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박정건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서울 소재 인문계 여자고등학교 총489명(비만 101명, 정상체중388명)을 대상으로 비만과 치아우식증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비만 청소년과 정상체중 청소년의 치아우식증 비율 및 빠진 치아, 치주 질환, 키, 몸무게, 가슴둘레 등의 자료는 2001년 5월 16일 및 17일에 이미 조사된 구강검사와 신체검사결과를 통해 수집하였다. 또한 일반적 특성과 구강보건행위 그리고 식습관에 관한 자료는 전체 22문항인 설문지를 통해 2001년 10월 24일 조사하여 동년 10월 27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 하여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비만에 따른 치아우식증 유병률을 추정하였고 t - 검정과 x^(2) - 검정을 이용하여 치아우식증과 관련 있는 요인을 연관성이 높은 변수를 찾고자하였다. 이변량분석에서 치아우식증과 유의 하다고 나온 변수들과 이 연구에서 관심 있는 변수를 가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여 비차비와 그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51.5%이고 치주질환 유병률은 23.7%이었다. 또한 비만학생의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79.2%이며 정상체중 학생의 치아우식증 유병률은 44.3% 이었다. 키는 치아우식증과 관련성이 없었으며 몸무게(p=0.0003)와 가슴둘레(p=0.0001)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치주질환과 어머니의 교육수준 및 야식의 횟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해 치아우식증에 걸릴 위험이 5배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001). 또 치주질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치아우식증에 걸릴 위험이 2배 높았다(p< 0.002). 어머니의 교육수준을 중졸 기준으로 할 때 고졸은 치아우식증에 걸릴 위험이1.8배 높았다. 야식의 횟수 중 0회를 기준으로 할 때 야식의 횟수가 1- 2회인 경우 치아우식증에 대한 위험이 2배 높았고 야식의 횟수가 3- 4회인 경우는 치아우식증에 걸릴 위험이 2.2배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A total number of 489 high school girls (101 obese girls and 388 girls with normal weight) was included . We collected the data of oral examination and physical examination on May 16, 2001 and may 17, 2001 respectively. To get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and diet habit, we executed survey with questionnaire comprising with 22 questions on October 24, 2001. We collected the questionnaire on October 27. We made the collected material as code and analyzed them with SAS package program. Initially, we assessed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general characteristics, oral health behavior, diet habit and dental caries by using t-test and chi-square. We estimated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ccording to obesity. To find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the dental caries t-test and x^(2)-test were used . Finally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ntal caries after the adjustment for candidate confounders.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e study; Prevalence of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were 51.5% and 23.7%, respectively. Prevalence of dental caries in obese group was 79.2% while normal weighted group was 44.3%. Weight (p=0.0003) and bust (p=0.0001)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dental caries in bivariate ananlysis. The odds ratio of dental caries in individuals with obesity was 5.0(2.9-8.5) after adjustment periodontal disease, and mother's education level and number of snack at night. With periodontal disease higher 2 times increase of dental caries (p<0.002) than that of without periodontal disease. If we set the middle school graduates in mother's education level as reference category, high school graduates show 1.8 times increase of dental caries. Times to have snack at night have shown meaningful association with dental caries. The odds comparied to 0 time ratio of dental caries in individuals with 1-2times and 3-4 times of night snack intake was 2.0and 2.2(1.2-3.9) respectively after adjustment for periodontal disease, mother's education level and obesity. In summary, obesity, periodontal disease, mother's education level, snack at nigh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in high school girls. Especially obesity is the most significant associated with dental caries. But this association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for their causal relationship.

      • 치아우식증의 경구 미생물군 조작치료에 대한 고찰

        김민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병원성 세균에 대한 치료가 아니기 때문에 이차 치아우식증이 발생할 위험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본 종설에서는 향후 치아우식증의 치료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는 oral microbiota modification therapy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Prebiotics는 특정한 미생물이나 미생물군의 성장이나 활동을 선택적으로 조절해 숙주의 건강에 이로움을 가져다 주는 난소화성 식품요소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prebiotics는 치아우식증에 대한 치료방법으로 기대되지만 현재까지는 주로 위장관 질환을 중심으로 연구가 되었고, 치아우식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Probiotics는 체내에 적절한 수준으로 들어왔을 때 건강에 이로운 microorganism을 말한다. 치아우식증에 대한 연구에서도 probiotics를 이용할 경우 구강 내 S. mutans와 치아우식증이 감소한 결과가 나왔다. 치아우식증 외에도 치주질환이나, 구취, 곰팡이 감염 질환에서도 probiotics가 치료방법으로 이용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연구도 있었다. 실제 임상에서 치료방법으로 이용되려면 앞으로 probiotics 세균의 안전성, 구강 내로 효과적으로 도입하는 방법등 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Replacement therapy는 병원성이 없는 S. mutans 돌연변이를 이용하여 치아우식증의 주요 유발세균인 병원성 S. mutans를 억제하는 치료법이다.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effector strain은 BCS3-L1 strain 으로 유전공학 기법을 이용해 세균에서 산을 생성하는 lactate dehydrogenase를 없애는 방식으로 만들어졌다. 이 strain을 이용한 in vitro 실험이나 동물실험에서 치아우식증을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앞으로 replacement therapy가 실제 치료방법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더 많은 effector strain이 개발되고, 그에 따른 안전성도 충분히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이처럼 치아우식증에 대한 oral microbiota modification therapy는 여러 연구에서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실제 치료방법으로 적용되기까지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성인 치아우식증 유병여부와 음식섭취 및 구강관리방법과의 관련성 : 2013년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배진영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목적 : 국내 중대 만성질환중 하나인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치아우식증 예방 및 구강건강증진의 예방계획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더불어 구강건강을 통해 국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이바지 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 제6기 1차년도(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전체 대상자 8,018명 중 구강검진에 응답한 19세 이상 성인 5,439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사회 경제학적 특성, 구강건강 관리방법, 음식섭취 빈도를 변수로 구분하여 chi-square test룰 실시하였고, 영양소 섭취량과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중 유의하게 나온 변수들을 추가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를 시행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은 5% (α=0.05)로 하였다. 결과 : 국내 성인의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학적 요인으로는 남자가 여자보다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았고(p=0.000), 연령이 낮을수록(p= 0.002), 교육수준이 낮을수록(p=0.008),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p=0.003)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시골에 거주하는 경우(p=0.001)와 육체적인 직업 종사자에서도(p=0.000)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구강건강 관리방법과의 관련성으로는 구강검진을 받지 않은 군의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았고(p=0.000), 식후 칫솔질을 한 번도 안한 군의 유병률이 37.1%로 가장 높았으며(p=0.002), 치실, 치간 칫솔을 사용하지 않은 군에서 치아우식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0). 치아우식증 유병여부에 따라 섭취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영양소는 비타민 C가 유일하였으며 치아우식증이 있는 사람의 1일 비타민 C 섭취량은 평균 90.69±108.65 mg으로 치아우식증이 없는 사람(평균 103.83±119.59 mg)에 비해 적었다(p=0.000). 탄수화물 섭취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치아우식증이 있는 군에서 더 많은 경향을 보였다(p=0.073). 섭취 빈도에 따라 치아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음식 분석 결과 총 112개 중 28개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섭취 빈도가 높은 군에서 치아우식증 유병 비율이 높은 음식에는 쌀밥, 라면, 짜장면 등의 면 요리, 돼지고기 삼겹살구이, 햄 등의 육류와 과일주스, 탄산음료, 커피, 소주가 있다. 섭취 빈도가 높은 군에서 치아우식증 유병 비율이 낮은 음식으로는 잡곡밥, 감자, 고구마, 오이, 무, 브로콜리 등의 채소 및 과일류와 멸치, 버섯, 땅콩, 호상 요구르트 등이 있었다. 결론 : 치아우식증의 유병여부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월평균 가구소득, 거주지 및 직업군에 영향을 받으며, 구강건강 관리방법에 따라 식후 칫솔질을 하지 않거나 치실, 치간 칫솔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C 섭취량이 적을수록, 탄수화물 섭취가 증가할수록 치아우식증 유병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으며, 섭취하는 음식 종류와 빈도에도 영향을 받았으나 같은 식품군의 음식이라도 요리 방법 등에 따라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나 이와 관련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an important chronic disease, in providing essenti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prevention programs and eventually to improve people's quality of life through promoting public oral health. Methods: From the research data of the 2013 Korean National Examinatio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5,439 adults older than age 19 who responded to dental examination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a total of 8,018 persons. The Chi-square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dental caries and other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ral health management method, and frequency of food intake. The amount of nutrient intake was analysed by t-test. Finall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variables reveal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preceding tests. All the analyses were executed using the SPSS version 21.0 (SPSS Inc., Chicago, IL, USA).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set at 5% (α=0.05). Results: Among socioeconomic factors, sex,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and occupation were the variables affecting dental caries.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was higher in males (p=0.000), younger age groups (p= 0.002), lower education level (p=0.008), households with low monthly income (p=0.003), rural residents (p=0.001), and blue collar (p=0.000).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management of oral health. People who didn't undergo oral examinations in the last year showed higher prevalence than people who did (p=0.000). The prevalence of people who didn't brush teeth after each meal was 37.1%, the highest among the four group(p=0.002) and the prevalence of people who didn't use dental floss or an interdental brush were higher than those who used oral hygiene products (p=0.000). Vitamin C was the only nutrient tha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ith, and without dental caries. The mean vitamin C intake of people with dental caries was 90.69±108.65 mg and it was less than 103.83±119.59 mg, mean vitamin C intake of people without dental caries (p=0.000). The carbohydrate intake didn'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llowing the presence of dental caries, although the carbohydrate intake of people with dental caries was larger than people without dental caries (p=0.073). The food intake frequency also affected dental caries and 28 food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f a total of 112 food items. The groups with higher intake frequency of rice, instant noodle, jajangmyeon, pork belly, ham, fruit juice, carbonated drinks, coffee and soju had higher prevalence ratio of dental caries. The higher intake frequency of multigrain rice, potato, sweet potato, vegetables such as cucumber, daikon, broccoli, fruits, anchovy, mushroom, peanut, and semisolid yogurt resulted in lower prevalence ratio of dental caries in reverse. Conclusion: Dental caries prevalence was affected by sex, ag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residential area, and occupation. The oral health management method also affected dental caries. People who didn't brush teeth after meals or didn't use dental floss and an interdental brush had higher prevalence. Lower vitamin C intake and higher carbohydrate intake had a tendency to increase the dental caries prevalence ratio. The types of food and intake frequency were other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ed the prevalence of dental caries. However, different cooking methods altered the effect of food on dental caries even though the ingredients were the same.

      • 120 KDa 단백질이 다발성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

        장희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702

        다발성 치아우식증(rampant caries)은 많은 치아가 빠른 속도로 이환되어 파괴되는 현상으로 치아우식증을 진행정도와 진행속도에 따라 분류한 것 중 하나이다. 이 질환은 아직 치료 방법이나 예방 차원에서 많은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질병으로 정확한 원인 또한 규명하지 못한 상태이다. 그러나 자당 성분의 잦은 섭취나 타액 분비의 감소, 또는 이 두 가지 원인이 각각 또는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Streptococcus mutans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이환에 관여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영구치열을 가진 청소년이나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된 것이므로 치아우식 활성이 높은 집단과 치아우식 활성이 낮은 집단의 특성을 대변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만 3 세에서 만 5세 사이에 주로 나타나는 질환인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의 집단을 치아 우식 활성이 높은 집단(실험군)으로 설정하고 정상 유아의 집단을 치아우식 활성이 낮은 집단(대조군)으로 정하여 두 집단 사이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DMFT : Decay, Missing, Filling ≥ 17) 15 명과 정상 유아(DMFT = 0) 15 명을 각각 치아우식 활성이 높은 집단과 치아우식 활성이 낮은 집단으로 선정한 후, 전타액을 받아 전기영동하였다. 그 결과 약 120 KDa 단백질이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의 타액에서는 나타난 반면, 정상 유아의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에게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약 120 KDa 타액 단백질이 치질면에 부착하는 세균 능력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전 단계로써, 전타액으로 세균부착능 실험을 실시하여 그 값을 비교 해 보았다. 그 결과,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의 부착능 값이 정상 유아의 값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으나,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의 집단에서 약간 높은 값을 보였다. 더욱이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의 세균부착능 값을 성별로 비교해 보면, 여자 아이인 경우보다 남자 아이인 경우 더 높은 값을 보였고 환자 수에 있어서도 세균 부착능의 값이 큰 남자 아이가 11 명으로 세균부착능의 값이 낮은 여자 아이 4 명에 비해 남자 아이가 숫적으로 많은 경향을 보였다. 즉 환자 수가 많은 집단에서 세균 부착능의 값이 큰 것으로 보아 약 120 KDa의 단백질을 분리하여 세균 부착능 실험을 하였다면 정상 유아 집단과 다발성 치아우식증 환자 집단 사이에 유의적인 값의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따라서 타액내 약 120 KDa 단백질이 다발성 치아우식증의 이환에 관여할 것으로 보이고, 세균 부착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salivary proteins are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However,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to find out the role of each salivary protein in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little has been achieved so far. Therefore, I have investigated whether any differences exist between patients with rampant caries(caries-susceptible group, DMFT value : Decay, Missing, Filling value ≥ 17) and children with no caries(caries-resistant group, DMFT value = 0) in terms of protein components in saliva. Whole salivas were collected from the children in each group and SDS gel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at 125 V/cm for 3-4 hours to separate the salivary proteins. As a result, I have identified a specific protein which has a molecular weight of approximately 120 KDa. This protein was only observed in the saliva obtained from the children in the caries-susceptible group. Since this protein has not been identified in the saliva from the children of the caries-resistant group, 120 KDa protei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dental car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ole of this protein in the capacity of bacterial attachment to tooth surface, I have also examined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capacity in the attachment of Streptococcus mutans to hydroxyapatite between the salivas obtained from these two groups. Although an attachment value obtained from the caries-susceptible group was slightly greater than that obtained from the caries-resistant group,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value was significantly bigger in male than the value in female. Moreover,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 sex in rampant caries has a difference. The male patient has a higher attachment value and patients' number (n = 11) than in female patient (n=4). As above results, I suspected that an attachment value will be significantly bigger in rampant caries than that in control, if I experiment on attachment with approximately 120 KDa protein which is seperated from the rampant caries. Therefore, approximately 120 KDa protein in saliva will be related with rampant caries and have an elevating effect on bacterial attachment to tooth surface.

      • 미취학 아동의 체중신장지수(WLI)와 혈액성분이 치아우식증에 미치는 영향

        임순환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1

        유치에서 발생되는 치아우식증은 영구치의 맹출에 나쁜 영향을 미치므로 아동의 치아우식증을 예방하는 것은 아동의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건강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학령기 이전의 아동에게 구강건강 및 올바른 식생활 형성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경기도 화성시에 거주하며 관 내 유치원(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어린이들 중 보호자로부터 동의서를 제출한 5세(69명)와 6세(103명) 어린이들 172명을 대상으로 체중신장지수(weight length index, WLI)와 혈액성분을 분석하고, 이것들과 유치우식증의 관계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체중신장지수에 의하여 미취학아동 172명의 비만도를 분류하면 저체중군이 16명으로 9.3%이고, 정상 체중군이 125명으로 72.7%이며, 과체중군이 31명으로 18%이었다. 이 비만도에 따른 유치우식경험율(dmf rate)을 보면 저체중군에서 87.50%이고, 정상 체중군에서 71.20%이며, 과체중군에서 83.87% 이므로 정상 체중군보다 비정상체중을 가진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우식경험유치율(dmft rate)의 경우 저체중군에서 48.43%이고, 정상 체중군에서 37.10%이며, 과체중군에서 47.17%이므로 정상 체중군보다 비정상체중을 가진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식경험유치지수(dmft index)도 저체중군에서 3.9개이고, 정상체중에서 3.0개이며, 과체중군에서 3.8개로서 정상 체중군보다 비정상체중을 가진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상 체중군보다 비정상체중을 가진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이 유치우식증을 나타내는 유치우식경험율(dmf rate)과 우식경험유치율(dmft rate) 그리고 우식경험유치지수(dmft index) 등에서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나서 유치우식증 예방을 위해서 정상체중을 유지하여야함을 알 수 있었고, 정상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가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혈액 내의 영양성분과 유치우식증의 관계는 치아우식비 경험 아동과 모든 피검치아에서 치아우식을 경험한 아동사이에서 혈액내 무기물 영양성분의 함량 비교 시 치아우식비경험 아동의 치아에서 이들 무기물 함량이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었으나 인(phosphorous)이외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혈액형과 우식경험유치지수(dmft index)간에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식경험유치지수(dmft index)가 AB형에서는 2.6개이고, O형에서는 2.7개인데 A형에서는 3.5개이고, B형에서는 3.6개이므로 AB형과 O형에서보다 A형과 B형에서 높게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으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미취학 아동들의 평균체중과 신장은 대한 소아과 학회의 기준치와 비슷하였고 유치우식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성별, 연령, 체중, 혈액형 등이 있으나 대부분 선천적인 것이며 후천적인 것은 비정상체중 뿐이므로 구강보건교육 시 올바른 구강관리습관을 갖도록 지도함은 물론이고 나아가 치아우식증을 유발하는 음식을 가급적 피하고 지역사회 구강관리 실태와 치아우식증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식습관과 올바른 식생활습관을 통해서 정상체중을 유지하도록 지도하여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Dental caries taking place with milk teeth affects eruption of permanent teeth adversely, and thus, it is very important to prevent dental caries from taking place with a child in maintaining his/her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health. In this study 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to be required for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letting preschool children form a habitual life for oral health and right dietary life, a total 172 children aged 5 years and 6 years were selected from children who lived in Hwasung-si, Kyunggi-do and attended preschools (childrens houses) located there with the consent of their guardians. Then, the weight length index (WLI) and blood components of each child were analyzed, and each relation between the weight length index (WLI) and dental caries of milk teeth and between blood components and dental caries of milk teeth was comparatively examined, and thereby,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case the 172 preschool children were classified by their obesity according to the weight length index (WLI), 16 children belonged to the under-weight group accounting for 9.3%, 125 children belong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accounting for 72.7%, and 31 children belonged to the overweight group accounting for 18%. When the dmf rate of each group according to the obesity was examined, it was found to be 87.50% in the under-weight group, 71.20%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83.87% in the overweight group. Thus, the dmf rat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and the overweight group having an abnormal weight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when the dmft rate of each group was examined, it was found to be 48.43% in the under-weight group, 37.10%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47.17% in the overweight group. Thus, the dmft rate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and the overweight group having an abnormal weight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Also, when the dmft index of each group was examined, it was found to be 3.9 in the under-weight group, 3.0 in the normal weight group and 3.8 in the overweight group. Thus, the dmft index was found to be higher in the under-weight group and the overweight group having an abnormal weight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That is to say, the under-weight group and the overweight group having an abnormal weight were found to be higher in all of the dmf rate, the dmft rate and the dmft index than the normal weight group. It could be, therefore, known that normal weight should be maintained in order to prevent dental caries of milk teeth. And, it is thought that a right dietary life habit ensuring intake of balanced nutrients should be formed for maintenance of a normal weigh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nutrient components in blood and dental caries of milk teeth, in the case of children with no dental caries, inorganic nutrient components of blood had a tendency to be a little higher, but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therein.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blood type and the dmft index. That is to say, the dmft index was found to be 2.6 in Type AB blood,2.7 in Type O blood, 3.5 in Type A blood and 3.6 in Type B blood. It was, therefore, found to be higher in Type A and B blood than in Type AB and O blood.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more studies on the relation between dental caries of milk teeth and blood type in the future. To summarize this study, the mean weight and length of preschool children were similar to references published by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Factors affecting dental caries of milk teeth include sex, age, abnormal weight, blood type, etc., but most of them are congenital factors and an acquired factor is only the abnormal weight. It is, therefore, thought that children should be instructed through a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 to form a dietary habit and a dental care habit of avoiding any food inducing dental caries as far as possible by controlling a diet, and for prevention of dental caries by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actual conditions of dental care and dental caries in the local community, and further to maintain the normal weight through a right dietary habit.

      • 비만과 치주염 및 치아우식증과의 연관성

        김은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0

        비만은 심혈관계질환, 제 2형 당뇨, 암 발생, 수면무호흡증과 같은 호흡기질환 및 퇴행성 관절염 등의 치명적인 질병들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유청소년기의 비만은 성인 비만으로의 이행이 쉽고, 비만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유청소년의 비만에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비만과 구강 내 대표 질환인 치주염과 치아우식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구강 상병별 호발 연령대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치주염과 비만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제4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성인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검토하였고, 치아우식증과 비만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부산광역시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치주염과 비만과의 연관성 연구는 제4차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 중 인체계측자료가 존재하고 구강검사를 시행한 총 3,45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만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사용한 지침인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와 한국비만학회에서 분류한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및 복부비만의 지표인 허리둘레(WC, Waist Circumference)를 사용하여 정의하였다. 치주염 지표는 지역사회치주지수(CPI, Community Periodontal Index)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사회경제학적 변수, 구강건강행위, 전신건강에 관련된 변수를 공변수로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외 분산분석,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치아우식증과 비만과의 연관성은 부산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만지표는 2007년 대한소아·청소년학회에서 정한 소아·청소년의 성별, 연령별 체질량백분위수의 분별점을 이용하여, 정상군, 비만 위험군, 비만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였다. 치아우식증은 우식경험영구치수(DMFT index)와 6년간 우식경험치수 증감량(ΔDMFT)와 우식경험치면 증감량(ΔDMFS)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카이제곱 검정과 분산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비만인 유·청소년과 정상 유·청소년을 비교해보았다.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 분석 결과, 치주염과 고도비만(BMI ≥ 30) 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오즈비(OR, odds ratio)는 2.066 (95% CI: 1.406, 3.306) 으로 체질량지수 정상범위의 사람에 비해 비만인 사람에서 치주염위험이 높아졌다. 또한 고도 복부비만(남: WC ≥102 cm, 여: ≥ 88 cm) 과 치주염도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오즈비는 1.305 (95% CI: 1.049 - 1.839)로 정상인 사람에 비해 고도 복부비만인 사람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우식경험영구치수와 6년간의 우식경험치아의 증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비만일수록 우식경험치아의 수가 작아지는 경향성을 확인했다. 혼동변수를 보정한 후, 우식경험치아의 증감은 비만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다(p=0.045). 오즈비는 0.232로 비만할수록 6년간 우식경험치아 수는 감소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n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obesity among Korean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nd to find the association between caries and obesity among sixth grade children in D elementary school in Busan. First, 4,246 subjects over 19 to 59 years who participated in KNHANES, a cross-sectiona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2007. Participants underwent a periodontal examination and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overall health status. Body mass index (BMI) and waist circumference (WC) were used as measures of overall body fat and upper body fat. Standard BMI and WC cutoff points were employed, as established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and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Periodontal status was assessed by Community Periodontal Index (CPI) and periodontitis was defined as equal and more than “code 3”.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adjusting for following variables: gender, age, household income, bedtime tooth brushing habits, use of dental floss, use of an interproximal toothbrush, presence of active tooth decay, the number of decayed, missing, or filled permanent teeth, diabetes mellitus and present smoking statu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BMI and periodontitis. Severe obese people with BMI ≥ 30 had an adjusted odds ratio (OR) of 2.066 (1.406 to 3.036) for having periodontitis. Also, we foun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severe abdominal obesity (≥ 102 cm for male, ≥ 88 cm for female) and periodontitis. After adjusting for all covariates, the adjusted OR for periodontitis was 1.305 (1.049 to 1.623). And in the other study between caries and obesity, four dentists examined oral caries status (the number of decayed, missing, or filled permanent teeth and the number of decayed, missing, or filled permanent surface) and factors influencing caries (Dentocult® LB, Dentocult® SM, buffer capacity, saliva flow in 5 minute) in 140 sixth grade school children. Also, the children answered the questionnaires whether or not they got through oral education, whether mother had a job or not, regular dental visits. Height (m) and weight (kg) were measured to find age-gender specific percentile BMI. We did not fin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DMFT index, ΔDMFT, ΔDMFS and obesity. But we found the negative tendency between obesity and caries. In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djusting for variables, the increment of DMFT for years (ΔDMFT)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obesity adversely. In conclusion, a severe obesity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This finding shows that abdominal obesit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riodontitis. We also found the association between caries and obesity in children. However, obese children had less permanent caries, as categorizing gender- and age- specific percentile obesity guided by Korean Pediatric Association, respectively.

      • 미취학 자녀 부모의 구강 건강지식 및 행태와 자녀의 치아우식 치료 경험의 관련성

        유은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7

        치아우식증은 하나의 원인으로만 발병하는 질병이 아니라, 환경, 식이, 생활습관, 구강에 대한 개인적인 지식 및 행동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다인자적 질병이다. 특히 미취학 자녀들의 치아우식증은 부모의 구강건강에 대한 지식, 행동과 관련 있음이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 치아우식증의 발생을 줄이고 조기발견으로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해 영유아 구강검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등 국가적인 검진이 정기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이는 특정 연령에 대해서만 시행되었고, 검진 시 검진 대상 자녀와 보호자의 설문 자료가 연계되지 않아 치아우식 관련요인 중 개인적인 식습관이나 행태 이외에 부모의 구강건강 지식, 행태 요인과 자녀의 치아우식 경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부모의 구강건강 지식과 행태, 인구 사회학적 특성, 자녀의 구강건강 행태와 자녀의 치아우식치료 경험과의 관련성을 알아봄으로써 연구대상지역 미취학 자녀들의 치아우식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5년 1월 15일에서 2월 13일까지 경기도 시흥시 9개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자녀와 부모 총 400명을 대상자로 임의 표출하여 부모 자가 보고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중 지난 1년간 치과 방문 경험이 있는 253명의 학부모와 그의 자녀를 분석 하였다. 설문 문항은 부모의 구강건강 지식 및 행태와 자녀의 치아우식경험 관련 선행연구, 그리고 2012년 국민 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일부 변경하여 자녀에 관한 설문 17문항, 부모에 관한 설문 2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미취학 자녀 부모의 구강건강 지식과 구강건강 행태가 자녀의 치아우식 치료 경험여부와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SAS 9.2 version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카이제곱(X2-test /Fisher's exact test) 검정, 다변수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자녀의 치아우식 치료 경험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부모의 전체 구강건강 지식 수준은 자녀의 치아우식 치료 경험과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3) 부모의 구강건강 행태 중 불소치약을 사용하는 부모는 불소치약을 사용하지 않는 부모에 비해 자녀가 치아우식 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3.83이었고(95% CI: 1.38-10.64), 부모의 하루 칫솔질 횟수가 많은 경우 자녀의 치아우식증 치료 경험은 적었다. 또한 부모의 하루 당분함유 간식섭취 횟수가 0-1회인 집단에 비해 2회인 집단의 자녀가 치아우식 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2.52이었다(95% CI: 1.15-5.52). 부모의 구강건강 지식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수를 보정한 후에는 하루 2회 간식섭취한 부모의 자녀가 하루 0-1회 간식 섭취한 부모에 비해 치아우식증 치료를 경험할 오즈비는 2.78이었다(95% CI: 1.21-6.39). 4) 자녀의 구강건강 행태 중 칫솔질 방법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자녀가 칫솔질 방법 교육 경험이 없는 자녀에 비해 치아우식 치료를 경험할 오즈비가 2.06이었고(95% CI: 1.13-3.79), 불소가 함유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하는 자녀에 비해 불소함유 치약을 사용하는 자녀가 치아우식을 경험할 오즈비가 2.48이었다(95% CI: 1.18-5.21). 하루 0-1회 당분 함유 간식을 섭취하는 자녀에 비해 하루 3회이상 당분 함유 간식을 섭취하는 자녀가 치아우식 치료를 경험할 오즈비는 3.93이었다(95% CI: 1.73-8.95). 미취학 자녀 부모의 구강건강 지식과 자녀의 치아우식증 치료 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부모의 구강건강 행태와 자녀의 치아우식증 치료 경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부모의 하루 칫솔질 횟수가 증가할수록 자녀의 치아우식증 치료 경험은 적었으며, 부모가 당분이 함유된 간식을 많이 섭취하면 자녀의 치아우식 치료경험이 많았다. 따라서 부모의 구강건강 행태와 미취학 자녀의 치아우식증 간의 관련성과 구강건강 개선 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Dental caries is not a disease that occurs by a single cause but is known to be a multifactorial disease that occurs from various reasons such as the environment, food, daily life habits, personal knowledge of oral cavity, behaviors, etc. Especially for children whom are pre-schoolers, dental caries is being reported in many researches that the disease has much relations with the parent's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their behaviors. Periodic checkups such as pre-schooler's dental screenings, survey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oral health in Korean citizens have been practiced in a national state point of view to decrease the occurrence of dental caries and increase the treatment effects by early findings. However, these practices were practiced only in a special age group and as surveying materials did not have any ties with the children targeted for the inspections and their guardians, relations with dental caries such as personal eating habits or behaviors and knowledge of oral health of parents and their behaviors, it has been an obstacle to realize the relations there are between behavior patterns and children whom have faced dental caries. Therefore, this research has the parents of the pre-schoolers targeted for surveys to acknowledge their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behaviors, sociology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behaviors regarding their children's oral health and relations with experience their children had when diagnosed with dental carie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improve the pre-schooler's dental caries at the targeted researching region. From January 15, 2015 to February 13, a total of 400 parents of pre-schoolers that attend 9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iheung, Gyeonggido were randomly chosen for the self-report survey while 253 of these parents who had experiences in visiting a dentist during the last year with their children were actually analyzed. Questions of the survey used survey questions that were partly modified from the Korean citizen oral health investigating surveys that were held in 2012 and previous researches that regarded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parents and their behaviors. 17 questions were related with their children while 26 questions were related with the parent. With the results, analysis was conducted whether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parents of pre-schoolers and behaviors regarding oral health had any relations in whether or not children received dental caries treatment. By using the SAS 9.2 version,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hi-square were (X2-test/Fisher's exact test) used to verify the results while the data went through multi-variate variable logistics regression analysis. Research results were as below. 1) Dental caries experiences with the children in conformity with the sociology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paren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2) The overall level of oral health knowledge in parents did not show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 child's experiences in dental caries treatment. 3) Regarding oral health behaviors and comparing parents that use fluoride toothpaste and parents that do not use fluoride toothpaste, when parents do not use fluoride toothpast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had 3.83 odds ratio(95% CI: 1.38-10.64) chance in experiencing dental caries while when the parents have high numbers of tooth brushing in a day, their children had lower experiences of receiving dental caries treatment. Also, compared to groups where parents ate contain sugar snacks 0 to 1 time a day to a group that ate contain sugar snacks which contain sugar snacks 2 times a day,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 group that ate contain sugar snacks twice a day had 2.52 odds ratio(95% CI: 1.15-5.52) that their children will experience dental caries treatment. After revising the variables of the parent's knowledge of oral health and sociology of population characteristics, parents that ate 2 contain sugar snacks a day had 2.78 odds ratio(95% CI: 1.21-6.39) that their children will experience dental caries treatment compared to parents that ate snacks 0 to 1 time a day. 4) In regards of the children's oral health behaviors, children that did not receive education on tooth brushing methods had 2.06 odds ratio (95% CI: 1.13-3.79) of experiencing dental caries treatment than children who have received the education. Also, children that use fluorine toothpaste showed 2.48 odds ratio(95% CI: 1.18-5.21) in experiencing dental caries treatment than children that does not use fluorine toothpaste. Children that eats more than 3 snacks a day showed to have 3.93 odds ratio(95% CI: 1.73-8.95) of experiencing dental caries treatment than children whom ate snacks 0-1 time a da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not founded between the oral health knowledge of pre-schooler parents and their children experiencing dental caries treatment but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ed between the oral health behaviors of parents and their children experiencing dental caries treatment. When the parents's number of times in brushing their teeth increases per day, their children's experiences in dental caries treatment would decrease while when the parents intake snacks that contain sugar, it showed there would be increases in their children experiencing dental caries treatment. Therefore, relations between the parent's behaviors to oral health and their children's treatment of dental caries and ways to improve oral health will need continuous researches in the future.

      • 치아우식증 고위험군 소아청소년의 구강특성 및 위험요인

        정윤숙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high caries risk group for adolescents in Korea. Methods: The oral health status and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from 18,112 children (9,734 males, 8,378 females), aged 10, 12, and 15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Oral Health Survey in 2010. The DMFT values of the subjects were sorted. The upper one third was selected as the SiCgroup (N=6,579) and the other were classified as the Middle group(N=4,466) and Caries-free group(N=7,067). This study used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rea of residence. The variables for the oral health behavior were the number of dental sealants of the first molar, self-perceived oral health, average frequencies of tooth brushing per day and the mean frequency of daily snack consumption. The variables for the oral health status were the mean number of DMFT, and SiC (Significant Caries) index. The associations between the demographic and social variables, oral health status, oral health related-consciousness and behavior and high risk group were evaluat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ome of the high caries risk group had not sealant teeth on the first molar (46.8%) and lived nly in metropolitan areas (38.5%, p<0.05). The determinants of the high risk group were whether the first molar was sealed (‘0’, OR=25.4), self-perceived oral health (‘fair’, OR=1.77, ‘poor’, OR=2.93).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gh caries risk group in Korean adolescents were nothing sealant teeth on the first molar, poor self-perceived oral health, gender and age.

      • 인접면 치아우식증 진단방법의 타당도와 검사자간 신뢰도

        김영남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6

        본 연구는 현재 인접면 치아우식증 진단에 사용되고 있는 진단 방법의 타당도와 검사자간 신뢰도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복되거나 변연 융선의 결손이 없는 80개의 발거된 소구치 및 대구치를 선택하여 1인의 치과의사가 우선 직접 시진을 시행한 후 구강내에서와 같은 배열로 치아를 심어 악모형을 제작하였고, 치아 모형상 접촉되는 118개 인접면을 대상으로 15명의 치과의사가 치과대학 임상실습용 dental practice table unit에서 표준화된 조건하에 시진, 시진+탐침, 시진+FOTI (fiber-optic transillumination), 교익방사선사진검사, 시진+교익방사선사진검사를 시행하였다. 이때 치아 모형을 무작위순으로 검사하여 각각의 평가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였다. 조직학적 절편상 상아질 우식증 및 법랑질 우식증을 기준으로 15명의 치과의사에 대해 각 진단법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인접면 상아질 우식증의 경우 민감도의 평균값은 시진, 시진+탐침, 시진+FOTI, 교익방사선사진검사, 시진+교익방사선사진검사가 각각 0.35, 0.29, 0.34, 0.40, 0.48이었으며, 특이도의 평균값은 0.91, 0.94, 0.98, 0.98, 0.99였다. 양성예측도는 시진, 시진+탐침에 비하여 시진+FOTI, 교익방사선사진검사, 시진+교익방사선사진검사가 뚜렷이 높았고, 음성예측도는 5가지 검사가 모두 비슷하였다. 2. 인접면 상아질 우식증의 경우 검사자간 신뢰도는 민감도+특이도 값이 가장 높은 사람을 기준 검사자로 하였을 때, 시진과 시진+탐침은 불량하였고 (kappa<0.4), 시진+FOTI, 교익방사선사진검사, 시진+교익방사선사진검사는 양호하였다 (0.4<kappa<0.75). 3. 인접면 법랑질 우식증의 경우 민감도의 평균값은 시진+FOTI, 교익방사선사진검사, 시진+교익방사선사진검사가 각각 0.26, 0.20, 0.27이었고, 특이도의 평균값은 0.88, 0.89, 0.92였다. 양성예측도는 교익방사선사진검사와 시진+FOTI에 비해 시진+교익방사선사진검사가 뚜렷이 높았고, 음성예측도는 3가지 검사가 모두 비슷하였다. 4. 인접면 법랑질 우식증의 경우 검사자간 신뢰도는 민감도+특이도 값이 가장 높은 사람을 기준 검사자로 하였을 때, 시진+FOTI와 시진+교익방사선사진검사는 불량하였고 (kappa<0.4), 교익방사선사진검사는 양호하였다 (0.4<kappa<0.75). 5. 직접 시진으로 관찰한 인접면의 임상 양상과 조직학적 병소 깊이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와동이 형성된 치아의 대부분이 상아질 우식증을 가졌으며, 와동이 형성되지 않은 변색 병소의 대부분은 법랑질 우식증이었다. 와동형성유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상아질 우식증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0.75, 0.98로 매우 높았고, 와동이 형성되지 않은 변색 병소의 유무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법랑질 우식증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는 0.95, 0.94로 역시 매우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상아질 우식증 및 법랑질 우식증에 대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진단법의 타당도는 특이도 측면에서는 적절하나 민감도 측면에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신뢰도는 보조적 진단도구인 FOTI나 교익방사선사진이 함께 사용될 경우 적절하였으나 별도의 보조적 진단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시진만 한 경우에는 검사자간 신뢰도가 상당히 낮았다. 따라서, 인접면 치아우식증의 조기 진단 및 예방을 위한 보조적 진단도구의 개발에 있어 민감도의 향상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모든 치아에 대해 기본적으로 행해지는 진단 방법인 시진의 검사자간 변이를 적절한 수준으로 낮출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요청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validity and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current methods for diagnosis of approximal caries. Eighty extracted premolars and molars without fillings or marginal defects were selected. Firstly, selected teeth were examined using direct visual inspection by one dentist, and ten models of mandibular or maxillary arch each containing 12 contacting approximal surfaces were constructed. 15 dentists were asked to examine for approximal caries under standard condition in a dental practice table unit. The methods employed were visual inspection (VI), visual inspection combined with probing (VI+P), visual inspection combined with fiber-optic transillumination (VI+FOTI), conventional bitewing radiography (BW) and visual inspection combined with conventional bitewing radiography (VI+BW). Histological sections of the teeth were examined to give the valid state of disease in each surfa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ase of histological dentin caries, the mea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lues were VI = 0.35 and 0.91, VI+P = 0.29 and 0.94, VI+FOTI = 0.34 and 0.98, BW = 0.40 and 0.98, and VI+BW = 0.48 and 0.99,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s of VI+FOTI, BW and VI+BW were markedly higher than those of VI and VI+P.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five methods were similar. 2. In case of histological dentin caries,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VI and VI+P were poor (0<kappa<0.4), but that of VI+FOTI, BW, and VI+BW were good (0.4<kappa<0.75). 3. In case of histological enamel caries, the mea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lues were VI+FOTI = 0.26 and 0.88, BW = 0.20 and 0.89, and VI+BW = 0.27 and 0.92,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of VI+BW was markedly higher than those of BW and VI+FOTI.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s of three methods were similar. 4. In case of histological enamel caries,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VI+FOTI and BW were poor (0<kappa<0.4), but that of VI+BW was good (0.4<kappa<0.75). 5. Sensitivity and specificity values of direct visual inspection were 0.75 and 0.98 for histological dentin caries, and the values for histological enamel caries were 0.95 and 0.94,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validity of current methods for the diagnosis of approximal caries is acceptable for specificity but unsatisfactory for sensitivity. Interexaminer reliability of clinical examination using diagnostic aids such as FOTI, BW was generally good. But results of unaided clinical examination was very variable between examiners like many other previous studies. From this study, it is implied that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aids with improved sensitivity is necessary and that further study is needed about how to reduce interexaminer variation of unaided clinical examination to appropriate level.

      • 한국인 영구치 치아우식증 분포양상 : 2000년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자료에 근거한 SiC index와 치아, 치면별 분석을 중심으로

        이영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85

        한국인의 연령별 영구치 치아우식증 양상을 알아보고자 2000년도 국민구강 건강실태조사에 근거하여 영구치 치아우식증 상태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영구치가 맹출하기 시작하는 시기인 6세 이상만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연령별 DMFT 분포, DMFT index와 SiC index, 치열 내 치아종류별 우식유병률과 제1대구치에서 치면별 우식증 상태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아우식증은 모든 연령에서 정규분포하지 않았으며 우식병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소수의 집단, 즉 치아우식증 고위험군이 존재함을 확인하였고, 우식유병률이 한쪽으로 치우친 분포 양상(rightly skewed distribution)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편향성(skewness)은 연령이 낮아질수록 두드러졌다. 2. 12세 아동의 DMFT index는 2.86, SiC index는 6.14로 나타났다.. 3. SiC index는 DMFT index보다 약 1.4∼3.0배 높았다. 4. 성별 분석에서 DMFT index는 모든 연령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고 (p<0.01), SiC index는 6-8세, 10-13세에서 남자보다 여자가 높았다(p<0.05). 5. 지역별 분석에서 DMFT index는 8세, 14세에서는 농촌보다 도시가, 60-69세는 도시보다 농촌이 높았고, SiC index는 6-8세, 14세, 30-49세는 도시보다 농촌이 높았고, 60세 이상에서는 농촌보다 도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6. DMFT index와 SiC index를 구성성분인 우식, 충전, 상실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6세에서는 우식이, 7세에서 49세까지는 충전이, 50세 이후로는 상실이 가장 주된 구성요소였다. 7. 치열 내 치아종류별 우식경험률은 제1대구치가 가장 높았으며, 상악 제1대 구치보다 하악 제1대구치가 더 높았다. 8. 치면별 우식경험 분석에서 상악 제1대구치는 6세에서 49세까지는 교합면, 설면, 근심면, 원심면, 협면 순으로 50세 이후로는 교합면, 근심면, 원심면, 설면, 협면 순으로, 하악 제1대구치는 6세에서 29세까지는 교합면, 협면, 근심면, 원심면, 설면 순으로 30세 이후로는 교합면, 협면, 원심면, 근심면, 설면 순으로 우식 및 충전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식 및 충전에 가장 많이 이환된 치면이 교합면이었다. 9. 제1대구치를 상실하게 되는 가장 주된 원인은 우식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 SiC index는 우식경험을 나타내는 새로운 지수로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새로운 지수로 치아우식증 고위험군에 대한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을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공중구강보건 정책을 기획하고 실행함에 있어 고위험군 집중관리법으로 예방 전략의 전환이 요구될 것이고 여기서 SiC index가 유용할 것이며, 더불어 SiC index는 구강보건을 위한 새로운 목표 설정에도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 하고 있다. A population-based epidemiologic survey about dental caries status of permanent teeth was conducted over 6 years old Korean people who were selected through a random sampling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urrent status of caries distribution, the DMFT index, the SiC index, and tooth and surface pattern of dental caries by age.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 detailed analysis of the caries prevelance showed skewed distribution of the disease: at specific age, a subgroup had high or very high DMFT values, while the rest of the population showed low DMFT or were totally caries-free. Therefore, expressing caries prevalence as the mean DMFT value does not correctly reflect the skewed distribution, leaving high caries groups to remain undiscovered in the population. 2. The DMFT index of the 12-year-olds was 2.86 and the Sic index was 6.14. 3. The study showed almost an linear relation between the mean DMFT values and the SiC index. The SiC index increased (decreased) by around 3 DMFT units when the mean DMFT included in this study increased (decreased) by around 2 units. 4. Females experienced more caries than males(p<0.01). The SiC index in females was higher than in males at the age of 6-8 and 10-13 years(p<0.05). 5. The DMFT index in urban areas was higher than in rural areas at the age of 8 and 14 years, and vice versa at the age of 60-69 years. The SiC index in rural areas was higher than in urban areas at the age of 6-8, 14, and 30-49 years, and vice versa at the age over 60 years. 6. D(Decayed) was the major component of the DMFT index by 6 years old children in Korea. F(Filled) was the major component of the DMFT index in Korean population aged 7-49 years. M(Missing) was the major component of the DMFT index in Korean population aged over 50 years. 7. Caries prevalence rate of the first permanent teeth was the most highest of all tooth types. Caries prevalence rate of the lower first permanent molar was more higher than the upper first permanent molar. 8. Occlusal surfaces were the most common site for caries in first permanent molars. In upper first permanent molars, the order of caries susceptible surface sites was occlusal, palatal, mesial, distal, and buccal surfaces at the age of 6-49 years and the order was occlusal, mesial, distal, palatal, and buccal surfaces at the age over 50 years. In lower first permanent molars, the order of caries susceptible surface sites was occlusal, buccal, mesial, distal, and lingual surfaces at the age of 6-29 years and the order was occlusal, buccal, distal, mesial, and lingual surfaces at the age over 30 years. 9. The major reason for missing of first permanent teeth was caries. Based on the results, the caries prevelance shows skewed distribution of the disease and there was a high caries risk group. Caries prevalence rate of the first permanent teeth was the most highest of all tooth types and occlusal surfaces were the most common site for caries in first permanent molars. The new 'Significant Caries Index' will be very useful to express caries experience and will provide the data about the individuals with the higher caries scores in each population. Also the SiC index will be appropriate for setting the oral health goal. Using the SiC index can lead to more specific and targeted approach focusing the interest on the high risk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