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폐암 치료비용 및 약품비 분석 : 면역관문억제제 도입 전후를 중심으로

        전성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Lung cancer is the largest cause of cancer-related fatalities in Korea, with a dismal prognosis in all types of cancer.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nature of the condition, it is seen as having a very high economic burden. According to local statistics, the number of people with the disease has consistently increased since 2015, and the expense of medical care is also fast increasing. New insights into the molecular biology of lung cancer have facilitated the use of targeted therapy and immunotherapy in recent years,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financial burden on patients due to high healthcare costs. Targeted therapy improve outcomes in patients with stage 4 non-small cell lung cancer who had EGFR, ALK, ROS-1, or BRAF mutations. Since the introduction of immune checkpoint inhibitors (ICIs) in lung cancer in 2015, a new avenue has opened for patients who do not have specific genetic abnormalities. As a result, despite the fact that there are several clinical benefits, it is vital to assess the long-term impact of expenditure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costly treatm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dical and pharmaceutical expenditures of lung cancer patients and to estimate the budget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ICIs in Korea.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 Sample (HIRA-NPS) database was used to examine domestic lung cancer treatment costs and prescription costs from 2015 to 2020. The change of expenditure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ICIs was assessed using interrupted time series (ITS) analysis and measures such as total treatment cost and drug cost, per capita anticancer treatment cost, and per capita anticancer drug cos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number of lung cancer patients prescribed ICIs and targeted therapies and their drug costs have increased steadily during the study period. Also, proportions of ICIs/targeted therapies’ costs in total medical spending and pharmaceutical expenses also increased. Although costs of lung cancer cure and drugs rose during the study period,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harmaceutical expenses of total medical expenses for cancer treatment. When comparing the prior and post introduction of ICIs, the analysis yielded consistent results showing that the average monthly cost for lung cancer treatment and the relative difference in rate of cancer drug costs per patient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verage monthly total pharmaceutical expenses and cancer drug costs per pati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ITS analysis, both the total cost and the cost per patient increased immediately following the introduction phase. However, in the post-introduction trend, the cost per person did not change statistically although the total cost continued to increase. In conclusion, the number of patients prescribed targeted drugs and ICIs for lung cancer continues to increase every year, and consequentially pharmaceutical expenses are also on the rise. In the ITS analysis, the fact that the cost per person did not change statistically although the total cost continued to increase in the post-ICIs introduction trend is a point that requires further research. These results should be used as a basis to measure the impact of ICIs on the medical and pharmaceutical expenses of lung cancer patients. To more accurately estimate the impact of the introduction of ICIs,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inancial impact study taking into account direct medical costs in the future. 폐암은 국내 암 사망률 1위 질환으로 암 중에서도 예후가 좋지 않은 암이다. 동시에 질병 특성 상 경제적 부담이 매우 큰 질환으로 꼽히고 있다. 국내 통계자료에 따르면 폐암 환자는 2015년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요양급여비용 역시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최근 몇 년간 폐암 발생의 분자생물학적 원인이 규명되면서 표적치료와 면역치료가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으나, 이들 치료제의 높은 약가로 인해 환자의 재정적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4기 비소세포폐암 환자 치료에서 특정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는 표적치료제가 좋은 효과를 보이고, 2015년 면역관문억제제가 폐암에 도입되면서 유전자 변이가 없는 환자에게도 새로운 치료 방향이 제시되고 있다. 이에 임상적 혜택은 많지만, 비용이 고가인 치료제 도입 이후의 지출 영향을 장기적인 측면에서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면역항암제 및 표적항암제를 중심으로 국내 폐암 환자의 치료비용 및 약품비를 분석하고, 면역관문억제제 도입 전후 폐암에서의 지출 경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6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을 이용하여 국내 폐암 치료비용과 약품비를 분석하였고, 단절적 시계열 분석을 통해 면역관문억제제 도입 전후의 지출액 변화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면역항암제 및 표적항암제를 처방받은 폐암 환자와 약품비는 연구 기간 동안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치료비용에서 면역항암제 및 표적항암제 약품비가 차지하는 비중과 전체 약품비 대비 비중도 모두 증가하였다. 폐암 환자의 치료비용과 약품비는 증가했지만, 치료비용 대비 약품비 비중은 연구 기간 동안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관문억제제 도입 전후 월평균 지출액 변화를 살펴보았을 때 폐암 전체 치료비용 및 1인당 항암치료비용의 상대증감률은 전체 약품비 및 1인당 항암약품비 보다 현저히 낮아 약품비 대비 치료비용의 증가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역관문억제제 도입 전후 단절적 시계열 분석 결과에서는 도입 직후 전체 비용 및 환자 1인당 비용 모두 증가하였고, 도입 이후 경향에서도 전체 비용은 지속해서 증가했으나 1인당 비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면역항암제 및 표적항암제를 처방받은 폐암 환자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해당 약제의 약품비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면역관문억제제가 도입된 이후 경향에서 1인당 비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는 점은 앞으로 추가 연구가 필요한 대목이다. 이러한 결과는 면역관문억제제 도입이 폐암 지출액에 미치는 영향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더 정확한 지출액 변화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추후 재정 영향 분석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암 환자의 병기 및 치료기간에 따른 연간 치료비용 지출에 관한 연구 : 주보호자의 보고를 중심으로

        백난희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는 암환자의 주보호자를 대상으로 암환자의 치료기간 및 병기 요인이 연간 치료비용 지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주보호자의 경제적 비용부담에 대한 환자 중심의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수집은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암 전문병원에서 현재 치료를 받고 있는 암환자의 주보호자를 대상으로 3개월 간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116사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1.0를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Pearson's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암환자는 연간 치료비용으로 평균적으로 약 1082만원을 지출하고 있었다. 이 중 직접치료비로는 최저 29만원에서 최대 8390만원을, 간접치료비용으로는 최저 0원에서 최대 2000만원을 지출하여 치료비용의 편차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시행되는 치료의 수단과 기간 따라 치료비용 지출의 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암 질병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암환자의 치료기간과 병기는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암환자의 병기와 치료기간이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다른 결과로, 암환자 및 주보호자의 경제적 문제에 병기와 치료기간이 서로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암환자의 치료기간은 총 치료비용과 직접 및 간접치료비용 지출의 모든 부분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병기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기간은 병기에 반해 암환자의 치료비용 지출의 부담을 설명하는 강력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가 사회복지실천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암환자의 치료비용 지출의 편차가 크다는 것을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암환자의 치료상황에 따라 지출되는 치료비용의 편차가 크기 때문에 실효성 있는 환자 중심의 지원을 위해선 환자의 치료상황을 고려한 지원기준의 확장이 필요하다. 둘째, 암환자의 병기가 높을수록 현재 월소득이 낮고, 치료기간이 장기화될수록 치료비용의 지출이 높다는 것을 회귀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즉, 암 질환의 심각성은 암환자의 소득감소 및 상실에 영향을 미치고, 치료기간의 장기화는 치료비용 지출에 대한 부담을 더욱 안겨주어 암환자 및 주보호자의 가정경제에 이중적인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정책적 및 실천적인 측면에서 환자를 중심으로 한 치료비 지원을 위해선 병기와 치료기간이 미치는 각각의 영향요인을 고려한 실제적인 지원방안의 구축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reatment period and stage of cancer on patients' annual treatment-related expenses as reported by their main caregivers.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empirical foundation for a patient-centered financial support system to reduce the economic burden of cancer patients' families. A survey was conducted for 3 months, recruiting main caregivers of cancer patients that were beeing treated at a cancer specialty hospital in Goyang-si, Gyeonggi-do. A total of 116 cases were utilized in the final analysis. As for data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ancer patients were found to spend an average of approximately KRW 10,820,000 in annual treatment cost. The direct treatment cost ranged from KRW 290,000 to KRW 83,900,000, whereas the indirect treatment cost ranged from KRW 0 to KRW 20,000,000. Thu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huge variation in the treatment cost. This finding allows us to confirm the nature of cancer that causes a huge variation in the treatment cost depending on the method and period of treatment in accordance with the health condition of a patien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treatment period of cancer patient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ir stage. This finding contradicts the general perception that the treatment period and stage of a cancer patient will have a correlation. Thus,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se two factors, treatment period and stage, would have an impact on the financial problems of cancer patients and main caregivers in different ways. Third, this study found that the treatment period of cancer patients was the influencing factor for all areas including total. The direct and indirect treatment cost, Showing a positive correl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tage of cancer pati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confirm that the treatment period was a strong variable to explain the burden of treatment cost of a cancer patient as opposed to the stage of a cancer patient. The afor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re was a huge variation in the treatment cost of cancer patients. Since the treatment cost varies substantially depending on the treatment conditions of cancer patients, it will be required to expand the criteria for support that take the treatment conditions of a patient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provide an effective patient-centered support system.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the monthly income of cancer patients was lower with a higher stage and the treatment related expense was higher with more prolonged treatment period. That is to say, the severity of cancer would have an impact on the decline in income of cancer patients and the prolonged treatment period would cause more burden of treatment cost. As a result, those cancer patients and their main caregivers will inevitably experience the dual difficulty for their household economy. On that accou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actical support plan by taking such influencing factors as stage and treatment period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provide a patient-centered financial support system from the aspect of actual implementation and proper government policy.

      • 소화성 궤양치료를 위한 약물 사용의 치료학적 경제성 연구

        박소영 영남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70

        한국인에서의 소화성 궤양 발생 빈도 및 재발률은 상당히 높은 편이며 이에 따른 치료 약물 선택도 다양하다. H. pylori가 확인되지 않은 십이지장궤양 환자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가 원인이 된 위궤양 환자의 경우 일반적으로 제산제로 위산을 중화하거나 위산분비억제제로 산 분비를 억제하고,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약제를 선택하여 치료한다. 이 중 PPI(proton pump inhibitor)는 일반적으로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PG)보다 부작용이 적고 H2RA(H2 receptor antagonist)보다 치유 속도가 빨라 더 많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작용 기전이 다른 여러 가지 소화성 궤양 치료 약물들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고 빨리 치료된다는 보고는 아직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7년 1월 1일부터 2008년 12월 31일까지 2년간 대구에 위치한 900병상의 종합병원 소화기 내과 외래를 내원하여 소화성 궤양(K25 및 K26)으로 진단받은 1,6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법에 의해 소화성 궤양에 사용된 약물군의 종류와 내시경 결과, 약물 이력, 약물 치료비용 등을 분석하여 PPI를 단독 사용한 경우와 PPI와 다른 소화성 궤양 약물 군을 병용한 경우의 치료비용 대비 치료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소화성 궤양 치료 약물로 PPI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와 다른 소화성 궤양 치료 약물군을 병용한 경우의 완치율 및 재발률을 비교한 결과 병용에 따른 치료비용의 추가에 비해 치료효과는 그다지 높지 않아 PPI 단독 치료가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보인다. PPI와의 병용 요법 중에서는 위장운동촉진제를 병용한 경우 1일 약가가 가장 낮을 뿐만 아니라 완치율 및 재발률 면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소화성 궤양 치료에 PPI 단독 사용의 경우에 비해 위장운동촉진제를 병용한 경우 의 약효 점수가 1.2배 높게 나타났지만, 본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치료 속도와 환자의 경제적인 면을 고려하여 약물을 선택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가장 효과적이면서도 경제적인 약물 선택과 더불어 환자에 대한 약물의 복약지도를 통해 재발률을 감소시키려는 노력도 필요하며, 소화성 궤양 치료 약물에 대한 반응율을 높이기 위해 흡연자, 과거 소화기 병력자 등을 대상으로 집중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재발 환자에게 지불되는 치료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더 나은 약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Peptic ulcer disease has a high rate of occurrence and recurrence in Korea. Even though diverse drugs are used to be selected for peptic ulcer, the general treatments are to neutralize the gastric acid by antacid or to inhibit the gastric acid secretion, with drugs locally acting on affected lesion, in both cases of H. pylori-negative duodenal ulcer and gastric ulcer caused b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Proton pump inhibitors (PPIs) are the most preferred prescription generally because of fewer side effects than prostaglandin and due to more rapid healing rate than H2 receptor antagonists (H2RAs).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y reports whether the combination therapy of drugs having different mechanisms of action would be more therapeutically effective with faster cure rate. This study was aimed to compare the therapeutical effectiveness of the single use of PPI (single group) to its combination use with other class of drugs (combination group), by analyzing the results of endoscopic examination, the drug history and the therapeutic cost depending on drugs used for treatment. The clinical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retrospectively from 1,690 patients who had visited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eneral hospital in Daegu (over 900 beds) during last two years (from Jan. 1, 2007 to Dec. 31, 2008) and diagnosed as peptic ulcer disease (K25 and K26). The comparison of complete healing rate and recurrence rat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ingle group and combination group, regardless of additional drug cost. Among the combination therapies, the combination of stomach motility facilitator with PPI was the best based on the highest complete healing rate and less recurrence rate in spite of the lowest drug cost per day. However, more extensive study might be needed further. The ratio of effectiveness scores of single group to combination group was 1:1.2,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drugs for peptic ulcer treatment,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 rapidity of healing rate and the patient’s economic aspect that were not reflected in this study. In conclusion, the most cost-effective therapy reducing the recurrence rate should be provided for taking medicine in peptic ulcer patients. In addition, the intensive education should be needed for patients who smoke or had the disease history of digestive organ, because they have the tendency not to respond to peptic ulcer drugs. These efforts will bring economically fruitful therapeutic results by reducing the re-treatment cost for the recurred patients through more effective drug therapy.

      • 중환자실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한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과 사망률 및 치료 비용의 관계

        이윤경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67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환자실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 환자와 재입실하지 않은 환자의 일반적‧질병 및 치료적‧요양기관별 특성의 차이 및 비계획적 재입실 위험요인을 알아보고 비계획적 재입실이 환자의 예후(사망률)와 치료비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로 제2차 중환자실 적성성평가 조사표 자료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명세서를 이용한 이차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총 39,576명으로 제2차 중환자실 적성성평가 대상자와 같다.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은 재입실 계획을 미리 세우지 않고 일반병실로 퇴실한 후 72시간 내 중환자실 재입실이 있었던 것을 말한다. 사망률은 병원 내 사망률 및 중환자실 내 사망률을 의미하여 치료 비용은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을 의미한다. 통계 분석은 카이제곱 검정 및 t-검정,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의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으며 SAS Enterprise Guide 4.3 (SAS Institute, USA, 2006)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환자실 입원환자 39,576명 중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한 환자는 589명(1.5%)이었다. 연구대상자의 평균연령은 68.6세였으며 70대가 27.46%(10,868명)로 가장 많았다. 남성 56.89%(22,513명)로 43.11%(17,063명)인 여성에 비해 많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중환자실 비계획적 재입실군과 재입실하지 않은 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연령, 보험자 구분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3. 질병 및 치료적 특성에 따른 두 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공호흡기 적용여부 및 적용일수(p=<.0001)는 비계획적 재입실군의 인공호흡기 적용 비율이 재입실하지 않은 군에 비해 20.8%p 높았으며 적용일수도 3.07일 길었다. 비계획적 재입실군의 심혈관질환 동반질환(p=<.0001) 비율은 재입실하지 않은 군에 비해 1.82배 높았으며 재원일수(p=<.0001) 는 11.48일, 중환자실 입실일(p=<.0001)은 10.28일 길었다. 4. 기관별 특성에 따른 두 군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 병상수(p=0.0011) 및 중환자실 병상수(p=0.0024)가 많을수록 신속대응팀 운영하는 기관(p=0.0158), 중환자실 전담전문의 배치한 기관(p=0.0099), 중환자실 간호사 배치를 많이 하는 기관(p=0.0109)에서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하는 환자의 비율이 높았다. 다만, 중환자실 전담전문의를 배치하거나 신속대응팀 운영하는 경우 환자의 중증도가 높았으며 사망률은 낮았다. 5.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 관련 위험요인은 인공호흡기 적용, 심혈관 동반 질환 중환자실 병상수였다. 인공호흡기를 적용한 환자가 적용하지 않은 환자에 비해 비계획적 재입실을 할 확률이 2.143배 증가하였으며(OR=2.143, p=<.0001) 심혈관 동반 질환이 있는 경우 2.961배(OR=2.961, p=<.0001), 중환자실 병상수가 1개 늘어날수록 1.004배(OR=1.004, p=0.009) 증가하였다. 6. 중환자실 및 병원 내 사망률을 비교 분석한 결과, 비계획적 재입실군의 중환자실 사망률은 19.19%로 재입실하지 않은 군에 비해 8.32%p 높았으며(p=<.0001) 병원 내 사망률은 23.26%로 재입실하지 않은군에 비해 8.15%p 높았다(p=0.0004). 7. 전체 치료비용 및 일당 치료비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비계획적 재입실군의 전체 치료비용은 평균 22,815,534원으로 재입실하지 않은군에 비해 9,770,332원 높았으며(p=<.0001) 일당 치료비용도 평균 792,000원으로 재입실하지 않은군에 비해 81,916원 높았다(p=0.0252). 결론 :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은 인공호흡기 사용 및 적용일수, 심혈관 동반질환과 관련이 있다. 또한,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로 인해 사망률이 높아져 환자의 예후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며 재원일수를 늘리고 치료비용 또한 증가시켰다. 이런 점을 고려할 때, 비계획적 중환자실 재입실률은 중환자실 의료의 질(quality)을 평가하기 위해 필요한 지표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unplanned ICU(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non-readmission patients according to mortality rate and medical care cost. Method :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the data from the second ICU quality assessment questionnaire and the health insurance statement. A total of 39,576 patients were selected for the second ICU quality assessment. 'Unplanned intensive care readmission' was defined that the entered intensive care unit within 72 hours after leaving the general ward without planning the readmission in advance. The mortality rate refers to the mortality rate in the hospital and the ICU.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hi-square test, t-test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0.05 and analyzed using SAS Enterprise Guide 4.3 (SAS Institute, USA, 2006).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1. Unplanned ICU readmission rate was 1.5%(589 patients among 39,576 patients admitted at the ICU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68.6 years old,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27.46% (10,868 persons) in their 70s. Males were 56.89%(22,513 persons).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ge, and insurer between the unplanned ICU readmission and non-readmission group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the underlying diseases and therapeutic characteristics, ventilator application group had more unplanned ICU readmission rate than non-readmission group ( < p<.0001). The unplanned ICU readmission group had more ventilator day < p <.0001). 4.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according to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The unplanned ICU readmission rates were higher in the institutes with more the number of total beds(p=0.0011) more ICU beds(p=0.0024) RRT(p=0.0158) lower number of ICU patients to nurses(p=0.0109) and intensivist(p=0.0099). More severity and lower mortality rate when they placed a intensivist or RRT. 5. The risk factors for unplanned ICU readmission were ventilator use, cardiovascular comorbidity, more ICU beds. The incidence of unplanned ICU readmission increased 2.143 times in ventilator use(OR=2.143, p=<.0001), 2.961 times in cardiovascular comorbidity(OR=2.961, p=<.0001), and 1.004 times in more ICU beds(OR=1.004, p=0.009). 6. The mortality rate in the ICU were 19.19% and 10.87% in the unplanned ICU readmission group, and the non-readmission group, respectively (p=<.0001). 7. The average of medical care cost was ₩22,815,534 in the unplanned ICU readmission group, which was 1.75 folds higher than that in the non-readmission group(p=<.0001). The medical care cost per days was ₩792,000 in the unplanned ICU readmission group, which was 12%(1.12 folds) higher than that in the non-readmission group(p=<.0001). Conclusion : Unplanned ICU readmission was associated with ventilator use, more ventilator days, and cardiovascular comorbidity. And it has a negative impact on patient outcomes, such as increasing the number of hospital days and increasing medical care cost. Unplanned ICU readmission rate is considered to be one of surrogates to evaluate the quality of ICU.

      •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한 약물관련 악골괴사의 국내 현황 및 비용 분석

        권용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67

        약물관련 악골괴사 (Medication-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 MRONJ)는 희귀하고 치료에 수술 요법이 필요한 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MRONJ의 국내에서의 발생과 유병기간 등 최신 질병현황과 치료에 드는 비용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2002년부터 2015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표본코호트 2.0DB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내 약 100만명의 환자 중 약물관련 악골괴사 환자의 질병 및 치료현황과 비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약물에 의한 골괴사 (ICD-10: M87.1)’ 또는 ‘턱의 염증성 병태(ICD-10: K10.2)’로 진단 및 치료받은 환자 중, 마지막 약제 사용일로부터 악골괴사 진단시까지의 기간을 3년을 기준으로 본 연구의 분석에 선정되었다. 비용은 의료비용과 비-의료비용, 생산성 손실비용으로 구분하였다. 총 비용은 이들 전체의 합으로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100만명의 국내 환자 중 183명의 MRONJ 환자가 확인되었으며, 악골괴사 발병까지 2가지 이상의 약제를 투여한 환자는 총 48명이었다. 가장 빈번하게 투여된 악골괴사 유발 약제는 Alendronate, Risedronate, Ibandronate이었으며 각각 80명, 67명, 16명이 해당 약제들을 투여 받았었다. 2002년부터 2015년까지 악골괴사 유발 약제들의 처방 환자 중에서 약물관련 악골괴사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약제별로 0.2 - 0.9% 사이였었다. MRONJ환자들로부터의 1인당 청구비용은 934,422원이었다. 치료 방법 중 수술 요법을 시행 받았던 환자는 107명이었고, 이들의 청구비용은 1인당 1,534,121원이었다. 고비용 청구 항목으로는 악골수염수술이 있었다. 의료비용과 비-의료비용, 간접비용을 모두 합한 1인당 비용은 1,891,808원이었다. 약제 시작일로부터 질병까지의 기간은 중앙값 886일 (2.43년) 이었다. 질병 유지 기간은 평균 229.93일 (7.6개월) 이었다. 본 연구 결과가 환자들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 부작용인 약물관련 악골괴사의 중요성에 대한 환기와 약물관련 악골괴사의 국내 현황 및 비용에 대해 알릴 수 있는 근거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 심장 및 대동맥 수술환자에서 포괄적 혈액보존법 시행군과 비시행군에서의 동종수혈의 용량 및 치료비용의 비교

        김상범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04

        서론 동종수혈의 위험인 간염 및 후천성 면역결핍증의 감염, 동종면역의 유발, 열성반응 등을 최소한 감소시키기 위해 심장 및 대동맥 수술 환자에서 여러 가지 혈액보존법을 이용하여 동종혈액 소모량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이 널리 시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는 예정 및 응급 심장 및 대동맥 수술 환자에게 본원에서 이용 가능한 혈액보존법을 시행한 환자와 그렇지 않은 환자군에서 동종 수혈의 용량, 술후 1일 및 3일의 적혈구 용적율, 혈소판수,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고 이에 따른 의료수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대상 및 방법 동아대학교 병원 중앙수술실에서 예정 및 응급으로 개심술 및 대동맥수술을 시행받은 20명을 혈액보존법을 이용한 전향적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1주일 내에 아스피린 및 항응고제 투여한 환자, 뇌혈관 질환, 경동맥 폐쇄 (carotid a. stenosis), 혈색소 30% 이하인 환자는 제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본 연구 이전에 혈액보존법을 시행하지 않은 비슷한 수술 및 수술 난이도로 비슷한 연령 및 술전 적혈구 용적율, 심에코 상의 좌심 박출분율을 가진 20명의 환자를 병력지를 참조하여 후향적으로 선별하였다. 혈액보존법으로 술전 자가공혈(autologous predonation) 및 혈소판반출 ( platelet pheresis), 체외순환기 사용전 급성 정혈량성 혈액희석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술중 cellsaver 사용후 술후 투여 등의 방법을 사용한 군과 혈액보존법을 시행하지 않은 대조군의 동종수혈의 용량, 술후 1일 및 3일의 적혈구 용적율, 혈소판수,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을 비교 관찰하였다. 합병증의 비교는 퇴원후 경과기록지를 참고하였고 의료수가 계산은 술전 및 퇴원 때까지 사용한 모든 동종전혈, 적혈구 농축액, 혈소판 농축액을 각 unit 당 가격으로 계산하였으며 혈액 보존법을 시행한 경우는 혈소판 반출 및 cellsavor 사용가와 소모품 가격을 합산하였다. 결과 입원부터 퇴원까지 혈액보존법 시행환자군은 대조군에 비해 전혈사용량 (1.6±1.3 대 2.8±1.9 unit) 및 혈소판 농축액 사용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 (5.4±6.7 대 9.4±6.4 unit). 혈소판수는 혈액보존법 시행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 술후 1일에는 의미있게 많았으나 (171±41,3 대 152±47.3×103개) 술후 3일의 혈소판 수는 통계적 의의있는 차이는 아니었다.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PTT)은 혈액보존법 시행 환자군 술후 1일 및 술후 3일에 비시행 환자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짧았다 (37.3±14.5 대 46.4±14.4 sec 및 30.8±6.1 대 43.2±11.0 sec). 합병증은 대조군군에서 출혈로 인한 재수술 1례, 호흡기 합병증 2례, 대동맥 내 풍선펌프 (IABP) 1례로 시행군에 비해 많았다. 결론 결론적으로 심장 및 대동맥 수술환자에서 혈액보존법을 시행하면 동종전혈 수혈량을 42%, 동종 혈소판 수혈량을 43% 감소시킬 수 있었고 의료수가는 약 100,000원 가량 추가되었다. 따라서 보다 적극적으로 포괄적 혈액보존법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Background: To reduce the amount of homologous transfusion with its inherent problems of transmission of viral hepatitis, 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and others, many institutions use comprehensive blood conservation methods (CBCM) in open heart and major aortic ope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mount and cost of homologous transfusion and the efficacy of coagulation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CBCM adoption. Methods : We prospectively assessed available CBCM of our institution in 20 patients, comparing the requirements of blood products, their cost and the efficacy of blood coagulation with those of another 20 patients similar in age, types of operation, operation difficulty and duration of bypass time retrospectively. Platelet pheresis was done 3 days before operation in 4 patients and after that procedure acute normovolemic hemodilution was done and cellsaver was used in 20 patients. Result : Fewer whole blood and platelet concentrates were transfused in patients with CBCM (p<0.05).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used packed red blood cell and fresh frozen plasma between two groups. Partial thromboplastin time was significantly short in patient with CBCM (p<0.05). The mean extra-financial cost for using cellsaver, platelete pheresis and homologous blood products were somewhat higher but total cost and prevalence of complications were lower in patients with CBCM. Conclusions : The CBCM are cost-effective in reducing the amount of homologous transfusion, and efficient measures to normalize postoperative blood coagulation. So it is reasonable to use the CBCM more widely to achieve more favorable patient outcome.

      • 가정작업치료 비용-편익 분석

        최혜숙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에 대응한 정부의 장기적 정책비전과 목표에 의거하여 경제․사회 전반의 대책을 수립하고 국민개개인의 삶의 질 향상과 선진화를 주기 위한 동기로 시도되었다. 1차 조사는 2005년 5월부터 7월까지였으며 대학병원10곳, 종합병원 12곳, 복지관 2곳, 보건소 2곳 등 총 26개 기관이었으며 작업치료를 받기위해 내원하는 환자와 가족 206명을 대상으로 조사 하였다. 2차 조사는 2006년 10월이었으며, 대학병원 13곳, 종합병원 13곳, 병원 11곳, 의원 1곳 등 38곳의 의료기관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작업치료실 평수, 작업치료사 인원, 작업치료사 임금, 환자 건수, 환자치료비용 등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환자와 가족에 대한 설문 조사 의료기관 26곳에서 환자와 가족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상환자의 성별은 남자가 57.0%였으며, 연령대는 50대가 35.0%로 가장 많았다. 교육정도는 고졸이상이 47.5%였으며 가정경제는 보통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69.3%였다. 주 간호제공자는 배우자가 55.6%로 가장 많았으며 장애등급은 2급이 51%로 가장 많았다. 작업치료서비스 받는 시간은 45분이 30.6%로 가장 많았고, 일상생활동작 수행도(MBI)는 평균 약 64점이었다. 가정작업치료 지불용의 비용으로 환자는 평균 27,510원이었으며, 보호자는 28,560원으로 보호자가 더 높았다. 가정작업치료의 긍정적인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에 대한 응답에서 환자의 경우 긍정적인 인식은 시간적여유가 있을 것이다(4.11±0.86), 조용한 환경에서 치료를 받아 스트레스가 감소될 것이다(3.83±0.97)가 높았으며, 보호자는 집안일을 함께 하면서 환자를 돌볼 수 있어 가족의 부담이 감소될 것이다(4.18±0.87)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가정작업치료의 부정적인 인식에서 환자의 경우 병원에서 받았던 치료가 계속 되지 않을 것 같다(3.03±0.92)였으며 보호자의 경우 치료기구나 장비가 없어서 치료가 불편할 것이다(3.63±0.86), 응급상황 시에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없다(3.68±0.80)에서 높았다. 그러므로 가정에서 작업치료서비스가 제공될 때 의료기관에서 수혜 받았던 치료기구나 장비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치료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환자의 응급처치에 대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2. 의료기관의 비용과 편익 조사 가정작업치료 방식으로 전환하였을 때, 직접비용조사 자료를 적용하였을 경우, 순편익은 21,830원/건이 발생하고 비용과 편익 비율은 1.29이다. 환자의 지불용의비용(WTP)을 적용하였을 경우, 순편익은 13,550원/건으로 비용과 편익 비율은 1.18이다. 한편, 2002년도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신경계질환환자보고서』에서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신경계질환자 총건 수 35,908명이었다. 이들 중 75%가 뇌졸중환자이면서, 20%가 가정작업치료의 대상자라고 가정할 경우 가정작업치료 방식의 사회적 순편익은 940,645천원/월로 계산되었다. 지불용의접근법에 의한 가정작업치료 방식의 사회적 순편익은 583,864천원/월로 계산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았을 때 가정작업치료를 시행 할 경우 환자들에게 편익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았을 때 정부의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인 『새로마지플랜 2010』에 작업치료사가 동참되고, 노인보건복지사업과 노인수발보험 제도에 가정작업치료서비스가 제공된다면, 노인건강증진으로 의료비용이 절감되어 국가적으로는 국가재정에 도움이 될 것이며, 환자와 가족에게는 삶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지역사회에서 가정작업치료 사업이 실시되고 활성화되는데 있어 가정작업치료 수가개발에 필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공공 및 민간자원투입 등과 관련된 정책방향의 수립에 실증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support the policy for the Home Based Occupational Therapy(OT) system in Korea through a Cost-Benefit analysis on the Home-Based 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respectively who have been involved in the OT programs of 26 medical institutes (10 University hospitals, 12 General hospitals, 4 regional health institute) from May to July, 2005. Secondly 38 medical entities (10 University hospitals, 13 General hospitals, 15 Clinics) were surveyed for getting the data related to costs such as spacial area of OT service room, number of occupational therapist, and no. of patients. In this study, total costs included transportation cost, transport/waiting time opportunity cost for patients and family, therapeutic fee for patients, and equipment cost. Total benefits included direct and indirect cost savings such as transportation time, effect of therapy, willingness to pay(WTP) of patient/family for Home Based OT service, and benefit of the medical institutes. Using the estimates of net benefits from the study sample, the net social benefits that would result if the Home-Based OT program is implemented nationwide were calculated. As a result, the estimated net benefit of the home-based OT program were W21,830 per patient-visit, and the benefit/cost ratio was 1.29. The national social net benefit was estimated to MW11,288 per year when 50% of the total 35,908 CVA patients registered in MOHW were participated in the home-based OT program. In addition to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could recommend as follows for maximizing the social benefit and improving patients' benefit. 1. The Home Based-OT program Model should be constructed, and the payment system and estimating method shall be introduced. 2. An example of the Home-Based OT program for regional community is required to be implemented and tested. 3. National policy shall fully support the Home-Based OT system. Hopefully, this study shall contribute to supply the basis of payment system for the Home- Based OT program, and shall support for decision making in the public or private financing policy. Keywords : Home-Based Occupational Therapy, Cost-Benefit Analysis

      • 食道 靜脈瘤 出血에 대한 內視鏡 治療와 手術의 비용 대비 효과

        裵秉魯 인제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32318

        (목적) 문맥압 항진증으로 인한 식도 정맥류의 출혈은 초기 지혈 후에도 재발이 흔하고 다시 출혈하면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키며 비용이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치료 및 재발 방지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되고 있다. 식도 정맥류 출혈의 치료에서 수술적 치료는 재출혈 방지 효과가 뛰어난 반면 비용이 많이 소요되어 비용 대비 효과는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서 많은 환자들에게 약물 치료나 내시경적 치료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식도 이단술 및 위-식 도 혈행 차단술의 비용 대비 효과에 대한 연구는 드물고 대부분이 서구에서 시행된 것이라 수술적 치료의 결과가 좋은 국내에 적용하는 데는 의문이 생긴다. 저자는 본원에서 치료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가장 일반적인 내시경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인 식도 이단술 및 위-식 도 혈행 차단술에 대한 비용 대비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본원에서 식도 이단술 및 위-식도 혈행 차단술을 받은 환자와 내시경적 치료를 받은 환자 중 추적이 제대로 되고, 60세 이하 이면서 Child-Pugh score가 10점 이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두 군의 재출혈율, 사망률, 간성 뇌증의 발생 여부, 시술 후 간 기능의 변화, 총 입윈기간, 총 진료비 등을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8.0을 이용하여two-tailed t-test와 Chi-square test, Fisher exact test 등을 시행하였으며 P값이 0.05 이하인 경우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비용 대비 효과는 재출혈 방지 및 생존에 필요한 비용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선정된 환자는 수술적 치료군이 20예, 내시경적 치료군이 22예 였다. 전체 사망률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고 출혈과 관계된 사망은 수술적 치료군이 0%, 내시경적 치료군이 18%로 차이가 있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재출혈율은 수술적 치료군이 유의하게 적었다. 수술적 치료군에서는 간성 뇌증의 발생은 없었고, 시술 후 Child-Pugh score는 내시경적 치료군에 비해 유의하게 좋았다. 내시경적 치료군은 추가 시술이 필요한 경우가 많아서 총 입원기간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총 입원비는 수술적 치료군이 유의하게 많았다. 재출혈 방지를 위한 비용은 시술 후 1년이 되면 역전이 되어 수술적 치료군이 적었고 (12,802천원 vs. 13,037천원), 전체 추적기간을 따져보면 수술적 치료군은 13,476천원으로 증가가 미미한데 반하여 내시경적 치료군은 78,221천원으로 6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술적 치료군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생존에 필요한 비용의 경우 전체 추적기간의 경우와 시술 후 1년이 지난 경우가 차이 없이 내시경적 치료군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식도 이단술 및 위-식도 혈행 차단술은 안전하면서도 식도 정맥류 환자의 재출혈 방지 효과가 뛰어나 내시경적 치료에 비해 비용 대비 효과가 우수하였다. 또한 시술 후 간 기능의 조기 회복 및 장기간 유지 효과도 있었다. 따라서 비록 초기 비용은 많이 들지만 뛰어난 효과를 생각해볼 때 내시경을 통한 일차 지혈 후 적극적으로 수술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특히 환자가 젊고, 간 기능이 아주 나쁘지 않으면 조기 수술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Objectives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is a serious and dismal sequela of chronic liver disease,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the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have been known to have superior prognosis compared with endoscopic therapy. The aims of this case-control study were to evaluate the safty and efficacy of surgery (esophageal transection with paraesophagogastric devascularization) and to conduct a cost-effectiveness analysis comparing surgery with endoscopic therapy for the prevention of recurrent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Methods Clinical outcomes of endoscopic therapy and esophageal transection with paraesophagogastric devascularization in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patient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for the entry to the study. Patients entry criteria were active or recent variceal bleeding, aged 60 and younger, relatively good liver function (10 or less Child-Pugh score) and availability for complete follow-up. Measured main outcomes were mortality, variceal rebleeding, post-interventional changes of liver function, total hospital days, and total hospital charges. All statistical tests were performed using two-tailed t-test, Chi-square test, or Fisher's exact test. Cost-effectiveness for the prevention of variceal rebleeding and patients survival was also analyzed. Results Twenty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were compared with 22 patients treated with endoscopic therapy. Overall mortality in this series was not different. Bleeding related mortality and encephalopathy in the endoscopic therapy group were slightly increased. However,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rgery group, the liver function (Child-Pugh score) was remarkably improved after the operation and was better than endoscopic therapy group. Significantly increased rebleeding rates (P=.000), requirement for additional endoscopy (P=.016) and rehospitlalizations (P=.008) were observed after endoscopic therapy compared with surgery. In spite of initial lower cost, the cost for endoscopic therapy cost for the prevention of variceal rebleeding appeared as more expensive with time compared with surgical treatment. Conclusions Esophageal transection with paraesophagogastric devascularization wa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modality for variceal rebleeding. It leads to lower recurrent variceal bleeding rates and it is more cost effective for the prevention of variceal rebleeding.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surgical treatment for esophageal variceal bleeding could improve therapeutic efficacy and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especially in the patients of young age and good liver reservoir function.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생물학적 제제의 임상적 및 경제적 성과 분석

        이민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32317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생물학적 제제는 비슷한 수준의 효능과 안전성을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 임상현실에서는 약제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양상에 차이가 발생하고 임상적, 경제적 성과들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 실제 임상현실이 반영된 약제지속, 효과, 의료비용의 성과들이 생물학적 제제에 따라 다른지를 비교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9-2013년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하여 후향적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 환자군은 연구대상 약제 투여를 시작하는 환자로, 처음 생물학적 제제를 투여하는 first-use cohort군(adalimumab군, etanercept군, infliximab군)과 다른 생물학적 제제에서 교체하여 투여하는 subsequent-use cohort군(adalimumab군, etanercept군, infliximab군, abatacept군)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2009년 7월부터 2012년 12월까지의 환자선별기간 동안 연구대상 약제가 처음 처방된 날짜를 기준으로 이전 6개월 동안 환자의 기초 특성, 약제사용, 의료이용을 파악하였으며, 이후 12개월 동안에는 생물학적 제제의 성과를 확인하였다. 약제를 지속하는 시간, 치료가 효과적이었는지 여부, 의료비용이 투여되는 생물학적 제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으며, 공변량을 보정하였을 때 약제에 따른 차이는 각각 콕스비례위험모형, 다변량 로지스틱회귀분석, 로그-감마 일반화선형모형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또한 생물학적 제제에 따른 평균 의료비용을 치료가 효과적인 환자의 비율로 나누어, 환자 1인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소요되는 의료비용을 파악하고 비교하였다. First-use cohort군 4,114명, subsequent-use cohort군 992명의 환자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First-use cohort군에서 약제지속과 치료효과는 치료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반면, 의료비용의 경우에는 etanercept군에서 infliximab군 대비 1.090배 (95% 신뢰구간: 1.051-1.131) 유의하게 높은 비용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ubsequent-use cohort군에서 약제를 지속하지 않을 위험비는 infliximab군 대비 etanercept군과 abatacept군에서 각각 0.677(95% 신뢰구간: 0.765-1.263), 0.527(95% 신뢰구간: 0.374-0.742)로 약제를 지속하지 않을 위험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가 효과적일 오즈비는 infliximab군 대비 etanercept군과 abatacept군에서 각각 1.995(95% 신뢰구간: 1.253-3.175), 1.981(95% 신뢰구간: 1.115-3.520)로 치료가 효과적일 오즈가 유의하게 높았다. 1년간 발생한 평균 의료비용은 치료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로그-감마 일반화선형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1년간 평균 의료비용을 치료가 효과적인 환자의 비율로 나누어 산출한 환자 1인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의 경우 first-use cohort군에서는 약제들간 환자 1인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소요된 비용이 유사한 반면, subsequent-use cohort군에서는 etanercept와 abatacept가 adalimumab 또는 infliximab에 비하여 환자 1인을 효과적으로 치료하는데 더 적은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처음 약제를 투여하는 first-use cohort군에서는 치료제간의 약제지속과 치료효과가 유사하였으나 의료비용의 경우에는 etanercept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변경하여 약제를 투여하는 subsequent-use cohort군에서는 etanercept와 abatacept의 약제지속과 치료효과가 adalimumab과 infliximab에 비하여 높았으며, 의료비용은 유사하였다. 본 연구는 임상적, 경제적 성과를 국내 임상현실이 반영된 자료를 이용하여 종합적으로 파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 결과는 실제 진료 환경에서 적절한 약제 선택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