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學校規模에 따른 學校長의 指導性類型과 學校組織健康과의 關係

        정순진 淑明女子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9727

        1. 要約 本 硏究는 서울特別市와 京畿道內의 國民學校에 있어서 地域과 規模에 따른 學校長의 指導性 類型狀況과 學校組織의 健康程度를 알아보고 그들간의 關係를 밝힘에 目的이 있다. 이 目的을 達成하기 위해 學校長의 指導性과 學校組織健康에 關한 文獻을 綜合的으로 考察하고 여기서 얻은 理論을 背景으로 하여 질문지를 作成했다. 學校長의 指導性 類型을 測定하기 위해 使用한 질문지〔I〕은 Halpin의 指導者 行動技術 질문지(LBDQ)이고 (r=.93), 學校組織健康을 위한 질문지〔II〕는 尹鍾健의 組織健康 診斷檢査(OHDQ)이다. (r=.94) 表集은 서울特別市(大都市)와 京畿道(中小都市)內의 國民學校를 小規模(35學級 以下), 大規模(42學級以上)로 나누어 類層表集하였다. 질문지는 大都市의 小規模學校 28個校 560部 大規模學校 30個校 560部 中小都市의 小規模學校 18個校 360部, 大規模學校 19個校 380部씩 모두 1,860部(95個校)를 配付하여 80個校(84.21%)에서 1.534部(82.47%)를 回收했다. 配付 및 回收方法은 直接 또는 郵便을 利用했다. 資料處理에 있어서 學校長의 指導性類型을 測定하는 질문지〔I〕은 5段階 評定測을 利用하여 學校別로 課業点數와 人和点數를 統計處理한 다음 平均点에 의해 效率的, 課業中心的, 人和中心的, 非效率的 指導性類型으로 區分했고 學校組織 健康度를 測定하는 질문지〔II〕는 4段階評定測을 利用하여 學校單圍로 健康要因別 平均点을 算出한 다음 綜合点數를 내어 尹鍾健의 學校組織健康診斷基準表에 의해 健康, 普通, 不良으로 區分했으며 地域別 學校規模와 學校長의 指導性類型, 그리고 學校組織健康 各 要因들 間의 差異를 알아내기 위해 有意度 檢證을 했으며 目的에 따라 分析한 主要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學校長의 指導性類型을 살펴보면 大都市와 中小都市 모두 效率的 指導性類型이 가장 많고 課業中心的, 人和中心的, 非效率的 指導性類型의 順으로 나타났다. 2. 大都市와 中小都市를 比較해 보면 效率的 指導性類型은 大都市가 8% 더 낮게 나타난 反面 課業中心的 指導性類型은 6% 더 높게 나타나서 大都市가 中小都市보다 課業中心指導性類型이 많음을 알 수 있다. 3. 指導性要因別 平均点數에서 人和要因別点數는 大都市의 境遇 小規模學校가 31로 大規模學校의 29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中小都市의 境遇도 小規模가 32로 大規模의 30%보다 높게 나타났다. 4. 80個校의 學校長中 課業要因指向度가 56.25%로 人和指向 41.25%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各 要因의 指向度는 中小都市보다는 大都市가, 小規模보다는 大規模가 課業指向度의 比率이 더 높게 나타남도 알 수 있다. 5. 組織健康狀況은 健康한 學校가 35%, 普通이 54%, 不良이 11%로 나타났으며 中小都市가 大都市보다 健康한 組織에 屬하는 學校의 數가 차지하는 比率이 높았다. 6. 規模의 組織 健康度와의 關係는 P<.01 수준에서 意義있는 差異를 보였으며 規模가 작을수록 健康한 組織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7. 地域과 規模에 따른 組織健康 要因別点數는 革新性을 除外한 모든 要因이 意義있는 差異를 나타냈으며 中小都市가 大都市보다 높게, 小規模學校가 大規模學校보다 높게 나타났다. 8. 地域別 指導性類型과 組織健康狀況을 살펴보면 健康한 組織의 境遇 同一類型에서 차지하는 比率은 效率, 人和, 課業의 順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不良한 組織에서는 反對의 順으로 나타났다. 9. 地域과 規模에 따른 指導性類型과 組織健康要因点數와의 關係를 檢査한 結果 凝集成을 除外하고는 모두 P<.001 수준에서 意義있는 差異를 보였으며 效率的 指導性類型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人和, 課業, 非效率 順으로 나타났다. 10. 地域別 組織健康 要因別点數를 比較해 보면 凝集性은 地域에 따라 그 差異가 크며 中小都市의 点數가 大都市보다 높게 나타나고 있다. 能率性, 革新性, 適應性, 指導性은 別差異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2. 結論 本 硏究에서는 위의 結果로부터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學校長의 指導性類型은 地域과 學校規模에 따라 意義있는 差異를 보이며 大都市와 中小都市 모두 效率的 指導性類型이 가장 많고 大都市보다는 中小都市가 效率的 指導性類型의 比率이 더 높았으며 規模가 작을수록 效率的 指導性類型과 人和中心的 指導性類型의 比率이 훨씬 더 높았다. 2. 學校組織의 健康度 역시 地域과 學校規模에 따라 意義있는 差異를 보이며 大都市보다는 中小都市가, 大規模보다는 小規模가 健康한 組織의 比率이 높았다. 3. 學校長의 4가지 指導性類型中 效率的 指導性類型이 組織을 가장 健康하게 하고 다음으로 人和中心的, 課業中心的, 非效率的指導性類型의 順이다. 4. 學校長의 效率的 指導性類型이 學校組織을 가장 健康하게 하고, 人和中心的, 課業中心的, 非效率的指導性類型의 順이며 同一類型에서는 大都市보다는 中小都市가, 大規模보다는 小規模가 組織이 더 健康하다. A. SUMM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tern of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nd the soundness of shcool organizations subject to region and scale of elementary schools in Seoul Metropolitan City and Kyonggi-do province.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ocumentary records for leadership of school principals and organizational soundness of their schools were considered in general and questionnaire were prepared on the background of theory which has obtained from this respect. The Questionnaire I used to measure leadership pattern of school principals is the Halpin's leaders behavioral description questionnaire (LBPQ) (r = .93) and the Questionnaire II for organizational soundness of school is Yoon Jong Keun's diagnostic examination of organizationsal soundness (OHPQ) (r = .94). The sampling was made analogically by dividing the elementary schools of Seoul (large city) and Kyonggi-do province (medium & small cities) into small scale (less than 35 classes) and large scale (42 classes or more).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1,860 copies in total including 560 copies to 28 smaller schools, 560 copies to 30 larger schools in the large city", and 360 copies to 18 smaller schools and 380 copies to 19 larger schools in the medium & small cities of the province, and has collected 1,534 copies thereof (82.47%) from 80 schools (84.21%). The method of distribution and collection was made by direct delivery or by mail. In processing the data, the questionnaire-I which measures leadership patterns of school principals were divided into efficient, task concentrated, harmony concentrated and inefficient leadership patterns by an average credit upon processing of task credits and harmony credits by school in statristical manner using the 5-step rating ruler; and for the questionnaire-II which measures organizational soundness of the schools were divided into healthy, ordinary and unhealthy by the diagnostic criteria table for school organization soundness of Yoon, Jong Keun based on the recapitulated credit upon computation of the average credit by healthy factors by school unit using the 4-step rating ruler;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leadership patterns of principals in regional school scale and the difference among factors of organizational soundness of the school an intentional scrutinization has been conducted and the major outcomes analyzed by the purpose are as follows; 1. As for the leadership patterns of school principals it has shown that the efficient leadership patterns in both the large city and medium & small cities schools are the most and followed by task concentrated, harmony concentrated and inefficient leadership patterns in order. 2. In comparison to the large city with small & medium cities, the large city has shown 8% lower than the small & medium cities for the efficient leadership patterns but the task concentrated patterns in 6% higher than the latter to the contrary and it shows that the large city school have more task concentrated patterns than the small & medium city schools. 3. In case of the large city that the harmony factor credit out of the average credit of leadership factors, smaller schools by 31 is higher than 29 by larger school, and in case of medium & small cities, smaller schools have shown higher by 32 than 30 by larger schools. 4. The task driven factors among 80 school principals were 56.25% which reveals that much more higher than the harmony concentrated factors of 41.25%. The extent of factors driven has shown that the large city is higher than small & medium cities and the larger schools have shown higher rate of task driven trends than smaller schools. 5. In the organizational soundness of schools it shows that healthy school by 35%, ordinary in 54% and unsatisfactory in 11% respectively and small & medium city schools were higher rates than that of the large city in sound organization. 6.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and the organizational soundness has shown at P<.01 level which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nd has revealed that the smaller the scale the healthier organization. 7. The credits for factors of organizational soundness subject to region and scale have shown all facto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innovativeness and showed that the small & medium cities are higher than the large city and the smaller schools are higher than the larger schools. 8. As for the regional leadership patterns and the organizational soundness it shows that the ratio occupied by the same pattern as efficiency, harmony and task in order in case of a sound organization and was shown in order of opposition of the above in case of an unsatisfactory organization. 9. Except the condensation, all have shown P<.001 level with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adership patterns and the credit of organizational soundness factors and indicated that the leadership patterns are the highest and fallowed by harmony, task and inefficency in order. 10. Comparing the credits of organizational soundness factors by region, the condensation has big difference subject to the region and the credits of small & medium cities indicated higher than the large city. There were not much difference among those efficiency, innovativeness, adjustment, and leadership. B. CONCLUSION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obtained through the outcomes as referred to the above under this study: 1. The principals' leadership patterns have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subject to the region and the school scale and the efficient leadership patterns are the most in the large city and the small & mediums cities as well and the small & medium cities are higher than the large city in this respect, and the smaller scale the efficient leadership patterns and the ratios of harmony concentrated and the leadership patterns were much more higher. 2. The organizational soundness of schools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subject to the region and the school scale and the ratio of sound organization was higher in small & medium cities than in the large city and the smaller schools were higher than the larger schools. 3. Among the 4 leadership patterns of principal the efficient leadership pattern makes the organization the healthiest and followed by harmony concentrated, task concentrated and inefficient leadership pattern in order. 4. That the efficient leadership pattern by the school principal makes the school organization the healthiest and followed by harmony concentrated, task concentrated and the inefficient leadership pattern in order and the small & medium cities are healthier than the large city and the smaller schools are sounder than the larger schools in the same pattern.

      •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간의 관계 연구

        박용진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2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causal relationships of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teachers' School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health.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topics were selected: First, how teachers with different backgrounds (gender, experience, position, school, and administration) perceive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Second, how are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correlated? Third, how valid is the hypothetical path model that explains the influence of principals' super leadership on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Fourth, what ar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For the above study topics, a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to analyze reliability of questions in a survey and a total of 1,000 copies of the survey forms were distributed to 52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Among the 846 copies returned, 62 copies were excluded due to errors or incompleteness and 784 copies (78.4%)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data, SPSS 12.0K and AMOS 4.01 were used. Also, Cronbach α value was calculated to verify reliability of questions in the survey form.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for independent samples and Scheff post-verification was implemented in case of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ollowing findings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eachers' perception of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by background variables was rather high above average. In detail, male teachers were more perceptual than female teachers in terms of super leadership,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By experience, highly experience teachers with more than 21 years of service were generally more perceptual in every category. By type of school,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more perceptual than middle school teachers and by administration, national/public school teachers and private school teachers showed equal perception for only teachers' self leadership. In all other categories, national/public school teachers were more perceptual than private school teachers. By size of school, smaller schools generally had healthier organizations. Second, in result of correlative analysis, all four categories -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 shar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nd the highes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rincipals' super leadership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 In result of an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to verify reliability of hypothetical path model, it was found in terms of direct/indirect influence of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of school organizations on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that principals' super leadership was directly and highly influential on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compared to indirect influences catalyzed by teachers' self leadership or commitment of school organizations. Also, self leadership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n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and was only giving positive influences indirectly by improving commitment of school organizations. Third,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were sharing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hen analyzed by types of school and administration. In addition, subcategories of principals' super leadership,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commitment of school organization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Teachers' self leadership and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for national/public schools with the path coefficient of .092 (t=2.204, p<.05), but had negative influences in private schools with the path coefficient of -.092 (t=-2.338, p<.05). Thus, it was found that teachers' self leadership has positive influences on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in national/public schools, but private school teachers with strong self leadership is negative about health of school organizations .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study interaction of individual/organizational achievements, task efficiency, task satisfaction, commitment of organization, innovative actions, etc with super leadership or self leadership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or analyze direct/indirect influences of each variable. 본 연구는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간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에 대한 교사의 인식정도는 배경 변인별(성별, 교직경력, 직급별, 학교급별, 설립별)로 어떠한가? 둘째, 학교장의 수퍼리더십,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건강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학교장의 수퍼리더십이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는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는 어떠한가? 넷째,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간의 인과관계는 어떠한가? 이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예비 조사를 통해 문항신뢰도를 분석하고 완성된 설문지 문항으로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중등학교 52개교에 총 1,000부를 배부하여 그 중에서 회수된 설문지 846부중에서 결측치가 발견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62부를 제외한 총 784부(78.4%)를 결과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의 통계 처리는 SPSS 12.0K 프로그램과 AMOS 4.01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 α값을 산출하였으며, 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검증을 통해 구성된 측정항목을 바탕으로 하위변수들의 공분산 행렬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유의한 차이가 있을 때는 Scheff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에 대한 배경 변인별 인식은 평균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교사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성별로는 남교사가 여교사 보다 학교장의 수퍼리더십,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학교조직건강에 대한 인식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교직경력별에서는 21년 이상 고경력자가 측정변수에서 대체로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배경 변인별로 살펴보면, 학교급별로 초등학교 교사가 중등학교 교사보다 전체 측정변수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설립별로 교사의 셀프리더십만 국·공립학교 교사와 사립학교 교사가 인식을 같게 했다. 나머지 측정변수에서는 국·공립학교 교사가 사립학교 교사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규모별에서는 전반적으로 학교규모가 적을수록 학교조직이 건강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상관분석 결과 학교장의 수퍼리더십,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학교조직건강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교장의 수퍼리더십과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간의 가설적 경로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자 공분산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학교장의 수퍼리더십,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이 학교조직건강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와 총 효과를 살펴보면, 학교조직건강에는 교사의 셀프리더십이나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을 매개로한 간접효과 보다는 학교장의 수퍼리더십이 직접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학교조직건강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교사의 셀프리더십은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향상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는 학교조직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학교급별 설립별로는, 학교장의 수퍼리더십,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및 학교조직건강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장의 수퍼리더십, 교사의 셀프리더십, 교사의 학교조직몰입 하위 변인 또한 학교조직건강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학교조직건강간의 관계는 국·공립학교의 경우 경로계수가 .092 (t=2.204, p<.05)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경로계수가 -.092(t=-2.338, p<.05)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학교의 경우 교사의 셀프리더십이 학교조직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나, 사립학교의 경우 셀프리더십이 높은 교사들일수록 학교조직건강에 대해 부(-)적 인식을 많이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수퍼리더십이나 셀프리더십이 현대 학교조직사회에서 교사의 학교조직몰입이나 학교조직건강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수퍼리더십이나 셀프리더십을 독립변인으로 개인이나 조직성과, 직무효율성, 직무만족, 조직몰입, 혁신행동 등, 여러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각 변인들을 매개로한 직·간접적인 영향 등에 대한 지속적인 실증연구가 필요하다.

      •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문종수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9727

        중학생의 학교적응과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조직건강 요인에 관한 연구 문 종 수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현대사회에서 학교는 단순한 지식 전달의 과정에서 벗어나 학생의 사회화와 자아실현을 책임지고 있는 교육의 장으로 역할과 기능이 확대되고 있다. 학교는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학교수업을 통하여 지식을 배우고 익히며 교우들과의 관계 속에서 성숙한 성인생활에 필요한 사회화 과정을 배우는 곳이다. 이러한 학교환경에서 교사와 친구들과의 관계 그리고 교과활동, 학내외 행사 등 학교생활 적응에 따라 학교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긍정적 이거나 부정적일 수 있다. 밝은 모습으로 성장하는 학생들이 많지만, 일부는 그렇지 못해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이 있다. 학교폭력은 피해학생에게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초래하고 마음에 상처를 주어 우울증이나 정신장애까지 나타나게 한다. 아직도 우리 사회에서의 현실은 학교폭력과 학교부적응 문제는 학교 내 문제가 아닌 사회적인 문제로 확산되고 있다. 학교조직건강은 조직의 구성원이 조직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가며, 구성원간의 조화로운 역할 수행 및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조직의 목표가 극대화 될 수 있도록 최적의 기능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문화적 측면에서 조직풍토는 다른 조직과 구별되는 그 조직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분위기이며, 조직구성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학교조직건강이 학생들의 학교적응이나 학교폭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일은 학교장이나 학급을 운영하는 담임교사에게 그리고 교육수요자인 학생들에게 학교폭력을 줄이기 위해서 무엇보다도 필요한 과제다. 본 연구의 대상은 중학생들이 학교폭력과 학교적응 등의 문제가 가시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 보고, 중학교 학생들이 학교조직건강, 학교적응, 학교폭력에 대하여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조직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학교교육의 요소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학교조직 건강, 학교적응, 학교폭력 간의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각 변인들 간의 효과성을 규명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효과적인 요소를 강화할 수 있는 제언을 통하여 문제행동에 대한 사후 처벌적 접근이 아닌 학교환경의 변화를 위해 긍정적 행동지원의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학교조직건강, 학교적응, 학교폭력 Research on the elements of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that influences on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Moon, Jong-Soo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In the modern society, the role and function of school are increasingly enlarged as an academe that is responsible for socialization and self-realization of students beyond delivering simply knowledge to them. School is a place that students of adolescence learn socialization process needed for proper adult life during relationships with their friends by learning and experiencing knowledge through school class. In this school surroundings,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curricula activities, and events inside and outside school, etc can be positive and negative in th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school according to their adaptation of school life. Most of them grow up as students of positive minds toward school life, but some of the rest have difficulty adapting school life as they don't be happy. School violence inflict mentally and physically heavy pain on victims. Due to that, some of them undergo depression and mental disorders. These days, in our society school violence and maladjusted problems are gradually recognized as social problems, not school problems.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is what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positively cope with the change in their surroundings toward achieving the organization goals and maintain the best conditions of the function to maximize the organization's goals through harmonious roles and amicable communications among members. Especially, in the cultural aspect organization background is a unique atmosphere that the organization only keeps apart from the different organization. That is an important element in understanding behaviors of the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t is a requisite task for students, homeroom teachers, principals to lessen school violence that we analyze concretely what effects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has on school adaptation and school violence. This research thinks of middle students as the period of problems such as school violence and school adaptation etc. coming on stage. As a result of that, I try to find out the elements of school education influencing positively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by analyzing how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school adaptation, school violence. Also I try to get the universal findings in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among variables by grasping relationships among the healthy school organization, school adaptation, school violence. I think this research results can give us the basic material in searching for methods to support the positive behaviors toward changing school surroundings, not after punishable approach on behavior problems through suggesting strengthening the random effective elements. Key words : healthy school organization, school adaptation, school violence

      • 中等學校 敎師의 意思決定 參與와 學校組織健康과의 關係硏究

        지윤신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 학교운영상의 의사결정에 있어서 교사의 참여가 학교조직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며 학교 경영의 효율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추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학교 조직에서 교사들의 의사결정에 대한 전반적인 참여수준과 배경변인(성, 직위, 교육경력, 학교 규모) 특성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2. 중등학교조직 건강정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배경변인별(성, 직위, 교육경력, 학교규모) 특성에 따른 차이는 어떠한가? 3. 중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학교조직 건강과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분석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도구는 의사결정 참여정도 측정 질문지 15문항과 학교조직건강성 설문지 3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와 학교조직 건강성과의 관계를 살펴 보았다. 표집은 충청남도 중등학교 교사를 무선 표집하여 성별, 직위, 교육경력, 학교규모별로 구분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WIN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내리고자 하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정도는 참여기대( 평균 3.59 )와 참여실제 ( 평균 2.65 )로 의사결정 참여 정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의사결정 참여정도를 배경변인별로 분석해 보면 남교사, 부장교사, 경력이 많은 교사가 참여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규모에서는 작은 학교에서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조직의 건강정도를 살펴보면 성별과 규모에서는 의미 있는 차가 없었으나 직위에 따라서는 교사보다 부장교사가 학교조직 건강성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경력별로는 경력이 많을수록 학교조직 건강성에 긍정적이었다. 셋째, 의사결정참여정도와 조직건강과의 관계에서는 상관계수 r = .487 (p<.01)로 의미 있는 정적 (+)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의사결정 참여 실제정도와 각 하위영역들은 학교조직 건강성의 각 하위영역들간의 관계에서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 p<.01 )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상태정도는 학교조직건강성과의 관계에서 상관계수 r = -.390(p<.01)으로 의미 있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각 하위영역들과도 의미 있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p<.01) 넷째, 의사결정 참여상태는 참여실제보다 참여를 원하는 교사들이 많아 참여실조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및 기대정도가 학교의 조직건강성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볼 때, 의사결정을 하는 학교장은 교사들을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시켜 더 많은 교사가 참여균형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해야 한다. 물론 교사들의 적극적인 의사결정 참여의지가 요구됨은 말할 여지가 없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teacher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influences on the soundness of secondary school organizations. The resulting data will be contributed for the efficiency of school management.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the decision-making of secondary schools by variables(sex, title, career, school size)? 2.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by variables(sex, title, career, school size)? 3. Does teachers' participation level in decision-making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correlate? To accomplish the purpose, a questionnaire, a survey tool, was used that comprises 15 items related to the measure of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level and 30 items related to the Organizational Health Random sampling was used for selecting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Chungnam province divided them by sex, title, career, and school size. A SPSSWIN 10.0 statistic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found there is low level of teachers'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with expected participation(mean of 3.59) and actual participation(mean of 2.65). Specifically, man teachers, superintendent teachers, teachers with many career tend to more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and in small schools the participation is more active. Seco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undness of school organizations by sex and school size. But by title, it is found that superintendent teachers are more positive than general teachers, and those with many career show more positiveness in the Organizational Health by career. Third,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and the Organizational Health, with correlation coefficient of r = .487 (p<.01). Also, in terms of the actual participation level in decision-making by sub-variable,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ub-variables of Organizational Health( p<.01 ). Fourth, it is found that teachers' participation desire exceed their actual participation, showing the unbalance of participation. Conclusively, judging from that teachers' participation and expectation in decision-making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Organizational Health, principals who determine decisions would need to make an active effort to have more teachers participated in decision-making, let alone teachers' active participation in decision-making.

      • 敎師들의 自我實現慾求가 學校組織健康에 미치는 影響

        최연인 建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2 국내석사

        RANK : 249725

        本 硏究는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가 學校組織健康에 미치는 影響關係를 알아보기 爲한 것으로 먼저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水準과 學校組織健康度를 알아보고. 어떤 自我實現浴求 要因이 學校組織健康에 어떠한 影響을 미치는가를 알아봄으로써,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 充足은 물론 學校組織에서 組織이 追求하는 組織目標 達成 및 組織運營의 效率化를 期하는데 그 目的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硏究의 目的을 效果的으로 具顯하기 위하여 文獻分析을 土臺로 說問調査에 着手하였다. 文獻硏究는 自我實現의 槪念, 欲求階層理論, 그리고 學校組織健康의 槪念과 學校組織健康 要因에 대하여 考察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2種類의 設問紙를 作成하였다. 우선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를 測定하기 위하여 金在恩과 李光子가 標準化 製作한 자아실현욕구 검사와 韓國敎育開發院의 自我實現을 위한 敎育 德目을 參考하여 說問紙(16問題)를 作成하였으며, 學校組織健康을 測定하기 위하여 尹鍾健의 O.H.D.Q를 참고하여 初等學校 現場과 直結되게 設問紙(20問項)를 再構成하였다. 調査對象은 서울市內에 在職하고 있는 國民學校 敎師 300名(30個校)을 對象으로 無選標集하여 各學校當 10部씩 直接 또는 우편으로 配付한 후 같은 방법으로 回收하였다. 回收率은 87.6%였으며, 有效率은 86%였었다. 資料處理는 2種類 設問紙 共通으로 Likert式 4段階 評定尺度를 使用하여 電算處理하였다. 이의 統計的 方法으로는 T檢證, F檢證, r(積率相關關係), 多變因回歸分析(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使用되었다. 本 硏究의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의 水準을 알아보기 위하여 自我實現欲求要因別과 基礎調査 變因別 比較를 通해서 a) 性別에 따른 自我實現欲求의 水準을 보면 男敎師는 女敎師보다 外部 指向性, 自我實現性, 自己表現, 創意性의 順으로 높은 欲求性向을 보이고 있는 반면 女敎師는 男敎師보다 內部指向性, 自發性, 骨定的 自我에서 높은 욕구성향을 보이고 있다. b) 職位別에 따른 自我實現欲求의 水準을 보면 主任敎師가 敎師보다 모든 欲求에서 높은 욕구성향을 보이고 있다. c) 敎職經歷別에 따른 自我實現欲求의 水準을 F檢證을 통해서 보면 經歷이 많은 敎師가 經歷이 적은 敎師보다 모든 欲求에서 높은 欲求性向을 보이고 있다. d) 出身學校別에 따른 自我實現欲求의 水準을 보면 師範系, 非師範系共히 비슷한 욕구성향을 보이고 있어 欲求水準은 差異가 없게 나타났다. 2. 學校組織의 健康度를 알아보기 위하여 學校組織健康要因別과 基礎調査 變因別 比較를 通해서 a) 性刻에 따른 學校組織健康度를 보면 男敎師가 女敎師보다 指導性, 凝集性, 能率性 順으로 모든 健康要因에서 높은 組織健康度를 보였다. b) 職位別에 따른 學校組織健康度를 보면, 主任敎師가 敎師보다도 모든 健康要因에서 높은 組織健康度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敎師는 適應性에서 높은 반응을, 主任敎師는 能率性에서 높은 反應을 보였고, 能率性, 凝集性, 指導性은 P<.001水準에서 有意한 差를 보였다. c) 敎職經歷別에 따른 學校組織健康을 F檢證을 통해 要因別로 보면 경력이 많은 교사가 經歷이 적은 敎師보다 모든 要因에서 높은 組織健康度를 보였고, 能率性, 凝集性, 指導性은 P<.001 水準에서 有意한 差를 보였다. d) 出身學校別에 따른 學校組織健康을 要因別로 보면 모든 要因에서 非師範系出身이 師範系出身보다 높은 組織健康度를 보였다. 3. 自我實現欲求와 學校組織健康과의 相關關係에서는 a) 學校組織健康要因間의 相關關係에서 指導性과 凝集性과의 相關이 0.844로 가장 높은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고 反面에 指導性과 適應性과는 0.561로 가장 낮은 中位相關을 보이고 있다. b)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要因과 學校組織健康度間의 相關關係는 전체적으로 낮은 相關關係를 보이고 있다. 이것으로 學校組織健康에는 自我實現欲求 外의 또 다른 要因이 많은 作用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4. 自我實現欲求가 學校組織健康에 미치는 影響關係에서 a)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가 學校組織健康要因 가운데 P<.05水準에서 能率性과 適應性에서 有意한 差를 보이고 있다. 이는 自我實現欲求가 學校組織健康에서 能率性과 適應性에 가장 많은 影響을 끼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 敎師들의 自我實現欲求와 學校組織健康의 各要因別 回歸分析을 통한 影響關係는 Beta값이 全體的으로 낮은 것으로 보아 큰 影響을 못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교감의 지도성과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 연구

        김성곤 경인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5

        국문초록 교감의 지도성과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연구 김 성 곤 교육행정전공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학교 경영 조직의 중간 관리자인 교감의 지도성과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교감의 지도성 방향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원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들의 직위, 성별, 학력, 경력, 학교규모, 학교소재지, 학교급지 등 배경변인에 따라 교원들이 지각하고 있는 교감의 지도성과 학교조직건강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교감의 지도성에 따라 학교의 조직건강은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감의 지도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인 교감의 지도성은 주로 목표지향성과 인간지향성의 지도성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경변인별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인간지향성면에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직위에 따라서는 교장은 인간지향성, 목표지향성, 관료지향성에서 모두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교감은 목표지향성과 관료지향성에서 모두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경력이 높을수록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서 높게 인식되었고, 경력이 낮을수록 관료지향성에서 높게 인식하였다. 학력이 높을수록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을 높게 인식하고 학력이 낮을수록 관료지향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소재지에 따른 교감의 지도성은 강화교육청에서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학교 급지별로는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서 도서벽지가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다급지에서는 관료지향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학교규모별로는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은 12학급 이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료지향성은 학급규모가 클수록 반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조직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교사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교사가 지각하는 조직건강은 보통 이상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조직건강 수준은 구성원의 능력에 대해 가장 높은 인식을 보여 학교조직건강은 학교조직 구성원의 능력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학교조직건강에 대한 인식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대체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직위에 따른 학교조직건강에 따른 인식차이를 보면, 조직구조 면에서는 교감이, 조직풍토 면에서는 부장교사가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고 구성원의 능력 면에서는 직위 관계없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경력과 학력이 높을수록, 학교규모가 적을수록 조직구조, 조직풍토, 구성원의 능력에 대한 학교조직건강의 지각 수준이 전반적으로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학교 소재지별로는 조직구조는 남부교육청, 조직풍토와 구성원의 능력은 강화교육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는 강화교육청이 가장 학교조직건강이 좋은 곳으로 나타났다. 학교 급지에 따라서는 도서벽지에서 조직구조, 조직풍토, 구성원의 능력 모두 높게 나타나 도시지역 학교보다 근무여건이 좋지 않은 도서벽지 학교에서 학교조직건강이 좋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셋째, 교감의 지도성과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감의 지도성과 학교 조직건강 간의 상관관계는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교감의 지도성 중 인간지향성, 목표지향성과 조직풍토는 특히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즉, 교감의 지도성중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은 학교조직의 건강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조직건강의 조직구조와 교감의 지도성은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서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따라서 조직구조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을 강화하고 관료지향성은 낮추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학교조직건강의 조직풍토와 교감의 지도성은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서 매우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조직풍토는 인간지향성>목표지향성>관료지향성 순으로 높게 나타나 교감의 인간 지향적 행위가 학교조직건강의 조직풍토에 절대적인 영향원임을 입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학교조직건강의 구성원의 능력과 교감의 지도성은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서 보통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교감의 인간 지향적, 목표 지향적 행위가 학교구성원의 능력 향상에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교감의 교사와의 친밀한 관계, 온화, 관심, 인정, 칭찬, 이해, 교사들 상호간의 친목 증진을 유도하는 행동 및 적절한 과업 등이 학교조직의 구성원의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요인임을 나타내는 것이라 하겠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감의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은 조직구조를 강화하고, 바람직한 조직풍토 조성과 구성원의 능력을 향상 시키는 등 학교조직건강을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교감은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의 조화로운 지도성을 발휘하여야 할 것이다. 핵심어: 교감의 지도성, 학교조직건강

      •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연구

        고승예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72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를 밝힘으로서 학교조직 내에서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의 기회를 넓히고 아울러 학교조직을 보다 건전하게 유지, 발전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고찰을 위한 문헌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위한 조사 연구를 병행하였다. 이론연구에서는 의사결정 참여와 학교조직건강에 대한 문헌을 고찰하였으며, 조사연구에서는 학교조직건강 진단검사(S.O.H.D.Q)와 의사결정 참여에 관한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하여 실태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 시내에 소재하는 초,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이며 학교급별로 각 10개 학교를 무선 표집하여 해당 학교에 설문지를 각각 10부씩 배부하였다. 총 300부의 배포 설문지 중 267부(89%)가 회수되었으며, 이를 면밀히 검토한 후 문항 기록상 이상이 없는 264부만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고 통계처리를 실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의 일반적인 수준은 평균치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는 교과지도 영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원인사 영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우선, 성별에서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의사결정 참여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 교사가 일반 교사보다 의사결정 참여도가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50대, 40대, 30대, 20대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어 연령이 증가할수록 의사결정 참여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으며, 교직 경력에 따라서는 경력이 많을수록 참여도가 높았다. 둘째,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건강의 정도에 있어서는 평균치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는 혁신성 영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응성 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교사의 특성에 따라서는 우선, 성별에서는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직위에 따라서는 부장 교사가 일반 교사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대체로 4,50대 교사가 2,30대 교사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으며, 교직경력에 따라서는 경력이 많을수록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에 따라서는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조직건강에 대해 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와 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건강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비교적 높은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두 변인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교사의 의사결정 요인중 교과지도와 학교조직건강 영역 중에는 적응성, 응집성, 지도성에서 다소 낮은 상관을 나타냈고, 나머지 변인들의 관계에서는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학교조직건강도가 높을수록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도 긍정적임을 알 수 있다. 전반적으로 학교조직건강도가 양호할수록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도가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for promoting opportunities of participation by teachers in decision making and maintaining and developing school organization more soundly by determin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the participation and the organization's health. For the purpose, not only researches on literature for theoretical review but also empirical studies were carried out In theoretical aspects, literature on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nd school organization health were reviewed. For empirical studies, questionnaires about school organization health diagnosis (S.O.H.D.Q)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were prepared as evaluating means for actual surveys. Subjects for the study included teachers serving at ten prim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Pusan, which distributed ten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each. 267(89%) out of totaled 300 copies were recollected and finally 264, except three with wrong records were selected as things to be statistically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an overall level of participation by teachers in decision making showed somewhat lower. Seen according to sub items, the level of such a participation was found highest in curriculum instruction and lowest in personnel affairs for teachers. Analyzed based on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level of participation by male teachers in decision making was higher than by female ones. Concerning positions in school, senior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the participation than junior ones. As far as age is concerned, the older teachers are in their 20s, 30s, 40s and 50s in order, the higher level of the participation they showed. Teachers who have a longer teaching experience took more parts in decision making. Second, teachers showed a somewhat higher perception of the level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Seen according to sub-items, the level of such ,a preception was found highest regarding the field of innovations and lowest about that of adaptability. For their characteristics, first concerning sex, male teachers had a more positive preception of the level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than female one. Second, in relation to positions in school, senior teachers were more positive about school the level of organization health than junior ones. Concerning their ages, teachers in their 40s and 50s had a more positive attitude about such a level than those in their 20s and 30s. The longer teaching experience by teachers is, the more positive they showed about the level. According to types of schools, primary school teachers were more positive about the health level than the other two types. And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high static correlation between levels of participation by teachers in decision making and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perceived by them. In detail, the two parameters were correlated among their sub items except somewhat lower correlations between curriculum instruction, one of sub items with which the level of the participation is determined, and adaptability, cohesiveness and instructiveness, those of which are used to determine that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Consequently, the higher level of school organization health leads to the higher and more positive level of participation by teachers in decision mak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