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셸 푸코의 권력 분석에서 법의 문제

        육은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정치철학자 중 한명임에도 불구하고 푸코의 생각들이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질 수 없다고 여겨지는 데는 법의 문제가 존재한다. 법이라는 주제는 푸코에 제기되는 가장 근본적인 비판이자 그를 적법성에 대한 논의를 핵심으로 하는 규범적 정치철학과 구분 짓는 가장 뚜렷한 선이라고 볼 수 있다. 하버마스와 풀란차스를 비롯한 여러 논자들은 푸코가 근대성에서 법의 역할을 지나치게 폄하했다고 비판한다. 그 근거는 크게 두 가지로, 첫째, 푸코가 법의 구성적 역할을 인정하지 않고 법에게는 거의 부정의 힘밖에는 없는 것으로 파악한다는 것, 둘째, 푸코가 법을 근대에 접어들면서 쇠락하는 것으로 이해한다는 것이다. 이들에 따르면 푸코는 권력 분석이 주요 주제가 되는 70년대 중반에서 말까지의 텍스트에서 법을 부정적, 억압적 권력의 전근대적 형태와 동일시하고 이 형태는 점진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권력 작용인 소위 규율 권력에 의해 추월당한다고 주장한다. 푸코에게서 근대적 권력 양식은 본성적으로 주권 그리고 법과 양립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며, 권력 작동에 있어 질적인 단절을 가져오는 근대성으로의 전환 속에서 법적 형태들은 단순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해도 더는 의미 있는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는 푸코의 법에 대한 관점을 너무 단순하게 파악하는 것이다. 이는 주권론에 대한 비판과 근대에서 법의 주변화 및 퇴화에 대한 푸코의 몇몇 언급들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고, 그것들을 그의 계보학적 기획의 더 넓은 맥락 안에서 이해하지 못한 결과다. 푸코의 법에 대한 관점을 이해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것은 법의 문제에 관련된 여러 대상들의 층위를 구분하는 것이다. 푸코는 유명론자답게, ‘법’이라는 용어로 매우 다양한 것을 지칭한다. ‘법적인 것’은 권력관계를 표상하는 하나의 모델을 가리키기도 하고, 근대 이전의 지배적 권력양식이었던 주권 권력의 테크놀로지를 뜻하기도 하며, 이러한 주권 권력의 도구로서의 법제도를 가리키기도 한다. 또한 법적인 것은 사법에서 정신의학적 지식과 결합될 때 법적 사고, 법적 합리성을 의미하며, 근대적 법까지도 포함하는 법제도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즉 푸코는 법과 관련하여 관념적인 것과 실천적인 것, 이론적인 것과 제도적인 것 모두를 다룬다. 푸코에게 법은 이 모든 것이며, 다양한 층위에서 다른 장치들과의 관계 속에서 작용하는 다양한 법적인 것들의 작동 방식과 기능을 설명하는 것이 푸코의 권력 분석의 목적이다. 푸코에게서 법을 적극적으로 독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계기가 된 것은 일명 ‘통치성 강의’라 불리는 콜레주 드 프랑스 78년 강의와 79년 강의이다. 여기서 푸코는 메커니즘의 층위와 테크놀로지의 층위를 구분하고, 법, 규율, 안전 이 세 메커니즘의 관계가 권력 테크놀로지의 역사를 구성한다고 말한다. 이로써 각각의 메커니즘은 시대 순으로 대체되는 관계가 아닌, 보다 큰 테크놀로지의 역사 속에서 제각각 변형을 겪으면서 서로의 관계 역시 변화하는 그러한 복잡하고 유동적인 상태에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새로운 틀 제시와 함께 법과 관련해서는 전근대적 사법뿐만이 아니라 근대적 형식의 법에 대한 분석이 상당한 비중으로 진행된다. 특히 근대 이후 통치를 지배한 자유주의와 현대의 신자유주의에서 법은 자유 시장에 기초한 경제 메커니즘의 틀을 형성하고,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그것을 존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경제와 법은 ‘경제적-법적 총체’를 형성하면서 서로를 조건 짓는 관계를 갖는다. 통치성 강의의 독해를 통한 푸코와 법의 관계의 재설정은 이전 작업에서의 법에 대한 서술도 재독해하게 만든다. 특히 『감시와 처벌』과 『성의 역사 1: 앎의 의지』는 그간 푸코 연구에서 법과 권력의 대당 또는 법 대 규율의 이분법이라는 문제를 만들어냈다. 그러나 이 텍스트들을 법에 초점 맞춰서 읽을 때, 푸코가 단순히 법을 실질적 권력 작용을 은폐하는 이데올로기로 치부하거나 법을 권력으로서 인정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푸코에게는 법과 관련하여 일련의 복잡한 테제들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가장 큰 범위에서 주권권력 즉 법적인 권력으로부터 규범화 권력으로 이행하는 권력 테크놀로지의 근대적 변형이 존재한다. 이 층위에서 법적인 권력은 지배적 권력양식에서 물러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이 법 자체의 소멸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주권적 법은 쇠퇴하지만, 규범화 권력 장치로서 새로운 법의 갈래가 발전하기 때문이다. 규율 권력은 다수의 원천으로부터 발원하는 규범화 테크닉들로 구성된다. 규율이 규정하는 법규는 주권의 것이 아니라 규범화와 관련된 법규이다. 그 영역을 구성하는 것은 인간 과학이고, 임상학적 지식이 그것의 법리학(jurisprudence)이 된다. 이처럼 근대법은 주권적 법과 행사 방식과는 근본적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법에 대한 이중의 그림이 존재한다. 군주가 신민들을 통제하기 위한 테크닉들을 발전시키는 것을 허용하는 틀로서 범죄에 관련된 법규 그리고 국가가 개인에게 부여하는 금지들로서의 법과, 이러한 법의 낡은 체계를 보충하기 위해 발전했고 전근대적 억압적 법체계보다 훨씬 더 침입적으로 주체를 형성하는 새로운 법체계. 그런데 이러한 법의 내적 변형은 전자에서 후자로의 깔끔한 교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규범화 권력이 생산하면서 또한 원천으로 삼는 규범 자체가 근대에 부상한 인간학적 앎들과 법적 사고의 착종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법적인 것은 존속하면서 근대 권력의 배치에서 계속적으로 기능한다. 따라서 법은 없어지거나 대체되는 것이 아니라, 규율 체계에 순응하게 되는 것이다. 또 그 반대로, 규율 체계가 법과 규제의 형식 속에 기입된다고 말할 수 있다. 푸코의 방점은 법과 규율의 대립에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법적인 것과 규율적인 것이 만나서 충돌하거나 얽혀서 결합되거나 하는 중간의 회색지대를 규명하는 것에 있었다. 요컨대 법은 권력관계의 지배적 형태가 주권권력에서 규범화 권력으로 이행하는 권력 테크놀로지의 변형의 역사 속에서 주권 장치에서 규범화 장치로 변형을 겪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렇게 볼 때 법은 근대성에서 그 역할이 감소하기는커녕 오히려 근대적 주체를 생산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푸코의 법에 대한 비평은 고전적 법이론과 계약론에 의해 개념화되는 법과 권력에 대해 재사고하고, 법이 이제는 규범화 권력 장치의 한 부분으로 작동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 푸코(M. Foucault)의 생명정치와 방역정책 : ?감염병예방법?을 예로 하여

        한민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Every Quarantine policy implemented under the title of protection and management from the COVID-19 reminds of Michel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that power is exercised in the form of state power managing the lives of the population. Biopolitics refers to the phenomenon mainly used for the state power to protect and manage the lives of the people under the needs of the times. Foucault states that from the 15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the main operation method of power shifted from sovereign power to disciplinary power where power penetrates the individual’s body, and then to biopower which manages the whole population. Foucault’s biopolitics refers to a form of politics that protects the wellness and lives of the population through the following two methods: disciplinary power that controls individual physical body and biopower that controls the entire population. Foucault claims that “disorderly epidemics” have legalized “penetration of discipline into minor parts of daily lives.” Fear and chaos from such epidemics inject state power in the people’s body and facilitate management of the whole population, thereby enhances the ‘biopolitics’ phenomenon. In other words, ‘biopolitics’ is a major concept expressing the COVID-19 pandemic era. Thus, this paper discusses how Foucault’s theory of ‘biopolitics’ can be applied in the current COVID-19 pandemic situation and analyzes from Foucault’s perspective to find how the state’s responses to the COVID-19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COVID-19 better and protect the whole population. Foucault, who was the first person to advocate biopolitics, repeatedly emphasized that power has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as he analyzed the process of state power shifting from sovereign power to biopower. As Foucault argued, the concept of power has changed through times, and with the advent of neoliberalism, biopolitics has emerged as the time demanded active intervention of the state, where the state’s role is not limited to protection of individual’s property rights. As a result, the state has deeply intervened in our daily lives. Although administration of biopower has been enhanced under the unavoidable pandemic situation, the state’s quarantine policies can not be justified. People’s horror is intensified under such national emergency, which facilitates use of public power by the state could result in the enlargement of state power. As the COVID-19 is not the first epidemic of mankind, another virus may threaten humanity in the future even if the COVID-19 comes to an end. Therefore, this paper reflects whether we easily allowed the state to invade, regulate and control our day to day lives, and how we can handle a new virus in the future with the lessons and self-reflections learned from the current pandemic. 코로나19로부터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한다는 명목으로 시행되는 모든 방역정책들은 국가권력이 인구의 생명을 관리하는 형태로 행사된다는 미셸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을 떠올리게 한다. 생명정치란 국가권력이 시대적 요구에 따라 사람들의 생명을 보호하고 관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푸코에 따르면 15세기경부터 19세기에 걸쳐 권력의 주 작동방식은 주권권력에서 개별 인간의 신체로 침투하는 규율권력을 거쳐 인구 전체를 관리하는 생명권력으로 중심이 이전되었다고 한다. 푸코가 말하는 생명정치는 개별 신체의 통제방식인 규율권력과 전체 인구를 조절하는 방식인 생명권력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인구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 정치형태를 말한다. 푸코에 따르면, 무질서한 전염병이 일상의 아주 사소한 부분 안으로 규율이 침투하는 것을 합법화하였다고 한다. 팬데믹에서 이러한 전염병에 대한 공포와 혼란은 정부의 지속적인 감시와 규율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사람들의 신체에 국가권력을 침투시키고 그 전체 인구를 관리하는 것을 수월하게 하기 때문에 ‘생명정치’ 현상을 더욱 강화시킨다. 따라서 생명정치 개념은 현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잘 표현하는 주요한 개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푸코의 ‘생명정치’ 이론이 현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 글로서, 팬데믹에서 보여준 국가의 코로나19 대응이 어떻게 사람들에게 코로나를 더 잘 이해하게 하고, 전체 인구를 보호하고 도와 마침내 어떻게 살게 만들어 주는지를 푸코의 관점에서 분석한 글이다. 생명정치를 처음 주창했던 푸코는 국가의 권력이 주권권력에서 생명권력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분석하면서, 권력은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 모두 존재할 수밖에 없다고 누누이 강조한 바 있다. 푸코의 주장처럼 시대에 따라 권력변화 과정을 거쳐오고, 신자유주의로 오면서 국가의 역할이 개인의 재산권 보호에만 국한되지 않고 적극적으로 국가가 개입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로서 생명정치 시대가 도래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가는 우리 일상생활에까지 깊숙히 개입하게 되었다. 팬데믹이라는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생명권력의 작동은 더욱 강화될 수밖에 없지만, 그렇다고 해서 모든 국가의 방역정책의 수단들이 정당화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이러한 국가 비상상황에서는 시민들의 공포가 심화되어 국가의 공권력 행사가 더 쉬워지며 이로써 국가의 권력은 더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인류의 첫 번째 전염병이 아니었던 것처럼, 이번 팬데믹이 종료된다고 하더라도 미래에 또 다른 바이러스가 우리 인류를 다시금 위협할지 모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우리가 막연히 ‘팬데믹 위기상황’이라는 명목으로 국가가 우리의 일상까지 침범하여 규제·통제하는 것을 쉽게 용인한 것은 아닌지, 더 나아가 현 팬데믹으로 얻은 교훈과 반성으로 우리는 향후 또 다른 신종 바이러스의 출현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등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한다.

      • 푸코의 신체관을 통한 스포츠의 방향성 탐색

        이택균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푸코의 신체관을 통해 근대 스포츠를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사회전체로 확장하여 사회와 스포츠가 연결되어 있는 관계를 분석하고 현대스포츠의 올바른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푸코의 주 저서와 푸코의 몸에 대한 이론, 스포츠 권력과의 관계 등을 연구한 국내외 선행연구를 활용하였고, 푸코가 의문을 품고 해답을 찾고자 했던 권력, 주체, 사회, 문화, 역사의 전체적인 사유체계를 스포츠 현상에 적용하여 스포츠의 구조적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먼저 푸코의 저작에 나타난 신체관은 권력의 출발점이자 최종 대상이라는 푸코 특유의 인식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푸코의 신체관은 권력에 의해 통제되는 피동적 대상으로 요약되고, 푸코가 파악하고 있는 근대적 주체는 근대적인 입장을 고수하는 스포츠가 아닌 ‘규율과 통제의 테크놀로지로서 스포츠’라는 명제에 이르게 한다. 즉 푸코의 논리로써 스포츠를 행하는 주체인 ‘나(나 자신, 자신)’은 규율과 권력시스템에 복종당하고 순응하는 신체로서의 삶이라는 결론에 이른다. 따라서 스포츠 행위자 스스로가 주체가 되어 이상적이고 새로운 스포츠 구조관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철학적 성찰과 사유를 통한 방향성 설정을 통한 스포츠의 본질과 의미로의 회귀를 요망한다. 스포츠의 본질과 의미 회귀를 위한 방안은 우선적으로 스포츠 참여를 통해 행위하는 ‘나’의 주체성 회복을 필요로 한다. 즉 스포츠를 행하는 우리 개개인은 이성의 자유의지에 의한 주체가 되어야 하며,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에 위반되는 어떠한 비도덕적인 환경의 제약 없이 선수는 경기를 구성하는 선수로의 주체가 되어야 한다. 또한 스포츠에 참여하는 주체자들은 ‘나’라는 주체만이 아니라 함께 참여하는 또 다른 주체, 즉 서로 함께하는 ‘타자’의 주체화가 필요하다. 이는 상호존중적 결합태가 완성되어야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스포츠 현장에서도 마찬가지로 선수와 지도자, 심판, 관중이 모두 의존이 아닌 존중, 지시와 복종의 상하관계가 아닌 상호존중의 조화적 관계를 형성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행위자 서로가 엘리아스의 결합태와 푸코의 관계망을 이해하고 스포츠에 관련된 선수, 지도자, 관중, 조직, 부수적 요소가 하나의 연결망을 통한 새로운 유기체적인 스포츠 구조를 형성한다면 스포츠현장에서 일어나는 비윤리적인 문제들은 자연스럽게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 형성을 위한 방안의 일종이며 현실의 삶 속에서 상실된 주체의 회복을 위한 효과적인 매개체 중 하나로 스포츠 영화를 꼽을 수 있다. 그것은 스포츠 영화가 우리에게 감동과 재미, 사랑 등 볼거리를 제공해주는 것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의 의식 속에 사라져가고 있는 인간성에 대한 성찰, 실존주의적 반성, 인간 주체성의 회복 등의 철학적 사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현실의 스포츠에서 지속적인 가치로 추구할 수 있도록 우리는 영화적 기제를 활용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스포츠 의미회복의 올바른 방향은 경쟁의 의미 회복을 지향하는 것에서 가능할 것이다. 즉 스포츠 경기의 목적은 아곤적 승리 추구보다 아레테적 요소인 신체 그 자체의 탁월성 추구에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올바른 경쟁을 통한 개인의 탁월함을 함께 나누는 스포츠 현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숭고한 의미의 승리라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상대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상호호혜의 문화와 이를 자연스럽고 지극히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구조의 정착이 필요하다. 끝으로 스포츠윤리 교육을 통한 스포츠의 의미 재고와 그 방향성을 새롭게 모색하고자 한다. 오직 승리만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은 채 비윤리적인 행위들을 서슴지 않고 행하는 선수 및 관계자들이 만연하는 현 시대에 스포츠윤리 교육은 분명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건전한 스포츠문화를 조성하기 위해서는 선수나 지도자는 물론 모든 스포츠 참가자들이 바람직한 스포츠맨십과 페어플레이 정신을 가질 수 있도록 스포츠윤리 의식을 함양하여야 한다. 스포츠에서 상대는 싸워서 이겨야 하는 적으로서 대항(against)이 아니라 함께 더불어(with) 살아가야할 삶의 의미를 주는 인격적 감화자가 되어한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특히 스스로의 자유의지로 행위하는 주체로서의 위치에 올라선 스포츠 행위자는 타자에 대한 배려와 스포츠 자체의 가치와 의미를 존중하여 스포츠를 함께 즐기고, 참여할 수 있게 만드는 구조적인 발전을 모색하는 등 스포츠 본질의 추구가 바로 스포츠가 나아가야 할 미래의 궁극적인 방향성인 것이다.

      • 칸트 철학에서 주체 구성의 문제 : 푸코적 칸트주의의 관점에서

        윤영광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6

        This thesis examines the problem of the constitution of subject in Kant's philosophy, based on Foucault's Kantianism, which reinterprets Kant's enlightenment as the self-constitution of subject through the historical critique of the present. This work has three major aspects: first, to reformulate the enlightenment, which is considered to have lost its historical efficacy, into a concept of contemporary significance; second, to connect the reformulation of enlightenment with the reinterpretation of Kant's philosophy in terms of subject theory; and third,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Foucault's Kantianism which reads Kant in the way mentioned above and its relation to Kant's philosophy itself. In general, enlightenment is construed as the process by which the light of reason radiating from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obtains the rational knowledge by illuminating the world (enlightenment as cognition) or produces another enlightenment by enlightening others who are not enlightened yet (enlightenment as politics). However, Kant's enlightenment, most of all, refers to the relation of subject neither to the world nor the other but to itself, hence self-enlightenment. In Foucault's interpretation, this means that the subject engages in the process of the constitution of itself, so that it becomes self-constitution as an autonomous work (enlightenment as ethics). This reconceptualization of enlightenment as the subject's self-constitu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oncepts of power and governmentality in Foucault, which allow us to identify the place where the most critical problems of today's society are raised as 'subject(ification),' opens the way to understanding enlightenment not as the theme of historical investigations but as the contemporary way of resistance. Defining a subject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constitution or production means that it is not pre-given or pre-supposed, that is, the problems of the subject cannot be addressed except in light of subjectification. This view is a primary condition on which to justify still talking about subject even after massive criticism of the concept of subject, which has now become a theoretical 'cliché.' The main point of criticism of subject is that the theory and the politics centering on the subject assume a subjectivity with a pre-given nature and a self-identity, and grants a superiority as origin to the subject so defined. Foucault's reinterpretation of Kant goes hand in hand with the problematization of self-identical and original subjects. Thus this dissertation investigates the constitution of subject in Kant's philosophy not in terms of self-identical subject but of subjectification which involves heterogeneity as a fundamental element and therefore does not result in a stable composition of identity. In Kant's philosophy,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is the subject using reason publicly. The public use of reason is to use reason as a Weltbürger. The subject form of Weltbürger involves a constant movement of de-identification in that it cannot be equated with any specific social identity, and requires continuous self-constitution of subject in that the subject form is only established by using reason publicly, not pre-defined. The public use of reason by the Weltbürger in this sense is the same as 'an enlarged way of thinking' (eine erweiterte Denkungsart), which means to accept the 'parallax' resulting from the coexistence of a multitude of heterogeneous judgments as the core of the use of reason. In this sense,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is the subject that carries out the movement of self-constitution by taking its relationship to heterogeneous diversity as an essential moment. If enlightenment is not a restricted theme confined to Kant's historico-political works, but the fundamental problematic that determines Kant's philosophy as a whole, it should be possible to explain critical philosophy, generally recognized as the substance of Kant's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redefined enlightenment, i.e., in terms of the non-identical self-constitution of subject. This theme can be considered in terms of relations or arrangements of different faculties that constitute the subject. Critical philosophy is about building relationships of heterogeneous-natured faculties. The answers to Kant's leading questions, such as "What can I know," "What must I do," and "What may I hope," are presented in diverse combinations of those abilities. In other words, Kant's critical philosophy is a theory about the internal constitution of subject in the sense that all philosophical problems, such as cognition, ethics, aesthetics, and religion, are formulated as a matter of constructing relations between faculties. In Kant's critical philosophy, the heterogeneity of faculties is never eliminated, and thus the constitution of critical philosophical subject does not lead to stable self-identity. The doctrine of transcendental illusion where reason proves to be the source of ineradicable illusions, the deontological ethics that refers to the divide of rational animal, and the theories of the sublime and the genius which analyze effects of 'violence' that reason and imagination exert on each other ― these are scenes revealing that Kant's critical philosophical subject cannot be understood in terms of self-identity. In this sense, it has a connection with enlightenment defined as the self-constitution of subject whose nucleus is the relation with heterogeneity. And here, autonomy is conceived as governing relations with and between the heterogeneous faculties within us in a way that accepts the irremovability of their heterogeneity. Although the reinterpretation of Kant's enlightenment and critical philosophy so far discussed is based on Foucault's work, Foucault himself does not address in detail the constitution of subject in critical philosophy, the relationship between enlightenment and critical philosophy. Foucault defines himself as a Kantian in the sense that he considers the whole work he carried out as a critique, which means to interrogate the conditions of possibility of what is deemed self-evident and necessary. Nevertheless, he also intended to transform Kantianism by shifting critique from transcendental domain to historical one, and in so far as that is the case, the discourse of Kant's critical philosophy, based on the transcendental subject, is not at the heart of Foucault's Kantianism. Foucault historicizes Kant's critique and, with the historico-critical methodology thus derived, criticizes the transcendental subject underlying Kant's critical philosophy. And, with the problematic of enlightenment as critical ontology of ourselves, which is established through such a historical critique of the transcendental subject, he reverts to Kant. In short, Foucault starts from Kant to criticize Kant and then returns to Kant. The trajectory of Foucauldian Kantianism is marked by these 'deflections' in relationship to Kant. In conclusion, the real union of enlightenment and Kant's critical philosophy from the point of view of Foucauldian Kantianism seems to require another 'deflection' Foucault himself did not have in mind. It is the invention of a new theory of faculties that connects with Foucault's historico-critical thought an analysis of the heterogeneous relations of faculties and the constitution of non-identical subject, which is carried out by this thesis based upon Deleuze's reading of Kant. This work, which needs a 'synthesis' of Foucault's Kantianism and Deleuze's Kantianism, should be one that can explain the functions, relations, and limits of our faculties not in terms of givenness but of historical production. 본 논문은 칸트 계몽주의를 현재의 자신에 대한 역사적 비판을 통한 주체의 자기구성이라는 문제틀을 중심으로 재해석하는 푸코의 관점에 기반하여 칸트 철학에서 주체 구성의 문제를 검토한다. 이 작업은 크게 세 가지 측면을 갖는바, 첫째는 역사적 유효성을 다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는 계몽을 현대적 적합성을 갖는 개념으로 재정식화하는 것이고, 둘째는 그러한 계몽의 재정식화를 칸트 철학에 대한 주체 이론의 관점에서의 재해석과 연결하는 것이며, 셋째는 이와 같은 칸트 독해를 중심으로 하는 푸코적 칸트주의의 궤적과 그것이 칸트 자신의 철학과 맺는 관계를 검토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몽은 계몽의 주체로부터 나오는 이성의 빛이 세계를 비추어 올바른 인식을 획득하거나(인식으로서의 계몽) 계몽되지 못한 타인을 비추어 또 다른 계몽을 낳는 일(정치로서의 계몽)로 이해되지만, 칸트의 계몽은 무엇보다 주체가 세계나 타자가 아닌 자기 자신과 맺는 관계에 관한 것으로서 자기-계몽을 뜻하며, 푸코의 해석 속에서 이는 주체가 스스로의 구성 과정에 개입한다는 것, 그래서 주체의 구성이 자기구성이라는 의미의 자율적 작업이 되도록 한다는 것(윤리로서의 계몽)을 의미한다. 이처럼 계몽을 주체의 자기구성으로 재개념화하는 작업은, 오늘날 사회의 가장 첨예한 문제들이 제기되는 장소를 ‘주체(화)’로 파악하도록 하는 푸코의 권력-통치 개념과의 관련 속에서, 계몽을 역사적 고찰의 대상이 아니라 현대적 저항의 한 방식으로 이해하는 길을 열어준다. 주체를 구성 혹은 생산의 관점에서 본다는 것은, 주체를 미리 주어지거나 전제된 것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것, 즉 주체화 없이는 주체의 문제를 논할 수 없다고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관점은 이제는 이론적 ‘클리셰’가 되어버린 주체 개념에 대한 대대적인 비판 이후에도 여전히 주체를 이야기하는 일, 더 정확히는 그 비판의 내용을 수용하여 주체를 재개념화하는 일이 정당성을 요구하기 위한 필수적 조건이다. 주체 개념을 비판한다고 할 때 그 비판의 핵심은, 주체를 중심으로 하는 이론과 정치가 미리 특정한 본성을 보유하는 주체를 상정하고 그 주체의 자기동일성을 전제하며 그러한 자기동일적 주체에게 기원으로서의 우월성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푸코의 칸트 재해석은 자기동일적이고 기원적인 주체에 대한 문제제기와의 불가분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며, 따라서 본 논문은 칸트 철학에서 주체 구성의 문제를 자기동일적 주체의 구성이 아니라 이질성을 구성의 불가결한 계기로 포함하며 그 때문에 안정적인 동일성의 구성으로 귀결되지 않는 주체화라는 관점에서 검토한다. 칸트 철학에서 계몽의 주체는 이성을 공적으로 사용하는 주체다. 이성의 공적 사용은 세계시민으로서 이성을 사용하는 것인바, 세계시민이라는 주체 형식은 어떠한 특정한 사회적 정체성과도 동일시될 수 없다는 점에서 항구적인 탈-정체화의 운동을 수반하며, 미리 규정되는 것이 아니라 주체 자신이 이성을 공적으로 사용함에 의해서만 정립된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주체의 자기구성을 요구한다. 그리고 이 같은 의미의 세계시민에 의한 이성의 공적 사용은 ‘확장된 사유방식’과 동일한 것인바, 사유방식의 확장은 다수의 이질적 판단들의 공존에서 발생하는 ‘시차(視差)’를 자신의 이성 사용의 계기로 수용함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계몽의 주체는 이질적 다수와의 관계를 본질적 계기로 하여 정체성-동일성으로부터 벗어나는 자기구성의 운동을 수행하는 주체다. 계몽이 칸트의 역사-정치적 저작들에 국한된 제한적인 주제가 아니라 칸트 철학 전체를 규정하는 문제의식이라면, 일반적으로 칸트 철학의 중심으로 평가되는 비판철학을 재개념화된 계몽의 관점에서, 즉 주체의 비-동일적 자기구성이라는 관점에서 독해하는 일이 가능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주체를 구성하는 상이한 능력들의 관계맺음 혹은 배치라는 관점에서 이 문제를 검토한다. 비판철학은 본성상 이질적인 능력들의 관계 수립에 관한 철학이다. ‘나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 ‘나는 무엇을 행해야 하는가’, ‘나는 무엇을 희망해도 좋은가’와 같은 칸트 철학의 주도 물음들에 대한 답은 저 능력들의 각기 다른 조합으로 주어진다. 즉 인식의 문제, 윤리의 문제, 미학·종교의 문제 등과 같은 모든 철학적 문제들이 능력들 사이의 관계 구성의 문제로 정식화된다는 의미에서 칸트 비판철학은 주체의 내적 구성에 관한 이론이다. 칸트 비판철학에서 능력들의 이질성은 결코 제거되지 않으며, 따라서 비판철학적 주체 구성은 안정적 자기동일성의 구성으로 귀결되지 않는다. 이성이 제거불가능한 가상의 원천으로 나타나는 초월적 가상론, 이성적 동물의 분열을 가리키는 의무론, 이성과 상상력이 서로에게 가하는 ‘폭력’의 효과를 분석하는 숭고론과 천재론은 칸트의 비판철학적 주체가 자기동일적 주체로 이해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장면들이다. 이런 맥락에서 비판철학적 주체는 이질성과의 관계를 핵(核)으로 하는 주체의 자기구성이라는 의미의 계몽과 연결점을 갖는다. 그리고 여기서 자율은 우리 안의 이질적인 것들의 이질성의 제거불가능성을 수용하는 방식으로 그것들과의, 그리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정립하는 일로 이해된다. 칸트의 계몽과 비판철학에 대한 이 같은 재해석은 푸코의 선행작업이 제공한 칸트 독법에서 출발한 것이지만, 정작 푸코 자신은 비판철학에서의 주체 구성이라는 문제, 계몽과 비판철학의 관계를 본격적으로 검토하지 않는다. 푸코는 자신이 수행한 작업 전체를 자명하고 필연적인 것으로 주어지는 것들의 가능성의 조건을 심문한다는 의미의 비판으로 여긴다는 점에서 스스로를 칸트주의자로 규정하면서도, 비판을 초월적 지평에서 역사적 지평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칸트주의를 변형하고자 했으며, 그러한 한에서 초월적 주체를 기반으로 하는 칸트 비판철학의 담론은 푸코적 칸트주의의 중심에 있지 않다. 푸코는 칸트의 비판을 역사화하며 그렇게 도출된 역사-비판적 방법론으로 칸트 비판철학의 기저에 놓여 있는 초월적 주체를 비판한다. 그리고 이러한 초월적 주체에 대한 역사적 비판을 통해 정립되는 현재의 우리 자신에 대한 비판적 존재론으로서의 계몽의 문제계를 다시 칸트와 연결한다. 요컨대 푸코는 칸트에서 출발하여 칸트를 비판한 후 다시 칸트로 돌아간다. 푸코적 칸트주의의 궤적은 칸트 읽기에 있어서의 이러한 몇 차례의 ‘굴절’을 통해 규정된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이 의도한 푸코적 관점에서의 계몽과 칸트 비판철학의 온전한 결합은, 푸코 자신은 염두에 두지 않은 또 한 번의 굴절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들뢰즈가 제시한 단초에 따라 본 논문이 수행한, 능력들의 이질적 관계와 비-동일적 주체 구성에 대한 분석을 푸코의 역사-비판적 사유와 연결하는 새로운 능력이론의 창안이다. 푸코적 칸트주의와 들뢰즈적 칸트주의의 ‘종합’을 요구하는 이 작업은 우리를 구성하는 능력들의 기능, 관계, 한계를 본성의 차원이 아니라 역사적 생산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 M. Foucault의 『말과 사물』에 나타난 主體의 問題

        김다울 大田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6

        오늘날 문화적 인식의 변화가 공통적으로 수반한 여러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는 바로 주체(主體)에 대한 비판이다. 미셸 푸코(M. Foucault, 1926-1984)는 현대 철학의 주체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철학자 가운데 하나라 할 수 있다. 그는 자신의 사유 전체에 있어서 일관되게 주체에 대해 연구해왔다. 푸코는 자신의 연구를 위해 고고학(考古學)이라는 독특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고고학의 목표는 언설(言說)들을 고유한 특이성 속에서 기술하며, 언설들 그 차제를 정의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를 위해서 푸코는 '언표(言表)', '언설', '지식(知識)'의 개념을 규정하는데, 그에 의하면 이것들은 "에피스테메"(épistémè)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다. 에피스테메는 한 시대에 언설의 형성(形成)을 가능하게 한 조건(條件)들의 집합(集合), 또는 어떤 시대 변환에서 한 언설의 변환을 가능하게 해준 조건들의 집합이다. 푸코는 「말과 사물」에서 이 에피스테메 개념을 사용하여, 그 단절과 불연속을 통해 주체의 문제를 드러낸다. 먼저 푸코에 의하면, 고전주의 시대는 그 에피스테메에 있어서 표상(表象)의 시대이다. 즉 지식을 가능하게 한 것은 바로 질서를 표상할 수 있는 표(表)였으며, 인식(認識)이란 세계의 질서를 인위적인 기호(記號)를 통해 표상하는 데 있었다. 결국 고전주의 시대에는 인식의 가능 근거로서 인간주체는 부재했던 것이다. 그런데 푸코가 근대라고 일컫는 시기인 18세기 말에 이르러 갑자기 고전주의 시대의 표가 해체된다. 그리고 '역사'라는 시간성이 나타나면서 인간을 둘러싼 실증적인 지식들 안에서 노동하고, 살아있으며, 말하는 인간주체가 출현하였다. 결국 인간은 역사 안에서 유한한 존재인 동시에 그러한 경험들을 인식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선험적 인식의 주체로 이해되기 시작한 것이다. 이처럼 근대에 출현한 인간주체는 유한성(有限性)을 지닌 선험적 주체이다. 푸코는 이처럼 유한한 동시에 선험적인 인간주체는 그 이중성으로 인해 결코 해결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게 된다고 비판한다. 그리고 결국 오늘날 이 딜레마로 인한 '주체의 죽음', 즉 불과 150년 전에 출현한 인간주체는 해체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 푸코의 의도이다. 이렇게 볼 때, 엄밀히 말해서 푸코가 보여주고 있는 것은 인식론적 차원에서 인간의 주체성(主體性)에 대한 해체이다. 그리고 이 주체성의 해체는 역으로 타자(他者)를 향하는 것이며, 나아가서 타자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 근대 이후 이중체로서 주체의 출현은 동시에 타자의 출현이기도 했다. 그리고 오늘날의 소외는 나눔을 통해서 스스로 정립하는 동일자(同一者)와 그 나눔의 경계 바깥으로 밀려나는 타자의 대립에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푸코는 이와 관련하여 주체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푸코의 주체 논의에 대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주체에 대한 푸코의 문제제기는 그리스도교적인 입장에서 볼 때, 그 시대의 타자들에게로 다가가셨던 분이며, 당신 자신이 타자이셨던 예수 그리스도에 대해 깊은 숙고를 하게 한다. 따라서 우리에게 푸코의 사유는 신학적 반성에 새로운 계기를 마련해주고 있다. One important matter that commonly arises in the changes of cultural understanding is criticism about the 'Subject'. Michel Foucault(1926-1984) is one of the significant philosophers in dealing with the matters on subject of today's philosophy. He consistently studied about the 'subject' all through his speculation. Foucault used a particular method of analysis, archaeology, for his study. The aim of archaeology is to describe discourse in its peculiarity and to define the discourse itself. To achieve this aim, he pre-scribes the concepts 'Statement', 'Discourse', 'Knowledge', which are, according to him, prescribed by 'Episteme'. Episteme is a collection of conditions that enables to form a discourse, or that makes it possible to change the discourse in the periodic conversion. Foucault displays the matter of subject using this 'Episteme' and through its severance and discontinuity in his Les mots et les choses. In Foucault's viewpoint, the Classical Age was the time of representation. That is, what made the knowledge possible was the table to represent the order. And cognition is in representing world order in artificial signs. At last, there were no human as subject as a basis of cognition in the Classical Age. In the time that Foucault called modernity, the table of Classical Age was unexpectedly broken clown. Moreover, as temporality appeared with 'History', man as subject that works, lives and speaks in the positive knowledge about human being showed up. In the meantime, human being was finite in the history, and it begun to be understood as the subject of a priori cognition that could change those experiences to cognition. As you see, man as subject which appeared in modernity time is a priori subject with finitude. Foucault criticized that the finite and a priori man as subject would be involved in dilemma which was unlikely to be soluble because of its duplicity. He intended to prove 'the death of subject' attributed from the dilemma, that is, man as subject that showed up just 150 years ago has been disintegrated. In the strict sense, Foucault has shown us the disintegration of subjectivity for human being in the perspective of epistemology. disintegration of subjectivity is adversely toward others, and further on, it means being others. Since the modernity, the appearance of subject as 'Dubles' is the appearance of the other. The today's alienation is a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conflict between the same and the other. Consequently, Foucault brought up a question regarding the subject. We are able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his discussion about the subject. The question brought by Foucault allows us to ponder about Jesus Christ who came closer to others in His time and who was the other himself 'n the perspective of Christian. As a result, Foucault's thinking provides us a new opportunity for theological reflection.

      • 미셸 푸코의 ‘주체’ 개념에 대한 교육학적 고찰 : 후기 연구에 나타난 ‘자기 배려’ 개념을 중심으로

        이주호 동국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6

        Since the mid 20th century, Postmodern Education emphasizing on autonomy and individuation of students has a strong influence on educational theory and field. At that time, Education based on the Enlightenment promoted individuation castered for talent, ability, aptitude, energy, interest, and tendency of individuation and educated universal human who can actively participate in movement to rational and voluntary society. But, during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Education means a process of educating universal human internalized effective and functional value and knowledge by government and teachers. In this process, individuation of students was ruled out, and students, who were not internalized value and knowledge which government and teachers needed, were branded as a juvenile delinquent and failed students. Because of criticism about general education?, Postmodern Education, focused on developing and respecting individuation of individual students, come up. Because individual students can actively show their own individuation by communication with others, teachers’ role was also alter ego and forwarder. Because of this, intervention and interference of teachers about individuation and freedom of individual students are taboo in Postmodern Education. But, recently there are some controversial issue. Too much regarding freedom and individuation of students causes neglecting internalization of human’s common sense?, which is another purpose of education. There are some reports say that there is need to reconsider accepting Postmodern Education, which Because Neglecting The Enlightenment, which is a root of Education, also means neglecting Education. Also it’s not good to return to the Enlightenment Education. It’s the present question that there is no right answer. In this report, I’d like to explore the answers to this matter. First, I Considered the essence of Education that Education aims at raising students who have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The core of matter is that recently Education aims at just one aspects. Despite Education was started aims at harmony of two aspect,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Education lean toward internalizing common sense. Criticizing this situation, Postmodern Education only insists respecting and developing of individuation. Considering the essence of Education, I could have opportunity to reconsider this philosophical. Second, I considered ‘Subject’ intensively. The Subject i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in pursuing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at the same time. The Transition from Modern Education to Postmodern Education was caused in this context. Education closely related to the Subject could not be free from this context, because the concept of Subject was changed from common sense to individuation. Considering both of them, I’d like to explore answer of this current issue around the concept of Subject pursuing of harmony of two aspect,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Studying the concept of Subject, Michel Foucault mention both individuation centered Subject and common sense centered Subject. In 1980s Foucault found out the formation mechanism of the concept of Subject. At first, the Subject mean discipline Subject. After suggesting the definite criterion of normal or abnormal by using knowledge, Power gives it names like abnormal person, madman, or insane person who cannot come up to the criterion, and justifies discrimination and suppression. On the other hand, after 1980s, through the concept of active Subject, Foucault suggest the concept of individuation centered Subject. Analysing history of sexuality in the Middle and Modern times, he figured out that sexual identity was commonly created by religion, nation, and power. So he tried to find out ancient figure when there is no need to have sexual identity. Despite there were specific law or convention, Ancient Greeks and Romes tried to control their sexual desire themselves. It was impossible by not being a slave to sexual desire but individuals’ wills and efforts to achieve true freedom and individuation, In other words, Ancient people thought that the sexuality was closely related to true freedom and individual’s own life. For this reason, they practiced Self Care, like meditation, reading, and self writing to reflect theirselves for turning the spotlight on inner self from desire and ourself. After all the Self Care means efforts to live free and valuable life by practicing wills and efforts thoroughly. Through the Foucault’s latter concept of Subject, the concept of Subject, which consist of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could works well. The fundamental matter in modern Education is looking upon it as a dichotonomy between individuation and common sense. If one aspect is too much stressed, the other aspect is neglected repeatly and the essence of Education could be forgotten. I reconsidered the essence of Education for this reason. Different from view point that two aspect are opposite, the Foucault’s latter concept of Subject explain the essence of Education by suggesting two aspect could be harmonized. The community consists of individuals, and common sense the community needs could be formed. Finally the Subject who internalize the common sense is also individual. So, if individuals live their own lives with controlling their desire, the community virtue could be improved and common sense could be internalized naturally. The individuation considered or reflected is prerequisite for this. Previously, I mentioned that intern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ommon sense is based on individuals. But, It means all individuation could be permitted. Despite, the center of Postmodern Education was change from the common sense to individuation, by not limiting individuation, it makes the common sense neglected. Foucault’s Self Care stresses on individuation but denies all individuation could be considered. Because individuation which could not control itself is not true individuation. As a result, suggesting considered individuation, the Self Care was presented the alternative of Postmodern Education. The role of Education is raising and helping for revelation of considered individuation. The Foucault’s Self Care means a change of attitudes and a specific practice that could raise considered individuation. That is, simple conveyance of knowledge or stress on methodology are not the Education of the Self Care. The Education of the Self Care means fostering a change of the attitude for reflecting on one’s own life and help one practice writing, meditation ,and reading. Above all, like Socrates who Foucault said a master of the Self Care, Teachers need to not only raise the Self Care, but practice the Self Care as a role model of students. If Students practiced the Self Care, they could live their valuable life and grow into the Subject who can internalize common sense naturally. 20세기 중반 이후 현재까지 학생의 자율성과 개별성을 중시하는 포스트모던 교육학이 교육 이론 및 현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교육학은 근대 계몽주의를 토대로 성립하였으며, 당시 교육의 역할은 자신의 재능·능력·소질·힘·관심 그리고 성향에 맞춰 개별성을 고양시킴과 동시에 합리적인 사회로 발전하는 데 능동적으로 참여하는 보편적 주체 양성이었다. 그러나 근대가 지속되면서 교육은 국가와 교사가 요구하는 효율적이고 기능적인 가치 및 지식을 일방적으로 학생에게 내면화하는 보편적 주체 양성 과정을 의미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이 갖고 있는 개별성이 철저하게 배제되었고, 국가·교사가 원하는 가치 및 지식을 내면화하지 못한 학생에게는 ‘문제아’·‘낙제아’ 등의 낙인이 찍혔다. 이러한 보편성 위주의 교육을 비판하면서, 그 대안으로 학생 개개인의 개별성 존중과 계발에 초점을 맞춘 포스트모던 교육학이 등장하였다. 학생은 타인과의 능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자신의 개별성을 발현할 수 있는 존재이기 때문에 교사는 또 하나의 타자로서 이를 촉진하는 역할만을 담당하며, 이에 따라 포스트모던 교육에서는 학생의 자유와 개별성에 대한 교사의 개입과 간섭을 금기시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포스트모던 교육학에 대한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지나치게 학생의 자유와 개별성을 존중함으로 인해 교육의 또다른 목적인 보편성의 내면화가 소홀해지는 모습들이 자주 목격되기 때문이다. 교육학의 뿌리인 근대 계몽주의를 부정하는 것은 곧 교육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근대 계몽주의를 비판하면서 정립되기 시작한 포스트모던 교육학의 수용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이론적 연구들도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획일적 인간만을 양산한다는 비판을 받은 근대 계몽주의 교육학으로의 회귀를 주장하기도 쉽지 않다. 포스트모던 교육학은 이러한 한계에 직면해 있으면서도 뚜렷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 이것이 현대 교육학이 당면하고 있는 중요한 문제점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은 이 문제의 대안을 탐색하고자 두 가지를 고려하였다. 첫째, ‘교육은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를 이룬 인간의 형성을 목적으로 함’이라는 교육의 본질을 고려하였다. 문제의 핵심은 교육의 목적이 개별성과 보편성 중 어느 한 측면만을 집중적으로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다. 교육학은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로운 형성을 목적으로 태동하였지만 근대가 지속되면서 보편성의 내면화를 위한 교육에 치우치기 시작하였다. 이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포스트모던 교육은 개별성 존중 및 계발을 위한 교육만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교육의 본질을 고려하면서 이러한 교육철학적 시소(Seesaw) 자체를 근본적으로 재검토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둘째, ‘주체(Subject)’ 개념을 집중적으로 탐구하였다. 주체 개념은 개별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추구한다는 점에서 교육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 특히 근대 교육학에서 포스트모던 교육학으로의 변화는 주체 개념 자체의 사상사적 전환과 같은 맥락에서 이루어졌다. 즉 주체 개념이 보편성에서 개별성 중심으로 변화했기 때문에 주체 개념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교육학도 이와 같은 변화의 흐름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이 두 가지를 종합해서 본 논문은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로운 형성을 의미하는 주체 개념’을 중심으로 현대 교육학이 당면한 문제의 대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푸코가 후기 연구를 통해 제시한 ‘자기 배려적 주체’는 개별성과 보편성의 조화로운 형성을 잘 드러낸다. 그는 1980년까지 초기 연구를 진행하면서 ‘훈육적 주체’개념을 중심으로 권력에 의해 보편적으로 형성되는 주체 형성 과정을 낱낱이 밝혀냈다. 반면 푸코는 1980년 이후 후기 연구를 진행하면서 고대 그리스·로마 시민들이 자기 배려를 통해 참된 자유와 개별성을 누리기 위해 노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자기 배려의 본래 의미는 성적 욕망을 스스로 조절하기 위한 태도의 변화와 실천 방식을 의미한다. 즉 고대 시민들은 성적 욕망을 스스로 절제함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릴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더 나아가 그들은 자기 배려를 실천하면 공동체 전체의 덕을 해칠 수 있는 욕구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내적 힘을 기를 수 있고, 이러한 사람들이 모인 국가 전체의 덕은 자연스럽게 증진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결국 푸코는 자기 배려 개념을 중심으로 개별성과 보편성이 조화롭게 형성되는 주체 개념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푸코의 후기 주체 개념을 통해 개별성과 보편성이 조화롭게 형성된 교육적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대 교육학의 근본적인 문제는 개별성과 보편성을 대립되는 가치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 쪽 측면만을 중시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다른 측면을 경시하게 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교육의 본질은 망각되어 버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체 개념과 교육의 본질을 함께 고려한 것이다. 푸코의 후기 주체 개념은 두 측면을 대비되는 것으로 바라보는 기존의 관점과는 다르게 두 측면이 조화롭게 형성될 수 있음을 제시하면서 교육의 본질을 설명한다. 공동체는 개별 인간들이 모여 구성되기 때문에 그 공동체가 요구하는 보편성을 내면화하는 주체도 결국은 개별 인간들이다. 따라서 개개인이 스스로 욕구를 다스리며 자신만의 고유한 삶을 영위하게 되면, 공동체의 덕이 증진됨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보편성을 내면화할 수 있다. 배려된 혹은 성찰된 개별성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전제 조건이다. 앞서 보편성을 내면화하고 증진하는 주체가 개별 인간임을 언급하였다. 하지만 이것이 인간의 모든 개별성이 허용됨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포스트모던 교육학은 보편성에서 개별성으로 교육의 중심을 변화시켰지만, 개별성을 제한하지 않으면서 결국 보편성을 소홀히 하는 교육적 결과를 초래하였다. 반면 푸코의 자기 배려 개념에서는 기본적으로 개별성을 중시하면서도 인간의 모든 개별성이 존중되는 것은 부정한다. 자신의 욕망을 제어하지 못한 개별성은 참된 개별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자기 배려 개념은 ‘배려된 개별성’을 통해 포스트모던 교육학의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의 역할은 개별 학생들이 ‘배려된 개별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 촉진하는 것이다. 푸코의 자기 배려 개념은 ‘배려된 개별성’을 발현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태도의 변화 및 구체적인 실천을 의미한다. 즉 단지 지식을 전달하거나 방법적 측면에 치중하는 것은 자기 배려적 교육이 아니다. 자기 배려적 교육은 학생들이 자신의 삶을 성찰할 수 있도록 태도의 변화를 촉진하고 자기 글쓰기와 명상·독서를 실천할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교사는 푸코가 자기 배려의 거장으로 평가하는 소크라테스처럼 자기 배려를 촉진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모델로서 스스로 자기 배려를 실천해야만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자기 배려를 실천하며 ‘배려된 개별성’을 발현한다면, 자신만의 가치 있는 삶을 영위하며 자연스럽게 보편성을 내면화할 수 있는 주체로 성장할 것이다.

      • 미셸 푸코의 불연속의 역사

        이은영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6

        이 논문은 미셸 푸코(Michel Foucault)의 연구와 푸코의 연구를 원용하였던 전문 역사가들의 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푸코의 연구를 보다 역사학적 시각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그 동안 역사학계에서 푸코의 연구를 어떻게 수용해야 할 지에 대한 규명은 제대로 되지 않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푸코의 연구가 역사저작의 외양을 띠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 역사학계에서 전제로 깔고 있었던 제반조건들을 전면적으로 비판함으로써 역사가들을 혼란시켰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역사학계 자체 내에서 기존 역사학에 대한 푸코와 유사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었고, 일부 비판자들은 푸코의 연구를 힘입어 전통적인 역사학을 지양하고 새로운 역사연구를 하고자 했다. 따라서 미셸 푸코의 연구와 그를 원용하였던 전문역사가들의 실제 연구에 대한 분석은 푸코의 일반적이지 않은 역사연구를 보다 역사학적 시각에서 규명하고, 그가 현대 역사학에 끼친 영향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푸코의 역사연구의 핵심은 역사를 '불연속'으로 파악했다는데 있다. 푸코는 그 동안 서양의 역사 특히 서양의 지적전통을 연속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해 온 관점을 거부했다. 대신 푸코는 역사적 시대간에 일어난 근본적인 단절의 지점을 찾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단절의 지점들을 다양한 층위에서 발견해냈다. 이때 푸코는 연속적인 역사를 가능하게 해주었던 객관적인 세계의 내재적 의미나 의식주체의 우월성을 거부하고, 세계의 의미와 주체의 사고방식 모두를 구성하는 '담론적 장'의 영역을 분석했다. 즉 푸코의 불연속의 역사는 '담론적 장'의 불연속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본론 Ⅰ장과 Ⅱ장에서는 이러한 푸코의 불연속의 역사의 특징을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검토했다. Ⅲ장에서는 조운 스콧(Joan Scott)과 로제 샤르티에(Roger Chartier)가 각기 자신의 연구 분야 내에서 이러한 푸코의 역사연구를 어떻게 원용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들은 모두 담론의 불연속적인 등장과정을 추적했다. 특히 이들은 역사연구의 전제로 사용되어왔던 연구의 매개개념들을 역사화시키는 작업에 몰두했다. 역사가들의 푸코 수용에서도 볼 수 있듯이 푸코의 불연속의 역사는 바로 역사연구의 대상이 역사학 담론 그 자체임을 제시했다. 이러한 측면을 Ⅳ장에서 밝혔다. 결론에서는 푸코와 푸코를 원용한 역사가들의 작업을 보다 종합적으로 정리함으로써 푸코의 연구가 역사연구에서 가질 수 있는 의의를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ichel Foucault's works in a more historical standpoint, through examining the writings of both Michel Foucault and two professional historians who were inspired by Michel Foucault's works.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in historical academy, it has not been identified justly how to receive Foucault's works, although his writings seem to be the historical works in appearance. Because he has not only refused to accept the conventional norms behind historical writings, also criticized extensively them, he seems to repudiate all the very ground of historical study. But there has been already raised the critical voice to traditional history whithin history, similar with Foucault's criticism. Some critics tried to write the new history which was invoked by Foucault's works. So, It seems to help to identify Foucault's specific works and understand his effects to contemporary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both Focault's works and the professional historians' works. Michel Foucault's history is the history of 'discontinuities'. He repudiated the conventional insight which has a continuous and total history in western history, particularly in western intellectual tradition. Instead, he suggested the fundamental discontinuous levels between historical periods and found them in plural strata. Then, the object of history of 'discontinuities' is the 'discursive field' which constructs the nature of things and the mode of perception of subject which have guaranteed the continuous and total history in conventional history. Finally, Foucault's history is the history of discontinuities of 'discursive field'. In chapter Ⅰ and Ⅱ, I examined this Foucault's history of discontinuities in terms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side. In Chapter Ⅲ, I examined how Joan Scott and Roger Chartier claimed Foucault's study in their own domain. They examined the process of discontinuous emergences of discourses. In particular they focused the historicizing of conceptual tools used in historical study. Finally, I thoght that Foucault's history of discontinuities suggest that the object of historical study is the very historical discourse itself. In chapter Ⅳ, I examined that. In last chapter, I clarified the meaning of Foucault's history of 'discontinuities' in historical study, through explaining Foucault's works and two historians synthetically.

      • 사회비판을 위한 계보학적 전략 : 푸코(M. Foucault)의 권력 분석을 중심으로

        도승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5

        제 2차 세계대전(1939-1943) 직후 프랑스의 사상 풍토는 개인의 자발적인 기투를 중시하여 역사의 담지자로서의 인간의 실천을 강조하는 싸르뜨르(J.P.Sartre)의 실존주의와 개인의 모든 실천을 경험적 차원에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구조’라는 이론적 실재의 산물로서 규정하는 이른바 레비-스트로스의(C. Le´vi-Strauss) 구조주의의 첨예한 대립 상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러한 지적 풍토에서 등장한 푸코의 사상은 싸르뜨르의 주체에 대한 거부의 입장과 동시에 인간 실천의 자발성을 무시한 구조주의의 역사불감증을 비판한다는 점에서 대립적인 두 사상을 조화시켰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화적 작업이 푸코의 학문적 목표는 분명히 아니었으며 오히려 그는 주관적인 의식의 차원과 총체적인 구조를 동시에 거부하면서 인간의 실천을 가능하게 하는 형성의 원인들을 역사 속에서 찾으려고 하였다. 이때 그가 이해하는 역사는 진보하는 연속적인 역사가 아니라 각 시대마다의 다른 역사적 지층을 가진 불연속적인 것이라는 점에서 그의 이론적 가정과 문제 의식은 전복적 성격을 가진다. 푸코가 채택한 초기의 방법론으로서의 고고학(arche´ologie)은 한 시대의 사유 구조를 특징짓는 에피스테메(e´pisteme)에 대해 탐구한다. 이것은 한 시대에 통용가능한 담론의 기준을 정하는 무의식적인 사유의 토대를 의미하는 데 이것에 의해서 결정된 담론들은 우리의 사유구조와 행위구조를 결정하게 된다. 세계와 사물을 분절하는 규칙으로서 담론의 이해는 푸코 연구의 이론적 깊이가 더해가면서 단지 의식적인 사유 구조에서 실천의 영역까지 포함하는 것으로서 정의의 범위를 확장하게 된다. 그에 따라 푸코의 담론 분석은 그것의 형성과 실천에 개입하는 권력의 문제를 담당해야 하므로 계보학(ge´ne´alogie)이라는 새로운 방법론을 통해 자신의 이론적 작업을 발전시킨다. 계보학은 담론의 형성에 관계하는 외적 요인으로서의 권력의 문제에 대한 분석을 담당한다. 푸코는 이러한 권력 관계들이 특정한 사건들, 역사적 운동들, 역사 안에서 스스로 작용하고 있다고 파악하고 권력에 대한 비판 또한 국지적인 차원에서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기존의 소유나 억압의 관점에서 파악하던 권력 개념을 탈피하여 다양한 관계안에서 권력이 가지는 편재적이고 생산적인 특성을 강조한다. 이처럼 푸코에게서 다시 재개념화된 권력이란 일종의 의미의 그물망으로서의 권력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제 권력은 “누가 그것을 소유했는가”라는 질문을 통해 제기되는 지배자/피지배자라는 이원적 대립 구조가 아니라 “권력의 효과가 무엇인가”라는 그것의 작동경로와 힘의 행사에 주목해야 한다. 푸코는 이러한 권력의 효과가 가장 일차적으로 자신의 힘을 행사하는 곳은 바로 인간의 육체라고 주장한다. 군주시대부터 후기 자본주의시대에 이르기까지 권력은 언제나 육체를 배제, 또는 조종, 이용해 왔다. 따라서 푸코의 계보학적 연구는 권력의 분석속에 육체의 논의를 포함시켜 육체안에 각인되어 있는 권력의 효과를 추적하려 한다. 따라서 계보학적 연구의 강점은 우리 일상 생활의 다양한 미시적 지배-억압관계들에 대해 충분한 분석의 틀을 제공한다는 데에 있다. 권력이 드러나는 시간과 장소, 역사성을 추적하는 미시적 권력 분석은 기존의 권력 이론이 가지는 한계점을 넘어서며 나아가 현재 우리를 이러한 모습으로 형성시킨 역사적 조건을 드러냄으로써 우리의 실제적 삶, 나의 정체성과 관련되는 유익한 정치적 문제들을 부상시킨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본 논문의 전개 방식은 푸코의 이러한 문제 의식을 항구적으로 따라가면서 궁극적으로는 푸코의 계보학이 가지는 비판적인 성격과 그것이 사회비판의 전략으로써 어떠한 유의미성을 갖는 지에 대한 고찰의 작업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푸코의 ‘비판’ 개념이 총체적 대안이나 규범적 기준을 가지지 않는다는 일반적인 지적에 대해서 그것이 어떠한 점에서 과도한 오해인가에 대한 해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푸코의 연구작업은 우리의 현실에 대해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줄 뿐 아니라 나아가 현실 속에 천착하고 있는 우리의 문제를 바라보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푸코가 동시대인으로서 고민했던 권력과 주체, 실천의 문제들이 여전히 우리에게도 남아있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Shortly after the Second World War(1939-1943), the French trend of thoughts was based on an individual voluntary project. At this time, J. P. Sartre emphasized human practices in reality which is called 'Existentialism', while C. Le´vi-Strauss defined all the practices of an individual as 'structure', not as 'experience' which is called 'Structuralism'. These two thoughts are in opposition acutely. Under these philosophical trends, Foucault had kind of reputation that he harmonized those two opposite thoughts, in that he rejected the subject of J. P. Sartre and criticized historical frigidity of structuralism, which ignores spontaneity of human practice. But this was not academic aim of Foucault, rather he turned down subjective consciousness and the whole structure, at the same time tried to find out causes of form which make human practices possible. By the time, the history he understood is not successively progressive, but discontinuous different one that has each historical layer. Those characteristics show that his theoretical supposition and critical mind has an inclination of reform. Archaeology that Foucault selected, as an early methodology is the study about Episteme, which characterizes thought structure of an certain epoch. This plays a key role to decide the currently available discourse's standard as the basis of unconscious thought. These decided discourses become decisive in our thought's structure and behavior's one. The understanding of discourses as a rule of distinguishing world and thing, are extended to practical area from just conscious thought's structure, as the depth of Foucault's study got more and more profound theoretically. According to this, the analysis of Foucault's discourses that involved themselves in form and practice, develops its own theoretical work through a new methodology as genealogy. Genealogy as an external effect about the form of discourses, plays a role to analyze power issue. Foucault grasped that the connection with power itself worked within specific incidents, historical movement and history. And he insisted that criticism about power should be performed in a regionalized part. These opinions emphasize partial and 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power within various connections, far from the power conception of existing possessions and oppressive point of view. As above, Foucault indicated reconcepted powers meant power kind of meaning's nets. Therefore, we should pay attention to its working route and performance, "what's the effect of power?", not the dual contrary structure. Foucault persisted that the spot which power effect works itself firstly is human body. The power had governed, controlled or taken advantage of the body from monarchy to capitalism. Accordingly, the study of Foucault's genealogy tried to keep track of power effect carved in a body including the discussion about body in analyzing power. Consequently, the merit of genealogical study provides the frame of good enough analysis about connection of micro domination-oppression in our various daily lives. The micro analysis tracking time, place and historical trends of power, exceeds the limitation of the existing power theory, further reveals historical conditions that make a current shape. It has value in that it makes advantageous political issues afloat concerned with my identity. This study develops itself as follows. It continuously follows his critical mind, fundamentally examines meanings of genealogy that has critical tendency as socially critical strategy. For the sake of that, first of all, the explanation about the general indication that criticism of Foucault doesn‘t have the whole substitute or a normative standard should be accomplished. These works by Foucault make space to seriously introspect our realities as well as make us see our problems to face rooted in reality. This is a problem for us to that Foucault had been in agony about power and subject, practice as a contempor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