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2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남자 청소년 단거리 선수의 순발력, 민첩성, 그리고 스피드에 미치는 영향

        장위진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높은 수준의 운동 분야에서 운동선수의 신체 능력은 성적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며 근지구력, 근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 등의 체력 요소가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중 순발력, 민첩성, 속도는 축구, 농구, 육상 경기 등 여러 운동 종목 경기의 결정적 요소이다. 특히, 단거리 청소년 운동선수에게 더욱 필요한 체력은 근력, 순발력, 민첩성과 효과적으로 신체 에너지를 처리하는 조절 능력이다. 따라서 단거리 운동선수는 과학적이고 체계적이며, 전문적인 지도와 생리, 운동, 영향 등 각 측면을 고려하여 운동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각종 훈련과 고강도의 운동을 이겨낼 수 있는 훈련 체계를 구축하여 운동선수가 이상적인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에 걸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남자 청소년 단거리 경주 운동선수의 순발력, 민첩성과 스피드에 끼친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베이징 시 체육운동학교의 남자 단거리 운동선수이며, 연구를 위해 해당 선수들을 10명의 운동 그룹과 10명의 대조 그룹으로 나누었다. 즉, 매주 3회씩 12주에 걸쳐 운동 그룹은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하고 대조 그룹은 일반 역량 훈련을 진행하는 것이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순발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제자리멀리뛰기 기록(m)은 2.72±0.10에서 2.84±0.06로 향상되었고, 제자리삼단뛰기의 기록(m)은 8.05±0.25에서 8.30±0.08로 향상되었으며, 도움닫기 높이뛰기의 기록(m)은 2.82±0.04에서 2.94±0.13로 높아졌으며, 또한 이상 3가지 항목의 측정시기*그룹 간의 상호 작용 효과 에서는 유의한 차이(p< .05)가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민첩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T-TEST 기록(sec)은 11.13±0.57에서 10.45±0.43으로 감소하였고, 5×25m 왕복달리기 기록(sec)은 36.05±0.76에서 35.09±1.01으로 감소하였으며, 측정시기*그룹 간의 상호 작용 효과(p< .0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스피드에 미치는 영향에서 30m 달리기의 기록(sec)이 4.02±0.18에서 3.80±0.14로 감소되었고, 60m 달리기의 기록(sec)이 7.87±0.12에서 7.23±0.14로 감소되었으며, 10 초제자리 뛰기 기록(ounts)이 53.60±1.84에서 56.60±1.17로 증가하였다, 또한 이상 3가지 항목의 측정시기와 그룹 간의 상호 작용 효과(p< .05)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단거리 경주 운동선수가 우수한 경기력을 위한 핵심오소는 강한 순발력, 민첩성과 스피드에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플라이오메트릭 훈련은 남자 청소년 단거리 육상선수의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중학교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관련체력과 등속성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박성화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축구선수들을 대상으로 12주간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실시하여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중학교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관련체력과 등속성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 변화에 대한 차이를 규명하는 연구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운동관련체력의 변화에서 코어 트레이닝 집단은 좌측 순발력, 우측 순발력, 근지구력, 스피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은 민첩성, 좌측 순발력, 우측 순발력, 근지구력, 스피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협응력에서는 코어 트레이닝 집단,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트레이닝 유형과 운동관련체력 요인의 다변량 검증에서는 민첩성, 좌측 순발력, 우측 순발력, 스피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트레이닝 유형과 포지션 간 상호작용 검증에서는 민첩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등속성 하지근력의 변화에서 코어 트레이닝 집단은 60°/sec Peak torque에서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80°/sec Total work에서는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은 60°/sec Peak torque에서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180°/sec Total work에서는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트레이닝 유형과 등속성 하지근력의 다변량 검증에서는 60°/sec Peak torque의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 180°/sec Total work의 좌측 신근, 우측 신근,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트레이닝 유형과 포지션 간 상호작용 검증에서는 180°/sec Total work의 좌측 굴근, 우측 굴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균형능력의 변화에서 코어 트레이닝 집단은 정적 균형능력의 이동면적, 이동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에서는 이동면적의 좌측, 우측, 전방, 후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에는 정적 균형능력의 이동면적, 이동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동적 균형능력의 변화에서는 이동면적의 좌측, 우측, 전방, 후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트레이닝 유형과 균형능력의 다변량 검증에서는 정적 균형능력의 이동면적, 이동길이, 동적 균형능력의 좌측, 우측, 전방, 후방 이동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트레이닝 유형과 포지션 간 상호작용 검증에서는 동적 균형능력의 후방 이동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코어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실시한 결과 트레이닝 유형에 따른 중학교 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운동관련체력과 등속성 하지근력 및 균형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코어 트레이닝은 성장기의 발전 가능성이 많은 중학교 축구선수들에게 있어서 포지션별 알맞은 체력요인 향상과 체간 밸런스, 코어 안정성, 유연성, 균형능력 등을 향상시키고,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대퇴부의 근력향상 및 슬관절 주변근의 기능발달로 근육과 건 단위의 잠재력을 극대화시켜 중학교 축구선수들이 경기상황 중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발휘할 수 있고, 포지션에 관계없이 경기력에 직결되는 운동관련 체력요소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트레이닝 방법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conducted cor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with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for 12 weeks to examine the changes in motor-related physical fitness,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the lower extremities, and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training types at each posi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for the change in motor-relate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cor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while the core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ft power, right power, muscular endurance, and speed, the plyometric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ility, left power, right power, muscular endurance, and speed. But, both core and plyometric groups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oordination. The multivariate test for training types and motor-related physical fitne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ility, left power, right power, and speed. The interaction test between training type and posi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ility. Second, for the change in the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according to cor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the cor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extensor, the right extensor, the left flexor, and the right flexor for 60°/sec peak torqu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extensor, the right extensor, the left flexor, and the right flexor for 180°/sec total work. The plyometric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extensor, the right extensor, the left flexor, and the right flexor for 60°/sec peak torqu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extensor, the right extensor, the left flexor, and the right flexor for 180°/sec total work. The multivariate test for training types and isokinetic muscle strength of low extremiti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extensor, the right extensor, the left flexor, and the right flexor for 60°/sec peak torque and in the left extensor, the right extensor, the left flexor, and the right flexor for 180°/sec total work. The interaction test between training type and posi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flexor and the right flexor for 180°/sec total work. Third, for the change in balance ability according to cor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the cor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vel area and travel length for static balanc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right, anterior, and posterior travel area for dynamic balance. The plyometric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vel area and travel length for static balance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ft, right, anterior, and posterior travel area for dynamic balance. The multivariate test for training types and balance 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ravel area and travel length for static balance and in the left, right, anterior, and posterior travel area for dynamic balance. The interaction test between training type and posi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osterior travel area for dynamic balance. Based on the findings, core training and plyometric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motor-related physical fitness, isokinetic muscular strength of lower extremities, and balance ability at each position of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Core training improved good physical fitness for each position, trunk balance, core stability, flexibility, and equilibrium in middle school soccer players who have many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during the growth period. Plyometric training may improve thigh muscle and develop knee muscle functions. It can maximize potential for muscle and tendon in soccer players and improve performance by having strong power in a moment during the play. Thus, it is a very effective training method to improve motor-related physical fitness elements which are directly associated with performance regardless of positions.

      • 웨이트·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초등학교 어린이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박영준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8

        본 연구의 목적은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있다. 피험자는 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소재 T 초등학교 5, 6학년 어린이 24명을 무선 표집하여 웨이트 트레이닝을 실시하는 집단,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실시하는 집단, 특별한 훈련을 하지 않는 집단의 세 집단 각 8명으로 편성하여 주당 3일씩 8주간 훈련을 실시하였다. 웨이트 트레이닝 집단은 김충현이 구성한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모두 4단계로 나누어 단계별로 9종목의 트레이닝을 실시하였으며, 종목간 60초의 스트레칭을 하며 휴식을 취한 후 이동하고, 전체 운동 시간은 20~30분으로 하였다. 부하량은 1RM의 60~70% 정도로 하고 반복 횟수는 8~15회로 개인의 능력에 맞게 실시하였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은 4종목으로 구안하여 적용하였으며 3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운동 사이의 휴식은 2분으로 하고 전체 운동 시간은 20~30분으로 하였으며 부하량은 단계별로 1세트씩 늘려 나갔다. 이 연구의 측정변인은 근지구력과 순발력, 민첩성, 유연성이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트레이닝 전·후의 기록을 측정하여 t-test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웨이트 트레이닝 집단에서는 근지구력의 기록이 훈련전보다 훈련 후에 현격히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2.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에서는 근지구력과 순발력, 민첩성이 트레이닝 후에 현격히 향상되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3. 통제 집단에서는 체력 전반에 걸쳐 기록이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4.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웨이트 트레이닝보다 민첩성을 기르는데 효과적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체력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체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초등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체육 시간에 실시하도록 해야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how mush the weight and plyometric training may have effects on the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ers. In this study, total 24 subjects were randomly sampled from elementary schoolers at grade 5 and 6 in 'T' Elementary School, which is located in Galmal-eub, Cheorwon-gun, Gangwon province. The subjects were subdivided into three groups with respective 8 persons: The 1st Group under weight training, the 2nd group under plyometric training and the 3rd group without special training. All group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8-week training on the basis of 3 days a week. In this study, a training program devised by Kim Chung-hyeon was applied to weight training groups as sampled. They went through 9 training events in each step from Step 1 to 4. Between events, they were allowed to take a short rest with stretching for one minute to move to the next course. Total physical training time ranged from 20 to 30 minutes. Physical load was set up at 60 to 75% of 1RM(Repetition Maximum). Repetition cycles ranged from 8 to 15 depending upon the physical capacity of each subject. The 2nd group under plyometric training was to participate in 4 devised events from Step 1 to 3. Between events, they were allowed to take a short rest for 2 minutes. Total physical training time ranged from 20 to 30 minutes. Physical load was a little stronger applied to the 2nd group with one set added in course of step. In this study, the variable factors upon the measurement included muscular endurance, instantaneous reactionary ability, agility and flexibility. Data collected from subjects was applied to t-test, based on the records measured before and after training.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1st group under weight training showed remarkably better records of muscular endurance after training than before, which involved relative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 level. 2. The 2nd group under plyometric training also showed much better records of muscular endurance, instantaneous reactionary ability and agility after training, which involv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al level. 3. The 3rd group, i.e. control group showed a little better record throughout all items of physical strength, but did not involv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tistical level. 4. It is notable that plyometric training was more effective for raising agility than weight training. Summing up, it is found that weight and plyometric training have more or less considerable effects on enhancing the physical strength of elementary schoolers. Thus, for the better physical strength of our elementary schoolers, it is favorable to develop and a series of training programs available for physical education class in elementary schools.

      • 12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비만 여자청소년들의 성장인자에 미치는 영향

        최준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03

        청소년기는 청소년들이 성장하여 성인이 되는데 있어 제일 중요한 시기이지만, 신체활동 부족과 에너지 불균형으로 인한 비만은 청소년 성장에 악영향을 준다. 이러한 비만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규칙적인 운동이 필수적이며, 최근 고강도 운동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2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통하여 비만 여자 청소년들의 신체조성, 기초체력, 근 기능, 혈액인자(성장관련 호르몬, 혈중지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7 소아청소년 성장도표의 연령별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과체중, 비만의 수치에 해당하는 참가자들을 모집하였으며, 초등학생군(Elementary Group ; EG, n=9)과 중학생군(Middle Group ; MG n=7)로 나누어 운동을 12주간 진행하였다. 모든 측정은 운동 전, 후에 진행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12주간 트레이닝 전 ,후로 그룹 내 대응 t-test를, 그룹 간 사전, 사후의 변화율(% Change)에 대하여 독립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12주간 진행한 후 EG의 신체조성에서 신장, 체중, 체지방률, 하지장의 길이(ASIS)(R, L), 장골능(R, L)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기초체력에서 EG의 근력과 심폐지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근 기능 평가에서 EG의 좌·우측 굴근과 신근 60°/sec의 총 일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혈액변인에서 EG의 TG, IGF-1, IGF-BP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를 볼 수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12주간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비만 여자 청소년들에게 신체조성, 기초체력, 근기능평가, 혈액인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IGF-1, IGF-BP에서 유의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성장관련 호르몬의 증가가 비만 여자 청소년들의 체지방률을 감소시키고 하지장 길이와 신장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MG에 비하여 더 어린 EG에서 더욱 큰 효과가 나타나 어린나이부터 지속적인 트레이닝을 통해 건강에 더욱 유익한 효과가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dolescence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for adolescents to grow into adults, but obesity due to lack of physical activity and energy imbalance adversely affects adolescent growth. Regular exercises are essential as a way to prevent such obesity, and a high-intensity plyometric training,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ied changes in body composition, basal fitness, muscle function, and blood factors (growth-related hormones(IGF-1, IGF-BP), blood lipids) of obesity adolescents girls by plyometric training for 12 week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recruited based on the 'Body Mass by Age Index of the 2017 Growth Chart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participants corresponding to the levels of overweight and obesity were recruited,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Elementary Group ; EG, n=9) and middle school students (Middle Group ; MG, n = 7) and exercise was performed for 12 weeks. All measuremen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exercise. Data processing was verified using the SPSS 26.0 statistical program. Paired t-tests were used for within-group testing before and after 12 weeks of training and independent t-tests were used to test for change rate(% Change) between groups before and after training.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at α=.05. After 12 weeks of plyometric trainin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ight, weight, body fat percentage, length of lower extremity (ASIS) (R, L), and iliac crest (R, L) in body composition of EG(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uscle strength and cardiorespiratory endurance of EG in basal fitness(p<.05). In the muscle function evalua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total work done of the left and right flexors and extensors of EG at 60°/sec(p<.05).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EG's TG, IGF-1, and IGF-BP in blood variables(p<.05). Summarizing the above conclusion, 12 weeks of plyometric trai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body composition, basal fitness, muscle function assessment and blood factors in obesity adolescent girls. In particular, significant effects were shown on IGF-1 and IGF-BP. It is believed that the increase in growth-related hormones decreased the percentage of body fat in obesity adolescent girls and affected the increase in length and height of the lower extremity. In addition, plyometric training shows a greater effect in younger EG compared to MG, and it is judged that continuous training from a young age will have a more beneficial effect on health.

      •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과 저항 트레이닝의 적용이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정경민 울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03

        본 연구의 목적은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과 저항 트레이닝의 적용이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생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피험자는 U광역시 내 S태권도장에서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생 120명중에서 5, 6학년 남학생을 무선 할당하여 실험 집단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 및 저항 트레이닝 집단 각각 7명과 비교 집단 7명으로 총 21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였으며 실험 집단의 트레이닝은 주 3회, 12주간 단계별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4.0을 이용하여 실험처치를 통해 얻어진 모든 변인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한 후, 각 집단간 차이검정은 사전검사 값을 공변량으로 한 공분산분석으로 하였다. 추정된 조정평균에 대한 사후검정은 최소 유의차 검정을 이용하였으며, 집단내 차이검정은 종속 t 검정을 이용하였고,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절차를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은 집단내 변화에서 근지구력, 순발력, 심폐지구력의 체력요인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등속성 근력은 좌·우측 슬관절 신근 및 굴근 모두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저항 트레이닝 집단은 근지구력, 순발력, 민첩성,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으며, 비교 집단은 민첩성과 심폐지구력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저항 트레이닝 집단의 등속성 근력은 60°/sec, 180°/sec 좌측 슬관절 신근 및 굴근과 60°/sec, 180°/sec 우측 슬관절 굴근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비교 집단의 등속성 근력은 180°/sec 우측 슬관절 신근 및 굴근에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둘째, 60°/sec 좌·우측 슬관절 신근 및 굴근, 180°/sec 우측 슬관절 굴근, 근지구력, 순발력은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집단이 집단간 변화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실험 집단의 훈련 프로그램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체력요인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60°/sec 좌·우측 슬관절 신근 및 굴근, 180°/sec 우측 슬관절 굴근, 근지구력과 순발력의 향상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태권도를 수련하고 있는 초등학생들의 체력을 골고루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계속해서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훈련 프로그램을 개별적으로 적용할 뿐만 아니라 복합적으로 실시하여 효과를 규명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판단이 되며, 성장기 초등학생들을 위한 국한된 훈련 프로그램이 아닌 앞으로의 신체적 성장과 상해 등을 고려한 과학적인 트레이닝 방법 및 훈련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 트레이닝 방법에 따른 체력 향상에 관한 연구 :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복합훈련을 중심으로

        안종후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2303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raining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by dividing the training group into the control group of weight training and the experimental group of plyometric training. For this purpos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a total of 8-week training, 4 weeks after training and 8 weeks after training. Then this study measured 4 domains such as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power and cardiovascular endurance and 6 items such as back strength, leg strength, push-up, sergeant jump, standing broad Jump, and heart rate and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ir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physical fitress. As a consequence,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 1. It was found that both methods of training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back strength but that there was not a difference between both methods of training(P=0.993, 4 weeks after training and P=0.987, 8 weeks after training). The plyometric training performed by the experimental group (P=0.001 4 weeks after training and P=0.005 8 weeks after training showed the higher average value than the weight training performed by the control group, The previous study(Han fong-wu et al, 1998)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more increase in leg strength by 2.2% than the control group. 2.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a difference in the increase of muscular endurance by push-up between both methods of training(P=0.850, 4 weeks after training and P=0.021, 8 weeks after training. 3. 8 weeks after Sargent jum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ncrease in power than the control group(P=0.481, 4 weeks after training and P=0.008, 8 weeks after training. In the standing broad jum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ncrease in power than the control group(P=0.975, 4 weeks after training and P=0.016, 8 weeks after training. The previous study(Hang Jong-wu et at, 1998)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higher increase in power by over 3% than the control group. 4.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increase in heart rate by cardiovascular endurance than the control group(P=0.461, 4 weeks after training and P=0.001, 8 weeks after training).

      • 현대무용수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과 웨이트 트레이닝 적용이 체력 및 하지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소정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32302

        본 연구에서는 상해 경험이 있는 현대무용전공자를 대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그룹과 웨이트 트레이닝 그룹, 통제 그룹으로 나누어 1일 60분, 주 3회, 총 12주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현대무용수들의 체력(악력, 배근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 평형성) 및 슬관절과 족관절의 등속성 하지 근기능(peak torque, total work, average power, H/Q ratio)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체력에서 근력, 유연성, 순발력, 민첩성이 향상되었다. 둘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등속성 하지 근기능에서 근력, 순발력, 동측근력비율이 향상되었다. 셋째, 웨이트 트레이닝은 체력에서 근력, 순발력, 민첩성이 향상되었다. 넷째, 웨이트 트레이닝은 등속성 하지 근기능에서 근지구력, 순발력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그룹이 웨이트 트레이닝 그룹보다 근력, 순발력, 근지구력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그룹이 현대무용수의 체력, 슬관절, 족관절의 하지근력 발달에 탁월한 효과를 가져왔다는 것을 입증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순발력과 민첩성 등이 향상뿐만 아니라 동측 근력비율이 향상 되어 현대 무용수의 상해 예방과 동작 수행 능력 향상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무용수의 하지근력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 생각되어 기존의 수업방식에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병행하여 현대무용수들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e the variation in modern dancer’s physical fitness and lower limb function by the three groups(plyometric training group, weigh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for 60 minutes per one day, 3 times per week and total 12 weeks for modern dancers. First, plyometric training increased the muscle strength, flexibility, power, agility in side of physical fitness. Second, plyometric training increased the muscle strength, power, and lower body H/Q ratio in side of lower limb functions. Third, weight training increased the muscle strength, power, and agility in side of physical fitness. Forth, weight training increased the muscle consistence power in side of lower limb functions. Fifth, plyometric training group increased better than the weight training group in side of the muscle strength, agility, and muscle endurance. In conclusion, it is proved fact that the plyometric training group affected the development of physical fitness, knee joint and ankle joint’s lower limb muscle strength of the modern dancer. Also, with the augment of power, agility, the H/Q ratio increased. So, it could be estimated that plyometric training would protect the modern dancer’s damage and movement ability of their action. Therefore, plyometric training can be considered the effective program to improve the strength of modern dancer’s lower limb muscle strength and it should be provided with the collaboration of current study method to modern dancer.

      •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대학축구선수의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권준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02

        본 연구의 목적은 6주간의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대학 축구선수의 스피드, 파워, 그리고 민첩성과 같은 무산소성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S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교 축구선수 17명을 사전측정 후 WG(n=9)와 PG(n=8)로 배정하여 6주간 주 2-3회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이후 사후측정을 실시하여 도출된 기록을 통해 이원 반복측정 분산분석(2way-repeated measure ANOVA)과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피드에서 WG와 PG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각 그룹의 측정 시기에 따른 스피드 향상에서 WG는 유의한 향상을 보인 반면, PG는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다음으로 파워에서 WG와 PG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각 그룹의 측정 시기에 따른 파워 향상에서 두 그룹 모두 사전대비 사후에 유의한 수행력 향상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민첩성에서 WG와 PG 간 유의한 차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각 그룹의 측정 시기에 따른 민첩성 향상에서 두 그룹 모두 사전대비 사후에 유의한 수행력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웨이트 트레이닝은 대학축구선수의 스피드, 파워, 그리고 민첩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 반면,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파워와 민첩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웨이트 트레이닝과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과거에 비해 높은 비율의 고강도 무산소성 움직임을 수행해야 하는 현대 축구선수들에게 필수적으로 시행되어야 하는 트레이닝으로 사료된다.

      •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축구선수들의 체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강학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연구는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초등학교 축구선수들에게 체력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축구선수 24명을 실험집단 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의 트레이닝을 실시하였고 트레이닝 전.후의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스피드, 민첩성, 전신지구력, 유연성의 체력요인 기록을 비교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집단의 트레이닝 전.후에 대한 체력 요인별 향상도를 비교하여 보면 각근력에서는 10.74kg(15.81%), 근지구력 13.33회(25.47%), 순발력6.67cm(20.31%), 스피드 0.7초(7.89%), 민첩성 0.7초(6.16%), 전신지구력20.6초(7.45%), 유연성 1.09회(11.37%)의 기록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모든 체력 요인에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둘째, 집단별 트레이닝 방법에 따라 실험집단의 경우 비교집단보다 순발력요인이 8.98%, 근지구력 요인 8.58%, 근력 요인 4.4%, 스피드 요인 3.44%의 기록향상을 보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민첩성 요인은 0.2초의 기록향상은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는 없었으며, 전신지구력과 유연성 요인은 비교집단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축구선수의 체력 요인 중에서 근력, 근지구력, 순발력, 스피드의 체력향상에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나타났으나, 민첩성 요인에는 조금 증가가 있었으며 전신지구력과 유연성 요인의 향상에는 도움이 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Plyometric training improves elementary soccer players' physical abilit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effectiveness of Plyometric training with 24 elementary soccer players, 12 players for testing and other 12 players for comparison. strength, muscular endurance, power, speed, agility, the whole body endurance, flexibility, etcetera were measured, comparing before and after eight weeks of training.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We hav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physical ability of the testing group was improved in all of the aspects : Leg Strength by 10.74kg(15.81%), muscular endurance 13.33times(25.47%), power 6.67cm(20.31%), speed 0.7sec (7.87%), agility 0.8sec(6.66%), the whole body endurance 20.6sec (7.45%), flexibility 1.09times(1.37%), etcetera and the results statistically have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 the performance of the testing group was improved significantly for power 8.98%, muscular endurance 8.58%, Leg muscular strength 4.4%, speed 3.38%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and the results statistically have significant difference. But agility 0.2sec(1.54%)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statistically h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the whole body endurance and flexibility etcetera's testing groups were similar or worse. It is concluded that Plyometric training significantly improved physical ability of elementary soccer players with respect to leg muscular power, power, speed, among various physical elements agility, etcetera are improved a little by Plyometric training. And there is improvement of the whole body endurance and flexibility by Plyometric training.

      •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남자 고등학교 하키선수들의 체력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

        김동명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87

        본 연구는 남자 고등학교 하키선수를 대상으로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적용하여 체력과 무산소성 파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남자 고등학교 하키선수를 대상으로 실험집단 11명, 통제집단 11명으로 나누어 통제 집단은 특별하게 훈련을 지도하지 않았고, 실험집단에게만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을 주 3회 빈도로 실시하였고, 8주간까지는 60분, 9주차부터는 65분으로 12주 동안 진행 하였다. 실험 전·후 체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측정된 민첩성(셔틀런), 순발력(제자리 멀리 뛰기), 근지구력(윗몸 일으키기), 스피드(50m달리기), 협응력(눈-손 협응력 검사)을 측정 하였고, 무산소성 파워에는 최대파워(PEAK POWER) 및 평균파워(MEAN POWER)로 측정을 하여 통제집단과 비교, 분석,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전·후 체력 요인에서 민첩성(셔틀런)의 경우 실험집단에서 사전13.28초에서 사후 12.63초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순발력(제자리 멀리 뛰기)의 경우 실험집단에서 사전 207.45cm에서 사후 211.86cm 로 향상되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지구력(윗몸일으키기)의 경우 실험집단에서 사전 54.23회에서 사후 58.14회로 증가 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피드(50m달리기)의 경우 실험집단에서 사전 7.24초에서 사후 6.92초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협응력(눈-손 협응력)의 경우 실험집단에서 사전 43.68.초에서 사후 42.67초로 감소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 전·후 무산소성 파워의 최대파워(PEAK POWER)는 실험집단 866N에서 877.45N으로 크게 증가하여 무산소성 파워인 최대파워(PEAK POWER)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파워(MEAN POWER) 또한 실험집단에서 704.12N에서 714.45N으로 크게 증가 하여 12주간의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이 무산소성 파워인 평균파워(MEAN POWER)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보아 12주간의 남자 고등학교 하키선수들에게 플라이오메트릭 트레이닝은 체력(민첩성, 순발력, 근지구력, 스피드, 협응력)과 무산소성 파워(최대파워, 평균파워)에 운동 전·후 실험집단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자 고등학교 하키선수들의 체력 및 무산소성 파워 향상에 적합한 운동 프로그램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effects of plyometric training on physical strength and anaerobic power from male high school hockey players.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22 male hockey players with 11 experimental groups and 11 control groups. The control group did not get training. Only the experiment group had the plyometrics training 3 times a week. And progressed for 12 weeks. In order to compare the physical strength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the measured physical strengths are the agility (shuttle run), the instantaneous power (run away), the muscle endurance (sit up), the speed (running 50m), the cooperative (eye - hand coordination) The power was measured with PEAK POWER and MEAN POWER,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nd analyzed and verified to obtain the following conclusions. 1. In the case of agility (shuttle run) before and after the plyometric trai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the pre 13.28 seconds to post 12.63 seconds, and the case of wakefulness (standing long jump) they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pre 207.45cm to post 211.86cm, and the case of muscular endurance (sit - up) they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pre 54.23 to post 58.14. For the case of the speed (50m running),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from 7.24 seconds to 6.92 seconds. The case of the cooperative effort (eye - hand coordinatio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d from 43.68 seconds to 42.67 seconds. 2. Before and after the plyometric training, the maximum power (PEAK POWER) for anaerobic powe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866N to 877.45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it was shown that the peak power (PEAK POWER), which is an anaerobic power. The average power (MEAN POWER) for anaerobic power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704.12N to 714.45N in the experiment group, and it was shown that the trai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Power which is anaerobic power. As a result, the 12-week plyometric training showed improvement in physical strength (agility, power, muscle endurance, speed, coordination) and anaerobic power (maximum power, average pow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was judged to be a suitable exercise program for improving physical and anaerobic power for male high school hockey play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