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다롱 전남대학교 문화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우리나라 문화예술교육은 모든 국민이 문화예술을 적극적으로 향유하고, 창조력 및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삶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최근 들어 지역사회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관심 또한 고조되고 있다. 이러한 관심에 발맞추어 중앙정부에서는 지역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지역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일방적이고 단선적인 지원형식 및 의사소통체계, 단년도 회계주의 원칙에 따른 프로젝트 기반 지원제도 고착 등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참여주체의 분절성이 심화되고 사업성과가 지역사회에 축적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더불어 지역특성을 살려 진행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취약하고 실행주체의 역량검증 시스템이 부족한 상황에서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광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의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사례를 분석하여 한계와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광주광역센터는 현재 6년째 운영 중이며,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광역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평가 연구」에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 연속 최우수 센터 그룹으로 선정된 바 있다. 광주광역센터는 사업목표 및 사업계획, 운영역량, 인력양성실적, 지원사업 추진실적, 지역 자립기반 구축 실적이 우수하여 그 사례를 연구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는 크게 ‘문화예술교육 제도 및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흐름’과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등으로 구분해볼 수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국내 문헌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전반적인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흐름과 제도수립 과정을 파악하고, 지역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보고서, 정책자료 및 세미나자료와 워크숍, 포럼 자료 등을 바탕으로 세부적인 내용과 논의의 흐름을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국내 문화예술교육의 개념과 정책 현황, 지역문화예술교육이 대두된 과정을 정리하고, 그 위상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광주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지역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을 비롯한 단체(인), 기반시설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4장에서는 광주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한계와 시사점을 토대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지역의 특성을 살리고 문화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지역특화 지원·운영모델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다양한 참여채널과 교육내용, 프로그램 운영방식을 마련함으로써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수혜대상층 확장이 요구되며 셋째, 지역 환경을 고려한 교육콘텐츠와 양질의 교육시스템 개발을 위한 지역단체 역량강화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넷째, 지역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연구와 지역별 자체 네트워크 조직이 필요하며, 마지막으로 지역기반시설 간 협력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며 연구를 마무리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전개와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문화예술교육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파악하여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모든 주체를 아우르지 못했고 활성화방안의 적용이 제한적이라는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지역사회에서 행해지는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앞으로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이 동반성장할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 문화예술교육의 지역자원 활용과 지역정체성의 관계 : 군산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강사들을 중심으로

        김해인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es community development beyond the educational effects of enjoying and learning culture and arts, by using local resources and communicating with resident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local resources and local identity, focusing on art instructors at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in Gunsan City. By doing s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and local resources as tools for community development, overlooked in prior studies, and the elements to overcome them. To this end,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and observed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with art instructors, official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stitutes, and parents of the art group ‘Balgeum’ active in Gunsan-si, Jeollabuk-do for about a ye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1) the process of using local resources, (2) the art instructors’ perception of local identity, and (3)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and the limitations of local identity. First, art instructors used individual studios, various indoor and outdoor places in Gunsan, and local human resources linked with residents. Given the limited resources of small provincial towns with few cultural and artistic spaces, making private studios public spaces, using places throughout Gunsan City, and meeting with town members have allowed the participants of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to newly recognize the local area of ‘Gunsan.’ Moreover, the communal experience of meeting and communing with people living in the same area for children whose lives are limited to home, school, and academy has naturally formed an attachment and an emotional bond to the area. Second, art instructors recognized local identity by communicating with residents, discovering local resources, and stimulating and invigorating their personal lives. Moreover, the art instructors could find their affection for the region while communicating and empathizing with children and residents, recognizing local resources, and delivering them to children. However, as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is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created through the system, the art instructors also had difficulties in conforming to the support project’s guidelines, creating the art group’s unique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in this process. Third, whil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ively uses local resources and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local identity, it also has limitations as a support project that uses public funding. It is affected by regulations and proposals based on the system, and at the same time the image of Gunsan as a ‘modern cultural city,’ formed through urban planning, has not been extended to more diverse local identities for children and art instructors. However, it is important to have emotional affection for the region as a member of the local community, which emotion is influenced by long-attained community experiences and memories. The attachment and sense of community formed while interacting with people as a local resident is a valuable memory of ‘the area I live’ and appears as a local identity.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culture and arts education, carried out based on the system through art instructors at K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in Gunsan City, values the use of local resources and extends to the closely related art instructors’ recognition of local identity as they use local resources. Art instructors feel the psychological burden whil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ies and local resources turn into tools for community development, and the discovery of local resources and positive emotions obtained from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ivities affect local identity.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dentified the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using local resources as well as the local identity, by showing that community identity and emotional bonds shared as residents are also important factors, rather than local identity formed solely by policies. In conclus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is used as data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ontributes to more active multifaceted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e and arts education, local resources, and local identity.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향유와 배움의 교육적 효과를 넘어 지역자원을 활용하고 지역주민과 소통함으로써 지역사회 발전의 효과를 내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군산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예술강사를 중심으로 지역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정체성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 온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지역자원이 도구화되는 한계와 이를 극복할 수 있는 요소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약 1년간 전라북도 군산시에서 활동하는 예술단체 ‘밝음’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참여관찰과 예술강사를 비롯한 문화예술교육 기관 관계자, 학부모 등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①지역자원 활용과정, ②예술강사들의 지역정체성 인식, ③꿈다락 토요문화학교와 지역정체성의 한계로 요약한다. 첫째, 예술강사들은 개인 작업실과 군산의 실내외 다양한 장소, 지역주민과 함께 연계한 지역의 인적자원을 활용하였다. 문화예술공간이 적은 지방 소도시의 한정적 자원을 고려했을 때 개인 작업실의 공공 공간화, 군산시 곳곳의 장소 활용, 마을 공동체 구성원과의 만남 등은 꿈다락 토요문화학교의 대상자에게 ‘군산’이라는 지역 장소를 새롭게 인식하는 경험이 되었다. 특히 주 생활 범위가 집, 학교, 학원 등으로 한정적인 아이들이 같은 지역에 사는 사람들과 조우하고 교감하는 공동체적 경험은 자연스럽게 지역에 대한 애착과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한다. 둘째, 예술강사들은 지역주민과 소통, 지역자원에 대한 발견, 개인 삶의 자극과 활력에 의해 지역정체성을 인식했다. 예술강사는 아이들 및 지역주민들과 소통하고 공감하며, 이들 스스로 지역자원을 인식하고 아이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에서 지역에 대한 애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꿈다락 토요문화학교가 제도를 통해 만들어진 문화예술교육이란 점에서 예술강사들은 지원사업의 가이드라인(Guide-line)에 맞춰야 하는 어려움도 겪었으며, 이 과정에서 예술단체만의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를 만들어가고 있었다. 셋째, 문화예술교육은 지역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역정체성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끼치기도 하지만, 공적자금이 투입되는 지원사업으로써 한계도 존재한다. 제도를 기반으로 규제와 제안의 영향을 받음과 동시에 도시계획으로 형성된 군산의 ‘근대문화도시’ 이미지는 아이들과 예술강사들에게 보다 다양한 지역정체성으로 확장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지역공동체 일원으로서 지역에 애정을 갖는 정서적 측면도 중요하며 이러한 감정은 오랜 시간 축적된 공동체 경험과 기억의 영향을 받는다. 지역주민으로서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형성되는 애착과 지역공동체 의식은 곧 ‘내가 사는 지역’에 대한 중요한 기억이며 지역정체성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군산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예술강사를 통해 제도를 기반으로 시행되는 문화예술교육이 지역자원 활용을 중요하게 여기고,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예술강사들은 지역자원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지역정체성 인식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문화예술교육의 정책과 지역자원이 도구화되는 과정에서 예술강사들이 심리적 부담을 느낌과 동시에 문화예술교육 활동에서 얻어지는 지역자원의 발견과 긍정적 감정이 지역정체성에 영향을 끼친다. 이와 더불어 지역정체성이 온전히 정책에 의해서만 형성되지 않고 지역주민으로서 공유하는 공동체적 경험과 정서적 유대감도 중요한 요소임을 나타냄으로써 지역자원을 활용한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정체성의 한계와 대안을 파악했다는 것에 의의를 둔다. 본 연구가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어 앞으로 문화예술교육과 지역자원 및 지역정체성의 관계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로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성남시 지역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지역문화 특성과 네트워크 역할에 관한 연구

        이수정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727

        This study is a combined study of case studies and quantitative studies on local cultur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network role for Seongnam city local culture and art promotion factors. The local culture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the uniqueness of the local culture, the modernity of the local culture, the symbolism of the local culture, the familiarity of the local culture, and the harmony of the local culture and local culture and art promotion factors consisted of local culture community, local culture resource creation, local culture spirit cultivation, and support for local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e case study of regional culture, Seongnam city was classified as Seongnam old town, Bundang new town, and Pangyo high-tech city and included as study subjects. 15 local culture and art experts, foundation experts and festival experts on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culture, local culture and art promotion, and network role were selected as participating researchers and interviewed from October 30 to November 25, 2021. In the empirical study,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targeting ordinary citizens of Seongnam city, and a total of 519 copies were used as research data. The conclusions obtained based on the case study results and empirical studies are as follows. First, Seongnam old town needs a public policy that maintains the uniqueness of local culture by preserving the important values ​​of Namhansanseong Fortress, builds trust for local residents' initiative, and accompanies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olicy that can help the town be reborn as an industrial complex and a new industry convergence complex and create a modernity of local culture, that can help Dreaming art space, maker space 'Jae-Mi', TLI Art Center play an important role in enjoying culture and art harmoniously in Seongnam old town. The Seongnam Arts and Culture Association should expand the Seongnam Arts Festival, which cultivates the spirit of local culture to help converging tradition and modernity, establishing a cultural identity, and increasing the attachment of local residents. In addition, festivals and forums that make use of the symbolic historicity of local culture linking Namhansanseong Fortress, Sanseong pul-ie, and Seongnam Atrium should be implemented to devise a strategy to utilize world cultural heritage resources for Namhansanseong Fortress. Second, Bundang new town's local folk plays, 'I-mu-sul pounding sound' and 'ori yard poongmulnori', are one of the unique cultural heritages representing Seongnam and have important value as an event to strengthen the solidarity of the village commu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t a strategy to harmonize the community and expand cultural participation and enjoyment through which community members can share experiences through artistic participation in artistic creation. Seongnam Art Center must establish the creativity of the city, construct a branding system by combining the new technologies of Bundang Valley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with culture and art, help research activities and startups such as mobile multimedia, functional games, story contents, knowledge convergence services, and green cars that incorporate culture and art and encourage municipal art troupes to develop creative contents by re-establishing the function of local art organizations in the midst of change and cultural autonomy. Bundang new town is a festival that connects music festivals such as ACT Seongnam, a digital art festival that combines art CT and technology IT, and Seongnam Music Festival with a municipal symphony orchestra and a municipal art troupe, professional commentary from the Musical Instrument Museum, A policy to form a harmonious city should be prepared by continuously holding outdoor performances in Yuldong Park. Bundang new town should prepare policies to connect music festivals such as ACT Seongnam, the digital art festival that combines art CT and technology IT, and the Seongnam Music Festival with the municipal symphony orchestra and the municipal arts troupe with the Seongnam Arts Festival, to provide professional commentary from the Musical Instrument Museum, and to continuously hold outdoor performances in Jungang park and Yuldong Park, thereby forming a harmonious city by continuously. Third, the Pangyo High-tech City should utilize cultural resources such as Ssangyong-geo tugging rituals and games and Pangyo 'Brighting Bridge',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among local residents and a new cultural industry that converges local culture and arts and cutting-edge technology a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utilize Seongnam content developer and local cultural content researcher who can develop content. It should also raise its brand as a city specializing in game content culture to create a game festival, Pangyo 25th Street Festival, Hwarang Park Festival, and a healthy game cultur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regional culture with competitiveness by utilizing the technologies of startups and IT companies in the cultural arts program center. The Seongeum Art Center should also prepare a plan to build a cultural and artistic digital talent nurturing platform so that the autonomous driving industry ecosystem can be activated, AI education and corporate support programs can be operated by forming a performance culture and establishing a test bed through the creation of an innovative industry ecosystem. Fourth, Seongnam old town should share the theme of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Namhansanseong Fortress, Seongnam Cultural Center, Seongnam Arts and Culture Organizations, Seongnam Citizens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Association, Seongnam City Museum and Sanseong Pul-ie play a central role, and develop a program through this, sharing information on culture and arts, and jointly operating the program to develop a program with young people through creation and convergence of local artists. The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of Bundang new town, based on a policy project, develops festivals with local stories through public and private festivals that play a central role in the network of cultural artists with the Seongnam Art Center’s Musical Instruments Museum and the Orpheo Music Museum. They should be converted into an autonomous, privately-led, citizen-led festival and the Pangyo High-tech City should specialize in the Pangyo Museum program, which can incorporate the functions of a community center that can play a central role in the network through space sharing by global companies. Fifth, in Seongnam old town, PLACE C, a cultural space of a living culture station, should be used to promote information sharing between groups and network formation between local artists and art institutions, thereby creating a local story and serving as a medium through continuous connection with various cultural spaces. It should be expanded to programs that link the technology of Seongnam High-Tech Valley. Bundang new town should utilize the creative support project implemented by the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to promote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exchange with artist networks such as the General Association of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the General Association of Civil Arts and Cultural Organizations, and the Seongnam Culture and Arts Sharing Network. In addition, by utilizing local cultural heritages unique to the region, such as 'I-mu-sul pounding sound' and 'ori yard poongmulnori', a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at can expand opportunities for traditional culture to play a mediating role based on local features with various stories and historical values. Pangyo High-tech City should discover creative talents to prepare for changes in industrial trends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devising contents that play a mediating role using Ssangyong-geo tugging rituals and games, Pangyo 'Brighting Bridge', Pangyo Museum, and the traditional culture and history of the region and various performances should be developed to create a forum for communication with local residents. Sixth, when planning the Sut-Gol Festival and the Jungwon Hanmadang Festival, Seongnam old town should develop and settle Seongnam's representative festivals that combin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solve problems by participating in all spaces of cultural and artistic institutions. Bundang new town should help citizens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festivals and help to bridge the gap in the local community and a plan for mutual cooperation with the Federation of Cultur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Pangyo High-tech City should establish a cultural institution that can communicate culture and art that can play a problem-solving role, help the problem-solving role to work actively, and establish a cooperative system with culture and artists. Seventh, Seongnam old town should develop a policy to expand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that can be achieved in a sense of community that can play a role in social relation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networks through culture and art by utilizing PLACE C, which is located in a space close to businesses. Bundang new town Seongnam Cultural Foundation should provide policy projects for revitalizing cultural exchange, exchange of ideas using Yatap Valley and IT Valley, and linkage programs that enable local artists to play a role in social relations on the stage. In addition, Pangyo High-tech City should establish a system for sharing cultural and artistic activities that can play a role in social relations. Eighth, the creative industrialization of cultural and artistic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gional cultural autonomy cooperation system of artists should establish and promote a balanced urban policy in the form of a policy community network to revitalize the local culture community. Online Cultural Experience Playground, a citizen culture platform for the creation of a participatory convergence culture and art valley, utilizes the issue network to support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Seongnam cultural space utilization project should apply the issue network and online network methods to cultivate the local culture community. In addition, the Seongnam Art Center operates a cultural sharing seat to resolve the gap between the underprivileged, and supports artists in crisis in Seongnam, support related to the corona pandemic, and establishes a policy community network to foster the local culture community and should be reflected in policy implementation. 본 연구는 성남시 지역문화예술 진흥요인을 위한 지역문화 특성과 네트워크 역할에 관한 연구로 양적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다. 지역문화 특성은 지역문화 고유성, 지역문화 현대성, 지역문화 상징성, 지역문화 친숙성, 지역문화 조화성을 설정하고 지역문화예술 진흥요인은 지역문화 공동체, 지역문화 자원조성, 지역문화 정신함양, 지역문화 예술교육지원을 구성하였다. 지역문화 사례연구는 성남시를 성남원도시, 분당신도시, 판교첨단도시 구분하여 연구대상을 설정하고 지역문화의 특성과 지역문화예술 진흥, 그리고 네트워크 역할에 대하여 지역의 문화예술 전문가, 재단 전문가와 축제 전문가를 1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21년 10월 30일부터 11월 25일까지 인터뷰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증연구는 성남지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방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19부를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사례연구 결과와 실증연구를 토대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남원도시는 남한산성의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보존되어 지역문화 고유성을 잘 유지하고, 지역주민의 주도적 활동을 위한 신뢰 구축과 주민과 함께 하는 공공정책이 필요하다. 산업단지와 신산업 융복합 단지로 거듭나 지역문화 현대성을 창출하고 있고 꿈꾸는예술터, 창생공간재미, TLI아트센터, 성남아트리움은 성남원도시에서 조화롭게 문화예술 향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남예총이 전통과 현대의 융합과 문화정체성 확립과 지역주민들의 애착심을 높이기 위해 지역문화 정신함양을 함양한 성남예술제를 확대 운영하고, 남한산성, 산성풀이, 성남아트리움을 연계한 지역문화 상징적 역사성을 살리는 축제와 포럼을 시행하여 남한산성을 세계문화유산 자원을 활용하는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분당신도시는 이무술집터다지는소리 와 분당오리뜰은 성남을 대표하는 고유한 문화유산 중의 하나이며, 마을 공동체의 결속을 다지는 행사로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예술창작의 예술참여로 공동체 구성원 상호 간의 경험을 공유하고 공동체의 조화와 문화참여 및 향유 확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그리고 성남아트센터는 도시의 창조성을 확립하고, 분당밸리 정보기술 및 생명 공학기술의 신기술을 문화예술의 접목하여 브랜딩화 하는 제도를 구축하고, 문화예술을 접목한 모바일 멀티미디어, 기능성 게임, 스토리 콘텐츠, 지식융합서비스, 그린카 등의 연구활동과 창업보육 사업 전개 그리고 시립예술단들이 변화와 문화자치의 흐름 속에서 지역예술조직의 기능을 재정립하여 창의적인 콘텐츠 개발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는 ACT성남, 예술CT와 기술IT이 융합된 디지털 아트 축제와 시립교향악단, 시립예술단이 함께하는 성남뮤직페스티벌 등 음악축제를 성남예술제와 연계하는 축제와 악기박물관의 전문적인 해설과 중앙공원과 율동공원에 야외공연장의 지속적인 공연을 만들어 조화로운 도시를 형성하는 정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판교첨단도시는 쌍용거줄다리기, 판교다리밝기의 문화자원을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프로그램과 지역 문화예술과 첨단기술이 융합한 새로운 문화산업 콘텐츠를 개발을 성남콘텐츠 진흥원과 지역문화 콘텐츠연구원을 활용하는 방안을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도시는 게임페스티벌, 판교25통 거리축제, 화랑공원 축제와 건전한 게임문화 조성을 위해 게임콘텐츠 문화특화 도시브랜드를 높이고 문화예술 프로그램센터에 스타트업과 IT 기업들의 기술을 활용하여 경쟁력을 갖춘 지역문화를 정립하여야 한다. 그리고 성음아트센터는 공연문화를 형성과 혁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통해 테스트 베드 구축으로 자율주행 산업 생태계 활성화, AI 교육 및 기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하도록 문화예술 디지털 인재 양성플랫폼 구축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넷째, 성남원도시는 남한산성과 성남문화원, 성남예총, 성남민예총, 성남시립박물관 그리고 산성 풀이가 중심적 역할을 하는 전통문화의 테마를 공유하고 있어 프로그램의 개발과 문화예술 정보공유와 프로그램 공동 운영으로 지역예술인들의 창작, 융합을 통해 신진들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성남문화재단은 정책적인 사업을 바탕으로 성남아트센터의 악기박물관과 오르페오음악박물관과의 문화예술인들의 네트워크 중심적 역할을 하는 공공 축제와 민간축제를 통해 지역의 스토리가 있는 축제 개발로 예술인들이 자율적 민간주도형의 시민축제로 전환하여야 한다. 판교첨단도시는 글로벌기업의 공간공유를 통한 네트워크 중심적 역할이 가능한 커뮤니티 센터의 기능을 접목하여 중심적 역할을 하는 판교박물관 프로그램을 전문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성남원도시는 성남하이테크 문화마루가 단체 간의 정보공유와 지역예술인들이 예술기관들과 네트워크 형성하여 지역의 스토리를 만들고 다양한 문화공간과 지속적인 연결로 매개적 역할을 하는 성남 하이테크밸리의 기술력을 연계한 프로그램으로 확대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는 성남문화재단에서 창작지원사업을 예총, 민예총, 성남문화예술 공유네트워크 등 예술인 네트워크로 지속적인 소통 및 교류와 이무술집터다지는소리, 오리뜰농악들은 지역 고유의 향토문화 유산들은 다양한 이야기와 역사성을 지닌 지역색을 바탕으로 매개적 역할이 가능한 전통문화의 기회를 확대하는 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그리고 판교첨단도시는 쌍용거줄다리기, 판교다리밟기, 판교박물관, 지역의 전통문화와 역사를 활용하여 매개적 역할을 하는 콘텐츠를 구상하여 산업 트렌드 변화와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는 창의적 인재가 발굴하고 다양한 공연을 개발하여 지역주민들과의 소통의 장이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여섯째, 성남원도시는 숯골축제, 중원한마당축제를 문화예술 기관의 모든 공간에서 함께 만들어 지역 특색을 접목하여 문제해결 역할을 하는 성남의 대표축제 개발하여 정착하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는 시민들이 축제를 통해 상호소통과 지역사회의 격차 해소를 위한 대형 규모의 축제를 문화재단중심으로 문제해결 역할을 하는 성남문화원, 성남예총과 상호협력의 방안을 구축하여야 한다. 판교첨단도시는 문제해결 역할이 가능한 문화예술을 소통할 수 있는 문화기관을 설립하여 문제해결 역할이 활발하게 작동하는 문화예술인과 협력체제를 구축하여야 한다. 일곱째, 성남원도시는 기업과 밀접한 공간에 있는 성남하이테크 문화마루를 활용하여 문화예술을 통하여 다양한 경험을 하고 네트워크 사회관계 역할이 가능한 공동체 의식 속에서 문화예술 향유 확대를 위한 정책을 개발하여야 한다. 분당신도시 성남문화재단은 문화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인 사업과 야탑밸리. IT밸리를 활용한 아이디어 교환과 지역예술인들이 활동무대를 사회관계 역할이 가능한 연계 프로그램을 제공하여야 하며, 판교첨단도시는 사회관계 역할이 가능한 문화예술 활동 공유하는 시스템 마련이 구축하여야 한다. 여덟째, 예술인 지역별 문화자치 협력체계 개선과 문화예술자원의 창조산업화는 지역문화공동체 활성화를 위하여 정첵공동체 네트워크 방식으로 균형 있는 도시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여야 한다. 참여 융합형 문화예술 벨리 조성의 시민문화 플랫폼 랜선 문화체험 놀이터는 문화예술교육지원을 위하여 이슈네트워크를 활용하고 성남 문화공간 활용사업은 지역문화공동체 함양을 위하여 이슈네트워크와 온라인네트워크를 방식을 적용하여야 한다. 또한, 성남아트센터 소외계층 격차 해소 문화나눔석 운영 그리고 성남 위기예술인 지원 코로나 사태, 문화기반 확충· 문화환경 조성은 지역문화공동체 함양을 위하여 정책공동체네트워크를 반영하여 정책을 추진하여야 한다.

      •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 수원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이수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In modern society,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tool for social convergence to cultivate new talented persons, which is a worldwide trend. Korea is also developing many cultural policies to keep up with these chang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interest of society are increasing more and more. Society and schools are currently nurturing and supporting experts and specialized organization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with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various programs. Although the histor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Korea is only about 10 years old,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widely recognized as an subject for lifelong education, and its curriculum is generally operated for the humanity education. The nationwide culture and arts education centers have been designated and established, and each local government is making great efforts to develop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trend of the times. However, unlike the government's pursuit of ‘regional-centered’ culture and arts policy,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lacks specific policies on what and how. In addition, the reality is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and systematic research suitable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also insufficient. Therefore, this paper researched the case of Suwon City, which was selected as a demonstration area for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2020, and then studied the conten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nducted by the Suwon Cultural Foundation, and then we explored limit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hrough literature analysis of reports and paper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fter reviewing Korean literature and existing theses and identifying the overall content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 legal system. The specific progr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Ⅱ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Local Culture” deals with theories on the local cultural foundation that is responsible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gional culture development, and region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Chapter Ⅲ The Suwon Cultural Foundation'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ject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sections. Part 1 deals with the overall current issues of Suwon Cultural Foundation's culture and arts education. Part 2 specifically reviewed three major projects related to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the Suwon Cultural Foundation. Part 3 examines the problems experienced by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based on business content, operation, and external conditions, and reviewed whether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fully utilizes local culture and resources for revitalization of the education. In Chapter IV on how to activate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we proposed local resource-centered and local people-center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researched methods for securing local arts professionals in connection with current attempts. In addition, we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non-face-to-face content, which has become a core issue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due to Corona-19, can be actively used as a metho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that we specifically reviewed the flow and contents of the general theory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hen identified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researched ways to improve it focusing on the ‘region’, the core of modern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addition, we actively utilized the survey and discovery of local resources for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reaffirmed the meaning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category according to the population composition of the region although resources and environments are different for each region, and Suwon City's case and activation plan cannot be applied to all region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inform the real meaning of loc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help to improve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region. 현대에 들어 문화예술교육은 새로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사회융합의 도구로서 제안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적인 추세로 주목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많은 문화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특히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관심은 나날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사회와 학교에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전문인력과 전문단체들을 양성하고 지원하면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하고 있다. 국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역사는 불과 10여 년이 조금 지났지만 이미 문화예술교육은 평생교육의 일환으로 광범위하게 인정받고 있고, 인간의 인간다운 삶을 위해 다양하고 보편적인 교육으로 확장 운영되고 있다. 전국에 광역문화예술교육센터가 지정‧설립되고 각 자치단체에서 문화예술교육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는 현실은 이러한 시대적 요청을 반영한 결과라 하겠다. 그러나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은 ‘지역 중심’이라는 선언적인 정부의 정책적 방향과는 달리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상당히 부족하다. 그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유로 사업의 성과가 미비하고, 지역 특색에 맞는 체계적인 연구 활동 역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2020년 지역문화예술교육 시범지역으로 지정된 수원시 사례를 통해 그간 수원문화재단에서 진행해 온 문화예술교육의 내용을 살펴보고,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한계와 그에 따른 발전 방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전반적인 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법 제도의 흐름을 파악한 뒤 문화예술교육 관련 각종 보고서, 논문 등을 참고한 텍스트 분석으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Ⅱ장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에서는 문화예술교육과, 지역문화 활성화, 그리고 지역문화예술교육을 담당하는 지역문화재단에 대한 이론 전반을 다루었다. Ⅲ장 수원문화재단의 문화예술교육 사업은 크게 3절로 구성하였다. 1절에서는 수원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의 전반적인 현황을, 2절에서는 수원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주요사업 세 가지 사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3절에서는 지역문화예술교육이 근본적으로 많이 경험하게 되는 문제점을 내적 측면으로 조직과 사업의 내용, 그리고 외적 조건이라는 두 가지 차원에서 살펴보고 지역문화와 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지역이 살아있는 지역문화예술교육이 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Ⅳ장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에서는 지역자원 중심, 지역민 중심의 문화예술교육을 제안하고 지역 예술 전문인력 확보를 위한 모색들을 현재의 시도들과 연계하여 강구 해 보았다. 또한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문화예술교육에서 핵심적인 이슈로 등장하게 된 비대면 콘텐츠를 문화예술교육 방안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적 흐름과 그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수원시를 중심으로 현대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지역’에 방점을 두어 ‘지역문화예술교육’의 내용과 한계를 살펴보고,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지역이 지닌 자원과 지역이 처한 환경이 모두 동일하지 않다는 점에서 수원시의 사례와 활성화 방안이 모든 지역에 직접 적용되지 못한 개연성도 있지만, 지역자원을 조사하고 발굴하여 문화예술교육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지역의 인구 구성 등에 따른 대상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의미를 재확인시켰다는 점에서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지역이 중심이 되는 진정한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확인시키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들이 이루어져 지역의 문화예술교육이 양적, 질적으로 팽창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

      •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 인식 분석 연구

        박상희 한국교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질적 성장의 필요성과 지역화에 대한 법적·사회적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질적으로 수행하는 주체인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인력에 대한 역할의 논의가 충분히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한계에 의문을 제기하며 시작되었다. 대상 접근에서 지역 접근으로 확대되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은 본래의 문화예술교육이 함의하고 있는 교육적·사회적 가치를 확대하기 위해서 그 실현 주체인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을 보다 명확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 역할 분석을 통해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지역문화예술교육 사업의 경험이 있는 지역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으로서의 실행자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그들이 실제 경험하며 인식하고 있는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분석 결과, 교육기획자, 정책총괄자, 정책실행자의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 인식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분석 결과, 각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 인식은 다음과 같다. 교육기획자 우지원은 다음과 같은 역할로 인식하고 있었다. 첫째, 교육 운영 과정 전반을 총괄하며, 둘째, 교육 수행 관계자들과 소통하는 역할이다. 셋째, 단체 내 역량강화와 자체 공간을 활용한 매개 역할을 확대하고, 넷째, 교육사업의 파트너로서 소속단체 외 기관과의 협력을 시도한다. 정책총괄자 김근영은 첫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의 방향과 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하며, 둘째, 지역문화예술단체와 지역문화예술교육자와 소통하는 역할이다. 셋째, 지역 고유의 문화예술교육 사업 브랜드 발굴과 선도의 역할을 수행하며, 넷째,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조직 내·외 기관과 파트너십을 구축한다. 마지막으로 정책실행자 정초롱은 첫째, 교육의 지속성과 가치 공유를 위해 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둘째, 교육의 가치 공유를 위한 교육 수행 관계자들과 소통한다. 셋째, 지역문화예술교육사업의 지속성을 위한 자구적 아이디어를 실현하며 넷째, 지역 내 가치 확산과 교육적 경험 확대를 위한 조직 외 기관과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역할이다. 이러한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은 각자 세분화된 역할의 위치에 따라 맡고 있는 사업의 범위와 관점이 달라지면서 역할의 차이들도 있었지만, 맥락적인 내용에서 유사한 역할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해 낸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는 다음과 같이 5가지의 역할로 정리 할 수 있다. 첫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총괄 운영자이다. 이는 가장 기본적인 역할로서 담당 사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사업 기획부터 정산까지 사업 일련의 과정을 전반적으로 총괄 운영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둘째, 사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관계자들과의 소통자이다. 지역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원활한 운영과 촉진을 위해 예술강사 등의 교육수행 관계자, 교육사업 지원자, 교육대상자와의 긴밀한 소통의 역할을 의미한다. 셋째, 지역문화예술교육 사업의 자생력을 구축하는 자이다. 이 역할은 지속가능한 지역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각 매개 역할의 위치에서 시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기획능력과 실행을 의미한다. 넷째, 조직 내부터 지역사회까지 다양한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연결자이다. 중·장기적인 사업의 확대 및 협력 가능성을 전제로 조직 내 부터 지자체, 지역사회 기관 등 다각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역할을 의미한다. 다섯째, 인식 개선을 위한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자이다. 지역 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 개선과 경험의 기회를 확대하는 노력을 의미한다. 이는 소속 조직 내에서 부터 지방자치단체, 지역사회기관, 일반시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을 포함한다. 결국,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는 자원과 자원을 연결시키고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사람을 연결시키는 중요한 다리의 역할을 하는 지역문화예술교육의 핵심주체라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문화예술교육계는 지역문화예술교육매개자의 역할을 명확히 하여, 이들의 역할 전문성을 인정해주고 그들의 권한 및 책임을 명확하게 해줘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지역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과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 지역 전통예술문화를 기초로 한 초등학교 6학년 미술교육의 특성화 방안 연구 : 원주한지공예를 중심으로

        나상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학생들은 세계화와 정보화의 흐름 속에 잠시라도 새로운 것들을 배우고 받아들이지 않으면 금방 남들보다 뒤쳐지게 될 정도로 급변하는 세계에 살고 있다. 수많은 양의 지식과 새로운 정보를 접하며 앞만 보고 살아가다보면 자연스럽게 우리의 전통과 문화는 소홀하게 되고 서서히 잊혀지게 될 것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사회의 문제점과 현실을 직시하여 전통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보존에 대한 필요성을 느껴 관심을 가지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하지만,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정보화 시대의 흐름에 발맞추기 위하여 수시로 변화하는 교육과정과 교육 내용 안에서도 무엇보다 우리의 전통에 대한 관심과 보존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반적인 전통 문화에 대한 내용을 교육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우리가 살고 있는 각 지역에 전해 내려오는 특색 있고 친근한 전통 문화에 대해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체험하고 공부할 수 있다면 지역의 전통문화 보존과 더불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애향심도 자연스럽게 습득 될 수 있을 것이다. 세계에는 다양한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는 수많은 국가들이 있다. 현대 사회의 정보화 시대 속에서 세계는 지구촌이라고 불리는 만큼 생활권에 있으며, 일상생활에서 인터넷이나 책, 텔레비전, 각종 언론매체 등을 통하여 우리가 그 많은 국가들의 다양한 문화를 접하기는 어렵지 않다. 이미 특색 있는 전통 문화를 가지고 있는 국가에 대해서 우리는 그 나라의 전통의상이나, 전통음악, 전통미술, 전통 생활방식 등만을 보고도 어느 나라인지 알 수 있을 정도로 우리에게 그들만의 전통문화가 잘 알려진 나라들도 많이 있다. 한 국가의 특색 있는 전통 문화는 짧은 기간에 만들어 흉내낼 수 없는 그 나라의 소중한 재산이며 경쟁력이 될 수 있다. 한 국가 안에서도 마찬가지로 각 지역의 특수성과 전통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 지역만이 가지고 있는 전통과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그 지역에 대한 특수성과 차별성으로 발전시켜 나갈 때 지역발전의 경쟁력으로 발휘되기도 한다. 원주 지역은 예로부터 한지의 본고장이라 불릴 만큼 한지를 제작하고 활용하는 전통 예술문화가 발달되어 왔다. 한지의 수요가 줄면서 한지 제작과 관련 산업이 사양길에 접어들게 되고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지만, 최근에 소멸되어가는 이러한 지역의 한지 관련 전통문화를 되살리려는 노력이 되살아나면서 시민들의 관심과 인식에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여러 가지 노력 중에서 한지문화제라는 지역 축제를 준비하고 개최하면서 원주와 한지의 연계를 강화하고 있으며, 프랑스를 비롯한 이탈리아와 독일 등의 유럽 국가에서 전시회를 개최하여 한지의 우수성을 해외에서 먼저 인정받고 있기에 시민들은 물론 국민들에게도 우리 전통 문화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지역 사회와 시민들의 노력에 발맞추어 지역의 교육 현장에서도 학생들이 한지의 우수성에 대해서 알고 다양한 한지공예를 체험하면서 우리나라와 우리 지역의 전통 예술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면 다른 어떠한 노력보다 지역의 전통 예술문화 계승과 발전에 대해서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원주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미술 수업에 지역의 전통예술문화를 미술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으로 원주 지역의 전통 한지공예를 활용하여 미술수업을 특성화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원주한지공예를 통하여 미술수업에서 학생들의 창의력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방안과, 한지공예의 전통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전통예술을 계승할 수 있는 학습방법, 나아가 지역축제인 원주한지문화제와 한지테마파크 전시관 등의 특수한 여건을 중심으로 한 일상생활 및 지역과 연계된 지속적인 미술 학습법을 연구하고, 이를 통해 원주지역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실시되는 미술교육의 특성화 방안을 찾아본다. We live in the fastest technical world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If we don't learn and take information, we could put behind in the global world. As getting a lot of knowledge and new information and going ahead to the future with no looking back upon the past, naturally, we feel neglectful and would gradually forget about our traditions and cultures. Recently, we face up to the reality and this problem of the society and try to be interested in tradition realizing necessity of the new perception and preservation on the tradition. But, above all, we need to concern and preserve about our traditions in the changeable education course and contents to keep pace with this fluctuated information age. It is better to experience and study more specific and detailed about our local tradition that has special and friendly one than educate general tradition. If then, we could get local love for my area and preservation of local culture. There are many countries that have their own cultures. It is called global village due to internet and technology. We can get easily a lot of cultures through the internet, books, TV, and many mass media etc in the life. We can recognize countries which have well known distinct traditional culture through their traditional cloth, music, art, life style, and so on. The featured traditional culture is hard to mimic in a short tern and is a competitive precious asset of a country.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featured regional traditions within a country is also very important task of a nation. Through the important task, unique tradition and culture can lead regional growth. Wonju is well known as a birthplace of Hanji(Korean paper), traditional Korean paper handmade from mulberry trees, because of its develop production and usage of Hanji. As demand of Hanji decreases, related industry reach decline face and become rare business. However, efforts to revive Hanji bring attention of people, and it increases people's awareness of Hanji. One of the efforts is holding a Hanji festival in Wonju. The festival establishes strong relation between Wonju and Hanji. Another effort is informing the excellence of Hanji from an exhibition in France. Foreigner's recognition of Hanji causes Korean to have confidence on their culture. In addition, school must provide students such education as informing excellence of Hanji and various field trips to keep pace with the efforts mentioned above. Students have confidence on their traditional culture art. therefore, they contribute to inheriting and developing the regional traditional culture art more than any other efforts.

      • 지역문화예술인력 전문성 강화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 지역문화예술인력 전문성 강화방안에 관한 실증연구

        김서희 강릉원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역문화의 의의 및 지방문화분권 시대에서 지역문화예술인력이 전문성을 갖는 것이 지역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 중요하다는 인식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이에 논문의 주제를 ‘지역문화예술인력 전문성 강화를 위한 실증연구-강릉시를 중심으로’를 설정하였다. 먼저 지역문화의 의의와 중요성을 살펴보고 지방문화분권 시대의 의의와 중요성을 문헌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세계화와 지방화가 동시에 이루어지고, 고령화, 기술발전 등 다양한 사회적 현상 속에서 지역문화가 갖는 가치는 지속해서 향상하고 있으며, 자치분권을 기반으로 재원과 권한이 지방으로 이양되는 시대 양상에서 지역의 문화를 주도적으로 발굴, 기획, 발전시킬 수 있는 지역문화예술인력의 역할은 강화되고 있다는 점을 정리하였다. 강릉시 지역문화예술인력의 운용현황과 관련하여 표본의 대상이 되는 기관, 단체 등에 해당하는 조직구성, 사업, 예산, 시설, 인력 등에서 살펴보았고 강릉시 문화예술과 관련한 조례 현황과 강릉시 내부자료를 분석하여 강릉시 문화예술인력 전문성 강화조치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전문성 요소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일반적으로 전문성은 지식, 경험, 문제해결력에서 장기간의 기술과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지역문화예술인력의 전문성과 관련하여 직무를 기준으로 전문성을 고찰하고자 NCS에서 제시하는 문화예술 분야 인력이 직무수행 요소를 직무지식, 직무태도, 직무기술의 관점에서 발췌 및 재정리 하였다.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무지식, 직무태도, 직무기술의 측정 요소를 설정하였으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연구를 통한 전문성 요소를 바탕으로 개인 역량과 조직지원제도로 구분하여 측정 요소를 구성하였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강릉시 문화예술인력의 운용현황을 토대로 표본을 도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총 103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나 답변이 유효하지 않은 2개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10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기초통계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종속변수의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후 개인 역량, 조직지원제도 중 보수체계, 응답자의 특성과 관련하여서는 종속변수와의 상관관계를 T검정과 F검정을 통해 실시하였다. 조직지원제도와 관련하여서는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인과관계 분석을 하였다. 분석의 결과 지역문화예술인력의 전문성 강화와 관련하여 개인 역량에서는‘채용 시 기존경력’,‘채용 시 자격증’,‘채용 시 학위’가 직무 전문성과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육훈련의 횟수’가 많은 것이 직무 전문성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제도와 관련하여 ‘조직규정’이 구체적인 것이 직무 전문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직원 간 업무교류’가 활성화될수록, ‘업무평가 결과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 전문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지역문화예술인력의 개인 역량 신장을 통한 직무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채용제도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한데 개선방안으로 채용제도의 다각화와 문화예술인력 직무중심 채용기준 및 역량의 객관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문화예술 교육훈련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으로 신규직원의 적응지원(On-Boarding)프로그램 마련과 문화예술인력 채용학습 로드맵 구축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직지원제도를 활성화를 통한 지역문화예술인력의 전문성 강화방안으로는 조직규정의 구체화, 업무평가의 환류 확대, 네트워크 교류 활성화에서 세부적인 전문성 내용을 제시하였다. 조직규정의 구체화는 문화예술 인력 지원에 관한 법 규정 추가로 문화예술인력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 확대 조항 의무설치, 문화예술사업 업무처리 규정의 구체화를 제시하였다. 업무평가의 환류 확대에서는 문화예술인력 직무 전문성을 고려한 성과평가로 공감할 수 있는 문화예술인력 성과평가 기준 제시와 성과평가 결과에 따른 보상 확대를 제시하였다. 조직 내부 네트워크 교류 활성화로는 소통의 정례화와 소통 채널의 다양화, 문화예술 조직 내 소모임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지방문화분권 시대에 지역문화예술인력이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의 중·장기적 안목과 지원, 개인 역량 신장을 위한 노력, 조직 차원에서의 안정적 체계마련 등이 종합적으로 추진되는 것이 필요하다.

      • 지역문화예술공연을 위한 스폰서십 마케팅 프로그램 개발

        조윤혜 경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지역 문화 예술 공연을 돕기 위해 표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위한되었다. 설문 조사는 420부 총 350 사본은 코딩 및 통계 처리에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그 자리에서 문화와 예술 공연의 기관을 통해 수집된 7 제안은 최근 스폰서 마케팅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데 이용되었다. 이 연구와 관련 사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결론이 나타났다.. 첫째, 그것은 시청자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보는 고려 사항은 중요한 순서대로 공연, 티켓 가격, 공연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그것은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를 통해 마케팅과 홍보가 강화되어야한다고 나타났다. 둘째, 요소 지역 문화 예술 공연, 친절한 고객 서비스, 시설, 이자 및 성능 형식을 촉진하기 관한 것은 공연과 공연의 인기의 내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지역의 문화와 예술의 성능 마킹 요인 및 후원 요인에 관한, 높은 나이, 직위, 월평균 소득은 더 공연의 친절, 시설, 그리고 품질이 요구 되었습니다 있습니다. 그리고 기업 '광고 활동과 기업'상업 활동의 측면에서 높은 참여가 나타났다. 넷째, 지역 문화와 예술 공연의 후원 유형에 관한, 그것은 금융 관련 기업의 후원이 필요 것이 발견되었고, 식사 및 식품 관련 후원을 마시는 것은 지원을 많이 필요로한다고. 또한, 연구 결과는 음식을 먹고 마시는 판매, 금융 기업이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있는 시설을 유치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라고 나타났다. 제오 번째로, 후원 및 지역 문화 예술 공연, 마케팅 요인과 문화 예술 공연의 감상에 영향을 후원 요인, 마케팅 요인 사이에 관한 상관관계는 공연이자, 친절한 고객 서비스, 메인의 인기로 나타났고, 공연의 성격, 그리고 공연의 이익으로 이어지는 요인. 그리고 그것은 마케팅 요인 및 후원 요소가 공연의 보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로, 그것은 광고, 시설, 공연의 내용은 공연의 감상에 영향을 발견했다. 그리고 연구 결과는 기업 이미지가 더 많은 공연의 이미지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고, 시청자가 적극적으로 관련 공연의 기업 이미지를 인식했다고 나타났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진 스폰서 후원 지역 문화와 예술 공연은 공연의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 및 성능 마케팅 프로그램은 문화와 기타 고급 이벤트 마킹 프로그램과 예술 공연에 대한 최근의 후원 마케팅 프로그램을 연결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개발 할 수 있고, 문화와 예술 공연의 후원 프로그램이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외부 마케팅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하고, 아직 도입하지 않는 것이 뭔가를 다양한 방법으로 성능 기획자의 기획 단계에서 활용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marking program to facilitate regional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Of a total of 420 copies of questionnaire, 350 copies were used for coding and statistical processing. And, the 7 proposals collected through the agencies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on the spot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recent sponsorship marketing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relevant case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programs to satisfy viewers' needs. The matters considered in viewing were found to be performances, ticket price, and performers in significant order. And, it was found that marketing and promo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ing services should be enhanced. Secondly, regarding the factors to facilitate regional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kind customer service, facilities, interest, and a performance type were found to affect the contents of performances and popularity of performers. Thirdly, regarding the marking factors and sponsorship factors of each regional culture and art performance, the higher the age, job title, average monthly income are, the more the kindness, facilities, and quality of performances were demanded. And, there was high involvement in terms of corporations' advertising activities and corporations' commercial activities. Fourthly, regarding the sponsorship type of regional culture and art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 sponsorship of financial related corporations would be needed, and that eating and drinking food related sponsorship would require a lot of support. In addition, the study result indica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attract facilities being able to sell eating and drinking food, and develop programs in which financial corporations participate. Fifthly, regarding correlation between the sponsorship and marketing factors of regional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the marketing factors and sponsorship factors, which influence the viewing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were found to be the interest of performances, kind customer service, popularity of main character of performances, and the factors leading to the interest of performances. And, it was found that the marketing factors and sponsorship factors gave positive impact on the viewing of the performaces. Sixthly, it was found that advertising, facilities, and contents of performances affected the viewing of the performances. And, the study result indicated that as a corporate image has been more matched with the image of performances, viewers have positively recognized the corporate image of the relevant performances. And, it was found that the regional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sponsored by the sponsors which had positive images gave positive impact on the success of the performances. Seventhly, the culture and performance marketing programs were able to be developed in various ways by connecting the recent sponsorship marketing programs for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with other advanced event marking programs. It was found that the sponsorship programs of culture and art performance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through external marketing programs in various ways, and that something not introduced yet was able to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nd in the planning stage of performance planners.

      • 지역문화예술축제에 관한 연구

        김혜옥 檀國大學校 經營大學院 1994 국내석사

        RANK : 249727

        지역문화예술은 우리 문화예술발전의 모태이며 전통문화 속에 담긴 우리의 과거와 지역공동체의 현재적 삶을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며 존재하여 왔다. 그러나 오늘날의 일부 지역문화예술축제는 60년대 이후 불균형한 경제 개발정책으로 경제우선주의, 즉 도시화와 산업화 현상으로 인해 변질되어 문화가 경제에 종속된 채 지역문화예술은 문화예술의 중앙집중화 현상으로 소외되고 침체되어 있다. 본 논문은 그 문화예술의 올바른 보존과 활성화 방안의 검토, 그리고 문화의 지방분권화를 이루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출발했다. 연구방법으로 우선 현재 각 지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화예술축제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각 시·도의 소식월간지, 전국의 지역문화예술축제에 대하여 기관에서 발행되는 각종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기본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문화예술 발전에 관심과 열의가 많고 또한 지역민들의 호응도가 비교적 높으며 경력이 풍부한 것 등을 기준으로 전라북도 전주의 「전라예술제」와 경상남도 진주의 「개천예술제」를 우리 나라에서 열리고 있는 지역문화예술축제의 대표 사례로 선정하여 현재의 지역문화예술축제 실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 외국의 사례, 즉 미국, 프랑스, 일본 등 그들의 문화에 대한 기본 정책과 축제 사례를 소개하여 본 논문의 연구목적에 좀 더 현실적으로 다가갈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지역문화예술축제가 전문적인 기획 인력의 부족으로 지역 발생과는 상관없는 이질적인 프로그램들이 나열식으로 축제를 구성하고 있는 등 오히려 전통문화를 훼손시키고 있다는 것과, 시·도의 예산삭감과 기업의 지역문화예술에 대한 투자의 소극성으로 인해 재정적인 면의 자립이 이루어지지 않아 불가피하게 운영기구를 축소 할 수 밖에 없게 되어 결국 문화예술활동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는 것과 또 문화예술인, 문화예술활동, 문화시설등이 서울에 편중되어 지역문화의 자생력 부족으로 인해 중앙문화의 모방, 획일화 현상을 낳게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의 개선점으로 운영 조직 기구는 현 상태의 유지 관리 차원에 머물것이 아니라 전문인력을 조직하여 프로그램을 기획·제작하여 관객을 유치하고 운영예산의 확보대책과 자체 수입 증대에 힘써야 하며 지역 예술인들의 발표기회를 확대하는데 노력하여야 하며 국가와 지방정부는 문화의 생성을 돕고, 문화의 보존, 보급 전수를 지원하고, 좋은 문화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The local art of culture is the mother's womb of the development of our cultural art and has existed for the art which link naturally with our past which is contained in our traditional culture and the present life of the local community. However, the art festival of a local culture has been changed in quality because of the unbalanced economic policy of development since the last 1960's with the preferance of economy, that is, the phenomena of the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lienated and stagnated with the centralization of the cultural art of a region with the culture depended on the economy. This essay has been begun from the aim of study of keeping the cultural art right and making the culture the localization. For the method of study, the monthly news magazines, each city and district various kinds of data published by the authorites about the regional art festival of culture of the whole land and soon have been collected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local cultural festival of art held in each region at present. And also with the basic data collected based, there were much interest and zeal in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a regional art, the agreement of the local inhabitants is comparatively high, with the abundant experience based, Cholla art festival in Chonju Chollapuk-do district and Kae-Ch'on art festival in Chnju Kyongsangnam-do district were chosen the represntative example of the art festivals of the local culture held in our corntry,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rt festival of the local culture was researched, the examples of foreign countryes such as America, France, Japan and so-that is to say the basic policy and the examples of the festkval about their culture were introduced and because of that, the study aim of this thesis could come closer to the realitie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for lack of the professional plan makes, the local festival enumeratedly consisted of the foreign programs which had nothing to do with the local culture, spoiled the traditional culture, because of the budget reduction of the city and district and the passiveness of inrestment about the cultural art of a region of the enterprises, the local culture became independent financially, the management operation couldn't but be reduced inevitably, in the long run, the art activities of culture was withered, the artists, the art activities of culture, the cultural facilities concentrated on Seoul and for lack the independent power of the local culture, the imitaion of the central culture and the phenomenon of the standardization gave rise to. The conclusion could come out not that for the improvement of these problems, the operation and system stay in the dimension of keeping and controlling the present condition but that the professional man powers had to be organized, the program be planned and produced, the audience be lured, the security of the management budget and the increase of its own in come be achieved, the performance chance of the local artists be enlarged and the nation and local government help the creature of culture, keep the culture, support the inheritance of supply and make the good circumstances of culture.

      • 울산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현황과 발전 방안 연구

        박은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27

        It ha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Korea started.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become the conversation topic of the cultural policy, as the governmental plan for vitaliz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established under the vision of improving quality of individual life and strengthening cultural capacity of society, the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ct was enacted, and professional manpower and organization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veloped various programs and spread them based on two axes of school and society. In February 2014,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was establishe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declared ‘The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al Pla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Its core direction is ‘to routiniz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regionaliz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substantialize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main content of the core task contains vitalization of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learn culture and arts education by linking with communities, the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communities, which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establishment of the collaboration system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discovery of various main agent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cooperation among them. The key direction of this content is: first, the region-based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econd, improvement of the delivery syste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Each core content is in the stage of being implemented in detail. In quantity, definitely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s grown. What has been changed except for the increase in the budget and target of education? Have there been changes in quality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quantity? Besides, as stated above, the dire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is to be based on regions and to improve its delivery system. Then, what changes there have been in regions for past 10 years, how much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has grown based on the region and what limitations have been disclosed have to be investigated. This researcher starts this study by this critical mind with two purposes: as this researcher, individually, has been with the beginning and the presen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of Ulsan, Korea, the first purpose is to organize its attainments and limitations with responsibility and expectation of the future. The second purpose is to realize core tasks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 improving the delivery system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strengthening its regionality, as stated in the medium- and long-term developmental pla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 and to search direction of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necessary for going toward what it really want to achieve in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government and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