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혜인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과 박혜인 지도교수 김종운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업소진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으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부모학업성취압력,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업소진,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남에 소재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 여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35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학업소진, 학교생활적응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학업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고 학교생활적응과는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다.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학업소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고 학교생활적응은 유의미한 부적 상관이 있다. 둘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학업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학업성취압력은 학업소진의 하위요인인 불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문제형 의사소통은 학업소진의 하위요인인 무능력과 반감, 탈진, 냉담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학교생활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개방형 의사소통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담임교사 적응과 교우관계 적응, 학교규칙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의 하위요인인 문제형 의사소통은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학습활동 적응과 학교행사 적응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을 예방하고 학교생활적응을 높이는 데 부모학업성취압력과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학업소진과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모학업성취압력,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관련된 전문화된 부모교육이 필요하며, 고등학생의 조화로운 학교생활적응을 위해서 개인 내적, 가족, 환경적 자원이 모두 고려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다.

      • 초등학생의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영실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생에게 요구되는 과중한 학업요구가 학업소진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해봄으로써 학생들의 학업소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학업소진에 대한 예방 및 개입 전략을 세우도록 하며, 학업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변인으로서의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극적으로 자아존중감을 증진할 수 있는 여러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기, 인천, 서울, 충청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개의 초등학교 6학년 아동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학업과다척도와 학업소진척도,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5.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기초분석으로써 각 척도의 하위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와 척도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변인들(학업요구, 학업소진,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과중한 학업요구와 학업소진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자아존중감의 효과에 관한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검증을 실시하였고 연구모형의 적합도와 잠재변인 간 경로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과다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유의한 중간 정도의 부적상관을 보였다. 즉 학업요구가 과중할수록 자아존중감은 낮아진다는 의미로, 과중한 학업요구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게 되면 자아존중감이 낮아져, 학업과다와 자아존중감 간에 강한 부적인 상관을 갖는다. 둘째, 학업과다와 학업소진은 유의한 중간정도의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는 학업요구가 많을수록 학업소진은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학업소진과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유의한 중간 정도의 부적상관을 보여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소진이 낮아지고, 자아존중감의 수준이 낮을수록 학업소진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과중한 학업요구는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과중한 학업요구는 직접적인 경로와 간접적인 경로 모두를 통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중한 학업요구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이 확인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부모의 학습관여유형과 실패공포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윤희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학습관여유형과 실패공포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청소년의 학업소진을 감소시키는 지도방안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의 중학교에서 1~3학년 학생 총 44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학습관여 유형 척도, 실패공포 척도, 학업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 방법으로는 일원배치분산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의 학년별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학습관여유형에서 일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모의 자녀학습방식 존중(3학년>2학년>1학년), 학업성과압력(1학년>2학년>3학년)에서 학년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학습관여유형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모의 학습관여의 하위요인 중 학업성과압력은 학업소진에 대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정보제공 및 조언은 학업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성과압력이라는 부모의 부정적 학습관여가 학습정보제공 및 조언을 포함한 부모의 긍정적 학습관여 보다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학습관여유형이 실패공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업정보제공 및 조언, 자녀 학습방식 존중은 실패공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과압력은 실패공포에 대해 유의미한 정적 영향이 있어서 청소년이 부모의 학업성과압력을 높게 지각할수록 실패공포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실패공포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부모의 학습관여유형과 실패공포를 동시에 투입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실패공포는 학업소진에 대하여 높은 정(+)적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에 비하여 부모의 학습관여유형은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낮게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의 학습관여유형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실패공포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실패공포의 부분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공포를 매개로 하여 부모의 학습관여유형이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때 학업소진을 더 효과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소진의 원인으로 실패공포라는 새로운 변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학생의 학업소진을 감소시키려면 부모의 학습관여라는 환경적 요인보다 개인의 심리적 특성인 실패공포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끝으로 위의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and fear of failure perceived by adolescents on academic burnout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supporting teaching methods to reduce adolescents’ academic burnout. To verify it,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 scale, fear of failure scale, and academic burnout scale were employed to total 445 first to third graders attending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capital area. As major analysis methods, one-way ANOVA,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were u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ed up as below: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differences among the major variables by grades,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 partially. There were differences found by grades in parents’ respect for children’s learning styles (3rd grade>2nd grade>1st grade) and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1st grade>2nd grade>3rd grade). Seco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on academic burnout,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exert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burnout, and learning information provision and advice indicated negative effects on academic burnout. Also, parents’ negative learning invol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influences academic burnout more than parents’ positive learning involvement including learning information provision and advice.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f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on fear of failure, academic information provision and advice as well as respect for children’s learning styles do not influence fear of failure significantly.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exert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fear of failure, so we can say that as adolescents perceive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more, their fear of failure gets bigger.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nducting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by inputting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and fear of failure both to see the effects of fear of failure on academic burnout, fear of failure exerts highly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burnout. On the contrary,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exert relatively lower influence.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failure in correlation between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and academic burnout, fear of failure exerts significant and partial mediating effects. Explaining the effects of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types on academic burnout with the mediation of fear of failure is even more effective to explain academic burnou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new variable of fear of failure as a cause of academic burnout. It implies that to reduce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burnout, it is more important to overcome fear of failure, one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psychology than parents’ learning involvement, on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Lastl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author present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scusses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대처반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정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대처 반응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과 부산 지역에 거 주하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509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각 변인 간 의 상관을 알아보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해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수집한 자 료는 SPSS 21.0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 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회피적 대처반응, 학업소진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근적 대처반응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는 정적 상관, 학업소진과는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으나 학업스트레 스와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이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업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회피적 대처반응을 많이 사용하며, 회피적 대처반응을 많이 사용하는 아동은 학업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접근적 대처반응을 많이 사용하는 아동은 학업소진을 경험할 가능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대처반응과 학업소진의 선행요인 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반영한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결과, 학업스트레스, 사회부 과적 완벽주의, 접근적 대처반응, 회피적 대처반응이 학업소진을 설명하는 정도 는 69.2%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학 업소진의 관계에서 대처반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접근적 대처반응과 회 피적 대처반응은 모두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접근적 대처반응→학업소진, 사회부과적 완벽주의→회피적 대처반응 →학업소진에 이르는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만, 사회부과적 완벽주 의가 학업소진에 이르는 직접적인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아 사회부과적 완벽주 의와 학업소진 간의 관계에서 대처반응이 완전매개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이 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학업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대처 반응이 매개 변인으로 기능할 때 학업소진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학업스트레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대처반응, 학업소진 간의 구 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이 연구는 전 적으로 아동의 자기보고에만 의존했고, 횡단적인 자료수집에 그쳤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고 학업소진을 방지하기 위 해 대처반응에 초점을 둔 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도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

        박진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지지, 자기조절학습동기, 성취목표지향성이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5개 고등학교의 고등학생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업소진은 부모의 자율성지지, 자기조절학습동기, 성취목표지향성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조절학습동기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고등학생 자녀의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수행접근목표와 수행회피는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부모의 자율성지지가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 수준에 따라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고등학생이 학업소진을 조절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의 숙달목표를 높일 수 있는 보다 효과적인 개입방법을 모색하고, 자기조절학습동기와 성취목표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과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burnout, and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ths students’ academic burnout . For the study, 437 students from five high schools based in Seoul were survey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ademic burnou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arents' autonomy support,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has a moderating effect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rd, the achievement goal of performance-approach goal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Four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mastery-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had no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parents' autonomy support and students' academic burnout.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effect of parents'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academic burnout may vary depending on students'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this respect, the study has discussed limitations and the needs to find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s that can increase self-regulated learning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f performance-approach goal that can control the academic burnout of students.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다중매개 변인 분석

        진윤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를 거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다중적 영향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은 부산시 인문계 고등학교 5곳을 선정하여 재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수집은 고등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한 후 직접 기입하도록 하고, 총 630부 중 612부를 회수하여 19부를 제외한 593부를 최종분석하였다. 측정 도구는 학업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 척도를 사용하였고 통계분석은 Process Macro V3.5, SPSS 24.0 및 AMOS를 이용하여 단일, 이중, 다중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업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변수 간에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의 단일매개를 분석한 결과,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에 부(-)의 영향을, 자기효능감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학업스트레스는 학업소진에 정(+)의 영향을, 학업소진은 심리적 안녕감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학업스트레스는 사회적지지에 부(-)의 영향을, 사회적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영향에서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 학업소진과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과 학업소진의 이중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 사이에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지지는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을 완화하여 심리적 안녕감 증진에 이중 매개역할을 하였다. 셋째,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간에는 부(-)의 영향이 나타났으며,자기효능감과 학업소진의 이중매개를 분석한 결과, 학업소진은 사회적지지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은 사회적지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소진이 낮으면 사회적지지가 높아지고,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를 극복하는 매개역할에 기여하였다. 넷째, 학업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 학업소진, 사회적지지의 다중매개를 분석한 결과, 두 변수 사이에 순차적 다중매개 기능이 나타났다. 사회적지지는 심리적 안녕감의 설명변인으로, 학업소진은 사회적지지의 설명변인으로, 학업소진은 자기효능감의 설명변인으로 다중매개 기능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순차적 매개효과는 기존연구에서 부분적으로 입증될 뿐 다중매개 효과검증은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밝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변수 간의 단일, 이중, 다중매개 역할을 통합적 모형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기존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또한, 다중매개 효과를 통해 심리적 안녕감이 높아지는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특히 청소년기 고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은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한 변수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밝혔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바라며, 청소년의 행복을 위해 학업소진을 예방하는 교육예방활동, 학습상담, 미술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성취 압력과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에 미치는 영향

        설점숙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성취압력과 완벽주의, 학업소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독립변인이 종속변인인 학업소진에 미치는 예측력과 상대적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2곳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320명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불성실하게 작성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250부를 최종적으로 연구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상관분석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이 학업소진의 4개 하위요인 중 반감을 제외한 무능감, 탈진, 냉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의 성취압력은 학업소진 하위변인 모두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학업소진 하위영역 모두에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반감, 탈진을 제외한 무능감, 냉담에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교사성취압력과 부모성취압력의 하위변인인 시간관리, 완벽주의 하위변인 중 자기지향 완벽주의가 학업소진의 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소진에 가장 많은 영향을 준 예측변인은 교사성취압력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 하였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observ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ssures of accomplishment from parents and teachers, academic burnout of high school students, and perfectionism, as well as to show the mediated effects of perfectionism. To do this, data was collected from 360 students of two grades from two humanities high schools in Busan. From this, 250 data sets were ultimately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llected data was summari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the following. First, there were notabl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pressures of accomplishment and, with the exception of hostility, three of the four subfactors of academic burnout (inadequacy, hostility, exhaustion, indifference). There were notable static correlations between pressures of accomplishment from teachers and all four aforementioned subfactors (inadequacy, hostility, exhaustion, indifferenc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burnout displayed static correlation; howev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did not display a correlation with the aforementioned subfactors, with the exception of indifference. Second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sures of accomplishment from parents and teachers and academic burnout, self-oriented perfectionism was shown to be partially mediated. With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s well as opportunitie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과 특성 : Q방법론 적용

        박예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Q방법을 적용하여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과 특성을 탐색하고, 유형을 판별하기 위한 사정도구인 Q블록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은 어떤 유형으로 분류되는가? 둘째,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별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 유형 Q블록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46명의 일반계 고등학생으로, 한국형 학업소진척도를 통해 선별되었다.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1단계 Q모집단 구성단계에서는 선별검사 결과 기준점수(60점) 이상 상승한 12명의 일반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예비 및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추가적으로 문헌분석을 통해 429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모집단을 구축하였다. 2단계 Q표본 선정단계에서는 진술문 4단계 분류과정을 거쳐 총 51개의 진술문을 선정하였다. 3단계 P표본 선정단계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선별검사 점수분포를 고려하여 Q분류에 참여할 34명의 P표본을 선정하였다. 4단계 Q분류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강제분포분류방법에 따라 Q표본을 동의하는 순서대로 11점 척도의 Q분류도에 분류하였다. 5단계 자료처리 및 분석 단계에서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Q연구 결과 도출된 유형을 분류하기 위한 사정도구인 Q블록을 개발하기 위하여 학업소진 유형별 대표문항을 선정하였고, 최종적으로 4개의 학업소진 Q블록을 개발하였다.분석 결과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일반계 고등학생의 유형은 총 5개로 도출되었다. 학업소진 유형 1은‘경쟁형’으로, 높은 학업성취를 위해서라면 학업소진을 감수해야한다고 생각하지만 짜증이나 분노와 같은 부정정서와 경쟁심을 크게 느끼는 유형이다. 유형 2는 ‘의미상실형’으로 학업의 가치나 의미를 내면화하지 못하여 학업에 대한 동기가 매우 낮은 유형이다. 유형 3은 ‘기능감퇴형’으로 신체적 탈진과 인지적 기능의 저하를 경험하고 우울, 무가치감과 같은 정서적 어려움을 호소하는 유형이다. 유형 4는 ‘두려움형’으로 자신의 과거 성과를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다가오는 미래에 대한 심한 불안을 느끼는 유형이다. 유형 5는 ‘위축형’으로 친구들과 자신의 성적을 비교하며 자존감이 낮아지고 우울, 자괴감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하는 유형이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학업정서 문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학업소진 현상의 구체적 내용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니고,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소진을 유형화하고 각각의 독특한 특성을 확인함으로써 유형별로 차별화된 상담 개입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실제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업소진 유형을 빠르게 사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 Q블록을 개발함으로써 본 연구 결과 확인된 5개의 학업소진 유형을 양적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적 측면의 의의를 지닌다.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학교급과 계열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업소진의 경험을 탐색함으로써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들과 차이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학업소진의 단일 측면에 대한 구체적인 탐색 연구를 진행해봄으로써 본 연구결과에 대한 보다 명확한 해석이 추가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특정 시점과 상황에서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데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학업소진을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