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습자 특성과 학습일지의 직무교육 효과 분석

        김동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내의 직무교육은 지난 50년간 많은 변화가 있었다. 과거 직무교육은 급격한 경제 발전에 따라서 기업의 경영성과나 생산의 효율성 등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다. 하지만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정보통신의 발달과 인터넷의 대중화 등의 영향으로 직무교육도 많은 부분 변화했다. 또한, 안드라고지(Andragogy)의 등장과 발달로 학습자가 학습에 있어서 주도적으로 변화했다. 학습자 스스로 학습의 필요성을 느껴야하고, 학습자가 주도하는 형태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학습자가 학습에 만족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직무교육에서도 ‘학습자 중심교육‘이나 ‘자기주도 학습’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교육에서 이러한 자기주도 학습의 실천적 방안으로 학습일지를 제시하였다. 학습일지란 학습자가 정해진 학습기간이나 학습범위 내에서 본인이 학습한 내용을 기록하는 기록물의 성질과, 학습을 통해서 깨달은 바를 기록하는 성찰물의 성질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일지가 학습효과를 촉진한다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직무교육 상황에서 학습일지 사용유무와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서 어떠한 학습효과를 도출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교육에서 학습일지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되었다. 기존 연구결과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직무교육에서 학습일지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자의 연령, 근무기간, 학력의 세 가지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요인과 학습일지의 학습효과가 어떤 인과적 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직무교육에서 학습일지를 활용할 경우 학습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교수-학습 설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습자 연령과 학습일지의 사용유무는 직무교육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학습자의 근무기간과 학습일지의 사용유무는 직무교육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학습자의 학력과 학습일지의 사용유무는 직무교육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 학습자 특성과 학습일지 사용유무에 따른 학습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직무교육에서 학습일지의 작성과 학습자의 연령과의 인과관계에서 학습자의 연령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학습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연령과 학습일지 작성 유무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교육에서 학습일지의 작성과 학습자의 근무기간과의 인과관계에서 학습자의 근무기간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근무기간과 학습일지 작성 유무의 상호작용 또한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교육에서 학습일지의 작성과 학습자의 학력과의 인과관계에서 학습자의 학력에 따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학력과 학습일지 작성 유무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일지를 현업에 적용하거나 관련한 추가적인 연구를 설계할 때 학습자가 학습일지를 활용한 직무교육의 학습방식에 대하여 충분히 인지하고 학습할 준비가 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직무교육에서 학습일지의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습자의 연령, 근무기간, 학력을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학습자의 성별, 집단의 구성, 학습자의 동질성 등과 같은 다양한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비교해 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는 특정한 집단에 대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특정한 연구대상에 국한하여 진행할 경우 다양한 집단별 특수성을 전부 반영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업이나 다양한 직무분야에 적용한 연구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 웹 상에서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문제중심학습모형의 구현 및 효과 분석

        유순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의 하나인 PBL과 웹과의 결합이 실제 우리 교육현장에 적용·구체화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PBL의 학습원칙 및 전개과정을 이론적 바탕으로 하여 웹 상에서 PBL모형을 구현하고자 한다. 구현된 PBL모형은 학습자들이 PBL 학습원칙에 따라 학습할 수 있는 환경과 학습환경의 재구성 및 학습자의 학습상황을 관리하기 위한 환경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구현된 PBL모형의 타당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해 보고 PBL모형에 대한 학습자 및 교사의 반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현된 PBL모형을 실업계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적용하였다. 이들은 제시된 문제를 조별 토론을 통해 해결하고 조별 보고서를 작성하여 제출하였다. 학습 종료후 선다형 문항과 서술형 문항의 평가를 실시했으며 교사와 학습자의 반응조사를 위하여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또한 웹상에서 PBL에 의한 학습이 학업성취에 효과적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동질적인 비교집단을 구성하여 전통적 수업방법으로 수업을 실시하였다. 먼저 구현된 학습모형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PBL의 학습원칙과 전개과정에 따라 학습을 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 타당성을 검증해보고 학습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과정을 분석하였다. 학습과정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웹 상에서 PBL모형을 이용한 학습에서 학습내용 습득의 가능성을 보였으며, 학습자들은 개별학습과 조별 협동학습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였고, 교사는 촉진자, 동료 학습자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었다. 또한 성찰노트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수업방법에 따라 학업성취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T-Test 결과 웹 상에서 PBL모형에 의한 학습방법과 전통적 수업방법간에는 선다형 문항의 학업성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그러나 서술형 문항의 학업성취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즉, 서술형 문항의 학업성취에 있어서는 웹 상에서의 PBL방법이 전통적 수업방법보다 학업성취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웹 상에서 PBL모형을 이용한 학습에 대하여 학습자들과 교사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처음에는 어려움을 겪었지만 학습방법에 긍정적이었다. 그리고 조별 협동학습이 문제 해결에 효과적이며, 본 학습모형이 개별학습 및 조별 협동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교사들은 학습환경의 재구성 및 학습자들의 학습상황 파악이 가능하였고, 개별학습 및 조별 협동학습이 가능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지속적인 학습으로 학습 효과가 기대된다고 하였으며, 현재 실시하고 있는 수행평가와의 연계 가능성에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웹 상에서 PBL모형을 이용하여 효과적인 학습환경을 구성할 수 있으며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학습모형을 이용한 학습이 학교 현장에서 가능할 것이라 생각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웹 상에서 구현된 PBL모형이 학교현장에서 적용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조건은 웹이 가지는 특성 및 PBL의 학습원칙에 대한 정확한 이해이며 교사와 학습자의 의식의 변화이다. 그리고 더 다양한 기술적 지원이 필요하며, 이러한 방식에 의한 수업을 한 학기 이상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여 우리가 기대하는 학습효과를 나타내는지에 대한 연구결과가 제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finding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combination between PBL, one of constructive teaching-learning models, and the web can be materialized in our real educational situation. To do this, this study emphasizes on implementing PBL model on the web, based on learning principles and the development process of PBL. The implemented PBL model is composed of the following: the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can learn according to the learning principles of PBL, the environment to reconstruct learning environment and manage the learners' learning situation. And then, this study tries to verify the validity of implemented PBL model and its effect on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finally to find out learners' and teachers' reaction to the PBL model. In this study, implemented PBL model was applied to commercial high school students. Students solved the given problems through group discussion and turned in group reports. After class ended, students were evaluated through multiple-choice questions and predicative questions. Additionally, this study surveyed teachers and students to find out their reactions. To verify if learning through PBL model on the web was effective on learning achievement or not, class was developed to another comparative group of same quality by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his study analyzed learners' learning process to verify if implemented learning model could be applied to learners' learning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learning principles and development process of PBL, and to discover that implemented PBL model could bring about the effect of learning.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earning process, it was shown that learners were able to acquire learning contents in learning through the PBL model on the web. Also, it showed that students solved the problems through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and that a teacher carried out a role as an accelerator or a co-learner. Especially, the reflective journal showed that learners' attitude to learning changed positively. To discover whether teaching method resulted in a meaningful difference on learning achievement or not, a T-Test was take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Test,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insignificant meaningful differences between PBL learning method and traditional learning method in learning achievement to multiple-choice questions(p>0.05). However,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arning achievement to the predicative questions(p<0.05). Consequently, the learning achievement to predicative questions was shown higher in PBL method than in traditional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learners' and teachers' reaction to the learning through PBL model on the web, it is shown that learners have much difficulty in learning at first, but they are positive to learning method. It shows that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is effective to problem solving, and that PBL model is equipped with the environment for individual learning as well as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It is shown that teachers are able to reconstruct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know learners' learning situations. Teachers' response shows that individual learning and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are possible. They also respond that they can expect learning effect through continuous learning. They show positive attitude to the possibility that PBL model can be related to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As a result, this study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on the web through PBL model, and that learning effect can be expected. This result also displays that the learning through PBL model is possible in real educational situation. There are precedent conditions for PBL model implemented on the web to be applied in school: The Exact understanding of the web's characteristics and the learning principles of PBL, and the change of learners' and teachers' consciousness. In addition, various technical support is needed and by developing classes through PBL model to the various learners for over a semester, the result of study will have to show if PBL model can bring out the desired learning effect.

      •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실재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문정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인과모형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이러닝에서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학습실재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이러닝에서 학습실재감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넷째, 이러닝에서 학습실재감은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효과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첫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수실재감은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와, 이러닝 학습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습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자기조절학습능력도 학습실재감, 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성인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실재감에 학습실재감은 학습효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이러닝 학습환경에서 성인학습자의 학습효과에 미치는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습실재감의 영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독립변인으로, 학습실재감을 매개변인으로, 그리고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한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 학습실재감 간에는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실재감과 학습효과의 하위요인인 인지된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 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학습효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이러닝 환경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학습실재감에 대해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교수실재감, 이러닝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밝히고, 학습효과에 대한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학습과정의 질적 변화를 도모하기 위한 설계전략을 도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 규명

        이영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내에서 원격대학은 이러닝의 발전으로 활성화되어 2010년 현재 19개 학교 중 15개 학교가 4년제 학사학위 취득이 가능한 고등교육기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원격대학에서 학생 규모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이러닝을 통해 우수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하여 많은 의구심이 제기되어 왔다. 원격대학 이러닝을 통해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교수학습이 가능해지기 위해서는 개별 학습자에게 최적화된 교수 환경이 요구된다(박인우, 2004, 신명희, 2002). 이를 위해 원격대학에 재학 중인 개별 학습자에 주목하여, 효과적인 이러닝을 위해 보유해야 하는 주요 특성으로 강조되고 있는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을 도출하였다. 또한, 원격대학에서 교수자와 학습자가 수행하는 교수학습 과정에서의 역할 및 활동과 관련된 개념으로서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에 대하여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인지된 학업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인과 모형은 어떠한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전략이 교수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넷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교수 실재감이 학습효과(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다섯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전략과 교수 실재감은 학습자 특성(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학습효과(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2010년 2학기에 서울 소재 S 원격대학교에서 “사이버학습의이해” 교과목을 수강하는 학습자 73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일부터 10월 17일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이버학습의이해” 수업은 동영상 기반의 이러닝 콘텐츠를 통한 내용 습득, 학습관리시스템(LMS)를 통한 학습참여 활동으로 이루어졌다. 2010년 9월 초부터 4주 간 이러닝을 거친 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누락되거나 불성실한 사례 48부를 제외한 684부를 분석대상으로 활용하였다. 이론적 모형에 대한 적합도 분석 결과 CFI만이 .91로 좋은 적합도를 보여서 자유모수의 추가를 통해 적합도를 높이는 방법으로 모형을 수정하였다. 수정된 연구모형에 대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거쳤으며, 그 결과에 의하면, 가설에 의해 설정된 총 7개 경로 모두 유의도 .0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롭게 설정된 자기주도적 학습 → 인지된학업성취도, 자기주도적 학습 → 학습만족도, 자기주도적 학습 → 학습지속의향 경로가 유의도 .001 수준에서 유의한 경로로 추가되었다. 최종 모형에 대한 모형적합도 검증 결과는 x²=1104.289, df=196, CFI= .92, TLI= .90, RMSEA= .08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의 요인들은 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직접&#8228;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첫 번째 연구문제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학습전략, 교수 실재감, 학습효과(인지된 학업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의 관계에 대한 가설적 인과 모형은 어떠한지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모형적합도 검증 결과가 양호한 수준(x²=1104.289, df=196, CFI= .92, TLI= .90, RMSEA= .08)으로 나타나 가설적 인과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자 특성(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학습전략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습목표 지향성은 학습전략(β = .340)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t= .059, p< .001), 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습전략(β = .376)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 .121, p< .001). 또한,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학습전략(β = .155)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 .033, p< .001). 세 번째 연구문제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전략이 교수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습전략은 교수 실재감(β = .655)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 .035, p< .001). 네 번째 연구문제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교수 실재감이 학습효과(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교수 실재감(β = .472)은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t= .050, p< .001), 교수 실재감(β = .367)은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t= .052, p< .001), 교수 실재감(β = .377)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 .067, p< .001). 다섯 번째 연구문제인 원격대학 이러닝에서 학습전략과 교수 실재감은 학습자 특성(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과 학습효과(인지된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에 대한 분석을 위한 부트스트랩 방식(bootstrapping)의 검증 결과에 따르면, [1]학습목표 지향성은 학습전략과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ab=.121, p=.003), 학습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며(ab=.103, p=.003),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b=.136, p=.004). [2]자기주도적 학습은 학습전략과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ab=.223, p=.002), 학습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ab=.190, p=.005),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b=.251, p=.005). [3]컴퓨터 자기효능감은 학습전략과 교수 실재감을 매개로 하여 인지된 학업성취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고(ab=.043, p=.003), 학습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며(ab=.037, p=.004), 학습지속의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ab=.048, p=.004). 본 연구에서는 원격대학 이러닝을 통해 우수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학습자 특성 분석 결과를 수업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맞춤형 교수 환경을 구현을 위해서는 학습목표 지향성, 자기주도적 학습, 컴퓨터 자기효능감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개인별로 제시하고 분석 결과를 원격대학 이러닝 콘텐츠와 학습관리시스템(LMS) 상에 반영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수업 전에 학습자 특성 분석 결과를 개별 학습자에게 피드백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맞춤형 가이드를 개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습자 특성 분석 결과를 학습관리시스템(LMS) 상의 학습자 정보 유형으로 저장하여 구분함으로써 학기 개시 후 수업 운영에 활용할 수 있다. 둘째, 학습목표 지향성 수준, 자기주도적 학습 수준, 컴퓨터 자기효능감 수준에 부합하는 여러 유형의 콘텐츠를 제작한 후 제공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간과 비용을 많이 투입해야 하고, 수준별 설계 역량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쉽지 않을 수 있으나, 콘텐츠 모듈화 및 학사 관리의 유연화를 통한 대안을 모색하였다.

      • 학습동영상 자막이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박영선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컴퓨터와 인터넷을 매개로 이루어지는 인터넷 교육방송의 학습동영상에 사용하는 자막의 활용이 활성화 되어 있는 현실에 비해 자막활용이 학습효과 극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제작자들의 노력이 미흡한 현실이다. 자막활용의 목적이 학습효과 제고임에 분명함에도 학습동영상 제작 현장에서는 자막에 관한 전문지식이나 이론적 배경 없이 단순 디자인만을 고려하여 제작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최근 UCC를 통한 동영상 콘텐츠가 인터넷을 뜨겁게 달구는 등 각종 정보통신기기를 통한 다양한 종류의 동영상 콘텐츠가 봇물을 이루고 있는 현실에 비춰 학습동영상 또한 그 수요가 대폭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학습효과 제고를 고려한 학습동영상과 이에 포함된 자막량과의 관계를 심도있게 다루지 못한 학계의 연구와 밑받침이 부족한 현실에서 학문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서 본 연구의 목적과 의미를 부여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① 학습 동영상의 자막 유ㆍ무에 따른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가? ② 학습 동영상에 내재된 자막의 양이 수용자의 기억과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가? 위 연구문제에 대한 실험과 검증을 위해 실험설계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 동영상 강좌를 학습한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자막에 대한 노출유무 및 자막의 양에 따른 학습효과를 측정하고 통계적 유의미성을 확인함으로서 연구 문제를 검증한다. 학습 동영상은 기업경영 현장에서 직원들의 중요역량으로 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되어 있는 ‘리더십’에 대한 이론 강의를 내용으로 약 8분 분량으로 제작하였으며, 자막량에 따라 동영상1(무자막), 동영상2(동영상1에서 강사의 강의내용 대부분을 내용 자막으로 편집, 다자막), 동영상3(동영상2에 포함된 자막의 양을 50%로 축약 편집, 중자막)으로 만들어 학습동영상 내용에 부합되는 집단과 학습내용과 무관한 집단으로 나누어 동영상1, 동영상2, 동영상3을 각각 시청하는 것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통해 살펴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동영상의 자막 유ㆍ무에 따른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둘째, 학습 동영상에 내재된 자막의 양이 수용자의 기억과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동영상 내용에 부합되는 집단과 학습내용과 무관한 집단 모두 자막이 있는 집단이 자막이 없는 집단보다 높은 정답률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자막의 양이 많은 것보다는 적당한 양이 내재된 학습 동영상을 시청한 집단에서 기억과 이해에 대한 정답률이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그밖에 학습 내용에 대한 통제변인인 성별, 군경험은 기억과 이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변인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자막이라는 시각효과는 단서종합적 접근법과 인지용량의 한계적 접근법이라는 두 가지 접근법의 카테고리 안에서 접근하여야 하며 수용자에게 학습효과를 제고시키기 위한 적정 임계치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자막을 포함하는 학습동영상 제작 현장에서는 자막량의 적절한 통제를 통해 학습자들의 기억과 이해를 용이하게 할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학습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교육현장에서 이론적 배경없이 사용하고 있는 자막활용을 실증적인 방법론을 통해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제한점인 실험물의 조작과 보완을 통해 좀더 다양하고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학습동영상에 포함된 자막량의 적정 임계치에 대한 연구는 학습효과 극대화를 위한 매우 의미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In the learning activity, despite of the present condition in which the subtitle in moving picture, especially through Internet is revitalized, it is said that the producers are not trying to consider utilizing the subtitle and optimizing learning effectiveness. They have a tendency to produce moving pictures considering only visual design without knowledge or theory for the subtitle putting aside the importance of that for learning effectiveness. Especially, in view of fact that recent UCC, one of the moving picture contents heats Internet and various moving picture contents were inundated from all kinds of telecommunication devices, the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also is supposed to be required much more than now.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grope the scientific alternative plan in the poor situation of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which is not sufficiently studied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and the quantity of the subtitle in that to figure out learning effectiveness. Research questions for the study are as follows : ① Does the subtitle in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affect the learning effectiveness? ② Does the quantity of the subtitle affect memorizing and understanding ability of subjects? In order to answer these two question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verifies the hypothesis after measuring learning effectiveness of the subjects by the appearance of subtitle in the moving pictures and quantity of that and check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 Three type of the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were made, moving picture 1(about 8 minutes, leadership lecture without subtitle), moving picture 2(moving picture 1 with the edited subtitle during on leadership lecture, long subtitle), moving picture 3(50% reduced edited subtitle during from the moving picture 2, medium subtitle) respectively and showed to the groups adjusted to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other groups not adjuste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12.0 statistic package. Results ara as follows : First, the subtitle in the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is significant on learning effectiveness statistically. Second, the quantity of the subtitle in the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is also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to the memorizing and understanding ability of subjects. Regardless of the groups adjusted to the learning contents and the other groups, people who see the subtitle give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nd appropriate quantity of the subtitle is measured to help give high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than large quantity to the groups adjusted to the learning contents. Sex,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s a control factor for the learning contents is turned out not to be the factors for memorizing and understanding ability of subjects Through the analyzed result, the subtitle, visual effect, should be accessed by two method categories, the ‘cue-summation theory’ and ‘limited-capacity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and shows the necessity of the critical figure to promote learning effectiveness. So in producing the moving picture for education including subtitle, adequate control for the quantity of the subtitle is needed to help subjects memorize and understand. The research is meaningful when it comes to the point that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subtitle which is used without special theory in the place where the education is held. Next researches should be more diverse and vigorous through complementing this research’s restrictions on experimental set-up and the research for the critical figure of the best quantity of the subtitle will be a very useful one to optimize the learning effectiveness.

      • 初等數學에서 構成主義 授業 戰略에 의한 學習效果 分析

        최석형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의 교수-학습 이론은 새로운 과학기술과 정보에 대한 빠른 선택과 능동적인 교육활동을 모티브로 하는 구성주의로 대표되는 주관주의적 접근 방법이 많은 교육 이론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학습이론으로 선택되어지고 있다. 행동주의의 객관주의적 접근과는 달리 구성주의의 주관적 접근 방법은 단순히 정보를 외부로부터 수용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학습자 자신이 갖고 있는 사전 경험이나 사전지식에 비추어 재 조직화하고 재구성한다는 것이다. 사전지식과 새로운 지식간의 관계의 성립은 단순히 자극에 대한 반응의 연합으로 인한 결과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적극적인 인지적 참여 활동이 더해진 결과로 가능한 것이다. 결국 구성주의적 학습은 이미 습득한 지식과 경험의 바탕 위에서 능동적인 인지적 참여활동이 더해짐으로써 이루어진다는 점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습이론을 바탕으로 초등수학에서도 구성주의 학습 전략의 수업이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습 효과를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그 결과를 T 검정 및 일변량 분산 분석 방법으로 학습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으로 구성주의 전략의 수업이 학습에 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달 동안 7차시분의 구성주의 수업 전략 중의 하나인 문제 중심 수업의 지도안과 전통적인 수업안을 각각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 처음부터 두 집단간의 수준이 비슷하지 못해 평균이 많이 차이가 나므로 수학 실력이 다른 집단에서도 구성주의적 학습전략에 의한 수업방법이 효과가 있을 지에 대한 의문을 갖고 실험처치를 하였다. 그 결과 사전 및 사후 평가의 통계적 처리 방법은 비동일 집단 비교설계에 의한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학습 효과에 대한 구성주의 수업의 효과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집단 및 비교집단의 유의 확률에 타당하며 (α=.05<유의확율(0.000)) 평균이 각각 13.8372와 13.3721이 상승되고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도 평균 1.2791 정도 높게 나타나 구성주의 전략 수업이 효과가 있음이 검증 되었다. 그리고 비동일 통계집단 비교설계에 의한 t 검정과 일변량 분산 분석 결과에 의해 반에 따라 수학 점수의 차이가 있어도 수학점수에 새로운 지도법이 효과가 있음을 검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초등수학에서 구성주의 학습 전략에 의한 수업이 전통적 수업보다 학습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저학년(1-3학년) 수학과에서도 구성주의 수업 전략을 시도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고 다른 과목에서도 구성주의 수업 전략을 이용하여 학습효과를 검증해 보는 연구가 요구됨을 제언하였다.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is changing to the way of adjusting to latest science and information, in terms of motivation of self-initiative-centered educational position. Many pedagogues these days have chosen positively this trend as the subjective way of approach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ology, which is referred to as constructivism learning strategy. This research was applied constructivism to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e how effective constructivism learning strategy in mathematics i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way. To do this research, I did this way. First, I divided two groups, in which one was traditional way of learning group or comparable group, the other is constructivism way of learning group (it consisted a lot of questions) or experiment group. Second, I gave them different teaching, the same way as above by the same teacher. In the process of analogizing the result, I made use of 'T-test' and 'one-way Anova' to consider the gap of two group's average in the grade.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vism for learning effectiveness contains, P-value for experiment and comparable groups is resonable(α =.05,<P-value=0.000). The average rosed respectively 13.8372 for the comparable group, 13.3721 for the experiment group which was ahead of comparable group by 1.2997 point. From this result, constructivism learning strategy in mathematics was proven to be effective by the mean of 'one-way Anova' by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nd 'T-test', even though the groups are different level. The finding indicated as followings. first, the constructivism learning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way, what is more, it represented the possibility for low grade(from first to third in the elementary) would get benefit from adopting constructivism learning strategy in their mathematics. second, the teacher need to apply constructic learning strategys to other subjects in the elementary school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onstructic learning.

      • BYOD기반 협력적 현장학습이 학습효과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홍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에서는 BYOD기반 협력적 현장학습이 학습자의 학습효과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BYOD기반 협력적 현장학습), 통제집단(전통적 개별 현장학습)을 구성하였고, 각 집단은 고등학교 2학년 학생 25명으로 이루어졌다. 실험집단은 5명씩 5개 모둠을 구성하여 협력적으로 현장학습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총 2차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1차 실험은 정동일대, 2차 실험은 경복궁에서 실시하였다. 과제는 실험집단의 경우 장소를 유추하는 문제와 해당 장소에서 개인 또는 모둠이 수행해야 하는 미션이 제공되었다. 통제집단의 경우 장소와 관련된 학습 내용과 문답형 문항이 포함된 학습지를 제공하였다. 1, 2차 현장학습을 실시한 결과 BYOD기반 협력적 현장학습이 학습효과와 학습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과제 수행을 위한 스마트 기기의 활용은 SNS을 통한 실시간 대화 및 문제와 미션에 대한 스케폴딩(scaffolding), 정보 검색 등이 가능해졌다. 즉, 현장학습에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 속에서 효과적인 학습이 발생했다고 판단된다. 학습만족도 면에서는 기존의 현장학습 틀을 벗어나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스마트 기기를 과제 수행에 활용한 것이 흥미와 동기를 유발했다고 판단된다. 흥미와 동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현장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고, 결과적으로 학습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된다. 현장학습에 대해 학습자들은 체험위주의 수업, 효과적인 지식의 습득, 활동에 대한 흥미를 장점으로 응답하였다. 학습자들은 직접적인 체험을 통한 수업이 흥미를 이끌어내고 지식 습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하였다. 날씨를 고려하지 않은 체험활동, 오랜 활동시간, 체력적인 부담은 활동의 단점으로 파악되었다. 장소를 이동하면서 학습하기 때문에 날씨의 영향을 받게 되고 체력적으로 부담을 안겨준다. 전체적인 활동으로 볼 때 두 가지 요소는 오랜 시간 활동이 지속되는 것에 영향을 미친다. 추가적인 의견으로는 체험활동 횟수 증가, 날씨를 고려한 체험활동, 활동시간 조정 등의 의견이 나왔다. 특히, 체험활동 횟수 증가는 다른 장소에서도 체험활동을 해보고 싶다는 의견이었다. 학습자들이 과제 수행을 위해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스마트 기기를 학습지원도구로써 활용한 점이 새로운 수업방식으로 인식되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BYOD기반 협력적 현장학습에서 학습효과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사례가 될 것이며, 관련 현장학습 연구에도 시사점을 줄 것이다.

      • 교수자의 호감도와 신뢰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주용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강의를 듣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가 느끼는 교수자의 호감도와 신뢰도가 학습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4명의 교수자와 320명의 서울 및 수도권 대학생의 협조를 얻어 2시간의 강의 후 학습자가 느끼는 교수자의 호감도와 교수자의 신뢰도, 인지적 효과와 만족감 효과로 구분한 학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문제는 구체적으로 교수자의 호감도가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수자의 호감도가 만족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교수자의 신뢰도가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과 교수자의 신뢰도가 만족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교수자의 호감도와 교수자의 신뢰도, 인지적 효과와 만족감 효과의 차이를 가져오는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교수자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다음으로 교수자의 호감도와 교수자의 신뢰도, 학습효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문제를 실증 분석하기 위해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신뢰도 검사,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호감도가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자의 호감도는 인지적 효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호감도가 높으면 학습효과에서 인지적인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호감도가 만족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자의 호감도는 만족감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호감도가 높으면 학습효과에서 만족감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의 신뢰도가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자의 신뢰도는 인지적 효과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신뢰도가 높으면 학습효과에서 인지적인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수자의 신뢰도가 만족감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자의 신뢰도는 만족감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신뢰도가 높으면 학습효과에서 만족감 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교수자의 호감도와 교수자의 신뢰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인구통계학적 요인과 교수자 간의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자가 느끼는 교수자의 호감도와 교수자의 신뢰도, 인지적 효과, 만족감 효과는 교수자에 따라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학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인지적 효과와 만족감 효과를 종합한 학습효과 차원에서는 학년과 교수자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자의 호감도와 교수자의 신뢰도, 학습효과 간의 관계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수자의 호감도와 만족감 효과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수자의 신뢰도와 만족감 효과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자의 호감도와 교수자의 신뢰도 간에는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인지적 효과와 만족감 효과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자의 호감도와 인지적 효과 간에도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교수자의 신뢰도와 인지적 효과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수자와 만족감 효과 간에도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수자와 교수자의 호감도 간에도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교수자의 신뢰도와 교수자, 인지적 효과와 교수자는 별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 호감도, 교수자의 신뢰도, 학습효과, 인지적 효과, 만족감 효과, 교수자, 학습자.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f learners on the instructor of the lecture influence learning. For this, learning effect was measured in terms of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f learners feeling on the instructor, and cognitive and satisfaction effect of learners after having a lecture for 2 hours in support of 4 instructors and 320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Research problems were designed to identify how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influenced the cognitive and satisfaction effect. In addition, it was also examined how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influenced on the cognitive effect and also satisfaction effect. Lastly, the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elements and instructors that brought a disparity on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and cognitive and satisfaction effect was identified follow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f instructors and learning effect. In order to empirically analyze these research problems, SPSS 20.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perform the credibility test,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test, simple regressio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es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results as to how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influenced on the cognitive effect are as follows.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urned out to positively influence on cognitive effect.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he higher the cognitive effect was turned out to be on the learning effect. Secondly, the results as to how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effect are as follows.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satisfaction effect.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effect was turned out to be on the learning effect. Third, the results as to how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influenced on the cognitive effect are as follows. The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urned out to positively influence on the cognitive effect.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he higher the cognitive effect was turned out to be on the learning effect. Fourth, the results as to how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effect are as follows. The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urned out to significantly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effect. It was shown that the higher the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was, the higher than satisfaction effect was turned out to be on the learning effect. Next, the results on a difference between demographic factors and instructors that brought a disparity on the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are as follows.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f learners feeling on the instructor, and cognitive and satisfaction effect wer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depending on instructors.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also shown in the grad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 and instructors in terms of comprehensive learning effect aspects in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satisfaction effect. Lastly, the resul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and learning effect are as follows. A relatively high level of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and satisfaction effect was deriv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and satisfaction effect was also shown. A relatively high level of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ikeability and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was derive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nd satisfaction effect was also shown. Furthermore,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likeability on the instructor and cognitive effec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and cognitive effect.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instructors and satisfaction effect and also between instructors and the likeability on them. However, no particular relationship was shown between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s and instructors and also between cognitive effect and instructors. Key words: likeability, credibility on the instructor, learning effect, cognitive effect, instructor, learner

      •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인천광역시교육청평생학습관 정규프로그램 성인학습자를 중심으로

        김규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코로나19가 발현한 이후로 우리의 삶은 큰 변화를 맞이하였다. 언택트가 새로운 삶의 기준(뉴노멀)이 되면서 재택근무와 온라인 회의 · 온라인 회식 등이 확산하였고, 홈 이코노미, 코로나 블루와 같은 신조어가 등장하였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됨에 따라 평생학습에서도 기존 교육의 큰 축을 담당하던 공공 교육기관의 운영이 잠정 중단되기도 하였고, 운영이 재개된 이후에도 기존의 오프라인 방식이 아닌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사회변화는 평생학습과 그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에게 많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난 1년간 전면적인 비대면 교육이 진행됨에 따라 교수자와 학습자의 경험 및 인식이 변화된 시점에서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 요인을 새롭게 분석하는 일은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 일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세계적 추세에 발맞추어 위드코로나가 삶의 새로운 기준으로 자리 잡는다면 평생학습에 있어 온라인 비대면 교육방식은 앞으로도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기에, 본 연구는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을 탐구하여 성인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이상의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성인학습자의 학습효과성(학습만족도, 학습효과)을 탐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자 및 교수방법의 특성은 무엇인가? 넷째, 이탈자의 관점에서 온라인 평생학습 프로그램의 장애 요인과 보완점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특성에서 자기주도성과 디지털 자기효능감은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온·오프라인 평생학습 참여경험은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 특성에 있어 프로그램 영역(직업/인문)은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가설 기각), 학습효과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업능력 프로그램에서 학습효과가 높았다. 자료적합성 및 매체풍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료적합성 및 매체풍부성은 상대적 영향력 측면에서 여타 요인들에 비해 학습만족도의 하위변수인 주관적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및 학습효과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 특성에 있어 교수실재감은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수방법은 강의법과 실습형이 이루어질수록 학습만족도와 학습효과가 각각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이탈자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이탈 사유로는 단순 개인 사정이 41.4%로 가장 높았고 온라인으로 교육받는 것이 자신의 성향과 부합하지 않아서(20.7%)와 교수자의 지도 스타일이 자신의 성향과 부합하지 않아서(13.8%)가 뒤를 이었다. 보완점으로는 온라인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 개발이 29.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육 중 교수자와 학습자 및 학습자 간 상호작용 활성화(22.9%), 더욱 다양한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개발(20.8%) 순으로 많았다. 지금까지 국·내외적으로 온라인 비대면 교육의 효과성 요인을 분석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전면적인 온라인 교육이 진행된 이후에 평생학습 프로그램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다는 점에 있어 상당한 의미가 있다. 또한, 직업능력과 인문교양으로 영역을 나누어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평생학습 영역별로 학습효과성 요인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