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이클 애셔 작업 연구 : 확장된 장소특정성으로의 전환

        최연준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the artwork of Michael Asher based on ‘Site-specificity’. Site-specificity in his works is a key motif for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works. His exploration of Site-specificity began in the late 1960s and expanded its meaning with the development of his works. Hence,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Asher’s artwork in various aspects by reconsidering his works with Site-specificity and expanded Site-specificity. Asher paid attention to the site in order to find the essential aesthetic from the late 1960s. He tried to reveal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in the exhibition space through the viewer and to criticize the institution through institutional/discursive aspects. This exploration gradually expanded as his works of Site-specificity unfolded. Asher’s works sought to focus on the situation and context of the site instead of relying on a particular site or to form works of Site-Specificity through conne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art field. It is related to Site-specificity that has been revealed in art since the 1960s. Minimalism in the 1960s regarded a physical and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ite as part of the art field to criticize modern sculpture. And this concept of Site-Specificity gradually expands theoretically beyond institutional/discourse aspects. As a result, Site-Specificity is not defined as a particular understanding, but as a concept in which various understandings coexist. This point appears in comparison between Lucy Lippard’s ‘Place-specificity’ and Kwon Mi-won’s ‘Site-specificity’. Both theories discuss works related to the site but define it differently. The ‘place’ of Lippard is defined by focusing on the actual site, whereas the ‘site’ of Kwon is understoo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a piece and the site where the piece is located. In other words, Site-specificity in art is defined and us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reading it.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his Site-specificity,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Asher’s Site-Specificity. First, the development of Site-specificity is considered as ‘Exploration of physical aspect in the exhibition space’, ‘Exploration of situation aesthetics’, and ‘Connection with the outside of the art field’. These three types indicate that the site in the works has expanded beyond the physical aspect to more diverse aspects. In particular, the tradition of expanded Site-specificity shows the expansion of Asher’s method of works on the site. The expanded Site-specificity is divided into ‘Regional-based community Site-specificity’ and ‘Participation-based temporary Site-specificity’. The two types show different understandings of sites. ‘Regional-based community Site-specificity’ is a type of works formed through regional identity. This type is connected to Lippard’s ‘Place-specificity’ because it reads the site based on people living in the region and forms works from their shared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based temporary Site-specificity’ is a type of works fo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in the typical exhibition space. It is understood as Kwon’s ‘Site-specificity’ in that the works are made based on the relationship that occurred on the site. The two types of expanded Site-specificity reveal that the site in Asher’s works has been expanded to Site-specificity where various aspects coexist. This point is characteristic revealed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to expanded Site-specificity, which means that the site is understood and util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e or message. In other words, the ‘Transition to expanded Site-specificity’ that appears in Asher’s works means the expansion of his works that aspects of sits in various methods depending on needs and situations. Asher’s artwork, which lasted for more than 40 years from the late 1960s, has achieved works that encompass various aspects of Site-specificity. However, while understanding his works in terms of Institutional criticism, the possibility of various understandings such as Site-specificity has not been sufficiently discuss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interpretation of Asher’s artwork by reconsidering Site-specificity. 본 논문은 마이클 애셔(Michael Asher, 1943-2012) 작업에서 드러나는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에 주목하여, 애셔 작업이 갖는 다양한 이해의 가능성을 찾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애셔 작업에서 장소는 작업을 형성하는 주요한 요소로서 실제 장소와 기능적 장소를 모두 포괄한 의미로 이해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장소를 기반으로 애셔 작업을 재고함으로써, 그의 작업에서 드러나는 장소성의 전개와 확장에 대해 탐구한다. 1960년대 말부터 두각을 드러낸 애셔 작업은 본질적인 미를 탐구하고자 공간과 장소 자체에 주목하기 시작한다. 특히 애셔는 물리적 전시공간의 현상학적 측면과 미술적 장소의 제도적/담론적 측면의 장소를 중심으로 그는 장소 특정적 작업을 선보여 왔다. 이후 작업 전개에 따라 작업에서의 장소는 장소가 갖는 상황과 맥락으로만 이뤄지거나, 혹은 전시공간에서 벗어나 일상공간과의 연결하여 장소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은 애셔 작업에서의 장소성은 1960년대 이후 미술에서 등장한 장소성과 맞닿아있다. 1960년대 이후 미술에서 등장한 장소성은 미니멀리즘이 추구한 물리적, 현상학적 측면의 장소를 시작으로, 제도적/담론적 너머 이론적으로 전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술에서의 장소는 하나의 장소성으로 정립되는 대신 다양한 장소성이 동시다발적으로 공존하기에 이른다. 이와 같은 지점은 루시 리파드(Lucy R. Lippard)의 장소특정성(Place-Specificity)과 권미원(Miwon Kwon)의 장소특정성(Site-Specificity)의 비교에 나타난다. 두 장소특정성 모두 장소에 대해 논하고 있으나 장소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를 보인다. 리파드의 장소(place)는 실제 장소를 중심으로 장소를 논하는 반면, 권미원의 장소(site)는 작품과 작품이 놓이는 장소와의 관계를 통해 장소를 정립한다. 이처럼 미술에서의 장소는 이를 읽고자 한 주체에 따라 다른 의미와 맥락으로 정의된다. 본 논문은 이 같은 미술에서 등장한 장소성을 기반으로 애셔 작업에서 드러난 장소성의 전개와 확장을 살펴본다. 애셔 작업에서의 장소성은 ‘물리적 전시공간의 활용’, ‘상황적 미학의 활용’, ‘전시공간과 일상공간과의 연결’로 구분된다. 세 가지 유형의 작업은 애셔 작업에서의 장소가 물리적 측면 너머 다양한 측면을 포괄한 장소성으로 확장되었음을 보이는데, 이러한 확장된 장소성으로의 전환은 장소의 이해와 활용의 범위 또한 확장됨을 드러낸다. 확장된 장소 기반 작업에 대해서는 두 가지 작업 유형인, ‘지역 기반의 공동체적 장소성’과 ‘참여 기반의 일시적 장소성’으로 구분한다. ‘지역 기반의 공동체적 장소성’은 특정 지역의 지역주민을 통해 장소를 이해하는 작업 유형이며, ‘참여 기반의 일시적 장소성’은 전형적인 전시공간에 존재하는 참여자를 통해 장소를 구축하는 작업 유형이다. 이러한 두 가지 작업 유형은 장소에 대한 서로 다른 이해를 보임으로써, 애셔 작업에서의 확장된 장소성이 하나 이상의 다양한 장소성이 공존함을 드러낸다. 달리 말하면 애셔 작업은 작업의 기반이 되는 장소에 따라서, 한편으로는 리파드의 장소특정성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권미원의 장소특정성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지점은 애셔 작업이 확장된 장소성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특징으로 장소에 따라, 혹은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에 따라 장소를 다르게 이해하고 활용함을 보인다. 따라서 애셔 작업에서 나타나는 확장된 장소특정성으로의 전환은 필요와 상황에 따라 장소를 다양한 측면으로 바라보는 애셔 작업의 확장을 말하는 것이다. 1960년대 말부터 이어진 애셔 작업은 현상학적, 경험적 측면과 아울러 다양한 측면의 장소성을 포괄한 작업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애셔 작업을 제도비판 측면으로 이해하면서 장소성과 같은 다양한 이해의 가능성이 충분히 논의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애셔 작업을 장소특정성을 중심으로 재고하여, 그의 작업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이해의 가능성을 찾고자 함에 목적을 둔다.

      • Rdbms에서 사용자 입력을 최소로 하는 시각 질의 환경에 관한 연구

        최연준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are many application programs using databases, but we cannot represent our demand properly for composition of complex queries. The "Visual Query System" (VQS) is the query environment for not only computer professionals but also novices that use databases. VQSs are systems for querying databases that use a visual representation to depict the domain of interest and express related requests. Consideration for these systems starts from definition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Most of all, we can represent mch information using graphical feedback between human and computers. However traditional query languages that must be known syntax to use them are not adequate to represent visual queries. Recently, many researchers are now concerning for direct manipulation interface (DMI) for data. Users of databases must write queries through unified interface, but querying ways of VQS are various according to data type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visual query environment for relational DBMS and I propose a system that reduces user input cost. Then I describe the design of the system, and evaluate the efficiency of system.

      • 디지털 주파수 판별기 성능 개선을 위한 LUT 메모리 보정 알고리즘

        최연준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짧은 펄스 신호 탐지와 빠른 탐색이 가능한 Digital Frequency Discriminator(DFD)의 주파수 정확도를 향상키시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전자전 환경에서는 6GHz ∼ 18GHz에 이르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빠르게 주파수를 분석하고 판별하는 것은 아군의 보호를 위한 필요조건이다. 순시주파수측정(Instantaneous Frequency Measurement, IFM)에서 DFD는 주파수를 신속하게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DFD는 넓은 대역에서 신속하게 주파수를 판별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주파수 정확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는 LUT(Look-up Table) 메모리 보정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 과정은 총 4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단계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판별주파수 및 오차주파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두 번째 단계는 판별주파수 오차를 구하는 것이고, 세 번째 단계는 선형보간법을 사용하는 것이다. 네 번째 단계는 주파수 메모리(Frequency Memory)와 주파수 보정 메모리(Frequency Compensation Memory)를 합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DFD의 낮은 주파수 정확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UT 메모리 보정알고리즘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검증하기 위해 개발된 DFD 장치에 알고리즘을 두 가지 방법으로 적용하였다. 첫 번째 방법에서, 알고리즘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한 결과, 주파수 정확도(Root Mean Square, RMS)는 2.0MHz에서 0.63MHz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방법에서, 두 번째 방법에서, 샘플주파수 개수를 1024개, 512개, 256개로 감소키면서 I, Q 데이터를 각각 수집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그것들을 보정을 하고 장치에 장입했다. 마지막으로, 샘플주파수 개수와 주파수 정확도 간의 영향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주파수 정확도(RMS)는 각 0.75MHz, 0.94MHz, 1.87MHz 순으로 낮아지는 것을 확인되었다. 즉, 샘플주파수를 512개 이상으로 설정할 때 DFD의 성능 개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DFD의 낮은 주파수 정확도의 한계가 많은 부분 개선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전자전 환경에서 응용할 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roposes an algorithm to enhance the frequency accuracy of a Digital Frequency Discriminator (DFD) capable of detecting short pulse signals and rapidly tracking them. In electronic warfare environments, the rapid analysis and discrimination of frequencies across a wide bandwidth, from 6GHz to 18GHz,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the protection of friendly forces. In Instantaneous Frequency Measurement (IFM), the DFD possesses the advantage of rapidly discriminating frequencies. The Digital Frequency Discriminator possesses the advantage of quickly discerning frequencies over a wide bandwidth, yet it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frequency accuracy. To overcome this, a Look-up Table (LUT) Memory Compensation Algorithm is presented. This process is comprised of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nvolves calculating the discriminated frequency and error frequency through simulation. The second stage is determining the error in the discriminated frequency, and the third stage involves the use of linear interpolation. The fourth stage is the integration of the Frequency Memory with the Frequency Compensation Memory. In this research, a LUT Memory Compensation Algorithm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poor frequency accuracy issue in DFDs, and its effectiveness was subsequently validated. For validation, the algorithm was applied in two different methods to the developed DFD device. In the first method, a compariso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algorithm revealed an improvement in frequency accuracy (Root Mean Square, RMS) from 2.0MHz to 0.63MHz. In the second method, the number of sample frequencies was reduced to 1024, 512, and 256, respectively, and I and Q data were collected for each. Each set of data was then corrected and downloaded into the device. Finally, the impact of the number of sample frequencies on frequency accuracy was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accuracy (RMS) decreased in the order of 0.75MHz, 0.94MHz, 1.87MHz.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setting the sample frequency to 512 or more is significant for improving DFD performance. This study anticipates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low frequency accuracy issue of DFDs, and such enhancements are expected to hold substantial importance in future applications within electronic warfare environments.

      • 초등수업용 인공지능 SW개발과 학습효과

        최연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교육계에서는 이미 인공지능과 관련하여 질 좋은 프로그램들이 사용되고 있다. 영어 말하기 음성인식 어플리케이션도 있고, 학생의 수준에 맞는 수학 문제를 찾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프트웨어들은 훌륭하지만, 학생들이 지속해서 이용하기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파악하고 학교의 실제 수업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을 연구하고 제작하여 그 대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대중적인 인공지능 어플리케이션은 복잡한 회원가입 및 일부 유료로 인해 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이 사용하기에 불편함이 있다. 일반적인 인공지능 어플리케이션은 회원가입 및 큰 용량의 다운로드 등을 전제로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일부 기능이 유료이거나, 기간적 제한을 둬서 장기간 사용하기에 제약이 따르므로 수업에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둘째, 시중에 있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다양한 교과목에 접목하기가 매우 난해하다. 과학과 같은 경우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많이 있지만 수학이나 사회와 같은 교과목에서는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인공지능의 원리를 나타내는 구글슬라이드나, 티처블머신 확장프로그램을 고안하여, 다양한 교과목의 수업에 적용해보았다. 셋째 인공지능의 원리를 초등수준에서 교육시키는 프로그램들이 많지 않다. 인공지능의 원리를 살펴보면, 가중치와 편향 그리고 퍼셉트론과 같은 개념이 나온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면, 활성화 함수도 알아야 하고, 가중치를 맞춰주는 과정에서 미분도 빼놓을 수 없는 개념이다. 하지만 초등 수준에서 이런 수학적인 개념을 교육시키기가 불가능하므로, 직관적인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인공지능을 알려주기 위해 구글슬라이드와 같은 프로그램을 고안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기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개선한 인공지능 프로그램들을 연구하고 제안하였다. 그리고 그 효과를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생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프로그램을 사용했을 때 그 효과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학생들은 시중의 타 프로그램에 비해 비교적 손쉽게 인공지능 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었다. 둘째,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폭넓게 타 교과와 연계가 가능한 수업을 할 수 있었다. 셋째, 일부의 학생들에게 인공지능의 원리를 초등 수준에서 직관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었다.

      • 사제 양성 중에 이루어지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한 고찰 : 한국의 대신학교 생활 내규집과 학장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최연준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제 양성을 할 때 인간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제 양성의 전 과정은 마치 밑 빠진 독과 같은 것이 되어버릴 것입니다.” (현대의 사제양성, 43항) 사제는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여 예수 그리스도를 닮아 살아가려는 사람이다.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께서 그러하셨듯이 사람들 사이에서 특별히 봉사하는 가운데, 그들이 하느님을 찾고 만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사람이다. 즉, 자신의 삶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께서 보여주셨던 삶을 전해주는 이가 사제인 것이다. 그런데 사제로서의 모습은 어느 순간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양성 과정에서부터 준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좋은 사제가 되고자 한다면 사제직을 준비하는 신학생 때부터 잘 준비해야 한다. 신학교에서 많은 것들을 배우지만, 그 중에서도 올바른 인성을 위한 배움의 과정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사제직의 기본은 올바른 인성에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제 양성 중에 신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우선, 제1장에서는 사제 양성 과정의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구체적으로 사제 양성의 역사와 영역을 살펴보고, 그 과정의 중요성을 되짚어본다. 제2장에서는 신학생 인성 교육에 대해 다루었다. 인성 교육의 일반적인 의미와 특별히 신학생들에게 지니는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 교회 문헌에서 밝힌 신학생 인성 교육의 내용을 확인한다. 마지막으로, 제3장에서는 현재 한국 대신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실재를 조사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다. 먼저 현재 한국의 대신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생활 내규집들을 바탕으로 그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두 번째로 한국의 각 대신학교 학장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조사 연구를 통해 현재 한국 대신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신학생 인성 교육의 현주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현재 한국의 대신학교에서 신학생 인성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고, 인성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완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연구자는 신학생 인성 교육을 위해 각 신학교 생활 내규집의 개선, 봉사 활동의 활성화, 사제 양성과 관련된 교회 문헌들의 필독, 양성자들이 모여 의견을 나누는 장의 마련, 피양성자인 신학생들의 적극적인 의견 수렴을 제안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신학생들이 예수 그리스도를 닮은 좋은 사제로서 살아가기 위해 양성 과정 중 인성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며, 더욱 효과적으로 어떻게 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whole work of priestly formation would be deprived of its necessary foundation if it lacked a suitable human formation." (PASTORES DABO VOBIS, 43) The priests, who have answered to God’s calling always try to take after Jesus Christ. As Jesus did, they willingly sacrifice themselves for others and guide people to the faith in God. In other words, priests’ lives, themselves show and prove Jesus’ life of love. However, a figure of good priest cannot be made in a short term at some points. Rather, it requires much effort to have good character as a priest. That means training period is mandatory for shaping ideal personality before becoming a priest. And the period of seminarian is starting point for that. The fundamental character of priest is upright personality. It is for sure that many subjects and professional knowledge have to be learned. However, without maturity of personality, these knowledge cannot exert its hidden power as a wisdom. 1st chapter implies the basic information of priestly formation. It describes the importance of the period before becoming a priest. As mentioning the realm of training priest and history, it helps to understand general process for becoming a priest. 2nd chapter tries to understand personality education; w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and meaning of that education based on the teaching of the Church. Many documents from Magisterium demonstrates how to train a priest to have upright character as a priest. Lastly, 3rd chapter deals with the reality of the major seminaries in Korea. The present condition in personality education and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revealed. Two main methods of study were used here. One is analyzing the disciplines of the major seminaries in Korea. Second way is conducting survey targeting the dean of major seminaries in Korea. Each answer of survey shows which part should be improved in an actuality of personality education of Korean major seminaries.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is confirmed that the way how the personality education is made in a school for seminarians and the necessity of finding other ways to improve it. First of all, it is suggested that the current disciplines should be modified. Second, volunteering for seminarian should be stimulated. Other solutions proposed are as follow; Required reading of catholic literature, especially about personality education, making a forum of conversation, and having a chance to collect and share seminarians’ opin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ed to contemplate meanings of personality education and how to lead seminarian to have upright character as a desirable priest.

      • 부호율 호환 극부호 설계 기법

        최연준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극부호의 실용적인 이용을 위해 필수적인 부호율 호환성 지원을 위한 극부호 설계 기법을 제안한다. 극부호는 채널 양극화를 통해 얻어지는 분리 채널 중 채널 용량이 큰 분리 채널을 이용해 데이터를 전송한다. 기존 극부호의 설계 기법은 분리 채널의 신뢰도(reliability) 측정을 위해 밀도 진화(density evolution)를 이용하며, 평가된 신뢰도를 바탕으로 분리 채널의 인덱스를 채널 용량 순으로 나열해 인덱스 시퀀스를 설계한다. 하지만 부호율에 따라 밀도 진화를 통해 얻은 극부호의 분리 채널 인덱스 시퀀스가 달라지므로, 밀도 진화를 이용해 극부호를 설계할 경우 부호율의 변화에 따라 시퀀스 설계를 다시 수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밀도 진화를 이용한 극부호 설계의 실용적인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부호율에서 호환성을 가지는 극부호를 설계하기 위해 양극화 특성을 이용한 설계 기법이 5G 통신 3GPP 표준회의에 제안되었다. 본 설계 기법은 극부호의 양극화 현상을 간단한 다항식으로 반영하여 각 분리 채널의 양극화 가중치(polarization weight: PW) 값을 계산하며, PW 값을 이용해 각 분리 채널 간의 우열 관계를 나타내는 인덱스 시퀀스를 결정하는 기법이다. 양극화 가중치를 이용한 설계 기법은 부호율에 상관없이 단일 인덱스 시퀀스를 설계하여 극부호를 다양한 부호율에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각 부호율에서 최적의 설계가 불가하므로 각 부호율에서 최적으로 설계된 부호 대비 성능 열화가 발생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부호율에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인덱스 시퀀스를 고려해 다양한 부호율에서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단일 인덱스 시퀀스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우선 각 분리 채널의 다양한 부호율에서의 성능 평가를 위해 밀도 진화를 이용해 각 부호율에서 최적의 시퀀스를 설계한다. 각 부호율에서 DE를 이용해 최적으로 시퀀스를 바탕으로 각 분리 채널의 모든 부호율에서의 성능을 고려해 낮은 부호율부터 최종 단일 인덱스 시퀀스를 설계해간다. 우리는 제안 기법에서 각 분리 채널의 다양한 부호율에서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페널티(penalty)라는 개념을 제안한다. 페널티는 각 분리 채널이 다양한 부호율에서 야기하는 비트 오율(bit error rate) 성능 손실을 의미한다. 제안 설계 기법은 페널티 값이 가장 낮은 분리 채널의 인덱스를 최종 단일 인덱스 시퀀스에 추가하며 시퀀스 설계가 진행된다. 각 부호율에서의 성능을 모두 반영하여 단일 인덱스 시퀀스를 설계하므로 각 부호율에서 최적에 가까운 성능을 가지는 단일 인덱스 시퀀스가 설계된다. 모의실험을 통해 본 논문의 제안 기법을 이용해 설계된 극부호와 양극화 가중치를 이용해 설계된 극부호의 블록 오율(block error rate) 성능을 비교한다.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해 다양한 부호율, 부호 길이에서 기존 양극화 가중치를 이용한 설계 기법 대비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 안심마을 시범사업 거주민들의 CPTED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수원시 송죽동을 대상으로

        최연준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사회는 급격한 도시화로 빠른 경제성장을 이루어냈지만 이에 따른 다양한 문제가 등장하였으며, 이 중 범죄와 범죄두려움은 가장 중요한 도시 문제 중 하나가 되었다. 이로 인해 시민들은 정부에 대하여 보다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줄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였고, 정부에서는 2013년 전국 10개 읍‧면‧동에 CPTED 기법을 적용한 안심마을을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안심마을 시범사업 거주민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CPTED 인식과 범죄두려움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거주민들의 CPTED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안심마을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경기도 수원시 송죽동 안심마을 거주민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활용하여 표본 추출을 실시하였고,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44부를 제외한 총 20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문항의 Cronbach’s α 계수가 0.7 이상으로 신뢰도가 있다고 판단할 수 있었으며, 요인분석 결과 각 요인별 요인적재량이 0.40 이상으로 본 연구에 적합하다 판단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요인분석(Factor Analysis) 및 신뢰도분석(Reliability Test), t검증(t-test), 일원분산분석(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안심마을 거주민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CPTED 인식은 차이가 있다. CPTED 인식의 하위요인인 자연적 감시는 남자(성별), 10대 이하(연령), 미혼(혼인여부), 대학원(석사이상)졸(최종학력), 5천만원 이상(연평균가구소득), 10년 초과~15년 이하(거주기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자연적 접근통제는 남자(성별), 10대 이하(연령), 미혼(혼인여부), 대학원(석사이상)졸(최종학력), 4천만원 이상~5천만원 미만(연평균가구소득), 10년 초과~15년 이하(거주기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영역성 확보는 남자(성별), 20대(연령), 미혼(혼인여부), 전문대졸(최종학력), 5천만원 이상(연평균가구소득), 10년 초과~15년 이하(거주기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활동성 증대는 남자(성별), 10대 이하(연령), 미혼(혼인여부), 대학원(석사이상)졸(최종학력), 5천만원 이상(연평균가구소득), 10년 초과~15년 이하(거주기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지 관리는 남자(성별), 20대(연령), 미혼(혼인여부), 대학원(석사이상)졸(최종학력), 5천만원 이상(연평균가구소득), 15년 초과(거주기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안심마을 거주민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범죄두려움은 차이가 있다. 범죄두려움의 하위요인인 일반적 두려움은 여자(성별), 40대(연령), 기혼(혼인여부), 고졸이하(최종학력), 2천만원 미만(연평균가구소득), 1년 이하(거주기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구체적 두려움은 여자(성별), 40대(연령), 기혼(혼인여부), 대졸(최종학력), 2천만원 미만(연평균가구소득), 5년 초과~10년 이하(거주기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안심마을 거주민들의 CPTED 인식은 범죄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PTED 인식의 하위요인 중 자연적 감시와 영역성 확보는 일반적 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PTED 인식의 하위요인 중 자연적 접근통제는 구체적 두려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CPTED 인식이 높아지면 범죄 두려움은 낮아지기 때문에 안전한 삶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욕구를 만족시키고, 불안감과 두려움을 해소시키기 위해 실시한 안심마을 시범사업은 안심마을 거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범죄 두려움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 두려움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 감시(조명시설, 가로시설물 개선 등) 및 영역성 확보(울타리, 표지판 설치 등)와 구체적 두려움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적 접근통제(출입차단장치, 일방통행로 설치 등)를 중심으로 안전인프라 구축 사업, 주민안전 네트워크 구축 사업, 안전 네트워크 활동 지원 사업을 실시한다면 범죄 두려움 감소에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Rapid urbanization in our society has meant that rapid economic development was reached with a variety of problems having appeared along the way. Among them are crime and a fear of crime, which have become one of the biggest problems of urban societies. As such, citizens continuously requested that the government build a safer environment. In 2013, the government established safe villages using the CPTED techniques in 10 eub, myun, and dong around South Korea. This study is a comparative study and an analysis that looks at the differences in the fear of crime and the awareness of the CPTED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the Safe Village Pilot Project. In this study,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 village was to be verif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investigating how the residents' CPTED awareness effects the fear of crime felt by the residents of the Safe Village Pilot Projec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residents of the Safe Village Pilot Project located in Songjuk-dong, Suwon from May until July 2015.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to extract samples. A total of 250 questionnaires were disseminated. 44 questionnaires that were not answered conscientiously were not included in the analysis. A total of 20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analyzing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the question'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above 0.7, which indicates that there was reliability. After factor analysis, each factor's factor loading was 0.40, which showed that they were well-suited for this study.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and the below results were deducted.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PTED awareness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the Safe Village. Natural surveillance, which is a subfactor of CPTED awareness, is shown the highest in male (gender), less than teens (age), single (marital status), graduate (post masters) (educational level), more than 50,000,000 KRW (annual household income), and 10 years - 15 years (residence period). Natural access control is shown the highest in male (gender), less than teens (age), single (marital status), graduate (post masters) (educational level), 40,000,000 - 50,000,000 KRW (annual household income), and 10 years - 15 years (residence period). Territorial security is shown the highest in male (gender), twenties (age), single (marital status), community college (educational level), above 50,000,000 KRW (annual household income), and 10 years - 15 years (residence period). Increase in activity is shown the highest in male (gender), less than teens (age), single (marital status), graduate (post masters) (educational level), more than 50,000,000 KRW (annual household income) more than 15 years (residence period).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fear of crime depending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of the Safe Village. General fear, which is a sub factor of fear of crime, is shown the highest in female (gender), forties (age), married (marital status), middle or lower school graduate (educational level), less than 20,000,000 KRW (annual household income), and less than one year (residence period). Specific fear is shown the highest in women (gender), forties (age), married (marital status), college/university (educational level), 20,000,000 KRW (annual household income), and 5 years - 10 years (residence years). Third, the awareness of CPTED does have an effect on fear of crime. Out of the sub factors of CPTED awareness, natural surveillance and territorial security have a negative (-) effect on general fear, and natural access control displayed a negative (-) effect on specific fea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s that as the awareness of CPTED increases, fear of crime decreases. In this case, the citizens' desire for safety is satisfied. And the Safe Village Pilot Project, which was implemented to reduce anxiety and fear, was in fact increasing the quality of life, reducing anxiety and fear the residents of the Safe Village Pilot Project. As such, from a vantage point of policy,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build the safety infrastructure, residents' safety network and businesses of safety network based on natural surveillance (lighting facilities, improvement of street furniture, etc.,.) and territorial security (fencing, installment of signs, etc.,.) which has a decreasing effect on general fear, and natural access control (entrance departure shutdown apparatus, installation of one-way streets, etc.,.), which has a decreasing effect on specific fear.

      • Fe-Si-Cr 합금의 입자 크기 및 CIP 첨가에 따른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자성 특성과 코어 손실 변화

        최연준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파워 인덕터는 전자기기의 배터리로부터 오는 전력을 반도체에 안정적으로 공급하는데 필요한 핵심 부품이다. 파워 인덕터의 고성능화를 위해서는 높은 투자율와 인덕턴스, 그리고 고주파수 대역에서의 낮은 코어 손실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파워 인덕터 재료로 Fe-Si-Cr 합금을 사용하였고, 이를 입자 크기별, 그리고 CIP 첨가 비율에 따라 나누어 특성을 평가하였다. 입자 크기는 총 다섯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각 25 μm 이하, 25-38 μm, 38-53 μm, 53-63 μm, 그리고 63 μm 이상의 파우더 크기로 분급하였다. 각 파우더의 고유 특성 파악을 위해 PSA, SEM, XRD, VSM을 측정 하였으며, 투자율 측정을 위해서는 임피던스 분석기, 코어 손실 측정을 위해서는 B-H 측정기를 사용하였다. 입자 크기는 작아질수록 투자율이 높아지고, 코어 손실은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으며, 25 μm 파우더의 투자율과 코어 손실은 1 MHz에서 각각 20.7 H/m, 187.26 kW/m3을 보였다. 위 파우더를 기반으로 CIP 파우더 첨가 비율에 따른 코어 특성도 파악하였다. CIP 파우더는 10-40 wt% 첨가 하였으며, 그에 따른 코어의 밀도 및 충진율 변화를 같이 파악하였다. CIP 파우더는 30 wt% 첨가 되었을 때 가장 높은 밀도 및 충진율 값을 보였으며, 투자율과 코어 손실 특성도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CIP 30 wt% 첨가 코어의 투자율은 1 MHz에서 25.2 H/m로 나타났으며, 코어 손실은 3 MHz에서 112.38 kW/m3의 특성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Fe-Si-Cr의 입자 크기에 따라 파워 인덕터 특성을 조절 할 수 있고, 코어의 충진율 변화를 통해서 투자율 및 코어 손실 특성을 향상 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ower-inductor is a key component necessary to stably supply power from a battery of an electronic device to a semiconductor. High permeability, inductance, and low core-loss in the high frequency band are required for high performance of the power inductor. In this research, a Fe-Si-Cr alloy was used as a power-inductor material, and the characteristics were evaluated by dividing it by particle size and by CIP addition ratio. The particle sizes were divided into five groups, and were divided into powder sizes of 25 μm or less, 25-38 μm, 38-53 μm, 53-63 μm, and 63 μm or more, respectively. PSA, SEM, XRD, and VSM were measured to identify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each powder, and an impedance analyzer was used to measure permeability, and a B-H analyzer was used to measure core-loss. As the particle size was decreased, the permeability increased and the core-loss tended to be decreased, and the permeability and core loss of under 25 μm powder were 20.7 H/m and 187.26 kW/m3, respectively, at 1 MHz. Based on the above powder, the cor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atio of CIP powder added were also investigated. 10-40 wt% of CIP powder was added, and changes in core density and packing ratio were identified accordingly. When adding 30 wt%, the CIP powder showed the highest density and packing fraction, and the permeability and core-loss characteristics were the best. The permeability of the CIP 30 wt% added core was 25.2 H/m at 1 MHz, and the core loss was 112.38 kW/m3 at 3 MHz.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ower-inductor characteristic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of Fe-Si-Cr, and the permeability and core-loss characteristics can be improved through the change in the packing fraction of the core.

      •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연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Rapid developments of today’s technology have benefitted people’s lives in various ways, but such advancements have also resulted in an increasing vulnerability in the nation’s security sector. Particularly, the emergence of diverse forms of crime and deviance has affected people’s fear or crime and concern about safety. In addition, with globalization and proliferation of weapons of mass destruction, people have become increasingly vulnerable to various threats, including those coming from international crime organizations, armed terrorist groups, and North Korea.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nation's critical facilities which are the hub of order maintenance would be an ideal target for terrorist groups since a single attack could paralyze the entire country. Despite the continued efforts to improve the overall security system, security-related incidents have occurred at South Korea’s different ports of entry in recent years (e.g. Busan Port and Gimhae International Airport in 2015 a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in 2016). Moreover, a trespassing incident occurred at a government building in Seoul in 2016. In order to prevent future threats to critical facilities, the standards of physical and information security must be enhanced through a higher level of access control, facility prote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n important factor in achieving this goal is raising security officers’ awareness about security policies and promoting their willing observance of existing rules and laws. Although there is a consensus in regard to the need to improve the physical security activities at the nation’s critical facilities and special security guards’ compliance with policies as well as performance,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inform practice. In order to fill this gap, this research investigates security guards’ perceptions of the physical security at their workplaces, intention to abide by security policies, and security performance. Furthermore, the effect of the view on physical security at the nation’s critical facilities and the intention to observe security policies on security performance are examined. Based on research findings, implications for security policies and practitioners are discussed. Special security guards working at airports, ports and power plants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population. A total of 45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individuals selected by employing a random sampling method from February 23 to March 30, 2018. Of the 365 returned questionnaires, 318 were included for analysis. Data analyses (univariate, b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4.0.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gard to the perception of physical security levels at the critical facilities by participants’ gender, highest level of education, or work location.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married security guards viewed the access control and the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at their facilities more favorably compared to the single participants. Additionally, the respondents in their 30s, 40s, and 50s evaluated the access control and the disaster prevention at work more positively than those in their 20s.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section chiefs evaluated access control and facility protection more highly compared to their subordinate and senior security guards, respectively. With regard to annual income, the respondents earning from 30 to 35 million Won, 35 to 40 million Won, and 40 million Won or more perceived the access control at work more favorably than those with an annual income of less than 25 million Won. Moreover, the security guards with three or more years of experience perceived the access control at their facilities more favorably than those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As for the perception toward performance, the security guards employed at plants rated their response performance higher than the port guards. The participants with a section chief rank rated their response performance higher than those with a regular employee rank. In addition, the security guards with an annual income of 35 to 40 million Won or less were more likely to evaluate their response performance more favorably than the guards with an annual income of less than 25 million Won. Lastly, the respondents with 3 to 5 and 5 to 10 years of experience assessed prevention and response performance more favorably,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the participants with less than one year of experience. Second, the view on the physical security level at the critical facilities were shown to affect the perception of security performance. The elements of physical security such as access control, facility protection, and disaster preven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revention and response performance. Third, the willingness of the security guards to comply with security measures affected the opinion on security performance. To illustrate, the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perceptions of prevention and response performance. Fourth, the level of physical security at the critical facilities influenced the guards’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The perceptions of access control and facility protection, components of physical security,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author suggests that a higher level of physical security at a critical facility can increase security performance of security guards and their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policies. Increased willingness to comply with security measures influences security guards’ performance positively. This research identifies factors that could impact security performance at the nation’s critical facilities. Specifically, access control (round-the-clock entrance and exit control, installation of electronic checkpoints, application of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s, etc.), facility protection (regular patrols, Closed-circuit television,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ooperation with the military and the police etc.), disaster prevention (warning system, emergency response personnel, establishment of emergency situation response plans, etc.), and compliance with security policies should be the foci of systematic security measures. 현대사회는 과학기술의 급격한 발전과 변화로 인해 국민들의 삶은 편리해졌지만 보안의 취약성도 증가하여 범죄 및 테러 발생의 형태가 다변화되면서 국민들의 위험과 치안 및 테러에 대한 불안감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제화 및 개방화와 대량살상무기 확산으로 인한 다양한 국제범죄조직과 무장테러집단 증가, 북한과 휴전 중인 안보상황 등으로 인해 그 어느 때보다 우리 국민들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테러의 위협과 공포에 떨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가의 질서유지에 큰 비중을 담당하고 있는 국가중요시설은 한 번의 테러 공격으로 국가 전체를 마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테러집단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좋은 테러 대상일 것이다. 따라서 국가중요시설은 다양한 노력을 통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여 보안을 강화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5년 7월 부산항 밀항사건, 2015년 11월 김해공항 밀입국사건, 2016년 1월 인천공항 밀입국사건, 2016년 3월 정부서울청사 침입사건 등 지속적으로 보안 관련 사건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국가중요시설의 안전성 제고와 보안 목표 달성을 위해서 접근통제, 시설방호, 재해방지 활동을 통해 물리보안의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과 함께 시설이 보유한 자산과 정보를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규정된 보안정책을 특수경비원들이 자발적으로 준수하도록 하는 보안정책 준수의지를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정책 준수의지, 보안성과에 관한 연구는 아직까지 매우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국가중요시설 특수경비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물리보안 수준, 보안정책 준수의지, 보안성과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과 특수경비원의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다양한 위협으로부터 국가중요시설을 보호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8년 2월 23일부터 2018년 3월 30일까지 국가중요시설 중 공항, 항만, 발전소에서 근무하는 특수경비원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임의표집법을 활용하여 표본추출을 하였다.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 중 365부를 회수하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 47부를 제외한 총 318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Test), t검증(t-test), F-검증(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가설들을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국가중요시설 물리보안 수준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결혼여부, 연령, 직급, 연평균소득, 근무년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최종학력, 근무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기혼 특수경비원들이 미혼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접근통제와 재해방지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라서는 30대, 40대, 50대 특수경비원들이 20대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접근통제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급에 따라서는 과장급 특수경비원들이 사원급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접근통제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장급 특수경비원들이 차부장급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시설방호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평균소득에 따라서는 3000~3500만원 미만, 3500~4000만원 미만, 4000만원 이상의 특수경비원들이 2500만원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접근통제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년수에 따라서는 3년~5년 미만, 5년~10년 미만, 10년 이상의 특수경비원들이 1년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접근통제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국가중요시설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정책 준수의지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결혼여부, 연령, 최종학력, 근무지, 직급, 연평균소득, 근무년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국가중요시설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지, 직급, 연평균소득, 근무년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결혼여부, 연령, 최종학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지에 따라서는 발전소 특수경비원들이 항만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대응성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급에 따라서는 차부장급 특수경비원들이 사원급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대응성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평균소득에 따라서는 3500~4000만원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이 2500만원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대응성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근무년수에 따라서는 3년~5년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이 1년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예방성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5년~10년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이 1년 미만의 특수경비원들에 비해 대응성과를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은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보안 수준의 하위요인인 접근통제, 시설방호, 재해방지는 예방성과와 대응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중요시설에서 근무하는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정책 준수의지는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안정책 준수의지는 예방성과와 대응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은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보안 수준의 하위요인인 접근통제, 시설방호는 보안정책 준수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국가중요시설의 물리보안 수준이 높아지면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성과와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높아지며, 특수경비원들의 보안정책 준수의지가 높아지면 보안성과가 높아져 국가중요시설을 다양한 범죄 및 테러로부터 보호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가중요시설의 보안 목표 달성을 위한 보안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할 수 있다. 보안성과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접근통제(구역별 출입 인가절차 및 통제인력 상주, 전자 검색대 설치 및 감시인력 배치, RFID 시스템 적용 등), 시설방호(정기적인 순찰, CCTV 등 시스템 보안 설비 운용, 방벽 및 조명 등 침입방지 물리적 환경 조성, 군·경 부대와의 협조 등), 재해방지(재해 감지 및 경보시스템 구축, 긴급 대응 인력 확보, 긴급피난구역 및 대피 경로 확보, 유관기관과의 긴급연락망 구축 등), 보안정책 준수의지를 중심으로 체계적인 보안시스템을 구축한다면 각종 위협으로부터 국가중요시설을 보호하는데 더욱 큰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