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존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태완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The Effects of Parenting method o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Kim Tae-wan Dept. of Counselling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Daejon University This research analysed if self-esteem forms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f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form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arenting methods. The following question were creat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arenting methods.. First, are th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due to gender, grades, parenting methods, or the amount of hours of conversation they have with their parents? ① Are th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due to gender, grades, birth order? ② Are there differences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due to parenting methods? ③ Are there difference i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due to 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Second, does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Third, does middle school students’ parents’ parenting method and the hours of conversation students have with there par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Fourth, does middle school student’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s research used 335 page of collected survey data from 335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jeon. The survey used for the research was made using a scale consisted of a five step Likert-type scale which can measure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quantitatively including gender, grade, parenting method, and birth order which show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research object. In this study, SEI, which was invented by Coopersmith(1967) and translated by Gang Jong gu,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measure self-esteem. The survey used to measure self-esteem is composed of25 questions and is divided into four sub areas, it is composed of six questions about leadership and popularity, five question about self deprecation, seven question about assertiveness and seven question about relationships with others. To measure career attitude maturity, I used a career attitude maturity inspection which Lee Gi-hak(1997) invented based on CMI which Crites(1978) made.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survey is composed of 47 questions divided into 5 sub areas. The five area is ten questions about decisiveness -to see how sure you are about the career and job you are trying to choose, ten questions about readiness -to know your ability to collect career information which is needed to make the right career decision, and your level of decision making ability, nine question about independence -to see how much subjectivity you have in your career decision, eight question about the purpose of seeking personal value through career choice and the compromise between my intrinsic desire and reality, and lastly ten questions about the ability to look at accurate information on career choices. Collected data are analysed and organized by using SPSS 20.0. For reliability verification of collected data I calculated the coefficient using Cronbach’s Alpha. The mean values, standard deviations, frequency, and significance of each variable were calculated and enforced one way ANOVA to look for the mutual influence of each variable. Also to look for each variable’s correlation I enforced Pearson’s correlation.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First, as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variable made by respondent’s characteristics and self-esteem, it is clear that parenting method and students’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self-esteem. As for fathers parenting method(F=8.996, p<.001) it appeared that a permissive and democratic method resulted in higher self-esteem for the child’student than an authoritarian and neglectful method. When analyzing the mother’s parenting method the result were also the same. It is shown that through students’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the resulting difference in self-esteem is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data self-esteem gets higher as the student’s hours of conversation with parents get longer. As the hour having conversation with father(F=9.113, p<.001) grows self-esteem got higher, also as the hour having conversation with mother(F=9.206, p<.001) grows self-esteem got higher. Second, as when looking at the results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due to respondent’s characteristics the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time the students spent talking with the parents. In hours of conversation with father(F=5.871, p<.001) career attitude maturity got higher as the hours having conversation with father got longer. When the number of hours spent in conversation with father was more than one it resulted in the highest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hours having conversation with mother(F=4.970, p<.002) had same result.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s I looked at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elf-esteem’s sub area’s correlation, it showed positive correlation in order of certainty(r=.630), independence(r=345), decisiveness(r=.262), readiness(r=.225), and objective(r=.195). The thing that shows correlation with sub area of self-esteem is career attitude maturity’s certainty. In this situation it appeared to have 0.423~0.630 range of correlation value.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존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 전공 김태완 본 연구는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에 따라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가 영향을 받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이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아존중감이 진로태도성숙도에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학년별, 출생순위,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① 성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② 학년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③ 출생순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둘째 부모 양육태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 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셋째 부모대화시간에 따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는 있는가? 넷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진로태도성숙도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를 대전시에 소재하는 일반적인 중학생 335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자료 335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성별, 학년별, 부모양육태도, 부모와 대화시간, 출생순위를 포함하여 진로태도성숙도 및 자아존중감을 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Likert식 5단계 평정척도로 구성된 척도지로 작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용한 조사도구는 Coopersmith(1967)가 연구하여 만든 SEI (Self-Esteem Inventory)를 강종구(1986)가 한국어판으로 바꾸어 표준화한 것을 가지고 사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지의 문항은 총 2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4가지 하위영역으로 다음과 같은 분류로 -‘지도력과 인기’ 6문항, ‘자기비하’5문항,‘자기주장과 불안’7문항,‘타인과의 관계’7문항 - 구성되어 있다. 진로태도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조사도구는 Crites(1978)의 진로성숙검사(CMI)를 기본적인 자료로 사용하여 이기학(1997)이 우리나라 청소년의 실정에 맞도록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하여 개발한 진로태도성숙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47문항으로 구성된 진로태도성숙도 척도지는 5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5개의 하위영역 중 결정성 10문항은 본인이 찾으려는 진로 및 직업에 대해 어느 정도 확실하게 결정하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고, 준비성 10문항은 올바른 진로선택에 필수적인 진로정보 수집능력과 의사결정 능력을 얼마나 갖추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고, 독립성 9문항은 본인의 진로선택에 어느 정도 주체성을 갖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고, 목적성 8문항은 진로결정을 통하여 가치추구 및 본인이 가지고 있는 욕구와 현실적 타협 정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었으며 , 마지막으로 확신성 10문항은 진로선택에 대하여 어는 정도의 확신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고 이를 토대로 분석 정리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크론바하 알파(Cronbach’s Alpha)값을 산출하였다. 각 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빈도, 유의확률과 같은 기술 통계치를 산출하였고, 일원분산분석(적량, One-way ANOVA)을 실시하여 각 변인에 따른 상호 영향관계를 살펴보았다. 일원분산분석에서는 사후 분석(Scheffe)을 통하여 집단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또한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피어슨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통계 처리하여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알게 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특성(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른 주요 변수들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대화시간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유의한 통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태도에 있어서 부양육태도(F=8.996, p<.001)는‘권위주의적’,‘무관심’인 경우보다‘허용적’이거나‘민주적’인 경우에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모양육태도(F=4.881, p<.002)도‘권위주의적’또는‘무관심’인 경우보다‘허용적’,‘민주적’인 경우에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와의 대화시간에서는 자아존중감의 차이가 유의한 통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 대화 시간이 길어지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대화시간(F=9.113, p<.001)에 있어서 대화시간이 길어지면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모대화시간(F=9.206, p<.001)도 부대화시간과 마찬가지로 대화시간이 길어질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특성(부모의 양육태도 및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부모와의 대화시간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나타났다. 부대화시간(F=5.871, p<.001)은 아버지와의 대화시간이 짧은 것보다는 길게 대화를 하면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졌다. 부대화시간이 1시간 이상일 경우에 가장 높은 진로태도성숙도를 나타냈으며, 모대화시간(F=4.970, p<.002)도 부대화시간과 마찬가지로 대화시간이 길어지면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졌다. 모대화시간에서도 대화시간이 1시간 이상일 경우에 가장 높은 진로태도성숙도를 나타냈다. 셋째,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와 사이에는 유의한(p<.001, 양쪽)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진로태도성숙도는 자아존중감(r=.501)과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진로태도성숙도와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자기주장불안’(r=.489),‘자기비하’(r=.437),‘지도력인기’(r=.421),‘타인관계’(r=.360)의 순으로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소들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확신성’(r=.630),‘독립성’(r=.345),‘결정성’(r=.262),‘준비성’(r=.225),‘목적성’(r=.195)의 순서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소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진로태도성숙도의 확신성이다. 이때 상관관계 값은 0.423 ~ .630 범위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활용이 진로태도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조연교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성격강점과 활용이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기도 소재 전문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23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성격강점검사(CST), 한국판 강점활용척도, 진로태도 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국가고객만족지수(NCSI: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의 대학교 고객만족도 조사 설문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 만족도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성격강점과 성격강점 활용이 진로태도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해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으나, 진로준비행동과 대학생활만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학년에 따라서는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대학생활만족도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선택 시기는 초등학교 때 선택한 경우가 진로태도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이 높은 경향을 보였고, 대학생활만족도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선택에 대한 만족 정도가 높을수록 진로태도 성숙도와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적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와 대학생활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준비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사후검정 결과 성적별 집단 간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성격강점과 성격강점 활용, 진로태도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에서는 성격강점의 하위요인들과 진로태도성숙도의 상관을 살펴보면 학구열, 호기심, 활력, 친절, 감사, 진실성, 창의성, 용감성, 자기조절, 지혜, 감상력, 개방성, 낙관, 사랑, 사회지능, 겸손, 신중성, 시민정신, 리더십이 진로태도성숙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의 경우 학구열, 호기심, 활력, 친절, 진실성, 유머, 창의성, 용감성, 자기조절, 지혜, 감상력, 끈기, 개방성, 낙관, 영성, 사회지능, 신중성, 시민정신, 리더십, 공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강점의 하위요인들과 대학생활만족도의 상관에서는 학구열, 호기심, 감사, 용서, 자기조절, 영성, 사랑, 시민정신, 공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격강점 활용과 진로태도성숙도, 진로행동준비, 대학생활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보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간 다중회기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성격강점의 하위요인인 진실성, 학구열, 사랑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강점 하위요인 중 자기조절, 감상력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치나 친절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정성, 학구열, 사랑, 자기조절은 대학생활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개방성, 창의성, 리더십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격강점 활용은 진로태도 성숙도, 진로준비행동, 대학생활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보이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진로지도에 성격강점과 성격강점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제한점에 대해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how the college student’s character strength and relevant use have an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survey targeting 223 junior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Such methods as Character Strengths Test(CST), Korean Strengths Use Scale, Career Maturity Inventor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were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questionnaire of Colleg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of the National Customer Satisfaction Index(NCSI) was also us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how the character strength and relevant use have an effect on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difference analysis of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ed that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women was higher than that of men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term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ades(school years) in terms of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the higher the grade, the lower the satisfaction in case of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As to the time of selecting major, the career maturity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ended to be higher in case of selecting the major in elementary school while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was not influenced by it. Also, the higher the satisfaction of selecting major,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Fi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maturity level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grades. As to the grad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found, but it was identified through the post-hoc comparison that the difference was not meaningful in term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etween groups by grade. Second, in term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and career maturity level in the relation of character strength and relevant use,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 career maturity level statistical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rdor for study, curiosity, vitality, kindness, gratitude, honesty, creativity, braveness, self-regulation, wisdom, appreciative power, openness, optimism, love, social intelligence, modesty, prudence, citizenship and leadership.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rdor for study, curiosity, vitality, kindness, honesty, humor, creativity, braveness, self-regulation, wisdom, appreciative power, patience, openness, optimism, spirituality, social intelligence, prudence, citizenship, leadership and fairness. Also, the sub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statisticall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rdor for study, curiosity, gratitude, forgiveness, self-regulation, spirituality, love, citizenship and fairness. Finally, there was statistically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use of character strength and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showed that the sub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including honesty, ardor for study and lov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maturity level. Also, in terms of the sub 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self-regulation and appreciative powe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kindn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t. Finally, fairness, ardor for study, love and self-regul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while openness, creativity and leadership had a negative influence on it. Fourth, the use of character strength had a correlation with the career maturity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they all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mutually. Lastly, in terms of career guidance, the career strength and the necessity of relevant use were discussed here, an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also described.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전공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도의 매개 효과

        양필숙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6

        이 연구의 목적은 취업을 준비하는 4년제 대학교 3학년 이상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도, 취업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전공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 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상담 장면에서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태 도성숙도, 취업준비행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한다. 또한, 상담 장면에 서 대학생의 전공, 진로, 취업의 문제를 진단하고 적절한 지도와 상담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세웠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효능감,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도, 취업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공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도는 자 기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취업준비를 하고 있는 충남, 경기지역 4년제 대학교 281명의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 진로태도성숙도, 취업준비행동 을 측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자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검정하였다. 구조방 정식 모형을 통하여 변인의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가설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검증되었다. 첫째,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성숙도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였으며, 자기효 능감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기효능감과 전공만족도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였으며, 자기효능감이 전공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공 만족도와 진로태도성숙도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였으며, 전공만족도가 진로 태도성숙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진로 태도성숙도와 취업준비행동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였으며, 진로태도성숙도 가 취업준비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 째,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여섯째, 자기효능감과 취업준비행동의 직접경로가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공만족 도와 진로태도성숙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취업준 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도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공만 족도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은 전공만족도 를 매개로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공만족 도는 진로태도성숙도를 매개로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면 자신에게 주어 진 전공 및 학업을 탁월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진로태도를 향상시켜 적 극적인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줄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 한 이해를 확장시키고 더 나아가 상담 장면에서 취업준비행동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내담자의 문제에 대한 적절한 진로지도 및 상담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여 내담자의 행동 촉진과 만족도를 제고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f more than three-year students of universities who prepare for employments and to provide data for appropriat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as this study diagnoses problems on major and career and employment that individuals experience through understanding of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in counseling scenes by verifying the medit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bout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s per this purpose, the study questions were asked as described below. First, how ar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Second, are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For doing this, this study measured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of 281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s from universities in Chungnam and Gyunggi regions. This study implemented analysis on the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o examine study participants’ overall tendencies. The consistency and relational test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were conducted. Analysis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onducted to determin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nd the verification on the mediating effects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ould be determined that the direct path of self-efficacy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ignificant and self-efficacy had positive impa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Second, could be determined that the direct path of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was significant and self-efficacy had positive impacts on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Third, it could be determined that the direct path of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significant and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had positive impa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Fourth, it could be determined that the direct path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was significant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had positive impact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Fifth, the direct path of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wasn’t significant. Sixth, the direct path of self-efficacy and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wasn’t significant. Lastly, the result from analysi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n impacts that self-efficacy had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showed that when self-efficacy had impact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career attitude maturity mediated and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didn’t mediate. However, self-efficacy had impacts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s mediating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Satisfaction levels on major had impact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s mediating career attitude maturity.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hat if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is improved, they can outstandingly carry out their major and studies and this makes career attitudes improved and will have impacts on activ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results can make university students widen understanding of factors to affect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and further, the study results can make counselees promote their behaviors and improve their satisfaction levels by providing data for appropriate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on problems of counselees that appeal to their difficulties of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s in counseling scenes.

      • 대학생의 전공수업 몰입경험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신맹자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5

        대학생의 전공수업 몰입경험과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진로태도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진로결정이 확실한 예체능과 의과대학생을 제외한 서울, 경기, 강원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의 재학생 512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전공수업 몰입경험척도, 진로태도성숙 척도, 진로결정수준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t-test 와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과 회기분석을 실시했으며, 매개효과를 위해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배경에 따른 전공수업 몰입경험과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 차이를 보면 먼저, 전공수업 몰입경험은 대학생의 배경요인 중에서 전공, 전공 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1, p<.001) 차이를 보였다. 인문, 사회, 경상계열이 자연, 이공계열보다 전공수업 몰입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전공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업시간에 몰입경험을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태도성숙도는 전공만족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P<.001)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은 학년과 전공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p<.01, p<.001)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전공수업 몰입경험은 진로태도성숙 및 진로결정수준과 정적상관을 보이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수업 몰입경험 총점과 하위요인 모두에서 진로태도성숙도 및 진로 결정 수준과 정적 상관을 갖고,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태도 성숙도가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다른 변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설명량(56%)을 나타냈다. 셋째, 전공수업 몰입경험과 진로결정 수준과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이 완전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전공수업 몰입경험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결정수준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전공수업 몰입경험을 많이 할수록 진로태도가 성숙하고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상담을 할 때 개인의 몰입경험을 진로와 연결시켜 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작은 몰입경험이라도 내담자가 인식하고 증진시킬 수 있도록 도움으로써 진로태도성숙의 발달을 높이며 진로결정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ajor class flow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paper were 512 students presently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Gangwon excluding students of arts and physical studies or medicine whose career decision is comparatively firmer. As measuring tools, the major class flow experience scale,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and career decision scale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mediating effec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shown below.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s of major class flow exper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of the students, first, major class flow experienc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jor and major satisfaction among the background factors of the students (p<.01, p<.001). And it was found that students of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business, trade, & economics indicated more flow experience than those of natural sciences and engineering. Also, it was shown that as they ha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their class flow experience was greater. Next, career attitude maturity indic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the major (P<.001). And career decis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grade and major satisfaction (p<.01, p<.001). Second, it was found that major class flow experi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affected them significantly. And all the subfactors and total scores of major class flow exper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affected them significantly. Also, in the effect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on career decision, it showed relatively higher explanatory power (56%) than other variables. Third, in the correlations between major class flow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 career attitude maturity exhibited perfect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major class flow experience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and as students have more major class flow experience, their career attitude gets mature and career decision becomes firmer. This result can be helpfully used in enhancing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if each student is encouraged to connect his flow experience with his course during career counseling and the counselee gets aid to recognize and improve even a small flow experience he has in his daily life.

      • 성격 5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계

        오현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5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help the adolescents who have difficulties on choosing their careers and teachers who guide or counsel those adolescents. So this paper investigated relationship between Five Factor Personality Dimension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The research them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tudy Question 1. Whether gender distinction and school distinction have influence on Five Factor Personality Dimensions? Study Question 2. Whether gender distinction and school distinction has influence on F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Study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Factor Personality Dimension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In order to approach to these questions 458 students were sampled from high schools in Kyung-gi province and Dajeon cit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are Korean Five Factor Personality Dimensions by An, Chang-kyu and Lim, Kyung-i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For the collected data for this study were dealt with SPSS WIN(ver 12.0) statistically and the data were analyzed statistically by t-test and correlation.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der and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ve factor personality dimension. Gir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Extraversion, Neuroticism and Agreeableness than boy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tha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n terms of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Gir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self-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understanding of work's importance and independence influence than boy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self-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understanding of work's importance, independence than industrial high school students. Thir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ve factor personality dimens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except Neuroticism and Openness. Consequently, it is clear that five factor personality dimension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scale have much correlation. Teachers should have concerns of student's personality and guide career. Also, teachers should know that students who showed high score of Neuroticism and Openness may have low understanding of work's importance.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의 성격과 진로태도성숙도와의 관련성을 검증하여, 학교 현장의 교사가 진로선택의 어려움을 겪는 고등학생들에게 진로지도나 진로상담을 할 때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격은 성별과 학교 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는 성별과 학교 계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본다. 셋째, 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의 하위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본다.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과 대전의 인문계와 전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들로 남학생 160명과 여학생 298명으로 총 458명이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성격 5요인 검사 도구는 NEO-PI-R의 원저자인 Costa와 McCrae(1992b)의 승인과 미국 PAR의 허가를 받아 안창규 · 이경임(1996)에 의해 우리말로 번안 된 후 요인분석을 거쳐 선별한 간편 NEO 인성검사로 외향성, 신경증, 성실성, 친화성, 개방성의 5개 하위요인을 측정하기 위한 60문항이 사용되었다. 또한 진로태도성숙도 검사 도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2001)이 개발한 진로에 관한 태도와 능력 및 준비행동 검사의 세부분 117문항으로 이루어진 진로성숙도 검사중에 태도검사 부분인 54문항이 사용되었다.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성별과 학교 계열에 따라 성격 5요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별과 학교 계열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성격 5요인의 하위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게 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은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외향성, 신경증, 친화성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과 학교 계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신경증과 성실성에서 인문계가 전문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자기이해, 계획성, 일의 중요성 인식, 독립성에서 여자가 남자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진로태도성숙도와 학교 계열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인 자기이해, 계획성, 일의 중요성 인식, 독립성의 모든 영역에서 인문계가 전문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의 하위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5요인의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은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요인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다. 즉 성격 5요인의 외향성, 성실성, 친화성이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도의 자기이해, 계획성, 일의 중요성 인식과 독립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 5요인의 신경증은 진로태도성숙도의 계획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진로태도성숙도의 일의 중요성 인식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신경증이 높으면 계획성도 높으나, 일의 중요성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 5요인의 개방성은 진로태도성숙도의 독립성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고, 진로태도성숙도의 일의 중요성 인식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 즉, 성격 5요인의 개방성이 높으면, 진로태도성숙도의 독립성이 높으나 일의 중요성 인식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성격 5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성별과 학교 계열에 따라 성격 5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가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 성격 5요인의 성실성이 진로태도성숙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 그리고 성격 5요인의 신경증과 개방성이 진로태도성숙도의 일의 중요성 인식과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진로를 담당하는 교사들은 상급학교로의 진학과 직업세계로의 진입의 갈림길에 있는 고등학생에게 자신의 성격을 이해하고 그 이해의 기초위에 진로태도성숙을 발전시켜 나감으로써 진로 선택에 도움을 주고, 진로상담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 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

        장추희 가톨릭관동대학교 경영행정창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2021년 3월 2일부터 3월 31일까지 강원도 지역의 미용학원에 수강중인 60대 이하 연령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생들의 교육만족도, 진로태도성숙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 교육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진로태도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변수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교육서비스품질은 반응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의 4요인, 교육만족도는 단일 요인, 진로태도성숙도는 확신성, 준비성, 목적성, 결정성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의 반응성, 유형성, 공감성 요인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 요인은 진로태도 성숙도의 확신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교육서비스품질의 반응성 요인은 진로태도 성숙도의 준비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태도 성숙도의 결정성 요인은 교육서비스품질의 반응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학원의 교육만족도 요인은 진로태도성숙도 하위요인의 확신성, 준비성, 결정성 요인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목적성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미용학원의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태도성숙도 관계에서 교육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보았을 때, 교육서비스품질의 유형성, 확신성 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준비성, 목적성, 결정성 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종합적인 결과는 학습기자재, 교육환경, 정보제공, 진로상담 등의 요구사항을 신속히 대응하는 것이 교육만족도를 높이고 진로태도 성숙도에도 높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의 기업화된 프랜차이즈 학원, 대형 학원들의 폭넓은 연구가 절실하며, 연구대상의 범위를 다양한 지역과 성별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추가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미용전문 인력양성 기관으로서 질 높은 교육 제공 및 유능한 인재 양성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학생들이 미용산업 발전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교육서비스품질, 교육만족도, 진로태도성숙도, 미용산업발전

      •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성격 5요인 및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

        이현아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5

        대학생은 지금까지의 진로탐색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미래를 선택하는 진로발달 단계에 위치한다. 진로(career)의 의미가 전 생애로 확대되며 대학생의 진로결정은 전반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올바른 진로결정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의 성공적인 전환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현실과는 달리 사회·경제적, 심리적인 원인 등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은 점점 더 어려워지는 실정이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졸업자의 절반만이 취업에 성공하고 있으며 어렵게 취업에 성공한 세 명 중 한 명은 적성, 흥미, 전공 불일치 등의 이유로 재취업에 도전하고 있다. 따라서 대학생 대상의 효과적인 진로상담이 요구된다.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첫 번째 단계는 내담자의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해 분명히 이해하는 것이다. 성숙한 진로발달은 그 바탕이 되는 올바른 진로태도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진로상담을 위해 먼저 내담자의 진로태도성숙도를 분석, 이와 더불어 개인의 성격 및 특성 요인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과 성격 5요인 및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는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은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을 성별, 학년, 근로경험, 부모직업기대 지각으로 정의하고 이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또한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설문은 2014년 3월 18일부터 2014년 3월 25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강원도 소재 대학교 및 인천광역시 소재 청소년 기관에 소속된 남·여 대학생 315명이었다. 측정도구는 성격 5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Goldberg(1999)가 제작한 성격 5요인 검사(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IPIP)를, 진로태도성숙도를 파악하기 위해 이기학(1997)의 진로태도성숙도검사(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CAMI)를 활용하였다. 또한 개인적 특성을 성별, 학년, 근로경험, 부모직업기대 지각으로 정의하고 이에 따른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자료는 윈도우용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성격 5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independent t-test) 및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넷째, 대학생의 성격 5요인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년 및 부모직업기대 지각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에 차이가 있었다. 여학생은 준비성(M = 3.85, p < .01)과 목적성(M = 3.51, p < .05)이 남학생은 독립성(M = 3.61, p < .05)과 확신성(M = 3.26, p < .05)이 높았다. 1학년은 독립성(M = 3.70, p < .01)이, 4학년은 준비성(M = 3.86, p < .01)이 높았다. 부모직업기대 지각이 높을 경우 준비성(M = 3.97, p < .01)이, 낮을 경우 목적성(M = 4.81, p < .01)이 높았다. 둘째, 성격 5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에 상관이 나타났다. 진로태도성숙도는 신경증과 부적 상관(r = -.25, p < .01)을, 신경증을 제외한 나머지 4요인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성격 5요인은 진로태도성숙도에 개방성, 신경증, 성실성, 외향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요인 중 확신성(R2 = .38, p < .001)이 성격 5요인에 가장 큰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성격 5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대학생의 성격 5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 각각을 주요 변인으로 다룬 연구는 있었지만 두 변인의 직접적인 관계를 다룬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 대학생 집단에서도 진로태도성숙도를 예측하는 데 있어 성격 5요인이 유용한 심리적 구인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에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진로상담에 앞서 성별, 학년, 근로경험, 부모직업기대 지각 등의 기초적인 정보를 파악하는 것으로도 내담자의 진로발달 정도를 쉽게 예측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진로상담의 방향을 제시해 줄 것이다. 효과적인 진로상담은 내담자의 개인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에 대한 분명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생의 개인적·심리적 특성과 진로태도성숙도의 관계 분석을 통해 진로상담에 필요한 종합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university students are on a career development stage for making career decision by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Career decision making for the university students becomes more important because it has effects on quality of life. Also making an appropriate career decision means a successful change from an adolescent to an adult. However, it becomes more difficult to make career decision by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situations in spite of high interests in careers of the university students. Nowadays half of university graduates are getting their job but a third of them quit their job due to their aptitudes, interests, major disagreement and so on. Therefore, the effective career counseling for the university students is required. The first step of effective career counseling is understanding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Career maturity comes with right career attitudes so it is important to analysis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of clients. Also personal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to get concrete data for the career counse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big five personalty factors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s. Hypothesis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llows: First, differences will exist i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Second,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will influ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For the hypothesis testing, sex, grade, working experiences and job expectation of parents are defined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rch 18, 2014 to March 25, 2014. The participants were 315 students of larg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Incheon and Gangwon province in Korea. The participants completed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Goldberg, 1999), Career Attitude Maturity Inventory (Lee, 1997) and some questions about individual characteristic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samples by SPSS for Windows 18.0.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u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prove hypothe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was to examine differences in career attitude maturity by sex, grade and job expectation of parents. Fe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point in preparation (M = 3.85, p < .01), purpose (M = 3.51, p < .05), while male students showed the highest in independence (M = 3.61, p < .05), confidence (M = 3.26, p < .05). The freshmen showed the highest point in independence (M = 3.70, p < .01), while the forth grades (M = 3.86, p < .01) showed the highest point in preparation. The higher job expectation of parents showed, the higher preparation (M = 3.97, p < .01) appeared. The lower job expectation of parents showed, the higher purpose (M = 4.81, p < .01) appeared. Third was to assess that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influence on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This study was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big five personalty factors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Neuroticism showed negative correlation (r = -.25, p < .01) with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while others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Confidence was the most influenced factors by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Results indicate that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re effective concepts to predict university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refor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re early indicators for the effective career counseling. It will giv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career counseling.

      • 중학생의 自我尊重感과 進路態度成熟度 및 學級應集力의 관계

        신윤득 國民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 자아존중감과 학급응집력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학년에 따라 자아존중감, 진로태도성숙도, 학급응집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성별에 따라 자아존중감, 진로태도성숙도, 학급응집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자아존중감의 수준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와 학급응집력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Y시에 위치한 S중학교 2, 3학년 4학급씩 총 8학급 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는 SPSS/Win ver12.0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 학급응집력은 3학년이 2학년보다 높은 평균 점수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의 하위변인 중에서 자기주장, 불안과 진로태도성숙도의 변인 중에서 준비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성별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진로태도성숙도, 학급응집력을 비교해 보았을 때 먼저 자아존중감의 평균 점수는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하위변인 중에서 지도력과 인기에 있어서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에 자기주장과 불안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성별에 따른 진로태도성숙도는 평균점수에 있어 여학생이 남학생들보다 높았다. 특히 하위변인 중, 목적성과 진로성에서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학급응집력의 차이에 있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평균 점수를 나타내었고, 하위변인에 있어서 상호신뢰, 의사소통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자아존중감의 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진로태도성숙도에서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하위변인에서는 독립성을 제외하고 모든 변인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아존중감의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의 학급응집력의 차이를 비교해 본 결과, 상위집단이 하위집단에 비해 학급응집력의 평균 점수가 높았으며 학교응집력의 하위변인 모두가 유의한 결과가 나왔다. 특히 학습분위기, 일체감, 사기, 상호신뢰, 의사소통의 순서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자아존중감이 개인의 진로태도성숙도나 집단의 응집력 모두에 긍정적인 변인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학교 현장에서의 노력을 통해 청소년의 올바른 진로선택과 결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뿐 아니라 학급응집력을 높임으로써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학급생활에 만족감을 갖게 하여 학급의 과업에 보다 생산적이고 효율적으로 임하는 바람직한 결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what relations are there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ir self-esteem and cohesiveness of classroom. For this purpose of the study, we set up the following questions. 1.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ohesiveness of classroom by their school grade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the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ohesiveness of classroom by their genders? 3.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ohesiveness of classroom by the grades of their self-esteem? To achieve this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 middle school in 'Y' city, Gyunggi-Do, where 323 students of the second and the third grades from 8classrooms each 4classrooms in each grade - involved in the survey. We use SPSS/Win ver 12.0 program to analyze this dat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the followings. 1. The average marks of the third grade's self-esteem,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ohesiveness of classroom by the grad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second-grades' but this was not a statistically meaningful. But we can see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wo factors of the under self-esteem ; self assertion and anxiety and a factor of the under academic attitude maturity; readiness. 2. When we compare the differences among their self-esteem,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ohesiveness of classroom, there are no distinct differences in the average marks of their self-esteem by their genders, but the girl students' average marks in the leadership and the popularity of the under self-esteem showed much higher than boy students'. On the other hand, in the students' self-assertion and anxiety, boy students' average marks are higher than girl students'. Girl students' average marks of career attitude maturity were higher than boy students'. Girl students got higher grades than boy students' especially in their objectiveness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the under factors. Girl students' average marks were higher than boy students' in the difference of cohesiveness of classroom by their genders. Girl students' average marks of mutual-trust, and communications in the under factors were much higher than boy students'. 3. The high ranking group of self-esteem get higher grades than the low ranking group of self-esteem in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how high interrelation in all factors of the under self-esteem except independence. 4. When we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 cohesiveness of classroom between the high ranking group and the low ranking group, the high ranking group's average marks of the cohesiveness of classroom are higher than the low ranking group's, and in all the factors of the under cohesiveness of classroom, especially in the following orders, leaning circumstance, a sense of unity , morale, mutual trust and mutual communication, the high ranking group's average marks are higher than the low ranking group's. Through the above, we can conclude that the self-esteem as a positive factor, play an import role to all the individual'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 group's cohesiveness. Therefore, with our teachers' efforts to improve the students' self-esteem we can not only hep students make a right choice on the academic selection but also feel satisfied with the school lives on the base of the mutual trust by improving the cohesiveness of classroom, and have them do their classroom assignment more productively and efficiently.

      • 靑少年自活支援館 利用 貧困靑少年의 進路態度成熟에 影響을 미치는 要因

        박은미 仁濟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725

        빈곤한 청소년들은 초등학교시절부터 불충분한 양육과 문화경험, 사교육의 기회로부터 소외되고 기초학습능력이 부진하게 되어 결국 실업계고등학교를 진학하고 졸업을 하더라고 특별한 기술을 가지지 못하고 임시직이나 실업자로 전략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즉 졸업 후 바람직한 진로를 선택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해 능력발휘의 기회, 인간관계,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치관과 태도, 정신 및 신체적 건강, 가족관계, 거주지 등 생활의 모든 양식이 결정되고, 개인의 전 생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빈곤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어떠한 변수들이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하여 올바른 진로를 결정하지 못하고 갈등을 겪고 있는 빈곤청소년들의 자립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조사대상자는 청소년자활지원관을 이용하고 있는 빈곤청소년 중 고등학교 1학년부터 3학년까지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6년 3월부터 8월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 중 179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6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 중 총 166부가 본 연구의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for Window 10.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진로태도성숙도에 대해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전체 평균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하위요소인 결정성의 경우에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준비성의 경우에는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계열의 경우에는 하위요소인 결정성에서 인문계고등학생이 실업계고등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자활지원관 이용 빈곤청소년의 요인과 진로태도성숙도간의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에 대해 살펴 본 결과 가정환경요인인 부모양육태도에서는 진로태도성숙도와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적 요인에서는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내적통제감일수록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환경요인에서는 교사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졌으며, 청소년자활지원관요인으로는 기관의 이용만족도가 높을수록, 기관의 이용정도가 많을수록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자활지원관 이용 빈곤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에 대한 각 변수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남성일수록, 실업계고등학생일수록, 보호자의 학력이 낮을수록, 친구의 지지가 높을수록, 청소년자활지원관의 이용정도가 높을수록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빈곤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필요한 몇 가지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문계고등학교를 진학한 빈곤청소년의 경우에는 열악한 가정환경과 교육적 혜택의 부족, 진로에 대한 정보력 부족 등으로 취업과 대학진학사이에서 많은 갈등을 하게 되며 진로에 대한 준비가 부족할 가능성이 많다. 따라서 인문계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진학동안 자신의 진로를 준비하고 결정할 수 있도록 진로상담, 진로교육, 진로정보제공, 진로지도 등을 더욱 체계적이고 전문화할 필요가 있으며 학비지원을 통해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고 진로의 폭을 넓혀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빈곤청소년의 경우 비슷한 환경에서 자라난 친구들과 관계를 형성하게 됨으로서 서로간의 긍정적인 모델이 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친구와의 올바른 관계형성과 서로 간에 긍정적인 모델이 되고 조언자가 될 수 있도록 지역 내 청소년 관련 민간기관에서는 또래관계에 관련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되어지며, 학교와의 활발한 교류와 연계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들이 또래관계형성 관련 프로그램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빈곤청소년들이 청소년자활지원관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내·외부적인 문제점을 보안하고 역할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즉 분산되어 있는 부처별 업무의 원활한 상호연계를 통해 청소년 종합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청소년자활지원관에서는 진로에 관한 프로그램을 진단, 평가, 개발함으로서 진로프로그램에 대한 집중이 요구되어 진다. 또한 기관의 근무환경의 개선과 지방자체단체의 긍정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 기관의 정체성을 찾고 빈곤청소년의 자립을 위해 전문적인 진로지도를 할 수 있도록 역할 강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자활지원관을 이용하고 있는 빈곤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므로 빈곤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에 대한 해석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는 조사대상을 청소년자활지원관으로 한정하지 않고 빈곤청소년의 자활·자립을 돕는 관련 기관에 대한 포괄적인 조사와 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빈곤청소년까지도 확대하여 조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일반청소년과 빈곤청소년의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비교연구를 통해 차이점을 알고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해석을 좀 더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 Due to insufficient fostering, cultural experiences and private education, many poor teenagers make little progress in their basic learning and continue their studies at a vocational high school. After graduation, they tend to become temporary employees or the jobless. That is to say, they may not choose better jobs after graduation. As a result, their individual capabilities, human relations, social and economical status, values and attitude, mental and physical health, family relations, and the location of home are decided. Therefore, this study will investigate which factors affect the poor teenagers' career attitude maturity to provide basic data for helping poor teenagers with difficulties to stand by themselves. The sample of this research is poor teenagers in the first and third grades of high school those who use Korea Self-Sufficiency Promotion Agency. This survey was performed from March through August, 2006. The response rate of the survey was 60%, 179 questionnaires returned out of total 300. Only 16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because of incomplete questionnaires. SPSS Win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o perform various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otal average career attitudes maturity scores show no difference in gender. Boys' determination score was higher than girls' while girls' preparation score was higher than boys'. Students of academic high schools' determination score was higher than studen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Second, fostering attitudes of teenagers' parents did not affect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However, the higher the self-efficacy and internal control are, the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 is. The higher supports from teachers and friends are, the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 is. And the more satisfied they are with the agency, the higher career attitude maturity score is. Third, the multiple regression shows that boys' maturity score was higher than girls', and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maturity score was higher than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Moreover, the result shows that students whose parents have low education showed higher maturity scores than students with highly educated parents. Lastly, students with more supports from friends show higher maturity scores, and students who use frequently the agencies show higher maturity scores. Through the results, I'd like to suggest some proposals to promote the poor teenagers' career attitude maturity: First, poor students in academic high schools have many troubles between going to work and going on to university due to poverty and insufficient educational benefits. So they are not prepared to determine their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more systemic and specialized supports including counseling, education, information and guidance about their future. In addition, the opportunity for higher education shall be provided to the poor students, and the choices of their future should be widened through payment of school expenses. Second, poor teenagers usually do not have good role models. The teenager-related agencies should develop various programs for good friendship so that they can become good role models and advisors for each other. In addition, they should provide opportunity for the teenagers to easily get access to the programs through active exchange with schools. Third, an unified support agency for teenager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proper coordination of dispersed departments. The agency should diagnose them, and evaluate and develop programs for teenagers' career. In addition,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agency and local government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is connection, the agency will find its identity and strengthen its role for teenagers' career guidance.

      •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장동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4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중학교 3학년 학생 4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진로태도성숙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상관분석과 표준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지지 하위요인을 도구적 조력, 진로관련 모델링, 언어적 격려, 정서적 지지 등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 하위요인을 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정서 중심적 대처로 하였다. 진로태도성숙도의 하위 요인은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 등 5가지 요인으로 구분하여 변인들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지는 전체적으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하위영역별로는 여학생이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여학생이 사회적 지지 추구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고, 진로태도성숙도는 전체적으로 여학생이 높았다. 둘째,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진로태도성숙도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영역 사이에 모두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태도성숙도는 부모지지, 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와 상관이 있었으나 정서 중심적 대처와는 상관이 없었다. 셋째, 남학생의 경우 부모지지가 진로태도성숙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여학생은 부모지지가 진로태도성숙도 전체에 영향을 미쳤고, 특히 진로관련모델링이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8228;여학생 모두 문제 중심적으로 대처할 때 진로태도성숙도가 높았고, 정서 중심적으로 대처할 때 부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이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지지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으나 스트레스 대처방식, 진로태도성숙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또한 각 변인들 간에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으며, 부모지지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진로태도성숙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성별에 따라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나 하위변인에 약간의 차이가 있으므로 성별을 고려하여 진로지도할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