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남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0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conducted to examine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recognition on teamwork,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of scrub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26, 2022 to October 8, 2022.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43 scrub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hospitals with over 100 bed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J-do, and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In terms of the study tools,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measured using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Mowday et al. (1979) and modified by Yoon Gye-sook (2010)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an operation room. Recognition on teamwork was measured with a tool that was developed by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and modified by Ahn Shin-ae and Lee Nam-ju (2016) to be suitable to be used for an operation room in Korea. Nursing professional value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Yoon Eun-ja, Kwon Ok-hee, Ahn Young-mi et al. (2005),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tool developed by Song Mi-ok (2015).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12 questions with 9 question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4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5-Point Likert Scale), 35 for recognition on teamwork (5-Point Likert Scale), 29 for nursing professional value (5-Point Likert Scale), and 25 fo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5-Point Likert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WIN 22.0.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age of the participants was 33.14 years with those over 30 years of age taking up 53.6%, and 93.6% of the participants were female. The proportion of those who had a bachelor’s degree was 85.0%, and 44.3% of the participants had over 10 years of clinical career. Those who had been working at an operation room for more than 10 years accounted for 39.3%, whereas 77.1% of the participants were general nurses. Among the participants, 87.9% had experienced patient safety management education while 68.6% had taken a test for accreditation. Fifty-eight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ere working at a hospital with over 300 beds. 2. The exten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participants scored an average of 3.27±0.55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recognition on teamwork was 3.69±0.63 out of 5. The extent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ored an average of 3.49±0.56 out of 5, and the average score of the extent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as 4.15±0.69 out of 5. 3.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t=-3.01, p=.003), clinical career (F=6.59, p=.002), work experience at an operation room (F=4.34, p=.015), position (F=4.56,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5, p=.042). Recognition on team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beds (t=-2.15, p=.033) and position (t=2.12, p=.037).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on (t=2.19, p=.030).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t=2.57, p=.01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t=2.03, p=.044). 4. The 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cognition on teamwork (r=.58,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r=.53,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49,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 value (r=.60, p<.001) and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57, p<.001). Nursing professional valu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r=.62, p<.001). 5. The factors affecting the participant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were found to be in the order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β=.43, p<.001), recognition on teamwork (β=.31, p<.001), and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β=.16, p=.008),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6.9%. In conclusion, experience of taking a test for accreditation,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of scrub nurses were identified to be the factors affecting their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to enhanc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recognition on teamwork. 국문초록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및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슬기 지도교수 : 오윤정 간호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및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9월 26일부터 2022년 10월 08일까지이며,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 J 도 소재의 100병상 이상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수술실 간호사 143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 도구는 조직몰입은 Mowday 등(1979)이 개발하고 윤계숙(2010)이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팀워크인식은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AHRQ)에서 개발한 도구를 안신애, 이남주(2016)가 한국 수술실 상황에 맞게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간호전문직관은 윤은자, 권옥희, 안영미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송미옥(2015)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설문지는 총 112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 특성 9문항, 조직몰입 14문항(Likert 5점 척도), 팀워크인식 35문항(Likert 5점 척도), 간호전문직관 29문항(Likert 5점 척도), 환자안전관리활동 25문항(Likert 5점 척도)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Kruskal-Wallis test, Scheffe's test, Dunn’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 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33.14세로 30세 이상이 53.6%, 여자가 93.6%, 학사가 85.0%.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 44.3%, 수술실 경력은 10년 이상 39.3%, 일반간호사가 77.1%, 환자안전교육을 경험한 대상자가 87.9% 이었고, 인증평가를 경험한 대상자가 68.6% 이었다. 병상 규모는 300병상 이상이 58% 이었다. 2. 대상자의 조직몰입의 정도는 평균 3.27±0.55점(5점 만점), 팀워크인식은 평균 3.69±0.63점(5점 만점),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는 평균 3.49±0.56점(5점 만점), 환자안전관리활동의 정도는 평균 4.15±0.69점(5점 만점)이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조직몰입은 연령(t=-3.01, p=.003), 총 임상경력(F=6.59, p=.002), 수술실 경력(F=4.34, p=.015), 직위((F=4.56, p<.00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5, p=.04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팀워크인식은 병상 규모(t=-2.15, p=.033), 직위(t=2.12, p=.037)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전문직관은 직위(t=2.19, p=.03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환자안전관리활동은 직위(t=2.57, p=.011), 인증평가 경험유무(t=2.03, p=.044)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대상자의 변수 간의 관계 분석을 한 결과, 조직몰입은 팀워크인식(r=.58, p<.001), 간호전문직관(r=.53,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49,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팀워크인식은 간호전문직관(r=.60, p<.001), 환자안전관리활동(r=.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환자안전관리활동(r=.6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5. 대상자의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간호전문직관(β=.43, p<.001), 팀워크인식(β=.31, p<.001), 인증평가 경험(β=.16, p=.008) 순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6.9% 이었다. 본 연구 결과, 수술실 간호사의 인증평가 경험, 간호전문직관과 팀워크인식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간호전문직관 및 팀워크인식을 높이는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주요용어 : 수술실 간호사, 조직몰입, 팀워크인식, 간호전문직관, 환자안전관리활동

      •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팀워크인식, 역할갈등, 위임준비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덕현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68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가 인식하는 팀워크인식, 역할갈등, 위임준비성 수준을 파악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동일한 의료재단에 소속된 4개 종합병원과 1개 상급종합병원에 재직하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 196명이다. 연구도구는 자가기입형 설문으로 인구학적 특성과 근무관련 특성, 팀워크인식, 역할갈등, 위임준비성 및 직무만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는 온라인 설문으로 2022년 4월 11일부터 2022년 4월 25일까지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alysis of variance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고, 변수 선택 방법은 stepwise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가 인식한 팀워크인식은3.57±0.53점, 역할갈등은 2.19±0.35점, 위임준비성은 3.78±0.43점, 직무만족은 3.27±0.51점이었다.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배우자 유무(t=2.50, p=.013), 최종학력(F=4.89, p=.008) 및 근무지 희망 여부(t=2.29, p=.023)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다중회귀결과 대상자의 직무만족은 팀구조가 좋을수록(β=.32, p<.001), 간호사 업무 관련 갈등이 적을수록(β=-.24, p<.001), 상황지원이 좋을수록(β=.23, p<.001) 직무만족이 높았고, 최종학력이 석사이상인 경우(β=-0.16, p=.004), 배우자가 있는 경우(β=.15, p=.005) 높았으며 이들 변수의 직무만족에 대한 설명력은 40.1%이었다(F=27.06, p<.001). 결론: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팀 구성원의 업무 분담, 리더의 역할 및 간호절차 등의 팀 구조를 명확하게 하고 구성원들이 상호 지원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간호사가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과 내적 정체성을 일치시킬 수 있도록 지지해주어야 하겠다.

      • 수술실간호사의 팀워크인식과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유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과 간호근무환경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높이는데 도움이 될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부·울·경남권에 있는 종합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3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최종 22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1년 7월 7일부터 8월 31일까지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 평균 점수는 5점 만점에 3.11±0.32점이며, 팀워크 인식의 평균 점수는 3.80±0.57점, 간호근무환경의 평균 점수는 3점 만점에 2.55±0.44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의 차이는 연령(F=4.17, p=.017), 직위(t=9.41, p<.001), 병상 수(F=4.12, p=.018), 근무형태(t=3.89, p<.001), 수술실 근무경력(F=3.90, p=.042), 평균월급여(t=.36, p=.037), 만족도(F=6.41, p=.002)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3. 간호업무성과, 팀워크 인식, 간호근무환경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간호업무성과는 팀워크 인식(r=.49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간호근무환경(r=.393,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즉, 팀워크 인식이 높을수록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실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직위(β=.18 p=.032), 근무형태(β=.10, p=.042), 수술실 근무경력(β=.12, p=.021), 평균 월급여(β=.00, p=.023), 팀워크 인식(β=.20, p<.001)과 간호근무환경(β=.15, p=.006)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3.9%로 나타났다. 즉,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이 높을수록, 수술실 간호사가 간호근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간호업무성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팀워크 인식과 간호근무환경은 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끼쳤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을 높이고 간호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구조적 및 물리적 지원과 프로그램을 적용함으로써 간호업무성과를 높인다면 보다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황서림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7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level of teamwork,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nd to determine factors affecting safety care activit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1, 2020, to March 15, 2020. The subjects were 144 nurses with clinical experience of more than six months in the emergency rooms of two tertiary care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eamwork was measured using a scale developed by Larson and LaFasto (1989)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Tae-baek (2006).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as measured using the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OPSC), which was developed by the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and translated by Kim Jeong-eun et al. (2007). Safety car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scale developed by Lee Gum-ok (2009) and modified by Chai Woo-ree (2017) for emergency department nurses.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ased on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eamwork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veraged 3.72 out of five points. The highest component score was 3.74 points for mutual cooperation, followed by 3.72 points for goal sharing and 3.70 points for results-oriented. 2.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veraged 3.33 out of five points. The highest component score was 3.66 points for supervisor/manager’s attitude toward safety, followed by 3.64 points for frequency of events reported, 3.47 points for communication, 3.28 points for patient safety level at work unit, 3.24 points for hospital environment, and 3.22 points for environment of work unit. 3. Safety care activity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averaged 137.97 out of 170 points and 4.06 out of five points. The highest component score was 4.26 points for infection control, followed by 4.24 points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4.13 points for procedure/surgery, 4.12 points for verbal orders, 4.11 points for fall prevention, 4.08 points for emergency preparedness, 3.49 points for pressure ulcer prevention, and 3.48 points for safety environment. 4. The difference in safety care activ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position. In addition, nurses who had experience in activities, such as safety committee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hospitals, were higher. 5.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eamwork and safety nursing activity.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as also found between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6.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safety care activity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sition and experience in activities such as safety committees related to patient safety explained 8% of safety care activity. When teamwork and six composite measures of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were also entered, 40% of safety care activity was explained, which means that those additional factors increase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by 32% of those factors. Of those factors, teamwork, hospital environment related to patient safety, and experience in activities such as safety committees related to patient safe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safety care 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sidering the special working environment of the emergency department, emergency department nurses should be provided with the environment to improve teamwork and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ddi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re necessary for reinforcing safety care activity among emergency department nurses.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를 파악하고,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수도권 소재 상급 종합병원 2곳 및 종합병원 1곳에서 근무하는 응급실 경력 6개월 이상의 직접 간호를 제공하는 응급실 간호사 144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3월 15일까지 자료 수집하였다. 팀워크는 Larson과 LaFasto (1989)가 개발하고 김태백(2006)이 번역하여 재구성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환자안전문화인식은 미국 AHRQ에서 개발한 HSOPSC 도구를 김정은 등(2007)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이금옥(2009)이 개발하고 채우리(2017)가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ANOVA, 상관관계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는 5점 만점에 평균 3.72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은 ‘상호협력’ 3.74점, ‘목표공유’ 3.72점, ‘결과지향’ 3.70점 순으로 나타났다. 2.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33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은 ‘환자안전과 관련된 관리자의 태도’ 3.66점, ‘사고보고의 빈도’ 3.64점, ‘환자안전과 관련된 의사소통 절차와 과정’ 3.47점, ‘부서 내 환자안전도 평가’ 3.28점,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환경’ 3.24점, ‘부서 내 환자안전문화’ 3.22점 순으로 나타났다. 3.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은 170점 만점에 평균 137.97점이었으며, 평점평균은 5점 만점에 평균 4.06점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은 ‘감염예방’ 4.26점, ‘투약’ 4.24점, ‘수술 및 시술’ 4.13점, ‘구두처방’ 4.12점, ‘낙상예방’ 4.11점, ‘환자확인’ 4.08점, ‘응급상황’ 4.01점, ‘욕창예방’ 3.49점, ‘안전한 환경’ 3.48점 순으로 나타났다. 4. 응급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 직위와 환자안전 관련활동 참여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 책임간호사 군과 환자안전 관련활동에 참여한 간호사 군에서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가 높았다. 5.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팀워크와 환자안전간호활동, 환자안전문화인식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반적 특성인 직위, 환자안전 관련활동 참여는 환자안전간호활동을 8% 설명하였고,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인식의 6가지 하위영역을 추가 투입한 결과 환자안전간호활동을 40% 설명하여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인식의 6가지 하위영역이 환자안전간호활동을 32% 추가적으로 설명하였다. 이 중 팀워크, 환자안전과 관련된 병원환경과 환자안전관련 활동에의 참여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응급실의 특수한 근무환경을 고려하여 응급실 간호사의 팀워크와 환자안전문화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평가와 연구를 통해 환자안전간호활동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응급실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김주은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7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서울, 경기, 경북, 인천, 강원도에 소재한 종합병원 이상 의료기관 6곳과 인터넷 간호사 모임(간00)에서 수술실 간호사 170명을 편의 표출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팀워크 인식,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간호업무성과 도구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t-test, ANOVA와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 및 근무특성에 따른 팀워크 인식은 남성, 미혼, 수술실 근무경력 13~84개월 이하, 3개 미만으로 진료과에 참여한 경우 팀워크 인식이 높았다.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은 미혼, 평균 월급여가 400만원을 초과할 경우 높았다. 간호업무성과는 평균 월급여가 400만원을 초과, 1000병상 이상, 3개 이상 5개 미만으로 진료과에 참여한 경우 높았다. 둘째, 팀워크 인식은 의사소통 자기효능감, 간호업무성과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의사소통 자기효능감도 간호업무성과에 유의한 정적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간호업무성과에 평균 월급여, 병상수, 참여 진료과, 팀워크 인식,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쳤고, 투입된 변수들이 간호업무성과를 62.2%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팀워크 인식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간호업무성과를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과 간호업무성과 관계에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이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이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호업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과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병원 차원 의사소통 채널의 다양화 등의 지원과 지지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시뮬레이션 기반 교육과 신규교육, 보수교육 시 의사소통 자기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함으로써 간호업무성과를 높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urvey aiming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operating room (OR) nurses teamwork perception on nursing performance and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A convenience sampling was employed to select 170 OR nurses from six healthcare facilities (secondary hospitals or higher) in the Seoul, Gyeonggi, Gyeonbuk, Incheon, and Gangwon regions, and an online nurses’ community (Gan00). Scales such as teamwork perception,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were used to measure the variabl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employ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ROCESS macro along with the SPSS 29.0 softwa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mwork perception was higher among male nurses, single nurses, nurses with an OR career of 13–84 months, and nurses who participated in surgeries for fewer than three specialties. Communication self-efficacy was higher among single nurses and those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above KRW 4 million. Nursing performance was higher among nurses with an average monthly income above KRW 4 million, nurses working in a 1000-bed or larger hospital, and nurses who participated in surgeries for 3–4 specialties. Second, teamwork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ommunication self-efficacy and nursing performance,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erformance. Third, nursing performance was predicted on the basis of average monthly income, number of hospital beds, number of surgeries in different specialties, teamwor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which collectively accounted for 62.2% of the variance in nursing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eamwor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helped enhance nursing performance. Fourth, communication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work perception and nursing performance in OR nurs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teamwork perception in OR nurses can positively influence their nursing performance through the mediation of communication self-efficacy. It is thu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mwork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self-efficacy in OR nurses, so as to explore various supportive measures, such as diversification of communication channels at the hospital level. Furthermore, it is imperative that hospitals develop programs that improve nurses’ communication self-efficacy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imulation-based learning, and implement these programs during new hires’ education, training, and refresher education in order to enhance nursing performance.

      •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가 팀워크 인식에 미치는 영향

        박선희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연구는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과 직무스트레스가 팀워크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서울, 경기, 춘천시 소재의 대학병원 수술실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4월 13일부터 4월 27일까지였으며, 최종 17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능력은 5점 만점에 3.77점으로 연령과 결혼 여부, 수술실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76점이었으며 연령, 결혼 여부, 임상 경력, 수술실 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팀워크 인식은 연령, 임상 경력, 수술실 경력, 수술실 근무 배경, 수술실 만족도, 의사소통교육 희망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는 팀워크 인식과 의사소통능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팀워크 인식은 직무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업무량 과중, 간호사에 대한 대우, 근무 스케줄과 관련된 사항에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셋째, 팀워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수술실 경력, 수술실 근무 배경, 의사소통능력이 팀워크 인식에 영향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 27.8%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병원 규모와 범위를 대학병원이 아닌 수술실을 가지고 있는 중소병원으로 확대하여 반복 연구 할 것을 제언한다. 결론적으로 수술실 간호사의 의사소통능력이 높을수록 팀워크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업무의 과중이나 간호사의 대우 등과 같은 간호근무환경으로 인한 직무스트레스가 높을수록 팀워크 인식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하여 직무와 상황에 맞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근무환경개선을 위한 병원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팀워크 인식을 향상시켜 환자 안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job stress on teamwork awarenes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for which a descriptive investigation of nurses working in the operating rooms of university hospitals in Seoul, Gyeonggi, and Chuncheon was attempted.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April 13th to 27th, 2023, and those from 177 subjects were analyzed in the e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mun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3.77 out of 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isplayed by age, marital status, and operating room satisfaction. In addition, job stress was 3.76 out of 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y age, marital status, clinical experience, and operating room experience. Teamwork aware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clinical experience, operating room experience, background to work in the operating room, operating room satisfaction, and desire for communication ability training. Second, in terms of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teamwork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bilit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hile teamwork aware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work overload, treatment of nurses, and work schedule, which are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Third, factors affecting teamwork awareness were operating room experience, background to work in the operating room, and communication ability,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7.8%. In conclusion, higher communication ability was associated with higher teamwork awareness. More than 10 years of operating room experience had a higher effect on teamwork awareness than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hile among the backgrounds to work in the operating room, appointment by the hospital had the highest effect on teamwork awaren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o repeat the study by expanding the size and scope of hospitals to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with operating rooms instead of university hospitals. In addition, since this study had only operating room nurses with more than 6 months of experience as the subjects, the results on teamwork awareness in the operating room were likely limited.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study should be continued by applying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teamwork awareness to the entire medical staff participating in operations.

      •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비기술적 술기 (Non-Technical Skills)의 체화 : 분석적 귀납법(Analytic Induction) 접근

        박부효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299

        최근 수술실 환경은 성공적인 수술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각 전문분야 의료진의 임상술기 지식과 함께 환자의 안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비기술적 술기가 강조되고 있다. 특히, 수술 팀원들 중의 수술실 소독간호사는 기술적 술기와 비기술적 술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다학제의 전문의료진과 필수 적으로 협동하며, 수술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직접적인 수술안전간호 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비기술적 술기는 Mitchell 등 (2013)에 의해 제시된 의사소통과 팀워크, 상황인식, 그리고 업무수행을 의미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술실 소독간호사가 실무상황에서 비기술적 술기를 적합하게 체화하는 것을 통해 수술실 소독간호사들의 실무역량증진과 수술안전간호의 이론적 근거를 명료화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분석적 귀납법(analytic induction)을 적용하여 수술실 소독 간호사의 비기술적 술기의 체화를 탐구하였다. 본 연구참여자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K 대학 G 병원 9 명, A 병원 2 명 그리고 경기도 K 대학병원 A 병원 1 명으로 구성하였고, 수술실 근무 10 년 이상의 경력이 있는 간호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총 12 명을 모집하여 면담하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관찰자적 참여자(participant as observer)로 참여관찰과 참여자의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분석방법은 임상에서 보여지는 현상을 일상적인 사회적 맥락에서 그 과정을 관찰하고 분석하기 위해 Johnson(2004)에 의해 수정된 분석적 귀납법을 따랐다. ii 본 연구 결과 확인된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비기술적 술기인 의사소통과 팀워크, 상황인식 그리고 업무수행을 체화하는 고유사례의 특성 (unique case features) 및 공유된 사례의 특성(shared case features)은 다음과 같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의사소통과 팀워크의 체화는 각 환자의 임상적 특징에서 공유될 수 있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분류하고, 다양한 수술상황을 적시에 확인하는 과정이 경험적 사례로 쌓이면서 이루어진다. 이는 성공적인 수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수술팀들 간의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팀워크를 형성하는 과정이었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의사소통과 팀워크의 고유사례의 특성은 3 가지로 진행성 팀워크, 상호성 팀워크 그리고 일시성 팀워크의 형태로 도출되었다. 진행성 팀워크는 개인의 독립적 수행도의 특징이 두드러졌고, 상호성 팀워크와 일시성 팀워크는 팀의 융합적인 사고의 피드백 과정으로 이루어진 전문적인 협력관계구조를 유지되고 있었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의사소통과 팀워크의 체화에서 공유된 사례의 특성은 팀원들의 숙련성, 의료진 간의 파트너쉽 그리고 환자안전에 대한 팀의 중요성 인식정도로 제시되었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상황인식의 체화는 전 수술과정동안 수술실 소독 간호사는 일반적인 상황과 비 정상적인 상황의 차이를 비교, 확인하여 수술 상황의 응급도에 따라 업무를 나열하였다. 그리고 상황을 조율하는 과정을 통해 통합적인 시각을 채워가는 과정의 축적을 통해 습득해 가는 과정이었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상황인식의 고유사례 특성은 사례별 경험중심의 상황인식, 개인별 도제 중심적 상황인식과정, 수술팀 간의 정보교류중심의 상황인식 과정이다. 그리고 다양한 상황적 변화에 대한 대처능력이 체화된 수술실 소독 간호사는 새롭게 경험할 수술적 상황에 대해서 자기 주도적인 시뮬레이션 과정을 통한 상황인식과정의 패턴을 제시하였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상황인식의 체화 iii 에서의 공유된 사례의 특성은 전문적인 책임감, 급박한 수술의 응급도로 제시되었다. 수술실 소독간호사가 업무수행의 체화는 개인의 경험과 자기개발에 의해 축적된 임상적 지식체가 지식의 틀로 구성되고, 수술간호 지침에 준거하여 표준화되어진다. 이는 프리셉터 교육 및 실무교육 과정을 통해 지식체로 공유되고, 실무상황에 활용화되어 환자지향성의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이는 자기개발을 통해 수술간호의 진보와 함께 연계된 업무수행이 체화해간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업무수행의 고유사례의 특성은 개인적 지식구축 중심의 업무과정, 대인관계 중심의 업무확장과정 그리고 특이사례 중심의 창의적 업무과정의 패턴으로 체화되었다. 그리고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업무수행의 체화에서의 공유된 사례의 특성은 수술실 간호사가 전문간호직에 대한 주인 의식과 내재적인 자기개발 그리고 개인의 기질적 업무습득 성향으로 제시되었다.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비기술적 술기의 체화는 각각의 비기술적 술기의 구성요소인 의사소통과 팀워크, 상황인식 그리고 업무수행의 공통된 범주와 선행연구결과를 통해 확인되어 고유사례의 특성(unique case features) 및 공유된 사례의 특성(shared case features)으로 도출되었다. 분석적 귀납법을 적용하여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비기술적 술기를 체화 해가는 과정과 패턴을 탐구한 본 연구는 수술실 소독간호사의 실무 경험을 통해 체화의 실제적인 범주를 확인함으로써 실무적인 이해도를 증진시켰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수술실 소독 간호사의 비기술적 술기의 체화를 통해 실무교육 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율성과 팀워크 인식이 수술업무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2252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the influence of professional autonomy and perception of teamwork on operating job performance cap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Method : The survey was 173 nurses with in the operating room of the in tertiary hospital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IBM SPSS 25.0 program. Results : The average scores of the operating room nurses on Operating job performance capability was 3.44±0.53 out of 5, on professional autonomy 3.77±0.50 out of 5, and on perception of teamwork was 3.67±0.57 out of 5. Operating job performance cap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26.08, p<.001), marital status(t=4.73, p<.001), education level(F=13.94, p<.001), clinical career at operating room(F=20.14, p<.001), assigned department(t=-4.69, p<.001), position at operating room(t=-6.50, p<.001).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professional autonomy and Operating job performance cap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r=.50, p<.001), a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autonomy and perception of team work(r=.49, p<.001), a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perception of team work and job performance cap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r=.23, p=.00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for operating job performance cap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Professional autonomy(β=.50,p<.001), total clinical career(β=.19,p=.010), age(β=.08, p=0.041), perception of teamwork(β=.07,p=.027).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48.0%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32.77, p<.001).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e need to improve professional autonomy, perception of team work in order to operating job performance capability of operating room nurses. Key words: Job performance capability, Professional autonomy, Teamwork, Operation room.

      • 수술실 간호사의 팀워크 인식, 조직몰입 및 직무소진이 환자안전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

        김아영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9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erceived teamwork,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burnout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operating room nurses. Methods: Participants were 144 operating room nurses who had at least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9th to August 31th, 2021 using online nurses’ community si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that influenced on operating room nurses’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was perceived teamwork(β=.73, p<.001). In addition, gender(β=.21, p<.001), number of patient safety education per year(β=.19, p=.003), experience in accreditation evaluation(β=-.18, p=.005) and clinical career at operating room(β=16, p=.034) were significantly influenc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This model had a 53.3% explanation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the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of operating room nurses, enhancing perceived teamwork and develop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rograms of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programs are required.

      •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팀워크 및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환자안전간호 활동에 미치는 영향

        이인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15885

        본 연구는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팀워크가 환자안전간호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P시, U시와 K도 소재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에서 직접 간호를 제공하는 간호사 134명으로, 일반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 환자안전문화 인식, 팀워크 및 환자안전간호 활동을 서면 혹은 온라인 설문조사의 형태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검정, 분산분석(ANOVA), Pearson 상관계수,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주요 변수에 대한 평점평균은 5점 만점에 환자안전문화 인식 3.47±0.46점, 팀워크 3.68±0.76점, 환자안전간호 활동 4.65±0.35점이었다. 환자안전간호 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종모델에서 팀워크(β=0.32, p=.002), 환자안전문화 인식(β=0.32, p=.003), 안전사고경험(β=0.15 p=.032)이었고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설명력은 45.0%이었다. 대상자의 팀워크가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 활동이 높았고 안전사고경험이 없는 간호사에서 환자안전간호 활동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 상급종합병원 간호·간병통합서비스병동 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 활동을 높이기 위해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팀워크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안전사고 감소 관련 매뉴얼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conducted to help improv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by identifying factors affecting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of tertiary hospita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34 nurses who provided direct nursing care at the comprehensive nursing service wards of tertiary hospitals located in P city, U city and K province, and it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a written or online survey. In the survey,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127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teamwork,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was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7.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for the main variables was 3.68±0.76 for teamwork, 3.47±0.46 for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4.65±0.35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Factors significantly affect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were teamwork (β=.33, p=.002),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β=.32, p=.003), safety accident experience (β=0.15, p=.032),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45.0% in the final model. The higher the patient'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higher the teamwork, the higher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In order to increase the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s of tertiary hospital, we prepared an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teamwork and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necessary to develop a manual related to the reduction of safety acc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