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의 관계

        박자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relationship among job performance and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irst, the direct effects among the job performance,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were investigated. Second, the mediating effects of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were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learning agility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were not included in the criteria for average sales standards and total assets of less than 500 billion won. The survey instrument for data collection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total of 65 questions about job performance,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job involvement scal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job performance and job involvement scale were revised using a back-translation method based on previous studies. Learning agility and digital literacy scale were selected and used the research instruments developed in previous studies. The distribution and collection of data were conducted through online survey platform from early May to mid-May. The 40 resposes that is missing, abnormal, and careless responses(insincere respondents, non-office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were removed from 606 collected data. Finally 566 response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data analysis, the IBM SPSS Statistics 26.0 and Process Macro 4.0 program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was applied .05 as a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n the field of social scie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had a mediating effect o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In add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learning agility,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s in which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are positi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arning agility,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have a direct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job involvement has the greatest effect on job performance. Second, learning agility and digital literacy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all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involvement, and learning agility has a greater effect on job involvement than digital literacy. Third, the digital literacy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as a positive relationship. Fourth, the job involvement of office workers at large corporation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and also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literacy and job performance. Fifth, digital literacy and job involvement sequentially double-mediatea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of this research,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ore multi-dimensionally investigate the influence in the relationship among them by reflecting the survey instrument that subdivides the recruitment of learning agility and digital literacy, which is judged to be able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performance and related variables. Fourth, in addition to the research variable showing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accompan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research variable showing a negative relationship. Practical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in order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office workers,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understand and actively utilize information on digital platforms to learn and design employee experiences to respond quickly and flexibly to changes in the digital working environ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eedback, and coaching to reorganize into a digital-bas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o immerse in work in such a work environment and create results. 이 연구는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및 직무몰입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및 직무몰입 간의 직접효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가설의 검증을 위해 이 연구에서는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이때 대기업은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 및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제3조제1항에 제시된 업종별 평균 매출액 기준 및 자산총액 기준에 포함되지 않은 기업을 의미하며, 사무직은 경영기획, 재무/회계, 인사/교육, 구매/총무, 영업/마케팅, 연구/개발, 생산/품질, 물류/무역, 일반사무, 기타(안전/보안, 서비스 등) 영역에 속한 업무를 담당하는 근로자 중 정규직을 대상으로 비확률적 유의표집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조사 도구는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 및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된 총 65문항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조사 도구 중 직무성과와 직무몰입은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조사 도구를 번안 절차를 바탕으로 번안하여 사용하되 국내 기업이라는 연구맥락을 반영하였고, 학습민첩성과 디지털 리터러시 역시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조사 도구를 연구맥락을 반영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5월 초순부터 5월 중순까지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총 606명의 응답 데이터를 확보하였고, 이후 결측치로 판정된 40개의 응답을 제거하여 최종적으로 총 566명의 응답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26.0,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결과의 해석은 사회과학분야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으로 적용하는 p<.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 간의 직접효과 분석결과, 학습민첩성은 직무성과(β=.347, p<.001)에, 디지털 리터러시는 직무성과(β=.149, p<.001)에, 직무몰입은 직무성과(β=.403,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민첩성은 디지털 리터러시(β=.618,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민첩성은 직무몰입(β=.279, p<.001)에, 디지털 리터러시는 직무몰입(β=.125,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의 매개효과 분석결과,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각각 디지털 리터러시(β=.144, p<.001)와 직무몰입(β=.174, p<.001)이, 직무성과와 디지털 리터러시의 관계에서 직무몰입(β=.131, p<.001)이 정(+)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이 정(+)적인 순차적 이중 매개효과(β=.036, p<.001)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 직무몰입은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들 중에 직무몰입이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둘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디지털 리터러시는 모두 직무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민첩성이 디지털 리터러시 대비 직무몰입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셋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는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한다. 넷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몰입은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 직무성과와 디지털 리터러시 간의 관계를 정적(+)으로 매개한다. 다섯째, 디지털 리터러시와 직무몰입은 직무성과와 학습민첩성의 관계를 정(+)적으로 순차적 이중매개한다. 이 연구의 논의 및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성과와 관련 변인 간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다고 판단되는 학습민첩성과 디지털 리터러시의 구인을 세분화한 조사 도구를 개발하여 이들 간의 관계에서의 영향력을 보다 다차원적으로 구명해야 한다. 둘째, 직무성과와 정(+)적인 관계를 보이는 변인 이외에 부(-)적인 관계를 보이는 변인과의 관계를 구명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플랫폼에서의 정보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학습하고 디지털로의 근무환경 변화에 신속하고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직원경험을 설계해야 한다. 둘째, 디지털 기반의 조직문화로 재편하고 동시에 이러한 근무환경에서도 직무에 몰입하여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훈련 프로그램과 피드백, 코칭을 제공해야 한다.

      • 도시철도 승무원의 직무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를 중심으로

        신영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도시철도에서 전동차를 운전하는 승무원은 반복적인 기기취급과 높은 혼잡도, 정시운행 등 직무적인 특성으로 직무스트레스가 많은 것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으며 이는 집중력 저하, 인지실패 등 확인소홀로 이어져 안전운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도시철도에서 승무원 관련 장애의 상당 부분이 인적오류인 확인소홀에 있으며 이는 직무몰입에서 그 원인과 대안을 찾아 볼 수 있을 것이다. 직무몰입은 구성요소가 직무애착과 중요성, 책임감에서 알 수 있듯이 승객의 안전을 책임지는 승무원에게 직무몰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철도 승무원의 직무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하여 승무원의 직무몰입을 위한 전략적 방안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통공사 1~8호선에서 근무하는 기관사와 차장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으며 예비조사를 거쳐 검증된 설문지 276부로 구체적인 실증분석을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높아지면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이 낮아지는 부정적 영향관계를 검증하였으며, 특히“직무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는 높게 나타났으며 48%의 설명력으로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긍정적인 관계를 입증하였다. 즉 승무원의 직무만족이 높아지면 직무몰입의 하위변인인 직무애착과 책임감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근무환경 요인이 업무수행 요인 보다 높게 나타나 도시철도 승무원은 업무자체 보다 근무환경에 더 큰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일반적 사항에서 안전운행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직무만족, 직무몰입, 직무효능감은 근무기간이 길고 직급이 높은 5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력이 많은 승무원은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있어 대체적으로 직무에 만족하고 직무에 몰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승무원의 직무몰입을 높이기 위한 변인들의 긍정적 영향의 증대방안과 직무만족과 영향관계가 확인된 직무스트레스 해소의 필요성을 설명해 주는 근거가 될 수 있으며, 특히 근무기간이 짧고 직급이 낮은 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해소와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도시철도 운영기관의 체계적인 프로그램 구축과 현장 사업소에서 승무원의 교육과 인력운용 실무를 담당하는 일선 관리자의 세심한 배려와 관심으로 직무몰입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 제시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It can be seen through prior research that crew members driving urban railroad trains have a lot of job stress due to their job characteristics such as repetitive device handling, high congestion, and on-time operation. Thi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safe driving, such as decreased concentration and cognitive failure. In recent urban railroads, many of the obstacles related to crew members are due to human error, “negligence,” which can be found in the cause and alternatives in job commitment. As the components of job commitment are evident from job attachment, importance, and responsibility, job commitmen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o the flight attendant who is responsible for passenger safety.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trategic plan to increase job commitment and to present practical basic data by verifying the effect of the urban railroad crew's job efficacy on job stress and the relationship that job stress has o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engineers and conductors working at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lines 1 to 8, and detailed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276 copies of questionnaires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survey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the negative impact relationship that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decreases when the crew's job stress increases. In particular,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commitment” has a high impact relationship of t=-15.991 and 48%.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was demonstrated with explanatory power.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as the crew's job satisfaction increases, job attachment and sense of responsibility, which are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job commitment, also increase. In addition, “the effect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was identified as the work environment factor t=-2.351 and the work performance factor t=-.468, confirming that the work environment had a greater effect on the work environment than the work itself. In addition, in general,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and job efficacy, which have a positive effect on safe operation, were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50s with a long working period and a high rank. It can be seen that flight attendants with many years of experience are psychologically stable, so they are generally satisfied and immersed in their jobs, but flight attendants with less experience are not.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s for explaining the need to increase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variables to increase the flight attendant's job commitment and the need to relieve job stress with a confirmed impact relationship with job satisfaction. Especially, the job of flight attendants with a short working period and a low rank This is based on the presentation of basic data on how to increase job immersion through the careful consideration and attention of the line managers in charge of training crew members and manpower management in field offices and establishing systematic programs of urban railroad operating institutions to relieve stress and improve job satisfaction. There is significance of research.

      •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홍미애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에 의해 활동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려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설정한 세부 연구문제들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요양보호사의 서비스 질 향상 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발견해보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의 시설 및 재가 노인요양 서비스에 종사하고 있는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한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응답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요양보호사의 대부분이 여자였고, 연령은 40대가 가장 많았고, 종교는 불교가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이 가장 많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수행 상황을 보면, 월수입은 100만원 미만이 많이 차지하고 있었고, 돕고 있는 어르신의 수는 4명 이상이 많았다. 주당 업무시간은 40시간 이상이 많았으며. 근무연수는 13개월 이상이 많았고 일한 시설의 종류는 노인요양시설이 가장 많았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 및 직무몰입의 수준을 보면, 직무만족도는 다소 낮은 편이었고, 직무몰입도는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으로 시설장과의 관계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사회적 인정 이었으며,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이는 영역은 어르신과의 관계와 보수로 파악되었다. 직무만족도와 직무몰입도가 개별적인 속성이나 직무수행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지를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연령에 따라 직무만족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 종교가 없는 경우 보다 직무만족도가 높았다. 직무몰입도는 연령에 따라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종교가 있는 집단이 종교가 없는 경우 보다 직무몰입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 자신의 서비스 질에 대한 인식은 아주 긍정적이었고, 하위요인 중 신뢰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으며, 유형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았다. 직무몰입과 서비스 질 사이에도 정의 상관이 있어 요양보호사의 직무몰입이 높을 때 서비스의 질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와 서비스 질 관계에서 직무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의 정도가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은 직무몰입의 수준에 의해 완전히 매개됨이 검증되었다. 즉,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몰입도가 높아져 이를 매개로 하여 서비스의 질을 유의하게 높이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 제고를 위한 직무환경 개선에 관한 다음 몇 가지 제언을 한다. 요양보호사의 수당 상향조정을 필요한 처우개선, 요양보호사의 직무의 범위를 명확히 하는 일, 요양보호사들의 자질과 전문성확보를 위한 교육훈련 체계 재정비, 요양보호사의 재교육이나 보수교육의 강화 등이 그것이다.

      • 조직 내 구성원의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직무자율성 및 그릿의 조절된 매개효과

        서승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and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narcissism on work engagement through job stress, targeting employees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nstructed a research model by introducing job autonomy, work overload, grit, narcissism,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based on the JD-R model.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was selected as employee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was conducted online using a Google questionnaire for a total of 8 days from October 18 to October 26, 2022. Of the 547 responses collected, a total of 528 copies (96.5% valid data rat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and AMOS 22.0 programs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normality test,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variables and basic statistics, and moderated mediating effect analysis using PROCESS macro 4.1 program.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fir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presented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appropriate. Second, job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narcissism and work engege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autonom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as a mediator of job stres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employees who recognized work overload and employees with a high level of narcissism strengthened job stress,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 engageme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verload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when job autonomy is low, all groups (low, medium, and high) of grit show that their relationship is further strengthen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arcissism and work engagement via job stress, it was found that job autonomy and grit did not control their relationship. The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impl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ual framework presented in the extended JD-R model was not empirically verifie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tching hypothesis that stress or burnout is alleviated when resources of the same level as demand are applied does not apply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Next, practical implication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can reduce work overload.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autonomy and grit for the job so that employees' job stress can be lowered and work engagement can be increased. Third, considering that job stress acts as a factor that lowers work engagement, which is clos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roles that match the work ability of employees rather than work resul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직무과부하와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JD-R모형을 기반으로 직무자율성, 직무과부하, 그릿, 나르시시즘,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을 투입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모집단은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로 선정하였으며, 2022년 10월 18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8일 간 Google 설문지를 활용하여 온라인을 통해 진행하였다. 수집된 547개의 응답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총 528부(유효자료율 96.5%)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기술통계, 정규성 검정, 상관관계 분석 등 기초통계와 연구변인 간 구조적 관계, PROCESS macro 4.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과부하, 나르시시즘과 직무몰입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과부하를 인식하는 구성원과 나르시시즘 수준이 높은 구성원은 직무스트레스를 강화시켜 결과적으로 직무몰입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과부하가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이 낮을 때 그릿의 모든 집단(저집단, 중집단, 고집단)에서 이들의 관계를 더 강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나르시시즘이 직무스트레스를 경유하여 직무몰입에 미치는 관계에서 직무자율성과 그릿은 이들의 관계를 조절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론적 시사점으로 첫째, 확장된 JD-R모형에서 제시한 개념적 틀이 실증적으로 검증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요구와 동일한 차원의 자원이 투입되었을 경우 스트레스나 소진을 완화시킨다는 매칭가설이 개인특성에서는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실천적 시사점은 첫째, 직무과부하 상황을 감소할 수 있는 조직문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구성원의 직무스트레스는 낮추고 직무몰입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에 대한 자율성과 그릿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직무환경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을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는 조직의 성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고려할 때, 업무결과보다는 구성원들의 업무능력과 맞는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안녕감 및 가족건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애화 延世大學校 政經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방공무원은 국가행정조직의 최 일선 신경망으로서 지방공무원 직무수행의 질은 국민의 삶이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은 지방공무원 직무수행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관건이다. 그동안 이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으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관련하여 주관적 안녕감 및 가족안정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없었다. 본 연구는 공무원이 직무를 수행하는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영향을 주는 주관적 안녕감과 가족건강성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의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6개 하위변인 중 조직체계와 관계갈등 및 직무요구가 직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조직체계와 관계갈등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요구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주관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주관적 안녕감, 가족건강성의 관계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직무스트레스는 6개의 하위변인으로 분석하였고, 주관적 안녕감은 2개의 하위변인(보편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을 분석하였으며, 가족건강성은 4개의 하위변인(가족원 간의 유대, 가족원 간의 의사소통, 가족원 간의 문제해결수행능력, 가족원 간의 가치체계 공유)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직무요구는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변인인 보편적 안녕감과 삶의 만족도 와 모두 상호작용효과가 있었으며, 또 직무스트레스의 하위변인 중 조직체계와 직무요구는 가족건강성의 하위변인인 가족원 간의 의사소통과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직무스트레스 중 직무요구가 오히려 직무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스트레스의 모든 요인이 직무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닐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 주관적 안녕감과 가족건강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직무스트레스 연구에서 직무 혹은 직장 내 요인뿐 아니라 개인이나 가족과 관련된 요인이 함께 다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직무 만족이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양모현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교통공사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 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 이다.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연구자가 근무하는 서울교통공사의 승무, 역무, 차량, 기술 등의 직무를 담당하는 종사자 20명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1일부터 10월 8일까지 사전조사를 하였다. 본 조사는 사전조사를 거쳐 검증된 설문지 총 280부를 2021년 12월 15일부터 1월 15일까지 편의추출 방법을 통하여 배포하고 수집하여 총 27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하 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통계분석의 방법은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 석, 회귀분석, 구조방정식 경로분석이다. 본 연구의 주요 변수는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의 세 가지 변수이며 직무만족 의 하위 요인은 직무 자체, 관계 및 보수, 복리후생, 근무환경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요인은 예의성, 이타성, 성실성, 시민의식, 스포츠맨십 등 다섯 가지로 구성되며, 직무몰입은 애착과 책임감의 두 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다. 분석 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전반적인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의 수준은 평균 3점 중반대였으며, 서울 교통공사 종사자들은 보수, 근무환경, 복리후생 환경과 같은 외재적 요인보다는 업무와 관 련된 성취감, 직무 그 자체에 대한 만족감과 같은 내재적 요인이 직무만족에 더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시민행동의 경우에는 예의성, 이타성, 시민의식의 수준은 높았으 나 상대적으로 성실성의 수준은 낮게 평가하였다. 직무몰입의 경우 애착과 책임 모두에서 - ii - 3.5점 이상으로 나타나 직무몰입의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직무 애착의 수준이 책임성의 수준보다 높아 규범적 측면의 직무몰입보다는 정서적 측면의 몰입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둘째, 일원 분산분석의 결과이다. 나이의 경우 조직시민행동 변수에서만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였으며, 20대의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타 연령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력의 차 이에서도 조직시민행동에서만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학력이 높을수록 조 직시민행동의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근속년수와는 유의미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 근무 형태에 따라서는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몰입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발생하였는데 교대근무와 통상근무를 할 때보다 교번근무를 할 때 조직시민행동의 수준과 직무몰입의 수 준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 직무에 따라서는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수준에서 차이가 발생하였고 조직시민행동의 경우 차량 직렬이 역무, 승무, 기술 직렬보다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높았으며, 직무몰입수준의 경우 역무와 차량이 승무와 기술직 비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주요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의 결과이다.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직무 자체 요인 과 관계 및 보수요인의 경우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몰입도와의 관계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복리후생 변수나 근무환경 변수는 조직시민행동과 직무몰입과의 관 계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과 조직시민행동의 관 계에서도 직무 자체와 관계 및 보수요인이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조직시민행 동의 하위 요인인 예의성, 이타성, 시민의식, 공정성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시민 의식이나 공정성의 경우 직무몰입도와 높은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간 관계의 분석 결과이다.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 동에 미치는 변수는 직무 자체와 관계 및 보수요인이었으며, 직무 자체가 미치는 영향력이 관계 및 보수보다 강했으며, 복리후생이나 근무환경의 하위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Hetzberge의 동기-위생이론과 같이 동기 요인은 직무만족과 동기부여를 하나 위생 요인의 경우 불만의 제거의 기능은 하 나 만족감을 주거나 동기부여를 하지는 않는다는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조직시민행동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조직시민행동의 하위 요인인 예의성, 이 타성, 시민의식, 공정성, 성실성 등 모든 하위 요인이 직무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통해 추정할 때 서울도시철도공사 종사자들의 직무몰입을 설 - iii - 명하는 주 변인은 직무만족이라기보다는 조직시민행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직무만족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있어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한 매개효과의 검증 결과 조직시민행동은 직무만족과 직무몰입의 사 이에서 부분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 직무몰입 간 경로분석의 결과이다. 직무만족은 직무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만, 그 영향력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무만 족은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영향력의 관계가 나타났다. 조직 시민행동 역시 직무몰입에 강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할 때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직무몰입은 구성요소가 직무 애착과 책임감에서 알 수 있듯이 승객의 안전을 책임지는 승무원에게 직무몰입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직무만족, 스트레스, 자 기효능감과 같은 요인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관계 규명에 관한 연구는 많으나 조직시 민행동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는 서울교통공사의 구성원들 직무만족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과 조직시민행동이 직 무만족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매개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대한 해석과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서울교통공사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을 설명하는 요인은 직무 자체와 관계 및 보수요인이며, 복리후생 요인이나 근무환경 요인은 서울교통공사 구성원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서울교통공사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직무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 자체에 대한 만족도와 상하․동료 간의 협력 및 의사소통의 원활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서는 직무 자체의 충실화와 함께 공식․비공식적 측면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조직의 의사결정 과정에 다양한 구성원들의 참여를 높이고 의견 개진의 기회 확대와 의견반영 여부에 대한 피드백(feedback)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최낙범, 2019). 비공식적인 측면에서 상급자들은 하급자들에게 더욱 친절한 태도를 보이고 대화 과정에서 의견을 경청하고 공평, 공정하게 대우하는 노력을 기울이는 노력과 함께 상하 직급 간, 동료 간, 서로 다른 직렬 간 신뢰와 친밀감 형성을 위한 노력이 공식적,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commitment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employees an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commitment. Before proceeding with the study,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8, 2021, targeting 20 workers in charge of duties such as flight, station, vehicle, and technology at the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where the researcher works. In this survey, a total of 280 questionnaires verifi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the convenience extraction method from December 15 to January 15, 2021, and a total of 270 copies were recovered and used for analysis.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path analysis.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er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were composed of the job itself, relationship and remuneration, welfare benefits, and working environment. Th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sist of five sub-factors: courtesy, altruism, sincerity, citizenship, and sportsmanship, and job commitment consists of two sub-factors: attachment and responsibility. This is a summary of the analysis results. First, the overall level of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was in the mid-range of 3 points on average. Extrinsic factors such as remuneration, working environment, and welfare environment did not affect job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ntrinsic factors such as job-related sense of achievement and job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greater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e level of politeness, altruism, and civic consciousness,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high, but the level of conscientiousness was relatively low. Attachment and responsibility, which are sub-factors of job commitment, scored 3.5 or higher, indicating that the level of job commitment was overall high. Specifically, since the level of job attachment is higher than the level of responsibility, the level of emotional commitment i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normative aspect of job commitment. Second, it is the result of one-way ANOVA. The difference in the mean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age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pecifically,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ir 20s was higher than in other age groups. In terms of educational backgrou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only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pecifically,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number of years of servi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only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To be more specific,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in shift work and normal work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temporary shift work. Depending on the job, there wer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higher in the vehicle series than in the service, crew, and technical series. In the case of job immersion, the service and vehicle jobs were higher than the crew and technical jobs. . Third, it is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 job itself factor and relationship and the remuneration factor showed a positive (+)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welfare benefits and working environment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ly the job itself, the relationship, and the remuneration factor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Specifically,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politeness, altruism, citizenship, and fairness,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the case of citizenship or fairnes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job commitment. Fourth, it is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the variables affec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ere the job itself, relationship, and remuneration factors. Specifically, the influence of the job itself was stronger than the relationship and remuneration. Sub-factors of welfare benefits or working environment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Courtesy, altruism, citizenship, fairness, and integrity,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commitment. . Fifth,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the path that job satisfaction affects job commitment. As a result of verification of mediating effect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Finally, it is the result of path analysis betwee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job commitment.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commitment, bu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was insignificant. However, job satisfac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also found to have a strong positive (+) effect on job commitment. When the above analysis results are combined,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or flight attendants who are responsible for the safety of passengers, job immersion is of utmost importance. Until now,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n job commit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tested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job commitment and empirically tested the hypothesis tha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job commitment.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 The central factors that explain job satisfaction of Seoul Metro members are the job itself, the relationship, and the remuneration factor. Welfare factors or work environment factors do not affect job satisfaction.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job immersion for the members of Seoul Transportation Corporation, satisfaction with the job itself and smoot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superiors and colleagues are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member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various member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s well as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in both formal and informal aspects along with job fulfillment.

      • 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 : 직무몰입의 조절효과

        한혜선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조직과 직업의 이중몰입이 조직성과와 직무만족은 높이고 이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공통 선행변인으로서 직무몰입이 조직과 직업몰입간 상관을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경찰관 600명을 대상으로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 경력만족, 경력전망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경찰관의 조직몰입과 직업몰입, 조직몰입과 직무몰입, 직업몰입과 직무몰입은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직무몰입이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상관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 검증한 결과, 직무몰입이 높을수록 조직몰입과 직업몰입의 정적 상관관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경력만족과 경력전망이 정적 상관이 있고, 경력만족 및 경력전망은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과도 모두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통계적 분류에 따른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 경력만족의 차이를 일으키는 개인적 속성은 근무지의 영향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구대·파출소가 경찰서, 경찰청에 비해 조직몰입, 직업몰입, 직무몰입, 경력만족이 모두 낮았다. 그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찰관의 몰입을 통해 조직성과를 최대화할수 있는 실무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mt of police officers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the dual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occupation can increase organization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level while minimizing turnover. Moreover, this research sought to verify whether the job commitment as a common precedence variable of the commitment to organization and occupation mediat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Towards this end, 600 police officers in Seoul were subjected to survey by us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carre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spect scale.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each variable,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were conduct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research's results. Police officers' organizational and occup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and job commitment, occupational and job commitment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At this time, it was verified how job commitment mediates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which demonstrated that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commitment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the job commitment is higher. Moreover, carre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spect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Carrer satisfaction level and career prospect manifes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and job commitment as well. Influence of working site was most powerful factor when it comes to the personal attributes that induces difference i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carrer satisfaction levelfollowing demographic classification. In other words, district station and precinct station manifested low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ccupational commitment,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levelcompared to police station and National Police Agency. These results were leveraged to present working level direction to maximize organization performance through police officers' commitment.

      •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다윤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전문직 자아개념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호근무환경의 관계를 파악하고,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전국 24개 중소병원의 수술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임상경력 1년 이상의 간호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7월부터 9월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78점, 심리적 임파워먼트 정도는 2.78점, 간호근무환경 정도는 2.48점, 직무몰입 정 도는 3.47점이었다. 2)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몰입 정도는 39세 이하 인 경우가 40세 이상인 경우보다 낮았다(F=5.71, p=.004). 그리고 3년제 졸 업인 경우가 대학원 재학 이상인 경우보다 낮았다(F=3.90, p=.022). 3)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몰입은 전문직 자아개념(r=.55, p<.001), 심리 적 임파워먼트(r=.63, p<.001) 및 간호근무환경(r=.55, p<.001)과 정 상관관계 가 있었다. 4)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임파워 먼트(β=.42, p<.001)와 간호근무환경(β=.34, p<.001)이였고, 이들 변수는 중 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몰입을 52.0%로 설명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소병원 수술실 간호사의 심리적 임파워먼트, 간호근무환경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술실 간호사의 직무몰입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심리적 임파워먼트를 높이고, 능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자율성을 부여하는 긍정적인 간호근무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urgical nurses in small and medium hospitals in order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es as well as the affect job involvement. The participants were 150 nurses who work in surgery in 24 small and medium hospitals in Korea, with a year or more of clinical experience.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July and September 2018. For data analysis, SPSS 24.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and the study employed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At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score of surgical nurses was an average of 2.78 out of 4: 2.78 for psychological empowerment; 2.48 for th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es; and 3.47 for job involvement. 2) At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the level of job involvement exhibited by surgical nurses with different general characteristics was lower in those nurses aged 39 years or younger than those ages 40 or older(F=5.71, p=.004). It was also lower in nurses who graduated from the 3-year course than those who completed the graduate course or higher(F=3.90, p=.022). 3) At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job involvement of surgical nurs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self-concept(r=.55, p<.001), psychological empowerment(r=.63, p<.001) an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es(r=.55, p<.001). 4) At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the factors that affected job involvement of surgical nurses were psychological empowerment(β=.42, p<.001) an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es(β=.34, p<.001). These two variables had 52.0% of accountability for the job involvement of surgical nurses at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Based on such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nurses were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ed job involvement of surgical nurses at the small and medium hospitals. To encourage their job involvement,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ir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create a positive working environment where they are allowed a degree of autonomy so as to motivate them to work to the best of their ability.

      •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충청북도 내 공연예술단체 종사자를 중심으로

        이문희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culture of the future is an important industry of the society as well as essential element of everyday life. Performing Arts is playing a fundamental role in public interest and participation for the creation and culture. Due to these job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t is set the hypothesis that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will appear different unlike other areas. In order to measure the impact of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due to the abovementioned job characteristics, this study performed the empirical analysis through the job characteristics, job stress, and job commitment, and also performed that data obtaining from the questionnaire were statistically treated by the SPSS 18.0 computer program. Job characteristics in the theory of organizational behavior is significantly developed by the Maslow hierarchy of needs theory and Herzberg's motivation-hygiene theory, but it is based on the expectancy theory of motivation. Job stress approaches to the interactive perspective, response to the job stress in the job environment may occur differently in person. in addition, job commitment is that job h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itment, and intrinsic motivation for performing is based on a theoretical basis which is stronger motivation than by an external incentive compens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signified that the expertise and creativity of the job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effected by the artistic practitioners. Job stress which is conflict arising from the business between organizations and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s the biggest factor. And also, it is shown that preparation of performance and job commitment is developed in maximum. This factor is the source of Performing Arts identity, its importance for the workers is a significant recognition is a testament. These results, professionalism and expertise of the show, and artistic knowledge to younger successors, and factor analysis have been fed. It is shown on the study that Performing Arts Workers as artists must be accompanied by motivational policies which are for increasing pride in the artistry. Thus, it needs that the need for training and professional skills and identity, to strengthen the government's support, the improvement of wage system, the improvement of business environment and the artists will be recognized the social value of respect and strengthen the institutions and the need to communicate with as political factors. 문화예술 분야는 일상의 필수적 요소일 뿐만 아니라 미래의 국가의 중요산업이 되고 있다. 특히, 공연예술은 창조와 문화에 대한 대중적 관심과 참여의 근원적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공연예술의 직무특성으로 인하여 타 분야와 달리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의 몰입도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는 공연예술종사자의 직무특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직무특성․직무스트레스․직무몰입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하여 얻은 자료를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직무특성은 조직행동이론에서 Maslow의 욕구계층이론과 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 크게 힘입었으나 동기의 기대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직무스트레스는 상호작용적 관점에서 접근하며, 직무환경에서 스트레스 자극에 대한 반응은 개인마다 달리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직무몰입은 직무가 몰입의 특징을 가지게 되며, 이는 수행을 위한 내적 동기가 외적 보상에 의한 것보다 강한 동기를 부여한다는 이론적 기초를 토대로 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공연예술종사자는 직무특성으로 전문성과 독창성이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직무 스트레스는 조직과 조직 구성원으로 부터 업무상 발생하는 갈등이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에 대한 직무의 몰입도가 최대로 상승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요인이 공연예술의 정체성의 근원이며, 그 중요성에 대하여 종사자가 크게 인식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이러한 결과는 전문성, 공연의 노하우, 예술적 지식이 후임과 후배에게 피드백 되는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공연예술종사자는 공연예술인으로서 직무에 대한 예술성의 고양과 자긍심의 고취를 위한 동기부여 정책이 수반되어야 함을 연구에서 논의하고 있다. 따라서, 정책적 요인으로 소양 및 정체성 교육의 필요성과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정부의 지원, 임금제도의 개선, 업무환경의 개선 그리고 예술인이 사회적 존중과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제도의 강화와 소통을 필요로 하고 있다. 【주제어 】 직무특성, 직무스트레스, 직무몰입, 충청북도, 공연예술. 공연예술단체

      • 경력역량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직무안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와 직무재창조의 매개효과

        설여관 목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Now a days, the exchang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and members of organizations is transforming due to changes in economic environment. Enterprises pay attention to educating and maintaining key talents. Individuals expand their career development areas outside of current organization and are no longer limited to promotions in it. As a result,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activ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labor market and the career competency to acquire, utilize and maintain qualifications is attracting attent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areer competency on job commitment.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y and job commitment in more detail, it demonstrated the mediating roles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job security which reinforc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For the target population of this study, a total of 305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om current organization members in Shandong Province, China. The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by preliminary investigation before analysis. In this study, SPSS 26.0 and SmartPLS 3.0 statistical software were used to analyze the sample characteristics, descriptive statistics, evaluation of measurement model and structural model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confirm that job crafting plays a positiv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y and job commitment.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y and job crafting is shown to be strengthened positively as job security is highe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commitment has not been strengthened even if job security is hig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effect of job crafting, which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competency and job commitment, was positively strengthened as job security increa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mplications for career theory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of career competency on job commitment. This study considered the ability to overcome rapidly changing and uncertain work environ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development. To Chinese companies and employees who experiencing unprecedented changes recently, this study are presented the competency and importance required to manage an individual's career. Second, this study integrates career competency and job crafting from independent studies in different fields into a research model. Career competency and job crafting are the focused topics of career development and job design, but there has been no study integrating them as causal relationship so far. Therefore, this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d a turning point for showing new perspectives and broadening research directions. As a low-growth economy became more fixed, the ability of individuals to design and practice their careers became more important.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reveals the importance of career competency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commitment. In addi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It not only verifies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ecurity, but also provides implications from the management practical dimension by combining career theory and job theory. Keywords: Career Competency, Job Commitment, Job Crafting, Job Security 오늘날 경제 환경의 변화로 인해 기업과 조직구성원 간의 교환관계는 변화를 겪고 있다. 기업은 핵심인재의 교육 및 유지에 보다 초점을 맞추고 되었고, 개인은 조직 내 승진에만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경력개발 영역을 조직 외부로 확대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이 노동시장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 및 자격을 획득, 활용, 유지하는 경력역량(career competency)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경력역량이 직무몰입(job commitment)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고찰하였다. 경력역량과 직무몰입 간의 영향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파악하고자, 직무재창조(job crafting)의 매개역할과 직무재창조의 매개효과를 강화하는 직무안정성(job security)의 조절역할을 실증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 모집단은 중국 산동성 내 재직 조직구성원들을 대상으로 총 305개의 표본을 수집하고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 문항은 예비조사를 통하여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한 후에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과 Smart PLS 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표본의 특성, 기술 통계량, 연구모형의 검증, 측정모형의 평가, 연구모형의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재창조는 경력역량과 직무몰입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경력역량과 직무재창조의 관계는 직무안정성이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직무재창조와 직무몰입의 관계는 직무안정성이 높더라도 긍정적으로 강화되지는 않았다. 결과적으로, 경력역량과 직무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직무재창조의 영향은 직무안정성이 높을수록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몰입에 미치는 경력역량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경력이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급변하고 불확실하는 근무환경을 극복하는 역량을 경력개발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전례 없는 변화를 경험하고 있는 중국 기업과 조직구성원에게 본 연구는 개인의 경력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역량과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서로 상이한 분야에서 독립적으로 연구되었던 경력역량과 직무재창조를 하나의 연구모형으로 통합하였다. 경력역량과 직무재창조는 각자 경력개발 분야와 직무설계 분야의 주목받는 주제이지만, 직무몰입을 종속변수로서 통합한 연구는 지금까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학제적 접근 방식과 분석결과는 상관 분야에 새 관점과 연구방향을 넓히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저성장경제가 고착화되면서 개인의 경력을 설계, 실천하는 능력은 더욱 중요한 역량이 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경력역량의 중요성을 직무재창조와 직무몰입으로 이어지는 영향관계를 통해 밝히고 있다. 또한 직무안정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력이론과 직무이론을 결합함으로써 기업실무적 차원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경영학 분야에 공헌한 바가 높게 생각된다. 중심어: 경력역량, 직무재창조, 직무안정성, 직무몰입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