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 교과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지도방안 연구 : 인천지역 중학교를 중심으로

        이슬기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미래 사회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창의 융합적인 인재 양성을 위해 학교도서관의 교수-학습센터로서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교과와 협력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과를 비롯한 다양한 교과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수학 교과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적용 지도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과와 타 교과 교사 모두 앞으로의 학교도서관은 도서관 활용수업을 진행할 수 있는 역할이 중요시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수학 교과와 국어 교과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실시 여부에 차이를 보였으며, 수학 교과의 경우 국어 교과보다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경험이 적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실시해 본 교사의 경우 자료 활용, 넓은 공간 활용 등이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응답하였지만, 사서교사의 협력 측면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지 못한 인식을 보였다. 넷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실시한 경우 대부분 교과교사가 단독으로 진행하며 학교도서관 공간을 활용하거나, 사서교사에게 자료만을 부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앞으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가 수업의 계획, 실행, 평가를 함께하는 형태의 수업 구현이 필요하다. 다섯째, 수학 교사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통해 학생의 학업 성취도 향상, 흥미유발, 다양한 학습활동 전개 측면에서 국어 교과 교사에 비해 부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따라서 앞으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과 관련한 연수, 장학, 공개수업 참관 등의 활동이 수반되어 활용수업의 인식 변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다각적인 연구, 꾸준한 노력,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다양한 교과와 학교도서관이 협력한 활용수업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면, 학생들의 다양한 역량을 향상시켜 미래 사회에 대비한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 단단한 발판이 되어 학교 교육의 의미 있는 변화에 학교도서관도 함께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oles of school libraries as centers of teaching and learning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who can proactively respond to future society, which can be implemented through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linked with various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surveys involving teachers of various subjects including mathematics,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to apply the subject of mathematics to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The results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survey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math and other subject teachers all agreed that the roles of future school libraries in undertaking library-assisted classes should be emphasized. Second, math and korean subjects showed a difference in whether to conduct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and for the math subjects, there was less experience in using school libraries than korean subjects. Third, teachers who conducted the classes utilizing their school library responded that the greatest advantages of school library-assisted classes were the use of a wider range of materials and the use of the ample space, but showed a negative perception in terms of the collaboration with the librarians. Fourth, most of the school library-assisted classes were either conducted by subject teachers on their own using the library, or by asking librarians for materials onl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formulate classes in which both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organize, implement, and evaluate classes together. Fifth, math teachers showed negative perceptions compared to teachers in korean subjects in terms of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encouraging interest, and developing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hrough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Thus,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library-assisted classes, accompanied by activities such as training, scholarship, and observation of open classes related to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If the classes in cooperation with various subjects and school libraries are more active in the future through multifaceted research, steady efforts, and active participation by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these classes would lay the foundation for cultivating creative convergence human resources, and that school libraries will be able to join the meaningful changes in school education.

      •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과학 흥미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김찬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95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as our society has changed to one centered around knowledge-based technology and information,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f Korea from 2000 was designed for raising the self-regulating and creative Koreans needed in the 21st century to lead the era of globalization,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it emphasize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urthermore, interest in science is a very crucial component for success in science learning and a driving force of self-directed learning in science. The learning strategies of rote learning, elaboration, and control or regulation are very important factors in successful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assisted teaching on interest in science through experiments. It is useful in design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for classes taught in a school library and for collaborative classes. After the experiments, the level of interest in science and students' grades on learning achievement tests for groups in which school library-assisted teaching is performed are examined, analyzed and compared with those in groups without school library-assisted teaching. These results are obtained by the Repeated Measurement ANOVA method.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ffects of school library-assisted science classes do not have much of an effect on interest in science. The learning groups taught in a school library-assisted science classes don't show any difference in interest and self-concept in science, compared with those taught in an ordinary, or traditional, classroom. However, instrumental motivation about science in experimental groups is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led groups, which were taught in a traditional classroom, so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ability to think about scientific value and future jobs is somewhat increased. The anxiety level of learning science, which prevents students from learning is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led groups. The level of rote memorization in experimental groups is higher than that of controlled groups and so is the level of elaboration, which helps learners understand single concepts in a sequentially and systematically combined way. This indicates that school library-assisted learning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carry out self-directed learning, even though there is little meaningful difference statistically in both groups before and after the school library-assisted experiments.

      • 초등학교 학교도서관의 교과연계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배경미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43

        With the advent of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ole of school libraries is also being redefined as the paradigm of education changes. Accordingly, the Education Ministry has proposed the promotion of convergence and connection classes using school libraries, such as "improving students' information literacy skill through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linked to school curriculum," as one of the tasks under the third basic plan for promoting school libraries. As the Education Ministry said, the site of the school library is now in a period of qualitative change to expand human resources and be reborn as a Academic support center, the main purpose of the school library. Therefore, the school library now calls for the sharing of various cases to make the use of the school library a daily basis for convergence and connection cooperation classes and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This research aims to confirm the usefulness of cooperation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by presenting examples of curriculum-linked cooperative instruction for all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and conducting a survey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one class in fourth and sixth grade. Through this research, the study aims to provide a measure for the qualitative leap forward and activation of school libraries.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hange in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the cooperation classes in the school library, it has been shown that the cooperation classes in the school library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use of information literacy skil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e satisfaction survey after the cooperation class also show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of 84.8 perc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school library's cooperation class recognizes that it helps in information literacy skills and solving tasks. First of all, teachers' perceptions have changed the most. The negative reaction shown by teachers before the cooperative instruction changed positively after the cooperative instruction, which resulted in the number of cooperative instruction conducted in the school library, the average participation rate per first class, the increase in the percentage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the diversification of subjects. Second, school library cooperation instruction have given teachers confidence and positive influence on class innovation. Third, i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use rate and satisfaction in school libraries. In order to proceed and activate the desirable school library cooperation instruction, librarians (teachers) should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the books that the school library has, should have a textbook and a teacher's guide, and need various and rich publications that fit the curriculum.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propose librarians (teachers) to enable coope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to be implemented, and to change the perception among officials that coope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can only be conducted by librarians. 인공지능시대의 도래와 함께 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함에 따라 학교도서관의 역할도 재정립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제3차 학교도서관진흥기본계획을 통해 ‘교과 수업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으로 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신장’ 등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융합・연계수업 추진을 과제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다. 교육부가 밝힌 바와 같이 이제 학교도서관 현장은 인적 자원을 확대하고 학교도서관 본연의 목적인 교수-학습지원 센터로 거듭나야 하는 질적 변화의 시기로 접어든 것이다. 따라서 지금 학교도서관 현장에는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교과융합・연계 협력수업, 정보활용교육을 일상화하기 위한 다양한 사례 공유가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S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전교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교과연계 협력수업의 사례를 제시하고, 이 가운데 4학년과 6학년 각 1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활용능력 진단과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이 질적으로 도약하고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통한 정보활용능력 변화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초등학생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수업 후의 만족도 조사 결과에서도 84.8%의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이 정보활용능력과 과제해결 등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초등학교 학교도서관에서 시행한 교과연계 협력수업의 사례 결과를 종합하면 첫째, 교사들의 인식이 가장 크게 달라졌다. 협력수업 전 교사들이 보였던 부정적인 반응은 협력수업을 진행한 후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의 진행 횟수, 1학급당 평균 참여 비율과 참여 교사 비율 증가 및 교과목도 다양화되는 효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교사들에게 수업 혁신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이용율과 만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바람직한 학교도서관 협력수업 진행과 활성화를 위해 사서(교사)는 학교 교육과정과 학교도서관이 갖춘 장서에 대한 이해가 있어야 하고, 학교도서관에 교과서와 교사용지도서를 비치하여야 하며, 교육과정에 맞는 다양하고 풍부한 출판물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이 실행될 수 있도록 사서(교사)의 적극적인 제안이 필요하며,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은 ‘사서교사만 할 수 있다’는 관계자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김하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3

        학교 도서관 활용수업은 학생들이 교과 학습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태도를 변화시키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교과와 연계된 협동수업을 통해 보다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고취시키고 스스로 배우고 익히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을 높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도서관활용수업이 이루어진 국어과 교수학습지도안을 비교하고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을 연구․개발하여 효과적인 도서관 활용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학교도서관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도서관 활용수업이 이루어졌던 서울과 지방고등학교를 상대로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나 이메일 등의 방법을 통해서 국어교과 교수학습지도안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들 학교의 도서관 활용 수업 지도안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도출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과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학교도서관에서는 도서관이라는 장소와 도서관 자료는 중시되는 반면 사서교사라는 인적 자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도서관은 사서교사가 있어야 제대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도서관활용수업이란 도서관에서의 수업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 아래 이루어지는 수업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이에 여기서는 밀접협력형 모형을 바탕으로 한 문제중심학습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논술지도 방안

        박영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3

        학교도서관은 학교교육의 정상화와 교육목표를 이룩하는 것에 목적을 두며 다양한 정보와 자료와 시설을 통하여 교수·학습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교육적 성향을 가진다. 지식정보화 사회의 출현은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요구하며 이에 부응하여 학교교육 또한 학생들에게 다가올 미래에 대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매체를 통한 교육이 선행되어야 하며 창의력과 인성을 고루 갖춘 인재양성에 힘써야 한다. 학교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은 학생들이 학습력 및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태도를 변화시키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고 다양한 자료와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학생들의 학습 의욕을 높일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이 논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독서활동과 논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수업모형을 개발하여 그 방법을 학생들에게 적용시킨 결과 학생들의 논술문 쓰기 능력이 얼마나 신장하였는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의 고등학교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학교도서관 활용과 논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고 또한 고등학교 학생 30명을 대상으로 실험반과 비교반으로 나누어 사전에 논술평가를 하고 학교도서관활용 논술 수업지도를 해 사후 논술평가와 설문지조사를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실험집단의 경우 논술성적이 큰 폭으로 상승세를 보여 논술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논술지도가 논술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학교도서관을 활동한 논술지도 연구에서 얻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었으며 자기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었다. 둘째, 논술수업을 하는 동안 학교도서관을 많이 활용하였으며 친근감을 가지게 되었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다양한 활용으로 많은 배경지식이 습득되었다. 넷째, 수업 과정에서 프로그램을 통해 협동심이 배양되었다. 다섯째, 수업하고 지식을 얻는 과정에서 창의력, 사고력, 논리력, 표현력등이 향상되었다. 여섯째, 독서 토론등을 통해 비판력, 판단력이 신장되었다. 일곱째, 사고의 폭이 확장되었으며 자료를 찾고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게 되었다. A School library is purposed for achieving educational targets and normalizing school education, and providing supports for smooth education by various information, resources and facilities. Knowledge Information-based society needs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we should take care of raising talented people through various information and media. Using school library can increase student's self-resolving ability and raise their incenti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effects on essay of school library and to develop education model for reading and essay education vitalization, and to check out the result of student's essay ability. To do this,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s on Essay by survey on 100 highschool students in South Gyunggi-do, and compared two sample classes, that are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for 30 highschool students and then analysed Essay evaluation and survey. According to the analysis, we realiz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in their Essay writing, and Essay education with school library could help raise Essay ability. The effects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students became the main in the class and can study in self-leading way. Second, They used school library a lot and got friendly. Third, various background knowledge was acquired through various utilize of school library. Fourth, Cooperation was raised through various programs. Fifth, creativity, thinking power, logics, expression skills were increased. Sixth, critical power, judging power was increased by discussion. Seventh, the width of student's thinking was widened, and they found out how to search and utilize sources.

      •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이 도서관활용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소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이 논문은 교육부의 지속적인 학교도서관 활성화 계획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 도서관활용 교과연계 수업이 이루어지 지지 않는 이유는 무엇이며, 기존의 오리엔테이션식 학교도서관 이용자교육에서 벗어나 도서관을 활용하여 정보활용능력을 어떻게 향상 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관종별로 나누어 학교도서관 13건, 대학도서관 12건, 공공도서관 5건 총 30건을 조사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적용대상, 조사대상 및 인원, 실험방법, 현황 및 실태, 개선 및 방안, 설계 및 시연, 주제 등을 살펴본 후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용교육을 통해 도서관활용능력 및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는 실증적인 연구는 지금까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논문에서는 ��6학년 국어 교과서��와 ��도서관과 정보생활��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 수업을 설계하였다. 경기 광주지역의 T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군 141명, 통제군 104명으로 총 245명이 참가하였다. 참가자들을 이용교육 여부에 따라 도서관활용능력 평가지와 정보활용능력 수행평가지를 테스트하여 이용교육을 받은 집단과 받지 않은 두 집단을 비교·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여섯 가지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국어교과연계 전체의 경우, 각각 실험군 92.38점, 통제군 63.70점으로 높은 평균의 결과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도서관에서 읽을거리를 찾아 읽는 방법과 같이 국어교과의 직접적인 연계 문항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도서관 이용 예절 전체의 경우, 각각 실험군 97.87점, 통제군 94.23점으로 두 집단이 비슷한 평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학년 때부터 6학년까지 학교도서관을 접하고 있었기 때문에 도서관을 이용하는 예절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인 현상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도서관 자료의 정리 규칙 전체의 경우, 각각 실험군 95.04점, 통제군 70.31점으로, 이용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책의 구성과 종합문제의 문항에서 두 집단이 아주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도서관활용능력 평가 중 정보자료 활용 전체의 경우, 영상자료, 인쇄자료, 전자자료, 종합자료 순으로 평균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영상자료의 경우 두 집단의 평균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섯째, 정보활용능력 수행평가 중 정보자료의 종류 전체의 경우,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평균점수가 인쇄자료, 전자자료, 영상자료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전자자료와 영상자료에 비해 인쇄자료를 좀 더 익숙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정보활용능력 수행평가 중 정보자료 종류(상세) 전체의 경우, 실험군과 통제군의 평균 점수가 종이책, 사전 또는 백과사전, 도감 및 잡지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특히 전자책, 신문, 동영상 문항의 평균 점수가 이용교육의 여부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총 네 가지의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도서관협회 산하의 지역별 그리고 관종별 도서관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현재 사서의 직무연수에서는 이용교육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진정한 사서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는 연수 내용에 이용교육을 필수로 넣어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은 본연의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독서교육에 비해 대다수의 학교도서관에서 이용교육의 비중이 낮다.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을 위해 이용교육을 통해 정보활용능력을 강화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은 이용교육을 통해 정보활용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용교육을 실시했을 당시의 단기적인 효과만을 생각할 것이 아니라,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이용교육을 통해 도서관활용능력을 정보활용능력으로 확대시켜야 한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은 교과와 연계되어야 한다. 앞으로 전자자료 및 영상자료는 수업에 연계되어 자료의 활용도가 더욱 증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교과와의 연계가 불가피하며,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실시 여부에 따른 도서관활용능력 및 정보활용능력 변화를 조사, 분석하여 실질적으로 학교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교도서관 이용교육 수업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언한 내용을 바탕으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이 개선된다면, 이를 통해 도서관활용 교과연계 수업의 활성화는 물론 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address matters on the apprehensions of why is there no substantial academic lesson integrated with practical use of the library, even though the education department constantly encourages schools to make a good use of the library and how can we renounce the existing simple school library user orientation so the students can enhance their library resource utilization abilities when conducting in the library. For the research, 30 papers in total were reviewed and they were assorted by types of the subject institution, 13 school library papers, 12 university library papers and 5 public library papers. From the paper,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representative sample and their numbers, the experiment method, the current updates and surveys, advices on betterment and promotion strategies, planning and demonstration of the class and the subject were compared and evaluated. It was assessed that no substantial study was done on surveying users’ information literacy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rs. In this paper, the education of school library use was planned by integrating lessons with ��6th grade’s Korean textbook�� and ��Library and information application��.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6th graders from ‘T’ elementary school in Gwangju, Gyeonggi province and the total of 245 students participated which consists of 141 student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4 students from the controlled group. A total of 6 significant outcomes as followed were derived from this experiment. First, in case of Korean integrated lesson of total categories of the practical use of the library literacy evaluation,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was a substantial score difference as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as 92.38 points and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score was 63.70 poi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stinction with the directly linked task on the matter such as searching for the book on the subject of Korean. Second, for total categories of library usage manner in the practical library literacy evaluation, the average scores were quite close, as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as 97.87 points and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score was 94.23 points. This can be expected since the students has been using the library from 1st grade so the manner only comes naturally to them. Third, for the library information organizing total categories of the practical library literacy evaluation, a positive affect of the education was verified as th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score was 95.04 points and the controlled group’s average score was 70.31 points.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groups on the subject of book’s content and compiled questions. Fourth, for the information resources application in total of the practical library literacy evaluation,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for visual resources, printed resources, electronic resources and general resources in respective order. The result showed a statistically considerable distinction. For visual resource, the biggest average difference was observed. Fifth, for information resources category of information literacy performance evalua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both groups were high with printed resources, electronic resources and visual resource in the respective order and the order for both groups were identical. It can be acknowledged that students from the both groups are more familiar with printed resources in comparison to electronic or visual resources. Last, for information resources category(detailed) of information literacy performance evaluation,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respective order of paperbacks, dictionary or encyclopaedias and illustrated books or magazines.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 made a distinctive difference for average scores between the two groups especially on electronic, newspaper and video questions. Four possible suggestions can be proposed to improve the existing school library orientation. First, there has to be a resolute support from the regional and institutional libraries affiliated with Korean Library Association. Presently, the librarian training courses do not involve any education of library use. The education of library use should become compulsory in order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for the librarians. Second, the school libraries should fulfil their precise purposes. On the contrary to avid reading education at present, there is an overlook upon the education of library use. Through education, the use should be able to strengthen their information literacy which will also enhance their self directed learning capability and therefore accomplishing the ultimate objective of the school libraries. Third, the school libraries should improve the user's information literacy by providing the education to the library use. It should not only be limited to an one time deal with a short term affect but to provide constant and structured use education to extend the library literacy which would take course to expend information literacy. Last, library associated lessons should be integrated with other academic subjects. In the future, numerous electronic and visual resources will be integrated within classes which will boost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Therefore, the class integration is imminent and the education of library use should be promoted. This study has taken place to analyze the progress of library literacy and information literacy in case of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 so suggestions can be made for the classes at school. If the school library orientation is modified to the education of the library users, it will be able to encourage the academic lesson integrated with practical use of the library as well as enhancing the information literacy.

      • 학교도서관 운영주체에 따른 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의 인식연구

        박미경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teachers interpret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elementary school library management operators and to confirm that the librarian teacher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nd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a Librarian in the school library. The study was conducted by searching for relevant literature and survey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ing questionnaires, Thes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necessities of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The Questionnaire were sent to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gi Province. Summarized analysis of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lot of schools where librarian teachers(librarian) are not assigned, don’t proceed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Second, the purposes of an entir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placement type of school library operators. Third, regardless of school library operators,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 the importance of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Fourth, teachers of schools where librarian teachers(librarian) are not assigned, don’t know a lot about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Fifth, teachers of schools where librarian teachers(librarian) are assigned,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s and the necessity of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They think that the class using of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an obligatory arrangement of librarian teachers. Sixth, regardless of school library operators, mo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 the librarian teacher(librarian) and importance of the class using school library. Seventh, the school that have the librarian teachers, librarians, and don’t have the librarian(in order) are aware of the need for teacher training about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library utilization class differs according to the school’s library management operators. So the school’s library management operator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lass using school library. The placement of a professional Librarian is essential to fully utilize the educational purposes of the school library.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서관 운영주체의 차이에 따라 일반교사들이 어떻게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인식하는지를 분석해보고, 사서교사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여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중요성 및 사서교사의 당위성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와 설문지법으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지를 발송 및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문항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와 필요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설문대상은 경기도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그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사서)가 배치되지 않은 학교의 경우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진행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학교도서관 운영주체의 배치 유형에 따라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실시하는 목적이 서로 상이하였다. 셋째, 학교도서관 운영주체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사서교사(사서)가 미배치되어 있는 학교의 일반교사들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잘 알지 못하였다. 다섯째, 사서가 배치되어 있는 학교의 일반교사들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중요성 및 필요성을 인식하여 사서교사의 의무 배치를 통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여섯째, 학교도서관 운영주체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초등학교 일반교사들은 사서교사(사서)를 인지하고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중요도 또한 인식하고 있었다. 일곱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사서, 사서교사, 미배치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로 미루어보아 초등학교에서 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일반교사들의 인식은 학교도서관 운영주체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학교도서관 운영주체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성 있는 사서교사의 배치가 필수적이다.

      •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연구 동향 분석

        한찬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43

        우리나라 학교도서관의 활용수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지금까지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가 어떻게 수행되어 왔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영역별로 미비점을 점검하여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연구의 생산연도별, 학회지별, 저자분석, 연구방법을 양적인 측면에서 파악하였고, 영역별로 내용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학술지 4종을 대상으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였고, 총 185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는 1992년에 시작되어, 2003년에 급증하였고, 『학교도서관 활성화 사업』과 『학교도서관 진흥 기본계획』과 상관성을 보이며 최근까지 꾸준한 생산량을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학회지별 연구 동향은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 순으로 논문을 생산하였다. 셋째, 저자분석은 교수가 수행한 개인 연구가 41.1%, 사서교사의 단독 연구가 21.1%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의 주요 저자가 전체 연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저자의 신분 변화에 따른 주제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연구의 영역별로 내용을 분석한 결과 수업 영역에 속한 논문이 86편으로 전체 논문 중 46%에 해당했다. 그중 수업 설계 및 모형 영역과 교수학습 매체 영역 모두 2015년 이후부터 특정 교과와 관련된 수업 연구가 시작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수업 평가도구 및 방법에 관한 연구와 체제·행정 영역의 연구량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연구가 이론적인 내용보다는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의 연구가 더 많아져야 하며, 높은 협력 수준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연구가 심화될 것과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영역의 균형 있는 연구 활동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As interest in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in Korea increases, active research is being conducted. At this point, it is necessary to look at how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so far.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f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research, examining the deficiencies in each area, and proposing future research tasks. Thus, this study quantitatively examined the period, journals, authors, and research methods, and conducted content analysis by research area. In order to select the research subjects, papers on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were searched for four journa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a total of 185 pap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began in 1992 and increased rapidly in 2003, which correlates with the School Library Revitalization Project and the School Library Promotion Basic Plan. Additionally, it has shown steady production until recently. Second, research trends by journal produced papers in the order of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Third, in the author analysis, 41.1% of the research were conducted by individual professors and followed by individual school librarians at 21.1%, and a small number of major authors accounted for a significantly high proportion of the entire study.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change in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author's status. Fourth, upon analyzing the content of each area of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it was found that 86 papers pertain to the class area, constituting 46% of the total papers.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instructional research related to a specific subject has been initiated since 2015 in both the instructional design and model areas, as well as the teaching-learning media area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in the areas of evaluation tools and methods for instruction, as well as in the areas of organizational and administrative. Based on the trend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an increase in practical content research that can be applied in real classroom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ory. It also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ducting further in-depth research on highly collaborative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and the balanced research in the research field of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 : 경기지역 초등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이보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LAI (Library-Assisted Instruction), investigate differences in awarenes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d LAI, and activate LAT by applying it to the education field constructively. To accomplish the above research goals, LAI's meaning, necessity, operation and learning models were examin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299 students and 99 teachers of 29 elementary schools in 11 regions of the Kyonggi Province.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survey results was set as 5 percent, and the data of the survey were processed statistically with SPSS ver 13.0. As statistical data processing method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main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gard school library as a material and information providing cent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y experienced LAI. Second, there are differences in awarenes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role of school library.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students' awareness about library, methods of using and finding materials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y are given LAI. Fourth, both students and teachers agree that LAI is helpful in building environments where students can study by themselves. Fifth, physical environments for LAI have already been almost established, and teachers and students have trust in library materials. Sixth, LAI is often given as a form of simple reading, and students do not understand LAI very well. Seventh, teachers and students are aware that LAI is helpful in self-directed learn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paper suggests that librarian teachers in the education field should develop materials and detailed methods for LAI and make efforts to provide LAI more actively by building and promoting environments where LAI can be given efficiently.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활용수업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도서관활용수업 경험의 유무에 따라 어떠한 인식차이가 있는지 연구하여 도서관활용수업을 교육현장에 발전적으로 적용시키고 활성화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학교 도서관 활용수업의 의의와 필요성, 운영, 학습모형에 대해 알아보고, 경기도 내 11개 지역 총 29개 초등학교의 학생 299명과 교사 9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결과는 유의 수준을 5% 설정하고 SPSS ver 13.0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통계처리방법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사용하였다. 설문을 분석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활용수업의 유무에 상관없이 학생과 교사 모두 학교 도서관을 자료이용과 정보 제공 센터로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사와 학생의 학교 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다. 셋째, 도서관 활용수업 유무에 따라 학생들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 자료 이용법, 소장 자료 파악에 차이가 있다. 넷째, 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해 학생과 교사 모두 스스로 공부하는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다. 다섯째, 도서관 활용수업을 할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은 대부분 구축되어 있으며, 교사와 학생은 도서관 자료에 신뢰를 가지고 있다. 여섯째, 도서관 활용수업이 단순 독서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학생이 도서관 활용수업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도 많다. 일곱째, 교사와 학생은 도서관 활용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다. 위와 같은 결과들로 본 논문에서는 교육 현장에 있는 사서교사들이 도서관 활용수업을 위한 자료와 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도서관 활용수업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 홍보하여 더욱 활발하게 도서관 활용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