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태권도심판의 스트레스요인에 따른 자기대처 방안 연구

        윤덕영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Sports games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the role and judgement of referees has been raised as an issue related to the objectivity of referees in many sports including Takwondo. Several studies on the stress in Takwondo games have been conducted with Takwondo players as the center figure.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stress of referees even though few studies performed related topics, such as Park Hyun-Seop who performed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judgement in Takwondo games, Jang Chang-Young who performed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s and coping activities for stresses according to the level in the participation of recreational sports activities performed by Takwondo referees or leaders, and Hwang In-Jae whod performed a study on the diagnosis of the rightness of Takwondo referees and the improvement way of a referee training program. The necessity of this study is to persue a fair game by maximizing referees' duty satisfaction based on studies on a coping way of the stress of referees according to their stress level.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a basic material that assigns and manages Takwondo refere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self coping way for stress factors in Takwondo referees. In order to peform this study, a total of 217 subjects was applied using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the Takwondo referees engaged in 2007. The measuring tool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s in which scales for the stress of referees and self coping ability were used whereas the reliability for all lower factors was more than α=.06. In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the level of the stress recognized by referees was determined in order of judgement errors, disadvantages in players, players' injuries, unsatisfaction of referees' own judgement, lack of sleep, lowering of physical strength in a referee's game, and conditions before a referee's game. The self coping activities of referees was determined in order of meeting of a girl friend, exercises, travel, conversation with colleagues and seniors, outdoor activities, walking, shopping, yoga, other games, meeting of friends, conversation with friends, and jogging. In the results of the stress recognition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cognition level for the stress showed more higher levels according to women, young, lower Dan, lower experience, and high referee's class.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elf coping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recognition level for the stress represented more higher levels according to higher present Dan. Fin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tress factors, which affect the self coping,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factors that affect active cop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order of faithless of home life, situation of judgement errors, unreasonable assignment, and protest for judgements. Second, the stress factors that affect passive cop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order of unreasonable assignment, protest for judgements, situation of judgement errors, attempt to bribe referees, and faithless of home life. Third, the stress factors that affect self coping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order of faithless of home life and situation of judgement errors as a positive manner, and of attempt to bribe referees, unreasonable assignment, and protest for judgements as a negative manner. Fourth, the stress factors that affect avoidance activities were determined in order of unreasonable assignment, situation of judgement errors, and faithless of home life as a positive manner, and of protest for judgements and attempt to bribe referees as a negative manner. 현대사회의 스포츠경기에서는 태권도 경기 뿐만 아니라 다른 스포츠분야 에서도 심판판정의 객관성과 관련하여 심판의 역할과 판정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동안 태권도경기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선수들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태권도 심판의 스트레스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박현섭의 태권도 경기 심판 판정 개선에 관한연구, 장창영의 태권도 심판과 지도자들의 여가 스포츠활동 참가수준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 대처 행동의 관계, 황인재의 태권도심판의 공정성 진단과 심판양성제도의 개선방안등의 연구가 진행 되었을뿐 심판의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태권도심판이 인지하는 스트레스의 수준과 그에 따른 대처방안을 연구함으로써 태권도심판의 직무만족을 최대화 하여, 보다 공정한 태권도경기를 추구하고자 하는데 그 필요성이 있다하겠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는 태권도심판의 배정 및 관리감독 등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태권도심판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요인에 따른 자기대처 방안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2007년 현재 태권도심판활동을 하고 있는 심판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총 217명의 연구대상을 확보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며 태권도심판의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척도와 자기대처를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였고, 모든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α=.06 이상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자료를 분석한 결과, 심판이 자각하는 스트레스 정도는 판정실책, 팀 선수불이익, 선수부상, 자신판정불만족, 수면부족, 심판 중 체력저하, 심판 전 컨디션의 순으로 나타났다. 심판의 스트레스에 대한 자기대처 행위로는 애인만남, 운동연습, 여행, 운동, 드라이브, 동료선배와 대화, 외부활동, 산책, 쇼핑, 요가, 다른운동, 친구만남, 친구와 대화, 조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인식 차이에 대한 결과로는 성별에서는 여성일수록, 연령에서는 나이가 젊을수록, 학력은 낮을수록, 현단에서는 단이 낮을수록, 경력에서도 경력이 짧을수록, 심판급수에서는 급수가 높을수록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대처에 대한 분석 결과로는 현단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대처 요인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 요인이 자기대처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첫째, 스트레스가 적극적 대처 행위에 미치는 요인은 가정생활의 불충실, 판정실책상황, 불합리한 배정, 판정의 항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가 소극적 대처 행위에 미치는 요인으로 불합리한 배정, 판정항의, 판정실책상황, 심판매수, 가정생활불충실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가 자기조절 행위에 미치는 요인으로 가정생활불충실, 판정실책상황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판매수, 불합리한 배정, 판정항의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가 회피 행위에 미치는 요인으로 불합리한 배정, 판정실책 상황, 가정생활 불충실, 가정생활불충실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판정항의, 심판매수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태권도학과 서비스 공정성이 자발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

        최해화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태권도학과의 전반적인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고객이 지각하는 공정성이 고객만족 그리고 관계품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나아가 관계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고객의 자발적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9년 현재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4년제 태권도학과 2학년 이상의 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3개의 태권도학과를 선정하였고, 각 태권도학과에서 2학년 이상 학생 90명씩을 무작위 표본추출법에 의해 총270명을 표집 하였으며,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21명의 자료를 제외한 총 249(92.2%)명의 설문지를 유효 표본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수준에서 검증 하였다.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학과의 분배공정성, 교수와의 상호관계공정성, 직원과의 상호관계공정성의 서비스공정성이 높을수록 관계품질 요인의 신뢰와 몰입은 높다. 둘째, 태권도학과의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직원과의 상호관계공정성의 서비스공정성이 높을수록 태권도학과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은 높다. 셋째, 태권도학과의 전반적 만족수준이 높을수록 관계품질 요인의 신뢰와 몰입은 높다. 넷째, 태권도학과 관계품질 요인의 신뢰와 몰입 수준이 높을수록 자발적 행위 요인인 고객협력, 고객참여, 고객충성도 높아 태권도학과 학생들의 적극적인 대학생활을 이끌어 낼 수 있다. 다섯째, 태권도학과에 대한 전반적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자발적 행위 요인인 고객협력, 고객참여, 고객충성도는 높다. 여섯째, 태권도학과의 교수와의 상호관계공정성과 직원과의 상호관계공정성 수준이 높을수록 자발적 행위 요인인 고객협력은 높고, 분배공정성, 교수와의 상호관계공정성, 절차공정성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참여 정도가 높고, 분배공정성과 교수와의 상호관계공정성 수준이 높을수록 고객충성도는 높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airness perceived by customers in the process of service delivery at the Department of Taekwondo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ation quality and how it affects customers?f voluntary behavior, which may contribute to the extension of re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70 students selected through random sampling from the sophomores, juniors and seniors at the Department of Taekwondo of 3 four?]year universities in Daegu, Gwangju and Jollabuk?]do currently as of 2009, 90 students from each university, and with 21 students excluded due to omission of some answers, a total of 249 questionnaires (92.2%) were used as valid sample. Data were process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recognized when p<.05. First, factors of relation quality trust and commitment were higher when fairness in distribution, fairness in interrelation with professors, and fairness in interrelation with staff at the Department of Taekwondo were high. Second,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f Taekwondo was higher when fairness in distribution, fairness in procedure, and fairness in interrelation with staff at the Department of Taekwondo were high. Third, factors of relation quality trust and commitment were higher when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f Taekwondo was high. Fourth, when factors of relation quality trust and commitment were high they increased factors of voluntary behavior customer cooperation, customer participation, and customer loyalty and, consequently, induced active campus life in the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Taekwondo. Fifth, when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of Taekwondo was high factors of voluntary behavior customer cooperation, customer participation, and customer loyalty were higher. Sixth, customer cooperation was higher when fairness in interrelation with professors and fairness in interrelation with staff at the Department of Taekwondo were high, customer participation was higher when fairness in distribution, fairness in interrelation with professors, and fairness in procedure were high, and customer loyalty was higher when fairness in distribution and fairness in interrelation with professors were high.

      • 태권도 체육관 경영요인에 대한 지도자, 수련생, 학부모의 인식 차이

        유재원 계명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소재지역, 수련인원의 규모, 그리고 조사대상에 따른 태권도 체육관의 교육환경, 교육프로그램 및 지도자 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체육관 경영의 활성화를 위한 지도자의 인식 개선 지침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대도시(대구)와 중소도시(경북) 지역에서 태권도 체육관을 5년 이상 경영하고, 수련인원이 100명 미만, 100-150명 미만, 150명 이상 되는 체육관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총 조사대상 1,260명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로 지도자 60명, 수련생 541명, 그리고 학부모 598명을 포함한 총 1,199명(95%)의 자료를 유효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태권도 체육관 경영요인에 대한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경영요인 이론에 대한 선행연구를 파악하고 분류하였다. 예비조사를 통해 작성된 문항내용을 수정, 보완한 후, 최종적으로 인구 통계학적 변인 24문항, 일반적 사항 15문항, 교육환경 30문항, 교육프로그램 19문항, 그리고 지도자 자질 17문항을 포함하여 총 105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검사도구의 신뢰도에 대한 분석결과, Cronbach's α 계수가 .7899 ~ .8995로 나타났으므로 신뢰성이 확보되었다. 연구에서 설정된 가설의 검증을 위해 측정된 자료는 χ2 검증, t-test, 일원분산분석, 그리고 삼원분산분석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로부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 수련인원, 그리고 집단에 따른 일반적 특성의 인식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태권도 수련동기의 경우 지도자는 건강 및 체력증진을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수련생과 학부모는 자기보호를 위한 호신술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선택 요인의 경우, 학부모와 수련생은 본인의 의사를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지도자는 주위이웃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태권도 선택 시 영향을 받은 매체에서, 지도자는 주위의 권유를, 그리고 수련생과 학부모는 시범경기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태권도 수련 포기 이유의 경우, 지도자와 학부모는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와 공부에 지장을 초래해서를 중요하게 인식한 반면, 수련생은 운동의 흥미 결여를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태권도 지도자의 구비조건에서 지도자와 학부모는 인격을 그리고 수련생은 리더십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에 따른 교육환경,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지도자 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환경의 경우 낭심 보호대, 팔다리 보호대, 손발 단련대, 그리고 거울을 제외한 나머지 26개 요인을 대도시 거주자가 중소도시 거주자보다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는 태권도 대회 참가, 태권도 한마당 참가, 봉사활동, 그리고 다양한 운동 프로그램을 제외한 나머지 15개 요인을 대도시 거주자가 중소도시 거주자보다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자 자질의 경우에는 재교육 및 언어구사 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15개 요인을 대도시 거주자가 중소도시 거주자보다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련인원에 따른 교육환경,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지도자 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환경에 있어서는 머리몸통보호대 및 컴퓨터를 제외한 나머지 28개 요인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100명 미만보다 100-150명 미만과 150명 이상인 체육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에 있어서는 수련인원에 따른 인식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지도자 자질의 경우, 언어구사 능력을 제외한 나머지 16개 요인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은 100명 미만보다 100-150명 미만과 150명 이상인 체육관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집단에 따른 교육환경,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지도자 자질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환경에서는 모든 요인을 수련생보다 지도자와 학부모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프로그램의 경우에는 집단간의 인식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도자 자질의 경우에는 모든 요인을 수련생보다 학부모, 그리고 학부모보다 지도자가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태권도 체육관의 교육환경,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지도자 자질에 대한 인식은 지역, 수련인원, 그리고 집단에 따라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그러한 요인들의 중요성에 대한 지도자의 인식은 수련생 및 학부모와 차이를 보이므로, 태권도 체육관의 경영효율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지도자는 교육환경, 교육프로그램, 그리고 지도자 자질에 대한 수련생과 학부모의 인식을 파악하고 고려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guideline for improving the perception of Taekwondo instructors required to revitalize academy management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quality of instructors by the location of the academy, the number of trainees, and survey groups. Data for the study were obtained from Taekwondo academies in Daegu and Kyungpook areas, running business for more than 5 years and having the number of trainees from less than 100 to over 150. Out of 1,260 survey data, 60 from instructors, 541 from trainees, and 598 from parents were used as valid samples. In order to develop a test instrument for analyzing management factors of Taekwondo academy, previous studies on the management factor theories were examined and classified. After correcting and improving test items developed from a pilot study, a questionnaire with a total of 105 test items, including 24 items for demographic variables, 15 item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30 items for educational environment, 19 items for educational programs, and 17 items for the quality of instructors was created.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as proved by Cronbach's alpha, ranging from .7899 to .8995. To test research hypotheses, obtained data were analyzed by χ2 tests, t-tests, one-way ANOVAs, and three-way ANOVAs.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by the location of the academy, the number of trainees, and survey groups revealed that while instructors perceived the enhancement of health and physical fitness as an important motivation of Taekwondo practice, trainees and parents perceived self-defense as an important motivation. In terms of the reasons for selecting Taekwondo, trainees and parents perceived the intention of a trainee as a primary reason, whereas instructors perceived significant others as an important reason. In terms of the medium of selecting Taekwondo, instructors perceived the persuasion of others as an important factor, whereas trainees and parents perceived demonstration games as important. For the reason of quitting Taekwondo practice, instructors and parents perceived the lack of time and the interruption of study as primary factors, whereas trainees perceived the lack of interests as the primary reason. In terms of the quality of instructors, instructors and parents perceived the personality as an important factor, whereas trainees perceived leadership as important. Secon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the location of the academy revealed that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perceived 26 factors, except testicles protector, arm and leg protector, hand and foot training stand, and mirror, more important than those in medium and small cities. In terms of educational programs,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perceived 15 factors, except the participation in Taekwondo games and Taekwondo Hanmadang, voluntary service, and diverse exercise programs, more important than those in medium and small cities. In terms of the quality of instructors, those living in metropolitan cities perceived 15 factors, except re-education of instructors and communication ability, more important than those in medium and small cities. Third,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s by the number of trainee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28 factors, except head and body protector, and computer, was higher in academies with 100-150 and over 150 trainees than academies with less than 100 trainees. In terms of educational programs,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by the number of trainees were not found. In terms of the quality of instructor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16 factors, except communication ability, was higher in academies with 100-150 and over 150 trainees than academies with less than 100 trainees. Forth,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by survey groups revealed that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all factors was higher in instructors and parents than trainees. However,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programs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terms of the quality of instructors, the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all factors was the highest in instructors, and higher in parents than trainees. Taken together,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quality of instructors may differ by the location of the academy, the number of trainees, and survey groups. Especially, because the perception of instructors on the importance of those factors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rainees and parents, instructors running Taekwondo academies need to identify and consider the perception of trainees and parent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 아동의 태권도 수련이 체력, 정서 성향 및 인성에 미치는 영향

        최윤석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초록) 본 연구는 태권도 수련에 따른 아동의 신체 구성과 체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태권도 수련에 의한 정서 성향과 인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태권도의 수련에 따른 신체 구성과 체력의 변화를 입증하고, 정서 행동 문제, 자기 통제력 및 폭력성과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태권도 수련의 주된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태권도의 교육목적과 방향성을 고찰하고 발전 방향을 제시하여 태권도 수련프로그램의 정서적 효과성을 입증하는 근거를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구대상자는 ‘D’시 소재한 태권도 수련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총 914명을 표집하였으며, 표본의 추출은 편의 표본 추출 방법을 실시하였다. 자료처리 및 통계방법은 PASW 19.0과 AMOS 19.0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의 목적에 따라 요인분석,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및 공변량분석을 사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수련 기간에 따른 신체 구성의 차이 검증 결과 신장, 체중, 근육량, 체지방률, 제지방량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연령의 영향이 작용하는 것으로 간주 되었다. 둘째, 수련 기간에 따른 체력의 차이 검증 결과 악력, 제자리멀리뛰기, 외발서기, 사이드스텝, 윗몸일으키기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악력, 제자리멀리뛰기 및 윗몸일으키기 등은 성별 및 연령의 영향 없이 수련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태권도 수련 기간에 따른 정서 행동 문제의 비교는 타인 관계 어려움, 부적절감정표현, 주의력결핍, 신체 증상 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타인과의 어려움은 성별 및 연령의 영향 없이 수련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수련 기간에 따라 정서 성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타인 관계 어려움’에만 개선될 수 있는 것으로 수정하여 채택되었다. 넷째, 수련 기간에 따른 자기 통제력의 비교는 공격 성향과 충동 성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성별 및 연령의 영향 없이 수련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수련 기간에 따라 자기 통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채택될 수 있었다. 다섯째, 수련 기간에 따른 폭력성의 비교는 언어 물리적 피해성, 언어 심리적 피해성, 언어 심리적 가해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신체 물리적 피해성과 언어 심리적 가해성은 성별 및 연령의 영향 없이 수련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여섯째, 수련 기간에 따른 인성의 비교는 자아존중감, 공경심 및 예절, 집중력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 공경심 및 예정, 집중력 등은 성별 및 연령의 영향 없이 수련 기간에 따른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수련 기간에 따라 인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은 자아존중감, 공경심 및 예절, 집중력 등에서 채택될 수 있는 것으로 간주 되었다. 이를 종합해볼 때 아동의 태권도 수련은 근력, 근지구력 및 순발력의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정서 성향의 타인 관계 어려움, 자기 통제력의 공격 성향 및 충동 성향, 폭력성의 신체 물리적 피해성 및 언어 심리적 가해성을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인성의 자아존중감, 공경심 및 예절, 집중력 등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토대로 태권도 수련이 아동의 체력, 정서 성향 및 인성의 개선을 위한 훌륭한 교육적 프로그램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nges in children's physical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and to analyze what changes are made in emotional tendency and personality through taekwondo training. Specifically, it was intended to prove changes in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and to investigate the main effects of taekwondo training that affect emotional behavior problems, self-control, violence, and personality. Accordingly,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educational purpose and direction of taekwondo and present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to provide a basis for proving the emotional effectiveness of the taekwondo training program. A total of 914 people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of taekwondo trainees located in "D" city, and convenient sampling was conducted for sampling. For data processing and statistical method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way variable analysis,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using PASW 19.0 and AMOS 19.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verified at the p<.05 level.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body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factors such as height, weight, muscle mass, body fat rate, and fat control amount, but age influence was considered to work.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in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ip strength, long jump in place, one-foot standing, side step, and sit-ups, but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without gender or age. Third, the comparison of emotional behavior problems according to the taekwondo training peri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ship difficulties, inappropriate emotional expressions, attention deficit, and physical symptoms, and difficulties with ot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without gender or age.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tendency depending on the training period' was revised and adopted to be able to improve only on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Fourth, the comparison of self-control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ack propensity and impulse propensity, and showed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without the influence of gender and age. Therefore, the hypothesis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control depending on the training period' could be adopted. Fifth, the comparison of violence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language physical damage, language psychological damage, and language psychological harm, and physical damage and language psychological harm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without gender or age. Sixth, the comparison of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respect and etiquette, and concentration factors, and self-esteem, respect and schedule, and concentratio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without gender and age. Taken together, children's taekwondo training can help improve muscle strength, muscular endurance, and agility. It has the effect of lowering to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others, aggression and impulsivity in self-control, physical and verbal damage in violence, and psychological harm in language by emotional tendency. I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personality self-esteem, respect and etiquette, and concentra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taekwondo training can be used as an excellent educational program to improve children's physical fitness, emotional tendency, and personality.

      • 청소년 태권도 수련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김형훈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designed for analysing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 Tae kwon do trainee and social support. In order to reach to the objective, I conducted research about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with 342 participants who go to high school and practice Tae kwon do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With this collected dat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get construct validity. Also, frequency analysis based upon social demography, t-test, one way ANOVA, multiple comparison analysis of Dunca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r regression were used. The significance level of all the statistic figures for analysis is set to p<.05 and I got following result through above mentioned methods and procedure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maladjustment in gender mental health within the youth Tae kwon do trainee's mental health based upon characteristic of social demography. Male student showed lower maladjustment than female student. There were in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insecurity. Male student showed lower insecurity than female stud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melancholy. Male student showed lower melancholy than female student. With regard to frequency of out-go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Male student showed higher frequency of out-going than female stud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maladjustment within mental health difference by training period, trainee who have trained 1year to 2years showed the lowest maladjus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insecurity. Trainee who have trained from 1year to 2 years showed the lowest insecurity. Melanchol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rainee who below 6months training period showed the lowest melancholy.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frequency of going out, trainees who have trained 6months and below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going o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maladjustment within mental health difference by economic life, the middle status of economic life showed the lowest maladjus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insecurity. The middle showed the lowest insecurity. Melanchol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high and the middle status of social life showed the lowest melancho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frequency of going out, The low economic statu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going o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maladjustment within mental health difference by tournament participation rate ,1 to 5 times of participation showed the lowest maladjus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insecurity. trainee who have not participated in tournament showed the lowest insecurity. Melanchol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1 to 5 times of participation rate showed the lowest melancholy.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s to frequency of going out, 6 to 10 times participation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going out. Second, mental support, informative support, material support, judgement support have relationship with social maladjustment, insecurity, melancholy, frequency of going out which are associate factor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th Tae kwon do trainee's social support and mental health. The infuence of social support to maladjustment of ment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statistically. judgement support showed the highest impact to i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to insecurity of ment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statistically. Informative support showed the highest impact to i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to melancholy of ment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statistically. judgement support showed the highest impact to it.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to frequency of going-out of mental health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statistically. judgement support showed the highest impact to it. 본 연구는 청소년 태권도 수련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경기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고, 태권도 수련 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을 편의표집방법(convenience sampling)을 활용하여 342명을 설문 대상자로 선정하여 사회적지지 검사와 정신건강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설문지를 측정도구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구하기 위해 인자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검증(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및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r regression)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의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태권도 수련생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차이에서 성별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차이에서 부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의 부적응이 여학생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남학생의 불안감이 여학생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의 우울감이 여학생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남학생의 외출빈도가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기간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차이에서 부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1년-2년 이하 수련기간의 부적응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1년-2년 이하 수련기간의 불안감이 가장 낮았다. 우울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6개월 이하 수련기간의 우울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6개월 이하 수련기간의 외출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제수준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차이에서 부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중의 부적응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중의 불안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상과 중의 우울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하의 외출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회참가경력에 따른 정신건강과의 차이에서 부적응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1회-5회가 부적응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대회참가경력이 없는 대상에서 불안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1회-5회가 우울감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출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6회-10회가 가장 높은 외출빈도를 보였다. 둘째, 청소년 태권도 수련생의 사회적지지와 정신건강과의 상관관계에서 사회적지지의 하부요인인 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는 정신건강의 하부요인인 사회적부적응, 불안감, 우울감, 외출빈도에 크고 작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청소년 태권도 수련생의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적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의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적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적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가 정신건강의 외출빈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적지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중·장년 여성의 태권도 활성화 방안

        박혜란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적, 심리적, 사회·문화적인 측면에서 중·장년 여성 태권도 수련 활동의 제약요인과 극복방안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으며, 자료 수집 과정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널리 활용되는 심층 면담(in depth interview)과 문헌 조사를 활용하였다. 심층 면담에는 총 10명의 연구 참여자(태권도 전문가와 태권도 비참여자로 구분, 각각 5명)가 참여하였으며, 문헌 고찰은 정책 자료와 관계기관(태권도진흥재단, 대한태권도협회, 국기원, 세계태권도연맹)의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심층면담을 통해 9가지 제한점과 5가지 개선점이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 심리, 사회·문화 측면에서 중·장년 여성층이 태권도에 참여하지 않는 제약요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신체적 측면의 경우 “부상의 위험”, “다이어트 효과 부족”, “유연성, 체력 부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심리적 측면에서는 “전문선수나 아이들 운동”, “승급에 대한 부담감”, “흥미 혹은 관심 부족”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중·장년 여성 프로그램 부족”, “여성 태권도 전문 지도자 부족”, “생활체육으로써 홍보 부족”이 나타났다. 둘째, 중·장년 여성 태권도 수련 활동의 제약에 대한 극복방안으로는 신체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측면을 아울러 “태권도에 대한 인식변화”, “중·장년 여성 전문 프로그램 개발”, “중·장년 여성을 위한 태권도 지도자 양성”, “지자체와 태권도 단체의 지원체계 구축방안”, “생활체육으로써 태권도 홍보” 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주요 정책 자료와 관련기관의 자료를 토대로 문헌 고찰을 시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1차 태권도 진흥 기본계획에서는 태권도 활성화 토대 마련에 중점을 두고 태권도 기반조성, 태권도 세계화 촉진, 태권도 상품화 노력에 집중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제2차 태권도 진흥 기본계획은 태권도 선진화 및 확산에 중점을 두고 태권도 해외 확산과 선진화, 태권도 사업 내실화, 태권도 산업 활성화에 역점을 두었다. 제3차 태권도 진흥 기본계획은 태권도 시스템 개선, 태권도의 활용 증대, 태권도 해외 교류 활성화에 집중 추진 중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장년 여성의 태권도 참여율을 높임은 물론, 더 나아가 대한민국의 국기 태권도의 역할과 방향에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Increasing Participation in Taekwondo Among Women Age 50 and Older Park Hye-Ran Department of Physical Education Graduate School for Community Sport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 xamine the factors limiting Taekwondo participations in middle-aged females from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pproach, and measure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incorporating in-depth interview and literature survey were implemented in the data collection proces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ample panel of 10 participants evenly consisting of Taekwondo experts and non-practitioners were interviewed, and the contemporary literatu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reference to the policy and governance data from the official associations of Taekwondo, such as the Taekwondo Promotion Foundation (TPF), Korea Taekwondo Association (KTA), Kukkiwon and World Taekwondo (WT). The question was approached inductively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with consideration for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in order to provide an exhaustive examination of the obstacles facing the middle-aged females engaging Taekwondo, and formulate measure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The interview was conducted in a semi-structured format to gain a mor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into the perspectives and views of middle-aged females who practice taekwondo. Through this research process, 9 limitations and 5 points for improvement were derived in relation to the topic of 'Taekwondo training activities for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This was supplemented by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policies and statistics from the related organisations, including TPF, KTA, Kukkiwon, and WT. First, when the obstacles to engagement was analysed in terms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aspects, the factors preventing middle-aged and elderly females from participating in Taekwondo are as follows: Physically, “risk of injury”, “ineffective to weight-loss”, and “lack of flexibility and stamina” were found as key factors. Psychologically, there was a perceived view that Taekwondo is “a sport for children or professional athletes”, and that it placed pressure from “burden of promotion”, while failing to provide “stimulus or interest for the sport”. Finally, socio-cultural aspects found during the investigation included “lack of tailored program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dearth of professional female Taekwondo instructors”, and “lack of publicity as a lifestyle sport”. Second part of the study looked at different measures to overcome these obstacles. “Changing the perception of Taekwondo”, “developing a tailored program for middle-aged and elderly females”, “managing the pool of instructors for the middle-aged and elderly female groups”, “coordinating with the local authorities and Taekwondo organisations to create a support network”, and “marketing Taekwondo as a hobby for all” were some solutions developed to encompass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cultural obstacles facing the target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continuously promote Taekwondo particip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of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Furthermore, achieving this goal will not only result in higher participation of Taekwondo from the target segments, but will also provide reference to the future direction that Korea’s national sports should take.

      •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참여활동이 자아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조기현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aim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on how participation of Taekwondo master in education activities would affect on self-efficacy and quality improvement of master personal life and Taekwondo training center and even local communities. To do so, I set Taekwondo coaches aged more than 20 years, living in and around Seoul area, both men and women, as the population, and sampled them through stratified group sampling method. I analyzed 245 out of 261, subtracting 6 who responded with insincerity. Data was analyzed with a statistic package, Windows for SPSS V. 12.0 to input to computer and I came to the results using various methods such as, Techno-graphic analysi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andard multi-full regression analysis. Firstly, on the self-efficacy and life quality of Taekwondo master, it shows that men are higher than women in social-efficacy, and the group of age from 31 to 35 is more satisfied than the group of age from 26 to 30 in life quality. Also it reveals that the group with more than graduate education has higher life quality than the group with high school or under graduate education background. In the training level, the group with level 4 and 5 seems to have higher physical-efficacy than one with level 3 and below. Also the level 5 and above seem to have better life quality than the level 3 and below. Regarding coaching experiences, 6 to 10 year long experienced group records higher rank in all the sub categories of self-efficacy than the 5 and below year long experienced. When looking at the income level, more than 5,000,000 won per month earning group show higher satisfaction that 1,000,000 won to 2,000,000 won per month earning group. Secondl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 activity participation, the group with average once per month or once per every other month participation shows higher marks in every category of self efficacy than the one with once and less participation per year. On the period of participation, the group with 5 year long participation shows higher self efficacy than the one with 1 year less period, while on the total amount of participation time, 2 and less hour participating group and 3 to 4 hour group and 8 hour group mark higher in general self-efficacy than 1 night and 2 days long participating group. One who answers "very satisfied" for education activities shows higher rank both in self efficacy and life quality than one who answers "so-so". Thirdly, i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ducation activity participation, and self-efficacy and life quality, the frequency of education activity participation has correlation with period of education, total amount of education time, education satisfaction, general self-efficacy, physical efficacy, social-efficacy, and life quality, while the period of education correlates with physical 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efficacy, and life quality. The total amount of education time shows correlation with general self-efficacy, while education satisfaction has with physical self-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life quality. Furthermore physical self-efficacy relates with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and life quality, while general self-efficacy and life quality, lastly, social self-efficacy has something to do with life quality. Fourthly, when analyzing how education activity participation affects self-efficacy and life quality, the frequency and period of education affect physical self-efficacy with approx. 8%(R²=.085) of credibility, while period of education, total amount of education time, and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general self-efficacy with 10% (R²=.108) of credibility. However, it dose not affect social self-efficacy and life quality. 본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교육 참여활동이 자아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태권도 지도자 개인의 삶의 질의 향상 뿐 아니라 태권도장의 질적 향상, 나아가 지역사회의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07년 현재, 서울·경기지역에 소재한 태권도 지도자 만 20세 이상의 남·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유층집락무선표본추출법으로 표본을 추출하고 251명의 설문 응답자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6명을 제외한 245부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s for SPSS V. 12.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킨 후 기술통계분석과 독립표본 t-test,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표준중다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자아효능감 및 삶의 질은 성별에 따라 사회적 자아효능감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 신체적 자아효능감과 삶의 질에서는 31세~35세의 집단이 26세~30세의 집단보다 삶의 질에 있어 더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삶의 질에서는 대학원 이상의 집단이 고졸 및 대졸의 집단에 비해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정도에 따라서는 신체적 자아효능감에서 4단, 5단이 3단 이하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삶의 질에서도 5단과 6단 이상의 집단이 3단 이하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지도경력에서는 자아효능감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지도경력 6년~10년 사이의 집단이 5년 이하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삶의 질에서는 6년~10년 사이의 집단과 11년 이상의 집단이 5년 이하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소득수준에 따라서는 삶의 질에서만 월 소득 500만원 이상의 집단이 월소득 100만원~200만원미만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참여활동 빈도에 따라 자아효능감의 하위변인 모두에서 1달에 한 번 교육참여활동에 참여하는 집단이 1년에 한 번 이하로 참여하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2달에 한 번 교육참여활동을 하는 집단이 1년에 한 번 하는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교육참여활동 시기는 일반적 자아효능감 요인에서 교육참여활동을 5년 전부터 시작한 집단이 1년 전부터 시작한 집단에 비해 자아효능감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참여활동 시간은 일반적 자아효능감에서 2시간 이하의 교육참여활동을 한 집단과 3시간에서 4시간의 교육참여활동을 한 집단, 8시간의 교육참여활동을 한 집단이 1박 2일간 교육참여활동을 한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참여활동 만족은 자아효능감과 삶의 질 모두 '매우 만족한다'라고 응답한 집단이 '그저그렇다'라고 응답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육참여활동과 자아효능감 및 삶의 질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결과 교육참여빈도는 교육참여활동시작, 교육참여시간, 교육참여만족, 신체적 자아효능감, 일반적 자아효능감, 사회적 자아효능감, 삶의 질에 모두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교육참여시작은 신체적 자아효능감, 일반적 자아효능감, 사회적 자아효능감, 삶의 질에서, 교육참여시간은 일반적 자아효능감에서 상관관계가 존재하였고, 교육참여 만족은 신체적 자아효능감, 일반적 자아효능감, 사회적 자아효능감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자아효능감은 일반적 자아효능감, 사회적 자아효능감, 삶의 질에서, 일반적 자아효능감은 사회적 자아효능감, 삶의 질에서, 사회적 효능감은 삶의 질에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교육참여 활동이 자아효능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은 교육참여활동 빈도와 교육참여활동 시작시기에서 신체적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약 8%(R²=.08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참여활동 시작시기와 교육참여활동 시간, 교육참여활동 만족은 일반적 자아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약 10% (R²=.108)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그러나 사회적 자아효능감과 삶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 간에 서비스리더십의 조절효과

        정광채 용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태권도지도자의 변혁적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 간에 서비스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태권도장 및 태권도조직의 지도자 및 구성원을 대상으로 서울 및 경기도내 소재 태권도장과 생활체육협의회 산하 태권도조직의 지도자를 모집단(mother group)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태권도장 지도자의 경우, 설문조사방법은 일련의 교육을 받은 설문조사요원들이 각 태권도장을 사전협의하에 태권도장의 규모별, 위치별, 주거환경별로 다단계 층화한 후에 지역의 거주인구 및 생활수준별로 2차 층화하여 수도권지역의 100-250인 수련 회원을 운영하는 대ㆍ중ㆍ소형 태권도장 80개소 중 66개소의 태권도장 관장님의 허락을 득한 후 설문조사요원이 직접 방문하여 자기기입식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으로 태권도 지도자를 대상으로 총 200명을 설문조사한 후, 오류검증과 무효설문지를 제외한 184명의 설문지를 확보하였고, 생활체육협의회 태권도 조직의 지도자의 경우는 서울 및 경기도 생활체육협의회 태권도조직의 지도자급 구성원 110명을 표집한 후, 일련의 교육을 받은 설문조사요원들이 각 생활체육협의회 태권도조직을 사전협의하에 방문하여 자기기입식방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설정한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연구가설 Ⅰ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서비스신념의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Ⅱ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서비스신뢰의 조절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Ⅲ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서비스능력의 조절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Ⅳ인 태권도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지각과 직무성과간에 자기통찰력의 조절효과는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leadership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In order to achive this purpose three 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310 assitant leaders. Of participations valid data were 279. They completed a modified inventory of transformation leadership, service leadership, and job performance. Results were analysed in quantitative approach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survey. The methods of statistic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es are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hiaerachical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Hopothesis Ⅰ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belief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Hopothesis Ⅱ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reliability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Hopothesis Ⅲ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rvice ability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Hopothesis Ⅳ was supported to optimal moderated effects of self-control ability between trasformational leadeship and job performance of assitant leaders of taekwoon do places.

      • 태권도 선수의 체급별에 따른 운동상해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이원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bodily part, type, time and causes of injuries occurred in training and game of Taekwondo and to examine the effective counteractions against the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as constitutedby total KTA(Korea Taekwondo Association)-registered 159 players (male: 81 and female: 79) of university/industry teams participating in National Taekwondo tournaments in February 2007. I adopted the questionnaires as measurement tool and the self administration method and collected the relevant data directly with help of assistants. The data were not proved as missed or insufficient and then were processed by statistics program of Window SPSS Ver 11.0 for getting observed frequency and Χ²(chi­square) test for cross-analysis of variabl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players had often injuries in unprotected faces and fingers, and in particular, frequently used legs. The types of injuries were bruise and muscle pain, mainly in winter season. The cause of injuries was by poor physical conditions. The first intervention for injuries was the application of ice pack. The players agreed that the wearing the protective tools was necessary for prevention of injuries. Second, bodily parts of injuries in both of male and female were different in head, nose, mouth, back, shoulder, forearm, back of hand, fingers, back of foot, thigh and toe. This difference was made from bone fracture, ligament damage, bruise, sprain, dislocation, muscle pain, abrasion and back pain. The injuries when applying kicking technique depended on players' gender. Third, bodily injury parts by weight grade were varied in head, neck, eye, nose, mouth, jaw, clavicle, elbow, finger and wrist. This difference was made from bone fracture, ligament damage, dislocation, and abrasion. The care after injur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y weight gra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