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체육교육학과 남녀 학생들의 체육교사 역할에 관한 비교연구

        송원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국문초록) 본 연구는 체육교육학과 학생들에게 무엇보다도 미래 체육교사로서의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가치관의 정립이 중요하다는 믿음 하에 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이 평소 체육교사에 대해 가지고 있는 교사역할에 대한 생각을 연구하여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체육교사가 가져야 할 체육과 교수학습에 대한 올바른 지도와 태도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모색하고 더불어 학교현장에서 맡은 역할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2011년 G광역시와 J지역 소재 대학교 체육교육학과 재학생 중 총 107명(남학생 55명, 여학생 52명)을 선정하여 설문지를 직접 배포 한 후 수집하였다. 설문지 수거 후 본 연구에 내용이 충족하지 못한 7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100명의 설문지 자료를 분석하였다. 회수한 자료는 첫째, 컴퓨터를 통한 전산작업을 하였으며, 둘째, 주제별 약호화의 개발 및 적용단계를 거쳤다. 셋째, 수집된 설문지 자료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새로운 범주 및 의미를 생산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에 따라 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체육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의 체육교사 역할에서 교수학습 영역 중 체육교과 수업 시 어떤 가치나 이념에 중점을 두고 지도해야할 부분에서는 남학생은 신체적 운동능력 향상, 여학생은 운동발달의 효율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체육교사들의 수업 특성상 건강한 신체단련과 운동능력을 기르는데 의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실기수업 시 지도방법과 평가부분에서는 남·여학생 모두 실기수업 시 지도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진취적 기상함양을, 그리고 평가내용에서는 남학생은 적극적으로 사회적 행동변화, 여학생은 발달과정의 변화정도라고 하였다. 남·여학생 모두 적극적 수업참여 및 자신감형성에 높은 비중을 두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며, 집중력을 가지고 수업에 임하여 적극적인 자신감으로 인해 활동성 있는 수업참여로 수업에 임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이러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라고 사료된다. 둘째, 생활지도영역 중 학생들에게 가장 필요한 생활지도에서는 남·여학생 모두 공통적으로 올바른 가치관 확립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학교에서의 선생님에 대한 공경하는 태도, 학우와의 생활이 올바른 가치관으로 인해 즐거운 학교생활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으로 사료된다. 생활지도의 기본목적에서는 남학생은 건전한 사고방식과 생활습관형성, 여학생은 전인적 성장발달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학생들의 정신적 발달은 어릴 때 성격 및 도덕의 발달이 형성되기 때문에 건전한 사고방식과 생활습관형성, 전인적 성장발달의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학생들이 규칙을 지키지 않을 경우의 지도부분에서는 남·여학생 모두 반성적 사고확립 및 훈육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학급경영지도영역 중 학급운영에 중점적인 지도 부분은 명랑하고 활기찬 학급 분위기 조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 간의 협동심, 원만한 관계 등 즐거운 분위기를 바탕으로 학급이 조성되어야 효과적으로 학습을 높일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학급 분위기조성을 위해 힘써야 할 부분은 열린 학습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특히 남학생은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여 교실이라는 공간에서 부당함을 느끼지 않고 생활하는 것이 학급 분위기에 좋은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 반면에 여학생의 경우 학생들의 참신한 아이디어를 이끌어 내고, 독서활동 등으로 안정된 분위기로 학급을 조성하는 것이 학생들이 학급에서 생활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 이라고 생각하였다. 넷째, 학교갈등영역 중 교직원간의 갈등해결에서는 남·여학생 모두 상호간 협의 및 협동적 관계구축을 해야 한다고 나타나고 있었다. 이는 갈등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고 받아들여 대화를 통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양보와 배려를 통해 동료교사 및 관리자와의 갈등을 해결할 것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학생들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시급한 방안은 상호간 화합 및 협동적 분위기 형성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남학생의 경우 친목활동을 통한 즐거운 분위기 형성, 여학생의 경우 대화를 통한 해결한다고 나타내고 있었는데, 이는 남학생의 활동적인 성격으로 단체활동을 통해 서로에 대해 알아가면서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 반면 여학생의 경우 차분하고, 온순한 성격으로 인해 서로의 마음을 열고 대화를 통하면 갈등은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섯째, 운동부지도영역 중 운동부 운영을 담당하기 위해 행해야 할 역할은 운동수행방법향상 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대회나 경기결과에 대해 모든 부분은 지도교사가 책임을 지고 있기에 우수한 결과를 거둬야 하기 때문에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선 운동수행능력이 향상되어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운동부 운영에 중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서는 운동계획 및 선수관리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부상이나 기량부족으로 운동을 포기하는 학생들을 좋은 방향으로 제시하기 위해 진학지도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여섯째, 생활체육지도자영역 중 지도자의 자질은 올바른 품성 및 전문적 지식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남·여학생 모두 지식이 갖춰줘야 한다는 답변이 높게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능력향상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이 요구되어야 하며, 또한 체육지도자는 시범을 통한 수업이 운영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활체육 지도자의 수행역할에서는 활기찬 삶 추구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생활체육은 결과보다는 건강과 즐거움에 목적을 두고 있기 때문에 스트레스해소나 즐거움을 충족시킴으로써 삶의 질을 향상시켜 활기차게 생활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열린교육과 현 교육개혁의 흐름에 맞게 체육 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할에 대해 체육교육학과 학생들은 체육교사는 체육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가지고 학생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전적으로 이해하려 애쓰는 동시에 긍정적인 학급운영과 상호협력에 바탕을 두고 학교라는 공동체의 발전에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고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분석

        장빈봉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연구는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국 산시성에 소재하는 7개 대학교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문헌자료는 Bereday(1964)의 비교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는 중국에서 발표된 ‘2003년 교육과정 지도방안’을 기준으로 하여 ‘복합형(復合型)’ 인재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다. 둘째, 중국 대학의 체육교육학과의 교육과정은 교양과목, 전공이론과목, 전공실기과목, 교직과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체육교육학과 교육과정 내용선정 기준은 없으며, 교육과정 구성 내용은 대학마다 차이가 있다. 셋째, 체육교육학과에 공통적으로 개설된 교양과목에는 사회주의사상과 도덕, 컴퓨터, 영어가 있다. 전공이론과목은 필수과목과 선택과목에 대한 기준이 없어서 대학마다 개설과목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전공실기과목은 공통적으로 농구, 축구, 배구, 육상, 체조 과목이 개설되어 있다. 교직과목은 선정기준이 없으며, 대학마다 개설과목에 차이가 있다.

      • 운동장에 존재하는‘유리천장’ :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진입장벽과 적응전략

        홍유진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 어려움과 교직 생활을 하면서 겪는 갈등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서 받는 대우를 극복해내는 본인만의 적응 및 대처방법을 알게 되며, 향후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를 채용하는 과정에 정책적인 기초자료 마련과 처우개선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눈덩이표집법을 사용하여 부, 울, 경 지역에서 현재 중등학교 기간제 체육교사로 종사하고 있는 여교사 5명을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심층 면담과 기사, 뉴스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사작업을 통해 텍스트화 하였고, 공통된 의미를 범주화하여 개념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진입의 어려움은 ‘체육교과목에 대한 젠더 편견’, ‘짜여진 각본의 엑스트라’, ‘체육교사 = 안전생활부로’의 카테고리로 분류되었다. 체육 과목은 오랫동안 남성들에게 적합하다고 여겨져 왔다. 이러한 선입견은 아직도 교직 문화에 많이 자리 잡고 있으며, 이에 따라 체육과목에 대한 젠더적 편견이 발생하여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로의 진입장벽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기간제 체육교사 채용 면접에서 이미 남교사를 채용할 계획이 있는 학교도 허다하였고, 서류전형에 통과한 여성들은 자릿수를 채우는 엑스트라의 역할을 해야 했다. 더해서 학교의 안전생활부는 체육교사의 주된 업무이기 때문에 학생을 통제하기에 여성들은 힘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뽑지 않아 기간제 체육교사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교직 생활의 적응 어려움은 크게 ‘꼬리표 : “여자라서”’, ‘불공정한 업무 분장’, ‘불안정한 신분’, ‘불공정한 성과보상’으로 나타났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는 여자라는 이유로 남자체육교사, 관리자 등에게 부당한 대우를 받으며 소외감을 느끼기도 하였다. 또한 업무분장을 할 때면, 기존 정규교원의 업무의 분담이 완료된 후, 기간제 교원에게 남은 업무를 주기 때문에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에게 업무가 과중되는 불공정한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불안정한 신분의 이유로 부당함을 표출하지 못하고 매년 12월이 되면 재계약의 두려움으로 인해 계약직의 어려움을 겪어야했다. 더해서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매 분기마다 받는 성과급여는 정규교원과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는 제도적인 측면에서의 불공정한 문제점이 된다. 그뿐만 아니라 성과를 내기 위해 기간제교원에게 더 많은 일을 주지만, 결국 성과의 보상과 공로는 정규교원이 가져가는 사례도 나타났다. 셋째, 중등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적응전략은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전문성 함양을 위한 노력’, ‘정규교원으로의 갈망’으로 분석되었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는 부당한 교직생활 가운데에서 본인이 교사임을 잊지 않고 다른 정규교원들과 동화되는 모습을 보이거나 변화된 제도를 잘 활용하여 기간제교원으로서 할 수 있는 최대한의 지위로 올라가기도 하는 적극적인 적응전략을 보였다. 또한 이들은 끝없이 수업에 대해 연구하고, 여자체육교사만의 강점을 통해 변화되는 학생들의 모습을 보며 체육교사로서의 전문성 함양을 위해 노력하는 대처를 보이기도 했다.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삶을 만족하는 사람이 있지만, 기간제 여자체육교사의 여러 가지 어려움 때문에 정규교원으로의 전환을 갈망하며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집단도 존재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of entering and conflicts that fixed-term female physical education (PE) teachers experienced in middle schools and how to adapt and cope with which they were treated as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ithin such experience; and contribute to policy reforms that the hiring process could be improved and such teachers could be better treated. Using the snowball sampling methods, fiv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ere selected working in Busan, Ulsan, and Gyeongnam.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news articles. The collected data was converted into text through transcription work,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concept analysis process by categorizing common meanings. First, the barriers to entry as they faced were categorized in ‘gender prejudice in PE’, ‘playing an extra part of the previously made scenario’, and ‘a fixed-term female PE teacher was considered as student’s safe-living division.’ It has long believed that PE is suitable for men. This kind of gender prejudice remained in teaching culture, and the barriers of entry and duties practically assigned to them were found in PE.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hiring fixed term PE teachers, there were potential male candidates designated already by third persons for the positions. The fixed term female PE teachers who passed the application review processes played second fiddle to the potential male candidates. In addition, since ensuring students’ safe living on the school site was the primary duties of PE teachers, the female teachers were discriminated against male PE teachers because of lack of ability to manage students’ behavioral issues. Second, grievances of the teaching life as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in middle schools were identified: largely: ‘labeled as a woman', ‘unfair division of duties’, ‘unstable status', and ‘unfair compensation for performance’. They felt treated unfairly by fellow male PE teachers and managers just because they were women and felt alienated. Also, when division of duties was completed, there was an unfair case in which th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were overburdened because the remaining duties were given to them after the division of duties of the existing regular teachers was completed. The teachers also suffered from fear that the conract would not be guaranteed every year and were not able to make voice due to their temporary position. Moreo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related bonus received every quarter of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from that of regular teachers. This is an unfair issue in institutional terms. In addition to that, there were several cases in which regular teachers took the rewards and merit of performance in a biased manner to fixed-term teachers in order to produce results. Third, the adaptation strategies of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in middle schools were found as 'active coping’, ‘efforts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longing for regular teachers’. It demonstrated that they did not forget that they are being a 'teacher' despite of unfair teaching life, tried to have good relationship with the regular teachers, and took advantage of the changed employ system, therefore they experienced the maximum possible position as fixed-term teachers. Also, they continued studying on what best teaching could be done and showed efforts to improve their processualism as PE teacher since they found that their students became better persons with the female PE teacher’s strengths. On the one hand, there were some fixed-term female PE teachers that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teaching life,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group of people that strongly desired for a transfer their current positions to the regular teacher positions due to the institutionalized discrimination so they continued to prepare for the national teacher qualification exams.

      • 체육교육학과 졸업생들의 직업에 따른 만족도

        조원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교육과 졸업생들의 직업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의 체육교육과가 있는 10개 의 4년제 대학의 95년도 이후 졸업생들 중 직업이 있는 졸업생을 대상으로 성별로 가나다 순으로 목록을 작성하고 목록의 끝자리수로 표집하는 단순무선표집법을 사용하여 남자123명, 여성 60명으로 총183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도구는 직무만족도 설문지로써 하위 변인인 인간관계, 직무관계, 근무환경, 보수, 승진, 지도성의 신뢰도 검사 결과 Cronbach'α는 .6453에서 .8476 사이이며, 직무만족도 설문지 전체의 문항간 신뢰도 Cronbach'α는 .8582로써 신뢰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 교육과 졸업생의 직업 종사 여부에 따른 체육 교사 집단, 체육 분야 종사집단, 비체육분야 종사집단간 직무 만족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집단간 남성과 여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유의차 발생시 최소 유의 차이법(Least Sinificant Difference: LSD)을 사용하여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절차와 자료 분석 결과를 기초로 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체육교사 집단과 체육분야 집단과 비체육분야 집단의 인간관계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관계에 대해서는 세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세 집단 간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보수에 대한 만족도는 체육 교사집단보다 체육분야 종사집단과 비체육분야 종사집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승진과 지도성에 대한 만족도는 체육 교사집단보다 체육 분야 종사집단과 비 체육분야 종사집단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체육교사 집단과 체육분야 종사집단과 비체육분야 남성과 여성간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task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job of graduates at physical education dept. The targets of this study were 123 males, 60 females, 183 in total, listing them in the order of Korean alphabet by sex targeting on the graduates that have jobs among the graduates after 1995 of ten 4 year universities which have physical education dept based on Seoul and using simple random sampling that samples by the last figure of the list. The tool of this study is the task satisfaction question survey paper and the Cronbach'a was between .6453 and .8476 as the result of reliability test of personal relations, task relations, job environment, salary, promotion, and leadership, and reliability Cronbach'a among the total questions of question survey paper in task satisfaction was 3582 and it was shown that the reliability was very high. For analysis of differences in task satisfaction among engaged groups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according to whether the graduates of physical education dept. have jobs, we practiced one-way ANOVA, and for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among groups, we practiced t-test, and we practiced afterward test using LSD when significant difference occurred. Based on the study procedure above and the result of data analysis, the gained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for the personal relations of group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were shown to have no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About the task relations, it was shown to have differences among 3 groups. About the satisfaction of job environment, all thre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satisfaction of salary, the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were shown to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About the satisfaction of leadership, the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were shown to have higher satisfaction than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 group. Second, for the task satisfac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of the engaged group of physical education field and the engaged group of non-physical education field showed to have no differences.

      • Mats Ek의 작품에 나타난 parody 분석

        윤남홍 숙명여자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parody expressed in the works of modern ballet choreographer Mats Ek. For doing this, Mats Ek's works, Giselle and Swan Lake,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parody ballet in terms of choregraphic characteristics, figure, and stage The followings wer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of all, the image of male and female were changed each other. Especially, homosexual image were represented in the works. Secondly, Mats Ek tried to put various life style of modern man in his works. Eventually, his works focused its direction on the realistic aspect in our life. Thirdly, he pointed out modern human being's dehumanization which contains moral corruption, value confusion, sexual chaos, and political power game etc. In conclusion, the essential nature of parody in ballet not only has its artistic accomplishment but also become a direction toward the future development. It plays an important role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for the realistic choreography.

      • 제주도민의 윈드서핑 활동실태에 관한 연구

        김기윤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내의 윈드서핑 활동실태 연구를 위해 윈드서핑 활동장소의 실태와 행동적 참여실태, 윈드서핑 활동의 경비실태, 참여동기와 제약요인, 윈드서핑 활동을 통한 심리·생리적인 효과와 활성화 방안 등의 현재 실태를 파악하여 관광레저스포츠로의 위상을 제고하고 발전전략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56명의 연구대상자에 대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로 자료를 구했으며, 조사 결과 얻어진 윈드서핑 활동실태에 자료들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일곱 가지의 연구문제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윈드서핑의 주 활동장소 이용실태는 연령이 적고, 수입이 적고, 기량수준이 낮을수록 가까운 활동장소를 찾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성, 연령, 수입, 기량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거주지역별로 보면 윈드서핑 인구는 제주시(65.5%)가 가장 많은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주 활동장소가 제주시권 내의 이호를 많이 이용하고 있고, 성별로는 남자(80.1%)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연령별로는 20대 이하(52%)가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다. 또한 수입별로 볼 때 월 평균 120만원 미만의 수입자가 (49.6%)로 가장 많이 활동하고 있으며 실력별로는 초급자(43%)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활동하는 윈드서핑 인구중 대부분은 초보자와 학생이 많은 경향이 있으므로 인해 좋은 활용여건보다는 주로 가까운 활동장소를 많이 찾고 있으며 활동빈도 또한 주1회 수업 시간 또는 1년에 1번 이하의 무료강습 등만을 이용하여 경험에 그치고 있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윈드서핑의 행동적 참여실태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성, 연령, 수입, 기량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주 활동 시기를 보면 일요일이 가장 많은 편이며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없어서 규칙적인 활동을 하지 못하고 여름의 휴가 또는 방학 등을 잠깐만 활동하는 자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3) 윈드서핑의 활동경비실태를 보면 활동경비는 대부분 5만원 이하(78.1%)이며 희망경비 또한 5만원 이하(84.9%)를 많이 원하고 있으며, 장비구비 상황으로는 대부분이 150만원에서 200만원 정도의 장비를 이용하고 있으며 100만원 이하의 장비(51%)를 많이 희망하고 있다는 것으로 보면 장비가격이 비싸다는 인식을 갖고 있고 인구·사회학적 변인들(거주지역별, 성, 연령, 수입, 기량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4) 윈드서핑 참여동기와 참여제약요인들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성, 연령, 수입, 기량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참여동기로 볼 때 여성이나 저 연령층, 초급자나 저수입자들은 학교수업 또는 무료강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고 연령층 고수입 상급자 수준으로 갈수록 흥미와 취미가 있어서 시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고 활동 목적으로는 건강과 체력증진 스트레스 해소에 많다고 하고 있다. 또한 시간적 정신적 여유가 없어서 활동제약을 많이 받고 있으며 주 활동장소를 찾는 이유를 보면 거리와 동호인, 활동조건 등을 들고 있다. 협회 가입상황을 보면 초급자와 상급자가 많음을 볼 수 있고 미 가입 이유로는 시간이 없어서라는 이유를 많이 들고 있다. 5) 윈드서핑의 심리·생리적인 효과들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성, 연령, 수입, 기량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윈드서핑활동에 대한 만족도 변인, 생활 만족도, 건강 체력혜택에 대한 평가에서 보면 남녀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으며 남자는 윈드서핑 활동을 시작한 후 생활만족도가 높고, 여성은 건강체력에 대한 평가를 높이 보고 있으며, 윈드서핑이 주는 스트레스 해소에 있어서는 40대 이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가계수입이 높을수록 스트레스 해소 또한 높아지고 있고, 기량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만족도와 스트레스 해소의 효과에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이나 가계수입, 기량수준이 높을수록 전신지구력 강화에 좋다고 하고 있고 낮을수록 유연성 강화와 근력강화에 좋다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6) 윈드서핑 의식, 홍보, 개선방안, 관광레저스포츠로의 정책 등의 윈드서핑 활성화 방안들은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성, 연령, 직업, 기량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윈드서핑 즐길 수준 의식을 보면 기량별로 볼 때 상급자에게서는 알맞다고 보고 있으나 중급 실력자는 아직 이른 편이라고 보고 있으며 정보출처로는 고 연령층이나 고수입 상급 기량으로 갈수록 동호인 단체에서 주로 얻고, 낮아질수록 대중매체와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고 있다. 활성화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는 장비가격 인하와 편의시설 확충을 많이 들고 있으며 윈드서핑의 정책반영의 면에서 보면 기량수준이 높을수록 생활 체육진흥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대부분은 관광레저스포츠로의 발전에 대한 정책 반영을 원하고 있다. 7) 윈드서핑 활동 관련 만족도 변인들은 성, 연령, 수입, 기량수준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연령별로 보면 생활 만족은 30대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윈드서핑에 대한 정보 제공에 있어서는 30대가 높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가계수입별로 보면 생활 만족에 대해서는 수입이 높을수록 높은 만족을 갖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This study is aimed at having a grip on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lace of activity of windsurfing, active participation, the cost of activity, the motive of participation, the factor of restriction of,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 through the activity of windsurfing and the plan of activation of windsurfing in order to research the actual conditions of activity of windsurfing in Cheju area, and heightening the position of windsurfing as tourist leisure sport, and giving th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its development plan. With a view to accomplishing this purpose, I made a survey of 256 subjects with formulated questionnaires and the result of investigation was divided into seven sections established by this study. The break ·down of the result was as follows. 1. As for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in active place of windsurfing, those who were young, had small income and had the level of low technique used near places for the activity of windsurfing,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of population and sociology(sex, age, income, the level of technique). In terms of resident area, the population of windsurfing was the largest in Cheju city(65.5%) and the main place of its activity was Iho beach. In terms of sex generally windsurfers was men. In terms of age those people less than 20 years old(52%) were the most active. In terms of income those who earned less than \1,200,000 a month(49.6%) were the most active. And in terms of the level of technique beginners(43%) were the most active. Those people who were the most active thus used near places for its activity and did windsurfing during the class once a week or through free course once a year. 2. The actual conditions of active participation in windsurfing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of population and sociology(sex, age, income, the level of technique). When it comes to the time of enjoying windsurfing, windsurfers used Sunday and Summer vacation most because of the scanty time. 3. As for the cost of the activity of windsurfing, both the actual cost(78.1%) and the hope cost(84.9%) of its activity were less than \50,000. As for the price of its equipment, the amount of \l,500,000 to \2,000,000 was common and the hope price of it was less than \l,000,000(51%). So most of windsurfers tended to think its price expensive.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of population and sociology(resident area, sex, age, income, the level of technique). 4. As for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windsurfing and factor of participation restriction of i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of population and sociology(sex, age, income, the level of technique). In terms of the motive of participation in windsurfing, women, youn people, beginners and small income earners mostly participated in windsurfing through class or free course. On the other hand older people, large income earners and people in advanced level began to participate in windsurfing as the activity of hobby or interest. The purpose of its activity was generally for good health, the improVement of physical body and the clearing up of stress. Most of windsurfers was restricted by scanty time, and the condition of activity of windsurfing depended on distance and lovers' society. As for registration situation for registering the windsurfing association, beginners and seniors joined it most but there were many windsurfers who didn't joined owing to the scanty time. 5. As for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 of windsurf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of population and sociology(sex, age, income, the level of technique). As for the satisfaction with windsurfing, life and healthy body,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according to sex. Men were much satisfied with their life, while women were much satisfied with healthy body. And people over 40 years old were much satisfied with the clearing up of stress. The larger home income got, the more the clearing up of stress got and the higher the level of technique got, the more the satisfaction of life and resolution of stress got 6. As for the consciousness, publicity, the plan for improvement of windsurfing and the policy of it as tourist leisure spor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of population and sociology(sex, age, vocation, the level of technique). In terms of the conscious level of enjoying wind ·surfing, windsurfing was suitable for people in advanced level but not kind of suitable for people less than intermediate level. As for the source of information, older people, large income earners and seniors got the information for the most part from lovers' society, while young people, small income earners and beginners got it mostly through mass media and internet. As for the improvement plan for activation of windsurfing, windsurfing wanted the price of equipment to be low and the facilities to be expanded. In terms of the policy for windsurfing, seniors wanted to concentrate windsurfing on the development into life gymnastics, while most of windsurfers hoped that windsurfing would be included in the policy of its development as tourist leisure sport. 7. As for the satisfaction related to the activity of windsurfing,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ed according to the changing factors of population and sociology(sex, age, vocation, the level of technique). In terms of age, people in 30's had the highest satisfaction with life. And in terms of home income, the larger the income go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got.

      • 세단뛰기 기록에 도움닫기 구간별 스피드가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민규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세단뛰기의 도움닫기 거리의 구간별 스피드에 따른 파울 및 기록변화를 통하여 세단뛰기 중 도움닫기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돕고 파울을 하지 않고 최고 기록을 낼 수 있는 최적에 도움닫기를 알아내어 세단뛰기의 트레이닝에 참여하는 선수 및 코치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남 체육중학교의 멀리뛰기 선수 중 운동경력이 5년 이상인 6명을 대상으로 전력질주 구간별 측정거리는 발 구름 전에서부터 10m, 20m, 30m로 나누어 2004년 8월~10월까지 12주에 걸쳐 실험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된 자료는 통계는 SPSS WIN 11.5 이용하여 도움닫기 구간별 스피드와 기록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구간별 평균치와 기록의 차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개인별 세단뛰기 기록을 측정한 결과 세단뛰기 기록은 최민호 선수가 9차시기에 기록으로 도움닫기 구간 별 10m는 1.320, 20m는 1.157, 30m는 1.155로 나왔고, 홉의 기록은 5.99, 스텝의 기록은 4.19, 점프의 기록은 5.28 전체의 기록은 15m46으로 가장 좋은 기록으로 나타났다. 2. 세단뛰기 선수들에 성공 시 도움닫기 구간 별 스피드를 보면 20m, 구간보다 30m 구간에서 평균 0.003 이 빨라졌으며, 파울 시 도움닫기 구간 별 스피드는 20m, 구간보다 30m 구간에서 평균 0.083 이 빨라졌다. 3. 세단뛰기 선수들에 성공 시와 파울 시 홉의 차는 성공 시보다 파울 시 평균 0.242를 더 뛰었다. 4. 세단뛰기의 선수들은 자신의 전력스피드에 대하여 10m 구간은 87%, 20m 구간은 88%, 30m 구간은 91%를 도움닫기에 활용했다. 5. 세단뛰기에서 좋은 기록을 뛰기 위해서는 도움닫기 구간 별 스피드 중 20m 구간의 스피드를 30m 구간에서도 거의 변화 없이 발 구름 해야 한다 The study has the purpose that it helps the athletes and coaches who participate in the triple jump practice have the best record without fouling thorough understanding the roles of an approach run on the basis of the foul and record change by the section in triple jump. The study experimented that six of the long jump athletes over 5 years' careers in Jeonnam Physical Education Middle School were tested for 12 weeks (from August to December in 2004).The measurement of distance by the section was 10m, 20m and 30m from stamping. The measured statistics calculated an approach run sections speed, the record's mean(M) and the standard deviation(SD) with using SPSS WIN 11.5, and verified about the mean by the section and the difference of the record. Following the study's results. 1. The result about an individual's triple jump record was that Choi, Minho had the best record as 1.320 seconds in 10m, 1.157 in 20m and 1.155 in 30m by the section through 9 times. Hop's record was 5m 99cm, step's record was 5m 28cm, and jump's record was 5m 28cm. The total record was 15m 26cm. 2. When they succeeded, at the an approach run speed by the section 30m was faster than 20m by 0.003 seconds at average. When they fouled, 20m was faster than 30m by 0.083 at average. 3. The triple jumpers jumped 0.242 m farther when they succeeded at the hop gap between the success and the fail. 4. The triple jumpers used 87% of their energies at the 10m section, 88% at the 20m and 91% at the 30m when they an approach run. 5. The triple jumpers have to hop in 30m section like 20m section's speed to get the best record .

      • 筋力發達을 爲한 靜的運動의 效果에 關한 硏究

        권혁 朝鮮大學校 敎育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248607

        Physical strength is important to everyone as well as athletes. Especially middle school students show a great deal of concern to the physical strength.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training whose aim is to develope and enforce the muscular strength. For the purpose, the isometric training, which does not need any particular instruments and training field in physical education class,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s for the students response to the isometric training, students show more interest in the second time than the first one. 2. As for the improvement of the muscular strength before/after the training, the back muscle strength was improved by 11.5%(male) and 14.5%(female), and the full-squat was also improved by 35.8%(male) and 39.6%(female), and the times of chin-up of the male was increased by 47.1%, and the holding on the horizontal bar of the female was increased by 25.2%. 3. As for the relative muscular strength, the back strength, chin-up and holding on the horizontal bar are inverse proportion to the weight. 4. As for the muscular endurance, the times of push-up which is related to the strength of the upper arm muscle and muscle endurance were increased more than tw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