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민용항공법에서 항공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연구

        허준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51

        현재 전 세계는 다방면에서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시대이다. 이러한 시대에서 세계무대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완벽한 법률체제의 마련이 중요하다. 70여년간 국제항공운송을 지배해온 바르샤바체제를 대체한 새로운 통합 조약인 몬트리올협약의 등장이 국제항공운송에 있어서 큰 전환점이라 볼 수 있다. 중국도 1996년에 “중국민용항공법”을 제정 발효하였다. 중국민용항공법은 공법체제와 사법체제가 혼재되어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1996년에 발효된 중국민용항공법은 주로 바르샤뱌조약 및 몬트리올협약을 참조하거나 그대로 인용하여 제정하였다. 민용항공법에서 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규정은 바르샤바협약 내용과 거의 일치하는데 운송인의 배상책임한도에 대해서는 국내 및 국제 운송에 차별적인 제도를 택하고 있다. 즉 2006년에 반포한 “국내항공운송인의 배상책임 제한규정”은 국내운송에 적용되고 국제운송에서는 국제규칙을 자국만의 성격으로 변환하여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표준과 큰 차이가 있기 때문에 많은 문제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중국민용항공법은 1996년 발효 이후 개정이 한번도 없었기 때문에 기타 국내법과 충돌도 나타나고 있다. 더욱이 실제업무상에서 국제협약과 일정한 격차가 존재함으로 항공운송에 있어서 어려운 점을 많이 겪고 있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현재 항공화물운송량 및 여객운송량에서 세계10위권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제운송규칙에 가입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 문제이다. 본 논문은 국제항공규칙과 중국민용항공법의 차이를 비교하여 중국민용항공법의 문제점 파악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Nowadays, the world has entered into globalization era which seems the competitions have become more competitive in every fields. So in order not to lag behind the other countries on the world stage in this era, it is very important to establish perfect legal system. In the past 70 years, Warsaw system which once in the domination position for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has replaced by a new and comprehensive treaty, Montreal Convention, the enacting of which can be seen as a big turning point for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Under this circumstance, "China Civil Aviation Law" was promulgated and took into effect in 1996. There is an obvious feature for it is that the public law system and the judicial system have been mixed. China Civil Aviation Law which took effect in 1996, was primary referenced to Warsaw Convention and the Montreal Convention, or was just quotation then made revision on it. In Civil Aviation Law, the regulations concerning the liability of the carrier was almost identical and in the part of limitation of compensation liability, the Civil Aviation Law has been divided into domestic and international system. That means, "The limits of Carrier's Liability in Domestic Air Transport promulgated in 2006 has applied to domestic air transport. The rule was just transformed from the international one into its own form to implement. Bu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andard ,so many issues were emerged. . Besides, after China Civil Aviation Law was took into effect in 1996, it has not been revised even once. So the conflicts with other domestic laws appeared due to this point. Moreover, there still has a certain gap with the practical business which make air transport have faced many difficulties. China now has been regarded as the world market. According to the statistic data, the volume of freight and passenger in air transport have ranked the world's top 10, however, it hasn't acceded the international transport rule until now which is also a problem for it. For my see, China will keep a sustained economic development. So in order not to lag behind other countries, it's necessary for China to join the international rules in quick time, meanwhile, the amendment and adaptation on "Civil Aviation Law" is also an urgent task for us to do.

      • 중국 민용항공법상 항공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연구 : 국제협약 및 한국 상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육기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35

        중국은 항공운송에 있어서 독일처럼 단일한 항공운송법을 제정한 것이 아니며 중국의 항공운송 관련 법 규정은 민용항공기본법, 민용항공행정법규와 부분 규정에 산재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항공운송법 체계상 현재 가장 큰 쟁점이고 또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운송인의 책임제도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항공운송인의 책임체계와 책임구조에 관한 국제규범들, 한국 항공운송법 및 중국 항공법의 규정을 비교·분석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어서 최근에 발생한 항공운송분쟁사건에 비추어 중국 항공운송법 관련 규정들의 미비점을 찾고 그 해결방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고 볼 수 있다. 나아가 무역 실무자들이 중국 항공운송업계와 항공운송계약 체결시 참고 될 수 있는 분석된 자료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할 것이다. In terms of air transportation, like Germany, China doesn’t have single Air Transportation Act, but have various laws and regulations including Civil Aviation Law of China, Civil Aviation Administrative Regulations and some other regulations. In this paper, as the biggest and also an important issue in the system of Chinese air transportation laws, the system for the air carriers liability was discussed. Especially, international regulations, Korean air transportation act and Chinese air transportation act related to the liability system and construction of air carriers were compared and their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were analyzed. Concretely, this paper included basic theoretical studies about the concepts and types of basic air carriers, the liability principles and the legal nature of air carriers’ liability. With these as premise, this paper analyzed the liability system of the air carriers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domestic regulations. First of all, the Warsaw Convention which is the first international regulations and the liability system of air carriers presented in the Montreal Protocol which is recognized as general international convention were studied. In terms of domestic regulations, regulations related to the air transportation on the Commercial Law of Korea were analyzed. For the construction of basic theory logic that reveals the liability system of air carriers on the Civil Aeronautics Law of China. With the changeable aviation transport industry, this paper is aimed to find out the drawbacks in the Chinese regulations related to air transportation act and present the solutions.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the related problem of the agents of air transportation. Transportation agents occupy essential position in the aviation transport industry of China. Most of the transportation industry in China are conducted through transportation contract with the agents. Like this, the laws related to liability of the transportation agent and the liability exemption are not sufficient. Because there is no related la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ients and the agents is not clear and the liability relationship is ambiguous. There are also several serious problems like the sales avenue default of the air tickets. In addi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tic situation, there are still many illegal transportation agents. The regulations about this is inadequate also. Namely, liability regulations related to the air transportation agents and their rights and obligations are very necessary and urgent. It is very pressing to have clear laws and regulations on the Civil Aviation Law. Secondly, related to the air passenger transportation, the laws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aircrews’ rights are not sufficient either. In terms of aircrew, in the 5th chapter of Civil Aviation Law, there are only simple description of the procedure of the permission of number of passengers,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captains. There is no general law system about the aircrew. Recently, there are many labor disputes between the aircrews and the airlines and it shows increasing tendency. It can be seen that the absence of related laws that can regulate all these causes and these problems. Accordingly, elaborate legislative procedure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regulate all these on the Civil Aviation Law. Thirdly, as mentioned before, current Civil Aviation Law of China emphasizes the protection of the carriers’ interest. It lacks the protection of the passengers’ interest. Especially, related to the air passenger transportation, there are problems related to compensation for damages owing to flight delay. Namely, as for Civil Aviation Law of Chin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and detailed regulations for the 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e aspect of the service expansion for the air passengers. Otherwise, related laws should be enacted and given shape. Although it will focus on the protection of the air passengers interest in a short term, it will improve the profit of the air transportation enterprises and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cultivation of the whole aviation transport industry. Fourthly, even though the limitation of compensation for damages in the regulation of limitation of air carriers Liability of the domestic air service presented on the Civil Aviation Law of China and Civil Aviation Administration of China is increased, the liability system like the compensation standard of the Montreal Protocol and the principle of unlimited liability cannot be reflected still. Therefore, new discussion and studies related to the liability system are necessary. Law enactment and even institutionalization according to this should be realized also. Namely, according to the economic status of China, the carrier liability system on the Civil Aviation Law of China should have convergence with the international conventions at least.

      • 한반도 주변국가의 항공법 비교연구

        오성규 한국항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351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contracted in 1944 adopted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SARPs) as Annexes to Convention for safety and order of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nd each contracting State shall establish and amend the law on the basis of the SAPRs. However, Any State which find it impracticable to comply in all respects with any such SARPs, or which deems it necessary to adopt regulations or practices differing in any particular respect from those established by SARPs shall give immediate notification to the ICAO fo the differences between its own practice and that established by the SARPs and ICAO publish these difference notices as a supplement to annexes.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contracting States with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Convention are accomplishing standardization of regulation on the basis of SARPs in each State. However, Air Law of each State need to study on the trait and differences for safety of frequent air transport servic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ecause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have differences of Air Law by reason of cultural differences and circumstance of each State.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mean Republic of Korea,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Japan and The Domes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study on Air Law of each state in this study. One of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y and organization of each state and then to review how establishing own air law affect air law of each state. Another purpose is to make comparative study on differences between own regulation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SARPs and then to review how the difference notices of each state affect air law of each state. Joining in Paris Convention 1919 of Japan became basis of air law. In 1921, Japan established air law on basis of Paris Convention but it was not enforced because of imperfect of facilities then it was enforced in 1927. At that time, because Korea was colonized by Japan, it was apply to Japanese air law. By this historical reason, Republic of Korea air law established similarly with organization and trait of Japanese air law and the Domestic People's Republic Korea that was affected by China(same socialist state) established similarly with Chinese air law 1995. Meanwhile, examining the difference notices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wn regulations in Korea and neighboring countries, each country notified difference notices of only specific annexes and whenever each country amended air law, these differences are not immediately notified. In case contracting State do not notify differences, ICAO do not directly punish or control these States. To solve this problem, ICAO introduced Universal Safety Oversight Audit Programme(USOAP) as an instrument to promote global aviation safety and to evaluate performance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and procedures in contracting States. Because of introduction of USOAP, contracting States can establish revision guideline of own air law and take developmental role in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air law and ICAO can systematically control difference notices and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as a result of USOAP indirectly. Also, contracting States get an opportunity that can evaluate aviation safety of other contracting states because evaluated results by USOAP are released to the public. ICAO is pointing out that the States shall notify differences to the ICAO as follow-up of USOAP but most States do not actually notify differences to the ICAO because ICAO do not punish failure of international 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and procedures. Therefore, ICAO must prepare a general plan that can punish and control the failure including evaluation criteria about difference notice. 1944년 체결된 국제민간항공협약에서는 국제항공운송의 안전과 질서를 위하여 항공규칙의 통일화를 위해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을 부속서의 형태로 채택하였고, 각 체약국은 이를 기준으로 하여 자국의 법률을 제정 및 개정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체약국의 사정상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을 이행할 수 없을 경우 혹은 차이점이 있을 경우 이를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통보하여 타 체약국에서 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부속서의 부록으로 게제하고 있다. 한반도 주변국가의 경우 모두 국제민간항공협약의 체약국이며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동 부속서의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을 자국의 법률로 제·개정하여 항공법의 통일화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한반도 주변 국가는 자국의 문화와 국내 사정의 이유로 각 항공법의 차이점도 존재하고 있어 최근 한반도 주변의 빈번한 항공운항의 안전을 위해 이를 분석하여 각 국가의 항공법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한반도 주변국가라 함은 한국·중국·일본·북한을 말하며, 한반도 주변의 항공운송정책에 맞추어 한반도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중국·일본·북한의 항공법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각 국가의 항공법에 대한 연혁과 구성 체계를 비교 분석하여 한반도 주변국가가 서로의 자국 항공법의 제정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연구하고, 국제민간항공협약 및 동 협약의 부속서에서 정한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과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통보한 자국 항공법규상의 차이점을 주요 내용으로 하여 한반도 주변 국가의 항공법과 비교 연구하여 각 국가 간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의 이행 여부와 차이점 통보가 각 국의 항공법 개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중국과 일본은 1919년 파리협약에 가입하며 한반도 주변국가중에서 가장 먼저 항공법의 근간을 마련하게 된다. 일본은 파리협약을 근거로 하여 1921년 항공법을 제정하지만 민간항공의 제반시설이 미비하여 시행되지 않고 있다가 1927년 본 항공법을 시행하게 된다. 한국과 북한은 일본의 식민통치하에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항공법이 동일하게 시행되게 된다. 이러한 역사적 이유로 한국과 일본은 유사한 구성과 특성으로 항공법이 제정되게 되었으며, 북한은 같은 사회주의체제 국가인 중국의 영향을 받아 1995년 제정된 중국의 민용항공법과 유사한 특성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체약국은 협약에 의하여 설정되는 규칙을 일치하도록하고 상이점이 있으면 동 기구에 통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며, 한반도 주변국가의 경우에도 예외는 아니어서 국제민간항공기구의 체약국인 한국, 중국, 일본, 북한도 국제민간항공협약과 동 협약의 부속서에서 채택한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을 이행하여야 할 의무가 있으며, 항공안전과 관련된 내용의 법률은 서로 비슷하지만 각 국가가 법률로서 채택할 수 없거나, 차이점이 있을 경우 그 차이점을 국제민간항공기구에 통보한 규정은 각 국가의 사정에 따라 다르다. 한반도 주변국가 간의 국제표준과의 차이점 통보를 살펴보면 각 국가는 특정 부속서의 차이점에 대한 통보만을 하고 있고, 차이점의 통보가 부속서 혹은 자국의 항공법 개정에 따라 즉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체약국이 차이점의 통보를 하지 않을 경우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이를 직접적으로 제제하거나 통제할 근거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간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체약국의 항공안전에 대하여 감독하고 평가할 수 있는 항공안전감독 프로그램(USOAP, Universal Safety Oversight Audit Program)을 도입하여 체약국의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에 대한 이행율을 평가하였다. 동 평가를 계기로 각 국은 자국 법률의 개정방안을 구체적으로 수립할 수 있었고 국제표준과 자국의 법률의 통일화를 이루는 발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항공안전평가 프로그램은 각 체약국의 차이점 통보에 대한 불이행에 대하여 지적하여 후속조치로서 국제표준과 권고관행의 이행과 차이점 통보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평가의 결과를 대중에게 공개하도록 하고 있어 각 체약국은 다른 체약국의 항공안전에 관한 정보를 열람하고 타 체약국의 항공안전에 대한 평가를 내릴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하지만 항공안전평가에 의하여 각 체약국의 국제표준 및 권고관행의 이행률을 평가하고 또한 후속조치로서 차이점의 통보를 하도록 지적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으로 차이점의 통보가 이루어지는 경우는 적다. 차이점의 통보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더라도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특별한 조치를 취할 수가 없기 때문인데 이에 대하여 국제민간항공기구는 항공안전평가 시 차이점의 통보에 관한 내용을 평가기준으로 포함하는 등의 더욱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