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캠퍼스이미지 구성요소와 인지특성에 관한 연구 : 전남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신경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도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연구는 Kevin Lynch에 의해 시도되기 시작하였는데, 그는 도시환경을 가독성(legibility)을 높이는 방향으로 계획되어야 한다고 하였다.(Kevin Lynch,1960). 이러한 개념을 실제로 적용하면서, 도시의 가독성에 기여하는 물리적 환경요소로서 길(paths), 지역(districts), 교차점(nodes), 경계(edges), 랜드마크(landmarks)를 주요 요소로 정의하였다. 이렇게 정의 할 수 있는 것은 이미지가 각 개인이 만들어 가슴속에 간직하는 "퍼블릭이미지(Public Image)^1)"가 생기며 이는 어떤 특정한 물리적 현실과 공통의 문화와 기본적인 생리학적 특질이라는 3가지 요소가 상호작용을 할 때에 거기서 생겨나올 것으로 상상되는 일치 영역이라 하며 Lynch는 강한 도시 이미지는 인간에게 정서적인 안정감을 주고, 외부세계와 조화 있는 관계를 세워주며, 도시경관의 가독성(Legibility)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했고, 궁극적으로 도시이미지는 도시환경의 수준을 반영한다고 했다. 이와 같은 점을 통해 K. Lynch이후에 많은 후속연구들이 진행되었다. 이 후속 연구들 또한 K. Lynch의 물리적 환경요소 5가지(landmarks, paths, districts, nodes, edges)에 대한 정의를 이용해 대상지의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도출하고 최종적으로 실험 대상지의 환경설계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을 보면서 Lynch의 연구를 바탕으로 다른 도시나 장소에 적용해서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도출하고, 계획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냈지만, 이미지를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장소나 도시의 이용자와 경험자들이 왜 그러한 이미지를 갖고 있는지와 이미지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에 대해 의문을 갖게 한다. 그래서 본 연구의 목적은 K. Lynch가 이야기했던 환경이미지 구성요소(Identity, Structure, Meaning)를 통해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는 5가지 요소의 인지특성과 이미지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를 알아보고자 전남대학교 캠퍼스를 중심으로 이미지 구성요소와 인지특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환경이미지 구성요소와 도시이미지, 인지지도에 관한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도시이미지 형성과정과, 도시이미지 역할, 인지지도의 개념 및 특징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았다. 둘째, 모의 테스트와 SD법을 이용한 전남대학교의 전반적인 이미지를 조사하였고 스캐치 맵을 통해 Cognitive Mapping을 하였다. 셋째, 추출된 캠퍼스 이미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본 설문을 통해 인지특성과 이미지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남대학교의 전반적인 이미지는 활기차다, 아름답다, 녹음이 많다 등의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남대학교 캠퍼스 이미지 구성요소 5가지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남대학교 랜드마크는 용봉탑, 구본부, 도서관별관, 가로수, 용지로 나타났으며 에지는 캠퍼스의 남동쪽에 있는 순환도로에 의한 외부 에지와 용지와 제1학생회관 뒤 동산의 캠퍼스 내부 에지로 나타났다. 패스의 경우 정문에서 용봉탑까지의 가로, 용봉탑에서 동문(후문)Paths:정문-용봉탑, 용봉탑-동문(후문), 공과대학 가로, 자연대가로가 패스로 나타났다. 노드의 경우 용봉탑, 경영대앞, 제 1학생회관 앞, 동문(후문) 법대 앞이 노드로 나타났다. 디스트릭트의 경우 대학중심시설이 집중되어있는 지역, 공과, 자연대학, 인문대, 사회대로 나타났다. 셋째, 전남대학교 캠퍼스의 이미지 구성요소들은 Identity, Structure, Meaning의 복합적인 관계 속에서 형성되면서 인지되고 이미지화 되었는데, 차이가 있다면 Identity, Structure, Meaning 들 사이에서 단순히 강약에 따른 차이를 보이고 있다. 넷째, 이들 이미지 구성요소들의 상호관계는 4개의 파트로 나누어 보았는데 파트1에서는 랜드마크로 나타난 용봉탑의 외관형태의 영향으로 노드A의 인지가 높아졌으며, 패스(Path1:정문-용봉탑)가 갖는 물리적 구조 때문에 주변 디스트릭트(district)가 인지되는데 방해가 된 것으로 사료된다. 파트2에서는 디스트릭트 [ㄱ] [ㄴ]이 기능(건물 군의 용도), 의미 때문에 패스, 노드가 인지되는 원인이 됐다. 또한 Part3, Part4는 특정한 물리적 대상의 영향으로 인지되는 경향을 보였다. 다섯째, 특정 대상지의 5가지 도시이미지 구성요소의 추출로만 끝나고 있는 이미지 연구는 앞으로 이미지화 되는 원인과 어떤 상호관계를 갖고 이미지를 구성하는지도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여섯째, 도시이미지는 특정지역의 특정인에게 생겨난 공통적인 이미지이므로 이러한 이미지에 대한 연구는 건축이나 도시의 컨텍스트를 분석하는데 효용성이 있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할 것이다. Study about the elements to develop the image of a city was started by Kevin Lynch; He suggested that the legibility of the city environment should be heightened to a degree.(Kevin Lynch, 1960) Applying the idea in reality, He set the five main physical environmental elements- Paths, Nodes, Edges, Districts and Landmarks- that contribute to the legibility of a city. The supporting reason behind this is an image that each individual makes and keeps in his heart, what is called "public image" it is thought to be created when the three kinds of elements, some specialized physical reality, a common culture, and basic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have a reciprocal relationship. Lynch states that a powerful image of a city gives emotional calamity to human, develops well-organized relationship with the external world, causes a critical effect to the legibility of a city scenery, and most importantly, the image of a city reflects the wellness of the city environment. In these study, applying Lynch's five elements, they extracted the elements that compose the image of cities or areas, and found out what was needed for the plan, but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mponents, the question arose on why the civilians and users of the cities and areas have that kind of an image and what make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the image ele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using the three environmental components-Identity, Structure, Meaning- which K. Lynch mentioned, we try finding the cognitive attribute of five elements, and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them. The study was done centered on C.N.U(Chonnam National University) campus of its image elements and the cognitive attribute. For this research, First, theoretical investigation about environmental image elements, city image and cognitive map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 city image, the role of city image, and subjects regarding the notion and the specialty of the cognitive map through were examined. Second, pilot test and SD method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image of C.N.U and sketch maps were used to make the cognitive mapping. Third, based upon extracted campus image elements,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attribute and the image elements was looked at.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C.N.U had a positive general image. Second, the five elements of C.N.U campus image are the following: The landmarks of C.N.U were Yongbong tower, old central office, library annex, roadside trees, the lot, and the edges were external edge caused by road at the south-east of the campus, the lot and the inner edge of the hill behind the student assembly hall. The paths were the road from the front gate to Yongbong tower, from Yongbong tower to the east gate,(rear gate) road of the school of engineering, and the road of the school of science. The nodes existed at Yongbong tower, in front of the first student assembly hall, the east gate,(rear gate) and in front of school of law. The districts were the school of engineering, the school of science, the school of humanities, and the school of sociology where the central university facilities. Third, the image elements of C.N.U campus developed through the compound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components. However, those are only differentiated through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three components. Fourth, these reciprocal relationship of image elements was divided into four parts As the interrelationship of image elements shown at part1, node A was more easily recognized because it had Yongbong tower as one of the landmarks, and the physical formation of the path(path1: front gate-Yongbong tower) caused difficulty of recognizing the district of that area. As the interrelationship of image elements shown at part2, the paths and the nodes of the area were more recognizable because of the capability(the usage of the infrastructure) and the meaning of districts and. Also, part3 and part4 had special physical features that enhanced the recognition. Fifth, researches that are ending with the mere extraction of the five image elements of the chosen places should look deeper into the reasons for the imagery and what kind of a reciprocal relationship creates the image. Sixth, a city image is an image that is created from the common ground of specific people in specific areas. Thus, the research should continue in order to magnify the utilization for the analysis the context of a city and an architecture.

      • 대학 캠퍼스 확장에 의한 캠퍼스 타운 연계 연구 및 설계 : 국민대학교와 정릉3동 일대를 중심으로

        김태현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성북구 정릉동에 위치한 국민대학교는 기반지역인 정릉 3동 배밭골과의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있다. 대학 캠퍼스와 지역의 상생관계 구축은 지역적 관점에서 중요한 요인으로 볼 수 있는데, 이 관계는 보통 대학로를 통해서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으로는 혜화동의 대학로나, 홍익대학교, 건국대학교 등의 대학 명칭으로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대학로 등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민대학교 역시 지역과의 관계 강화 및 체험·문화·상업 등의 커뮤니티 확장을 위한 캠퍼스 타운 및 대학로의 형성으로 볼 수 있다. 먼저 캠퍼스와 커뮤니티의 설계 기본사항에 대해 파악하기 위하여 캠퍼스마스터플랜과 커뮤니티의 이론적 고찰을 선행한 후 대상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지 분석에서는 거시적 관점의 도시 분석과 대상지의 현황에 대한 미시적 관점의 분석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분석 항목은 교통과 인프라 입지에 대한 거시분석을 선행한 후 대상지 인근의 건축물, 경사, 자연요소, 휴게 및 보행 환경, 지역 인프라 분석의 순서로 진행하였다. 대상지의 물리적 특성은 북한산과 북악산이 형성하는 구릉지형에 위치하고 있어 경사가 심한 조건을 가지고 있고, 이에 따라 조건이 불리하다. 이와 동시에 오래된 건축물과 낡은 도시 외부 환경, 침체된 상권 등 전제적으로 도시침체가 유지되며, 대학 캠퍼스와의 상생관계 구축이 어려운 것으로 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수 있다. 분석 내용을 토대로 설계 전략을 7가지의 항목으로 수립하였고 첫 번째로 지역주민을 위한 캠퍼스 개방공간, 두 번째로 보행구간 사이 낙후된 휴게 공간 정비 및 확보, 세 번째 유연한 대지경사 극복, 네 번째 대학 강의, 동아리, 연구실의 분배, 다섯 번째 지하연결을 통한 확장성 및 동선 유연성 확보, 여섯 번째 대학 인근 문화 및 상권형성, 일곱 번째 국민대의 정문으로서의 상징성 강화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설계는 국민대학교에 부재한 중앙광장 형성을 중심으로 지하로는 캠퍼스 연결, 자상으로는 매스의 확장성을 예측하여 계획되었으며, 기존 캠퍼스의 마감계획과 경사에 순응하는 매스계획을 통해 기존 캠퍼스와의 통일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정릉 3동 일대 부지는 대학 캠퍼스 타운과 국민대학교의 대학로의 시작점으로서 계획되었으며, 여기에는 상업 및 문화, 운동시설과 창업지원 등의 학생지원시설이 일부 배치되었다. 공통적으로 지하공간은 주차장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설정되었고, 기존에 부족한 교내 주차공간을 확보함에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는 정릉권역 종합발전계획 수립 용역 보고서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진행되었으며, 실제 캠퍼스를 이용하는 교직원 및 학생들의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한계점이 존재함에 따라, 추가적 데이터 보완 및 확보가 요구된다. Kookmin University, located in Jeongneung-dong, Seongbuk-gu, has not yet established a relationship with Baebatgol in Jeongneung 3-dong, the neighboring area. From a regional perspective, it is important to foster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ity campus and the surrounding region. This relationship is often exemplified by the presence of a vibrant university street, such as Daehak-ro in Hyehwa-dong, or commonly known university streets like those near Hongik University and Konkuk Univers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a campus town and university road for Kookmin University, enhancing its ties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fostering opportunities for shared experiences, culture, and commerce. To begin, the study commenced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campus master plann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This was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target site. The site analysis was conducted from both a macro and micro perspective, encompassing an examin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the target site's buildings, slopes, natural elements, nearby recreational and pedestrian environments, and local infrastructure.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situated amidst the hilly terrain formed by Bukhansan Mountain and Bukaksan Mountain, pose challenges due to severe slope conditions. Furthermore, the analysis suggests that the urban environment surrounding the target site exhibits signs of decline, including aging buildings, neglected external surroundings, and stagnant commercial districts. Consequently, establish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the university campus becomes challenging. Based on the analysis, a design strategy was formulated with seven key considerations. First, Creation of campus open spaces for local residents. Second, Enhancement of underdeveloped rest areas along pedestrian routes. Third, Adaptable land slope management. Fourth, Incorporation of university lectures, clubs, and laboratories. Fifth, Prediction of underground campus connections and above-ground expansion to address the absence of a central square at Kookmin University. Sixth, Integration of the new site in Jeongneung 3-dong as the starting point for the university campus town and Kookmin University's version of Daehak-ro. Seventh, Provision of student support facilities, such as commercial and cultural establishments, sports facilities, and start-up support. Additionally, addressing the insufficient parking spaces at the university has been prioritized, with underground parking lots designated as a primary feature of the plan. This study utilized the Jeongneung Region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lan Establishment Service Report as its foundational data.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further data collection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as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available data from faculty and students who actively use the campus.

      • 캠퍼스 선교단체가 기독대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 및 과제 연구

        문정배 총신대학교선교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3

        한국교회는 선교 120주년, 해외파송선교사가 16000명, 평양대부흥운동 100주년... 듣기만 해도 가슴 벅찬 숫자들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기독교인구 감소라는 부정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한국교회는 위기를 맞고 있다.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이런 위기를 어떻게 벗어날 수 있을까?’라는 질문은 우리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젊은이와 캠퍼스로 인도한다. 왜냐하면 이들의 현주소가 바로 우리 미래의 그림이기 때문이고, 이들의 영적 상태가 오늘날 교회의 영적 상태를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믿는다. 지난 50여년동안 선교단체들를 통하여 캠퍼스의 많은 젊은이들이 그리스도께로 돌아왔고 사회와 지역교회에 큰 영향력을 끼쳐왔다. 그러나 오늘날 캠퍼스 상황은 한국교회의 위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급격하게 변화하는 문화적 경향과 포스트모더니즘에 노출된 젊은이들에게 선교단체들이 얼마나 유연하고 상황에 맞게 대처하며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는지를 반성해야 하는 시점에 온 것이다. 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미래라 할 수 있는 캠퍼스의 대학생들의 의식과 신앙의 현주소를 기독대학생들과 비기독대학생들을 비교하여 살펴보았고, 현재 캠퍼스 선교단체들이 실제적으로 젊은이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평가함과 동시에 한국교회 부흥의 원동력인 캠퍼스 선교의 남은 과제는 무엇이고, 효과적인 캠퍼스 선교를 위한 선교전략과 방법은 무엇인지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대학생들과 비기독대학생들의 일반적인 의식과 생활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성(性)적, 윤리적, 종교적인 영역에서는 적지 않은 차이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독대학생들의 성적, 윤리적 가치 그리고 신앙의 모습은 기대에 못 미칠 뿐 아니라 때로는 충격적이기까지 하였다. 기독대학생들조차 예상보다 많이 무너져 있었음을 보게 되었다. 둘째 선교단체에 참여하는 기독대학생들이 선교단체에 참여하지 않는 기독대학생들보다 훨씬 성경적인 가치와 신앙을 소유하고 있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선교단체의 훈련이 효과적임을 말해 준다. 셋째 현 캠퍼스 선교단체의 사역과 방향은 훈련에는 효과적인데 비하여 복음화 즉 전도에는 영향력이 감소되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곧 한국교회의 모습과 일맥상통하다고 할 수 있다. 선교단체의 첫 번째 목표인 캠퍼스 복음화는 문화적, 상황적 장벽을 효과적으로 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현시대의 문화적 상황을 고려하여 거부감이 없이 다가갈 수 있는 새로운 효과적인 전도전략이 필요하고, 무너진 성, 윤리적이 가치를 고취하는 캠페인 운동과 지역교회와 협력하여 힘을 모아 캠퍼스 선교를 감당해야 한다. 이것은 비단 캠퍼스 선교단체에만 던져진 과제가 아닐 것이다. 한국교회의 미래를 생각하며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해 힘쓰는 모든 교회와 사역자, 성도들에게 함께 남겨진 과제가 될 것이다.

      • 국내 해외대학캠퍼스 외국인 유학생의 유학 결정 요인 및 초기 적응 과정 연구 : A 대학 미국인 유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이혜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해외대학캠퍼스 A 사례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 및 사례 대학 유학 결정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이 초기 적응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영향 요인들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용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미국인 유학생 6명과 사례 대학 소속 교직원 4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시행하였고, 수집된 면담자료는 기노시타 야스히토의 수정판 근거이론 접근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Push-Pull 이론 모형을 활용한 외국인 유학생들의 유학 결정 요인은 개인적·환경적 요인과 조직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대표적인 Pull 요인으로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의 ‘한국에 대한 높은 관심’과 ‘안전한 나라 및 수학 환경’이, 조직적 요인으로는 ‘본 캠퍼스와 동일 학위 및 커리큘럼 제공’과 ‘전문적인 입학 행정서비스’ 등으로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대표적인 Push 요인은 개인적·환경적 요인의 ‘해외 유학에 대한 욕구’, 조직적 요인의 ‘부담되는 본국 학비’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이 초기 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학교 생활과 한국 사회 적응으로 구분되어 학교 생활에는 기숙사 이용 및 주거지 확보의 어려움, 외국인 유학생 주변화, 불편한 본 캠퍼스 및 지인과의 소통이 대표적인 어려움으로 도출되었다. 반면 생활 문화 적응에 대한 시행착오, 학업 외 제한된 경험, 캠퍼스 밖 사람들과 발생하는 갈등이 한국 사회 적응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어려움을 초래하는 개인적·환경적 요인으로는 한국어 능력 미흡, 익숙하지 않은 생활 환경 및 문화, 유학생 관련 정책의 체계성 부족이 영향 요인으로 밝혀졌고 조직적 요인으로는 인천글로벌캠퍼스와 갈등, 학내 정보 전달의 일관성 부족, 사례 대학의 소재지, 사례 대학의 낮은 인지도, 원활하지 않은 한국학생과의 관계 형성이 분류되었다. 주제어: 해외대학캠퍼스, 외국인유학생, 유학결정요인, 푸쉬-풀이론, 초기 적응 과정, International Branch Campus International Branch Campus (IBC) is a popular concept in worldwide; however, there is no research on international students at IBC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reason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choose IBC and what kind of difficulties they encounter. Data were collected from qualitative interview of 6 international, U.S. students and 4 staff members from‘X’ University, one of IBCs in South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Approach’ and based on the push-pull model findings suggest that the major personal-environmental pull factor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have chosen X University are ‘high interest in South Korea’ and ‘safe environment’ while major institutional pull factors are ‘the same degree and curriculum as the main campus’ and ‘well-systemized admissions process’. On the other hand, ‘desire to study abroad’ and ‘high tuition at universities in the States’ are resulted as the major personal-environmental push factor and the major institutional push factor, respectively. In addition, difficulties which international students encounter are divided into adjusting in campus life and Korean culture. For campus life, those students were having troubles with using on-campus housing and finding the proper residence outside of the campus, marginalization among Korean students, and ineffectiv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campus and their companies.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face trial and error to adapt in Korean culture, limited experience outside of academia, and conflict with local people to adjust in Korean culture. The factors causing those difficulties were analyzed into two groups: personal-environmental factors and institutional factors. Lack of Korean speaking ability, unfamiliar environment and culture, and non-systemized policy to support international students were the major personal-environmental factors while conflict with Incheon Global Campus, insufficient information sharing from the Student Affairs, location of the campus, low awareness of the campus, and hard to build relationships with Korean students were major institutional factors for the difficulti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ncounter to adjust in both campus and Korean culture.   Keywords: International Branch Campus, International Students, Push-Pull Model, Studying Abroad, Student Experience

      • 캠퍼스내 중국인 유학생들의 차별경험 : 개념도방법을 중심으로

        진사선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9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on campus of the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CIS), and to identify the homogeneous clusters and the dimensions of those discriminatory experiences on the perspective of CIS. In this study we interviewed 14 CIS who reported themselves being prejudiced on campus. By analyzing and editing the interview data 30 final statements representing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 of CIS are deducted. Then, 27 CIS categorized 30 statements into piles for which they believed each group had the same meaning. And they were asked to rated the importance for each statement.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for identifying dimensions and clus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on campus of the CIS is composed of four different themes, which are identifying as 'unfair treatment within a group task', 'exclusion from school activities or friendship', 'expression of stereotypes about Chinese and Chinese' , 'unfair treatment of professors in academic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disadvantageous treatment'. CIS use 3 dimensions to conceptualize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The 3 dimensions is identified as ‘specific bias toward academic ability and academic attitude of CIS-general bias toward Chinese and China’, ‘formal interaction - informal interaction’, ‘deprivation of opportunities or rights- the psychological deleterious effect’. The result of cluster analysis and dimension analysis implicate that the prejudice towards CIS’ academic ability and academic attitude leads to the unfair treatment in academic experience, having the deleterious effect of both the deprivation of academic resources and the psychological deleterious effect. Prejudice against Chinese and China among Korean students leads to the exclusion from activities and friendship of CIS, which not only make the CIS loose the opportunity to form friendships and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activities, but also causes psychological difficulties for CIS. Prejudice against Chinese and international students of the institutions makes the CIS loose the substantial resources such as voting rights and tuition fees. In addition, the expression of the stereotypes causes only the psychological difficulties of CIS. Through this study, we revealed the breadth of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of CIS on the campus and the thems of the discriminatory experiences , and the deleterious effects of discriminatory experiences. This will provide counselors, school officials, and educators with a new perspective to understand CIS. And it can help with the seeking the proper ways to help them in the field of counseling and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유학생들이 캠퍼스 내에서 보고하는 차별 경험은 무엇인지를 탐색하고, 그들이 어떠한 군집과 차원으로 캠퍼스 내에서의 차별 경험을 인식하고 있는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캠퍼스 내에서 차별을 경험했다고 보고하는 한족 학부 중국인 유학생 14명을 인터뷰하여 캠퍼스 내에서 중국 유학생들의 차별 경험에 대한 최종 진술문 30개를 산출하였다. 최종 진술문을 한족 학부 학생 27명이 유사한 것끼리 분류하였고, 분류 결과를 다차원척도 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군집 결과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들이 인식하는 캠퍼스 내에서의 차별경험은 ‘조별 활동에서의 불공정한 대우’, ‘교내활동이나 교우관계에서의 배제’, ‘중국 및 중국인에 대한 고정관념 표현’, ‘학습장면에서 교수님의 부당한 대우 및 행정적으로 불리한 대우’로 크게 네 가지 부분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중국 유학생들은 ‘학업능력 및 학습태도에 대한 구체적 편견(specific bias)-중국 및 중국인에 대한 일반적 편견(general bias)’차원과 ‘공식적인 상호작용(formal interaction)-비공식적인 상호작용(informal interaction)’차원, ‘기회나 권리를 박탈하는 실질적인 피해-개인의 심리적인 피해’라는 세 가지 차원으로 캠퍼스 내에서의 차별 경험을 구조화하고 있었다. 군집과 차원분석의 결과를 함께 살펴보면, 학교 구성원들이 중국 유학생의 학습 능력 및 학습 태도에 대해 갖고 있는 편견은 학습 장면에서의 불공정한 대우로 이어지며, 학습 자원과 학습 기회를 박탈하여 중국 유학생의 심리적 어려움을 유발한다. 또한 한국 학생들의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편견은 교내활동이나 교우관계에서의 배제로 이어지며 친구관계를 형성할 기회, 교내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박탈하며 중국 유학생의 심리적 어려움을 유발하기도 한다. 학교 기관이 가진 중국인 및 유학생에 대한 편견은 유학생의 투표권, 등록금 등 실질적 자원에 영향을 끼친다. 또한 학교 구성원들이 가진 중국과 중국인에 대한 편견은 고정관념을 표현하는 것으로 이어지며, 이는 중국 학생의 심리적 어려움을 유발한다. 본 연구를 통해 캠퍼스 내에서 중국 유학생들의 차별 경험을 파악하였고, 중국 유학생들은 어떠한 군집과 차원으로 차별 경험을 인식하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상담자, 학교 관계자, 교육자들에게 중국인 유학생을 이해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마련하였고 상담현장, 교육현장에서 그들을 도와주는 실제적 방안을 찾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캠퍼스 경계부 계획을 통한 지역사회 교류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를 중심으로

        이대준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Nowadays, universities have come out to our general education facility, overcoming past`s education for a few elite class.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era after Korean War, with an expansion of capacity of the facilities, universities faces new aspect that the capacity exceeds the student`s supply. University plays a role of educator of the studies for human society, and has to expand the function of cooperative research activities, lifelong education, and local center with its original duty. Kyung-Hee Univ. International Campus, as a second campus, was constructed in the outskirt of the Suwon City. And the situation what the campus stood alone in the initiative construction era has been changing that it faces the city itself In this study, I would focus to diversify university`s original function and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campus and local society through Kyung-Hee University International campus border configuration plan. And with this, I would find the way guaranteeing the enough spaces can satisfy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and the efficient method of the campus`s spaces as the facilities that is going to share with local citizens. So I studied as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 studied the forma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university. The meaning and function what the university has, is different from each period, and it has changed the function following itself, so I studied the historical formation process and urban context, and next I studied its architectural form transition. The universities that started as the ‘guild form’ before Renaissance era were on the basis of cities, but had not enough architectural form and its receivers were so poor, too. After Renaissance era, it had been in the city after the recognition that university had an important connection with the city's benefits, also educational studies was executed with deep connection with daily life. The improvement of natural science connected to the university's gigantism and the university had played a role of campus and it's district. Second, after recognizing recent university`s feature and studying its examples I would put them to the base of this plan. Among nowadays university, they have been diversified the function with connection with companies, local society contribution program, and the door opening of university`s resources of life and properties. Third, after examining the growth process of each university and the efforts for connection with local society, I studied the possibility with Kyung-Hee Univ. In domestic examples, choosing the universities in Seoul, and in international examples, chose Enric Miralles`s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 OMA`s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 Fourth, In the basis of the examples before, I recommended the plan on the site around the main gate. And before the zoning plan recommended, I thought that the border development must proceed them, so I planned so that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hat R&D Cluster needs. The more it clear the border when different thingsmeet each other, they isolated from each other. Universities have been changed by social needs. When we recognize the difference and when we share what I have, the border will collapse and by putting together what we had each it will make a synergy. In this study, by Campus border plan the universities open their resources, located in the middle of local society I tried to promote the chemical synergy between the university and its local society. 오늘날의 대학은 과거 소수의 엘리트 계층의 교육기관이었던 것을 벗어나 일반적인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했다. 전후로부터 산업화를 거치는 과정에서 대학입학정원, 시설의 확충 등 양적으로 팽창해온 대학은 20세기 말에 들어 대학정원이 입학하는 학생의 수를 초과하여 대학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대학은 국가와 인류사회에 필요한 학문 및 그 응용방법을 교육 연구하며, 지도적 인격 도야를 목적으로 하는 교수와 학생의 공동체의 본래의 기능과 더불어 산업과의 협력적인 연구활동, 평생교육, 지역사회 중심시설 등의 기능 확대가 필요하다.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는 제2캠퍼스로 수원시의 외곽에 건설되었으며, 시가지의 확장과 영통신도시의 개발로 인해 개발초기 도시의 외곽에 독립적으로 위치했던 상황이 현재는 도시와 접하는 상황으로 변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경계부 계획을 통해 대학기능의 다변화를 꾀하고 지역사회와의 심리적 거리를 좁히는 데에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통하여 대학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공간의 확보와 지역주민들과의 공유하는 시설로서 캠퍼스 공간의 효율적 활용방법을 찾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한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전개하였다. 첫째, 대학의 형성과 그 변천과정을 고찰한다. 대학이 갖는 의미와 기능은 시대마다 다르며, 그에 따라 기능 또한 변해왔다. 대학이 형성된 역사적 과정과 사회적, 도시적 관계를 살펴본 후, 그 건축적 형태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둘째, 현대 종합대학의 특성을 파악하여 그에 대응하는 사례를 연구하여 계획의 토대로 삼는다. 오늘날의 대학은 단순히 교육 · 연구의 기능에서 벗어나 산업체와의 연계, 지역사회 공헌프로그램, 대학의 인적, 물적자원 및 시설의 개방 등으로 기능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국내외 대학의 성장과정 및 지역사회와의 교류·연계를 위한 노력들을 살펴보고 현재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국내사례로는 서울시내 소재의 대학을 선정하여 지역개방 프로그램,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배치특성을 분석함과 동시에 경계지 개발유형으로 지하개발과 담장개방 사례를 조사하였다. 해외사례로는 Enric Miralles의 ‘Venice School of Architecture’와 OMA의 ‘The McCormick Tribune Campus Center at IIT'를 조사하였다. 넷째, 위에서 고찰된 건축적 내용들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정문 주변부지를 대상지로 삼아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마스터플랜에서 제시된 권역별 개발계획에 앞서 정문주변의 경계부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여, 지역주민 공유 프로그램과 학생편의시설, 그리고 R&D Cluster에서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서로 복합적으로 활용가능하도록 계획하였다. 경계가 분명 할수록 대학은 고립되며 캠퍼스 개발은 대학 내의 활동이 외부로 파급되고, 지역사회의 요구와 관심이 내부로 도입되는 형태로 행해져야 한다. 이와 함께 대학시설의 적극적인 개방과 아울러 주변지역이 갖고 있는 시설과의 네크워크가 필요하다. 필요성이다. 이러한 필요성의 일환으로 국내의 많은 대학이 캠퍼스 경계를 허물고 지역사회와 연계한 개발을 하고 있으며, 대학 내의 지역사회 공유 가능한 프로그램들을 경계부분으로 재배치하고 있다. 또한 대학의 기능이 변함에 따른 요구 공간의 면적과 개별공간의 크기도 달라지며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공간적 유연성을 확보해야 한다.

      • 대학캠퍼스 지하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소재 10개 대학 사례조사를 중심으로

        고영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1980년대 중반이후 대학정원이 급격히 늘어남에 따라 한정된 대지에 늘어나는 학생을 수용하기 위한 고층건물이 캠퍼스 마스터플랜에 벗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캠퍼스마다 상징물과 역사적인 건물에 경관적인 측면에서 상당부분 침해를 받고 동선계획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또 늘어나는 학생수에 비해 오픈스페이스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에 지하공간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더 이상 확장이 불가능한 서울소재 대학을 대상으로 지하공간의 개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지하공간을 활용하고 있는 고려대학교의 경우 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주후 평가를 통하여 지하공간에 대한 만족도와 불만족 요인을 밝혀내려고 하였다. 또 서울소재 10개 대학을 대상으로 지하공간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설문을 통하여 지하공간의 개발 위치, 필요로 하는 공간, 고려해야할 사항 등을 조사하였다. 또 앞으로 개발 가능성이 있는 10개 대학을 선정하여 각각 조사한 결과 공간이 부족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77.6%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16.4% 충분하다고 응답한 경우가 6%로 대부분의 학생이 공간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지의 선정은 대체로 공동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선택한 것을 볼 수 있고 희망 용도는 편의시설이 46.2%이상, 강의실19%, 도서관14.2%, 주차장 13.4% 행정시설이 7.1%로 조사되었다. 환경적인 면으로는 전체의 39%가 환기에 주의해야 한다고 응답했고 26.6%는 조명, 폐쇄감 13.7%, 피난 8.4%, 소음 6.8%, 방향감 5.4%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환기와 조명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각 대학마다의 대지환경에 맞추어 학생들이 요구하는 공간과 지하로 다른 건물과 연결하는 지하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Since 1980', the growth of universities in korea have brought of a rapid increase of campus user but the improvements in the aspect of qualities have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and the space for students is not enough. For this space insufficiency, many buildings were built in campus. It brings many problem - damage a memorial, unbalanced path, insuficient open space. This study focused on there are need to improve the underground space in campus and consider the environment in the underground space. For the case study, ten samples - Kwangwoon univ, Dankook univ, Dongguk univ, Sungkyunkwan univ, Sejong univ, Soongsil univ, Chung-ang univ,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Hansung univ, Hongik univ - were selected among thirty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Do you think it is enough to use the space in your university? Yes ; 77.6 % / No ; 6 % / None of these ; 16.4 % 2. Select a space for the underground space library 14.2%, lecture room 19%, facilities(a rest room, a lounge etc) 46.2%, administration 7.1%, parking 13.4% 3. Select a consideration in environment ventilation 39%, lighting 26.6%, noise 6.8%, evacuation 8.4%, closing 13.7%, direction 5.4% Therefore each of universities need to expand facilities, lecture room, library and to consider ventilation, lighting, closing in the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 캠퍼스타운을 기반으로한 문화공간에 대한 연구

        박수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943

        현재 서울시에는 어느 도시보다도 많은 대학교가 밀집되어 있는데, 대학교의 입지가 해당 지역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대학과 지역 간의 공간인 ‘캠퍼스타운(Campus Town)’은 해당 대학이 지닌 성향과 문화적 특성이 가장 잘 드러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존하는 캠퍼스타운은 상업화로 인하여 주점, 노래방 등 대부분 소비 위주의 유흥 상업시설로 가득하다. 이에 서울시에서는 2016년부터 지역 활성화를 위한 대학제안사업으로 13개소를 선정하여 ‘캠퍼스타운(청년특별시 창조경제 캠퍼스타운)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캠퍼스타운의 발전에 관한 정확한 제도나 사례가 없는 상황이다. 이는 캠퍼스타운 개선의 필요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캠퍼스타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지역과 대학이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캠퍼스타운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캠퍼스타운의 대학문화 정체성과 특성을 찾기 위한 연구로서, 현재 서울시 내 캠퍼스타운의 문화공간의 특성과 환경을 알아보고, 문제점과 향후 발전 방향을 도출해 고려대학교 캠퍼스타운에 문화공간을 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 캠퍼스 공용공간 역할에 관한 연구 : 중세 영국 Oxford와 현대 미국 MIT를 중심으로

        김주만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943

        대학 공간에 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다. Google과 같이 세계적인 기업에서 본사의 물리적 환경을 대학 캠퍼스처럼 조성하려고 할 정도로 캠퍼스는 오늘날 대표적인 창조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대학 공간의 역할과 기능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오늘날 대학은 더 이상 교육만을 받는 장소로서보다는 지식 및 인간관계의 상호교류 장소로 의미가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미래의 대학은 경제적 성장과 문화적 발전을 위한 혁신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창조적 대학’의 개념은 전통적인 교육의 장을 넘어서 다른 주체와의 협력을 통한 혁신의 촉진이라는 새로운 요구에 당면하고 있다. 대학이 오늘날 창조적 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다면, 캠퍼스 내에서 어떤 공간이 중요한지, 그런 공간을 어떻게 계획해야 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창조환경 조성을 위해서 공용공간에 주목하였고, 2장에서는 창조환경과 공용공간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창조환경에 관한 여러 접근 방식 중 본 연구에서는 공간 조성을 통해 다양한 상호작용과 네트워크가 일어나도록 하는 접근 방식을 선택하였다. 대학 캠퍼스에서 공용공간이 창조성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3장에서는 역사적으로 대학의 발생과 가깝고, 오랫동안 지적 활동의 중심이 된 중세 영국 옥스퍼드 대학이 가치를 두고 있는 공용공간을 확인하였다. 그 당시 대학의 주된 교육 방식은 강연과 토론이었으며, 함께 모여 강연을 듣고, 토론할 수 있는 공간인 홀이 중요해졌다. 그 당시 대학에서는 목적성을 가지고 코트야드를 조성하기 시작했으며, 코트야드는 우연한 사회적 만남이 이루어지도록 계획된 열린 공간이었다. 4장의 전반부에서는 미국 대학의 발전과 함께 캠퍼스라는 미국 대학 특유의 공간 형식을 조사하였다. 미국에서는 종합대학인 ‘유니버시티’가 발전하였고, 중세 유럽의 대학과 달리 독자적인 대학 공간 형식인 캠퍼스를 만들어 냈다. 4장 후반부에서는 오늘날 창조적 성과를 내는 대학 중 지속적인 캠퍼스 공간 계획을 통해 창조환경을 조성하고 있는 미국 MIT 캠퍼스 공용공간을 분석하였다. MIT의 캠퍼스 계획 방향은 비공식적인 상호작용을 위한 공간 조성이었다. 이를 위해 MIT는 캠퍼스에서 다양한 구성원들이 공통으로 방문하는 공간에 더 오래 머물도록 특별히 공용공간을 조성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MIT는 홀과 코트야드 조성을 중요한 계획 대상으로 삼고 있었고, 캠퍼스를 계획하고 확장할 때, 1층 홀과 평평한 코트야드를 가능한 한 연결되도록 계획하여 우연만 만남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다양한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캠퍼스에서 공용공간은 다양한 사람들이 자연스러운 만남과 우연한 협력이 일어날 수 있는 창조환경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둘째, 중세 옥스퍼드 대학에서는 공용공간인 홀과 코트야드가 있었고, 이러한 공간이 확인되는 것은 대학에서 토론과 교류 등 사람들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해 공용공간이 필요하다는 것이 그 당시에도 인식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게 하였다. 셋째, 미국 MIT는 장기적 계획을 통해 다양한 사람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용공간으로서 홀과 코트야드를 중점적으로 조성해왔으며, 1층에서 이들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하여 캠퍼스에서는 창조환경 조성을 위해 공용공간으로서 홀과 코트야드가 중요하다는 잠정적인 가설을 제시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의 성과가 캠퍼스를 창조환경으로 조성하고자 하는 대학 관계자, 설계사, 그리고 대학과 공간을 연구하는 사람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e perception of universities‘ campus is changing. Campus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and creative environment today, as global companies such as Google attempt to creat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ir headquarters like a university campus The role and function of universities have evolved with the times, and today, universities are no longer only a venue for receiving education but also a place for exchange of knowledge and human relationships. And the concept of a "creative university" that future universities should be the center of innovation for economic growth and cultural development is facing a new demand for promoting innovation through cooperation with other subjects beyond traditional educational fields. This study examined what type of space is important on campus and how to plan such a space in order for universities to be recognized as creative environments today. Special attention was paid to role of common space in forming a creative environment. In Chapter 2, the definitions and conditions of creative environment and common space were considered. Among the various approaches to the creative environment that support creating new values, I selected an approach that promotes spontaneous interactions and networks to occur through place making. Considering that public space can play a role in promoting creativity on university campuses, Chapter 3 shows the common space valued by Oxford Halls & Colleges in the medieval England which is when universities of today were first established and has long been the center of intellectual activity. At that time, the main educational methods of the university were lectures and discussions, and as the university's buildings and spaces began to emerge, the hall, a space where people could gather together to listen to lectures and discuss them, became important. Also, colleges began to create courtyards for purposes, and in courtyards, it was an open space planned for accidental social encounters. In Chapter 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unique spatial format of an American university called a ‘Campus’ with the development of an American university in the first half. Large university with many colleges first developed in the United States, and unlike universities in medieval Europe(like hall, college), the United States created its own university space-type ‘Campus.’ Campus-type universities have begun to prepare long-term campus plans. In the second half of Chapter 4, I analyzed the common space of MIT campus in the United States, which built a creative environment through continuous campus space planning among universities that produce many achievements today. MIT's campus planning strategy was to create space for informal interaction. To this end, MIT emphasized that a ‘common space’ should be created so that various members can stay longer in common space on campus. Subsequently,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MIT's internal and external common spaces were analyzed. MIT made construction of hall and courtyard an important planning goal, and when planning and expanding campus, it planned to connect the first floor hall and the flat courtyard as much as possible to accommodate both spontaneous encounters and people’s various activitie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on campus, the common space can serve as a creative environment in which various people can meet naturally and organically develop collaborative relationship by chance. Second, at the University of Oxford during the Middle Ages, close to the beginning of today's university, there existed common spaces such as halls and courtyards, space where people exchanged their ideas. It shows that it was recognized at that time that common spaces were needed to promote people’s interactions. Third, MIT in the United States, which is currently one of the world’s leading institution in university evaluation and patents, has planned for creating halls and courtyards as common space where various people can interact through long-term plans. The plan includes campus design that connects people on the first floor. Finally, by aggregating the contents of the entire study, it can be said that halls and courtyards are important as public spaces to create a creative environment in universities. This study was completed by presenting a tentative hypothesis that halls and courtyards are important as common spaces to make a creative environment on campus.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for university administrators, designers, and those who study universities and spaces who want to create a creative environment on campus. In addition, I hope that the university campus will be transformed into a creative environment.

      • 그린캠퍼스(Green campus) 평가를 위한 순위제도(ranking system) 비교 연구

        김창환 高麗大學校 政策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943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Climate Change)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최근 정부가 2020년 국가 온실가스 배출전망치(BAU) 대비 30% 감축목표를 확정하고,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2010년) 및 포스트 교토체제에 대비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가, 지방자치단체, 기업, 시민단체 등 모두가 행동에 나서고 있다. 특히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따른 에너지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시행에 따라 에너지자원 다소비 기관인 국내 대학사회도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이 현안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재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약를 위한 해결 방안으로 국내외의 대학들이 저탄소 그린캠퍼스(Low-carbon Green Campus)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저탄소 그린캠퍼스는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대학이 캠퍼스 내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벌여 캠퍼스 자체를 저탄소 사회로 만들어 가는 지속가능한 저탄소 캠퍼스이다. 저탄소 그린캠퍼스에 대한 개념을 파악하고자,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SD) 관점에서 대학의 역할 및 책임에 관한 그린캠퍼스를 아래와 같이 살펴보았다. 첫째, 지속가능한 발전의 등장배경,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발전 고려 사항과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 기후변화에 관한 대학의 역할과 책임을 강조한 그린캠퍼스 선언들을 시대적인 흐름에 따라 해외 및 국내 동향을 고찰하였다. 둘째, 전 지구적인 기후변화의 심각성이 대두됨에 따라 먼저 대학과 기후변화 사이에 어떤 연관관계가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해 외국 주요 대학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과 국내 대학의 에너지 사용현황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대학이 에너지 다소비 기관임을 밝히고자 한다. 셋째, 국내외의 대학에서 추진되고 있는 저탄소 그린캠퍼스 개념의 등장과 국내 대학들에서 추진되고 있는 그린캠퍼스 실천 사례들을 정리하였다. 또한 People & Planet Green League(영국), Cool Schools(미국), 에코대학 랭킹(일본) 및 미국 입시정보 업체인 “The Princeton Review”가 실시하는 순위제도(Ranking System) 비교를 통해 평가시스템 실시 전후에 대학사회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 지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통해 국내에서 현재 부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평가 제도와 종합하여 국내 대학에 적용가능한 그린캠퍼스 실천 매뉴얼 및 평가지표 도입의 필요성을 도출하고, 실제로 서울대학교(S대학), 고려대학교(K대학), 연세대학교(Y대학)에 대한 그린캠퍼스 평가를 통해 국내 대학간의 바람직한 평가제도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