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태 연구

        문혜영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과정 운영의 성패는 교사의 관심수준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사가 교육과정에 어느 정도의 관심을 가지고 있고, 교육과정을 어떻게 적용하고 실행하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 수준을 살펴보고 교육 과정의 관심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실행 수준을 분석하여 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어느 정도인가? 둘째,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실행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제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태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광주광역시, 전라남도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교사 총 288명이 참여하였다. 교사들은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및 실행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개발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교육과정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교육과정의 전반적인 관심도 조사 및 성별, 교직경력, 소속지역, 연수경험, 학교 규모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교육과정 실행 실태는 교육과정편성, 수업내용, 수업방법 및 자료개발, 평가, 교육과정 실행실태 등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우리나라 초등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육과정에 대해 특별히 관심을 지니지 않고 있는 지각적 관심과 운영적 단계가 높다. 운영적 단계가 높게 나타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이 전체 학년에 적용 된지 많은 시간이 지나 교사가 교육과정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과 학교규모를 제외한 초등 교사들의 인적변인들은 교육과정 관심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큰 학교의 비효율적인 의사소통, 소규모 학교의 업무량 과다 등의 문제로 교육과정의 관심도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교사들의 교육과정의 관심도를 높이기 위한 행정의 뒷받침과 교사 개개인의 관심단계에 맞게 개별적인 처방, 지속적인 연수활동 등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관심도에 따른 제7차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실행실태는 교육과정 개발자들의 의도한 이상적인 실행실태와는 차이가 있다. 전체적인 교육과정의 실행도는 중간 수준인 기계적 실행에 머물고 있다. 넷째, 교사의 관심수준이 높을수록 영역별 실행도가 높다.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에 따른 실행실태는 관심수준이 높은 단계인 결과적, 협동적, 대안적 관심수준의 집단이 교육과정 편성영역, 수업 내용영역, 수업방법 및 자료개발영역, 평가영역,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실행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높은 수준의 교육과정 실행실태를 이루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좀 더 관심을 기울일 수 있도록 현장 교사들의 교육과정 개발, 학교별 교육과정 구성 위원회 활성화 등을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e study set up three guiding research questions to accomplish the purpose. First, what stages of concern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econd, what innovation configurations a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rd, is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 total number of 288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nswered a questionnaire which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stages of concern and innovation configuratio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Using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the study concluded as follow.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mostly in the stages of awareness and management. Second, except sex and the size of school, the personal traits variables did not affect the stages of concern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Third, the innovation configur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found to be in the mechanical level of use, which is in middle level.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the higher level of concern on curriculum are also in the higher level of innovation configuration.

      •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분석 :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을 중심으로

        이승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학년 개념을 근거로 초등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10년 간을 국민공통기본 교육기간으로 설정하여 학교통일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통일교육의 시기는 빠를수록 좋기 때문에 가능하면 조기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한국의 학교 통일교육은 초등학교 단계에서 처음 시작되고 있다. 초등학교 시기는 사물이나 사회현상에 대한 옳고 그름을 조금씩 판단할 수 있는 사회화과정의 초기단계로서 이 기간 동안에 올바른 대북관과 통일관 형성을 위한 통일교육을 실시한다면 초등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은 통일의 당위성을 이해하고 통일의 의지를 다지기 위해서 체계적인 계열성을 가지고 수 차례 반복교육을 통한 내면화가 강조되어야 한다. 이러한 계속성과 계열성을 바탕으로 교사는 북한과 통일 조국의 미래에 대하여 바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하며 초등학교 통일교육이 추구하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 면에서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지도가 요구된다. 그러나 그 동안의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학생들의 관심이나 인지발달 수준에 대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대부분의 통일교육이 다양한 학습방법과 교수기법 대신 교사 위주의 주입식 강의수업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초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통일교육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현실은 초등학생들로 하여금 통일에 대한 무관심과 북한에 대한 부정적 시각 그리고 통일문제에 대한 방관자적 태도를 갖게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의 통일교육 내용체계를 비교하여 살펴보았으며 통일교육에 관한 교육과정 해설집, 교사용 지도서의 총론, 현재 사용중인'도덕'교과서를 토대로 통일교육의 방향이나 내용을 얼마나 비중 있게 다루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교과를 초등학교'도덕'교과서로 한정한 것은 제7차 교육과정이 초등학교 통일교육을 통합적인 범교과교육의 접근을 통해 도모하려고 하였으나 실질적인 운영은 아직도 도덕과 중심의 통일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를 통한 이론적 접근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설문조사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에 따라 초등학생들의 바람직한 북한관 및 통일관을 정립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초등학교 6년 기간 동안 통일과 북한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어떤 태도를 갖고 있는가가 중학교 진학 후의 후속학습에 큰 영향을 주리라 생각하기 때문이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한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학교 통일교육에서 학생들이 배우는 것과 실제 생각과는 많은 차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다. 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 상의 지식과 현실판단을 분리하여 사고함으로써 학교에서는 '통일은 꼭 이루어야 한다'고 배우고 평가에도 그렇게 답을 하지만, 설문조사 결과에서는'통일을 반드시 이루어야 한다'고 응답한 학생이 61.62%에 머무르고'반드시 이루어야 될 필요는 없다'거나'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답한 경우도 30%이상으로 나타난 것을 보면, 학교에서 '배우는 것'과 실제 학생들의 생각 사이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지금까지의 통일교육이 지식·정보 전달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북한 및 통일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북한에 대한 관심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다수의 학생들이 북한주민을 동포이면서 동시에 적으로 보고 있어 통일이 화해와 협력을 바탕으로 남북한에 대한 바른 인식이 전제되어야 함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이 북한 주민을 동포로 인정하고 긍정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교사들은 교육적인 면에서 조력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수업시간에 교사를 통해서 통일문제에 대한 정보를 얻는다는 응답이(15.3%) 매우 낮았다는 사실이다. 교육의 질(質)은 교사의 질(質)을 넘지 못함을 고려할 때 초등교사들의 통일문제에 대한 낮은 관심도가 학생들이 학교에서 통일에 관한 정보를 습득하는데 어려움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담임선생님께서 통일문제와 북한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말씀해 주십니까? 라는 질문에는 수업시간에 해당되는 내용이 있으면 말씀해 주신다는 응답이 283명(49.8%)으로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들이 통일교육을 수업내용과 관련된 경우에만 학생들에게 지도하고 있으며 재량시간이나 특별활동 등 통합적인 범교과 교육으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 교과를 담임이 담당하고 있는 현재의 초등학교 상황에서 담임의 통일교육에 대한 인식에 따라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관심과 인식은 달라질 것이다. 셋째, 현재 학생들이 받고 있는 통일교육의 방법으로 주입식 방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통일교육이 교사의 일방적인 주입식 인지교육이 주된 교수학습 방법이었으며 아직도 많은 교사들에 의해 채택되고 있음을 보여 준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배후에는 교사들의 통일에 대한 의지가 약화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북한 및 통일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보의 부족도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넷째, 학생들은 통일교육에 대해 가장 많이 다루어야 되는 과목으로 사회, 도덕교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제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사회과의 수업 시수는 3시간인데 비하여 도덕과는 1시간으로 배정되어 있다. 일주일에 1시간으로 배정된 수업시간은 통일과 북한에 관련된 수업을 전개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다섯째, 안보의식과 평화통일의 내용은 도덕 교과의 '국가·민족 생활 ’ 부분에 있으므로 관심은 있지만 재미는 없다고 응답한 학생이 가장 많았다는 결과는 교사들에게 교수 학습방법 면에서의 반성적인 의미를 갖게 한다. 초등학생들은 발달 단계상 교사들의 교수방법에 따라 배우는 내용에 관심과 흥미를 갖기도 하고 어렵고 재미없어 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사들의 통일교육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과 연구만이 학생들에게 흥미있고 재미있는 수업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북한에 대한 궁금증으로 북한의 생활상과 북한의 의식주에 대한 질문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에서의 통일교육이 통일대비교육과 더불어 북한이해교육을 강화해야 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앞으로의 통일교육은 초등학생들이 북한에 대한 관심과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북한의 생활상을 사회 문화적 관점으로 학생들에게 접근하게 하여 한민족으로서의 동질감을 느끼도록 해야 한다. 앞으로의 초등학교 통일교육은 한 민족의 숙원인 평화통일을 실현하고 더 나아가 통일국가에서의 바람직한 가치관과 태도를 육성하기 위한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북한의 실상에 대해 객관적이고 올바른 이해와 평가가 가능한 시각을 갖도록 장기적인 안목에서 초등학생들이 통일지향적 의식과 태도를 육성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The 7th Curriculum regulates the period of 10 years from the 1st year in elementary school to the 1st year in high school as people's common basic education period on the basis of the school year concept and executes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The sooner the time for education on unification, the better, it is desirable to execute as earlier as possible, but our education on unification in school begins in elementary school first in Korea. The period of elementary school is the early stage in social education that the student can gradually judge what is right and what is wrong on the objects or social phenomenon and if we execute education on unification to form the right and reasonable view of the North and Unification during this period,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may be operated and activated more effectively.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emphasize on internalize through repeated education several times with systematic interrelation in order to understand on why we should unify the nation and to solidify the will of unification. On the basis of such continuity and systematic interrelation, the teacher should guide the students in their studies to properly recognize on the North and the future of the united nation and to maintain balance both in cognitive domain and definitive domain that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pursues. However,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the meantime failed to consider on the interest of students or the development stage of recognition at all. Most education on unification was done in grinding education focused on the teacher instead of various learning methods and teaching methods that th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could not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with positive and aggressive attitude. Such reality in education on 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 wrongfully led the students to have indifference on unification, negative point of view on the North, and the attitude as the bystander on the matter of unification. This study, on the basis of such critical mind, compared content system of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6th and the 7th curriculum and analyzed how seriously the education deals the orientation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on un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Interpretations of Curriculum of Education on Unification, Introduction of the teachers' guidebook, and the textbook of morality currently being used in school. The subject for analysis in this study is limited to the textbook of "Morality"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the 7th curriculum still practices education on unification focused on the subject of "Morality" in reality though it was originally intended to promote education on unification through integrated approach that various subjects are interrelated. The study is executed in the method of theoretical approach through documentary survey and questionaries in connection with th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focused on the 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Thus, the study presented some measures to establish desirable view of North Korea and unifi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is quite important how much the students recognize on the unification and the North and which attitude they have during the period of 6 years in elementary school because it is considered to affect on the following learning in middle school. Seeing the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f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for the 6th ye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quite difference exists between what the students learn in school and actual thought. As the students think the actual judgment separately from the knowledge on the textbook that they learn in school, and though they learn that 'Unification must achieve necessarily'in school and answer in evaluation as they learned, but the result of questionaries appeared only 61.62% of the questioned students answered that'Unification must achieve'and over 30%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It does not need to achieve necessarily' or 'It is better to maintain current situation'and we can confirm that considerable difference exists between 'what the students learn' in school and the actual thought of the students. This fact indicates that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has been practiced focused on transmitt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up to now. The result of cognition analysis on th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of the 6th year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appear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appeared to have not much interest in the North Korea. Also most students considered the North Koreans as our people and the enemi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providing that the right awareness on the North and the South Korea should be a precondition for unification based 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the teachers are required to guide the students educationally to regard the North Koreans positively as our people. Second, the students who answered to acquire information on unification through teachers in the class was quite small (15.3%). Provided that the quality of education does not exceed the quality of the teacher, the teachers' low interest in the matter of unifi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ay give difficulties for the students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Also in connection with the question, "How much does your class teacher tell you about the matter of unification and the North Korea?", the most students accounting for 283 (49.8%) answered that the teacher tells about the matters when there is a corresponding subject in the class. Such result illustrates that the teachers educate students on unification only when it is connected with the content of the class and they don't execute it as integrated general subject such as free subject class or extra activity. Under the current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 that a class teacher is in charge of the entire subjects, the students' recognition and interest in unification shall depend on the awareness of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of the class teacher. Third, the prevailing education method on unification appeared to be grinding education at present. This fact means that the grinding recognition on unification was the major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and it is still selected by lots of teachers. The weakening intention on the unification of the teachers is laid in the rear of such phenomenon, but the other important reason is lack of in-depth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North Korea and unification. Fourth, the students appeared to consider the "Society" and the "Morality" as the subjects to contain education on unification the most. However, the class of the subject "Morality" is allocated just one hour while the subject "Society" is allocated three hours in the 7th curriculum of the elementary school and so it is unreasonably insufficient to deploy the classes concerned with unification and the North Korea. Fifth, the contents on the awareness of security and peaceful unification exist in the "Nation and the life of our people" section of the "Morality". Therefore, most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are interested in, but it is not much interesting. This result requires the teachers' reconsideration on their teaching/learning method. Whether the stud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show their interest in the contents that they are learning depends on the teaching method of the teacher because of their development stage. Accordingly, only the teachers' perpetual interest and study of the education on unification will draw attention of the students and provide interesting classes. Sixth, the most questions of the students were related to the life and food, clothing and shelter of the North Koreans. This result indicates that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school should give more emphasis on the understanding of the North in addition to education to prepare for unification. Accordingly, future education on unification should be focused on leading the students to have understanding on the North Koreans as our people through approach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about the life of the North in order to enhance interest and awareness on the North. Future education on unifi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hould be executed from the point of view to implement peaceful unification that has been our people's long-cherished desire and cultivate desirable sense of value and attitude in the united nation. Also it should guide the students to cultivate unification-oriented awareness and attitude in the long-term point of view that the students can have objective and right understanding and evaluation on thereality of the North.

      • 초등학교와 중학교 문학교육의 연계성 연구 : 6~7학년 문학교재를 중심으로

        김영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학교를 마친 학습자가 성장하여 중학생이 된다. 따라서 초등교육과 중등 교육은 학습자를 중심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문학교육연구는 대부분 초등학교 문학교육, 중등학교 문학교육으로 구분되어 진행되어 왔다. 과연 6학년과 7학년은 학습자의 발달단계상 커다란 변화가 있는 것일까? 이들에게 적합한 문학교재는 무엇일까? 하는 문제제기를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을 통합적인 교육과정으로 바라보는 시각에서 교육과정과 문학교재를 중심으로 6-7학년 문학교육의 연계성을 살피고 구체적으로 7학년 1학기 문학교재의 구성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문학교육의 실질적인 목표는 문학능력의 신장이다. 문학능력이란 다양한 문학경험과 지식, 상상력을 바탕으로 문학작품을 창작하고 수용하는 능력이라고 하겠다. II장에서는 이러한 문학능력의 발달성을 학습자의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발달특성과, 독서흥미도 및 반응의 발달에 기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6학년과 7학년은 발달단계상 큰 변화가 없으며,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진입하는 단계이다. 따라서 7학년은 '성장'이나 '자아 정체성 찾기'를 주제로 하는 작품 읽기가 필요한 시점이다. III장에서는 발달단계에 따른 기존의 문학교육의 접근방법을 살피고, 제 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은 학교급의 목표나 내용의 구별이 없이 학년별 내용만 제시되고 있으며,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10학년에 맞추어 6차 교육과정보다 전반적으로 수준이 상향조정되었다. 본 연구자는 문학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위해서 문학교육을 아동문학전기(1-4학년 1학기), 아동문학후기(4학년 2학기-7학년 1학기), 청소년문학전기(7학년 2학기-10학년), 청소년문학후기(11-12학년)의 4단계로 범주화하고, 2단계(4학년 2학기-7학년 1학기)의 목표를 '문학의 기초적인 개념을 알고, 문학작품의 수용에 활용한다'로 설정하였다. 7학년은 초등학교에서 배운 각각의 개념들을 활용해 문학작품을 수용하는 단계로 아동문학과 청소년문학작품이 주요한 문학교재가 될 것이다. IV장에서는 문학교재를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6학년 제 6차 문학교재는 제재 면에서 학습자의 흥미나 감동을 유발시키는데 미흡하였고, 부분 수록하거나 개작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지은이도 밝히지 않고 있었다. 또한 전체적인 작품감상이 아닌 학습목표에 짜 맞춘 교재선정과 학습활동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새로이 시행되고 있는 1-4학년 7차 교과서는 제재 면에서는 다양하고 새로워졌으나, 여전히 개작의 문제점이 남아 있었다. 교육과정에 따라서 문학교재도 전반적으로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특히 4학년 2학기의 경우 주제면에서 급격히 상승하는 경향이 보였다. 반면 7학년 1학기 문학교재는 학습자의 흥미도를 고려하고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의 연계를 위해 옛이야기와 동화 2편이 수록되어 있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수록작품 수가 많은데 비해, 이들 작품은 비교적 쉬운 내용으로, 학교현장에서 교사가 단원을 재구성 할 때 제외될 가능성이 있었다. V장에서는 II, III, IV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7학년을 위한 문학교재 선정기준을 밝히고 실제로 중학생이 되어서 처음 맞게 되는 대단원 '문학의 즐거움'을 재구성하였다. 초등학교 문학교육과의 연계성을 위해서 동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주제와 작품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동화 <마당을 나온 암탉>을 제시하였다. 예시한 학습활동을 통해서 이 작품이 학습자의 문학능력을 신장시킬 것이라고 믿는다. 본고에서는 최소한 7학년 1학기까지는 동화가 문학교육에 있어 유의미한 교재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주체적인 자아찾기'를 내용으로 하는 의인동화를 제시하였으나 앞으로 성장소설을 비롯한 청소년문학에 대한 관심과 작품창작, 문학교육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바란다. A student who finishes elementary school course becomes a middle school student.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he secondary school education must be connected centering the student. This study began with some questions. Is it true that there are any developmental changes between the 6^th and the 7^th grade students? What is a proper literature text for them? I tried to investigate connections in the educational curriculum and in literature text , focusing on the 6^th and the 7^th grade. In chapter II, I assumed that the aim of literature education is the extension of literature ability. Literature ability is a capacity for producing and consumption of literary works in the whole course. I studied students'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a couple of categories, cognitive development, social development, physical development, reading ability and reading interests, and the mode and development of literary response . The study shows that there's no big change in development stage between the 6^th and the 7^th grades. It's a stage to become an adolescence who seeks for the self-identity from a school-age child. I approached organized methods for literature education depending on development stage and investigated the content of each grade in the 7^th curriculum in chapter III. In general, the level of the 7^th curriculum was upgraded compared to that of the 6th. This is because the 7^th curriculum was fixed on the national common basic curriculum for 10 years. The aim is only one that is the extension of literature ability , but the content for each grade was too detailed. Thus I classified the stage of literature education into four categories, the first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the later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the first period of adolescence literature and the later period of adolescence literature. I interpreted the 7^th grade to be an entry step from the period of children's literature to adolescence literature. This is the step that students apply what they learned at elementary school to reception of the literature text. In chapter IV , connections in literature text for the 6^th and 7^th grade were investigated. In the 6^th curriculum, literary works for the 6^th grade were not enough to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emotion in material. Authors were not specified and most of the stories were partly published or adapted. Selection of the text and the learning activities which are focused on the object of study were also caused problems. Literature text should be considered as a whole, not separately. The materials of text for 1^st to 4^th grade are improved a lot in the newly introduced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However even the new curriculum has the adaptation issues. The level of literature text was upgrade. Especially, that of the text for the second semester of the 4^th grade shows a tendency to be set unexpectedly high.

      •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의 전문적 역할수행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강민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해 중앙행정부가 추진하는 교육개혁 중의 하나는 단위학교에 의사결정의 권한 부여를 통해 학교 효과성을 높이고자 하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이다. 수 차례의 교육개혁이 많은 문제점과 한계를 드러낸 것은 실제로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현장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대한 고려 없이 중앙행정부의 노력만으로 실현하려 했기 때문이다. 이런 문제의식은 교육현장의 진정한 변화가 교육활동의 주체인 교사들의 참여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교사들의 관심과 참여는 인식과 의식의 변화를 통해서 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따라서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해 교사들이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가, 변화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변화되고 있는 자신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어떠한 가치와 태도를 지녀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새로운 체제로의 변화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단위학교가 지향하는 가치로서의 공동체의식의 형성에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성공이 달려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라는 변화의 중심에 서 있는 초등교사의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한 인식,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의 전문적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와 질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를 하였으며, 조사도구는 한국교육개발원(1999)이 개발한 『21세기 학교경영혁신모형 개발 연구』와 노종희(1998)의 학교 공동체 질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의 목적에 맞게 수정,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시내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사 480명을 대상으로 설립유형별, 학교규모별로 유층무선표집을 하였으며, 이들 중 429명을 조사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 대해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사립학교일수록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현장의 자율성은 중앙행정부의 간섭, 학교행정가의 소신이나 역량의 미흡으로 인해 이전에 비해 변화가 없거나 덜 자율적이라고 인식되고 있었다. 둘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주체에 대하여 교사들은 단위학교의 학교장을 가장 영향력 있는 주체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에 반해 교사를 가장 영향력이 적은 주체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 교사들의 권한이 더 확대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셋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의 영역에 대하여 교사들은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직원 인사관리, 학교 예산관리영역에서 고루 제약을 받는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교육과정 영역에서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가장 많은 변화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현재 학교의 변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려는 인식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인식은 규모가 작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교사들은 변화된 역할을 수행하는데 있어 방해 요인을 학교 행정가의 지나친 간섭과 교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 부족, 시간의 부족 때문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단위학교의 행정가와 교사의 상호 역할에 대한 역할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초등교사는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에서 요구하는 역할 중 공동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을 제외한 학습지도자로서의 역할, 전문적 의견제시자로서의 역할, 동료간 협력자로서의 역할, 자기규제자로서의 역할, 공동체의식 소유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의 규모가 작을수록 역할수행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인 편이었다. 여섯째, 초등교사는 공동의사결정자로서의 역할에 대해 다소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한 달에 1회 이하 정도의 의사결정과정에의 참여는 주로 동 학년회의를 통해 이루어지며, 학교 운영이나 학생의 수업에 대한 개인의 관심과 참여를 동료교사들과 같이 나누고 협력하여 공동의 관심과 참여로 만드는데 노력하나, 의사결정과정이 학교나 학년 운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일곱째, 초등교사는 공동체의식 소유자로서의 역할 수행에 대해 비교적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학교 규모가 작은 학교의 교사일수록 공동체의식이 높게 형성되어 있었다. 공동체의식의 하위요인을 헌신성, 인간존중, 다원성, 연대의식으로 설정하여 조사한 결과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인간존중 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이었다. 학교의 규모가 작을수록 인간존중, 다원성 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공동체 의식의 대상별로는 교사와 학생사이, 교사와 교사사이, 교사와 교장사이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사와 학생사이의 공동체의식은 사립학교일수록 학교 규모가 작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단위학교 책임경영체제를 통해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단위학교 체제의 변화에 따른 학교행정가와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정립이 필요하다. 둘째, 공립학교 교사들의 자율성과 전문성을 신장하기 위하여 사립학교의 특성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셋째,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해 학교의 규모를 줄이는 방안이 요구된다. 넷째, 초등학교의 특성을 충분히 활용하여 새로운 의사결정기구로서 동 학년회의의 활성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School-based management is one of educational reform that the central administration is promot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education. The system purpos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education by giving the power of decision-making and, consequently, autonomy and accountability to site schools. Several attempts of educational reform have faced many problems and limitations, because the central government tried to realize reform only through its own effort without considering field teachers' thoughts and attitudes. In this sense, it is concluded that the true change of education can be achieved onl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who are main actors in the education fields and their participation is possible through the change of their thought and consciousness.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how teachers think about SBM, how they respond to changes, how they think about their changing role performance, and what values and attitudes they should take. The success of SBM depends on teachers' perception on transition to a new system as well as the formation of a sense of community as a value pursued by site schools.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tand at the center of SBM,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ir perception on the system, their responses to role change, and their thought on the performance of professional roles in SBM. This study conduced literature review and a questionnaire survey, for which it used a questionnaire that the researcher made by adapting for this research 21st Century School Operation Reformation Model Development Research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9) and a questionnaire on school community developed by Rho Jong-hee (1998). For the questionnaire survey, 429 subjects were sampled from 480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eoul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by school type and school s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reciated relatively high SBM. In particular, teachers at private schools and small-sized schools had this tendency more strongly. However, they perceived that autonomy in the educational fields has not changed at all or even has been worsened than before due to the interference of the central administration and lack of confidence and capability of school administrators. Second, as for the main actors of SBM, teachers thought that the principals of site schools were most influential and, on the contrary, teachers were least influential. The result suggests that teachers' authorities must be expanded in the SBM Third, as for domains of the SBM, teachers thought they were restricted in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educational curriculum, personnel management of the faculty and school budget management, but felt the most significant changes in autonomy and responsibility in the domain of educational curriculum. Four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eared to have a relatively positive attitude of admitting changes at school today. Such a response to changes was more frequent in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With regard to teachers' performance of changed roles, they mentioned as obstacles the excessive control of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lack of consciousness of role performance and lack of time. Thus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role of principal and teachers at individual schools. Fourth, with regard to roles required by SBM,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latively positive in their roles as an educational guide, as a professional opinion proposer, as a colleagues' cooperator, as a self-regulator, and a person with a sense of community, but not in their role as a joint decision-maker. In particular,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thought more positive in these roles. Six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negative in the role as a decision-maker. They participated in decision making less than once a month, mainly at a meeting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same grade, and were passive in developing common interest and participation by sharing personal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school operation and school classes with colleague teachers. Seven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ppeared to be relatively positive in performing their role as a person with a sense of community. In particular,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were found to have a stronger sense of community. With regard to sub-factors of the sense of community, which were commitment, respect for human beings, diversity and a sense of solidarity, teachers were positive in all these factors, and particularly in respect for human beings. In addition, teachers at small-sized schools had a stronger consciousness of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diversity. With regard to subjects of the sense of community, teachers thought positively on the sense of communit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mong teachers, between teachers and the principal. In particular, the sense of communit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as stronger at private schools as well as small-sized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above, the researcher makes suggestion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the roles of schoo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in response to the transition of individual school system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through the school-site manag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features of private schools to enhance the autonomy and professionalism of the teacher of public schools.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educing the size of school to develop school communities. Fourth, full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activate the meeting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same grade as a new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 초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재량활동 컴퓨터수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강선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 computer in the present age is a major tool. So its practical usability is called by the fourth basic function with readability, computational ability and write ability. As it is a basic function, computer education has importance about how, how much and from whom people learn systematically. In the cases of computer education for discretional activity being currently executed in elementary schools, they have different problems, which are educational environments by school, speciality of teachers, study areas, curriculums, educational contents, materials, principles of guidance, electrical contents and reverse functions of information society. Although computer instruction is being only executed in discretional activities, if learning the computer that is essential in information society become more systematic and concrete like different subjects behind the curriculums and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reverse functions of information society that is a problem of the present society will be reduced. Currently,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s not executed by the teachers who finished some special education about computer or whose majors are computer science. The computer education for the discretional activity has not speciality, and not majored teachers in charge take on the education. Occasionally, there is some teachers not charged in computer education because of their age. In this case, the students do not have complaint and keep learning the education. That's why they can play a game on internet. If the teachers like that keep being and increasing, the educational ministry has to suggest other opinions about computer education or places great importance on specialized teacher. If the education in school that is a specialized educational organization is not systematic and not executed formally, what the students are not educated would rather be nice. But the computers to the students are necessaries for their life and tools for education, so they are essential and not systematically learning contents. In this thesis, we research the state of computer instruction for discretional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s and show the problems according to it. 우리는 현대 사회를 ‘정보화 시대’, ‘유비쿼터스의 시대’ 등과 같은 말로 표현한다. 현대사회를 일컫는 말은 대부분 정보화와 많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이는 정보의 발달로 사회가 발전되고 국가가 변화하며 세계가 변화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컴퓨터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앞으로 미래사회에 적응하고 살아가기 위해 컴퓨터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임이 분명하며 이러한 미래사회 구성원들의 컴퓨터 교육은 어떠한 과목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교육을 해야 하며,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교육 시설 및 환경 영역 현재 초등학교는 컴퓨터 실습실 부족으로 인하여 컴퓨터실 사용에 있어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교현장이 많으며, 컴퓨터 실습실의 보유 기종들에 대한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5,6학년들의 경우 실과 과목내의 컴퓨터 실습 부분이 있어 주 2시간이용이 가능하나 1~4학년의 경우 실과 과목이 없기 때문에 주 1시간이상 사용이 어렵다. 1학교 1실의 컴퓨터실을 구축되어 있는 학교도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 1학교 2실의 컴퓨터실을 보유하고 있으나 각 학급반별 배정시간이 1시간으로 배정되어 있어 주 1시간 이상의 사용이 어려운 것이다. 둘째, 지도교사의 전문성 및 연수 영역 초등학교 특성상 각 학급의 담임교사들이 모든 과목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컴퓨터의 경우 전문적인 지도교사의 도움으로 학생들의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대 정보사회의 이슈가 되는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을 배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지 모르기 때문에 각 학급별 전문교사의 배치나 지도교사의 전문성은 존재하여야 한다. 현재 초등학교 학급별 현황을 보면 각 학급의 담임교사가 컴퓨터 교육의 내용을 전혀 모르고 수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교과서 중심으로 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어 학생들의 컴퓨터 흥미 도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컴퓨터 연수 부분은 교사들을 위해서가 아니라 학생들을 위해서라도 체계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교육내용 영역 학년별, 수준별에 맞춰서 이루어져야 하는 컴퓨터 교육이 현재 그렇지 못한 것으로 설문조사 결과 알 수 있었다. 현재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내용은 활용 위주의 컴퓨터 수업이 진행이 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업을 초등 6년 동안 진행해 오다 중학교 진학 후에는 큰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2010년부터 ‘정보’라는 교과목으로 컴퓨터 교과목이 독립교과로 편성이 되며, 고난이도의 교육내용으로 개선되어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와 전혀 연계성을 가지기가 어려워 학생들의 교과부담에 대한 불만 호소 역시 무시할 수 없다. 넷째, 교재 개선 ‘정보화 사회’라는 교과를 보면 교과서 내용이 다소 부족하다는 것을 컴퓨터를 전혀 모르는 각 학급 담임교사 뿐 아니라 학생들 역시 느낀다. 학생들에게 진정으로 필요한 컴퓨터 교육교재를 학년별, 수준별에 맞춰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과부의 임의적인 배정으로 인해 교재를 구성하는 것이 현재의 또 다른 문제를 낳게 된다. 학생들의 설문조사에 의하면 교과내용이 학년에 비해 ‘쉽다’라고 답변하는 경우도 있었으며, 다른 교과의 교재처럼 컴퓨터 교과의 개선도 이루어져야 한다. 2009년 초등학교 1,2학년을 시작으로 해서 연차적으로 고등학교 3학년까지 적용해 나갈 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에 의하면 주5일 수업으로 인한 시수 조정으로 현행 교과재량활동(교과심화보충, 선택과목)3시간, 창의적 재량활동 1시간으로 4시간 운영되었던 중학교 재량활동 시간을 3시간으로 축소하여 1시간 감축하게 된다. 개정안의 개선사항을 보면 국가 사회의 요구로 미래 무한경쟁 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과학적 기초 소양 교육의 필요로 과학교육을 강화하여 1시간의 시수가 늘어난다. 과학기술의 벌전과 컴퓨터는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누구나 알고 있고 컴퓨터 교육 없이 과학 발달 또한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미래에 대비하고 과학사회에 인재를 양성하는 밑거름을 제공하는 것이 컴퓨터 교육의 역할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하며, 우리나라가 IT강국, 과학의 선진국으로 자리매김 하기 위해서 전문적인 교사를 학교별 배치하여 시대에 맞게 컴퓨터 교과 편성을 함은 물론 독립·필수(독립필수·독립필수적으로) 운영하여 학생들의 미래의 사회 과학 사회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교사 외부공간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라북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신희섭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Elementary students in adolescence go through a crucial period for mental and emotional as well as physical development. Not just the indoor but also the outdoor environments of an elementary school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Although the indoor educational environment has undergone improvement through tremendous investment and renovation, the outdoor environment faces limits to be utilized by themes because of its simple and uniform construction from unsystematic and unplanned investment. Thereupo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based on the research on the actual status of their outdoor space, the living spac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survey. This article categorized the outdoor space of the school building into four types with its practicality and groped for ways to improve the construction by sections of th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 outdoor activities and the playground are essential and indispensable for students in a growth period. Thus, outdoor space and the playground should be built properly for their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Since students have a limited time to do outdoor activities, facilities connecting the traffic line should be also constructed so that they can use them easily and freely in a place adjacent to their classroom. In additi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 big age difference, so the types of their playing are also diversified. Therefore, it is needed to divide their playground separately for high or low graders and organize it properly for its purpose and function. Second, the area of the playground is mostly used for athletic activities and physical training, and it occupies the widest space. Because the school playground is the chief space for athletic activities, it needs to be as large as the football field for adolescents and include smaller-sized playgrounds as well. Since there are various kinds of athletic activities, the space should be designed diversely by the types of the activities. Moreover, it should be utilized by residents as well as students as constructed complexly and multi-functionally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nearby space with auxiliary facilities such as a variety of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s. Third, its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and outdoor learning space should be built with various types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in regard of the green types, forest, water-front, soil shapes, and the types of settlement space. This space will be used as a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where students can experience natural observation and will let them experience the beauty of nature and the life harmonized with other living organism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and activity programs that suit for the features of each place for sustainable learning and to allow students to observe with their own eyes and discover what they have learned from the curriculum in person. Fourth, there are the entrance section that leads to the classroom from the school main gate, parking lot, the traffic line with the fence and the enclosure, and the boundary. These are the areas that have a significant role in forming a community with the residents. The traffic line used by students should be divided safely and conveniently into roads for pedestrians and for vehicles. The school parking lot need be built into a student- and eco-friendly environment that is far from the classroom and can realize its goals and functions. The boundary with the fence and the enclosure should be built to be natural and rural in consideration of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s, beauty, and the function so that the bountiful space can be used by the residents comfortably in their lif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n the actual state of the outdoor space at eigh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Jeollabuk-do, the outdoor space is out of order and was not built systematically. Besides, it seriously lacks space for activity or play and natural ecological environment.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uidelines and standards for the outdoor space at schools. Second, the outdoor space should be built or changed solely with the school manager’s dogmatic decision-making. Third, since students are the chief users of the outdoor space, it should be constructed in regard of their characteristics, space recognition, and preference. It is expected that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proposed in this research will help attempt character education to growing students with various experiences and activities, let them realize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activate exchange with the outsi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follow-up researches and make efforts to establish the outdoor space that can be used by students with comfort and satisfaction and provide favorable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help to the improvement of the outdoor environment at schools. 청소년기의 초등학생은 신체와 더불어 심리적, 정서적인 발달에 아주 중요한 시기이다. 초등학교의 환경은 실내 못지않게 외부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실내교육환경은 많은 투자와 개선으로 성장변화가 있으나 외부환경은 체계적이지 못하고 비계획적인 투자로 단순하면서도 획일적으로 구성되어 테마별로 활용하기에 한계점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8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교사와 학생들의 생활공간인 교사 외부공간의 실태조사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조사ㆍ분석하였다. 교사 외부공간의 실용성을 바탕으로 4개의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공간의 영역별로 구성의 발전방안을 모색하였고 그에 따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옥외활동 및 놀이공간은 성장기인 학생들에게 아주 중요하고 필요한 공간이다. 그러므로 옥외활동 및 놀이공간을 그 특성과 기능에 맞게 구성한다. 학생들은 옥외활동을 하는데 시간적 제약을 받기 때문에 교실에서 가까운 장소에서 자유롭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동선연결 시설물도 병행하여 구성한다. 또한, 초등학생은 연령차가 크기 때문에 놀이유형도 서로 다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저ㆍ고학년 놀이공간을 구분하고 목적과 기능에 적합한 구성을 한다. 둘째, 체육활동 및 체력단련공간은 대부분 운동장 영역으로 제일 넓은 공간을 차지한다. 학교운동장은 체육활동을 하는 주된 공간으로서 청소년축구장 규모가 적정하고 이 외의 작은 운동장도 함께 구성한다. 체육활동에도 종류가 많으므로 이에 따라 공간도 다양하게 활동영역별로 구성하고, 다양한 체력단련시설과 기구 등의 부수시설과 함께 인접된 공간과 연계되도록 다기능적이고 복합적으로 구성하여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자연생태환경 및 야외학습공간을 녹지형태 숲, 수변 및 토양형태 공간, 정주공간형태 등 학교별 특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구성한다. 이러한 공간을 통해 학생들의 자연관찰체험 및 환경교육의 장으로 활용하여 자연의 아름다움과 다른 생명체에 대한 조화를 이루는 삶을 경험하게 한다. 그리하여 학생들이 교과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직접 눈으로 확인하고 발견할 수 있도록 각 장소의 특성에 맞는 교육 및 활동 프로그램도 개발하여 지속적인 학습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넷째, 학교정문에서 교실에 이르는 진입로구간과 주차공간, 담장과 울타리가 있는 동선 및 경계지역이 있다. 이 공간들은 지역주민과 커뮤니티형성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영역이다. 학생들이 통행하는 동선은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자 위주의 통행로와 차량통행로를 분리하고, 교내 주차장은 교실에서 먼 곳에 목적기능을 다하면서 학생들과 친화적인 환경으로 구성한다. 담장과 울타리의 경계지역은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생활에 여유를 즐길 수 있는 넉넉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게 주변과의 조화, 미관, 기능 면 등을 고려하여 자연적이고 향토적으로 구성한다. 본 연구에서 전라북도 소재 초등학교 8개교의 교사 외부공간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결과 교사 외부공간이 무질서하고 비계획적으로 조성되어 있고 활동 및 놀이공간과 자연생태황경공간이 많이 부족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해서는 첫째, 학교의 교사 외부공간구성의 지침이나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학교운영자의 단독 의사결정으로 외부공간이 조성되고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교사 외부공간을 이용하는 대상이 학생이므로 그들의 특성을 살려 공간인지와 선호도를 고려한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발전방안을 통해 성장하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체험과 활동으로 인성교육을 시도하고 생태환경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며 외부와의 교류도 다양하게 이루어질 것이라 생각한다. 그러므로 학생들이 편안하고 만족스럽게 이용하고 교육을 받을 수 있게 외부공간구성에 많은 연구와 노력이 필요하다. 이 연구가 교사 외부공간의 환경개선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운동부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종대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초등학교 운동부 자도자의 지도행동유형이 초등학교 운동선수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지도행동유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성별, 학년, 운동종목, 운동경력, 연습량, 코치의 유·무 등을 변인으로 하여 가장 선호하는 지도행동유형과 현재 인식하고 있는 지도행동유형을 분석해 보고 초등학교 운동선수들이 지도자의 지도행동유형에 만족하고 있는지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2002년 현재 공립초등학교에 재학중인 학교의 육성종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운동부 선수들로 유충무선표집법(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220명을 표집하였으며 설문내용은 선수의 일반적 특성 6문항, 인식형 LSS설문지 40문항, 선호형 LSS설문지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는 99% 유의수준에서 검증되어진 한글판 LSS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t-검증과 일일변량분석(One Way-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re test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운동부 선수들이 가장 선호하는 지도행동유형은 긍정적 송환형이고 그 다음은 사회적 지지형이었다. 반면에 가장 싫어하는 지도행동 유형은 권위형이었다. 성별에 있어서 남자보다 여자선수들이 긍정적 송환형을 더 선호하고 있으며, 운동경력에 따라서 선호하는 경향에 차이가 나타났다. 반면에 운동종목, 학년, 연습량, 코치의 유·무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초등학교 운동부 선수들이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지도행동 유형은 훈련과 지시형이었고, 그 다음은 긍정적 송환형, 사회적 지지형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권위에 중점을 둔 지도행동 유형은 가장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종목에 있어서 개인종목 선수들보다는 단체종목 선수들이 훈련과 지시형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년에 따라서는 인식도에 많은 차이가 나타났으며, 전용코치가 있는 경우는 매우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반면에 성별, 연습량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운동선수가 가장 선호하는 5가지 지도행동 유형별로 비교·분석한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심리 상태를 고려하고 선수들 자신의 경기내용을 인정해주고 이에 대한 보상을 해 줌으로서 경기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는 긍정적 송환 지도행동 유형이였다. 넷째, 초등학교 운동선수가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5가지 지도행동 유형별로 비교·분석한 결과는 강하고 힘든 훈련을 강조하여 경기력을 향상시키고 선수들에게 기술, 전술, 기교 등을 중점적이고 체계적으로 지도하는 훈련과 지시적 지도행동 유형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운동부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에 대한 초등학교 운동선수들의 선호도와 인식도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훈련과 지시적 지도행동 유형에는 매우 만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다음은 긍정적 송환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매우 불만족스러워 하는 지도행동 유형은 민주형과 권위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types of guiding behavior of guiders in elementary school athletic clubs on elementary school athletes satisfaction, and to find desirable types of guiding behavi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athletes preference for types of guiding behavior according to variables such as their gender, age, athletic item, athletic experience, training load, and whether they have coaches or not, and their perception on their current guiders types of guiding behavior, and determined if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guiders types of guiding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0 elementary school athletes who were selected through stratified random sampling from elementary school athletic clubs that were sponsored by the schools as top priorities as currently as 2002. The questionnaire used contained 6 questions above athletes general characteristics, 40 LSS questions about their perception, and 40 LSS questions about their preference. As for reliability and validity, a Korean LSS questionnaire, which was verifi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99%, was used. T-test and one Way-Anova were carried out for data analysis, and the Scheffe test was carried out for post verification. The summary an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guiding behavior preffered by most elementary school athletes was the type of positive feed-back, and the second most preferred type was the type of social support. On the contrary, the least preferred type of guiding behavior was the type of authority. According to gender, female athletes preferred the type of positive feed-back than male athletes did. In addition, athletes experience also affected their preferenc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athletes sport item, school year, training load, and whether they had coaches or not. Second, the type of guiding behavior perceived most by elementary school athletes was the type of discipline and order, and the second most perceived type was the type of positive feed-back, and next the type of social support. On the contrary, the type of guiding behavior emphasizing authority was perceived least frequently. With regard to athletic items, athletes of group events perceived the type of discipline and order than those of individual events di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among difference in athletes perception according to whether they had coaches or not, and when they had exclusive coaches, they highly perceived the guiders type of guiding behavior. On the countrary,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gender and traning load.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five types of guiding behavior preferred most by elementary school athletes, the most favored type was the type of positive feed-back that emphasizes the improvement of athleted performance by considering their mental states, acknowledging the contents of their playing, and rewarding them for the results of their playing.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five types of guiding behavior percieved most often by elementary school athletes, the most perceived type was of discipline and order that emphasizes intensive and tough training, and provides athletes with the systematic training of skills, tactics and techniques.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and analyzing elementary school athletes preference for and perception on athletic guiders types of guiding behavior, athlete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type of discipline and order, and next with the type of positive feed-back. On the other hand, they were highly unsatisfied with the type of democracy and that of authority.

      • 初等學校 컴퓨터 敎育課程 運營에 대한 分析 : 濟州道를 中心으로

        오충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이 초등학교에 적용되고 정보화 교육이 국가적인 사업으로 강조되는 시점에서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 정도, 컴퓨터 교사 연수, 컴퓨터교육 시설, 컴퓨터교육의 지원 실태 등을 파악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컴퓨터 교육과정 운영에 관련된 문헌과 선행 연구물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규명하고 설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독립 변인으로 성별, 연령, 담당학년, 학급 수, 학교 소재지 5가지를 사용하고 종속 변인으로 5개 영역 29개 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셋째, 설문은 제주도 지역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264부를 발송하여 회수한 242부에서 224부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조사 결과의 처리 방법은 SAS를 활용하였고 빈도와 백분율, t검증과 F검증,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은 각 학년별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을 정하고 국가 수준의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제시되어야 한다. 2. 교원의 역량에 따라 컴퓨터교육의 교육적 효과가 결정되므로 교원 정보화 관련 연수가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컴퓨터교육 시설면에서 컴퓨터는 학교 규모에 따라 최신 기종의 컴퓨터로 적정 수량이 공급되어야 하고,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이 확대되고 활용이 손쉽게 되도록 해야한다. 4. 컴퓨터교육의 가장 큰 문제점인 교사의 업무 과중과 시간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전담 교사가 배치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problem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Cheju and to suggest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omputer education. This thesis focuses on the following : the reality of computer education, how well teachers understand computer education, the training of these teachers, the government of the computer education, the facilities for computer education. The alternatives are as follows : First, I analyzed the problems with field research using questionnaire and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using references such as papers and books on computer education. Secondly, I made 29 questions with the following independent variables: sex, age, class size, the location of the school, school year, and five dependent variables. Thirdly, I distributed 264 questionnaires to teachers in the Cheju area and received 242 back. Fourthly, the tests of t, F, x² were done using SAS. Frequency and percentiles were also done using SAS. I have made the following conclusions : 1. The amount of information able to be utilized should be decided for every school grade. Step by step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at the national level. 2.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computer education depends on the teachers' ability, teachers should be trained systematically and continuously. 3. Regarding the computer education facilities, schools should provide adequate number of good quality computers according to school size. Also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software development should be done, and the software access should not be limited. 4. Because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for computer education is that teachers are overworked and lack time. Therefore, programs for training of teachers solely in the area of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developed. These teachers' only responsibility would be computer education

      • 초등학교 배치유형에 따른 필로티 공간의 이용분석에 관한 연구 : 90년대 이후의 광주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류경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교환경이 다변화, 개성화 되면서 공간 부여가 활성화되고 있는 필로티는 소극적이고 단절적인 모습을 극복하고 좀더 적극적이고 유기적인 공공영역으로써의 기능과 역할을 하기 위한 현실적 적용방안 중의 하나이다. 지상층의 공개념을 표현하며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필로티는 다양한 가능성과 함께 대지의 확장 및 공간의 연계성, 동선과 시야의 자유로움 등을 보장하며 외부공간이 갖는 공공성들을 지상층 비워짐으로 인해 필로티 내부로 확장하여 공공영역으로써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따라서 초등학교의 필로티를 통해 얻어지는 공공영역의 가능성을 연구해 봄으로써 학교 내 산재했거나 없었던 기능들의 통합 및 효율적 배분이 가능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각 조건별 필로티 공간의 이용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적정규모 및 필요시되는 물리적인 제반요소들을 분석하여, 기존 초등학교에 배치된 필로티 공간의 유용성 및 문제점을 도출하고 향후 초등학교의 필로티 공간 계획시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연구는 필로티가 적극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1990년 이후 광주광역시의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필로티가 부여되어 신설 및 재배치된 37개교의 배치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로 상이한 표본조사대상 6개교를 선정하여 조사적 P.O.E를 수행하였다. 표본조사에서는 필로티 자체에 대한 규모 및 위치, 기능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개별속성 등을 감안하며 기능의 통합 및 배분, 물리적인 제반요소의 배치여부, 주변환경과의 연계성, 각 조건별 특성에 따른 이용현황 등이 비교평가되었다. 조사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초등학교의 필로티는 이용빈도와 비교하여 기능과 역할 면에서 단일기능으로 편중되어 기능의 활용과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유형별 분석에서 필로티의 기능배분은 규모와 깊은 상관성이 있었다. 또한 주변환경과의 인접도에 따라서 활용범위에 차이가 있다. 셋째, 주 이용자인 학생들의 활용성향에 상반되어 적절한 공간의 배치가 이루어 지지 못하였고, 공동생활공간을 위한 필수적인 제반시설의 배려가 미비하였다. 넷째, 이용자의 개별속성에 따라 필로티의 공간활용과 인식을 달리 하였다. 다섯째, 학년에 따른 필로티 공간은 중·저학년에 비하여 고학년일수록 이동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의 활용이 이루어졌다. 여섯째, 이용자의 성별에 따른 이용설태는 전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띄고 있으나, 여학생이 보다 적극적인 활용과 함께 제반요소의 요구도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주 이용자인 학생들의 교실위치에 따라서 이용기능과 빈도가 다르다. 조사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존의 초등학교 필로티는 도입취지와 비교하여 그 기능과 역할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유기적인 공공영역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주변환경과의 연계성을 높이며 복합적인 활용을 위한 노력이 계획 목표에 전제되어야 한다. 주 이용자인 학생과 교사의 개별속성을 고려하여 공통적으로 이용빈도와 기능을 높게 할 수 있는 공간의 계획이 필요하다. 또한 필로티와 연결되는 여타 공간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교사 내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갖도록 공간을 구성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는 대도시에 위치하는 초등학교의 필로티에서 여러 조건에 따른 이용자들의 활용현황과 적정 규모 및 형태의 기준에 대한 보다 상세한 연구를 계속 진행해 냐아가려고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se of pilotis with regard to the plan type of elementary schools and its problems and to explore some improvement schemes.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include the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city which have been established since 1990 when the pilotis was first introduced. An investigative post-occupancy evaluation of pilotis was performed by employing a sample survey of 6 schools whose typ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Preliminary research was done on 37 schools. The sample survey compared and evaluated the integration and distribution of functions, the physical elements of plan types, connections with surrounding circumstances and the uses under each con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use of pilotis at elementary schools was inclined toward passage. Teachers usually use pilotis only for movement, while students use it in many ways according to the individual propert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pilotis is high, but the recognition level and satisfaction level of the users were quite low. Accordingly, I suggest that the plan type of elementary schools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the quality and function of pilotis, so that it may be better 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