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정보시스템의 상호운용성을 위한 표준간호용어 지원 도구 개발

        김화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용어 관리도구로서 간호용어 통합 도구(tools)의 개발함으로써 간호의 개념을 포괄할 수 있는 표준 용어체계의 구조와 용어 콘텐츠를 서비스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간호진단, 간호결과 및 간호중재분류체계의 연계 도구와 온톨로지 구축 도구를 각각 개발하였다. 연계 도구는 간호학생의 Likert 4점 척도 만족도 조사에서 평균 3.65(±0.22)로 높게 나왔으며, 온톨로지 구축 도구의 검증을 위해 부인과 간호단위 간호기록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간호진단의 문제들을 SNOMED CT의 개념으로 표현한 결과는 112개의 요인이 21개의 간호진단과 전조합으로 매핑된 후에 매핑 데이터는 100% 간호진단 온톨로지로 생성되었다. 검증된 2개의 도구는 통합 도구로 개발하였다. 통합도구의 검증을 위해서 총 510개 개념에 대한 데이터 생성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매핑의 일치에 대한 평가는 2인의 전문가에 의한 Likert scale 4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전문가 1은 각각 평균 3.68점, 3.60점을 제시하였고, 전문가2는 각각 3.72점, 3.65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비율로 나타낸 CVI는 0.94로서 매핑 결과에 대해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도구의 활용은 간호지식체를 구축할 수 있는 OWL 형식을 지원하며 의미적 활용이 가능한 표준 용어체계 기반의 간호정보시스템을 개발하도록 지원하므로 간호지식의 확보, 의사결정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This study developed a standard terminology for developing integrated nursing management tools. We developed both a tool for linking nursing diagnosis, nursing outcomes, and the nursing intervention classification (NIC) and an ontology construction tool. Nursing students gave the linking tool an average score of 3.65 (±0.22) for satisfaction on a four-point Likert scale. To verify the ontology construction tool, nursing records were extracted from a gynecology unit. The extracted nursing diagnoses were expressed using the concept SNOMED, which mapped 83 factors in 112 nursing statements through 21 nursing diagnoses. A pre-coordinated mapping method mapped 100% of the data generated from nursing diagnosis ontologies. The two tools were combined to develop an integrated tool. In order to test the integrated tool, the study conducted the test of 510 created data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Concerning the assessment of the coincidence of mapping, the study employed 4-point Likert scale which had been used by two specialists. The specialist 1 proposed as average scores 3.68 points and 3.60 points respectively, whereas the specialist 2 proposed as average scores 3.72 points and 3.65 points each. CVI which had showed them as percentile, appeared to agree to the mapping result while recording the high score of 0.94. The tool used the OWL format, which can be used to configure the nursing knowledge system. The tool was developed so that it could support a standardized terminology-based nursing information system, enabling meaningful utilization in the development of clinical decision-support systems using nursing knowledge.

      •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 간호사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이예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 education on the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of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This research was a sing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 education on ICU nurses working in critical care settings. Participants include nurses with over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tertiary and general hospitals, with 26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7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group received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videos, 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pamphlets. To measure the effects on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knowledge, perception, attitude,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the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Olatubi, Oyediran, Faremi, and Salau (2019) and the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EBPSE) Scale developed by Tucker, Olson, and Frusti (2009) were utilized. Measurements were conduct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totaling two assessm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softwar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percentag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were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and Independent t-test. Changes within groups for outcome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and Wilcoxon signed-rank test, while group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 t-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fter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education, the intervention group's knowledg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mean of 22.77±6.59 points to 27.58±3.61 points (Z=-3.520, p<.001).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Z=-1.043, p=.297). 2. Regarding perception, the intervention group'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24.65±5.78 points to a post-test mean of 28.54±3.84 points (t=3.877, p=.001),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t=4.472, p<.001). 3. In SNL of attitude, the intervention group's attitude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63.46±11.85 points to a post-test mean of 74.27±9.05 points (t=4.529, p<.001),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t=4.889, p<.001). 4. Regarding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the intervention group's scor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mean of 53.12±10.85 points to a post-test mean of 58.12±9.51 points (t=2.932, p=.007),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and control groups (t=2.445, p=.018).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use of SNL videos as an intervention significantly improved the perception, attitude,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related to SNL in the intervention group. However, despite an improvement in the knowledge level among the intervention group to a 'high knowledge' leve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in providing evidence for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on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and its application in clinical practice to enhance nurses' perceptions, attitudes, and evidence-based nursing skills related to standardized nursing terminology in the future. 간호사는 복잡한 환자의 상태를 빠르고 정확하게 평가하고 관리해야 하며 전문적인 지식과 함께 근거기반 간호 수행이 필수적이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은 간호사들이 복잡한 환자 상태를 더 잘 이해하고 관리하는 데 도움을 주며, 간호 실무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교육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영상이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이 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의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지식,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단일 맹검, 무작위 배정을 이용한 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1년 이상의 임상경력이 있는 중환자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며 중재군 26명, 대조군 27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2년 11월 21일부터 12월 21일까지 진행하였다. 중재군은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영상을 중재했으며 대조군에게는 팜플렛을 제작하여 제공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지식, 인식, 태도 측정 시 Olatubi, Oyediran, Faremi,& Salau (2019)가 개발한 Standardized Nursing Language scale로 측정하였고, 근거기반 간호실무 자기 능력은 Tucker, Olson, & Frusti (2009)가 개발한 Evidence-Based Practice Self-efficacy (EBPSE) scale로 측정하였다. 도구 측정은 중재 전, 교육 영상과 팜플렛 중재 2주 후, 총 2회 시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백분율 및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기술통계로 분석하였고 중재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의 사전 동질성 검정은 Chi-square test,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중재군과 대조군의 결과변수의 그룹 내 변화는 paired t-test, Wilcoxon signed-rank test로 분석하고,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Mann Whiteny U 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지식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기각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지식 점수는 평균 22.77±6.59점에서 27.58±3.6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Z=-3.520, p<.001),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인식 점수는 사전 평균 24.65±5.78점에서 사후 28.54±3.84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3.877, p=.001), 대조군의 사전 평균 25.11±4.16점에서 사후 22.81±3.51점으로 감소하였다(t=-2.409, p=.023). 또한,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472, p<.001). 셋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태도가 더 긍정적일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태도 점수는 사전 평균 63.46±11.85점에서 사후 74.27±9.0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4.529, p<.001),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4.889, p<.001). 넷째,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을 받은 중재군은 대조군에 비해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이 더 높을 것이다’라는 가설은 지지되었다.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교육 후 중재군의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 점수는 사전 평균 53.12±10.85점에서 사후 58.12±9.51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t=2.932, p=.007), 중재군과 대조군 두 그룹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2.445, p=.018). 본 연구는 중재군과 대조군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을 이용하여 타당성을 높였으며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 동영상 교육 후 간호사의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이 향상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간호사의 표준화된 간호용어체계에 대한 인식, 태도 및 근거기반 간호실무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표준화된 간호용어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임상에 적용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마련한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