟁의 상처로 고통받는 인물들을 통하여 전쟁이 끝난 후에도 그 상처는 여전히 지속됨을 보여줌으로써 전쟁이 갖는 의미를 되새기고 이를 극복하고 치유할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전쟁으로 인한 상처로 힘들게 살아가면서도 처지를 비관하지 않고 정신적, 육체적 상처를 극복해 내려는 인물들의 끈질긴 의지와 생존의식 속에 인간애를 드러낸다. 인간의 기본적 삶이 위협받는 극한상황에서는 필연적으로 인간 실존의 문제가 제기된다. 인간성의 파괴와 생존에 대한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인간의 실존 문제는 오상원에게 결국 인간의 존엄성 회복 즉 휴머니즘에 대한 진지한 성찰로 귀결된다. 오상원은 그의 소설에서 의식의 흐름과 내적 독백, 시간의 역전, 시점 변화, 극적 장면 제시와 같은 영화적 수법, 간결한 문장, 반복 어법 등 실험적 서술 기법을 사용하여 죽음 등 극한상황에 처한 인간 존재의 의미를 탐색하는 데에 적절한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상원의 서술 기법을 중점적으로 다루지는 않았으나, 작품들이 지닌 특징적 서술 기법을 언급하고 그 의미를 밝히었다. 이상의 논의로써 본 연구에서는 오상원이 실존주의를 바탕으로 그의 1950년대 소설들에서 허무주의와 행동주의적 현실인식을 드러냄과 함께 휴머니즘을 추구하는 데 주력했다는 점과, 이로써 오상원이 한국문학사의 중요한 한 부분을 차지하는 작가로서의 의의를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 K.Jaspers철학에 있어서 限界狀況의 意義

        김호일 東亞大學校 大學院 1979 국내석사

        RANK : 248637

        I plan to clarify the meaning of German term Grenzsituation used by K. Jaspers through this thesis. Among the terms which K. Jaspers explained the existence through his philosophy especially I selected the term of Grenzsituation because as the proposition indicates that It is not until everyone come to despair in facing Grengsituation that everyone come to realize existence, that everyone come to experience means the same as only doing existance. The aim to clarify through this thesis is how his existence jump up and to what this existence jump up in facing the Grenzsituation, furthesmore what kind of Grengsituation there are, what connections there are between this Grenzsituation and Umgreifende which is the transcendent, moreover in the course of persuing the meaning of Grenzsituation we can't think it for away from verious concept connected with relative phenomena. It is the reason why the Grenzsituation has a cloese connection with them. Therefore I had studied the meaning of the term of existance in chapterⅡ, especlially, historical meaning of existence, eixtence as origin of love and the inconditionality of existence were the focus of my study. Here the historical meaning of existence does neither simply mean the passing of time, nor the fact of timely passing, itself. The only essence of it is to guide to the future possibility of some thing new through passing time from past to now. That is, the Unification of time and eternity tells the meaning fo existence and it is also a principal feature of existence. The existence as origin of love means existential intercourse and it differs from Daseins existiert which means experiental intercourse according to interest. It means the true intercourse to be connected with the transcendent along with other existence, at the same time doing selfrealigation which is self originally and maintaining the relation with other existence. Summarizing the result of study which has been carried out to now. The meaning of existence is as following firstly, it is such a being as to establish the relation with the transcendent by it after self established the relation with oneself. Secondly, it is not such a real being as being able to choose oneself. The third, it is historical, when we suppose the existence as the individual, owing to the relation between me and the transcendent and the relation between self and myself, we can't be free from the blockaded situation. Therefore it is not until establishing the relation with other human existence after it returned to real circle that the true existence come to close up. Furthermore these existence can transcent to God who is absolute Bewusstsein. According to the explanation of Jaspers, he classified the Conscience to be three part, among the them, the absolute Bewusstsein which indicate existential connection against the existence seemed to be put at the first priority. Even in this absolute Bewusstsein, as faith and love plays a role to transcend the existence to the transcendent, they are valued, as it were, the love bas two facets, the one facet is to be converted into faith which is original might for the existence, the other facet is to be converted into transcendent consciousness which is the condition to realize the existence. These existences embraced possibility of doing boundlessly, in some case the existanle even happen to appear as a form of ethical doing through boundless action, religious doing or suicide. As mentioned above, I have studied the existence through verious facets. In the chapterⅢ in order to define the concept of the Grenzsituation, I have studied the general situation and the Grenzsituation comparatively, so I tried studying the unique Grenzsituation in which we are doomed to accept. Though human beings are well aware of of this absolute situation, it is neither selected by themselves originally, nor created at their option. It is no concern of one's standing and hope,with something absolute which is neither goodness, nor vice, we human being is doomed to be therefore under these situation we human being can't but accept it I am doomed to die. I am bound to commit evil unavoidly by my action or without my action we should live on surrounded by accidents, we should be agonied and suffered from pains and we should maintain life by only straggling. as enumerated above there is a situation like wall which can't be penetrated by any effert. Unavaid able situation which we hardly dispose is called the Grenzsituation. That is, while the respective general situation changes and can be changed little by our action, as the Grenzsituation is absolute, we can hardly dispose it, so we are forced to meet unavoidably. Really these Grenzsituation belong to existence and these existences are connected with the transcendent together with other existence. Therefore, in the chapterⅣ I tried studying Umgreifende who is the transcendent. According to the explanation of Jaspers, he explained that the transcendence is to cross over from objective to unobjective, and the transcendent is a final umgerifende which is foundation of objective Dasein and unobjective existence. These transcendent is unable to express clearly and realize with words and intellegence used by normal persons and also is unable to develop any theory. Thoroughly, as the transcendent is such a thing as to be revealed through experience against the possible existance in facing the Grenzsituation, there in no ground for proof, so completely the transcendent can be touched only through the Grenzsituation. Accordingly it is experiencing the appearance of the transcedent that experiencing the Grenzsituation is. When human being is forced to be in Grenzsituation, ordinary Dasein of human being is to be wrecked and frustrated, so it brings the human being come to feel a passwords from the transcendent who is umgreifende who indicate the desperation, as a result of this process human being come to be free from ordinary every day life style at the same time can venture to make rapide progress to the possible existence. The only leaping up to the possible existence is progressing steps to approach the Grenzsituation. For Jaspers, the concept of the transcent ranks in the most important heart part of thinking of his existentia I philosophy together with the Grenzsituation and possible existence. According to Jaspers, he suggests that the only Grenzsituation is essence in the structural connection of the being of human being, and he systematiged his thought of the transcendent equal to umgreifende through this way of analysis against structure. Jaspers contributed remarkably in resolving the stalemate on the Deutsch Ideolism philosophy through his thought and this merit of learning led to found the new possibility in metaphysics circle. Therefore his merit which he had accomplished on the Contemparary Philosophy can't be too much praised.

      • 임신중절에 대한 기독교 윤리적 고찰

        목진수 협성대학교 신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19

        ABSTRACT A Study A study on the artificial abortion in Christian ethics Mok, Jin Soo Major in Ethics Graduate School of Hyupsung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issues and ethical controversies of artificial abortion. Most against artificial abortion the basic problem is to justification of artificial abortion. To the discussion against the moral justification of artificial abortion there is two problem where becomes the basic issue. First, it is a problem regarding the whether or not which probably is a human being which keeps an unborn child authority of life. Second, it is a problem regarding the conflict of the life right of unborn child and the autonomy right of pregnant women. The Abortion rate of Korea is among one of the highest rates recorded worldwide, but the immorality of abortion is not a social issue or concern. Korean society has recently witnessed the emergence of 340,000 abortions per year, rapidly growing suicide rates, and controversy over death with dignity as impending issues in bioethics. However, there are few proper reactions to those issues suggested and implemented by the Christian community. Ethical issues takes place through the conflict between the values. In many cases we cannot choose but decide between evil values. it builds the borderline situation which has no ethical breakthrough. The borderline situation reveals the limits of reality as well as the limits of human. Ethical decisions and actions of the human are to respond to his situation of ethical existence. It faces despair through borderline situation. But Christian ethics will be started only through this situation. God is infinite and personal, thus being the point of integration in life and the absolute standard of ethics. Human beings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personal beings, which means they are still noble and dignified despite their total depravity because they are still in the Image of God. Therefore, A human life is valuable so it shall be treated preciously. Since our human life has continuity, there is no life stage that is not valuable from the time of conception. Therefore, a fetus shall be respected as a live and viable, per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