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earching for the Historical Jeungsan while Beholding the Hagiographical Jeungsan : Biographical Speculation and a Comparison of Hagiographical Details from Daesoon Jinrihoe and Other Traditions

        제이슨그린버거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강증산(1871~1909)으로부터 비롯된 한국 신종교 운동을 통해 증산은 널리 해외로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각 종단의 사상적 특징에 따라 증산의 생애 기록 또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증산의 일대기에 대한 원전 자료는 몇몇 백과사전에서 부분적으로 설명하고는 있지만 슈바이쩌 박사의 『역사적 예수』와 같은 기독교 연구나, 나까무라 하지메의 『고타마 붓다』와 같은 불교 연구처럼 강증산의 '역사적' 전기를 집대성한 자료는 현재 연구자들에게 존재하지 않는다. 과거에 증산을 신앙하는 백여개의 단체가 있었지만 모든 종단이 독자적인 경전을 만들었거나 오늘날까지 남아 있는 것은 아니다. 많은 단체가 증산을 신앙하고 있다는 것은 한국 신종교에 대한 증산의 영향과 유산을 연구하고자 하는 학자에게는 연구의 큰 어려움이다. 다행히도 오늘날 영향력이 큰 종단 연구에 강조점을 둔다면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사례 연구로 증산 사상의 전통에 대한 대표적인 조사 연구가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 증산의 역사와 관련된 방법론적 발견에 따른 사변적 일대기는 그의 생애에 대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요약하고, 그가 종교적 인물로 부상한 배경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해 그의 초기 생애와 또한 그의 후기 생애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일 것이다. 증산의 종교 활동에 대해 더 많은 것을 알고자 하는 독자라면 이 주제에 관한 수십, 심지어 수백 개의 영어로 된 학술 자료를 참조하거나 경전 그 자체를 볼 수 있기에 위 시도는 충분히 가능하리라 여겨진다. 최소한 두 가지 경전 곧 대순진리회의 『전경』과 증산도의 『도전』은 영어로도 제공된다. 성육신한 신이 아닌 인간 강증산을 찾는 독자들은 이 출처를 읽으면서 상호비교를 해야 할 것이지만, 이것은 비판적 비평가라면 크게 어려운 작업은 아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6 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제 1 장: 서론 및 방법론, 제 2 장: 주요 역사적 인물에 대한 배경, 제 3 장: 다양한 일대기 및 경전, 제 4 장: 방법론적으로 중립적인 증산에 대한 전기, 제 5 장: 증산을 신앙하는 가장 큰 종단 대순진리회, 제 6 장: 결론이다. 특히 제 3 장에서는 증산으로부터 비롯된 대표적인 종교들이 증산에 대해 주장하는 내용에서 서로 어떻게 다른지 명확히 설명할 것이다. 또한 제 5 장에서는 증산을 신앙하는 가장 큰 종단인 대순진리회를 요약하여, 증산에 대한 신앙체계와 의례 및 그의 가르침의 교리화가 종교 조직의 운영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설명할 것이다. Jeungsan-inspired Korean new religious movements (KNRMs) are actively introducing Kang Jeungsan (강증산 / 姜甑山) to the world outside of Korea; however, quite naturally, their hagiographical accounts of his life contain many significant differences reflective of each movement’s own distinct tradition and theology. As for biographical sources on Jeungsan, some encyclopedias offer short accounts, and yet, a long-form distillation of the ‘historical Jeungsan’ akin to Christian Studies’ The Quest of the Historical Jesus (1906) by Albert Schweitzer or Buddhist Studies’ Gotama Buddha: A Biography Based on the Most Reliable Texts, Vol. 1 & 2 (1992) by Hajime Nakamura simply does not exist at present for researchers studying Kang Jeungsan. Although hundreds of KNRMs have apotheosized and enshrined Kang Jeungsan, not all of these movements produced their own hagiographical accounts or have even survived into the present day. The large number of these Jeungsan-inspired new religious movements presents a challenge to scholars hoping to understand Kang Jeungsan’s legacy and influence upon Korea’s religious landscape. Fortunately though, if emphasis is given to the religious traditions that are either large at present and/or especially historically significant, it is still possible to create a representative survey of these traditions throug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case studies. The speculative and methodologically agnostic biography of Kang Jeungsan in this dissertation will summarize what is most-reliably known about his life and pay special attention to his early life for clues regarding what led to his emergence as a religious figure and also his latter years and passing. With regards to his religious activities, the following six sections will be produced to offer information that is novel or less commonly explored and to correct prevalent misunderstandings about the religious activities or Kang Jeungsan or his nature as a religious figure: 1.) Jeungsan’s Influences, 2.) Jeungsan’s Jargon, 3.) Jeungsan’s Rituals, 4.) Jeungsan’s Healings, and 5.) Jeungsan’s Aphorisms, Analogies, and Storytelling. The above is deemed as sufficient because readers aiming to learn more about Kang Jeungsan’s religious activities can turn to the dozens or even hundreds of English language academic writings on this topic or hagiographies themselves as at least two of these (Daesoon Jinrihoe’s The Canonical Scripture and Jeungsando’s Dojeon) are available in English. Readers looking for a human Kang Jeungsan rather than an incarnate God will have to make adjustments as they read these sources, but this is a fairly simple exercise in skepticism that does not require much in the way of hand-holding. In terms of structure, this dissertation will contain the following chapters: Chapter 1: Introduction and Methodology, Chapter 2: Background on Key Historical Figures, Chapter 3: Hagiographical Tendencies and Source-Traditions, Chapter 4: A Methodologically Agnostic Biography of Kang Jeungsan, Chapter 5: Daesoon Jinrihoe as the Largest Jeungsan-Inspired New Religious Movement, and Chapter 6: Conclusion. In Chapter Three especially, specific ways in which representative Jeungsan-Inspired Religions differ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their claims about Kang Jeungsan will be made clear to readers. In Chapter 5, the largest Jeungsan-inspired new religious tradition, Daesoon Jinrihoe, will be summarized as an example of how the deification and worship of Kang Jeungsan and the doctrinalization of his teachings translate into the operation of a religious organization.

      • 정산 조철제의 성스러운 중심지 이동 전략 연구 : 도수(度數)를 통해 연결되는 증산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최명훈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증산(甑山) 강일순을 교조로 하여 정산(鼎山) 조철제가 세운 태극도의 중심지가 전라도 태인에서 부산의 보수동을 거쳐 감천동으로 이동하는 사건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종교 공동체가 성스러운 중심지의 설정과 이동을 정당화하는 방식을 설명하고자 했다. 정산의 중심지 이동에서 본 연구가 주목하는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로, 정산은 증산과의 관련성을 근거로 중심지를 이동했다. 정산은 증산과의 직접적인 교류의 경험이 없었음에도, 증산이 천지공사를 통해 우주의 법칙으로 설정했던 도수를 따라서 이동했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산의 중심지라는 공간적 측면을 다루되, 증산에서 정산으로 이어지는 종통(宗統)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했다. 두 번째 특징은 정산이 기존 중심지를 포함한 특정 역사적 위치에 매이지 않고 새로운 중심지를 설정했다는 점이다. 일제에 의해 무극도의 태인 도장이 해산되었지만 정산은 해방 이후에 다시 태인으로 돌아갈 수 있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 대신에 교단의 이름을 태극도로 바꾸며 부산에 새로운 도장을 세웠고, 기존의 중심지를 이전처럼 중요한 장소로 여기지 않았다. 세 번째 특징은 정산 사후 교단이 또 다시 중심지를 이동했던 공동체와 그러지 않았던 공동체로 분열했다는 점이다. 정산의 종통을 계승하는 우당(牛堂) 박한경의 대순진리회는 서울로 또 다시 중심지를 옮겼지만, 부산의 감천 도장에 남은 태극도는 정산의 마지막 중심지에 그대로 남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특징들에 주목하여 정산의 중심지 이동 전략을 분석했다. 특히 중심지 이동을 정당화하는 핵심 근거가 되는 도수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정산이라는 카리스마적 인물은 교인들과 증산을 잇는 중개자로서 도수에 따른 시간과 장소를 연결하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정산은 도수를 활용하는 자신만의 독점적인 능력을 증명함으로써 증산으로부터 이어 받은 종통, 즉 카리스마를 근거로 중심지 이동을 가능하게 했다. 본 연구는 도수가 장소에 유한한 시간을 설정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장소의 정당화와 기존 장소의 폐기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을 밝히고자 했다. 이러한 도수의 특징은 중심지가 정해진 시간에 따라 정당성을 얻거나 잃는다는 설명을 제공한다. 여기에 더해, 도수가 중심지를 정당화하는 구체적인 근거에 대해 논의했다. 무엇보다도 도수를 통해 시간을 뛰어넘어 증산과 정산이 연결된다는 점에 주목했다. 정산은 자신의 시간대에 일어난 일을 증산의 천지공사 때의 일과 대응시키면서 자신의 일이 곧 증산의 일이라고 주장했다. 본 연구는 증산의 시간과 연결하는 것이 역사적인 위치에 매이지 않고 어떠한 공간적 위치에도 중심지를 설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는 점을 설명했다.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서 조나단 스미스(Jonathan Z. Smith)가 장소 이동과 관련되는 시간에 관해 논의한 바를 활용해, 도수가 신화의 시간대인 증산의 ‘그때’와 정산의 ‘지금’을 이어준다는 점을 드러냈다. 중심지 이동을 가능하게 했던 카리스마적 인물인 정산의 죽음 이후에 대해서도 중요하게 다뤘다. 정산 사후의 교단은 태극도와 대순진리회로 분열했는데, 두 교단은 서로 다른 중심지 이동의 양상을 보였다. 정산 사후에 나뉜 중심지 이동의 두 양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증산 사후의 두 사례를 앞서 분석했다. 증산 사후 시기 정산과 화은당의 사례를 비교하며 증산의 카리스마를 계승하는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중심지 이동의 두 유형을 제시했다. 정산이 도수를 해석하는 능력을 통해 종통을 부각시키며 증산의 초월적 측면을 강조했다면, 증산법종교의 창시자인 화은당(華恩堂) 강순임은 증산의 친딸이라는 혈통을 강조하며 증산의 역사적 측면을 더 중시했다. 이러한 차이는, 정산의 사례가 역사적 위치에 매이지 않고 중심지를 계속해서 이동할 수 있었지만 증산법종교는 증산과 관련된 역사적 특수성을 강조하며 특정 장소에서 중심지 이동을 완결하게 된 차이로 이어졌다. 그리고 이러한 두 유형이 정산 사후에 분열한 태극도와 대순진리회의 중심지 이동 사례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까지 보였다. 정산 사후 태극도는 정산과 관련된 역사적 특수성을 강조하며 그가 설정한 마지막 중심지에 남았다면, 대순진리회는 증산에서 정산을 거쳐 우당 박한경으로 이어지는 종통을 강조하며 도수를 근거로 중심지를 또 다시 옮겼다. 본 논문은 종교의 공간 혹은 장소에 관해 종교 연구들이 주목해온 이론적 특징들을 재검토하고 점검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먼저 종교의 공간에 시간의 의미가 부여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정산의 중심지 이동은 종교의 중심지가 새로운 장소로 옮겨가는 것뿐만 아니라 기존의 장소와 결별하는 모습까지 다룰 수 있는 사례로, 종교의 장소가 정해진 시간에 따라 성스러운 장소가 되었다가 평범한 장소로 돌아가는 변화를 모두 포함한다. 더불어 본 연구는 중심지를 설정한 교단 창시자의 죽음 이후 중심지 이동 전략에 생기는 변화를 포착함으로써, 카리스마의 상실과 계승이 장소 이동과 관계되는 양상 또한 분석했다. 이때 장소가 사건의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역동적인 변화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했다. 나아가 장소의 관점에서 드러나는 증산계 교단들의 차이를 제시하기도 했다. 증산계 교단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각 교단 간의 교리 차이에 주로 주목했다. 본 연구는 교리 중심적인 접근에서 벗어나 중심지 이동에 주목해 태극도와 대순진리회, 증산법종교를 분석했다. 특히 증산으로부터 이어지는 카리스마와 중심지 이동 사이의 관계를 논의하면서 각 교단이 앞선 종교 지도자의 카리스마를 장소 이동과 연결 짓는 방식을 두 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태극도와 증산법종교, 그리고 정산 사후 태극도와 대순진리회를 각각 비교하며 역사적 위치에 매이지 않고 중심지를 이동하는 유형과 역사적 특수성을 강조하며 특정 중심지에 정착하는 유형을 구분했다. 이는 정산 사후 중심지 이동 양상이 나뉜 현상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뿐만 아니라 공간 혹은 장소를 중심으로 보았을 때 부각되는 각 교단의 차이를 조명하는 작업이기도 했다. This thesis examined the case of the Taegeukdo(太極道) and its center's relocation from Taein, Jeolla-do, to Gamcheon-dong via Bosu-dong, Busan, under the leadership of Jeongsan(鼎山) Jo Chul-je, the founder of Jeungsan group following Jeungsan(甑山) Gang Il-sun who was the leader of a new religious movement in Korea. The main focus lies in examining how the religious community justified the establishment and relocation of its sacred centers. Three key characteristics in Jeongsan's relocation strategy are examined: Firstly, Jeongsan relocated centers mainly based on his connection with Jeungsan. Jeongsan declared that although he had never met Jeungsan directly he moved along Dosu(度數) set as the law of the universe through the Cheonjigongsa(天地公事) by Jeungsan regarded as the emperor of Heaven, Sangje(上帝). Consequently, the thesis examined the spatial aspect of Jeongsan's relocation, particularly the relationship between Jeungsan and Jeongsan. Secondly,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center by Jeongsan exhibited a notable detachment from any specific historical location, including the former centers such as Taein Dojang. Despite being displaced by the Japanese Empire, Jeongsan chose not to return to Taein Dojang even after liberation. Instead, he established the new center in Busan. Moreover, he did not deem the former place as important as before. Thirdly, Jeongsan's religious community underwent division, with one group opting to relocate center again and another group choosing to remain at the previous center. Udang(牛堂) Park Han-kyeong's Daesoon-jinrihoe(大巡眞理會), inheriting the lineage of Jeongsan, moved its center to Seoul, while Taegeukdo continued to remain at Gamcheon Dojang in Busan, the last center established by Jeongsan. Of particular importance in justifying Jeongsan's relocation is the concept of Dosu. As a charismatic figure, Jeongsan played a pivotal role in connecting to time and place directed by Dosu, acting as a mediator between Jeungsan and his followers. Jeongsan declared himself to have the exclusive ability in utilizing Dosu, which allowed him to relocate the center based on the charisma inherited from Jeungsan. It is revealed that Dosu enables the justification of a new center's establishment and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center, resulting in fluctuations in the center's legitimacy over infinite time, which Dosu sets. Furthermore, the thesis explored the specific grounds on which the center's relocation was justified. Notably, it is observed that Jeungsan and Jeongsan were linked across time through Dosu. Jeongsan related what happened during his time to the events during Jeungsan’s Cheonjigongsa, identifying his work with that of Jeungsan. This thesis explained that temporal connecting with the time of Jeungsan enabled the establishment of a center in any spatial location, independent of historical ties. Jonathan Z. Smith's discourse on time-related to place movement effectively underpins this explanation, wherein Dosu established a connection between the mythical time of Jeungsan and the present time of Jeongsan. Furthermore, the thesis also dealt with the changes after the death of Jeongsan, a charismatic figure who enabled the relocation. The division into Taegeukdo and Daesun-jinrihoe showed distinct patterns in their center relocation. Analyzing cases after the death of Jeongsan, the thesis presented two types of center relocation based on the way Jeungsan's charisma was inherited.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e two types of center relocation divided after Jeongsan, the two cases after Jeungsan were analyzed first. The thesis compared Jeongsan's case with that of Hwaeundang(華恩堂) Gang Sun-im who is Jeungsan's sole daughter and founded another Jeungsan group Jeungsan-beopjonggyo(甑山法宗敎). While Jeongsan emphasized the transcendent aspect of Jeungsan by highlighting Jeongsan’s exclusive ability to utilize Dosu, Hwaeungdang emphasized the historical aspect of Jeungsan with the lineage of Jeungsan's biological daughter. This distinct difference led to a difference in the relocation strategy, as Jeongsan’s case allowed continuous center movement without being tied to the historical position, while Hwaeundang emphasized the historical specificity related to Jeongsan and completed the center movement at a specific place. Moreover, these two types were found to be applicable to the case of Taegeukdo and Daesun-jinrihoe, which experienced division after Jeongsan. Taegeukdo remained at the last center set by Jeongsan, underscoring the historical specificity tied to Jeongsan, whereas Daesun-jinrihoe relocated its center based on Dosu, emphasizing the charisma from Jeongsan to Udang. In conclusion, this thesis aimed to review and examin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in religious studi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exploring the significance of space and place in religious contex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 of time can be related to space in religion. Jeongsan's relocation case exemplifies not only the relocation of a religious center to a new place but also the dissolution of the existing place, including the transformation of a place from a sacred to an ordinary space at a specific time. It was also discussed that the justification of a new place can be based on its temporal connection with mythical time. Additionally, the thesis also explored how the succession or loss of charism is interconnected with center movement, observing that the place itself can be a factor for dynamic change beyond its mere background role. Furthermore, the thesis revealed the distinctions between Jeungsan groups from a spatial perspective, shifting attention from doctrinal differences in existing studies to relocation strategies. Especially, this research examined how each group connects the charisma of its religious leader to the relocation of the places, resulting in two types of relocations characterized by either historical specificity or independence from historical locations. This comprehensive analysis not only explains the division in relocation patterns after Jeongsan's death but also sheds light on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Jeungsan groups revealed when considering space or place.

      • 증산도 修行法에 관한 연구

        김종욱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증산도의 사상적 배경과 발생경로를 추적하여 우리민족 사상의 뿌리가 되는 유, 불, 도, 동학의 수행법이 증산도 수행법에 미친 영향과 증산도 수행법이 일반 수행단체에서 행해지고 있는 修練과 어떤 차이점이 있는가를 조사함으로써 修行法의 바른 길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증산도 도전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또한 증산도에서 운영하는 인터서치를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증산도는 구한말 당시 사회질서 유지에 바탕이 되었던 유, 불, 도, 동학 등 거의 모든 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졌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증산도 수행법은 증산이 유, 불, 도, 동학의 限界를 창조적으로 수용하여 일상의 삶 속에서 누구나 쉽게 수행할 수 있는 보편 문화를 열기 위한 목적으로 유교에서는 修己治人을, 불교에서는 마음 닦는 心法을, 도교에서는 不老長生하는 방법을, 동학에서는 侍天主 수행법을 종합 통일하여 만들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일반 기존 수행단체의 수행목적은 개인의 건강증진과 심신을 단련한다는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반면 증산도의 수행법은 증산이 인류구원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神人合發을 바탕으로 해서 만든 수행법임이 확인되었다. 인류구원을 실현하기 위하여 만든 증산도의 수행법이 기존의 수행법과 차별되는 점은 우주의 큰 聖靈들과 聖神들을 직접 체험하기 위한 神道修行이라는 점과 宇宙創造原理에 바탕을 두고 만들어진 呪文修行이라는 점에 있었다. 소리내어 공부하는 주문수행을 통한 神人合發의 인간관을 제시한 점도 기존수행단체의 수행법과 차별화 되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best way of the meditation by analyzing the effects of meditation methods of those thoughts underlying our national thoughts or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Tonghak on that of Jeung San Do and the differences in meditation method between Jeung San Do and the other meditation groups.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study mention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ditation method of Jeung San Do was established based on almost all of those thoughts that supported the social order of the last period of Cho-Sun dynasty. In other words, the meditation method of Jeung San Do was formed by extractingsu-ki-chi-in or ruling over people after cultivating oneself, sim-beop, or the way to clean the mind, bul-ro-chang-saeng-beop or the way not to age and not to die, si-chun-ju-su-haeng-beop or the way to worship deity from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Tonghak, respectively and synthesizing them. Second, it was found out that Jeung San formulated the meditation method to create the universal culture by improving the weak points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and Tonghak and synthesizing them. Third, on one hand, the meditation method of Jeung San Do pursues physical health and mental advancement, as do those methods of the other meditations, on the other hand, it has noticeable differences. The first difference is that it is a Holy Spirit based meditation method to try to perceive, in person, the Holy Spirits of the universe. The second difference is that it is a meditation method to perform mantra based on the principle of genesis. In addition to those, it can be said that it is different from the other existing meditation methods in presenting the performance of mantra as the way to common development of deity and the human beings.

      • 1970년대 박정희 정권의 원료농산물 수급정책과 '가공기업’의 활동 : 주정기업의 고구마 계약재배사업을 중심으로

        김동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연구는 1970년대 농산물 가공기업의 활동을 통해 박정희 정권이 전개한 증산농정의 성격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이는 선행연구가 1970년대 농정을 증산을 위한 생산정책만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던 것에서, 연구의 시야를 농산물 증산을 위해 요구되었던 수요문제까지 확장하고자 한 것이다. 박정희 정권은 늘어나는 농산물 수요에 대응함과 동시에 농가에게 충분한 소득을 보장해주기 위해 원료농산물 증산을 장려하고 수입을 억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 식료품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가공기업’은 국내외로부터 더 많은 원료농산물을 조달하고자 하였다. 양자 간의 이해 차이로 박정희 정권의 수매가 인상을 통한 증산시도는 저조한 실적을 보였다. 농정당국이 충분한 수요를 확보하지 못한다면 증산은 성취될 수 없었다. 이에 박정희 정권은 ‘가공기업’을 안정적인 수요처로 동원해낼 방법을 모색했다. 박정희 정권은 ‘가공기업’에게 계약재배지침을 내림으로써, 원료농산물의 실수요자인 ‘가공기업’으로 하여금 농가 생산물에 대한 인수책임을 지도록 했다. 이는 곧 정권이 부담해 온 증산 농산물의 수매책임과 이에 수반된 재정부담, 지원업무까지 전가하는 것이었다. 원료부족문제가 심각했던 ‘가공기업’은 국산 농산물 이용실적을 바탕으로 수입추천을 하는 정권의 지침을 따를 수밖에 없었다. 그 결과 1970년대 원료농산물 수급체계는 ‘가공기업’이 증산된 농산물에 대한 인수책임을 떠받드는 형태로 재편되었다. 1970년대 원료농산물 수급체계는 ‘가공기업’의 수매량이 확대됨에 따라 농가가 기업수요에 의존적인 생산조건에 놓이도록 했다. 수매비중이 늘어나면서 생산농가는 수매주체의 요구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가공기업’이 수매량을 확대하고 농업생산과정에 개입해 들어오면서 농가는 더 많은 원료농산물을 생산했다. 또한 가공기업이 선호하는 품종을 생산했으며, 가공기업이 필요로 하는 형태로 농산물을 생산, 공급했다. 그 결과 ‘가공기업’이 인수를 기피할 경우, 농가가 그 피해를 떠안아야 하는 상황으로 귀결되었다. 원료농산물 수급이 ‘가공기업’ 수요에 의존하게 된 이상, 해당 수급체계가 안정성을 가지기는 힘들었다. ‘가공기업’은 원료농산물 정권의 증산정책에 참여하고 있었지만, 근본적으로 이윤을 최대화하는 방향으로 움직였다. 1970년대를 거치면서 국산 원료농산물의 이용을 확대하기 위해 도입한 수입링크제도는 더 많은 원료농산물을 수입하기 위한 통로가 되었다. 게다가 국내외 시장상황의 변화로 국산 원료농산물의 채산성이 악화되자 ‘가공기업’은 국산 원료농산물 기피를 노골화하고 재배계약을 이행하지 않았다. ‘가공기업’에 의존한 원료농산물 수급체계는 증산에 참여한 농가에 광범한 영농피해를 입혔다. 1970년대 후반 ‘가공기업’이 더 이상 국산 원료농산물 인수에 나서지 않으려 하는 가운데, 증산농정의 정책주체인 정권조차 농산물 수급불균형 문제를 책임지려하지 않았다. 그간 ‘가공기업’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산되어온 국산 원료농산물은 ‘가공기업’과 정권 관심 밖에 방치되었다. 원료농산물에 대한 안정적인 수요가 보장되지 않음에 따라 증산에 참여한 농가는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농산물 수급불균형은 1976-1978년을 전후한 수입개방 진전에 따라 구조화되었다.

      • 근대 한국 신종교의 조직 연구 : 연원제를 중심으로

        박상규 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3

        이 연구에서는 1860~1940년대 한국 신종교 가운데 연원제를 기반으로 하는 동학⋅천도교, 보천교(普天敎), 무극도(無極道)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각 교단의 특징과 유형을 고찰하였다. 또한 향후 연원제를 포함한 종교조직의 원리나 체계를 통해 한⋅중⋅일 삼국 등을 포함한 동아시아 종교에 대한 비교로 연구 지평을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세 가지 종교 전통을 연구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각 교단이 연원제라는 조직 원리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유불선의 전통에서 연원(淵源)은 사사상전(師師相傳)으로 만들어지는 스승의 계보, 즉 도통(道統)을 의미하던 개념이다. 연원제는 이 연원 개념을 포교(布敎) 관계로까지 확장한 조직 원리다. 여기서 포교는 전도(傳道)를 의미하며, 전교인(傳敎人)과 수교인(受敎人)은 종신의 사제(師弟) 관계로 규정되어 각각 전도자(傳道者)와 수도자(受道者)로 명명된다. 그러므로 연원제는 포교로 형성되는 사제관계의 연쇄를 통해 종교 공동체를 구성하고, 모든 교인을 도통을 의미하는 연원 계보로 연결하는 조직제도이다. 또한 연원제는 종신토록 전교인이 수교인의 스승을 의미하는 연원이 되어 그 종교 생활을 책임지게 되므로 하나의 조직관리 체계이기도 하다. 수운(水雲) 최제우(이하 수운)는 상제(上帝)의 도를 상징하는 주문(呪文)의 전수를 포덕(布德)이라고 명명하고 이를 전도(傳道)로 정의하였다. 이로써 한국의 수행적 유불선 전통에서 기원한 연원 개념이 포교 관계로 확장되어 전교인이 수교인의 도통연원(道統淵源)이 되는 조직 원리가 성립되었다. 수운은 포교로 형성된 사제관계를 명확히 하는 입문 의례를 시행하고 향촌의 유학 교육을 담당했던 서당(書堂)의 ‘접(接)’과 ‘접장(接長)’ 제도를 변용하여 연원제 조직을 구성하였다. 동학 조직은 수운을 중핵으로 하는 인적 사슬로 구성되었기에 그의 사후에 각 접들이 분열했지만, 1870년대 후반 해월(海月) 최시형(이하 해월)이 도통을 세워 조직의 중핵인 연원 정점이 되자 다시 통합되었다. 이 과정에서 해월은 연원제를 기반으로 새로운 유교 학파였던 동학을 신종교 교단으로 전환하였다. 연원제를 기반으로 1890년대 교단이 전국적 규모로 성장하자 해월은 동학의 조직을 대접주(大接主)-수접주(首接主)-접주(接主)-접사(接司)의 다층적 접포제(接包制) 조직으로 체계화하였다. 증산(甑山) 강일순(이하 증산)은 자신을 스스로 수운이 접한 상제의 화신이라고 주장하고 자신의 가르침을 ‘참동학’이라고 선언했지만, 수운과 달리, 연원제 조직을 구축하지 않았다. 그러나 증산에 의해 만들어진 주문이 증산 종단의 수행 체계에서 핵심이 되고, 제자 다수가 동학의 직간접적 영향을 받으면서 증산 사후 연원제는 증산 종단 전반의 조직 원리가 되었다. 증산의 친견 제자인 월곡(月谷) 차경석(이하 월곡)은 도통 계승을 주장하면서 증산의 예언에 근거한 도수(度數) 체계를 활용해 60방주(方主)와 그 하위의 6임(任)-12임-8임-15임이라는 수리적(數理的) 연원제 조직을 구축하고 보천교를 설립하였다. 월곡의 연원제 조직은 새 왕조 건설과 독립 등 혁세적 성격을 보이면서 급속히 확장되었다. 증산의 친견 제자가 아니었던 정산(鼎山) 조철제(이하 정산)는 계시를 통한 도통 계승을 선언하고 증산을 ‘뇌성보화천존(雷聲普化天尊)’이라는 도교 신격에 봉안하면서 무극도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자신을 상제 증산의 천명을 받은 연원 정점으로 선언하고 수운과 동등한 위상에 두어 다른 친견 제자들과 차별화하였고, 증산의 사상을 도교적으로 해석하여 수련 도교적 수행 결사 조직을 구축하였다. 이 과정에서 수련 도교의 강한 사제관계를 기반으로 한 연락(聯絡)-부분(府分)-포덕(布德)의 연원제 조직은 무극도가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었다. 해월 사후 도통 승계에 성공한 의암(義菴) 손병희(이하 의암)는 서구적 근대화를 통한 교단의 합법화를 지향하면서 동학을 천도교로 전환하고, 연원제와 함께 서구 종교의 대표적 조직제도인 교구제를 활용하였다. 그렇지만 연원제와 교구제의 절충으로 인해 연원제에 기반한 전교인과 수교인의 사제관계가 약화되면서 연원제의 인적 계보는 도통의 지위를 상실하였다. 연원제의 약화는 1920년대 초에는 연원제가 계급제라는 비판을 받으면서 가속화되었고, 그 과정에서 연원제와 그 권위구조의 폐지를 둘러싸고 여러 차례의 교단 분열과 합동이 전개되었다. 1920년대의 연원제 약화가 교세 정체로 귀결되자 1930년대 천도교 제 세력은 교세 정체를 극복하기 위해 연원제를 대부분 복구하고 연원제 중심의 교구제 병행 체제로 전환하였고, 그 결과 분열된 세력들도 통합되었다. 1920년대 보천교와 무극도는 연원제 조직 특유의 포교 지향성을 기반으로 강한 원심력을 발휘하며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교단이 커질수록 연원제로 인한 분열의 위험이 커지자 월곡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교구제를 도입하고 연원제를 폐지하였다. 그렇지만 교구제 전환이 교세 정체로 이어지자 월곡은 다시 연원제를 복구하고 확대하였다. 이후 계속된 교세 정체와 1930년대 초부터 강화된 일제의 탄압을 극복하고자 월곡은 예언에 기반한 혁세적 신앙체계를 유교 윤리적 수양체계로 전환하면서 다시 연원제를 폐지하고 교구제를 전면적으로 시행하였다. 하지만 교세는 회복되지 못하고 월곡이 사망한 이후 보천교가 해산되면서 연원제 조직도 소멸하였다. 그에 비해 보천교와 경쟁하면서 규모를 키웠던 무극도의 정산은, 월곡과 달리, 교구제를 도입하지 않았다. 무극도의 연원제 조직은 사제관계를 신성시하는 도교적 수행 결사의 성격이 강했기 때문이다. 당시 정산이 체계화한 연원제는 무극도가 해방 이후 급속히 교세를 복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이러한 연원제는, 대순진리회가 현재까지 교구 개념이 없는 연원제 조직을 전국적으로 유지하듯이, 무극도-태극도-대순진리회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더 체계화된 분권적 조직 원리로 작용하였다. 연원제에서는 포교 공로와 종교적 권위가 비례하고 모든 교인이 포교와 의례를 주관할 수 있는 성직자가 될 수 있어 포교 동력과 조직의 원심성이 강하다. 동시에 신앙 대상과의 접촉이 연원 정점에서 시작된 인적 계보를 통해 매개되므로 구심력이 강하고 권위 구조가 절대적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공통적 특징에도 불구하고, 동학⋅천도교는 신유교 학파적 연원제 조직에서 출발하여 사상(思想) 결사적 특징을 보였고, 보천교는 증산의 예언에 기반한 수리적 연원제 조직을 구성하여 혁세적 특징을 강하게 나타냈으며, 무극도는 수련 도교적 연원제 조직을 구축하여 종교적 수행 결사의 특징을 보였다. 조직 원리의 운용 차이로 인해 각 교단이 다른 특징을 보이는데, 이는 동시대의 신종교인 불법연구회와 비교하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불법연구회는 연원제를 변용하여 십인일단(十人一團)이라는 속인제(屬人制)를 도입했지만, 연원제 조직을 구축하지는 않았다. 이는 불교적인 도통 계승과 함께 주문 중심의 수행 체계를 지니지 않은 교리체계 때문이다. 불법연구회가 성직자 제도를 통해 중앙집권적인 교구제를 채택한 것은 포교인이 스승이 될 수 없는 약한 연원 개념도 하나의 원인이라 할 수 있다. 직간접적으로 연원제와 관련된 한국 신종교 교단을 보면, 연원제의 강도에 차이가 있다. 이 차이를 수학적으로 표기한다면 ‘원불교≦1930년대 보천교≨천도교 신파≨천도교 구파≦천도교≨동학⋅1920년대 보천교≨무극도’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스와토스(W. Swatos)의 종교 유형 모델의 사회 환경에 대한 인정과 거부의 지표에 연원제를 대입할 때 보이는 각 교단의 유형도 연원제의 강도에 비례하여 ‘교파(denomination)→제도화된 종파(established sect)→폐쇄적 종파(entrenched sect)⋅역동적 종파(dynamic sect)로 배열될 수 있다. 연원제는 넓게 보면 주문 중심의 수행 체계를 지니지 않은 근대 일본 신종교의 인도계통제(導き系統制)나 중국 신종교 등의 속인제(屬人制)와 유사해 보인다. 유불선 전통을 공유하는 동아시아 근대 신종교에서 이러한 속인제를 볼 수 있지만, 그 내용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각국의 역사적 상황에서 독자적인 특징을 지니며 전개되었음을 의미한다. 연원제는 유불선 전통을 배경으로 성립된 근대 한국 신종교 특유의 조직제도이다. 그리고 근대 한국 신종교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특징은 연원제의 내용과 강도에 따라 달라진다. 이는 연원제가 근대 한국 신종교 연구에서 중요한 지표가 된다는 점과 함께, 연원제라는 종교 조직 원리를 통해 근대 신종교 현상을 바라보면 지금까지 간과되었던 여러 역사적 사실들이나 종교 간 유사성과 차이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연원제가 유형론으로 한국 근대 종교를 설명하는 중요한 지표라는 점과 함께, 연원제를 포함한 종교조직의 원리나 체계가 한⋅중⋅일 삼국 등 동아시아 종교를 비교 연구하여 연구 지평을 확대하는 데에 유용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compare the organizational development of new Korean religions that have utilized the “yeonwon system (淵源制yeonwon-je)” such as the Donghak (東學, Eastern Learning) / Cheondoism, Bocheonism, and Mugeuk-do (the Dao of the Boundlessness) based on their features during the modern period from the 1860s through the 1940s. Nex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models of each religion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Additionally, the study indicates that in the future, the academic spectrum can be broadened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on East Asian religions, including the principles of religious organizations or systems in Korea, China, and Japan, for instance, the yeonwon system. The reasons for considering the three religious traditions as the subject of research can be attributed to each religious order sharing the same organizational principle, the yeonwon system. In the context of Korean tradi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yeonwon (淵源, fountainhead) means “orthodox lineage (道統 literally Dao-System)”; namely, this indicates that these lineages were inherited from a master. When they later formalized into the yeonwon system, the concept was expanded from referring solely to orthodox lineages to further include the relationships formed while propagating the teachings (布敎). In this regard, propagating the teachings signifies “transmitting the Dao (傳道).” Accordingly, the system became an organizational principle that had defined the transmitter of the teaching (傳敎人) and the recipient of the teaching as the transmitter of the Dao (傳道者) and the recipient of the Dao (受道者). The transmitter and recipient of the teaching were defined as a permanent relationship between a master and disciple. Therefore, the yeonwon system can be explained as an organizational institution wherein a chain of connections between the masters and disciples forms a religious community, and this system connects all devotees to the yeonwon lineage, the orthodox lineage. The yeonwon system enables the transmitter of the teaching to become the yeonwon, and this signifies an individual who serves as the permanent master of the recipient of the teaching and will assume responsibility for the recipient’s religious life. In this regard, the yeonwon system is an organizational management system. Suwun, Choe Je-u, the founder of Eastern Learning, designated the transmission of incantations that symbolize the Dao of the Supreme God (上帝) as the propagation of virtue (布德). This process was defined as the transmission of Dao (傳道). Accordingly, the concept of the yeonwon that emerged from the cultivation tradi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in Korea, later expanded to include the propagation of teachings. Consequently, an organizational principle was established whereby the transmitter of the teaching becomes the recipient’s yeonwon and serves as a connection to the orthodox lineage. Suwun performed a rite in the beginning that clarified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that was formed through propagation. In addition, he formed the yeonwon system by transforming the jeop (接, class) and jeopjang (接長, class heads) system used by village schools (書堂) wherein education followed the Confucian style. As the organization of Eastern Learning was formed through a Confucian master–disciple relationship with Suwun as the central figure, each jeop dissolved after his death. However, Haewol, Choi Si-Hyeong, reestablished the lineage of Suwun’s order in the late 1870s and became the cardinal focal point of yeonwon, the core of the organization. This united the organization. Through this process, Haewol retained the yeonwon system and transformed Eastern Learning, a Neo-Confucian school, into a new religious order. As the order expanded nationwide based on the yeonwon system in the 1890s, Haewol systemized the organization of Eastern Learning into the multi-layered jeop-po system (接包制, class and faction system) as daejeopju (大接主, faction host), suojeopju (首接主, vice faction host), jeopju (接主, class host), and jeopsa (接司, class administrator). When Jeungsan, Kang Il-Sun, posited that he was an incarnation of the Supreme God whom Suwun encountered, he declared that his teachings were the “true Eastern Learning.” However, Jeungsan did not establish an organization via the yeonwon system. Jeungsan’s incantation became the core of the cultivation system in Jeungsan-inspired movements. Since a majority of his disciples were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by Eastern Learning, the yeonwon system of Eastern Learning naturally became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generally used by Jeungsan-inspired movements after his death. Jeungsan’s disciple, Wolgok, Cha Gyeong-Seok, claimed that he was the successor to Jeungsan’s orthodox lineage and established the 60 bangju (方主, compass-segment leaders) and its subdivisions named the 6-im (任, duty), 12-im, 8-im, and 15-im, which were a numerical yeonwon system facilitated upon a degree number (度數) system based on the prophecy of Jeungsan. He then founded the religion, Bocheonism (普天敎). Wolgok’s yeonwon system rapidly expanded as it was prone to rebellious characteristics, for example, founding a new dynasty and striving for independence. Another individual associated with Jeungsan was Jeongsan, Jo Cheol-Je, who, despite never having met Jeungsan in person, also claimed to be a successor in Jeungsan’s orthodox lineage via a revelation. Jeongsan established Mugeuk-do by enshrining Jeungsan as the Daoist deity, Nwehseong Bowha Cheonjon (雷聲普化天尊,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through His Thunderbolt). Jeongsan designated himself as the cardinal focal point of that yeonwon who received the heavenly mandate from Sangje (Supreme God), Jeungsan, and organizationally, he assumed the same status as Suwun within Eastern Learning. Accordingly, he differentiated himself from other disciples of Jeungsan. Jeongsan interpreted Jeungsanist thought via a Daoist perspective and organized his movement as a Daoist training association. The yeonwon system of his organization included yeonrak (聯絡, contact points), bubun (府分, branches), and podeok (布德, propagation sites), which provided the grounds to quickly develop the organization of Mugeuk-do based on strong master–disciple relationships characteristic of his movement’s Daoist style cultivation system. After the death of Haewol (a leader within Eastern Learning), Uiam Sohn Byeong-Hui succeeded in the movement’s orthodox lineage. He changed the name of Eastern Learning to Cheondoism and promoted the legalization of the religious order through Western-style modernization. Accordingly, parochialism, a representative organizational institution common in Western religions, was adopted by Cheondoism and ran parallel to its yeonwon system. To create a compromise between these two systems, Uiam undermined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mitter of the teaching and the recipient of the teaching, as understood in the original yeonwon system. In this context, the human lineage of the yeonwon system lost its status as an orthodox lineage in the traditional sense. The weakening of the yeonwon system accelerated and intensified since it was criticized for its hierarchical nature during the early 1920s. The order schismed and reunited many times, and a major issue was the abolishment of the yeonwon system that centered on the cardinal focal point of the yeonwon as its authoritative structure. With the weakening of the yeonwon system in the early 1920s, Cheondoism’s religious influence stagnated. The authorities in Cheondoism that had schismed previously in the 1930s ended up restoring most of its yeonwon system in order to overcome stagnation. They also resorted back to a system of parochialism in parallel with the yeonwon. Consequently, all authorities that had split from one another reunited. Bocheonism and Mugeuk-do grew quickly during the 1920s. Both movements displayed strong centrifugal force based on their propensity for propagation, which was characterized by each organization's use of the yeonwon system. As these religious orders rose in prominence, the risk of schism increased owing to the yeonwon system. To counter this, Wolgok adopted parochialism and abolished the yeonwon system. However, the introduction of parochialism drove devotees to lose faith in the numerology associated with the previous yeonwon system. This led to Bocheonism’s religious influence waning. Once Wolgok realized this, he restored the numerical yeonwon system,reinforcing it through expansion. Subsequently, Wolgok transformed a politically rebellious faith system based on prophecies into an ethical cultivation system based on Confucianism. He thereafter abolished the yeonwon system to overcome the constant stagnation of his movement and avoid oppression from the Japanese imperial forces that had grown since the early 1930s. Following this, he adopted full-scale parochialism. However, the religious order failed to regain its former degree of influence. Therefore, Bocheonism was disbanded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fter the death of Wolgok, and its organization based on the yeonwon system was discontinued. Mugeuk-do competed with Bocheonism and increased its scale; however, Jeongsan did not impose parochialism as Wolgok had. This is because the Yeonwon system of Mugeuk-do is strongly indicative of a Daoist cultivatory association that sacralizes the master–disciple relationship. The yeonwon system of Mugeuk-do, organized by Jeongsan, expeditiously restored its religious influence after Korea regained independence. Mugeuk-do was renamed Taegeuk-do, and this later schismed into Daesoon Jinrihoe. In the Daesoon Jinrihoe context, the yeonwon system developed into a more systematic and decentralized organization. Daesoon Jinrihoe has so far maintained a nationwide organization of its yeonwon system without the use of parochialist concepts. Under the yeonwon system, the degree of religious authority of a religious order grows in proportion to the success of the order’s propagation. Additionally, all devotees can become clergy and preside over propagation and rituals. Accordingly, the motivation to engage in propagation and the centrifugal force of Daesoon Jinrihoe as a religious organization are strong. Simultaneously, the connection with the object of faith is mediated through a human lineage that originated from the cardinal focal point of the yeonwon. Therefore, the centripetal force in the yeonwon system is strong, and its authoritative structure is implicit. Although the system has many common features of other religious movements, Eastern Learning and Cheondoism started their yeonwon system based on Neo-Confucianism. In this context, the two orders share certain characteristics, as both are ideological associations. The strengths that enabled Bocheonism to gain popularity include its identity as a contingency of political rebels and the formation of a numerical organization of the yeonwon system based on Jeungsan’s prophecies. In contrast, Mugeuk-do was characterized as a religious cultivatory association that established its organization based on a Daoist-training version of the yeonwon system. Owing to the difference in terms of operating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each religious order presents distinct characteristics. Comparing this fact to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a new religious order of the period, such a tendency appears conspicuous.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a modern new religious organization that later became Won Buddhism, adopted an organizational principle based on a personal lineage, which was similar to the yeonwon system. It was called the “sip-in il-dan (十人一團, a group of ten people).” However, the sip-in il-dan did not form the organization of a yeonwon system. This resulted from the inheritance of a lineage of Buddhist orthodoxy and a training system that did not focus on the recitation of incantations. One of the reasons that the Buddhadharma Research Society was capable of forming an organization as a centralized parochialism through sacerdotalism stemmed from the fact that it adopted the yeonwon system with a weak bond wherein the propagator of the teaching should not be one’s master. The degree of the yeonwon systems in Korean new religious orders can be expressed through a mathematical scale as follows: Won Buddhism ≦ Bocheonism in the 1930s ≨ neo-Cheodoism≨ traditional Cheondoism≦ Cheondoism ≨ the Eastern Learning & Bocheonism of the 1920s ≨ Mugeuk-do. If the yeonwon system is expressed through Swatos’ church–sect model, which conveys indicators of acceptance and rejection regarding a religion’s social environment,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each religious order would relate to the degree to which it maintained fidelity to the yeonwon system. Therefore, it can be arranged as follows: a denomination or sect → an established sect → a dynamic or an entrenched sect. In a broader sense, the yeonwon system is akin to the system of a new Japanese religion without a cultivatory system that focuses on the recitation of incantation wherein lineages are formed via propagation (導き系統制) or personal lineages in Chinese new religion. This phenomenon appears as modern new religions of East Asia that share the tradition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However, the details are not identical. This suggests that the yeonwon system has developed unique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of each country. The yeonwon system is an intrinsic organizational system in the new Korean religions of modern times, which has been established on the ground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In additi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new Korean religion vary in accordance with the context and intensity of the yeonwon system. This signifies that the yeonwon system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research on new Korean religions in modern times. In addition, this means that various facts that have been neglected so far o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religions can be comprehensively understood by considering the phenomena of new religions in the modern era through a religious organizational principle called the yeonwon system. The yeonwon system can also be considered a significant indicator of the theoretical application of religious typology on Korean religions in modern times. Furthermore, the study confirms that the principle or system of religious organizations is useful for expanding the boundaries of religious research in comparative studies on the new religions of East Asia.

      • 시설 토마토 재배에서 정밀관수를 위한 근권 내 농도의 연속적인 모니터링 방법 및 근권환경 변수를 고려한 증산모델 개발

        이재성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2

        The establish of irrigation strategies in greenhouse cultiv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rop production and quality improvement. For the establish and sophistication of the irrigation strategy, the shoot-environment, such as radiation, temperature, and humidity, has been used as the main index of irrigation control. However,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are also affected by the underground environment.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variables of the root-zone environment when establishing an irrigation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establish a correction method for converting Bulk EC (ECb) measured in the sensors into Pore EC (ECp) used by plant roots when using FDR sensors and to develop and verify a transpiration model considering shoot and root-zone environment variables. Two types of Rockwool substrate(RW1, RW2) with different physical characteristic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Bulk EC (ECb) and Pore EC (ECp) were measured by supplying nutrient solutions of different concentrations(distilled water, 0.5~5.0) to two types of substrate (RW1, RW2) based on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0~100%). The relationship between ECb and ECp in RW1 and RW2 substrate is most suitable for cubic polynomials. The relationship between ECb and ECp according to the volumetric moisture content (VWC) range showed that the error rate between ECb and ECp increased in the 10 to 60% range of low volumetric moisture content (VWC).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nsor measured value (ECb) and the ECp used by plant roots according to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range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 Paraboloid equation in both media (RW1, RW2). As a results, it was possible to reduce errors that could occur in the low moisture content range when measuring using the FDR sens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transpiration model, the actual transpiration rate of the plant was measured using a weighing sensor. The transpiration rate of plants was measured by calculating the weight change at 10-minute intervals to reduce errors while satisfying the concept of instantaneous transpiration of pla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plant transpiration rate and radiation (Rad) was corrected using the Exponential rise to maximum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Vapor pressure deficit and ion concentration of substrate and transpiration rate was corrected using the Gaussian peak model. The modified Penman-Monteith transpiration model (TR), the model corrected for the shoot environment variables (Rad, VPD) (TRs), and the model considering both the shoot and root-zone environments (TRsr) were compared and verified. As a result, the actual transpiration rate was best estimated in the model (TRsr model) in which both shoot and root-zone environmental factors were corrected. From the results, it is judged that the accuracy of estimating the transpiration rate of plants will be further enhanced by the application of the developed transpiration model and the calibration method that can accurately measure the concentration in the root-zone. I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for accurate irrigation control. 시설 재배에서 관수전략의 수립은 작물의 생산량과 품질 향상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관수전략의 수립과 고도화를 위하여 광도, 온습도 등 주로 지상부 환경이 관수제어의 주요지표로 활용되어 왔다. 하지만 식물의 성장과 발달은 지하부 환경에도 영향을 받으므로 근권 환경의 변수들을 관수전략 수립에 고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실험의 목적은 FDR 센서를 활용하여 센서에서 측정되는 Bulk EC(ECb)를 식물의 뿌리가 활용하는 Pore EC(ECp)로 변환할 수 있는 보정 방법을 확립하고, 근권환경의 연속적인 측정을 통해 지상부 환경변수와 근권환경 변수를 고려한 증산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고자 진행되었다. 실험은 물리적 특성이 다른 2종류의 암면배지(RW1, RW2)를 사용하였다. 2종류 배지(RW1, RW2)에 서로 다른 농도(증류수, 0.5~ 5.0)의 배양액을 각 체적함수율 범위(0~100%)로 공급하여 Bulk EC(ECb)와 Pore EC(ECp)를 측정하였다. RW1, RW2 배지에서 ECb와 ECp의 관계는 3차 다항식에 가장 적합하였다. 체적함수율(VWC) 범위에 따른 ECb와 ECp의 관계는 낮은 체적함수율(VWC) 10~ 60% 구간에서 ECb와 ECp의 오차율이 컸다. 체적함수율(VWC)범위에 따른 센서 측정값(ECb)과 식물 뿌리가 이용하는 ECp의 상관관계는 2종류 배지(RW1, RW2) 모두 Paraboloid 식에서 가장 높았다. 위 실험 통해 구해진 보정식의 적용으로 FDR센서를 활용한 측정 시 낮은 함수율 범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줄일 수 있었다. 증산 모델 개발을 위해 식물의 실제 증산율을 중량센서를 활용하여 측정하였다. 식물의 증산율은 식물의 순간 증산 개념을 만족시키면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10분 간격의 무게 변화를 통해 측정하였다. 측정된 식물 증산율과 광도(Rad)는 Exponential rise to maximum 모델을 이용하여 보정하였으며, 수증기압포차(VPD) 및 배지 이온 농도(EC)와 증산율의 관계는 Gaussian peak 모델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수정된 Penman-Monteith 증산 모델(TR)과 지상부 환경변수(Rad, VPD)를 보정한 모델(TRs) 그리고 지상부와 지하부 환경을 모두 고려한 모델(TRsr)에 대한 검증 결과, 지상부와 지하부 환경 요인을 모두 보정한 모델(TRsr model)에서 실제 증산율을 가장 잘 추정하였다. 위 결과를 통해 근권 내 농도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보정 방법과 개발된 증산 모델의 적용으로 식물의 증산율 추정에 대한 정확도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며, 정확한 관수 제어를 위한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백다다기 오이의 생육단계를 반영한 흡광계수 모델 개발 및 증산모델 보정

        전기범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90

        온실내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광환경과 작물 수광형태에 대한 특성의 이해는 광합성과 증산반응 연구에서도 중요하다. 작물이 생장함에 따라 광 이용 형태가 변화하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실험의 목적은 작물의 생육을 반영한 흡광계수 추정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흡광계수의 측정을 위하여 작물의 높이에 따라 수직으로 일사량계를 5개 설치하였으며, 작물의 전 생육기간(DAT 1~85)동안 1초 단위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초기, 중기, 후기 각각의 생육단계에 따라 최상단 광량과 최하단의 광량의 차이가 각각 69%, 72%, 81%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엽면적지수(LAI)와 초장이 증가함에 따라 흡광계수는 감소하였으며, exponential decay한 관계를 보였다. 두 생육지표와 흡광계수의 관계를 반영한 3차원 모델에서 Paraboloid 식이 평균제곱근오차가 1.340으로 가장 낮았고, 결정계수는 0.968로 가장 높았다. 3변수간의 관계는 3차원 모델에서 Paraboloid 회귀모델이 가장 현상을 잘 나타냈다. 위 결과를 통하여 작물 재배기간 동안 생육변수를 이용하여 정확한 일일 흡광계수를 예측할 수 있게 되었다. 작물의 증산은 자체 제작한 증산모니터링 시스템의 로드셀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된 10분단위의 무게차이를 증산율으로 계산하였다. 환경변수의 측정은 수증기압포차(VPD), 광(Rad)을 1초 단위로 데이터로거에 수집하였으며, 엽면적지수(LAI)는 정식일부터 1주일 간격으로 1개체씩 파괴조사를 하여 측정하였다. 흡광계수는 작물의 높이를 5등분하여 각 위치에 일사량계를 설치하여 일일 흡광계수를 측정하였다. 증산 예측모델의 개발은 단순화된 Penman-Monteith 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기본 P-M모델, 환경변수를 반영한 모델, 환경변수와 생육변수를 모두 반영한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증산모델 비교 결과 환경변수와 생육변수를 모두 반영한 증산모델에서 결정계수가 0.619로 가장 높았으며, 평균제곱근오차는는 0.058로 가장 낮았다. 따라서 증산율 예측에 있어 환경변수 뿐만 아니라 재배기간 동안 변화하는 생육변수 또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개발된 증산모델을 통한 증산율 예측 값은 오이작물의 관수 제어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대일항쟁기 보천교의 성격 연구

        김종우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788

        대일항쟁기 보천교의 성격 연구 본 논문은 대일 항쟁기 독립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보천교(普天敎)의 성격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보천교의 성립 배경에는 동학(東學)과 증산도(甑山道)가 있다.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가 1860년 하늘의 상제와 문답을 통해 내려 받아 창도한 동학은 세 가지 핵심 메시지를 세상에 전해주었다. 그것은 시천주(侍天主)와 개벽(開闢) 그리고 무극대도(無極大道)의 출현이다. 이 가운데 시천주는 2세 교주 최시형(崔時亨)과 3세 교주 손병희(孫秉熙)에 의해 양천주(養天主)로 변경되어, 동학의 본질을 알 수 없게 되어버렸다. 동학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서학(西學)에 대항하는 개념으로서의 동학이다. 그러나 동학의 참뜻은 새 시대의 시작을 의미하는 동방(東方)의 동학이다. 동학은 선천(先天)의 상극 시대를 끝 막고 후천(後天) 상생의 새 세상을 여는 무극대도이다. 강증산(姜甑山)은 최수운이 참형을 당한 8년 후에 전라도 고부, 지금의 정읍에서 태어났다. 그는 자신이 최수운에게 천명(天命)과 신교(神敎)를 내려주었던 하늘의 상제였는데 조선 조정이 수운을 죽였으므로 직접 인간으로 강세하였다고 자신의 신원을 밝혔다. 증산은 30세가 되던 1901년에 모악산 대원사에서 천지인(天地人) 삼계를 주재할 수 있는 화권(化權)을 얻는 대도통(大道通)을 하였다. 그는 1909년까지 천지공사(天地公事)를 집행하였으며 수많은 기행 이적을 행하였다. 천지공사는 앞으로 닥칠 후천개벽(後天開闢)을 극복하고 후천선경세계(後天仙境世界)를 건설하는 설계도라고 전해진다. 차경석(車京石)은 동학과 인연이 깊다. 그의 나이 15세 때 아버지 차치구(車致九)가 동학혁명에 참가하여 비운의 죽임을 당하였고 차경석 또한 동학운동에 깊이 관여하였다. 차경석은 일진회(一進會) 활동을 하다가 이용구(李容九)가 친일로 돌아서자 그만두었고 손병희를 잠시 따랐으나 그와도 뜻이 맞지 않아 동학과 거리를 두고 있었다. 그때 집안 송사 문제로 전주에 가는 길에 강증산을 만난 것이 그의 운명을 송두리째 바꾸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모든 일을 전폐하고 오직 강증산의 천지공사에 참여하였다. 차경석은 강증산이 천지공사를 마치고 선화(仙化)하자 자신의 이종 누이이자 증산의 계승자인 고판례(高判禮)를 따라 교단 활동을 시작하였다. 차경석은 60 방주(方主) 제도를 통해 600만이라는 신도를 규합하고 보천교를 창립하여 교주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일제 식민권력의 통치를 받던 시대 상황에서 보천교 종교활동은 탄압과 감시를 피할 수 없었다. 보천교는 식민 통치 권력에 교단을 공개하고 시국대동단(時局大同團)을 조직하여 화해의 손길을 내밀었지만, 그것은 그들의 회유 공작에 말려든 것이었고 결국은 교단 해체라는 최악의 결과를 낳았을 뿐이다. 일제 식민권력은 보천교에 유사종교라는 굴레를 씌우고 사이비·미신·사교 등으로 깍아내려 보천교를 말살시키려고 하였다. 보천교 연구자 중에 보천교는 독립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고 독립자금을 한 푼도 댄 적이 없다며 친일 단체로 매도하는 학자도 있다. 또한 어떤 연구자는 보천교는 종교로 위장한 정치단체 또는 독립운동 단체라며 보천교의 본질을 외면하는 학자도 있다. 보천교는 동학의‘시천주와 다시 개벽사상’을 완성한 증산도의 도조 강증산을 따랐던 차경석이 해원(解冤)·상생(相生)과 후천조화정부(後天造化政府) 건설을 바탕에 깔고 창립한 무극대도이다. 보천교는 거액의 독립자금을 지원하는 방법으로 독립운동에도 참여하였다. 현재 한국 사회는 조선총독부의 시각, 즉 민족해방과 조국독립을 희구하던 민족종교를 ‘유사종교’로 바라보는 시각에 그대로 머물러 있다. 보천교와 차경석에게 씌워진 부정적인 시선을 걷어내는 작업은 식민주의 유산이자 비주체적 시각의 역사관을 청산하는 일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