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방한 중국관광객 관광행동특성에 따른 선택속성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이구서 暻園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1919

        많은 사람들이 21세기에는 문화산업이 국가경제 발전에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예견해왔다. 1992년 한 · 중 수교 이후부터 한국을 찾는 중국인 관광객은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특히 1998년 중국정부가 한국을 중국인 해외여행 자유국가로 지정하면서 방한 중국 관광객이 더욱 증가하게 되었다. 2009년 한국을 찾은 중국관광객은 1,342,317명으로 전년 동기대비 14.9%가 증가해 연간 외래 관광객 중 일본에 이어 2위룰 기록하고 있다(한국관광공사, 2009). 이와 함께 중국 경제의 급성장은 중국내에서의 인바운드 시장 확대를 갖고 왔으며, 세계 각국은 엄청난 숫자의 중국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이는 향후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한 세계적 경쟁 속에서 한국이 중국 관광객을 지속하여 안정적으로 유치하기 위해서는 중국관광시장에 대해 지금보다 더욱 심층적 연구가 필요(최승담 · 서정태, 2006)함에도 불구하고 중국시장을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연구는 현재 미흡한 실정이다(김철원 · 김대관 · 이태숙, 2008). 중국관광객에 대한 심층적 연구 부족은 급성장 하고 있는 중국 경제의 영향으로 방한 중국방문객의 욕구도 달라질 것임에 따라 향후 신규 방문의 창출 및 재방문의 기회를 감퇴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방한 중국 관광객의 관광행동에 따른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한 후, 각 관광행동에 따른 중요도-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중국인 관광객이 한국관광을 선택할 때 어떠한 선택속성을 중요하게 고려하는지, 선택속성에 대한 만족의 정도는 어떠한지, 관광지 선택속성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관광행동에 따른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통하여 중국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기존의 문헌연구에 대한 국내외 서적, 논문, 온라인 자료, 기타 간행물을 통한 이론적 고찰 및 한국을 방문한 중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실증적 조사 방법을 병행하였다.

      • 산림치유 시설, 프로그램과 선택요인 중요도 인식에 관한 연구 : 헬스케어 관광객을 중심으로

        홍수장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에서는 건강을 테마로 하는 관광상품으로써 산림의 치유기능을 도입하고자 할 때, 산림치유프로그램과 시설 그리고 선택요인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관한 사항을 살펴보고자 했다. 산림치유프로그램과 산림치유시설 그리고 산림치유상품 선택요인을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요인화 한 후, 각 요인별 중요도에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산림치유에 대한 사전지식유무, 이용의향의 유무에 따라 산림치유프로그램과 산림치유시설 그리고 산림치유상품 선택요인 중요도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했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와 유사시설 운영사례 분석을 통해 도출된 18개의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요인분석을 통해 '전문가치유', '운동휴양', '자연치유', '산림체험' 4개의 요인으로 도출한 후, 각 프로그램 별 필요성에 대한 응답결과를 토대로 상대적 중요도를 확인했다. 요인별로는 '자연치유프로그램, 전문가 치유프로그램, 운동휴양프로그램, 산림체험프로그램 순'으로 나타났고, 프로그램별로는 '산림욕 및 풍욕, 숲속명상, 걷기활동, 등산 및 트래킹'순으로 중요도가 나타났다. 이는 산림치유상품과 관련하여 수요자들은 보건의료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형태의 전문 프로그램보다는 산림의 치유인자를 체험하는 삼림욕, 풍욕, 걷기활동 등 자연치유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둘째, 선행연구와 유사시설 조성사례 분석을 통해 산림치유시설과 관련된 총13개의 항목을 도출하고, 산림치유시설로서 중요성에 대한 설문조사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수요자들은 클리닉, 전문의료시설 등 건강관리지원시설보다는 산림욕장, 산책로, 황토방, 수치료시설 등 자연치유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나타냈다. 이는 자연치유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중요도를 나타낸 상기 분석결과와 같은 의미를 내포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산림치유상품에 대한 선택요인으로 선행연구를 토대로 건강증진효과 시설우수성 등 16개의 항목을 선정하였고, 다시 요인분석을 통해 '인적물적자원의 우수성', '비용의 합리성', '프로그램의 우수성', '입지성 및 분위기'로 4개의 요인을 도출했다. 설문조사를 토대로 중요도를 확인한 결과 '인적물적자원의 우수성'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세부항목으로는 '자연환경과 숙박등 시설의 우수성'과 '직원들의 전문성과 친절성'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비용의 합리성' 요인은 다른 요인에 비해 낮은 평균값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산림치유상품의 경우 '건강에 대한 관리와 개선'이라는 이용목적이 뚜렷하기 때문에 구매시 주요고려사항이 '경제성'보다는 '효과성'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산림치유에 대한 사전지식의 유무에 따라 산림치유프로그램, 치유시설 그리고 산림치유상품 선택요인의 중요도인식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하였는 데, 사전지식 유무에 따라 운동휴양프로그램과 자연치유프로그램의 중요도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운동휴양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 데, 이는 사전지식 유무에 따라 요가, 필라테스 등 단체운동과 골프, 스파 등을 산림치유프로그램의 한 맥락으로 받아들이는 데 차이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산림치유활동에 대한 이용의향 유무에 따라 산림치유프로그램, 치유시설 그리고 산림치유상품 선택요인의 중요도인식에 차이가 있는 지를 확인했다. 분석결과 이용의향 유무에 따라 전문가치유프로그램과 자연치유프로그램, 산림체험프로그램을 중요도 인식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용의향이 없는 경우 운동휴양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인식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사전지식이 없는 경우 운동휴양프로그램을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여섯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산림치유프로그램, 시설 및 상품선택요인의 중요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기술통계분석과 다변량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여성의 경우 산림치유상품을 선택할 때 '인적물적자원의 우수성, 프로그램의 우수성, 입지성 및 분위기' 등 3가지 선택요인에 더 많은 중요도를 나타내고 있는 것을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사전지식의 유무에 따라 산림치유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 인식은 유의한 차이는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1은 채택되었고, 산림치유시설과 선택요인의 중요도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가설2와 3인 채택되지 못했다. 이용의향의 유무에 따라 산림치유프로그램과 산림치유상품 선택요인의 중요도 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어 가설4와 가설6은 채택되었으며, 산림치유시설의 중요도인식에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아 가설5는 기각되었다. This study induced the importance factors of forest healing facilities, programs and selection factors as a health themed tourism products based on previous studies in medical tourism service, forest healing, and forest recreation. I investigated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considerations for future forest healing activity participation and necessary forest healing facilities by of recognized importance for each program (e.g., Natural healing program, health and medical care program, and leisure and rest program, recreation) To achieve the study objectiv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studies of medical tourism service, forest healing, and forest recreation, as well as field trips were made for similar case studies. Moreover, total 30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visitors of similar facilities including Chungtae-san Forest Healing Center, Saneum Forest Healing Center, and Healience for 18 days between Oct 6-24, 2011. Two hundred forty fiv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after excluding not-returned and missing information questionnaire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cross tabulation analysis,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test the study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forest healing program was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i.e., Professionals operating program, fitness & recreation program, natural therapy program and forest experience program) based o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econd, important factors selecting the forest healing program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e., human & material resources, cost reasonableness, program, and location & atmosphere) based on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ird, forest healing facilities was classified in to three categories (i.e. facility for natural therapy, facility for health care and facility for leisure and support). Forth, results of study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consumers regarding the forest healing product with a theme of health and predicted the required programs and facilities as well as the factors considered to choose forest healing product. However, this study was to target the potential consumers not the current forest healing users. Therefore, it values as a exploitive study offering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forest healing product, not as a confirmative study.

      • 경남지역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업무중요도 및 교육요구도 분석

        박진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919

        This study aimed to suggest basic data to seek for desirable education methods for future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by investigat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in Gyeongnam area and grasping actual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current education condition and education need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to 500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in Gyeongnam area from December 20 to 31, 2010 by email and post, and 210 questionnaires(42%) were col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5-point Likert scale-based assesment of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job importance by tasks,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was highest as 4.51, followed by 4.39 dietary life education of nutrition education, 4.35 menu management, 4.29 cooking and serving management, 4.26 purchase management, 4.25 human resources management, 4.19 training and self-development, 4.11 production cost and office management, 4.03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 and food service management, 4.01 nutrition education, and 3.85 nutrition counseling. Second, as the result of 5-point Liket scale-based assesment of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education needs by tasks, dietary life education was highest as 4.3, followed by 4.29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of school food service, 4.16 training and self-development, 4.08 nutrition education, 4.05 nutrition counseling, 3.98 menu management, 3.93 human resources management, 3.83 cooking and serving management, 3.81 production cost and office management, 3.70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 3.66 food service management, and 3.58 purchase management. Third, both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 In addition,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of school food service management showed that all tasks had positive(+) relations except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dish, appliances) as well as communications through inquiries and business meetings, which meant when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regarded their task important, education needs were also high. Fourth, a grid management on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showed that both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were high in ‘dietary life education’, ‘menu management’, ‘hygiene and safety manage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training and self-development’, ‘facilities and equipment management’, ‘food service management’, ‘product cost and office management ’, and ‘others’(lunch support management for students in low-income families) showed high job importance but low education needs, and ‘purchase management’, ‘cooking and serving management’, and 'cooking and serving management' showed low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Fifth, a survey of participation needs in education showed that nutrition education planning of nutrition education was highest as 37.6% and food ingredients of food service management was highest as 62.4%. The difference in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according to education participation showed that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with education perceived more job importance and education needs than those without education. Sixth, a comparative analysis of school food service dietitians‘ current education level and desirable level showed that education tim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rrent level and desirable level, but annual education frequency(p<.01)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urrent education frequency and desirable education frequency, indicating a little higher frequency of education needs than current education.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education period and desirable education period showed that they preferred vacation to term-time (p<.001). In terms of education institutions, current education institutions showed that local education authority had the largest number of education as average 2.19, and desirable education institutions also showed local education authority had the largest number of education as average 2.37. Seventh, perception of education for current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showed the education satisfaction was 2.90 below average, and with respect to improvement of education, 80% or more dietitians felt the need of education improvement. In addition, in terms of desirable educational institutions, office of education(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ratio(44.8%). Eigh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improvement of education for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educational expense and support were highest as average 4.41, followed by 4.34 securing of excellent educators, 4.33 securing of educational places with easy access and participants’ active education attitude, 4.27 various education methods(test, practice), 4.18 arrangement of education time(time without hindering school food service and administration tasks), 4.12 educational facilities(class, restroom, parking lot, etc), 4.07 integrated education without separation between nutrition teachers and dietitians, and 3.95 smooth administration process(registration, distribution). In conclusion, regular education and training that reflect nutrition teachers/dietitians’ requirements and opinions should be conducted, and quality improvement in excellent teachers and education contents instead of performance-based education focusing on frequency of educ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it needs to develop and operate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about nutrition education and overall school food administration as well as school food service-related work.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중·고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업무중요도 및 교육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현재 영양(교)사를 대상 실시되고 있는 교육 현황과 교육요구도를 파악하여 향후 영양(교)사의 바람직한 교육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경남지역 영양(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20일부터 31일까지 인터넷 메일과 우편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이중 회수된 210부(42%)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교)사 대상 업무분야별 업무중요도는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급식관리영역의 위생안전관리가 4.51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영양지도영역의 식생활 지도 4.39, 식단(영양)관리 4.35, 조리작업 및 배식관리 4.29, 구매 관리 4.26, 인적자원관리 4.25, 연수 및 자기개발 4.19, 원가 및 사무관리 4.11, 급식시설 및 기기관리 와 급식경영이 4.03, 영양교육 4.01, 영양상담 3.85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양(교)사 대상 업무분야별 교육필요성은 Likert 5점 척도로 평가한 결과 식생활지도가 4.37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급식관리영역의 위생안전관리 4.29, 연수 및 자기개발 4.16, 영양교육 4.08, 영양상담 4.05, 식단(영양)관리 3.98, 인적자원관리 3.93, 조리작업 및 배식관리 3.83, 원가 및 사무관리 3.81, 급식시설 및 기기관리 3.70, 급식경영 3.66, 구매관리 3.58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양지도영역의 업무중요도와 교육필요성은 모두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급식관리영역의 업무중요도와 교육필요성에서 급식시설 설비 및 기기 위생관리(식기류, 집기 위생관리 포함)와 조회 및 업무회의를 통한 의사소통을 제외한 모든 업무에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나, 영양(교)사들이 중요한 업무로 파악하고 있는 경우 교육요구도 또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업무중요도와 교육필요성 간의 격자도 분석 결과 업무중요도와 교육필요성 모두 높은 영역으로 ‘식생활지도’, ‘식단(영양)관리’, ‘위생안전관리’, ‘인적자원관리’, ‘연수 및 자기개발’이였으며, 업무중요도는 낮으나 교육필요성이 높은 영역으로 ‘영양교육’, ‘영양상담’으로 나타났다. 업무중요도는 높으나 교육필요성이 낮은 영역은 ‘급식시설 및 기기관리’, ‘급식경영’, ‘원가 및 사무관리’, ‘기타’(저소득 학생 중식 지원 관리)이었으며, 업무중요도, 교육필요성 모두 낮은 영역으로 ‘구매관리’, ‘조리작업 및 배식관리’ 영역이 속하였다. 다섯째, 영역별 교육 참석 여부를 조사한 결과 영양지도영역에서는 영양교육 계획수립(목표, 방법, 활동계획)이 37.6%로 가장 높았고, 급식관리영역에서는 식재료 위생관리가 62.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교육 참석 여부에 따른 영역별 업무중요도와 교육필요성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영양(교)사가 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는 영양(교)사보다 업무중요성에 대하여 더 높게 인지하고, 교육필요성에 대하여서도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영양(교)사의 현재 교육방법과 바람직한 교육방법을 비교 분석한 결과 교육시간은 현재와 바람직한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연간 교육 횟수(p<.01)에서 현재 교육 횟수와 바람직한 교육 횟수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현재 교육 횟수보다 조금 더 높은 빈도의 교육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교육실시시기와 바람직한 교육 실시시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평일(학기중)보다 방학을 좀 더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p<.001). 교육실시 기관을 분석한 결과 현재 참가한 교육 실시기관에서 지역 교육청이 평균 2.19회로 가장 많았고, 바람직한 교육실시기관도 지역 교육청이 평균 2.37회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일곱째, 현재 실시되고 있는 영양(교)사 대상 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현재 실시되고 있는 영양(교)사 대상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평균 2.90으로 보통이하로 나타났으며, 교육의 개선유무에 대해서는 80%이상의 영양(교)사들이 ‘필요하다’라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바람직한 교육 주관 기관에 대하여서는 교육청(경상남도교육청)이 44.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여덟째, 영양(교)사 대상 교육 시 개선사항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육비 지원 및 보조’가 평균 4.41로 가장 높았고, ‘교육내용의 질적 개선 및 교육내용의 다양화’ 4.35, ‘우수한 교육 강사진 확보’ 4.34, ‘접근이 용이한 교육장소의 확보’ 와 ‘참가자의 적극적인 교육자세’ 4.33, ‘교육방법의 다양화(실험, 실습 포함)’ 4.27, ‘교육 실시 시간의 조정(급식 및 행정업무에 지장을 주지 않는 시간 대)’ 4.18, ‘교육 장소의 시설(강의실, 화장실, 주차장 등)’ 4.12, ‘영양교사와 영양사 구분 없이 일괄적인 교육 실시’ 4.07, ‘원활한 행정처리(등록, 수료증배부 등)’ 3.95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양(교)사의 요구와 의견을 반영한 정기적인 교육 및 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교육 횟수에 연연하는 실적위주의 교육이 아닌 우수한 교육 강사진 확보와 교육내용의 질적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급식관련 업무뿐만 아니라 영양교육 및 전반적인 급식경영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이 개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 해외건설시장 진출을 위한 건설사의 pre-construction service 핵심역량 분석

        변일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2011년을 기준으로 국내 건설시장은 민간 부문과 공공부문의 발주 감소로 전반적인 건설 경기 침체가 되고 있는 실정이며, 해외 건설의 경우는 플랜트에 편중된 시장 점유로 인해 전체 건설업에 대해서는 중국 및 인도 등에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 또한 선진국에 비해 고부가가치 기술경쟁력이 열위에 있는 상황에서, 국내 건설사들의 경쟁력 강화에 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최근 국내·외에서 Pre-construction Service(이하 Pre-con Service)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대형 건축 및 플랜트 프로젝트 발주 시 이를 통한 발주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사들의 Pre-con 업무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부족과 업무 체계 정립이 미흡하여 Pre-con Service에 대한 대응 전략은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사의 해외 건설 시장 진출을 위한 Pre-con Service의 핵심 업무를 규명하고, 그 중요도와 현 역량 수준을 비교&#8228;분석하여 이에 따른 역량 향상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첫째, 중요 업무와 관련된 요인 중에서 가장 중요 업무요소로 파악되는 업무요소는 계획 단계의‘프로젝트 마스터 스케줄 작성 및 검토’, 설계단계의‘발주처 및 설계자 입찰계약도서 검토’, 계약단계의‘입찰 도서 검토’로 파악되었다. 둘째, 중요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역량 중 격차가 가장 커서 시급히 보완해야 하는 역량 요소는 계획단계의 ‘LCC 검토 및 제안’, 설계단계의 ‘대안 창출 위한 VE(설계 도면 검토/대안제시) 수행’, 계약단계의‘입찰 도서 검토’가 가장 우선적으로 보완해야하는 역량 요소로 파악 되었다. 셋째, IPA를 통하여 현 보유역량 중 기준값보다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있지만 현 역량이 평균 이하로 중점적으로 강화시켜야 되는 역량들을 분석한 결과 계획 단계의 보완 역량 중 ‘LCC 검토 및 제안’과 설계 단계의 ‘대안 창출 위한 VE (설계도면 검토/ 대안제시) 수행’, 계약 단계의 ‘VECP (VE change Proposal) by Subcon 분석활동’등이 시급히 보완해야할 역량 요소로 파악되었다. 넷째, 국내 대형 건설사 7개사의 역량을 분석하여, 경력별 보완 역량 및 직급별 보완 역량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핵심 역량 요소들은 미비한 역량의 보완과 강화를 통해 Pre-con Service 기술력 향상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Pre-con Service를 활용하여 수주 가능성을 향상시키고 건설공사 수행에 따른 리스크 최소화를 통한 수익성을 증대시키며, 고객의 요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력 강화를 통해 발주자와 우호적 관계유지 및 발전을 통한 지속적 사업 확장 등을 위한 역량확보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2011, the overall construction markets in KOREA are highly depressed due to decreases in orders of domestic construction markets in both private and public field. Also, we are losing competitive advantages over Chinese and Indian companies owing to the market shares on plant construction projects excessively. It is recognizable,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we are in interior position on high value technique to other advanced countries, that the orders of mega building and plant construction projects tend to be placed through the “Pre-construction Service”, the importance of which has been emphasiz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 recent time. However, current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show scarcity in understanding the general idea of the Pre-construction Service and fail in building proper structure of it. It is obvious that they cannot have any competent strategy to deal with Pre-construction Servic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re competence throughout pre-construction phase and, and make up for the weakness in the current pre-construction service process.

      •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중소병원을 중심으로

        박보임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서비스 질 평가의 한 방법으로 입원환자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중요도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비교함으로써 입원환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이고 중소병원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근거마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의 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100∼300병상 규모의 중소병원에 입원한 환자 272명, 간호사 302명을 편의표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1년 9월 21일부터 2011년 10월 5일까지 총 2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La-Monica(1987) 등에 의해 개발된 환자만족도 측정도구(La Monic a-Oberst Patient Satisfaction Scale: LOPSS)를 양은진(2002)이 환자와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증요도 측정을 위해 수정․보완한 30개 문항의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 Program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산술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호서비스의 대한 입원환자의 만족도 인식정도(4.53±.52)는 간호사(3.54±.52) 보다 높았다. 영역별로는 입원환자의 만족도는 전문·기술영역(4.34±.58), 신뢰성영역(4.26±.59), 교육영역(4.11±.59) 순이었으며, 간호사의 만족도는 신뢰성영역(3.58±.42), 교육영역(3.54±.44), 전문·기술영역(3.50±.47) 순이었다. 2.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의 중요도 인식정도(4.39±.51)는 간호사(4.03±.53)보다 높았다. 영역별로는 입원환자의 중요도 인식정도는 신뢰성영역(4.44±.54), 교육영역(4.37±.56), 전문·기술영역(4.36±.54) 순이었으며, 간호사의 중요도 인식정도는 전문·기술영역(4.08±.61), 교육영역(4.01±.54), 신뢰성영역(4.00±.53) 순이었다. 3. 입원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의 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중요도는 성별(t=-2.175, p<.05)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서비스의 만족도는 연령(t=-2.457, p<.01), 결혼여부(t=-2.874, p<.01), 직위(F=2.835, p<.05), 임상근무경력(F=2.731, 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요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만족도와 중요도 인식차이를 비교한 결과 만족도(t=10.450, p<.001)와 중요도(t=4.766, p<.001)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만족도의 경우 전문·기술영역(t=10.599, p<.001), 교육영역(t=7.977, p<.001), 신뢰성영역(t=9.069,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요도의 경우 전문·기술영역(t=3.201, p<.01), 교육영역(t=4.574, p<.001), 신뢰성영역(t=5.29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만족도와 중요도는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면 중요도도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입원환자가 간호사에 비해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중소병원 입원환자는 제공받은 간호서비스에 대하여 비교적 만족스러움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간호사가 중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전문․기술영역에 대하여 환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환자가 중요도를 높게 인식한 신뢰성영역에 대하여 간호사의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는 간호사가 자신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전문지식 및 기술을 최대한 발휘하면서 신뢰성영역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대상자의 요구에 부응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의 만족도가 가장 낮은 영역은 교육영역으로 간호사들이 전문․기술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영역에 대한 중요성을 낮게 지각한 때문인 것으로 파악된다. 간호사의 경우는 전문․기술영역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중소병원 간호사를 위한 전문적 지식 및 기술 습득에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하고, 간호사들은 지속적인 자기계발을 통해 대상자의 요구에 적합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간호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o identify patients' needs and expectations, and it applies to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operations for nursing services to patients and nurse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provide direction to pursue, and suddenly the hospital is changing and can be accessed on the scene a little more aggressively to improve the services of a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seeks to provide basic data that is used. Based on the object of study, 272 of the inpatients, 302 of nurse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in G-Metropolitan City 100∼300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ward, data collection perio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 from 21 September 2011 until October 05 2011 The total was two weeks. Research tools in the La-Monica(1987)etc developed by the Patient satisfaction measurement tools(La Monica-Oberst Patient Satisfaction Scale: LOPSS) to modify, supplement is a five-point scale of 30 items. Data analysis methods using SPSS 18.0 mistake, percentage, arithmetic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nursing care of hospitalized patients' satisfaction (4.53±.52) about the perception was higher than perception of the nurses' satisfaction (3.54±.52). Perception of inpatient satisfaction for nursing services degree of professionalism and technical area (4.34±.58), reliability area (4.26±.59), training area (4.11±.59) was followed, perception of nurse satisfaction was the order of the reliability region (3.58±.42), training area (3.54±.44), professional and technical area (3.50±.47). 2. Nurse-patient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for nursing services, the patient (4.39±.51)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nursing care services was higher than the importance of the nurses (4.03±.53) recognized. Nursing care services for hospitalized patients with the highest realm of the importance of perception was followed the reliability area (4.44±.54), the education area (4.37±.56), professional and technical area (4.36±.54). The importance of perception for nursing care services of nurses was in order of professionalism and technical area (4.08±.61), training area(4.01±.54), reliability area (4.00±.53). 3.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patient care service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Inpatient nursing ca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importa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only of the gender (t=-2.175, p<.05). 4. Nursing care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the age (t=-2.457, p<.01), marital status (t=-2.874, p<.01), position (F=2.835, p<.05), clinical work experience (F=2.731, p<. 05). Nursing care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of. 5. Patients and nurses for nursing services,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atisfaction (t=10.450, p<.001) and importance (t=4.766, p<.001)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Looking at each area, the professional and technical areas of satisfaction (t=10.599, p<.001), education area (t=7.977, p<.001), the reliability area (t=9.069, p<.001) in the statistica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professional and technical areas of importance (t=3.201, p<.01), education area (t=4.574, p<.001), the reliability area (t= 5.298, p<.001) in th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6. The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patients and nurses for nursing care services was the satisfaction of the higher priority that is recognized as a highly. From the above results compared with inpatient nursing care nurse satisfaction and high importance, and appears to recognize the small hospital inpatient care services were provided for the relatively satisfactory can see that show. In addition, a higher nurs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pecialized technical areas was highest for patient satisfaction, patients perceived higher importance for the reliability area nurse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results of the nurses recognized their importance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to maximize the reliability of the area while nursing services to meet the needs of those on the hayeoteumeul can be seen. However, for nursing care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the lowest area of ​​satisfaction and nurses specializing in the education area. Technology area relative to the importance of education for the region are believed to be due to perceived low. Nurse case of professional technical area for the satisfaction with the lowest show that the these results based on small hospital nurse for the technical knowledge and skills required for the trai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systematic training be carried out, and nurses continuous self-development through a variety of subjects tailored to the needs of nursing services by providing education should strive to improve quality.

      • 국가중요시설 Anti-Drone 시스템 구축에 관한 실증연구 : 계층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곽해용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919

        국가중요시설은 공공기관, 공항ㆍ항만, 주요산업시설 등 적에 의하여 점령 또한 파괴되거나 기능이 마비될 경우 국가안보와 국민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게되는 시설을 말한다.(통합방위법 제2조) 국가중요시설 관리자는 경비ㆍ보안 및 방호책임을 지며, 통합방위사태에 대비하여 자체방호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통합방위법 제21조)1990년대 중반에 군사용 정찰 임무를 시작으로 널리 알려진 드론은 2000년 이후부터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경량화, 저가화로 민간 부문에서 영화와 방송 촬영, 재난과 재해, 구호 등 산업용과 레저용 등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에 따라 드론을 이용하여 사생활 침해는 물론 테러와 같은 위협 사례들이 전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19년 9월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 회사인 아람코의 세계 최대 석유생산시설 두 곳이 드론에 의한 폭탄 공격을 받았으며, 2018년 12월 영국 런던 개트윅 공항에서 미확인 드론 침입으로 공항을 폐쇄하는 사태 등이 발생하였다. 우리나라도 이미 추락한 북한 무인기가 여러 번 발견되었으며, 원전 등 국내 주요시설 주변에 불법 드론이 출몰한 사례가 다수 식별된 바 있다. 최근에 이러한 드론 테러를 무력화할 수 있는 안티드론(Anti-drone)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국내외로 확산되고 있다. 안티드론 시스템이 필요한 곳은 테러가 발생할 수 있는 주요 군부대, 국가중요시설, 국가 정상급 회담장, 주요행사장, 대규모 공연장이나 경기장 등일 것이다. 본 연구는 군사시설 못지않게 중요한 국가중요시설에 드론 테러가 발생하게 되면 이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에 관한 내용이다. 이제는 국가중요시설에 ‘만일’ 드론 테러가 발생하게 된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가 아니라 ‘언제’ 발생할 것인가가 주목되고 있는 현실이다. 국가중요시설의 안티드론 시스템 구축에 대한 필요성을 논할 단계를 지나 당연히 설치한다는 전제하에 어떤 기준으로 구축할 것인가가 중요한 때이다. 물론 지금도 국회 차원에서는 필요한 법률 분야를 계속 보완해나가고 있지만, 국가중요시설에서 실제로 어떤 기능의 요소와 장비를 구축한 안티드론 시스템이 적절하며 더 효율적인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청와대, 공항 등 일부 국가중요시설에만 시범적으로 안티드론 시스템을 운용하고 있는 시점에서 아직도 많은 국가중요시설의 관리자들은 어떻게 구축하는 것이 최선일까하는 문제로 고민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중요시설과 드론, 안티드론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과 함께 전문가 그룹을 대상으로 계층분석(AHP) 기법을 활용하여 안티드론 시스템 단계별로 식별된 세부 중요 영향 요소들의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가중요시설에 설치할 안티드론 시스템 대안을 선정하여 그 가중치도 살펴봄으로써적합한 선정 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연구 결과가 국가중요시설에 대해 방호책임을 지고 있는 관리자들과 관계자들에게 현실적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줄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 국가중요시설, 드론, 드론 테러, 안티드론 시스템, 탐지, 식별, 차단, 계층분석(AHP), 평가 결과

      •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 성과관리모델에 관한 연구

        김동인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919

        우리나라 공공부문의 기록물의 디지털화는 각종 정보화 사업이라는 형태로 다양하게 추진되었고 “행정정보 DB 구축사업”과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이라는 두 방향으로 발전하여 왔다. 중앙부처의 주관으로 시작된 “행정정보 DB 구축사업”은 이러한 공공부문 정보화사업의 한 축으로 공공기록물 디지털화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행정정보 DB 구축사업” 이후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 이 사업을 벤치마킹하여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이라는 이름으로 공공기록물 디지털화를 진행하고 있다. 행정자치부에서 대규모의 예산을 투입하고 있고 성과관리에도 별도의 예산을 책정하고 있는 “행정정보 DB 구축사업”과 달리 지방자치단체의 예산만으로 추진되고 있는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의 경우 예산, 인력, 제도의 부족으로 성과관리에 대한 인식과 노력이 미흡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지방자치단체에서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을 진행함에 있어 적은 비용과 인력을 투입을 통해 성과관리를 하고 그 결과를 차기 사업에 반영함으로써 다년간 진행되는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해 성과관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인식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논리적 구조를 갖추고 있다. 우선 공공기록물 디지털화의 성과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행정정보 DB 구축사업”과 “지식정보 DB 구축사업” 그리고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에 대해 비교분석을 하였다. 비교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였는데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행정정보 DB 구축사업의 성과평가 지표에서 누락된 성과요소가 존재한다. 둘째,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예산, 인력, 제도상의 문제로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에 대한 성과평가를 하고 있지 않았다. 셋째. 행정정보 DB 구축사업의 성과지표를 그대로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에 반영하기 어렵다. 행정정보 DB 구축사업은 기록물뿐만 아니라 다종다양의 행정정보를 디지털화했고 추진근거, 사용자, 추진목표 또한 달라서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에 그 성과지표를 공유하여 활용하기가 힘들다. 넷째,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 담당자들의 성과관리 역량이 제고될 수 있는 교육·훈련이 부재하다. 위의 시사점들을 통해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의 특성을 고려한 성과지표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를 위해 2005년 개발되어 현재까지 활용되고 성공적인 성과관리모델로 평가를 받고 있는 “행정정보 DB 구축사업”의 성과관리모델을 벤치마킹하였다. 또한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과 나라장터 홈페이지, 국내 공공 기록물 디지털화 관련 표준과 본인의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 PM 수행 경험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여 원본기록물의 보존 효과, 디지털화 기록의 품질, 관련 표준 및 지침 개선 효과, 경제사회적 효과의 평가영역에서 총 11개의 성과지표를 도출하였다. 이후 다각적인 검증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을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의 발주기관의 담당자인 A그룹 3명과 수행업체인 B그룹 3명으로 나누어 면담 및 SMART 검증을 진행하여 평가지표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10개의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각 평가지표별로 구체적인 측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도출한 성과지표를 기존에 수행된 중요기록물 DB 구축사업에 시범 적용하고 성과평가 상세보고서를 작성해봄으로써 실무적 적용 가능성과 타당성을 높였다. The digitalization of public records in Korea has been pursued in forms of various information projects and developed in two directions of the projects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and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The projec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started by the central governmental bodies, is one of both directions of public information projects and the starting point of public record digitalization. Since the project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many local governments have benchmarked the project and are now digitalizing their public records under the name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projects.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of the Republic of Korea puts large-scaled budgets for the projects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and even prepare additional budget for them. However,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projects done by just budget of local governments have insufficient perceptions and efforts due to lack of budget, human resources, and institutions. Therefore, in order that local governments proceed the projects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it is recognized that the performance management will be required to make it through less budget and human resources, and to reflect its results to next projects for good circulation of the projects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for years. Accordingl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ogical structure.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performance management of public record digitalization is emphasized. Then, in ord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he projects of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the "knowledge information DB development" and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them,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performance factors missing from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dex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projects. Second, each local government has not conducted the performance evaluation on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projects due to problems in budget, human resources, and institution. Third, it is difficult to reflect the performance index for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projects to those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projects are related to digitalize the records as well as various administrative information, and their basis for the procedures, users, and goals are different from those for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project, and so its performance index cannot be shared and utilized. Fourth, there are barely education and training to raise managers' ability to manage performance in the DB development projects. From these issues, it is recognized that the development of the performance index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project is required. For this, the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of the projects of the "administrative information DB development", which was development in 2005, and has been used and evaluated as a successful performance management model until now, was benchmarked. In addition, in order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projects, the laws about public record management, the Korea ON-line E-Procurement System website, standards related to the domestic public record digitalization, and the researcher's own experiences in PM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projects, data were collected, and total 11 performance indices were deduced in the evaluation areas of conversation effects of the original records, quality of digitalized records, the related standards and improvements according to the guideline, and socio-economical effects. Then, in order to verify the results in multilateral ways, the related experts were divided into A group consisting of 3 managers whose agency ordered the projects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and B group consisting of 3 persons whose organization conducted the projects, and then interviews and SMART verification were made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evaluation indices. Through it, the final 10 evaluation indices were selected and specific measuring methods by evaluation index were suggested. The deduced performance indices were applied to the existing projects of the important record DB development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and the detailed reports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was composed to raise possibility of its practical application and its validity.

      • 자본시장법상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에 관한 연구 : 운용실무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정찬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919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은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를 “상장법인의 업무 등과 관련된 미공개중요정보를 그 직무 등과 관련하여 알게 된 내부자, 준내부자 및 이들로부터 동 정보를 알게 된 1차 정보수령자가, 동 정보를 이용하여 특정증권 등의 매매, 그 밖의 거래를 하거나 타인으로 하여금 이를 이용하게 하는 행위”로 규정하고 있다. 동 규정은 ‘중요정보’, ‘업무 등 관련성’, ‘직무 등 관련성’, ‘이용하거나 이용하게 하는 행위’ 등 추상적인 개념들을 사용하고 있어 금융당국의 실무와 법원의 판결을 통해 그 구체적 의미가 정립될 필요성이 크다. 이 논문은 자본시장법상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 규정의 해석ㆍ적용에 관한 법원의 판례를 주제별로 분석하고, 필자가 불공정거래를 조사ㆍ조치하는 과정에서 고민해온 법리상 쟁점을 정리한 것이다. 현행 자본시장법은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의 규제대상 정보를 상장법인의 ‘업무 등에 관한 정보’로 한정하고, 예외적으로 일부 시장정보를 규제대상에 포함하고 있다. 또한, 미공개중요정보 이용행위의 규제대상자를 상장법인의 내부자, 준내부자 및 이들로부터 정보를 알게 된 1차 정보수령자로 한정하고, 내부자가 아니면서 정보를 생성한 자, 정보를 도용한 자, 2차 이후 정보수령자 등은 규제대상자에서 제외하고 있다. 이에 대해 현재의 규제범위가 너무 제한적이어서 규제공백이 발생하고 있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으며, 이에 따라 2011년 금융위원회는 시장정보 이용행위 및 2차 이후 정보수령자 등으로 규제범위를 확대하고, 자본시장 불공정거래에 대해서 과징금을 부과하는 내용의 자본시장법 개정을 추진한 바 있다. 2차 이후 정보수령자로 규제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에 대해 찬성한다.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하여 부당이득을 취득한다는 점에서 볼 때, 2차 이후 정보수령자를 규제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불합리하기 때문이다. 다만, 시장정보 이용행위로 규제범위를 확대하는 것은 보다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시장정보의 개념이 명확하지 않아 제재법규의 구체성을 요구하는 우리 법체계에 적합하지 않은데다, 실제 시장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시장정보 이용행위를 전면적으로 규제할 경우 자유로운 시장 기능을 위축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자본시장 불공정거래는 불특정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중대한 사기 범죄로서, 자본시장에 대한 불신을 심화시켜 자본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므로, 동 범죄를 조직적 사기범죄에 준하여 엄격하게 처벌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자본시장 불공정거래는 일반 형사범죄와 달리 증권 거래를 통한 부당이득의 목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환수함으로써 그 동기를 차단할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자본시장 불공정거래에 대해 과징금 제도를 도입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국내 모바일뱅킹 앱 유형별 핵심 개선 과제 도출 : 텍스트 마이닝과 IPA(중요도-만족도 분석)의 융합 방법론을 중심으로

        김소희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919

        본 연구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이용자 리뷰로부터 중요도-만족도 분석을 시행하여 국내 은행들의 모바일뱅킹 앱의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개선 우선순위를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중요도-만족도 기반 경쟁력 분석(IPCA)을 시행하여 각 은행별로 타 은행과 비교하여 가지는 모바일뱅킹 앱의 내외부적 강점과 약점을 다각도로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대상으로는 국내 시중은행(국민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지역은행(경남은행, 부산은행), 인터넷 은행(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의 총 9개 은행을 선정하였다. 분석에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수집한 리뷰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속성 도출 및 각 속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 측정에는 토픽모델링, 키워드 중요도(TF-IDF, Degree Centrality, TextRank)분석, 딥러닝 기반의 KoBERT Classifier를 이용한 감성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대부분의 은행의 모바일뱅킹 앱이 ‘유희성’과 ‘UX/UI’에 대해 이용자의 기대 수준을 만족하고 있었으나, 그 외의 속성에 대해서는 시급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전처리부터 주요 속성 도출, 중요도 및 만족도 측정까지 한글 텍스트 리뷰에 대해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프로세스를 제안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