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기남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751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 육 학 과 이 기 남 지 도 교 수 조 규 판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 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부산시, 김해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1~4학년을 대상으로 각 학년 및 성별에 따라 최소 50 명 이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다. 1학년의 경우 진로정체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이 가장 높고, 2~4학년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이 가장 높다.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과 진로탄력성, 진로성숙도 순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상관이 높고,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탄력성, 진로성숙도 순으로 진로준비행동과 상관이 높다. 둘째, 대학생의 학년 및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만, 진로탄력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1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학생은 진로정체감이,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2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성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녀학생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3학년 전체의 경우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정체감, 진로성숙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여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4학년 전체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만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남학생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여학생은 진로성숙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전체 대학생의 경우,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남녀학생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정체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 시기의 진로준비행동은 학년 및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접근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학년이나 성별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학차원에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진로상담, 체험을 위한 진로프로그램, 진로 관련 특강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 전문대학생이 인식한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

        이민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전문대학생이 인식한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문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전문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가지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경기/인천/강원, 대전/충청/세종, 부산/울산/경남/제주, 대구/경북, 광주/전남/전북 지역 소재의 전문대학교에 재학 중인 3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진로장벽 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은영(2001)이 개발한 한국 대학생 진로탐색장애검사(KCBI)를 사용하였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Betz와 Voyten(1997)이 개발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단축형 척도(CDMSES-SF)를 이기학과 이학주(2000)가 번안하여 사용한 검사를 사용하였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Osipow, Carney, Winer, Yancio 및 Koshier(1980)가 개발한 진로결정검사(CDS)를 고향자(1992)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고, 진로준비행동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김봉환(1997)이 개발한 진로준비행동검사도구(16문항)를 이명숙(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319명의 자료는 SPSS Ver.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수준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고, 진로장벽의 하위요인중 직업정보 부족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대인관계의 어려움, 자기명확성부족,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직업정보부족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이 있고,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나이문제 보다는 직업정보부족이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직업정보부족, 흥미부족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간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미래계획, 자기평가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미래계획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보면, 전문대학생이 인식한 진로장벽 및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개인의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데 있어 변인들을 전체적으로 볼 때보다 하위요인을 고려하여 분석할 때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다. 진로준비 및 진로결정에 있어 중요한 시점에 있는 대학생들에게 진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진로상담 전략 수립 및 진로지도에 있어 다각적인 진단과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junior college students.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junior college students? 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4.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35 students from junior college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Incheon, in Gangwon, in Daejeon, Chungcheong and Sejong, in Busan, Ulsan, South Gyeongsang Province and Jeju, in Daegu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in Gwangju, South Jeolla Province and North Jeolla Province. As for instrumentation, Kim(2001)'s Korean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 Inventory(KCBI) was used to measure career barriers. To measur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Lee & Lee(2000)'s adapted version of Betz & Voyten(1997)'s Short Form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CDMSES-SF) was used. To assess career decision levels, Ko(1992)'s adapted version of Osipow, Carney, Winer, Yancio & Koshier(1980)'s Career Decision Scale(CDS) was used. To measu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Lee(2003)'s revised version of Kim(1997)'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ventory(16 items) was used. After the data were finally collected from 319 students, SPSS Version 21.0 was employed to make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s, and a lack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most influential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The factors of career barriers that exerci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s were interpersonal difficulties, poor self-clarify, conflicts with significant others and a lack of occupational information.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 shortag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was more influential than age problems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The factors of career barriers that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ere a shortage of occupational information and a lack of interest.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s, and the 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had the most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career decision levels were goal setting, followed by occupational information, future plans and self- evaluation.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he factor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at exercis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as future plan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of the study illustrated that there were relationships among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the junior college students. And it was possible to have a more detailed understanding of how they made a career decision and made preparations for their career when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considering the subfactors rather than by taking the variables as a whole. The findings suggest that college students who are at a critical moment of career prepara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should have a more extensive understanding of career, and that multilateral diagnosis and strategy setting are necessary to provide successful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 여대생의 부모진로지지, 진로장벽,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간의 구조적관계

        김하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대생의 부모진로지지, 진로장벽,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포부간의 구조적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서울지역에 소재한 4년제 여대 및 남녀공학에 재학중인 여대생을 선정하였다. 설문 대상자들은 18세~25세의 여대생들로 1학년 124명, 2학년 99명, 3학년 45명, 4학년 133명 등 총 401명의 데이터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부모진로지지 척도, 여대생용 진로장벽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척도, 한국형 진로포부 척도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에 앞서 데이터스크리닝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 측정모형 검증과 구조모형 검증, 매개효과 검증 등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포부와 정적상관을 보였고, 진로장벽과 진로포부는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모두 진로포부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포부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부모진로지지와 자아존중감은 진로포부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다. 그리고 부모진로지지와 진로장벽은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단일 매개효과를 추정한 결과에서 부모진로지지 → 자아존중감 → 진로포부의 경로, 진로장벽 → 자아존중감 → 진로포부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는 두 경로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았고, 부모진로지지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 진로포부의 경로, 진로장벽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진로포부의 경로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두 경로 모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 매개효과를 추정한 결과에서 부모진로지지→ 자아존중감 → 진로결정자기효능감 → 진로포부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진로장벽 → 자아존중감 →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 진로포부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진로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연구함으로써 진로포부의 형성에 대해 심층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진로지지, 진로장벽,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진로포부를 발전시켜 나갈 수 있는지를 밝혀낸 부분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가 진로지지를 해주며 자녀가 환경적,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게 돕는다면 자아존중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진로포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성의 경력개발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을 지속할 동기를 종속변인으로 진로포부를 가정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생 시기에 형성된 진로포부 특성에 따라 사회인으로 진출한 이후 진로포부의 지속성과 연계성에 대해 검증하는 종단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the career aspi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to find out the releva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our-year female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coeducation. Participants in the survey were 401female students aged 18 to 25, including 124 in the first grade, 99 in the second grade, 45 in the third grade, and 133 in the fourth grade. The survey tools used the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cale, the career barriers scale for female college students, the self - esteem scale, the career decision making self - efficacy scale, and the Korean career aspiration scale. Data analysis used SPSS 22.0 and Amos 22.0 programs, and Data Screening Check was conducted prior to data analysis. Data analysis included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medium regression analysis, measurement model verification and research model verification, multimediated effect verification.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ental career support and the career aspir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aspira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significant. Second, the results of the single mediating effect estimation showed that parental career support → self-esteem → path of career aspiration, career barriers → self-esteem → on the path of career aspir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not significant in all paths. Also, parental career support →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Path of career aspiration, career barriers →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on the path of career aspir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 in all paths. Third, the result of the multimediating effect estimation showed that parental career support → self-esteem →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 on the path of career aspiration, self-esteem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order of influence among the sub-region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as in the order of achievement, education, and leadership. Second, parental career support was not directly concerned with career aspiration, but it was found to be the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psychological variables. Third, although self-esteem was not directly significant to career aspir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variable with important mediating effect along wit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in depth the formation of career aspirations by studying psychological factors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career aspirations. As a result, it has a significance in the part where the related factors related to the career aspiration of female college students have some relevance and can develop the career aspiration. In this study, we assumed career aspiration as a factor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aintaining women's career development and motivates them to continue their work. Therefore, it will be meaningful to study the endpoints to verify the continuity and linkage of the career aspiration after entering the socie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reer aspiration formed in the college students.

      •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신하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n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in preparation of career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I formed following research issues. First,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Identity? Second,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Does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ve an effect on improving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earch Hypotheses based on these research issues are set up as following. First,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Identity. Second,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ird, training through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enhanc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verify these hypotheses, 20 volunteer students, who are first graders in H-specialized high school located in Nam-myeon, Yangju-si, Kyeonggi-do, were randomly separated into two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10 students in each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carried out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n totally 10 sessions for about 60-90 minutes over 6 weeks.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treated at all.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I examined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using an Career Indentity Scal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got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by use of SPSS 20.0 program. The ANCOVA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on the difference by groups on the condition of the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Identity.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Career Identit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Third,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undergoing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tatistically show a meaningful improvement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kept a high level of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fter testing. So,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n effect to keep a level of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s these finding seen,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turned out effective in enhanci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특성화고등학교 진로교육 현장에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진로지도 하는 데에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고 준비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바탕으로 한 본 연구의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것이다.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양주시 남면에 위치한 남녀공학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학생 가운데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20명을 각각 10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10명을 대상으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총 6주 동안 10회기에 걸쳐 한 회기 당 60분에서 90분 이내의 시간으로 실험처치를 하였고,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실험 집단의 실험 처치가 끝난 후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 사전검사와 동일한 검사도구로 사후 검사, 추후 검사를 실시하여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검사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20.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검사 결과를 공변인으로 통제하여 사후 검사에 대한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 종료 후 프로그램의 지속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추후 검사를 실시하고, 사후 검사와 추후 검사에 대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얻은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둘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통제집단 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셋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후 실험집단의 진로준비행동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넷째,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종료된 후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거나 유지되었다. 이것으로 보아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지속적인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미루어볼 때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청년기 취업준비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인생태도의 매개효과

        김희숙 호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청년기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인생태도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진로장벽을 예언변인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인생태도의 자기긍정-타인긍정, 자기긍정-타인부정, 자기부정-타인긍정, 자기부정-타인부정을 매개변인으로 관계모형을 설정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라북도 3개 지역의 만 19∼29세의 취업준비생 남학생 147명, 여학생 148명으로 총 295명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통계학적 특징 및 주요 변인들을 알기 위해 기술 통계량을 산출하였으며 진로장벽, 인생태도,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로장벽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하위변인을 알기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진로장벽과 진로결졍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인생태도의 자기긍정-타인긍정, 자기긍정-타인부정, 자기부정-타인긍정, 자기부정-타인부정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 후 sobel test를 실시하였습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인생태도의 하위변인별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장벽의 하위변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정보 부족, 자기명확성 부족 순으로 진로결정을 방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인생태도인 자기긍정-타인긍정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긍정-타인부정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부정-타인긍정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부정-타인부정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연구결과는 청년기 취업준비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 하위변인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과 인생태도인 자기긍정-타인긍정, 자기부정-타인부정이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밝혔다. 이에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청년기 취업준비생인 경우 자기긍정-타인긍정 인생태도가 유지된다면 진로를 합리적으로 결정하는 능력이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자기부정-타인부정의 인생태도를 유지하는 청년기 취업준비생인 경우 자기긍정-타인긍정 인생태도를 유지하기 위한 개인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구안되어 적용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 대학생의 진로 결정에서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스펙쌓기에 미치는 영향

        이진미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긴즈버그의 직업발달 이론과 슈퍼의 직업발달 단계를 보면 대학생활 기간은 자아정체감을 형성하고 사회로 나아가기 위하여 진로에 대한 결정과 준비를 하는 시기이다. 대학생활 동안 흥미, 능력, 가치 등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진로결정이 이루어져야 하는 시기이나 사실상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진로 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진로 정보를 바탕으로 진로에 대해 스스로 설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선행 연구를 살펴보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스펙쌓기 행동과의 연계성을 밝히는 연구 조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취업을 앞둔 대학생 3,4학년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스펙쌓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연구모형을 기반으로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연계성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전국 4년제 대학생 3,4학년 중 예비조사를 포함한 320명을 편의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총 235부가 연구 자료로 사용되었다. 조사된 설문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클리닝 과정을 거쳐, SPSS ver. 18.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서 남성이 여성보다 진로계획 더 적극적으로 수립하였으며, 4학년보다 3학년이 자기평가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취업시기가 가까워질수록 진로결정과 취업에 대한 부담감 등에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어 취업불안을 유발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감소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진로준비행동은 남성이 여성보다 목표달성 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4학년이 3학년보다 목표달성활동과 도구구비활동을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시기가 가까워질수록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보이고 있으므로 학년에 따른 다양한 정보 채널을 구축하고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상관관계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진로준비행동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의 하위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스펙쌓기는 전체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은 스펙쌓기의 하위요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스펙쌓기에 대한 결과를 추가로 분석한 결과, 스펙쌓기 하위요인 중 진로결정에 따라 필요하다고 느끼는 스펙에 대한 활동에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탈스펙’화로 많은 기업들이 스펙이 아닌 업무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 채용에 목적을 두면서 응답자들의 진로준비행동과 스펙쌓기 활동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응답자들은 무분별하게 스펙쌓기 활동에만 열중하고 있는 모습이 아닌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 습득이나 경험을 통해 취업과 관련이 없다고 느껴지는 활동은 노력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대학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무조건적인 스펙쌓기가 아닌 본인의 진로결정에 따른 역량을 구분할 수 있다는 것과 필요한 스펙을 쌓지 못하는 현실적인 이유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According to Ginzberg's theory of career development and Super’s career development stages, the period of university life is the time to form self-identity and make decisions and prepare for career to advance into society. During the university life, it is time that realistic career decision should be made on the basis of interest, capability, and value, but in reality, this is rarely done. University life should allow students to become aware of the importance of career path decision and should help them design their career path on their own based on various career information. In previous studies,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research studies on the behaviors of adding a wide range of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have been rarely don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behaviors of adding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of the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and analyzes th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based on the research mode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including preliminary surveys, 320 of 3rd year and 4th year students at 4 year universities nationally were selected as convenience samples, and 235 responses were used for the study after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As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conducted survey,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were conducted, and SPSS ver. 18.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males showed they set up career planning more actively than females, and 3rd year students showed higher self-evaluation scores than 4th year students. Because this seems to be influenced by the burden of career path decision and employment as the employment time approach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self-efficacy through a program that can identify the causes of job anxiety and reduce them. Second, career preparatio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more actively in males than females, and 4th year students showed more active goal achievement and tool development activities than 3rd year students. As the employment time approaches, the students showed they are actively preparing for their career path, and therefore various information channels according to the year of students should be constructed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shown to be relatively high,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higher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more activ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addition,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ere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Four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adding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showed low correlation, and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factors of adding qualification of job specifica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adding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focus on the qualification that they believe is necessary for their career path decision among the sub-factors. This a departure from the conventional behavior of adding qualifications, and as many companies plan to hire talents that have competency for handling the work rather than a wide range of qualifications, it seems to have influenced the respon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adding a wide range of qualifications of job specifications. It can be interpreted as a phenomenon where, through information they acquired from various media and experiences, the respondents do not make efforts to activities that they feel are not related to employment, and are actively trying to add qualifications indiscriminately. As a result, this study can confirm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is possible for them to distinguish the competence they need based on career path decision rather than unconditional building of qualifications, and that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are reasons in reality for students for not being able to acquire the qualifications they need.

      • 전문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염태영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50751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대학생의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남녀 학생 집단 간의 경로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광역시와 K도에 소재한 4개 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2년제 전문대학생 598명을 대상으로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고, 남녀 학생 집단 간의 경로 차이를 다중집단 구조모형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탄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탄력성,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으로 이르는 경로는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남녀 집단에 관계없이, 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와 같은 사회적․환경적 지지자원 보다 진로탄력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같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내적 자원을 높일 수 있는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 그리고 진로관련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career resilienc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aths of th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98 students selected from four two-year junior colleges located in a large urban community and a province.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about their career resilience,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by using SPSS 20 and AMOS 21 programs for structural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the multiple-group-structural model was utilized to look for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ath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resilience had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an indirect effect through mediating of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ocial support showed an in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cond,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paths from career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regardless of gender, it's better to develop a career counseling or career-related programs which aim at strengthening personal inner resources such a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ather than socioenvironmental supporting resources like social support.

      •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자기격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명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일반계 여고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진로장벽과 자기격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Lent 등(1994)이 연구한 진로선택행동에 대한 사회인지이론을 배경으로 하여 진로장벽(극복진로장벽, 좌절진로장벽)이 진로관련 긍정적 변인인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일반계 여고생들의 진로장벽의 수준을 낮추고 진로준비행동 증진에 도움이 되는 변인들의 관계와 영향의 정도를 규명하여, 여고생들이 합리적인 진로준비를 할 수 있는 진로상담 및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대상은 대구와 경북에 있는 4개의 일반계 여자고등학교 학생 482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진로준비행동 검사, 진로장벽 검사, 자기격려 검사,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이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매개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들이 지각한 진로장벽, 자기격려,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하위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진로장벽과 자기격려,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좌절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자기격려, 극복진로장벽 요인 순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격려의 정서영역 수준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목표선택, 직업정보, 문제해결 효능감 수준이 높고, 좌절진로장벽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 수준이 낮을수록 여고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고생들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기격려의 매개효과를 보면 자기격려는 극복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좌절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보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극복진로장벽과 좌절진로장벽 모두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내용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계 여고생들이 지각하고 있는 진로장벽, 자기격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하위 요인별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차이가 있고 특히 좌절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이 크며,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할 때 여고생의 진로준비행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고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상담이나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에 획일적으로 실시하기 보다는 진로준비행동에 지각된 진로장벽이 역기능적으로 작용할 때 진로장벽의 수준을 낮추어 줌으로써 자기격려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수준의 증진을 통하여 지각된 진로장벽이 보다 유연하게 조절됨으로써 여고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self encourage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erceived by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a society knowledge for background about Lent and the other's course choice behavior this study shows that career barriers(overcome career barriers, frustrating career barriers) have an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ing positive change elements related to career, self 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ts purpose is to offer basic materials of career counsel and career education program which is able to prepare for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logical career examining the degree of relationship and influence of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hange elements helpful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mprovement. To test these specific goals,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482 students among four schools of the Daegu Gyeongbuk General female High School. Research instruments are the tests of career barrier, self encourage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1.0 and performing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er verification.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self encouragemen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ubordinate elements perceived by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s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frustrating career barrier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 encouragement, overcome career barriers have an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Especially, as the levels of self encouragement, the target choice, job information and problem solving efficacy are high, the uncertainty level of frustrating barriers low,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ncreased. Second, The influence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ing self 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erceived by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s as follows. First, let's look aroun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encouragement. Self encouragement revealed mediating effects perfectly between overcome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 encouragement revealed mediating effects partially between frustrating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ext, Let's se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revealed mediating effects perfectl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t the relationship of the overcome career barriers, frustrating career barriers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the mediating effect of 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perceived by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vealed meaningfully at the relationship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onclusio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ha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ubordinate elements, especially have a great influence of frustrating career barriers.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self 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made femal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crease when career barriers have effect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 in case of running career education program of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there should be enough consideration of providing general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various, usefu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reer barriers is controlled flexibly through increasing of self encouragement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out doing uniformly when career barriers work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ysfunctionally.

      •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와 성격, 부모진로지지 및 사회인지요인의 관계 분석

        하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5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to Personality,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Social Cognitive Factors of University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path analysis which was based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college students in four-year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total number of four-year college students in Korea was 1,467,125 as of 2017, with 572,418 in metropolitan areas and 894,707 in non-metropolitan areas. As a result,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on - metropolitan area, and the gender and major that could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rvey results were also considered in sampling.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survey the nine categories of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openness,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outcome expectation, general characteristic. The items requiring translation of the original text were translated with the help of experts and the items requiring revised were revis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and online survey from October 1th to September 19th 2018. 54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529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To identify the demographic personality of subjects and the overall level of variable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includ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error were conducted. Also,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path analysis was used. All data analysis was carried by R 3.6.1 and alpha level of 5% was set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c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suitable to empirical analysis on research variable. Second, social cognitive factors did affect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Third, characteristic(conscientiousness, extroversion, openness) had indirect effects o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which were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outcome expectation. Fourth,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had indirect effects o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which were mediated by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outcome expectation.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policy uses are suggested. First, it is needed further research and policy which examine closely the impact of career-related parent support and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Second, further research design need to be developed to include other variables for predicting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Third, refining measure of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is needed. Fourth, career counselors should improve career exploratory intention by increasing career decision learning experience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격, 부모진로지지, 사회인지요인 및 진로탐색의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되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우리나라 4년제 일반 대학의 대학생이며, 4년제 일반 대학생은 2017년 기준 한국의 4년제 대학생은 총 1,467,125명으로 수도권 572,418명, 비수도권 894,707명으로 분포하고 있다. 이에 따라 표집은 수도권 및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진행하되 설문결과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 성별 및 전공계열을 고려하여 표집하였다. 조사도구로는 진로탐색의도,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부모진로지지, 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 일반적 특성 총 9가지 영역을 질문하는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진로탐색의도는 1요인 10문항, 성실성 1요인 10문항, 외향성 1요인 10문항, 개방성 1요인 10문항, 부모진로지지 5요인 20문항, 진로학습경험 5요인 20문항, 진로결정자기효능감 1요인 8문항, 진로결정결과기대 2요인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든 영역의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이 외에 응답자 성별, 연령, 학년 및 전공계열, 학교 소재지 등을 포함한 일반적 특성은 선택형 응답과 서술형 응답형식을 혼용하였다. 조사도구 중 번안이 필요한 문항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번안하였으며, 수정문항이 필요한 경우는 수정하여 활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8년 10월 1일부터 11월 19일 까지 우편 및 온라인을 통하여 실시되었으며 학교별 협력자 1-2명에게 약 40부 정도의 설문을 의뢰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치로는 변인의 기술통계량을 구명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등을 확인하였으며 경로분석 모형 적합도 및 변인간 영향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하여 R 3.6.1을 사용하였으며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성격, 부모진로지지, 진로학습경험, 사회인지요인 및 진로탐색의도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사회인지요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은 진로탐색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학생의 성격(성실성, 외향성, 개방성)은 진로탐색의도에 사회인지요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을 매개하여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대학생의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탐색의도에 사회인지요인(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을 매개하여 영향을 미친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대학생의 성실성, 외향성, 개방성, 부모진로지지, 진로학습경험,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 및 진로탐색의도 인과모형은 우리나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자료를 대표하기에 적합하고 변인간의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한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인지진로이론에 부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둘째, 진로결정결과기대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함께 유의미하게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직접경로의 경우 진로결정결과기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보다 진로탐색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컸으나 간접효과까지 고려하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력이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학습경험은 성격 및 부모진로지지의 외부적 요인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정결과기대 및 진로탐색의도를 매개하는 주요한 변인으로서 작용한다. 넷째, 대학생의 성실성, 개방성, 부모진로지지는 진로학습경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로학습경험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결과기대에 영향을 미쳐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후속 연구와 정책적 활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를 높이는 데 특히 부모진로지지 및 진로학습경험의 영향력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는 연구 및 정책적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향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를 예측하는 다양한 변인들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모형 검증 및 모형 개발을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진로학습경험 척도에 대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 넷째, 진로학습경험 및 진로결정효능감을 향상 시켜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군병사의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김소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군 병사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군 병사의 진로정체감은 변화할 것인가? 둘째,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군 병사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향상될 것인가? 본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소재 육군 00부대 병사들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하고자 하는 희망자를 모집하여 실험집단에 10명, 통제집단에 9명을 배치하여 실험집단에게만 총 8회기의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두 집단 모두에게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 21.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회기보고서와 추수인터뷰를 통해 수집된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변화가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분석결과에서 실험집단의 자기평가, 문제해결 요인에서의 변화는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정보수집, 목표설정, 진로계획 요인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또한 추수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본 프로그램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리고 그 하위요인에서 변화를 나타내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어 : 진로탐색집단상담, 군 병사, 진로정체감,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본 연구의 의의는 진로를 탐색하고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결정해야 하는 진로발달의 중요한 시기에 있는 군 병사들에게 자신의 적성, 흥미, 주변 환경 등을 면밀히 분석‧이해하고, 자신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희망을 고려하여 진로를 선택하는 과정을 통해, 병영생활을 하는 동안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향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훈련 또는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것이다. 또한 추수인터뷰를 통해 프로그램 종결 후에도 프로그램에 참여한 병사들이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a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oldi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would the career identity of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e changed? Second, would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be improv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is study, we recruited applicants who wish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mong soldiers at the army camp 00 in Gyeonggi –do and assigned t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nine to the control group. Only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a total of eight session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as conducted, both groups took the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ests, and the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In addition, we analyzed the information collected through the session reports and the follow-up interview.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Changes in the career ident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hanges in the self-evaluation and problem-solving factors of the experimenta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in terms of information gathering, goal setting, and career planning factor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llow-up interview, the present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s in the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their sub-factor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training or experience opportunities to help soldiers in their critical period of career development when they should explore careers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jobs, closely analyze and understand their own aptitudes, interests, surroundings, environments and so on, and select the direction of their lives by themselves during their army lives through the process of choosing careers by considering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hopes. Moreover, we once again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esent program by confirming that the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ere taking concrete and systematic career preparation actions through the follow-up interview even after the program 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