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항공안전 위협요인에 따른 저비용항공사와 고객 간 지속가능한 신뢰관계 분석 : COVID-19로 인한 항공사의 안전관리와 탑승객 위험지각의 구조적 관계에 의한 영향 중심으로

        정나리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customers' perceptions of low-cost carriers through a qualitative approach and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low-cost carriers safety management systems, risk perception,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to suggest ways to flexibly cope with dangerous situations in the future and to ensure that companies be competitive.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ssengers with experience using low-cost carriers and analyzed using Nvivo 12 software, and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with passengers who experienced low-cost carriers using AMOS 22.0 and SPSS 22.0 programs. The results of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conducted to confirm the perception of low-cost carrier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perception of low-cost carriers, four factors were derived: safety, risk, service, and reuse. Among them, safety was derived from three sub-factors: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hygiene and disinfection, risk was derived from four sub-factors: social psychological risk, physical risk, financial risk, and performance risk, service was derived from four sub-factors: fare, schedule, human service, material service and reuse was derived from two sub-factors: trust and anxiety.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system’, ‘education and training’, ‘hygiene and disinfection’ in relation to the safety of low-cost carriers was divided into the perception that there would be deficiencies compared to full service carriers and that they trusted at a similar level to full service carriers. Third, ‘social psychological risk’ related to the risk of low-cost carriers was divided into those that perceived a higher level of risk than those of full service carriers when using low-cost carriers and a similar level of risk with low-cost carriers. It was confirmed that most of the ‘physical risk’, ‘financial risk’ and ‘performance risk’ were recognized at a higher level than those of full service carriers due to the inconvenience experienced when using low-cost carriers. Fourth, in relation to low-cost carriers' service, it was found that ‘fare’ and ‘schedul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customers considered when using low-cost carriers. It was confirmed that ‘human service’ and ‘material service’ were divided into responses that were similar to those of full service carriers and that they were insufficient compared to full service carrier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erception of ‘trust’ and ‘anxiety’ according to boarding experience in relation to the reuse of low-cost carriers. In parallel with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quant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by referring to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previous studies,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research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use and reliability of low-cost carriers in Korea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and reliability of low-cost carriers decreased after the pandemic. Second, a result of the research regarding "the airline's safety management system, risk perception,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for low-cost carriers in Korea will differ in perception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gender, age, and time)" is as follows. As a result of research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perception of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men i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gender. As a result of research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age, it was found that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isk perception according to ag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period was fou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fety risk management and assurance’ and ‘safety policy’ among safety management system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fety promotion’ depending on the period. Risk percep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hysical risk’, ‘performance risk’, and ‘financial risk’ depending on the period, and ‘social psychological risk’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ccording to the period. Thir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at "there will be a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ccording to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low-cost carriers perceived by customers and the risk percep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risk perception, ‘performance risk’ decreased as the ‘safety risk management and assurance’ increased. Also, the higher the ‘safety policy’, the higher the all risk perception and the higher the ‘safety promotion’, the lower the ‘social psychological’, ‘financial’, and ‘performance risk’.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safety risk management and assurance’ and ‘safety promotion’, the higher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risk perception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er the ‘social psychological’ and ‘financial risk’, and the higher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nd the higher the ‘performance risk’, the lower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Fourth,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risk perception, ‘performance risk’ w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mediating effect of risk perception factors between ‘safety risk management and assurance’,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Social psychological risk’, ‘financial risk’, and ‘performance risk’ were all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risk perception’s mediating effect between ‘safety policy’ and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nd ‘social psychological’ and ‘financial risk’ were represented as partial mediating effect Fifth, a multi-group comparison was conducted to find ou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ccording to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of low-cost carriers perceived by customers and the risk perception will differ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case of ‘safety policy’ amo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there were differences in ‘social psychological risk’, ‘performance risk’, and path coefficient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in terms of risk perception. Amo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safety policy’ differed in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nd path coefficient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and ‘social psychological risk’ and ‘financial risk’ among risk perceptions differed in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and path coefficients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quantitative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by conducting open interviews so that respondents can freely respond to the perceptions of low-cost carriers.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theoretical framework was provided for future related research by classifying and organizing the perception of low-cost carriers by factor. Secon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ies showed that ‘age’ was a very important factor, and the older the age, the more negative and unreliable the use of low-cost carriers, and the younger generation generally tended to respond positively to low-cost carriers. Therefore, it will be effective for low-cost carriers to establish active promotional strategies for young people in their 10s and 20s.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promoting tickets actively that are inexpensive but cannot be canceled or changed if reservations are made at a time when there are many days left until the travel date can be a helpful strategy for both airlines and customers. Third, previous studies confirmed that all airlines in Korea apply the ‘aviation safety programme’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at the same level as international standards, but found the perception that low-cost carriers will be insufficient compared to full service carriers and that education and training for workers will not be conducted well. Therefore, active promoting that full service carriers and low-cost carriers operate the same manufacturer's aircraft and have the same safety system will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awareness of low-cost carriers' safety. In addit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safety risk management and assurance’, and ‘safety promotion’ activities among the safety management system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ustomer’s will to continue trusting in the airline, so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nform and promote the results of the activities. Then, it is believed that low-cost carriers will be able to gain competitiveness in the long-term through this way. Fourth, since the ‘performance risk’ has been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fluencing the will to continue trusting, it is expected to be an effective way to increase the reuse rate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customers by actively utilizing SNS, e-mail, and website registration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and inconveniences when using low-cost carrier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 of infectious diseases that were not recognized as important before the pandemic appeared as a significant risk factor to the aviation industry,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untermeasure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has issued and implemented guidelines for ‘aircraft safety operation’ separately from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but considering the global pandemic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lobal standards by unifying standards and procedures and indicating in safety management system. Through this way, each airline can systematically manage the quarantine part, and it is believed that it will help customers reduce anxiety about infectious diseases and use aircraft. 본 연구는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고객들의 인식을 질적접근을 통하여 확인하고 저비용항공사 안전관리시스템과 위험지각, 신뢰지속의지간의 구조적 관계를 팬데믹 전후로 실증분석하여 미래에 위험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기업이 경쟁력을 갖추게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승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행하여 Nvivo 12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팬데믹 이전과 이후 총 두 차례에 걸쳐 저비용항공사 이용 승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MOS 22.0과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한 질적연구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인식을 확인한 결과, 안전, 위험, 서비스, 재이용의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그 중 안전은 시스템, 교육 및 훈련, 위생 및 방역의 세 가지 하위요인, 위험은 사회심리적 위험, 신체적 위험, 재정적 위험, 계약이행 위험의 네 가지 하위요인, 서비스는 요금, 스케줄, 인적 서비스, 물적 서비스의 네 가지 하위요인, 재이용은 신뢰, 불안감의 두 가지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저비용항공사의 안전과 관련하여 시스템, 교육 및 훈련, 위생 및 방역에 관한 인식은 대형항공사에 비하여 미비한 점이 있을 것이라는 인식과 대형항공사와 비슷한 수준으로 신뢰한다는 인식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저비용항공사의 위험과 관련하여 사회심리적 위험은 저비용항공사 이용 시 대형항공사에 비하여 더 높은 수준의 위험을 인식하는 경우와 비슷한 수준의 위험을 인식하는 경우로 나뉘었다. 신체적 위험과 재정적 위험, 계약이행 위험은 저비용항공사 이용 당시 겪었던 불편함으로 인하여 대형항공사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위험을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인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저비용항공사의 서비스와 관련하여 요금과 스케줄은 고객들이 저비용항공사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적 서비스와 물적 서비스는 대형항공사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응답과 대형항공사에 비하여 미흡하다는 응답으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저비용항공사 재이용과 관련하여 탑승 경험에 따라 신뢰와 불안감에 관한 인식이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질적연구와 병행하여 다양한 국내·외 선행연구들을 참고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양적연구를 실시하였으며 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데믹 전후의 국내 저비용항공사의 이용도, 신뢰도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를 알아본 결과 팬데믹 이후 저비용항공사 이용도와 신뢰도가 낮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국내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항공사 안전관리시스템, 위험지각, 신뢰지속의지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시기)에 따라 인식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안전관리시스템과 신뢰지속의지에 대해서는 남자보다 여자의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험지각은 성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안전관리시스템과 신뢰지속의지는 연령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위험지각은 연령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기에 따른 인식 차이는 안전관리시스템 중 위험관리 및 보증과 안전정책은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안전증진은 시기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지각은 신체적 위험과 계약이행 위험, 재정적 위험은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회심리적 위험은 시기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지속의지는 시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고객이 인지하는 저비용항공사의 안전관리시스템, 위험지각수준에 따른 신뢰지속의지간에 관계가 있을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전관리시스템와 위험지각수준의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위험관리 및 보증이 높아질수록 계약이행 위험은 낮아졌으며 안전정책이 높아질수록 모든 위험지각수준이 높아졌고 안전증진이 높아질수록 사회심리적, 재정적, 계약이행 위험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안전관리시스템과 신뢰지속의지의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위험관리 및 보증, 안전증진이 높아질수록 신뢰지속의지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지각수준과 신뢰지속의지의 영향관계를 확인한 결과, 사회심리적, 재정적 위험이 높아질수록 신뢰지속의지가 높아지며 계약이행위험이 높아질수록 신뢰지속의지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위험지각수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위험관리 및 보증과 신뢰지속의지간 위험지각 요인의 매개효과에서 계약이행 위험은 부분매개효과였으며, 안전정책과 신뢰지속의지간 위험지각 요인의 매개효과에서 사회심리적 위험, 재정적 위험, 계약이행위험은 모두 완전매개효과였으며, 안전증진과 신뢰지속의지간 위험지각 요인의 매개효과에서 사회심리적 위험, 재정적 위험은 부분매개효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객이 인지하는 저비용항공사의 안전관리시스템, 위험지각수준에 따른 신뢰지속의지간의 관계는 팬데믹 전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집단 비교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전관리시스템 중 안전정책은 위험지각 중 사회심리적 위험, 계약이행 위험과 팬데믹 이전과 이후간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안전관리시스템 중 안전정책은 신뢰지속의지와 팬데믹 이전과 이후간의 경로계수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위험지각 중 사회심리적 위험, 재정적 위험은 신뢰지속의지와 팬데믹 이전과 이후간의 경로계수에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양적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응답자가 저비용항공사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인식을 자유롭게 응답하도록 개방형 인터뷰를 실시하여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함으로써 연구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또한 저비용항공사에 대한 인식을 요인별로 구분하여 정리함으로써 향후 관련 연구에 이론적 틀을 제공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질적연구와 양적연구 모두 연령이 상당히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연령이 높아질수록 저비용항공사 이용에 부정적이며 신뢰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청년층에서는 전반적으로 저비용항공사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반응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저비용항공사에서는 10~2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적극적인 홍보 전략을 세우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보이며 특히 여행날짜가 많이 남은 시점에 예약했을 경우 요금이 저렴하지만 취소나 변경 등이 불가한 항공권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항공사와 고객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항공안전프로그램이나 안전관리시스템은 국내 모든 항공사가 국제 기준에 맞는 수준으로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저비용항공사가 대형항공사에 비해 미흡할 것이며 종사자에 대한 교육훈련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것 같다는 인식을 찾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대형항공사와 저비용항공사가 동일한 제작사의 항공기를 운항하고 있으며 동일한 안전 체계를 갖추고 있음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저비용항공사의 안전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안전관리시스템 중 위험관리 및 보증과 안전증진 활동이 고객들로 하여금 해당 항공사에 대한 신뢰지속의지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활동 결과를 지속적으로 고객들에게 알리고 홍보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장기적으로 저비용항공사가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계약이행 위험이 신뢰지속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으므로 SNS, 이메일, 홈페이지 접수 등을 적극 활용하여 고객과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저비용항공사 선택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와 이전에 겪었던 불편 등을 파악하여 이를 중점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이 재이용률을 늘리는 데 효과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섯째, 팬데믹 이전에는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았던 감염병에 관한 부분이 항공산업에 상당히 큰 위험요소로 나타났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국토교통부에서는 코로나19 발생 이후 안전관리시스템과 별도로 항공기 안전운항지침을 발표하여 시행하고 있으나, 전 세계적인 팬데믹 상황인 것을 고려하였을 때 각국 항공사가 지켜야 할 기준과 절차 등을 통일하여 안전관리시스템에 명확하게 명시하여 글로벌 스탠다드를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각 항공사에서는 방역에 대한 부분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고객도 감염병 우려에 대한 불안감을 줄이고 항공기 이용을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한국의 가정폭력 양상에 대한 연구 :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진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758

        코로나19로 팬데믹으로 인해 전세계에서 시행된 사회적 거리두기와 봉쇄 정책은 일상생활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이는 대면 범죄의 감소와 ‘그림자 팬데믹’이라 불리는 가정폭력이 증가하는 형태로 범죄 유형에도 영향을 주었다. 본 논문은 가정폭력 전문가들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가정폭력 특징을 파악하고, 가정폭력 범죄 변화된 대응과 지원 서비스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정폭력 전문가들의 관점으로 팬데믹 이후 가정폭력 범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위기 상황에서의 지원 서비스와 사회 서비스의 향상된 대응 능력을 모색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가정폭력 피해자에게 향상된 지원 서비스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가정폭력, 아동학대, 노인학대 등 다양한 유형의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 전문가 15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1:1 심층면접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을 진행하였다. 또한, 근거이론 (grounded theory)을 기초로 하여 반복적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ATLAS.ti 23.1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Theme은 4개, Sub-theme은 10개가 도출되었다; (1) 한국적 맥락에서 팬데믹이 가정폭력에 미친 영향, (2)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팬데믹 요인, (3) 가정폭력 행위자에 대한 팬데믹 요인, (4) 팬데믹이 가정폭력 정책과 가정폭력 전문가에게 미친 영향.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실시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가정폭력 범죄가 감소하였지만 실제로는 경제적 요인과 재택근무 휴교 등의 복합적인 요인으로 가정 내 갈등이 증가되었고, 피해자들은 도움 요청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다시 말해, 가정폭력 피해자의 노출이 제한되어 가정폭력의 발견이 늦어지고 은폐될 가능성을 시사되었으며, 단계적 일상회복 기간이나 팬데믹 종식 후에 가정폭력 피해자의 도움 요청과 경찰 신고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정부 지침으로 인해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져 가정폭력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어려워졌다고 전문가들은 언급하였다. 전문가들의 업무 환경 또한 팬데믹의 영향을 받아 전문가들은 추가적인 업무 수행, 업무 과중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본 논문 한계와 미래연구를 제안하면서 마치고자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가정폭력 범죄와 가정폭력 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지만 이와 관련된 경험적 연구가 다소 적은 편이다. 본 논문은 가정폭력 전문가들의 시각을 통해 개별 행위자에게서는 알 수 없는 코로나19 이후 전반적인 가정폭력 특징과 가정폭력에 대한 사회적 요인을 알아보고 미래의 팬데믹이나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이론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함으로써 한국의 가정폭력 범죄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코로나19 방역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에서의 '리스크' 개념 연구 : 감염병예방법상의 격리·검사·치료 조항 및 집합제한조치를 중심으로

        유기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742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방역 과정에서 개인의 자유에 대한 국가의 다양한 자유제한조치가 이루어짐에 따라, '감염병 예방'이라는 공익을 근거로 국가의 과도한 기본권 제한이 무분별하게 허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국가의 개인에 대한 자유제한의 허용가능한 한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의 주요한 문제로 떠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감염병 팬데믹'이라는 현상이 지니는 난해한 특성으로 인하여, 감염된 개인으로 인해 초래되는 '공익의 훼손'은 비례성 심사와 같은 법적 평가의 분석 대상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감염(의심)자가 타인을 감염시키고, 감염시킨 타인을 통한 감염의 연쇄로 인구집단으로 감염이 퍼져나가는 현상은 오직 '확률적'으로만 예측되는데, 그러한 '확률적 불확실성'의 결과로 초래되는 '감염병 리스크(risk)'를 어떻게 법적 분석의 대상으로 다룰지가 문제가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분석틀이 부재한 상황 속에서 감염병 팬데믹하의 감염(의심)자의 리스크는 법적 차원에서 구체적이고 엄밀하게 분석되지 못하였고, 감염병 팬데믹하의 기본권 제한 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 또한 '공익 보호의 중대성'과 '개인의 기본권 제한'이라는 추상적 차원의 비교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① 감염병 팬데믹이라는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리스크'를 어떻게 구체화하고 분석의 대상으로 개념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수행하고, ② '리스크' 개념의 구체화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의 기본권 제한 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의 세부 심사기준을 확립하여, ③ 감염병 팬데믹하 방역조치의 정당성을 보다 엄밀히 판단할 수 있는 이론적 자원을 확보하는 것을 그 목표로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감염병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 자유제한의 근거가 되는 '해악(harm)'과 '리스크(risk)'의 개념을 법철학적으로 분석하여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 적용·확장하였다. 감염병 팬데믹에서 국가에 의한 자유제한의 정당한 한계를 획정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로, J.S. Mill의 고전적 해악의 원리와 이를 확장한 법철학자들의 후속 논의, 그리고 이를 수용하여 코로나19 팬데믹에 적용한 초기 선행연구를 보다 정교화하여 '확장된 리스크' 개념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감염병 공중보건 위기 상황에서의 자유제한 조치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를 검토하고, 국제인권규범에서의 논의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기존 논의에서는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의 자유제한 조치에 대한 비례성 심사의 구체적 심사기준을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기에, 3장 2절에서는 비례성 심사와 관련된 헌법·인권법 분야의 선행연구와 2장에서의 리스크를 둘러싼 이론적 논의를 접목하여 과잉금지원칙의 4가지 심사기준(목적의 정당성, 수단의 적합성, 피해의 최소성, 법익의 균형성)을 법철학적 토대 위에서 구체화하고 그 세부 심사기준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2장의 이론적 논의와 3장에서 수립한 감염병 팬데믹 상황에서의 비례성 심사기준 논의를 적용하여, 감염병예방법상의 대표적 방역조치인 '격리 의무화 조치(4장 1절)', '치료 의무화 조치(4장 2절)', '검사 의무화 조치(4장 3절)', '집합제한조치(4장 4절)'의 정당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4장 4절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시행된 집회금지처분 및 종교행사 제한조치를 둘러싼 국내외 판결에서의 비례성 심사의 논증 구조를 구체적으로 검토하였다. 판결을 분석함에 있어 2장의 '확장된 리스크' 논의와 3장의 '비례성 심사에서 리스크 개념의 구체화' 논의를 적용하여, 각 판례에서 보이고 있는 논증 구조를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론적 틀에 기반하여 재구성하였고, 기존의 판결에서 수행된 비례성 심사 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As various state restrictions on individual freedom were impos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ncerns have been raised that excessive infringements on fundamental rights were indiscriminately permitted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of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Therefore, the question of how to set acceptable limits of liberty restrictions on individuals has emerged. However, since the phenomenon of infections spreading to the population is only predicted statistically, how to deal with the "risk" of the infected individual as a subject of legal analysis has become a problem. In the absence of a theoretical framework of legal analysis of risk, the risk of infected individuals during the pandemic was not analyzed strictly, and proportionality review of infection prevention measures was often only an abstract comparison of the importance of public interest and individual rights. Therefore, this thesis aims to conduct a theoretical review on how risk can be conceptualized legally in a public health crisis, and to develop a theoretical framework for proportionality review of the risk of liberty-limiting measures during a pandemic. Chapter 2 analyzes the legal philosophical concepts of "harm" and "risk", which are the basis for liberty restrictions during a public health crisis, and applies and extends them to the pandemic. As a theoretical discussion to define the legitimate limitations of state restrictions on individual freedom during a pandemic, the concept of "extended risk" is introduced by extending the classical harm principle and subsequent legal philosophical theories. Section 1 of Chapter 3 review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liberty restriction measures in the context of the COVID-19 pandemic, and points out they have a limitation that specific criteria for the proportionality review of public health measures in the pandemic have not been presented. Accordingly, Section 2 of Chapter 3 specifies the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proportionality review, referring to the theoretical discussion on risks in Chapter 2. Chapter 4 reviews the legitimacy of mandatory isolation(Section 1), mandatory treatment(Section 2), mandatory testing(Section 3), and gathering restriction orders(Section 4) under the Infectious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ct, applying the theoretical discussion in Chapter 2 and the criteria for proportionality review established in Chapter 3. In particular, Section 4 examines logic of proportionality review in judicial precedents over the ban on gathering restrictions implemented in the COVID-19 pandemic. In analyzing the precedents, the logic of proportionality review in each case is critically reviewed and reconstructed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presented in this thesis.

      • COVID-19 팬데믹 상황 속 한국과 아세안 지역 간 학생 교류 프로그램 운영 실태와 영향요인 분석 : AIM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현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93

        본 연구는 한국과 아세안 지역 국가 간 학부생 교류 프로그램인 CAMPUS Asia-AIMS(Asian International Mobility for Student) 프로그램이 ‘COVID-19 팬데믹’이라는 전세계적 전염병으로 인해 운영상 겪은 어려움의 실태 및 영향요인을 탐색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실무자 대상으로 실용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했으며 수집된 연구자료는 기노시타 야스히토(木下康仁)의 수정판 근거이론 접근법의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저조한 학생참여율, 자가격리 등으로 인한 실무자의 행·재정적 부담 증가, 국가 간 소통의 장애, 비대면 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그램 전환의 한계 그리고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교우관계 형성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야기된 운영상 어려움뿐만 아니라, 다양한 온라인 플랫폼 경험을 통해 발굴한 비대면 교류의 새로운 가능성에도 연구의 초점을 맞춰 궁극적으로 AIMS 프로그램 교류의 다변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연구

        왕홍량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51

        팬데믹 상황 영향에서 팬데믹 상황과 태권도 경영 문제를 총괄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한 본 연구는 향후 팬데믹이 다시 발생할 경우, 생활체육 태권도장의 경영인에게 한층 나은 발전방안을 제공하는 데에 의미를 두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팬데믹 상황에서 태권도장이 어떻게 경영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팬데믹 상황에서 태권도장이 정상적으로 경영되기 위하여 어떤 개선 요인이 필요한지를 파악하고 나서 팬데믹이 시기에 대비한 태권도장 경영의 타당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중국의 태권도 전문가들이 구성한 그룹을 대상으로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를 하였다. 전문가 그룹은 태권도장 경영 경험이 있는 중국 국내 3개의 전문가 그룹인데 구체적으로 태권도 관련 대학교수 10명, 태권도장 태권도 지도자 10명, 태권도협회 종사자 10명으로 구성하여 총 30명의 관련 전문가로 구성하였다. 델파이기법에 대한 자료는 총 3차례에 걸쳐 수집하였으며, 1차는 개방형 설문지, 2차와 3차는 폐쇄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Wechat과 e-mail을 통해 수집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전문가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필요성, 문제점, 개선점 및 중요요소에 대해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자료는 중앙치와 사분위범위, 그리고 내용타당도 비율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팬데믹 상황에 따른 미래 중국 태권도장의 경영전략이 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 총 16가지 내용으로 나타났다. 그 중, 전문가들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3가지는 첫째, 중국태권도 산업의 발전으로 중국 생활체육 산업의 발전을 촉진 시킬 수 있다. 둘째, 팬데믹 상황으로 인한 시민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져 향후 태권도수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셋째, 미래의 팬데믹 상황에서 태권도 비대면 교육에 경험적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에 관한 문제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태권도장 지도자 관련하여, 중국 태권도장은 팬데믹 상황에 대한 `긴급처리능력이 부족하여 경영 관리가 어렵다.'와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일부 중국 태권도장의 비규범적인 경영 정책들을 하고 있어 문제이다.' 태권도 협회 종사자 관련에서는 중국태권도협회는 팬데믹 상황에 따른 각 태권도장에 대한 지도 및 관리 경험이 부족하다. 이로 인해 이 기간에 `각 태권도장은 전략적인 경영지도 및 도움을 얻지 못했다.'와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중국태권도협회는 태권도장의 휴관, 수련 재개 요건과 요구가 구체적이지 못했다.' 대학교수 관련에서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일부 대학교는 태권도전공의 대학생들이 정상적인 교육과정을 들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이는 `향후에 태권도장이 지도자(사범)를 초빙하기에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와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태권도전공 대학생들이 태권도 관련 자격증을 취득을 수 있다는 보장이 없다. 이로 인해 짧은 기간 내에 일부 태권도전공 대학생의 취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팬데믹 상황에 따른 현재 중국 태권도장 경영의 문제점을 어떻게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태권도장 지도자 관련에서는 태권도장은 팬데믹에 대비하여 관련 안전운영 예비안을 제정함으로 향후 팬데믹 상황이 다시 발생할 경우, 충분한 대처 능력을 가질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와 태권도장은 비합리적인 경쟁을 피하기 위한 태권도장 운영 방침을 규제하고 강화하고 향후 다시 팬데믹 상황이 되었을 때, 태권도장의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태권도 협회 종사자 관련에서는 태권도 협회는 팬데믹 상황에 따른 태권도장에 대한 지도능력을 강화하고 태권도협회와 각 태권도장 간의 소통 빈도를 높여야 한다와 태권도 협회는 팬데믹 상황에 따라 협회를 통해 긴급 사태에 대한 태권도장의 대응능력을 향상해야 한다. 대학교수 관련에서는 대학은 팬데믹에 따른 태권도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계적인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학습효과를 보장해야 한다와 대학은 팬데믹에 따른 태권도전공 대학생의 학점 평가 제도를 보완하여 학생들이 정상적으로 태권도 관련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팬데믹 상황에 따른 중국 태권도장 경영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중요한 요소들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해서는 첫째, 태권도장 안전사고방안(긴급방역처리능력)에 대한 필요성을 강화되어야 함. 둘째, 다양한 비대면 태권도 교육방식이 필요하다. 셋째, 학부모와의 소통 강화되어야 함. 넷째, 수련생 관리 및 유지 강화되어야한다. 다섯째, 온라인 태권도 지도를 위한 질적 향상이다. 여섯째, 태권도장 지도자 간의 팀워크 안정이다. 일곱째, 태권도장 자금설정이 안정화 되어야 한다.

      • 팬데믹 시대 속, 하이데거 시인론의 실천적 역할에 대한 고찰

        이주희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51

        본 논문의 목적은 팬데믹 시대 속 하이데거 시인론의 실천적 역할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일반적으로 하이데거의 시인론은 예술철학 분야의 일부분 또는 존재론적 해명에 국한되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하이데거의 저작에는 시인론이 독자적인 하나의 분야를 이룰 수 있는 풍부한 이론적 토대 뿐 아니라, 시인의 실천적인 역할을 도모할 수 있는 논거들이 발견된다. 본 논문은 하이데거 시인론의 실천성을 팬데믹 시대의 사유와 결부시켜 심화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하이데거의 궁핍한 시대와 오늘날의 팬데믹 시대가 직면한 ‘궁핍함’의 실존적 조건이 동일하다는 인식 아래 성립된 것이다. 두 시대의 궁핍은 인간의 사유가 존재자에 사로잡혀 존재를 망각하는 데에서 기인하며 존재의 의미와 성스러움의 상실로 나타난다. 존재의 성스러움이 사라진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에게는 시대의 궁핍을 초극하려는 심연의 요구가 발생한다. 이 요구가 바로 시인의 역할을 통해 성취될 수 있다는 것이 본 논문의 주제의식이다. 이에 대한 논증은 두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는 궁핍한 시대의 시인 횔덜린, 릴케, 헤벨과 팬데믹 시대의 시인 하종오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작의 본질과 시인의 사명을 결부시킴으로써 시인의 실천적 면모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두 번째는 현재의 움벨트-둘레 세계인 팬데믹의 존재론적 성찰을 담아내고 있는 연구자료를 분석하여 하이데거 시인론과의 교섭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하이데거의 사유가 ‘현재’를 고민하는 바로 ‘지금, 여기’의 사유임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로써 팬데믹 시대 속, 하이데거 시인론의 실천적 역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하이데거의 시인론은 존재 망각의 역사를 직시하게 만든다. 팬데믹 국면에서 존재 망각은 존재와 존재자를 혼동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존재자에 의해 또 다른 존재자가 서열 지어지는 억압으로 이어지고 있다. 시인은 이러한 현실을 시적 언어로 폭로하는 자이다. 이는 시인이 기술시대의 물질적 풍요 속에서 궁핍해지는 인간의 정신적 결여를 볼 수 있는 통찰력을 지니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둘째, 하이데거의 시인론은 인간의 거주함의 근본 능력을 회복할 것을 우리에게 주문하고 있다. 시인은 팬데믹을 거주함의 근본 능력을 상실한 결과로 맞닥뜨린 현사실적 사건으로 우리에게 상기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시민적 태도와 생태주의의 복잡성에 대한 이해를 촉구함으로써 거주함의 본질적 능력 안으로 들어갈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셋째, 하이데거의 시인론은 시대의 궁핍을 극복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제시한다. 시인의 시작은 삶의 방식에 대한 성찰이자 존재론적인 삶을 가능하게 하는 명확한 사유의 틀을 우리에게 제공해 준다. 존재 사유로 사람들을 인도하는 시인의 과업은 팬데믹 시대의 고뇌, 죽음, 사랑에 대한 알레테이아가 은폐되지 않고 작동할 수 있는 실천적 근거가 된다. 넷째, 하이데거의 시인론은 존재의 성스러움을 회복하는 적극적 사유의 틀을 제시한다. 팬데믹 시대의 해법은 존재의 개념을 근본에서부터 다시 사유하는 존재론적 전회를 거칠 때에만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사유의 모험은 ‘탈인간중심주의’를 벗어나려는 시인의 시도를 통해 나타난다. 본 논문은 존재의 근원성을 역사성과 함께 사유하는 하이데거의 시인론이 팬데믹 시대 속 위기의 운명 공동체를 구원할 수 있는 필연적인 출발점임을 제시하였다. 망각되었던 존재 물음이 시인의 시적 언어로 제기될 때에, 비로소 은폐되어 있던 존재의 진리가 세계 가운데 열어 젖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 지점에서 시작(詩作)이 시작(始作)되어야 함을 주장하는 것이다.

      • RISS 인기논문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팬데믹 온라인 공연’ 유형의 양상과 가능성 모색

        김호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51

        The study reviews the momentous changes to performance arts in 2020, which is centered on the emergence of the online performance or ‘Pandemic online performance’. The object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overall boundaries and the status of performance in the pandemic era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Pandemic online performance”. COVID-19 has altered the daily course of life in an unanticipated manner and the form of performance is not an exception. Above all, performance centered on stage has become impracticable. Stage performance is incompatible with the preventive measures against epidemics and their economic feasibility has weakened. The 2020 pandemic changed the artist’s method of presenting a performance. The performers and audience could not share the same time and space; the audience could not be ‘now’ or ‘here’. The performer’s planning, creation, acting on the stage is intermediated to the audience on an online platform using technology and imaging methods. This study’s pandemic online performance refers to performances provided to the audience online which were traditionally carried out on stage before the COVID-19 era. The elements of performance conveyed to the audience can be broken down into time, space and the audience. Performance was fulfilled through the coexistence of the stage and the audience from an aspect of time and space. This sharing of the time and space between the stage and the audience, audience and audience created liveness. Judging from such basic prerequisites, pandemic online performance does not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traditional performance.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do not share the same temporality in a pandemic online performance and the gap becomes highlighted in performances conveyed with a time lag. Moreover, it could be re-played without temporal restrictions through digital recording devices such as a camera. Temporality in a performance means vanishing without giving the audience the liberty to re-play, making the traditional notion of temporality non-existent in the pandemic performance. From a spatial perspective it is near impossible to recreate the vividness of a performance carried out on stage. Unlike the temporal aspect which can be partially shared through live broadcasting, there is no technology with the capacity to share space. This lack of spatial coexistence can be intensified in an extreme circumstances where even the performers do not share the same space. The audience who could actively intervene with the stage were deprived of the vitality with such spatial separation. However, such a deprivation of the traditional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have resulted in an altered manner in online performances. Firstly, as for temporality, most of the online performances have a ‘premiere’ and a ‘limitation on viewing time’. Compared to the stage performance which evaporates after the act, online performance fades out slowly with the limited viewing time. Therefore, in the study, temporality in the pandemic online performance is depicted as original compared to that of the traditional stage performance. Additionally, from a spatial aspect the role of technology is underlined. Creating a 2-dimensional coexistence of the players and creating a narrative is possible by the new concept of space created by technology. Artists in the pandemic era created stories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s. The performers created a musical from different locations. Attempts were made to involve the audience in the play through useof mosaic display and other digital means. Such new concept of space created with technology is an original property of the pandemic online performance. Above all, the space of watching is differentiated from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udiences of the pandemic online performance consume in private quarters and they are not in position to acknowledge other members of the audience. The possible number of audience is limitless on an online platform. At the same time, each audience was accessing the contents in a private location. Pandemic online performance is offered to the audience through technique and technology. Recording, editing and providing technique is original to the pandemic performance and it enhances the story and narrative of the online performance. Pandemic online performance highlights the story and contents through methods such as close-up, high angle, alteration of zoom-in and zoom-out, weakening of lighting, and using diverse viewpoints. Naturally, imaging and online viewing carries limitations. For example, the producers and actors pointed out the difficulty in conveying senses other than visual and hearing. Korean traditional ‘Gut’(exorcism) had to rely on visual and hearing senses of the audience, which limited the capacity to convey the spirit and energy of the work. From the audience perspective, it is worth not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number of the audience. After a period dominated by high-end stage performances and cheap online contents, arrived an era of free online contents, leading to quantitative expansion of the audience due to the dissolution of the cost barrier. This also resulted in disappearance of the relative economic and social homogeneity of the audience, ending up with an anonymous, unidentifiable audience community. The audience emerge as an active participant creating real time discourse and active feed-back during the performing, whereas the traditional audience were prohibited from conversation itself during the stage. This also creates a leeway for direct communication possibilities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performer. Pandemic online performance has limitations in time, space and audienc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stage performance. However, it creates original properties of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such aspects of performance to depict the online performance which has become a norm in the pandemic era and broadened the scope of performance. 본 논문은 2020년 공연 예술의 중요한 변화로 나타난 온라인 공연의 양상과 특징에 대한 고찰이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로 시작된 감염병 경고 최고 단계인 2020년 팬데믹 상황은 공연 예술에 침투해 광범위한 변화를 촉발하였다. 많은 무대 공연이 금지되고 취소되면서 기존의 공연을 영상으로 온라인 제공하거나, 온라인 상영을 위해 새로 제작하는 공연의 형태 변화가 일어났다. 이 시기에 다수 등장한 온라인 전송 형식의 공연은 이전의 공연 예술과는 동일한 범주에서 비교하기 어려운 것들이었다. 무엇보다 무대 예술이 불가능해진 상황에서 공연을 영상화해 온라인을 수단으로 관객을 만났으며, 이러한 기법과 기술이 공연의 형태는 물론 내용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는 변화가 양산됐다. 따라서 이 시기의 온라인 공연은 기존의 무대 공연, 또는 영상화한 공연의 형태와 분리해 분석해야 할 필요를 가지게 됐다. 이처럼 본 연구는 2020년에 등장한 온라인 공연을 ‘팬데믹 온라인 공연(Pandemic Online Performance)’으로 정의하고 구체적 양상과 특징, 의미를 살펴보았다.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기존에 무대에서 이뤄지던 공연이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기간에 온라인으로 관객에게 제공된 형태의 공연 예술이다. 본고는 무대 공연의 의미와 어법을 변화시킨 팬데믹 온라인 공연의 특징을 시간, 공간, 기법, 관객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시간, 공간, 관객은 전통적으로 무대 공연을 이루는 요소로 꼽혀왔던 것들이며 기법은 온라인 공연에서 새롭게 추가된 요소이다. 구체적으로 팬데믹 온라인 공연에서 시간은 무대 공연과 일치하거나 차이가 있는 형식으로 나눠볼 수 있는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은 공연 행위자와 관람자의 공간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관객은 디지털의 특성과 맞물려 대폭 늘어날 수 있었지만, 관객 하나하나는 전례 없이 개인화하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다. 기법 측면에서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기존의 영상 기법을 차용하면서 이를 공연의 서사와 연결하는 효과를 만들어냈다. 이에 따라 본고가 발견한 팬데믹 온라인 공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 측면에서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공연 행위자와 관객이 같은 시간을 공유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기존 무대 공연의 시간성을 상실했다. 하지만 대부분의 팬데믹 온라인 공연이 상영 제한 시간, 또한 초연이라는 문턱을 두면서 새로운 시간성이 만들어졌다. 즉 온라인 공간에서의 소멸하는 시간성, 느슨한 불가역성이라는 다차원적인 시간성이 창출됐다. 둘째, 팬데믹 온라인 공연의 행위자들은 외부로 확대된 공연 공간을 활용해 공연의 메시지를 강화할 수 있었다. 특히 팬데믹이라는 인류의 비극적 상황에서 일어난 많은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이러한 상황과 연관되는 장소를 선택해 온라인 공연을 창작했다. 또한, 공연의 공간은 미디어의 개인화와 맞물려 사적인 공간으로 변화했다. 셋째, 팬데믹 온라인 공연의 기법은 ‘클로즈업’‘줌인’과 같은 영화와 영상의 기법을 차용하면서도 ‘멀티뷰’와 같은 공연 예술 고유의 시각을 발전시켜나갔다. 특히 영화와 영상의 기법 또한 극의 스토리, 캐릭터와 긴밀히 연관된 형태로 나타난 점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관객의 측면에서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무엇보다 관객 수의 확대라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고가의 무대 공연 시기와 저가의 영상 상영 시기를 거쳐 이 기간엔 완전히 무료화된 온라인 공연이 주를 이뤘는데, 경제적 문턱이 사라지면서 관객은 양적으로 확대되었다. 또한, 경제적 사회적으로 비교적 동질한 집단이라는 성질이 사라지고 익명의 불특정한 개인으로 구성된 관객 공동체가 자리하였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무대 공연에서 전통적으로 대화가 금지되고, 공연에 대한 담론 또한 즉각적으로 생성하지 못했던 관객들은 팬데믹 온라인 공연 시대에 이르러 공연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적극적으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주체로 변화하였다. 이런 특징으로 봤을 때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무대 공연의 기록 영상을 넘어 하나의 장르로서 기능하고 인식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게 된다.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시간, 공간, 관객의 측면에서 무대 공연의 성질과 결별한 점들이 있었으며 한편으로 새로운 성질을 추가했기 때문이다. 이는 팬데믹 온라인 공연이 무대에서 온라인으로 배경만 바꾼 것이 아니라는 점을 보여준다. 팬데믹 온라인 공연은 팬데믹의 상황뿐 아니라 기술의 발달, 관객 집단의 변화와 긴밀히 연관되며 특징적 현상을 만들어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팬데믹 기간에 시작한 온라인 공연을 새로운 상황에 대응하는 공연 예술의 변화로서 분석한 한편, 사회ㆍ기술ㆍ매체와 함께 변화하는 공연 예술의 성질에 대한 인식의 기틀 또한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

      • 팬데믹 시대의 아이 메이크업 이미지 선호도

        황윤미 송원대학교 휴먼산업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51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우리는 세계보건기구 (WHO)의 전염병 최고 단계인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우리의 생활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고 위생과 감염 예방을 위한 마스크 착용으로 메이크업 또한 립 메이크업이 생략되는 반면 아이 메이크업이 강조되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팬데믹 시대의 아이 메이크업의 경향과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경기, 광주·전라, 제주지역 10대~ 50대 이상 398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SPSS 21.0을 통해 빈도분석, 교 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분석결과 연령대는 40대 179명(73.0%), 거주 지역은 광주, 전라도 358명(89.9%) 직업은 직장인 172명(43.2%), 월평균 소득은 300만원 이하 99명(24.9%), 전공 여부는 비전공 364명(91.5%), 학력은 대학교 재학/졸업 229명 (57.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팬데믹에 관한 인식 분석결과, 팬데믹 용어 인식 328명(82.4%), 팬데믹 개념 인식 307명 (77.1%), 가장 신경 쓰는 부분은‘위생 및 감염’ 165명 (41.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팬데믹 시대의 마스크에 관한 인식 분석결과‘마스크 필수’ 389명(97.7%), 착용 시간은‘ 5시간 이하’ 122명 (30.7%), 선택 조건 ‘기능 위주’ 205명(51.5%), 선호기능은‘비말 차단 마스크 (KF-AD 표시)’240명 (60.3%), 174명(43.7%)이 마스크가 패션의 일부라고 생각하였다. 넷째, 팬데믹 시대 메이크업의 경향 분석결과‘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메이크업의 변화 251명 (63.1%)로 나타났으며 생략된 부위는 립 메이크업 166명(55.7%), 강조된 부위는 아이 메이크업 173명 (58.1%)로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아이 메이크업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팬데믹 시대 아이 메이크업 경향을 팬데믹 전후로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변화가 없었으며 강조 부위는‘눈썹’ 134명(45.0%), 강조방법은‘속눈썹 연장’ 83명 (27.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조를 위한 아이 메이크업 제품투자는 직업에 따라 선호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여섯째, 팬데믹 시대의 아이 메이크업 이미지 선호도 분석결과는 팬데믹 이전 내츄럴 이미지 259명(65.1%), 이후 내츄럴 이미지 230명(57.8%)로 팬데믹과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자연스러움을 추구하는 내츄럴 이미지를 선호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팬데믹 시대 메이크업 경향은 마스크 착용으로 인하여 립 메이크업이 생략되고 아이 메이크업이 강조되면서 아이 메이크업의 이미지 중요성이 72.6%로 높게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아이 메이크업 이미지는 팬데믹과 상관없이 전반적으로 부담스럽지 않고 자연스러움을 연출하는 내츄럴 이미지를 선호하였다. 직업과 전공에 따라 강조 부위 선호도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향후 아이 메이크업 트랜드의 변화 및 발전에 대한 인식은 70.4%가 변화 및 발전될 것이라고 응답하여 아이 메이크업 트렌드의 긍정적 발전과 변화를 제시하였다.

      • 팬데믹 이슈 학습을 통한 글로벌 역량의 함양

        전주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51

        This study is an empirical research that analyzes the effect of learning pandemic issues on global competence development. The rapid spread of COVID-19 has made us realize that it is not just a problem of one country but a global issue, and the process of the pandemic has shown us how interconnected the world is. Furthermore, the COVID-19 pandemic has highlighted not only the health crisis but also the severity of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issues such as fake news, hatred and discrimination, and inequality that have been prevalent in our society. In this context, while interconnectivity and interdependence among nations are being strengthened, the presence of hatred and discrimination towards certain countries or races acts as a hindrance to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refore, it is crucial to cultivate global competence in students to restore the value of cooperation in our global society. Addressing the pandemic issues that have a direct relevance to students' lives can serve as an important topic for classroom instruction to foster global competence. However, research on global competence is still inadequate, and there is a lack of instructional research related to cultivating global competence using pandemic issues. Moreover, there is currently no established social studies textbook or materials utilizing pandemic issues. To effectively implement pandemic-themed lessons in educational settings, simple and readily applicable instructional materials are needed, as they can alleviate the teaching burden for educators and provide students with meaningful and in-depth learning experiences. This research aims to extract the topic of "Understanding Pandemic Concepts, Hatred and Discrimination, Fake News, Inequality, and National Cooperation" as specific content that can be taught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nstruct instructional materials that can be immediately applied in the classroom. Additionally, the research applies the developed instructional materials to actual social studies lessons and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se lessons on students' global competence. The specific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analyzed the principles and practicality of constructing instructional materials on pandemic issues for fostering global compet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related to global education, pandemic issues were derived as suitable subject matter for global education, and detailed lesson topics such as "Understanding Pandemic Concepts," "Hatred and Discrimination," "Fake News," "Inequality," and "National Cooperation" were identified. Furthermore, the 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materials employed the Global Education Approach Model. For the topic of "Understanding Pandemic Concepts," a relational-discovery approach was used, a cultural understanding approach for "Hatred and Discrimination," a future prediction approach for "Fake News," a decision-making approach for "Inequality," and a combination of relational-discovery and future prediction approaches for "National Cooperation" were utilized to structure the lessons and instructional materials. Secondly, the research analyzed the impact of using pandemic-centered instructional materials on the development of global compet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ncluding student interviews, teacher journals, and classroom recordings, were employed to analyze the effects of global competence development. The results showed improvements in various aspects of global competence, such as awareness and interest in global issues in the knowledge domain, critical thinking and social justice in the skills domain, and empathetic openness and a sense of responsibility as global citizens in the values and attitudes domain.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global competence through the use of instructional materials about pandemic issu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diversifying th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cultivating global competenc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developing materials that can be readily applied in the classroom. 본 연구는 팬데믹 이슈 학습이 글로벌 역량 함양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분석한 실행연구이다. 코로나19의 급속한 전파는 감염병이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세계적인 문제라는 것을 깨닫게 해 주었으며, 코로나19가 퍼져가는 과정을 통해 세계는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느끼게 해 주었다. 또한 코로나19라는 감염병은 질병의 문제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 만연했던 가짜뉴스, 혐오와 차별, 불평등 등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문제와 갈등의 심각성을 느끼게 해 주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가 간의 상호연계성과 상호의존성이 강화되며 협력의 중요성은 강조되고 있지만, 특정 국가나 인종에 대한 혐오와 차별 의식은 국가 간 협력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우리 지구촌 사회가 협력이라는 가치를 회복하기 위해 학생들에게 글로벌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글로벌 역량을 함양하기 위해 현재 시의성 있는 사회 문제로 학생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팬데믹 이슈는 중요한 수업 주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글로벌 역량에 대한 연구도 미흡할 뿐만 아니라 팬데믹 이슈를 활용한 글로벌 역량 함양과 관련된 수업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팬데믹 이슈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 교재 및 자료는 아직 구성된 바가 없다. 교육 현장에서 팬데믹을 주제로 한 수업이 효과적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수업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교재와 자료가 필요하다. 단순히 수업 주제와 수업 지도안만 있는 것보다는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교재가 구성되었을 때,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의 수업 부담을 경감시켜줄 수 있으며 학생들에게 깊이 있는 수업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팬데믹 이슈 중 초등학생에게 지도할 수 있는 세부 내용인 ‘팬데믹 개념에 대한 이해, 혐오와 차별, 가짜뉴스, 불평등, 국가적 협력’이라는 주제를 추출하고 이를 수업에서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재로 구성해 보았다. 또한 교재화한 것을 실제 사회과 수업에 적용해 보고, 수업의 실행이 학생들의 글로벌 역량에 미친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글로벌 역량 함양을 위한 팬데믹 이슈의 교재 구성 원리와 실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글로벌 교육과 관련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글로벌 교육을 위한 소재로 팬데믹 이슈를 도출하였으며, 세부 수업 주제로 ‘팬데믹 개념에 대한 이해’, ‘혐오와 차별’, ‘가짜뉴스’, ‘불평등’, ‘국가적 협력’을 도출하였다. 또한 교재 구성을 위해서는 세계교육 접근 모형을 활용하였다. ‘팬데믹 개념에 대한 이해’ 주제에서는 관계발견형, ‘혐오와 차별’에서는 문화이해형, ‘가짜뉴스’에서는 미래예측형, ‘불평등’에서는 의사결정형, ‘국가적 협력’에서는 관계발견형와 미래예측형을 혼합하여 수업 및 교재를 구성하였다. 둘째, 팬데믹 이슈 중심의 교재를 활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글로벌 역량 함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질적연구방법으로서 학생 인터뷰, 교사 수업일지, 수업 녹화 등을 활용하여 글로벌 역량 함양 효과를 분석하였다. 지식 영역에서 글로벌 이슈에 대한 인식과 관심, 기능 영역에서 비판적 사고와 사회 정의의 실천, 가치 및 태도에서는 공감적 개방성과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책임감 모든 측면에서의 글로벌 역량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학생들은 팬데믹 이슈를 활용한 수업 교재를 통해 글로벌 역량을 함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위한 글로벌 역량 수업 소재를 다양화하고, 수업에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재를 개발하여 적용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과 메타포에 대한 연구

        장광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51

        인류의 발전 역사는 또한 팬데믹과 투쟁한 역사이다. 14세기에 유럽에서 발생한 흑사병과 20세기에 스페인에서 발생한 스페인독감 등은 모두 인류 문명 발전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21세에 인류는 사스(SARS), 신종 인플루엔자 A(H1N1), 중동호흡기증후군(MERS) 등을 겪었으며, 현재 인류도 여전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와 싸우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환경에서 팬데믹과 관련한 영화 연구가 학계의 관심을 받고 있으며,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가 현실 사회에 빈번하게 나타나 팬데믹 위기와 대응하여 30여 년의 발전을 거쳐 마침내 한국영화의 한 유형 스타일을 형성하게 되었다.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깊은 민족적 흔적과 문화 기호가 담겨 있다는 것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는 독특한 영화 언어를 통해 관객의 영상 체험을 만족시키고, 또한 예술과 현실을 새롭게 고찰한다. 본 연구는 유형학, 사회학, 심리학의 종합적인 응용을 통해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 유형과 메타포에 대해 연구하고, 특징적인 유형 구조와 심층적인 메타포를 탐색하여 팬데믹 소재 영화의 이론적 연구를 더욱 풍부하게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나뉜다. 제1장은 서론 부분으로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연구 범위와 방법 등에 대해 설명하였다. 선행연구 부분에서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과 메타포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정리한 후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연구 현황과 본 연구의 내용 구상을 소개하였다. 제2장은 기존 관련 자료와 결합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에 대한 개념 정의를 진행하는 동시에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가 등장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각 시기별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발전 특징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석 및 정리하고, 마지막에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 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제3장에서는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팬데믹 병원(病源)에 따라 팬데믹 소재의 한국영화를 좀비 팬데믹 소재 영화, 바이러스 팬데믹 소재 영화, 그리고 과학기술 팬데믹 소재 영화로 나누고, 각 유형의 대표적인 특징을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제4장은 서사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메타포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사 이미지, 서사 공간, 서사 주제 등 3가지 측면에서 출발하며, 각각의 측면이 대표하는 심층적인 메타포를 살펴보고, 현실 측면의 의미를 지적하였다. 제5장은 영상학의 관점에서 출발하여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영상 언어를 분석하였다. 주로 팬데믹 소재 한국영화의 서사 미학, 영화의 시각 및 청각과 관련한 요소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정리하였다. 제6장은 본 연구의 요약과 의의이며, 또한 본 연구의 한계와 미래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history of human development is also the history of fighting pandemics. The Black Death in Europe in the 14th century and the Spanish Flu in Spain in the 20th century both severely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At the age of 21, humans suffered from SARS, H1N1, and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and humans are still fighting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 In the COVID-19 pandemic environment, film research related to pandemics is attracting academic attention, and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frequently appear in real society, and after more than 30 years of development in response to the pandemic crisis, they finally formed a type of Korean film.   If you look at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as a whole, it is easy to find that they contain deep ethnic traces and cultural symbols.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satisfy the audience's video experience through unique film language, and also review art and reality anew. This study studied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through the comprehensive application of typology, sociology, and psychology, and attempted to enrich the theoretical research of Pandemic material films by exploring characteristic tangible structures and in-depth metaphors.   This study is divided into six chapters. Chapter 1 is an introduction and explain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etc. After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organizing the types and metaphor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in the previous research section, the research statu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and the content concept of this study were introduced. Chapter 2 combines with existing related data to define the concept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while analyzing the cause of the emergence of Korean films in Pandemic material. It systematically analyzed and organiz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and finally, the tangible element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were analyzed in detail. Chapter 3 analyzed the type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andemic Hospital,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were divided into zombie Pandemic, virus Pandemic, and science and technology Pandemic, and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analyzed and studied. Chapter 4 analyzed the metaphor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This study starts from three aspects: narrative image, narrative space, and narrative theme, and examines the in-depth metaphors represented by each aspect, and points out the meaning of the reality aspect. Chapter 5 analyzed the video language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 starting from the perspective of imaging. Mainly, elements related to the narrative aesthetics of Korean films based on pandemics and the visual and hearing of films were specifically studied and organized. Chapter 6 is a summary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also suggeste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