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를 통한 고소설 교육 방안 연구 : -고소설 <장화홍련전>과 영화 <장화, 홍련>을 대상으로

        이도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thesis was studied in order to suggest the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 through the integration of media education in t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edia feature and plot setting of the classical novel <Janghwahongryeonjeon> and movie <A Tale Of Two Sisters> which was produced by Kim ji-un in 2003. Therefore, the first half of this thesis is comprised of the narrative comparative analysis of novel and movie, and the second half consists of the application plan in the literature class of former discussion and its expected effect. Also, while discussions done so far which engrafted the movie into the literature education chose the movie as a tool for the literature education generally, in this thesis, the move was set as an object rather than the tool and was set in the similar position to the novel based on the 'narration' to find out the differentiation from existing studies. To explain the study contents specifically, the media feature the novel and movie had was examined and this thesis focused on the 'narrativity' the novel and movie had. Subsequently the plot setting of novel and movie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narrativity'. Herein, the temporal/spatial background of novel and movie and the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among characters were intensively discussed, and the narration transformation following the media could be examined by schematizing it. Subsequently, the application plan in class was discussed based on the former analytic contents. The application plan was largely divided into 8 steps and it was segmented into ‘understanding’, ‘activity’, ‘integration’, ‘evaluation' to describe. The propositional knowledge learning about classical novel <Janghwahongryeonjeon> was done in the understanding stage and the procedural knowledge learning on the movie <A Tale Of Two Sisters> was done in the activity stage. The narrative method comparative consideration and discussion of two media was done in the integration stage, and arrangement learning, essay writing, interactive evaluation, and teacher evaluation are done in the evaluation stage. Lastly, the effect which could be expected when operating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was discussed. It was the integrative educational aspect and media educational aspect. In the integrative aspect, the integration of function in the Korean subject and the integration possibility between Korean subject and society subject were presented. In the media educational aspect, the possibility of genre education following the integration education of novel and movie was presented. 본 논문은 고소설 <장화홍련전>과 그것을 모티브로 2003년에 김지운 감독에 의해 제작된 영화 <장화, 홍련>의 매체 특성 및 플롯 설정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문학교육 내 매체교육의 접목을 통한 효과적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따라서 논문의 전반은 소설과 영화의 서사 비교·분석으로 이루어져있고, 후반은 앞선 논의의 문학 수업 내 적용 방안과 그 기대 효과로 구성되어있다. 또한 문학교육에 영화를 접목시킨 지금까지의 논의들이 통상적으로 문학교육을 위한 수단(Tool)으로써 영화를 택하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영화를 수단(Tool)이 아닌 대상(Object)으로 상정하여 ‘서사’를 기준으로 소설과 비등한 위치에 설정함으로써 그동안의 연구들과 차별화를 모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내용을 설명하자면 먼저 소설과 영화가 가진 매체 특성에 대해 조명하여, 두 매체가 가진 ‘서사성’에 논문의 초점을 두고 있음을 밝혔다. 다음으로 ‘서사성’에 초점을 두어 소설과 영화의 플롯 설정에 대해 조명하였다. 여기서는 소설과 영화의 시·공간적 배경과 등장인물들의 성격 및 관계에 대해 집중 논의하였고, 매체에 따른 서사 변용에 대해 살폈다. 그 결과 매체에 따른 차이는 물론, 각 매체가 설정하고 있는 시·공간적 차이에 따른 각 인물들의 역할 및 태도 변용 양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앞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수업 내 적용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적용 방안은 크게 8단계로 나누었으며 크게 ‘이해-활동-통합-평가’의 부분으로 단계화하여 기술하였다. 이해단계에서는 고소설 <장화홍련전>에 대한 명제적 지식 학습이 이루어지고, 활동단계에서는 영화 <장화, 홍련>에 대한 절차적 지식 학습이 이루어진다. 통합단계에서는 두 매체의 서술 방식 비교·고찰과 토의가 이루어지며, 평가단계에서는 정리 학습 및 논술문 작성 그리고 교사평가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는 이러한 교수·학습을 운용했을 때 기대할 수 있는 효과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것은 통합 교육적 측면과 매체 교육적 측면으로, 먼저 통합적 교육 측면에서는 국어 교과 내 기능의 통합과 국어 교과와 사회 교과 간 통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매체 교육적 측면에서는 소설과 영화의 통합 교육에 따른 장르 교육의 가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 유치원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분석

        김지원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Integrated education means to educate the special education subjects in general schools for the normal development of social ability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or temporarily to make the students who are in special educational institutions participate for education into the curriculum of general schools. By Kim Hyeon-sook(2001), integrated education reduces the negative perception o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it can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recognition of the diversity and the disabled through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other. And, by Kim Eun-kyeong(2008), parents' perception on the disabled and the integrated education affects directly to the childre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arent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correct integrated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arents'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of kindergarten based on the empirical data through questionnaires to parents of integrating kindergartens that integrated education are made and general kindergartens around Chuncheon City, Kangwon Province.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set up research problems as follows: First, which level is the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after finding ou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acceptance of recogn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hat is the developmental direction that can activate the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wo kindergartens where integrated education were conducted among public kindergartens and four general kindergartens in Chuncheon City, Kangwon Province were selected. To them survey questionnaires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distributed, and they were recovered and analyzed. SPSS 22 statistics program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and for statistic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post-hoc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thre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 on integrated education, comprehensive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a very high level of recognition to the average 4.21. Also, the result of analysis by ques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decrease of preoccupatio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as the highest average 4.33, social development of normal children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understanding of the need for integrated education,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integrated education were next in order. 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research subjects, men than women, less than age 30, in education more than junior college graduation, children less than two people, in economic power more than 3 million won per month, presence than absence in case of presence or absence of acquaintances, were higher recognition. Also, 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kindergarten, integrating kindergarten of an average of 4.37 was higher than general kindergarten in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econd,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perception and related variables was analyzed by separation of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knowledge of disability, parents' rearing attitudes. Although group that had higher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was a higher average of 4.38, but with p=.081, regardless of life experience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showed high. In disability knowledge, group that had higher disability knowledge had a higher recognition of average of 4.48, in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missive parents was average of 4.48, it showed a higher perception on acceptance of integrated education. Third, as the way to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this researcher proposed the reverse integration and parents involvement class. Parents involvement class was analyzed into three division such as 'nature experience program,' 'education materials,' 'understanding heart.' As a result, parents involvement class was average of 4.03, its positive response was higher than the reverse integration, in parents involvement class 'nature experience program,' 'understanding heart.' 'education materials' are in order. Based on this analysis, percep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integrated education were proposed, and proposal that can contribut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education was suggested. 통합교육이란 특수교육 대상자의 정상적인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위하여 일반학교에서 특수교육 대상자를 교육하거나, 특수교육 기관의 재학생을 일반학교의 교육과정에 일시적으로 참여시켜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 김현숙(2011)에 의하면, 통합교육이 장애아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감소시키며, 서로에 대한 차이점을 인식하여 다양성과 장애에 대한 인식의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김은경(2008)은 부모의 장애 및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자녀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따라서 올바른 통합교육을 위해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춘천시를 중심으로 통합교육이 이루어지는 통합유치원과 일반유치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자료를 바탕으로 유치원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조사를 목표로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의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은 어느 수준인가? 둘째,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통합교육의 인식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통합교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발전방향은 무언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천시의 공립유치원 중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2곳과 일반유치원 4곳을 선정하여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조사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 22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은 빈도분석, 분산분석, 사후분석을 이용하였다.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종합적인 인식은 평균 4.21로 매우 높은 인식 수준을 보였다. 또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문항별 분석 결과, 통합교육을 통한 선입견 감소가 평균 4.33으로 가장 높았으며, 통합교육을 통한 일반아동들의 사회성 발달,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이해, 통합교육의 통한 장애아동들의 의사소통능력 발달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인식은 남자보다 여자가, 연령은 30대 미만, 학력은 전문대 졸업 이상, 자녀는 두 명 이하, 경제력은 300만원 이상, 장애지인 유무는 지인이 있는 경우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치원의 유형에 따른 인식은 통합유치원이 평균 4.37로 일반유치원보다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둘째, 학부모의 인식과 관련변인과의 관계 분석은 장애인과의 생활경험, 장애에 대한 지식, 부모의 양육태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장애인과의 생활경험이 높은 집단이 평균 4.38로 인식이 높았으나, p=.081로 장애인과의 생활경험과 관계없이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지식은 장애지식이 높은 집단이 평균 4.48로 인식이 높았으며, 부모양육태도는 양육태도가 허용적인 부모가 평균 4.48로 통합교육의 수용도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의 발전방향을 위하여 방법으로 역통합과 학부모 참여 수업을 제시하였다. 학부모 참여 수업은 ‘자연체험 프로그램’, ‘교육자료집’, ‘마음 이해하기’의 세 가지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부모 참여 수업이 평균 4.03으로 역통합보다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으며, 학부모 참여 수업 중 ‘자연체험’ 프로그램과 ‘마음이해하기’, ‘교육자료집’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통합교육의 인식과 통합교육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으며, 통합교육의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기여할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음악 중심 통합교육과정 프로그램 개발 :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서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지적장애를 가진 중·고등학생의 다양한 수준과 흥미를 고려하여,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음악 중심의 통합교육과정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음악은 장애 학생의 의사소통 및 감정 표현 능력에 도움을 주고, 사회성 및 정서적 안정감을 증진시켜 장애 학생들의 정서·행동 문제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특수교육에서 음악은 매우 유용하며 필수적인 교과목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수준의 장애 학생들이 있는 특수학교의 교육현장에서는 특수교사들의 음악적 전문지식 미비와 수준별 수업 준비의 부담이라는 이유로 음악 교육을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는 이러한 음악 수업에 대한 특수 교사들의 부담을 감소시키고, 학습 효율성과 학습 동기를 높이기 위해 장애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에 초점을 맞춘 애니메이션 영화를 활용하여 통합교육과정 수업을 구상하고자 하였다. 통합교육과정을 통한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단편적인 지식이 아닌 통합적인 사고력을 길러주어 전인적 발달을 도모하고 학습한 지식이나 경험을 의미 있는 형태로 만들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영화의 한 장르인 애니메이션은 3차원적 시각 예술로서 움직임의 환상을 실현시켜 학생들에게 다양한 시청각적 자극을 줄 수 있고, 캐릭터를 통한 모델링 학습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특히 그 중 디즈니의 애니메이션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교훈적 스토리를 담고 있고, 뮤지컬 형식의 극음악적 요소가 많아 통합교육과정 수업 내용으로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몇 가지 교육적 기준에 근거하여 이에 적합한 디즈니 애니메이션 영화 <모아나>와 <코코>를 선정하였고, 이 작품을 활용한 교육 활동들을 교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포가티(Robin Fogarty, 통합교육과정 연구자)의 통합교육과정모형에 적용시켰다. 이를 바탕으로 한 학기에 13차시씩 총 26차시의 1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 중 음악 교과 중심의 수업 4차시를 선정하여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지도방안에는 교수·학습 과정안을 중심으로 차시별 학습 자료와 평가도구를 포함하였다. 특히 교수·학습 과정안에는 해당 수업과 연계된 2015 개정 교육과정 음악과의 성취기준과 3개의 수준별 학습목표 및 활동, 지도 전략 등이 제시되어 있다. 본 통합교육과정 프로그램은 2015 개정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핵심역량 강화에 근거하였으며, 정규 교과 수업 내외의 다양한 수업에서 교과 통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연구는 영화를 교육 내용으로 활용하였으므로 여가 활동과 관련지어 장애 학생들의 자립생활 기능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를 시작으로 다양한 문화 예술 콘텐츠를 활용한 통합교육과정 프로그램이 더 많이 개발되어 장애학생들의 인지나 정서·사회성 발달에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tegrated curriculum program based on music of Disney animations focusing on various levels and interest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usic has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helping them to communicate and express their emotions and to improve their social and emotional stability. Therefore, music course is a very necessary in special education. However, in special schools where there are students with various levels of disabilities, numerous difficulties lies in carrying out music education due to a lack of music expertise of special teachers and the their heavy workload of preparing class for various stude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vise an integrated course which reduces the workload of special teachers to prepare for classes and increases the learning efficiency and motivation of disabled students by using animated films which fit the level and interest of the students. Learning through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the advantage of prompting holistic development and making learned experience and knowledge meaningful by developing integrated thinking rather than fragmentary knowledge. And animation, which is a genre of film, is a three-dimensional visual art that realizes the illusion of movement and can give various audiovisual stimuli to students, and it can be expected modeling learning effect through characters. Especially, Disney animations are mostly targeted for children and therefore contain stories with a moral along with many dramatic elements from musicals which make them suitable for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education course. Therefore, the Disney animated films <Moana> and <Coco> were selected according to several educational standards. The educational activities utilizing these films were analyzed from a integrated curriculum perspective and appli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model by Fogarty(Robin Fogarty, Integrated curriculum researcher). Based on this, a total of 26 classes were organized for a year, including 13 classes for each semester. Among them, Specific music instructional plans were provided for 4 classes of the total classes. These plans included the learning materials and evaluation tools of each class based on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In particular, the 2015 revised music education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three level-specific learning goals and activiti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are present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is integrated curriculum program was based on strengthening key competencie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and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courses both inside and outside the regular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improve the self-reli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erms of leisure activities because the animations for this study were used as educational contents. Beginning wit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ntegrated curriculum program using various culture and art contents will help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development of disabled students.

      • KDB 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과 여행지리의 통합교육 설계 및 지도방안 연구

        이보람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an integrated education design and guidance between music and travel geography in a high school curriculum using the KDB model, nurturing all-rounded individuals with knowledge, functions, and characters. The research design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r review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to draw upon definitions of integrated education and why it is required to set an approach to integrated education. By applying Drake’s KDB model, she focused on an integrated topic in high school music and travel geography and designed an integrated educational guidance based on the seven steps of development progress. The researcher outlined w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of revision in 2015 is about to incorporate music into travel geography because we can extend geography into various cultural explorations. By analyzing key capabilities, structural systems, and evaluation criteria, the researcher chose festivals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two subjects. It is designed based on Drake’s interdisciplinary processes, such as scanning educational curriculums and clustering, selecting learning topics, plotting concepts, structuring the KDB model, evaluation assessment, drawing main questions, and course and evaluation plans. Based on this literature review, the interdisciplinary education unit was designed as “music and life through festivals,” hoping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permanently about the subjects, play multiple roles, and build character. Three basic units consist of “various music festivals,” “taking a look at music festivals,” and “our music festivals.” Each unit has four lessons, so the entire curriculum has 12 chapters. The research implications suggest an exemplary case of integrated education with an introduction to travel geography as an elective career prep course.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can accept various cultures and experience music festivals, directly and indirectly, to be grown as rounded individuals with characters to think creatively and be humanist-oriented. 본 연구는 KDB 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과 여행지리 두 교과의 간학문적 통합으로, 고등학교 음악수업에서 지식, 기능, 인성 요소를 함양하는 통합교육 단원을 설계하고 지도방안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통합교육의 방향 설정을 위해 통합교육의 정의와 필요성, 여러 통합교육 모형에 대한 선행논문과 문헌을 고찰한다. 그리고 Drake의 KDB 모형을 적용하여 고등학교 음악과 여행지리 교과의 통합교육 주제를 정하고, 7단계의 개발과정을 통해 간학문적 통합교육을 설계한다. 본 연구자는 고등학교 음악수업에 적합한 통합을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살피고, 다양한 문화 탐구가 가능한 여행지리 과목을 음악과의 통합교과로 선정하였다. 두 교과의 2015 개정 교육과정 중 핵심역량과 내용 체계,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두 과목의 교과 내용을 분석하여 공통 요소인 ‘축제’를 본 통합교육의 큰 주제 요소로 선정하였다. 통합교육은 Drake의 간학문적 통합단계에 따라 교육과정 스캔 및 클러스터, 학습 주제 선정, 개념망 구성, KDB 구조화, 평가 설계, 핵심 질문 창안, 수업 및 평가 계획의 7단계로 개발되었다. 이에 따라 “축제를 통해 만나는 음악과 삶”이라는 주제로, 학생들이 통합교육을 통해 갖추길 바라는 영속적 이해, 복합적인 수행기능, 바른 인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간학문적 통합교육 단원을 개발하였다. 3개의 소단원은 ‘다양한 음악 축제’, ‘축제 음악 톺아보기’, ‘우리의 음악 축제’로 설계하였고, 각 소단원을 4 차시로 나누어 총 12 차시의 학습 내용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음악 교과와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진로선택 과목으로 신설된 여행지리 교과의 통합교육 사례를 제시한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간학문적 통합으로 설계된 음악수업으로 학습자가 음악 축제의 직·간접적 경험을 통해 다양한 문화를 유연하게 받아들이고, 수업에 제시된 창의적 사고와 인간 중심의 삶을 지향하는 바른 인성을 갖추고자 하는 활동으로 통합교육을 통한 전인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교사간 협력관계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김소영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효율적 통합을 위한 조건 중 사회적 여건 조성이나 행정. 재정적 지원도 중요하나 통합교육의 성공을 위해서 교사간 협력은 가장 중요한 전제 조건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하여 교사간 협력관계에 가장 큰 변인이 무엇인가를 알아보고 이를 통합교육의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통합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와 협력관계에 대한 인식도, 교사간 지원, 통합교육의 성공을 위한 개선점 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위하여 2001년 9월초 인천 지역 초등학교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이어서 9월말부터 10월 말 까지 서울지역과 대구지역의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지역 특수교사 50명, 통합학급교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50부씩 100부를 발송하였고, 대구지역에 특수교사 50명, 통합학급 교사 50명을 대상으로 50부씩 100부를 발송하였다. 모두 200부를 발송하였고, 이를 회수하였다. 서울지역에서는 회수결과 통합학급교사 28부, 특수교사26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54%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대구지역은 통합학급교사 40부, 특수교사 40부가 회수되어 80%의 회수율을 보였다. 전체적인 회수율은 67%였다. 이 중에서 부적절한 응답을 한 6부를 제외하고 128부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SPSS 9.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으며 연구문제에 따라 교직경력, 정보교류의 유무, 통합학급과 특수학급의 경험 유무 등의 배경변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 인식도는 교사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수교사 집단은 통합학급 교사 집단에 비해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가 앞서 있었다. 경력이 통합교육 인식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경력과 교사 집단 간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통합학급 경험유무는 특수교사 집단 내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정보교류에 따른 교사 집단 간 차이도 보이지 않았다. 둘째, 본 연구 결과에서는 교사 집단 간에 협력에 대한 당위성이나 기대에 대하여 두 집단 모두 높은 인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교직경력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없었으며, 정보교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도 없었다. 교사 집단과 경력의 상호작용도 없었다. 정보교류에 따른 교사의 호감도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정보교류가 있는 쪽이 없는 쪽 보다 호감도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셋째, 본 연구결과에서는 정보교류가 있는 집단에서 교사의 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공식적인 정보교류가 없는 특수교사 집단의 경우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지원에 대한 인식도가 높았으며,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교직경력과 교사집단과의 상호작용도 없었다. 통합학급 교사가 지원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나 지원에 대한 인식에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차이는 별로 없었다. 통합학급 교사들이 가장 많이 요구하는 바는 통합학급에 적응할 수 있는 기본생활지도 및 적절한 교수방법의 제공이었다. 넷째,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는 통합교육의 개선점에 대한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개선점에 대한 인식이 두 집단 모두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인식의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총 경력에 따라서도 두 교사집단간의 인식의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교사집단과 총 경력은 상호작용을 통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있다.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의 인지도가 높은 것은 직전교육의 결과로 해석되며 이에 따라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연수와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관련교과를 이수케 한다면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 인식도를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중 공식적이든, 비공식적이든 교사 집단 간 교류가 있는 집단이 교류가 없는 집단보다는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서 교사집단간 교류는 통합교육실행의 있어 중요한 성공요건으로 보여 진다. 따라서 정보교환의 체계를 갖춘다면 통합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정보교류가 있는 쪽이 없는 쪽 보다 교사 호감도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다. 특수교사가 통합학급 교사에게 지원을 하는 것이나 통합학급 교사가 특수교사에게 지원 받는 것에 대하여 교사집단 간에 인식을 같이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리적 통합만이 아니라, 교육적, 사회적 통합을 위해서는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통합교육을 위한 행정적 지원, 관련 서비스의 지원 등이 교육현장에서 계속적으로 지원되어야겠다.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cooperations among teachers for successful integration education and then use them as the foundational datas so I invesgated general recognization of integration, cooperational relation supports in teachers improvement for successful integration. Such as the teaching experiences, degrees of interchange informations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classroom and integration classroom. The results from analized datas are summerized like following 1. There is significient differences about recognization of integration education a special education teachers group is proved that they have superior recognization than integration education classroom teachers group. Inside integration educational classroom, teaching experiences can't make significient differences, influencing recognization. teaching experiences and interactions among teachers group can't make significient diffences. 2. As the result of this study, both two group a ll, show higher recognization about obligation of cooperation and expectation and, there is no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group and the interchange of informations. No differences by teaching experiences. no significient differences in exchanging informations. No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group and teaching experiences. 3.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roup that exchange informations shows the higher recognization about for teachers but no significient differences. There are no significient differences in responds that are decided by the distinction of charging grade teaching experiences and no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group and teaching experienc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group, th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s in integration classroom show lower recognization for aids than teacher don't have it and, there is a significie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4. Integration classroom teachers and special classroom teachers don't show statistical significient differences about the improvem ent of integration education. Group all show the high recognization of improvement. By total teaching experiences, there is no differences of recognization but, between teachers group and total teaching experiences. There is significient differences through interactions. This study says that some previews why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higher recognization is owe to the pre-education if master education about related subjects is carried out well to integration education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the general recognization of integration education is expected to be higher. It is seemed that unregular or regular interchanges among teachers group is the most important successful point. so if we set the system for exchange informations the general recognization of integration will be enlarged. We can know that special eduacation teachers support the integration classroom teachers and, the against situation all are regarded as the same thing. For not only physical integration but also social inte gration the supports of integration education are offered continuously in educational field. for examples, administrative aids, related services for integration education.

      • 특수학급이 설치된 고교 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강인숙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통합교육의 지향점은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함께 같은 장소에 물리적으로 배치하는 수준 이상의 것으로 통합교육은 물리적 통합으로부터 사회적 통합과 교육과정 통합으로 발전해 나가야 한다. 통합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여러 변인 중에서 교사변인이 매우 중요하므로, 이에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학급을 직접 교육하는 일선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통합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통합교육 관점에서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의 필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과정에서 필요한 교사의 시간 및 인내심의 요구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통합교육의 학업적 및 행동적 효과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창원시에 위치한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고등학교 21개 학교 중 무작위로 선정한 3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 14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에서 통합학급지도 또는 지도경험이 있는 교사가 76명, 지도경험이 없는 교사가 73명이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연구대상 교사들의 설문분석 결과 고교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와 일반학급 교사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는 없었다. 반면, 항목별로 다음 3가지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1) 통합학급 교육시 교사의 시간 및 인내심의 필요성에 대해 특수교육 연수경험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2) 학업적 및 행동적 효과에 대한 기대에 대한 인식에서 교직경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3) 학업적 및 행동적 효과에 대한 기대에 대한 인식에서 연수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기회가 더 많이 주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1) 전반적으로 대상교사들은 통합학급의 필요성에 대해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 2) 반면, 장애학생을 통합하여 교육하는 것에 대해 부정적이므로 추가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3) 또한,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특수교사의 도움이나 특수교사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더 낫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는 통합학급 담임을 부담스러워 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4) 대상교사들은 자신들이 특수교육에 대한 전문성이 낮고, 특수교육관련 연수기회가 적기 때문에 일반학생 교수방법과 활동을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는 인식을 보였다. 5) 또한, 장애학생 지도의 부담감이 커서 일반학급 담임을 선호하고 있는 반면, 특수교육 연수경험이 많으면 통합학급 담임에 대한 부담감을 적게 갖고 있어 연수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6) 정리하면,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특수교육관련 연수경험이 많을수록 교사들이 학업적 행동적 변화의 효과를 높게 기대하고 있으므로, 교직경력이 많고 특수교육연수 경험이 적은 교사들에 대한 집중적인 연수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서는 교사들에게 특수교육에 대한 연수기회 제공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교직경력이 많으며 연수경험이 없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기회 제공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음악과 통합교육을 위한 방법 연구 : 활동 영역을 중심으로

        진정민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831

        음악과 교육은 심미적 체험을 통하여 음악적 능력을 향상시키고 음악적 심성을 계발하여 보다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음악을 통하여 학생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음악교육은 자주적이고 창의적인 교육으로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을 향상시키고 기본적인 음악적 개념이 자연스럽게 융화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지도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학교 교육에서의 음악 수업은 설명식 수업과 가창 위주의 수업 진행으로 다양한 활동을 경험하게 못하고 있어 음악 교육의 의미가 퇴색됨은 물론 학생들의 음악에 대한 흥미를 잃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음악 수업에 효과적으로 지도 할 수 있는 방법을 본 논문을 통해 제언해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이론적 배경으로 통합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가창, 감상, 기악, 창작 활동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모색 하였다. 첫째, 국악 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코다이 손 기호를 활용한 민요 가창 수업과 대중음악을 도입하여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가창 지도 한다. 둘째, 감상 영역에서는 작곡가의 생애와 악곡에 대한 설명식 수업에 벗어난 감상 수업 5단계를 제시하여 다양한 음악을 즐기고 가치화 한다. 셋째, 초등학교의 기악수업과 연계한 단소와 리코더를 단계별 지도함으로써 심화된 기악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다. ICT를 활용하여 악보를 보고, 미리 듣게 하여 기악합주의 활동을 효율적으로 학습하여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한다. 넷째, 수준별 학습으로 체계적인 창작수업을 제시하였고, MIDI음악을 활용하여 음악적 아이디어를 직접 악보로 표현하게 하였다. 위에서 제시한 각 영역별 교수-학습 방법을 통합적으로 적용하여 세 가지 수업 지도안을 작성해 보았다. 이러한 음악과 통합교육을 통하여 성취될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직접 음악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설명식 수업에 벗어나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어 창의성 계발 신장에 도움이 된다. 둘째, 시청각 매체를 활용해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능동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게 하여 문제 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각 영역을 골고루 학습하게 되어 폭 넓고 다양한 음악적 능력을 발달시킬 뿐만 아니라 음악적 애호심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한다. The objective of the education in music is developing musical capacity and mentality through aesthetic experiences, consequently, leading to more meaningful life. Moreover, music education enables students to develope musical potential and creativity, and makes them to express their emotion and feeling. Music education should be combinational and independent in order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basic musical concepts and develope students' apprehension towards music. However, music lessons in school settings, which mainly focus on explanation of subject and oral performance, results in the students' lack of interest in music class as well as weakens the significance of music education. To compensate these problems, several teaching methods considered to be effective have been present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concept of combinational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on the importance of singing, apprehension of music, playing musical instrument, and composition of music, and addresses the necessity of combinational music education. First, In accordance with emphasis on the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korean folk songs can be sung by students using Kodaly hand sign. Moreover, introduction of popular music will attract more students in singing lessons. Second, for effective music apprehension, method divided into five phases has been presented, which mostly excludes explanations regarding composer's life and musical pieces. Third, playing a danso and a recorder in elementary school settings can be instructed progressively and it will signify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music performance. Pre-reading of a score and listening to music through ICT will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in group performance voluntarily. Fourth, composition lesson can be more creative by dividing students according to their levels. Utilizing MIDI music, students are able to express their idea on notes by themselves. Combining each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presented above, three teaching guidances have been suggested. These guidances is to achieve several effects as follows. One is that since direct methods, not one-way explanation, offer student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various activities, they can improve their musical creativity. The other benefit is that audio-visual media will induce students' interests, so that they will voluntarily join the lesson and develop problem-solving ability. Lastly, learning diverse areas of music will not only reinforce students' musical capacities but establish caring for music and desirable personalities on them.

      • 브루너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적용한 미술·과학통합교육 방안 연구

        이상열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미술교육은 단지 표현 기술과 미적 감성의 계발이란 전통적 목적에서 확장되어 문화적 집합체로서 복잡성을 가진 고도의 문화체계를 체험하고 접근하게 하는 것으로 확장되어가고 있다. 최근의 융합교육이 등장한 배경에는 기존 과학교육의 한계에서 나온다. 현재 과학교육에서 예술교육을 도입하는 이유는 이런 어려움의 극복 방안으로 예술교육을 통하여 감수성을 높이고 창의성을 향상 시키려는 의도라 할 수 있다. 내러티브는 실재 구성, 의미 만들기, 자아형성에 모두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의미형성과 교섭에서는 내러티브적 해석이 중요하다. 브루너는 교과내용 구성의 패러다임적 방식은 내러티브 방식에 의해 보완될 수 있다고 보았다. 기존 교과의 교수법은 바로 패러다임적 사고의 전개과정에 중점을 두는 교육과정이었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미술·과학통합교육 프로그램 방안은 바로 이 패러다임적 사고를 보완할 수 있는 내러티브를 도입한 통합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의 정의 중에서 스토리로서의 내러티브를 통한 통합교육과정을 제안하였다. 인물, 사건, 배경을 갖춘 내용 전달 구조를 가진 스토리를 통해 사건과 등장인물, 배경의 구성요소를 갖추고 이 스토리를 말하기, 재구성하기를 통해 내러티브간의 상호 교섭과 통섭을 이루는 교육과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미술·과학통합교육을 현장에 실제 가능한 수업과정안과 수업 자료 등을 개발하여 이를 수업 현장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미술·과학통합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제Ⅱ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인지적 다원주의의 개념과 구성주의의 학습이론에 대해 탐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브루너가 제안한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대해 탐구하였다. 기존의 나선형 교육과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한 내러티브를 적용한 교육과정의 의미를 살펴보고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미술․과학통합교육에의 적용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브루너의 초기 연구와 후기의 연구의 변화를 통하여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를 분석하고 내러티브의 전반적인 고찰을 통한 개념 전개와 내러티브의 창조적 변용성에 따른 지식 구조의 확장과 미술·과학통합교육에서의 적용을 탐구 및 설계하였다. 제Ⅳ장에서는 현장 수업에 실제로 적용하여 미술·과학통합교육 프로그램 방안 및 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가지는 통합교육에서의 재구성의 가능성을 살펴보고 학습 목표 및 내용 선정과 학습 주제의 구조화, 그리고 학습 방법에 적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과정안, 스토리텔링, 학습지, 참고자료 등을 설계하고 이를 교실현장에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시내에 위치한 S학교의 3학년 학생 24명에 한하여 총 4회 실시하고 학생 수업 결과물, 학생관찰 및 면접 등을 통하여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적용한 미 술․과학통합교육의 현장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관한 종합적인 고찰과 재해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주제와 관련된 철학, 심리학, 문화인류학, 교육학, 미술사, 미술교육사, 미술교육학 등의 광범위한 분야의 문헌 및 각종 연구 논문, 인터넷 자료, 교과서 및 7차교육과정 해설서 등을 참고로 하여 이루어졌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적용한 미술·과학통합교육 프로그램 지도를 한 결과 연구자가 예상했던 것보다 더 흥미롭고 다양한 학습결과가 나왔으며 교수·학습 후에 작성한 설문지 분석을 통해 미술과 과학의 내러티브를 통합한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많은 학생이 중심 내러티브를 이해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에서 제시한 이야기를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의미를 구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내러티브를 적용한 미술·과학통합교육 프로그램이 수업의 흥미도와 학습의 지속성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고 수업 자체의 흥미를 넘어서 미술·과학을 자신의 삶 속에 통합시키고 지속적으로 스스로 의미화하려는 의지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차후 계속적인 미술·과학 통합교육 프로그램을 전개시킨다면 보다 더 미술과 과학에 대한 흥미와 교육적 효과를 갖게 될 것이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온전한 현장의 적용은 교사의 몫이며 교사의 역량과 열정에 달려 있다. 이를 위해 많은 교사들의 노력이 필요하며 교육관련 여러 주체들의 내러티브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요청된다.

      •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에 관한 연구

        유용석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다양화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간상을 기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창의적, 비판적 사고력, 유연성 있는 문제 해결 능력, 정보를 효율적으로 분석, 중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할 것이며, 예술적 심미안, 도덕적 품성 등 다양한 인간의 특성들을 함께 고려하도록 하는 총체적인 인간 교육의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 변화하는 환경과 이에 맞는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기 위해서는 새로운 교육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대적·교육적 요청에 부응하여 개정한 제 7차 교육 과정은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기본 취지에서 제7차 교육 과정은 가) 건전한 인성과 창의성을 함양하는 기초·기본 교육의 충실, 나) 세계화·정보화에 적응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능력의 신장, 다) 학생의 능력, 적성, 진로에 적합한 학습자 중심 교육의 실천, 라) 지역 및 학교 교육 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확대를 기본 방향으로 설정하고 있다. 일반학교에서 장애학생의 적절한 교육을 보장해야 한다는 명제는 앞으로 우리나라가 해결해 가야 할 교육 과제이다. 모든 사람이 더불어 사는 열린사회는 우리의 이상이다. 인위적인 제도나 고정 관념 그리고 편견으로부터의 해방은 21세기를 맞는 우리에게 꼭 필요한 변화일 것이다. 가정, 학교, 지역사회는 한 학생이 그가 살고 있는 학교에 다니면서 그에게 필요한 교육을 제공해야만 할 것이다. 장애학생이 지역의 일반학교에서 적절한 교육을 받기 위해 학교가 재구조화되어야 하며, 가정이나 지역사회 적극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성공을 위해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을 분석,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치정향은 교과내용 숙달, 자아실현, 학습과정, 사회재건, 생태학적 통합의 다섯 가지 가치정향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4년 현재 통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경기도, 인천광역시 교육청 산하 99개 학교(중학교 67개, 고등학교 32개에 근무하는 교사 169명(중학교 교사 138명, 고등학교 교사 31명)을 표집 인원으로 하였다. 표집 된 169명 중 참여한 인원은 130명이었으며, 실제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126명이었다. 음악교사의 특성변인으로 성, 교직경력, 학력, 장애인과 관련된 시설이나 단체에서 자원봉사 경험 유무, 지도학생 장애유형, 학교유형에 따른 여섯 가지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이러한 여섯 가지 특성에 따라 가치정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SPSS 10.0을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음악교사의 성, 학력, 장애인과 관련된 시설이나 단체에서 자원봉사 경험 유무, 지도학생 장애유형, 학교유형에 따라 가치 정향에 미치는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음악교사의 경력, 지도학생 장애유형에 따라 가치정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에는 LSD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에 의한 중등학교 남·여 음악교사는 교과내용 숙달과 사회재건 가치정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중등학교 남·여 음악교사는 교과내용 숙달을 가장 상위의 가치정향으로, 사회재건 가치정향을 가장 하위의 가치 정향으로 인식한다. 2.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에 의한 중등학교 초임 음악교사와 경력이 많은 음악교사는 교과내용 숙달, 자아실현, 사회재건 가치정향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초임 음악교사와 경력이 많은 음악교사는 교과내용 숙달을 가장 상위의 가치정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초임 음악교사에 비해 경력이 많은 음악교사가 자아실현 가치정향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3.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에 의한 중등학교 학사학위 소지 음악교사와 석사학위 소지 음악교사는 교과내용 숙달을 가장 상위의 가치정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학사학위 소지 음악교사와 석사학위소지 음악교사는 생태학적 통합 가치정향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4.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에 의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장애인과 관련된 시설이나 단체에서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교사와 경험이 없는 교사는 교과내용 숙달, 자아실현, 학습과정, 사회재건 가치정향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자원봉사 경험이 있는 교사와 경험이 없는 교사는 교과내용 숙달 가치정향을 가장 상위의 가치정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경험이 있는 음악교사와 경험이 없는 음악교사는 생태학적 통합 가치정향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5.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에 의한 중등학교 음악교사의 지도학생 장애 유형별 지도 교사는 교과내용 숙달 가치정향과 사회재건 가치정향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1가지, 2가지, 3가지, 4가지 유형의 경험이 있는 음악교사는 교과내용 숙달 가치정향을 1가지, 2가지, 4가지 유형의 경험이 있는 음악교사는 생태학적 통합 가치정향을 3가지 유형의 경험이 있는 음악교사는 학습과정 가치정향을 더 긍정적으로 인식한다. 6. 중등음악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가치정향에 의한 중학교 음악교사와 고등학교 음악교사는 교과내용 숙달, 사회재건 가치정향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중학교 음악교사와 고등학교 음악교사는 교과교육 숙달 가치정향을 가장 상위의 가치정향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사회재건 가치정향을 가장 하위의 가치정향으로 인식한다. As the leading theory of 21st century, Inclusion Education demands that school education and social service system should be basically renovated. Value orientations reflect philosophical positions that can be operationally defined in the educational settings.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and survey the degree of Educational Value Orientation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towards Inclusion Educational Value Orientations are divided into 5 items in this study, complete knowledge of subject of education, self realization, teaching curricula, social reconstruction, ecological integration.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126 teachers (101 junior high school, 25 senior high school) of 99 schools (67 junior high schools, 32 senior high schools) within 25 district education boards of Inchon City and Kyoungido, using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Method. Among those 169 selected as samples, 130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126 among them were adopted as samples for evaluation. The type of music teachers were divided on the 7 basis namely, sex,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academic back ground, related education on special education program, prior experience as volunteer at the establishment related with disabled, and type of schools taught at. SPSS 10.0 is used to find out if there be difference in education value orientation in accordance with 7 items shown above Independent t-verification and LSD method is applied. Following are the result arrived at All the teachers agree that social reconstruction is most important. 1) The opinions of secondary Music teacher concerning the Inclusion Education showed different degree of concern on matters of proficiency of teaching subject and value orientation of social reconstruction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of both sex deem value orientation as the top most and social reconstruction as the lower most value. 2) Experienced and non experienced teachers showed a degree of difference on the opinions concerning proficiency in teaching subjects, self-realization, social reconstruction value orientation. The experienced teachers deem self-realization as more valuable than non-experienced teachers do. 3) Teacher's academic back ground, B/A or M/A, showed difference. Teacher with B/A and M/A degree regard ecological integration as the more important. 4) Teachers with education on special education regard proficiency in teaching subjects value orientation as more valuable while those without the education regard ecological integration value orientation as the more important. 5) The teachers with experience of volunteer at the institutes for the disabled deem proficiency in teaching subjects value orientation more important while those without the experience deem ecological integration value orientation more important. 6) Among teachers experienced in discriminate educ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handicaps, teachers experienced in one type, two type and those with 4 type commonly deem ecological integration as the more important while those with 3 type regard teaching curricula value orientation as more important. 7) Both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music teachers regard proficiency in curricula value orientation as the top most and social reconstruction value orientation as the least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