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時代 士族의 地方 移居와 定着에 관한 硏究 : 南陽洪氏 益山君派의 春川移居를 중심으로

        고민정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조선시기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춘천으로 이거하여 정착한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남양홍씨 익산군파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와 고서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익산군파는 홍진호가 춘천의 유력한 재지사족인 김첨명의 사위가 되면서, 춘천에 조성된 토지를 기반으로 이거하여 정착하였다. 그 시기는 대략 1600년대 후반으로 추정되는데, 이들은 춘천으로 이거하여 춘천에 정착하기까지 80여년이 소요되었다. 이 집안의 가족구성과 가족수는 시기별로 다양한 양상을 나타내지만 평균 인구수인 4~5명보다 많은 가족수를 유지하였고 많게는 20명까지 동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그리고 홍진호의 재산상속은 홍진호가 사망한 바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20년 후에 장자인 홍훤이 죽고 나서야 재산의 분재가 이루어진다. 그 원인은 춘천으로 이거한 뒤 불안정한 상황에서, 재산을 상속받아야 할 아들들이 일찍 사망하여 재산을 상속받아야 자손들이 어려서 홍훤의 戶에 동거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즉, 분가하여 하나의 호를 이루기 전까지 재산분쟁을 막기 위해 특이한 형태의 준호구를 발급받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재지사족이 세거하던 지역을 떠나 새로운 곳에 정착하는 구체적인 과정과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dealt with classic articles and monographs collected by Nam-Yang Hong Family of Ik-san gun Clan to analyze the process of migration and settlement in Chuncheon region of Nam-Yang Hong Family of Ik-san Gun Clan. Socially as Ik-san Gun Clan’s Hong-Jinho became the son-in-law for the influential regional family of Kim-Cheommyoung in Chuncheon, the family itself economically migrated into Chuncheon region based on the lands allocated and settled in this place. This period can be assumed as around the late 1600, and this family took 80 or more years to migrate and settle in Chuncheon. The family structure and it’s number of member are diverse from period to period, but almost of all families migrated in the form of an extended family, maintaining larger number than 4∼5 which is average population of family in Joseon, as well showing 20 members’ cohabitation in the case of largest family. Also the inheritance of Hong-Jinho’s estate was not done immediately after his death, but after 20 years when the eldest son Hong-huin died the inheritance was then processed. This was because after the migration in Chuncheon, in yet unstable situation, the sons who needed to inherit the estate all died at an early age, and descendents cohabitated in Hong-huin’s house(戶) for their young ages. In other words, before they set up separate families and structure independent house(戶), to prevent the struggle around inheritance, they seemed like were issued with special form of semi-house and family certificates(準-戶口). By this kind of case study on regional Sha-class family, it is expecte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s of members in regional society of Chuncheon as well as to demonstrate the diverse features of regional Sha-class family during Joseon period.

      • 두피·모발관리 시 고객성향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민정 남부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두피·모발관리 시 고객성향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고민정 지도교수: 박철호 남부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아름다운 헤어 스타일링을 위해서 건강한 모발 및 두피 관리가 보편화되고 있으며 대중매체를 통한 광고와 홍보의 효과로 모발 및 두피관리 클리닉 시장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두피·모발관리 시 고객성향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의 고객성향이 인구통계학적 특성, 두피·모발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두피·모발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두피·모발관리 경험자의 두피·모발관리 상태가 두피·모발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고객의 성향에 따른 맞춤형 두피·모발관리 서비스를 개발하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에 거주하는 성인 중 두피모발관리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임의 표집 하여 설문지를 통해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11월 12일부터 2018년 01월 05일까지 실시하고 총 257명의 설문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모발길이는 숏트헤어(46.3%), 모발형태는 약간 곱슬머리(45.9%), 모발상태는 손상(34.2%)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두피·모발관리 시 고객성향에서 두피·모발관리 시술장소 선택 이유는 전체적으로 주변의 권유(29.6%)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10대나 30대의 경우 적절한 가격 때문에 선택하였고, 20대의 경우 인지도 때문에 선택하였다. 또한 가계 월평균 수입이 적을수록 적절한 가격 때문에 선택하였고, 소득이 많은 경우 주변의 권유 때문에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모발관리 시 소요시간은 1시간 ∼ 1시간 30분(43.6%)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여성 또는 모발길이가 길거나 모발손상이 있는 경우 소요시간이 더 길게 나타났다. 두피·모발관리 시 시술 주기는 전체적으로 1달 이상 간격(46.7%)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40대와 숏트헤어의 경우 시술주기가 더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모발관리 시 시술비용은 5 ∼ 7만원(32.3%)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모발상태가 좋은 경우 1회 2 ∼ 3만원 정도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모발관리 시 관리이유는 두피 트러블(염증)(26.8%), 비듬, 각질(24.9%)로 나타났다. 남성은 비듬, 각질 때문에, 여성은 두피 트러블(염증) 때문에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숏트헤어는 비듬, 각질 때문에, 미디움헤어 또는 롱헤어의 경우 두피 트러블(염증) 때문에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모나 강한 곱슬머리는 두피 트러블(염증) 때문에, 약간 곱슬머리는 비듬, 각질 때문에, 가는모발은 탈모 때문에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성은 대체적으로 비듬, 각질 때문에, 정상, 지성, 복합성의 경우 두피 트러블(염증) 때문에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모발관리 시 정보원은 주위 분들의 추천(69.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체 84.0%가 전문 두피·모발관리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두피·모발관리 만족도는 시술자의 설명 만족도(M=3.86) > 기술 만족도(M=3.84) > 소요시간 만족도(M=3.78) > 모발상태 만족도(M=3.76) > 약품 만족도(M=3.75) > 두피상태 만족도(M=3.74) > 비용 만족도(M=3.63)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두피·모발관리 만족도는 평균 3.77점으로 나타났다. 넷째, 두피·모발관리 시 소요시간, 시술주기, 시술비용이 두피·모발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105, p<.05). 독립변수별로는 두피·모발관리 시 시술주기(β=-.129, p<.05)가 두피·모발관리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두피·모발관리 시 시술주기가 짧을수록 두피·모발관리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두피·모발관리 고객들의 경우 두피·모발관리 시 시술주기를 중요시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두피·모발관리 경험자의 두피·모발상태가 두피·모발관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0.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F=.521, p>.05). 그래서 두피·모발관리 경험자의 두피·모발상태는 두피·모발관리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두피·모발관리 시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에게 획일화된 서비스가 아닌 고객의 성향에 따른 맞춤형 두피·모발관리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 코로나 19 상황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요구

        고민정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나라의 특수교육은 통합교육의 확산에 따라 일반 학교 배치 학생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장애학생 지도에 대한 일반교사의 역할이 증대되고 특수교육의 질적 향상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일반교사들의 통합학급 운영에 있어 여러 지원에 대한 제도적 마련이 미흡한 상황이다. 더욱이 유례없는 코로나19를 겪으며 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 운영에 많은 혼란과 어려움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일반학교의 통합교육을 수행한 일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질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강원 지역의 일반학교에서 통합학급을 지도한 6명의 교사를 선택하여 반구조화된 인터뷰지를 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고 이메일을 이용하여 1차 답변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 1차 회수된 인터뷰지를 토대로 인터뷰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하여 직접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코로나로 인해 불가한 경우 ZOOM을 통해 인터뷰하였다. 녹음된 파일을 전사 후 부족한 부분은 메신저나 전화로 추가 질문하여 보완하였다. 주된 연구의 논점은 (1) 코로나 19 상황 일반교사의 통합교육 운영에 대한 어려움, (2) 코로나 19 상황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요구로 총 7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고, 이에 따른 20개의 의미 단위를 분석하였다. 위 연구결과를 토대로 코로나 19 같은 재난 상황에서 통합교육의 질적 향상 및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Recently, in Korea's special education, with the spread of inclusive education, the number of students assigned to general schools is steadily increasing. Accordingly, the role of general teachers in the guida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s expected to increase and it is expecte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However,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various supports for general teachers' integrated classes are insufficient. Moreover, it is a reality that general teachers are experiencing a lot of confusion and difficulties in the oper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by experiencing unprecedented Corona 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iculties and support needs of general teachers who performed integrated education in general schools under the COVID-19 situation through a qualitative study. To this end, six teachers who taught an integrated class at a general school in the Gangwon region were selected and presented as a guideline on a semi-structured interview paper. Based on the first retrieved interview paper, the interview contents were corrected and supplemented,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directly. After the recorded file was transcribed, the missing part was supplemented by asking additional questions via messenger or phone. The main points of the study were (1) difficulties in operating integrated education for general teachers in the COVID-19 situation, and (2) requests for support for general teachers for integrated education in the Corona 19 situation. Twenty semantic uni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 discussed ways to improve and support the quality of inclusive education in disaster situations such as COVID-19.

      • Nanocatalysts for Removal of Emissive Gases and Nanocomposites of Pd/TIO2 with Structural Catalytic Effect

        고민정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Part A. 요약 Pd, Pt, Au와 같은 귀금속 나노촉매를 이원 기능성 링커를 이용하여 monolithic 허니컴 구조의 코디어라이트 안쪽 벽에 붙였다. 이것은 투과전자현미경과 X-ray 분말 회절기법을 이용하여 특성이 평가되었다. 유해한 질소산화물의 제거에 대한 나노촉매의 효용성은 온도에 따른 질소산화물 감소 효율을 측정함으로써 연구되었다. 이 촉매의 활성은 나노촉매의 성분과 입자 크기에 의존하였다. Pd/Pt 이원금속 촉매가 낮은 온도구간에서 상용촉매보다 높은 질소산화물 전환효율과 좋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나노촉매가 넓은 활성 표면적을 갖기 때문이다. Part B. 요약 Pd 나노입자와 TiO2 나노튜브를 갖는 복합체는 주형방식과 졸-겔 공정의 조합으로 만들었다. 나노튜브 안쪽 벽에만 팔라듐 나노입자가 붙도록 하기 위해 주형을 제거하기 전 Pd 이온을 포함하는 전구체 용액을 TiO2 나노튜브 안쪽으로 통과시켰다. 이 촉매의 활성은 수소화반응과 Heck coupling반응으로 확인하였다. TiO2 나노튜브에 지지된 Pd 나노입자는 상업적인 TiO2 분말에 지지된 Pd 나노입자에 비교하여 비슷하거나 더 좋은 촉매적 활성을 보였다.튜브형의 시료에서 관찰되는 강화된 활성은1차원적 튜브형 구조의 부분압에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Part A. Abstract Noble metal nanocatalysts such as Pd, Pt, and Au supported on the inside wall of monolithic honeycomb structured cordierite were fabricated using bi-functional linker molecule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TEM and X-ray powder diffraction techniques. The efficiencies of the nanocatalysts for the removal of harmful nitrogen oxides (NOx) have been investigated by measuring the deNOx efficiency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The catalytic activities depend on the composition and size of the nanocatalysts. The Pd/Pt bi-metal catalyst shows higher NOx conversion efficiency and better activity than the commercial catalyst at lower temperature region, which could be due to the large active surface of the nanocatalysts. Part B. Abstract Composites based on Pd nanoparticles and TiO2 nanotubes were prepared by a combination of template method and sol-gel process. A precursor solution containing Pd ions was infiltrated into the TiO2 nanotubes before the removal of template, so palladium nanoparticles were anchored solely on the inside of the nanotubes. The catalyst was tested for both hydrogenation and Heck coupling reactions. The Pd nanoparticles supported on the TiO2 nanotube exhibits similar or higher catalytic activity for Heck coupling compared to the Pd nanoparticles supported on commercial TiO2 powder. The enhanced activity of the tubular sample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the partial pressure of the 1-dimensional tubular structure.

      • 점토활용의 입체표현활동이 시각장애학생의 주의집중력 및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민정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on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concentration and self-esteem. It is the experimental research and pre and post tests on the single subject.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ly, how is the effect of the solid expression activity program by using cla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concentration? Secondly, how is the effect of the solid expression activity program by using cla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self-esteem? As research subjects, three middle school students who attended X special school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Experimental periods were from September, 2009 to July, 2010. Experiment of 16 sessions was conducted with 2 times per week and 45 minutes each time. Solid expression activity program in this research was reorganiz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by the author of this research, I. As assessment tools, pre-post tests of concentration and self-esteem were used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observation list, created by McConnell (1988). In the first place, the frequency of behavior that appears in periods of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was indicated with tables in data processing, and the multiple baseline graph between subject student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effect on concentration. In order to examine overall behavioral change of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 words and behaviors of subjects that appear in the scene of the experiment were observed and recorded. Qualitative analysis on the comments of researcher and subjects was conducted.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solid expression activity program by using clay on self-esteem, the scores of pre and post tes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Conclusions, drawn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concentra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visually handicapped student's concentration. Subject students tended to have a low-concentration time. However, the time of their concentration gradually increased after carrying out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Since solid expression activity is the program that invokes interest by varying topics according to sessions,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concentration seems to be improved. Next,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istraction of student with visual impairment. Since students who had a low frequency in participating in class due to their distraction performed their activity with touching art materials. As a result, time of responding to the change of a surrounding environment was reduced and thereby distracted activity seems to be gradually reduced. Lastly,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tivity of task-finishing. Subject students, who had not performed tasks well, felt a sense of high accomplishment and confidence, and became passionate and patient through the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As a result, the frequency in the performance of their tasks increased. Secondly, the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self-esteem.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visually handicapped student's self-esteem through pre and post tests, social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of the subordinated areas were improved.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ir self-esteem was improved in words and behaviors. It is estimated that students' self-esteem was improved becaus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were valuable beings through the medium of art. What remains to be complemented by future research is that quantitative and comparative analysis by selecting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s required for the practical usage of this research. In addition, the measurement about the effect of solid expression activity by using clay, whether it has a continual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concentration and self-esteem, is needed.

      • 朝鮮後期 家系繼承 硏究 : 立後制를 중심으로

        고민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조선후기 계승의식 강화와 더불어 계승방법으로서 널리 활용되었던 입후를 고찰하여 가계계승의 실제적인 모습을 이해하고 조선후기 사회구조를 구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조선후기에 나타난 계승의식 강화는 국초부터 성리학을 기반으로 국가제도 및 문물을 정비하여 유교적 사회질서를 구축하려고 했던 국가의 목적과 맞닿아 있었다. 이로 인해 가족 및 친족제가 재편되면서 17세기 이후 계승의 의식의 변화가 표출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동족간의 결속이 강화되어 족보의 편찬체제가 변화되는 과정이나 재산상속의 변화 모습 등도 이러한 의식 변화와 깊은 관련이 있었다. 입후는 아들이 없는 이가 본인을 비롯한 선대의 봉사를 의탁하기 위해 동족의 조카를 양자로 삼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는 기존의 혈연적 부자관계를 대체하는 의리적 부자관계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법제적인 제약을 받았다. 제도의 운영은 당대인들의 인식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같은 제도라고 하더라고 그 실상은 다양한 양상을 나타낸다. 입후제 역시 원칙을 고수하는 동시에 변화가 함께 수반되었는데 이러한 변화의 기저에는 가문이 끊임없는 요청이 있었다. 개별 가문들은 자신들이 처한 다양한 상황에서도 가계계승을 위한 입후를 선호하였고 법제적 기준에 부합하지 않더라도 이를 관철시키기 위해 노력하였다. 국가는 가문의 이러한 요구에 법제적 원칙을 준수하려는 노력과 동시에 가문이 절사하지 않을 방법을 고안하여 제도를 변통하였다. 입후제는 조선초기에 그 원칙이 확립되었고 그 이후로 법조문을 현실에 맞게 해석한 뒤 적용하려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그런데 시기적 상황에 따라 같은 조문이라 하더라도 이전과 다른 방향으로 해석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친자와 계후자간의 봉사갈등 문제와 계후자의 봉사범위에 대한 문제는 이러한 일면을 고찰할 수 있는 좋은 사례이다. “계후등록”은 ?계후등록?과 ?별계후등록?이 있는데 입후를 담당했던 예조에서 후일의 증빙을 목적으로 편찬한 자료이나, 자료의 방대함으로 인해 특정 시기 및 소장처에 따라 구분되어 이용되었다. 하지만 두 내용을 종합할 때 입후의 시기 및 유형별 변화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소장처에 따른 접근은 지양되어야 하고 자료의 성격에 따른 구분이 이루어져야 한다. ?별계후등록?에서 파생된 법외계후는 법전에 위배되지만 특별히 인정된 입후를 가리키는 것으로 정의되었으나 그 기준과 유형이 긴밀하게 연결되지 못했다. 특히 관찬사료에서 법외계후의 용례는 불법적으로 성립된 입후를 가리키는 뜻으로 사용되었고, 왕조사회에서 왕명은 법과 같은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법외라는 표현 자체도 문제가 된다. ?별계후등록?에서 특정 가문이 법제적인 요건을 모두 충족하지 못했으나 국가에 입후를 청원하는 사례를 유형화하면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는 첩자가 있어도 적자를 입후하려는 것이다. 둘째는 입후 시점에서 생가와 양가 부모의 동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입후하려는 것이다. 셋째는 계후자의 자격이 확대되어 법제적으로 제한했던 다른 가문의 장자 내지 독자를 입후하려는 것이다. 이 유형들은 독립적으로 나타나기도 했지만 하나의 사례에서 복합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입후제에서 부모는 입후의 당사자로 규정되었고 이들의 동의는 입후 성립의 필수적인 과정이다. 그러나 생가 내지 양가 부모의 사망으로 인해 이를 충족시키지 못한 입후도 존재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16세기부터 시작되어 17~18세기에 양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었다. 이로 인해 국가는 18세기 중반부터 부모의 사망으로 인해 동의를 받을 수 없을 경우에도 입후할 수 있도록 하는 조처를 내려주기에 이르렀다. 부모의 사망으로 인해 동의를 받지 못한 유형은 세 가지 형태로 정리된다. 첫째는 생가 부모가 사망하였으나 양가 부모가 생존한 경우, 둘째는 생가 부모가 생존하였으나 양가 부모가 사망한 경우, 셋째는 생가와 양가의 부모가 모두 사망한 경우이다. 이런 유형의 출현 비율을 확인하면 첫째와 둘째는 18세기보다 17세기에 빈번한 반면 셋째는 17세기보다 18세기에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어 그 시기별 차이가 뚜렷하였다. 입후를 관에 신고하는 것은 양가 부모에 의해 주로 이루어졌다. 때문에 생가 부모가 사망한 유형에서는 청원자의 변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양가 부모가 사망한 유형이나 생가와 양가 부모가 모두 사망한 유형은 모두 문족에 의한 청원이 있었다. 특히 양가 부모가 사망한 유형은 다양한 친인척이 청원자로 나서고 있다. 다만 그 빈도수를 확인할 때 비교적 가까운 친척인 양가 부모의 부모, 동생, 딸, 사촌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이 세 가지 유형에서 선택된 계후자의 범위는 삼촌에서 이십칠촌까지 폭넓게 나타났다. 그러나 삼촌에 해당되는 자가 사례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가까운 혈족을 입후의 우선 대상으로 고려했음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모습은 현재까지 알려진 일반적인 입후 추세와 크게 다르지 않은 부분이기도 하다. 부모의 사망이 특별한 왕명에 의해서만 허가되었던 이유는 그 시점이 제도적의 규정보다 늦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양쪽 부모가 사망하기 이전에 이미 계후할 대상을 양가에서 양육하고 있었던 사실이 확인된다. 이는 제도적 입후와 실제적인 입후의 시점에 간극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양육은 양쪽 부모의 동의가 이미 전제되었음을 알려 주는 것이기도 하다. 계후자의 자격은 고례를 참작한 결과 동종지자로 규정되었다. 애초에 계후자를 생가의 지자로 한정한 이유는 장자 또는 독자의 경우 생가의 가문을 계승할 권리와 의무가 있는 자로 인식했기 때문이다. 특히 독자를 출계시키면 그 가문은 아들이 있는데도 절사의 위기에 노출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지자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타인의 장자 또는 독자에 의한 입후 요청은 증가하였다. 가문은 본인의 입장에서 내세울 수 있는 다양한 논리로서 허가받기 원했고 예조는 법제적 원칙을 고수하려고 했기 때문에 이러한 청원이 있을 때마다 수많은 논의가 이루어졌다. 반대하는 측은 이러한 선택 자체가 생가의 계승자를 탈취하는 것이고 법례에 전혀 맞지 않았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찬성하는 측은 이미 이러한 입후에 대한 전례가 17세기 초반부터 있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특별히 다시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보았다. 결과적으로 17세기 중반부터 타인의 장자 입후가 허용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이 때 청원자는 양가의 부모에 의한 것이 많으나 문족에 의한 청원도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문족 중에서도 양가 부모의 부모와 동생에 의해 빈번하게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앞서 부모의 사망 유형에서 보였던 청원자의 종류와 혈연 범위보다 훨씬 더 제한적이었다. 또한 양부와 계후자간 혈연 범위 역시 삼촌에서 칠촌으로 매우 제한되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계후 내지 부모의 사망 유형과도 확연한 차이를 보였다. 생가의 부모가 해당 가문의 계승자를 출계시키는 주요 목적은 절사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 생부와 양부는 대체로 형과 동생 내지 사촌형과 사촌동생의 관계에 위치하였다. 때문에 동생은 본인의 봉사보다 부모를 포함한 선대의 봉사를 더욱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그리고 양부 역시 본인을 비롯한 선대의 봉사를 담당할 이가 필요했던 것은 당연하고 입후 시점부터 봉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이를 선호하였다. 때문에 어린 조카 중에서 상대적으로 성인에 가까운 이를 계후자로 선택했다. 국가 역시 가문의 절사를 막는 것이 중요하였다. 그러나 이는 법제나 예제에서 허용되지 않는 사안이었기 때문에 쉽게 결정할 수 없었다. 그래서 그에 따른 새로운 지침을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즉 특별한 왕명에 의해 허가받을 수 있도록 하였으나 그 대상을 일정한 계층으로 제한한 것이다. 그 허용 범주에 속하는 계층은 첫째 왕실과 관계된 친인척이다. 둘째는 국가에 특별한 공로가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공신, 재신, 유현이 해당되었다. 그리고 셋째는 앞의 두 계층을 제외하고 대종이라 지칭했던 조부 이상의 선조를 봉사하는 가문이 속하였다. 이처럼 국가는 계후자의 자격을 타인의 장자 및 독자에게까지 확대시켰으나 이는 제도적인 차원의 보완이 아니라 관례적인 차원에서 행해졌다. 그리고 그 관례라는 것도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매우 제한적으로 시행하였다. 이처럼 부모의 사망에 따른 입후와 계후자의 자격을 확대한 입후는 같은 시기에 일어난 일임에도 불구하고 확연히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즉 부모의 사망으로 인해 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는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여 입후를 성립시켜주는 법제를 마련하였다. 반면에 타인의 장자와 독자에 대한 입후는 원칙적으로 분명하게 불허를 표명했으나 가문의 청원에 따라 관례상 인정할 필요가 있을 때만 제한적으로 인정했던 것이다. 앞서 언급한 대로 입후제는 17세기 이후 본격적으로 그 변화양상을 드러내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 조부모는 독특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조부모는 입후에 개입할 수 없었으나 양가 부모가 후사 없이 사망한 경우에 한해서 부모의 대리적 역할을 하였다. 그런데 양손은 조부모의 봉사까지 함께 담당하는 자이고 조부모는 본인의 봉사를 수행할 자를 물색하게 되는 상황에 위치하게 되었다. 승중은 본래 중국 고대의 상례에서 상주가 죽은 이의 신주를 받드는 행위를 의미하는 것에서 파생된 용어로, 피계승자가 사망한 후 계승자가 피계승자의 포괄적인 권리를 승계하는 것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 그리고 계승하는 주체에 따라 부자계승과 조손계승으로 구분되었다. 부자계승은 계승자가 아들 항렬인 경우를 가리키는 것이고 조손계승은 계승자가 손자항렬인 경우에 해당되는 것이다. 따라서 조부가 적자인 손자를 계승자로 지정하는 경우는 승중보다는 적손승중으로 지칭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 항렬에 대한 철저한 준수는 입후제 속에서 적손승중을 실현시키기 어려운 조건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양가 부모가 사망하였어도 특별히 입후를 인정하게 되었기 때문에 적손승중이 가능한 토대가 형성된 측면이 있다. 입후에 의해 실현된 적손승중은 두 가지 유형으로 대별된다. 첫째는 조부모가 죽은 장자를 대신하여 양손을 입후하는 형태이다. 이는 부모의 사망에도 입후가 성립되었던 사안과 깊이 관련 있다. 둘째는 양가의 부모가 이미 죽은 자를 입후하여 그의 아들로서 가계를 승계하는 것으로 이는 계후자의 자격이 확대되는 현상과 관련 있다. 이처럼 조선후기는 계승의식이 강화되었던 시기로 가문과 국가 모두 절사를 막는 것을 중요한 과업으로 삼았다. 그리고 가문에 의해 계승의 차선책으로 선택된 입후는 그 제도의 엄격함에도 불구하고 가문의 요청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즉 당시의 가계 계승은 혈연보다는 종법적 질서를 우선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과 동시에 당대의 현실을 반영한 다양한 변주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The study intended to explain society of the late Joseon and its change. To this end, type and character of the adoption which was widely used as a method for succession of family in the late Joseon. Family is basic unit to organize society. So family should be studied first to know basic structure and character of a society. Continuance and succession of family take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aspect of maintenance and change of family system. This was progressed with problematic consciousness as below. First,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operation and change of the adoption system after the 17th century. The adoption was operated based on ‘Gyeongguk daejeon(經國大典)’, and its revision and supplement had been continued according to pending problem and issue each period. And the adoption without legal requirements was ever made by special permission of a king. Accordingly, it would be necessary to identify what change was made in the aspect of system in detail. Second, Various adoption examp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content. This is criticism on existing method where adoption examples of certain families were selected. Because characteristic each era and family is not clearly disclosed only by study on individual family, another approach is needed. Third, It is a problem related to use of historical materials. Existing study widely used various materials but there were many studies where extension only extended without detailed review about each data. So, it is necessary to carefully investigate ‘Gyehu deungrok(繼後謄錄)' which is essential material of the adoption to figure out its character and meaning. In the chapter Ⅱ, Formation and change of the adoption were roughly described. And the chapter focused on critically examining method to describe, system, and major content of materials to adopt sons. For formation and operation of the adoption system, discussion from king Sejong to Seongjong was mainly dealt with. For change of the adoption system, conflicts between true son and adopted son from Myeongjong to Hyunjong were dealt with. Through this, the author analyzed cause for different measures according to time for same event and investigated characteristic each period. In the chapter Ⅲ, Procedure and object of the adoption were set as main items to examine changes of the adoption system. For adoption, consent from both parents was absolutely needed. If parents were dead, legal requirements could not be met. But in the 17th century, there were many cases that even though both parents were dead, permission for adoption was required. Government specially allowed when situation was urgent, for example, succession of family could stop. Furthermore, such cases were recognized within system because King allowed it in the 18th century. Objects of adoption are about problem related to qualification of adopted son. Object of adoption should be the second son according to law. But there were cases where the eldest son or an only son was adopted. This is clearly against law so that the author focused on explaining allowed period and its cause. And these were investigated- trend of then times, applicant,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from both families and adopted son. In the chapter Ⅳ, Various aspects of family that succeeded family through adoption were disclosed. Among them, adoption by grandparents was specially treated than other case because grandparents played a role of parents instead and at the same time, grandparents should nominate a person to serve them directly. In the end, it draws attention that this type is a social product made by connection of family's situation and idea of succession consciousness.

      • 특수 고분자를 위한 티타늄 촉매의 연구

        고민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elective syntheses of titanium complexes containing 2-(2H-benzo[d][1,2,3]triazol-2-yl)-4,6-di-tert-pentylphenol(HBTZ)ligand such as [BTZTiCl2(μ-Cl)]2 (1), BTZTiCl3(THF) (2), BTZ2Ti(NMe2)2 (3), BTZ2TiCl2 (4), and BTZ2Ti(O-i-Pr)2 (5) were achieved by changing the solvents or metal precursors. And a series of new half-sandwich titanocene [(η5-C5H5)Ti(TzPh)Cl2] (6) and non-organometallic titanium complexes [Ti(TzPh)Cl3(THF)] (7) and [Ti(TzPh)2Cl2] (8) containing 5-(2-hydroxyphenyl)tetrazole (TzPhH) were synthesized in high yield. Their solid structures of 1 ? 8 were revealed by single-crystal X-ray analyses. Complexes 2 and 5 showed the fast thermal exchange process of benzotriazole ligand BTZ. In 6 - 8 complexes, ligand TzPh acted as a monoanionic bidentate ligand and the hydrogen bonding between the oxygen of the tetrahydrofuran and hydrogen of the tetrazolyl unit was observed. Among 1 ? 5, complex 5 was proven as a highly effective catalyst for the controlled ring opening polymerization (ROP) of lactide (LA) as shown by the linearity of molecular weight versus [LA]/[Ti] ratio as well as very narrow PDI values of PLA polymers obtained. And the others 6 ? 8 compounds were applied to cycloaddition of CO2 to propylene oxide. In the cycloaddition, complex 8 showed biggest TOF (hr-1) among reported Ti complexes.

      • 고전력 절연 게이트 소자의 구동 및 보호용 파워 IC에 관한 연구

        고민정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the insulated-gate bipolar transistor (IGBT) is widely used for various applications because of its improvement in reduction of on-resistance and fast switching. IGBT has a variety of uses, from home appliances to industrial applications. For instance, demand for high power and voltage IGBT in high power servo-motor, air conditioners, UPS, high speed trains, and Hybrid Electric Cars has been increased due to increasing use of the inverter applications. As the power capacity of power devices increases, the size of parasitic capacitance in the device to increase as well. The switching speed of power devices is directly related to the size of input capacitance. In order to drive high power devices adequately, a high gate-drive current is required. Also, protection circuits are required to protect the device from its fault conditions such as over-current, short-circuit current, overvoltage and low gate-drive voltage. In particular, IGBT's SOA(Safe Operation Area), must be ensured under the short circuit condition by the soft shutdown protection. This dissertation provides design and experimental results of gate drive and protection IC for high power devices. It has the high drive current capability of 4 Amp maximum sourcing current and 8 Amp maximum sinking current with various protection schemes. The process used for the gate drive IC is 0.35um BCDMOS of Dongbu-HiTek. The designed IC has been tested and verified with high power IGBTs under both half-bridge and inverter systems. 최근 IGBT의 지속적인 턴온 저항의 감소와 스위칭 성능 향상으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IGBT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고속 대전력용 서보모터, 에어컨, UPS 등에 폭넓게 이용되고 있으며, 고속 전철 및 하이브리드 카(Hybrid Electric Car) 등 산업용에서부터 일반 가정용에까지 인버터 응용이 확대됨에 따라 고전력·고내압 IGBT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IGBT의 용량이 커짐에 따라 소자내의 기생 커패시턴스가 커지고, 게이트의 충·방전을 위한 전하 요구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고전력 소자의 스위칭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큰 전류를 구동할 수 있는 회로가 요구된다. 또한 고전력 소자의 과전류나 단락전류와 같은 이상 현상은 소자에 치명적이기 때문에 이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회로를 필요로 한다. 특히 단락 조건하에서 IGBT의 SOA(Safe operation area)를 확보하기 위해 Soft-shutdown 기능을 추가하여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력 절연 게이트 소자의 빠른 스위칭 속도를 위한 큰 구동전류(최대 Sourcing 전류 4A, 최대 Sinking 전류 8A)를 제공하고, 과전류 보호회로 및 Soft shutdown 기능을 내장하는 파워 IC를 설계하고 특성을 검증하였다. 제품설계에 사용한 공정은 동부하이텍의 0.35um BD350BA 공정이며 구동IC와 고전력 IGBT를 사용하여 Half-Bridge를 구성하고 특성검증을 실시하여 설계된 IC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