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업중 교사의 언어습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임효진 전남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이 인지한 수업중 교사의 언어습관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생이 인지한 수업중 교사의 학생 중심적인 언어습관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학생이 인지한 수업중 교사의 교사 중심적인 언어습관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를 위해 학생 중심적인 언어습관에 대해 세가지 하위변인요소 즉 학생을 칭찬하는 언어, 학생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언어, 학생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우려는 언어를 설정하여 연구하였으며, 교사 중심적인 언어습관에 대해 세가지 하위변인요소 즉 학생을 비난하고 꾸짖는 언어, 학생에게 일정한 행동을 요구하는 지시적인 언어, 교사자신의 지위유지를 위한 자기지원적인 언어를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설문검사는 광주와 전남에 있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 10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 Weinstein, Marshall, Brasttesani, Middlestadt가 공동 제시한 설문내용을 윤순홍이 번안하여 재구성한 질문지와 박순희, 김진훈의 논문을 참조하여 제작한 것이다. 통계처리 Paired T-test와 McNemar test 방법을 사용했으며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생 중심적인 언어습관의 첫 번째 하위변인요소인 학생을 칭찬하는 언어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둘째, 학생 중심적인 언어습관의 두 번째 하위변인요소인 학생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언어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생 중심적인 언어습관의 세 번째 하위변인요소인 학생의 문제를 해결하고 도우려는 언어는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높은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 중심적인 언어습관의 첫 번째 하위변인요소인 학생을 비난하고 꾸짖는 언어는 학업성취도에 낮은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교사 중심적인 언어습관의 두 번째 하위변인요소인 학생에게 일정한 행동을 요구하는 지시적인 언어는 학업성취도에 낮은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교사 중심적인 언어습관의 세 번째 하위변인요소인 교사자신의 지위유지를 위한 자기지원적인 언어는 학업성취도에 낮은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수업중 교사의 학생 중심적인 언어습관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높은 영향을 미쳤으며, 수업중 교사의 교사 중심적인 언어습관은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낮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teachers' linguistic habits.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how do the students-centered linguistic habits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lass? Second, how do the teachers-centered linguistic habits influence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class? Three sub-variables of the students-centered linguistic habi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language of speaking highly of students. Second, there was the language understanding and receiveing students. Third, there was the of language helping the students' to problem solving. Another three sub-variables of the teachers-centered linguistic habi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the language of speaking ill of students. Second, there was the language of demanding some fixed behaviors to student. Third, there was the language of supporting themselves to maintain their posi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mposed of 100 fir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Kwang-ju city and Chonnam province. And measuring instruments were Yoon Soon-hong's questionaires(1988) that translated and reorganized the contents by Weinstein, Marshall, Brasttesan and Middlestadt and that were consulted and reproduced by Park Soon-hui(1992) and Kim Chin-hun(1994). The data were analized by the paired T-test and McNemar te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language speaking highly of students had an influence on high academic achivevment. Second, the language understanding and receiving students had an influence on high academic achivevment. Third, the language helping the students' solve problemsd had an influence on high academic achievement. Fourth. the language speaking ill of student had an influence on low academic achievement. Fifth, the language demanding some fixed behaviors to students had an influence on low academic achievement. Sixth, the language supporting themselves to maintain their position had an influence on low academic achievement. As a result, it comes to the conclusion that the students centered liguistic habits in class had an influence on high scholastic attainment. But, the teacher-centered liguistic habits in class had an influence on low academic achievement.

      • 재한 무슬림 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수도권 일부 대학 무슬림 유학생을 중심으로

        한가용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교육부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외국인 유학생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재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해 다양한 관심을 보이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학업에 관한 논의가 제일 많다. 그러므로 현시점에서는 외국인 학위과정 유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가 되고 있다. 학업성취도는 학교생활은 물론이고 대학 이후의 직업 선택 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낮은 학업성취도는 졸업 이후의 취업과정에서도 경쟁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원하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어려움과 좌절을 겪을 수 있다. 또한, 한국에서 외국인 유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관한 기존 연구는 중국인 유학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다른 유학생, 특히 무슬림 유학생들에게 관심이 적다. 이 연구는 수도권 일부 대학의 학위과정에 있는 이슬람 국가 출신 무슬림 유학생들을 조사 대상으로 설정하여 설문 조사를 진행함으로써 어떤 무슬림 유학생의 학업성취도가 더 좋은가에 초점을 두고자 하였다.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1) 본국의 요인과 한국내의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2) 경제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규명하였다. 상기한 두 가지 연구문제를 교차하면 "한국의 사회적 요인", "한국의 경제적 요인", "본국의 사회적 요인"과 "본국의 경제적 요인" 등 4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실증분석을 통하여 연구 결과는 대체로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좋은 무슬림 유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좋은 무슬림 유학생들이 유학생활에서 더 많은 정신적 지원, 물리적 정보와 새로운 기회를 받을 수 있어 개인의 학업성취에도 도움이 된다. 둘째, 한국에 있는 비무슬림 친구들과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좋은 무슬림 유학생의 경우 학업성취도가 가장 좋다. 학업성취도가 가장 좋은 재한 무슬림 유학생들은 무슬림-동포권(Muslim-Compatriot Circle)에서 벗어나 사교생활이 동포권에만 얽매이지 않고 다른 문화권 친구들과의 교류를 선호한다.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s gradually increasing in the South Korea,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South Korean education ministry. Korean society is showing various interests in adapting foreign students to school life, however among them, there are many discussions about their studies. Therefore,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study factors, such as factors that affect the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s an important factor affecting not only school life but also job choices after college. Low academic performance can also be difficult and frustrating to choose a job you want, as it is less competitive in the post-graduation job process. In addition, the previous study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foreign students in South Korea focuses on Chinese students and is less interested in other students, especially Muslim students. The study focused on which Muslim students from Islamic countries are better at academic performance by setting up a survey on Muslim students in the degree courses of some universities in the Seoul Capital Area. As factors affecting academic performance, (1) whether factors in the home country or in South Korea will have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2) whether economic or social factors will have a relatively significant effect. Crossing these two research issue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social factors in South Korea", "economic factors in South Korea", "social factors in the home country" and "economic factors in the home country".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generally as follows. First, for Muslim students with the best social networks in South Korea, academic performance is the best. Muslim students with good social networks in South Korea can receive more mental support, physical information and new opportunities in their study life, which also helps individuals' academic performance. Second, for Muslim students with the best social network with non-Muslim friends in South Korea, academic performance is the best. Muslim students with the best academic performance prefer to break away from the Muslim-Compatriot Circle, where social life is not tied to the rights of compatriots, but exchanges with friends from other cultures.

      • 경기 북부지역 중학교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

        김희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경기 북부지역 중학교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평가 계획, 평가 내용과 방법, 평가 결과 기록 및 활용으로 나누어 알아보고, 교과 시간에 장애학생 통합 여부에 따른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비교·조사하여 학업성취도 평가가 상대적으로 중요해지는 중등학교에서 나타나는 평가에 따른 문제를 개선하고 통합교육을 가속화시키는 방안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북부 지역 12개 중학교의 일반교과 담당교사 103명을 대상으로 하여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묻는 설문지를 배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평가의 절차에 따라 체계적인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계획 단계에서 소수의 교사만이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평가계획을 수립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내용 및 방법에서는 평가조정이 이루어 지지 않은 채 일반학생과 동일한 내용 및 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가 결과 기록 및 활용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교사가 장애학생에 대한 평가 결과를 따로 점검하고 분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 결과에 대한 활용 역시 매우 제한적이었다. 둘째, 중학교 일반교사들의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학업성취도 평가 실태를 담당교과 시간에 장애학생 통합 여부에 따라 비교한 결과 정기고사 평가조정과 통지표에 제공되는 정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과시간에 통합이 이루어지는 경우 평가조정이 이루어지는 비율과 통지표에 제공되는 정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외에는 평가계획, 평가내용과 방법, 평가결과 기록 등에서 담당교과 시간에 장애학생 통합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되어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여야 한다. 평가 지침은 평가 과정이 교육평가의 기본절차에 따라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평가 본래의 기능에 충실하도록 돕는다. 따라서 평가 계획단계부터 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단계까지 평가의 전 과정이 연계될 수 있는 국가 또는 시·도 단위의 구체적인 시행지침이 있어야 한다. 둘째, 통합학급 학업성취도 평가 관련자들의 평가 협력을 촉진하는 역할 분담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연구 결과, 통합학급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 관계자들은 평가 과정에서 제한적으로 협력하거나 장애학생의 교과별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책임을 통합학급 담임, 특수학급 교사와 공동 평가주체라고 반응하여 장애학생이 평가의 사각지대에 놓일 개연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평가에 있어 교사들 간에 평가 주체와 평가 협력자에 대한 인식 부족을 보여주는 것으로 관련자들의 평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평가 과정에서 특수학급 교사, 일반교사, 평가 업무 담당자, 학교 관리자, 교육청 관계자 등의 효율적인 역할 분담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통합학급 장애학생에 대한 평가 방법을 개선하여야 한다. 연구 결과 교수영역과 평가영역의 불일치로 인해 장애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없으며, 장애학생의 학업 능력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장애학생의 특성을 고려하고 일반학생과의 형평성에 어긋나지 않는 합리적인 평가조정 방안, 평가 기준, 평가 유형, 평가결과 처리 방법 등을 개선하여야 한다.

      •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학생 및 교사변인들의 비선형 영향 분석 :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 모형의 적용

        박혜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교육학 분야에서 활용하지 않았던 다변량 적응 회귀 스플라인(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 이하 MARS)모형을 적용하여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변인 및 교사변인을 탐색하였으며 또한 탐색된 변인들의 비선형적 영향관계를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향후 교육학 연구에서의 MARS 기법의 활용을 제안하고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 및 과학 과목의 학업성취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본 연구의 분석에는 국제학업성취도 TIMSS 2015의 우리나라 중학교 2학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MARS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에 대한 제한적 가정 없이 학생의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새롭게 탐색하였다. 둘째, 탐색된 변인들의 비선형적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탐색된 각각의 독립변인마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변화되는 지점인 변곡점(inflection point)을 중심으로 명료하고 직관적인 해석을 제시하였다. 셋째, MARS 모형을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 및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개선방안 등을 제안하고 몇 가지 측면에서 주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얻은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과목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부과하는 숙제는 내용 점검 차원의 숙제 혹은 같은 형식의 반복적인 숙제보다는 숙제를 통해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적절한 난이도와 양을 고려한 숙제여야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더해 학생들이 숙제하는 시간을 통해서 창의력을 개발하는 동시에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숙제를 부과할 수 있도록 교사의 지속적인 고민과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수학교사의 평가활동과 관련하여 교사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피드백 전략을 고민해야 한다. 교사의 지속적인 피드백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항상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 오는 것은 아니므로 학생이 숙제에 몰입할 수 있도록 피드백의 강약 조절도 필요하다. 또한 피드백 방식에 따라 효과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교사는 학생이 수행한 결과물에 대해 관심을 표명하고 이를 통해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만 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MARS 모형을 통해 기존 선행연구에서 규명하지 못했던 자료의 비선형성을 탐색하고 해석하여 기존 연구에서의 선형성 가정이 갖는 한계점을 개선함으로써 보다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In this study, the multivariate adaptive regression spline(MARS) model, which has not previously been utilized in pedagogical studies, was applied to explore student variables and teacher variables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nonlinear influences of those variables were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MARS techniques in future educational studies, and it provides data as a basis to improve the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The study used TIMSS 2015 data regarding second-year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This study is import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First, by using MARS techniques, we explored variables that affect students' mathematical and scientific academic achievement without limited assump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econd, we identified nonlinear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explored variables, and presented clear and intuitive interpretations around inflection points, where the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changes for each independent variable. Third,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MARS model, we propose teaching and learning measures for improving mathematics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and we derive key implications in several respects. The main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 First, mathematics homework can be improved by considering the appropriate level of difficulty and quantity, thereby develop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effective homework rather than through content-checking or repetitive exercises. In addition, teachers' continuous concern and effort are required to develop creativity through homework tasks that motivate students to learn. Second, mathematics teachers should consider effective feedback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Since continuous feedback from teachers does not always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eachers should also control feedback intensity so students can immerse themselves in their homework. In addition, since effectiveness may depend on how feedback is given, teachers should express interest in students’ outcomes, and develop strategies to improv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ffectively. This study explores and interprets data nonlinearities that have not been identified in prior studies: it employs MARS model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linearity assumptions in existing studies, resulting in more meaningful outcomes.

      •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강효숙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업성취에 미치는 변인들 중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의 두 가지 변인이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여 중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생의 학년 수준에 따라서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습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셋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넷째, 중학생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다섯째,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학습태도는 과목별 성취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중학교 1, 3학년 638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으며, 검사 도구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검사, 학습태도 검사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사용하여 t검정, 상관분석,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1학년생과 3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는 학년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중학교 1, 3 학년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의의 있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모두의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 요인 중 자신감은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지 못했다. 셋째, 중학교 1, 3 학년생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상관 분석한 결과, 모두 의의 있는 정적 관련성을 보였고, 1학년의 경우 국어, 수학, 과학 교과에서 주의집중이 높을수록, 학습방법이 긍정적일 수록, 영어와 사회교과에서는 학습방법이 긍정적이고, 자율학습이 많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아지는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학년의 경우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교과에서 주의집중이 높을수록, 자율학습이 많을수록 성적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면 중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태도는 학업성취와 긴밀한 관계를 가지고 상호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학교 현장에서 중학생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실시하고,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을 위한 지도가 이루어진다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s aim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ttiude on middle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t could provide basic resources for improving achieve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set up: First, does the learning attiude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vary according to their school grades? Second, does the learning atti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ny relationships with self-efficacy ? Third, do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ny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s? Fourth, do learning atti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any relationships with academic achievement? Fifth, how do learning attiude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ffect academic achievement? The 638 1st and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selected for this study. The questionnaires on the students' learning attiudes and self-efficacy are emloy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a SPSS 19.0 program, and t-test AC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earning attiude and self-efficacy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not actua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chool grades. Second,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generally, showed meaningful direct correlation. It is confirm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has a direct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the subjects of: Korean, Math, English, Social study and Science. However, there is no direct correlation between self-confidence a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academic self-efficacy that is meaningful. Third, a direct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attiude and academic achievement of 1st and 3rd grade students was shown in a meaningfully way. In the case of fresh men, the following was discovered : the more they concentrate and study in an ideal way, the more they achieve in Korean, Math, and Science. In the case of 3rd grade students, the following was discovered : the more they concentrate and study on their own, the more they achieve in Korean, Math, Social study, Engilsh and Science. As stated above, it is identifi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and learning attitude closely interact with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cademic achievement will improve if various activities to enhance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and appropriate guidance and instructions to build positive learning attitudes.

      • 다층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분석

        서원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학생수준 및 학교수준 변인들 간 관계를 다층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즉, 학생수준 변인인 자아개념, 메타인지, 진로성숙도, 스트레스, 수업태도와 학업성취도 간 구조적 관계를 설정하고 학교수준 변인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지역 간 연계, 학교교육활동과 학업성취도 간 다층구조적 관계를 설정하여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개발원에서 수집한 한국교육종단연구 패널데이터(KELS)를 활용하였다. 여러 종단 연구자료를 구축한 패널데이터는 한국청소년 패널(KYPS),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서울시교육청 패널(SELS), 부산시교육청패널(BELS), 경기도교육청패널(GEPS) 등이 수행되어 오고 있으나, 한국교육종단연구 패널데이터는 학업성취도 변인이 수직척도 점수로 포함되어 있으면서, 국가수준 대규모 패널데이터임에 있어 이러한 종단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게다가 본 연구자는 2020년 11월 경 연구계획서를 한국교육개발원에 제출하여 박사학위 논문으로 연구자료를 활용해도 된다는 연구승인을 2020년 12월 경 받았으며, 그때 당시 최근 데이터인 2013 한국교육종단연구 데이터 중 5차년도 데이터(2018)을 제공받아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데이터에서 활용한 연구대상은 전국 중학생 6,518명과 교장 혹은 교감인 1000명이었으나, 5차년도까지 중학생의 전학, 학교수준 데이터가 결측, 학생의 응답이 불성실하여 데이터를 제거하여 최종 연구대상은 중학생 5,368명, 학교수준 교장 교감의 데이터는 954명이었다. 이러한 최종 연구대상을 활용하여 다층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하여 연구목적을 규명하였다. 각각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어 학업성취도에 관한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한 결과, 학생수준의 독립변인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p<.05)한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자아개념은 국어 학업성취도에 정적 영향을 주었고, 수업태도, 진로성숙도, 진로성숙도, 메타인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 같은 결과는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수업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진로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할수록, 메타인지 수준이 높을수록 국어 학업성취도가 증진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스트레스는 국어 학업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시험스트레스나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중학생이 인지하는 경우 국어 학업성취도는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학교수준 변인 중에선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국어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지역간 연계교류와 학교교육활동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즉, 중학교가 지역간 연계교류가 활성화되거나, 학교교육활동의 변화를 도모할수록 중학생의 국어 학업성취도의 긍정적 전이를 이끌어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수학 학업성취도에 관한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한 결과, 학생수준 변인들은 메타인지를 제외하고 자아개념, 진로성숙도, 수업태도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수학업성취도에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수업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진로에 대해 고민할수록 수학 학업성취도가 증진됨을 의미한다. 반대로 스트레스는 수학 학업성취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수학 학업성취도가 증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학교수준 변인 중 전문적 학습공동체와 지역 간 연계교류는 수학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학교교육활동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가 학교교육활동의 변화를 도모할수록 중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의 긍정적인 전이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영어 학업성취도에 관한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한 결과, 학생수준 변인들 중 자아개념, 수업태도, 진로성숙도, 메타인지는 영어 학업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의미는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지닐수록, 수업태도가 좋을수록, 진로에 대한 고민이 많을수록, 메타인지를 많이 할수록 영어 학업성취도가 증진됨을 의미한다. 반대로 스트레스는 영어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험스트레스 및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중학생일수록 영어 학업성취도는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학교수준 변인 중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영어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지역간 연계교류와 학교교육활동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학교가 학교교육활동의 변화를 도모할수록, 지역간 연계교류가 활성화되어 있을수록 영어 학업성취도는 증진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다층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학생차원 학교차원 변인들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었으며, 연구결과로서의 함의와 교육현장에서의 중학생 학업성취도를 증진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농촌과 도시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비교

        박주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농촌지역 초등학교 6학년 69명과 도시지역 초등학교 6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동시에 실시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와 그 학생의 자기효능감 설문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 지역 초등학생과 도시 지역 초등학생 모두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으면 자기효능감도 높고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자기효능감도 낮았다. 즉 지역에 관계없이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농촌 지역의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도시 초등학생들에 비하여 조금 낮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도 농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도시 초등학생들에 비하여 약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은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농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도시 초등학교 학생들보다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이 낮았다. 그러나 학업성취도가 같은 수준의 학생들은 지역에 관계없이 자기효능감의 수준도 같았다.

      •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생 학업성취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지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성취도의 지역 간 격차는 어느 정도 존재하는가?' 라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하였다. 학업성취도 자료 분석과 학업성취도에 따른 거주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사회.경제적 변수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학력고사 자료를 표집하여 분석하고 거주지 동별로 지도화하였다. 그리고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 자료를 검토,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 자료를 가지고 거주지 특성과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왜 그런 관련이 나타나는지를 연구관련 주요지역에 대해 현지답사를 실시하여 해석하였다. 부모의 학력과 수입, 교육지원 정도, 학생의 학교생활, 부모와 친밀도, 통학거리, 통학 시 교통수단 등의 변수를 가지고 거주지 동별로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유성구, 서구의 각 동이 중구, 대덕구, 동구의 각동의 학업성취도에 비해 언어, 수리, 외국어,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 지역격차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통학거리 보다 통학 시 교통수단이 무엇인가에 따라 학업성취도 격차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통학거리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교통수단 중 임대승합이나 자가용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부모의 학력이 높고 수입이 많을수록, 부모와 친밀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학력과 수입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넷째, 문화시설이 많은 지역은 학업성취도가 높았고, 자녀를 동반하여 문화체험 활동을 많이 하지 못한 부모의 학생들은 학업성취도가 낮았다. 그리고 학생들은 학교 교사와의 친밀도 보다 친구와의 관계를 중요시 하였고 성적향상에 친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외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초 학력 보충 때문이라고 답하였으며, 학부모들은 교육격차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 학생의 기초.기본 학력이 부족하여서라고 답하였다. 자녀교육비는 가정수입을 고려하여 알맞게 지원하고 있었다. 대전시 동.서의 거주지 간 학업성취도 격차는 교육 및 문화시설을 균형있게 배치하면 완화될 것이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대전시 전체 동을 대상으로 한 획일적인 교육정책보다는 거주지 동별로 부족한 시설을 보충하고, 보완해 갈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이 한다면 대전시의 공간적 학업성취도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This study began with a inquire, 'what extent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residential areas exis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ademic achievement data,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in connec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various socio-economic elements. For this study, achievement test data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c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residential areas were mapped based on district. A set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to students and parents of Daejeon city general schools and survey resul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With academic achievement data, the rel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and key elem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reasons of such relation were analyzed through on-site survey on the researched areas. In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various elements such as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supporting ability of parents, student's school life, intimacy with parents, transportation distance, and transportation means were studied in connection with residential distri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Yuseong-gu and Seo-gu were higher than those of Jung-gu, Daeduk-gu and Dong-gu in the subject of language, mathematics, foreign language, society, science, and achievement gap between residential areas showed very severe. Second, achievement gap showed higher in terms of transportation means, rather than transportation distance.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the relation between transportation dist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s hig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o are using rental bus or private car were high, and this result showed the importance of socio-economic background. Third, academic achievement were showed high when parents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ore income, and close intimacy with children. Specially.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of parents were influenced very much for academic achievement. Four, the area where have sufficient cultural facilities showed high academic achievement, but students who have parents enjoying little cultural activities with children showed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showed that intimacy with friends are very importance rather than school teachers, and friends are influenced deepl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e principal reason that students are doing out-of-school studies was to elevate their poor fundamental scholastic. Educational expenses were supported properly in proportion to family income.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east and west area in Daejeon city will be reduced i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are arranged in balance. To reduce regional gap of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nsufficient facilities of each regions, rather than uniform education policy over Daejeon city. With these activities, spatial academic achievement gap of Daejeon city will be highly reduced.

      • 객관적·주관적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추소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육 정책의 결과가 미진하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중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이 하락하고 있다. 우수학력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보통학력 비율과 기초학력 비율은 감소했다. 동시에 기초학력미달 비율은 증가하여 교육격차가 심화되었다. 교육부는 정책적·법령적 노력을 통해 학업성취수준 하락 현상을 개선하고자 계속 노력해왔으나 가시적인 성과는 여전히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의 연관관계를 찾아 기초학력를 향상시키고 두 가지 학업성취수준을 지원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 구별의 개념화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구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정요인, 개인요인, 학교요인, 사교육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7개년 중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표본 기간은 2015년으로, 중학교 3학년 시기였다. 총 145개의 문항 중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측정한 10개 항목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가정요인, 개인요인, 학교요인, 사교육요인을 측정한 135개 항목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으로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이르는 4가지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로를 분석하고 찾았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분석한 결과, 학교요인과 개인요인은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교육요인은 객관적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객관적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는 역경로의 영향보다 약 6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으로 5가지의 유효한 경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경로는 객관적 학업성취도가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직접효과)이다. 두 번째는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직접효과)이다.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의 상호적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세 번째 경로는 학교요인이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거쳐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간접효과)이다. 네 번째 경로는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통한 사교육요인이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간접효과)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경로는 개인요인이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통해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경로(간접효과)이다. 본 연구는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서로 매우 밀접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학업성취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적 지원과 심리·정서적 지원의 복합 노력으로 두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력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여, 현재 시행 중인 학업성취도 향상 프로그램인 협력교사제, 두드림 학교, 학습종합클리닉센터의 정책 강화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초학력 보장법안 통과를 위한 입법적 노력과 더불어 교육수준에 관계없는 공평한 지원을 위한 학교의 노력으로 학생의 객관적·주관적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