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 중국어교육의 실태연구 : 강북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김보람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오늘날 세계는 빠르게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으며, 외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어 교육 역시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중국어 학습에 열을 높이고 있다. 성인에서부터 초등학생까지 다양한 연령에서 중국어 교육을 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아에게까지 제2외국어로서 중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학부모와 유치원들이 많아지고 있다. 하지만 유아에게 중국어를 학습시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부정적 인식이 동시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조기 외국어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들어 유아 중국어 교육의 시기적 적절함을 설명하고, 강남구와 강북지역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유아 중국어 교육의 실태와 중국어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알아보고자한다. 그리고 유아 중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그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유아 중국어 교육의 실태에 대해 조사하여 보고 둘째, 학부모들의 유아 중국어 교육에 대한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셋째, 유아 중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탐색해보고자 한다. 유아 중국어 교육 관련 선행 연구 자료를 검토해 본 결과, 강남구 유치원에서의 실태 연구 논문 1개가 선행 연구되어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선행 연구 논문과 강북지역 사립유치원의 조사 결과를 비교해봄으로써 유아 중국어 교육의 실태와 학부모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지역선정에 있어서 강북지역을 선택한 이유는 선행 연구 논문에서 조사된 지역인 강남구와 비교하여 그 성장 정도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특히 많은 언론 매체에서 교육 관련 지역 비교에서 자주 선택되는 지역이 강남지역과 강북지역이기 때문에 보다 여러 사람들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강북구와 성북구의 사립유치원에 대해 중국어 교육 실시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유아 중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유치원 학부모들의 인식을 조사해봄으로써 현재 유아 중국어 교육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앞으로 유아 중국어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많은 이들이 중국의 발전에 관심을 갖고 그 언어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그 관심이 어른들 뿐만 아니라 자녀들에게 까지 이어지고 있는데 중국으로의 조기유학이 한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아직은 영어교육 만큼 중국어 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지는 않지만, 중국의 무한한 발전 가능성만큼 중국어 교육 시장의 발전도 무궁무진하다. 하지만 조기교육이 자칫 잘못하면 우리 자녀들에게 해가 되는 교육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유아 중국어 교육의 교육체계가 구성되어 양질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될 것이다.

      • 중국어 교육용 신조어 선정 및 신조어 활용 교수모형 설계

        한수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随着中国改革开放三十多年经济,科技,文化等的迅速发展,中国出现了大量新事物,现代汉语也发生了很大的变化,涌现出了很多新词语。新词语是词汇系统中最鲜活的一部分,也是很重要的一部分,是因为每一个新词语在一定程度上反映着一个社会各个方面的变化、发展情况。可以说新词语是汉语学习者了解当代中国的一种特殊途径。汉语教学也应跟随时代的潮流,应该引起足够的重视,积极把新词语纳入到汉语教学中。 对汉语学习者来说,学习汉语的最终目的是跟中国人流利进行交际。为了满足汉语学习者的学习要求与提高汉语教学水平,汉语教学在教授基本词汇的同时应该适当扩展新词语的教学。通过新词语教学对学生了解中国的发展现状,提高跨文化交际能力,有着十分重要的作用。然而,目前的新词语教学现状由于受到多方面因素的限制,还存在着许多亟待解决的问题,新词语在汉语教学领域还未得到足够的重视,当今汉语教学中汉语新词语的讲授和学习还相对比较薄弱。 本文拟在前人研究经验的基础之上,针对当前新词语教学中存在的问题,对汉语新词语的教学设计做了相关的探索研究。文中首先研究使用新词语的频率,新词语的类别分析,审查了新词语产生的背景,其次分析了在新词语教学种还存在的问题,并以此为基础,力求整理出适用于中、高级成年学习者的教育用新词语目录,制定出一套有效的新词语教学模式。 期望能够对新词语教学提供一定的帮助,从而最终提高学生的跨文化交际能力。

      • 영상물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방안

        백현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1

        영상물을 활용한 중국어 교육방안 백 현 진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중국어교육전공 지도교수 이 상 철 세계화·정보화 시대로 불리는 현대 사회에서 외국어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학부모들은 여러 방법을 통해서 자녀들의 외국어 교육을 강화 하려고 하고 있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을 효과적으로 하기위한 연구도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다. 현대인들은 컴퓨터와 TV등의 매체가 생활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다. 국내의 중국어 교육환경에 있어서도 기존의 교재만을 가지고 하는 수업은 피교육자인 학생들의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없으며, 입체적이고 적극적인 영상매체의 활용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본고에서는 학생들이 중국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영상물을 활용하여 교육환경에 적합하게 적용시키기 위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들을 제시하고자 노력 했다. 제7차 교육과정의 중국어 교육의 방향은 의사소통 중심교육과 문화교육으로 나눠진다. 의사소통 중심교육은 중국어를 공부하고 중국인과 만났을 때 자신의 의사를 얼마나 전달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둔 교육을 말한다. 중국 문화 교육은 외국어를 학습하는데 있어서 그 해당 국가의 문화를 알아야 언어를 배우는데 더 이해가 쉽다는 판단 하에 문화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수많은 영상물 중 비교적 쉽게 접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한류드라마, 영화, 중국관련 다큐멘터리를 선정하고 각각의 교육적 특성과 가치를 역설했다. 또한 영상물을 교육에 사용할 때의 선정 기준을 들어 그것에 부합하는 작품 하나씩을 선정하여 고등학교 50분 수업에 적용한 지도안을 작성, 제시하였다. 영상물의 종류는 많지만 각각의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적용하는 범위도 달라져야 한다. 애니메이션은 비교적 길이가 짧다. 그리고 아이들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사용되는 언어의 수준도 쉬운 편이다. 드라마는 일상적인 내용을 소재로 해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표현을 위주로 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한류드라마는 한국에서 유행했던 드라마로서 학생들이 모국어로 한번 접하였기에 더 가깝게 다가갈 수 있고 학생들에게 익숙한 배우들이 나오므로 흥미를 가지고 볼 수 있다. 무엇보다도 두 장르 모두 중국의 성우들이 정확한 발음으로 더빙해 놓은 것으로 중국어 의사소통 교육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중국 영화도 의사소통 교육을 하는데 활용될 수 있겠으나 영화에 사용되는 대사는 비교적 수준이 높아 학생들이 어렵게 느낄 수 있다. 따라서 중국영화는 그 배경이 되는 중국의 모습을 생생하게 학생들에게 전달하고 중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활용되는 것이 적당하다. 또한 중국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여행 등에 관한 다큐멘터리가 많이 제작되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문화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영상물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현재 중·고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중국어 교육과정에 각 영상물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종합적이고 효율적인 영상물 활용방안이 마련되어 적용된다면 중국어 학습효과는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상물을 활용한 교육이 학습효과가 크다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에 의해 증명되었지만 이를 적절하게 선정하고 수업에 적용하는 연구는 그 비율이 비교적 미흡한 실정이다. 앞으로 효과적인 중국어 교육을 위하여 영상물을 활용해서 교육환경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보다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교육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중국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 교육과 문화교육의 효과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중국어 교육을 위한 인터넷 활용에 관한 연구

        김연선 강릉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고는 정보화와 구성주의의 실현매체인 인터넷에서 예상되는 교육적인 효과를 근거로 중국어 학습의 발음 및 언어의 기능별, 문법, 기타 사이트를 연구하고 수업 모형을 제시하여 인터넷 활용 수업의 효율성에 대해 조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산업 사회에서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정보화 사회로 변화되면서 학교에서의 교육 역시 학교 중심교육체제에서 창조와 구성을 중심으로 하는 구성주의에 입각한 학습자 중심교육체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교사의 역할이 중요시되며 정보를 더 잘 습득하기 위한 멀티미디어 특히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이 강화되어야 한다. 인터넷은 미국에서 군사용으로 만들어졌다가 그 실용성을 인정받아서 발전하였으며 최근에는 인터넷의 교육적 역할 및 그 기능에 대한 관심이 점점 더 많아지고 있어 그 영향력 역시 계속 커지고 있다. 인터넷은 다양한 많은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의 바다'이며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많은 동영상과 프로그램이 존재하고 세계 여러 나라와도 정보 교환이 가능하며, 국적에 관계없이 친구를 사귈 수 있다. 그러나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의 가격이 부담스러우며, 해킹, 접속불량이나 접속속도가 느릴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렇지만 21세기에 오면서 인터넷은 피할 수 없는 삶의 공간이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많은 연구와 투자가 필요하게 되었다. 중국어의 인터넷 활용은 중국에 가지 않고도 중국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육매체로 활용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발음,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어법, 기타 분야로 나누어 중국어 학습을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연구하여 보았고 E-mail, Keypal, 채팅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중국어 초보인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진명 출판사 교재를 가지고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한 결과 책으로 수업을 하였을 때 보다 인터넷을 활용하여 수업을 하였을 경우 관심과 흥미가 더 발생하며 수업의 내용 및 수업의 효과가 더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언어의 기능면에서는 듣기, 말하기 능력이 특히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인터넷 활용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교사는 많은 수업 준비와 인터넷 프로그램의 활용에 대한 선행 지식이 필요하며 이를 학생에게 교수하는 것 역시 않은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인터넷 활용 수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연구와 실험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efficiency of study using the internet on the basis of educational effect expected in the utilization of internet, a medium of information and constructionism, by examining the internet sites of Chinese language, and to present a model of study. With the movement from an industrial society to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public education has been transformed from a school-centered education system into a learner-centered education system based on constructionism which places an emphasis on creativity and construct. The roles of teachers must be emphasized and to acquire information, the educational utilization of multi-media, especially, that of the internet must be enhanced. The internet was made originally for military purposes in the U.S.A. and was developed after being demonstrated in its practical use. Recently interest in its educational roles and functions is getting bigger and its influence over education is also growing more and more. The internet is a "sea of information"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a great deal of data and it is full of moving pictures and programs to inspire motive of study. And it makes it possible to exchange information among many countries and to make friends regardless of nationality. But the price of hardware and software is a little high. The internet has some other flaws such as hacking, the slow speed, and poor connec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internet became an important space of human living and thus, a great deal of investment and study on the internet are needed. The internet can be used as an educational media for Chinese learning to increase the effect of Chinese learning without studying in China. In this respect, this thesis examines sites relevant to the Chinese language, classifies them into several parts depending 'on functions of language such as pronunciation, listening, speaking, reading, writing, grammar, and etc., and presents a model of study using E-mail, Keypal, and chatting programs. This thesis conducts an experiment, using books published by Jinmyoung, of forty college students who are beginners in a Chinese language class.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the case of using the internet inspires more interest and increases more effect of study than that of using books. In the aspect of functions of language, in particular, the ability of listening and speaking is improved. To educate students by using the internet, teachers need more preparation time for class and utter pre-knowledge of the utilization of internet programs. And it also takes much time to teach student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consistent experiment and study are needed to put it into practical use.

      • 중국어 교과서 융합교육 영역 분석

        오혜빈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831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문제들은 융합적인 사고를 통해 해결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분절적 과목으로 배우는 것 보다 오히려 다양한 교과를 통합하여 융합적으로 배우는 것이 학생들의 창의성 및 문제 해결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좁은 관점으로 현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닌, 다채로운 시각에서 생각 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융합교육의 개념 및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현행 중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융합교육에 대한 분석 및 연구를 통하여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중국어 교과의 융합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분석 대상은 명확하게 교과서 내 융합교육 영역을 표기한 4종 고등학교 중국어Ⅰ 교과서, 1종 고등학교 중국어Ⅱ 교과서 및 2종 중학교 생활중국어 교과서로, 총 7종 교과서를 선정하였다. 7종 중국어 교과서의 융합교육 영역의 탑재 내용과 연계 교과를 살펴보았다. 총 50회의 융합교육이 나타났으며 11개의 교과와 연계되었다. 가장 많은 교과 연계가 나타난 과목은 사회 (10회), 미술(9회) 순이었으며, 그 뒤는 국어(6회)와 음악(6회)이 뒤 따랐다. 융합교육 영역의 단원 연관성과 중국어 활용도 측면에서, 4종의 교과서는 두 항목 모두 75% 이상의 결과가 나왔지만, 나머지 3종 교과서는 단원 연관성과 중국어 활용도 모두 50% 이하로 나타났다. 향후 2022 개정 교과서는 다양한 교과들의 주요 내용으로 융합교육 영역을 탑재하여 학생들에게 더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한다. 또한, 주제별 학습을 통해 각 교과별로 학습하는 것보다 함께 융합하여 다루는 것이 더 유용할 수 있도록 내용을 설계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어 교과 융합교육에 있어서, 타 교과 연계와 함께 중국어 활용까지 이어져 개별 학습 이상의 학습 효과가 있도록 심도 있게 구성해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중국어 융합교육의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Most of the problems that occur around us have to be solved through convergent thinking. Therefore, rather than learning various subjects as segmented ones, learning them in integrated and converging methods can help students improve their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s. In addition, such methods can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think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not from narrow ones.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presented the direction of Chinese convergence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the school classroom through analysis and research o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current Chinese language textbooks. A total of seven textbook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four kinds of high school Chinese I textbook, one kind of high school Chinese II textbook, and two kinds of middle school life Chinese textbook that clearly indicate the area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extbooks. The contents of the seven types of Chinese textbooks in the field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related subjects were examined. It was found that, in total, convergence education appeared 50 times, and was linked to 11 subjects. The subject most frequently related to Chinese subject was Society subject (10 times), followed by Art subject (9 times), Korean subject (6 times) and Music (6 times). In the area of convergence education, while four textbooks showed over 75% of unit relevance and Chinese utilization, the other three ones showed less than 50% of unit relevance and Chinese utilization. Accordingly, textbooks in various subjects under the 2022 revised curriculum should include contents related with convergence education as main components of them to allow students to get opportunities to think more diversely. In addition, those contents should be designed so that it can be more useful to deal with them convergently than to do separately. Also, convergence education in Chinese subject should be constructed to lead students to learn other linked subjects and use the Chinese language efficiently. Through these processes, it will be possible to design convergence education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which can help students in real life.

      •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애니메이션 "櫻桃小丸子”활용에 관한 연구 : 듣기와 말하기를 중심으로

        정은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들어 중국의 WTO(세계무역기구)가입과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로 중국에 학습에 관한 관심이 최고조를 보이고 있다. 중·고등학교에서도 중국어 교육이 점차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로 정규수업 외에 한 달에 20여 시간씩 특기적성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중국어 교육에 대한 이러한 열기에 따라 이제는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좀 더 다양한 교재나 교수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외국어를 학습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흥미유발이다. 그런 의미에서 애니메이션은 신세대들이 자주 접하며 관심도가 높아서 학습자의 중국어와 중국문화로의 관심을 이끄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어 교육 교재로서 활용가치가 있는 애니메이션 "櫻桃小丸子"을 집중 분석 연구하여 중국어 학습현장에서 수업교재로 직·간접적으로 활용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학습대상은 첫째, 만화영화 즉 애니메이션을 즐겨보는 대상이 주로 청소년이라는 점에 감안하여, 중·고등학교에서 중국어를 제2외국어로 선택하고 있는 학생들과 특기적성에서 중국어를 수강하는 학생들과 둘째, 중국어를 배운 초급자나 중급자를 대상으로 했다. 그리고 이들을 대상으로 많은 애니메이션 작품 가운데 "櫻桃小丸子"를 교재로 하여 중국어 수업에서 듣기·말하기 영역에서의 활용방안과 학습모형을 제시하고 더불어 의사소통별 주제에 따른 부분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부분을 제시하여 보았다. 애니메이션 "櫻桃小丸子" 듣기·말하기 교재로서의 활용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내용, 어휘, 문장의 분석을 하였고, 분석을 거친 "櫻桃小丸子"의 141편 가운데 제32편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듣기·말하기 향상을 위한 학습방안 및 학습모형을 제시하여 하나의 교재로서 전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櫻桃小丸子"의 부분적 활용은 애니메이션 "櫻桃小丸子"의 내용 가운데서 제7차 교육과정 중국어과 의사소통 기능별 예시문에서 제시한 주제에 적합한 부분이 들어간 부분을 선별하여 '介紹', '問候·打招呼', '打電話', '訪問', '買東西', '生病', '數字', '天氣', '幇助', '祝賀', '感謝·포겸', '課堂上' 의 주제로 총 51개의 활용부분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내용에 해당하는 부분을 http://www.starjjung.wo.to 홈페이지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홈페이지내의 내용을 모두 "초·중급 대상의 중국어 수업을 위한 애니메이션 "櫻桃小丸子" 자료 CD"로 제작하여 첨부하였다. 이는 중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가운데 특히 듣기·말하기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편리함을 제공할 것이다. 정보화 시대에 외국어 교육분야에 수많은 교수법이 개발되어 오면서 시청각 교재는 필수 불가결한 중요한 보조수단이 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의 활용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에 가까운 현황에서 본고가 애니메이션 활용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그리하여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중국어 교재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애니메이션 교재의 활용방안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이루어져서 중국어 수업에 적극 활용되어서 교육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After China's WTO entry and 2008 Beijing Olympic games decision, big Korean companies are increasing their investments in China and lots of TV programs are introducing Chinese culture and its developing cities so often, due to China's current position in world economy & politic. With these situations, nowadays studying Chinese is also becoming so popular in Korea like the "English fever" from primarily school to office workers. Lots of middle & high schools are also adopting Chinese as their second foreign language study and even so many students are going to China to study Chinese and its culture. In spite of this booming of Chinese, the reality can not meet the people's diverse demands on the studying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to students & teachers, especially to the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so accustomed to the computer and internet. Typical textbook can not fully satisfy the students and also can not give the initiative of studying Chinese at the beginning with interests. So, there must be lots of alternatives of the interesting studying materials to go with textbooks in school. Among those alternatives such as movies, TV dramas, cartoons etc, this study is focused on Animation-"Xiao Wan Zi", which was so popular in China and the story is so interesting. So, this animation study for Chinese education is aimed to be a subsidiary materials to the textbooks in middle & high schools. The education target of this study is middle & high school students, because these students are more favorable and have no reluctance to animations. So, they do not regard this animation as a studying material, but just for fun. Second target is the elementary & lower middle class learners, who already learned & are learning now. These leaners also refresh their Chinese with this different type of studying material from the textbook. So, the "Xiao Wan Zi" in this study can give these target students and learners diverse practices of hearing & speaking through many different topics in it with interests of animation itself. Moreover, this study are classifying and showing the studying & teaching ways with some samples based on the situations, which is applied to the textbook. This sample method can be exercised in CD as the attached and also in website http://www.starjjung.wo.to. Which is currently popular way of studying languages and also can give the chance to the learners the bilateral communication with teachers through web-site. After this practice, learners can be naturally study Chinese with just enjoying this interesting animation. With using these showed ways, the learners and teachers can get more effective ways & results by themselves in using animation of Chinese. Last, as mentioned at the beginning, Even though there are high demands of new educational materials of Chinese, actually there is no specific study on animation for Chinese so far, unlike English already use animation as their teaching tool a lot. So, this study can be expected a good start to recognize animation as a good subsidiary tool in Chinese education and also can be used in school & institute as a subsidiary way of studying Chinese. Under these kinds of various subsidiary materials, Chinese education can meet promptly changing leaners' demands and give the learners the real interests of studying Chinese.

      •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의 중국어 학습 전략에 관한 조사 연구

        유안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고의 목적은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을 논의하는 데 있다. 즉, 제2언어 환경에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며, 학습 전략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지 논의해 봄으로써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Oxford(1990)의 SILL을 활용하여 설문 문항을 초등학생의 어휘 수준에 맞게 조정하였다. 설문은 재중한국학교의 4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한편, 4개 학교의 교사와의 면담 및 교육과정 분석 등을 통해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들의 중국어 학습 전략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성별, 학년, 학습 기간, 성취도, 흥미도 변인에 의거 재중한국학교 초등학생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 사용을 비교해보았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중국어 학습 전략 사용을 살펴본 결과,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학습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며, 기억 전략, 초인지 전략, 정의적 전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중국어 학습 전략 사용 결과는 보상 전략을 제외한 모든 전략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후 검정 결과, 3학년과 5학년, 3학년과 6학년과 같이 저학년의 범주에 있는 3학년과 2년 이상의 터울이 있는 5학년, 6학년 간의 전략 사용이 유의한 차이가 있다고 확인되었다. 셋째, 학습 기간에 따른 학습 전략 사용을 분석한 결과, 인지 전략에서만 학습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사후 분석 결과 5년의 학습 기간을 기점으로 학습자 집단 간 인지 전략 사용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도와 모든 학습 전략 간 상관관계가 있으며, 학습 전략 사용 평균은 고급, 중고급, 초급, 중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의적 전략을 제외한 모든 학습 전략에서 성취도에 의해 분류된 초급, 중급, 중고급, 고급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다는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중국어에 관한 흥미도를 낮음, 보통, 높음의 3단계로 구분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전략 사용을 분석한 결과, 흥미도가 높을수록 학습 전략 사용 평균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년이 올라갈수록 학생들의 중국어 흥미도가 낮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사실을 통해 학습 전략을 사용하는데 있어 각 변인들의 상호 작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까지 발표된 국내외의 중국어 학습 전략 연구 가운데 한국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하다. 또한, 기존의 관련 선행 연구들이 모두 외국어 환경(CFL)의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점에서 제2언어 환경(CSL)에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본고의 연구는 의의가 있다. 앞으로 더 다양한 범위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학습 전략 연구가 진행되어 본 연구의 한계가 보완되고 중국어 학습자의 학습 전략에 대한 이해가 넓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by Chinese learners in Korean International Elementary schools in China. In other words,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by elementary school Chinese learners learning Chinese in the second language environment was studied by discussing what aspects and what factors influence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To this end, the survey questions were adjusted to match the vocabulary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the SILL in Oxford (1990).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ird to sixth-grade students at four Korean International Elementary schools in China, while examining the use of Chinese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n International Elementray school through interviews with teachers in four Korean International Elementary schools and analyzing curriculum. Based on gender, grade, period of study, achievement level, and interest level variables, we compared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of elementary Chinese learners in Korean schools in China,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use of Chinese learning strategies by gender, female students used more learning strategies than male students, and independent t-test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mory strategies, upper-level recognition strategies and defining strategies. Second, the results of the use of Chinese learning strategies by grad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trategies except compensation strategies. Post-test results have confirm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strategies between third and fifth graders, such as third and sixth graders, and fifth and sixth graders, who have turbines of more than two years in the lower grades category. Third, after analyzing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according to learning period, we found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period only in cognitive strategy and follow-up analysis results. The difference in the use of cognitive strategies between groups of learners has been shown to exist since the five-year learning period. Fourth,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and all learning strategies, and the average use of learning strategies was high in the order of advanced, upper-intermediate, beginner and intermediate levels. In all learning strategies, except for the defining strateg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eginner, intermediate, upper intermediate and advanced groups classified by achievement. Fifth, the analysis of learners' use of learning strategy by dividing the level of interest into three levels: low, moderate, and high show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est, the higher the average of using learning strategy. In addition, students' interest in Chinese is decreasing as the grade goes up, and this fact has shown the interaction effect of each variable in using the learning strategy. Among the Chinese learning strategy studies, there is no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yet, it is meaningful that most existing related prior studies are about that they target Chinese learners in the CFL environment. In the future, we hope that the study of learning strategies for a wider range of learners will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Chinese learners' learning strategies.

      • 어린이 중국어교육 연구

        김민영 부산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831

        本论文旨在把儿童汉语教学作为独立的研究领域,对有利于激发和发展未来儿童汉语教学的调查和相关现行研究进行分析,找出目前研究的局限性,并提出相关改善方案。本论文的研究过程如下。 在第2章中,把儿童汉语教学的领域分为教育机关、教材、教师培养课程等三个方面,对实际情况进行调查。在教育机关方面,本论文对私利小学的汉语正规课程的现况和在釜山地区开展的课外小学汉语课程的现况进行了调查。调查结果为在全国75所私立小学中,编排汉语正规课程的学校有42所,在这42所学校中在全年级范围内开展汉语课程的学校有26所;开设针对4-6年级学生汉语课程的有4所;开设针对3年级-6年级学生汉语课程的有12所。教材方面,从2001年到2015年9月为止,儿童汉语教学教学用教材共出版95种、共426本,分为以学习为目的的‘主要教材’和以辅助学习为目的的‘辅助性教材’。论文对教材的题材及出版情况进行了调查和介绍。在教师培养课程方面,按照不同的运营教育机关的特性,分为大学附属终生教育院、私营教育公司、国外机关、大学专业课程开设的培训课程,本论文对此进行了调查和介绍。 在第3章中,对截至2015年2月的所有关于儿童汉语教学的136篇硕、博士学位论文进行了定量定性分析,总结了研究领域和相关成果。儿童汉语教学研究从1997年开始到2005年2月为止共发表了133篇硕士学位论文和3篇博士学位论文。按照研究的内容和领域可以分为教学法研究论文87篇,且占比例最高,以及教材研究论文29篇、教学现况研究论文15篇、教学课程研究论文5篇等。本文第三章在以上分类的基础上对相关研究进行了分析介绍。 以第2章介绍的儿童汉语教学现况和第3章介绍的学位论文分析为基础,发现目前儿童汉语教学存在的问题主要有以下几点:第一,儿童汉语教学在2000年后实现了突飞猛进的发展。这是因为随着社会整体对汉语学习的追捧,2006年成立了课后学校,小学生学习汉语的机会不断增多,相关教材的需求量也随之增大,再加上专业性教师的出现,都推动了汉语教学市场儿童汉语学习者的比例不断升高。但是作为教学标准的教学课程却问题重重,课程过分依赖教师或教材,在教材编纂方面目前也没有一个能够参考的标准。不仅如此,由于学习者的人数不断增加,教师作为教学的主体,需求量也在不断增加。虽然陆陆续续出现了一些儿童汉语专业教师的培训课程,但是教学课程及评价体系未能形成系统,资格证的专业性及公信力依然存在严重问题。因此,本论文以促进儿童汉语教学量和质的双重增长,最终实现均衡发展为目标,在第4章和第5章中针对教学课程、教材、教师培训课程等方面提出了以下几个改善方案。 首先,在第4章中提出了教学课程的开发对策。儿童教学课程设计的第一阶段就是明确韩国国内儿童教学课程以综合教学为基础进行。第二阶段是通过比较汉语教学大纲,审视汉语教学领域,在韩国国内儿童教学课程的教学领域和汉语教学大纲的教学领域、小学英语、汉语的教学内容等基础上设定儿童汉语教学课程的教学领域。第三阶段是以教学课程开发模型为根本,在综合教学的基础上设计韩国国内儿童汉语学习者的「儿童汉语标准教学课程」。 在第5章中提出了教材和教师培训课程的改善方案。在5.1中,针对2.2所介绍的教材出版现况问题以及3.2.2中分析的29篇教材先行研究的问题,进行了‘内部结构’和‘外部结构’一分为二的全面分析,提出了相关对策。并且首次站在综合的角度提出了三个改善方案。第一,站在综合教学的观点,在第4章「儿童汉语标准教学课程」中提出整合‘沟通领域’、‘文化领域’及‘活动领域’的教材开发。第二,综合教学是韩国国内儿童教学课程的特征,以此为基础,开发与其他教学科目相联结的内容。第三,网上教学目前已成为最核心的教学法之一,本文提出了综合网上及网下的教材开发方案。首先,对2.3中提到的由教育机关运营的培训课程对其教学课程及评价进行比较和分析,指出教学课程的构成、内容、教学时长、评价的非系统性等问题。并设计、提出了包括‘教育理论’、‘辅导能力’、‘教学实习’等方面的系统性「儿童汉语教师标准教学课程」及评价大纲。不仅如此,提出建议为了提高资格证的公信力及教师的专业性,建立并运营资格证管理协商机制。 综上所述,本论文从教学课程、教材、教师培训课程等三个方面对儿童汉语教学的问题进行了总结分析,并提出了改善方案,希望通过以上研究过程重新定义儿童汉语教学。通常儿童汉语教学指的是向学龄前儿童教授汉语课程,本论文以韩国国内幼儿教学课程——「分享课程」及小学教学课程的教学理念和综合教学为基础,建立了「儿童汉语标准教学课程」,为实现该教学目标,把‘儿童汉语教学’的学习对象定义为学龄前学习者。 本论文希望能够成为构建儿童汉语教学独立领域的基础,期待今后能有更多关于儿童汉语教学的深层次研究。

      • 고등학교 중국어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 『중국어Ⅰ』을 중심으로

        정서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올해 2017년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되기 시작해서 내년 2018년부터는 중·고등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본 논문은 곧 시행하게 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당면한 우리나라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그 간의 중국어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큰 틀로써 점검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분석해 보고, 현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의 향방을 모색해보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국가가 교육과정을 제정·공포하는‘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문서로 고시하여 전체적인 교육의 방향을 반영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7차례의 큰 교육과정의 개정이 있었고, 제7차 교육과정은 다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육과정인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정 고시되었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이 수차례 개정되는 동안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에 있어 연구 동향은 대부분 교육과정에 따른 발음, 문자, 어휘, 문법 등의 언어재료와 듣기, 말하기, 읽기 그리고 쓰기의 언어 기능, 그리고 문화 등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논의해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전반 있어서의 관련 연구는 대부분이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연구로, 이후의 두 차례 더 개정된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모두 포함한 중국어 교육과정의 포괄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의 시기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시기를 거쳐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변천을 서술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및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비교·분석하여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중국어 교육과정 관련 분야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중국어교육, 교육과정 Follow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started to be applied to Grade1-2 of elementary school in 2017, and from 2018, it will be gradually applied to Grade1 of middle/high school in ord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of high school in the period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overall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of high school in Korea fac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ase of the curriculum of Korea, the state organizes/establishes/ proclaims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notifies it in document, and manages it by reflecting the overall direction of education. Korea has gone though total seven major revisions of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has been modified/announced in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Like this, though the numerous revisions of curriculum, most of the researches 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ve discussed the language materials such as pronunciation, letter, vocabulary, and grammar, language functions lik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concrete/detailed contents like culture.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overall curriculum were limit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r before. There are not many additional researches on the comprehensive contents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including both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as a preceding research on Chinese language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by describing the transition of 2007 revised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7th curriculum, and also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that will be applied in phases from 2018. keyword: Chinese langunge curriculum, Transitional Process

      • 예능프로그램 <向往的生活 1,2>를 활용한 중국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연구 : 『중국어Ⅱ』를 중심으로

        박솔잎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제2외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는 학습자의 언어 능력 향상과 함께 실제 상황에서 학습자들이 목표 언어로 유창하게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에 있다. 2015 개정 ‘제2외국어과 중국어 교육과정’에서도 학습자들이 실제 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표현들을 익히고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 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으로 모방하고 문법적 언어 규칙을 중요시한 전통적인 외국어 학습에서 벗어나 학습자들이 실제 상황과 유사한 환경 속에서 언어 연습이 가능하도록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에 기반하여 다양한 학습 활동을 제시하였다.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들의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영상매체의 하나인 중국 예능프로그램 <向往的生活 1,2>를 학습 자료로 선택하였다. 교육대상은 『중국어Ⅱ』를 배우는 고등학생 학습자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총 Ⅴ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과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 내용과 방법을 소개하였다. 제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 학습자 중심 교육, 협동학습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예능프로그램의 교육적 가치와 선정 기준 및 이유, 프로그램의 내용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 ‘의사소통 기본 표현’에 근거하여 학습 자료를 선택하였다. 학습 활동을 위해 제시되는 예능프로그램의 자료는 교육부에서 제시한 ‘의사소통 기본 표현’을 참고하여 선정하였고 자료 선정 시 학습자들에게 교육적으로 유용한 내용인지를 함께 고려하였다. 또한 예능프로그램 자료는 교과서의 부교재 역할을 함으로 교과서와 내용이 유기적으로 잘 연관 되어있는지 살펴보고 선택하였다. 선별한 자료는 QR코드로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활동이 이루어질 때, 활동지와 함께 제시됨으로써 반복적인 영상 시청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제Ⅳ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모형과 협동학습을 활용한 활동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업모형은 ‘도입→전개→발전→정리’의 단계로 이루어지는데 발전단계에서 협동학습 활동이 이루어진다. 협동학습 활동의 예로는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한어병음과 성조 쓰기 및 한자 찾기’, ‘인물 소개하기’, ‘중국어 인터뷰하기’, ‘중국어 음식 주문하기 및 계산하기’, ‘자막 해석, 추측 및 자막 만들어 보기’등 5가지 협동학습 활동 방안과 더불어 학습 지도안도 함께 제시하였다. 마지막 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 중국어 교육이 나아가야 할 연구방향을 고찰하였다. 영상매체를 활용한 중국어 교육 연구는 계속해서 발전하면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드라마, 영화, 애니메이션, 광고 등의 매체가 주를 이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매체에서 벗어나 중국인들의 실제 발화와 더 가깝고, 생동감 넘치며, 일상생활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중국어 표현들을 배울 수 있는 예능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는 것에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예능프로그램을 활용한 자료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중국어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第二外语教学的最终目标在于提高学习者的语言能力,同时培养学习者在实际情况中运用目标语言流利交流的能力。在2015年修订的第二外语和汉语教学课程中,也将重点放在帮助学习者掌握实际生活中可以使用的各种表达方式以及增强沟通能力上。因此,本研究摆脱机械模仿、重视语法语言规则的传统外语学习方法,以交流为中心的教学方法为基础,提出各种活动,使学习者能够在与实际情况相似的环境中进行语言练习。为鼓励学习者积极参与活动,最重要的是激发学习动机。对此,本研究选取了能激发学习者好奇心、引发学习动机的视频媒体——中国综艺节目<向往的生活1,2>作为学习资料。教学对象为『中国语Ⅱ』的高中生学习者。本研究共由五章组成。 第一章探讨了研究的必要性、目的和先行研究,并介绍了研究内容和方法。第二章探讨了以沟通为中心的教学方法,以学习者为中心教学和合作学习。第三章简要介绍了综艺节目的教育价值、评选标准和原因、以及节目的内容,并根据2015年修订的课程标准‘沟通基本表现’,选取了学习材料。为了活动进行,以教育部提出的‘沟通基本表现’为参考选取并出示了综艺节目资料。在筛选过程中,除了考虑到说话人是否使用标准汉语、说话速度是否合适等以外,还要考虑节目内容是否对学生有教育意义。此外,因为综艺节目资料是教科书的补充教材,所以将节目内容是否与教科书有机地关联在一起也作为选取标准之一。筛选出的资料用二维码呈现,在学习者开展学习活动时,与活动地点一起展示,活动中可以反复观看视频。第四章提出了本研究的核心——提高沟通能力的授课模式和活用小团体的活动方案。授课模式分为‘导入→展开→发展→整理’阶段,在发展阶段开展主要活动。活动包括可以帮助提升沟通能力的5个活动方案,如‘汉语拼音和声调拼写、汉字查找’,‘人物介绍’,‘中文采访’,‘中国食物点餐及结账’.‘字幕解释、推测及制作。除了这些活动以外,还提出了学习教案。最后一章是结论,考察了本研究的意义和今后汉语教育的研究方向。 利用视频媒体的汉语教学研究正在蓬勃发展,但其主要以电视剧、电影、广告等媒体为主。本研究认为,脱离这些媒体,利用综艺节目进行教学更具教育价值。因为这些综艺节目更贴近中国人的实际生活、内容更生动,并且可以从中学到日常生活中普遍使用的汉语表达方式。希望本研究提出的活用综艺节目资料能够在实际教学中得到积极应用,从而对汉语教学有所帮助。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