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경험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김태헌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경험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현재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에 참가자를 대상으로 편의추출법을 통하여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에 따라 표본을 무선으로 표집한 후 남녀 비율을 고려하여 남학생 160명, 여학생 160명, 약 320명을 표집하였으나 응답자료가 불성실하거나, 신뢰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13명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307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경험 만족도. 신체적 자기개념을 중심으로 변인을 작성하였다 Windows용 SPSS/PC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cronbach's α값을 이용한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각 가설에 따라 공변량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자료 처리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만족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유형은 신체적 자기개념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교사만족도는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만족도와 신체적 자기개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포츠 특기·적성 프로그램 만족도는 신체적 자기개념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self-description and participation in types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everal middle and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including 160 men and 160 women students. But we exclude 13 students' data which are unreliable. Questionnaire was chosen as my research tool. It constants of participation in types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satisfaction, physical self-descrip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nalysed by factor anlysis and Cronbach's, ANCOVA,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 using SPSSWIN version 12.0. From the analyses of the data, the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satisfaction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partially are different by the types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 Second, teaching satisfaction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influence on satisfaction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and physical self-description. Third, satisfaction of talent·aptitude educational activity influence on physical self-description.

      • 초등학교 태권도 특기적성교육의 참여 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남승우 용인대학교 태권도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is for putting it to the test that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in a Taekwondo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could affect positively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by analyzing and defining its effects. For this purpose,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4th to 6th grader of 6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uju, Chunbok, and 307 questionnaires from 372 students participating Taekwondo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were analyzed The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PSS/PC+(version 11.0), Windows software,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t-test with a level of significancy of p<.05 shows the result of .047, which means the motive of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motive for sanctification, and men are higher than women in the motive. The test to the factor of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in Taekwondo specialty aptitude education shows significancy in the motive of sanctification. Also,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with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but in the motive for education, entertainment,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there are no significant relations. Second, the t-test to sub-variable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divided by sex shows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s connected to th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classmates. The t-test to classes with a level of significancy of p<.05 gives the value of .016, which manifests a corelation between the two factors. On the other hand, as to school rules, no significant result was found from t-test with a level of significancy of 0.060. The t-test to the frequency of participation vs. adaptation to a school life shows a significancy in th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r classmates, classes, school rule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or friends, classes, school rules, sub-variable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divided by years of discipline, show significancy in all the variables with a level of significancy of p<.05. That is to say, the adaptation to a school life affects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or friends, classes, school rules with an order of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classes, school rules, and th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shows a significancy with a high value of R-square, 45.1%. The motive for sanctification has a hug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teachers (β=.668), the motive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β=.078) and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β=-0.137) in detail.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shows a significancy with a relatively high value of R-square, 26.1%. The motive for sanctification has a huge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β=.335),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β=.181) and the motive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β=.153) in detail.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motive for participation on classes shows a significancy with a value of R-square, 15%. The motive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has a larger effect on classes (β=.308) in detail.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태권도 특기적성교육의 참여 동기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여 태권도 특기적성교육 참여 동기가 긍정적으로 학교생활적응 영향에 기여할 수 있음을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의 대상은 전북 무주에 위치한 초등학교 6곳 4․5․6학년을 대상으로 태권도 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372명 학생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307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통계분석 소프트웨어 Windows용 SPSS/PC+ 11.0 Version을 사용하여 전산처리 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참여 동기의 하위변인에 대해 t-test를 유의수준 p<.05의 수준으로 실시한 결과 정화동기에서는 .04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모두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다. 태권도특기적성교육의 참여회수에 따른 참여 동기의 요인에서는 검증결과 정화동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특기적성교육의 참여회수에 따른 참여 동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습 및 즐거움 동기와 건강 및 체력 동기 요인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에 대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수업에서는 유의수준을 p<.05의 수준으로 실시한 결과 .016의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규칙에서는 .060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참여회수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차이검증을 실시한 결과 교사관계와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수련경력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하위변인인 교사관계와 학교수업, 학교규칙, 교우관계에서 유의수준 p<.05로 실시한 결과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태권도수련경력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이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교사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교우관계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 동기가 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 회귀분석한 결과 교사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45.1%로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정화동기요인(β=.668)이 교사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 및 즐거움 동기(β=.078), 건강 및 체력요인(β=-.137)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특기적성교육의 참여 동기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화동기(β=.355)가 교우관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 및 체력 동기(β=.181), 학습 및 즐거움(β=.153)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의 설명력은 22.6%로 비교적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다. 참여 동기가 학교수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태권도특기적성교육의 참여 동기가 학교수업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델의 설명력은 15%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세부적으로 학습 및 즐거움동기 요인(β=.308)이 학교수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교에서 찰흙 입체 표현 연구 : 특기 적성반 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윤화영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특기․적성 교육은 소질 및 적성의 조기 계발과 양질의 교육과 사교육비 절감을 통하여 공교육에 대한 신뢰 회복을 목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수익자 부담을 원칙으로 저렴한 가격에 학원을 오고가는 시간을 절약하고, 양질의 수업을 받을 수 있는 점을 내세워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1주 2시간 수업 실시가 일반적이고, 70%정도가 외부강사로 운영되고 있는 현실에서 찰흙으로 입체작품 만들기 활동은 충실히 운영되기 어렵다. 찰흙 작품은 구상과 완성도 높은 작품제작까지 2시간으로 진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작품 제작과 건조에도 많은 공간이 필요하다. 특기․적성 활동으로 정해진 1~2시간 만 사용하고 사용 장소를 다시 깨끗하게 원상복구 해 놓아야 한다면 어린이들은 즐겁고, 여유 있게 작품 활동에 몰입하기 어렵다. 때문에 방학 중 학과 공부에서 벗어나 시간적 공간적으로 여유를 갖고 운영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기․적성 프로그램으로 쉽게 선택받지 못하는 찰흙 입체 표현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기․적성 프로그램으로서 찰흙 입체 표현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여 찰흙을 활용한 입체작품 지도방법을 체계화하고 효율적인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으로 찰흙 입체 표현과 특기․적성 활동에 대해 알아보고, 특기․적성 활동으로 찰흙 입체 표현의 효율적인 지도와 운영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부분 학기 중 실시되고 있는 특기․적성부 운영을 방학 중 임시 개설 운영하였다. 여름방학 기간은 장마와 피서라는 복병이 있었다. 집중호우가 너무 심해서 등교하기가 어려운 날도 있었으나 모두 프로그램에 열심히 참여하였다. 특기․적성부 운영은 원칙적으로 수익자 부담이지만 재료는 본인들이 준비하고 수강료는 무료로 하였다. 찰흙으로 만들기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편안한 기분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한 ‘찰흙과 친해지기 활동’은 성공이었다. 얼굴과 움직임 부조 표현, 움직이는 사람들 표현, 철사를 이용한 인물 표현, 동물 만들기, 감상과 전시활동 등에 어린이들이 무리 없이 참여하였고, 작품에 대한 몰입도도 좋았다. 하지만 손과 발 만들기, 두상 만들기, 건축물 만들기는 4학년 학생들에게는 무리였고, 5~6학년 학생들에게는 좋은 주제였다. 마지막 날 진행된 감상과 전시 프로그램은 토요일에 계획되어 있어 생략하려고 하였으나 어린이들의 호응이 좋았고 작업교실 정리정돈부터 전시 및 감상활동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자신들의 작품에 대해 자부심을 갖게 하는 프로그램이었다. 감상 및 전시활동이 번거로운 활동이라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나 감상과 전시활동이야 말로 미적 감각과 성취감을 키울 수 있는 수업활동이라고 본다. 이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서 알게 된 것은 어린이들이 완성도 높은 작품을 제작할 수 있기를 바라지 않는 것이다. 어린이들의 활동 과정 중에서 찰흙을 만지고 그것을 이용해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작품들을 하나씩 완성해가면서, 작품구상과 만들기 활동들이 결코 쉽지 않은 과정이지만 그 과정들이 즐겁고 행복한 시간이라는 것을 느끼게 하는 것이다. 찰흙 입체 표현 과정에 몰입하여 조형이 구축되는 과정을 체험하고, 자신도 새로운 작품을 창조해갈 수 있음을 경험하면서 내면 속에 숨겨진 다양한 재능과 즐거움을 발견해 갈 때 어린이들은 긴 시간도 시간가는 줄 모르고 작품 활동에 임한다. 요즘아이들은 ‘참을성이 부족하다, 거칠다’라는 표현을 하기에 앞서 아이들이 작업의 즐거움을 맛보며, 인내력과 개성들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 島嶼地域 特技·適性敎育의 運營實態와 改善方案에 關한 硏究

        이재화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특기·적성교육은 입시준비를 위한 교육과정의 파행적인 운영을 정상화 시킬 수 있으며 저렴한 경비로 학교가 다양한 강좌를 정규 수업시간 전·후에 개설하여 학생들의 부족한 학습을 보완하고 사교육비의 부담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생활지도 실태에서도 방과 후에 여가시간을 잘 활용하지 못하고 방황하는 학생들의 개성을 신장시켜 올바른 인격 도야에 도움을 주고 지역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여 사회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특기·적성교육이 올바르게 정착될 수 있도록 교육적 환경이 더욱 열악한 도서지역의 특기·적성교육의 운영 실태 파악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 방법에 있어서 전남 서남부 도서지역의 신안군, 진도군, 완도군의 25개 중학교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46명의 교사 설문지를 처리하였다. 설문지의 내용은 특기·적성교육 목적 및 필요성의 실현정도, 특기·적성교육의 내용과 방법, 특기·적성교육의 지도교사 운영, 특기·적성교육의 효과 및 평가 실태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 분석을 하기 위해 각 영역별로 반응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성별, 경력별, 도서지역 총 근무 경력별, 특기·적성 교육 담당강좌별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Chi-square 검증)을 하였다. 이상의 자료 처리는 SPSSWIN 11.5 Program Package를 이용하였다. 도서지역의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운영실태 및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본 연구의 수행 결과를 중심으로 일반화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가능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학교에서 추진되고 있는 특기·적성교육이 학생들의 소질계발이라는 취지와 목적에 맞는 교육, 학부모의 사교육비 경감과 학생·학부모가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질적·양적으로 수준 높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의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특기·적성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신뢰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부진아를 위한 수준별 운영이나 보충·심화학습을 위해 개별지도를 위한 시간의 할애 및 창의성 및 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의 편성, 입시위주 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도서지역은 학생과 학부모가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지도교사가 부족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 활용을 위한 연결이 잘 이루어진다면 특기·적성교육의 교육적 상승효과를 보다 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생과 학부모가 요구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서는 능력있는 지도 교사와 외부 강사의 선정이 필요하며, 특히 도서지역은 도시와 읍·면지역보다 인적자원의 부족, 원거리에 따른 지도의 문제점, 수당부족에 따른 강사 회피의 문제점을 감안한 운영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특기·적성교육이 공교육에 대한 신뢰성 회복을 위해 학생들의 특기신장 및 사교육비 경감을 위한 교장, 교감 교사의 적극적인 자세와 시설, 설비를 적절하게 갖추고, 특기·적성교육 활동에 대한 수준 높은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자체의 연수와 평가를 통해 공개수업과 사례발표 및 청소년 축제문화로 승화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하며, 학부모의 평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열린 소리함이나 학교 홈페이지 등에 대한 홍보를 통하여 차기 운영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주기적인 평가 및 환류(Feed Back) 체제가 확립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worth analyzing practices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the islands area and suggesting their improvements in order that they are firmly established in this area.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was investigated for teachers in the 25 middle schools located in the southwest islands of Cheonnam Province(Shinan, Chindo, Wando). Measuring tool is a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of accomplishment degree of its necessity and the purpose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ts contents and method, management of the teachers in the charge of it, its effect and evalu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promoting in each school must be managed for students' capability development as its original purposes, and in order to manage the various programs students and their parents demand, and to reduce private tuition fee, each school must manage higher level education. Above all for maintaining this, parents' trust in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must go ahead. Second, each school need to teach individually through level management or supplementary·advanced class and draw up curricular for developing students' creativity and variety. We are suffering from the lack of various programs and teachers in charge that parents demand, but we will be able to expect more educational rising efficiency if we use human · material resources of the community much better. Third, school authorities should select able inner teachers and outer part-time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specially in the islands area school must prepare for the management methods reflecting in the lack of human resources and some teaching problems according to long distance, the lack of teachers results in less fee than the other areas. Fourth, school authorities should try to regain the confidence in the public education through the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For this, each school should offer teachers chances to train for themselves and evaluate in many ways like opening their classes and presenting their cases and connect with the festivals of teenagers. And each school need to evaluate it frequently and give a feedback so as to reflect the results of all the evaluations in the next term management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 중학교 음악특기적성교육이 정규음악수업 인식에 미치는 영향

        김하나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중학교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의 인식의 변화를 분석하고, 음악특기적성교육이 정규음악수업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여 음악수업의 교육활동에 대한 흥미를 증가 시키는 방안으로 음악특기적성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의 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중학교 2곳에서 음악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는 학생과 참여하지 않는 학생의 비율을 맞춘 200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180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내용 구성은 중학교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들과 비 참여 학생들의 음악특기적성교육과 정규음악수업에 관한 인식을 나타낼 수 있는 총 24개의 선다형 문항으로 구성되었고, 수집된 설문자료는 통계처리 전문프로그램인 SPSS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및 t-test 등을 실시하여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과 비 참여 학생의 음악수업 인식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여분야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합창 또는 가창' 분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표본수를 고려할 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참여기간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참여기간이 12개월 이상인 학생들의 인식이 가장 높고,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기적성교육을 시작한 학년이 저학년일수록 참여기간이 길어지고, 고학년으로 갈수록 새롭게 참여하는 경우는 드문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참여 동기에 따른 정규음악수업에 대한 인식은 '음악적 기능과 소질을 기르기 위한 집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뒤로 '음악이 즐겁고 다양한 음악활동을 체험하기 위한 집단', '음악수업에 도움이 되기 위한 집단'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음악특기적성교육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참여 학생과 비 참여 학생 모두 '지도자의 자질'이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악기 및 시설', '참여자의 흥미 및 적극적인 태도', '다양하고 흥미 있는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참여 학생, 비 참여 학생 모두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음악특기적성교육 참여 학생의 경우 92.9%가 향후 음악특기적성교육에 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을 보인 반면, 비 참여 학생들의 경우 32.3%만이 참여하고 싶다는 응답을 보여, 참여 학생들의 재참여 의도가 월등히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발적으로 참여한 음악특기적성교육은 정규음악수업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음악특기적성교육의 긍정적인 경험을 통해 정규음악수업만으로는 부족한 음악교육의 가치와 뜻을 연계하여 지도해야 할 가치가 있다. 이로 인해 음악특기적성교육을 통한 음악활동에의 긍정적인 경험이 정규음악수업에 자연스럽게 이어져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수업활동으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이다. After school programs have been interested and expanded to diverse topics related with regular class objects from the late 1990’s in Korea.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1) investigation on student’s attitude changes in the regular music class due to participation in an After School Music Program(ASMP), which managed by the school, 2)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ASMP on the regular music class activities, and 3) evaluation of the ASMP to improve student’s interest in the regular class. The individual survey method has been applied to investigat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wo Middle Schools in Seoul, Korea, 200 students, take the regular music class and participate in the ASMP opened by the school, is randomly selected and control group is composed of student who only takes the regular music class as many as the subject group. The questionnaire has 24 questions of multi-choice to investigate the student’s interests in the regular music class by whether the subject is in the ASMP or not. 180 questionnaires of total subjects are eligible for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method are used to analyze statistical data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The summaries of result are following: Subject group has more interests in the regular music class than control group. For each activity in the regular music clas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interest level between each group, even though the subject has more interest than control group in “Chorus and Singing”. When the subject students have been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ver 12 month, they are the highest interest level in the music class than other subject students. It also reveals that the participating period is much longer when the students started the program in Low-Grade. However, Hi-Grade students are rarely willing to enter the program newly.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has effects on the interest in the regular music class. A group, join the program to develop ‘musical skills and talents’, has the highest interest level. Other group, to ‘enjoy music and have experiences on the music activities’, is more interested in the regular music than the other group, only want to ‘improve their grade for the regular music class’. The teachers’ ability to lead the program is the highest priority to choice whether the student would decide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in the both groups. ‘music instruments’, ‘interest and attitude of the participator’, and ‘various and attractive program’ are other key factors to do to join in the program. 92.9% of students in the subjects are willing to continue their program. 32.3% of control group just wants to participate newly in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s. From results of the research, it i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tion in the ASMP has effect on improving student’s interest in the regular music class, when the student has positive attitude to join in the program. The ASMP can help student enable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regular music activities and involve in the class more actively by compensating the regular class with a in-depth activity allowing students to focus on specialized one or two object.

      • 미술과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현장 연구 :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하표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일선 교육 현장에서 미술 교과를 지도하다 보면 효과적인 미술과 학습 지도방안이 매우 아쉬운 실정임을 파악하게 된다. 특히 초등학교의 다양한 미술과 교육활동 중에서도 방과 후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이 현장에서 부딪히는 구체적 현안 문제들을 해결하지 않은 체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안 문제를 교수·학습 지도면, 교육 여건면, 지도 강사의 교육 의지, 수요자의 요구사항 등으로 분류, 실태 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하여 본래의 취지인 소질과 적성 계발, 창의적 인간 육성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 같은 조사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대안을 마련, 일선 현장에 제시해 실제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조력한다는 취지에서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미술과 특기 적성 교육활동의 바람직한 운영을 위해서는 각급 학교 수준의 교육활동프로그램을 작성, 추진해야 한다. 즉 학교 수준의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 활동에서 회화 표현 영역 활동의 구체적 활동 목표와 지도 방침이 잠재된 소질(재 능)계발이라는 측면에서 프로그램이 성문화 된 후에 회화 부서를 조직 운영해야 한다. 이와 같은 계획에 따라 담당 강사의 채용, 운영 위원회 조직, 지도 강사의 임무 부여 및 숙지, 수준별 반 편성 등이 이뤄져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은 현장에서 필수적인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더불어 부서의 원만한 활동을 위한 보조 장부로써 출석부, 학습 활동 기록부, 개인별 활동 카드, 평가 기록부, 지도 기록부 등을 제시해 보았다. 둘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 여건 조성 방안이다. 교육 여건이 조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미술 지도란 강사의 기능을 흉내낸 단순한 기능을 연마하고 습득하는 과외 학습으로 전락되기 쉽다. 또 표현 활동이란 창의성과 기능성이 적절히 가미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기능성만 강조된 학습 지도란 바람직하지 않다. 효과적인 개선안으로 회화 부서를 개설한 학교의 경우, 다양한 교구·시설 및 교수·학습 자료를 지원해 주어야하며, 부족한 미술 교구·학습 자료는 연차 확충 계획을 세워 추진해야 한다. 이러한 학습 여건을 조성하여 미술과 교육활동이 정상화를 가져 올 때, 비로소 방과후 교육활동을 정착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교내·외 미술 관련 체험 학습장 이용은 학습 효과를 극대화시키며, 개인 준비 활동으로 재료와 용구의 선택, 주변 환경에 산재된 제재 등의 적절한 활용은 회화 표현 활동의 창의성 기르기에 효과가 있다. 셋째,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교수·학습 지도 방안이다. 수업의 질 향상의 최우선 목적은 교수·학습지도이다. 표현 영역의 활동에 따라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하며 회화부의 조직이 끝나면, 수준별 지도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학생 실태를 분석하고, 실기 능력 테스트 등을 통해 개개인에 알맞은 학습 지도 계획안과 지도 방향을 제시하도록 한다. 교수·학습지도는 지도 교사와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지나, 현재는 작품 위주의 기능적 측면만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아동들로 하여금 기능의 숙련을 요구하며, 기계적인 반복을 통한 그리기에 지나친 비중을 두고 지도한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체험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했다. 바람직한 평가 방향과 회화 표현력의 발상을 돕는 교수·학습자료의 확충 등 대안을 제시해 보았고, 미술 교과서의 회화 영역의 참고 작품을 CD-ROM 타이틀로 제작하여 활용했으며, 바람직한 평가 방법과 평가 보조부 작성 요령 등은 표로 제시했다. 넷째, 지도 강사의 교육 실천 의지이다. 현재 전반적인 학생 수의 감소로 인해 급여 수가가 낮고, 정부의 보조금이 삭감되어 위기에 봉착돼 있다. 또 강사의 의욕도 소속 학교 교직원과 수강 학생 학부모의 무관심 등으로 의욕이 저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도 강사가 자신감 있는 태도를 가지고 회화 부서의 홍보, 성과 발표회 추진, 각종 미술 관련 학교 행사에 적극 참여하는 방법을 통해 지도 강사의 신뢰도가 점차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지도 강사는 전문지도 기술의 고양에 힘써야 하며, 미술교사의 책무와 역할을 수행하고, 부단한 자기 연찬의 기회를 가져야 할 것이다. 인터넷망을 이용한 새로운 정보를 공유하거나, 당해 학교나 지역의 미술교과써클 등과의 교류 활동, 수업 연구 공개도 지도교사의 자질 향상 방안으로 볼 수 있으므로 점차 확대 실시해야 하며, 특히 재정적으로 열약한 현행 미술과 특기·적성 교육활동의 활성화 방안으로 지도 강사의 처우를 개선해 주 고 극빈 아동에게 보조금도 점차 확대·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수요자의 요구 사항에서 학생과 학부모 모두가 부서에 대한 성취 수준은 매우 높았으며, 갖추어야 할 최우선 조건으로 학습 지도 프로그램 확충 및 지도 교사의 자질과 능력 함양을 원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적극적인 지원 과 학부모의 관심, 정부의 과감한 투자를 요청하며, 지도강사의 처우를 개선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술과 특기·적성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이 학교 수준 교육과정 운영 계획과 통합하여 추진해야 한다. It can be realized that the effective art education method is very poor in teaching art class. The actual and concrete problem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include developing ability and aptitude which are the essential point of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in art class, cultivation of creative man and reducing the private educational costs. This study classifies these problems into teaching and learning sides, educational conditions, qualification of guidance teacher and demander's requirement and examines and analyzes the actual conditions. It aims at preparing for the desirable counterplan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and applying them to the field as actual guideline. So, it achieves the following resolves. First, for the desirable management of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of art class, skill and flair education program of school level should be made and developed. That is, after concrete goal and teaching guideline of painting expression area are documented in ability and drift education of art class of school level, as developing sides the capacity are expressless, painting club should be organized and managed. Employment of lecturer, organization of stuff and aptitude management committee, placement of lecturers and class organization by level should be made on the basis such a planning. This study makes the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program of art class in the field and presents roll, school records, personal activity card, portfolio and guidance index as the assistant book for the management of art class. The second is the method of making the conditions of capacity and skill education of art class. Art education in a situation that educational conditions are not prepared may be reduced to extracurricular learning to train and conclude a simple function imitating the lecturer's facility. And creativity and functionality should be added to expression activity and the learning guidance emphasizing functionality is not desirable. Then teaching instruments and facilit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supported for schools with the skill and capacity painting club as the improvement methods. Insufficient art instruments and learning materials should be extended gradually and when the education of art class is in normal conditi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can be settled. Management of learning center by experience in school and use of learning center for experience related to art maximize the learning effects and the selection of materials and instruments and the restrictions around neighboring environment are effective to improve the creativity of painting expression activity. The third i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specialty and aptitude education of art class. The preferential selectio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tudy is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The educational program should be made according to the expression areas and when painting room ends, the actual status of students should be analyzed to make a guidance plan by levels and learning guidance and teaching direction of painting expression area are suggested through observation like address ability test.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is centered on teacher and students, but the current stuff and drift education emphasizes work-centered functional sides. Since it requires children to train a skill, it overemphasizes painting only through mechanical repetition. The researcher suggests experience-centered teaching-learning model to solve this problem. The researcher presents the counterplans such as the ext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hich help a desirable evaluation and the idea of painting expression and makes and distributes reference works for appreciating painting expression areas of art class with CD-ROM title. It presents a desirable evaluation method and how to make evaluation tool with table. The fourth is the quality improvement of lecturers. The actual conditions of faculty and savvy education after school is encountered with the crisis because of low wage of lecturers due to the decrease of students and the reduction of governmental supports. It is also analyzed that lecturers' intention to teach is reduced by the factors such as the indifference of faculty and students' parents. But, it is known that the reliability of lecturers is improving through PR of painting department, planning and progress of publishing achievements and participation in school events related to art. Accordingly, lecturers must concentrate on enhancing their specialty, perform their responsibility and roles as art teacher and have a chance to train and develop themselves. Since sharing new information using internet network, exchanging with school and local art circles and class opening can be regarded as the methods of improving the quality of art teachers, these should be extended. Especially, the treatment of art lecturer should be improved and the support of poor children should be extended as the means of activating cleverness and stuff education of art class which is in poor financial condition. Fifth,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skill and flair education of art class by students and parents is higher than ordinary level in demander's requirement, but the preferential conditions to be equipped are the extension of learning programs and the improvement of teacher's quality and capacity. To get the better of these, the active support of the principal, parents' concerns and governmental investment are required and the institutional system improving the treatment of teachers should be prepared. And the device of managing ability and aptitude program of art class should be integrated into the curriculum management plan of school level and it should be developed with school education activities.

      • 컴퓨터 특기·적성교육과 방과후 학교 학습의 사례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채명이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학생의 소질, 적성 계발 및 취미 특기 신장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교육 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은 대전지역 초등학교의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 활동 지도강사와 현재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에 참여하는 초등학교 3, 4,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강사를 대상으로 지도 내용, 지도 과정, 평가 방법, 교육 활동에 있어 교육 시설, 교육을 지도하면서 어려운 점과 문제점을 조사·분석하였다. 둘째, 초등학교 특기·적성 컴퓨터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동기 및 흥미도, 학습 내용, 교육 효과, 만족도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특기·적성 교육의 필요성인 학생의 소질 및 특기를 계발하고, 훌륭한 프로그램 마련과 우수한 교사 확보 및 좋은 시설과 기자재를 확보하여 흥미와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seek betterment measures for after-school activities and computer talent-aptitud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rough researches and problem analysis of the current education activities. A survey was conducted in line with the overall aim of this study. The respondents were elementary schoolers in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grade who are attending computer talent-aptitude education programmes and their teachers in the city of Daejeon. The survey was designed to identify and analyze problems or difficulties that the teachers found in education facilities and education programmes, including teaching methods, assessment, curriculum and contents. And as for the students, the survey results was analyzed to identify their motivation, satisfaction and interest, programme contents and efficiency, and then found out what related problems are. It is recommendable that talent-aptitude education should develop talent and temperament of students. Further, it is important to secure qualified teachers and decent facilities and to develop good programmes so that both teachers and students can take part in programmes on their own initi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