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차원 인체형상데이터를 이용한 성인여성의 체형유형별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 개발 : 가상착의 시스템을 이용하여

        윤지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1

        최근 의류산업은 다양한 신축성 소재의 사용이 많아지고 고기능성 스포츠 웨어 등의 유행으로 인하여 인체에 밀착한 디자인이 유행하고 있어 기본적인 여유분만을 적용한 체표면의 형태와 가까운 타이트 핏 원형의 활용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밀착성이 뛰어난 의복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들의 체형분류와 형태분석이 필요하며, 앞으로 IT 분야의 발전에 따라 향후 3차원 측정과 CAD 시스템에 의한 자동패턴 제작방법이 일반화될 것을 기대해볼 때 성인여성의 체형별 심미성과 맞음새가 고려된 패턴의 부위별 여유량을 산출하여 원형 제작을 시도하는 연구는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미래형 의류산업에 적합한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원형 제작은 기존의 체형분류와 형태분석 뿐만 아니라 체표면을 그대로 추출하는 방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러한 체표면 추출 과정을 체계화 시킨다면 첨단 의류산업의 실용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더 나아가 추출된 체표면을 이용하여 적정 여유분 연구를 통한 원형 개발은 체표면의 형태가 충분히 반영되어 타이트 핏과 같은 밀착 의복 제작 시 맞음새 만족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여성의 3차원 인체형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성인여성의 체형 유형을 분류·분석하고, 3차원 인체 형상의 체표면을 평면화하여 체표원형을 추출한 뒤, 이에 적절한 여유량을 부과하여 성인 여성의 체형 유형별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제5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자료 중 20~79세 성인여성 1805명의 3차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형특성 분석 및 체형 유형을 분류하였으며, 각 유형별 대표체형을 선정하여 3차원 형상과 단면도를 비교분석하였다. 그리고 대표체형의 체표면을 분할하여 2차원 평면패턴으로 전개하여 체표원형을 추출하고, 체표원형을 이용하여 적정 여유량 실험을 통하여 유형별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을 개발하였다. 원형 개발을 위한 착의 실험 방법으로는 대표체형의 형상 호환과 반복실험이 용이한 3차원 시뮬레이션 가상착의 실험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PASW 18.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평균과 빈도, 군집분석, 분산분석과 Duncan-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성인 여성의 체형별 토르소원형 개발을 위하여 성인여성의 체간부 체형을 분석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9개의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요인 1은 체간부 횡적 크기와 굴곡 요인, 요인 2는 신체의 종적 크기 요인, 요인 3은 체간부 횡적 형태 요인, 요인 4는 목부위 형태 요인, 요인 5는 상반신 뒷면 종적 크기 요인, 요인 6은 상반신 앞면 종적 크기 요인, 요인 7은 앞뒤품 형태 요인, 요인 8은 어깨부위 길이와 형태 요인, 요인 9는 체간부 종적 크기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요인분석으로 얻어진 9개 요인의 요인점수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 5개의 체형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유형 1은 가장 비만한 체형으로 몸통은 둥글며 굴곡이 가장 밋밋한 체형으로 엉덩이보다 가슴이 크고, 앞뒤길이, 앞뒤품 차이가 가장 적은 체형으로‘상반신 비만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2는 가장 슬림하고 몸통은 남작하며 굴곡이 뚜렷한 체형이므로 ‘납작한 슬림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3은 약간 비만하며 밋밋한 체형으로 몸통은 둥글고 아랫배 지방침착이 심하며, 앞뒤길이, 앞뒤품 차이가 큰 등이 굽은 체형으로 ‘하반신 비만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4는 유형 3과 마찬가지로 약간 비만하여 밋밋한 체형이면서 몸통 크기에 비해 납작한 체형으로‘납작한 비만체형’으로 명명하였다. 유형 5는 가장 키가 크고 슬림한 편이며 몸통 형태에 비해 엉덩이가 둥글고 목, 어깨 부위가 발달한 체형으로 ‘둥근 슬림체형’으로 명명하였다. 분류된 체형 유형과 연령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20대, 30대에 가장 굴곡이 뚜렷하며, 중년으로 갈수록 굴곡이 적어지고 복부 지방침착이 시작되며, 노년기로 접어들면 복부의 지방침착이 심해지고 비만한 체형이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체형분석을 통해 분류된 체형 유형별 토르소원형 개발을 위해 대표체형의 3차원 형상데이터를 활용하여 체표원형을 추출하였다. 체표원형은 체표면 형상이 그대로 적용된 것으로 체형의 특징이 뚜렷하게 반영되어 나타났다. 유형 1은 가슴이 크고 앞뒤길이, 앞뒤품 차이가 가장 적은 젖혀진 체형 형태로 다른 비만 유형에 비해 가슴다트와 뒤허리 다트 분량이 많고, 뒤길이에 비해 앞길이가 길었다. 그리고 뒷목너비가 가장 작고 앞목깊이가 크며, 뒤어깨 다트길이가 짧은편에 속하였다. 유형 2는 몸통은 가장 납작하고 굴곡이 뚜렷하며 키에 비해 상반신 길이가 짧은 체형으로, 체표원형의 특징에서도 허리선을 기준으로 등길이는 짧고 엉덩이길이가 길며, 허리 다트의 생성 위치의 비율이 다른 유형에 비해 앞중심쪽이 크게 나타났다. 유형 3은 가슴이 쳐지고, 아랫배가 많이 나왔으며, 앞뒤길이와 앞뒤품 차이가 큰 등이 굽은 체형으로, 체표원형에서도 뒷목너비가 가장 크고 뒤 어깨다트 길이가 가장 길었으며, 둘레의 앞뒤차가 가장 크고, 앞중심 배돌출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유형 4는 비만정도에 비해 옆면 실루엣이 납작한 체형으로, 앞허리 다트 길이가 가장 길어 비만하면서 납작하여 배돌출 커브가 가장 완만하고 앞뒤 허리다트량이 비슷하였다. 유형 5는 몸통형태에 비해 엉덩이가 둥글고 목과 어깨 부위가 발달한 체형으로, 체표원형의 특징을 살펴보면 목너비와 어깨너비가 가장 크고, 엉덩이둘레 앞뒤차가 가장 커 뒤의 경우에는 다른 비만 유형보다 오히려 엉덩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3. 체형별 체표원형을 활용하여 적정 여유분 평가를 통해 체형에 따른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을 개발하였다. 체형 유형별 토르소원형의 여유량을 비교하여 보면, 젖가슴둘레 여유량은 가장 비만하고 전체적으로 둥근 유형 1이 가장 많으며, 가슴이 처지고 윗가슴 굴곡이 밋밋한 비만 유형인 유형 3과 유형 4의 여유량이 가장 작았다. 허리둘레는 배가 나온 유형 1, 유형 3과 유형 5의 여유량이 많았는데, 특히 유형 5의 경우 슬림한 편이지만 엉덩이부위가 발달하여 뒤허리와 엉덩이의 각도가 커 생기는 허리부위의 가로 군주름을 허리 여유량을 넉넉히 주어 보완해 주었다. 그리고 엉덩이둘레는 다른 부위에 비해 둘레 차이가 가장 적은 부위로, 다른 부위에 비해 여유량이 비슷하게 적용되었다. 겨드랑깊이 여유량은 유형별로 크게 차이는 없었지만 젖가슴둘레 여유량/4를 적용하여 적당한 여유분을 적용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각 체형 유형별 체표원형에 부가된 앞·뒤 각각의 여유량을 비교하여 보면, 유형 1의 경우 상체비만으로 인한 큰 가슴을 커버하여 주고, 젖혀진 체형 특성을 고려하여 앞뒤 동일한 3.0cm로 적용하여, 여유량 비율을 1:1로 다른 유형보다 앞 여유량을 늘리고 뒤 여유량을 줄여주었다. 허리둘레의 경우 뒤 여유량을 앞의 2배인 3.7cm 주어 젖힌체형으로 인해 꺾인 뒤허리 실루엣을 완만하게 보정하였고, 엉덩이둘레는 앞 여유량을 뒤의 약 4배인 3.6cm 주어 배돌출로 인한 당김 현상을 보정해 주었다. 유형 2는 젖가슴둘레와 엉덩이둘레의 경우 앞뒤 여유량 비율 2:3이 적용되었으나, 허리둘레의 경우 앞부분 배부위 여유량이 부족하여 앞허리 여유량을 늘려주었다. 유형 3은 앞뒤길이와 앞뒤품 차이가 큰 등이 굽은 체형으로 앞뒤 여유량 비율을 1:5로 다른 유형보다 뒤 여유량을 늘리고 앞 여유량을 줄여주었고, 허리둘레의 여유량 비율도 1:3으로 뒷부분에 많이 주었을 때 외관이 향상되었다. 유형 4는 엉덩이둘레 앞 여유량을 뒤보다 많이 주어 배돌출로 인한 당김 현상을 보정해 주었고, 유형 5는 유형 2보다 앞가슴이 약간 더 발달한 체형 특성을 앞쪽 젖가슴둘레 여유량 비율을 더 많이 주어 맞음새를 향상시켜 주었고, 허리둘레의 경우 슬림한 편이지만 윗배돌출이 약간 있어 배부분이 당김 현상을 앞허리 여유량을 뒤허리보다 많이 주어 보정하였다. 엉덩이둘레는 뒤돌출이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으로 인해 원형 착의 시 뒤 엉덩이 부분은 체표와 맞닿아 아래로 떨어져, 뒤 여유분을 늘려주어도 오히려 옆선이 앞으로 치우치며 앞여유량이 많아 쳐지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부분에 엉덩이 여유량의 전체를 주고, 뒤는 여유량이 없을 때 옆선의 위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보정하였다. 4. 각 유형별 체형의 특징에 따라 적정 여유분을 설정하여 완성된 체형 유형별 최종 토르소원형을 바탕으로 토르소원형 설계에 활용될 수 있도록 수치화하여 각 체형 유형별 제도법을 제시하였다. 유형 1은 상반신 비만체형으로 젖가슴둘레의 경우 앞은 B/4+1.5cm(여유량)+0.7cm(앞뒤차), 뒤는 B/4+1.5cm(여유량)-0.7cm(앞뒤차)+0.3(다트량)으로 젖가슴둘레의 총 여유량은 6cm로 설정하였다. 허리둘레는 앞은 W/4+ 1.4cm(여유량)+0.5cm(앞뒤차)+0.8cm(다트량), 뒤는 W/4+1.4cm(여유량)- 0.5cm(앞뒤차)+2.0cm(다트량)로 허리둘레 총 여유량은 5.6cm로 설정하였다. 엉덩이둘레는 앞은 H/4+1.1cm(여유량)-0.5cm(앞뒤차), 뒤는 H/4+1.1cm(여유량)+0.5cm(앞뒤차)로 엉덩이둘레 총 여유량은 4.4cm로 설정하였다. 유형 1은 가슴이 큰 상체 비만형으로 언더암다트가 5cm로 가장 크며, 앞뒤길이, 앞뒤품 차이가 가장 적은 젖혀진 체형으로 뒷목너비와 뒷목깊이가 가장 작고, 앞목깊이가 가장 컸으며, 뒤어깨 다트길이가 가장 짧았다. 유형 2는 납작한 슬림체형으로 젖가슴둘레는 앞은 B/4+1.3cm(여유량)+ 0.5cm(앞뒤차), 뒤는 B/4+1.3cm(여유량)-0.5cm(앞뒤차)+0.4(다트량)으로 젖가슴둘레 총 여유량은 5.2cm로 설정하였다. 허리둘레는 앞은 W/4+1.1cm(여유량)+0.9cm(앞뒤차)+1.0cm(다트량), 뒤는 W/4+1.1cm(여유량)-0.9cm(앞뒤차)+3.4cm(다트량)로 허리둘레 총 여유량은 4.4cm로 설정하였다. 엉덩이둘레는 앞은 H/4+1.0cm(여유량)-0.9cm(앞뒤차), 뒤는 H/4+1.0cm(여유량)+ 0.9cm(앞뒤차)로 엉덩이둘레 총 여유량은 4.0cm로 설정하였다. 유형 2는 슬림한 체형이므로 어깨길이는 체표원형 치수 그대로 적용하는 것이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 설계시 외관이 좋은 것으로 나타나 이를 적용하였다. 유형 3은 하반신 비만체형으로 젖가슴둘레는 앞은 B/4+1.2cm(여유량)+ 1.0cm(앞뒤차), 뒤는 B/4+1.2cm(여유량)-1.0cm(앞뒤차)+0.6cm(다트량)으로 젖가슴둘레 총 여유량은 4.8cm로 설정하였다. 전체 젖가슴둘레 여유량은 5.3%로 표준체형의 6.0%보다 적게 주어, 비만한 편이지만 가슴이 처지고 윗가슴 불륨이 적은 체형이므로 젖가슴둘레 여유량을 적게 주어야 맞음새가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허리둘레는 앞은 W/4+1.4cm(여유량)+0.8cm(앞뒤차)+1.4cm(다트량), 뒤는 W/4+1.4cm(여유량)-0.8cm(앞뒤차)+2.2cm(다트량)로 허리둘레 총 여유량은 5.6cm로 설정하였다. 엉덩이둘레는 앞은 H/4+ 1.1cm(여유량)+0.3cm(앞뒤차), 뒤는 H/4+1.1cm(여유량)-0.3cm(앞뒤차)로 엉덩이둘레 총 여유량은 4.4cm로 설정하였으며, 앞뒤차는 다른 유형과는 반대로 앞이 크게 나타나 아랫배 지방침착이 심하여 엉덩이부위에도 그 영향을 조정해 주었다. 그리고 유형 3은 등이 굽은 체형으로 목너비, 뒤어깨다트 길이와 다트량을 가장 크게 설정하고, 뒷목중심에서 0.2cm 줄여주어 등이 굽어 들뜨는 목부분을 보정하여 주었다. 어깨길이는 비만으로 인한 어깨와 위팔의 지방침착으로 인해 0.15cm 늘려주었으며, 겨드랑둘레가 가장 크고 처진 체형으로 겨드랑깊이를 B/6+7.2cm로 가장 크게 설정해 주었다. 유형 4는 납작한 비만체형으로 젖가슴둘레는 앞은 B/4+1.2cm(여유량) -0.2cm(앞뒤차), 뒤는 B/4+1.2cm(여유량)+0.2cm(앞뒤차)로 젖가슴둘레 총 여유량은 4.8cm로 설정하였으며, 앞뒤차의 경우 다른 유형과는 반대로 뒤가 크게 나타나 납작한 숙인체형의 특성을 반영해 주었다. 허리둘레는 앞은 W/4+1.0cm(여유량)+1.8cm(다트량), 뒤는 W/4+1.0cm(여유량)+2.0cm(다트량)로 허리둘레 총 여유량은 4cm로 설정하였다. 유형 4는 약간 비만하지만 납작한 체형으로 배돌출이 다른 비만 유형보다 작고 옆 실루엣이 가장 밋밋하여 허리 여유량을 전체 둘레의 5%로 다른 유형에 비해 가장 적게 주어 허리부분을 잘록하게 보이게 하여 맞음새를 향상시켜 주었다. 엉덩이둘레는 앞은 H/4+1.1cm(여유량)-1.1cm(앞뒤차), 뒤는 H/4+1.1cm(여유량)+1.1cm(앞뒤차)로 엉덩이둘레 총 여유량은 4.4cm로 설정하였다. 유형 5는 둥근 슬림체형으로 젖가슴둘레는 앞은 B/4+1.3cm(여유량)+ 1.0cm(앞뒤차), 뒤는 B/4+1.3cm(여유량)-1.0cm(앞뒤차)+0.5(다트량)으로 젖가슴둘레 총 여유량은 5.2cm로 설정하였다. 허리둘레는 앞은 W/4+1.4cm(여유량)+0.8cm(앞뒤차)+1.6cm(다트량), 뒤는 W/4+1.4cm(여유량)-0.8cm(앞뒤차)+3.4cm(다트량)으로 허리둘레 총 여유량은 5.6cm로 설정하였다. 엉덩이둘레는 앞은 H/4+1.1cm(여유량)-1.3cm(앞뒤차), 뒤는 H/4+1.1cm(여유량)+ 1.3cm(앞뒤차)로 엉덩이둘레 총 여유량은 4.4cm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하여 성인여성을 위한 체형 유형별 특징이 그대로 반영된 체표원형을 추출하고 체형에 따른 여유량 연구를 통해 타이트 핏 토르소원형 설계방법을 제시하므로써, 외관이 우수하고 맞음새가 좋으며 패턴 제작 시 기초원형으로의 활용도가 높은 토르소원형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미래형 의류산업의 발전에 따라 3차원 인체 스캐닝을 통한 패턴의 자동화 등의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기대한다.

      • 20대 여성의 체형 유형화를 통한 기성복 치수 설정에 관한 연구

        張水晶 대구가톨릭대학교 2003 국내박사

        RANK : 248670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lassify a somatotype of women in their 20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and Rohrer index and body fat rate (% fat), and; to establish a diversified size system reflected with both size and shape of the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fundamental data based on these findings to apparel industry. To achieve this purpose, 85 physical items (53 direct and 32 indirect measurement values) were measured in 307 women in their 20s. Through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actor, cluster, discriminant, and correspondence analyses, representative somatotype were derived from the measured data. This study considered a relation of the representative somatotype with Rohrer index and % fat, and then proposed a size system for ready-made apparel based on their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result is as follows: 1. Four factors of somatotype characteristics were derived by the direct measurement values: vertical size factors > horizontal size factors > upper body size factors > horizontal torso size factors. 2. Cluster analysis of direct measurement values classified the women's physique into three types: type 1, 28.7%, short and plump (type S); type 2, 35.8%, average height and average physique (type R), and; type 3, 35.5%, tall and slightly thin (type T). 3. Four factors of somatotype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were derived by anterior and lateral measurement methods from the indirect measurement values: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horizontal size items in an anterior view and depth items in a lateral view. 4. Cluster analysis of indirect measurement values classified women's physique into three types: - Type 1 (type XI): standard physique (45.3%), slender anterior silhouette - curved line, waist thinner than shoulder and hip lateral silhouette - slightly protruding in the front and back - Type 2 (type AS): forward-bending physique (39.1%), moderately built anterior silhouette - obese in the lower body, hip is bigger than shoulder lateral silhouette - upper body bending forward - Type 3 (type HD): back-leaning physique (15.6%), robust anterior silhouette - boxy lateral silhouette - protruding chest and flat back Frequency of each type was types XI>AS>HD. About half of the women in 20s were type XI. 5. Combining three types from the direct measurement values and three other types from indirect ones, six highly frequent representative types were derived: type T-XI (20.8%) > type R-AS (17.6%) > type T-AS (13.4%) > type R-XI (12.7%) > type S-XI (11.7%) > type S-HD (8.8%). 85% of the subject had one of these types. 6. According to the Rohrer index, thin types were largely distributed in T-XI and T-AS; standard types, in S-XI, R-XI, and R-AS, and; obese types, in S-HD. According to body fat rates, thin types were largely distributed in S-XI, R-XI, and T-XI; standard types, in R-AS, and T-AS, and; obese types, in S-H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Rohrer index and direct measurement items, and between body fat rate and indirect measurement items. 7.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by each representative physique chose the following 14 physical items: posterior waist height > hip height > wrist girth > bust girth > shoulder width > full length > knee breadth > drop value 4 > left shoulder angle > shoulder breadth angle > tummy breadth angle > hip breadth angle > upper hip angle > waist depth. 8. In each representative somatotype, three size units were determined in the established apparel size system with high coverage rate: the sizes of bust girth - hip girth - height in type S-XI were 80-86-151, 84-89-156, and 88-91-161; type R-XI, 77-86-151, 81-90-156, and 85-94-161; type T-XI, 80-85-159, 80-89-163, and 84-93-167; type R-AS, 85-91-155, 85-95-160, and 89-99-165; type T-AS, 79-89-166, 83-93-166, and 83-97-171; and, type S-HD, 92-95-156, 98-99-160, and 104-103-164.

      • 중국 여성을 위한 전통 결혼 예복 패턴 개발 연구

        류샹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중국 20대 여성의 체형분석을 바탕으로 당대 스타일의 중국 전통 결혼 예복 패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당대 예복은 성당시대(盛唐期: 650년~755년, 당나라의 절정기)의 복식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예복 패턴 개발을 위하여 당대 복식 패턴과 현재 온라인에서 시판되고 있는 당대 스타일의 기성 결혼 예복 패턴을 비교분석하였다. 결혼 예복 패턴으로는 포(袍), 반비(半臂), 저고리, 치마 패턴을 수집하였으며 당대의 패턴 자료가 부족한 경우에는 당대 복식의 영향을 받은 송(宋), 원(元)대 복식 중 당대 복식의 형태를 보이는 패턴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온라인에서 당대 스타일의 기성 결혼 예복으로 판매되고 있는 결혼 예복의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당대 복식 패턴과 비교함으로써 패턴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전통 결혼 예복 패턴을 제시하였다. 중국 20대 여성의 대표체형을 선정하기 위하여 중국 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인체측정을 실시하고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해 체형특성을 분석하고 체형을 분류하였다. 체형의 요인은 수직 길이, 크기, 상반신 길이, 등너비, 앞너비, 드롭 요인 총 6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체형 유형은 평균체형, 평균보다 키가 크고 허리둘레가 작은 체형, 평균보다 키가 작고 둘레가 작은 체형, 평균보다 둘레가 큰 체형으로 분류되었으며,평균체형에 해당하는 중국 20대 여성의 대표체형에 맞는 기성복 호칭은 84-68-92-165A로 제시하였다. 당대 여성복의 대표적인 양식은 쓰리피스 형태로,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포+저고리+치마’ 조합, 또는 당대 유행 스타일이었던 ‘반비+저고리+치마’ 조합을 토대로 포, 반비, 저고리, 치마 4종 유형의 여성복을 선정해 패턴의 형태와 치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당대 복식의 비율을 분석하기 위해 인체 7등신 비례선을 설정하였고 성당시대 대표적 양식의 비율을 산출하여 키를 기준으로 옷길이, 깃너비, 소매총길이, 소매통너비, 소맷부리너비의 비율을 환산하였다. 대표체형을 기준으로 포 5종과 반비, 저고리, 치마 각 7종의 패턴을 선정하여 가상착의 외관 평가를 실시하였다. 당대 비율 기준의 분석 결과와 가상착의 외관 평가에서 비교적 우수한 평가를 받은 포, 반비, 저고리, 치마의 패턴 분석을 통해 실험패턴을 제작하였고, 실험패턴의 실제착의를 통한 착용감 평가와 실제착의 및 가상착의 외관 평가를 실시하여 실험패턴의 검증 및 수정, 보완을 통해 연구패턴을 제시하였다. 포 연구패턴의 비율은 옷길이 키/1.4, 깃너비 키/25, 소매총길이 키, 소매통너비 키/4.2, 소맷부리너비 키/1.9, 트임길이 키/3.2, 옷길이/소맷부리너비 1.9/1.4이다. 반비 연구패턴의 비율은 옷길이(앞) 키/4.1, 옷길이(뒤) 키/4.2, 깃너비 키/47, 소매총길이 키/2.1, 소매통너비 키/5.5, 소맷부리너비 키/6, 옷길이/소맷부리너비 6/4.1이다. 저고리 연구패턴의 비율은 옷길이 키/3.3, 깃너비 키/33, 소매총길이 키/1.08, 소매통너비 키/6, 소맷부리너비 키/8.5, 옷길이/소맷부리너비 2.55/1.1이다. 치마 연구패턴의 비율은 치마길이 키/1.55로 설정하였다. 연구패턴 1종과 비교패턴 3종을 선정하여 착용감 평가, 가상착의와 실제착의 외관 평가를 실시한 결과 연구패턴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되었으며,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 20대 여성을 위한 전통 결혼 예복의 패턴을 제시하였다.

      • 여중생의 교복 디자인 선호도와 체형 유형에 따른 패턴 설계

        김주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68

        It was study of school uniform pattern for middle school girls somatotypes to understand the preferences and satisfaction of school uniform design of middle school girls and research and analyze the somatotype of middle school girls to suggest uniform pattern that corresponds with school girls' aesthetic sense of value and fits good on bo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iddle school girls dissatisfied highly on design of present uniforms and they wanted to be altered was design with highest rate. So there should be some improvement in design. The items that need alternating were design, various size, and colors order. In detail, they wanted to change designs of collar and waist line etc. About items of the material, color and details, the preference to synthetic fiber was the highest which does not wrinkle easily and solid color without any pattern and different colors for each jacket and skirt were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favorite items for uniform they chose were black jacket and grey skirt. About Jackets, they wanted tailored collar, one button double adjust and waist long jacket combination. About Skirts, they wanted grey color, over knee length, and box-pleated skirt with stitches line combination. So there should be improvement in design reflected of their preference. 2. The somatotypes of the middle school girls were intended to be categorized for the highly applicable clothes design that reflects the clothes design. For this, the 3 middle schools in Jeonju were selected for anthropometric measurement of 317 middle school girls between the age of 12-15. The items of measurement are related to the body shape of middle school girls, clothes design and size system which is consisted of total of 50 items. For the basic data of clothes design was judged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body shapes related to the tops and bottoms would be rational; hence, it is classified into the upper part and lower part of the body to extract the body shape consistent fa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e upper body consistent was extracted as the 4 items: upper body circumference, upper body length, breast development, and arm length. It was displayed as 75.26% explicability. The lower body consistent factors are extracted as lower body height, lower body circumference, hip length, and rear shape with 78.62% explicability. To categorize the body shape of upper body and lower body, each factor score is made into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group analysis. As a result, the upper body was classified into the ‘upper body with small breast and long’ with weak development of horizontal factors and long arms and ‘upper body with big breast’ with relatively short arts and developed breasts. The lower body was categorized as ‘lower body with long hip length’ with large and long hip length compared to other body shape and ‘standard lowerbody’ body shape which the horizontal and perpendicular items all showed smaller value compared to the glamour body shape. 3. This study designed and presented the jacket and skirt pattern that is suitable for the physical figure of middle school girls, providing a good fit and appearance. It finally designed the jacket and skirt pattern, after passing through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test study, and the primary and secondary dressing test. Based on these experiments a new jacket and skirt pattern are created with the features as shown in the following. 1) The jacket pattern for ‘upper body with small breast and long arm’ ① Waist back length was made actual size of the waist back length. ② The length of the jacket was made to cover the area 8.7cm below the waistline. ③ The armhole length was made 6.5cm longer than B/6, enhanc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while allowing freer movement of the arms. ④ As for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breadths, the front interscye breadth was made 3.6cm larger than the B/6 while the back interscye breadth was B/6+4.6cm. ⑤ As for the front and back bust breadth, front bust breadth was B/4+2.5cm and back bust breadth was B/4+1.5cm. ⑥ The width of the back neck was applied 8.5cm. ⑦ As to the length of a nipple, shoulder, it applied the real measurement. ⑧ The waist breadth was made 4cm larger than the waist circumference measure(W/4+1cm) ⑨ As to the height of sleeve cap height, it set it to A.H/3+1 from the armhole of jacket pattern, and as for the height of a sleeve, it applied the measurement of the sleeve length, 2) The jacket pattern for ‘upper body with big breast’ ① Waist back length was made actual size of the waist back length. ② The length of the jacket was made to cover the area 9.5cm below the waistline. ③ The armhole length was made 6.5cm longer than B/6, enhancing the appearance and functionality while allowing freer movement of the arms. ④ As for the front and back interscye breadths, the front interscye breadth was made 5cm larger than the B/6 while back interscye breadth was B/6+4cm. ⑤ As for the front and back bust breadth, front and back bust breadth was B/4+2.5cm. 3) The skirt pattern for 'lower body with long hip length’ ① The front and back hip breadth was made H/4+1cm ② The waist breadth was W/4+dart+1cm, the dart breadth was 1.5cm 4) The skirt pattern for 'standard lower body’ ① The front hip breadth was H/4+1.7cm, the back hip breadth was H/4+0.7cm ② The waist breadth was W/4+dart+1cm, the dart breadth was 1.5cm With the resulting clothing, it is hoped that middle school girls would be able to develop an improved sense of social stability.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clothing industry would find this pattern a helpful tool in their pursuit of satisfying the demand of the middle school girls.

      • 고등학생의 체형과 체형인식도에 따른 성격유형(MBTI)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최선영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체형과 체형인식도의 차이, 체형과 체형인식도에 따른 성격유형의 관계, 체형과 체형인식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그들의 성격을 이해하고 올바른 체형인식을 갖는데 목적을 두고 시도된 연구로써, 현재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에 소재하고 있는 남녀공학 고등학교 1학년 405명(남학생 229명, 여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체형은 키와 몸무게를 측정하여 한국인 비만기준을 참고로 BMI 네 가지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체형인식은 설문지를 통해 다섯 가지로 나누었다. 성격유형은 MBTI 성격유형 검사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 검사는 정호선(1997)이 번안한 Rosenberg의 self-esteem scale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형과 체형인식도의 분포는 남·여 학생 모두 정상체중 그룹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남학생의 경우에는 저체중그룹 보다 비만 그룹의 발생률이 더 많았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비만그룹 보다 저체중 그룹의 발생률이 많았다. 체형에 대한 인식은 남학생은 보통체형, 마른체형 순으로 여학생은 보통체형, 살찐체형 순으로 자신의 체형을 인식하였다. 체형과 체형인식도와의 관계를 보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제대로 자신의 체형을 인식하였는데,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학생들 중, 남학생은 마른체형 쪽으로 여학생은 살찐체형 쪽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많았다. 남·여 학생의 체형에 따른 선호지표와 성격유형(MBTI)과의 관계에서는 서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형인식도에 따른 선호지표와 성격유형(MBTI)과의 관계에서는 여학생의 판단형과 인식형(J-P)이라는 선호지표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여 학생의 체형에 따른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남·여 학생 모두 저체중그룹, 정상체중그룹, 과체중그룹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이 세 그룹과 비만그룹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여 학생의 체형인식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남·여학생 모두 매우마른체형, 조금마른체형, 보통체형이라고 자신의 체형을 인식한 그룹 사이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이 세 그룹과 살찐체형, 비만체형이라고 자신의 체형을 인식한 그룹 사이에서는 각각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체형과 체형인식도 모두 자아존중감에 대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에 자아존중감에 대해 체형이나 체형인식도가 성격에 관계없이 독립적인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는데, 고등학생 남·여 모두 체형과 성격은 자아존중감에 독립적 영향을 발휘하지 못하고 오직 체형인식도만이 유의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는 인자임을 보였다. 즉, 체형과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은 오직 체형인식도 차이에 의해 나타난 결과라고 보여진다. 이와 같이 자신의 체형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뚱뚱하거나 비만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상당수 있었고, 살찐체형과 비만체형의 인식은 자아존중감까지도 많이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을 관리하는 상담심리사, 체형관리사는 무조건 마른체형만 쫒아가지 않게 마른체형의 나쁜점과 적정체형을 가르쳐 주고, 올바른 체형인식을 할 수 있도록 하게하여 정신·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at understanding personality types of high school students and getting them have their right body images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body type and body image and relationship of personality type and self-esteem in different body types and body images. The subjects were 405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229 male and 176 female students) from a co-education high school at Jang-an-gu, Suwon-shi, Gyeonggi-do. Body types were classified into four MBTI groups, based on obesity criteria for Koreans, with measurements of their heights and weights; body images were classified into five ones, based on questionnaire. MBTI was used in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Rosenberg's self-esteem scale, adapted by Jeong Ho-seon (1997), was used in self-esteem test. In this study, the normal groups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dominant body type and body image distributions. In case of male students, the obesity group dominated the low-weight group; in case of female students, the low-weight group dominated the obese group. In case of body image, more male students perceived their body types as "normal" and the next "skinny"; more female students as "normal" and the next "fat". In relationship of body type and body image, most students rightly perceived their body types. The rest included male students who tended to perceive as "skinny" and female students who tended to perceive as "fat." In relationship of preference indicator and personality type (MBTI) in different body type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ship of preference indicator and personality type (MBTI) in different body images, only the J-P indicator of female stud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ship between body type and self-estee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low-weight, normal and over-weight groups,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the obese group. In relationship between body image and self-esteem,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perceived "very skinny," "a bit skinny" and "normal" groups, bu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three groups and self-perceived "fat" and "obese" groups. Like this, as both body type and body imag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ation to self-esteem, so it had to be analyzed whether body type or body image, regardless of personality, gives an independent influence on self-esteem. Body type and personality of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did not give an independent influence on self-esteem, and only body image was the factor that can gi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it. That is, it seems that relationship between body type and self-esteem resulted only from differences of body image.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students thought themselves to be fat or obese, although their body types are normal, and that self-perception of fat or obese body types lowers even their self-esteem. Therefore, counseling psychotherapists of body type counselors for the young should teach them what the normal body type is and the demerits of skinny body type lest they absolutely prefer to skinny body type and so that they can perceive right body type. Then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would less occur.

      • 3D 측정치를 이용한 학령기 여아의 체형특성과 유형화에 관한 연구

        장자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32317

        This study is to offer basic data for manufacturing of dress form and dress prototype design for children. This purpose of the study is pursued by analyzing somatometric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girls by age to divide them into different school age groups and by examining their whole body shapes according to somatometric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girls to categorize them. Study materials depend on 3-D measurement materials of 262 schoolgirls aged between 7 and 12, who participated in Size Korea (2004). This study uses the total of 87 items, which add 61 items height, girth, length, etc. using 3-D measurement 3DM including body size, shape, stature required for this study among 125 items of the whole body, to 26 items of thickness in which we measured side image of 3D body shape using Venus 2D program For materials analysis, we implemented basic statistics, dispersion analysis, Duncan's post verification, factor analysis, group analysis using SPSS 14.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1. An analysis of somatometric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girls according to age, with focus on increase between ages, indicates that continuous physical growth takes place as they grow older, especially growing rapidly between the ages of 10 and 11, and that even if it might be difficult to make exact differentiations among school ages, main items of body measurement in terms of clothes construction are grouped into ages 7-8, 9-10, and 11-12. Therefore, school ages are divided into three age groups, namely, early stage, middle stage, and late stage. 2. School age-specific analysis of body shape in terms of clothes construction, with focus on representative parts, shows that great increases take place in waist thickness and buttock thickness during early and middle stage, and remarkable growth in height, weight, breast girth, back length, breast width, waist width, buttock width, and breast thickness, during middle and late stages, while buttock girth, buttock width, breast width, and length between shoulder edges, show a relatively balanced increase during early, middle, and late stages. Horizontal section of breast is remarkably projected in late stage; bisector of center back waist becomes distinctive toward middle and late stages; concave-convex part of the highest point in the front buttock and concave-convex phenomena in the projected back buttock become distinctive toward middle and late stages. Characteristics of side stature in such areas as height and length of the whole body shape, side thickness, and projection of standard parts show distinctive differences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school ages. Early school age and mid school age show that abdomen is projected for body shape to be curved, but elementary school girls begin to have straight and stable body shapes as they approach late school age. 3. 7 factors of early stage, 7 factors of middle stage, and 6 factors of late stage, are respectively selected for body construction factors of school girls. In case of early stage, factor one refers to horizontal size and vertical length of upper body, factor two vertical size and shoulder- and buttock-related horizontal sizes, factor three trunk side, factor four lower lap and neck side, factor five leg side, factor six average size of necks, factor seven shoulder size. In case of middle stage, factor one indicates horizontal size and vertical length of upper body, factor two vertical size and buttock-related horizontal size, factor three front side, factor four back side of lower body, factor five shoulder and armhole sizes, factor six front neck and back chest side, factor seven center length of back and front upper body. In case of late stage, factor one represents horizontal size and vertical length of upper body, factor two vertical size, factor three front side, factor five buttock side, factor six shoulder degree and size. 4. Both group analysis and dispersion analysis to classify girls' body types according to school age reveals that they a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stages, namely, early stages, three middle stages, and four late stages. Type one of early stage, accounting for 50.0% of the total, is characterized by average size and curved body. Type two of early stage, which constitutes 23.80%, shows a large body size and belongs to a curved upper body. Type three of early stage is characterized by its small body size and slender shape, accounting for 26.19%. Type one of middle stage, which accounts for 26.0%, belongs to a largest body size, characterized by a slender but straight shape. Type two of middle stage belongs to an average size body with its buttock developed and curved, constituting 22.0%. Type three is characterized by a large and chubby but bended body, taking up 22%. Type one of late stage is marked by developed shoulder, straight body, and short height, taking up 23.07%. Type two, accounting for 19.66%, belongs to a drooped body shape of a slender and average size physique. Type three belongs to an average size physique and a straight body shape with small upper body, constituting 41.89%. Type four of late stage, characterized by the largest, slender and straight body, takes up 15.38%. 5. Comparing side silhouette shapes according to school age shows that a conspicuous projection of buttock takes place during middle stage and remarkable breast growth occurs during late stage as a clear indication of girls. Side shape of school-age girls remains curved in younger age group but straight in older age group, regardless of their physique and obesity. It is shown that as school girls approach late stage, their body shapes change into an adult body with gently curved side. 본 연구는 학령기 여아의 연령별 체형특성을 분석하여 학령기를 구분하고 학령기별 특성에 따른 전신체형을 유형화하여 고찰함으로써 아동의 인대제작과 의복원형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자료는 Size Korea(2004)에 참여한 7~12세의 학령기 여자아동 262명의 3차원측정 자료를 사용하였다. 전신 125항목 중 본 연구에 필요한 인체의 크기, 형태, 자세요소를 포함한 3차원측정의 3DM을 이용한 높이, 둘레, 길이, 기타항목 등 61항목과 본 연구자가 3차원 인체형상의 측면 이미지를 Venus 2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직접 측정한 두께 26항목을 추가하여 총 87항목을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4를 이용하여 기초통계량, 분산분석, Duncan의 사후검증, 요인분석,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1. 학령기 여아의 연령별 체형분석 결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으며, 특히 10세와 11세 사이에서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보였다. 학령기의 체형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는 없지만 의복구성학적 관점에서 주요 신체 부위의 측정항목이 7~8세, 9~10세, 11~12세로 그룹을 지어 분류되었다. 따라서 학령기를 7~8세, 9~10세, 11~12세의 3개 연령군으로 각각 학령전기, 학령중기, 학령후기로 구분하였다. 2. 학령기 구분에 따른 체형분석을 의복구성학적 관점에서 대표부위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학령전기와 중기사이에서는 허리두께와 엉덩이두께가 크게 증가하였고, 학령중기와 후기사이에는 키, 몸무게, 젖가슴둘레, 허리둘레, 등길이, 젖가슴너비, 허리너비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엉덩이둘레, 엉덩이너비, 젖가슴두께, 어깨가쪽사이길이는 학령전기, 중기, 후기 사이에서 비교적 고른 성장을 보였다. 수평단면형상의 젖가슴 형태는 후기에서 젖가슴이 현저히 돌출되어 성인여성 체형의 초기 발달형태의 모습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허리부위는 학령중기, 후기로 갈수록 뒤중심의 이등분선이 오목하게 들어가는 모습이 뚜렷해졌다. 엉덩이부위는 후기로 갈수록 앞면에서 장극점 부위와 뒷면의 엉덩이돌출 곡선의 형태가 커지면서 둥글고 볼륨감 있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측면형태는 학령전기, 중기, 후기의 형태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학령전기와 중기에서는 배가 앞으로 내밀어진 뒤로 젖힌 체형이 더 많았으며, 후기에서는 자세가 바르고 안정된 바른체형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 학령기 여아의 체형구성요인을 추출하고자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령전기는 7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1요인은 수평크기 및 상체부 수직체표길이, 2요인은 수직크기 및 어깨엉덩이관련 수평크기, 3요인은 체간부의 측면형태, 4요인은 무릎하부 및 목측면형태, 5요인은 다리측면형태, 6요인은 목의 크기, 7요인은 어깨크기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령중기는 7 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1요인은 수평크기 및 상체부 수직체표길이, 2요인은 수직크기, 3요인은 측면앞형태, 4요인은 하체부 측면뒤형태, 5요인은 어깨 및 겨드랑이 크기, 6요인은 목앞 및 가슴뒤 측면형태, 7요인은 상반신길이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령후기는 6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1요인은 수평크기 및 상반신 수직체표길이, 2요인은 수직크기, 3요인은 측면앞형태, 4요인은 측면뒤형태, 5요인은 엉덩이 측면형태, 6요인은 어깨각도 및 크기 요인으로 나타났다. 4. 학령기별 여아의 체형을 유형화하기 위하여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령전기 3개 유형, 학령중기 3개 유형, 학령후기 4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학령전기의 유형 1은 보통체격에 날씬한 젖힌체형으로 전체인원의 50.0%이며, 유형 2는 체격이 크고 상반신이 뒤로 젖혀진 체형으로 전체인원의 23.80%이고, 유형 3은 체격이 작고 날씬한 바른체형으로 전체인원의 26.19%로 나타났다. 학령중기의 유형 1은 체격이 가장 크고 마른 바른체형으로 전체인원의 26.0%이며, 유형 2는 보통체격에 엉덩이가 발달된 젖힌체형으로 전체인원의 52.0%이고, 유형 3은 체격이 크고 통통한 휜체형으로 전체인원의 22.0%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령후기의 유형 1은 키가 작고 어깨가 발달한 바른체형으로 전체인원의 23.07%이며, 유형 2는 보통체격에 날씬하고 숙인체형으로 전체인원의 19.66%이고, 유형 3은 보통체격에 상반신이 왜소한 바른체형으로 전체인원의 41.89%이며, 유형 4는 체격이 가장 크고 날씬한 바른체형으로 전체인원의 15.38%인 것으로 나타났다. 5. 학령기별 각 유형의 측면실루엣을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 학령전기의 1, 2유형은 젖가슴의 볼륨이 전혀 보이지 않으나 3유형은 젖가슴의 초기 발달이 나타나고, 중기에서는 1, 2, 3유형 모두에서 젖가슴의 초기발달이 나타나며, 후기에서는 젖가슴의 볼륨이 현저하게 나타난다. 또한 엉덩이 형태는 전기에서는 밋밋하고 중기에서 굴곡이 생기기 시작한다. 따라서 학령기 여아의 측면형태는 전기, 중기에서는 젖힌체형의 비율이 높고, 후기에서는 바른체형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후기로 갈수록 측면굴곡이 완만한 성인체형의 초기형태로 변화되어 감을 알 수 있다.

      • 老年期 女性의 衣服構成을 위한 體型의 類型化

        김영숙 淑明女子大學校 1994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논문은 의복설계의 입장에서 인체를 상반신과 하반신으로 나누어 체형을 유형화하고 그 특징을 밝혀 의복설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55세-79세의 노년기 여성 225명을 대상으로 총 57개 항목의 신체계측을 실시하고 이를 연구항목으로 사용하여 분산분석, 인자분석, 집락분석, 판별분석의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년기 여성의 연령에 따른 계측치의 변화추이를 부위별로 보면, 연령의 증가에 따라 키, 몸무게, 너비항목은 감소하였고 길이항목도 목옆점-젖꼭지점길이 외의 모든 항목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두께항목은 타부위에 비해 변화의 폭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레항목에서 허리둘레와 배둘레는 65-69세까지는 증가하다가 그 이후는 정체현상을 보였고 가슴상부에 비해 하부의 둘레부위는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상반신과 하반신 체형의 형태적 요인의 추출과 체형분류를 위한 대표항목의 선정에 관한 인자분석 결과, 상반신에서는 신체의 비만에 관한 인자, 신체의 뒷면길이에 관한 인자, 어깨부위에 관한 인자, 신체의 앞면길이에 관한 인자, 키와 팔의 수직방향의 크기에 관한 인자, 목부위에 관한 인자, 앞면 어깨부위에 관한 인자, 뒷목깊이 등 8개 인자가 추출되어 그 중 17개 항목이 상반신의 집락분석을 위한 종속변수로 선정되었고, 하반신에서는 신체의 비만에 관한 인자, 신체의 종적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다리의 횡적 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등 3개 인자가 추출되어 그 중 11개 항목이 하반신의 집락분석을 위한 종속변수로 선정되었다. 3. 집락분석에 의한 체형분류 결과, 상반신은 4유형으로 분류되어 각 유형별 체형의 특성을 보면, 유형I은 신체의 앞뒷면길이가 모두 짧고 어깨가 좁으며 앞품에 비해 뒤품이 넓은 체형의 특성을, 유형II는 어깨는 좁고 가슴이 작으며 허리는 가는 키가 작고 마른 체형의 특성을, 유형III은 키가 크고 어깨가 넓으며 앞품이 뒤품에 비해 넓은 체형의 특성을, 유형IV는 키가 크고 어깨가 넓으며 가슴이 크고 허리가 굵은 뚱뚱한 체형의 특성을 나타낸다. 하반신은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어 각 유형별 체형의 특성을 보면, 유형I은 키가 크고 평균적인 체격으로 배가 나왔으며, 다리는 길고 중간정도의 굵기를 갖는 체형의 특성을, 유형II는 허리와 다리가 굵고 배와 엉덩이가 튀어나온 키가 크고 전반적으로 체격이 큰 체형의 특성을, 유형III은 다리가 짧고 가늘며 키가 작고 마른 체형의 특성을 나타낸다. 우리나라 노년기 여성의 체형은 상반신에서는 유형I과 유형III이 가장 많아 전체의 60.9%를 차지하고 있으며, 하반신에서는 유형I이 46.75%로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4. 체형분류 평가를 위한 판별분석 결과, 상반신의 경우에는 가슴둘레, 허리두께, 키의 항목이 판별요인으로 추출되어 이 세 항목이 상반신에서의 집단구별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반신의 경우에는 엉덩이두께, 허리두께의 항목이 판별요인으로 추출되어 이 두 항목이 하반신에서의 집단구별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의 집락분석에 의한 체형 분류의 명중률은 상반신 86.67%, 하반신 87.56%로 높게 나타나 체형분류의 타당성을 입증해 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of elderly women' clothing design, by classify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then, by clarifying the feature. This researcher executed the body measurement of total 57 items on 225 elderly women aged 55-79 years old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methods of ANOVA analysis, factor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distinction analysis by using it as the study it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o see the change progress of measurement value attendant upon the age of an elderly woman by part, the items of stature, weight and width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ge. And, in the length item, all the items except the length between the side neck point and the nipple point decreased with big width. In the depth item, it emerges that the width of changes is small in comparison with other part. And, in the circumference item it emerges that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abdominal circumference increased until 65-69 year old and that the stagnation phenomenon shows after that. And it emerges that the lower circumference part increased steadily in comparison with bust. 2. As the result of fatter analysis on the selection of representative item, for the sampling of formal factor, which form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nd for the body form classification, in the upper body, 8 factors on such as the factor on the obesity of body , the factor on the length of back side of body , the factor on shoulder part, the factor on the length of front side of body, the factor on the size of vertical direction between stature and arm, the factor on neck part, the factor on the shoulder part of 'front side, and the back neck depth etc. are sampled. So, among them, 17 items are selected as the subordinate variable for cluster analysis of the upper body. And in the lower body, 3 factors such as the factor on the obesity of body , the factor on the vertical size body , and the factor on the horizontal size of leg etc. are sampled. So, among them, II items are selected as the subordinate variable for cluster analysis of the lower body. 3. As the result of body type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luster analysis, the upper body are classified into 4 types. So, to see the feature of body form by type, type I shows the feature of body form that all the lengths of front side and back side of body are short, and that the shoulder is narrow, and that the width is wide in comparison with front width. And, the type II shows the feature of body form that the shoulder is narrow, and that the breast is small, and the waist is thin, and the stature is small and slim. And, the type III shows the feature of body form that the stature is tall, and that the shoulder is wide, and h\the front width is wide in comparison with back width. And, the type IV shows the feature of body form that the stature is tall, and the shoulder is wide, and that the bust is big, and that the waist is thick and fat. The lower body is classified into 3 types. Thus, to see the feature of body form by type the type I shows the feature of form that the stature is tall and the physique is average and the abdomen protrudes, and that the legs are long and it has middle thickness. And, the type II shows the feature of form that waist and legs are thick, and that the abdomen and hip protrude, and the stature is tall, and that the physique is big generally. And, the type III shows the feature of body form that the legs are short and thin, and that the stature is small and slim. As for the body type of an elderly woman of our country, in the upper body, the type I and the type III are most. So, they are occupying 60.9% of whole. And, in the lower body, the type I is occupying most rate as 46.75%. 4. As the result of distintion analysis for the evaluation of body type classification, in case of the upper body, the items of bust, circumference waist depth and stature are sampled as the distinction factors. So, it emerges that the ability of group distinction in the upper body is big in case of these three items. And, in case of the lower body, the items of hip depth and waist depth are sampled as the distinction factors. So, it emerges that the ability of group distinction in the Tower body is big in case of these two items. The hit rate of form classification based on the group analysis in this study emerges high as 86.67% in case of the upper body and as 87.56% in case of the lower body. So, it is proving the propriety of body type classification.

      • 3차원 인체측정데이터를 활용한 60대 여성의 체형별 슬랙스 패턴개발

        김경애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32315

        This study aims to develop functional slacks patterns with good appearance and good operational adaptability for each type after analyzing and stereotyping the lower body types of women in their 60's with great body shape changes as they enter old age. This research is composed of two studies: the analysis of body type in women in their 60's (Study 1) and the development of slacks pattern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body types (Study 2). Women between aged 50 and 69 were subjects of investigation in study 1 and the data of the 3D human dimensions of Korean of Korea Institute of Technology (KIST) were made use of in the 5th (2003), the 6th (2012), and the 7th (2015). 1) Among 1036 women in their 60's (ages 60 to 69), One-Way ANOVA was implemented to 45 items of lower body dimensions related to lower body size in the 5th research (386 women), the 6th (420 women) and the 7th (230) and also the changes in the lower body dimensions of women in their 60's had been analyzed for 12 years from 2003 to 2015. 2) In study 1, differences of body dimensions related to lower body of 359 women in 50's and 230 in 60's among 589 women in the 7th research were t-tested and the differences in body shape in middle-aged and older women were investigated 3) In the 7th research, factors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45 items of body dimensions related to the lower body type of 230 women in their 60's. Also body shapes were categorized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order to develop slacks patterns suitable for the types of lower body shapes of women in their 60's in study 2, the system of virtual garment simulation of CLO 3D was utilized. Based on the data obtained from Study 1-3, representative dimensions of lower body shape were established and avatar types were established according to types 100% cotton muslin was used for making cloth. To develop a slacks prototype that is most suitable for the lower body shape type, a research pattern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results of four tests such as the stress of the garment material, rate of change, expert appearance evaluation, and subjective behavior adaptability assessment of the subjec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fter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dimensions related to the lower body shapes of women in their 60's during 12 years through the 5th, 6th and 7th surveys, 33 of the 43 items available for analysis were found to differ significantly from time to time, but the direction of change was not constant and different from one item to another. compared with the 6th research, figures of total 17 items increased in the 7th survey. in width items, waist Breadth, navel-level waist Breadth and Hip width, Hip Breadth, sitting, tended to increase in the 7th study figures than the 6th research figures. In height items, knee height, the crotch height, knees height sitting, Popliteal height, in circumference items, Thigh circumference, Midthigh circumference knee circumference, Lower knee circumference, Leg circumference, in length items, Waist to Hip length, In Leg Length, Out Leg Length, Buttock Popliteal height, increased in the 7th survey, compared with the 6th research. In the thickness category, Waist Depth (Natural Indentation), Waist Depth(Omphalion), and Buttock-Abdomen Depth, sitting. tended to decrease in the 7th research figures compared to the fifth. Overall, the body of women in their 60's has shown a tendency for the lower body to become longer, thicker and smaller in size, although there has been no change in body weight in recent decades. Second, the body size of the lower body of the female subjects in their 50's and those of their 60'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in 28 categories in the 7th dimensions of human body size. Particularly, for women in their 60's than women in their 50's, figures in the width items, the thickness items, and the perimeter items increased highly in the waist region and the navel height waist region, and all height items were lowered except for the seated knee height and the inside of Popliteal height. For women in their 50's, the distribution rate of flexion of body shape which is caused by the difference between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becomes high, but for women in their 60's, the distribution rate of abdominal obesity of body shape due to less difference between hip girth and waist girth, appears to be hig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and characterizing the body shape characteristics of women in their 60's by cluster analysis three types were found :type A of the normal type (Type Ⅰ) that has average height and flexuous lower body shape, Type Ⅱ that has short legs and is obese in the the abdomen and type H (Type Ⅲ) that is obese in the lower body and tall. Fourth, the research pattern (DI) for Type I was designed by adding extra space to crotch on the existing pattern. Type II's research pattern (DII) was created for obese body types that did not differ widely in waist circumference and hip circumference.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pulling of the abdomen and the twisting of the side or front centerline than the usual body shape, the margin of the abdomen was made greater than the waist circumference, and the M.H. line from the front centerline was made 0.7cm larger outside the centerline. The study pattern for type 3 body types was designed by providing adequate clearance for the abdomen and buttocks and adding 0.7cm of abdominal protrusion to the Center Front Line so that the pressure on the abdomen was reduced and the ease around the waist was converted into a dart to suit the appearance of the waist. Fifth, when three types of trouser patterns p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features of lower body shapes of women in their 60's were compared with three comparative patterns, the appearance and operational compatibility were assessed to be the best in both the experiment of virtual cloth dressing and the experiment of subject dressing. In the above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lower body shapes types of women in their 60's obtained using the latest data by three-dimensional human system measurement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the study of clothing ergonomics for the elderly. It is also believed that the aesthetic and functional slacks pattern for each body type can be used to improve the clothing satisfaction of older consumers in an accelerated aging society. Furthermore, this study was able to produce a slack pattern suitable for each body type through more accurate and objective analysis by applying the CLO 3D system, 3D virtual garment simulation systems can be modified and repeated in real time and improve the threshold of two-dimensional pattern design. Because It could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efficiency of our products, this IT convergence technology is expected to contribute greatly to the development of apparel and clothing industries. 본 연구는 노년기에 접어들면서 체형변화가 큰 60대 여성의 하반신체형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후 각 유형별로 외관이 우수하며 동작적응성이 좋은 기능적인 슬랙스패턴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성은 60대 여성의 체형분석(연구 1)과 각 체형에 따른 슬랙스 패턴개발(연구 2)의 두 가지 연구로 구성되었다. 연구 1의 연구대상은 50~69세의 여성으로 한국기술표준원에서 실시한 한국인 3차원 인체치수조사 5차(2003), 6차(2012), 7차(2015)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1) 60대(60~69세) 여성 5차(386명), 6차(420명), 7차(230명)의 총 1036명의 하반신체형 관련 신체치수 45항목에 대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고 2003년~2015년까지 12년간의 측정시기에 따른 60대 여성의 하반신 신체치수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2) 7차 자료 중 50대 여성(359명)와 60대 여성(230명)의 총 589명에 대한 하반신체형 관련 신체치수의 차이를 t-test하고 중년기와 노년기 여성의 체형 차이를 검토하였다. 3) 7차 자료 60대 여성 230명의 하반신체형 관련 신체치수 45항목에 대해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고 체형의 유형화 및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2에서는 60대 여성의 하반신체형의 유형에 적합한 슬랙스패턴을 개발하기 위하여 CLO 3D의 가상착의 시스템을 활용하였으며, 연구 1의 3)에서 얻어진 자료에 근거하여 유형별 하반신체형의 대표 치수를 설정하고 각 유형별 아바타 체형을 구축하였다. 실험복 소재는 면 100% 머슬린을 사용하였다. 하반신체형 유형별로 가장 적합한 슬랙스 원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가상착의와 피험자 착의실험을 실시하고 의복소재의 응력과 변화률 검토, 전문가 외관평가, 피험자의 주관적 동작적응성 평가의 4차에 걸친 실험 결과를 반영하며 패턴의 문제점을 보완한 후 유형별 연구패턴을 개발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인 인체치수 5차, 6차, 7차 조사를 통한 12년간 (2003년~2015년)의 60대 여성의 하반신체형 관련 치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분석 가능한 43항목 중 33항목에서 측정시기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으나, 변화의 방향은 일정하지 않고 항목별로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너비항목에서는 앉은엉덩이너비를 제외한 허리너비, 배꼽수준허리너비와 엉덩이너비가 6차보다 7차의 값이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 두께항목 중 허리두께, 배꼽수준허리두께와 앉은배두께는 5차보다 7차 값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높이항목중 무릎높이, 샅높이, 앉은무릎높이, 앉은오금높이, 둘레항목에서는 넙다리둘레, 넙다리중간둘레, 무릎둘레, 무릎아래둘레와 장단지둘레, 길이항목에서 엉덩이옆길이, 다리가쪽길이, 앉은엉덩이오금수평길이의 17항목은 6차보다 7차의 값이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최근 10년간 60대여성의 신체는 체중의 변화는 없지만 하체가 길어지고 굵어지며 복부의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한국인 인체치수 7차 데이터의 50대 여성과 60대 여성의 하반신 신체치수를 비교한 결과, 28항목에서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특히 50대보다 60대의 경우, 허리부위와 배꼽높이허리부위에서 너비항목, 두께항목, 둘레항목 모두 큰 값을 보였으며, 앉은무릎높이와 앉은오금높이를 제외한 모든 높이항목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50대에서는 허리와 엉덩이둘레의 차이로 인해 굴곡을 이루는 체형의 분포율이 높지만 60대에서는 엉덩이높이와 허리높이가 낮아지고 허리와 배부위가 증가하는 복부비만 체형분포가 높은 것으로 여겨진다. 셋째, 군집분석에 의해 60대 여성의 체형특징을 분석하고 유형화한 결과, 큰 키와 하반신체형이 굴곡을 이루는 A형의 체형(Type I), 작은 키에 복부가 비만하고 다리가 짧은 체형(Type Ⅱ)과 키가 크고 하반신이 비만한 H형(Type III)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Type Ⅰ체형을 위한 연구패턴(DI)은 기존패턴에 복부부위와 샅부위에 여유량을 추가하여 설계하였고, Type II의 연구패턴 (DII)는 엉덩이둘레와 허리둘레의 차이가 크지 않은 비만체형을 위한 것으로 보통체형에 비해 복부의 당기는 현상과 옆선이나 앞중심선이 틀어지는 현상을 보완하기 위해 배둘레의 여유량을 허리둘레보다 크게 하고 앞중심선에서 M.H선을 중심선 밖으로 0.7cm 크게 설계하였다. Type III 체형을 위한 연구패턴(DIII)은 복부와 엉덩이에 적당한 여유량을 부여하고 앞중심선에서 배돌출점 0.7cm를 추가하여 복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줄이고 허리둘레는 다아트로 전환하여 허리의 외관 핏을 적합하게 처리하였다. 다섯째, 60대 여성의 하반신 체형의 특징을 고려하여 제작한 세 가지 유형의 슬랙스패턴은 3종의 비교패턴과 비교하였을 때 가상착의 실험과 피험자 착의 실험 모두에서 외관과 동작적합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연구에서, 3차원 인체계측법에 의한 최신의 자료를 활용하여 얻어진 60대 여성의 하반신체형의 유형별 특성은 노인을 대상으로하는 의복 인간공학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각 체형에 맞는 심미적이고 기능적인 슬랙스패턴은 가속화되는 노령화사회에서 노년 소비자의 의복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CLO 3D 시스템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하여 각 체형에 적합한 슬랙스패턴을 제작할 수 있었다. 3D 가상착의 시스템은 실시간 수정과 반복이 가능하여 2차원적 패턴설계의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고 제품의 생산성과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IT융합기술은 의류학과 의류산업발전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