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월자기 척도(The transcendental self scale)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안인숙 횃불트리니티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철학적으로 그리고 신학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초월 개념을 살펴보고, 기독교 상담학적 관점에서 초월의 정의한 김용태의 초월상담에 기초하여 초월자기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1은 문항을 개발하고 요인구조를 확인한다. 연구 2는 개발한 초월자기가 자율성, 연대감, 영적 안녕감,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와 상관관계가 있는지 확인함으로써 준거 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고,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통해서 초월자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한다. 연구 3은 초월이 발생하면 자율성, 연대감, 영성이 증가한다는 초월상담의 가설을 검증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월상담의 정의에 따라 심리내적 초월, 관계적 초월, 영적 초월의 3가지 영역으로 초월자기를 정의하고 각 영역별로 20문항의 예비문항을 만들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심리내적 초월, 대인관계에서 욕구조절, 인식 확장을 통한 관계 포용, 절대자와의 관계에서 초월, 초월자와의 관계에서 초월, 내면화된 영성의 6가지 하위요인을 추출하였고, 29문항을 확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CMIN/DF는 2.658로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고, RMSEA는 .071로 괜찮은 적합도를 보였고, TLI는 .842, CFI는 .859로 채택 가능한 적합도를 보였다. 초월자기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서 초월자기, 자율성, 연대감, 영적 안녕감, 한국판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초월자기는 자율성과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r = .641, p < .01), 초월자기는 연대감과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r = .620, p < .01), 초월자기는 영적 안녕감과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r = .654, p < .01), 마지막으로 초월자기는 정적 정서와 중간 정도의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이고(r = .485, p < .01), 부적 정서와 낮은 수준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r = -.270, p < .01). 초월자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내적 일치도 Chronbach’s 를 구하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룰 구하였다. 내적 일치도 Chronbach’s 는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898, 확인적 요인분석에서 .914로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06(p < .01)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초월자기 척도는 준거관련 타당도가 안정적이고, 신뢰도도 높은 수준과 중간 수준의 사이에서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초월상담에 의하면, 초월자기는 자율성, 연대감, 영적 안녕감에 인과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초월자기와 자율성, 영적 안녕감, 연대감의 사이의 단순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초월자기는 자율성의 41.2%, 연대감의 38.5%, 영적 안녕감의 42.8%를 유의미하게 설명한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초월상담에 근거하여 초월자기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심리척도를 개발하였고, 지금까지 개발된 초월과 관련된 척도들보다 심리내적 초월, 관계적 초월, 영적 초월의 포괄적인 영역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초월자기가 범주의 확장을 의미하기 때문에 기독교인들의 성장과 성숙을 측정하는 척도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초월자기 척도는 초월에 대한 연구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초월자기 척도가 자기보고식 척도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방어적인 응답이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하게 반응하는 응답을 걸러내기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MMPI-2의 방어를 측정하는 척도나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 연구될 필요가 있다. 초월자기 척도가 기독교 상담학계에서 널리 활용되기 위해서는 초월자기와 자존감, 자아강도, 자기응집성, 자기성찰, 정서조절, 자기조절, 우울, 불안, 분노, 수치심, 각 성격장애 등과의 관계가 연구될 필요가 있다. 또한 초월을 촉진할 수 있는 조건에 대한 연구나, 인간의 마음에서 초월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발생하는지에 대한 근거이론(ground theory) 연구가 진행된다면, 상담 현장에서 초월을 촉진하는 데 유익한 도움이 될 것이다.

      • 칼 야스퍼스에 있어서 초월자의 암호해독을 통한 실존해명

        강갑회 東亞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4

        이 논문의 목적은 야스퍼스의 철학적 사유에서 나타나는 '실존해명'의 문제와 '초월자의 암호해독'이라는 문제를 "초월자의 암호해독을 통한 실존해명"이라는 주제로 재구성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야스퍼스의 형이상학을 실존해명을 위한 계기로서 정위하는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이 논문은 야스퍼스의 실존에 대한 사유가 "현존으로부터 실존에로, 실존으로부터 초월자에로의 이중의 초월"로 전개된다는 일반적인 해석을 따르지 않고 "현존으로부터 실존에로의 초월, 비극적 상황에 빠진 실존으로부터 초월자에로의 초월, 초월자와의 만남으로부터 실존에로의 복귀"라는 '긴장적 실존의 구조'를 이끌어낼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은 바로 이 긴장적 실존의 구조를 해명해 가는 과정으로 전개된다. 세계 내에서 신체성을 가진 인간의 현존은 자신에 대해서 불만을 갖는다. 그러나 인간의 현존은 그 자신을 초월하여 본래적인 자기로서 실존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현존이 자신을 초월하여 실존하는 데에는 어떤 계기가 필요하며, 그 결정적인 계기가 바로 변경할 수 없는 상황인 한계상황이다. 한계상황에 직면한 현존은 좌절하지 않을 수 없다. 한계상황에서의 처절한 난파는 현존으로 하여금 그 자신의 존재를 묻도록 만든다. 그러므로 한계상황을 적극적으로 체험하는 실존적 태도에서 비로소 우리는 현존을 초월하여 본래적 자기, 즉 실존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다. 실존은 오직 순간적으로만 해명될 뿐이며, 이 순간적인 실존해명과 동시에 인간은 다시 단순한 현존으로서의 삶을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결국 우리는 현존과 실존을 끊임없이 오가는 연속적인 긴장상태에서 살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이른바 실존의 비극이고 실존적 좌절이다. 현존의 좌절과는 달리 이 실존적 좌절은 철학적인 초월 체험의 새로운 암호가 된다. 즉 좌절의 경험은 '불안에서 안심에로의 비약'을 가능하게 하며, 능동적인 인내는 좌절의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나아가 초월자를 기다리게 한다. 초월자는 그 자신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다만 그의 암호들만을 보내어준다. 기독교에서의 유일신, 인격신, 성육신의 사건, 육화한 신으로서의 예수도 모두 초월자의 암호이다. 뿐만 아니라 우리의 실존적 상황의 무수한 일들도 초월자의 암호이다. 이처럼 모든 형상, 표상, 사상 등이 초월자의 암호로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초월자의 암호는 자연, 역사, 예술, 신비주의, 형이상학, 종교 등 어디서나 나타난다. 그러나 어떠한 암호도 초월자 또는 神 그 자신일 수는 없다. 이러한 초월자의 암호들은 영원화의 의지를 갖는 실존에게 존재의 영역을 열어준다. 초월자는 암호로서만 나타나는 존재이지 논증되는 존재자가 아니기 때문에 초월자의 체험은 인식으로서는 불가능하고 암호해독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암호해독은 '철학적 신앙', 즉 철학적 사유에 의한 초월자의 확신과 이 확신에 의한 실천적 결단을 전제로 한다. 우리를 암호해독의 길로 이끄는 이 철학적 사유는 '사변적 사유'이다. 사변적 사유에는 대상도 없고 내용도 없다. 진정한 사변적 사유는 하나의 내적 행위이다. 즉 존재 사변에 있어서 나 자신이 나를 변화시킬 경우에 비로소 존재가 밝혀진다. 사변적 사유에 의한 진정한 초월은 현실을 거부하는 것도 아니고 현실에서 떠나는 초월도 아니다. 오히려 가장 순수하고 가장 자기다운 자기로 돌아가서 스스로의 도그마를 만들지도 않고 그것에 얽매이지도 않는, 모든 속박으로부터 해방되는 초월이다. 이것이 바로 초월자의 암호해독을 통해서 해명되는 실존함의 의미이다. The aim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construct the problem of "the elucidation of existence" and that of "the reading of the transcendent's ciphers" with the theme of "The Elucidation of Existence through the Reading of the Transcendent's Ciphers."In order to achieve it, this dissertation attempts a new interpretation which will clarify the position of Karl Jaspers' metaphysics as an opportunity for an illumination of existence. The present writer does not follow the general interpretation that Jaspers' thought of existence of proceeds to the double transcending, that is, from being(Dasein) to existence(Existenz), and from existence to the transcendent, but brings forward "the structure of tense existence"in which the transcendence from being to existence, the transcendence from tragically situated existence to the transcendent, and the return to existence from the transcendent, happe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will proceed to elucidate the very structure of tense existence. When man with a body is present in the world, he has discontent with himself. But his being has ability to transcend himself and exist as his original self(seines eigentliches Selbst). For a being to transcend itself and exist, it needs a moment, and the crucial moment is the boundary situation(Grenzsituation) which is an unchangeable one. A being confronted with the boundary situation cannot but be frustrated. Terrible wrecks in the boundary situation make a being ask about its existence. Therefore, in the existential attitude which actively experiences the boundary situation, can we transcend being and realize our original selves(i. e. existence). Existence can be elucidated only momentarily, and at the same time with the momentary elucidation of existence, must it live again a life as a simple being. After all, we will have to live in a continuous, tense situation, moving ceaselessly between being and existence. This is the so-called existential tragedy and frustration. Unlike frustration in being, the existential frustration experienced by freedom becomes a new ciper of the philosophical transcendental experience. In other words, an experience of frustration makes possible "a leap from anxiety to ease," and active patience facilitates an experience of frustration, and goes on to let one wait for the transcendent. The transcendent does not reveal himself but sends out only his ciphers. The one God, the anthropomorphous God, the event of incarnation and Jesus Christ as God incarnate which we find in christianity, are all of them the ciphers of the transcendent. Thus all the images, ideas and thoughts and the like can be the transcendent's ciphers. Therefore metaphysics, religions and the like. But none of the ciphers can be the transcendent or God himself. These ciphers of the transcendent's open the territory of existence(Sein) to Existenz which has the will of eternalization. However, revealed only in ciphers, we can experience the transcendent only through cipher reading, not by cognition. Cipher reading sets forth as a premise "a philosophical faith," namely, a firm belief in the transcendent by means of philosophical thinking, and a practical decision based on it. The philosophical thinking which conducts us toward cipher reading is "speculative thinking." Speculative thinking is an inner act. In other words, only when I transform myself in existential speculation, then is existence revealed. Authentic transcendence by means of speculative thinking neither denies reality nor is it transcendence departing from reality. Rather, it returns to its purest and most appropriate self, and it is transcendence which does not make its own dogma, not being tied to it, freed from all the bondages. This is what is meant by existence elucidated by the reading of the transcendent's ciphers.

      • Karl Jaspers의 哲學에 있어서 限界狀況의 體驗을 통한 實存開明에 관한 硏究

        박선정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770

        이 논문은 야스퍼스의 철학에 있어서 한계상황의 체험을 통한 실존개명의 과정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야스퍼스는 오늘날의 시대적 상황을 날카롭게 비판하면서 인간의 '본래적 자기(本來的 自己)'에의 복귀를 부르짖고 있다. 그의 주장에 의하면, 현대는 기술과 기계에 의하여 지배되고 있고, 그 결과로 두 가지 현상이 일어났다. 하나는 자연에 대한 인간의 정복과 그것으로 말미암은 문화 및 문명의 발달임과 동시에 인간생활의 편리의 현상이며, 다른 하나는 인간의 물상화(物象化) 및 비인간화이다. 이러한 두 가지 현상 가운데서 후자의 현상은 오늘날 인간의 삶을 그 근본에 있어서 파국으로 몰아넣고 있다. 예컨대 대량생산, 대중매체 등에 의한 인간의 개성의 상실 및 인간의 현존재의 획일화는 바로 인간을 단순한 즉물적(卽物的) 존재로 격하시키고 동시에 인간의 생존체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정신적 상황으로부터 인간의 진정한 자기에의 복귀는 지극히 당연한 과제이며 이것은 현대라는 시대의 역사적 과제일 뿐만 아니라 인간 자신의 필연적인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우선 야스퍼스가 말하는 한계상황의 개념을 중점적으로 분석하고,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좌절하고 절망하는 인간정신의 내면적 체험을 살펴 볼 것이다. 이어서 이러한 인간 현존재의 좌절과 절망을 통해 초월자의 암호를 해독하는 과정과 동시에 그 순간에 실존이 개명되는 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인간존재 자신은 상황 내 존재요 동시에 상황 가운데서도 인간 자신의 한계의식을 야기시키는 극한상황에 필연적으로 당면하지 않을 수 없다. 바로 이 주된 상황을 야스퍼스는 '한계상황'이라 하는데, 이 한계상황 앞에서 인간의 현존재는 난파(難破)하지 않을 수 없고, 따라서 이 난파를 통해서 인간은 진정한 자기존재, 즉 실존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 한계상황을 이처럼 자기존재의 일상성을 뛰어넘어서는 계기로 삼을 경우 인간은 초월자 앞에 나서게 된다. 초월자 앞에 선 인간 자신은 바로 일체의 세상성을 벗어난 본래적 자기로서 현실적 실존을 획득한다. 야스퍼스는 초월이란 대상적인 것에서 비대상적인 것으로 넘어가는 것이라 했고, 초월자란 대상적인 현존재와 비대상적인 실재의 존재근거가 되는 궁극적 포괄자라 했다. 이러한 초월자는 인간이 사용하는 언어나, 지성으로서는 분명한 표현과 깨달음이 불가능하며, 어떠한 이론도 전개할 수 없다. 어디까지나 초월자는 한계상황에 직면하여 가능적 실존을 체험함으로서 계시되는 그러한 존재이지 논증되어지는 존재자가 아니다. 오로지 초월자의 궁극적인 암호가 되는 것은 현존재가 한계상황 내에서 소멸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계상황을 체험하는 것은 초월자의 현현(顯現)을 체험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계상황 앞에서 인간의 일상적 현존재가 난파하고 좌절하여 절망함으로써 인간은 그 절망성이 지시하는 포괄자로서의 초월자의 암호에 직면하게 되고, 그리하여 연간의 일상성에서의 해방과 가능적 실존에의 비약을 감행한다. 실존의 비약이야말로 한계상황의 피안으로 들어가는 하나의 현상이다. 이와같이 인간은 죽음, 고뇌, 투쟁, 죄책 등의 한계상황 앞에서 자신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깨닫는 체험을 하게되며, 한계의 저편에서 들려오는 초월자의 암호에 의해 인간의 한계성, 비본래성을 극복하여 초월자 앞으로 나아감으로서 실존으로 비약하게 된다. 즉 한계상황의 체험을 통하여 실존 개명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existence-illumi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he boundary situation in Jaspers' philosophy. Karl Jaspers insists on human return to his authentic self criticiz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cutely. According to his views, there are two phenomena of modern society. One is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civilization with convenience and comfort of human life due to human desire to conquer nature. while the other is the phenomenon of dehumanization and alienation of human being. The latter forces human life to fall into radical destruction. For example, the loss of individuality and uniformity of human existence rising from mass production and mass media is trying to threaten human existential life. In this respect, human being return to his authentic self is not only a natural and historical matter but also a necessary task for modem men. This task is necessary because human existence itself is being within situation and at the same time can't help coping with the extreme situation which may give rise to a consciousness of limitation under the conditions. Jaspers calls this a boundary situation, where the present existence of human being can't but be wrecked and can return to his authentic self through this wreckage. In case that he transcends his daily life in this boundary situation, he stands in front of transcendental being. He himself gets an Existenz as his authentic self escaping from all worldly matters. Jaspers defines transcendence as transferring from object to non-object and transcendental being as an ultimate being of comprehension based upon the objective present Existenz and the non-objective reality. This transcendental being don't use human language, hence man can't realize it, nor express clearly any theory of it. The transcendental being is realized by experiencing a possible Existenz in the boundary situation. Only ultimate Chiffre of transcendental being is that the present existence disappears in the boundary situation. Therefore, to experience the boundary situation means to experience the epiphany of transcendental being as being of comprehension and attempts to deliver from human daily life and to leap into a possible Existenz. Leaping into existence is a phenomenon entering the other world in the boundary situation. Human being experiences the realization of his limitation and inauthenticity in the specific boundary situation such as death, suffering, struggle and guilt, and leaps into existence by stepping forward transcendental being after overcoming his limitation and inauthenticity through Chiffre of transcendental being which is heard from the other side of limitation.

      • 基督敎와 東洋思想에서 超越者와 一致硏究

        김동기 가톨릭대학 대학원 1981 국내석사

        RANK : 247725

        Several natural thoughts had instructed the man-kind before Jesus came into the world. There were Greek thoughts on which Plato and Aristotle had influenced, Judaism on which the prophets including Isaiah and Jeremiah had influenced, in Philestine and Judae.Buddhism in Indian civilization, and chinese thoughts such as confucianism and Taoism in China. There are common factors in those thoughts; as it follows 1) All of those thinkers had tried to look for the idealistic situation in which the mankind can be union with transcendental being. 2) Most of them were contemporary men (about BC 6-5) 3) They were the most excellent thinkers in history. In the view of christianity, Christ in campared to the center point of circle in thoughts. They are compared to the circumference. Dividing the circumperence into 4 parts, we can explain that the 1st part is Greek thoughts, the 2nd Judaism, the 3rd Indian thoughts, the 4th Chinese thoughts. Every thought has the possibility to reach Jesus christ in proper way. But in fact there is only one way which accompolished this purpose. That is the christianity with which Greek thoughts have been combined christianism by Thomas Aquinas. Today the christianity has built the modern civilization. As accepting christianity, we have been enchanted with European-built Christianity. But the Europeans built the Christianity in the light of Greek thoughts such as Platonism. Finally we have to analyze the Christianity accepted in order to get the purest Christianity. For this purpose we need the work to compare one thoughts with another thoughts, At first, when comparing many Oriental thoughts with Christianity, we can induce the following points. 1) Both Oriental thoughts and Christianity are trying to reach the idealistic situation which the mankind can be union with transcendental being. 2) In method to unify the transcendental being and the mankind, there is a difference. In Christianity it is emphasized that the God established the mediatorical personal relation between God (the transcendental being) and the mankind. On the other hand in oriental thoughts, they established non-personal and metaphysical methods to unify the man with the transcendental being. In spite of this difference, both Oriental thoughts and Christianity are emphasizing the virtue to love the neighbors each other. On this point, both are equal. 3) The transcendental being in Christianity is regarded as the personal, monotheistic and moralistic, and altruistis being. Second, we have to analyze the Christianism because the present Christianism is combined with the original Christianism and the Greek-roman philosophical thoughts. After analyzing, we have to compare the original Christianism to Oriental thoughts and at the same time the Greek-Roman thoughts to the Oriental thoughts. After comparing, we can take one hypothesis in Original Christianity. It is the Peter's eight steps, which can introduce us to identified situ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 In the view of this hypothesis, I think that we can find the way how to unify the pagans in Korea with Christianity step by step and at the same time how to use the good method in Oriental thoughts to spread the Good news. About these problems, we may have the following answers: 1) We have to be cautions to the following points, when the pagans in Korea are converting to the Christianity. [a] In case of Buddhists, we have to emphasize the believing in God to them. The believing in God establishes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God and human being. On this personal relation, we have to put the weight on the practice of the virtue of hope and love. Besides these, it is natural that we should take the natural and good method to make human be good. [b] In case of Taoists, we have to emphasize the believing in God to establish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the practice of the virtue of hope and altruistic deeds. [c] In case of Confuctionists, we have to emphasize the believing. in God to establish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the practice of hope, love and latruistic deeds, and importance of unconsciousness and the relativity of human knowledge in the conversion of value. [d] In case of intellectualists accustomed to Western thoughts, we have to emphasize the believing God to establish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the practise of the virtue of hope, love and altruistic deeds. And importance of unconsciousness and the relativity of human knowledge in the conversion of value. [e] In case of Shamans, we have to emphasize the believing in God to establish the personal relation between God and man, the practice of the virtue of hope, love and altruistic deeds, and the importance of unconsciousness and consciousness and the relativity of the present world value. After considering the great commandment (You must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with all your soul, with all your strength, and with all your mind and your neighbor as yourself) and Peter's eight steps which can introduce us to unify us with God (faith, goodness, understanding, self-control, patience, true devotion, kindness toward fellow and love Ⅱ Peter 1:4-8) and supplying the shortage of pagans' virtue, are deduced. Third, according to our proper thoughts Korean thoughts have two good points which can be used to unify man with God. 1) The one is the logic of heart and the view of the world, 2) The other is the theory of mixed way of moderation. The logic of heart and the view of the world give us the place which helps us make pure christian heart. In making unify man with God, the heart is priori to the consciousness, and this opinion has deeper view than modern European and western thoughts to unify man with God only in consciousness. More over, this opinion has more importance in the super-emotion than reason, in the exercising the Christian Virtues. At the result of these opinions, we can try to get good place which God celebrates the men whose hearts are clear, merciful, because God watches the hearts of human being. Next, the theory of mixed way of moderation indicates us self-denial as proper moderation in exercising the practice christian virtues. This help us solve the conflicts between the present secular life and the faith. It is indicated us that we should look for the I who am in the God, (The word, "I" indicates individual, society, human civilization and total human affairs etc.) and the God who is in me, not as conflicts but as moderate factors. As taking care of our life of faith in this way, we can expand our life of faith to the God who embraces the whole world. If we express this as diagram, it follows. ◁그림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 Jaspers에 있어서 超越者의 暗號에 관한 硏究

        배수현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47614

        Ziel und Zweck dieser Arbeit den Begriff der Chiffern bei Jaspers zu untersuchen. Wenn es seine Philosophie ist, Existenzerhellung durch das Erlebnis der Transzendenz zu erkla¨ren, so wird das Versta¨ndnis fu¨r Chiffern gefordert, die Existenz und Transzendenz vermitteln. Darum versucht diese Arbeit, das Wesen der Chiffern als Wort zu untersuchen, die Bedeutung der Chiffern, die in Zusammenhang mit Existenz und Freiheit stehen und weiter das unbegreifliche wesen von Chiffern. Das Wesen der Chiffern ist wie folgt zu Katalogisieren : Erstens sind Chiffern wesentlich unklar. Zweitens haben Chiffern eine geschlichtliche Qualita¨t. Drittens ist die Struktur von Chiffern, die sinnlos fu¨r das Bewuβtsein u¨berhaupt wesentlich unmo¨glich wegen ihrer unendlichen Unbestimmtkeit. Viertens sind Chiffern kein Wissen. Fu¨nftens sind Chiffern subjektiv und zugleich objektiv. Sechstens vera¨ndern Chiffern die Welt, die nur innerhalb der existenziellen Vermittelungsterminologie erlebt werden ko¨nnen. Siebtens unterscheiden sich Chiffern vin Zeichen und Symbolen. Wie oben erwa¨hnt, sind chiffern zwar gar keine Wirklichkeit, aber halten alle Dinge, sachverhalt und Sache, die sich innerhalb des Bewuβtseins u¨berhaupt zeigen fu¨r den Inhalt, der nur im Bereich der Existenz auf Transzendenz hinweist. Bei Jaspers ist Existenz ein Raum, in dem Chiffern gelesen werden, die als mo¨glich selbstexistenz mit sich und zugleich mit Transzendenz zusammenha¨ngen. Im Bereich der Ezistenz vera¨ndern sich Zeichen und Symbol des daseins in Chiffern. Selbst in dem perso¨nlichsten kontakt mit Transzendenz triff sich Existenz aber nicht mit Transzendenz selbst, sondern mit Chiffern, die Existenz ist Freiheit. Die Freiheit ist gerade entscheidentes Wort von Transzendenz. Die Freiheit als wesentlich Chiffer ist auch der Kern der Existenzerhellung und zugleich bedingungsloser groud der Existenz. Chiffern von Transzendenz auf der Basis von Existenz und Freiheit zu lesen, heiβt daβ ein apriorische Denken selbst Erfahrung ist. Alles, was in dieser Welt existiert, kann das Material von Chiffern sein. Lesen der Chiffern fordert die Grunderfahrung des Lesens selbst durch Aneignung. Doch ha¨ngt Wortlosigkeit nicht mit der Verheimlichung der Existenz, sondern mit dem Grad der Auseinandersetzung Zusammen.

      • TV드라마 속 남성 캐릭터 연구 : <별에서 온 그대> 인물을 중심으로

        박은아 동국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0

        In dramas, various aspects of human beings are adopt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that is constantly changing in order to attract audience’s mind. With an assumption that it is possible to figure out receivers’ desire in a certain period with the characters found in them,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receivers’ expectations and desire reflected to male characters in fantasy TV dramas. Do Min-jun in <My Love From The Star> is a fantastic character born as a character that not only satisfies receivers’ psychology of expectations but also may be anywhere in reality through various dramatic devices. It sets up some aspect of unreality that he is ‘an alien that has been living on Earth for 400 years’. The aspect of fantasy that he uses his power and devotes his life only for one woman and awareness that I am the only one that communicates and has relationship with him satisfy female receivers in terms of relational fantasy. He is a character that maximizes the charms of male characters that have been created in melodramas so far. His communicative or empathetic power gets neutralized or reinforced only by me. Here, ‘I’ is realized as a character named ‘Cheon Song-yi’ within the drama but is, in fact, realized as ‘we ourselves’ to the number of audience watching the drama outside the television. Do Min-jun equipped with supernatural powers and innocent love works as a personal hero guarding me even sacrificing his own life in the world that is full of merciless enemies that cannot even get caught by the general judicial system. As it is hard to be freed from violence in our everyday lives these days, such activity of a personal hero does seem even more desperately needed, which makes ‘me’ feel the existence of Do Min-jun as real pleasure. In addition to that, relation between first love and the past life cliche makes the relationship more ardent. Meanwhile, this overthrows it and depicts the obvious relationship not obvious in consideration of the eye level of receivers even more enhanced. Twisting the alien cliche that has been depicted in public culture, it does not alienate the union with the earthian woman by escaping the inevitability like green blood, an alien in mask, or having to go back to his own planet. In Chapter 2, it is attempted to understand Do Min-jun’s character in <My Love From The Star> generally through his physical, social, and psychological qualities. Though he can save other people using his superior physical powers, he has tried to suppress or neutralize his own supernatural powers and hide his deep heart from others. Isolation is one of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fantasy characters equipped with supernatural powers. But they do not use their supernatural powers for the wellbeing of the society/system, and when the taboo is broken, their exterior does not change, which gives the receivers fun from unexpectedness. Also, Do Min-jun wants to reveal himself as he is but he cannot do so. This stimulates humans’ basic desire needing acknowledgement and amplifies their sorrow about Do Min-jun. Lastly, Do Min-jun’s inner side is hard to be revealed through relationships around but can be revealed only through interview or epilogues. Do Min-jun who cannot unclose his deep heart just as it is does talk about or show his inner side directly to the audience merely through interviews. In Chapter 3, physical, social, and emotional desire satisfied by Do Min-jun is examined. First, concerning physical desire, desire for physical security, desire for the body to be near, and innocence of sexual union are dealt with. Second, about social desire, Cheon Song-yi’s fall in the drama is examined in relation to the social status of contemporaries. In contemporary society, people are apt to fall all of a sudden regardless of their ability or volition. The drama satisfies social desire through the social status with the character like Do Min-jun who is willing to support exclusively. Lastly, in this age in which the object to be communicated is ambiguous, we cannot be entirely freed from others’ eyes, but in private space, we want to express ourselves and seek true comfort from someone else, and this study examines that emotional desire. Do Min-jun is an ideal character that satisfies human desire in many ways. It amplifies the favorable responses or feelings of audience watching him and makes them want the two’s love to be realized and broadens the horizons of their expectations. Focusing on the fact that Do Min-jun’s power is what anyone wants to have and the power and its use are oriented to only one person, audience enjoy the dramatic fun with the tension enhanced whenever each of the limitations hidden behind the power is expressed. With those diverse charms, audience expect to believe in the presence of Do Min-jun gradually, which makes the presence of Do Min-jun’s character and the setting of <My Love From The Star> get to acquire probability naturally. However, recalling the fact that desire that everyone gets to have naturally is realized only through fantasy is such a pity and regret as human beings living in reality. In that reality, people want to believe in the world within a well-organized fantasy TV dramas more and more, and in the future, such characters in fantasy TV dramas seem to appear more and more gradually. This study examines characters contributing to satisfying audience’s desire to get clues about phenomena preferred in fantasy dramas and anticipate the possibility of dramas afterwards. However, <My Love From The Star> may not represent all the other fantasy dramas, there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n the future, this author will analyze other dramas, too, to make up for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 몰트만의 성령론적 만유재신론 연구

        장석원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7

        '몰트만의 성령론적 만유재신론 연구'라고 제목을 붙인이유는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이 성령론적으로 실현되기 때문이다. 몰트만의 만유재신은 내재적 초월이다. 즉, 초월자이지만 내재한다는 것이다. 초월을 전제하며 내재를 강조한다. 이것은 '하나님이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시는' 만유재신의 정의와 동일하다.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에서 특이한 점은 앞에서 말했듯이 성령론적이라는 것이다. 몰트만의 만유재신론은 성령론과 밀접한 관계로 연결되어져 있으며 만유재신은 성령이 주체적으로 실현해간다는 것이다.

      • 과정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적 유신론 : 화이트헤드 철학을 통해 본 中庸의 誠과 君子

        강기택 감리교신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2

        본 논문은 알프레드 노스 화이트헤드(Alfred N. Whitehead)의 철학에 근거한 ‘과정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적 유신론’을 대조한 연구이다. 같은 뿌리를 가진 ‘과정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적 유신론’은 화이트헤드의 철학을 따라 모두 초자연적이고 초월적인 절대자에 대한 관념을 거부하지만 ‘신적 실재’의 실제적인 기능과 활동을 인정하는지에 따라 그 입지를 달리한다. 이에 본 논문은 ‘신’의 실제적인 기능을 인정하지 않는 ‘과정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적인 방식으로 기능하는 ‘신적 실재’를 지지하는 ‘자연주의적 유신론’의 대비를 통해 ‘신적 실재’에 대한 종교적 경험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과 유효성을 다룬다. ‘ 과정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적 유신론’의 선명한 대비를 위해 본 논고에서는 로저 에임스(Roger T. Ames)와 데이비드 홀(David L. Hall)의 중용 해석인 Focusing the Familiar에 주목한다. 중용의 해석에 있어 초월적인 실재를 배제하고 인간과 세계 간의 상관적이고 역동적인 공동-창조성을 주장하는 에임스와 홀을 ‘과정 자연주의’의 입장에 세우고, ‘자연주의적 유신론’의 입장에서 중용에 대한 해석을 제시한다. 화이트헤드 철학에서 영감을 얻어 중용의 핵심용어인 ‘성(誠)’을 ‘창조성(creativity)’으로 이해한 에임스와 홀의 번역과 해석의 적절성 여부를 논하면서, 이를 위해 화이트헤드 철학의 전문적 기술용어인 ‘창조성(creativity)’의 개념과 위상을 분석하고, 과정철학적 세계관의 성립을 위해 ‘창조성’과 함께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필수적인 요소들과 ‘신적 실재’의 역할을 제시한다. 나아가 '중용'의 ‘天(tian, 하늘)’을 ‘자연주의적 유신론’의 ‘신적 실재’로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밝히고, 이러한 이해가 ‘창조성’의 도입에 따르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으며, 중용의 해석적 풍성함을 더할 수 있음을 논증한다. 본 논고는 ‘창조성(creativity)’과 함께 중용의 또 다른 중요한 테제인 ‘군자(君子)’에 관해 다룬다. 중용의 ‘이상적 인간’인 ‘군자(君子)’를 과정 가운데 있는 ‘사건적 존재’로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설명하고, 매 순간 일어나는 ‘인간적 사건’이 이상적 인간으로서 ‘군자적 사건(junzial event)’이 될 수 있는 구조를 분석하여 제시하며, 그 근거를 ‘자연주의적 유신론’의 사유를 통해 입증한다. 마지막으로 본 논고는 중용이 목적하는 바, 인간이 성취해야 할 이상적이고 실천적인 길을 ‘과정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적 유신론’의 화이트헤드주의 윤리에서 찾는다. 화이트헤드주의 윤리는 ‘도덕적 이상’이나 ‘도덕적 판단’의 인식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을 ‘도덕적 책임’을 가진 ‘주체’로 확립한다. 나아가 세계의 질서를 증진하고 선을 향해 전진하도록 이끄는 동력으로서 ‘과정 자연주의’와 ‘자연주의적 유신론’의 간의 차별되는 효과를 '중용'의 ‘天(tian, 하늘)’과 ‘천명(tianming 天命)’과 관련지어 주장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