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자기록물 장기보존을 위한 학위논문 디지털자료 납본체계 및 전자포맷관리 효율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국회도서관 중심으로

        양은정 중부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서관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모든 기록정보가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지만, 그 중 학위논문은 국가적으로 보존 및 활용가치가 높은 지식정보자원이다. 따라서 학위논문은 신속하고 지속적인 디지털화 및 활용 서비스를 통해 학술연구자들의 정보 활용 범위를 넓혀 연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서관에서 매년 새롭게 수집하는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절차에 의한 체계적인 포맷 관리가 필요하다. 또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을 위해서는 각 주체들의 합의에 의한 합리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현재 국회도서관의 학위논문 수집 및 보존에 대한 포맷 관리표준은 따로 명시 되어있지 않다. 디지털 파일의 생산 포맷을 표준화하거나 통일하는 것은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 측면에서 유리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학위논문 보존과 관리를 위해서는 최초 자료의 수집 시점인 납본 단계부터 일관성 있는 포맷 관리 표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회도서관을 중심으로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에 대한 납본 규정과 중앙영구기록물관리기관인 국가기록원의 전자기록물의 장기보존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비교 평가함으로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장기보존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국회도서관의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효율적인 장기보존을 위해 다음과 같이 납본제도 포맷 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국회도서관에서 효율적인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보존관리를 위해 디지털 파일 납본을 위한 생산 포맷을 표준화하거나 통일하여 최초 자료의 수집 시점인 납본 단계부터 일관성 있는 포맷 관리를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위논문의 지체 없는 수집을 위해서는 각 대학에서 성실한 납본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납본 제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납본 받은 디지털 파일의 확장자는 hwp, doc, pdf로 다양하다. 이는 문서보존포맷으로 변환 시 문서 내 이미지 유실, 데이터 왜곡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국가기록원에서 공공표준으로 제정된 PDF/A-1로 일괄 변환하여 납본을 받는 것이 필요하겠다. 특히 hwp포맷은 글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바이너리 형식의 독자포맷으로 타사의 소프트웨어로는 그 내용을 정확히 확인이 불가능하며, 내용이 확인 가능하더라도 원래의 서식과 모양이 동일하게 구현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한다. 마지막으로, 글, PDF, MS오피스 등 전자파일을 대상으로 파일손상, 확장자 이상 등 기계적인 방법을 통해 상태 검증을 실시하여야 한다. 특히 국가기록원에서 전자기록물에 대한 장기보존포맷 변환과 이에 대해 육안검수를 진행하는 것처럼 국회도서관도 통일된 시스템을 통해 학위논문 디지털 파일의 문서보존포맷과 장기보존포맷으로의 변환과 육안검수를 진행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All of the record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ibrary has important value, but thesis is a knowledge information resource with high national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value. Therefore, thesis can maximize the research effect by expanding the scope of information use by academic researchers through rapid and continuous digitalization and utilization services. In order to quickly and efficiently search digital thesis digital files that the library collects every year, systematic format management is required by standardized procedures. In addition, for the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a reasonable standard by agreement of each subject is required. Currently, the format management standard for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degree thesis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is not specified. Standardizing or unifying the production format of digital fil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Therefore, for efficient dissertation preservation and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consistent format management from the legal deposit stage, which is the time of initial data collection. In this study, long-term preservation of thesis digital files b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 legal deposit regulations for long-term storage of digital files of degree thesis centered o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state of long-term storag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of the National Archives, a central permanent archives management institution. We proposed a plan for this. For the efficient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for degree thesi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we proposed the following ways to improve the legal deposit system format management. The following are the ways to improve the legal deposit system format management for the efficient long-term preservation of digital files for degree thesis at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First, it is necessary to standardize or unify the production format for depositing digital files in order to preserve and manage digital thesis digital files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conduct consistent format management from the depositing stage, which is the time of initial data collection. In addition, in order to collect dissertations without delay, the legal deposit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each university can faithfully deposit them. Second, the extensions of digital files that have been deposited are various, such as hwp, MS office, and PDF. When converting to the document preservation format, problems such as loss of images and data distortion may occur in the document, so it is necessary to collectively convert PDF/A-1 established as a public standard by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eive a deposit copy. In particular, the hwp format is a binary format that can only be used with specific software, an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check the contents with third-party software. Finally,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tatus of electronic files such as hwp, PDF, and MS office through a mechanical method. In particular, just as the National Archives of Records converts to a long-term preservation format for electronic records and conducts visual inspections,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should proce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the digital thesis digital file should be converted into a document preservation format and a long-term preservation format, and visual inspection should be conducted through a unified system.

      • 학위논문 글쓰기 교수요목 설계 연구 : 시각디자인 전공 대학원 유학생을 중심으로

        조삼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本文以大学院视觉设计系专业的留学生作为研究对象,围绕着论文的体裁结构和撰写论文所需要的写作策略,为其学位论文写作课程设计了教育大纲,并且挑选其中一周的课程,进行了详细课程说明。本研究进行如下。 第1章揭示了大学院视觉设计专业的留学生撰写论文困难的问题。与其他专业的学习者相比,视觉设计专业的学习者的学业活动更多的是集中在实践活动上,所以他们对学术写作重要性的理解可能相对较弱。因此,大多数视觉设计专业的研究生在韩语写作方面有很多困难,特别是论文写作方面。为了解决这个问题,本文对“以学术目的写作的现状”,“研究生的学术写作研究”和“以留学生为对象论文写作教学大纲设计研究”为主题的相关先行研究,进行了分析。由此掌握了以研究生为对象的韩语写作教育的现状,以及确认了为大学院视觉设计系留学生设计论文写作课程的必要性。 第2章以先行研究的分析结果为基础,进行了与其相关的理论背景探索。首先查看了研究生的写作教育现况以及研究生论文写作教育课程现况,随后整理了与“学位论文的体裁结构”,“论文的写作策略”和“视觉设计专业论文的特点”相关的理论知识,并且对适用于此专业的体裁教育方法以及暗示性教学方法进行了探究。 第3章中,为了掌握学习者的学习要求进行了问卷调查。为了确保调查问卷的有效性,先是提出了调查工具的开发过程。然后以第2章的理论背景为基础,对调查问卷问题的构成和调查方法进行了说明。调查结果如下,第一,当前学习者的韩语能力不足,并且由大学院提供的韩语教育或学术写作教育的机会很少。第二,用韩语撰写过论文的学习者回答说“有逻辑的写作很难”,“专业用语很难”等问题。第三,学习者对于视觉设计专业的写作论文的教育需求很大。 第4章以第1,2,3章的内容为基础,为视觉设计系大学院学生开发设计了论文写作教育课程的大纲。在提出教育大纲之前,先展示了课程的模型和设计模型的着眼点和设计原理,以此原理为中心,根据一般大学院的上课时间,设计了为时十五周的教育大纲设计,并提出了每节课的学习目标和内容。最后,根据学习者的学习需求,通过从十五周的课程中选了其中一节三小时的课程进行了详细的说明。 本研究的意义在于,它可以解决大学院视觉设计艺术专业的留学生论文写作教育课程缺乏的问题,并且通过此研究,视觉设计专业的研究生将能够理解视觉设计论文的体裁结构和写作策略,这将有助于他们更顺利的完成学业。在文学和学术写作课程的情况下,可以提高学术能力并增加适应专业的可能性。此外,本文研究的论文结构,写作策略和论文写作方法不仅对视觉设计专业有帮助,对其他专业的研究生也会有很大的帮助。 但是,本研究存在一定的局限性,因为无法验证视觉设计专业留学生实际课程的实用性和有效性。在未来的研究中,希望能够使用这些课程来进行实际的课堂教学并验证其有效性。此外,我希望本研究能够对大学院进行与利用专业特点的专业相关的论文写作教育方面有所帮助。

      • 학위논문 SGML DTD 및 데이타베이스 구축에 관한 연구

        조왕근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기술의 발전이 도서관자동화에 반영되면서 도서관은 급속한 변화를 겪고 있다. 최근에는 문헌의 전문을 디지털 형태로 전송 받아 재활용할 수 있고 전문(全文)검색이 가능한 디지털도서관이 미래 도서관의 새로운 서비스 모형으로 연구되고 있다.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정보인프라의 기본으로서 디지털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가고 있다. 학위논문은 자료의 활용도가 높고 전자화된 문헌을 확보하기가 비교적 쉬우며 저작권 문제 해결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디지털도서관의 1차 대상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디지털도서관의 핵심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문헌을 외형적 요소가 아닌 구조 및 내용으로 분석하고 이를 마크업 함으로써 정보를 구조적으로 표현하고 검색할 수 있는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이 새로운 전자문헌 구축의 표준으로 부각되고 있다. SGML은 텍스트, 그래픽, 오디오 및 비디오 등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전자문헌들을 서로 다른 시스템들 간에 정보의 손실 없이 효율적으로 전송, 저장 및 자동 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정된 국제표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SGML을 이용하여 학위논문을 디지털화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SGML의 개념, 구조, 장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둘째, DTD를 작성하기 위한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학위논문 DTD를 설계하였다. DTD설계를 위하여 7개 대학의 석사·박사학위논문 14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문헌을 분석하였으며, 기존에 이미 작성된 여러 DTD들을 분석하여 설계의 장점을 본 DTD에 반영하였다. 셋째, 설계된 학위논문 DTD를 이용하여 실제 SGML 문헌인스턴스(document instance)를 구축하고 이를 SGML브라우저와 웹브라우저를 통해 검색해 봄으로써 SGML을 이용한 학위논문 디지털도서관의 프로토타잎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넷째, 문헌인스턴스의 구축은 학생들이 이미 워드프로세서로 작성한 학위논문을 디스켓이나 FTP로 인수하여 자동마크업 과정을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DTD 설계 시에도 이러한 자동변환 목적을 반영하였다. 본 논문에서 설계한 학위논문 DTD는 국내 학위논문의 특성을 분석하여 작성되었으므로 학위논문 디지털도서관에 바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과정에서 SGML을 이용하여 문헌을 구조적으로 표현하고 활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문헌자체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아직 각 대학의 학위논문 형식이 표준화되어있지 않고 다양하여 하나의 DTD에 그것을 모두 수용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고 힘든 작업이다. 따라서,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위논문 작성 방법 및 출력에 대한 표준을 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학위논문 DTD를 개발하여 사용한다면 보다 쉽게 디지털도서관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being reflected in the automation of library, our libraries are experiencing rapid changes. Recently, the digital libraries which allow for transmission and re-use of digitized literature as well as retrieval of fulltexts are being spotlighted as new library service model of the future. Also in the national dimension, the digital library draws much attention as the key to the information infrastructuring. It is conceived that degree dissertations will be the primary target of the digital library services because they are heavily referred to, easy to be computerized and subject little to the disputes of copyrights. There are several ways to construct the database, a core of digital library. Among them, the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which can be used to analyze and mark up the literature not as external elements but as structure and contents only to be expressed and retrieved structurally emerges as standard for construction of new electronic literature. SGML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designed to effectively transmit, store and auto-process the multi-media electronic literature including text, graphic, audio and video among different systems without loss of information. This study is aimed at reviewing how to digitize the degree dissertations using SGML. This study is structur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structure and advantages of SGML were examined. Second, the processes for designing DTD were reviewed and thereby, an degree dissertation DTD was designed. In order to design the DTD, 14 master and Ph. D dissertations from 7 local universities were sampled to be analyzed for their literature, while various preceding DTD's were also analyzed to have their design strengths reflected in researcher's DTD. Third, an actual SGML document instance was constructed using the Ph. D dissertation DTD designed, and it was retrieved through the Web Browser to suggest a prototype for degree dissertation digital libraries. Fourth, the document instance wa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students might download the wordprocessed dissertations into their diskette or FTP to construct their own databases through automatic mark-up at cheaper costs. Such an auto conversion was also reflected in DTD designing. Since the degree dissertation DTD designed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local degree dissertations, it is considered to be directly applied to the degree dissertation digital libraries. Through this study, it is found that structural expression and uses of literature using SGML should be preceded by the standardization of literature itself. The degree dissertation forms of local universities have not been standardized but diverse, making it difficult or laborious to accommodate all degree dissertations into a DTD. Accordingly, it is perceived that it will be easier to construct a digital library if the formats and output of degree dissertations should be standardized and thereby, a degree dissertation DTD be developed through a national effort.

      •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학위논문의 연구 경향에 관한 연구

        김지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난 40년간 한국 조경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양적, 질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오늘날의 조경을 만든 그 중심에는 한국 조경 교육의 노력이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 조경학을 대표하는 교육기관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의 30년 연구를 정리하고자 한다. 한국 조경학이 성장한 만큼이나 서울대 대학원 또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연구 분야가 다양해졌으며, 그러한 분야의 경향을 읽어내는 작업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리고 조경학은 인접 분야와의 경쟁과 정체성 문제로 고유 영역을 확립해가면서 동시에 분화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연구 경향을 파악하는 것이 어느 학문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는 서울대 대학원 조경학 석사학위논문 1983년부터 2012년까지 총 262편을 대상으로 연구의 경향을 분석한다. 그리고 서울대 대학원의 조경 교육과 한국조경학회지 게재 논문의 연구 경향과 비교 분석하여 조경학 학위논문 연구뿐만 아니라 조경 교육과 한국 조경학의 문제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경학의 연구 대상은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구분할 수 있다. 첫째는 장소의 측면이고, 둘째는 과정(process)의 측면이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중 장소의 측면에서 조경학 석사학위논문들의 연구 대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건축/도시/자연·위락/국토·지역/포괄적으로 분류된다. 그리고 건축을 다시 실내, 건물, 정원, 외부공간·시설물로, 도시는 가로, 공원, 녹지, 시설, 주거단지, 지구로, 자연·위락은 자연요소, 자연공원, 자연경관, 관광·여가로 세분화하였다. 그리고 이에 해당되는 학위논문의 연구 대상을 분류하여 분포를 살펴보았다. 서울대 대학원 조경학 석사학위논문 총 262편 중 도시가 77개로 다섯 개의 항목(자연·위락 67개, 포괄적 57개, 국토·지역 34개, 건축 27개) 중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그리고 건축, 도시, 자연·위락을 세분화하여 살펴보았을 때는 자연요소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 수가 많았다. 조경의 건설 행위가 대부분 도시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도시와 관련된 논문이 많은 것은 자연스런 경향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자연요소 항목의 비중이 높은 것은 시민들의 환경 의식이 높아지고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가 개발에서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옮겨지면서 이를 반영한 것으로 해석된다. 2. 서울대 대학원 조경학 석사학위논문들을 연구 주제별로 분류하여 경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조경학 학위논문의 주제별 추이 및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는 분류 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한국십진분류법,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표를 살펴보았다. 하지만 이 세 개의 분류표는 조경학의 학문적 성격을 잘 담아내지 못하는 문제점들이 발견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세 개의 분류표를 바탕으로 하되 조경의 연구 대상 중 과정의 측면 또한 참고하여 연구 주제 분류표를 도출하여 학위논문들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환경 생태·복원 주제가 60편, 전체 중 23%로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조경식물은 6편, 2%로 연구가 가장 적었음을 보여주었다. 두 번째로 많이 연구된 주제는 조경설계 49편으로 전체 학위논문 중 1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경관은 46편, 18%이며, 기타는 40편, 15%이었다. 다섯 번째로 조경계획이 31편, 12%를 차지하였고, 환경 생태·복원, 조경설계, 경관, 조경계획은 20% 내외의 점유율을 보였다. 반면 조경시공·관리와 조경사는 각 11편, 전체 중 4%를 차지하였으며, 조경미학은 8편(3%)의 저조한 수를 기록하였다. 서울대학교 대학원 조경학 석사학위논문은 환경 생태·복원, 조경설계, 경관에 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조경시공·관리, 조경사와 조경미학을 주제로 한 연구는 5% 이하로 매우 불균형한 결과가 나왔다. 3. 조경학 석사학위논문들의 연구 경향을 서울대학교 대학원의 교수진과 교과목, 그리고 한국 조경학의 대표 학술지인 한국조경학회지 게재 논문의 연구 경향(1973년-2003년 총 905편)과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서울대 대학원 조경 교육은 조경계획/조경설계/조경미학/조경사/조경시공·관리/조경식물/경관/환경 생태·복원 등 모든 주제를 다룰 수 있는 교수진을 갖추고 있으며, 교과목 또한 조경사를 제외하고는 다양한 연구를 심도 있게 다룰 수 있는 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었다. 1980년대 말 이후부터 생태와 설계 과목이 추가되면서 조경시공ㆍ관리, 조경사, 조경미학에 비해 생태, 설계 교육의 비중이 높아지기 시작하였다. 이는 조경학 석사학위논문의 연구 주제에도 영향을 주어 교과목 비중의 변화 추세와 유사하게 생태와 설계에 관한 연구의 비중도 점차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지도교수별 논문수를 보아도 전공 분야가 생태나 설계 분야인 지도교수의 논문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한국조경학회지 게재 논문 또한 계획·설계 관련 논문이 233편, 전체 중 25.7%의 점유율로 가장 많았고, 기타 복합형 논문이 209편/23.1%, 식물·생태 관련 논문이 201편/22.2%로 비교적 많았다. 그리고 경관·미학이 105편/11.6%, 조경사는 104편/11.5%로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시공·관리 논문은 53편/5.9%로 저조한 논문수를 기록하였다. 서울대 대학원 조경학 학위논문의 경향과 마찬가지로 한국조경학회지의 게재 논문도 설계, 생태와 관련된 논문의 비중은 높고, 조경사, 조경시공·관리 논문의 비중은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 분석 :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1994 ~ 2017)

        차인영 용인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thesis research on the drama therapy in Korea based on the epistemic perspective and utilize them as a resource tha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in the future. Therefore, the researcher collected 110 domestic papers on the theatrical treatment submitted to the National Diet Library from 1994 to 2017. Since there were not enough doctoral degree dissertations in publication,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master's degree dissertations. Collected dissertations were classified into chronological order to identify the trend. Afterwards, the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tents to analyze in the epistemic perspectiv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have been used by modifying the ones that were previously used in consultation academic journal. Criteria of classifying the research contents include total six areas including the research for specific themes and overview, the study for characters and adaptation: case study, the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program and diagnostic tools, the study on the theoretical development, the research for the training and super vision of drama therapists, and the research about recognition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and the public on drama therapy and drama therapists. After classifying collected papers according to each area, they were divided into the empirical studies and phenomenological studies according to epistemic perspective to identify the trend of research based on details in each area. Research trend of dissertations in drama therapy in Korea is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in chronological order, research has been very insufficiently conducted from 1994 to 2003. However, the number of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since 2004. Secondly, collected dissertations have be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research contents to analyze the trend of them in the field of drama therapy according to the epistemic perspectiv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lassification based on research contents, there were 73 researches in characters and adaptation: case study (66%), 15 researches in specific themes and overview (14%), 11 researches in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program and diagnostic tools (10%), and 11 researches in theoretical development (10%). Studies about the training and super vision of drama therapists and about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participants and the public on drama therapy and drama therapists have not been studied. Third, classified dissertations have been divided to empirical and phenomenological researches based on epistemic perspective of each researcher analyzing them according to detailed criteria in each area. There were total 73 empirical studies about characters and adaptation: cast study (66%). After analyzing them according to the therapy goal, types of participant problems, ages of participants, and the number of participants, drama therapy work was analyzed. As for phenomenological studies, there were total 37 studies (33%) including 15 researches about specific themes and overview (40%), 11 studies about the development of drama therapy program and diagnostic tools (30%), and 11 studies about the theoretical development (30%). They were analyzed by each theme and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in empirical studies, there were 51 studies in regard of self-reflection (41%), 15 studies dealing with the public with general characters (20.5%), 26 studies about adolescents (35.6%), and 27 studies with 6 to 10 participants (37%) that they represented the highest frequency in each type. Afterwards, work has been analyzed according to the focus of research, environment of research, roles of researcher, and items for suggesting research results. The frequency of direct observation was the highest with 41 studies (42%) that participants had meeting for 92 minutes and 15 sessions in average. In addition, new understanding of researchers on the space and the importance of super vision and therapist ethics were confirmed. As for phenomenological studies, the entire results were derived from the analysis in each research theme and method in each area. As a result, the most frequently studied themes were from 18 studies in dealing with drama therapy factors of researchers on a particular theory of drama therapy (48.6%). In the studies in each method of skills - analysis - interpretation, there was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18 studies) with focus on the interpretation (49%). 본 연구의 목적은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극치료의 발전에 기여 할 수 있는 자료로써 활용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국회도서관에 제출된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 논문 110편을 수집하였다. 박사 학위 논문의 경우 동향을 분석하기에 게재 현황이 미비하여, 석사학위 논문으로 제한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연도별로 분류하여 현황을 살펴본 후 인식론적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해 연구 내용별로 분류하였다. 분류 기준은 상담학회에서 선행되었던 기준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 내용 분류 기준은 특정 주제 연구 및 개관 연구, 성격특성 및 적응 연구 : 사례연구, 연극치료 프로그램 및 진단 도구 개발연구, 이론 개발연구, 연극치료사 훈련과 슈퍼비전에 관한 연구, 연극치료․연극치료사에 대한 참여자 및 일반인들의 지각․태도 연구 총 6개의 유목이며 수집된 논문을 각 유목에 따라 분류한 후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실증주의적 연구와 현상학적 연구로 나누어 각 영역의 세부 항목에 따라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분류 결과 1994년에서 2003년도까지 연구가 매우 미비하였으나, 2004부터 연구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둘째, 연극치료의 국내 학위논문 연구 동향을 인식론적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집된 논문을 연구 내용별로 분류하였다. 연구 내용별 분류 결과, 성격특성 및 적응 연구 : 사례연구 73편(66%), 특정 주제 연구 및 개관 연구 15편(14%), 연극치료 프로그램 및 진단 도구 개발연구 11편(10%), 이론 개발연구 11편(10%)이며 연극치료사 훈련과 슈퍼비전에 관한 연구, 연극치료․연극치료사에 대한 참여자 및 일반인들의 지각․태도는 연구되지 않았다. 셋째, 분류된 학위논문을 각 연구자의 인식론적 관점 중심으로 실증주의적, 현상학적 연구로 나누고 영역별 세부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주의적 연구는 성격특성 및 적응 연구 : 사례연구로 총 73편(66%)이며 치료 목표별, 참여자 문제 유형별, 참여자 연령별, 참여자 수별로 분석한 뒤, 연극치료 작업을 분석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는 특정 주제 연구 및 개관 연구 15편(40%), 연극치료 프로그램 및 진단 도구 개발연구 11편(30%), 이론 개발연구 11편(30%)으로 총 37편(33%)이며 연구 주제별, 기법별로 분석하였다. 실증주의적 연구의 분석 결과 자아 성찰 51편(41%) 일반적인 특성을 가진 일반인이 15편(20.5%), 청소년 26편(35.6%), 6명에서 10명의 그룹이 27편(37%)으로 유형별로 가장 높은 빈도수를 보였고, 이후 연구 초점, 연구 환경, 연구자 역할, 연구 결과 제시 항목으로 작업분석을 하였다. 직접 관찰의 빈도가 41편(42%)으로 가장 높았고, 평균 92분, 15회기의 만남을 가졌다. 또한, 연구자의 공간에 대한 재인식, 슈퍼비전과 치료사 윤리의 중요성에 관해 확인할 수 있었다. 현상학적 연구는 각 유목의 연구 주제별, 기법별 분석을 통해 전체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가장 많이 연구되어 온 주제는 연극치료의 특정 이론에 대한 연구인 연극치료 요인연구 18편(48.6%)이며, 기술-분석-해석의 기법별 연구에서는 해석 중심 연구가 18편(49%)으로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 분석

        신소영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영․유아보육법이 제정․시행된 1991년부터 2010년까지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하여 연구가 이루어진 박사학위논문 21편, 석사학위논문 519편, 총 540편의 석․박사학위 논문의 전체적인 경향과 연구내용, 연구방법을 분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토대로 현재까지 이루어진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된 연구 경향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앞으로 이루어질 어린이집 교사 관련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에서 다루어진 연구내용을 알아본다. 2. 어린이집 교사관련 학위논문에서 사용한 연구방법을 알아본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논문은 영․유아보육법이 제정․시행된 1991년부터 2010년까지 발표된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석․박사 학위논문 총 540편이다. 분석에 사용한 연구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내용의 내용분류 기준은 고선미(2000)의 유아교사관련 동향연구와 방혜경(2008)의 유아교사 장학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에서 사용된 기술적 접근법에 의한 내용분류 기준을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공통영역을 구성하고 하위영역을 다음과 같이 모두 7개 범주로 분류하여 연구내용별 분류기준을 작성하였다. ①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만을 연구한 연구, ② 교사교육과정만을 연구한 연구, ③ 교사의 행동만을 연구한 연구를 단일체계 연구로 분류하되 ①, ②, ③이 서로 연결된 연구, 예를 들면 ①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교육과정이 연결된 연구, ② 교사교육과정과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 ③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 ④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과 교사교육과정 및 교사의 행동이 연결된 연구는 연결체계 연구로 분류하였다. 둘째, 연구방법에 대한 분류기준은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양적연구, 질적연구, 양적연구와 질적 연구가 동시에 사용된 혼합연구, 기타연구(문헌연구)로 분류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이문옥 외(2006)와 최미숙, 황윤세(2004)의 연구를 기초로 검사, 관찰, 면담, 질문지, 문서로 나누어 분류하였고 표집크기는 한태숙․김연․황혜정(2002)과 박희숙(2007)의 연구에서의 분류기준에 기초하여 양적 연구표집 규모로 50명 미만, 50~100명, 101~200명, 201~300명, 301명이상으로, 질적 연구표집 규모로 1~5명, 6~10명, 11~15명, 16~20명, 21명이상으로 구분, 분류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연구절차는 다음과 같다. 동향분석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설정하고 논문분석기준표를 작성한 후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2011년 8월 30일부터 9월 2일에 걸쳐 분석대상 논문 중 단순무선표집방법으로 100개를 선정하여 분석된 내용을 논문 분석기준표에 기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분석기준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조사에서 수정․보완된 연구내용 분류와 연구 방법분류 기준에 의거하여 2011년 12월 1차 분류, 2012년 2월 2차 분류를 거쳐 최종적으로 2012년 4월 23일부터 4월 30일까지 수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자의 분류가 명확하지 않은 연구내용에 대해서는 유아교육전문가 3인에게 자문을 구하여 최종 결정을 내렸다. 자료 분석은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두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학위논문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시기별로는 1993년에 1편으로 시작해 1996년과 2004년에 감소한 것을 제외하고 2010년까지 매년 1-39편 사이로 증가하였고, 학위별로는 석사학위 논문의 수량이 519편(96.1%)으로 박사학위 논문 21편(3.9%)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속 기관별로는 행정대학원․공공정책대학원 등 기타대학원이 241편(44.6%)으로 가장 많았다. 이를 종합해보면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학위논문의 수는 증가추세에 있으며 행정대학원․공공정책대학원 등의 기타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내용의 경향은 단일체계 연구가 연결체계 연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체계 내용 중에서는 교사의 행동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에 따른 하위영역의 경향을 살펴보면, 교사의 행동범주의 하위 영역에서는 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가, 교사에게 영향을 주는 요인의 범주의 하위 영역에서는 정치적/사회적 상황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그러나 교사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고 현직 연수에만 편중되게 연구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실습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연구의 연구방법 경향에서는 연구 유형에서는 양적 연구가, 자료수집 방법에서는 질문지법이, 표집크기에 있어서는 양적 표집크기는 201-300명, 질적 표집크기 1-5명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이를 종합해보면, 어린이집 교사와 관련한 국내 석․박사 논문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교사의 행동에 관한 내용으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교사교육과정에 관한 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and to analyze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on, the daycare center teachers published in between 1991 and 2010, in order to provide some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research on this topic.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were the contents of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about? 2. What kinds of research method were use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that were associated with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selected, which were presented in between 1991, the year that the infant care and education act came into force, and 2001.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prepared by laying out classification criteria after common areas were selected and the subareas of the common areas were categorized into seven. The first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only teacher-affecting factors, and the secon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only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The third was studies that examined teacher behavior only. These three categories were defined as studies of a single approach, and there were four more categories that were defined as studies of multiple approaches. The first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both of teacher-affecting factors and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he secon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both of curriculum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eacher behavior. The third was the studies that examined all the teacher-affecting factors, curriculum and teacher behavior. Secon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pared by modifying the criteria of earlier studies to ser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tudies were classified into four according to the research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of mixing both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and literatural e study. The methods of data collection were divided into four venues: test, observ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and documentation. As for the sampling size, the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divided into five: less than 50 subjects, between 50 and 100 subjects, between 101 and 200, between 201 and 300, and 301 or more.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divided into five as well: between 1 and 5 subjects, between 6 and 10, between 11 and 15, between 16 and 20, and 21 or m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procedure: After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based on earlier studies of trend analysis, a list of the analysis criteria was made. And then a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to modify the analysis criteri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at were fin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analysis.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was employed to obtain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a pervasive trend in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number of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was on the rise. Many of the studies were conducted by those who took the master's course at graduate schools such as graduate schools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graduate schools of public policy, which were mentioned as the other sorts of graduate schools in this study. Second, regarding a trend in the content of the these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the studies of a single approach outnumbered the studies of multiple approaches. Among the former, the studies of teacher behavior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 behavior, the greatest number of the studies investigated awareness and state of educ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teacher-affecting factors, the biggest numbers of the studies examined political and social circumstances. Not many research existed on the investigated curriculum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and the studies leaned toward inservice education. Few studies investigated student teaching. Third, as to a trend in the research methods of the studie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majority in number in terms of the type of research. As for the method of data collection,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prevailing. In terms of sampling size, the most common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between 201 and 300 subjects, and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between 1 and 5. The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 domestic theses and dissertations related to daycare center teachers was on an increasing trend. Many studies examined regarding teacher behavior, and there was lack of study on the curriculums geared toward nurturing teachers. In conclusion, the quantitative studies were more dominant, and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most prevailing in terms of the method of 540 master's and doctoral theses published since the 1990s up to present . As for sampling size, the sampling size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as between 201 and 300, and that of the qualitative studies was between 1 and 5.

      •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위 논문 작성 과정 연구 : 참조 모델 활용과 조력자와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최주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1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원 과정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바탕으로 이들을 위한 학위 논문 작성 교육에 대한 교육 내용과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의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서 확인 가능한 특징이 무엇이며, 이들이 학위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 능력은 구체적으로 무엇인가? 둘째, 외국인 유학생이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셋째, 참조 모델의 활용과 조력자와의 상호작용이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관여를 하는가? 넷째, 대학원 과정의 외국인 유학생이 학위 논문 작성을 문제없이 수행해 가도록 하기 위해서 어떠한 교육 내용과 정책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하는가? 이 연구는 이상의 연구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전제로, 첫째, 학위 논문 작성의 전 과정을 학문 담화 공동체와 의사소통을 수행하는 과정이라고 상정하였고, 둘째, 학위 논문 작성 능력은 연구 수행 능력과 학술적 텍스트 구성 능력, 학술적 텍스트 표현 능력으로 구성된다고 보았으며, 셋째, 이 세 가지 세부 능력으로 구성된 학위 논문 작성 능력은 학문 담화 공동체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현된다고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특히 사례 연구 방법에서는 반구조화된 설문지 및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수행 과정을 통해 연구대상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연구 틀과 연구 문제를 구성해 나가는 질적 연구의 특성상 이 연구에서도 자료 수집을 진행해 나가는 과정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학위 논문 작성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방식을 마련해가며 연구의 초점을 확정해 나갔다. 사례 기술에 있어 주요 연구 참여자 3인을 중심으로 분석, 기술하되, 이 외에도 의미 있는 사례라 판단되었던 또 다른 연구 참여자의 자료도 분석과 기술에 보완적으로 활용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술적 글쓰기로서의 학위 논문 작성이 지닌 일반적인 특성을 밝히고 학위 논문 작성 능력을 구성하는 세부 능력들을 범주화하여 제시하였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의 학위 논문 작성에서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나는 문제를 중심으로 특징을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연구 참여자로 선정된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면담 자료와 이들이 생산한 텍스트 자료를 바탕으로 학위 논문 작성 단계에 따른 과제 처리 양상을 학위 논문 작성 능력 범주 안에서 살피고 이 과정을 추동하는 두 축인 참조 모델의 활용 양상과 조력자와의 상호작용의 양상을 고찰, 기술하였다. 학위 논문 작성 단계는 Ⅱ장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연구 준비 단계, 초고 생산 단계, 수정 및 정교화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의 과제 처리 양상을 연구 수행의 측면, 학술적 텍스트 구성 측면, 학술적 텍스트 표현 측면에서 고찰, 기술하였다. Ⅲ장 1에서 고찰한 연구 준비 단계에서의 과제 처리 양상은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는 연구 수행의 측면에서 연구 주제를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하며 초심본 생산을 준비하였다. 학술적 텍스트 구성의 측면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학술적 글쓰기 경험의 부재를 극복하는 과정을 거쳐, 학문 담화 공동체의 장르 지식을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또한 모어를 활용한 내용 지식을 형성해가며 초고 텍스트 생산을 준비하였다. 또한 학술적 텍스트 표현 능력의 부족함을 보충하기 위하여 단기 전략을 세우고, 참고 문헌의 언어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준비하였다. 초고 생산 단계의 연구 참여자는 연구 수행의 측면에서 연구 문제를 찾고 자료 분석과 관련된 과제를 처리하였고, 학술적 텍스트 구성 측면에서 정서적 문제를 다루고, 논문의 틀을 구조화하며 연구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하고 선행 연구를 기술하였다. 학술적 텍스트 표현 측면에서 표현의 제약과 맞서기도 하고 내용 생성에 유리한 언어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그리고 수정 및 정교화하기 단계에서 외국인 유학생은 연구 수행의 측면에서 연구자로서의 주체성을 자각하고 연구 결과물의 의의와 가치를 찾았다. 학술적 텍스트 구성 측면에서 내용 재구조화와 정교화를 해나갔고, 논증 과정을 거쳐 논의를 정교화하였다. 학술적 텍스트 표현 측면에서 잘못된 어휘와 표현을 수정하고 시제의 문제를 수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먼저 학문 담화 공동체의 지식 체계가 담긴 세부 전공 영역별 학위 논문을 참조 모델로 활용하며 논문 작성을 준비하였다. 특히 조력자와 면대면 상호작용의 기회가 적을 때, 일차적인 내용 생성이 필요할 때 참조 모델을 활용하였다. 그리고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서 연구 참여자들은 조력자와 상호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상호작용의 질과 양을 모두 확보해 나가는 것이 중요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조력자와의 질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연구 문제를 명확하게 인식하게 되었고, 문제 해결 방향을 알게 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조력자와의 양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상호신뢰 관계, 즉 라포를 형성하게 되었고 이는 결과적으로 연구 참여자가 연구자로서의 정체성을 강화하게 되는 계기가 되어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위 논문 작성 과정에 대한 이해가 학문 담화 공동체에서 실제적으로 실현되어야 하는 방식과 학위 논문 작성 교육 내용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위 논문 교육에 대한 정책을 학술적 글쓰기 측면과 학술적 글쓰기 환경 조성의 측면을 고려하여 제안하였다. 학술적 글쓰기 교육에 대한 지원은 워크숍과 토론, 글쓰기 전문가의 개인 지도를 중심으로, 학술적 글쓰기 환경 조성에 대한 지원은 글쓰기 집중 훈련 캠프, 글쓰기 교정 및 편집 전문가 지원을 중심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