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월수 e에 관한 이해

        이상배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이 수를 사용했다는 역사는 BC30000년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눈끔이 그려진 뼈 조각 등을 발견하여 확인함으로서 이때부터 수에 대한 개념이 싹텃을 것이라고 추축한다. 그리고 오랫동안의 발전과정을 통해서 오늘날 우리들이 사용하고 있는 자연수, 정수, 유리수, 실수, 복소수등이 만들어졌다. 자연수는 물건의 개수를 세고 순서를 매기는 기본적인 수로 사용되 왔으며 많은 어려움을 겪고 태어난 영(zero)과 더불어 음수에 대한 이해로부터 정수를 정의하게 되었다. 또한 정수의 비율로 이루어진 유리수가 만들어지고 유리수의 극한개념으로서 무리수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수들을 일컬어서 실수라고 부르는데 실수들의 가장 큰 특성은 어느 실수든지 그 수를 제곱하면 보다 작지 않은 양의 실수가 된다는 것이다. 이에 반하여 제곱한 값이 음의 되는 경우를 생각하여 소위 복소수가 탄생하게 된다. 특별히 수들의 발전과정에서 대수적수와 초월수를 정의하게 된다. 유리계수를 갖는 다항식의 해가 되는 수를 대수적수라하고 대수적 수가 아닌 것을 초월수라고 한다. 예를 들면 와 은 각각 다항식 과 의 해이므로 두 수 모두 대수적 수이다. 그러나 와 는 대수적수가 아닌 초월수라는 것이 밝혀져 있다. 초월수의 존재성에 대해서는 1844년에 Liouville에 의해서 처음 제시되었으며 1873년에 Hermite이 가 초월수임을 증명하였다. 그 후 Cantor는 대수적인수의 집합은 가부번집합임을 증명함으로서 초월수 집합은 비가산 집합이 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렇게 많은 초월수 중에서 우리는 초월수 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첫 장에서는 초월수 에 대한 개념이 들어가 있는 로그에 대해 알아보고 로그를 처음 만들고 사용한 존 네이피어와 로그를 현대에 쓰는 것처럼 확장한 브리그스 그리고 초월수의 확장인 초월함수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두 번째 장에서는 가문전체가 유명한 수학자들로 구성된 베르누이 가문에 대해 알아보고 베르누이 형제가 발견한 로그 소용돌이선과 현수선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베르누이 형제가 발견한 로그 소용돌이선이 실생활에 존재하는 예를 소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기호 를 처음 사용한 레오하르트 오일러의 생애와 와 관련된 여러 가지 성질들을 소개하려고 한다.

      • 칼 라너의 종교철학 : 역사 안에서 “말씀의 청자(廳者)”로서 초월론적 인간

        김교응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현대의 이해지평 위에서 ‘인간에게 절대자와의 만남이 가능하다’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겠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했다. 그래서 앞서 오랫동안 그와 같은 의문에 천착한 현대 신학자이자 종교철학자인 칼 라너(Karl Rahner, 1904-1984)에게 기대어, 특히 그의 저서 『말씀의 청자 : 종교철학의 기초를 놓는 작업』(Hörer des Wortes: Zur Grundlegung einer Religionsphilosophie)을 자세히 살핌으로써 그 답을 얻고자 했다. 상기 저서를 살피기에 앞서, 보다 더 정확한 이해를 위해 라너의 신학적-종교철학적 관점이 무엇인지 추적해보았다. 예컨대 그가 방법론적으로 마련한 “초월론적 토미즘”은 그리스도교의 토미즘 전통을 수용하면서도 근대 및 일부 현대철학의 모토처럼 표방된 “인간학적 전환(Anthropologische Wende)”의 사고방식 역시 기꺼이 활용하는 독창적인 관점을 보여준다. 라너는 오늘날 사람들이 인간중심적인 사고방식을 선호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그러한 사고방식을 출발점으로 삼음으로써 현대의 이해지평을 고려하였지만, 그와 같은 틀 속에 갇히지는 않았고, 오히려 절대적인 존재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인간의 “정신”을 규명하려고 시도했다. 그러한 시도에 동력이 되었던 것은 한편 하이데거의 현존재(Dasein) 분석 및 실존개념이었음을 알아보았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라너의 인간정신 규명에 토대가 된 사상은 토마스 아퀴나스의 인간 개념 및 인식-형이상학이었음을 알아보았다. 특히 토마스가 자신의 『신학대전』(Summa TheologiaeⅠ, q.84, a.7)에서 정성을 기울여 설명하는 “정신의 표상상으로의 귀환(conversio intellectus ad phantasma)” 개념은 라너가 “절대자를 향해 자신을 개방하는” 인간정신의 본래적인 특성을 설명할 수 있었던 핵심적인 근거로 보아도 좋을 것 같다. 다만 그와 같은 특징을 따라 본래적으로 작용하는 인간정신은 전통적으로 이해하듯 인간영혼과 결부되어 있어서 비록 창조된 감각세계에서는 가장 뛰어난 지위를 누릴 수 있겠지만, 정신세계에서는 ‘가장 아랫자리를 차지한 정신’으로 평가된다는 점도 기억할 필요가 있었다. 그것은 인간(정신)이란 “물질성과 정신성의 경계(confinium)에 있는 정신”이라는 토마스의 관점에 토대를 둔 해석이기도 하다. 그러한 인간정신을 라너는 다시금 하이데거의 현존재 분석에 따른 개념을 일부 차용하면서 “세계-내-정신(In-der-Welt-Geist)”으로 표현하였다. 그리하여 그 개념은 육체와 결합된 정신을 소유하는 인간이 이제 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해 해명해야 할 경우에도 그 기반으로 작용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 기초적인 작업으로 본 논문은 『말씀의 청자』안에서 라너가 제시하는 종교철학적 인간학의 인간규명과 관련한 세 가지 명제를 하나하나 자세히 분석하고 그 의미를 헤아려 보려고 했다. 첫 번째 명제는 “하느님 계시의 순종-가능태(potentia oboedientialis)로서의 인간”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존재를 향한 초월 가능성을 지닌 인간은 종교철학적으로는 절대자와 만남이 가능한 존재로도 유효함을 시사한다. 두 번째 명제는 “하느님의 계시 앞에서 자유로운 사랑으로 응답하는 인간”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철학적인 분석을 통해서 “사랑(amor)”이란 하느님께서 먼저 인간을 향해 말씀을 건네시는 행위의 근거가 되며, 그 원동력에 힘입어 인간이 ‘자발적으로’ 하느님을 향해 초월하려는 열망을 싹틔우게 됨을 성찰하게 한다. 마지막 세 번째 명제는 “역사 속에서 하느님의 계시에 귀 기울이게 되는 인간”에 관한 것이었다. 이는 하느님의 계시가 실제로 벌어지는 역사(Geschichte)를 따라 꾸준히 자신 곁에 머무는 존재자들(타자 및 타인들)과 진솔하게 마주함으로써 인간의 역사는 우리가 일구는 역사인 동시에 “초월론적 역사”임을 웅변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서 본 논문은 “인간은 이 세상에서 타자와 긴밀하게 결합된 역사 안에서 이 세상을 초월해 계시는 하느님의 말씀에 자유로이 귀 기울일 수 있는 청자(聽者)”라는 라너의 종교철학적 인간규명의 결론에 대해 조금은 더 가까이 접근하여 이해할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논문은 인간은 본성적으로 종교적이라는 “종교적 인간” 개념을 좀 더 확고하게 말할 수 있게 되었다. 그것은 보다 더 분명하게 말해 종교적 존재로서 인간은 초월론적 역사를 통해 자신이 된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인간은 본래 “자기 자신을 이 세상과 이웃(타자와 타인)을 향해 자발적으로 뛰어드는 사랑의 행위를 통해 초월해 계시는 하느님이 건네시는 말씀에 귀를 기울이고 그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살아가는 존재를 함의하기 때문이다. This treatise studies the possibility of human being to meet the absolute being based on Karl Rahner’s “Philosophy of Religion”. Therefore it follows his subject of “philosophy of religion” which he studied in ‘Hearers of the Word : Laying the Foundation for a Philosophy of Religion’(in German, Hörer des Wortes: Zur Grundlegung einer Religionsphilosophie) Before taking up the theme, for more understanding of his thinking, this study analyzes Karl Rahner’s transcendental Thomism. Because his studies of ‘Anthropological Conversion’ ― that is one of the method of modern philosophy ― were follow the tradition of Thomism. And by this conversion, he studied the new type of anthropocentricism which is proper to the absolute being. Then this Study examines Rahner’s concept of human being. It confirms Rahner used Martin Heidegger’s concept of “Dasein analysis” or “Existence” to explain the moderns in their ability of understanding. Then it observes Thomas Aquinas’s concept of human being (which is the base of Rahner’s transcendental Thomism and his concept of human being) and the statement in metaphysics of knowledge, “Conversio intellectus ad phantasma(Summa Theologiae Ⅰ, q.84, a.7).” Especially since the spirit has the speciality as ‘the bottom part of spiritual,’ this study notices the Thomas’s explanation, human being who take the form as it is also able to call “spirit with the confinium of materiality and spirituality.” Therefore this study can recognize these idea that he combined Thomas’s concept of ‘soul’ with some of Heidegger’s concept of “Dasein analysis”, those who gave a big influence to Rahner. And he formed his idea of human being as “Spirit in the world(Geist-in-Welt)”). This treatise analyzes the three statements of “philosophy of religion” and “anthropology” acoording to the content in Hearers of the Word and researches the meaning of the basic idea above. The First statement: ‘Man who is obedient potentiality (potentia oboedientialis) of God’s revelation.’ This is the explanation of human spirit which has potentialities to transcend toward being is also capable to meet with the absolute being on “philosophy of religion.” the Second statement: ‘Human as being which respondes by free-love during facing the God’s self- revelation’ is demonstrated. It is the philosophical analysis about the love. The first, the love(amor) is the reason of God’s speaking to human. The second, man should respond God in love. Hereby man understand the love as fundamental and internal desire which leads human being to God. And last, the third statement: ‘human who concentrates God’s revelation through human history’ confirms that God’s revelation is happened inside the history of mankind(Geschichte). This history is the history of human beings with material hardly banded, also called transcendental history. After all these studies, concludes the Rahner’s “philosophy of religion”, so that “human being is freely careful listener of “word of God” who transcends whole world by close band with other inside of history.” Moreover, this study concludes ‘human being is naturally religious.’ Therefore human being hears God’s voice and responds with love through jumping into the world which makes transcended history with me himself by absorbing and the neighbors. Homo religiosus means that a human being can become into the transcendental history.

      • 재생서사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의 비교 연구 :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을 중심으로

        윤보윤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s on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commonly portrayed in Buddhist narratives and classical Korean novels. That is to say, it is aimed at comprehending not only the way transcendental supporters are generally portrayed in the Buddhist narratives that appear in classical Korean novels but also how they contribute to the figuration of these literary works and how they affect the composition of the said works. Through this study, I obtained the methods on how to comprehend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ist narratives and classical Korean novels, especially their significance with regards to the history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tudy. First, I established the concept of a transcendental supporter to help validate my research. That is, defining a transcendental supporter as "a being with considerable influence on a certain character’s act or destiny in the hand’s of god which is beyond a human being’s ability’, I found practical characters in the Buddhist narratives and classical Korean novels such as Jeseok(The Harvest God, A God from one of the Buddhist heavens), the Four Devas(The Four heavenly guardians of Buddhism), the Lord(The highest of the heavenly gods of Taoism) and The Sea God. These characters demonstrated their absolute authority on the hero’s restoration to life and not only influenced but determined the storyline. Second, in order to compare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of the Buddhist narratives and classical Korean novels, I categorized the conditions of the resulting supporters by their genre and then selected three works as analytical text to analyze them. For example, to represent the Buddhist narratives, The Crown Prince of the Indian Sea God, A Devoted Son, Sum and The King of Alms were selected because they are literary works showing remarkable transcendental supporters from among the works of Shakyamuni’s Ten Stages of Self- discipline and Wolinsukpo(1459). The revival stories of Lady Sookyung, Shim Chung and Kwon Ick Joong were chosen as the typical classical Korean novels. Through these works, I evaluated the aspects and functions of their transcendental supporters. Third, I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of a story from the meaning of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of the Buddhist narratives and classical Korean novels. Above all, Buddhist narratives have a supernatural background due to their supernatural supporters and this tradition has influenced the composition of classical Korean novels. Also, in most Buddhist narratives you can find several perfect supernatural supporters of divinity due to their religious characteristics. One could hypothesize that this tradition has been followed as it is and continued in the telling of the current classical Korean novels. In addition, as Buddhist narratives have the element fantasy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ir plots, due to their supernatural supporters, classical Korean novels highlight the said fantasy element by creating an unexpected or improvised solution during the development their storyline. Finally, the end of a Buddhist story is usually aimed at world harmony because the final purpose of most Buddhist narratives is the hero’s acceptance to Nirvana. Also, most classical Korean novels finish with a happy ?ever -after ending. Lastly, I tried to establish the chronological meaning of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in the Buddhist narratives and classical Korean novels. First, I found that specific characters in Buddhist narratives contributed considerably to the creation of their supernatural supporters, which is one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lassical Korean novels. Second, the succession of Buddhist narratives in the Korean narrative literature has been recognized recently through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in the Buddhist narratives and the classical Korean novels. This means that the supernatural supporters in the classical Korean novels were copied intact from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of the Buddhist narratives. In this study, I have taken a thorough look at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in the Buddhist narratives and classical Korean novels.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preceding framework of the Buddhist narratives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at of classical Korean novels. Therefore, the transcendental supporters in Buddhist narratives are outstanding factors in the Korean narrative literature. 본 연구는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초월적 조력자에 대한 것이다. 즉 불교서사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던 초월적 조력자가 고전소설에 등장하여 작품의 형상화에 어떠한 방식으로 기여하는지, 또한 그것이 작품 전반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의 관계, 특히 문학사적 의의를 새롭게 파악하는 성과를 거두게 되었다. 논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초월적 조력자의 개념을 정립하여 논지 전개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즉 초월적 조력자에 대한 정의를 '초월적 조력자는 인간의 능력을 벗어나 신적인 경지에서 특정 인물의 행위나 운명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존재'로 내린 후 그 실제적인 인물로 불교서사와 고전소설 속에 등장하는 제석과 사천왕, 옥황상제와 용왕 등으로 파악하였다. 이들은 서사에서 주인공의 재생에 절대적인 권능을 발휘하며 사건전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두 번째,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초월적 조력자를 비교하기 위하여 양 장르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의 실태를 개황적으로 파악한 다음, 분석텍스트를 각각 세 작품씩 선정하였다. 즉 ≪석가여래십지수행기(釋迦如來十地修行記)≫와 ≪월인석보(月印釋譜)≫에 전하는 작품 중에서 초월적 조력자가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수천제태자전(須闡提太子傳)><섬효자전(孝子傳)><보시국왕전(布施國王傳)>을 대표적인 불교서사 텍스트로, <숙영낭자전><심청전><권익중전> 등의 재생소설을 고전소설 대표적인 텍스트로 선정하여 초월적 조력자의 양상과 기능을 살펴보았다. 세 번째,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초월적 조력자의 의미를 서사구성의 측면에서 파악하였다. 첫째 불교서사는 초월적 조력자로 인하여 그 배경이 초자연적인데, 이러한 전통이 고전소설의 작화에 영향을 끼쳤다. 둘째 불교서사는 종교성 때문에 신성성을 두루 겸전한 초월적 조력자가 다수 등장하는데 이러한 전통이 고전소설에서도 그대로 답습되어 계승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 셋째 불교서사에서는 초월적 조력자로 인하여 사건전개가 환상성을 갖는데, 고전소설의 사건전개도 사건의 전격적ㆍ즉흥적 해결의 방편으로 불교서사의 그것처럼 환상성을 보인다. 넷째 불교서사는 궁극적인 목적이 주인공의 성불이기 때문에 이야기의 결말이 화평(和平)한 세계를 지향하고 있는데, 고전소설의 경우도 결말 부분이 대부분 행복하게 마무리된다. 네 번째,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에 등장하는 초월적 조력자의 통시적 의미를 파악하였다. 첫째 고전소설의 특수인물 중의 하나인 초월적 조력자를 창출하는 데에 있어 불교서사에 나타난 특수인물이 크게 기여했음을 파악하였다. 둘째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의 유사성을 통해 서사문학의 계통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이는 불교서사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가 고전소설의 인물 설정에 그대로 답습되었음을 뜻하는 것이다. 지금까지 불교서사와 고전소설에 나타난 초월적 조력자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선행했던 불교서사의 작화방식이 고전소설의 구성양식에 크게 영향을 끼쳤음이 파악되었다. 따라서 불교서사에 나타나는 초월적 조력자는 서사문학사에서 그만큼 주목되는 인자임을 알 수 있다.

      • 칼 라너의 초월론적 계시에 대한 연구

        문기숙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초월론적 계시란 인간의 초월에 주시는 하느님의 자기전달을 말한다. 하느님께서 몸소 인간 정신의 구성성분이 되시어 인식과 자유의 선험적 지평이 되어주신다. 라너는 현대의 철학사조와 대화하는 가운데 하느님이 인간과 더 없이 가까운 분이라는 사실을 말하고자 한다. 그는 현대철학의 방법론을 그의 철학과 신학에 적용하여 초월-인간학적으로 전향된 사유를 전개한다. 이는 인간중심적으로 전향된 현대인들의 신앙을 돕기 위함이다. 이러한 라너 사유의 배경에는 마레샬과 하이데거, 토마스가 있다. 라너의 종교철학서인 <<말씀의 청자>>는 초월론적 방법에 의거하여 인간이 계시를 들을 수 있는 선험적 조건을 다루고 있다. 초월론적 계시에서는 인간 정신의 초월성이 문제가 된다. 라너는 인간의 이 초월성을 끌어내기 위해 인간을 형이상학적 존재로 규정한다. 인간이 바로 존재질문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인식과 존재의 원천적인 동일성을 말할 수 있다. 그래서 라너는 존재를 자기에게 있음으로 규정한다. 인간은 존재를 향한 무한한 개방성 곧 정신이다. 무한히 존재를 추구하는 인간에게서 의지는 인식의 내적 요소가 된다. 인간은 자신의 우연한 유한성을 의지적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존재의 열림을 보게 된다. 인간의 초월 가운데 절대존재로서 나타나신 하느님은 인간이 자신의 우연한 유한성을 받아들일 때 강대한 인격으로서 마주 서시는 것이다. 이 하느님은 세계 내 존재자로서 영육의 합일체인 인간이 시간과 공간의 역사 안에 살아가면서 만나게 되는 모든 것 안에서 비주제적으로 체험된다. 인간은 영육의 합일체라는 그 근본태세 때문에 하느님의 말씀을 역사 안에서 고대할 수밖에 없다. 라너는 그의 신학에서 은총을 존재론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은총의 물상적 이해를 피하고자 한다. 그는 하느님의 자기전달로서 창조되지 않은 은총을 규정한다. 라너는 본성과 은총의 관계에서 인간과 하느님과의 더없는 가까움을 보게 된다. 본성은 바로 은총의 그릇이기 때문이다. 초월론적 계시는 모든 시대 모든 장소의 모든 이들에게 주어진다. 따라서 초월론적인 계시의 역사는 구원사와 인류사와 공존한다. 초월론적 계시의 보편성 때문이다. 만인에 대한 하느님의 보편적인 구원의지 때문에 인간은 초자연적인 실존의 삶의 영위한다. 인간은 그가 무엇을 하든 하느님 안에 살아간다. 인간이 이것을 알든 모르든 인간의 모든 사유와 행위는 하느님의 초월론적 계시에 대한 응답이다. 그래서 초월론적 계시에 의해 주어지는 하느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비 그리스도교인들은 익명의 그리스도인이다. 초월론적 구원역사 신학은 그리스도중심적인 창조와 은총과 인간 공동체를 기반으로 진화론적 세계관 위에서 진행되는 예수의 육화사건을 이해하고자 한다. 여기서 육화하신 그리스도는 하느님의 외현화이다. 하느님께서 하느님이 아니고자 하실 때 될 수 있는 것이 인간이다. 따라서 인간에 대한 모든 차별이 금지되며, 창조와 은총과 인간 공동체의 주인이신 예수 그리스도 때문에 인간이하의 것에 대한 모든 불의한 가치판단이 금지된다. 초월론적 계시는 만인의 구원을 원하시는 하느님의 의지에 따라 모든 인간에게 주어지기 때문에 교회는 인류를 위해 봉사하는 교회, 인류의 일치를 증진시키는 교회, 인류와 더불어 함께 하면서 복음을 살아야 하는 교회로 나타난다. 라너의 초월론적 계시는 하느님의 세상 통치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초월론적 계시는 세상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 때문에 그리스도교의 사목분야와 영성에 있어서 원대한 비전을 갖게 한다. 뿐만 아니라 역사성에 대한 라너의 고찰은 교회가 세상역사에 대해 책임을 느껴야 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besagt Selbstmitteilung Gottes an die menschliche geistliche Transzendenz. Gott selbst ist ein Bestandteil des menschlichen Geistes fṻr Transzendentalität, und so wird zu a priori menschlicher Erkenttnis und Freiheit. Karl Rahner will es zeigen im Gespräch mit neuzeitlicher Philosophen, daß Gott zu Menschen in nächster Nähe sein. Er wendt sich an Methodik der modernen Philosophie auf seine Philosophie und Theologie, und so entfaltet seines transzendeltalen Denken. Dies ist zu helfen die modernen Menschen, die leben in der anthropologischen gewendeten Welt. Es ist im Hintergrund Solchen Gedankens von Rahner das Denke von J.Marechal, M.Heidegger und st.Thomas. Der religionsphilosophischer Buch Rahners, 《Hörer des Wortes》, behandelt die apriorische Bedingung eines Offenbarungsempfangs im Menschen auf der höreren Ebene einer wirklich ergangenen Offenbarung. Es handelt sich bei transzendeltaler Offenbarung um Transzendentalität des menschlichen Geistes. Der Mensch ist Bei Rahner metaphysischen Wesen, weil die Seinfrage ständig und notwendig zum Dasein des Menschen gehört. es ist daher zu sagen die ursprüngliche Identität von Sein und Erkennen in einem Bei-sich-sein, der Gelichtetheit des Seins. Das Wesen des Menschen ist absolute Offenheit für Sein überhaupt, um dies mit einem Wort zu sagen, der Mensch ist Geist. Der menschlichen Seinssuchendenwille ist das innerer Moment des menschlichen Eerkenntnis. Der Mensch wird sehen sich das Sein zu eröffnen, als er seine eigene kontingente Endlichkeit bejaht. Dabei ist es gegeben, daß er dem absoluten Sein Gottes als dem Horizont seienes Vorgriffs gegenüberstehet, als eienem freien Selbstmächtigen. Er wird den Gott durch das ganze Leben hindurch unthematisch erfahren. Der Mensch als Kompositum des Körper und der Seele, und zwar, wegen seiner wesentlich geschichtlichen Grundverfassung, ist ein die Offenbarung Gottes zu hören notwendig in seine Geschchte Hineinhorchender. Durch ontologischer Interpretation von Gnade möchte Rahner in sener Theologie das sachliche Verstehen von Gnade vermeiden. Er bestimmt die unbeschaffene Gnade als Gottesselbstmitteilung. Er kann das nächstes Verhältnis zwischen Gott und Menschen festsetzen, indem die Natur gerade eine Schüssel der Gnade is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für alle wird in aller Zeit und in allem Ort gegeben. Daher koexistiert die transzendentalen Offenbarungsgeschchte zusammen mit der Heilsgeschchte und der Weltgeschchte.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ist universal. Wegen des allgemeinen Heilswillen Gottes für alle Mnschen führt der Mensch sein eigenes Leben von übernatürliches Existential. Was der Mensch auch immer tue, er lebe in Gott zu allen Zeiten. Ob er es wisse oder nicht, sei all der menschliche Vollzug von Handlrung und Denken eine Antwort auf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Gottes. Daher gibt es annonymen Christen, die welche dem durch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ihnen gegebenen Gotteswort gehorchende non-Christen sind. Die transzendentale Theologie von Heilsgeschchte wolle das Ereignis von Menscwerdung Christi in Bezug auf die evolutionäre Weltanschauung verstehen. Da handelt es sich um den christozentrischen Grund von Schöpfung, Gnade und Gmeinschaft. Die transzendentale Offenbarung Karl Rahners läßt sich weltliche und kosmische Regierung Gottes bedeuten. So wegen der Gottesliebe zur Welt gibt die tanszendentale Offenbarung dem Bereich von Ministerium und Spiritualität die weitreichenden Visionen.

      • 전기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초월개념 연구 : 현존재의 초월현상을 중심으로

        김태현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하이데거의 전기 사상 가운데 현존재의 초월현상에 대한 연구를 목표로 한다.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초월개념은 전통철학의 초월개념과 내용을 달리한다. 하이데거는 특히 존재이해로서의 초월과 세계-내-존재로서의 초월을 나누어서 설명하고 있는 데, 이 논문은 이에 상응하여 현존재의 초월을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한다. 요컨대 하이데거철학에서 현존재의 초월은 존재론적 초월로서, 현존재가 존재자 전체를 넘어서 세계에로 넘어감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런데 이러한 현존재의 초월현상은 하이데거의 진리개념과 밀접한 연관관계에 놓여있다. 그의 진리개념은 비은폐성으로서 매우 독특한 성격을 띠고 있는 데, 이것은 현존재가 이미 초월한다는 전제에서 가능하다. 그리고 하이데거는 인식의 분야에서 초월현상을 논의하는데, 이 논의는 하이데거의 칸트 해석에서 이루어진다. 이 해석은 형식적으로는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해석하는 작업이지만, 그 실질적 내용은 존재이해로서의 초월이 어떻게 가능한가에 대한 철학적 실험이라고 말할 수 있다. 존재이해로서의 초월과 달리 세계-내-존재로서의 초월은 현존재의 본질구성틀을 이룬다. 세계-내-존재로서의 초월에서 비로소 무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며, 현존재의 구성틀로서의 세계, 즉 존재론적 세계개념이 다루어진다. 이러한 하이데거의 시도는 전통철학을 완전히 해체함으로써 자신만의 고유한 초월개념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즉 초월개념을 새로이 정립하여 기초존재론을 확고히 할 때, 하이데거가 궁극적으로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존재의 개념 파악이 가능하다. 하이데거의 초월개념을 연구한다는 것은 존재의 개념파악을 위한 예비론으로서의 의의를 지닌다. 따라서 이 논문은 하이데거철학의 전기만을 대상으로 하지만 단지 그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사유의 도정에서 초월이 갖는 의미의 중요성을 고찰하고 그의 철학이 존재론을 정초하기 위한 시도임을 밝히고자 한다. This thesis aims to study the transcendental phenomenon of Dasein in early Heidegger's thought. The author thinks that the core concept of Heidegger's thought is transcendence. This is because his thought, which unfold in a difficult way in the various subjects he deals with, are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Heidegger's concept of transcendence is as follows. Dasein is already in each case beyond beings as the whole. That is, Heidegger calls this transcendence. But Dasein transcends into the world. In other words, unlike traditional philosophy, Dasein does not recognize the object set before itself through transcendence and the Absolute who surpasses all beings. Rather, Dasein already exists as a transcendent.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focus on Heidegger's two perspectives in discussing his own concept of transcendence: transcendence as an understanding of being and transcendence as being-in-the-world. Transcendence as an understanding of being is closely related to truth and knowledge. The reason why Heidegger's concept of truth is understood as unconcealment is possible on the premise that Dasein already transcends. In other words, the essence of Dasein lies in its existence, which means that he is already transcending. The fact that Dasein is already transcending has nothing to do with whether or not it acquires authenticity. Therefore, even if Dasein exists in untruth, it can be said that it already transcends beings as a whole. In this way, since Dasein already exists as a transcendent, both ontic truth and ontological truth are possible on the basis of Dasein’s disclosedness. Here, Heidegger calls the difference between beings and being an ontological difference. Therefore, the transcendence of Dasein is the basic condition for this ontological difference. Heidegger considers this concept of transcendence very important. Namely, Heidegger equates transcending with philosophizing. However, the question arises as to how such an understanding of being is possible. Heidegger seeks to find the answer to this problem through his interpretation of Kant. In other words, Heidegger names the problem of Kant's a priori synthetic judgment as ontological knowledge, and grasps the problem as a problem of transcendence. However,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Kant was problematic in several ways because the philosophical basis of Heidegger and Kant was different. Nevertheless, this thesis tried to pay attention to his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ontological knowledge as transcendence, and I think Heidegger's attempts were very meaningful. Transcendence as being-in-the-world develops on the basis of Heidegger's own thought. That is, the basic constitution of Dasein as being-in-the-world is constituted of the structure of transcendence. In Heidegger's philosophy, Dasein must surpass beings as a whole in order to transcend. At this time, Dasein experiences nothingness in the process of surpassing beings as a whole. Nothingness can be experenced only in the fundamental attunement of Angst. However, since Dasein already transcends, I think that the transcendence mentioned in “What is metaphysics?” should be considered as an explicit transcendence concept. For if not, Dasein can appear to transcend only when it experiences nothingness. Therefore, even in inauthenticity, Dasein already transcends. Like this, Dasein is already a transcendent beings. However, that “toward which” Dasein, as subject, transcends is not an object or the Absolute. That towards which Dasein transcends is what Heidegger calls “world”. Here, the world concept is a transcendental concept as an existential-ontological world concept. Thus, the world in being-in-the-world is the world of Dasein and cannot exist unless Dasein does not exist in factically. Heidegger characterizes the world as “for-the-sake-of” and proceeds to discuss the selfhood of Dasein. He also sees the world as play. In this conception of the world as a game, the corelation between the world and freedom is revealed. That is why Heidegger sees transcendence and freedom as the same thing. Heidegger's concept of freedom is based on not spontaneity but selfhood. According to him, freedom as spontaneity in traditional philosophy is not possible without the first existence of the selfhood of Dasein. Heidegger's concept of freedom is also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grounds. Namely, freedom is the source of the principle of grounds, and it is explained by the ground of ground. Above all, Heidegger's concept of freedom is concretely elucidated in the throwness of Dasein. This means that the freedom of Dasein is finite. This freedom is characterized by nullity(voidness; Nichtigkeit). However, this nullity is not the negativity of traditional philosophy, but the source of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In this thesis, the author tried to reinterpret various topics discussed in Heidegger's philosophy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cendence through the transcendental phenomenon of Dasein. Because, only when Dasein has already transcended, the concept of truth can be grasped as unconcealment, and an opportunity to interpret the discussion of nothingness ontologically is secured. In addition, in the transcendental phenomenon of Dasein, it is concluded that among the three modes of being of Dasein, “being-by” and “being-with” is to be dealt with in the disscusion of truth, and “being-one’s-self”(selfhood) should be dealt with in the disscusion of world and freedom. In the end, this fact can be seen that the discussion on transcendence in Heidegger's philosophy is a discussion about the origin and ground of human Da-sein, and ultimately has a character as a fundamental and preliminary work for understanding being.

      • K. Rahner의 超越論的 方法과 神 認識에 關한 硏究 : Ho¨rer des Wortes를 中心으로

        허남진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Karl Rahner(1904-1984) hat das theologisches Denken um die Mitte unseres Jahrhunderts entscheidend mitgepragt. Eine Wurzel dieser Wirksarnkeit war seine profunde Kenntnis der theologischen Tradition und Quellen, zu deren Erschlieβung er selbst wesentlich beigetragen hat. Sein theologisches Denken wurde stark bestimmt sowohl durch seinen Sinn fu¨r den konkreten Menschen mit seinen Erfahrungen und Anliegen als auch durch seinen philosophischen, transzendental-anthropologischen Ansatz. Der anthropologischen Grundorientierung des gesarnten Rahner'schen Werkes entsprechend lassen sich die Spuren dieses Ansatzes in allen seinen Schriften verfolgen. Die fru¨hen Hauptwerke Geist in Welt(1939) und Ho¨rer des Wortes(l941) enthalten bereits eine Art philosophischer Grundlegung der anthropologischen Wende der Theologie. Die philosophische Selbsterfahrung des Menschen, wo sie auf ihre Tiefe und ihren Grund hin befragt wird, setzt notwendig schon den unbegrenzten Horizont transzendentaler Offenheit und dark den Mo¨glichkeitsgrund von theologischer Gotteserfahrung voraus. Die Selbsterfahrung ist die Bedingung der Mo¨glichkeit der Gotteserfahrung . Indem der Mensch seine Endlichkeit radikal erfa¨hrtt, greift er iiber diese Endlichkeit hinaus, erfa¨hrt er sich als das Wesen der Transzendenz, als Geist. Einen sehr friihen Lo¨sungsansatz dieser Transzendenzproblematik bietet Rahner in Ho¨rer des Wortes, in seiner Konzeption des "Vorgiffs" unter dem Einfluβ der Erkenntnisanalyse von Geist in Welt wird das erkennende "Bei-sich-selbst-Sein" des Geistes zum anthropologischen Leitbegriff von Ho¨rer des Wortes. "Der Mensch ist Geist" als grundsatzhafte "Definition" menschlichen Wesens impliziert damit die ~berzeu~ung, "daβ zur Grundverfassung des Menschen die absolute Offenheit fu¨r das Sein schlechthin geho¨rt." Die vorgreifende "Transzendenz der Erkenntnis auf Sein uberhaupt" bestimmt den Menschen so als Geistwesen, daβ er in dieser unendlichen Selbstbewegung "auf Sein u¨berhaupt" die einzelnen Gegensta¨nde seiner Erkenntnis immer auch als emo¨glichende Momente dieser Bewegung erkennt, weil er sie von vornherein bereits unter dem Worizont sieht, durch den jeder Mensch immer schon offen ist fiir das absolute Sein Gottes. Geistiger Selbstvollzug des Menschen im Vorgriff auf Sein ist damit immer auch schon Transzendenzvollzug in die vorga¨ngige Offenheit der Unendlichkeit Gottes hinein. Der Mensch ist Geist, d.h, er lebt sein Leben in einem dauernden Sichausstrecken nach dem Absoluten. in einer Offenheit zu Gott. Der Vorgriff ist ein a priori mit dem menschlichen Wesen gegebens Vermo¨gen der dynamischen Selbstbewegung des Geistes auf die absolute Weite aller mo¨glichen Gegensta¨nde. Resiimierend, Der Mensch ist das Wesen der Transzendenz, insofern alle seine Erkenntnis und seine erkennende Tat begriindet sind im Vorgriff auf das 'Sein' u¨berhaupt, in einem unthematischen, aber unausweichlichen Wissen um die Unendlichkeit der Wirklichkeit. Mit dem Grundgedanken von Ho¨rer des Wortes, den Menschen als "potentia oboedientialis" fu¨r eine moglicherweise in der Geschichte ergehende Selbstmitteilung Gottes zu fassen, setzt Rahner zunachst ein grundsa¨tzliches Beziehngsverha¨ltnis zwischen der natu¨rlich-philosophischen Vernehmensfa¨higkeit des Menschen und der go¨ttlichen Offenbarung voraus. Gott kann nur das offenbaren, was der Mensch ho¨ren kann.

      • 자아초월적 가치 내면화의 관점에서 본 방유룡 신부의 면형무아 여정

        김복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807

        방유룡 신부의 면형무아(麵形無我) 소명은 그의 신체험에서 비롯된다. 성체성사가 그의 신체험의 자리이다. 그는 성체축성으로 밀떡의 실체는 없어지고 그 형상만 남은 무(無)인 면형이 그리스도-하느님이 되는 실체변화와 성체현존에서 인간의 근원적 소명을 알아듣게 된다. 그러나 죄와 탐욕의 영향으로 인간의 자유는 불완전해지고, 심리-사회적 욕구는 하느님과의 관계에서 모호해져 자주 하느님께 맞서는 변질된 사욕으로 변했다. 그러므로 면형무아 소명의 실현을 위해서는 사욕을 비워 무사무욕무아가 되어야 한다. 성령은 사욕을 말끔히 비운 무아를 면형으로 변형시키시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처럼 인간이 전존재적으로 그리스도화 되어야 비로소 그리스도의 구원사업에 진정으로 동참할 수 있게 된다. 그리스도처럼 “사랑”이 된 사람만이 사람과 자연의 생명을 살릴 수 있다. 방신부는 하느님을 향한 무사무욕무아의 여정을 침묵과 대월의 길로 제시한다. 즉, 오관침묵과 동작침묵 그리고 사욕침묵을 넘어서서 이성침묵과 의지침묵의 여정이 곧 무아의 여정이다. 이 무아의 마지막 단계는 하느님 뜻이 이루어지기 위한 자기 자유의 봉헌이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은 일상 안에서 일어나야 하는 만큼, 점성정신으로 깨어 살아야 한다. 면형무아의 여정은 궁극적으로 사욕의 침묵에 근거하고 있다. 침묵은 곧 순교이며 십자가에의 동참이다. 하느님께서 하시는 새창조에 있어 인간의 궁극적 협조인 무아는 실존적․정신역학적으로 볼 때, 복음적 가치들의 내면화, 최종적 분석으로, 그리스도의 내면화를 뜻한다. 인격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내면화된 그리스도를 정점으로 통합될 때 인간은 전존재로 성령께 개방되는 무아가 된다. 그리하여 성령께서는 이렇게 자기를 비워서 유순한 무아를 새롭게 창조하신다. 그러나 무아가 되는 내면화의 여정은 쉽지 않다. 인간은 복잡한 동기체계를 지니고 있기에 의식적 의도와 무의식적 의도가 자신도 모르게 상반된 것을 지향함으로써 외면적 선을 진정한 선으로 착각함으로써, 예수님과 질적으로 사뭇 다른 삶을 사는 경우도 드물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면형무아 소명의 근원적이고 효과적 실현을 위해서는『그리스도인 성소의 학문교호적 인간학』의 접목이 요청된다. 즉, 신학을 중심으로 철학과 성소의 실질적 문제들을 직면시키는 과학적 성격의 건전한 심리학적 인간학이 통합된 것이어야 한다. 자아초월과 내적 일관성은 내면화의 기반이 되고, 자아초월의 인간학적 원천은 궁극적으로 자유에 있다. 그리스도인의 성소성장을 위한 자아초월과 내면화에 일생을 바친 이들의 연구는 면형무아와 동일한 목적과 과정을 제시한다. 면형무아 소명과 이『그리스도인 성소의 학문교호적 인간학』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인용되는 핵심적 성경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방신부는 그의 면형무아 소명에서 세상이 최종원리로 여기는 자아실현은 실상 하느님을 향한 자아초월에서 오는 부수적 효과라는 것을 천명하며, “나를 위하여 자기 목숨을 잃는 사람은 찾을 것이요”(마태 16,25)를 여러 차례 인용한다. 이 점은 성소성장을 위한 자아초월과 내면화의 학문적 기틀을 마련한 룰라(L.M. Rulla)의 견해와도 일치한다. 또한 갈라디아서 2,20을 인간의 소명인 그리스도화를 천명하며 빈번히 인용하는 것 역시 공통적으로 드러나는 특징 중 하나다. 이는 인간의 자아초월과 내면화의 목적을 그리스도를 닮고 사랑으로 하느님의 뜻을 따르며 일치하는 것으로 제시하는 양측 모두가 복음서에 그 원천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룰라와 그 동료 연구진은 60-80%의 그리스도인들이 복음적 가치들을 비내면화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보고한다. 그리고 자아초월과 자유의 문제 등과 연결되어 이러한 결과가 야기된 주된 원인은 무의식의 저항으로 드러났다. 인간의 자아초월은 전적으로 성령의 주도로 이루어지는 것인 만큼 은총 외에 다른 대역은 없겠으나, 그리스도화를 방해하는 한계성을 더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규명해냄으로써 이에 대한 해결책을 아울러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인간의 협조를 통하여 하느님은 새창조를 하시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전인적이고 심도 깊은 자아인식이 요구된다. 영육의 합일체인 하느님 모상인 인간은 존재론적으로는 변증법적이다. 선천적으로 주어진 자아초월성은 무제한적 운동성이며, 이것이 막히지만 않는다면, 신(神)중심적으로 내어뻗게 된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인간은 자유를 제한하는 인간적 한계를 아울러 지니고 있다. 이러한 한계로 인하여 인간은 자기중심적이 된다. 말하자면 인간에게는 “나에게 중요한 것”을 향하여 움직이려는 경향과 “그것 자체로 중요한 것”을 향해 움직이려는 경향이 공존하는 것이다. 감정과 이성은 인간의 동기 부여의 역동적 요소이고 심리적 욕구들과 가치들은 그 지시적 요소들이다. 이것들은 방향전환 또는 통합으로 해결되어야 할 것들이다. 이 변증법으로 인하여 억압이 일어나면 인간 정신에 의식의 층이 생겨 우리의 통제 밖의 영역이 형성되는 데 이것이 Father Bang, Yu-Ryong's “Myeon-Hyeong Mu-A” is a call from God to live out the Gospel radically in an incarnated way; it demands the whole person to be engaged totally to follow Jesus Christ and to be united with God in doing His will in love with an undivided and pure heart. But this engagement is not that easy because human mind is divided and his freedom is limited under the influence of concupiscence. Consequently his psycho-social needs given congenitally as a part of Imago Dei, became so deteriorated and ambiguous that he can hardly open himself completely to the Holy Spirit. Hence it would follow that a person cannot really follow Jesus Christ without being transformed existentially, into Him. The notion of Mu-A(which means “non-self”) is absolutely different from the Buddhist sense of “void”. Mu-A refers to overcome “self” which hinders a person from following Jesus Christ. If a person empties himself radically, nothing can stand against God, then He may sanctify him. The call of Myeon-Hyeong Mu-A comes from Father Bang's deep experiences of God, through his mysticism. He perceived the deepest meaning of this mystery at the Eucharist, specifically at the moment of transsubstantiation. Father Bang points here that if we become Mu-A the Holy Spirit sanctifies us and we may become Myeon-Hyeong Mu-A. Then, what should we do to be Mu-A? The journey to Mu-A described by Father Bang is fundamentally based on Jeom-Sung, Chim-Muk and Dea-Weol. To be concrete, Jeom-Sung means doing everything for God alone. As a successive stage, Chim-Muk follows. It does not mean only disciplining one's behaviors nor controlling emotions and selfish desires, but also defeating his ego-centricism and other selfish thought; finally, Dea-Weol leads him to offer his will to God. These three stages are interrelated. And all these processes are accomplished by God's omnipotence and His unfathomable grace. Meanwhile, Myeon-Hyeong Mu-A is based on Mu-A. Mu-A, as a psycho-dynamical notion, is explained to be the internalization of the self-transcendent values, in the last analysis a person: Christ. According to the research, presented by interdisciplinary anthropology of the Christian vocation, many Christians tend to shun from internalizing the self-transcendent values. The research shows there are some obstacles in human mind. The root of these obstacles is our unconscious resistances. Affected by these inner inconsistencies, most of proclaimed values became so alienated that a person apt to confuse the apparent good with the real good. This corresponds to the "parable of the sower" in the Gospel. Therefore, it is crucially important to have deep self-knowledge in cooperating with the Holy Spirit to be united with God in the journey to Myeon-Hyeong Mu-A. And that is the reason why Christian education and formation should be integral, involving the whole personality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unconscious. Yet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this unconscious resistance is accepted without recognition, Mu-A, the internalization of the values would be impossible. For the journey to Myeon-Hyeong Mu-A, subconscious self has the key. Such dissonant needs in a persons' mind are the root of the resistances that limit his effective freedom. In accordance with it, internalization of the values becomes frustrated and self-transcendence ends up blocked. Father Bang's teachings are based on a sound anthropology that considers the teleological and axiological nature of the human beings as well as their weaknesses or limitations. In this sense, this journey proclaimed by Father Bang is supposed to be developed more systematically and constructively. Hence I suggest here to adopt the interdisciplinary anthropology of the Christian vocation to reinforce Father Bang's formulations; and that might be a great help for Christians' vocational growth as well. To mention only a few of the further developments that Father Bang's formulations have to deal with: 1) his formulation about the dialectical nature of the human person is to be more articulated and completed 2) the existence of the unconscious and its affections on the conscious effort to follow the ideal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3) a certain danger of repressions and denials of one's feelings and desires that masquerades as self-emptiness should be overcome 4) there should be consider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human maturity and Myeon-Hyeong Mu-A to help those who have immature personalities.

      • 초월자기척도 표준화 연구 : 개신교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김지연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김용태의 초월상담이론을 토대로 안인숙과 김용태(2019)가 만든 초월자기척도(the transcendental self scale, TSS)의 타당도를 검증하고 표준화된 규준을 마련함으로써 초월자기척도의 실용화 가능성을 목적으로 한 연구다. TSS 타당도 검증과 규준 마련을 위해 2015년 대한민국 인구 및 주택 총조사(2016)에 기초하여 2022년 3월 23일부터 4월 28일까지 대한민국 4개 권역의 만 19세 이상 기독교인 대상으로 1,437명을 표집 조사했다. 본 연구를 위해 SPSS 29.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문항 분석 및 내적 합치도와 검사-재검사의 신뢰도 분석과 구인타당도와 교차타당도를 통해 도구의 타당도를 측정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신뢰도, Chronbach’s α .92, 하위요인별 내적합치도 Chronbach’s α .76 ~.87, 검사-재검사 신뢰도 .89***로 나타나, TSS 하위요인들 사이에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초월자기를 잘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초월자기척도 6번 문항의 요인부하량이 .3 미만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문항 삭제 모형과 다양한 요인 모형들을 비교한 결과, 6 요인(Model 5) 모델이 CMIN/df = 5.35, RMSEA = .055, CFI = .928, TLI = .917, SRMR= .0577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교차타당도 검증에서는 성별. 연령별 교차타당도를 통해 초월자기척도의 적합도가 적절하게 도출됨으로써 다른 표집에도 일반화가 가능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TSS의 세부 문항 및 구성 요인은 초월자기를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한 요인으로 나타나 초월자기척도가 타당한 검사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규준 마련을 위한 성별, 연령별 초월자기의 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남녀 간 전체 초월자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심리내적 초월과 대인관계에서 욕구 조절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평균을 보였다. 인식확장을 통한 관계 포용과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초월, 초월자와의 관계에서 초월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내면화된 여성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연령별 차이 분석에서는 대인관계에서 욕구 조절과 초월자와의 관계에서 초월 요인을 제외하고 다른 요인에서 70대 이상, 60대, 50대가, 20대, 30대보다 높은 초월 수준을 보였다. 연령별 차이 분석 과정에서 고 연령층이 저 연령층보다 높은 평균을 보이며 MZ세대인 2, 30대가 그 어떤 연령대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 외에 초월자기의 신앙 년 수별, 직분별, 학력별, 지역별 차이 결과, 지역별 차이를 제외하고 나머지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에 따른 연령별 및 성별에 따른 규준을 제시했다. 본 연구는 초 개인심리학을 비롯하여 간호학, 실존주의와 영성 분야에서 지난 10년간 자기초월과 관련된 타당화 연구들이 쏟아져 나오는 현시점에서 기독교적 세계관과 인간관을 가진 초월자기척도를 통해 성인 개신교 기독교인의 규준을 마련하고, 상담 현장과 사역 현장에서 그 활용도를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전체 초월자기의 남녀 간 차이가 없었던 부분을 발견한 것과 기독교 MZ세대인 2, 30대가 경험한 사회적 경험이 초월자기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초월자기척도는 자기 보고식 검사로 피검자의 과장된 모습이나 자신의 단점을 숨기려는 반응을 가려낼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방어 수준을 측정하는 척도나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 같이 연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초월자기척도의 6번 문항의 낮은 요인부하량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ranscendental self scale (TSS) created by Ahn In-sook and Kim Yong-tae (2019) based on Kim Yong-tae's transcendental counseling theory, and to establish a standardized standard for practical use of the transcendental self-scale.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transcendental self-scale and prepare standards, Protestant Christians over the age of 19 in four regions of Korea were surveyed from March 23 to April 28, 2022, based on the 2015 Kore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6). A sample of 1,437 people was surve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reliability Chronbach's α was .92, internal agreement Chronbach's α by subfactor was .76 ~ .87,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89***. In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verification, the factor loading of item 6 was found to be less than .3. Therefore,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item deletion model and various factor models, the 6-factor (Model 5) model was most suitable with CMIN/df = 5.35, RMSEA = .055, CFI = .928, TLI = .917, and SRMR = .0577. The cross-validation was divided into 5 groups by gender and age, and the model fit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fit of the transcendental self-scale was appropriately derived, resulting in a model that can be generalized to other samplings. Therefore, the detailed items and components of the TSS were found to be valid factors for measuring the transcendental self, proving that the transcendental self scale (TSS) is a valid testing tool.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verage difference in the transcendental self by gender and age to establish standar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overall transcendental self. However, males showed a higher average than females in terms of desire control in intrapsychic transcend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elational acceptance through cognitive expansion, transcend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absolute, and transcendence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transcende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emales showing a higher average than male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rnalized fema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y age, it appeared higher than those in their 70s or older, 60s, 50s, 20s, and 30s. In the process of analyzing differences by age, the older age group showed a higher average than the younger age group, and the MZ generation, in their 2nd and 30s, found a lower part than any other age group. Those in their 70s and older experienced the Korean War, and the MZ generation experienced childhood and adolescence during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and the 2008 financial crisis.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se negative social experiences influenced the transcendental self.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maining items except for the results of differences by the number of years of faith of the transcendental self, by position, by educational background, and by region, and by region. Accordingly, standardiz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age and gender, and standards were presented. At a time when many validation studies related to self-transcendence have appeared in the fields of transpersonal psychology, nursing, existentialism and spirituality over the past 10 years, the standard for Protestant Christians is prepared through the transcendental self-scale with a Christian world view and human view, and counseling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increase its utilization in the field and ministry fiel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discovery of the part wher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total transcendental self and that the social experience experienced by the Christian MZ generation in their 2nd and 30s may have influenced the transcendental self. In addition, the transcendental self-scale is a self-report test, an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not detect the exaggerated appearance of the subject or the reaction to hide one's own shortcomings. Therefore, it needs to be studied like a scale measuring defense level or a scale of social desirability. In addition, research related to the low factor load of item 6 of the Transcendental Self Scale is needed.

      • 초월적 존재의 재현과 의미구성 : tvN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 神 도깨비>에 대한 기호학 분석

        박종훈 성균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초월적 존재가 현대사회에서 어떠한 판타지적 요소가 변용되어 사회 문화 배경에 투영되었는지 고찰하고자 했다. 또한 수용자들이 변주된 방식 중 어떤 요소에 열광하게 되었는지 와 현재 TV드라마에서 끊임없이 초월적 존재가 등장하는 이유는 무엇이며, 초월적 존재의 재현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시작하기 앞서 기존문헌 고찰를 통해 초월적 존재를 비(非) 인간형과 인간형의 구분으로 나눠 볼 수 있었으며, 우리 신화 속에 등장하는 도깨비와 드라마 속 도깨비의 모습이 매우 흡사하다는 것과 TV드라마가 민담의 형태를 이어나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문제로 첫 번째, 서사구조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두 번째, 초월적 존재들의 재현들은 어떠한 기호화 상징으로 보여주고 있는가. 세 번째, 신화와 그에 따른 이데올로기는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가. 총 세 가지의 연구문제로 설정하였으며,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해 서사구조분석, 계열체 분석 그리고 행위주 분석, 그레마스의 기호사각형, 담론, 신화를 분석방법으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쓸쓸하고 찬란하 神 도깨비>는 운명극복서사와 인연서사 두 개의 중심서사와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네 개의 보조서사로 이루어 진 중층 구조를 취하고 있음을 파악 할 수 있었다. 운명극복 서사는 서로에게 주어진 운명을 극복하고자 하는 반면, 인연 서사는 전생과 현생에서의 인연의 지속성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이러한 서사들을 통해 주어진 환경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을 재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계열체 분석에서는 인간의 가치관에 따른 대립적 관계를 분석하여 인간의 본질성에 대한 의미를 밝혀냈다. 행위주 분석에서는 각각의 인물들이 상황에 따른 선택과 판단을 통해 어떠한 의미가 표출되는지를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인물들의 선택이라는 행위가 희생이라는 의미로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기호사각형 분석에서는 도깨비와 지은탁 두 인물간의 관계가 환상과 실재라는 차이를 통해 억압된 현실로부터의 해방을 원하는 이데올로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저승사자와 써니와의 관계를 통해 주도적 삶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도깨비와 박중헌의 관계를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믿음의 결여와 염증에 대한 이데올로기를 파악 할 수 있었다. 담론 분석에서는 운명의 한계성과 가능성에 대한 이항대립과 생명·사랑의 가치성과 물질주의를 탈피하고자 함을 밝혀냈으며, 앞선 연구들을 바탕으로 신화분석을 한 결과 한계성에 대한 도전과 만능주의적 이데올로기 탈피가 존재 한다는 것을 연구 결과를 통해 알아 낼 수 있었다. 이는 우리의 삶 속에서 친근한 도깨비와 죽음과 관련된 이미지 때문에 부정적이었던 저승사자를 동시에 등장시킴으로써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를 다시금 현대사회에 표출시켰으며, 희생이라는 의미를 통해 현대 사회의 이기심에 따른 믿음의 결여와 물질만능주의가 만연해 있는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하였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This article tries to consider how elements of fantasy have been transformed and reflect social cultural background in modern society. Also, it attempts to analyze elements among transformed methods which create enthusiasm of consumers, the reasons of recurring supernatural beings in TV dramas and meanings of representations of such supernatural beings. Before starting this research, it was able to categorize the supernatural beings into non-human type and human type by studying existing researches and studies. Also it figures out that the goblins in Korean myths and the Guardian in TV drama are significantly similar and the TV drama has folk-tale format in developing the st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3 research problems: First, how the semantic compositions are composed. Second, the types of symbolism representing the supernatural beings. Last, how do ideologies are shown in relevant to the myth. These three topics are chosen as research topics. In order to analyse such research topics, the research uses semantic composition analysis, paradigmatic analysis, square analysis of Greimas, discourse and analysing myths. As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irst of all found that <Guardian> contains dual structure with 2 central narrations of faith conquest and relationship and 4 supplementary narrations. In the faith conquest narration, it shows that characters attempt to overcome each others’ faith. On the other hand, relationship narration shows continuity on relationships in previous and current lives. Also, it shows that the drama represents how characters overcome the given circumstances according to such narrations. In paradigmatic analysis, the study revealed meaning of properties of human nature by analysing conflict relationships according to values of human. With actantial model, the study analyzed meanings expressed by decisions and judgments of characters in various circumstances and realizes that decisions of human are connected with one’s sacrifice. Using semiotic square analysis, the research reveals ideologies wishing to emancipate from the reality through differences of fantasy and reality in relationship between the Guardian and Euntak, Ji. Also, it understands ideologies of leading roles in live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the Angel of the Death and Sunny.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uardian and Joonghun, Park, it figures out ideologies of lacking trust and disgust I modern society. In discourse analysis, the study finds out that characters of the drama wish to face binary opposition towards one’s faith and limitation and desire to escape from values of love and life and materialism and reveals that challenge to limitation and escape from materialistic ideology exist based on myt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studies. The drama presents goblin which is familiar in daily life and angel of death which previously had negative images since it has been related to death at the same time to reflect meaning of life and death in modern society and tries to point out problems of modern society which lacks trust and is filled with materialism through meaning of sacrifice.

      • 자아초월증진프로그램이 중년기의 자아초월 심리에 미치는 효과

        현용수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자아초월증진프로그램이 중년기의 자아초월 심리에 미치는 효과 연구로서 혼합연구(Mixed Methods Design)방법을 이용하였다. 중년기를 대상으로 자아초월감(성)을 증진시키는 연구는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년기에 자기초월성을 높이므로 삶의 태도를 향상 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S시 중년기로 실험군 29명, 대조군 30명, 총 59명으로 자아초월 프로그램을 주 2회 60분씩, 6주 동안 총 12회를 2022년 6월 20일부터 11월 30일 사이에 제공하였고, 프로그램 전·후 자아초월감,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자아초월감, 자아존중감, 안녕감, 생활만족도, 긍정·부정 정서 척도, 우울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군 12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경험에 따른 변화 과정을 탐색하기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x2-test, t-test로 분석하고, 프로그램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종속변수의 차이는 ANCOVA로 분석하였다. 질적자료는 내용분석(content analysis)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자아초월 프로그램 적용 후 자기초월감, 심리적 안녕감, 자아 통합감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 노화 불안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반면 자아초월 프로그램의 자아초월심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효과는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정감과 삶의 태도에서 긍정적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죽음 태도에서는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중립적 수용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6개의 범주를 통해 3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첫 번째 주제는 ‘나를 돌아보기’로 두 가지 범주 ‘어두운 과거의 나를 바로 바라봄’과 ‘용서를 통해 나를 바라보기’를 포함한다. 두 번째 주제는 ‘작은 변화로 자신감 갖기’로 ‘표현하기’와 ‘타인과의 관계 개선’ 2가지 범주에서 도출되었다. 세 번째 주제인 ‘삶의 의미 발견하기’는 두 가지 범주 ‘다짐하기’와 ‘함께 살아가기’를 포함한다. 본 연구의 결과 자아초월 심리증진 프로그램은 중년들의 자기초월감을 높이고, 심리적 안녕감에서 생활만족도와 긍정 정서에서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며, 우울 감소와 노화불안에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used a mixed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effect of the transpersonal promotion program on middle-aged transpersonal psychology. I believe that research to promote self-transcendence in middle-aged people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improve the attitude on life by increasing self-transcendence in old age. The study subjects were 59 middle-aged people in S city, 29 peopl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people in the control group, The transpersonal program was provided twice a week for 60 minutes each, a total of 12 times over 6 weeks between June 20 and November 30, 2022 It was verified by measuring the sense of transcendence, self-estee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elf-transcendence, self-esteem, well-being, life satisfaction, positive/negative emotion scale, and depression scale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of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 explore the process of change according to program experience. To analyze, The SPSS WIN 23.0 program was used. Preliminary homogeneity verific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as analyzed by x2-test and t-test, and the difference in dependent variables was analyzed by ANCOVA to comp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fter the program.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irst, after the transpersonal promotion program, self-transcendenc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integr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than in the control group, and aging anxiety was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other hand, the positive effect of the transpersonal promotion program on transpersonal psycholog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self-esteem, psychological stability and life attitude, and on the attitude toward dea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higher neutral acceptance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three themes were derived whithin six categories. The first theme is ‘Looking back at myself’, which includes two categories ‘Looking at myself in the dark past’ and ‘Looking at myself through forgiveness’. The second theme, ‘Becoming confident with small changes’, was drawn from two categories: ‘Expression’ and ‘Improv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e third theme, ‘discovering the meaning of life’, also includes two categories, ‘making a commitment’ and ‘living together’.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transpersonal psychological promotion program increased the sense of self-transcendence of middle-aged people, improved life satisfaction and enhanc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positive emotions. It also had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depression and anxiety about ag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