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태지원성 강화를 위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 생태학적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강석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인간은 생존을 위해 더 나아가 미를 추구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위로 움직이며, 그 움직임에 따라 주변의 조건이 변화함을 인식하게 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역동적 지각현상을 설명하고 있는 생태학적 지각이론을 토대로 생태학적 세계관으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는 이 시대에 부합되는 작지만 직간접적인 자연의 접촉장소로서의 행태지원성 강화를 위한 문화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자연과 인간환경, 그리고 인간 사이의 관계의 매개체가 되는 물리적 장치를 디자인한다면, 사람들이 움직이며 신체의 직접적 지각을 통해 환경에 참여함으로써 미적 경험을 하며, 그 결과 하나의 의미 있는 장소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신체의 직접적인 지각은 오감을 통하여 공감각적인 지각을 하는 것을 말한다. 자연적 공간을 제공해 주는 동시에 딱딱하고 차가운 도시의 표정에 부드러움을 주는 조경 효과를 내며 인공 환경 속에 자연의 일부를 끌어 들여 인공과 자연의 조화미를 창출한다. 문화공간은 건축물 주위나 건축물 내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건축물-문화시설물-을 포함하는 한 영역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자연요소의 계절과 조형, 공간적 특성 및 현황에 맞는 수목을 적용해서 도심지 내의 문화의 조형적 특성강화에 기여하며 환경적 기능도 가능케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며, 2. 생태학적 지각과 환경 디자인에 있어서 지원성의 의미를 밝히며, 인간과 환경의 상호 작용으로서 지원성의 의미를 설명한다. 3. 문화공간에서의 환경지각과 지원성을 사례조사와 더불어 제시한다. 4. 생태적 지각과정을 고려한 환경디자인 접근방법으로 식재 적용방법을 제시한다. 5. 위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행태 지원성 강화를 위한 환경디자인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고 공간을 프로그래밍하고 구체화한다. 이용자의 행태를 중심으로 계획되어진 문화공간은 공공활동과 휴식, 만남의 장으로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움직이며 느끼는 공간의 지각은 이용자로 하여금 체험하고 경험하게 한다. 본 연구는 환경의 지원성 강화를 위한 방법으로 문화공간디자인을 통하여 실증적 사례 연구를 제시한다. 가로를 연계한 거리의 이미지를 도시구성 요소의 중요한 부분으로 보며 이용자에게 다양한 행위가능성을 제공하며, 생태학적 지각과정을 고려한 자연요소의 공간 적용을 더욱 넓히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 이처럼 우리주변 어디서든지 마주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문화공간을 만든다. 따라서 쉽게 어느 때이던지 이 문화공간에 접근하여 할 수 있는 행위를 마련하는 것이 문화의 개념을 '일상 삶으로의 접근성'을 높여 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여러 가지 행태를 지원하는 문화기반 조성이 필요하다는 점이 문화공간 디자인을 위한 우선적인 전제조건이다. 모든 환경은 인간에게 어떤 행위와 미적 경험을 위한 '행태지원성'을 제공한다. 인간의 일상적인 환경은 어떤 행태를 장려하기도 하고 또 어떤 행태는 제한하기도 한다. 인간을 둘러싼 환경은 인정한 방식으로 어떤 형태를 지원하는 지리적, 건축적, 사회적, 문화적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특정한 위치에서 환경이 갖는 행태지원성은 그 장소에서의 인간 행태를 위해 '잠재적 환경'을 구성한다. 인간은 정신적, 육체적 움직임을 통해 끊임없이 공간과 시간을 재구성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둘러싼 환경을 구축해 나가는 것이다. 따라서 생태학적 지각이론의 의미를 발견하고 역동적 체계로서의 환경 속의 인간과 그 관계성을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학문적 준거의 틀로서 가능하다는 가정 하에 지원성을 갖는 환경의 모형사례를 통해 행태의 주체인 인간과 그 장인 환경을 새롭게 인식하고 한다. Human moves in active way for survival, and for the pursuit of beauty as well, and learn to recognize that the movement makes the condition of environment changed. I as an researcher, based on such ecological perception that explains this phenomenon of moving perception, design the cultural space to strengthen the affordance as the place in direct and indirect contact with nature, coinciding with this time asking conversion to ecological paradigm. To design physical device as a go-between among nature, environment, and human, people are able to join environment through the direct perception in body - to perceive in synesthesia using the five senses-, and experience a beautiful one. As a result, one of meaningful space could be formed While providing not only natural space but also landscape effect to add the tenderness to stiff and cool look of cities, introducing the part of nature into artificial environment, it creates the harmony between artificial and nature. Cultural space lies in neither the surrounding area nor the inside of buildings, but refers to one feild including the building-cultural facilities. Also, applying season and shape as natural elements, spatial features, and appropriate trees contributes to cultural space feature reinforcement in urban center, and enables the enviromental function. The proces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Show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urpose of investigation 2. Reveal the meaning of affordance in ecological perception and environmental design, and explain the meanig of affordance as interactions between human and enviroment. 3. Represent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affordance in cultural space with case research. 4. Represent applying methods in specific ways, picking trees as an environmental design approach considering the process of ecological perception. 5. Through above all, this work prepares the theopetical frame of environmental design for the reinforcement of affordance, and programms to specifiy spaces. Cultural space planned on the basis of user behavior coul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as a field of public activities, rest, and meeting. The perception of mobile and feeling space enables users to experience. This investigation represents re alistic case studies through cultural environment design as the method for the reinforcement of environment affordance. It regards the street image as an important element in city structure, and provides various behavior chances for users. It could be the chance to broaden the spatial appliance of natural element considering the process of ecological perception. Like this, the cultural space to happen to meet could be made everywhere around us. So, making people near this cultural space easily and anytime and have behaviors to do would improve the cultural concept to 'the access to everyday life'. The necessity to form the cultural basis to support various behaviors is the priority to cultural space design. All the environment provides 'affordance' for certain behaviors and beautiful experiences. Men's everyday surroundings encourages :some behaviors and restricts others. Environments surrounding men are made up of geographic, architectural, social, and cultural elements supporting some behaviors in certain way. In a certain place, affordance from environment composes 'potential environment' for human behaviors in the place. Humans, through mental, and physical movement. reconstruct the space and time constantly, and through this, build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m. Therefore, I find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ecological perception, suppose it as the scholastic conformity to analyze and reveal human in the environment as mobile structure and the relationship, and recognize human as the subject of behaviors and the environment as the field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model having affordance.

      • 노인복지관의 실내 환경 지원성과 이용자의 시설 만족도

        김선경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4

        노인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를 지원해 주는 노인복지관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이 노인에게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기능적으로 잘 지원되고 있는지 실내 환경을 평가한다. 또한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시설 만족도를 조사하여 이를 실내 환경 평가와 비교 분석하여 노인복지관 시설에 대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향으로 제언함으로써 향후 노인복지관의 신축, 기존 노인복지관의 증축 및 리모델링 시 활용될 수 있는 설계계획의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G광역시 지역에 소재한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7개의 노인복지관 중에서 시설조사 및 설문 협조가 가능한 5개의 노인복지관 시설과 그 이용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내 환경 지원성 평가를 위한 관찰점검과 이용자의 시설 만족도를 위한 설문조사 방법을 실시하였다. 물리적 환경 평가를 위한 관찰점검에서는 도면검토를 통해 복지관별 공간구성 차이점을 조사하고 실내 환경 지원성 평가도구에 근거하여 노인복지관의 실내 환경 적합여부를 조사하였다. 이용자의 주관적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에서는 이용자들의 일반사항, 공간사용사항, 시설 만족도, 요구사항 등을 조사하였고 총 248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6.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Cronbach's α, 빈도분석,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관찰점검을 통하여 실내 환경 지원성을 조사한 결과, 11개로 구분된 공간 중 화장실과 사무실에서 실내 환경 지원성의 적합성이 가장 높았고 계단/엘리베이터와 식당에서 가장 낮았다. 환경지원성의 네 가지 하위차원으로는 행동의 용이성, 생리적 유지, 지각적 유지, 사회적 용이성이 있는데 이 중 생리적 유지 차원의 실내 환경 지원성 평가가 가장 높았고 행동이 용이성, 지각적 유지 순서였으며 사회적 용이성 차원에서 가장 낮았다. 조사대상 노인복지관은 전체 64개 세부항목에 대해 평균 37개 항목이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미흡한 항목이 11개 항목, 부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 항목이 10개 항목으로 나타났다. 2) 설문조사를 통하여 이용자의 시설 만족도를 분석 한 결과, 이용자들은 화장실에서 가장 만족하였고 현관/로비/복도, 사무공간, 계단/엘리베이터, 휴게공간, 의료공간, 주간보호공간, 상담/공동작업공간, 교육공간, 식당의 순서였으며 체육공간에서 가장 불만족하였다. 환경지원성의 네 가지 하위차원 중 생리적 유지 차원에서 가장 만족하였고 행동이 용이성, 지각적 유지 순서였으며 사회적 용이성 차원에서 가장 불만족하였다. 이용자들 중에는 노인복지관 전체 시설에 대하여 불만족하기보다 만족하는 이용자가 더 많았고 비교적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노인복지관에서 이용자가 가장 불편하다고 느끼는 시설은 체육공간으로 조사되었으며 식당/휴게공간, 교육/취미/오락공간, 현관/로비/복도, 의료공간의 순이었다. 노인복지관에서 가장 요구도가 높은 시설은 체력단련실이었으며 탁구/당구실, 교육실, 컴퓨터실, 휴게실의 순이었다. 4) 노인복지관 이용자는 여자가 남자에 비하여, 연령이 80세 이상인 경우가 그 이하인 경우에 비하여, 무학의 경우가 국졸이상의 경우에 비하여 보다 더 만족하는 경향이 있었다. 5) 실내 환경 지원성 적합여부에 따른 이용자 시설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64개 조사항목 중 23개 항목인 복도 디자인과 안전손잡이, 출입구 주변 사교공간, 라운지 공간 독립성, 화장실 디자인과 문턱제거 및 시선차단, 내부공간 확인가능, 체육공간의 다목적 활동지원과 바닥의 유지관리, 운동 시 조망가능, 탈의실의 남녀 구분, 상담실의 디자인과 위치 및 개별상담공간, 의료공간의 위치와 접근성 및 대기공간, 식당디자인과 대기공간, 이․미용실의 급수시설 및 집기, 사무실의 독립성과 접근성 항목에서 실내 환경 지원성에 부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비하여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 경우 더 만족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환경지원성의 하위 차원 중 사회적 용이성 차원에서 실내 환경 지원성 평가가 낮았고 시설 만족도 또한 낮았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노인복지관의 실내 환경 계획 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사회적인 관계가 축소되는 경향이 있는 노인의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킬 수 있는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시설의 정비나 증축 계획이 있을 시에는 요구도가 많은 체육공간이나 교육공간을 우선적으로 증설해야 하며, 특히 이용자가 불만족하게 생각하는 체육관련 시설에 관심과 배려가 요구된다. 또한 신체적으로 쇠약한 상태의 노인들이 쉴 수 있는 휴게실 공간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실내 환경 지원성에 부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 노인복지관 이용자는 적합하게 설치되어 있는 노인복지관 이용자에 비하여 시설에 대해 보다 불만족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용자가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관 시설을 환경지원성 측면에 적합하게 정비하고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세부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계획관련 시설 규정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행태와 지원성에 의한 사무공간 디자인 연구 : 워크스테이션을 중심으로

        최형곤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790

        사무환경은 종합적인 환경으로 발전해가고 있으며 현대적이고 독특한 공간으로 여겨진다. 업무조직의 변화와 컴퓨터 기술의 발달, 서비스직의 증가와 사무직, 관리직 노동인구의 증가, 정보 교류와 생산성의 급속한 향상은 작업형태와 사무실 디자인의 혁명을 가져오게 되었다. 앞으로의 사무실에서는 작업을 위한 고도의 정교한 기술과 기기들이 개발 도입과 더불어 인간의 욕구 및 다양하고 부단한 업무형태에 더욱 부응하는 인간적 요인들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공간디자인의 경향은 인간의 본질적인 욕구와 가치기준에 중점을 두는 이용자 중심의 접근방법으로 기울어지고 있다. 인간의 미적욕구와 행위욕구의 범위는 너무나 넓기 때문에 어떠한 형태의 환경이 그것을 최대한 지원할 수 있는가를 파악하기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오늘날 인간행태에 기초한 환경디자인 방법의 연구는 기성의 디자이너들로 하여금 그들이 가지고 있는 공간 설계 방법에 관한 통념으로부터 벗어나게 하고 있으며, 개인과 그룹의 차원에서 발생하는 행동패턴에 대해 예민한 통찰력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실내디자인에서의 행태학적 접근방법을 토대로 사무공간에서 근무자에게 효율적인 워크스테이션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업무에 대한 능력을 증대시키며 개인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고, 분석적이고, 과학적인 자료와 태도로 새로운 행태 장치물을 창출함으로써 보다 올바른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하나의 디자인 문제해결과정이다. 인간행태를 과거의 선형적, 기계론적 사고의 행동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전체적이고 상호 작용을 사용자 중심으로 보다 긍정적이고 활성화하는 실내환경디자인 모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1) 연구의 목적,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계획하고 행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밝힘으로써 이론적 배경을 마련했다. 2) 공간의 인식과 그 반응으로서의 인간행태 특성을 분석하고, 행태장치로서의 자원성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3) 연구의 보다 객관적인 이론적 배경으로 행태와 지원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사무공간내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워크스테이션 구성개념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4) 사무환경의 특성을 공간한정요소, 워크스테이션 및 레이아웃, 개인업무공간 면적 등의 사무공간 계획요소, 프라이버시와 커뮤니케이션의 행태적 요소, 환경설비요소와 사무자동화 및 정보통신시설의 기술적 요소로 분류하고 각 요인에 대한 근무자의 만족도와 업무효율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5) 실태조사 및 조사결과는 사무공간계획 요소, 행태적 요소, 기술적 요소의 관점에서 분석되었으며 건물유형별, 직급별, 만족도의 현황과 만족도 관련 요인들의 인화분석을 통한 사무환경의 개선순위를 유형별로 제시하였다. 6) 진행된 이론 연구의 내용을 공간 계획에 적용하였다. 연구 과정을 통해 제시된 개념을 적용한 디자인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디자인 개요 및 현황 분석 2) 디자인 목표 및 방향 제시 3) 디자인 개념 설정 4) 디자인 전개 5) 종합 및 평가를 통한 디자인 모델 제시 연구 결과, 인간은 공간을 지원성 있는 하나의 환경으로 인식하며, 인간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 공간의 이미지는 일정한 행태를 유발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실험적으로 적용한 디자인 단계에서는 하나의 공간이야기를 중심으로 일정한 행태를 유발시키는 실내환경디자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행태와 지원성을 바탕으로 사무공간 디자인에 적용시켜 대부분의 시간을 사무실에서 보내는 현대인에게 보다 효율적이고 창조적이며 사고적인 작업장으로서 새로운 방향의 실내공간을 제시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Business environment is developing into a synthetic environment, and regarded as modern and unique space. Changes in business organization,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an increase in the work of service, an increase in the population of clerical workers and managers, information exchanges and the rapid improvement of productivity have brought about a revolution in the pattern of work and the design of offices. As top-notch sophisticated skills and machines designed to be used in offices in the future are developed and introduced, human factors in line with the needs of human beings and a variety of working patterns should be significantly treated. The recent space design has a tendency to resort to user-oriented approaches to focus on the essential needs and the value standards of human beings. Because human needs for aesthetics and behaviors are too much diversified,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find out what forms of environments can support them to the full. Studies on the methods of designing environments based on today's human behaviors help established designers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 of their approaches to space design, requiring sensitive insight as to the patterns of behaviors which occur at a level of individuals and groups.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an increase in working abilities and in the satisfaction of individuals by offering workers efficient workstation space in the space of business on the basis of behavioral approaches in the field of interior design, and to present a problem-solving process of design with a view to giving a more desirable support by creating new patterns of devices with the help of scientific data and attitudes. The purport of this study is to escape from the behavioristic views based on the lineal and mechanical thoughts of the past, and to present the models of interior-environment design to activate user-centered general interaction in a more positive fashion. The study is to proceed as follows. 1) This study presents theoretic backgrounds by working on the purpose, range and methods of the research and expounding a new approach to behaviors. 2) This study makes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uman behaviors as space recognition and its response and defines the notion of affordance as a behavioral device. 3) This study inquires into behaviors and affordance as its more objective theoretic backgrounds on the basis of the concepts of workstation components aimed at activating interaction within business space. 4) This study classifies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environment into such business-space planning factors as fixed space, workstation or layout, individual work space, and such technological factors as environment equipments, business automation and information-communication facilities and such behavioral factors as privacy and communications, trying to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tisfaction of workers and business efficiency. 5)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n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hree factors above, and presents business environments to improv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of satisfaction and its relevant factors on the basis of their order. 6) This study applies the findings to space plans. The process of design which applies the concepts presented by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o analyze the outline and the current condition of design 2) To present the objectives and direction of design 3) To establish the concepts of design 4) To unfold design 5) To present the models of design via a synthetic evaluation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human beings consider space an environment with affordance, and that the images of space formed by human experiences create certain patter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above, I have presented an approach to interior environmental design which create certain behaviors on the basis of a space episode.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more efficient and creative and thought-provoking places as fresh interior space to the moderns who have to spend most of their time in offices, by applying human behaviors and affordance to the design of business space.

      • 지원성을 고려한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건축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윤재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759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개정으로 소규모노인요양시설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노인복지법시행규칙에 따른 시설기준에 의해서 시설이 계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규모노인요양시설을 입소 및 주간보호노인의 거주시설과 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으로서 인식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성을 고려한 시설의 건축 계획적 특성을 밝히고 있으며 시설종사자들의 전문가적 경험을 바탕으로 공간구성적, 개별 실들에 대한 구체적인 시설 특성을 도출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suggest new architectural standard for the Small-Scale Elderly Facilities. These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s a settlement for the elderly but also working environment for the people working in the facilities. Since the staffs have to stay for 24 hours to care the elderly,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would be deeply influenced by their working environment. In this respect, this study depends on the theory of "affordance" and explores architectural planing characteristics of the faciliti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acilities should be considered as a settlement and working environment for elderly and staffs in the respect of affordance. Secondly, the space of Small-Scale Elderly Facil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wo spaces by legal code and its own needs. Thirdly, each room of the facilities has special interrelationships with others to support users activities in various conditions. Fourthly, the spatial composition and rooms should be designed in the respect of affordance. Fifthly, the relationships of rooms could be redefined under the classification of space into 6 specified spaces; living space, cure and rehabilitation space, support space, feedng space, administration space, movement space. Finally, existing regal standard for the establishment of facilities needs reassessment and improvement in the respect of "affordance.

      • 住居支援性 側面에서 본 光州地域 老人의 住居意識에 관한 硏究

        구민경 湖南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743

        본 연구는 광주지역 노인들의 주거환경실태에 관한 조사를 통해 주거문제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 및 노인의 주거의식을 파악하고, 현 주거의 지원성 측면에서 개선요구사항을 도출해 냄으로써, 노후생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주거환경계획지침을 설정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1. 노인가구의 주거환경은 단독주택 거주비율이 높고 소유비율과 10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비율이 높음을 미루어 볼 때, 주택의 노후화를 짐작할 수 있다. 2. 소득과 학력이 낮고 거주기간이 갈수록 단독주택에, 소득과 학력이 높고 거주기간이 짧을수록 공동주택에 거주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3. 주거 만족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나고 있으나, 소유형태, 주택유형, 주거규모 등의 변인이 주거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개선요구사항은 문턱제고, 계단 및 경사로 폭과 손잡이, 앉아 이용 가능한 시설, 충격보호대 설치, 방음, 난방, 조명, 환기시설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5. 주거환경의 지원성 평가결과 전체평균은 2.790점으로, 보통(3점)에 못 미친 문항이 74%를 차지해 지원성의 정도가 상당히 미비함을 보여준다. 하위영역별로 보면 행동의 용이성 차원이 2.889점, 생리적 유지 차원이 2.711점, 지각적 유지 차원이 2.559점, 사회적 용이성 차원이 3.002점으로 나타났다. 행동의 용이성 차원은 욕실 협소, 욕조나 변기 옆에 안전손잡이 미설치, 욕실설비 불편, 수납공간 부족, 융통성 있는 공간이 없음이 지적되었다. 생리적 유지 차원은 문턱, 계단의 안전성, 욕실바닥의 미끄러움, 안전손잡이바, 돌출부분의 안전성, 긴급연락시설 등에 대해 낮은 평가를 나타냈다. 지각적 유지 차원은 난방, 현관경사, 소음, 냉ㆍ온수 자동 밸브, 환기, 단차나벽/바닥 교차부분에 대조색 표시, 계단과 복도 양측에 난간 설치, 노인이 욕실 내에 쓰러졌을 때, 문 바깥쪽으로 열리는지의 항목에서 지원성이 낮게 평가되었다. 사회적 용이성 차원은 주차공간의 부족 및 관리 미흡, 조망, 조경공간부족, 욕실의 휴식 기능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노인의 주거의식에 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가구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주거의 지원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행동의 용이성 차원 욕실의 변기와 욕조 옆에 안전손잡이바를 설치하고, 보조자를 수용할 수 있게 욕실의 크기를 확장시킨다. 노인이 필요로 하는 설비들을 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융통성 있는 공간을 계획하며, 수납공간을 확보한다. 2. 생리적 유지 차원 욕실 수납장의 배치에 유의하고 벽면재로 매입시키며, 미끄럽지 않은 바닥재를 선택한다. 긴급연락시설을 제공하고, 벽 모서리를 라운드처리, 충격보호대설치, 주 이동 동선에 안전손잡이바를 설치한다. 계단 경사를 완만하게 하며, 문지방을 가능한 없애고 실내 바닥을 같은 높이로 하는 방안이 수용되야한다. 3. 지각적 유지 차원 쾌적한 실내환경 확보를 위한 난방, 방음, 환기, 조명시설 설비를 보완하고, 욕실문이 바깥쪽으로 열리게 계획한다. 계단과 복도의 양측에 난간을 설치하고, 단차나 벽/바닥 교차부분에 대조적인 색을 표시해 위험성을 알린다. 4. 사회적 용이성 차원 관공서나 교회의 부설주차장 개방을 유도해 부족한 주차공간을 확보한다. 조망 및 조경공간이 필요하며, 욕실 사용 시 앉아 쉴 수 있는 설비를 설치한다. Under the current situation where the sense of supporting family and the possibility to support family are weakening, due to a phenomenon of nuclear family, senior citizens' residential problem should be handled from the point of view of society, rather than senior citizens themselves. Considering the number of senior citizens' households continuously increases,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s regarded to be more important.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inconvenient factors and matters to improve by analyzing senior citizens' current residential environment, identifying the recognition of residential problem and degree of satisfaction and evaluating the supportability to the current housing. Also, the purpose lies in minimizing physical impeding factors within their housing and increasing the support of their residential environment, so that they can lead their lived independently and they can adequately cope with their old age.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as a result of study and analyses of this research: 1. A single housing rate was high, as well as housing ownership rate and the rate of living in the same house for more than 10 years were high in term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senior citizens' households. In view of these, emotion toward their houses and emotional relations with their neighbors were high. Meanwhile, physical features and ageing phenomenon of their housing were also inferred, due to relatively weak housing modernization. 2. The rate is shown relatively high that the people who have lower income and education and live longer period of time prefer independent houses while the people who have higher income and education and live shorter period of time prefer apartment houses. 3. Satisfaction of their residence was relatively shown lower. Variables such as ownership status, housing type, housing size were studied to greatly influenc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4. Some of the requirements for housing environments are getting rid of threshold, the incommodious using stair steps, the the hill's width and holders, installing the equipments that is possible to do working while sitting, the protectors, the sound protectors, maintanace for the temperatures, the maintanace for lights, air fresheners, which were very highly pointed. 5. As a result of supportability to residential environment, the average of residential supportability was 2.785, which represented lower than general level. The supportability of their residences was shown very weak, considering that scoring of less than 3 points (Which represents regular) accounted for 74% of the entire questions. This persuasion is based on the study of Gwang-ju elderly's housing consciousness, to make better conditions of housing environments for elders and improve the housing affordability.

      • 행태 지원성을 강화한 도시공원 디자인 모형사례 연구 /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742

        세계를 통합된 전체로 인식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은 살아 있는 유기체를 전체로 보는 것으로 모든 생명의 일체성,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상호의존성을 주장한다. 이는 세계를 부분들의 집합으로 보기 보다 통합된 시스템으로 보는 전일적 세계관, 시스템식 패러다임으로 설명된다. 유기체와 환경 또한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전체로 형성되었으며 유기체는 환경 없이, 환경은 유기체 없이 존재할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로 설명된다. 이는 인간과 환경과의 연구에도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도시환경은 자연. 인공, 사회적 환경과 사람의 관계를 파악하는 총체적인 시스템으로 인식해야 한다. 도시환경이 사람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사람의 행동이 환경에 어떤 작용을 하는가에 대한 상호관계성을 파악해야 하는 것이다. 오늘날 도시환경은 급속한 도시화로 인구가 급증하고 편중되면서 자연생태계의 균형이 깨지고 교통의 혼란과 대기의 오염, 토지의 부족에서 오는 녹지의 부족 등으로 미적, 환경적 측면에서 볼 때 점차 황폐화 되어가고 있다. 도시가 확장되고 인구가 편중되면서 환경과 인간이 조화되지 못한 채 공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인간 삶의 질적 저하는 심각한 수준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인간과 환경의 관계를 총체적인 관점에 의한 유기체적 시스템으로 이해하여 인간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볼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의 보다 합리적인 향상을 위해서 환경과 인간행태의 관계성을 분석하고 행태의 주체인 인간과 그 장인 환경을 새롭게 인식하는 행태지원성을 규범적인 접근방법으로 삼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지원성 강화를 위한 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실증적 사례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도시환경 디자인 방법으로 행태 지원성을 갖는 환경은 이용자에게 행위가능성을 제공하여 행태유발을 시킬 수 있는 개연적 가능성을 내포하게 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간행태를 과거의 선형적, 기계론적 사고의 행동주의적 시각에서 벗어나 전체적이고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해석하고자 한다. 즉 행태분석을 통한 자료를 바탕으로 사용자 중심의 상호작용을 보다 긍정적이고 활성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인간에 의해 선호될 가능성이 있는 환경적 질을 파악하여 선호도가 높으면서도 그 물리적 요소와 인간행태, 즉 반응의 패턴이 적정한 수준의 만족도를 유지할 수 있는 환경적 행태적 장을 조성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연구의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 연구범위 및 방법을 밝힌다. 2. 도시공원 환경디자인의 이론적 배경으로서 행태과학을 고찰해 보고, 인간과 환경의 상호작용으로서 행태지원성의 적용필요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3. 도시환경으로서 도시공원을 새로운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사례조사를 통한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제시한다. 4. 도시공원에서 유발되는 인간행태를 살펴보고, 공원디자인의 이론적 고찰과 적용사례를 통한 요구사항들을 분석하여 디자인 문제해결을 위한 근거로 삼는다. 5. 위의 모든 과정을 통하여 행태지원성 강화를 위한 환경디자인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여 공간을 프로그래밍하고 구체화한다. 6. 본 연구 내용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제시한다. 위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하여 행태적 접근을 통해 인간과 환경이 상호보완적이고 유기적인 관계임을 밝혀, 인간행태가 유발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시한다. 이로써 도시환경은 비로소 의미를 지니게 될 것이며. 인간의 다양한 필요에 부응하는 정보를 반영함으로서 더욱 가치 있는 도시환경이 만들어 질 것이다. 도시환경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켜야 함을 인식하고 그 방법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I would like to present the unity of all the creatures and the interdependence of the interaction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by suggesting the new paradigm to solve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and looking at all the living organisms as a whole. This approach can be described as the holistic view of the world or the systematic paradigm that regards the world as an integrated system rather than the mixture of the parts. Organisms and the environment are combined together inseparably. They cannot exist without each other. That is, it's inseparable relations in which organisms cannot go on without the environment, and vice versa. This kid of relation places itself importance in the study of man and his environment. From a systematic viewpoint, the urban environment is a stimulus that affects people, who in turn respond to it. The environment created and accumulated in the process of stimuli and responses is perceived as a culture. The urban environment perceived as a culture provides a public space where physical elements are connected together. Today's urban environment, however, is on the right track to devastation;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creasing population has left the city overpopulated ; the balance of the natural ecosystem has been broken: the confusing traffic and air pollution are getting worse: and lacking lands leads to lacking green areas. In short, a modern city is being ruined in the aesthetic and environmental aspect. As the city expands and increases in density, it's harder for it to function as a public space and the citizens are suffering from degrading living standards. All these have raised the need for a space where people can enjoy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laxation. In order to upgrade the quality level of an urban environment in a more rational way, it's necessary to create a user-oriented space that identifies the human nature from the human-focused viewpoint. The efforts for that are significant in that it can help to enhance the quality level of the visual environment for the sake of the users and that it can provide the base for a design to predict possibility to cause behaviors through the behavioristic approach. In this study, it was attempted to interpret human behaviors based on holistic and interactive relations beyond the old behaviorism based on linear and mechanical thoughts. That is, it was intended to vitali e the user-oriented interactions more positively on the basis of the data of behavior analysis. Thus the environmental qualities that were very likely to be preferred by humans were identified, and an environmental and behavioristic space was created which was high in preference and continu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response pattern between the physical elements and human behaviors at the proper level. The research can be described as follows: 1. The background, goals and scope of the study were presented. 2. The need for behavioristic approach in designing the environment for an urban park was explained. And it was examined why the features to support behaviors as the interaction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should be applied. 3. An urban park was newly considered as an urban environment. In investigating case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were analyzed to suggest improvement measures. 4. The foundation used to solve the design issues came from the consideration of the human behaviors happening in an urban park and the analysis of the requirements through theoretical review and cases of park designs. 5. All of these were used to set up a theoretical frame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that had the features to support behaviors stressed. The space was programmed and specified. 6. The summary and discussion was presented along with the expected effects and contributions of the study. In this study, a behavioristic approach was taken to show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 and his environment were complementary and organic, which led to a design that could cause human behaviors. Now the urban environment finally has some meanings and will keep enhancing its value by reflec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diverse needs of peopl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recognized the need to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an urban environment and suggested the ways to do it.

      • 주거환경의 개선을 위한 공동주택단지계획에 관한 연구 : 외부공간의 지원성을 중심으로

        김영석 인하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724

        사회, 경제적인 현상을 반영하는 시민의식 수준의 향상에 따라 삶의 질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고, 주택의 소비자들도 공동주택 선택의 기준이 이전의 경제적 이유나 자녀 교육의 환경에서 이제는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주거의 환경이 중요한 선택의 기준으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도시형 주택의 전형으로 자리하게 된 공동주택의 경우에도 공급 중심적인 개발 편의주의보다는 총체적인 거주환경의 정비에 우선하는 정책목표와 수단이 마련되는 등 과거와는 다른 다양한 목표체계와 구현수단이 마련되고 있다. 특히, 무분별한 개발에 대한 우려와 환경파괴에 대한 비판적 여론의 확산과 아울러 환경친화형 도시 창출, 생태적 주거단지 및 환경조성을 그대안적 목표로 하는 대응이 당면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는 지금까지의 주거단지 개발이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산업화, 도시화되면서 대도시 집중과 지가의 상승으로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주택의 양적 총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고밀 개발 및 단기간 동안의 집중개발로 이루어져 왔으며, 결국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야기 시켰다는 반성에서 비롯되고 있다. 첫째, 도시 및 지역경관을 훼손시키는 공동주택단지 개발 둘째, 폐쇄적, 배타적으로 이루어지는 공동주택단지 개발로 인한 도시 활력의 저하 셋째, 획일적이고 삭막한 생활공간을 초래하는 개발형태 넷째, 공동주택단지 내 옥외공간의 절대적인 부족 다섯째, 주변 도시조직과 생활공간을 파괴하는 재개발, 재건축 이와 같은 공동주택 단지개발의 문제는 지역특성을 고려하지 알은 획일적인 규제 장치와 아울러 주변 환경보전을 고려한 개발관리 제도의 미흡과 시설의 최저수준 확보에만 주목하였던 주택관련 법령과 제도를 운용함으로써 바람직한 질적 수준을 달성하기 위한 새로운 지표개발과 사회적 요구대응에 소극적이었다는 측면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민 대부분의 생활근거지이자 도시개발의 주종을 이루는 공동주택단지를 지원성 중심으로 외국의 사례연구를 참조하여 합리적인 외부 공간 유형별 설계기법과 지원성을 고려한 옥외 공간 계획을 모색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인천광역시 동구 송현동을 선정, 현상설계에 나타난 외부 공간 지원특성을 규명 하였다. Social interest about quality of life is enlarging according to society, improvement of citizens' way level that reflect economical phenomenon, and consumers of house environment of residing that standard of apartment house selection can improve quality of life now in previous economical reason or environment of children education that being changing by standard of important selection, policy target and means that is prior in full equipment of more general dwelling environment than supply central development opportunism in case of apartment house which have setting down in life in model of city style house are readied and other various target system and embodiment moms are readied with past. Specially, environment friendship elder brother city Changohul, mode of life enemy together with spread of critical public opinion about worry and pollution about indiscreet development residing only and confrontation that do environment furtherance by the alternative target to Chinese noodles subject emboss. Plaster panel ceiling that this augments quantitative total amount of house which was lacking absolutely by big city concentration and rise of price of land as so far residing only development by economic growth that is fast industrialize and is citified to development and concentration development for short period consist and finally, is started in self-examination that caused following problem. First, cooperation housing complex development that defame city and area policeman . Second, decline of city vitality by incestuous of, that consist clannishly cooperation housing complex development Third, development form that cause undifferentiated and dreary life ball. Fourth, in cooperation housing complex absolute lack between open air ball. Fifth, redevelopment that destroy surrounding city establishment and life ball, re-construction. Such apartment house only problem of development in by applying house connection statute and system that gave attention to in Miheup of development management system and ground floor security of equipment that consider surrounding environmental safeguard together with undifferentiated regulation device that do not consider local citizenry new surface of the earth development to achieve desirable qualitative level and side that in social request confrontation was negative the cause find can. Therefore, cooperation housing complex which research that see accomplishes hepcat most life base and master and servant of urban development open air space plan that consider reasonable external space type design techniques and support attribute refering foreign case study to center for support grope. Research object earth chooses Songhyeon-dong Dong-gu Inchon-kwangyokshi that was designated to the residing environment improvement earth, examined closely external space support special quality that show in phenomenon design.

      • 라이프 시나리오를 통해 본 미래 주택의 건강 기능성 연구

        이영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90

        현대사회에서 예측하는 미래의 실현속도는 기하급수적으로 빨라지고 있으며, 그에 따라 학술 및 산업계에서 미래예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세계의 미래학자 및 각 분야 전문가들은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미래 사회를 예측하고 있는데, 이때 도출되는 라이프 시나리오는 미래 관련 연구에서 실증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우리나라는 선진 복지국가로 진입하면서 개인의 건강이 삶의 중요한 가치가 되었으며, 또한 유래 없이 빠른 고령화를 겪으면서 노인 및 만성질환자 등 특별한 관리를 필요로 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대비한 인력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의미에서 미래에는 거주자의 건강을 적절하게 지원해주는 '건강 주택'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증가할 것이다. 현재의 주택이 '건강 주택'의 개념을 포괄하는 주택이 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될 수 있다. 첫째, 건축 차원에서 주택의 건강 지원성을 높이는 것이다. 건강을 증진시키는 환경을 계획하고 설계하는 등 이미 보편화되어 있는 주택 기술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주택을 건강관리의 중심 장소로 부각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ICT 차원에서 주택의 건강 지원성을 높이는 것이다. ICT의 발달로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기능이 주택 내에 들어옴으로써 건강 지원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는 정보사회를 거치면서 주거공간이 정보통신기술과 결합하여 주택이 새로운 국면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는 미래의 주거공간이 가지는 기능적 특징 및 그것의 변화 양상에 대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다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미 도출되어 있는 미래 라이프 시나리오들을 대상으로 미래의 주거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현 주거가 발전해 나가야 할 방향성을 예측하고 설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는 미래 예측 서적에서 도출된 라이프 시나리오를 통해 미래 주택을 살펴봄으로써 주거 기능의 변화 가능성을 파악하고 미래 주택이 가지는 건강 지원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주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라이프 시나리오 에피소드에 나타나는 주거 기능 및 생활 행위를 도출함으로써 미래 주택의 주거기능 및 생활행위의 특징을 예측한다. 둘째, 미래 주택의 주거 기능 및 생활 행위를 과거와 현재의 주거 기능 및 생활 행위와 비교함으로써 주거 기능의 변화 양상을 파악한다. 셋째, Murtha and Lee의 사용자 혜택 이론의 항목에 따라 미래 주택의 건강 지원성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으로서, 미래 예측 관련 서적 및 보고서 10권 내에서 주거 공간과 관련 있는 라이프 시나리오 에피소드를 추출하여 여기에 나타나는 미래 주택의 특성을 파악하여 분석하였다. 미래 주택의 주거 기능 분석을 위해서 '주거기능 및 생활행위 분류' 항목을, 미래 주택의 건강 지원성 분석을 위해 'Murtha and Lee의 사용자혜택 이론' 항목을 내용분석의 틀로써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라이프 시나리오에 나타난 미래 주택의 주거 기능에서는 기존에 주거 기능으로서 언급되던 것들 이외에 정보생활, 건강관리생활, 업무생활의 기능이 추가적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주거 기능 내에서도 식생활 기능의 재료주문 행위와 주생활 기능의 출입보안 행위가 새롭게 나타났다. 2) 라이프 시나리오에 나타난 미래 주택 내 생활행위를 살펴보면, 업무생활 기능 및 기타생활 기능을 제외한 주거기능 내 대부분의 세부행위요소들은 과거에서 미래로 갈수록 그 행위수행의 주체가 기계(컴퓨터)에 의해 대체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로봇이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식품생산, 위험?사고관리 등 일부 생활행위 및 세부행위요소에 대해서는 현재 시점에 이미 기계(컴퓨터)가 과거 인간이 해오던 역할을 상당 부분 수행하고 있다. 또한, 갱의 시 '신체조건?취향고려' 행위나 '재택근무' 등 일부 행위에 있어서는 미래에도 로봇에 의해 모든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여전히 인간의 역할 또는 책임을 일부 남겨두고 있다. 3) 라이프 시나리오에 나타난 미래 주택의 건강 지원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 주거 기능별 관련 미래 가정용 기기들을 Murtha and Lee 사용자혜택 이론 항목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행동의 용이성 범주에서는 '기능적 일치'와 '조작적 일치' 특성에서 주로 강화되고, '가변성의 일치' 특성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유지 범주에서는 '지지적 일치' 특성에서 강화되는 모습이 나타났으며 지각적 유지 범주에서는 '행동적 유인' 특성이 가장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용이성 범주에서는 '사회적 관찰성'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나는 한편 일부 기기에서 '사회적 유인' 특성 및 '사회적 고립' 특성은 약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주거공간을 구성하는 물리적 요소들의 위계질서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에 단순히 제품에 불과하다고 여겼던 것이 환경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거나, 그 반대로 이전에는 주어진 환경 그 자체라고 생각해온 것이 제품화되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2) 인간 생활의 각 영역 간 경계가 허물어지고 있다. 주거공간, 업무공간, 의료공간 등 인간 생활을 둘러싼 다양한 영역에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던 정보들이 통합되어 이용이 가능해짐에 따라 영역별 구분이 모호해지고 있다. 3) 주택은 미래로 갈수록 고기능화 되고 있다. 기존에 병원, 학교 등 외부의 전문 기관을 통해 수행하던 많은 행위가 주택 내로 상당 부분 흡수되면서 주택은 본연의 주거기능이 강화될 뿐만 아니라 업무, 교육 기능까지도 전문화된 수준에서 수행하게 될 것이다. 4) ICT가 주택 내 가정용 기기에 다양하게 적용된다면 예상치 못한 사고나 위험의 발생에 대해 적절하게 대응하고 일상생활의 장애를 감소시킴으로써 거주자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 및 증진시킬 수 있는 긍정적 변화가 예상된다. 한편, 주택 내 ICT로 인해 원하지 않는 사회적 접촉이 발생하거나 혹은 외부인의 접근이 지나치게 제한됨으로써 거주자의 사회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 또한 내재하고 있다. 5) 앞으로 주택상품을 개발하는데 있어서는 단순히 기능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고령인구의 증가, 출산율 감소, 독신자의 증가 등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구성변화까지도 고려하여 미래 사회의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심도 있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미래욕실계획을위한 소비자 요구분석연구

        김아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89

        1960년대 현대식 욕실형태로 주거공간 내에 처음 도입된 ‘욕실’공간은 거실, 침실, 부엌에 비해 그 중요도가 낮게 평가되어오며, 그 주된 기능은 생리적 욕구 해결이었다. 그러나, 70,80,90년대를 거치며 소비자들의 삶의 질과 생활수준의 향상, 그리고 실내디자인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해 욕실공간에 대한 관심이 급증되어지고 특히 최근 브랜드 아파트의 등장으로 인한 주택 시장의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각 업계들은 최근 관심공간으로 떠오르고 있는 욕실공간을 통해 차별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욕실공간에 파우더룸과 드레스룸의 도입이 이루어지고 , 욕실 마감재가 고급화되어지고 있다. 또한, 최근 휴식과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인해 월풀욕조, 비데, 마사지 샤워기등 새로운 욕실제품들이 등장하는 등 현재의 욕실공간은 과거 생리적 기능 해결뿐 아니라 다양한 소비자 요구를 해결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실공간에 대한 관심은 계속 증가할 전망이며, 주택업계에서 또한 욕실공간의 차별화를 통해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욕실공간의 소비자 요구에 대한 보다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가 원하는 욕실의 구체적인 기능과 그에 따른 욕실제품, 그리고 소비자가 원하는 욕실의 지원성을 파악하여 궁극적으로는 미래 욕실계획을 위한 소비자요구를 분석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미래 주거 공간 내 욕실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분석을 위한 연구로서 주거공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며, 주택 구입 시 많은 결정권을 갖는 주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현재 우리나라의 가장 대표적 주거공간인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들로 그 범위를 한정하였으며, 조사시기는 2004년 11월 10일부터 22일 까지 12일간 147명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를 대상으로 인터넷 리서치 전문회사의 웹 설문조사 시스템을 이용한 온라인 서베이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러한 설문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첫째, 소비자가 원하는 주거 공간 내 욕실의 개수, 유형을 파악, 둘째, 현재 욕실기능과 미래 희망하는 욕실기능을 비교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욕실기능 파악, 셋째, 현재 욕실제품과 미래 도입을 희망하는 욕실제품을 비교 분석을 통해, 소비자가 원하는 욕실제품 파악, 넷째, 소비자가 원하는 욕실의 지원성을 파악하여, 미래 욕실계획을 위한 소비자 요구를 파악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Win 12.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통계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미래 욕실계획을 위한 소비자 요구를 분석하기 위해 현재 욕실기능과 미래 희망 욕실기능, 현재 욕실제품과 도입 희망욕실 제품, 그리고 소비자가 요구하는 욕실 지원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욕실공간에서 소비자가 요구하는 제품, 지원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제품에서는 미끄럼 방지 타일, 지원성에서는 ‘욕실 바닥의 미끄럼 방지’와 ‘욕실의 빠른 물기제거’항목이 중요하게 나타나며 욕실 내 안전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물을 사용하는 공간이며, 그 마감재 또한 미끄러운 욕실 공간에서 안전사고 방지를 원하는 소비자 요구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욕실기능 중 사우나, 식물재배, 휴식, 좋은 전망보기, 음악감상, 마사지 항목에 대한 높은 요구도와 욕실 제품들 중 마사지 샤워기, 안마기능 욕조, 스피커 등에 대한 높은 요구도, 그리고 욕실 지원성 항목에서 ‘욕실은 스트레스 해소를 할 수 있어야 한다’가 중요하게 나타나며 건강성이 중요시되는 현실에서 욕실 공간 내에서 육체적, 정신적 휴식을 요구하는 소비자 요구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셋째, 욕실 내 머리손질, 화장, 그리고 옷 갈아입기 기능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요구도를 통해 현재 욕실 내 파우더룸과 드레스룸의 도입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것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 반응과 요구를 파악할 수 있다. 넷째, 욕실기능과 제품 요구도에 대한 분석 결과 비데에 대한 현재 소비자의 높은 요구도를 파악할 수 있었고, 과거 욕실 기능과 제품으로는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욕실제품인 비데가 더 이상 새로운 것이 아닌 욕실 기본제품으로 요구하고 있는 소비자 요구를 파악하였다. 또한, 현대욕실문화에서의 비데는 건강과 위생문화에 대한 욕실제품으로 나타나고 있다. 다섯째, 욕실 내 기능과 제품에서는 다소 높은 요구도를 보여주고 있는 멀티미디어의 도입이 욕실 지원성 요구도에서는 아직까지 중요하게 파악되어지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구체적 욕실 기능과 제품에 대하여 다소 높은 요구도가 나타나며 앞으로 이러한 항목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이 앞으로 욕실에서 보다 보편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욕실이 더 이상 생리적 욕구해결의 장소가 아닌 건강, 위생, 휴식 공간으로서 감성문화시대를 향해 나아가고 있는 욕실문화를 보여준다. 또한, 소비자의 요구가 어느 때 보다도 중요한 현 시점에서 주택건설업계와 주택산업시장에게 미래 욕실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며, 주택 소비자에게는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할 수 있는 기회를 증진시켜주고, 이러한 욕실연구 분야에서는 앞으로 욕실연구를 위한 새롭고 과학적 접근의 자료로서 그 의의를 갖을 수 있다. When the modern bathroom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the 1960s, it was regarded as a space just for solving physiological need , not so important as living room, sleeping room and kitchen. Concern on bathroom has improved in living quality and standard have grown throughout the period between the 1970s and 1990s. And with emergence of branded apartments in recent years, constructors came to compete each other to offer uniquely designed bathroom. As the awareness about bathroom changes, new facilities, such as powder room and dress room, were introduced, and the space for bathroom was finished with luxurious materials. In the reflection of enhanced concern on health and comfort, recent bathrooms are furnished with expensive equipment, such as whirlpool bathtub, bidet and massage shower. And such concern with bathrooms is expected to grow over times, thus requiring preparations of the industry for it.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specific functions of bathrooms and what products consumers desire for their bathrooms so that a plan for future bathrooms that can meet consumers’ needs could be formulated. Given the fact that housewives are the one who spend the most time at home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exercise decisive power in purchasing houses, the object for investigation for this study was limited to housewives living in apartments. The investigation was conducted on 147 housewives for twelve days from Nov. 10 to 22, 2004 using an on-line survey system of a specialized internet researcher. The subjects for survey included; the desired number and types of bathrooms, existing and desired functions of bathrooms, existing and desired bathroom products and supportiveness for the realization of those desires. This study intended to identify general needs of consumers for bathrooms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subjects. Answers of respondent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multiple factor analysis,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y means of SPSS Win 12.0, package software for statistical works. Result of this study, which investigated existing and desired function of bathrooms, existing and desired bathroom products, and desired supportiveness of bathrooms to analyze consumers’ needs for future bathrooms, is summed up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desired products showed that consumers desire for anti-slip tile and that of supportiveness for safety in bathrooms, such as anti-slip of bathroom floor and fast drying of bathroom. This result shows that consumers have much concern about safety at bathrooms that are usually wet and slippery, so vulnerable to accidents. Second, with reference to functions of bathrooms, respondents showed high needs in added functions of bathrooms, such as sauna, floriculture in bathrooms, relaxation, viewing outside while taking a bath, listening to music and massage. In connection with bathroom products, respondents desired for massage shower, bathtub with the function of massage and speakers, and in connection with supportiveness, respondents desired for the condition to ease stress, thus displaying the strong need for physical and mental relaxation at bathroom. Third, the survey showed favorable response of consumers to the introduction of powder and dress room in the bathroom for the convenience of hairdressing, beauty care and changing clothes in bathroom. Fourth, analysis of needs for functions and products for bathrooms confirmed high demand of consumers for bidet which have not been equipped until recently, thus making it to be a standard equipment for bathrooms and reflecting enhanced concern of consumers about health and hygiene. Fifth, introduction of multimedia function into bathroom was not much demanded in the survey about the supportiveness, while it was relatively high needs in the survey about the function and product for bathrooms. Given the fact that it was relatively much wanted in the survey about the function and product for bathrooms, the demand for it is expected to rise in years to come. This suggests that digital technology would be generally introduced to bathrooms in the future. Results of the study like these indicate that bathrooms gradually turn into a place for health, hygiene and relaxation from a place just for defecation, thus realizing the bathroom culture suitable to the age of emotional cultu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bathrooms to housing constructors and market and for housing consumers, increase the opportunity for a better life. This study also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has provided scientific data for the future study on bathroo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