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용 교육이 유아기 창의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박미선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1

        무용 교육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많은 영향력을 준다. 하지만 무용교육은 다른 분야의 교육보다 유아의 창의성 개발의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창의력 개발에 가장 효과적인 내실을 거둘 수 있는 시기인 6세에 무용경험이 유아의 창의성을 규명함으로서 유아기 무용 교육이 사회교육의 한 분야로서 새로운 입지와 중요성을 일깨워 유아들에게 더 나은 교육의 질적 향상에 도움을 주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의 하위개념의 유창성, 개방성, 민감성, 독창성의 무용교육을 실시함으로 유아의 창의성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느냐를 알아보기 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대상은 대전시의 6세 모집단 가운데 여아 30명 남아 30명 총60명의 표본 집단을 추출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30명씩 나누었다. 실험처치기간은 2005년 9월 1일부터 2005년 11월 29일까지 실험집단은 3개월간 주 2회씩 총 26회 무용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의 신뢰성을 높이고 좀 더 과학적인 검사를 위해 무용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교육하여 "전경원씨의 유아 도형 창의성 검사(K-FCTYC)"를 이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결과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육의 실시는 유·무에 따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성발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무용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무용 교육은 유아의 유창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실험집단이 비교 집단에 비해 유창이 높다. 셋째, 무용교육은 유아의 개방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재방성이 높다. 넷째, 무용교육은 유아의 민감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민감성이 높다. 다섯째, 무용교육은 유아의 독창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독창성이 높다. 6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무용교육이 유아의 창의성의 하위개념 유창성, 개방성, 민감성, 독창성의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보아 무용교육은 유아 창의성 발달에 영향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Dancing education has an important effect on developing infant's creativity. However, dancing education studies have less of an effect than other educations. As the study becomes clear dancing experience affects the creativity of children who are 6years old. To get the most effective result, dancing education in babyhood give a help to quality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which recovers it does and new one field of social education and important of dancing education. As the study examines low conceptions of originality development such as learns ability, openness, sensitivity and creativity of infancy in dancing education, it aims to know how affect originality. The experimentation population is 60 kids who are 6 years old and live in Dea-Jun. This population is the divided between an experimentation group and a comparison group of 30 each. Experimentation period was from 1 September 2005 to 29 November and the experimentation group was examined twice per a week for three months, totally 26 times. As examinations based on K-FCTYC by 전경원, the study has a high reliance and more scientific experimentation. These are the results about the study. Firstly, dancing education has a difference on infant originality. Secondary, dancing education affects learning ability. This is that the experimentation group is more able to learn than the comparison group. Thirdly, dancing education affects openness. That means that the experimentation is more open than comparison group. Fourthly, dancing education affects sensitivity of infants. The experimentation group is more sensitive than the comparison group. Fifthly, dancing education affects creativity of infants. The experimentation group is more creative than the comparison group. AS the study shows dancing education affects development such learning ability, openness, sensitivity and creativity of infant to 6 years old children.

      • 발레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 및 신체적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박승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1

        이 연구는 창의적인 신체활동으로 전인적인 조화로운 발달을 목표로 하는 발레 교육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 및 신체적 자아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유아 교육의 주된 활동인 움직임 교육에 적절한 유아 발레 교육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S대학교 부속 유치원에 다니는 만 4세 만 5세 남녀 유아 60명(실험집단 30명, 비교집단3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유치원 방과 후 12주간 1회 30분씩 주2회 총 24회에 걸쳐 유아 발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비교집단은 1회 30분씩 주 2회 총 24회에 걸쳐 각자 자유 신체 활동을 실시하였다. 12주간의 실험 처치기간 전, 후로 창의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검사를 언어로서 반응을 답변하게 하는 개인 면접법을 실시하여 결과에 대한 측정 통계치를 알기위해 성별과 연령별, 두 집단별, 두 집단간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두 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측정 자료는 집단별로 사전·사후검사의 평균 차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위해서 t-검정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의 성별과 연령별에 따른 창의성 및 신체적 자아개념 변화를 이원변량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창의성 및 그 하위변인별 분석결과 발레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두 집단별, 두 집단간 모두에서 창의성 및 그 하위변인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의 평균 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발레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창의성은 매우 유의한 차이(p<.01)가 있었고, 창의성 하위변인인 유창성(p<.01), 융통성(p<.01), 독창성(p<.05)에서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실험집단간의 성별과 연령별에 따른 창의성 변화는 성별의 차이는 없었으나 연령별에서는 유의한 차가 있었다. 연령별로는 창의성(p<.05)과 그 하위변인 중 독창성(p<.05)에 있어 만 4세 보다 만 5세 유아에게서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유아의 발레교육은 남녀 유아 성별에 관계없이 긍정적이었으며, 남자 유아들에게도 지적인 면 즉, 창의성 계발에 있어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특히 만 5세 때는 언어 창의성이 가장 발달하는 시기로 유아 발레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적 창의성 발달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신체적 자아개념 및 그 하위변인별 분석결과 발레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의 두 집단별, 두 집단간의 신체적 자아개념 및 그 하위변인은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발레교육 프로그램 적용으로는 신체적 자아개념의 형성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실험집단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신체적 자아개념 변화에 있어 성별과 연령별 모두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성별과 연령별의 상호작용도 없었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창의성 계발을 위한 움직임교육의 한 방안으로 유아 발레교육 프로그램은 모든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흥미와 놀이 중심의 발레교육 프로그램으로 정립되어야 하며, 창의성 발달의 절정기인 유아의 교육을 담당하는 유치원을 비롯한 모든 유아 교육기관에서 유아 발레교육의 교과 과정 도입 및 효과적인 운영 방안이 모색되어야 하겠다. 또한 실험처치 3개월간의 단기간 발레교육으로는 자아개념 시작단계인 유아들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려웠다. 그러므로 발레교육을 통한 신체적 자아개념에 대해서는 장기간의 발레교육 적용 및 유아의 특성 등 다양한 관점에서 다각도의 연구방법이 폭 넓게 접근이 되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closely the formation of development in children's creativity and physical self-concept as the effects of ballet education, the objective of which was a harmonious development of a whole person through creative physical activities, in order to establish appropriate ballet education for children as a major activity in childhood educatio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60 children-30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0 in the comparison group, aged between 4 to 5 attending the kindergarten attached to S University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took a ballet program of 24 lessons in total-each lesson lasting for 30 minutes, two lessons a week for 12 weeks after the regular kindergarten hours. The comparison group children had free physical activities during the total of 24 lessons, each period for 30 minutes, twice a week for 12 weeks after the regular kindergarten hours. After the 12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in each group and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sex and age differences in order to find out specific statistics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in which the children answered the questions by responding to the terminology of physical self-concept examination. For the pre and post experiment tests, the t-test was used to measure the significant difference means of each group. The results of analysis using the Two-way Anova on the group's creativity and physical self-concept changes according to sex and age difference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analyses showed that there was not much difference between the means in creativity and in its sub-division factors such as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prior to the ballet education program. But after the ballet education program,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1) in creativity and in the sub-division factors of creativity such as fluency (p<.01), flexibility (p<.01), originality (p<.05) in the experimental group. Second, in both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reativity according to the sex bu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In creativity (p<.05) and in its sub-division factor, originality (p<.05), there was a more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 children aged 5 than among those of aged 4. The effects of ballet education among children were positive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sex. And among the male children, there was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llectual side-i.e.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s the children aged 5 develop fast in the creative usage of language, a ballet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can be helpful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in the language usage.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es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on physical self-concept and sub-division factors before and after the ballet education program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wo groups, the effect of ballet education program was not significant in the formation of physical self-concept. Fourth, between the group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s of physical self-concept according to sex and age. Also there was no interaction between sex and age differences. In conclusion, as a plan of activity education today, fun and play-centered children ballet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as a part of curriculum to expand creativity among children during the kindergarten years, which was the peak time of development in creativity, and all the other educational institutes for children need to introduce ballet education in their curriculum and more effective plans need to be developed. In addition, three months of ballet education as the experimental period was too short a term to expect changes in the physical self-concept among the children who are in the beginning stage of building their self-concept.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physical self-concept through ballet education, there should be more extensive applications of a long-term ballet education and various research methods developed on different aspect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 조형 활동을 통한 미술교육이 유아의 그림표상능력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고진옥 우석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0

        Influence of Art Education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ity Koh, Jin OK Graduate School of Woosuk University Major in Child Welfare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Supervised by Prof. Oh, Jeong Hyun Formative activities are very proper activities to develop creativity of children. Especially for the children with outstanding imagination, it was identified in the previous researches that formative activities are very interesting activities. Also, through not only reviewing on the previous researches but also the experience to teach children, I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creative formative activities for children to understand and represent feeling of others. Based on the necessity for the research stated abov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the formative activities have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ity. In order to achieve such objective, the research issues a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influence of formative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Second, what is the influence of formative activitie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reativity? This study selected 38 children who are 5 years old in full in D Kindergarten located in Jeonju City, Jeollabuk-do as the subjects. The subjects were the children without any educational experience before they entered the kindergarten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y random sampling. They were 38 children in total who were used in the analysis for pre-test and post-test. In pre-test and post-test,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ity were examined and the tests were conducted with formative activity programs on every Wednesday for 25 weeks. The formative activity programs were conducted for 25 weeks in the order of teacher training, pre-test, experiment, and post-test. As for assessment tool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is study utilized “Assessment Scale on the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produced by Ji, Seong Ae (2001) in order to assess the representation shown in the drawing of children. As for the assessment scale for creativity, Creativity Test which was developed and amended by Jeon, Kyung Won in 1998 was utiliz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t-test was conducted with SPSS/WIN program in order to compare the effects of formative activity programs with the significance level at 5%. Paired t-test was conducted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The core findings in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rt education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has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of children. Second, art education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has effects on the sub-factors of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of children. In particular, there is more effect on the creativity development of children related to flexibility and uniqueness. It was proved that art education through formative activity had import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ity. Since art education through formative activities is effective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ity, it is concluded that various art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expanded and implemented in order to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drawing representation ability and creativity in children’s educational institutions. <국문초록> 조형 활동을 통한 미술교육이 유아의 그림표상능력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지도교수 : 오 정 현 우석대학교 대학원 아동복지 및 유아교육 전공 고진옥 미술활동은 유아들의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데 매우 적합한 활동이며, 특히 상상력이 뛰어난 유아들에게는 미술활동이 보다 흥미로운 활동이라는 사실이 선행연구들을 통해 규명된 바 있다. 또한, 연구자는 선행연구 고찰뿐만 아니라 평소 유아들을 대상으로 미술지도를 한 경험을 통해 유아들은 미술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자신과 타인의 느낌을 이해하고 표현하기 위한 창의적인 조형 활동이 필요함을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조형 활동이 유아의 그림표상능력과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조형 활동이 유아의 그림표상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전라북도 전주시에 소재하는 D어린이집의 만 5세 유아 38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 입학 전 교육경험이 없는 유아들로 무선 표집에 의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었다.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에서 자료 분석에 사용된 대상은 총 38명이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사용한 도구는 그림표상능력과 창의성검사를 실시하였고 실험은 매주 수요일 25주간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조형 활동 프로그램은 25주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교사훈련,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측정하는 측정도구로 유아 그림에 출현된 표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지성애(2001)가 제작한 ‘그림표상능력 평가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창의성 검사척도’는 전경원이 1998년 수정 보완하여 개발한 창의성 검사를 활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한 통계분석은 조형 활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하였고, 5%의 유의도 수준으로 통계처리를 하였다. 사점검사 점수와 사후검사 점수간의 차이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 중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 활동을 통한 미술교육은 유아의 그림표상능력 발달 하위요인 모두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다. 둘째. 조형 활동을 통한 미술교육은 유아의 창의성 발달 하위요인 모두에 대해서도 효과가 있다. 특히 융통성과 독창성과 관련된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더 효과가 있다. 조형 활동을 통한 미술교육은 유아의 그림표상능력 발달 및 창의성 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임이 검증되었다. 조형 활동을 통한 미술교육은 유아의 그림표상능력과 창의성 발달을 촉진시켜 주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이므로,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조형 활동을 통해서 그림표상능력과 창의성 발달을 지원할 수 있는 다양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확대 실시되어야 할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 창의성 발달을 위한 아동미술지도방안 연구 : 도식기 아동을 중심으로

        김윤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미술교육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한 주변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 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인간에게 잠재되어 있는 수많은 가능성을 미적 체험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발현하도 록 한다는 데 중요한 의의가 있다. 자신의 느낌이나 생각을 시각적, 공간적,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이해하며 향유하도록 하는 배움의 과정이며, 조형활동, 이해활동, 감상활동을 통하여 예술가적인 품성을 기르는 교육이라 하겠다. 아동에게 있어서 미술표현은 성장과 연계된다. 아동본연의 자유로운 활동을 통하여 잠재된 의식의 표현과 성장을 이끌어내고 주위의 여러 환경들을 조금씩 수용해나감으로써 사물과 환경들 간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을 꾀할 수 있게 된다. 아동의 성장과정에는 그 과정마다 그들의 특징을 그러내고 있듯이 그림을 그리는 능력의 발달에도 대체적으로 순서와 발달 단계가 있으며 이것을 아동화의 발달단계라고 한다. 연구자는 공간 개념이 서서히 형성되어가고 창의적 능력의 성장이 활발히 진행된다는 도식기 아동에게 미술지도 방법을 활용하여 아동의 감각능력을 향상시키고 창의력을 발달시키며 보다 효과적이며 실제적인 지도방법에 대해서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의 구성은 첫째, 아동미술의 교육적 목적과 각 발달단계 및 도식기 아동의 특징을 알아보고 창의성 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둘째, 창의적 발상법과 표현기법적 측면, 다양한 재료를 활용해 아동의 창의적 미술활동을 위한 지도요건을 제시 하였다. 셋째, 아동화 지도 연구의 실제로서 조형요소를 이용한 창의적 발상표현과 표현기법을 이용한 미술표현의 수업안을 고안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 보았다. 도식기 아동화에 나타난 특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았다. 첫째, 인물이나 사물의 반복표현을 하고 있다. 둘째, 중요한 부분은 강조되고 중요하지 않은 부분은 생략화 된다. 셋째, 공간적 시각적 동시표현과 엑스레이(X-ray) 같은 표현을 한다. 미술교육이 ‘그리는 수업’에만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재료활용과 표현기법의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 창의적인 인간, 독창적인 인간, 감수성 발달, 정서안정이라는 미술교육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창의적인 표현은 발상에서부터 시작된다고 보아 발상을 돕는 여러 가지 방법에 대하여 제시하고 재료는 발달단계에 맞는 다양한 재료의 제공과 선택으로 아동이 창의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표현기법 또한 여러 가지 재료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아동들을 유도하였고, 기존의 표현기법을 일러주되 본인이 하고자 하는 표현에 대하며 제약이나 규제를 최소화하여 창의적 표현이 가능하도록 도와주었다. 이렇게 발상을 비롯한 다양한 표현 기법과 재료를 이용하여 지도해 본 결과 아동들이 주변 환경을 관찰하는 눈이 예민해 졌고 주변 환경물을 그림의 소재로 보는 눈이 생겼으며 그림의 소재도 풍성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동들이 자기 작품과 다른 아동들의 작품을 비교, 평가, 감상하는 능력이 함양되었으며 새로운 발상이나 특이한 색채의 발견을 즐거워하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도를 하면서 가장 애로를 느낀 부분은 아동의 입장에서 그들의 생각을 도와 발상능력을 길러준다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아동은 처음에 발상을 이용한 수업이 어렵고 낯설게 느껴졌지만 점차 수업이 진행되면서 그들의 숨어있던 무한한 상상력이 하나둘씩 펼쳐지기 시작하였다. 그러기까지는 지도과정에서 충분히 마음과 생각이 통할 수 있어야 했다. 교육과정에서 발상을 통해 표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에게는 표현기법을 이용하여 흥미를 유발하도록 하였다. 부분의 특징을 과장(강조)하거나 확대해서 생각해보게도 하고 그것을 커다랗게 그리게 해 점차 어려움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힘썼다. 여기에서도 알 수 있듯이 미술교사의 중요한 역할은 아동을 창조자로 만드는 것이다. 아동의 발상을 이끌어 내고 좀 더 효율적인 표현기법을 이용하고 응용하여 아동의 창의성을 기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열린 사고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며 절대적인 힘이 필요하다. 교사의 지도력이 아동의 창의력과 표현능력에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미술교사는 학교나 제반 주변 여건의 부족을 탓하기 전에 교사 자신의 수업지도 방법에 대한 충분한 연구를 통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Fine arts education is intended to raise aesthetic aptitude of feeling and relishing the beauty of nearby world through various fine arts activities and at the same time to foster individuals of holistic personality with the ability to understand, succeed and develop fine arts culture. In addition, fine arts education is also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at it facilitates natural expression of numerous potentials hidden in human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enabling children to express, understand and enjoy the feelings or thoughts of their own visually and spatially and nurturing them to raise the qualification for artist. Through such unrestricted activities, children can learn to go for interaction with objects and environment by bringing out their own potential consciousness, and accepting various nearby environments little by little. The growing processes of children are characterized with some regularity of procedure, and such procedure is called the development stage of children. The author intended to propose an effective and practical fine arts instruction method that will improve the aesthetic sense of children in their schematic period, a period when concept of space is formed gradually and the growth of creativity is dramatic and develop their creativity by utilizing fine arts instructing method. Specifically, this paper has the following objectives: The first objective i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purpose of children's fine arts, each development sta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schematic period children, and look into the importance of creative fine arts education. The second objective is to propose the instruction requirements for creative fine arts activities of children by utilizing various materials in the standpoint of creative conception and expression methods. The third is to devise plan for fine arts expression class using creative idea conception method and expression techniques utilizing plastic elements, and apply the plan in actual class. The characteristics of schematic period children's painting can be summed as follows: First, persons or objects are expressed repeatedly. Second, important parts are stressed, and unimportant parts are omitted. Third, they express space and time simultaneously like X-ray. This study seeks for method to reach the objectives of fine arts such as achievement of creative individual and unique individual, development of susceptibility, and emotional stability by proposing plan for instruction utilizing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s, not just staying with 'drawing class'. Based on the idea that creative expression starts from the process of conception, the plan is proposed so that from various suggested method of conception, the child may choose from various materials suitable for developmental stage and express creatively. Also regarding expression technique, children were induced to express using various materials based on their own initiative with reference to existing expression techniques and enhance their creativity of expression with minimal restriction. As a result of instructing the children with the use of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and materials along with such way of conception, children's eyes grew keener in observing nearby environments, and with their enhanced insight to see nearby environmental objects as materials of painting, their materials of painting became richer. Furthermore, the children gained the ability to compare, evaluate and appreciate the works of their own and those of other children, and found joy and interest in gaining new ideas and discovering peculiar colors. The hardest point of error in the instruction was that raising the children's ability for conceiving ideas by helping with their thoughts in their perspective was not easy at all. The children found the class using conception difficult and strange at first, but as the class goes on, the limitless imaginative power hidden behind them began to develop one by one. Until then, rapports of mind and thoughts have to be established through the instruction course. For children that had hard time in expressing through conception in education course, excitements were induced with the use of fun-packed expression techniques. Also efforts were given so that the children may gain new perspective by thinking of a particular feature in an exaggerated or magnified manner and overcoming difficulties one by one. As is shown here, an important role of fine arts teacher is to make a creative individual out of a child. In order to raise the creativity of a child by inducing the child to conceive idea of its own and using and applying more efficient expression technique, open mind of teacher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instruction ability of teacher plays important role for children's creativity and expressing ability, and fine arts teachers are supposed to pay efforts through sufficient researches on their methods of class instruction before attributing hardships to insufficient conditions of school or circumstance.

      • 유아무용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심상프로그램 연구

        김옥연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6

        이 연구는 유아들의 창의성을 위한 무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 유아 무용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교육기관들의 지도방법을 관찰 기록을 바탕으로 하여 심상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창의성 발달에 효율적인지에 대해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창의적 표현을 위한 무용교육을 위해서는 유아들에게 많은 생각과 상상을 할 기회를 주며,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한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유아무용 교육은 발레 용어 설명과 스텝 등이 이미 정해진 동작들로 행해어지고 있다. 어린 유아의 발달에 있어서 부적합하고 유아들의 창의적인 신체표현에 있어 아주 부적절한 지도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다. 유아무용의 창의성 발전을 위한 심상프로그램을 위하여 질적연구와 실험연구를 병행 하였다. 질적연구는 8개 기관의 수업에서 진행되어 지고 있는 공통된 동작과 언어적인 특색을 종합하여 심상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심상프로그램은 2단계로 구성하였다. 적합성과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현장 적용하기 위하여 4∼6세를 위한 1단계 구성은 40분 수업을 Warm up, Center work으로 구성하였고, 2단계 7세 수업은 50분 수업으로 하여 Warm up, Barre work에 Center work을 추가하여 구성 진행하였다. 단계별 수업지도는 Warm up에 13개의 심상활동과 Barre work으로는 5개의 심상활동 그리고 Center work에는 6개의 심상활동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집중이 어려운 유아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단계별 각 활동에 상체, 하체, 머리, 손표현 등을 다양하게 혼합하여 유아들이 흥미롭게 수업에 임할 수 있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실험연구는 유아무용의 창의성 발달을 위한 심상프로그램을 교육 받은 실험집단과 받지 않은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창의성 발달을 위한 심상프로그램을 전경원(2008)의 유아용 종합 창의성 검사(Korean Comprehensive Creative Test for Young Children, K-CCTYC)를 실시하였고, 사용된 통계방법은 창의성 발달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비교, 남녀 간 성 차이의 비교하고 측정하였으며, 척도별 창의성으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으로 구분하며, 영역별 창의성을 언어, 도형, 신체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유아무용의 심상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 향상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무용학습은 유아교육에 있어 창의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중요한 교육 형태로 자리 잡아야 하며 유아들의 성장발달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관심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 놀이가 幼兒의 創意性 發達에 미치는 影響에 관한 硏究 - 劇놀이와 七敎놀이를 中心으로 -

        엄명선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69

        교육이 미래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활동이라고 할 때,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지식의 양과 예측을 불허하는 새로운 시대의 변화에 대비하기 위한 교육의 책임은 막중하다 할 것이다. 특히 21세기를 주도하여야할 어린이들이 자아를 실현하고 세계화된 사회에서 생존해 남아 일등국민이 되기 위해서는 교육의 질적 향상이 강하게 요구되며 이런 관점에서 유아들의 창의력 신장은 매우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우리교육을 뇌의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주로 좌뇌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졌으며 상상력을 길러주는 우뇌 교육은 소홀히 되어져왔다. 뇌의 기능과 학습의 관계를 보면 주로 언어적인 학습은 좌뇌의 기능을 더 많이 필요로하며, 비언어적이고 창의적인 능력은 우뇌와 더 많은 관련이 있는데 지금까지 우리의 교육은 좌뇌 중심의 교육이었으므로 균형된 뇌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우뇌를 개발할 수 있는 교수전략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를 통하여 창의성개발이 가능하다는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기초로 활동놀이를 통하여 유아의 창의적 상상력을 키워주는 주제환상극놀이와 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과 준비과정이 비교적 적은 도구중심의 칠교놀이 활동이 유아의 우뇌를 자극하여 창의성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라고 보고 유아들의 특성에 맞는 아이들이 즐겁게 놀면서 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 중 서로 놀이의 성격이 다른 주제환상극놀이와 칠교놀이 중 유아의 창의성 개발에 보다 효과적인 활동프로그램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연구의 의도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보면 첫째, 창의성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한 두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한국판 TTCT(도형) 검사 점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통제 집단의 경우 특별한 창의성 활동프로그램을 처치하지 않고 기존의 교육과정으로 교육을 하였으므로 창의성의 하위요인이 향상되지 않았고 이것은 기존의 교육과정으로는 창의성교육에 그리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주제환상극놀이 활동에 참여한 집단과 칠교놀이 활동에 참여한 집단은 창의성 점수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창의성 하위요인인 유창성과 융통성에 있어서 주제환상극놀이 활동이 칠교놀이 활동 보다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주제환상극놀이는 유아들이 역할놀이에 필요한 자료를 준비하고, 놀이의 내용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신체와 언어의 가작화를 통한 상상력 향상과 창의력의 발달을 가져오는 반면 칠교놀이는 신체의 일부분만을 사용하는 조작적 활동을 통하여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주제환상극놀이 보다는 한계성이 있다고 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주제환상극놀이와 칠교놀이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요컨대 유치원이나 초등교육 현장에서 주제환상극놀이와 칠교놀이 활동 프로그램을 창의성 신장에 효과적인 교육방법으로 인식하고 창의성개발 및 신장에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If education is considered an ability to adapt to a future society, then it assumes substantial responsibility for the change of a unpredictable era and explosively increasing knowledge volume. Especially, for would-be children as a 21st century leader to realize themselves and survive the globalized world, and become a first-class peopl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education is strongly required, in this respect, children's creative enhancement is an urgent task. Currently, our education considered in a cerebral functional aspect, mainly left brain centered education has beenperformed, and the right one cultivating imagination been neglected. The cerebral function and learning considered, linguistic study needs more the function of left brain function, and non-linguistic and creative ability is more related to right brain, so far our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left brain, so for balanced cerebral development, a teaching strategy to develop right brain is necessary. Drawing on the precedent theoretical research that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play, this study considering a topic fantasy play cultivating children's creative imagination, and comparatively less space and preparation requiring instrument focused Chilgyo play are effective in instigating children's right brain and enhancing creativity, explored which is the more effective activity program in developing children's creativity between the topic fantasy play and Chilgyo play of the programs children can do playing with pleasure. The finding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First, the two participating groups showed mor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Korean-version TTCT(diagram) test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can be considered to mean the control group was not prescribed a special creativity activity program, but taught with existing programs, so the subfactor of creativity was not improved, in other words, the existing programs was not so helpful to creativity education. Second, the topic fantasy play activity participating group, and the Chilgyo play group showed significant scores in creativity scores. Especially, creativity sub-factors, fluency and flexibility were more effective in the topic fantasy play than the Chilgyo play. The topic fantasy play brings about imagination progress and creativity progress through elaboration of human body and language in the developing process of preparing for necessary materials and developing play contents in children's role play, while the Chilgyo play has more limitation than the topic fantasy play since the former improves creativity through manipulative activity using part of human bo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topic fantasy play and the Chilgyo play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children's creativity progress. In brief, at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scenes, the topic fantasy play and the Chilgyo play should be recognized as an effective educational method in developing creativity and made the most of in developing and furthering creativity.

      •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지도가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성희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69

        본 연구는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의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등에서 창의성 향상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안을 유치원 표현활동 과정과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구성한 후, 남·여 구분 없이 5∼6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각 15명씩 나누어 실험집단에게는 본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를 8주 동안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에게는 기존의 무용 수업 내용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창의성 측정도구로는 70∼90%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 Torrance의 창의성(도형)검사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차이를 독립 t-test를 이용하여 처리, 분석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성의 평균치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창의성 평균이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창의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즉,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의 모든 영역에서 높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와 같이 발상법을 활용한 무용 지도안을 개발하고 현장에 적용하는 교육 방법은 유아들의 동기유발과 표현의욕을 높이는데 긍정적일 것이다. 또한 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와 현장에서의 활용은 무용수업을 다양화 하게 함으로서 유아 무용 교육의 창의성 발달에 일익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to research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improvement in the fluency, the originality, the abstraction of title, the accuracy, and the resistance about the hasty termination etc. as a consequence of composing the dance instruc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dance instruction was composed the coaching guidance plan in the dance class on the basis of the kindergarten's expression activity process and the precedent studies. Without distinguishing the boys and the girls, 5 to 6 aged young children were divided each 15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And then, the dance instruction were enforced for 8 weeks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existent general dance classes were enforc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 young child's creativity was measured and analyzed by Torrance's creativity (diagram) examination paper as a measurement tool, which was shown 70-90% reliability.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the independence t-test in the aspect of difference of the pre and post-inspec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fir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appe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mean value of the creativit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he higher improved creativity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the mean value. The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appe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n all low rank areas of the creativity. That is, the experimental group was shown the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ntrolled group in all rank areas of the fluency, the originality, the abstraction of title, the accuracy, and the resistance about the hasty termination. As the above results, it may be positive to elevate the motivation induction and the expression desire that the dance instruction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pot of class. Also the results can be considered to be the basic data on the methodological view of the dance coaching education by diversifying the dance class.

      • 환상동화를 활용한 연상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문경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3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test and compare the impact of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based on this, come up with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to promote children’s creativity in kindergarten education. To this end, this research set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1. Do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1-1. Do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fluency development? 1-2. Do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flexibility development? 1-3. Do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originality development? 1-4. Do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affect young children’s imagination development? 2. Do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make a difference four to five year old young children’s creativity development? For this research, 60 4- and 5-year-old children who go to J kindergarten located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divided into 30 experimental groups and 30 comparison groups.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ed in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12 times between September 5, 2005 and October 14, 2005, and comparison groups participated in general life theme-centered education process. Test tools to study young children’s creativity used Jeon Kyeong-won (1999)’s Korean Comprehensive Creativity Test for Young Children (K-CCTYC, revised version, 1999), and measured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as main factors. With regard to data collected for this research, in order to test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t-test and ANCOVA were performed. SPSSWIN 12.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y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experimental groups which participated in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and comparison groups which participated in general life theme-centered education process. That is to say, it was observed that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was effective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that is, young children’s creative factors. Second,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mad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4- and 5-year-old children’s development of creativity. That is to say, it was confirmed that association activities using fantastic fairy tales had a positive impact on 4- and 5-year-old childre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iveness between ages.

      • 學父母의 敎育期待 水準이 兒童의 創意性 發達에 미치는 影響

        노효원 우석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652

        "父母의 子女에 대한 期待는 規範的 期待와 夫婦가 서로 合意한 期待가 있다." 따라서 本 硏究는 子女敎育의 實質的 效果를 높일 뿐만 아니라 實質的 保障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目的을 두었다. 첫째, 家庭에서 敎育에 强力한 影響을 주는 어머니의 期待水準을 調査한다. 둘째, 어머니의 子女敎育을 위한 指導에 基礎資料를 提供하는데 目的이 있다. 이와 같은 目的을 達成하기 위한 具體的인 內容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子女에 대한 關心度 둘째, 어머니의 子女에 대한 바람직한 人間像 셋째, 어머니의 子女敎育에 대한 關心 넷째, 어머니의 子女 學力에 대한 期待 다섯째, 子女의 學習指導 狀況 여섯째, 子女가 갖고 있는 能力에 대한 어머니의 態度 이상의 것을 領域別로 規定하여 어머니의 年齡, 敎育水準, 子女數, 居住地域에 따른 差異을 糾明한다. 우선 學父母의 敎育期待가 子女의 創意性發達을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潛在的으로 逆行하고 있다는 것이 本 硏究에서 밝혀졌다. 未來로 向한 展望에서 "創意性을 높이는 敎育"이 切實히 要求되고 있는 요즈음 學父母의 敎育期待가 學生의 創意性發達을 크게 沮害하고 있음을 認知하고 學父母의 學生에 대한 그 어떤 期待가 創意的 敎育現實에 影響을 주며 學父母의 나이, 地域, 學力에 따른 差異를 밝혀 앞으로의 敎育에 對備하고 一線學校에서 敎育計劃 樹立과 社會敎育에 必要한 情報를 提供하게 될 것이라는 假定에서 本 硏究를 통하여 얻은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期待는 强制性이 있건 없건 人間의 行動을 決定하는 重要한 要因이 된다. 둘째, 學父母의 敎育期待는 다음과 같은 特徵을 갖고 있다. □學父母중 어머니는 임신하면서부터 成長할 때까지 影響을 주며 어머니의 子女關係는 매우 密接하여 그 影響이 크다. □하루의 生活中 家庭에서의 生活이 2/3를 点有하고 있어 家庭環境이 子女의 成長에 影響을 준다. □우리의 家庭은 論理, 道德을 最先의 價値로 認定되던 傳統社會로 三綱五倫에 透徹했던 兩班을 最高의 人間像으로 期待하고 있다. □'立身出世'를 하기 이해서는 試驗에 合格해야 되고 點數가 그 人間의 모든 것을 評價해 버린다. □學父母는 이러한 期待水準에 의하여 學生을 統制하고 壓力을 加하며 閉鎖的이다. 셋째, 創意性이란 "어떤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을 말하며 學者에 따라 여러 가지 定意가 있으나 "주어진 體制內에 意味있는 變化를 招來할 産物"을 만드는 能力이다. 넷째, 創意性의 發達條件은 다음과 같다. □職業選擇등에 관하여 父母로부터 壓力을 받지 않고 自主的으로 決定하도록 激勵받아야 한다. □環境의 變化를 많이 겪어서 多樣한 經驗을 해야 한다. □自主性이 保障되어야 하고 價値判斷 基準이 自由스러워야 하며 開放的이어야 한다. □父母로부터 尊敬을 받고 罰을 적게 받으며 自信感을 갖도록 激勵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敎育期待의 特徵과 創意性의 發達 條件은 서로 相反되고 있어 學父母의 敎育期待가 創意的 敎育實現을 沮害하고 있다고 假定할 수 있어 395名과 학생 126名을 對象으로 調査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