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희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 실태를 파악할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나는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율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한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아 인관관계를 규명하여,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율을 높여 쏠림현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 참여한 조사 대상자는 서울 지역의 고등학교로서 한강 북쪽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와 한강 남쪽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 총 4개 학교 410명의 고등학생이다. 각 학교 교감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했지만,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이 65명으로 집계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통계분석 등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345부이다. 자료분석 시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ver.15.0 : SPSS Inc., 2000)이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적인 통계분석, 단순.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및 다중공선성을 확인 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크롬바하-α 계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 실태를 보면, 주로 학교 수업이 없는 토요일(놀토)과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연평균 자원봉사활동 참여시간은 설문 응답자 중 약 70%가 10시간 이상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 교육청이 권장하는 20시간 이상을 참여한 학생은 설문 응답자 중 30% 미만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평균 적정 자원봉사 참여시간을 묻는 질문에도 절반 이상인 56.2%가 20시간 미만이 적정한 수준이라고 답변했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참여의 쏠림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회복지분야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을 높여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교육기관은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특성 중 본 연구에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난 자원봉사의 긍정적 효과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자원봉사 활동의 이해를 돕는 교육을 받은 후 자원봉사 활동에 임하도록 해야 한다. 좀 더 높은 교육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기관 및 시민단체 등에서 활동하는 기관 종사자들을 강사로 초빙하여 교육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청소년의 여러 환경적 특성들 중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학습참여로 나타났다. 이 부분은 부모가 자녀에게 갖는 관심으로 해석될 수 있는 만큼, 부모는 학교에서의 학습활동 뿐 아니라, 자원봉사 활동을 통한 소중한 경험들도 청소년기에 반드시 습득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과업임을 자녀가 알게 하고, 자원봉사 활동 참여를 지속적으로 권유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is based on a youth volunteer service system that is currently operating in a high school. Through this investigation, I’ve understood the actual condi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service, and also pointed out problem of low rate of participation in society welfare volunteer service. This research is also to offer basic information to find out the cause of problem on volunteer service and help to restore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volunteer service from students. This is the summary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looking at the real conditions of students, they participate the volunteer service during Saturdays, when they don’t go to school or during the holiday. Second, in order to get students involve in the society welfare volunteer service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rather than changing the student’s environment characteristic, making a policy that increases the spontaneity and altruism of students, which are the personal characteristic, and also understanding the positive effect of volunteer service will be more effective. Educating students to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 of volunteer service is very important. Third; To change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 we can progress practice program regularly. Rather than using staff in the school, it will be more useful to use a staff that’s in charge of society welfare work field or citizen organization, will be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education.

      • 생활체육참여자의 운동몰입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

        김아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sports for all participants' exercise commitment on exercise emotion. This research extracted samples by using convenience sampling after selecting the parent group targeting 20s-40s sports for all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swimming, weight training in Gangbuk and Gangnam area in Seoul, and distributed total 315 questionnaires. In the actual analysis, the researcher actually analyzed 300 questionnaires, excluding 15 questionnaires which were in discord with the question or missing some part of investigation contents.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earcher collected the completed data with response, and input only valid samples individually after excluding those which were not proper for the response to the question and those which missed some part of investigation. After that, the researcher computerized according to the goal by using SPSS WIN 21.0 program after reviewing whether of not of response error along with the guideline. The techniques used for statistical treatment were reliability analysis, factorial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post-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tc. Through the research method and procedure as the above, this research drew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exercise commitment along with sports for all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gender, age, participation frequency, participation hours, participation experience, participation intensity. Second, as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exercise emotion along with sports for all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no difference appeared in participation frequency, however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gender, age, participation hours,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tensity. Third, in respect of the effect of sports for all participants' exercise commitment on exercise emotion, cognitive commitment and behavioral commitment were verified as the important factors to affirmatively influence positive emotion, the sub factor of exercise emotion. 본 연구는 생활체육참여자의 운동몰입이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강북, 강남지역의 수영, 웨이트트레이닝 종목에 참가하는 20∼40대 생활체육참여자를 대상으로 모집단을 선정한 다음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총 315부를 배포하였다. 실제분석에는 질문 문항에 불일치하는 자료,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 15부를 제외한 후, 300부의 설문지를 실제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설문지 응답이 완성된 자료를 회수하여, 문항의 답변으로 적절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것과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것을 제외한 뒤 유효 표본만을 개별 입력하였다. 그 후 지침에 따라 응답 오류 유⋅무를 검토한 다음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통계처리에 사용된 기법은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사후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몰입의 차이분석 결과 성별, 연령,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경력, 참여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참여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운동정서의 차이분석 결과 참여빈도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성별, 연령, 참여시간, 참여경력, 참여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참여자의 운동정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운동몰입이 운동정서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정서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韓國 女性의 政治參與 擴大方案

        구순천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Birth of the first woman premier in Korean constitutional history shows that women’ social role have risen. Women have to make ourselves ready for development and endeavor in preparation for increasing women in the 21st century political landscape. In this study we took measure how to expand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woman based on investigating actual condition of woman political participation. We introduce how to expand political participation in Sweden, Germany, France and England. We analyzed the status of problem and expand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The study found factors of obstacle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of Korean women 1. political, cultural aspect 2. legal, institutional aspect 3. understanding of political participation aspect. The study showed 1. increasing women’ will 2. need for improvement of system 3. role of Korean Women' Association United 4. role of citizen 5. role of political parties 6. role of the government. In conclusion, there is revitalization of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1. improvement on efficiency of women quota system 2. promotion justifiability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3. scouting for prominent female politician 4. clearing anti-female sentiment at political organizations. The rate of nation’s political participation of women can be seen how deep is mature develop democracy in country. In the 21st century I hope that politics developing political movement that was composed of male-dominated politics can changed political activities using women’ exceptional careful and creative skills.

      •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가 초등학생의 인성과 생활태도에 미치는영향

        유경열 경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가 초등학생의 인성과 생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여 지도자들에게 수련생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교육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수련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인 성별, 학년, 주당 참여 횟수, 1일 수련 시간, 수련 기간으로, 독립변인인 참여동기는 주변환경, 즐거움, 여가생활, 자기계발, 건강증진으로, 매개변인인 인성은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으로 종속변인인 생활태도는 학교생활태도, 학교규칙준수, 일상생활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 8개 태권도장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집락무선표집하여 총376부에 대한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처리 방법은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참여동기를 보면 성별은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고, 학년은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고, 수련 기간은 주변환경에서 차이가 있다. 둘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인성을 보면 학년과 주당 참여 횟수는 기본생활습관,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고, 1일 수련 시간은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다. 셋째, 태권도 수련을 통한 초등학생의 생활태도를 보면 학년은 학교규칙준수, 교사관계에서 차이가 있고, 주당 참여 횟수는 학교생활태도, 일상생활태도에서 차이가 있고, 1일 수련 시간은 학교생활태도, 학교규칙준수, 일상생활태도, 교사관계에서 차이가 있다. 넷째, 태권도 수련 참여동기, 인성과 생활태도와의 상관관계는 수련생 참여동기가 높게 인식될수록 인성과 생활태도 인식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동기에 따른 수련생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은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자아확립과 예절성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배려성은 주변환경,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참여동기에 따른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학교규칙준수, 일상생활태도,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즐거움, 자기계발, 건강증진에서 차이가 있으며, 인성에 따른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학교규칙준수는 기본생활습관, 공동체 의식, 자아확립,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일상생활태도는 기본생활습관, 자아확립, 배려성,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으며, 교사관계, 교우관계는 공동체 의식, 예절성에서 차이가 있다. This paper had the necessity and the aim of providing fundamental material for Taekwondo leaders to efficiently educate their trainees by testifying the effect of motivation in participating Taekwondo training on elementary students personality and life attitude. As for the variables of this research, the gender, the grade, weekly frequency, daily duration of training and the period of training were set up as background variables. As for independent variable, that is, the motivation, neighboring environment, the pleasure, the lei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improvement were established. In terms of the personality, that is, mediation variable,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politeness were set up. As for the life attitude, namely dependent variable, school life attitude,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daily life attitude,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were establishe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aekwondo trainees from 8 Taekwondo Training Centers located in Seoul area through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and I finally set 376 samples as the objects of analysis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collected data through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the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elementary school trainee's motivation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the gender showed a difference in health enhancement and the grade in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and the period of training in neighboring environment. Second, as for the personality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the grade and weekly frequency showed a difference in basic life habit, caring and the politeness, daily training time in basic life habit,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the politeness. Third, as for the life attitude according to Taekwondo training the grade showed a difference in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relationship with teachers, weekly frequency in school life attitude, daily duration of training in school life attitude,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daily life attitude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tivation and the personality and life attitude,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rainee's motivation,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personality and life attitude were. Fifth, as for trainee's personality according to participation motivation the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howed a difference in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self establishment and the politeness in self development and heath enhancement, caring in neighboring environment,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as for school life attitude according to participation motivation showed a difference in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daily life attitude, relationship with teachers,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the pleasure, self development and health enhancement, as for school life attitude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showed a difference in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the politeness, as for compliance with school rules in basic life attitude, community spirit, self establishment and politeness, as for daily life attitude in basic life attitude, self establishment, caring and politeness,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in community spirit and the politeness.

      • 코로나 시대를 반영한 사회참여 미술교육 수업방안 연구

        고운솔 전남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 속 현대사회의 다양한 문제와 현상으로 기존의 미술교육이 학생들의 삶 속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마주하고 보다 다양한 사회참여미술을 통해 사회적 역할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해 재구성하고 이에 관련된 담론을 분석한다. 미술은 사회적 맥락 속에서 상호의존적이며 유기적인 관계에 있다. 특히 학습은 교사와 학습자 간의 경험을 상호작용하는 활동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며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미술의 특성을 능동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교육의 영역에서 미술을 사회화하는 과정을 미술교육이라 할 수 있다. 미술교육은 실제 하는 현상을 미적 경험을 통해 다루는 것이며 이는 경제적, 정치적인 요인과 직·간접적인 관련이 있다. 이처럼 미술교육은 미술의 적극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정립할 수 있다. 미술의 영역 중에서 사회참여미술은 학습자의 현실적인 참여를 이끌 수 있는 매개가 되어 크고 작은 우리의 삶 속 사회적 쟁점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실천적인 행위로 시대에 직면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미술교육으로서의 역량이 강조되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교육의 관점에서 필요한 미술의 형식이다. 우리는 코로나19로 인해 현재 우리의 삶에 직면한 사회, 문화, 정치적인 문제들을 파악하고 서로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사회 참여적 미술교육을 통해 심층적으로 접근하여 상황을 이해할 수 있으며 다양한 맥락 속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자유롭게 공유하고 해석할 수 있도록 전개되어야 한다. 이러한 개념을 바탕으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현장에서 느끼는 소통의 문제를 사회참여미술에 접목하였다. 특히 미술교육 수업의 구체적인 목표와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등의 미술 교과 역량에 맞춰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교과 내용과 작품의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연계를 통해 자아를 이해할 수 있는 사회와 교육현장에서의 유기적인 체계를 구성하여 사회를 인식할 수 있는 시각을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본 연구의 이론적 이해를 위해 미술교육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혼란 속에서 우리가 직면한 문제의 상황들을 모색하고 사회참여미술의 개념 및 특징과 교육적 의의를 서술하여 사회참여 미술교육의 역할과 중요성을 확인한다. 이후 미술교육의 시각적 학습이 원활하도록 사회참여미술의 교과 내용과 작품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작품의 도판 및 자료를 제시하여 흥미를 유발하도록 구성하였으며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교과서를 비교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코로나19와 관련하여 사회 상에 대한 정서적인 공감과 소통에 대한 연구를 학생 참여 중심의 미술 수업 활동을 중심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이 수업을 통하여 우리 사회의 다양한 사회 문제를 스스로 인식하고 미술을 활용한 대처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미술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 소통하고 타인과 상호작용하는 행위에서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며 비대면 생활로 인해 생겨난 우울증과 고립감을 감당해야 하는 자신의 마음을 치유해 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구성원들이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는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며 실천적 사회참여 미술수업의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 의식 역량을 향상시키고 미래에 대한 자신의 삶과 사회 속에 미치게 될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role of social participatory art education in addressing various issues, including problematic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 COVID-19 era. The study specifically examines the social role of art and art education as reconstructed from diverse student perspectives as well as analyzing the formation of related discourses. Social participatory art is constructed atop webs of interdependent and organic relationships reflecting the social context in which it is produced. Educational activities within this field comprise experiential interactions between facilitators and learners, address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in the processes of communication. This form of art education can thus be summarized as the process of socializing learners into artistic communities, dealing with actual phenomena through aesthetic experience. Such phenomena are, in turn, directly related to economic and political factors. Through such participation, art education provides participants with the abilities required to discover and establish the meaning and value of learning itself through the pairing of aesthetics and social interaction. Social participatory art is a practical means to address problems with human interactions, both large and small,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in social phenomena. Social participatory art education emphasizes the role of art in overcoming social problems by initiating transformative change. Thus, social participatory art education should be able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social, cultural, and political problems faced in human lives due to complex, negative phenomena such as COVID-19, allowing people freely share and interpret our thoughts and feelings in various contexts. Based on such a paradigm, the present study endeavors to examine the value of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es in their approach to the present decade’s defining crisis. It endeavors to provide theoretical analysis of social participatory art classes’ approach to the portrayal of social turmoil inherent in the COVID-19 pandemic, identifying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field by describing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social participatory art. Various sub-genres, works, and artists are presented and analyzed to provide a tangible understanding of this field. As part of the study a total of four class modules centered around COVID-19 were conducted, focusing on students’ social and emotional communication and empathy. Through the production of artwork, these modules aim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means to engage in productive introspection as well as combat depression and feelings of frustration associated with deficits experienced in remote communication during the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endeavors to explore the value of social participatory art education in catalyzing students' active participatory consciousness and its potential for providing positive impacts upon participants’ future lives as part of our greater society.

      • 지방자치단체 시민참여감사제도 비교분석 연구 : 서울특별시, 대전광역시 대덕구 및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박인규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감사제도를 보완하고 시민참여를 통한 투명행정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참여감사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민참여감사제도를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에 기초해서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시민참여감사제도를 민간주도형, 민관합동형 및 관주도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에 따른 사례로 각각 서울특별시 시민감사옴부즈만제, 대전광역시 대덕구 주민참여감사제 및 인천광역시 시민감사관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비교분석을 위해서 독립성과 전문성 및 참여성과 효과성을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였고, 각 평가기준에 대해 평가항목을 설정하였으며, 평가항목에는 세부항목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세부항목의 실현정도를 평균하여 평가항목의 실현정도를 도출했고, 평가항목의 실현정도를 평균하여 최종적으로 평가기준의 실현정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시민참여감사제도에 대한 이와 같은 비교분석 결과에 기초해서 독립성, 전문성, 참여성 및 효과성의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 스노우보드 참여자의 특성에 따른 용품 구매행동의 차이

        태윤구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스노우보드 참여자의 참여특성에 따른 용품 구매결정요인과 용품 구매 장소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은 2006∼2007년 겨울시즌 스노우보드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인터넷 스노우보드 동호회에서 가입하여 활동하고 있는 성인 남, 여 및 대학에서 스노우보드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는 총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이 중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응답의 내용이 성실하지 못하였거나 누락된 IB부 자료를 제외한 총204부를 사용하여 편의표집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스노우보드를 즐기는 대상은 20대 남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으로는 학생과 직장인이 많았다. 소득으로는 나이가 어리고 아직 소득이 많지 않는 300만원이하의 소득자들이 주를 이루었다. 스노우보드를 타는 사람의 대다수가 자기가 표현하고자 하는 기술을 다양하게 보여주는 프리스타일 보드를 즐기는 것으로 조사 되었고, 또한 참여자 대부분이 3년 미만의 경력과 증급이하 정도의 기술수준을 가지고 있었으며 시즌 중 10회 미만의 참여자가 다수를 차지했으나 30회 이상의 참여자도 높게 나타나 최근 스노우보드의 인기를 반영하고 있었다. 또한 스노우보드 참여자의 용품(바인딩, 부츠, 데크) 구매결정요인으로 전체적으로 성능 및 기능, 가격, 서비스를 높게 지각 하였고, 주변의 추천, 디자인, 구입편리성, 브랜드, 구매 혜택은 낮게 지각 하였다. 또한 구매 시 고려 사항들 간에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참여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스노우보드참여자의 용품 구매 장소를 를는 문항에서는 응답자의 140명(68.6%)이 전문샵을 선호하였다. 참여자특성의 성별, 연령, 소득, 종목, 기술, 경력의 차이에 따라 구매 장소 이용의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the purchase behavior for snowboarding goods according to participator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204 subjects were selected from internet community of snowboarding and community of a university students by the convenience sampling The questionnaire's validity was evaluated by a group of experts, and its reliability was judged based on the Cronbach's alpha values ranging from .70 to .86 On the data,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were applied using SPSS/PC version 11.0,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the above study method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rom this study. First, subjects who enjoyed snowboarding the most were men in their 20's and their occupations were students and office work's who earned less than 3million won in a month. The main base of snowboarding would be to be free and many bird's who want to express their various skills ride the freestyle bird. The inquire subjects were mostly beginners through intimidates with less than years of experience. Mostly they participated in snowboarding less than 10times per season, but there were people who participated more than 30times per season which shows the popularity of snowboarding. Second, efficiency & function, price and service are highly considered by bird's as the factors of determinants of purchase, but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 design, purchasing convenience, brand and purchasing benefit didn't have much effects when purchasing snowbard supplies. Snowboard' consideration factors for purchasing snowboard supplies differed with respect to participators' demographics and participators' levels. Last, 140 of respondents (68.6%) preferred to buy their snowboarding goods in a shop that specializes in snowboard supplies. Snowboarders' purchasing places differed with respect to sex, age, income level, snowboard events, skill and experience.

      •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 예산제도 채택요인에 관한 QCA 분석

        박대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 요약 지방자치단체 주민참여 예산제도 채택요인에 관한 QCA 분석 우리나라의 주민참여 예산제도는 2004년 광주광역시 북구에서 최초로 도입된 이후, 2005년에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2011년에는 지방재정법에 모든 지방자치단체가 의무적으로 시행하도록 규정함으로써 지금은 모든 지방자치단체에서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개별지자체가 도입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어떤 요인들에 의해 어떤 지자체에서는 일찍 주민참여 예산제도가 도입·시행 되었고, 어떤 지자체에서는 도입이 늦어졌는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질문에 대한 해답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거시적으로는 신제도주의적 연구방법, 특히 그 중에서도 역사적 제도주의 방법을 채택하고 있고, 미시적으로는 퍼지셋 질적비교방법(fsQCA)를 활용한다. 역사적 제도주의 방법은 한 나라 혹은 한 사회의 제도와 행위자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정책변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제도와 행위자에게는 다른 역사적 환경, 즉 역사적 배경과 제도적 맥락이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사회의 정책이나 제도는 기존에 그 사회에 수용되어 운영되는 제도와 그 제도의 운영주체, 그리고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역사적 환경의 경로의존성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미시적으로는 현실세계의 복잡성을 동결과성(equifinality)과 결합적 인과관계에 의해 설명하는 퍼지셋 질적비교방법(fsQCA)를 활용하는데, 이는 사회현상은 복잡하다는 기본인식에서 출발한다. 즉, 사회현상은 단일 원인에 의해 설명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들이 복잡하게 결합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미시적으로 퍼지셋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개별 기초자치단체가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채택한 원인 혹은 원인들의 결합조건을 찾아내고자 했다. 그리고, 연구의 대상 기간은 우리나라에서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광주 북구가 최초로 채택한 2004년부터 지방재정법에 주민참여 예산제도가 강제화된 2011년으로 한정하였는데, 이는 지방재정법에 주민참여 예산제도가 강제화된 이후에는 지방자치단체가 의무적으로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채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개별 지방자치단체가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도입하게 된 진정한 요인을 알아내기 어렵기 때문이다. 주민참여 예산제도 채택요인 분석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제도 도입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의 성향, 단체장과 동일성향 의원비율, 높은 단체장 득표율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지방자치제도하에서 단체장은 중앙정부의 영향을 많이 받고, 새로운 제도의 도입을 위해서는 지방의회의 협조가 필요하며, 당선 시에 지역주민에게 많은 지지를 받아야 정책 추진에 가속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고 할 수 있다.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채택요인에 대한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단체장이 정책을 추진하게 하는 요소에 어떠한 것이 있는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연구는 국제적으로 시야를 넓혀 본다면 아직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채택하지 않은 국가들, 특히 민주주의의 과도기적 상황을 맞이하여 공고화의 단계로 나아가고 있는 국가들에게도 성공적인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도입ㆍ정착을 위해 어떠한 원인조건이 중요한지를 제시해 준다는 측면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아직 주민참여 예산제도를 채택하지 않고, 민주주의 공고화의 단계에 나아가고 있는 해외의 많은 국가들, 특히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민들의 참여욕구가 분출되는 국가들에게는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도입을 위해 환경적, 구조적ㆍ제도적, 행위자적 측면에서 어떠한 요인들이 중요한지를 일정 부분 제기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은 정책적 유용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다. 첫째는 연구대상으로 삼은 주민참여 예산제도라는 정책의 성격에서 발생하는 한계인데. 이 제도는 중앙정부의 성향이 진보인 경우 채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만일 채택 하려는 정책의 유형이 지역산업, 경제 등 다른 성격이었다면 결과가 달라졌을 수도 있을 것이다. 둘째 이 연구는 단지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채택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분석이므로 주민참여 예산제도의 성과나 운영기간 등과 관련된 결과는 상대적으로 알기 어렵다. 마지막으로는 대상변수의 한계이다. 중앙정부의 성향, 단체장 득표율 등 다양한 원인조건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요소는 크게 보면 다양한 행정적 원인조건들 중에 하나이다. 하지만, 어떤 정책의 채택에는 그 지방자치단체 특유의 다양한 역사적, 경제적, 문화적 조건들이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가 향후 이루어지기를 바라며, 그러한 연구에 본 연구가 미약하게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 주민참여예산제도 운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서주은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tual status of operating a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which has been enforced by Jeollabuk-do Education Office and analyze the case of the system. Based on its status and problems found, this researcher has drawn measures to vitalize it. By complementing the problems of the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this author provides the followings as tasks to vitalize it in order to settle it down as a practical system. In institutional aspects, it is necessary to induce diverse systems in accordance with different levels or situations such as the self-governing body’s population, finance, or characteristics. It would not be successful to apply and enforce any successful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of some region in Korea or overseas without any modification.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be needed to introduce a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region’s conditions or situations. Also,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system in order to provide residents with general information including the self-governing body’s financial status, financial soundness, or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n an easy way to understand. Also, regarding the internal stability of operating the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t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for the body chief and civil servants, the subjects of operating the system, to have positive awareness and attitudes in order to operate the system successfully equipped with internal stability. Changing the body chief’s awareness is, in fact, the most crucial factor to vitalize the local government’s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With the induction of the system, the process to be dealt with by civil servants has become more complex and diversified, and their workload has increased, which make them feel a lot of burden about their work. Therefore, in order to induce civil servants’ aggressive cooperation and attitudinal change, it is needed to seek ways to increase their educational opportunities constantly and reduce their workloa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staff. It is also needed to establish institutional devices to provide incentives according to it. Also, what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is for residents to submit their opinion and participate positively. To realize it, in each of the education-supporting offices, it is needed to seek various ways for publicity and constant budget school operation for the residents and civil servants so that it is possible to settle down a system with which residents can participate in the civil participation budget system easily and effectively. Moreover, about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a committee, it is needed to enhance democracy and representability in the operation of a committee. Unlike local assemblymen selected by residents’ voting through election, those out of a number of unspecified residents need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budget organization. It is a matter of who would represent the residents’ opinion or demand and how it is going to be reflected.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for each of the education-supporting offices to select a representative of the region and organize and operate a regional committee. Al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stalling an adolescent committee affiliated to the civil participation budget-consulting committee to collect and reflect the opinions of students, the subjects of education, in diverse w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