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생의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업적 정서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신재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3

        이 연구는 중학생의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가 학업적 정서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규명함으로써 학생들의 가중되는 부정정서를 완화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7년 경기도 S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고 연구대상은 편의표본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였다. 조사는 사전에 동의를 얻은 현직교사의 협조를 통하여 총 320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313명의 설문지 중 조사 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와 불성실하게 응답한 자료로 판단한 7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306명의 설문자료를 본 연구의 자료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문항을 기초로 하였으며 이 연구에 알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 2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년, 참여종목)에 따른 참여(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3학년, 2학년, 1학년 순으로 참여기간이 길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그밖에 참여빈도와 참여강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종목(개인종목, 단체종목)에 따른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정서조절(정서의 자각, 목표일치행동,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 정서조절전략접근)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성별에 따라 정서의 지각과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목표일치행동과 정서조절전략접근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학년에 따라서는 목표일치 행동과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를 사후검증해본 결과, 목표일치 행동에서는 1학년과 2학년이 3학년보다 높게 나타났고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에서는 2학년이 3학년보다 높았지만 1학년과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서의 자각과 정서조절전략접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여종목에 따라서는 목표일치행동에서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정서의 지각,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 정서조절전략접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과제난이도 선호, 자기조절효능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 모두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학년에 따라서는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 모두에서 2학년, 1학년, 3학년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자기조절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증결과는 2학년이 3학년보다 자기조절효능감이 높았다. 참여종목에 따라서는 개인종목이 단체종목보다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고 과제난이도 선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자기조절효능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업적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가 정서의 자각, 목표일치행동,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 정서조절전략의 접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가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학업적 정서조절이 과제난이도 선호와 자기조절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중학생의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 참여는 학업적 정서조절 및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적 정서조절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을 제외한 다른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이 올바르게 학업적 정서조절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며, 방과 후 학교스포츠클럽을 수정, 보완하여 스포츠 활동을 통해서 학업적 정서조절까지 이뤄낼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메타인지를 매개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예원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meta-cognition empirically.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econd, when including meta-cognition as mediating variable, what is the effect of high school students's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For this study, 506 high school students from 3 high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A total of 470 questionnair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On the basis collected data, this study examined the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ratio metric correlation analysi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s using bootstrapping. Baron and Kenny’s 3-step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s among sub-variables and the effect of the mediating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s among the sub-variables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as the most positive influence. Second,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meta-cognition, and between meta-cogni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espectively, which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mediating effects of meta-cognition are found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e regard of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sub-variables, emotional awar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goal selection through all sub-variables of meta-cognition.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s affects all sub-variable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editating all sub-variables of meta-cognition except future plan.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an conclude the following. First, high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about the career decision is influenced not only by the reasonable and rational judgment process but also through the internal process which realize and regulate the variabl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academic situation and change them positively. The variable that is the most influential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is positive reevaluation of emotion. This shows the influential variables to increase self-efficacy for career; the awareness of one's own emotions, the efforts to deal with the emotional responses to achieve a given goal in the academic context, and the effort to shift the emotions experienced in the academic situation positively rather than the degree of ownership of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Seco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control their own emotions not only helps to predict their behavior, but also influences their understanding and control of cognition, which in turn affects career decision making. The sub-variable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which has the most effect on goal choice is the awareness of emotion. Also, the awareness of emotion is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 in goal choice when mediating the meta-cognition sub-variables, planning, monitoring, and regulation. The more students aware and understand by himself various emotions experienced in academic situations, the more they increase self-confidence to choose goals well for their own career. Third, all meta-cognitive sub-variables of plan, monitoring and regulation have an effect of mediating academic emotional control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refore, raising the meta-cognition has a meaningful effect on increas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학업상황에서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학업적 정서조절이 메타인지를 매개로 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토하고 분석하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메타인지를 매개로 할 때,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도권에 위치한 일반계 고등학교 중 3곳의 고등학생 5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완료 된 총 470부의 설문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본 연구에서는 먼저 빈도 및 기술통계, Pearson 적률상관 분석을 하였고, bootstrapping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및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Baron과 Kenny(1986)의 3단계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하위변인 간 영향관계 및 매개효과를 고찰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학업적 정서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적 정서조절 하위변인 중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가 가장 큰 정(+)적 영향력을 가진 하위변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정서조절과 메타인지, 메타인지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간에는 각각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업적 정서조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메타인지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위변인 간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정서의 자각은 메타인지의 모든 하위요소를 매개하여 목표선택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정서의 긍정적 재평가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을 제외한 모든 하위변인에 메타인지의 모든 하위변인을 매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은 단순히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판단과정의 영향이외에도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를 자각·조절하여 긍정적으로 전환하는 내적과정을 통해서도 의미 있는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다.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정서의 긍정적인 재평가로 나타났다. 이것은 학생이 학업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자각하는 것과, 주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정서적 반응을 처리하는 노력, 정서조절 전략의 소유정도보다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정서들을 긍정적으로 전환하고자하는 노력이 진로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 영향력 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학생이 학업상황에서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고 조절하는 능력은 자신의 행동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인지에 대한 이해와 조절능력에도 영향을 주어 진로결정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한다. 목표선택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학업적 정서조절의 하위변인은 정서의 자각으로 나타났으며, 메타인지 하위변인인 계획, 점검, 조절을 매개로 할 때에도 정서의 자각이 목표선택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상황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정서에 대해 학습자가 자각하고 이해할수록 자신의 진로에 대한 목표선택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계획 점검, 조절의 메타인지 하위변인 모두 학업적 정서조절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매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메타인지를 높이는 것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의미 있는 효과성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 학업적 정서조절능력,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학습관여가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

        김미은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본 연구는 학업적 정서조절능력,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학습관여가 중학생의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신도시의 중학교 3개교에서 1, 2, 3학년 340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정서조절능력,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학습관여 및 자기주도학습을 측정하였다. 학업적 정서조절능력,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학습관여가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서 Brockett and Hiemstra (2012)의 Person-Process-Context 모델(PPC 모델)에 맞추어 학습자 개인특성 요인(Person), 학습과정 요인(Process), 환경맥락적 요인(Context)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정서조절능력,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부모의 학습관여,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에서 각 변인들 간에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은 학업적 정서조절능력,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요인인 숙달접근목표 및 수행접근목표, 숙달회피목표,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행회피목표, 부정적 학습관여는 유의한 수준에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각 예언변인들이 자기주도학습에 대해 가지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델 1에서 학업적 정서조절능력은 37.1%만큼 자기주도학습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였다. 모델 2에서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은 자기주도학습을 32.1%만큼 추가로 설명하였다. 마지막 모델 3에서 부모의 학습관여는 추가적으로 설명력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생 자녀의 자기주도학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부모의 직접적인 학습관여보다는 자녀의 정서조절능력과 성취목표지향성을 개발하도록 돕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하며, 이에 중학생 자녀를 키우는 부모의 바람직한 역할을 위한 부모교육 연수 혹은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o this end, 340 students in the 1st, 2nd, and 3rd grades at 3 middle schools in the new city of Gyeonggi-do were measured for their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heir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order to verify the influence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parental learning involvement on self-directed learning,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by sequentially inputting learner's Person(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s), Process(learning process factors), and Context(environmental context factors) according to the Person-Process-Context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mastery approach goal and performance approach goal, mastery avoidance goal, and positive learning involvement of parents. In addition, self-directed learning did not correlate with performance avoidance goals and parents' negative involvement in learning at a significant level. Secon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confirm the relative influence of each predictive variable on self-directed learning,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in Model 1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directed learning as much as 37.1%. In Model 2, academic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dditionally explained self-directed learning by 32.1%. In Model 3, parental involvement in learning showed no additional explanatory pow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self-directed learning of middle school children, it is necessary to focus on helping the child'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rather than the parent's direct involvement in learning. Therefore, we discussed parent education training or paren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desirable role of parents raising middle school children.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학업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검증

        박종열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343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부모의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업적 정서조절의 차이를 확인하고,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부모의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적 정서조절의 매개적 역할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라북도 익산시(중소도시)와 전주시(대도시), 정읍시(소도시) 등 3개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인문계 남, 녀 각 1개 고등학교, 남녀 공학 2개교 등 1~3학년 고등학생 총 406명(남학생 203명, 여학생 203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변인, 고등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업적 정서조절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방법으로 수집한 연구 자료를 사회과학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4.0와 AMOS 24.0을 사용하여 연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들의 일반적 경향성,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부모의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 성별에 따른 부모의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업적 정서조절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별에 따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지지와 학업적 정서조절은 차이를 보이는 반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분석 결과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업적 정서조절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학업적 정서조절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성숙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의 지지는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지지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경로와 간접경로, 간접경로와 총 경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학업적 정서조절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향하는 직접 경로와 총 경로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 학업적 정서조절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학업적 정서조절은 진로성숙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업적 정서조절은 부모의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제까지 부모의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관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부모의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을 연구하거나 학업적 정서조절을 매개로 한 사례는 많지 않다. 이 연구는 부모의 지지 중요성을 인식하고, 고등학생 자녀가 지각하는 부모의 지지가 높을수록 학업적 자기효능감뿐 아니라 진로성숙도도 높을 것이라는 추론을 기반으로 출발하였다. 학업 상황에서 학업적 정서조절이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과 학업적 정서조절이 부모의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과 학업적 정서조절이 부모의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어떻게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밝힌 바와 같이, 부모의 지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는 학업적 정서조절이 부분 매개로 작용함을 확인하였으나, 진로성숙도에는 매개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요즘 우리 사회에서 고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부모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자녀의 진로를 계획하기보다는 조금 더 나은 대학 진학이라는 단기적인 목표에 집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정보는 고등학생 자녀를 둔 부모 교육 관련 프로그램 운영에 유용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intermediate role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in the process that parents support recognized by high school student exerts an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by gend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urveyed a total of 406 (203 male and 203 female) freshmen, sophomores, and seniors in high school such as one man's high school, one women's high school and two coeducational high schools located in Jeon-ju(large-sized city), Ik-san(medium-sized city), and Jeong-eup(small-sized city), Jeollabuk-do Province, Republic of south Korea. The survey questionnaires are composed of various scales including demographic variables, parental suppor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e researcher analyzed subj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eral tendency of the variables and structural relations by loading the collected into the social statistics program SPSS 24.0 and AMOS 24.0 to see i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has th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in parent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by gender of the high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Research found that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in parental support perceived by students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depending on their gender. However, there are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i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parental support recognized by the students h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lso, as for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it has a meaningful effect on academic self-efficacy, but it does not meaningful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in terms of parents' support, analysis shows that it has the greatest effect on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while it does not greatly effect career maturity. Finally, other findings are that direct route, indirect route, and total route of parental support to academic self-efficacy,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Both direct route and total route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that goes to academic self-efficacy also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s so that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has a meaningful results so that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has a partial mediated effect. However, it h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and consequently research shows that it has not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the parental support and the career maturit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rental support,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but there are not many studies targeting at high-school students. This study has been started based on the inference that perceived by importance of parental support, the higher the support of parents perceived by their high-school students are, the higher their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fluence affected by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in academic situations, the researcher verified the mediation effect of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on the parental support, the academic self-efficiency, and the career maturity. From all these findings of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hows partial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support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but it has not mediation effect on the career maturity. This shows that most of parents who are taking care of high-school students in Republic of South Korea, are focusing on the short-term goal to make their children enter the prestige college rather than to plan their children's career plan with a long-term perspective.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run programs for parents education with high-school students.

      •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이 성지식,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시경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1

        사회적·기술적 변화의 흐름에 온라인 교육에 대한 새로운 공감대가 형성되고 교육 분야의 디지털 전환은 성교육에서도 사회적 요구를 반영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면 학습과 달리 온라인 학습 환경은 교사와 분리된 공간에서 자율적으로 학습 과정을 스스로 통제해야 하므로 능동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이 중요하다.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성공적인 학습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 중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을 선정하여 효과적인 온라인 성교육의 교육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경기도 Y 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154명을 대상으로 6주 동안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을 시행하였다.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을 마친 후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 성지식, 성태도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성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별, 학업적 정서조절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성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업적 정서조절,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콘텐츠 활용중심 온라인 성교육에서 성별,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적 정서조절은 성지식과 성태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온라인 성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거나 교수학습전략 방안에 성별 특성을 고려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정서조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성교육 콘텐츠 설계 시에는 온라인 학습 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학습자 스스로 학습 과정을 통제할 수 있도록 명시적인 학습 안내가 제시되고 콘텐츠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는 학습 장면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자기효능감과 학습 정서조절에 주목하고 긍정적인 자기인식과 정서를 표현하고 상황에 적합한 정서조절 능력을 신장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온라인 학습은 미래 사회 변화에 대비하고 위험요인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므로 지속될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다. 앞으로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건강한 성문화 정착을 위해 온라인 성교육의 방안과 교육적 요소에 대해 고민해보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A new consensus on online education was formed, and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education field raised the need to reflect social needs in sexual education. Unlike face-to-face learning,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requires autonomous control of the learning process in a space separated from the teacher, so ac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s important. This study started as an attempt to find an effective online sexul education educational method by select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mong the learner factors that affect successful learning performance in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o this end, content utilization-centered online sexual education was designed, and content utilization-focused online sexual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54 students in fifth grades in Y-city, Gyeonggi-do for 6 weeks. After completing online sexual education, data on academic self-efficacy,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gender,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were collected and subjected t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eriv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affecting sexual knowledg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in the order of academic self-efficacy, gender,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that affect sexual attitude, significant influences were found in the order of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gender, and academic self-efficacy. As a result of the abo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affect both sexual knowledge and sexual attitude in content utilization-centered online sexual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an online sexual education program or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strategies that can improve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by considering gender characteristics i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When designing sexual education content, explicit learning guides should be presented and content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learners can control their own learning proces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the school field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earner's self-efficacy and learning emotion regulation appearing in the learning scene, express positive self-awareness and emotions, and improve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Online learning can be predicted to continue as it can prepare for future social changes and efficiently cope with risk factors. Efforts to consider online sexul education measures and educational elements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establish a healthy sex culture in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environment.

      •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

        김명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334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on the use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mprovemen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upp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the ADDIE model.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Q1] What is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pper grade? [Q2] Is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effective in using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pper grade? [Q3] Is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effective in enhanc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pper grade? In this study, five stages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the ADDIE model were passed to systematically develop the academic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In the ‘Analysis’ stage, teaching goals were identified through demand analysis, learners and learning situations were analyzed, and teaching analysis was performed. In the ‘Design’ stage, performance goals were stated and evaluation tools and teaching strategies for each session were developed. The teaching strategy for each session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supplementing the activities of the existing emotion regulation program. In the ‘Development’ stage, PPT for teachers, instructional plans, and workbooks for students wer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field use.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developed through the above process was implemented for 57 students in the 6th grade of 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angseo-gu, Seoul. The 28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organize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onducted 11 sessions of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and the 29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during the same period. To verify the quantitative effec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re-post tests from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the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OVA) were performed using the Jamovi statistical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qualitative effect, open coding was conducted using the Target program after collecting student session participation logs, teacher observation logs, post-testimonials, and interview data.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rough this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learning program for upp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appropriate to reach the program goal.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student session participation log, teacher observation log, and student's program activity evaluation data,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s used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or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d that they perceived the program positively. Second,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y learning program parti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utiliz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OVA) of the pre-post 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post test scores of the overall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havioral, and experiential strategies were not significant. The difference in the post test scores of the cognitive strategies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Third, the academic emotion regulation strategy learning program parti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test and analysis of covariance(ANOVA) of the pre-post test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in the post test scores of overall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ion efficacy, and self-confidence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in post test scores for task difficulty pre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program was developed systematically by using the ADDIE model, the field utilization was increased by reconfigur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the program was structured to learn behavioral, cognitive, and experiential strategi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als with emotional regulation in academic situations. Through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upper grade will be able to utilize variou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academic situations and enhance their sense of self-efficacy. 본 연구의 목적은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한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전략 활용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은 어떠한가? 둘째,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정서조절전략 활용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ADDIE 모형의 분석(Analysis),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실행(Implementation), 평가(Evaluation)의 5단계를 거쳤다. 분석 단계에서는 요구 분석을 통한 교수 목표 규명, 학습자 및 학습 상황 분석, 교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 수행 목표를 진술하고, 평가 도구 및 회기별 교수 전략을 개발하였다. 회기별 교수 전략은 기존의 정서조절 프로그램의 활동을 수정 및 보완하여 개발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현장 활용도를 고려하여 교사용 PPT와 지도안, 학생용 워크북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개발된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은 서울특별시 강서구에 소재한 N초등학교 6학년 5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행하였다. 실험집단 28명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11회기의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29명은 같은 기간 동안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양적 효과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자료를 수집한 후 자모비(Jamovi)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공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질적 효과 검증을 위하여 학생 회기 참여 일지, 교사 관찰 일지, 사후 소감문, 면담 자료를 수집한 후 타게트(Tagett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개방형 코딩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자료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대상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의 내용 및 구성이 프로그램 목표에 도달하기에 적절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학생 회기 참여 일지, 교사 관찰 일지, 학생의 프로그램 활동 평가 자료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이 프로그램 참여 이후 정서조절전략을 보다 많이 활용하게 되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는 응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정서조절전략 활용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t검정 및 공분산분석한 결과, 전체 정서조절전략, 행동적, 체험적 전략의 사후검사 점수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 인지적 전략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셋째,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를 t검정 및 공분산분석한 결과, 전체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의 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집단 간 과제 난이도 선호의 사후검사 점수 차이는 유의미하였다. 본 연구는 ADDIE 모형을 활용하여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 성취기준 재구성으로 현장 활용도를 높였다는 점, 행동적, 인지적, 체험적 전략을 고루 학습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했다는 점, 특히 학업 상황에서의 정서조절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학업적 정서조절전략 학습 프로그램을 통하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학업 상황에서 다양한 정서조절전략을 활용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안미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3340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가? 둘째,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학생 416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학습몰입을 알아보기 위해 석임복과 강이철(2007)이 Csikszentmihalyi의 몰입 요소에 근거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학습몰입 척도를 사용하였고,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을 알아보기 위해 김종백과 김남희(2009)가 개발하고 박민혜(2013)가 사용한 학생-교사 애착관계도구를 사용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김아영과 박인영(2001)이 개발하고 김아영(2002)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고, 정서조절을 알아보기 위해 김소영과 김진숙(2011)이 개발한 아동용 정서조절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둘째, 정서조절은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과 학습몰입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다. 즉 초등학생의 교사 애착이 학습몰입을 높일 때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의 높을수록 초등학생의 학습몰입 역시 더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학습활동에 몰입하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인 중 교사 애착의 영향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면서, 초등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기 위한 담임교사의 인식 개선 및 협조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을 높이기 위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의 중요성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학습몰입은 학습활동에서 즐거움과 행복을 경험하게 하여 학교생활 적응 및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로 작용하므로 초등학교 시기의 학생들이 학습몰입을 통해 긍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수 있도록 돕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교사와 학생 간에 친밀하고 공감하는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환경 조성 및 상담 개입의 필요성과 학습몰입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정서조절을 높이기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의 다양한 접근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정서조절 촉진 교수설계 원리 개발

        이명자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3340

        최근 미래사회의 역량으로서 컴퓨팅 사고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컴퓨팅 사고력은 논리적, 절차적 사고를 실천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생활과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컴퓨팅 사고력을 확대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학습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이 복잡하여 학습자에게 인지 부담이 가중되면서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소프트웨어 교육 전문가들은 게임 위주의 협업 학습과 문제해결을 통해 학습자가 중단 없이 학습에 집중하는 교육적 대책에 초점을 맞춰왔다. 그러나 공교육에서 컴퓨팅 사고력과 연계된 교과과정이 확대되면서 보다 효과적인 교육방식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초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는 프로그래밍, 실생활에서의 실용화 등 소프트웨어 교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래밍과 알고리즘을 모르는 학습자들은 기본적인 문법과 구조를 이해하는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들은 이로 인해 학습 초기 단계에서 프로그래밍에 대한 동기를 잃기 쉽거나 프로그래밍에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셋째, 소프트웨어 교육에 대한 학습자의 막연한 두려움이 학습의 장애물로 나타날 수 있다. 컴퓨팅 사고력을 위한 정보교육의 주요 목표는 프로그래머를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정보과학의 내용을 이해하고 미래사회에서 요구하는 필요한 정보기술을 갖추는 것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 자체에만 치중하는 학습과 달리 컴퓨팅 사고력을 키우기 위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제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두려움과 자신감 부족에 따른 과정 포기로부터 학습자를 보호할 수 있는 체계적인 수업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학습자가 컴퓨팅 사고력을 강화하기 위해 정서조절을 촉진할 수 있는 설계 원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목표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정서조절 촉진을 위해 개발한 설계 원리의 구성은 타당한가? 둘째, 개발된 설계원리는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학업적 정서조절, 학업적 자기효능력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학습자의 정서조절 수준은 학습자의 컴퓨팅 사고력, 학업적 정서조절,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절차로 수행되었다.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정서조절 촉진 설계 원리를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문헌 고찰과, 타당화를 위한 전문가 타당화 검토 및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후 정서기반 교수설계전문가,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전문가, 프로그래밍 전문가 7인에게 세 차례의 전문가 타당화 검토를 진행하였고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 설계 및 수업 수행 경험이 있는 초등교육 교사 3인이 사용성 평가에 참여하였다. 외적타당화는 서울시의 초등 방과 후 아카데미 학생 중 수업 참여에 동의하는 A구, B구에 4~6학년 7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긍정적 정서조절을 유도 설계 원리를 적용한 프로그램을 10주간 10회(회당 60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전통적 방식의 소프트웨어교육 프로그램을 동일회기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컴퓨팅 사고력 증진을 위한 설계 원리로 ① 정서적 친숙감의 원리, ② 흥미의 원리, ③ 긍정적 기대의 원리, ④ 알고리즘 학습의 원리, ⑤ 긍정적 피드백의 원리, ⑥ 협력적 프로그래밍 및 의사소통의 원리, ⑦ 성찰적 사고의 원리가 제안되었다. 또한 각 설계 원리를 구현함에 필요한 총 18개의 세부 지침이 개발되었다. 현장적용 결과, 본 설계 원리는 교수자가 컴퓨팅 사고력 증진 학습을 체계적으로 설계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적합한 설계 원리임을 검증하였다. 교육 적용 후 대응표본 t검정에서는 컴퓨팅 사고력(t=0.59, p=0.000), 학업적 정서조절(t=2.38, p=0.023), 학업적 자기효능감(t=2.94, p=0.006)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으며, 이원공분산분석에서는 학업적 정서조절(F=11.34, p=0.001), 컴퓨팅 사고력(F=1.86, p=0.000)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실천적 의미를 컴퓨팅 사고력 증진 학습의 교수설계 측면과 실천전략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후속연구로는 설계 원리의 효과에 대한 다각적인 실증 연구, 컴퓨팅 사고력 학습 평가 연구의 필요 논의하였으며, 구현 방법에 따른 교수‧학습 설계 원리에 대한 연구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아동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전진숙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3310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적응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적응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중간보다 더 높은 수준이었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별로는 교우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규칙, 교사관계, 수업태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적응적인 전략이 부적응적 전략보다 높게 지각되었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신감이 가장 높게 지각되었고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선호 순으로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적응 전체에 대해서는 자기조절 효능감, 적응적 전략, 자신감, 주관적 경제수준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사관계는 적응적 전략,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학년 순으로, 교우관계는 적응적 전략, 주관적 경제수준, 자신감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다. 수업태도에서는 자기조절 효능감, 자신감, 적응적 전략과 과제난이도 선호, 학년 순으로, 학교규칙은 자기조절 효능감, 주관적 경제수준,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와 적응적 전략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셋째,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하위변인인 적응적 전략은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와 같은 대인관계 영역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태도와 학교규칙과 같이 주어진 틀 안에서 생활해야하는 영역에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 효능감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생 아동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학교생활적응과 그 하위요인을 예측하는 설명변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학교현장에서 실질적인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에게 체계적인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