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국악교육 관련 논문 내용 분석

        조성휘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음악교육과정은 일곱 차례의 전반적인 개정과 두 차례의 부분적인 개정과정을 거치면서 국악 교육은 점차 그 중요성이 증대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07 개정교육 이후 연구된 초등국악교육 관련 논문의 내용을 분석 및 종합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초등국악교육에 관한 최근의 경향성을 파악하고 초등학교 음악교과에서의 국악교육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체계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초등학교에서 국악교육을 하는 교사들과 국악교육 관련 연구를 하려는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첫째, 국악의 중요성과 초등국악교육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고, 둘째, 2007 개정 초등학교 음악과 교유과정 국악 영역을 분석하였다. 셋째, 294편의 논문을 연도, 대상, 주제, 연구방법에 따라 분류하고 연구 내용을 파악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내용을 토대로 향후 연구될 초등국악교육 관련 논문들을 위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국악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연도별 연구내용 분석 결과, 음악 및 국악교육 전공생들이 초등국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효율적인 국악교육을 위한 연구를 활발히 해나가야 한다. 둘째,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의 초등국악교육관련 연구 논문 수가 상대적으로 적게 나온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2007 개정 교육과정 발표 이후 2007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어 그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이는 국가의 교육정책에 대학원생의 연구 동기가 부합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초등국악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주제별 연구내용 분석 결과 활동 영역 중 가창, 기악, 감상영역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오늘날 창의성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 창작영역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창의적이고 효과적인 초등국악교육을 위해 다양한 주제와 영역들이 연구되고 검증되어, 초등음악교육에 대한 다각적이고 효율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본 연구가 초등국악교육을 연구하려는 연구자들에게 방향과 주제를 선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를 통해 초등국악교육의 질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 초등학교 국악 교육 실태 조사 연구 : 인천광역시 지역을 중심으로

        김모래 용인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초등학교의 국악 교육과 관련된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것을 토대로 국악 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내어 앞으로 국악 교육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대상은 인천광역시에 있는 초등학교 15개교의 교사로부터 설문지를 배포 ․ 회수 하여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악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면서도 교사 자신이 국악지도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설문하였고, 현재의 교육 제도나 여건으로는 충분한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국악 교육을 제대로 할 수 없다고 하여 국악 교육을 위한 여건 조성이 시급함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의 지도 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국악 교육을 할 수 있는 주변 여건만 개선된다면 얼마든지 국악 교육의 미래가 밝아 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많은 교사들이 음악 교과서의 국악 내용의 난이도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과서 내의 국악 내용에 대한 분량도 많다고 생각해 국악을 가르치는데 큰 부담을 갖고 있었다. 특히 많은 교사들이 현행7차 음악 교과서에서 40%정도 차지하는 국악의 비중을 높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국악 교육의 강화와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현 실정에 반하는 결과로 실로 안타까운 일이 아니라 할 수 없다. 셋째, 교사들이 음악 교과서에 포함된 국악 부분 중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부분은 대체적으로 기악 및 가창 교육이었으며 이를 반영하듯 학생들이 가장 흥미를 느끼는 분야도 기악과 가창이었다. 넷째, 국악 수업 시 주로 사용되는 악기는‘장구(78.3%)’가 제일 많았고, 그 다음으로‘단소(13.0%)’와‘소고(4.3%)’가 차지하였다. 앞으로 더욱 향상된 국악 교육을 위해서는 대학이나 연수 기관에서 여러 가지 악기를 가르쳐야 할 것이며 교사들도 다양한 악기를 습득하여 더 알찬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다섯째, 학교 현장에서 국악을 가르치고자 하나 국악 교육을 위한 환경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특히 국악실을 갖추고 있는 학교는 전체 학교의 1개교(16.4%)에 불과해 학교에서 국악을 가르칠 수 있는 별도의 공간이 많이 부족하였다. 학생들에게 양질의 국악 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시설 확보가 우선되어야 한다. 음악 전담교사가 있는 학교는 78.7%로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러한 교사마저도 국악보다는 양악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은 국악 교육을 가르치는데 있어서 문제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국악과 관련된 특별활동이나 방과 후 활동은 절반 가까운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국악 활동이‘거문고나 가야금(9.7%)’에 치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들의 특기와 적성이 고려된 교육 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악의 여러 장르를 접해 볼 수 있는 교육의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많은 교사들이 국악 교육의 발전을 위해 해결되어야 할 과제로, ‘교사를 위한 국악 연수 강화(34.3%)’를 제일 우선순위로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교수·학습 자료구입(17.4%)’을 지적하였다. 따라서 국악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현직 음악 교사들에게는 국악 관련 강습 및 연수를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넓히고, 음악 교사를 양성하는데 필요한 국악 관련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KTME of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and to find out the problem existing within the current KTME system so that we can provide the materials to improve quality of KTME. I have made the evaluation form in a detached way and excluded the possible subjectivity for this study. The evaluation form contains 27 questionnaires which is completed with modification and complement of the reference of the proceeded study 225 evaluation forms were distributed to 15 elementary schools in In-Cheon Region and 207 of those were collected and evaluated. As a result, I had been able to reach conclusions shown below: First, the majority of teachers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educati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KTM), but they are not confident about their capability of instructing the KTM. And they also say instructing KTM has been more difficult for them since the current educational system or circumstances is not supporting enough. It shows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right conditions for KTME without delay. It also shows that KTME can be much better if there are enough efforts to improve the teachers capabilities of instructing and to make better circumstances. Second, many teachers have thought of teaching KTM is not easy because contents of KTM are quite broad part of current music text book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s seemed high. Especially many of teachers think KTM is rated high since it takes about 40% of the 7th textbook now in use. Unfortunately this thought is opposed to the actual circumstances where the efforts to reinforce and to revitalize the KTM is making. Third, the teachers lay emphasis on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part of KTM included in th music textbook. Thus this is reflected in students who feel more interested with instrumental music and vocal. Fourth, mainly used musical instruments in the KTM lesson are 'Jang-Gu (78.3%)', 'Dan-So(13.0%), and 'So-Go(4.3%)'. To provide improved KTME, Universities or training centers (organizations) need to give training to teachers to play various instruments so that more substantial education is possible. Fifth, the current situation is that the environment to provide better quality of KTME is not prepared satisfactorily although teachers want to give the proper lesson. Particularly just 1 (16.4%) out of 15 schools has the classroom for KTM, which means the separated space to give students the KTM lesson in school is not enough. To begin with, the facilities have to be ensured to provide fine KTM lessons to students. The research shows that 78.7% of those schools hires the full-time music instructor. But it would be a problem when music instructors themselves are also more interested in Western music rather than Korean Traditional Music. Sixth, although the club activities or after-school activities related to KTM are formed at about a half of researched schools, the special emphasis on 'Geo-Mun-Go or Ga-Ya-Kum (9.7%) is taking part of those activities. Th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various genre of KTM have to be made so that students are able to take part of activities with consideration of their talent and aptitude. Lastly, the majority of teachers point out "the enhancement of training for KTM for teachers (34.3%)' has to be solved in a first place for development of KTME. The next is 'the purchases of instructing * learning materials (17.4%)'. According to this research, the music instructors should have more opportunities to get training so that the quality of KTME would be improved. To educated expert music instructor, the financial resources correlated to KTM is necessary.

      • 박물관 연계 궁중 악기 학습 및 지도 방안 연구 : 국립 고궁 박물관과 종묘제례악을 중심으로 한 국악 수업안

        김지혜 경인교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국악은 우리 민족의 혼과 정신이 담겨 있다. 그러나 서양 음악이 일반화된 오늘날 자연스럽게 접할 기회가 드물며, 유년기 때부터 교육과정을 통해 알고 익혀야 익숙해지고 생활 속에 녹아낼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이 수차례 바뀌면서 음악과 교육과정은 꾸준히 국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꾀하고 있으며 생활 속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아동들은 국악을 어려워하는 대상으로 여기고 있으며, 심지어 초등 교사들 또한 여러 가지 상황들로 인해 국악 내용을 학생들에게 지도하기가 망설여지는 것 또한 현실이다. 특히 궁중음악 및 궁중 악기 부분은 더욱 낯설고 어려운 내용일 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교사들은 지도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현재 국악 교육은 공식적인 교육기관인 학교 현장에 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수준이나 내용면에서 많은 한계가 있으므로 비공식 교육기관에서의 교육을 통해 보충, 보완될 필요가 있다. 이런 점에서 대표적인 비공식 교육기관이라 할 수 있는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이 이루어지면 국악 교육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으리라 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궁중음악 중 종묘제례악을 중심으로 한 박물관 학습 수업안을 설계하였다. 박물관은 실물기반학습이 가능함을 고려하여 박물관에서 학습한 궁중악기를 통해 사후학습에서 학생들이 궁중음악을 자발적으로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국악교육의 중요성을 통해 어린 시절부터 국악을 접해야 함을 강조하였으며, 2009 교육과정 및 음악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이를 좀 더 뒷받침하였다. 또한 2009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창의적 체험활동과 음악과 교육과정을 통합하여 박물관 활용의 타당성을 제시하였으며, 2009 음악과 교육과정 중 궁중악기가 반영되어 있는 부분을 파악하여 수업안 개발에 반영하였다. 그리고 수업안에서 활용할 궁중음악과 궁중악기의 범위를 정하여 수업 진행에 도움이 될 종묘제례악의 교육적 가치와 종묘제례악에 활용되는 궁중악기를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국악교육과 박물관 교육의 연계성을 파악하고 전시물 기반학습 분석을 통해, 추상적인 개념인 국악을 구체적 실물인 궁중악기를 중심으로 종묘제례악을 학습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더불어 국립고궁박물관 활용을 위해 수업안에 맥락적 학습모형(Falk & Dierking)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1차시에는 개인적 맥락을 중심으로, 2차시에는 물리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중심으로, 3차시에는 1차시와 2차시에 활용한 모든 맥락을 연결하는 상호작용적 경험을 통해 종묘제례악을 감상하고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분석하고, 본 수업안과 연계된 국립고궁박물관의 전시 구성을 통해 수업안을 구체화하였다. 수업안은 총 3개 차시로 구성하였으며 박물관 학습을 중심으로 각각 사전학습, 박물관학습, 사후학습으로 명명하였다. 수업안과 더불어 각 차시에서 활용할 수 있는 워크북을 제시하여 수업안의 활용도를 좀더 높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박물관 학습을 연계한 국악 수업안을 통해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폭넓은 사고력을 기르고, 다양하고 활발한 활동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때 바람직한 모형으로 교수-학습 자료에 사용되고,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민요의 가창 방식 다변화 적용 수업이 국악 흥미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3학년을 중심으로

        유미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In order for children to be fond of Korean traditional music(Gugak), students’ music experience through school music classes must be a fun thing to draw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in Gugak can be improved through singing classes where anyone can easily learn music. One of the reasons why students are not interested in Gugak compared to Western music in singing classes is monotony of folk song instruction and learning style. Students, who have been learning only one-to-many Call-and-Response singing styles for a long time, have come to misunderstand that folk songs are monotonous and have become less interested in folk singing. However, the actual singing method of folk songs is very diverse. Singing in a variety of singing methods creates a combination of free notes and melodies, and this combination creates a multiplicity of melodies and tones that are unique to our music, which has a structure different from that of Western Homophony. We can explain this phenomenon as a Polyphony or Heterophony of Gugak. A variety of singing methods create multiple melodies, that can be thought as Polyphony or Heterophony, which is a factor that enriches the sound of our music, which can caus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fore, when various singing methods are applied to folk singing classes to reveal the Polyphony and Heterophon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students will experience the harmony and beauty of the unique sounds of our music, which will lead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est in Gugak.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earn about the singing method of folk songs in which Polyphony and Heterophony appears and develop and apply a folk song singing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 of diversification application classes of folk songs singing method on the change in students' interest in Gugak.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is program after application and the change in the interest in Gugak was verified analyzing the student's learning log and teacher's class log and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survey of the interest in Gugak were used as reference materials. In the development of the singing program, first of all, interest in Gugak, the Polyphony and Heterophony of folk songs, the singing method of folk songs, and the prior studies related to folk song singing education and related literature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program was established and a song was selected for the singing program. The selected song was arranged to show the Polyphonic and Heterophonic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through the singing methods of sound continuation, sound intersection, and sound overlapping, and a class model using the arranged song and a teaching and learning guide for the eighth period were devised. For a month, the class program was actually applied. By analyzing the data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logbook, which included the course of the class, the change on the interest in Gugak was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class, a questionnaire of interest in Gugak was briefly conducted, and the result was used as a reference for qualitative analysis. The study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conclusion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students' learning logs and teachers' teaching logs, diversification application classes of folk songs singing metho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and interest in Gugak.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is improvement in awareness and interest led to students' desire to learn about Gugak.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of the interest in Gugak also confirmed that the diversification application classes of folk songs singing method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interest in Gugak and improving the awareness of Gugak. In addition, the diversification application classes of folk songs singing method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improving students' creativity. Summarizing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the diversification application classes of folk songs singing methods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interest in Gugak, improving the awareness of Gugak, and enhancing creativity. This shows the diversification application classes of folk songs singing methods have a lot of implications for improving interest in Gugak and general Gugak education. key word : folk song, Polyphony, Heterophony, singing method, Gugak interest, elementary Gugak education 학생들이 국악을 애호하는 마음을 갖기 위해서는 학교 음악 수업을 통해 경험하는 우리 음악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는 즐겁고 재미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러한 흥미와 관심은 누구나 손쉽게 음악을 배울 수 있는 가창 수업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가창 수업에 있어 학생들이 서양 음악에 비해 우리 음악에 흥미를 덜 느끼는 이유 중 하나는 민요 지도·학습 방식의 단조로움에 기인한다. 오랜 시간 동안 일대다(一對多)의 메기고 받는 가창 방식으로만 학습해 온 학생들은 민요는 단조롭다는 오해를 갖게 되었고 민요 가창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실제 민요의 가창 방식은 매우 다양하다. 다양한 가창 방식으로 민요를 부를 때 자유로운 음과 선율의 조합이 생겨난다. 이와 같이 서양의 화성(Homophony)과는 다른 구조로 이루어진 우리 음악만의 다중 선율과 음 쌓임 현상을 우리는 국악의 폴리포니(Polyphony) 또는 헤테로포니(Heterophony)(적 특성)라고 설명할 수 있다. 다양한 가창 방식에 의해 폴리포니 또는 헤테로포니로 볼 수 있는 다중 선율이 생겨나고 이는 우리 음악의 음향을 화려하고 풍성하게 해주는 요소로서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에 흥미를 느끼게 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국악의 폴리포니 · 헤테로포니가 나타나도록 다양한 가창 방식을 민요 가창 수업에 적용하면 학생들은 우리 음악 고유의 소리의 어울림과 아름다움을 경험하게 될 것이고 이는 학생들의 국악에 대한 흥미와 관심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악의 폴리포니·헤테로포니가 나타나는 다양한 민요의 가창 방식을 알아보고 이를 활용한 민요 가창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 적용하여 민요의 가창 방식 다변화 적용 수업이 학생들의 국악 흥미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가창 수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우선 국악 흥미도, 국악의 폴리포니·헤테로포니적 특성, 민요 가창 방식, 민요 가창 교육 등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선행 연구 및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후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을 설정하였고 수업에 활용할 제재곡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제제곡은 소리의 지속, 교차, 중복이라는 가창 방식을 통해 민요의 폴리포니·헤테로포니적 특성이 드러나도록, 이를 통해 소리의 어울림을 경험할 수 있도록 편곡되었고 이를 활용한 수업 모형 및 8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이 구안되었다. 수업은 일주일에 2차시씩 4주간 진행되었고 수업 결과 분석 및 국악 흥미도 변화 검증은 학생의 배움일지 및 교사의 수업일지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 적용 전·후로 국악 흥미도 설문 조사를 간략히 실시하여 그 결과를 질적 분석의 참고자료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학생의 배움일지 및 교사의 수업 일지를 비교·분석한 결과, 민요 가창 방식 다변화 적용 가창 수업은 국악 흥미도 향상 및 국악에 대한 인식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러한 국악 흥미도 향상 및 국악 인식 개선 은 국악 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배움의 열망으로 이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악 흥미도 사전·사후 조사 결과를 통해서도 민요 가창 방식 다변화 적용 수업이 국악 흥미도 향상 및 국악에 대한 인식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민요 가창 방식 다변화 적용 수업은 학생들의 창의성 신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이 민요 가창 방식 다변화 적용 수업은 3학년 학생들의 국악 흥미도 향상 및 국악 인식 개선, 창의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민요 가창 방식 다변화 적용 수업은 국악 흥미도 향상뿐 아니라 국악 교육에 전반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 민요, 가창 방식, 폴리포니, 헤테로포니, 국악 흥미도, 초등국악교육

      • 문화예술교육으로서 타 교과와 연계한 ‘판소리’ 지도 방안 연구

        길기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공지능이 인간의 영역을 대신하는 미래 사회에서 문화예술 분야는 AI가 대신할 수 없는 인류 고유의 가치를 지닌 분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가치를 지키고 이어나가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며 특히 학령기 아동에게 우리나라 고유의 문화 유산 예술 장르 중 하나인 판소리는 전통음악의 본질을 경험할 수 있는 악·가·무 통합 예술이자 공동체의 소통 도구로써, 문학적 요소와 연극적 요소가 융합되어 있는 종합 예술이라 볼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학교 예술교육에서의 판소리 교육은 감상이나 가창의 영역으로만 제한돼 있어 판소리의 문화예술적 가치를 다면적이고 심층적으로 다루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타 예술과 타 교과와의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교과 간 상호 연관성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판소리의 문화 예술적 가치를 다면적으로 다루어 학생의 삶과 연계된 일상적이고 통합적인 안목을 키울 수 있는 지도 방안 연구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으로써 판소리의 예술적·사회적·문학적 가치를 고찰하고 교육적 요소들을 선정한 후, 판소리 수궁가중‘범 내려온다’와 창작판소리‘행복도시 세종가’를 중심으로 국어․사회․미술․무용 등의 교과 간 연계․융합이 가능한 단원을 분석하여 총 5단계의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단계별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1단계는‘조선의 이야기 마주하기’로 국어․미술․음악 교과를 연계하여 ‘나는야 조선예술가’를, 2단계는‘조선의 이야기 이어가기’로 음악․국어․미술 교과를 연계한‘흥미진진 웹툰 작가 도전기’를, 3단계는‘나의 이야기와 연결하기’로 사회․국어․미술․음악․체육 교과를 연계한‘행복도시 세종 지금 우리 여기’를, 4단계는‘우리의 이야기로 소통하기’로 음악․미술․국어 교과를 연계한‘눈으로 듣고 귀로 보는 우리 이야기’를, 5단계는‘더 넓은 세계와 만나기’로 음악과 미술을 연계한‘플라멩코를 만난 판소리’를 각각 설계하였다. 국어․체육․미술 교과와의 연계를 통해 아동들은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기 표현력 신장과 더불어 내면의 예술적 감수성 발달, 창의력 신장 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사회 교과 연계를 통해 주변 생활환경에 대한 문화적 이해와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높이고, 사회적 소통 능력의 신장을 기대할 수 있다. 한걸음 더 나아가 타 문화권 예술과의 연계를 통해 음악에 대한 시야를 확장하고, 세계 시민으로서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 종합적 사고력 신장을 기대할 수 있다. 향후 본 연구를 계기로, 판소리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예술 영역에서 타 교과와 연계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학교문화예술 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지도방안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In a future society where AI(artificial intelligence) replaces the human realm, the field of culture and art can be said to have unique values that AI cannot replac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maintain these values, especially pansori,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culture and arts genres, is an integrated music, song, and community communication tool that allows school-aged children to experience the essence of traditional music, and it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art that combines literary and theatrical elements. However, pansori education in school art education has been limited to the area of appreciation or singing, so it has not been enough to deal with the cultural and artistic value of pansori in a multifaceted and in-depth mann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through connection with other arts and other subject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subjects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develop a daily and integrated perspective related to the student's life by dealing with pansori's cultural and artistic values.To this end, the artistic, social, and literary values of pansori as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re reviewed and educational elements were selected. Then, focusing on Pansori Sugungga's "The Bum is Coming down" and creative Pansori's "Happy City, Sejongga” a total of five levels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were developed and step-by-step guidance measures were presented. The first stage was the "Facing the Story of Joseon," and "I am a Joseon Artist" was created by linking Korean, art, and music subjects. The second stage is the "Continuing the Story of Joseon," and an "interesting webtoon artist challenge" was created by linking music, Korean, and art subjects. The third stage is "Connecting to My Story," and Sejong City, a happy city, was created by linking social studies, Korean language, art, music, and sports subjects. The fourth stage is to communicate with our stories, and we created "our stories that we hear with our eyes and see with our ears" by linking music, art, and Korean subjects. The fifth stage is "Meeting the wider

      • 초등학교 국악 특기적성수업 실태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윤지현 용인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3343

        7th Education, the government has been carrying out talent·aptitude education as a part of educational activities of respecting learnere's character and devloping and promoting their potential abilities.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provides various after-schoo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who are willing to participate in, and developing students' talents. Talent·aptitud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strengthened in the 7th Education Program as a part of the inheritance of national traditional culture, and to propose a plan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For this purpose, qustionaires were distibuted to 28 elemntary schools in Yong-In. Problems and current conditions of talent·aptitude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educational environment, most schools do not have rooms exclusive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n many cases, teachers do not use the classes given in the fields without their interest in and knowledge of them despite good facilities of the schools. If they were not specially interested in Korean classical music, most of teachers would have neither a chance of meeting the music nor the knowledge of Korean classical music education. Thus, they feel the necessity for being trained for their defects in the subject of the music. There are several problems to be solved to settle the talent·aptitude education of Korea traditional music and satisfy all of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but the most urgent task is to make a plan for preparing environment and providing program for Korea traditional music and change negative recognition in Korea traditional music. 7차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학습자의 개성을 존중하고 다양한 잠재력을 계발시키는 교육활동으로 특기 적성 교육이 활성화 되고 있으며 특히 교과서에 국악 비중이 커지면서 국악 교육을 통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 및 다양한 잠재력을 발견하는 것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 7차 교육과정 음악과에서 더욱 비중이 높아진 국악특기·적성교육이 교육현장에서 이뤄지는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하고 보다 효율적인 운영 방안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용인시 수지구 초등학교 28개의 특기·적성 담당을 맡고 있는 28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그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수지구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 활동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실태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수지구 지역의 현직 초등학교 특기·적성담당 교사들의 교직 경력은 20년 이상이 71%로 가장 높았으며 교사들의 국악 관련 연수 프로그램 참여도에 관한 조사결과 1회 참여해봤다는 답변이 93% 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교사들의 국악 관련 참여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비해 국악 특기·적성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 결과에서는 71%가 중요하다고 인식함으로써 국악에 대한 중요성은 느끼나, 교사들의 국악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거에 국악 특기·적성 수업을 시행했다가 지금은 실행하고 있지 않는 초등학교들의 가장 큰 이유로는 ‘학부모의 반응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에 7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 답변이 6%로 주변의 소음으로 인한 항의로 중단된 사례가 있다. 셋째, 국악 특기·적성 수업 시 실시되고 있는 국악 장르는 단소 수업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밖에 사물놀이와 가야금이 각각 20%로 나타났고, 10%가 민요 수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환경 면에서는 수지구가 인구밀집지역으로 아파트 단지가 많이 들어서서 방음 장치가 되어있는 국악 전용 특별실이 매우 필요하나 그런 시설이 부족하여 수업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학부모의 관심도와 국악에 대한 인식이 낮아 국악 관련 특기·적성수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악 특기·적성 교육 활동이 학교 현장에 정착되어 교사와 학생, 학부모 모두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개선해야 하겠으나 가장 대표적으로 국악 수업을 할 수 있는 교육 환경 마련과 학생들 수준에 맞는 국악 교육 프로그램 확대와 국악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전환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