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자기통제의 차이

        권미숙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arent-child communication, self-esteem, problem solving style, and self-control by adolescents' behavior problem types. Subjects of the study were 91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yongsang-bukdo and Kyonggi-do provinces. Measurements included problem behavior measure,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measure, self-esteem measure, problem solving style measure, and self-control measur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2-Way Anovas using SPSS WIN 12.0.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oys showed more parent-child communication difficulties than girls, and adolescents who showed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ended to experience more parent-child communication difficulties. Second, adolescents who showe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ended to have lower level of self-esteem than those who showed other behavior problem types. Third, adolescents who showed both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ended to be poorer in their problem solving ability than those who showed only internalizing or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 Fourth, adolescents did not differ in self-control by their behavior problem types. 본 연구는 문제행동 유형에 따라 부모-자녀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문제해결능력, 자기통제에서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북과 경기도 소재 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910명이며 사용한 측정도구는 문제행동 척도, 부모-자녀 의사소통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문제해결능력 척도, 자기통제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이원변량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에 따라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차이가 있었다. 즉,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부모-자녀 의사소통 전체와 하위요인들 중 문제형 의사소통에서 더 많은 문제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고 문제형 의사소통을 하는 청소년일수록 내재화-외현화 모두 보이는 집단이 더 많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은 차이가 있었다. 즉, 외현화만 보이는 집단이 내재화만 보이는 집단과 내재화-외현화 모두 보이는 집단보다 더 많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에 따라 문제해결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내재화-외현화 모두 보이는 집단이 문제해결능력의 전체에서 더 많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에 있어 내재화만 보이는 집단이 부정적 문제지향과 충동 부주의 스타일, 회피 스타일에 있어 더 많은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문제행동 유형에 따른 자기통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靑少年問題의 發生과 健全育成 對策

        김재홍 慶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youth problems have given rise to serious anxiety in domestic, social, and nation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auses of the youth problems and to sugest the sound development countermeasures. This study is mainly based on bibliographical research, Statistics, and interview. The youth problem has increased rapidly along with the transformation of society, The causes of the youth problem are examined the sources : home, school, social surrounding, youths themselves and difficult situation. This thesis suggests as the sound development countermeasures of the youth the following First, the function consolidating of the education discipline at home. Second, the function consolidating of the education in the school. Third, the purification of the school surrounding. Forth, the establishment of the sound value view and emotion cultivation of the youth. Fifth, the self-reliance support of the youth in difficult situation. Other countermeasures of the youth : promotion of national movement for youth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exchange of youth. The most important of them is a wholesome national atmosphere of the youth development.

      • 청소년 문제행동 보호·위험요인 측정도구 개발 : 음주, 흡연, 스마트폰 과다사용, 도박행동을 중심으로

        김석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청소년 문제행동의 잠재적 공통요인을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청소년 문제행동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한다는 것이다. 이에 청소년 문제행동의 보호‧위험요인 측정도구의 구조를 사회생태학적 관점에 기초해 개인, 가족, 또래 및 학교, 지역사회 요인으로 구분 짓고 음주, 흡연, 스마트폰 과다사용, 도박행동을 중심으로 한 청소년 문제행동 보호‧위험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발견한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두 가지 이상의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보호‧위험요인을 보다 정밀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다차원 측정도구를 제작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둘째, 오래 전부터 꾸준히 다뤄지고 있는 청소년 문제행동 뿐만 아니라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도박행동의 잠재적 공통요인을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중심으로 집중 조명했다는 점이다. 개별 문제행동에 대한 연구는 그동안 수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다뤄졌으나, 다수의 문제행동을 사회생태학적 관점에 따라 체계화하고, 이를 측정도구의 형태로 개발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특히 청소년 문제행동을 다루고 있는 측정도구의 경우 비행 수준이 높은 청소년을 진단하는데 초점을 둔 반면, 본 측정도구는 일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차원의 선별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 이론 및 경험적 자료를 종합적으로 탐색하여 이에 대한 객관적 식견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청소년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는 계기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그동안 청소년 문제행동과 관련된 연구들에서는 문제행동에 대한 정의가 서로 달랐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역시 개인‧심리적 차원, 또는 가족 및 학교 차원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게다가 한국적 상황에 대한 충분한 고려 없이 외국의 분류기준을 그대로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청소년의 현실과 다소 동떨어진 측정도구를 사용한 연구도 다수 존재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경험적 연구를 토대로 청소년 문제행동의 잠재적 공통요인을 재정리하였으며, 청소년 문제행동의 영향요인에 대한 이론적 탐색은 물론, 사회생태학적 관점에 따른 보호‧위험요인의 범주화 및 하위요인들을 도출함으로써 신뢰할만한 측정도구를 개발했다. 넷째, 연구 측면에서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개입 프로그램의 시행 전후 효과 분석이나 문제행동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 시 설명력이 높은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회생태학적 관점에 기초해 다양하고도 풍부한 해석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개입에 있어 개별적인 문제행동에 대한 분리된 접근보다는 이들의 문제행동에 가장 밀접한 관련을 지닌 공통요인에 대한 접근이 보다 효과적이다. 둘째, 실천현장에서 청소년 문제행동 개입 프로그램이나 자원 연계 등의 지원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효과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측정도구를 통해 증거기반실천(evidence based practice) 또한 가능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본 측정도구는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생태학적 환경에 따라 네 개의 영역과 보호요인 6개, 위험요인 6개 등 총 12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문제행동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의 강점과 약점을 구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개인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넷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 문제행동 보호‧위험요인 측정도구는 청소년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일상 환경에서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다. 실제 청소년 문제행동의 구체적인 판단은 이들의 환경적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제작되었다는 것이다. 이에 설문 문항의 내용을 일상생활의 맥락에서 묘사하고자 했다. 또한 본 측정도구는 청소년이 가진 여러 문제의 국면들을 관찰 가능한 형태로 설명할 수 있게 한다. 본 측정도구를 다양한 중독 검사와 함께 활용한다면 단순히 중독/비중독을 구분하는 수준을 넘어 구체적인 문제행동에 대한 정보를 심도 있게 제공해줄 수 있으며 분석결과를 통해 이들의 문제행동이 심화되기 전, 예방적 개입을 가능케 하고 접근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holds two main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identify potential common factor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with emphasis on protective and risk factors. The second objective is to develop a scale which measures the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Based on socio-ecological perspective, the structure of the scale was classified into individual, family, peer and school, and community factors then protective and risk factor scale for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was developed with emphasis on factors such as drinking, smoking, smartphone overuse, and gambling.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foun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reated a multidimensional scale which can assess protective and risk factors of multiple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more accurately and comprehensively. Second, this study spotlighted not only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that have been constantly studied before but also more recent social issues such as smartphone overuse and gambling with emphasis on protective and risk factors. Studies on individual problem behaviors had been done by numerous scholars but it is rare to find a study which systemized multiple problem behaviors according to socio-ecological perspectives and develop such system into a scale. Especially for the case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scale, unlike conventional scale which focus on diagnosing adolescents with high frequency of delinquency, the scale developed by this study may be used as a sorting, preventative scale for ordinary adolescents. Third, since this study comprehensively searches through theoretical, empirical data and provides objective knowledges,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open a new horizon for adolescent problem behavior studies. Studies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 till now have been using different definitions for problem behaviors and the influence factors also stayed in levels such as individual, psychological, or family and school. Furthermore, by applying foreign classification standards to Korean situation without sufficient understanding there were numerous studies which used scales that did not reflect the actualities that Korean adolescents are facing. However, this study reestablished potential common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based on various empirical studies, theoretically searched for influence factor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categorized protective and risk factors and drew out sub factors based on socio-ecological perspective. Through all these steps this study developed a reliable scale. Fourth, in study perspective it is possible to analyze the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of adolescent problem behavior and obtain data with high explanative power when studying for real conditions of adolescents experiencing problem behaviors. Also, it is expected that such results can lead to sufficient, diverse interpretations based on socio-ecological perspectiv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intervention for adolescent problem behavior, rather than separated approach to individual problem behaviors approach to common factors that are most closely related to their problem behaviors is more effective. Second, at field practice if supportive services such as adolescent problem behavior intervention program and resource linking are provided this study may be used as a useful tool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services. It is also expected that practicing evidence based practice is also going to be possible through this scale. Third, this scale has four areas and twelve factors including six protective factors and six risk factors thus it can provide detailed assessments on strengths and weaknesses of adolescents experiencing problem behaviors. Based on such results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each different individual. Fourth, this protective and risk factor scale for the adolescent problem behavior is focused on problem behaviors that may occur in various everyday environment that adolescents are experiencing. In other words, this scale was built based on a perspective that understanding environmental factors should be prioritized before making a concrete decision on actual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Thus, this scale aimed to describe the survey results in everyday life perspective. Also, this scale allows various cases of problematic situations adolescents are facing to be explained in observable form. If this scale is used with various addiction tests, it can exceed the level of simply determining addiction and non-addiction state and provide detailed information regarding problem behaviors. Through analysis results, this scale can prevent development of problem behaviors and allow preventative interventions. It can also be used when determining priorities for intervention approaches.

      • 문제행동청소년을 위한 대인관계집단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연구

        안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급변하는 사회에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소년문제행동은 기존의 '학교중퇴자', '재수생'보다는 일반 재학생들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며 문제행동에 대한 개념 역시 청소년기에 쉽게 경험할 수 있는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에서 범죄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이해되고 있다. 청소년문제행동은 내용 면에서 경미한 수준을 포함하고 있다고는 해도 청소년을 고립시키고, 더 나쁜 길로 빠져들게 하는 악순환의 특성이 있기 때문에 현 시점에서 재학중인 문제행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예방차원에서의 접근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문제행동청소년은 대인관계에 있어 공격적이며 충동적인 양상을 보이기 쉬운데 문제행동도 이러한 측면에서 이해해볼 수 있다. 다시 말해 청소년문제행동은 부정적인 대인관계 경험과 자원동원의 실패로 생각할 수 있으며 문제행동청소년에게 접근할 때 이들의 대인관계 문제를 다루어주는 것은 매우 적절할 수 있다. 현재 임상실천현장에서 문제행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사회사업적 개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들 대부분은 인지행동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들 프로그램은 문제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가 일시적이며, 인지적으로 접근하여 문제행동청소년의 대인관계에서의 실패나 이로 인한 정서적 좌절감까지 다루어주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금-여기에서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잘못된 감정반응과 태도를 다루어줌으로써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 대인관계집단치료를 시행하였고 이는 청소년정신보건사업의 일환으로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의 지원을 받았고, 학교 담당자의 협조를 얻어 학교환경에서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행동청소년을 대상으로 대인관계집단치료를 시행하고, 개입의 효과성을 입증하여 임상사회사업 실천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비동일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 방식에 의해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였으며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병행하였다. 질적연구는 집단과정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해 대인관계방식에 변화를 주었던 사회사업적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또한 양적연구는 교사용 행동평가척도와 자기보고식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사후에 공격성, 충동성, 문제행동의 세 가지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변화를 비모수 통계방식을 통해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기도 U시의 한 중학교에서 경미한 문제행동으로 학교로부터 제재를 받은 경험이 있는 2학년 남학생 11명과 여학생 17명이었다. 이들을 각각 6~9명의 동질집단으로 구성하여 두 집단씩 네 집단을 대상으로 일년에 걸쳐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비슷한 조건의 동일 수로 구성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총8회로 구성하여 종결모임을 제외한 전후반기 프로그램에서는 ①준비단계, ②공통주제의 설정단계, ③공통주제의 토론과 공유단계 ④정리 및 통합단계의 네 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한 회당 60분에서 70분 정도로 학교의 정규수업시간인 클럽활동시간을 활용하였고, 요약지 전달·개별상담·출석확인증·다과제공 등의 프로그램을 위한 몇 가지 운영방침에 따라 시행하였다. 과정분석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임상실천에 대한 몇 가지 발견을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구성원들은 리더의 직면보다는 또래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에 대한 압력을 경험하였고, 긍정적인 변화를 격려하는 리더의 역할에 의해 개별적인 차이는 있으나 대인관계양상에 있어 공격적이거나 충동적인 면이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여학생과 남학생의 심리적 특성에 있어 차이가 있고 따라서 도움을 받는 부분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남학생은 활동적이고 섬세한 자기표현이 떨어지는 반면 여학생은 심리적 통찰능력이 발달되어 있고, 원인과 결과에 대한 이해가 빠른 편이었다. 따라서 감정적인 원인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이 프로그램을 통해 보다 많은 도움을 받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과정 초기부터 비자발적으로 참여한 구성원들의 동기를 다루어주는 것이 중요하였고, 이를 위해 시간제한집단으로 진행된다는 부분을 강조하여 명확한 목표를 세우도록 하였다. 그러나 리더의 의도나 고의성이 강조되지 않고 참여한 학생 스스로 결단을 내리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리더는 '해야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일관된 기준을 가져야 한다. 리더가 문제를 지적하기보다는 수용적이고 무비판적 자세로 일관하되 참여, 시간에 대한 기본적인 규칙은 지키도록 해야 하고, 이러한 일관된 태도를 보여줄 때 신뢰관계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 다섯째, 중요한 타자인 담임교사, 부모의 협조와 동의가 있을 때 좀더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더와의 연계를 통해 프로그램 참여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은 참여하는 학생에게 긍정적인 관심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여섯째, 집단구성에 있어 하위집단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함께 다니는 또래집단으로만 구성되는 경우 다른 의견을 제시하는 것에 대해 꺼려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집단을 구성할 때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양적 연구에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보고식 척도에서 공격성, 충동성, 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실험집단은 사전보다 사후에 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제집단은 사전보다 사후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변화가 남학생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여학생 집단에서는 문제행동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도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용 행동평가에서 공격성, 충동성, 문제행동의 변화를 살펴보면, 남녀 모두 실험집단은 사전보다 사후에 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통제집단은 사전보다 사후에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이러한 변화의 차이가 공격성, 충동성, 문제행동의 세 개 영역에 있어 통제집단과 실험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담임교사를 통한 평가 결과는 학생들의 자기평가 결과보다 개입효과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주관적 변화에 대해 외부의 피드백이 없는 상황에서 확신을 갖기 어려운 학생보다 교사는 객관적인 관찰자로서 변화를 민감하게 파악할 수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이는 사후 6개월간 전자메일을 통해 참여하였던 학생들로부터 개입이후의 생활에 대한 피드백을 받았을 때 결과가 보다 긍정적이었고, 문제행동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자각하였던 여학생집단의 경우 프로그램 평가에서 8회가 '짧았다'는 의견이 76.5%이었던 점을 감안할 때 좀더 충분한 기간을 두고 프로그램을 시행한다면 정확한 효과를 측정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었다. 이상의 양적, 질적 연구결과는 학교환경에서 문제행동청소년의 대인관계에서 공격적이고 충동적인 감정반응과 태도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대인관계집단치료가 효과가 있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문제행동상의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보다 심각한 문제행동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예방의 측면에서 대인관계집단치료가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차후 임상실천현장에서의 대인관계집단치료의 실제적 적용과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학교환경에서 프로그램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학교와 기관, 정부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형성하기 위해 학교 및 정부를 향한 끊임없는 홍보와 설득의 노력이 함께 전개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대인관계집단치료를 시행하였을 때 남녀집단에서 다른 특징들은 좀더 구체적으로 계획되어 후속연구로서 다루어졌으면 한다. 셋째, 집단에서 언어적, 비언적 행동이 모두 중요하게 취급되어 대화뿐 아니라 행동에 초점을 맞춘 적극적이며 다양한 접근방식을 활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넷째, 개입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청소년, 교사와 함께 가족을 프로그램의 협조자 및 평가자로서 참여시켰으면 한다. 다섯째, 변화는 장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학교, 기관의 협조를 통해 체계적인 사후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섯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집단치료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서는 이에 대한 임상적 경험이 풍부한 수퍼바이저와 팀을 이루고 정기적인 사후미팅에서 집단과정 중에 발생하는 어려움을 충분히 토론하고, 훈련받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Recently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are increased by general students rather than 'drop-outs' and problem behaviors are as broad as it can be undesirable behaviors or criminals. Although it's just a undesirable behavior, it is dangerous because of vicious circle. Therefore preventive approaches for problem behavior students are so important at this point. The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ces results from the problem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t is to say that negative interpersonal experiences and failures in finding resource result in problem behaviors. The researchers starting from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tective approaches can be effective. This program used interpersonal group therapy as therapeutic method. It focused on here and now interaction, and deals with aggressive and impulsive emotional and behavioral expression. This service was supported as an adolescent mental health service by a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set up in a school. The goal of this report was to prove effects of the intervention and to provide usable inform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This program was planned by pretest-post test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and studied b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Qualitative methods were group process analyses and case studies. They focused on practical factors that brought changes to the sty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Quantitative methods were Teacher's rating scale and Self-report rating scale. They focused on three sub-areas that were aggressiveness, impulsiveness and problem behavior. Statistically pretest-post test used Mann-Whitney test and Wilcoxon test.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mposed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did a few problem behaviors and so were referred by their teachers. They were 11 boys and 17 girls. They made each 2 groups and homogeneous groups. The control group was made under the similar condition and total 29 students(10 boys and 19 girls). Each program was total 8 sessions and group therapy had 4 stages that were ①warming-up, ②making a common theme, ③sharing, ④unification. Each session had 60 to 70 minutes and used C.A.(Club Activity) class. There were a few findings through process analyses and case studies. First, group members experienced the changing pressure between peers' interaction rather than leader's confrontation and leader's encouragement helped the change of their aggressive and impulsive styles. Second,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and this program were more helpful for female groups than male groups. Third, it was so important to deal with the motivation of involuntary group members and it should be done from the beginning. Forth, it was important that a group leader had consistent rules because it made group members feel safe enough to say their privacy. Fifth, teachers and parents were excellent cooperator and their interests could be stimuli for students. Sixth, it was desirable to consider the effect of subgroups because free discussion was easily hindered by them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was too close from the beginning. There were a few results through scales. First, after this intervention, all experimental groups had a tendency to decrease in score of aggression, impulsiveness and problem behaviors through Self-report rating scale.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had a tendency to increase. The decrease in the problem behaviors of female groups was statistically efficient. Second, all experimental groups also had a tendency to decrease in score of three dimensions through Teacher's rating scale after this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had a tendency to increase. The decrease was statistically efficient to both male and female experimental groups. Third, the rating results from teachers were more positive than results from students. This could be a result that teachers were objective observers and so they could be more sensitive to small behavioral changes of their students. In conclusion, interpersonal group therapy for problem behavior students was so effective to make the changes of their aggressive and impulsive emotional expressions and attitud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addition, it was also an efficient preventive approach to cut the vicious circle of problem behaviors. There are a few suggestions for the practice of interpersonal group therapy and a following study. First, making a network between school, government and agency is so important to practice in a school setting. Second, the study of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is able to be done as a following study. Third, using more active and various approaches with verbal communication is able to make interpersonal group therapy effective. Forth, it is desirable that family participate in a program as good cooperators and raters. Fifth, it is desirable to take specific following-up study after a intervention because the change is long-term plan. Sixth, supervis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beginner about interpersonal group therapy.

      • 청소년의 종교성향과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의 관계

        김은희 明知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8703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비단 어제오늘의 일만은 아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조직화된 폭력형태를 보일뿐만 아니라 저연령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개입과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관한 관련변인의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하여 청소년 문제행동의 예방, 개입, 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거나 정책이 마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종교성향, 문제행동, 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통하여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방향제시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첫째, 청소년의 종교성향과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이 성별과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한다. 둘째, 외재적-내재적 종교성향,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규명하고, 셋째, 외재적-내재적 종교성향이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하며,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를 규명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영광과 익산에 소재한 5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종교를 가진 439명의 남녀 청소년이었으며,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설문조사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종교성향 척도, 스트레스 수준 척도, 문제행동 척도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dow용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Cronbach 알파계수를 통하여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별과 학년에 따른 청소년의 종교성향, 스트레스, 문제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과 사후비교분석(post hoc analysis, LSD)을 실시하였고, 외재적-내재적 종교성향과 스트레스, 문제행동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외재적-내재적 종교성향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외재적-내재적 종교성향이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stepwise 방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성향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내․외재적 종교성향 모두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수준에 있어서는 성 문제 스트레스만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 모든 스트레스 하위영역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스트레스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제행동 수준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내․외재적 종교성향과 일부 스트레스 하위 요인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내재적 종교성향이 높을수록 비행을 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스트레스와 문제행동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으며 스트레스는 문제행동의 거의 모든 하위 영역에 걸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문제청소년에 관한 연구 : 문제발생요인 및 규범의식과 대책을 중심으로

        양수식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문제청소년의 발생요인과 규범의식에서 문제(비행)의 실태를 분석하고 다각격인 특징을 찾아냄으로써 이에 대한 효율적인 선도대책을 제시하려는데 있다. 오늘날 한국청소년들은 풍요로운 물질소비문화를 접하게 되면서 기존의 가치관과 규범의식의 약화로 인하여 자아의 정체감을 확립하는데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결과 최근 청소년범죄 중 학생범죄가 차지하고 있는 비율이 1992년 57.5%로 전년도에 비해 상당한 증가추세를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과거와는 달리 중산층 이상 청소련들의 비행이 날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이와같은 현상에 대하여 본연구는 문제청소년의 발생요인에 관한 이론 중 인성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을 중심으로 인성적, 행동적 성향을 검토하고 문제발생요인 및 대책을 연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여기서 문제청소년이란 반사회적 행위는 물론 비사회적인 불량행위까지 포함되는데, 이는 법률에 저촉되는 것은 아니지만 가정의 통제에서 벗어나거나 보호대상이 되는 행동까지를 말하기 때문에 문제청소년이라는 개념은 비행청소년 또는 청소년비행과 함 께 상호교환적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먼저, 문제청소년의 발생요인을 검토해 보면, 첫째로 인성적 요인으로서는 (1) 규범 준수 능력 (2) 청소년의 인성과 타애능력에서 제시해 보았고. 둘째 환경적 요인으로서는 (1) 가정환경적 요인 (2) 사회환경적 요인 (3) 교육환경요인으로 제시하였으며 그 결과 문제청소년의 인성적 성향과 행동적 성향을 면밀히 분석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다음은 비행청소년의 규범의식을 분석해 보면, 첫째로 정체의식의 특성으로서는 (1) 자아의식의 특성 (2) 규범의식의 특성 (3) 가족 의식의 특성으로 나누어서 분석하였으며, 둘째로 소속의식의 특성은 (1) 결혼관 (2) 직업관 (3) 국가.사회관에 대한 특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비행집단의 사회환경적 경향은 (1)비행집단의 특성 (2) 비행집단의 사회환경적 요인 (3) 각종 변인과 그 영향 등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상의 결과로 문제청소년의 선도대책을 연구하였는데 그 대책을 보면, 첫째 가정환경적인 면에서 (1) 건전한 가정환경과 가정기능회복 ① 문제행동을 유발시키는 가정적 상황 제거 ② 부모의 바람직한 양육태도 ③ 부모의 그릇된 교육관 탈피 ④ 바람직한 부모의 공동역할 등을 제시하였고, (2) 문제행동의 지도방법은 ① 조기발견 ② 조기문제행동 지도 ③ 범죄적 양상이 보일 때 곧 지도하는 방법 동을 모색하여 보았다. 둘째 학교교육환경적인 면에서는 (1) 열악한 학교환경개선 (2) 예방중심의 적극적 생활지도 (3) 전인적 인간교육 등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사회환경적인 면에서는 (1) 유혜환경의 단호한 정비 (2) 상담소 설치와 지역협의회체 구성실시 (3) 매스미디어의 교육적 기능 강화 (4) 청소년 놀이문화 시설 확충 및 프로그램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청소년의 근원적 해결을 위해서는 가정, 학교, 사회가 삼위일체가 되어 문제성 요인을 제거시켜 주고 '너의 아이'가 아닌 '우리의 아이'로 인식하고 애정과 관심을 기울여 나갈 때 모든 청소년들은 건전한 인격체로 성장하여 사회구성원의 일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정부는 이와 같은 것들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청소년 관련 법규나 사회보장편도 등을 수립하여야 될 것이다.

      • 청소년의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 : 친사회적 학교분위기·지역사회환경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한누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청소년 도박문제에 미치는 영향과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청소년 도박문제의 관계에서 친사회적 학교분위기, 지역사회환경 즉 사회적 환경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활용한 연구로써 한국도박문제관리센터(2017)의 ‘도박문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에 따른 청소년 도박예방 모델 개발’ 연구 자료 중 본 조사 2017년 9월부터 10월까지 만 13세~18세 청소년 1,46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도박문제 수준을 살펴본 결과 비문제군(Green, 0-1점)에 해당하는 청소년이 94.7%로 가장 많았으며, 위험군 (Yellow, 2-5점)이 3.8%, 문제군(Red, 6점 이상)이 1.5%로 전체 도박문제 위험집단은 5.3%로 나타났다. 남녀의 차이는 남자 위험집단 6.8%, 여자 위험집단 4.0%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도박문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급별 차이는 중학교 위험 집단은 3.7%, 고등학교 위험집단은 5.7%로 중학생에 비해 고등학생의 도박문제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청소년 도박문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한 달 용돈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청소년 도박문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과 한 달 용돈, 아르바이트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친사회적 학교분위기는 성별, 학교급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친사회적 지역사회 환경은 학교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주요변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친사회적 학교분위기는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청소년 도박문제에 부적상관관계를 보여 친사회적 학교분위기가 높을수록 천소년 도박문제와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친사회적 학교분위기가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가진 청소년의 도박문제에 영향이 있는지 살펴본 결과 비합리적 도박신념과 청소년 도박문제 사이에서 조절효과를 발견할 수 있었다. 즉, 친사회적 학교분위기는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가진 청소년 도박문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청소년 도박문제 예방교육이나 정책, 도박문제 위험군 청소년을 위한 상담 및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학생 개인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교육환경 및 학교 분위기도 함께 고려하고 변화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rrational gambling beliefs on youth gambling proble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ositive school atmosphere, community environment, or social environ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youth gambling problems. This study is based on secondary data. From September 2017 to October 2017, the Korea Gambling Problem Management Center (2017) developed the `` Development of Youth Gambling Prevention Model according to Gambling Protection Factors and Risk Factors ''. A survey was conducted on 1,463 teenagers aged 13-18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juvenile gambling problem level, 94.7% of adolescents were in the non- problem group (Green, 0-1 points), 3.8% were in the risk group (2-5 points), and problem group (Red, 6). Scores above 1.5%, and the overall gambling risk group was 5.3%. Male and female risk groups were 6.8% and female risk group was 4.0%, indicating that males had higher gambling problems than women. In comparison, high school students had a higher level of gambling problem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nd monthly allowanc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adolescent gambling problem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s betwee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juvenile gambling problem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monthly allowance, and part-time job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positive community setting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school level.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major variables, positive school atmosphere showed an inadequate relationship with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youth gambling problem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whether the positive school atmosphere influences the gambling problem of adolescents with irrational gambling beliefs, the moderating effect was found between the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adolescent gambling problems. In other words, the positive school atmosphere can affect the gambling problem of youth with irrational gambling belief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and chang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school atmosphere as well as the personal part of students when conducting counseling and programs for youth gambling problem prevention education, policy, and gambling risk group you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